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돈황 도안문양의 예술 가치와 네일아트 디자인

        차이신신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6

        돈황 도안문양 예술 가치와 네일아트 디자인 돈황 막고굴은 오랜 역사와 찬란한 문화를 가지고 있었으며 2014년에 실크로드 국제문화엑스포가 열리면서 패션, 뷰티, 예술영역에서 문화예술이나 디자인관련 제품 등을 전시하여 돈황 예술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졌다. 돈황 예술의 새로운 가치나 영향력 등이 세계의 이목을 집중되고 있으며 또한 미용 산업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뷰티디자인의 조형예술에 관한 관심이 높아져 네일아트분야에서는 새로운 디자인 개발의 일환으로 전통문양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돈황 도안문양에 대하여 문헌, 연구자료 등 이론적 고찰을 통해 학문적 체계화와 돈황 도안문양의 예술 가치 연구 및 돈황 도안문양을 모티브로 활용한 네일아트 디자인을 개발하여 작품을 제작하여 제시함으로써 디자인 개발의 새로운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첫째, 돈황 도안문양의 시대별 분류는 돈황 초기는 북방 유목민족과 진한시기의 미학이념의 영향을 받아 문양은 간결하고 선명하며 종교의 장엄함이 있었으며 돈황 중기는 수나라시기에 돈황 도안문양의 과도기로서 기간이 짧지만 도안문양의 종류, 형식, 내용 등이 풍부하였으며 앞, 뒤시기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였다. 당나라는 도안문양의 조형, 형식, 색채 등이 전성기를 이루었으며 문양이 다양하고 정교하여 화려함의 특징이었고 돈황 말기는 도안문양은 쇠퇴시기로 신구사물을 융합하고 갱신하여 새로운 도안문양이 나타났다. 둘째, 석굴의 외형과 내부 배치에 따라 장식문양이 달라지고 있었으며 위치별과 소재별에 따른 조정(藻井) 도안문양, 테두리 장식(边饰) 도안문양, 감실 문미(龛楣) 도안문양, 화개(华盖) 도안문양, 헤링본(人字坡)과 평기(平棋) 도안문양, 후광(背光) 도안문양, 카펫(地毯) 도안문양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돈황 도안문양의 형태적 분류는 5가지로 도출되었으며 식물문양, 동물문양, 인물문양, 자연물문양, 기하문양 등으로 구분되었다. 넷째, 돈황 도안문양의 상징별 분류는 8가지로 도출되었으며, 자연현상(自然现象), 길상벽사(吉祥辟邪), 수복장수(寿福长寿), 부귀유여(富贵有余), 부부화합(夫妇和合), 다산기자(多产祈子) 등으로 구분되었고 돈황 예술은 불교, 유교, 도교의 종합 사상을 표현하였으며 중국 전통 문화 사상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돈황 도안문양의 가치 표현에 있어서 예술적 가치, 심미가치, 문화적 가치 및 경제가치 등의 네 가지를 분석하여 돈황 도안문양 전통적인 예술적 표현 형식을 부각시켜 전통 문화의 역사적 가치와 경제 가치를 더 높여주었다. 여섯째, 돈황 도안문양을 모티브로 네일아트 디자인은 핸드페인팅, 스톤아트, 그라데이션 등의 표현기법과 돈황 도안문양 예술 가치 균형, 대칭, 통일 및 변화 등 예술기법을 이용하여 네일아트의 디자인을 개발하여 12가지의 작품을 제작하여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돈황 도안문양의 분류와 예술 가치를 학문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돈황 도안문양을 뷰티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였으며 활용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뷰티디자인의 조형예술로써 네일아트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미용분야에서 다양한 뷰티디자인의 개발 시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에 활용될 가능성이 확대되어지기를 기대한다.

