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작국악동요의 창의적 교재.교구 활용방안 연구 : 유아.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김미정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each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subject matter so that original teaching materials·teaching aids for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would be used at educational facilities for small children and lower elementary school graders by studying them. And the researcher presets methods of using original teaching materials·teaching aids for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in order to achieve educational goal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researcher examined the preceding studies emphasizing the necessary for and importance of teaching materials in the activities of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In order to present the methods of activities centering on the sub-subjects per each subject matter, the researcher did tests·practices for the total 65 children for 5 tims during summer and winter special instructions (10 times in total) respectively at elementary school and library.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 of winning a prize at a nationwide exhibition of teaching materials·teaching aids in 2002 by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using Korean classical music for special children, the researcher applied school work of Korean classical music using them at the educational facilities for small children. Accordingly by selecting proper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for children, the researcher divided 30 small children into 3 classes of 5, 6 and 7 year old children and applied proper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to them. For such purpose, the researcher examined the main contents of original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for elementary school 3 or 4 graders and also examined the preceding research theses on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considering their rhythm, time and words of songs. In addition, the researcher also analyzed rhythm and words of children's songs composed by Jung, Sugn Ja, which the researcher used the most so that I would use their program per annual subject matter.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present status of research activities, in the field of our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fact the ratio of possessing Korean classical music equipment at kindergartens or elementary schools was increased since Jung, Sung Ja's thesis in 1985, but all researchers still emphasized insufficiency of teaching materials·teaching aids. Through many writings, short course studies and special lectures of Korean classical music for small children all over the country, Jung, Sung Ja, who is the pioneer in the first Korean classical music for small children and has 27 years' know-hows, became well-known at educational facilities thereof. Therefore, the researcher analyzed rhythm, the words and sources of her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and approached to the necessity for teaching materials and aids according to the teaching methods. And by classifying the sub-subjects for each subject matter on the basis of rhythm, time and words of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the researcher presented methods of using data and original teaching materials·aids. Results of this study by means of the above methods are as follows. 1. Through this study, 30 methods of activities centering on sub-subjects to be used for small children and lower elementary school graders were developed. 2. Even with one subject matter, various teaching materials·aids c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determined sub-subjects. 3. It was found that teaching materials·aids could be used by means of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concerned activities. 4. In the aspect of elementary school teaching methods, the researcher could find changes from static type of school work such as singing songs after hearing to voluntary and active type such as making activities while touching teaching materials. 5. And it was found that the rhythm of children's songs used dotted notes much and there were many light songs with fast time. 6. The use of patterned teaching materials for learning rhythm was helpful for mathematical way of thinking. 7. The teaching materials using colors for musial notes helped children to learn rhythm for short period of time. 8. Because the words of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by Jung, Sung Ja were proper for children's levels, they were very good for being used not only for dance movements but also as teaching materials. 9. It was also found that Jung, Sung Ja's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were sung as the theme songs in life at educational facilities for small children 10. It was found that the words of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found sources among life experience or natural phenomena. 