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재생을 위한 근대건축물의 공간적 재생 특성에 관한 연구

        이장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근대건축물의 보존 및 재활용의 의미를 되새기고 도시맥락으로 근대건축물의 가치와 도시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연구이다. 급격한 도시의 물리적 성장으로 인한, 도심 확장, 무분별한 신도시 재개발로 인한 구 도심 쇠퇴, 산업화로 인한 환경문제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사회 문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도시는 정체성을 찾고 새로운 도시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개발정책을 시도하고 있다. 도시재생은 국가적으로 각 도시의 정체성을 찾을 뿐 아니라 관광사업을 통해 해외 관광객증가는 물론이고, 도시의 실직적인 경제적 이익도 창출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도시재생은 지속적인 재생을 고려하지 않고 일정한 지역의 단기적인 문제만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시의 근대건축유산을 재활용하여 도심의 중요한 자산으로써 그 가치를 인식하고 도시의 새로운 생명력을 주기 위한 방법을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급속한 도시 성장인해 무분별한 도시개발을 막고 도시의 정체성을 잃고 쇠퇴된 지역을 위한 도시재생의 전략으로써 근대건축물을 활용을 통해 도시이미지의 정체성 확립과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의 방법으로써 근대건축물 활용을 통한 도시재생에 대하여 고찰 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적 측면에서 재생의 유형과 공간적 재생 특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도찰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해 근대건축물 활용은 도시의 정체성과, 문화적, 경제적 활성화 측면으로 중요한 요소로 파악 되었다. 첫째. 근대 건축물은 역사·사회·문화 가치를 가지고 있다. 도시의 사회·문화적 관계를 만들고 반영하며 장소로써 도시의 활력을 빠르게 성장 시킨다. 또한 지역주민과 자발적 참여는 자연스럽게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역할을 할 것이다. 둘째. 합리적인 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지역의 역사·문화적, 사회·경제적 특성과 주민 복지적 측면에서 합리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주민과 관광객들에게 여러 가지의 문화적 체험을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역사적 장소, 시간의 흔적을 부각시킴으로써 지역 고유자산으로서의 지역 정체성을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근대건축물 재활용을 통해서 도시 정체성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remind the meaning of conservation of modern construction and recycle, and to find identity of city and value of modern construction in the meaning of city. With rapid physical growth of city, widen metropolitan area, uncontrolled reconstruction of new metropolitan area, many social issues, such as decline of existing metropolitan area, environmental issues due to industrialization had arisen. Due to these issues, city is trying new development policy in order to find identity and reconstruct new image of city. Regeneration of city not only finds identity of each city nationally, but also expected to lead to increase inflow of foreign travellers due to travelling industry and actual economical profit is expected to follow. However, this regeneration of city does not consider sustainable regenerations and only focus on curing short term problems limited to certain area. For solution, it needs to be viewed from multiple perspective for a method to give new vital to city and recognize the value as valuable asset of city by recycling modern construction heritage. This research had its purpose on contributing local vitalizations and finding identity of city image by using modern construction as strategy of regeneration of city for area that lost identity of city and stopping uncontrolled metropolitan area development due to rapid development of metropolitan area and s Accordingly, this research studies regeneration of city by using modern construction as a method of regeneration of city. As a result, space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regeneration was studied. Also, based on this study and case study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use of modern construction was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 in perspective of identity of city, cultural, economical revitalization. First, modern construction has historical, social, cultural vale. It creates social, cultural relationship and reflects it and grow vitalizations of city rapidly. Also, voluntary contribution of local will act as mediator that connects past and present smoothly. Second, Policy that could support not only improve reasonable environment, but also support area's historical, cultural, social, economical characteristics in perspective of welfare of locals is necessary. Third, Effective conservation of local identity as local's unique asset may be possible by highlighting historical place and trace of time as well as enabling locals and travellers to experience multiple cultural experience.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regeneration of city that has base on city identity by using modern construction recycling.

      • 마을공동체 핵심 역량 분석을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대전의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권인호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쇠퇴한 도시를 살리는 도시재생이 주목받는 현 시대 속에서 도시재생을 활성화하기 위해 종합적인 재생의 관점이 고려되어야 함을 이야기하였다. 특히 사회적재생의 핵심 주체가 되는 마을공동체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논지를 제공하였다. 나아가 마을공동체의 핵심 역량을 AHP조사방식으로 도출하여, 이 역량들로부터 도시재생을 활성화할 수 있는 유의미한 결과들을 얻고자 하였다. 사회적재생의 영역에 대한 조명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대전의 도시재생사업에서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사회적재생의 사례를 제시하고, 도시재생사업에서 그 모델을 활성화시키기위한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를 검증하여 결과를 토대로 대전의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정책을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의 결과, 사회적재생의 주체인 마을공동체의 리더와 활동가들이 가장 높은 중요도로 꼽은 것은 ‘리더의 공공성’, ‘리더의 관계형성능력’과 ‘주민 참여프로그램’이었다. 이를 통해 대전의 도시재생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된 역량 요소들의 강화를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 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의 강화는 정책적으로 대전광역시 행정, 중간지원조직 및 전문가, 마을공동체 등 다양한 주체의 역량 요소에 대한 인지와 유기적 협업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다.