      • 중국 청조시대 만주족의 가구장식 도안에 관한 연구

        주가혜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4

        Chinese Manchu furniture, known for its carvings and decorative motifs as well as its rich ethnic cultural connotations, reached its peak during the Qing dynasty. This style of furniture is one that can be a source of inspiration for modern Chinese furniture design. This study establishes a database of the motifs and carvings used in Qing dynasty Manchu furniture and provides an analysis and summa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modernization of Manchu Qing dynasty furniture is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rrent furniture market, and practical applications are suggested to make it more in line with market demand. This study also conducted survey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novative design and decorative patterns on participants’ perceptual evaluation of the furniture.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subjective evalu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subject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ifferent methods and degree of feeling of innovation of the decorative patterns. The effects of decorative design innovation on participants’ perceptual evaluation were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ive evaluation. Through subjective evaluation,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methods of decorative design innovation were summarized. This study used inductive and analytical methods in its overall framework construction and adopted different methods depending on the specific research content. In the pattern collection and gallery building section, the main methods adopted were literature review, fieldwork, and surveys. In the section of pattern categorization and analysis, methods including induction, comparative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wereused. In the pattern refinement research and modern application exploration sections, the methods used were case study, questionnaire, and statistical analysis. In the analysis of visual perceptual characteristic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factors influencing visual perceptio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visual perception of decorative patterns, as well as to discover the psychological effects produced by all changes in points, lines, surfaces, and shapes in patterns. To discover the psychological effects produced by changes in points, lines, surfaces, and shapes in patterns, factors influencing visual perceptio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visual perception of decorative patterns were studied.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following three design features: variations in complexity, area ratio, and curvature of lines. Subjective evaluation methods were used to study the impact of each type of furniture pattern variation on human perception and to draw conclusions.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reflected in the following two aspects:  1. A database of Manchu furniture decorative patterns was established,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statistical methods such as ANOVA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verse types of patterns on visual perception, and a systematic analysis of decorative pattern themes and their characteristics was conducted. Through these methods, a reference for the furthe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se motifs in modern Chinese furniture is provided. In addition, line drawings of the collected Manchu decorative motifs were processed to provide a useful source of material for CNC carving. 2.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pplication rules of modern Chinese furniture carving and decorative patterns, principles of modern application of Manchu furniture decorative patterns are proposed for refinement. The proposals are the following: direct reference of traditional patterns, variant reorganization, and general refinement. The specific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is also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actual cases to provide theoretical reference and guidance for the modernized application of the decorative patterns Qing dynasty Manchu furniture to modern styles. 중국 만주족 가구는 청대에 전성기를 구가했으며 가구의 조각 장식 도안은 만주족 풍부한 민족문화의 함축된 의미를 구현하였고, 이는 현대 중국식 가구 디자인이 받아들이고 참고할 수 있는 원천이다. 본문은 청대 만주족 가구 장식 도안의 수집과 정리 및 분류를 통해 도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도안의 소재와 조각 장식 부위 사이의 관계를 분석 및 정리하였다. 시장과 실제의 관점에서 만주족의 청대 가구 현대화 활용을 연구하여 시장의 수요에 더욱 부합되도록 하였다. 또한 객관적 평가 측면에서 장식 도안의 혁신적인 디자인을 연구하여 피경험자의 지각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피경험자의 주관 평가를 통해 정량 및 정성 분석을 진행하여 피경험자가 다른 장식 도안의 혁신 방법과 지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전체적인 틀에서 귀납법과 분석법을 적용하고 구체적인 연구 내용에 따라 각각 다른 방법을 채택하였다. 도안 수집과 도안 데이터베이스 구축 부분에서는 문헌 자료 열람, 현지 답사 및 조사 등의 방법을 채택하였고 도안 데이터베이스 분류와 분석 부분에서는 귀납법, 비교분석과 분산분석을 적용하였으며, 도안 추출연구와 현대 응용 부분에서는 사례 분석, 설문 조사, 통계학 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시각적 지각 특징 분석에 있어서 시각적 지각 영향 요소와 장식 도안이 시각적 지각에 미치는 영향 요소를 연구하고, 도안 속의 모든 점, 선, 면과 형상의 변화가 일으키는 심리적 효과를 발견하였다. 세 가지 측면에서 혁신적인 연구(복잡성 변화, 면적비율 변화, 라인 곡률 변화)를 진행하고, 실험대상자의 주관적 평가 방법을 통해 가구별 장식도안의 변화방법이 사람에게 미치는 시각적 지각 영향을 연구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측면에서 나타났다. 1. 만주족 가구장식 도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설문지를 설정하여 분산분석, 통계분석 등 통계학 방법을 통해 위치에 따른 도안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고 장식 도안 소재의 실용성 및 장식 위치의 변화 법칙과 특징을 체계적으로 분석 정리하였다. 현대 중국식 가구에 도안의 추가 개발과 적용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수집한 만주족 장식 도안을 선묘 처리해 CNC조각에 좋은 소재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였다. 2. 현대 중국식 가구 조각 장식 도안의 응용 법칙을 분석하여 만주족 가구 장식 도안의 현대화 응용 추출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각각 전통 도안의 직접 인용 및 재구성을 추출하였으며 실제 사례 분석 원칙의 구체적인 응용을 결합하여 청대 만주족 가구 장식 도안의 현대화 응용에 이론적 참고와 지침을 제공하였다.