11. It was also found that the contest of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sponsor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was researched much. 12. Methods of learning the words and rhythms of songs with OHP films by reusing the monitor of a computer could be helpful for scientific way of thinking. 13. The janggu Nanta performance using scrapped tires and torn leather of a janggu could made us confirm the educational effect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as well as interest in Korean classical music. 14. Children taking school work using teaching materials·aids rather than children receiving simple education of songs·rhythm demonstrated far faster acceptance of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and more interest in them in such ways as humming them in their lives.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창작국악동요의 창의적 교재·교구를 연구하여 유아 교육 기관 및 초등학교 저학년들의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주제에 따른 소재를 정하였다. 그리고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창작국악동요의 창의적 교재·교구활용법을 제시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국악활동에 있어서의 교재교구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강조한 선행연구와 국악동요의 선행 연구를 살펴 보았다. 주제에 의한 소주제 중심의 접근을 한 활용법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와 도서관에서 여름과 겨울 특강을 각각 5차시(10회)로 총65명을 실험·실습하였다. 유아교육기관은 연구자가 2002년도에 특수아동을 위한 국악교재를 개발하여 전국 교재·교구전시회 수상경력을 토대로 하여 교재·교구를 활용한 국악수업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아동들에게 적합한 국악동요를 선정하여 유아들은 30명씩 5세 6세 7세반으로 나누어서 유아에게 적합한 국악동요를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교과 3·4학년의 창의적 국악동요의 주요내용을 살펴보았고, 국악동요에 대한 선행 연구논문들을 국악장단과 박자, 노랫말이 있는 부분을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자가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연간 주제별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작곡된 정성자의 동요을 장단과 노래가사의 소재들을 분석하였다. 연구현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국악교육에서는 1985년 정성자의 논문이후 유치원·초등학교의 국악기 보유율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나, 모든 연구자들은 교재·교구의 부족을 대부분 강조하였음을 알수 있었다. 최초의 유아국악교육 선구자이며 27년 노하우를 가진 정성자는 수많은 저서와 전국 유아국악강습회 및 특강을 통해 유아국악교육 기관에 가장 많이 저변화 되어 있기 때문에 정성자의 창작국악 동요곡을 장단과 노랫말·소재로 분석하고 지도방법에 따른 교재교구의 필요성을 접근해 보았다. 국악동요 중 리듬·박·자·노랫말을 살려 주제에 따른 소주제를 차시별 구분지어 활동자료와 활동방법 창의적 교재·교구 활용법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를 통해 유아·초등저학년에서 활용할 수 있는 30개의 소주제 중심 활용법이 개발되었다. 2. 주제는 하나라도 소주제를 무엇으로 결정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교재 교구를 개발할 수 있었다. 3. 교재·교구가 활동중심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활용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4. 초등 교과교수 학습에서 살펴보면 듣고 부르는 등의 정적인 수업형태에서 교재교구를 직접 만지고 활동하는 자율적이고 동적인 참여수업형태로 바꾸어가는 교수학습형태를 알 수 있었다. 5. 동요의 리듬은 점음표를 많이 사용했고 빠른 박자로 경쾌한 곡이 많음을 알수 있었다. 6. 리듬을 익히기 위한 패턴교구를 활용하여 수학적사고를 도울 수 있었다. 7. 음표에 색깔을 활용한 교구는 짧은 시간에 리듬과 장단을 익힐 수 있었다. 8. 정성자의 국악동요는 가사가 어린이 눈높이에 적합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춤동작 뿐만 아니라 교재·교구를 제작·연구하기에 아주 좋은 학습교재가 많았다. 9. 정성자의 국악동요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생활속의 주제곡으로도 불리어 지고 있음을 알았다. 10. 국악동요의 노랫말은 생활경험 또는 자연현상에서 소재를 많이 찾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1. 국립국악원에서 주체하는 창작국악동요제가 많이 연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2. 컴퓨터 모니터를 재활용하여 OHP필름으로 다양한 노랫말과 장단을 익힌 학습은 과학적인 사고를 도울 수 있었다. 13. 폐-타이어와 찢어진 장구가죽을 활용한 장구난타는 국악에 대한 흥미뿐 아니라 환경개선을 위한 교육적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14. 단순히 노래·장단·리듬만을 교육받은 아동들보다 교재·교구를 활용한 수업을 받은 아동들은 훨씬 더 국악동요에 대한 수용력이 빨랐으며 생활속에서 흥얼거리는 등 국악동요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 1910년~1945년 동요 변천 경향 연구

        이성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일제 강점기인 1910년부터 1945년까지 동요의 변천 과정을 10년 단위로 사회적·문학적·음악적 세 가지 관점을 갖고 연구하였다. 우리나라의 동요운동은 1910년대에는 관이 주도하여 학교에서 창가가 지도 되었고 1920년대부터는 '어린이'지에 동요라는 용어가 사용되면서 본격적인 창작동요가 민간 주도로 '어린이'지를 중심으로 일본 유학한 사람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 때 일제가 창작동요를 부르지 못하게 하였으나 학교에서 배운 창가보다 창작동요가 어린이들에게 더 많이 불리어 졌으며 일반인들에게 까지 널리 보급되었다. 이 시기를 창작동요의 발아기라 할 수 있다. 1930년대에는 보다 많은 작곡가들에 의해 다양한 곡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많은 동요집이 출판되고 유성기 음반에 의한 동요들이 보급되고 방송국을 통해 동요가 널리 확산되면서 몇 몇 사람들이 합력하여 다양한 형태의 동요운동이 전개되었다. 이 시기를 창작동요의 발전기라 할 수 있다. 1930년대 말부터 일제의 민족문화말살정책으로 인하여 1940년대는 동요의 창작과 보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던 시기로 창작동요의 암흑기라 할 수 있다. 이 때 몇 몇 작곡가들이 친일 행위로 비판을 받고 있는데 일제 강점기의 암울한 우리의 자화상으로 이들의 음악적인 성과가 모두 매도당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문학적인 관점 즉, 동요의 가사적인 측면에서 변화를 보면 우리의 전래동요가 어린이들의 생활중심이며 놀이적인 속성이 강하다면 1910년대의 학교 창가는 계몽적인 요구가 강하다고 볼 수 있고 창작동요는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경향을 지니면서 일제 강점기의 암울했던 분위기로 인하여 퇴폐주의적인 경향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율격에서 보면 1910년대 학교 창가에서 곡이 대부분 일본 곡이다 보니 일본 율격인 7.5조와 우리 율격인 4.4조가 거의 비슷하게 사용되었다. 이때부터 일본 율격인 7.5조가 우리 창작동요의 율격이 되는 계기가 되어 1920년대에는 우리 율격인 4.4조의 율격은 퇴조하고 대신 일본율격이 자리 잡게 되었다. 