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생활권 산업군집특성이 지역 내 총생산에 미치는 공간적 영향연구 : 광주광역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역산업연계를 중심으로

        문창용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의 도시정책의 패러다임은 1980년~2000년대 국토의 균형개발과 지속가능한 개발에서 2010년대는 사람과 장소중심의 도시재생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하여 정부는 2013년에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2017년 문재인 정부는 기존 도시재생 정책의 계획 편향적, 낮은 체감도, 정부지원 제약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시재생뉴딜사업을 도입하여 공적투자와 공공지원 확대, 지역·주민 주도와 사회통합형 사업추진, 도시재생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에 역점을 두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6년~2019년 선정된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추진실적 평가에 따르면 전체 317곳 중 양호한 사업대상지는 59곳, 주의 183곳, 부진 75곳으로 나타났으며, 부진사유는 부지확보 미흡, 계획의 구체성 미흡 등으로 선정 전 사전 준비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또한 민간과 공공이 함께 참여하여 쇠퇴한 도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도시혁신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산업에 대한 고려 없는 공간생산, 사업추진과정에서 창출되는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의 일자리 창출은 현재 도시재생정책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재생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민간자본유치와 공공인프라 확충에 있어 지역산업을 활용한 도시재생정책 마련이 시급하며, 쇠퇴지역을 재생하기 위한 도심기능의 영향범위 설정과 재생사업과 연계할 수 있는 지역산업에 대한 조사가 시급하다. 이러한 현재 도시재생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실제 도심기능을 반영한 도시재생계획의 공간범위 설정과 쇠퇴지역을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지역연계산업을 도출을 통한 도시재생계획 수립 방향 제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생활권 내 지역 총 생산에 공간적 영향을 미치는 산업군집특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도입기능이 필요한 도시재생지역에 지역연계 산업군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기존도심기능과 지역산업이 연계된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도시생활권 설정, 산업군집특성과 지역 내 총생산의 측정, 그리고 각 변수들 간의 공간적 영향관계분석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생활권을 광역도시 내 중심지(CBD기능)와 배후지역의 행정동 군집단위로, 자치구 경계를 넘어 상호 외부경제효과와 기능적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생활권 도시지역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시생활권 설정을 위한 분석방법으로 행정동 간 목적통행PA자료(가정·비가정 업무, 쇼핑, 기타)를 활용한 사회네트워크분석(응집구조, 클러스터)을 사용하였다. 2016년 광주광역권 목적통행 PA자료(국가교통DB)를 활용하여 광주전남의 읍면동(171개)간 통행 OD자료를 광주광역시 행정동(95개) 간 통행량OD자료만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사회네트워크 분석은 전문 SNA 분석 도구인 NetMiner 4를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응집구조(Cohesion Structure)를 분석하여 1차 도시생활권(3권역)을 추출하였다. 2차적으로 가정과 비가정기반의 업무·쇼핑·기타 목적의 PA자료를 통해 도출된 3개의 도시생활권인 A도시생활권, B도시생활권, C도시생활권을 대상으로 각 연결중심성(Degree Centrality), 매개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위세중심성(Eigenvector Centrality)을 분석하여 도시생활권의 위세중심성이 큰 지역과 2030 도시기본계획의 중심지체계(2도심, 3부도심)의 지역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광주광역시 도시생활권을 명명·설정하였다. 그 결과, 광주광역시 도시생활권 3권역은 상무신도심-송정부도심 서부생활권(A), 원도심-백운부도심 남부생활권(B), 첨단부도심 북부생활권(C)이다. 두 번째, 설정된 도시생활권의 산업군집특성과 지역 내 총생산을 측정하였다. 도시생활권 산업군집특성이 지역 내 총생산에 미치는 공간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Cobb-Douglas 생산함수 [Q=f(K, L, T, U, D, S)]을 활용하였다. 생산함수를 토대로 공간회귀분석을 위해 각 변수를 설정하였다. 종속변수인 Q 지역 내 총생산은 기초자치단체 경제활동별 GRDP(2016)를 활용하여 산업대분류(16개)의 종사자수 비중을 통해 행정동의 부가가치를 추계하여 대리변수로 사용하였다. 통제변수는 L 노동요소(종사자수/사업체수), K 자본요소(1인당 지방세액×생산인구), T기술(집적)요소((종사자수/인구)/(사업체수/면적)), 집적지수(CI), S 형태적·기능적 도시공간요소(1/HHI, 커뮤니티지수)이다. 독립변수는 선행연구를 통해 산업군집특성을 “지역화경제(규모의 외부경제)에 따른 동종산업의 특화, 도시화경제(범위의 외부경제)에 따른 이종산업의 다양화로 나타나는 집적외부경제의 산업분포특성”으로 정의하고 D 지역화경제요소(LQ)와 U 도시화경제요소(DI)로 설정하였다. 기존 도심기능과 지역산업을 연계한 도시재생계획 수립 방향 제시를 위해 전 산업의 산업군집특성을 측정하고자 측정산업군을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대분류 19개, 산업 중분류 99개 산업분류체계를 산업구조와 산업분류관계를 기준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분류하고, 각 중분류의 산업분류를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이나 산업발전시행령에서 제시하고 있는 특정산업세세분류를 포함하는 분류체계 중심으로 최종 6개 산업군으로 재분류하였다. 측정 6개 산업군은 주력기간제조업(10종), 지식기반 제조업(14종), 인프라산업(4종), 지식서비스산업(21종), 유통서비스산업(11종), 공공 및 사회서비스산업(6종)이다. 세 번째, 도시생활권 지역 내 총생산과 산업군집특성의 공간적 영향관계분석이다. 측정변수인 산업군집특성(LQ지수, DI지수), 통제변수인 기술·자본요소, 규모경제(산업집적 CI지수), 형태와 기능적 도시공간요소(1/HHI, 커뮤니티 중심성지수)의 실증데이터와 행정동 공간데이터를 결합(QGIS)하여 최종 공간회귀분석(GeoDa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행정동 간 목적통행량(PA)을 활용한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선행하였기 때문에, 공간회귀분석을 위한 공간가중행렬 구축은 GeoDa프로그램을 활용하여 DISTANCE WEIGHT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시생활권 공간회귀분석은 GeoDa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선형회귀모델(OLS), 공간시차모델(Spatial lag), 공간오차모델(Spatial error)을 분석하고 유의성이 높은 공간오차모델(Spatial error)모형으로 최종 공간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상무신도심-송정부도심 서부생활권의 지역생산에 정(+)영향을 미치는 산업군집특성은 인프라산업군, 유통서비스업군, 공공·사회서비스업군의 특화된 군집분포와 지식제조업군의 다양한 군집분포이다. 원도심-백운부도심 남부생활권의 지역생산에 정(+)영향을 미치는 산업군집특성은 지식기반제조업군, 지식기반서비스업군, 유통서비스업군의 다양한 군집분포이다. 첨단부도심 북부생활권의 지역생산에 정(+)영향을 미치는 산업군집 특성은 산업대분류, 기간조제업군, 지식서비스업군, 유통서비스업군의 다양한 군집분포이다. 도시생활권 지역 내 총생산에 미치는 산업군집특성을 기반하여 도시재생계획 수립 방향을 제시하였다. 신도심지역의 산업단지재생사업은 다양한 지식제조업이 입지할 수 있도록 거점시설조성과 인력양성프로그램이 도시재생계획에 반영되어야 한다. 광역교통중심의 도시재생사업은 유통서비스업이 특화되고 집적될 수 있도록 교통인프라의 확충과 복합개발이 계획에 반영되어야 한다. 원도심지역 도시재생사업은 다양한 지식기반의 제조·서비스업의 육성을 위해 도심형산업이 도시재생계획수립에 반영되어야 하며, 상권활성화를 위해 유통서비스군이 다양하게 입지할 수 있도록 도시재생계획을 정비해야 한다. 첨단산업단지 도시재생사업은 다양한 기간제조업과 유통서비스업이 상호 네트워크가 활발히 일어날 수 있도록, 민관협력을 통한 지역산업 연계방안이 도시재생계획에 담겨야 한다. 