      • 조선 및 근대 공예의 제작기준, 견양(見樣)

        이수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1

        조선왕실은 의례나 이념적 규범에 따라 견양(見樣)을 참작하여 국가의 관리를 받으면서 왕실공예품을 제작하였다. 근대 도안이 등장하기 이전의 공예품 도안은‘견양(見樣)’이라 하여 입체 모형을 만들거나 혹은 그림을 그려두고 제작하는 방식이 동아시아 전반에서 애용되었다. 조선시대 관요에서는 견본용 도자기를 ‘견양’이라 하여 미리 견본을 만든 뒤에 이를 기준 삼아 제작하였다. 전통사회 공예의 형식 설계 기능을 가진 견양은 국가의 중요한 의례나 국가적 위의를 표상하는데 적극적으로 적용되었으며 국가의 공예제작 기술 통제를 통한 전통사회의 설계도 기능을 지닌 중요한 제작기준이 된다. 견양은 무형유산학의 기술문화적 측면에서 시대의 이념이 함유된 제작규범과 제작기준의 역할을 지니므로 무형유산에 포함되는 중요한 핵심적 요소라고 판단된다. 조선과 근대전환기 공예의 제작체제 맥락을 읽고 제작의 실상을 고증하는데 있어 견양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조선 왕실에서는 예치(禮治)를 실천하는 오례의식의 의전이 뒷날 변형되는 것을 막고자 예서(禮書)를 간행하였고 왕실공예품은 이에 의거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시대에 따른 양식적인 변모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조선전기와 후기에는 국가 공예관의 이념적 배경이 되는 예서가 간행되었는데 이를 토대로 각 시기에 제작된 왕실 공예품들은 형태와 문양 및 재료상에서 변화가 수반되었다. 즉 조선왕실의 오례의식은 1474년(성종 5년)에 간행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편찬하면서 제도적으로 완비되었고, 이는 1471년(성종 2년)에 법제적인 측면에서 왕조의 기틀을 세운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과 그 맥락을 같이 하였다. 이후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예제(禮制)가 흐트러지고 의전(儀典)체제가 문란해지자 영조는 이를 바로잡아 현실에 맞도록 고칠 목적으로 1744년(영조 20년)에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를 편찬하였다. 이는 『경국대전』 이후의 각종 법제를 찬집하여 1746년(영조 22년)에 편찬한 『속대전(續大典)』과 그 취지상 맥락을 같이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조선전기의 왕실 공예품에 대한 연구는 『국조오례의』를 전거로 삼았고, 조선후기의 왕실 공예품은 『국조속오례의』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이처럼 두 예서는 왕실의 의례를 국가적인 행사로 치루기 위해 편찬된 책으로서 국가 공예관의 이념적인 항상성(恒常性)을 유지하는 예제였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상설아문(常設衙門)과 권설도감(權設都監)은 왕실행사의 규모에 따라 그 임무를 수행하였다. 국가적인 총력을 기울여 치루는 오례는 대규모 행사였기 때문에 상설아문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었으므로 의식이 있을 때마다 권설도감을 개설하였다. 권설도감은 조정이 가능한 인력과 물력을 총동원하는 임시 관청체제로서 조선전기에는 국가의 통치기반을 공고히 하고 외침에 대비하고자 신도시를 건설하거나 무기를 만들기 위한 도감으로 빈번하게 설치되었으며, 점차 사회가 안정되면서 조선후기에는 궁궐의 영건이나 왕실의 위의를 주로 드러내는 오례 관련 도감으로 개설되었다. 오례를 성공적으로 치루기 위해 왕실 공예품의 안정된 공급이 반드시 필요했고 이를 위해 권설도감은 상설아문의 협조 아래 관리조직을 재편하고 제작장인들을 동원해야 했다. 그리고 공예품을 법식(法式)에 맞게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감조관의 기록형 견양과 화원의 기화(起畫)를 도설화(圖說化)한 것을 평면형 도화체제 견양으로 참작하였고, 이를 토대로 경공장이 실물대 혹은 축소형태의 입체형 견양(見樣)을 만든 후 외공장이나 사장(私匠)들이 대량제작하는 수급체제를 취하였다. 이렇게 분업화된 제작과정은 오례의식용 공예품은 물론 무기나 갑옷 등 군수용을 비롯하여 사대용 방물을 만들 때에도 적용되었다. 도감의 관리조직을 보면 명목상 책임자는 도제조 1-2인과 제조 3-5인이었으며, 실질적인 운영책임자는 도청 2-6인, 낭청 6-7인, 감조관 6인 등이었고 이들이 견양의 실질적인 제작기획자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견양의 의미로 중국 청대 도양(圖樣)이라 표현한 기록은 명·청실록에서 확인된다. 양(樣)의 표현은 견양적 의미로 고려사와 조선시대 견양 기록에서도 확인된다. 모양, 형태의 의미를 지니는 양(樣)의 표현은 중국 고대부터 견양의 의미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1370년 고려사 기록을 보면, 공민왕 19년에 명나라 태조가 신하들의 제사를 방조할 때 쓰는 관복을 중국 관리들의 9등급에서 왕국(王國) 7등급의 복장을 선사하였다. 그 안에는 복장 견본인 견양(樣) 한 벌과 술 견본(綬樣) 세 벌분이 포함되어 있었다. 조선시대 관요에서는 견본용 도자기를‘견양’이라 하여 미리 견본을 만든 뒤에 이를 기준 삼아 제작하였다. 세종 연간에 제작된 <백자‘見樣’명발편>은 견양도자의 실례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세한 품질기준, 형식의 정형화, 엄격성이 중시된 왕실 공예품은 견양 형태로 치수와 양식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제작기준을 제시하고 국가주도 관영 수공업 체제에서 공예품이 제작되었다. 무엇보다 가치 높은 기술이나 쓰임의 중요도에 따라 기술 통제가 상대적으로 엄격했다. 경공장의 공예 제작에는 총감독의 역할을 하는 감조관과 견양을 통해 엄격한 기술통제와 제작기준을 시행했다. 분업화된 과정을 통해서 제작되는 왕실 공예품은 오례의식이 반복될 때마다 예서에서 선례를 상고하였으며 화원들은 도설에 따라 기화하는 작업에 주로 참여하였다. 공예품의 제작기준인 견양을 통한 기술의 규제가 왕실의 면모와 위의를 드러내고 바로 세우는데 중요하게 인식되었던 증거라고 할 수 있겠다. 감조관은 경공장의 제작과정 전반을 감독하였고, 맡겨진 분야의 업무에 상당 수준의 기술과 이해를 지녀야 했다. 왕실 기물의 특별한 품격과 형식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견양을 통해 통제를 제도화한 이유였다. 근대 이후 점차 공예기술이 통합되고 미분화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근대전환기 장인의 수가 줄어들고 비어있는 기술의 결손은 남은 장인이 통합하여 제작해야 했다. 견양이 제작기준이 되어 기술을 통제하고 협업 분업화되었던 조선왕조의 공예 제작체제가 근대전환기에 유기적으로 변모되었던 것이다. 공예기술문화로서 무형유산의 제작기준이 되는 견양은 메이지기 노우토미 가이지로(納富介次郞)가 1873년(明治 6) 빈 만국박람회 참가를 위해 디자인의 역어로 고안된 근대도안으로 이행된다. 근대전환기 황실공예품의 견양은 조선의 전통을 계승하며 공예의 제작에서 형태와 의장, 표상의 체계화, 표준화, 균일화를 위한 제작기준으로 작용했다. 견양은 국가의 기술 통제를 드러낸 중요한 단서가 된다. 도안의 탄생은 공예가의 손을 떠나 기계로 옮아간 제작 시스템의 전환에 따른 결과였다. 견양에서 도안으로 이행되면서 국가주의 디자인의 목적성과 함께 산업디자인의 시원으로 상업화에 중점적으로 쓰이게 된다. 