그러나 불행 중 다행하게도 1930년대에 일본 율격이 조금씩 줄어들면서 우리 율격이 조금씩 살아나기 시작하였으나 창작동요 초창기에는 일본 율격인 7.5조가 주를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음악적인 관점에서 보면 음계는 1910년 학교 창가에서는 서양의 7음계에 파와 시를 뺀 일본의 요나누끼 5음계가 대부분이었으나 점차 5음계가 차츰 줄기 시작하여 1930년대에는 오히려 7음계가 5음계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다. 1930년대부터 홍난파, 김성태, 김대현 등에 의해 서양음악어법으로 된 일본 요나누끼 5음계와 다른 우리음악어법으로 된 민속풍(국악풍)의 노래를 만들어졌으나 지금 우리의 전통음악어법으로 된 국악동요와는 다소 차이가 있어 보는 사람에 따라서 국악풍 동요로 보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창작동요 초창기부터 근래에 이르기까지 한 동안 창작동요는 일본 율격인 7.5조의 율격과 요나누끼 5음계로 된 양악동요 일변도였다. 창작동요초창기에 우리의 창작동요는 시간이 지나면서 일본의 율격과 음계는 서서히 퇴조하면서 극히 일부이지만 우리 음악 색깔을 찾으려는 시도가 있었다. 최근에는 우리의 전통음악어법 된 국악동요가 당당히 창작동요의 한 갈래로 자리를 잡았고 지금의 창작동요는 양악동요와 국악동요로 양분되며 그 중간에 위치한 동요들도 있어 창작동요초창기보다 훨씬 다양한 동요들이 생성되고 있어서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악동요는 단순한 5음계에 의한 국악동요보다는 우리 전통음악 어법에 충실한 장단이나 선법, 시김새를 활용한 국악동요가 더욱 만들어져야 한다. 창작동요초창기는 그 시대적 상황으로 인하여 어쩔 수 없다고 하지만 지금은 우리의 창작동요가 외세에 의해서가 아니라 우리 음악의 뿌리를 찾아 토착화되어야 하며 우리 음악의 자존심을 회복해야한다. 아직도 우리 전통음악어법에 입각한 국악동요는 갈 길이 멀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trasition course of children's song in 1910-1945, by ten years, in the three views of social, literary and musical. In 1910s, children's song movement was led by authorities governed by Japan: Changga was taught by school. From 1920s, the term "children's song" was used in the magazine"Children" and after that by private, earnest creation of children's songs was led, especially by the people who had studied in Japan. At this time, although Japan prohibited singing them, Creative children's songs were sung much more and spread out further than changga by school. This is the germinating period of Creative children's song. In 1930s, as various songs were poured out by even more songwriters, many nursery rhymes books were published, the songs were recorded by phonograph and sent out on the air, various types of movements were spread out under the cooperation of several people. This is the growth period of Creative children's song.But by Japan's erasion policy of Korea national culture from late 1930s, 1940s is the dark period of Creative children's song; creating and diffusion of children's songs is not made at all. Those days some composers are criticized as pro-Japanese act; this is our gloomy self-portrait from 1910 to 1945,so it's sorry that their musical products are all denounced. In the view of literature, that is, in the lyrics, we can see the changes: at first, our traditional, inherited songs were focused on the life of children and featured plays. On the other hand, Chagga by school in the Japan's rule featured enlightening and educational demand. But the Creative children's song had a tendency of the aesthetical pursuit and also has a tendency of decadence because of the gloomy mood of the times. In the matter of rhythm, in 1910s, as school Chagga songs were almost Japanese songs, Japanese rhythm, 7.5 was used at the similar ratio with our rhythm 4.5. From this, Japanese rhythm 7.5 became a rhythm of our Creative children's song, and in 1920s, our traditional rhythm 4.5 declined and Japanese rhythm settled down. Fortunately, in 1930s, Japanese rhythm declined slowly and our 4.5 rhythm revived again, but in the depression of Japan, Creative children's songs usually had Japanese rhythm 7.5. In the musical scale, In 1910s, school Chagga songs almost had Japanese Yonauki 5 scale that took out 'fa' and 'si' from western scale. Gradually 5 scale decreased and in 1930s, 7 scale came into wider use than 5 scale. From 1930s, Hong nan-pa, Kim sung-tae, Kim dae-hyeun and others made a kind of Korean classical music songs which had different method from Japanese 5 scale, but they're a little different from Korean classical music children's songs which are made by our traditional music skill these day, so there are people who don't think it's a kind of Korean classical music children's song. For a long time, from Japan's colonial rule, to modern times, Creative children's songs only had foreign styles; Japanese rhythm 7.5 and Japanese Yonauki 5 scale. But gradully with slowly declining of japanese rhythm and scale, although it's very extremely little, there were some trials to look for our musical color. Recently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that are made by our traditional method are settled fairly in a branch of Creative children's song and now Creative children's songs are divided into Western style songs and korean classical songs, in addition, there are songs that are placed in the middle of the both. And Much more and more various children's songs are made now: This is very desirable. But, in th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except for only 5 scale songs, more classical songs must be made which use beat, mode, and Sigimsae faithful to our traditional music method. Under the depression of Japan, they couldn't help it by the periodical situation, now we ourself, not by foriegn power, must find our musical root and restore our musical pride. Still our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 has a long way to go.

