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심장 및 대동맥 수술환자에서 포괄적 혈액보존법 시행군과 비시행군에서의 동종수혈의 용량 및 치료비용의 비교

        김상범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6

        서론 동종수혈의 위험인 간염 및 후천성 면역결핍증의 감염, 동종면역의 유발, 열성반응 등을 최소한 감소시키기 위해 심장 및 대동맥 수술 환자에서 여러 가지 혈액보존법을 이용하여 동종혈액 소모량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널리 시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예정 및 응급 심장 및 대동맥 수술 환자에게 본원에서 이용 가능한 혈액보존법을 시행한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군에서 동종 수혈의 용량, 술후 1일 및 3일의 적혈구 용적율, 혈소판수,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을 비교 관찰하였고 이에 따른 의료수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동아대학교 병원 중앙수술실에서 예정 및 응급으로 개심술 및 대동맥수술을 시행받은 20명을 혈액보존법을 이용한 전향적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1주일 내에 아스피린 및 항응고제 투여한 환자, 뇌혈관 질환, 경동맥 폐쇄 (carotid a. stenosis), 혈색소 30% 이하인 환자는 제외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본 연구 이전에 혈액보존법을 시행하지 않은 비슷한 수술 및 수술 난이도로 비슷한 연령 및 술전 적혈구 용적율, 심에코 상의 좌심 박출분율을 가진 20명의 환자를 병력지를 참조하여 후향적으로 선별하였다. 혈액보존법으로 술전 자가공혈(autologous predonation) 및 혈소판반출 ( platelet pheresis), 체외순환기 사용전 급성 정혈량성 혈액희석 (acute normovolemic hemodilution), 술중 cellsaver 사용후 술후 투여 등의 방법을 사용한 군과 혈액보존법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의 동종수혈의 용량, 술후 1일 및 3일의 적혈구 용적율, 혈소판수,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을 비교 관찰하였다. 합병증의 비교는 퇴원후 경과기록지를 참고하였고 의료수가 계산은 술전 및 퇴원 때까지 사용한 모든 동종전혈, 적혈구 농축액, 혈소판 농축액을 각 unit 당 가격으로 계산하였으며 혈액 보존법을 시행한 경우는 혈소판 반출 및 cellsavor 사용가와 소모품 가격을 합산하였다. 결과 입원부터 퇴원까지 혈액보존법 시행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전혈사용량 (1.6±1.3 대 2.8±1.9 unit) 및 혈소판 농축액 사용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5.4±6.7 대 9.4±6.4 unit). 혈소판수는 혈액보존법 시행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술후 1일에는 의미있게 많았으나 (171±41,3 대 152±47.3×103개) 술후 3일의 혈소판 수는 통계적 의의있는 차이는 아니었다.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PTT)은 혈액보존법 시행 환자군 술후 1일 및 술후 3일에 비시행 환자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짧았다 (37.3±14.5 대 46.4±14.4 sec 및 30.8±6.1 대 43.2±11.0 sec). 합병증은 대조군군에서 출혈로 인한 재수술 1례, 호흡기 합병증 2례, 대동맥 내 풍선펌프 (IABP) 1례로 시행군에 비해 많았다. 결론 결론적으로 심장 및 대동맥 수술환자에서 혈액보존법을 시행하면 동종전혈 수혈량을 42%, 동종 혈소판 수혈량을 43% 감소시킬 수 있었고 의료수가는 약 100,000원 가량 추가되었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으로 포괄적 혈액보존법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ackground: To reduce the amount of homologous transfusion with its inherent problems of transmission of viral hepatitis,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nd others, many institutions use comprehensive blood conservation methods (CBCM) in open heart and major aortic ope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mount and cost of homologous transfusion and the efficacy of coagulation between patients with or without CBCM adoption. Methods : We prospectively assessed available CBCM of our institution in 20 patients, comparing the requirements of blood products, their cost and the efficacy of blood coagulation with those of another 20 patients similar in age, types of operation, operation difficulty and duration of bypass time retrospectively. Platelet pheresis was done 3 days before operation in 4 patients and after that procedure acute normovolemic hemodilution was done and cellsaver was used in 20 patients. Result : Fewer whole blood and platelet concentrates were transfused in patients with CBCM (p<0.05).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used packed red blood cell and fresh frozen plasma between two groups. Partial thromboplastin time was significantly short in patient with CBCM (p<0.05). The mean extra-financial cost for using cellsaver, platelete pheresis and homologous blood products were somewhat higher but total cost and prevalence of complications were lower in patients with CBCM. Conclusions : The CBCM are cost-effective in reducing the amount of homologous transfusion, and efficient measures to normalize postoperative blood coagulation. So it is reasonable to use the CBCM more widely to achieve more favorable patient outcome.