지역대학과 연계한 도시재생사업은 다양한 지식서비스업분야의 창업이 일어날 수 있도록 거점시설조성과 지원프로그램이 도시재생계획에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도시재생계획 수립의 내실화를 위한 정주인구의 생활·활동 기반의 도시생활권 설정과, 도시재생사업의 효과 극대화를 위해 지역생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지역산업군 도출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지방정부의 도시재생정책에 있어 도시생활권의 지역산업연계형 도시재생계획 수립 방향 제시한 것이다. The paradigm of urban policy in South Korea has been changed from the balanced develop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1980s ~2000s to the era of urban regeneration focused on people and places. Based on the paradigm shift, the government enacted the 「SPECIAL ACT ON PROMOTION OF AND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in 2013. In 2017, the Moon government of South Korea introduced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to overcome the plan-biased, low sensory level, and limitations of government support. The government is pursuing projects with a strong emphasis on expanding public investment and public support, leading local and residents, promoting socially integrated projects, and creating jobs through urban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elected from 2016 to 2019, 59 of the 317 in good , 183 in the state, and 75 in depression The reason for the depression was lack of preliminary preparations before selection due to insufficient site securing and lack of specificity in planning. Although it is an urban innovation project aimed at revitalizing a declined urban area with public-private participation, the creation of space without considering local industries consideration and of job fostering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created in the process of business show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urban regeneration policy.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t is urgent to establish an urban regeneration policy using local industries for attracting private capital and expanding public infrastructure. It is also necessary to fix the scope of influence of urban functions to regenerate the declined urban area and to research local industries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urban regeneration project, it is necessary to propose an urban regeneration plan by establishing the spatial scope of the urban regeneration plan that reflects the actual urban function and deriving the regional-connected industry for revitalizing the declined a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an urban revitalization plan connected with existing urban functions and regional industries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lusters that have a spatial effect on the total production in the urban living zone, and deriving regional-connected industrial groups in urban regeneration area that require new introduction functions, This study is largely composed of three parts: setting up the urban living zone,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lusters and gross production in the region, and analyzing the spatial impact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First,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urban living zone was defined as the central area (CBD;Central Business District) within the metropolitan city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clustering unit in the hinter land, and the urban zone of the living sharing the mutual external economic effect and functional network across the borough boundary. In this context, social network analysis (aggregation structure, cluster) was used as an analysis method for establishing the urban living zone, using the traffic PA data(Production zone and Attraction zone based traffic;home and non-homebased trip work, shopping, etc.). In 2016, the traffic PA data between Eup·Myeon·Dong (171) in Gwangju and Jeonnam were processed and used only for traffic volume PA data between Gwangju Metropolitan City Dong(95) using Gwangju Metropolitan Area Purpose Traffic PA data (National Transportation DB). For social network analysis, the primary urban living zone (3 areas) was extracted by analyzing the cohesion structure of the network using NetMiner 4, a specialized SNA analysis tool. Second, for each of the three urban living zones, A urban living zone, B urban living zone, and C urban living zone, derived from PA data for home, non-home based work, shopping, and other purposes, each of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Eigenvector Centrality, We analyzed them and compared the higher Eigenvector Centrality area with great centrality of urban life zones to the centers of the 2030 Urban Basic Plan (2 city centers, 3 city centers), and finally named and set Gwangju Metropolitan City Urban Living Zones. As a result, Gwangju Metropolitan City Urban Living Zone 3 is Sangmu new-CBD-Songjeong sub-CBD(A), Old CBD-Baekwoon sub CBD(B), Chumdan sub CBD northen living zone (C). Second, the industrial cluster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living zone and the gross domestic product were measured.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Q=f(K, L, T, U, D, S)] was used to analyze the spatial effect of industrial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urban areas on the total production in the region. Each variable was set for spati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production function. Gross production in the Q reg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was used as a proxy variable by estimating the added value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through the share of the number of workers in the industry (16) by using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GRDP, 2016) by economic activity of the basic municipality. Control variables include L labor factor (number of employees/number of employees), K capital factor (local tax per capita × production population), T technology (integration) factor ((number of employees/population)/(number of employees/area)), integrated index (CI), S is a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urban spatial element (1/HHI, community index, HHI;Herfindal-Hirshman index) The independent variable is the industr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integrated external economy,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specialization of the same industry according to the localization economy (scale external economy)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heterogeneous industry according to the urbanization economy (external economy of scope). ”And set them as D Localization Economic Element (LQ) and U Urbanization Economic Element (DI). The measurement industry group was selected to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lusters of all industries in order to provid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an urban regeneration plan that links existing urban functions with local industries. To this end, 19 industrial classification systems and 99 industrial