      • 동요의 맥락적 분류에 따른 지도 방법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박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맥락적 관점에서의 동요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음악과 5종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제재곡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음악적 관점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음악교육에 적합한 동요를 분류하여 교사가 여러 음악적 관점에 따라 음악 수업 시간에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동요를 부르고 음악적 요소를 지도하는 기존의 음악교육 방법에서 벗어나 맥락의 의미를 살펴보고 동요를 맥락적으로 분류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동요의 맥락적 관점 분류는 미적 관점, 자연적 관점, 사회적 관점으로 나누었다. 사회적 관점은 다시 역사적 관점과 계몽적 관점, 다문화적 관점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둘째,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살펴보고 교과서의 단원 구성 형태, 동요의 내용 및 중점 지도 내용 등을 분석하여 검인정 교과서에 수록된 교과서의 전반적인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과서별로 수록된 동요의 수가 다르며 지도 중점 및 지도 방안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검인정 교과서에 수록된 동요를 맥락적 관점에서 동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적 관점과 자연적 관점의 동요는 교과서에 많이 수록되어 있었으나 역사적 관점의 동요가 좀더 확보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정서 심화를 위한 계몽 동요가 아닌 의식의 변화를 위한 계몽 동요가 많이 개발되고 수록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맥락적 관점에서 동요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여러 가지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맥락적 관점에서 동요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동요의 맥락적 분류에 따른 지도 방법 제시를 통하여 일선 교사들이 맥락적 관점에서의 동요 지도 필요성을 인식하고 동요 부르기를 통한 역사․사회․문화적 관점의 다양한 안목이 길러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approach to children's songs using a contextual angle and to examine the problem of songs from 5 music textbooks of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are currently used at schools by analyzing the songs. In addition, this study classifies appropriate songs for elementary music education based on musical perspective and finds a teaching method for teachers to teach music with various musical perspectives. First, beyond the current music teaching method of singing together and teaching musical factors, this study suggested examining contextual meaning of songs and provided a standard for contextual classification of children's songs. The contextual classification of children's songs was categorized into aesthetic perspective, natural perspective and social perspective, and the social perspective was divided into historical perspective, educative perspective and multi-cultural perspective. Second,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examined, and their lesson organization, contents of children's songs and main lesson goals were reviewed to analyze general contents of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extbooks had different numbers of children's songs and different main lesson goals and methods. Third, children's songs of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were analyzed in a contextual angle.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much to be desired in songs of historical perspective, while there were many songs of aesthetic perspective and natural perspective. In addition, it was found out that educational songs need to be developed in a way to change consciousness of students, and more of them need to be listed in textbooks, not educational songs for deepening emotion of students. Lastly, based on the analysis of children's songs in a contextual angle, various problems and methods for improvement were suggested along with teaching methods of children's songs in a contextual angle. With the suggestion from this study for teaching methods of children's songs based on the contextual class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teachers realize the importance of teaching children's songs in a contextual angle and encourage students to have various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s in singing children's songs.