      •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 브랜딩 활성화 연구

        김리현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세계화, 정보화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한 낙후된 도시들은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통해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도시재생에 성공한 도시는 다른 도시와는 차별된 정체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문화예술 콘텐츠를 통해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임으로써, 도시 브랜드 가치가 높은 경쟁력 있는 도시가 되었다. 단순히 홍보만 잘 되어 있는 도시들은 일반적으로 문화체험, 먹거리 체험 정도의 수준이다. 반면에 사람들이 그 도시 이름을 들었을 때, 가고 싶고, 그 문화를 즐기고 싶고, 살고 싶은 욕망을 느끼는 것은 도시 홍보 즉 마케팅의 수준을 넘어 도시 브랜딩이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연구자는 도시브랜드와 더불어 어떤 도시와도 대체할 수 없는 그 도시만의 고유한 가치 정립에 있어서 ‛도시 브랜딩’은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유럽의 도시 브랜딩을 통해 연구자가 주목한 점은 수준 높은 시민의식이었다. 이러한 시민교육은 초등학교 교육부터 시작하여 체계적이며, 시민들의 의식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있었다. 이들의 주도적인 자율성과 적극적인 참여도가 높은 시민의식은 브랜딩의 핵심적인 요인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과 도시 브랜딩에 관한 이론적 개념을 토대로 연구자의 관점을 정립하고, 해외 도시 브랜딩 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국내의 도시 브랜딩 가치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공한 도시재생에서 도시 브랜딩까지 발전하려면 지속가능한 자생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이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도시재생에서의 자생력은 도시브랜드와 도시브랜딩에 이를 수 있었다. 둘째, 그 도시만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창의적인 문화예술 콘텐츠와 이로 인한 도시민의 일자리 창출은 도시 브랜딩을 지속가능하게 할 수 있는 원동력이었다. 셋째, 도시 브랜딩을 활성화하는데 있어서 인문학적인 접근을 통한 도시의 정체성이 담긴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과 지자체, 기관, 주도적인 시민의 참여와 소통, 지역기관과 시민간의 미래지향적인 토론은 필수이며, 이러한 토대는 ‛도시 브랜딩’에서 더 나아가 ‛세계도시’로 가는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근래에 국내에서도 도시재생에 성공한 사례는 많으나, 지속가능한 자생력을 갖추고 도시 브랜딩화 된 도시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독립된 주체의식을 가지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체계적인 시민교육과 다양한 분야에서의 기부문화 장착이 요구된다. 논문을 진행하면서 사례분석한 도시에 대해서 현장답사를 하지 못하고 분석한 점에 대해 아쉬움을 느낀다. 또한 국내의 도시 축제 및 이벤트, 문화예술 프로그램 등이 유사하여 독창적이고 차별화되어 있지 못한 점에 대해서 유감스럽다. 향후 도시 브랜딩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국내의 도시재생에 성공한 도시들이 세계적인 브랜딩 도시로 거듭 나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 Taking by ag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degenerated cities began to improve physical environment through urban regeneration project because of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Cities that succeed in urban regeneration wished to establish identity differentiating with other cities. Furthermore, improving quality of life through culture art contents, city brand value became high and competitive city. Cities that were doing well only public information are the next thing to culture experience and food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when people heard the city name, the cities where People want to go, to enjoy culture, and to live exceed marketing level and are doing branding. So the researcher thinks that city branding is important establishing peculiar value that can not be replaced with any city. Through European city branding study, the point that the researcher observed was a high level of citizenship. These civic education began systematically from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d had infiltrated naturally in consciousness of citizens. The branding's key factors are leading autonomy and active participation that comes from a high level of civic consciousness. In this research, I establishes researcher's viewpoint on the basis of theoretical concept about urban regeneration and city branding, and analyzes foreign city branding examples. With this, I deduced a activation plan that contributed to raise domestic City Branding value. First, it must be equipped with sustainable self-generation power if it want to develop city branding in urban regeneration. The self-generation power in urban regeneration enables city brand and city branding. Second, the creative culture art contents influencing competitiveness of the city and creating jobs by this were key factors that can keep city branding sustainable. Third, to activate city branding, through a humanistic approach city image filled with the identity must be constructed. And local government, agency, leading citizen participation, and future-oriented discussion between local agencies and citizens are an essential. For this foundation, it is process going to city branding in ecumenopolis. There are a lot of cases that succeed in urban regeneration at domestic recently, but city equipped with sustainable self-generation power by city branding is insufficient. Therefore, to success urban regeneration, it is important to have independent sense of sovereignty and to progress project by long-term appreciative eye. And first of all, the success of urban regeneration needs systematic civic education and donation culture in various field.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s a point that failed to explore fields analyzed in cases. Also, because domestic city festival and event, culture art program is similar, unique and different program is insufficient. Hereafter, I hope that continuous research is achieved about City Branding activation plan. And in addition I hope that cities that succeed in internal city reclamation can go forward repeatedly to worldwide branding city.