      • 슬관절 전치환술후 출혈에 대한 Fibrin Glue의 효과

        박유복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19

        슬관절 전치환술은 수술후 약 2000cc정도의 출혈 손실을 동반하여 수혈 등의 처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동종 혈액 수혈로 인한 부작용 등의 문제가 있어 출혈을 최소화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Fibrin glue는 정상적인 생리적 혈액응고과정과 유사한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섬유소 응괴를 형성하여 조직 손상을 치유하고 지혈효과를 항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ibrin glue의 일종인 Tisseel^(R)은 tisseel 용액 (fibrinogen, factorXIII, fibronectin, aprotinin, plasminogen) 과 thrombin 용액(thrombin, Ca^(+))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수술중에 동시에 분사하여 사용한다. 저자는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에서 1996년 6월부터 1998년 4월까지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68명 71례중 fibrin glue를 사용하지 않은 30명 31례 (Group I) 와 수술중 fibrin glue(Tisseel^(R))를 5cc(1cc중 약 fibrinogen 100mg)를 분사한 12례(Group II)와 l0cc를 분사한 23례(Group III)로 나누어 수술후 출혈액을 회수하여 일부의 자가혈액은 재주입하였다. 각각 총출혈량, 재주입량, 혈색소치와 헤마토크리트치를 비교함으로써 출혈에 미치는 이 약물의 임상적 효과와 합병증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술후 전체 출혈량은 Group I에서 평균 1362cc(775-2150), Group II에서는 평균 1164cc(505 -1670) 그리고 Group III에서는 803cc(380-1410)로 Group III는 Group I에 비해서는 평균 41%, Group II에 비해서는 평균 15%의 출혈량을 줄일 수 있었다. 출혈량의 비교에서 Group I과 II 간에는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4) Group II와 III, Group I과 III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0.01). 재주입한 혈액량은 Group I에서는 총출혈량의 72.7%(평균 990cc), Group II에서는 91.4%(평균 1064cc), Group III에서는 90%(평균 722cc)로 Group II와 III에서 출혈량 중 90% 이상을 재주입할 수 있었다. 혈색소치에 있어서 각 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고, 헤마토크리트치의 변화는 Group I과 III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3)를 보였다. Fibrin glue를 사용한 전례에서 이 제제와 관련된 증상이나 특별한 합병증은 없었으며 동종 혈액 수혈이 필요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출혈량이 많은 슬관절 전치환술시 fibrin glue를 사용함으로써 술후 총 출혈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수 있었고 출혈량중 약 90%를 재주입할 수 있었으며 술후 동종혈액의 수혈을 하지 않음으로서 수혈로 인한 감염, 알레르기 반응 및 자가면역 반응 등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었다. Total knee arthroplasty has been associated with marked blood loss despite the use of a tourniquet and minimal postoperative suction drain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and complication of topically applied fibrin glue(Tisseel^(R)) for bleeding control. Fibrin glue was used ta coat the operative site with a fibrin clot to determine the effect on postoperative blood loss. We reviewed 71 cemented total knee arthroplasties from June, 1996 to April, 1998. 71 cases of the total knee arthroplasty was composed of 31 case without fibrin glue(Group I), 12 cases with 5cc fibirn glue(Group II) and 28 cases with l0cc fibrin glue(Group III). Hemoglobin and hematocrit were assayed before surgery and 1 day after surgery, and we compared the amount of the total blood loss, and autotransfusion in each group. The average amount of total blood loss is 1362cc(775-2150) in group I,1164cc(505-1670) in Group II, 772cc(380-1410) in Group III. The average amount of autotransfusion is 72.7%(990cc) of total blood loss in group I, 91.4%(1064cc) in group II, 90%(650cc) in Group III, and Group II & III can autotransfuse above 90% of total blood los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hemoglobin and hematocrit between each group. Administration of fibrin glue gives a significant reduction of blood loss, enables autotransfusion about 90% of total blood loss, and provide the advantages of safety from transmission of viral diseases and from immunologic reaction. In conclusion, Fibrin glue is a safe and effective hemostatic agent for bleeding control after cemented total knee arthroplasty.