      • 동요를 통한 중국어 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학습자를 중심으로

        박은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는 중국과 지리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다. 또한 최근 몇 년간 한류(韓流)와 중국과의 교류 확대로 인해 중국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어에 대한 학습 욕구도 날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언어 능력이 13세 이전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어린이의 조기 중국어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특기적성 중국어 교육은 교육부가 마련한 초등교육 지침서와 교과서가 없기 때문에 교사의 역량에 의존하여 실시되고 있다. 따라서 교사의 교수법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된다. 본 연구자는 싫증을 잘 내는 반면, 스펀지와 같은 흡수력을 지닌 아동의 특성에 적합한 교수법으로 동요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특기적성 중국어반을 지도하였다. 그 결과 중국 동요 배우기는 어린이 중국어 학습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우리말에는 없는 중국어의 성조는 학습자가 공통으로 어려워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동요를 부를 때에 성조가 멜로디처럼 작용하여 아동이 어려워하지 않고 쉽게 익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요를 이용한 학습은 아동이 강한 자신감을 가지고 중국어를 쉽고, 재미있게 익힐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요와 초등학교 교육의 관계를 살펴보고, 동요를 통한 효과적인 중국어 지도 방안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조기 중국어 교육의 중요성과 초등학생에게 맞는 중국어 교수법을 알아보았다. 그 다음으로 동요의 특성과 교육적 의의, 동요를 활용한 지도 방안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외국어 학습의 목표는 의사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데 있다. 따라서 제 7차 교육 과정의 의사 소통 범주를 참고하여 동요를 선정하였다. 동요를 이용한 중국어 학습은 아동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학습 성취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의사 소통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는 것을 직접 지도해 본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동요 부르기와 중국어 회화를 함께 지도하면서 실시되었다. 단순히 중국어 동요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동요 선정은 교재를 통한 중국어 회화 학습 내용과 연관시켜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회화 학습의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었다. 이미 동요를 통해 배운 어휘와 문장이 교재에 있는 것을 보고 회화 학습을 어려워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요만 부르는 것이 아니라 이를 이용해 율동, 게임, 역할극을 함으로써 아동의 이해와 흥미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교사는 언어 능력이 높은 아동의 장점과 집중력이 성인에 비해 낮다는 단점을 숙지하고 다양한 교수법을 가지고 적절히 지도하여야 한다. 앞으로 초등학생을 학습자로 하는 교육 현장에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수법과 교과서 및 교구 제작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이 영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서윤정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은 동요의 노랫말에 캐릭터, 사건, 배경 등 스토리텔링의 요소를 활용하여 영아의 경험과 친근한 스토리로 구성하고 영아에게 재미있게 들려줌으로써, 영아가 이야기에 몰입하여 심미적으로 듣고 동요를 즐겁게 부르며 표정, 언어, 동작 등으로 느낌과 생각을 자발적으로 표현하는 활동을 말한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의 목적은 영아가 노랫말에 대한 스토리텔링과 노래를 부르는 것을 즐기고 심미감을 경험하여 언어능력의 발달을 돕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는 어떠한가? 1-2.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이 영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1.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이 영아의 수용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이 영아의 표현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문제 1]에 대해 2013년 3월부터 2013년 7월까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동요와 스토리텔링, 문학 및 음악 교육에 대한 문헌분석,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검토한 후, 동요지도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 교수방법 및 평가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가 및 현장전문가와 협의하여 내용의 적합성을 검토 받아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이 영아의 수용언어능력, 표현언어능력,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위치한 D어린이집 만 2세반 영아 40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이다. 연구도구로 영아의 수용언어능력, 표현언어능력 측정은 김영태, 성태제와 이윤경(2008)의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chool Per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의사소통능력은 이영자, 이종수, 신은수, 곽향림과 이정욱(2002)이 개발한 「1, 2세 영아발달 평가 도구」에서 의사소통영역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기간은 2013년 7월 22일 ~ 2013년 10월 31일까지로 총 15주간이며 실험집단은 주 1회 새로운 동요 한 곡에 대해 첫째 날에는 동요스토리텔링 활동, 둘째 날에는 동요 부르기 활동을 자유놀이활동 시간 또는 전이활동 시간에 실시함으로써 총 30차시의 활동이 진행되었다. 동요스토리텔링에 활용했던 매체들은 자유선택 영역에 제시하여 영아들이 노래를 부르거나, 역할을 흉내 내 보는 등의 활동이 자유롭게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비교집단은 실험집단과 동일한 동요로 첫째 날과 둘째 날 모두 스토리텔링 활동을 제외한, 일반적인 동요 부르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실험이 끝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도구로 영아의 수용언어능력, 표현언어능력, 의사소통능력을 검사하고 수집한 자료를 SPSS 19.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영아의 수용언어능력, 표현언어능력은 사전, 사후 검사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의사소통능력은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의 목적은 영아가 노랫말에 대한 스토리텔링과 노래를 부르는 것을 즐기고 심미감을 경험하여 언어능력의 발달을 돕는 것이다. 하위 목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른 사람의 말과 짧은 이야기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듣는 것을 즐긴다,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주고받는 것을 즐기며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언어․몸짓으로 표현한다, 음악의 기본 요소들을 경험하며 노래 부르기를 즐긴다, 리듬․움직임 등을 자유롭게 시도하고 모방하며 표현한다로 구성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의 내용은 동요스토리텔링 활동과 동요 부르기 활동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먼저 동요스토리텔링 활동의 내용은 생활 경험과 관련된 경험 나누기, 동요스토리 즐겁게 듣기, 소리 내어 말하기, 동작으로 표현하기, 역할 흉내 내기, 생각과 느낌 나누기이며, 동요 부르기 활동 내용으로는 동요 듣기, 동요 부르기, 다양한 방법으로 부르기, 노래에 맞추어 동작으로 표현하기, 악기 연주하며 부르기로 개발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동요 프로그램은 상호작용의 원리, 자발적 표현의 원리, 통합의 원리, 반복과 모방의 원리, 놀이 및 일상생활 경험의 원리를 적용하여 도입, 전개, 마무리의 단계로 전