      • 전국 지자체 쇠퇴현상 분석 연구 : 도시재생법 5개 쇠퇴지표를 기준으로

        강은석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저성장, 저출산, 고령화 등으로 외곽개발 및 성장위주의 도시정책이 한계에 도달하면서, 도시문제의 해결과 경쟁력 강화는 국가적 과제로 대두 되고 있다. 기존의 뉴타운 등 도시 재개발 사업 등의 대규모 철거방식은 부동산 가격의 급등과 기존 원주민과의 갈등을 증폭하여 많은 후유증과 부작용을 보이게 되었다. 이런 배경으로 정부는 생활밀착형 도시재생정책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도시쇠퇴와 도시재생방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도시쇠퇴 지표를 개발하고, 그 기준으로 도시를 분류하여 연구 시, 연구자의 주관적 의견이 반영되어 그 결과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쇠퇴지표를 연구하는 대신에 정부의 도시재생법 시행령에 따른 5개 도시쇠퇴지표 기준으로 쇠퇴지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지역들의 지역분포, 인구수 규모 등에 따른 쇠퇴양상들을 분석하는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를 기초자치단체 229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국 지자체 중 57%에 해당하는 지자체에서 쇠퇴지역으로 분석되었고, 3,488개 읍․면․동을 대상으로 더 높은 쇠퇴양상(65.9%)을 보였다. 쇠퇴지역의 지역별 분포로는 서울특별시, 전라남도, 경상북도의 높은 분포율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구 규모별 도시쇠퇴 분석결과 인구수 규모가 작은 중소도시에서 높은 도시쇠퇴비율을 보였고, 쇠퇴지역으로 선정된 130개 지역 중 91개(70%)지역에서 인구수 감소율이 50% 이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반면에 산업경제적 측면의 쇠퇴양상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물리환경적 측면의 노후건축물 비율은 예상과 반대로 인구수 규모가 높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서울특별시의 대도시들에서 높은 노후건축물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2014년 쇠퇴수준과 2016년의 쇠퇴수준을 비교한 결과 전체적인 도시쇠퇴율은 50%에서 57%로 증가함을 보이며, 점점 도시쇠퇴가 전국에 걸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점점 도시문제의 해결과 도시쇠퇴가 국가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쇠퇴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추진 중인 도시재생 사업은 계획수립 중심으로 그치고 있어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가 미약하고, 사업당 지원 수준도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전국적인 도시쇠퇴확산양상 및 쇠퇴특성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쇠퇴 문제에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방안이 수립되기를 기대한다. As urban development policies focused on outsourcing and growth have reached the limits due to low growth, low fertility, and aging, the solution of urban problems and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are becoming a national task. The large-scale demolition methods such as the existing redevelopment projects such as the New Town have increased the price of real estate and the conflict with the existing indigenous peoples, resulting in many aftereffects and side effects. In this context, the government is pursuing various studies on urban decline and urban regeneration as the importance of life - friendly urban regeneration policy is emerging. However, when developing a new urban decay index and classifying cities by that standard, subjective opinions of the researchers are reflected and the results are limited. In this study, instead of studying the decline index, we selected the decline regions based on the five decline indexes according to the Urban Regeneration Enforcement Decree of the government and analyzed the decline patterns according to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the population size of the selected regions Respectively. The research scope was analyzed with 229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57% of them in the whole country were analyzed as declining area, and in the case of 3,488 small municipalities, 65.9% of them showed a higher urban decline rate than decline rate of local governments. The distribution of the declining regions was analyzed to show a high distribution ratio in Seoul, Jeollanam - do, and Kyungsangbuk - do provin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urban decline by population size, urban decline rate was high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nd 70% (91 cities) of the 130 declining regions showed very high population decline rate. On the other hand, the decline of the industrial economy is analyzed to be insignificant. The percentage of aged buildings in terms of physical environment was higher than that in the anticipated,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proportion of aged buildings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Busan, Daegu, and Seoul is high. Compared with the decline in 2014 and the decline in 2016, the overall rate of urban decline has increased from 50% to 57%, and urban decline is increasingly spreading across the country. Although urban solutions and urban decline are becoming increasingly national challenges,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have been promoted to date are still focused on planning, resulting in weak performance and lack of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tionwide urban decline and decline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more interest and plans will be established for various urban decline problems.