classification systems are classified into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based o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industrial classification relations. Reclassified into the final 6 industries by focusing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that includes the specific industry tax classification. The six industries of measurement are the main period manufacturing industry(10 types), knowledge-based manufacturing industry(14 types), infrastructure industry(4 types), knowledge service industry(21 types),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11 types), public and social service industries( 6 types) Third, it is an analysis of the spatial impact relationship between gross production and industrial cluster characteristics in urban living zones. Empirical data of industrial cluster characteristics (LQ index, DI index) as measured variables, technology and capital factors as control variables, economies of scale (industrial cluster CI index), form and functional urban spatial factors (1/HHI, community centrality index) Spatial regression analysis (GeoDa program) was conducted by combining spatial data of administrative buildings (QGIS). Since the social network analysis using the objective traffic volume (PA) during the administrative period was preceded, the construction of the spatial weighting matrix for spati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DISTANCE WEIGHT method using the GeoDa program. The spatial regression analysis of the urban living zone uses the GeoDa program to analyze the linear regression model (OLS), spatial lag model (spatial lag), and spatial error model (spatial error) and final space as a highly significant spatial error mode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luste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regional production in the western living zone of Sangmu new-CBD-Songjeong sub-CBD western living zone are the specialized infrastructure industry, specialized distribution and service industry, specialized public and social service industry and various distributions of the knowledge manufacturing industry.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luste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regional production in the Old CBD-Baekwoon sub CBD southern living zone are the various cluster distributions of the knowledge-based manufacturing industry,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and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lusters that have a positive (+) effect on regional production in the Chumdan sub CBD northen living zone are the various cluster distributions of the industry classification, key manufacturing industry, knowledge service industry, and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lusters affecting total production in urban living zone,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planning was suggested. The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in the new downtown area should be reflected in the urban regeneration plan to establish base facilities and manpower training program so that various knowledge manufacturing industries can be located. In the metropolitan transportation-center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expansion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complex development should be reflected in the plan so that the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can be specialized and integrated.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for the old town area , The urban industry should be involved in the urban regeneration plan establishment in order to foster various knowledge-based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and the urban regeneration plan should be reorganized so that distribution service groups can be variously positioned to revitalize commercial areas.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of the high-tech industrial complex, the plan to link regional industries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should be included in the urban regeneration plan so that various networks of various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service industries can actively occur.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connection with a local university should be accompanied by an urban regeneration plan in order to create base facilities and support programs so that start-ups in various fields of knowledge service can take place.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o establish urban living zone based on the life and activity of the settled population for the internaliza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plan, and to derive regional industrial group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regional production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Korea, the direction for establishing the urban regeneration plan related to the regional industry in the urban living zone in the urban regeneration policy of the local government was suggested.

      • 문화 예술단지를 통한 도시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 상하이 M50과 부산 감천문화마을 사례비교를 중심으로