도안과 디자인의 흐름에서는 작가 개인의 조형성을 담아낼 수 있는 다양한 의사소통의 창구가 반영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근대이전 공예의 설계도 역할을 하는 견양은 근대이후 도안과 오늘날 디자인, 프로토타입 시제품, 견본품으로 그 흐름의 맥락을 이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근대와 근대를 가름하는 기준이 되는 근대도안은 조선 및 근대전환기 왕실 공예품의 제작기준과 제작시스템의 패러다임 변화 맥락을 읽어내고 공예 제작의 실상을 고증하는데 논문의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을 통해 조선시대와 근대에 이르까지 ‘견양’의 흐름과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문헌사료를 제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견양 연구를 위한 중요한 토대를 마련하였고 무형유산, 공예디자인 연구에 보탬이 되길 기대해 본다. In Joseon Dynasty, royal craftwork was produced under the national management, referring to Gyeon-yang(見樣) in accordance with ritual procedures or ideological norms. Before the introduction of modern design, the craftwork for royal families was produced based on Gyeon-yang, a three-dimensional model or a drawing made in advance of producing real craftwork, which was a way widely used to manufacture craftwork across the East Asia. In kilns operated by governmental offices in Joseon Dynasty, a sample pottery called ‘Gyeon-yang’was made in advance and then actual ceramics was produced based on that. Gyeon-yang had a function of a formal design of traditional crafts and was actively applied to performing important national rituals or representing national dignity as an important production standard with a function of blueprint in the traditional society through national control of crafts production technology. Since Gyeon-yang had roles of production norms and the production standard with ideas of the times in aspect of technological culture in intangible heritage studies, it is judged that it can be included in intangible heritage as a core factor. This study focuses on Gyeon-yang, reflecting national political indicators and ruling ideas, which has been partially mentioned, but not studied independently. Gyeon-yang acted as the production standard for form, design, systematization of representation, standardization, and uniformalization of crafts production in manufacturing crafts and it kept in with the concept of modern design. Hence, it is important to study Gyeon-yang in order to read the context of the crafts production system in Joseon dynasty and modernizing period and ascertain realities of production in that time. The Five Rituals (Oryeui) system in Joseon dynasty was completely equipped institutionally with publishing 『Gukjooryeui(國朝五禮儀)』 in the 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gjong (1474), which shares the context of 『Gyeonggukdaejeon(經國大典)』 published in the 2nd year of the reign of the King Seongjong (1471) to tighten discipline of Joseon dynasty in aspect of legislative system. However, as the ritual system(禮制) and the protocol(儀典) system were in disorder after Japanese invasions of Korea and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the King Yeongjo ordered to publish 『Gukjosokoryeui(國朝續五禮儀)』 aming to correct them so as to correspond to realities and, eventually, it was published in the 20th year of the reign of the King Yeongjo (1744). It was to the same effect as 『Sokdaejeon(續大典)』, compiled from all kinds of laws published after 『Gyeonggukdaejeon』, in the 22nd year of the reign of the King Yeongjo (1746). Therefore, the studies on royal craftwork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that in its late period are based on 『Gukjooryeui』 and 『Gukjosokoryeui』 respectively. Two books of rituals were published to hold royal rites and ceremonies as national events and to maintain ideological constancy(恒常性) of national standpoint on crafts. To this end, based on these books, Sangselamun(常設衙門) and Gwonseoldogam(權設都監) as governmental offices in charge fulfilled their duties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royal events. Since the scale of the Five Rituals was too big for Sangseolamun to handle them on its own, Dogam was often established and operated temporarily to support it. To hold the Five Rituals successfully, it was necessary to supply royal crafts stably. For this, Gwonseoldogam had to reorganize the management organization under the