      •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도시재생사업 이해관계자의 역학관계 연구

        임거배 청주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re are a variety of stakeholders in the urban renewal project, and they speak from their respective positions for the benefit of an individual or the organization to which they belong. Therefore, it is crucial to pinpoint the relationships among stakeholders that emerge from the business so that it can become a successful and sustainable urban renewal project.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o is the most influential stakeholder in the urban renewal project, how the sub-network of the stakeholder network of the urban renewal project is structured, what is the proportion of each sub-network in the whole network, What is the spatial distribution among the stakeholders and raised the question of how to approach the space of other stakeholders, focusing on the most influential stakeholder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network of stakeholders for the urban renewal project to identify their structural dynamics and propose improvement directions so that the project could be activated in the right direc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reviewed the general contents of the analysis of the stakeholder and the social network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 Besides, the domestic urban regeneration project stakeholders were divided into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resident council, coordinator, and interim support organization. To establish a network of stakeholders, we conducted surveys on stakeholders in the urban renewal project. We selected Suwon City in Gyeonggi-do, Cheongju City in Chungcheongbuk-do, and Yeosu City in Jeollanam-do as research destinations. For the smooth investigatio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stakeholders were divided into nationwide stakeholder and local stakeholder, and the questionnaire was given to local stakeholder to understand the nationwide stakeholder.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 network of stakeholders in the urban renewal project was established, and the most influential stakeholders by region were selected through centrality analysis. We examined the degree of centrality, eigenvector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s centrality indicators. Notably, we tried to grasp the degree of connection by distinguishing out-degree and in-degre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ost influential stakeholders in the network of stakeholder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Suwon and Yeosu were residents, while the network in Cheongju confirmed that they were the master planner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Next, we tried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strength of the sub-network of the urban regeneration business stakeholder network in each region through community detection analysis. Modularity valu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strength of the community, and all three areas were found to have weak strength. The sub-networks of each region consisted of two communities, and they were divided into public-oriented communities composed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research institutes, and coordinators, and civic-oriented communities composed of residents and merchants and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practitioners.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network of stakeholders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constructed in this study, geocoding was done for each collected data, and it was shown in the space. As a result, Suwon City was surrounded by stakeholders in the vicinity of Gyeonggi-do Office and Suwon City Hall, and Cheongju City was located in a line around a broad road passing through Chungcheongbuk-do Office and Cheongju City Office. On the other hand, the city of Yeosu was separated from the residents in the business district among the stakeholders of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centrality analysis, we tried to grasp the spatial accessibility using the multi-buffer zone analysis centered on the most influential regional stakeholders. Suwon city and Yeosu city were selected as the most influential stakeholders in specific residents, and multi-buffer zone analysis was conducted in 300m units. As a result, Suwon City was adjacent to the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and the Gyeonggi-do Office and Gyeonggi Provincial Council stakeholders were included within the radius. Yeosu was made up of residents within the same business district. The most influential stakeholder in Cheongju City is located in the outskirts of the city as the master planner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analyzed the multi-buffer area in the 3km unit for the meaningful analysis. On the other hand, it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ational unit stakeholder and the regional unit stakeholder related to the central government. Based on the limitations and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e review of the status of the stakeholders of the urban renewal project in Korea,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urban renewal projects were proposed as follows: First, physical and human support for Urban Renaissance Support Center is needed to solve regional disparity betwee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econd, to ensure the professionalism of the people who are working or who want to work at the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fessional coordinator and qualification system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Third, urban regeneration site support centers should be installed and operated in each business district, which can be supported by residents, and regulations stipulated by the legal and institutional controls are needed. 도시재생사업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존재하며, 이들은 개인 또는 자신들이 소속된 조직의 이익을 위해 각자의 위치에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따라서 성공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이 될 수 있도록 사업상 나타나는 이해관계자들 간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이해관계자는 누구인지, 도시재생사업의 이해관계자 네트워크의 하위네트워크는 어떻게 구성되고 있으며, 각각의 하위네트워크가 전체 네트워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어떠한지, 도시재생사업 이해관계자들 간의 공간적 분포는 어떠하며, 가장 영향력 있는 이해관계자를 중심으로 다른 이해관계자들의 공간 접근성은 어떠한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사업 이해관계자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그들의 구조적 역학관계를 규명하고 사업이 올바른 방향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시재생사업과 도시재생사업 이해관계자, 사회연결망 분석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내 도시재생사업 이해관계자를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주민협의체와 코디네이터, 중간지원조직으로 구분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이해관계자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도시재생사업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대상지로 경기도 수원시, 충청북도 청주시, 전라남도 여수시를 선정하였다. 원활한 조사를 위해 도시재생사업 이해관계자를 전국단위 이해관계자와 지역단위 이해관계자로 구분하였으며, 지역단위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전국단위 이해관계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지역별 도시재생사업 이해관계자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으며, 중심성 분석을 통해 지역별 가장 영향력 있는 이해관계자를 선정하였다. 중심성 지표로 연결정도 중심성, 위세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을 검토하였고, 특히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연결정도를 외향과 내향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수원시와 여수시 도시재생사업 이해관계자 네트워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이해관계자는 지역주민으로 나타났으며, 청주시 네트워크에서는 도시재생사업 총괄코디네이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커뮤니티 검출 분석을 통해 지역별 도시재생사업 이해관계자 네트워크의 하위네트워크의 구성과 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커뮤니티의 강도를 파악하기 위해 모듈성 값을 이용하였으며, 세 지역 모두 약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하위네트워크는 모두 두 개의 커뮤니티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주로 지방자치단체 공무원과 연구기관, 코디네이터로 구성된 공공위주의 커뮤니티와 지역주민과 상인, 도시재생지원센터 실무자로 구성된 민간위주의 커뮤니티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지역별 도시재생사업 이해관계자 네트워크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마다 지오코딩을 실시하였으며, 공간상에 나타내보았다. 그 결과 수원시는 경기도청과 수원시청주변에 이해관계자들이 밀집되어 있었으며, 청주시는 충북도청과 청주시청을 지나는 큰 도로를 중심으로 일렬로 위치하였다. 반면에 여수시는 지방자치단체 이해관계자끼리, 사업지구 내 지역주민끼리 따로 떨어져서 밀집해있는 형태를 보였다. 중심성 분석을 토대로 선정된 가장 영향력 있는 지역별 이해관계자를 중심으로 다중 버퍼영역 분석을 이용하여 공간 접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원시와 여수시는 특정 지역주민들이 가장 영향력 있는 이해관계자로 선정되었으며, 300m 단위로 다중 버퍼영역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원시는 인근에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가 인접해 있었고, 경기도청과 경기도의회 이해관계자가 반경 내에 포함되었다. 여수시는 같은 사업지구 내의 지역주민들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청주시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이해관계자는 도시재생사업 총괄코디네이터로 시 외곽에 위치하였으며, 유의미한 분석을 위해 3km 단위로 다중 버퍼영역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편 지리적으로 중앙정부와 관련된 전국단위 이해관계자와 지역단위 이해관계자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었다. 국내 도시재생사업 이해관계자에 대한 현황 검토를 통한 한계점들과 실증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도시재생사업의 지역 간 편차를 해소하기 위해 도시재생지원센터에 대한 물적, 인적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도시재생지원센터에서 근무 중이거나 근무를 희망하는 인력들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앙정부차원의 전문코디네이터 양성과 자격제도가 필요하다. 셋째, 지역주민의 최측근에서 지원할 수 있는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를 사업지구당 설치하고 및 운영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법적·제도적으로 명문화된 규정이 필요하다.