      • 척추 유합술시 시행한 자가 수혈의 유용성에 대한 동종 수혈과의 비교 분석

        손훈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19

        동종 혈액 수혈 시 바이러스 전파성 질환의 위험성 및 다른 여러 합병증들은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동종 혈액의 문제점이다. 이런 동종 혈액의 문제점들 때문에 지난 수년간 자가 수혈에 대한 관심과 사용이 급증하였으나 최근 고감도 검사법의 발전 등으로 바이러스 질환의 감염 전파 위험이 급격히 줄어들고 수술 전 혈액 예치식 자가 수혈의 다른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그 유용성에 대한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수술 전 혈액 예치에 의한 자가 수혈은 정형외과 수술 영역에서와 같이 출혈량이 많은 수술에서 쓰일 수 있으며, 특히 척추 유합술은 골이식 부위로부터의 많은 양의 출혈로 인해 2-3 단위 이상의 수혈을 요한다. 이에 척추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수술 전 혈액 예치식 자가 수혈만을 시행한 환자들과 동종 혈액만을 수혈 받은 환자들의 술 후 감염, 술 전과 술 후의 혈청학적 변화, 수술시 출혈량 및 총 수혈량 등을 비교하여 자가 수혈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군은 척추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 총 106명이었으며 그 중 69례는 자가 수혈, 37례는 동종 수혈 만을 시행 받았다. 자가 수혈 피험자의 선정기준은 혈색소치가 11 g/dL 이상인 환자로 제한하였으며 체중, 수술 전 혈압 및 맥박을 검사하여 선정 기준에 맞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로써 분절 출혈량은 자가 수혈군에서 약 574.4 ± 131.8 ml 였고 동종 수혈군에서 약 635.3 ± 250.1 ml 였다. 총 수혈량에 있어서 자가 수혈군에서의 평균 수혈량은 2.1 ± 0.3 단위였으며 동종 수혈군에서는 3.5 ± 0.6 단위로 자가 수혈군이 동종 수혈군에 비해 혈액 사용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수술 1일 전, 수술 3일 후, 퇴원시의 혈색소치, 적혈구 용적치, 혈소판 수치는 두 군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합병증의 발병 역시 양 군간에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으나 발열 기간에 있어서는 동종 수혈군에서 3.01 ± 4.12 일로 자가 수혈군의 1.53 ± 0.31에 비해서 더 증가된 수치를 나타내었다. 척추 유합술 시 자가 수혈을 시행받은 환자는 동종 수혈을 시행받은 환자에 비해 총 수혈량이 적었으며 전신 발열 기간에서도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다. 이는 동종 수혈에서 증가된 수혈량이 전신 발열 기간에 영향을 나타내었을 것이라 사료되며 출혈량이 많은 척추 유합술에서 자가 수혈은 전신 발열 기간을 줄이고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 사료된다.