        호설자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몇 년 도안 세계적으로 많은 도시의 현대화과정은 낡은 건축을 무너뜨리는 것이 아니라 역사가 살아있는 지역에 새로운 생명을 주입하는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도시 문맥의 연속성을 존중하면서 재순환, 재활용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이념이 환영받는 것이다. 본 논문은 중국 상하이 M50와 한국 부산 감천문화마을 이 두 사례를 선택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 두 사례를 선택하게 된 이유는 아래와 같다. 첫째, 이 두 가지 사례는 중국과 한국 두 나라의 도시재생발전사례 중에서 모두 매우 성공적인 사례이고 해마다 대량의 관광객들을 유치해 당지의 관광업 발전을 촉진하고 경제발전을 이끌고 있으며 나아가 당지의 문화특색과 브랜드로 거듭나고 있다. 둘째, 상하이와 부산은 모두 연해도시에 속하며 각각 한국과 중국의 중요한 경제 무역항구 도시로서 지리적 위치와 경제적 역할에서 두 도시는 매우 높은 유사성을 띄고 있다. 셋째, 상하이 M50은 폐기된 낡은 공장을 혁신하여 재활용한 산업유산발전으로 분류되지만 부산감천문화마을은 문화유산에 분류되어 도시 재생건설에서 많은 유사한 점과 다른 점이 존재한다. 이 두 도시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과 중국의 도시 재생발전건설 중의 부분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요해할 수 있으며 그 장점을 중국의 기타 도시의 재생발전에 응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주요하게 역사적, 경제적, 정소적, 문화적, 사회적 등 5개 방면으로부터 출발하여 상하이 M50과 부산 감천문화마을을 비교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두 도시의 재생발전 공통점과 차이점에 관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두 가지의 공통점이 있다. 하나는 이 두 사례는 발전초기에 모두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조직되어 추진되었으며 일정한 초기 형태가 형성된 후 정부에서 참여하였다. 다른 하나는 두 도시는 모두 당지 기존의 건축 및 특색을 보호하는 토대 위에 당지 기존의 자원과 우세 특점을 유리하게 결합, 이용하여 새로운 혁신과 개발을 하고 새로운 생명을 불어 넣었다. 차이점도 두 측면으로 나뉘어 졌다. 하나는 문화면에서 부산 감천문화마을은 태극도 문화를 한층 많이 활용하여 전통문화 요소가 아주 풍부하여 상하이는 그 자체가 융합성이 강한 도시로서 M50발전과 재건에서 다문화라는 특징을 한층 살려 단지 내에 들어서면 다국적인 문화요소를 많이 느낄 수 있다. 다음으로 문화행사면에서 다른 점이 있다. 부산감천문화마을은 해마다 부동한 테마의 마을미술프로젝트를 진행하지만 상하이M50은 축제를 위주로 하고 있다. 부산 감천문화마을과 상하이 M50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 도시재생발전 중에서의 중국과의 부동한 점을 배울 수 있으며 이를 중국의 기타 도시 재건사업에 더 잘 응용할 수 있다. Modernization in a host of metropolises is characterized by infusing a new life into ancient areas instead of demolishing ancient architectures in recent years. It has aroused an extensive consensus that respecting context continuity of the city, paying attention to reuse, recycl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s indispensible to a city. This paper employs Shanghai M50 Creative Business Park and Gamcheon Culture Village as two typical cases for a comparative study to find out underlying mechanism. Two examples are preferred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and foremost, both of them are successful model in terms of urban regeneration. Tourists are attracted to pay a visit in flocks which contributes to the local tourism industry and promotes the development of economy. What’s more, it stimulates a formation of unique cultural feature and brand locally. Subsequently, Shanghai and Busan, as one of most important coastal cities in China and South Korea, play an irreplaceable role in trading and highly resemble each other considering its geographical location and economical status in two countries. Lastly, M50 is classified as industrial inheritance since it’s used to be an abandoned factory, while Gamcheon Culture Village belongs to cultural inheritance. Regarding numerou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wo cities, it’s possible to learn more about commonalities and discrepancies in the midst of urban regeneration in two countries through a comparative approach and apply its advantages to other cities in China. This paper aims to make a contrastive study of M50 and Gamcheon from 5 different perspectives—historical, economical, placeness, cultural and social, respectively. Both have two things in common as below: firstly, a very spontaneous in early stage, government began to get involved after organization was formed. Apart from that, innovation and development are carried out based upon preservation of original architectures and features, taking advantage of resources. There are two differences as well. To begin with, in respect of culture, Gamcheon embodies Taiji Taoism, teeming with traditional element. On the other side, Shanghai demonstrates multi-cultural integration amid reconstruction of M50 which enable people to experience fusion of culture. In addition, cultural activities are distinct as Gamcheon has a particular theme annually, such as magic festival, but M50 mainly focuses on celebration. 近年来世界上许多大城市的现代化,不是推到旧建筑,而是在历史地区注入新的生命。尊重城市文脉的延续性,主张再循环,再利用和可持续发展的理念得到的了首肯。本论文是选取中国上海M50创意商业园区和韩国釜山甘川文化村这两个案例来进行比较分析,之所以选择这两个案例来分析.首先,两个案例在中韩两国的都市再生,发展案例中都是非常成功的事例, 每年都吸引大量的游客,拉动了当地的旅游观光业并带动了经济的发展,使之成为了当地的文化特色和品牌。第二,上海和釜山都是属于沿海城市,分别是韩国和中国重要的经济贸易的港口城市,在地理位置和经济作用上,两个城市的相似度非常高。第三,上海M50是将废弃的旧工厂再创新利用,是属于工业遗产发展的范畴,而釜山甘川文化村是属于文化遗产,所以在都市再生建设中会有很多的相似和不同之处,所以通过比较这两个城市,可以了解韩国和中国在都市再生发展建设中的一些共同点和差异点,并将其优点运用到中国其他的城市再生发展中。 本文主要从,历史,经济,地理位置,文化,社会、这个五个角度出发将上海M50和釜山甘川文化村来进行对比,总结出他们在都市再生是的共同点和差异点如下。首先是共同点有两个,首先是这两个案例在发展初期都是由民间自发组织,发展组织有了雏形之后,才慢慢地政府开始参与进来.其次是,两个城市都是在保护保护当地原有的建筑以及特色基础之上,并且有利的结合利用当地原有的资源和优势特点来进行进行新的创新和开发,注入新的生命。差异点也是有两大方面,首先是在文化方面,釜山甘川文化村更多运用了太极道教的文化,传统文化元素非常多,而上海这个城市本身就是一个融合性很强的城市,所以在发展重建M50时更多的展现了多文化的这个特点,在园区里可以感受到多国的文化元素。其次是文化活动方面不同,釜山甘川文化村是每年都有不同主题的美术艺术村,而上海M50多以庆典为主。通过分析比较釜山甘川文化村和上海M50,可以从中学到韩国在都市再生发展中与中国的不同之处,将其更好的运用到中国其他城市的重建中来。

      •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상권 활성화 방안 : 대전광역시 일반근린형을 중심으로

        소미경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심 상권은 그 지역을 지탱하는 원동력이었으며 도시의 발달과 함께 도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주거지역과 밀집된 골목상권 및 전통시장은 서민경제의 한 축을 담당했으며 기초적인 도시경제활동을 영위하기 위한 공간이다. 이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되었으며 오늘날에는 그 지역의 역사와 정서를 갖춘 대표적인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교통수단의 발달과 신시가지 및 대형 할인점, SSM의 등장은 지역의 소규모 상권을 쇠퇴시켰으며 인구의 유출로 인한 도시의 쇠퇴와 건축물 및 기반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상권은 슬럼화가 진행되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2017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발표를 통해 쇠퇴한 지역을 살리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소규모 상업 및 주거지역에 대한 재생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 선진 사례분석에 기초하여 대전광역시 도시재생 뉴딜사업 지역 중 일반근린형을 대상으로 상권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하되 일반근린형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지에 한정하며, 각 사업지의 골목상권, 전통시장 등의 상업기능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물리, 경제,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의 도시재생 상권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권 활성화를 위해 상업 건축물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며 상업 건축물 정비시 지역 랜드마크를 활용한 리모델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상권과 연계할 공원, 문화시설 등 기반시설 확충을 통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사람 중심의 계획을 통해 커뮤니티 공간을 형성하여 상인과 방문객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해야 한다. 둘째, 상권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창업 지원, 청년 기업육성 등의 일자리 창출방안과 아이디어 발굴을 통해 플랫폼 사업, 자체브랜드(PB) 개발 등의 지역특화 전략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소득의 재분배를 통한 투자를 통해 지속적인 도시재생사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정부의 정책 지원사업과 함께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의식이 중요하다. 앞서 분석한 사례를 보면 쇠퇴한 상권 기능을 다시 회복하기까지 상인들의 많은 노력이 요구되었으므로 상인들의 능동적 참여와 의식개선으로 상권 활성화를 이루어야 한다. 