      • 주민참여 증진을 위한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현황 연구 - 서귀포시 월평마을 사업을 중심으로 -

        김주영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explores residential participation and investigates urban improvement plans through case-analysis of small-scale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Wolpyeong Village in Seogwipo and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hardware and software. Depending on the magnitude and size of the project, its importance varies. With small village projects, the proportion invested in software (and related business) is necessarily higher. Software requires expertise outside of government abilities, often leading to the government cosigning projects to software businesses. As such, success often depends on the capabilities of on-site support centers. Small-sca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are less costly and shorter are thus more attractive. In this context, more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roles software businesses play in small-scale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factors leading to project success resulting from their participation. Studies on urban regeneration thoroughly investigated residential satisfaction studies, case studies, enhancing resident capabilities, residential participation, social/ urban centers’ roles, and the effects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policies. However, these studies often rely on indirect and secondary data acquire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These studies also investigate urban regeneration at the macro-scale, leading to a needed in-depth investigation of micro-scale urban regeneration processes. This research specifically analyzed the Wolpyeong Village improvement plan in the 419-2 administrative district area of Wolpyeong-dong, Seogwipo City. This research starts with a thorough study of prior research, compiling a compendium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Second, I graded and selected programs that enhanced the actual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ese programs included the archiving of local history and resources, the creation of urban regeneration colleges, the promotion of site tours, and the establishment of village coops to produce sellable goods. Third, I extrapolated the factors that led to increasing resident participation. The research suggests measures needed to promote resident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role of on-site support centers, detailing its limitations.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도시재생 사업에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월평마을의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주민참여의 현황과 그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시재생 사업에서 흔히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2가지 유형으로 사업을 분류 해볼 수 있는데, 사업의 규모에 따라 중요도의 비중이 달라지기도 한다. 특히 이런 마을단위의 작은 촌락에서는 소프트웨어의 사업 비중이 증대 될 수밖에 없다. 소프트웨어 사업으로는 국가가 직접 관리하기 힘든 점으로, 위탁사업으로 거의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 지역의 현장지원센터의 역량에 따라 성공여부가 달라지기도 한다. 이에 사업비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고, 사업기간 또한 짧은 소규모도시재생사업이 주목받기도 한다. 그렇다면 그 소규모 도시재생 사업에서 소프트웨어 사업이 어떻게 작용되고 있으며, 그러한 사업들을 잘 이끌어 나가기 위해서는 어떠한 성공 요소가 필요한 것인지 그 사례를 알아 볼 필요가 있다. 기존의 도시재생 관련 논문에서는, 주민의 만족도 조사, 사례연구, 주민역량강화, 주민 참여, 센터의 역할,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에 관해서 등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볼 수 있지만, 거의 설문조사나, 인터뷰 등을 통한 연구방법으로 제 3자의 입장에서 연구 된 자료들이 많았다. 그러한 논문들의 한계점은 대체로 거시적인 접근 방법으로, 향후에 보다 심층적이고, 미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결론을 맺는 한계점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논문에서 부족했던 점들을 미시적으로 다루어 국내 도시재생 사업에서, 주민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시재생 사업지, 행정구역상 서귀포시 월평동 419-2번지 일원의 ‘서귀포시 월평마을’을 사례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영역은 크게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자 한다. 둘째, 지역의 역사, 자원을 활용 아카이빙이나, 집체교육인 주민역량강화의 도시재생대학, 사례지 답사, 수익 상품을 개발하게 됨에 따른 마을관리협동조합의 발기 과정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실제 지역주민의 주민참여가 증진된 사례를 알아보고 기술하고자 한다. 셋째, 주민참여가 증진되기 위해 필요했던 요소들을 알아보며, 어떤 요소가 중요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해당연구로 인한 도시재생 사업에서 주민참여의 증진방안을 제시함으로 연구를 결론지으며, 더불어 현장지원센터의 역할과, 그 한계점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 도시재생 관점의 전통시장 활성화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원주 미로예술중앙시장을 중심으로

        양희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정부와 지자체 등 공기업에서는 쇠퇴된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재생 사업이 다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도시재생은 기존 지역 및 상권의 기존 건축물 또는 신규 건축물에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여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재활성화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국·내 외에서 이러한 전통시장 활성화를 도시재생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 관점에서 소비형태, 유통환경 변화, 대형유통업체와의 경쟁으로 점차 쇠퇴하고 있는 전통시장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려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 사례의 관점에서 전통시장이 경쟁력을 가지고 활성화 될 수 있는 사례에서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도시재생 사례를 검토하여 국내 전통시장 상황에 적합한 유사한 사례를 도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의 도시재생 사례 및 원주 미로예술중앙시장을 분석,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효과적인 정책지원 사업 추진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해외 사례분석과 국내 대표 사례 분석으로 구성한다. 해외 사례분석은 해외의 도시재생 사례에서 발생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먼저 도시재생이 지역 상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다음으로 도시재생에서 정부와 민간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의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는 방안을 전체적으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사례에 대한 결과에 따라서 도시재생의 시사점이 지역에 어떠한 기능을 하였는지 살펴본다. 국내 대표 사례 분석은 해외 사례분석의 분석결과 및 시사점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이를 활용한 성공요인을 도출한다. 따라서 국내 대표 사례 분석의 목적은 원주 미로예술중앙시장의 사례의 의미와 국내 전통시장에 대한 적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결과, 해외 사례분석의 성공요인 기준 중 지역보존, 커뮤니티, 복합시설, 컨설팅, 공공임대의 성공요인에 부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정책시사점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외 사례분석과 국내 대표 사례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요약 및 결론을 도출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밝히고 미래연구를 제언한다.

