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데이터베이스 보안성 강화를 위한 감리 점검항목 연구

        박성은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데이터베이스 보안성 강화를 위한 감리 점검항목 연구 IT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정보자산의 가치가 높아졌고, 정보자산의 남용과 불법적인 탈취로 인하여 개인정보보호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각종 법과 규제 그리고 가이드라인이 만들어 졌고, 2011년 3월 개인정보보호법이 제정되면서 업무적으로 암호화 대상이 되는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시스템은 암호화를 적용해야 한다. 많은 기업이 암호화를 적용 하였지만 정보시스템 감리지침에서 보안과 관련된 점검항목이 포괄적으로 서술되어 있어 감리 시 감리원의 주관적인 판단과 역량에 의하여 같은 시스템이라도 전혀 다른 감리 결과가 나올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 하였다. 본 논문은 정보시스템 감리 시 보안성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감리 점검을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 보안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통합된 점검항목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특화된 DQC-S를 기준으로 공신력 있는 PIMS, K-ISMS, PIPL을 비교·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 보안과 관련된 점검항목을 도출 하였다. 공통부분인 DB보안 정책수립 영역은 22개 점검항목, DB 접근제어 영역은 9개 점검영역을 바탕으로 48개 점검항목, DB 암호화 영역은 12개의 점검영역을 바탕으로 54개의 점검항목, DB 작업결재 영역은 9개 점검영역을 바탕으로 17개의 점검항목, DB 취약점 분석 영역은 8개 점검영역을 바탕으로 37개 점검항목으로 보완하여 구성 하였다. 개발된 각 영역별 점검항목을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 보안성 강화를 위한 활용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 멀티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정보공유를 위한 개념 기반 의미망

        이정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8703

        멀티데이터베이스 시스템(multidatabase system)에서 여러 요소데이터베이스(component database: CDB)에 대한 통합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의미 이질성(semantic heterogeneity)이 탐색되고 해결되어져야 한다. 즉 멀티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각 요소데이터베이스가 가지고 있는 정보의 의미를 이해하고 의미적으로 동등한 또는 유사한 정보들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멀티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실세계의 동일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여러 다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요소데이터베이스간의 의미 이질성을 탐색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정보가 가지고 있는 개념간 의미관계에 기반한 의미망(semantic network: SN)을 구축한다. 각 요소데이터베이스가 가지고 있는 정보의 통일된 의미 표현과 정확한 의미 해석 그리고 정보통합과 정보접근을 위한 지식베이스로서 WordNet을 활용한다. 개별 요소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의미망들을 이용하여 의미이질성을 탐색하고 전역 의미망을 생성한다. 전역 의미망(global semantic network: GSN)은 분산된 환경에 대한 접근지식(access knowledge)과 의미지식(semantic knowledge)을 제공한다. 또한 의미질의어(semantic query language: SemQL)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스키마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어도 여러 자율적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A multidatabase system provides integrated access to heterogeneous, autonomous component databases in a distributed system. In order to gain integrated access to a multidatabase system, semantic heterogeneities have to be detected and resolved. That is, the multidatabase system must interpret and integrate the meaning of the information and identify semantically equivalent or related objects. Another problem in multidatabase systems is allowing user s to handle information from different databases that refer to the same real-world entity. In this paper, we provide semantic networks so that multidatabase systems can detect and resolve semantic heterogeneities among component databases. And we provide a semantic query language, SemQL, to capture the concepts about what users want. It enables users to issue queries to a large number of autonomous databases without prior knowledge of their schemas.