셋째, 상권 유지를 위한 상인들의 거버넌스 구축 및 역량 강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인 간의 협의회를 구성하여 이해집단 간의 갈등을 조정하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통해 경영 능력, 서비스 질 향상 등을 위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상인협의회 자체에서 진행할 수 없는 상황에 대비하여 재생센터, 기업, 연구소의 협업을 통한 상권 활성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도시가 지속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상인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역 내 지속적 투자로 자생할 수 있도록 지역특화 전략을 함께 연구해야 한다. 넷째,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문화적 자산을 바탕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운영하고 이에 따른 재생방안을 수립하여 상권 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 또한 언론, SNS, 인터넷 등을 활용한 지역의 인지도를 높이는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소극적인 정부 및 지자체의 정책은 지역특성을 잃게 하므로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역고유의 역사와 문화자원을 활용한 재생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재생사업 지구내 상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편중된 계획은 재원 분배의 형평성에 어긋나며 지속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성공적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물리,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측면을 고려한 사업 진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 주거지지원형 도시재생활성화계획에서 스마트기술 도출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중구 신흥동 공감마을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역을 대상으로

        김승후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 past, Korea had been focused on the redevelopment of declining residential areas. However, since these projects were driven by private capital, the projects focused on profitability. Consequently, unprofitable redevelopment projects were rarely considered even if the district was designated as needing redevelopment. Furthermore, the areas where the projects were conducted resulted in poor public approval as the redevelopment projects were planned for the business feasibility. In response to these issues, the public’s role was more greatly emphasized.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began to emerge. This research focuses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r residential area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physical or social variables to improve the residential areas, this study suggests using smart technologies with ICT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is Shinheung-dong, Jung-gu, Incheon, South Korea. This area was selected as the scope as it was part of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n 2018. The New deal Project is Moon administration’s urban management policy. In this study, 13 smart technologie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urban regeneration plan for Shinheung-dong. The 13 smart technologies were further divided into 5 separate categories (Residential environment, Shared facilities, Street environment, Residential management platforms, Living & welfare). After urban regeneration plans were developed for each category.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deeply analyzes and breaks down Shinheung-dong’s Urban Regeneration Plan.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to study similar environments. 과거 우리 사회에서 쇠퇴한 주거지를 재활성화하기 위해 채택한 수단은 물리적 환경개선에 초점을 맞춘 정비사업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은 민간 자본이 중심이 되어 추진되었기 때문에 수익성이 담보된 공간을 위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수익성이 기대되지 않는 도시공간은 사업구역으로 지정된 후에도 도시정비가 이루어지지 않아 오히려 주거환경이 악화되는 결과를 야기하였다. 한편 사업이 진척된 구역 또한 사업성에 중점을 두고 공간계획을 수립하였기 때문에 도시 전체로 봤을 때 공공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응으로 도시의 환경을 개선하는데 공공의 역할이 강조되었는데, 이때 부상한 개념이 도시재생이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뉴딜사업에서 노후 저층주거지를 대상으로 한 주거지지원형 사업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다. 기존의 연구들이 노후 저층주거지를 개선하기 위해 물리적인 정비방안, 마을만들기와 같은 사회적인 재생 등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다면, 해당 연구는 쇠퇴한 노후 저층주거지의 환경개선을 위해 ICTs(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한 스마트기술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해당 연구에서는 노후 저층주거지라는 개념적인 범주에서 스마트기술을 접근하기 보다는 인천광역시 중구 신흥동 일원이라는 특정 공간을 매개로 스마트기술을 도출하였다. 신흥동 일원은 2018년 도시재생 뉴딜사업에서 주거지지원형으로 선정된 지역이며, 도시재생 뉴딜사업 활성화계획이 수립되어 있다. 해당 계획은 도시재생뉴딜이 설정한 목표에 따라 전략을 수립하였고, 지역현황을 분석하여 전략에 대응되는 단위사업과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흥동 일원 도시재생 뉴딜사업 활성화계획을 상위계획으로 염두에 두고 해당 계획의 단위사업과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13개의 스마트기술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스마트기술의 내용을 검토하여 다섯 가지의 분류로 나누었고, 각각의 범주에 맞춰 주거환경 재생계획, 주민이용시설 재생계획, 가로환경 재생계획, 도시관리플랫폼 재생계획, 생활ㆍ복지 재생계획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신흥동 일원의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을 분석하고 계획을 구체화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유사한 환경을 가진 노후 저층주거지에 스마트기술을 검토할 때 하나의 케이스 스터디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그러나 해당 연구는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제안한 스마트기술을 다른 특성을 지닌 도시공간(상업지역, 공업지역)에 적용할 때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술적인 측면으로 도시공간을 접근하였기 때문에 도시재생에서 강조한 사회적인 재생에는 시사점을 도출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 도시재생사업이 지역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지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시재생사업은 도시쇠퇴의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나타난 21세기형 도시문제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국내의 경우 2013년 도시재생특별법 제정과 함께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뉴타운 출구전략에서 출발하여 2015년 ‘2025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수립함으로써 13개 도시재생활성화 선도 지역을 선정, 본격적으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였다. 서울시의 도시재생사업은 주변지역 부동산시장에 대한 예민한 반응이 예상되어 도시재생사업 시행으로 인한 부동산시장변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도시재생사업에 있어 지역거주민의 인지도 내지는 관심도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물리적 개선사업과 비교하여 환경개선의 효과가 입증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규모 예산투자가 이루어지는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가장 먼저 도시재생사업이 진행된 도시재생 활성화 선도 지역사업이 지역주택가격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도시재생사업이 지역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의 유형과 사업지역의 특성에 따라 그 영향정도가 상이할 것이라 판단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유형화 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도시재생 선도 지역(활성화지역 1단계)이며, 시간적 범위는 도시재생법이 시행된 2013년부터 서울시 도시재생 선도 지역 사업고시 2년 후인 2017년까지이다. 