      • 척추 유합술 시 자가 수혈과 동종 수혈의 술 후 감염 및 임상적 결과 비교

        박문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318

        자가 수혈은 감염 등의 동종 수혈의 부작용을 예방한다고 주장되어 왔으며 일반 정형외과 수술이나 고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시 자가 수혈과 동종 수혈의 결과를 비교한 연구는 있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수술 시간이 길고 실혈량이 많은 척추 유합술에 국한하여 자가 수혈과 동종 수혈간의 술 후 결과를 비교한 연구는 적었다. 본 연구에서는 척추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동종 수혈과 자가 수혈의 술 후 감염 및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1999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감압술 후 내고정 기기 고정 및 자가골 이식술에 의한 척추 유합술 시 수혈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가 수혈만을 시행한 30예(자가 수혈군)와 동종 수혈만을 시행한 32예(동종 수혈군)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성별, 연령, 수술 전 및 후 3일의 혈액학적 검사, 분절당 수술 시간, 분절당 실혈량, 분절당 수혈량, 총수혈량, 항생제의 사용기간을 비교하였다. 술 후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창상 감염, 요로 감염, 폐렴, 붕소염, 바이러스성 질환의 술 후 감염 빈도를 조사하고 술 후 발열 여부, 발열 기간, 임상적 증상의 호전 정도, 골 유합 및 수혈 처치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통계 분석은 윈도우용 SPSS 통계분석 프로그램 10을 이용하였고 p 값이 0.05 이하일 때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자가 수혈군과 동종 수혈군을 비교 시 성별, 연령, 혈액학적 검사, 분절당 수술 시간, 분절당 실혈량, 분절당 수혈량, 항생제 사용 기간에서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으나, 총수혈량은 동종 수혈군에서 많았다. 술 후 감염빈도, 발열 빈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발열 기간은 동종 수혈군에서 길었다. 수술 후 임상적 증상의 호전 정도 및 골 유합 유무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수혈 처치에 대한 만족도는 동종 수혈군에서 감소하였다. 자가 수혈이 술 후 감염을 감소 시키지는 않으나 총수혈량과 술 후 발열 기간을 감소시켜 수혈 처치의 불편감을 해소하여 척추 유합술의 목적인 정상 생활로의 복귀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Autologous transfusion has been suspected to overcome the adverse effects of homologous transfusion, such as transmissions of infection. Clinical studies have been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logous and homologous transfusion and postoperative results in those undergoing general orthopaedic surgeries and total hip arthroplasties. But, few studies have been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logous and homologous transfusion and postoperative infection, specially in those undergoing spinal fusion which has longer duration of operative procedure and larger amount of blood loss. The purpose 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autologous and homologous transfusion and postoperative infection and clinical results of spinal fusion.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patients who underwent instrumented spinal fusion with autogenous bone graft and received transfusion between January 1999 and December 2000. In 30 procedures patients received autologous blood only, in 32 procedures patients received homologous blood only. We collected information on the patient’s gender, age, hemoglobin, hematocrit, platelet count at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3rd day, segmental time in surgery, segmental estimated blood loss, segmental transfused units, total transfused units and duration of antibiotic therapy. We also collected information on the postoperative infections including wound infection, pneumonia, urinary tract infection, cellulitis, and viral transmitted disease and incidence and duration of fever. We also collected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postoperative clinical results, fusion rates and satisfaction with the transfus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oftware of SPSS 10 and p values that were less than 0.05 were considered significant. Our autologous and homologous recipients were similar to each other in measures such as gender, age, hematologic features, segmental time in surgery, segmental estimated blood loss, segmental transfused units and duration of antibiotic therapy. Homologous transfusion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total number of units transfused. There are a significantly increased number of total units transfused in homologous transfused group.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ostoperative infection, incidence of fever, but homologous transfusion was associated with longer duration of fever.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mprovement of postoperative clinical results, fusion rates, but autologous transfusion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satisfaction with the transfusion. Our finding suggested that autologous transfusion dose not result in decreased incidence of postoperative infection. But, the use of autologous blood transfusions may enhance the recovery to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by increasing satisfaction for the transfusion due to decreased number of total units transfused and decreased duration of postoperative fever.