cooperation of Sangseolamun and gather craftsmen. And crafts had to be made in accordance with rules and formalities(法式), so craftsmen belonging to central government offices(京工匠) made full-sized or downsized solid-shaped Gyeon-yang(見樣), referring to Gyeon-yang of a two dimensional drawing system illustrated from Gyeon-yang recorded by supervisors and Gihwa(起畫) drawn with inking lines by court painter(畫員). And then, craftsmen in local government offices(外工匠) and in private sector(私匠) mass-produced actual crafts. This is the production system of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royal crafts were produced on the basis of Gyeon-yang as the production standard, placing emphasis on exquisite quality standard, standardization of form, and rigidness. Technology of crafts used for the Five Rituals as well as military necessities such as weapons or armors and items for tribute was relatively strictly controlled by govern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high-valued technology or its importance. In producing cratfs by craftsmen in central government offices, the strict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the production standard were implemented by Gyeon-yang and supervisors who served as general managers. In kilns operated by governmental offices in Joseon Dynasty, a sample pottery called ‘Gyeon-yang’ was made in advance, and then based on it, craftsmen made ceramics actually. <White Porcelain‘Gyeon-yang(見樣)’Named Vol.>, a fragment of white ceramic bowl inscribed with letters of‘見樣’, produced in the reign of the King Sejong can be an actual example of Gyeon-yang pottery. Gyeon-yang, the production standard of intangible heritage as technological culture of crafts, was shifted to modern design, a word translated from Gyeon-yang by Noutomi Gaijiro(納富介次郞) in the period of Meiji(明治), in order to participate in World’s Fair held in Vienna in the 6th year of Meiji(1873). In turning point of modern ages, Gyeon-yang for royal crafts inherited the tradition of Joseon and served as the production standard for form, design, systematization of representation, standardization, and uniformalization of crafts production. It becomes an important clue to unveil the management of technology by the state. The birth of modern design was resulted from the change of production system, replacing the hands of craftsmen with machines. It is judged that the biggest difference in shifting from Gyeon-yang to modern design is to reflect various communications and to be used for commercialization as the origin of industrial design along with the purpose of nationalistic design. In this point, it can be found that Gyeon-yang, which functioned as a blueprint of crafts in pre-modern times, has led to modern design, today’s design, a prototype for trial product, and a sample. This thesis is significant in the sense of reading the context of paradigm change of the royal crafts production standard and the production system in Joseon dynasty and modernizing period and ascertaining its true picture of crafts production through modern design that is the standard differentiating pre-modern times from modern times. The process to transfer to Gyeon-yang and modern design aimed at public interest of humankind and local communities based on crafts technology, which is thought to be the ultimate direction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go forward. This thesis suggested and analyzed literature materials to examine the stream and characteristics of‘Gyeon-yang’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and modern times. It also provided an important foothold to study further on Gyeon-yang in the future and I hope to be helpful to study on intangible heritage and crafts design. keywords : Joseon Dynasty, Crafts for royal families, Gyeon-yang(見樣), Governmental Craftsmen(京工匠), Court Painter(畫員), Gihwa(起畫), Illustration,『Gukjooryeui(國朝五禮儀)』, 『Gukjosokoryeui(國朝續五禮儀)』,『Gyeonggukdaejeon(經國大典)』, 『Gwonseoldogamuigwe(權設都監儀軌)』, Modern times, Crafts desig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ublic interest, Prototype