분석을 위해 사전적으로 그랜저인과관계 검정을 통해 유형별 도시재생 사업지와 주변지 아파트 매매가격간의 인과관계 및 선행성을 시계열자료의 분석을 통해 고찰한 후, 정책효과를 측정하는 패널회귀분석법인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도시재생사업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선행연구와 같이 그랜저 인과분석을 시행한 결과 아파트가격간의 인과성 그랜저인과분석결과 도심권 중심업무지구(CBD)의 재생지역과 신촌, 창동상계 도시재생사업지역 아파트가격은 인접지역에 일방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충분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수ㆍ장안 재생지역의 경우 인과관계를 상호 확인할 수 없었으며, 암사 재생사업지의 경우 쌍방 인과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도시재생사업지역과 인근지역 아파트간의 가격영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업요소적 측면에서 주거, 상업, 산업이 모두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중심상업지역에 대한 도시재생사업이 가장 영향력이 컸으며, 다음으로 제조ㆍ유통산업지역의 근린상업부흥 위한 근린상업형 도시재생사업이 영향력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근에 재건축ㆍ재개발, 신도시 사업이 위치해 있는 근린주거지역 도시재생사업은 음(-)의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도시재생사업에 비해 물리적 개선ㆍ개발 사업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주거환경개선의 효과를 주택가격을 지표로 활용하여 살펴봄으로써 도시정책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는 데에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의 대상이 되는 지역이 갖는 복합적이면서 세부적인 성격을 고려하여 분석함으로써 도시재생사업의 유형별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를 심화시키고 발전시켰다는 데에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분석결과의 해석에 있어서 주택가격의 차이가 도시재생 사업지역과 인접지역을 비교한 상대적인 차이이며, 아파트의 경우 주택가격이 상대적으로 표준화 되어있음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expected to have a sensitive response to the real estate market in the surrounding areas, which is drawing keen public attention to the changes in the real estate market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However,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or interes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re are lots of criticisms and concerns tha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here large-scale budget investment is not sufficient for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compared to physical improvement project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n local housing prices, noting tha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ill affect the prices of local housing. In addition, the extent of their impact would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he spatial extent of this study is the leading area for urban regeneration of Seoul. The time span of this study is from 2013 when the Urban Regeneration Act was enforced to 2017 which is two years before and after presente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2015.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difference in price impact between urban regeneration and apartments in nearby areas found tha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central commercial areas with infrastructure readjustment as the main projects were the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urban regeneration projects designed to revitalize the economy in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industries. On the other h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old residential areas, where near by reconstruction, redevelopments and new urban projects, have less impacted. It is because physical improvement and development projects is more effective tha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is study holds academic significance that the effectiveness of urban policy has quantitatively analyzed the effect of improving housing environ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utilizing housing prices as an indicator. Also, It is meaningful because the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s been considered by considering the complex and detailed nature of the areas subject to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owever, it is expected to be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difference in housing pric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is relative between urban renewal business areas and adjacent areas. It has to be considered that housing price of apartment is relatively standardized.

      • 원도심 도시재생 계획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은행1구역을 중심으로

        장재훈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시의 경제적 성장으로 인해 유입되는 인구를 수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시는 물리적 확장을 거듭하기 시작하고, 도시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가 남아있는 원도심은 그로인해 자연스럽게 도시기반시설의 노후화나 경제침체 등의 다양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도시의 문제점들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점이 아니며,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으로 이미 일본, 영국, 미국 등의 선진국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와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미 오래전 도심지 쇠락지역의 재활성화를 위해 뉴타운의 개발 등의 재개발 사업을 진행하거나, 벽화마을, 한옥마을 등 도시브랜드의 창출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시키려 노력하고 있지만, 도시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징과 문화 등을 무시한 채 성공사례를 벤치마킹하는 것만 집중해 이렇다 할 성공사례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대전은 1904년 경부선의 개통과 1914년 호남선의 개통으로 충남지역 거점 도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으며, 대전으로 유입된 일본 상인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그들에 의해 지배되어 갔다. 이와 같은 과정을 겪으면서 대전은 근대도시로서 발전을 거듭하게 되어 현재도 원도심에는 근대역사문화자원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 대상지인 대전 중구 은행1구역 역시 1930년대 물품거래가 있어왔던 소규모의 시장이 현재까지 일부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주거지역에는 일본양식의 목조주택들이 위치해 있던 흔적이 남아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과 관련한 이론과 국내 법 · 제도를 고찰하였으며, 대상지의 현황조사와 국내 · 외 재생사례의 조사 ·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토대로 대상지에 적합한 재생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재생계획은 크게 주거지역의 재생, 상업지역의 재생, 예술가의 거리조성, 커뮤니티 장소조성 등의 네 가지 방향을 설정하여 대상지를 활성화 할 수 있는 계획을 제시하였다.