      • 척추유합수술에서 자가혈액 수혈의 이용

        정성남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32301

        척추유합술 도중이나 혹은 수술 후에는 많은 수혈이 필요하며, 대부분 동종혈액을 수혈하여왔다. 그러나 동종혈액 수혈에 의한 부작용은 널리 알려져 있어 이러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동종수혈을 피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자가수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자가수혈의 방법은 수술전 혈액 예치에 의한 자가수혈법, cell saver를 이용한 수술중 자가수혈법, 수술후 자가수혈법 및 급성 동량성 혈액희석법 등이 있으며 저자는 여러 가지 방법을 동시에 이용한 자가수혈의 유용성 및 자가수혈 후의 혈액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7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척추유합술을 시행한 8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55명은 순수한 자가수혈만을 이용하였고(1군), 34명은 동종 수혈을 함께 사용하였다(2군). 대조군(3군)으로는 1996년 1월부터 12월까지 동종수혈을 이용하여 유합술을 시행 받은 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군의 수술전 자가채혈량, cell saver로 회수한 량, 동종수혈량 등의 값들을 구하였다. 또한 각 군에서 각종 수혈 합병증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자가수혈군의 경우 지속적인 혈액검사를 통하여 성(性), 연령, 채혈량의 정도 및 동반된 질환과 회복 정도와의 관계를 관찰하였다. 각 군의 총 수혈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동종혈액량을 비교한 결과 자가수혈군에서 동종혈액 수혈이 33%로 감소되었다. 또한 척추 1분절 유합술시에는 수술전 혈액 예치법만으로 수술이 가능하였으며, 척추 2분절 수술인 경우 동종수혈량은 대조군에 비해 33%로 감소되었고, 척추 3분절 이상의 수술인 경우에는 39%로 감소되었다. 동종혈액을 수혈한 군의 경우 알레르기 반응 3명, 발열 3명 등 수혈 부작용이 발생하였으나, 자가혈액을 수혈한 군의 환자에서는 채혈시나 채혈후의 경미한 현기증, 두통 외에는 수혈로 인한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았다. 자가혈액 1단위 채혈한 후 혈색소치는 0.8g/dl-1.3g/dl 감소를 보였고, 적혈구 용적률은 1.7%-3.9% 감소하는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수술후 검사한 혈색소치는 제1군과 2군이 각각 10.1g/dl, 10.2g/dl이었고 대조군은 10.4g/dl로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혈색소치, 적혈구 용적률, 적혈구 수 및 혈소판 수 등은 술후 3개월 정도에 채혈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또한 채혈량의 정도, 동반질환의 유무에 따른 혈색소, 적혈구 용적률의 회복 정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환자의 연령, 성별에 따른 혈색소, 적혈구 용적률의 회복 정도는 30대 이하의 연령, 남자인 경우 더 빨리 회복되는 소견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척추유합술 등 정형외과적 수술에서 예치식 자가혈액수혈과 수술중 자가수혈요법의 병행은 동종혈액 수혈량을 줄이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수혈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생각된다. Autologous transfusion has been used widely in surgical patient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homologous transfusion such as transmission of blood-borne diseases, allo-immunization and allergic reactions, Autologous transfusion can be achieved with predeposited blood and intraoperative blood salvage using a cell saver. We reviewed 89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spine fusion surger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autologous transfusion. Among them Fifty-five patients were transfused with only autologous blood and thirty-four patients were transfused with autologous and homologous blood. We analyzed the results of perioperative changes of blood count, transfusion amount and occurrence of complications and compared with forty-one patients who were transfused only homologous blood as control group. In this study of 89 patients, the use of predeposited autologous blood is enough to perform one level spine fusion surgery. In spine fusion surgery of more than two levels, supplementary of homologous blood was needed in addition to predeposited autologous and intraoperative cell saving blood. By using autologous blood transfusion, the use of homologous blood was reduced to 33-39% of total transfusion. The recovery of peripheral blood counts into preoperative state needed about three months. The hematologic parameters got more rapidly recovered in the young male patients than old female patients. However the amount of autologous blood or associated diseases didn't influence to recovery of peripheral blood counts. In conclusion, although autologous blood transfusion program are more expensive than the routine use of homologous transfusion, predeposited autologous blood and intraoperative blood salvage using a cell saver and are an effective method to reduce or avoid use of hemologous blood transfusion and to prevent th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homologous blood transfusion.