      • 색칠하기 도안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주간 보호시설 이용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차수경 동국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774

        국문초록 색칠하기 도안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주간 보호시설 이용 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색칠하기 도안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색칠하기 도안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색칠하기 도안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G군 소재의 재가노인복지센터에서 주간보호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장기요양 3~5등급 대상을 집단으로 하였다. 연구의 기간은 2019년 2월 12일부터 9월 24일이며, 주 1회 매 회기에 걸쳐 50분~70분간 총 24회기를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활동에 참여 의사가 있고, 활동이 가능한 70대~80대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7명과 통제집단 7명으로 실험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Folstein(1975)이 쉽고 간편하게 기질성 정신장애와 기능성 정신장애를 구별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강연욱 등(1997)이 원본 그대로 번안한 한국판 간이정신상태평가(K-MMSE : Korean Mini-Mental Status Examnination)를 사용하였고, Yesavage(1983)와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노인우울척도(GDS)를 정인과 곽동일・조숙행・이현수 등(1998)이 국내에 맞게 표준화한 한국형 우울검사(KGDS: Korea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for Win 2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정을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K-MMSE와 KGDS 점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위하여 맨 위트니 U 검정(Mann-Whitney U)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는 Cronbach alpha를 사용하였다. 또한 색칠하기 도안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후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본 결과 실험집단 인지기능의 하위영역에서 지남력(시간) (z=-1.134, p>.05), 지남력(공간) (z=-2.121, p<.05), 기억등록 (z=-1.414, p>.05), 주의집중 및 계산(z=-1.000, p>.05), 기억회상(z=-1.000, p>.05), 언어 및 시공간 구성(z=-1.000, p>.05)에 있어 사전・사후 검사에서 평균 점수는 높아졌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지기능 전체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z=-2.214, p<.05). 반면 통제집단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여 색칠하기 도안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의 인지기능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후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본 결과 실험집단 우울의 하위영역에서 무력감(z=-2.041, p<.05)과 불행감(z=-2.392, p<.05), 인지적 저하, 활동 감소(z=-2.379, p<.05)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하지만 근심․걱정, 초조감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z=-1.807, p>.05)(z=-2.392, p<.05). 우울 전체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z=-2.371 p<.05). 반면 통제집단은 오히려 유의미하게 증가하여 색칠하기 도안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의 우울 감소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색칠하기 도안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하여 유지 및 향상에 도움을 주고 우울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유용한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 道安의 「衆經目錄」 복원에 대한 연구 : - 『出三藏記集』에 근거하여 -