      • 인성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이채경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성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이채경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영 주)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인성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두었다. 이를 통해 유아의 행복감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유아교육현장에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 K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5세반 유아 30명이다. 실험집단은 15명(남 8, 여 7), 통제집단은 15명(남 8, 여 7)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도구는 이정화(2005)가 개발한 유아행복감 측정도구를 김도란(2008)이 유아 수준에 적합한 발문 내용으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도구를 통해 모든 유아에게 사전검사로서 유아의 행복감 검사를 실시하였고,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 후에 실험처치가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에는 인성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교육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른 새노래를 활용한 대·소집단 활동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험처치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내용의 행복감 검사를 사후검사로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실시하였다. 수집된 사전⋅사후검사 자료에 대해서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23.0을 활용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성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교육활동의 유아 행복감에 대한 효과를 살펴본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아의 행복감이 가정환경영역, 자아특성영역, 능력영역, 대인관계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사후검사에서는 가정환경영역, 자아특성영역, 능력영역, 대인관계영역 모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성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교육활동이 생활주제에 따른 새노래를 활용한 대·소집단 활동보다 유아의 행복감 증가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인성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교육활동이 유아교육에 효과적으로 반영되었을 때, 유아의 행복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유아가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기 좋은 예술 활동 중 음악 활동을 활용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동요를 부르는 것에서 그친 것이 아니라 동요 속 가사의 의미를 파악하고 통합적 교육활동과 연결한 것이 가사를 내면화 하도록 도와 행복감을 높였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인성교육이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것에서 인성동요를 활용한 점이 의의가 있다. Abstracts The effect of integrated education on young children's feelings of happiness: utilizing children's songs for personality education Lee, Chae-kyung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Ulsan. (Thesis Director Kim, Young-ju)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grated education on young children's feelings of happiness, utilizing children's songs for personality education, and furthermore propose a method of promoting children's happiness applicable to the childhood education fiel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0 children aged 5 from K public preschool in Ulsan.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est group(8 boys, 7 girls) and control group(8 boys, 7 girls). The happiness scale for childhood was employed as a research tool which Lee(2005) developed and Kim(2008) modified to the questions suitable for young children. With this research tool, children's happiness level was measured as a pre-test and then experiment was conducted after verification of homogeneity.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children's songs were done for the test group while small and large group activities using new songs by topics of daily life were done for the control group. After these experimental treatments, a post-test was conducted to both test and control groups with the same test as the one used on the pre-test. The data from pre and post tests were analyzed throug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When it comes to the effect of integrated education involving children's songs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est group and control groups on the pre-test in all fields of home environment, ego characteristics,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However, the test group prove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post-test in home environment, ego characteristics,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It means that the integrated education involving children's songs is more effective than the small-large group activity involving new songs by topics of daily lif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happiness. Accordingly, when the integrated education involving children's songs is applied to childhood education effectively, it should have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happiness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of many other activities, the musical activity is utilized as a children's expression instrument. In addition to singing children's songs, the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lyric of the song and leading to the integrated education helps children internalize the lyric and as a result enhance their happiness. This study differs from other studies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personality education on happiness utilizing children's song.