      • 도시재생사업 지원의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지표 설정

        김철규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시재생은 도심이나 구시가지의 낙후된 환경을 개선하여 도시의 활력을 되찾는 것을 목표로 한 새로운 도시개발방식의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으나 한정된 재원으로 인하여 도시재생 사업의 추진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바, 한정된 재원을 효과적으로 투입하여 효과적인 도시환경을 개선해 나가기 위해서는 그 지원 대상에 대한 우선순위 선정이 요구되어지므로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효율적인 평가지표의 개발은 그 의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재생 사업 지원을 위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함으로써 도시의 전반적 기능회복을 위한 도시재생 사업에 있어서 한정된 재원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먼저, 도시낙후지역의 이미지와 발생원인 및 개선방안에 있어서는 첫째, 도시 낙후지역의 이미지는 시각적인 부분과 연관하여 물리적 측면에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발생요인으로는 생활의 편의성과 삶의 질적 수준 제고 및 지역의 안전성 등의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셋째, 도시 낙후지역의 기능회복을 위한 방안으로는 교통시설의 정비 및 확충, 도시기반시설의 정비 및 개선, 오픈스페이스의 정비, 지역의 경제활성화, 문화 및 여가활동의 편의성 증진, 지역의 안전성 확보 등의 방안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음으로 도시재생사업 지원을 위한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지표설정을 위한 연구 결과를 보면, 먼저 연구의 진행을 위한 평가 검토 지표의 타당성에 대한 분석결과 20개 지표 모두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검토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와 관련해서는 총 20개 지표 중에서 설문조사의 각 항목별 중복 응답 수에 각 지표별로 분석된 중요도에 대한 점수를 곱한 가중치 점수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역 내 노후불량 건축물의 비율, 지역 내 교통시설 보급률, 지역 내 도시기반시설의 용량, 지역 내 생활편의시설의 보급률, 지역 내 공원․녹지율, 지역의 문화 및 여가 공간 비율, 지역의 범죄율, 지역의 소득수준의 8개 지표가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되었다. 따라서 연구결과로 제시된 평가지표는 도시재생사업 지원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지며, 향후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한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는 각각의 지표별 상대적인 중요도에 대한 계량적 분석에 대한 연구가 바탕이 될 경우 우선순위의 선정을 위한 평가 모델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인천시 도시재생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루원시티를 중심으로

        이경옥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도시의 경쟁력이 곧 국가의 경쟁력으로 직결되는 세계화시대에 우리 사회는 급격한 산업화 및 도시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 도시의 급격한 성장으로 도시의 무계획적 외연적 확산과 대도시 과밀화, 교통혼잡, 열악한 보행환경, 환경오염의 심화, 자연생태계 파괴, 공원녹지의 부족, 서민형 주택의 부족, 도심의 쇠퇴, 커뮤니티의 비활성화, 지역의 정체성 부재 등 도시문제로 보다 합리적이고 계획적인 도시재생은 필수 불가결한 사항이 되었다. 또한 2014년 아시안게임을 유치한 인천시의 도심지역은 도시재생 및 도시재개발, 재건축이 시급한 상황에 당면해 있다. 아시안게임 주경기장과 인접해 있고 지리적으로 경인고속도로로 진입하는 인천의 관문으로서의 중요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 루원씨티는 인천시에서 가장 먼저 시작한 도시재생사업으로, 국내 유일의 최첨단 입체복합도시로서, 상업, 주거, 교육, 문화기능이 어우러진 복합도시로 개발되고, 공원 등 녹지의 조성으로 쾌적한 도시 주거환경이 조성된다. 본 연구는 루원씨티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도시재생사업의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관련된 쟁점사항을 가지고 루원씨티 인근 5개동 부동산 중개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루원씨티 도시재생사업 구역설정 범위에 관한 설문에서, ‘보통이다’ 라는 응답이 대부분으로 부동산중개업자들은 특별히 우수한 사업으로 평가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사업시행방식에 대한 설문에서 수용방식으로 진행중인 루원씨티 도시재생사업은 지역별로 상이한 평가 차이를 보여 사업에 따른 혜택과 비용이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도시재생사업의 효과측면에서는 루원씨티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지역 브랜드상승에 가장 높은 응답을 하였으며, 다음으로 상습정체해결, 주거환경개선, 상권발달 등이라고 응답하였다. 사업지역에 입지해야할 필요시설로는 대형백화점등 상업시설을 가장 높게 희망하고 다음으로 공연장 등 문화시설을, 다음으로 공원녹지 등 휴식시설을, 다음으로 대형병원 등 의료시설을 희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상 및 이주대책에서는 세입자보다 소유자의 보상이 다소 부족했다고 응답하였다. 주민참여형태로 설명회나 공고·공람과정에 의견제시한 경험을 묻는 질문에서 한번이상 참여한 적이 있다고 한 응답이 약간 있지만 아직까지 소수의 사람들만이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민 의견 반영정도를 묻는 설문에서 대부분이 잘 반영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표출되어 사업주체는 주민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반영하는데 노력해야 한다고 분석되었다. 향후 부동산 시장 변화에서 루원씨티 추후 예상 분양가를 묻는 설문에서는 분양가를 1200만원 이하가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동산시장에 대한 전망을 묻는 설문에서 안정시기 라는 응답이 많아 부동산 시장에 대한 예상은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택 재개발, 재건축은 주민요청에 의한 사업이지만 도시재생사업은 공공기관의 요청에 의해 주민의 의견 반영 없이 사업이 계획·추진된다. 공공기관은 원주민의 이익보다는 사업목적달성에만 치중하게 되어 실제 원주민은 누구를 위한 개발인가에 의문을 갖게 된다. 낙후된 인천의 도심에 있어서 도시재생사업은 꼭 필요한 사업이다. 도시재생사업 시 해당 구역보다 인근 지역이 더 큰 수혜를 보는 현 제도상 문제를 수정하고 해당 지역의 주민이 개발된 좋은 공간에 입주해 살 수 있는 개발여건이 조성된다면 반대의견을 제시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정된 시간을 정해놓고 강압적인 밀어붙이기식 사업진행은 주민 반발만 유발하게 된다. 구역지정 전 타당성조사단계 부터 주민에게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으로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고 사업지원을 약속하고 협력을 확인하여야 하며, 일방적이 아닌 쌍방협의를 통한 자연스런 사업이 구상되어야 할 것이다. 사업시행방식도 주민이 결정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주어야 한다. 루원씨티 도시재생사업은 입체복합도시조성으로 계획되어 있다. 인근 지역 주민들도 빨리 사업이 진행되어 입체복합도시 완공을 기대한다. 대행 백화점이 있고, 공연장, 영화관등이 있어 상권 발달과 지역브랜드 상승을 기대한다. 또한 저렴한 분양가로 향후 루원씨티에 입주해 살기를 희망하고 있다.