        원수영 동국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759

        불교의 중국전래 후 수많은 경전의 한역이 오래시간 진행되어 대장경이라는 유래없는 불교성전이 완성되었다. 이 방대한 불교성전에 의지해 대승불교, 중국불교가 전개되었다. 하지만 인도불교의 전개과정과 별개로 전래된 불교경전은 그 선후관계나 역경승 등이 분명치 않아 초기 중국불교 시대에 많은 혼란이 있었다. 이러한 경전의 홍수 속에 先學의 卓見으로 지도와 같은 안내서 즉 경록을 편찬한 이들이 있었다. 현존하는 最古의 경록은 양나라 승우의 出三藏記集인데, 이는 그때까지의 경록을 이어서 찬술한 것으로 특히 도안의 綜理衆經目錄을 포함하면서 승우 자신의 찬술을 더하고 있다. 동진의 도안은 격의적 해석을 벗어나 불교 그 자체로 받아들이려 노력한 인물로 많은 경전의 주석을 짓는 한편 당시까지의 한역경전을 정리하여 경록으로 엮었으며, 구마라집을 초빙하도록 부견에게 간한 인물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도안록, 즉 綜理衆經目錄의 원형에 관한 연구이다. 출삼장기집은 도안록을 거의 대부분 전승하고 있어서 주 텍스트가 된다. 그 외에 역대삼보기, 중경목록 등의 경록과 남겨진 도안의 저서, 고승전, 역사서 등을 참조할 것이다. 출삼장기집의 名錄, 經序, 列傳에 의거하여 도안록의 원형을 복원해 보고자 한다. 이로서 갖추어진 경록의 최초의 모습을 되찾고 아울러 초기 중국불교시대의 모습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 동진시대 이전의 불교에 관해 전하는 중국 문헌은 거의 없으므로 초기 중국불교에 관한 연구 또한 쉽지 않다. ‘도안목록의 복원’이라는 본 논문의 시도는 초기 중국불교의 모습을 가늠해 보는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In this thesis, I intend to restore Dao’an’s scripture list which is preserved in 『出三藏記集 Chu sanzang jìjí』. First, through the inflow of Buddhist scriptures into China and the history of translation into Chinese, it was confirmed that the scripture list was the product of the efforts to preserve Buddhist scriptures in times of chaos in war and development of Chinese catalogue. Subsequently, I review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main text 『出三藏記集 Chu sanzang jìjí』 and then I deduced and classified the composition of Dao’an’s list in accordance with lists of names, prefaces, biographies, etc. With this restoration of Dao’an’s list, the biography of Si Dao’an, the name of Dao’an’s list, and the age of compilation were included in one chapter, an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restoration of Dao’an’s list was examined in three aspects: the translation of Former Qin era, the retranslation and the appearance of editorial scriptures, the rendering of the Vinaya Pitaka and the Buddhist Order. Records of the state-run translation place were found after the arrival of Kumārajīva, but it has already been confirmed that there was a some place that would be the prototype of the design of the Former Qin era. Through the preface of the scriptures, which were translated at the time, it was not clear whether they’re stationed, but it was sure that when requested they shared the roles of transla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is period was that it preferred simple sentences that prioritized the delivery of content, and an editorial scripture was introduced to meet this purpose. These scriptures were thought to be the same as the original even if they were not fully aligned with the Buddha’s scriptures. Finally, the period when Dao’an’s list was established was when none of the six complete version of Vinaya Pitaka were translated. Although we can’t figure out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Buddhist Sangha but there were some parts that were translated or edited of vinaya texts. The preface showed that the Ten Songs Vinaya were introduced after Dao’an's compilation and Dao’an established the Sangha Code and the Charter. Thus, it can be interpreted that Dao’an attempted to localize of the vinaya to the platform he was leading.

      • 점자 교과서의 촉도안 오류 분석

        홍종원 공주대학교 1993 국내석사

        RANK : 24772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at how many graphics have been cnverted into tactile ones in bralle textbooks and how much the errors in tactile graphics have been happend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1. 80%(134 graphics) of the graphics in arithmatic and 20%(24 graphics) in nature have been transcribed into tactile ones.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36%(12 graphics) in arithmetics and 22%(22 graphics) in nature could be converted into tactile ones by giving some adaptation. 2. A number of tactile graphics visually different from original ones have been found, such as notch marks on watches, fractional divisions, lengths of squares, and so on. 3. Some graphics, though visually well-converted, are difficult to understand through finger-reading. The graphics with problems are knotty graphics, grapics of which visual information were damaged, and graphics in which show very small difference of dimension, size, angle. Accordingly, this research shows that tactile graphics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psychological property of finger-reading, that not only bralle transcribers but also teachers, subject-specialists and tactile-psychologists should take part in the process of transcribing for the better ones.

      • 近代 日本陶器會社 輸出陶磁 硏究 : 輸出陶磁에 보이는 圖案을 중심으로

        서유정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710

        일본에 있어 근대란 일반적으로 明治時代에서 昭和前期 즉 제2차 세계대전 시작 전까지의 70여년에 해당하는 시기를 말한다. 明治維新을 轉機로 들어선 明治 新政府의 과감한 개혁은 정치&#8228;경제&#8228;사회제도의 급격한 변화뿐만이 아니라 문화 부문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요업계는 江戶幕府까지의 근세와는 전혀 다른 양상을 띠며 전개되어간다. 기존 체제의 붕괴와 新政府에 의한 개혁의 물결은 일본의 수출도자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켰으며 공예미술품의 시점에서 이제는 경제적 가치를 지닌 산업품 더 나아가서는 새로운 대량생산체제의 공업도자로까지 인식을 확대시켜 나간다. 따라서 일본의 近代輸出陶磁史 연구의 이러한 달라진 양상을 반영한 연구가 필요하다. Modern era in Japan generally refers to a period of time from the Meiji period to the early Showa period before the Second World War began. The Meiji Restoration led to enormous changes in Japan'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 and also influenced the Japanese culture including pottery industries. Especially the Japanese export porcelains began to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existing ones under the collapse of the feudal society and the reforms of the new Meiji government; the value of the export porcelains were recognized not only as works of art but also as commercial products, and further understood as industrial products of mass production system. Accordingly the study focusing on the changes in the Japanese export porcelains in modern era has a significance.