      • 동요 그림책이 발달지체 유아의 자발적인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이원미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유아들이 흥미를 가지며, 즐거워하는 소재인 동요를 그림책으로 만들어 활용함으로서 동요 그림책이 발달지체 유아의 자발적인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동요 그림책이 발달지체 유아의 자발적인 발화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가? 2. 동요 그림책이 발달지체 유아의 자발적인 어휘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D구에 위치한 K유아특수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발달지체 유아 중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유아들로 사전 관찰과 담임 교사와의 면담에 의해 유아 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기간은 9월 5일부터 11월 25일까지로 총 12주 동안 실시되었다. 기초선 3-7회기, 중재 단계인 동요 그림책을 이용한 활동은 5권의 동요 그림책을 각 동요 그림책 당 5차시로 나누어 매일 1회, 주 5회씩 총 25회기 지도하였고, 유지는 중재가 종료된 2주 뒤에 연속적으로 5회기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한 회기가 끝난 후에는 동요 그림책의 삽화를 이용하여 대상 유아의 자발적인 어휘 표현력에 대한 검사를 했고, 중재 중에는 유아가 표현하는 자발적인 발화 횟수를 보조 연구자와 측정 도구의 기준에 따라 회기별로 분석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요 그림책은 유아의 자발적인 발화 횟수를 증가시켰다. 동요 그림책이 5회기마다 바뀌어 제공되어서 5회기마다 자발적인 발화 횟수가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5회기를 하나로 평균을 구했을 때는 전반적으로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동요 그림책은 발달지체 유아의 자발적인 어휘 표현을 증가시켰다. 유아의 자발적인 어휘 표현은 새로운 동요 그림책을 제시 할때마다 조금씩 증가해서 전체적으로 자발적인 어휘 표현의 증가를 보였다. 셋째, 중재의 조건이 소거된 후에도 동요 그림책을 이용한 활동의 효과가 지속되었다.

      • 창작동요의 경향 분석을 통한 작곡기법 연구 : 2010~2016년 창작동요제 입상곡을 중심으로

        염경아 경성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composing techniques of song awarded Creative Children's Song Contest from 2010 to 2016, focusing on melodies, rhythm, harmony and lyrics. First, the musical features in the melody were the pitches that were sometimes seen or not used in previous agitations, such as the use of neighbouring tone or chromatic passing tone, and the use of a 6th skip and a 5th diminished interval. In addition, non-melodic elements such as narration, chuimsae(rejoinder) and rap are frequently used to add fun to the song and express the parts that can not be expressed by the notes very effectively. Also, the use of short duration, often seen in popular songs, is also seen in the creative children's song of 2010 and later. This requires a more technical technique than using the duration, such as ♩and ♪ in the previous children's song. Second, the musical features in rhythm are divided into melody and accompaniment. The melody adds to the fun of the song through frequent use of syncopation and triplets. In the accompaniment, 4 beat accompaniment patterns, swing, bossa nova, and various rhythms are used in a modified form. Third, the musical feature on harmon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use of altered chord.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change the composition, such as the use of double bars and accidental. Fourth, the musical features shown in the lyrics are a lot of realistic lyrics reflecting the modern age, unlike the previous ones, and express the lyrics with creative pitch and rhythm. Although these new musical techniques are popular, they are expressed as the intention of the composers to approach the children intimately, and it is becoming a new musical tendency of the creative children's song that appeared after the 2010. Musical techniques should be expressed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In this flow of change, the creative song composers should apply new musical techniques and contribute music with both popularity and artistry to contribute to the value of creative children's songs. 동요의 음악적 성향은 수요자인 어린이들의 생활 사고방식의 변화와 더불어 변하고 있다. 동요는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어린이들에게 보급된 이후에 지금까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왔으며, 어린이들의 동심이 표현될 수 있도록 다양한 음악적 기법을 사용하여 발전되어 왔다. 어린이들에게 희망적이면서도 밝고 명랑한 동요를 접하게 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지만 동요는 어린이들에게서 점점 멀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은 2010년 이전 동요의 다양한 경향분석 이후 관련 연구의 부재 속에 2010년 이후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어린이들에게 널리 알려진 창작동요의 작곡기법 경향분석을 통해 많은 아이들이 즐겨 부르고 들을 수 있는 창작동요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창작동요의 작곡기법 경향분석을 하는 방법에 있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채택하고자 한다. 우선 동요의 의미 분석을 통해 어린이들이 즐기는 문화 예술로서의 가치를 지니는 창작동요의 성격을 파악한다. 