      • 관광형 도시재생 활성화 요소에 대한 성과인식 및 지속적 사업지지도 : 부산시 도시재생을 중심으로

        이승연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시계획 및 개발의 패러다임이 도시의 정체성과 자립성을 중점에 둔 종합적 지역 활성화를 목표로 한 도시재생으로 변화하면서, 관광형 도시재생이 도시관광 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쇠퇴한 도심과 관광의 결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로 다수의 도시재생 관광지가 활성화되고 있지만, 관광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이면에는 또 다른 사회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관광형 도시재생에 있어 지역사회 및 사업주체 간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주민 참여와 지속적 지지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역민들의 인식조사 및 의견 수렴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관광형 도시재생사업 성과와 관련된 연구는 주로 주민과 관광객의 만족도, 참여도, 장소애착도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어 이뤄졌으나, 주민이 체감하고 인식하는 사업성과 및 지지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민의 성과인식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성과인식과 지속적 사업지지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보다 실효성 있는 개발계획 수립과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정책의 시사점을 이끌어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부산시 대표 도시재생 관광지인 감천문화마을, 비석마을, 흰여울문화마을을 중심으로 관광형 도시재생 활성화 요소에 대한 주민들의 성과인식을 지역적 성과인식과 관광적 성과인식으로 구분하여, 성과인식이 지속적 사업지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했다. 요인분석을 통해 관광형 도시재생 활성화 요인으로 사회·환경적, 문화·네트워크적, 경제적, 정책지원적 4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실증분석을 통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형 도시재생 활성화 요소와 지역적 성과인식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사회·환경적 요인과 경제적 요인이 지역적 성과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네트워크적 요인과 정책지원적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형 도시재생 활성화 요소와 관광적 성과인식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사회·환경적 요인과 경제적 요인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문화·네트워크적 요인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민들의 성과인식과 지속적 사업지지도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지역적 성과인식과 관광적 성과인식 모두 지속적 사업지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관광형 도시재생에 있어 사회·환경적 활성화와 경제적 활성화는 주민들의 성과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성과인식은 지속적 사업지지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다수의 선행연구의 사회교환이론에 부합하는 결과로써 관광형 도시재생에 대한 주민들의 성과인식이 지역개발을 지속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재확인 시켜주는 결과이다. 반면 다수의 선행연구와 반대되는 결과로, 지역의 문화·네트워크적인 부분은 주민들의 관광적 성과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코로나19 거리두기로 인한 공동체 활동의 둔화와 관광산업 침체로 인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감소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향후 관광형 도시재생사업 추진 시 지역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사회·환경적 사업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며, 시설조성 후 지역사회의 운영·관리가 실질적으로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주민역량강화(S/W)사업과의 연계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한편, 관광으로 인한 경제 활성화는 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 및 오버투어리즘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켜, 원주민 이탈 현상을 심화시키는 원인으로도 작용함으로, 지역사회의 양극화를 해소하고 지역경제 선순환을 고려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공백을 없애고 지역공동체 중심의 재활성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과 대책마련이 필요하며, 지역 관광 재기에 대비한 갈등관리 및 방문객 교육 등의 구체적인 방안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통한 조형물의 시각커뮤니케이션적 연구 : 광주폴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김하나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광주광역시의 구도심 재생 활성화 프로젝트는 지역 고유의 역사와 문화적 특성들의 재가치화를 통해 도시 정체성을 강화하여 구도심을 활성화하고 나아가 지역주민의 자긍심을 높이며 관광수요를 창출하는 도시재생 사업의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광주시의 구도심은 건물이나 시설의 물리적 환경이 노후되고 방문자가 줄어들어 예전의 활기를 잃는 낙후 현상인 도심 공동화 현상을 겪게 되면서, 시의 주체 하에 광주폴리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된다. 광주폴리 프로젝트는 2011년 1차 사업을 시작으로 2019년 기준으로 3차 사업까지 이어져 오고 있으며, 광주 구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세계 각국의 작가들이 참여한 30여 개의 폴리 작품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 광주폴리 프로젝트에 대한 대외적 평가는 긍정적이었지만, 실제로 작가들의 현장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공간의 맥락을 읽지 않은 채 디자인에만 집중하여 도시 미관을 해친다는 지역 시민들의 부정적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도시는 그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반영하며, 그 자체로 지역 문명의 표상으로 조망된다는 관점에서, 광주폴리는 주변 경관을 이루는 다양한 요소와의 조화를 통해 풍요로워질 수 있는 환경정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미관과 주변 환경에 어우러지는 시각적 관점에서 광주폴리를 재평가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지각하였다. 이에 시각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광주폴리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조사방법으로 광주시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광주폴리 프로젝트 실무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각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조사를 통해 광주시민을 대상으로 광주폴리 프로젝트에 대한 인지 수준과 시각커뮤니케이션 평가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 대다수가 광주폴리를 잘 인지하지 못했으며, 이에 따라 구도심 활성화와 광주 고유의 역사 및 문화 재생과 같은 광주폴리의 추진 목적에 대한 평가도 낮게 나타났다. 조형의 구성원리와 예술적 가치에 대한 평가에서도 전체 평균은 중간값 이하로 나타났다. 그러나 폴리에 대한 지식수준과 광주폴리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이 예술적 가치와 대비, 리듬, 균형의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응답하였으며, 광주폴리 선호수준이 높은 집단이 예술적 가치 및 모든 조형 구성원리에 대한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응답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광주폴리 프로젝트 실무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에서 시각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광주폴리의 공간, 형태, 질감에 따른 평가를 집중적으로 조사한 결과, 작가의 제작 의도와 달리 작품의 상징성이 방문객에게 잘 전달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공간적으로 주변환경과의 조화가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형태적으로는 작품의 창의적 표현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기도 하였지만, 지속적인 유지 관리 측면에서 재료 및 표현에 관한 이슈가 제기되는 등 광주폴리의 시각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의 평가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 사업의 일환으로써 광주폴리의 실효성에만 초점을 맞추어 성과를 분석한 연구가 많았는데, 도시조형물로써 시각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평가 필요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분석 준거를 마련하여 광주폴리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실제 시민과 관계자의 응답을 통해 광주폴리의 낮은 인지도, 목적과 취지의 홍보 부족, 지속적인 유지 관리의 필요성 등에 대한 결과를 도출해냄으로써 앞으로의 광주폴리와 유사한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있어 실질적인 개선 방향성을 명확히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