      • 유로화(€)도안을 모티브로 한 퍼머넌트 웨이브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김상명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63

        Hair design does cover the desire for beauty of human being and has a role as the symbol of culture representation reflecting the periodical spirits. The currency also is a medium with high social symbol representing a country and a standard for nation's wealth. Therefore, the currency design is a motif of the country's symbol, and the various cultural differences and characters can be observed. Especially, the Euro currency(€) does represent not a country but the European union, and it has a great meaning thanks to the currency design with motif of European periodical symbol. This study does analyze the permanent wave design as a new pattern according to the various hair lengths with motif of Euro currency(€) design. The permanent wave design is able to easily give the different display on the same hair, whereas it is also able to make the various changes and new hair styles. This study will suggest the new sight for hair design thought through wave design research with motif of Euro currency(€) design and provide with the helpful data for display of the various hair styles. Additionally, this study hopefully will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design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beauty area including hair design.

      • 한국 교표 디자인의 역사와 문화적 변용 연구 : 일제강점기 개교한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정선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5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의 상징체계로서 한국 교표 디자인의 역사와 그 문화적 변용방식 및 과정을 살펴보는데 있다. 교표는 학교의 교육철학을 담고, 한 학교를 다른 학교와 구분시켜주며, 더 세부적으로는 그 학교를 다니는 학생의 소속감과 정체성이 시각화된 결과물이다. 한국사회에서 교표의 형식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익숙한 시각형식으로 자리잡게 되었는지 그 기원을 살피기 위해 근대 조선에서 상징이 사용된 모습을 살펴보고, 상징문화가 발현되는 대한제국시기부터 이것이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교표도안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이를 통해 형성된 시각형식이 해방 이후의 교육현장과 사회에서 재생산되는 사례를 살펴보았다. 교표는 대한제국시기에 이르러 국가상징물의 제정을 통해 생성된 시각적 상징형식이 교육현장에 유입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교표의 발생은 국가의 근대화라는 맥락에서 자연스러운 것이었으나, 일제강점기 교육현장에서 황국신민화를 추구하며 식민지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통제하기 위한 일상적 매개체로 기능했다. 대표적 항일운동이었던 1919년 3.1운동을 기점으로 교복은 제복형식으로 바뀌었고, 잇따라 1929년 광주학생운동 이후 교표가 제정되어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제정된 교표는 일본식 도형형식을 차용하고 있거나 일본 제국주의를 표방하는 도상을 다수 사용하였다. 이는 교복의 형식과 교표의 착용이 단순히 의복생활의 문제가 아니라 식민지의 학생을 통제하고 식별하며, 일본의 감각을 내면화하도록 의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일제가 전시체제에 돌입하게 되자 학교의 교표는 위와 같은 형상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이전에도 조선의 시각형식은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지만, 교표의 경우 교표개정령이 시행된 1937년을 기점으로 조선과 대한제국 황실을 상징하는 도상은 철저히 사용이 금지되어 삭제당하거나 일본식 도상과 일본제국을 위한 도상으로 대체되었다. 한편, 이 시기에 민족주의 교육자들 및 학생들은 금지된 민족적 상징을 교묘히 드러내거나 진짜 의미는 은폐하는 방식으로 대처하였다. 이렇게 교표는 식민지라는 특수한 배경에서 통치집단과 피지배집단이 의미와 형식을 가지고 충돌하는 사물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독자적인 상징형식이 형성되어있지 않은 조선에서 교표도안의 모티프는 민족적이고 자주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었을지라도 형식의 측면에서는 일본의 전통 도안양식을 받아들였거나 군국주의의 맥락에서 사용되었던 도상들을 고스란히 취하고 있었다. 교표가 탄생하고 이것이 학생들의 일상적 사물로 인식되면서, 위와 같은 교표도안의 형식은 한국 교표의 전형적인 스타일로 자리잡게 되었다. 해방 이후에도 일본식 시각형식의 영향은 학교와 지자체 및 기업들의 상징에 반복되어 관찰되었다. 교표는 학교가 설립되면 으레 갖추는 것이었지만 이것의 시각형식은 학교만의 교육철학이 드러나는 것이라기보다는 익숙한 형식의 답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친숙해진 일본 시각문화의 영향은 해방 이후 지자체와 기업마크의 사례에서도 기원을 알 수 없는 반복적인 형상으로서 관찰되었다. 교표를 중심으로 살펴본 일제강점기와 그 이후의 시각문화는 의미와 시각형식이 쉽게 일치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새로운 문화가 그 형식을 갖추는데 있어서, 문화적·역사적인 단절을 경험하는 것이 어떠한 과정을 거치고 어떠한 결과를 가져다 주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더불어 현재 역사적인 토대 위에서 한국의 주체적 시각문화를 구축할 방향성과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도 고민해보아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