      •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도시재생 복합문화공간 디자인의 감성평가지표 개발

        이미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도시 속에서는 구도심 쇠퇴와 정주 환경 약화로 인구 및 산업구조의 변화가 찾아오기도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곽 개발 위주의 도시 확정 정책 한계와 도시 쇠퇴에 대한 정책 대응을 세우게 된다. 도시의 지역 역량을 강화시키고 새로운 기능의 도입 및 창출을 위해서 원기능의 자원을 활용하여 경제, 사회, 물리, 환경으로부터 활성화되기 시작한다. 그렇게 본래의 기능을 잃고 유휴산업시설물에 콘텐츠를 적용시켜 잃어버렸었던 그 시설물에 문화, 예술, 공원의 기능을 재부여 시켜 특징을 부각시킨다. 문화 자원을 보존이나 재생을 시키는데 있어서 그 지역의 정체성을 생성하는 것은 하나의 사례에 불과하지만, 문화공간 같은 경우는 도시의 브랜드화 창출함에 있어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는 요소로 꼽히고 있다. 그리하여‘복합문화공간(Culture Complex)’이 탄생하게 되면서 다양한 장르의 예술들이 접해지고 새로운 양식의 문화 및 예술이 만들어진다. 복합적인 기능으로써 휴게, 식음, 교육, 창작, 교류, 소통, 거래, 교육, 거주, 등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으로 포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자 산업화⋅도시화로 사회가 필요한 공간으로 만들 수 있는 하나의 공간으로 창출하게 된다. 유휴산업시설들을 활용하여 문화공간을 통한 이미지 창출로 재사용 된 가치들은 도시 정체성, 상징 및 기억의 보존, 도시 환경문제 개선, 국가 및 도시 랜드마크 확보, 문화적 요소로 인한 경제적 활성화, 문화적 커뮤니티 교류로 나타난다. 복합적인 활동 기능으로써 휴게, 식음, 교육, 창작, 교류, 소통, 거래, 교육, 거주, 공유, 등과 같은 사회적인 교류들을 통해 부가적인 기능들이 수용되어 삶의 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시킨 공간을 만들어 준다. 보통 복합문화공간은 기본적으로 문화적 공간이기도 하고 라이프 스타일 공간이기도 하며 유휴산업시설을 재생한 복합문화공간의 외부 및 내부는 재료, 마감, 재질에 의해서 인간의 감성을 또 다른 감성으로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러한 공간 자체의 물리적인 환경이 디자인 요소와 사회적인 요소가 융합되어 표현될 수 있겠다. 공간 한정 요소(바닥, 벽, 천장), 공간 수식 요소(자연요소, 예술적 요소, 가구 및 시설물), 형태, 색채, 재료, 재질이 공간 디자인에 적용되어 얼마나 조화롭게 표현하느냐에 따라서 감성에 영향을 매우 미친다. 우리는 실내나 외부 공간을 볼 때 공간의 구성 정보를 알게 되면서 그 공간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인식한다. 사회적 요소에는 시각, 후각, 청각, 촉각, 미각의 요소 즉 오감이 내재되어 있으며 인간이 공간을 평가할 때 객관적인 기준으로 감지하면서 판단을 하게 되는데 전반적으로 이러한 과정은 직관적인 능력을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감성을 작용하고 반응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내 및 국외 도시재생 유휴산업시설의 복합문화공간을 재활재료, 공간 디자인 구성 요소, 색상, 감성 어휘를 통한 행위적 감성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며 도시재생 유휴산업시설의 복합문화공간 디자인 구성으로 재활용 재료(공간 한정 요소), 재활용 재료(공간 수식 요소), 노후된 마감재에 대한 오래된 공간 및 가구 구성, 공간 디자인 연출 구성, 행위적 감성을 통해 가질 수 있는 사용자 감성평가지표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으며 도시재생 중심시가지형을 일환으로 공간의 노후화된 재료를 재활용함으로써 감성적인 측면을 어떠한 방법으로 접근을 하며 어떻게 최대한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연출할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론적으로 소비자들은 유휴산업 개조 활성화에 있어서 유휴산업 개조 활용에 의한 도시 발전, 개조 활성화 선호, 실외 건물 구조물 보존, 실내 건물 구조물 보존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재활용 재료 활용이 전체적인 공간의 분위기 및 이미지에 대한 영향력이 굉장히 큰 것으로 볼 수 있었기 때문에 도시재생의 본 자원 활용뿐만이 아닌 교육⋅문화공간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살려 환경을 디자인하는 유휴복합문화공간들이 번성되기를 기대한다.