      • 혈소판 다회 수혈자에서 PCR-ASRA를 이용한 Glycoprotein Ⅰa(HPA-5, Br)의 G/A 유전자 다형성 분석

        이채진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2270

        Platelet transfusion, which is the only means of curing reduction of platelet, induce transformed alloantibodies due to the mechanism of immunity. Human platelet antigens (HPAs), known to stimulate the immune system, have varied amino acid sequences in individuals or ethnic groups, and induce various immune responses by allelic polymorphisms in the respective gene.Recently, alloimmunization to human leukocyte antigens (HLAs) has been decreased by application of single donor platelets(SDP) or leuko-depleted platelets to patients who are not expected to yield any practical results from platelet transfusion. Platelet refractoriness among the patients treated platelet transfusion is often seen in the hospital. However, until now there are little reports about correlation of platelet specific antigens and alloantigens.To identify correlation of genetic polymorphisms of HPA-5ab(Brba) andthrombocytopenia, I examined a point mutation of Gp Ia gene using PCR-ARSA technique and detected anti-platelet antibodies among the patients (20 persons) associated with symptoms of thrombocytopenia through laboratoryanalysis. The genotype of HPA-5(Br) in a patient group of 20 (13 persons with platelet refractoriness after two times or more platelet transfusion and 7 persons with severe thrombocytopenia regardless of present diseases) was all a+b- type. In addition, analysis of the genotype of HPA-5(Br) in a normal group of 35 exhibited that 32 persons were the a+b- type (91.4%) and 3 persons were the a+b+ type (8.6%). Analysis of anti-platelet antibody exhibited 3 positives and 10 negatives among 13 patients who had platelet refractoriness after transfusion two times or more. The genotype of HPA-5(Br)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patients shows all the a+b- type.In this research, I have investigated antibody formation in patients requiring repeated platelet transfusions. Although the genotype of HPA-5 aa is more frequent in the Korean population, possibility of anti-HPA-5b antibody induction caused by HPA-5a+b+ can not be completely excluded. I did not observe any differences in the GA polymorphism of GpⅠa (HPA-5) among the patients and neither in other genetic polymorphisms of GpⅠa among the normal or patient group. The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incidence of thrombocytopenia disorder and the GA polymorphism pattern in Gp1a(HPA-5). 혈소판 감소증의 유일한 치료수단으로서 혈소판 수혈은 동종면역 기전으로 인하여 동종항체(alloantibody)를 유도생성 한다. 이러한 항체를 유도하는 혈소판 특이 항원(human platelet alloantigen, HPA)은 인종 및 개체에 따라 혈소판 표면의 단백구조상 아미노산의 차이에 기인하며, 유전자 내에 대립인자의 다형성(allelic polymorphism)에 따라 혈소판 항체와 다양한 면역반응(immune response)을 보일 수 있다.최근 SDP(single donor platelet) 등 leuko-depleted platelet 사용이 증가하면서 HLA(human leukocyte antigen)항체로 인한 동종면역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동종면역에 의해 혈소판 수혈 효과를 얻을 수 없는 환자들에서 항혈소판 항체의 측정 및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한 혈소판 특이항원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보고가 없으며, 실무과정을 통해서는 혈소판을 수혈 받는 환자 다수에서 혈소판 수혈 불응증은 자주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HPA-5ab(Brba)가 위치하는 glycoprotein Ⅰa에 대한 유전자 다형성의 차이와 혈소판 감소증 발병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상군 35명과 혈소판 감소증을 보인 20명을 대상으로 혈액을 채취하고, GpⅠa gene의 point mutation이 존재하는 부위를 증폭한 후, 대립인자 특이적 제한효소법(allele-specific restriction enzyme analysis, ASRA))을 이용하여 유전자형 검사를 하였다. 동시에 혈소판 수혈을 받은 환자들에게서 항혈소판 항체의 생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실험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2004년 3월에서 2005년 2월까지 국립의료원에서 2회 이상 혈소판 농축액이 요구되고 혈소판 수혈 후 수혈 불응증을 보인 환자 13명 및 기존 질환에 관계없이 심한 혈소판 감소증을 보인 환자 7명 등 총 20명에서 HPA-5(Br)의 유전자형이 모두 동일한 유전자형 을 보였으며, 정상 대조군 35명에서의 HPA-5(Br)의 유전자형은 32명(91.4%)이 a+b-, 3명(8.6%)이 a+b+를 보였다.2. 2회 이상 혈소판 반복 수혈 후 혈소판 불응증을 보인 환자의 항혈소판 항체 검사 결과 13명의 환자 중 3명(23%)이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10명(77%)은 음성으로 나타났다.3. 항혈소판 항체 양성을 보인 환자와 항체 음성을 보인 환자의 HPA-5(Br)의 유전자형은 a+b-로 동일하였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이번 연구를 통해 혈소판 항체에 의한 혈소판 수혈 불응증을 다회 혈소판 수혈 환자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항체의 성상을 규명하진 못했지만 한국인에서 HPA-5 항원의 a+b-형의 유전자 빈도가 우세하여도 HPA-5a+b+항원으로 인한 anti-HPA-5b의 생성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환자군 내에서 GpⅠa(HPA-5)의 GA유전자 다형성(polymorphism)을 관찰 할 수 없었고, 정상대조군과 환자군 사이에서 GpⅠa(HPA-5)의 GA유전자 다형성의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 발생기전과 GpⅠa(HPA-5)의 유전형과는 중요한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