또한 2010년 이전의 창작동요의 변천과정 조사를 통해 그 당시에 많이 불려졌던 동요의 분석연구를 시도해 보고,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창작동요가 어떻게 변화되어졌고, 어떤 곡들이 많이 불려지게 되었는지를 선율, 리듬, 화성의 음악적 기법 및 노랫말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들을 통해 창작동요 작곡기법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창작동요가 어린이들의 동심을 자극하여 대중가요나 만화주제가와는 차별화되지만 시대가 요구하는 감각은 살릴 수 있는 어린이들의 정서와 감성을 표출하는 음악으로 발전하고 어린이들에게 지속적으로 불려짐으로써 명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율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과 기법으로는 보조음이나 반음계적 경과음을 사용한 비화성음의 사용과 이전의 동요에서 간혹 보여지던 6도 도약음정 외에도 한 마디 내에 점차적 도약음정의 사용이나 이전의 동요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감5도의 사용 등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도약음정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 비선율적인 요소인 나레이션, 추임새 및 랩과 같은 요소들이 더욱 빈번히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러한 요소들은 곡의 재미를 더하고 음표로 다 표현하지 못하는 부분을 표현 하는데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의성어나 의태어의 추임새 사용은 더욱 독특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또 흔히 대중가요에서 보여지는 짧은 음가의 사용이 2010년 이후의 창작동요에서도 보여지고 있다. 이것은 이전의 동요에서 ♩나 ♪등의 음가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욱 테크닉적인 것을 요구하게 된다. 그리고 화성으로만 쓰여지던 7음의 사용이 멜로디에 직접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이것은 선율의 새로움을 추구하기도 한다. 또 재즈적 요소인 블루음계(Blue Scale)를 사용 하기도 한다. 둘째, 리듬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과 기법으로는 멜로디와 반주의 리듬이 각각 고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멜로디의 리듬에서는 강세의 변화로 당김음의 리듬이 빈번히 사용됨을 볼 수 있다. 이것은 한 곡의 특징적인 음악적 요소로 자리 잡기도 한다. 또 셋잇단음표의 빈번한 사용이 곡의 재미를 더해주고 있는데 어린이들이 어렵게만 느끼던 셋잇단음표를 더욱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데에 도움이 되고 있다. 반주의 리듬에서는 일반적으로 4비트의 반주패턴과 스윙, 보사노바 등 다양한 리듬이 변형된 형태로도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곡의 빠르기에서도 많은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데 빠른 빠르기에서 느린 빠르기로 변화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빠른 빠르기로 변화되거나 느린 빠르기에서 시작해서 빠른 빠르기로 도입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곡의 박자에서는 가사변화에 따른 변박자나 이전의 동요에서 보여지던 서정적인 8분의 6박자 보다 왈츠풍의 빠른 8분의 6박자의 표현들도 변화된 음악기법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화성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과 기법으로는 변화화음의 사용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연결구의 증3화음이나 곡 안에서 증6화음을 사용하기도 하고 부가화음과 변성화음의 사용이나 부속화음과 부감7화음, 부반감7화음 등이 매우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화성들이 자리바꿈을 통해 반주에서 반음계적으로 진행이 됨을 알 수 있다. 조성의 변화도 새로운 음악적 기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겹세로줄을 사용하여 조표의 변화로 표현하기도 하고 조표의 사용 없이 임시표의 사용으로 조성이 변화됨을 알 수 있다. 넷째, 현대 창작동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노랫말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으로는 현 시대상을 반영한 사실적인 노랫말이 상당수였고 또 그러한 노랫말을 선율에서 창의적인 리듬과 음정으로 표현하거나 다양한 음악적 기법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음악적 기법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어 표현되어야한다. 이런 변화의 흐름속에서 창작동요 작곡가들은 새로운 음악적 기법을 적용하고, 대중성과 예술성이 겸비된 음악을 보급하여 창작동요의 가치 상승에 이바지해야 할 것이다.

      • 동요 화가투놀이가 유아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아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동요화가투놀이가 만5세 유아들의 읽기 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언어교육 방법으로서 동요화가투놀이의 활용 가능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동요화가투놀이가 유아들의 읽기능력(시각변별, 문자지각, 의미이해)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만5세 실험집단 및 비교집단 각 20명씩 총 40명이고, 동요화가투놀이 실시 여부에 따른 유아들의 읽기능력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험집단에는 동요화가투놀이를, 비교집단에는 동요게시물을 이용한 활동을 15주간 주 1회씩 총 15회 실시하였으며 유아들의 읽기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혜정(1988)이 취학 전 유아의 문자지도에 관한 연구에서 개발한 읽기 검사(가형)의 문항을 공혜미(2005)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읽기능력에 대한 사전검사 결과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이 동질 집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험 처치 후 동요화가투놀이가 유아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동요화가투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동요게시물을 활용한 활동을 실시한 집단보다 유아의 전체 읽기능력검사 점수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읽기능력검사의 하위요인 중 ‘문자지각’, ‘의미이해(낱말이해, 문장이해)’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동요화가투놀이는 유아의 읽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읽기능력 향상에 의미 있는 교육방법의 하나로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