      • 도시재생 지역의 공공미술 가치와 도시이미지 정체성 연구 : 중국 베이징시를 중심으로

        위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사회의 부단한 발전과 사람들의 문화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도시 발전은 전례 없는 변화를 추구하게 되었고, 도시의 정신적 문명의 진일보한 발전을 촉진해주는 공공미술이 점차 사람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공공미술은 수용층이 많고 다양한 전시공간을 갖춘 예술적 표현방식으로 도시의 특징을 외부에 잘 알릴 수 있는 효과적인 도시이미지 홍보방식이자 도시의 정체성을 빠르게 인정받게 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따라서 도시재생 지역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는 공공미술은 도시의 쇠퇴지역이나 낙후지역을 재생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며 나아가 긍정적인 도시이미지를 제공하고 도시정체성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베이징시를 중심으로 도시재생 지역의 공공미술 가치와 도시이미지 정체성 연구로, 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쇠퇴되고 낙후된 베이징시 도시재생 지역의 공공미술에 대한 가치를 높이고, 나아가 도시이미지를 통한 정체성을 연구하였다. 베이징시뿐만 아니라 향후 중국의 많은 도시재생 지역에 대한 공공미술 적용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베이징 도시재생지역의 우수 사례를 분석하고, 객관성 확보의 실증연구를 위해 중국인 502명을 대상으로 도시재생지역 공공미술의 가치요인을 분석하고 도시재생지역 공공미술이 도시이미지와 도시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도시이미지가 도시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 검증하여 다음과 같이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도시재생 지역의 효과적인 공공미술을 위해서 도시재생 지역에서 공공미술의 인식을 높여야 하며, 공공미술 디자인 계획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중국인들은 공공미술에 대해 인식 정도는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또 도시재생 지역에서 공공미술이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심미적 효과, 환경적 효과 및 교육적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미술이 공공미술에 가장 효과적인 매체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재생 지역의 효과적인 공공미술을 위해 기획, 제작 시에는 주제와 형태, 컬러, 제작기술 및 기법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공공미술 디자인 계획에 적극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각 도시재생 지역만의 독특하고 차별적인 공공미술 요인 적용이 필요하다. 현재 중국 각 도시재생 지역별 공공미술의 여러 유형별, 요인별 차이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결국, 그 지역만의 독창성과 차별성이 없어 독특한 아이덴티티를 가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그 지역만의 독창적이고 차별적인 공공미술 요인의 적용을 통해 방문객이나 일반 대중들에게 도시재생 지역의 가치 인식을 높여야 한다. 셋째, 도시재생 지역의 공공미술은 도시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도시재생 지역의 가치를 위해 공공미술이 적극 활용되어야 한다. 방문자나 대중들이 도시재생 지역 방문 시, 시각적인 공공미술을 통해 예술성과 개방성 또는 환경과의 조화 및 상징성 등에 대한 이미지 인식을 하게 되므로, 공공미술을 통한 도시의 정서적 이미지와 인지적 이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성과 공공성에 중점을 두고 개발하여야 한다. 넷째, 도시재생 지역의 공공미술은 도시정체성에 영향을 주므로, 강력한 도시이미지 구축을 위해 랜드마크적 상징성이 필요하다. 도시재생 지역의 랜드마크적 상징성은 강력한 도시이미지를 구축하여 그 지역의 정체성을 비교적 쉽게 받아들이고 인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지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와 기대를 높일 수 있다. 다섯째, 도시이미지는 차별화된 그 도시만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때문에 공공미술을 통해 도시이미지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도시재생 지역의 방문자들은 공공미술을 통해 그 지역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정서적 태도를 가질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지역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며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어 결국 공공미술을 통한 도시이미지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공공미술은 도시의 이미지를 형상화하고 도시의 정체성을 높이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공공미술은 도시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어 도시이미지 제고와 도시정체성 강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베이징 지역의 공공미술과 도시의 융합 발전을 가속화하고 도시문화 관광의 혁신적인 발전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해준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도시재생 지역의 공공미술에 대한 도시이미지 정체성 연구에 실용적이고 학제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주제어: 도시재생, 공공미술 가치, 도시이미지, 도시정체성, 베이징시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society andthe rise of people's cultural level, urban development has pursuedunprecedented changes, and public art, which promotes the further developmentof the city's spiritual civilization, has gradually received people'sattention. Public Art is an effective way to promote the city's image of theoutside world as an artistic expression method with a large audience andvarious exhibition spaces, and it is an important means of quickly gainingrecognition of the city's identity. Therefore, Public Art, which is applied asa method to revitalize urban regeneration areas, is an important means ofregenerating decaying or underdeveloped areas of the city, and furthermore, itprovides a positive urban image and is an important means of determining urbanidentity.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value of public art in the urban regeneration area and the identity of the city image centered on Beijing,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application of public art not only to Beijing, but also to many urban regeneration areas in China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best cases of the urban regeneration area in Beijing, and analyzed the value factors of public art in the urban regeneration area targeting 502 Chinese for an empirical study of securing objectivity.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by conducting research and verification of the effects of city image on city identity. First, for effective public art in urban regeneration areas, awareness of public art in urban regeneration areas should be raised, and public art design plans should be improved. Currently, Chinese people need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public art. In addition, it was recognized that the impact of public art in the urban regeneration area was large, and it was found that the aesthetic effect, environmental effect and educational effect were large, and environmental art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medium type for public art. In addition, for effective public art in urban regeneration areas, themes, shapes, colors, production techniques and techniques are found to be important when planning and producing, so they must be actively reflected in the public art design plan. Second,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unique and differentiated public art factors unique to each urban regeneration area. At present, the differences between various types and factors of public art in each urban regeneration region in China appear to be similar, and in the end, there is no uniqueness and differentiation in the region, so it does not have a unique ident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value of the urban regeneration area to visitors and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application of unique and differentiated public art factors unique to the area. Third, public art in the urban regeneration area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urban image, so public art should be actively applied for the value of the urban regeneration area. When visitors or the public visit an urban regeneration area, visual public art allows them to recognize the image of artistry and openness or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and symbolism. It should be developed with an emphasis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public nature. Fourth, since public art in urban regeneration areas affects urban identity, landmark symbolism is needed to build a strong urban image. The landmark symbolism of an urban regeneration area can build a strong urban image and allow for relatively easy acceptance and recognition of the area's identity, thereby raising the positive image and expectations of the area. Fifth, since the city image establishes a differentiated identity for the city, a strategy to enhance the city image through public art is necessary. Visitors to the urban regeneration area can not only raise awareness of the area and have an emotional attitude through public art, but also feel a sense of belonging to the area and know what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they have. It shows that the image of the city is very important. Public art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of shaping the image of a city and enhancing the city's identity. Since public art is closely related to the city,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image of the city and strengthening the city's identity. It accelerates the convergence development of public art and urban areas in Beijing and provides new ideas for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urban culture and tourism. Keywords: urban regeneration, public art value, urban character, urban identity, Beijing

      • 장소성 기반의 도시재생 건축 설계 방법에 대한 연구 : 서울시 정릉동 정릉10길 일대 적용을 중심으로

        김준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가 거주하고 있는 ‘도시’라는 공간은 건축과 공간의 집합일 뿐만 아니라 그 공간을 공유하고 사용하는 다양한 주체들의 정신적, 인문적, 사회적 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공간이다. 하지만 산업혁명이 일어난 후 세계적으로 도시개발과 국제주의 건축을 표방하여 무분별한 건축을 반목하였고 이는 자생적인 건축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우리나라의 건축 또한 지역과 장소성의 부재로 이어졌고, 이것은 건축이 물질의 논리와 상업적인 시각으로 만들어지는 콘크리트 도시로 만들어지게 되었다. 최근 도시의 패러다임은 더 나은 도시 환경을 위하여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많은 시도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각 지자체에서는 낙후되거나 정체된 지역들을 대상으로 도시의 정체성 확립과 공동체구축, 일자리 창출 등을 목적으로 활성화를 위한 개념들을 적용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국내의 도시재생 사업 진행 시 장소성은 도시 정체성 확립 및 도시의 차별성 구축 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이지만 개별적인 특색이 드러나지 못하고 국·내외의 성공적 사례들을 단순히 답습하였으며 각각의 장소에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하는 데 있어 명확한 방법에 대한 제시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서의 장소성의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하여 알아보고 또한 도시 정체성과 장소성, 도시재생과 장소성의 상호관계성을 고찰한다. 또한, 현재 국내 도시재생의 일환인 서울형 도시재생 사업들을 통하여 문제점과 장소성의 연관성을 도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국 · 내외의 우수 도시재생 사례분석을 통하여 낙후된 지역의 도시재생에 있어 장소성이 어떤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는지 도출한다. 도출된 지표로 대상지인 정릉3동 배밭골 일대 지역 활성화를 위한 장소성의 요소들에 대해 알아보고, 대상지에 맞는 활성화 계획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자료와 새로운 계획안 및 마스터플랜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도시에서의 도시 정체성과 그에 따른 장소성은 필연적으로 생겨나며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서울형 도시재생은 도시재생이라는 명목하에 각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에 소극적인 방법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장소성의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도시에서의 장소성의 구성요소 4가지를 모두 충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국·내외의 우수 도시재생 사례를 분석하여 보았을 때 도시에서의 장소성의 요소 4가지와 장소성의 구성요소인 물리적 요소, 행태적 요소, 의미적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며 이는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장소성이라는 개념은 변화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연구와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의 개념 안에서 장소성의 관점 인식의 필요성과 도시재생 및 마스터플랜 계획 시 고려되어야 할 장소성의 요소에 대한 건축 설계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pace we live in is not only a collection of architecture and space, but also a space composed of an organic combination of mental, humanistic, and social elements of various subjects who share and use the space. However,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phenomenon of indiscriminate urban development and late replication of internationalist architecture has been repeated, and it has become a non-self-sustaining architecture. As a result, Korean architecture does not have an identity for the region and place, and it consists of a concrete city where architecture views the logic of materials and the commercial perspective. Recently, many attempts an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how to change and improve for a better urban environment, and each local government is conduc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applying concepts to establish urban identity, build community, and create jobs in underdeveloped or stagnant areas. However, placeness must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urban identity and building urban differentiation in Korea, bu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not revealed, and successful cases at home and abroad are simply followed, and there is no clear way to give new identity to each pla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placeness in cities and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ity identity and placeness, urban regeneration and placeness. In addition, the Seoul-typ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hich are currently part of domestic urban regeneration, are related to problems and placeness, and based on this, the factors of placeness in urban regeneration in underdeveloped areas are deriv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of placeness for regional revitalization in Baebatgol, Jeongneung 3-dong, and to propose basic data, new plans, and master plans to suggest activation plans suitable for the target site. Urban identity in cities and their location inevitably arise and are essential factors to be considered. Seoul-type urban regeneration responds in a passive way to solve each urban problem in the name of urban regeneration, and from the perspective of placeness, all four components of placeness in the city were not satisfied. In addition, when analyzing excellent urban regeneration cases at home and abroad, four elements of placeness and physical, behavioral, and semantic elements, which are components of placeness in cities,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concept of placeness is a changing concept as the times change.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esent an architectural design method for the necessity of recognizing the perspective of placeness in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and the elements of placeness to be considered in urban regeneration and master plan pla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