      • 데이터베이스 응용을 위한 통합 객체지향 분석·설계 방법론

        조도형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효율적인 응용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요구사항에 맞는 분석과 설계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사용자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분석과 설계, 프로그래밍 및 테스트 등 많은 작업을 통하여 응용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이 진행된다. 응용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 과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핵심을 이루는 작업이 바로 분석과 설계 작업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응용소프트웨어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구축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와 관련한 분석 및 설계 작업이 응용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 과정의 분석과 설계 작업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과정에 속한다. 그러나 응용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많이 사용되는 대부분의 객체지향 분석·설계 방법론들은 데이터베이스에 관련된 분석 및 설계 과정에 대하여 다루고 있지 않다. 다만 일부 방법론들이 케이스 툴을 사용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설계 작업을 부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응용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객체지향 분석·설계 방법론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 분석과 설계 과정을 통합하여 일관된 설계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응용소프트웨어 분석과 설계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 설계 작업을 통합시켰다. 그리고 응용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채택한 데이터베이스 유형에 따라 객체지향 분석·설계 방법론과 통합된 관계형 또는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설계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객체지향 분석·설계 방법론에 데이터베이스 분석과 설계 과정을 통합함으로써, 일관된 설계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소프트웨어 분석과 설계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분석과 설계 작업을 통합하여 진행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줄이고 소프트웨어의 유연성과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 한국 기업의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수행에 있어서의 핵심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정희 梨花女子大學校 精報科學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에서는 고객정보 및 관련정보를 체계화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고객서비스와 마케팅의 경쟁우위를 획득하려는 정보기술의 전략적 활용을 의미하는 데이터베이스 마케팅(Database Marketing)을 수행하는데 있어 핵심성공 요인(Critical Success Factors)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향후 바람직한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의 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현대의 마케팅 활동과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의 개념,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의 기초 및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을 위한 기업전략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요소 기술의 고찰을 통해 관련기술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둘째는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사례분석으로 우선 해외 통신회사의 사례를 들어 실제로 운영되는 마케팅 시스템의 시스템 전반에 관해 고찰해보고 핵심성공요인에 대해 살펴 보았다. 셋째는 국내 신용카드 회사의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의 심층 사례로서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기법에 기초한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의 구체적 분석 기법들과 모형을 제시하여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에 관한 이해를 돕고 이러한 구축 사례를 토대로 앞으로 국내 기업이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의 핵심성공요인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도출된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의 수행에 있어 핵심 성공 요인은 크게 전략적, 정치적, 행태적 요인, 기술적 요인의 4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전략적 요인으로는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업무규칙(business rule)을 정확히 알고 모델링(modeling)을 한다는 것이다. 정치적 요인으로는 최고경영자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어야한다. 또한, Vendor를 적절히 이용하면서 개발 전략을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술적 요인에서는 기업의 환경에 맞는 아키텍쳐(Architecture)로 설계해야 하며 고객데이타베이스의 정합성 문제를 무엇보다 중요하게 고려하며 행태적 요인으로는 프로젝트팀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중요하며 최종사용자와는 좋은 Partnership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실제 기업에 도입되어 사용하고 있는 마케팅 모형의 구체적 제시로 좀 더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고자 하는 기업들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시스템의 활발한 수행과 사례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을 기대해 본다. In recent years, information technology has rapidly developed and on the basis of it, Database Marketing emerged early in the 1990s. Database Marketing is a new marketing paradigm of database techniques and advanced marketing methodologies combined. The databases is marketing databases - the compilation of names and addresses of individual customers and prospects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ng information, by mail or telephone, that directly or indirectly results in sales and profits. Once the creation of the database comes first, the applications with a marketing tool that is unique, usable, or cost-effective comes later. Database Marketing is rooted in direct marketing, which in turn is rooted in direct mail and mail order. So we may say that Database Marketing is the ultimate extension of direct marketing - selling to an individual rather than to groups, coming ful1 circle to the one-on-one relationship eroded by decades of mass marketing. In a way, Database Marketing completes the circle of marketing evolution. This study is to propose four key success factors for executive Database Marketing through field case studies. Th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trategic Factor, after establishing business goals of the future definitely by those with practical business experience, the control of planning and execution must be in the hands of marketing strategists. Second is Political Factor, it is important to utilize support by hardware vendors for system maintenance and so on. And most of all,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consider concerns and support by chief executive officer regarding Database Marketing project. Third is Technical Factor, the database as an asse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within this factor and it must be integrated. Finally, Behavior Factor means the importance of response-ability between team members or between team members and team leader. That is to have a clear idea of what they want to do each other. Database Marketing will prosper as long as it is led by considering these above factors. Now, Database Marketing is not an option, but a neccessity.

      • 데이터베이스 구축 감리대가 산정기준에 대한 연구 : 지식정보DB 구축 사업을 중심으로

        정일영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an approach in solving the national problem of the IMF crisis in 1998, the National Database Project started building the database for public purposes while pushing ahead the knowledge based business. Since then, the systemized National Database Project such as the Knowledge Information Database construction Project and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base construction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This National Database Project has been doing evaluations on the overall database construction project through obligatory audits on consignment basis and the Database Information System Audit today is being conducted according to the basic inspection points per section of the Database Information System Audit of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Standard. In the meantime, the method of the Database Information System Audit Price rate today follows, as a matter of fact, that of the software development audit price rate according to a notice of the Standard rate of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Price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However, database construction, especially the Knowledge Information Database construction must focus on other major inspection points as per build types and objects differing from the software development audit, moreover, it requires additional input of materials due to quality inspections on built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Database Information System Audit Price, also did an analysis on the cost per database construction section and on correlation of the audit price in order to derive fixed ratio in highly effective rating of the audit price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and designed the relevant linear regression and derived fixed ratio for four models through the result of each modulus estimate. Furthermore, in order for distinctiveness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Database System Audit to be reflected to the fixed ratio of the audit price, this study focused on reasonable rating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Database System Audit Price by calculating and reflecting the appropriate cost for applying quality inspection experts of each knowledge information field. This study aims at helping the purpose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Database construction Project to be achieved through making the best use and improving reliability of national information resources, by establishing the Standard rate of the reasonable Database Information System Audit Price, which are to be evaluated by the Knowledge Information Database System Audit and to be finally serviced. 우리나라 국가DB사업은 1998년 IMF로 인한 범국가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보화근로사업을 추진하며 공공 목적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시작하였다. 이후 지식정보DB 구축 사업과 행정정보DB 구축 사업으로 체계화된 국가DB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DB사업은 의무적으로 위탁감리를 통해 구축사업 전반에 거친 평가를 수행하여왔으며, 현행 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 감리는 정보시스템감리기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감리 영역별 기본 점검항목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현행 데이터베이스 구축 감리대가 산정방식은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정보시스템 감리대가 산정기준 공지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 감리대가와 같은 방식으로 산정되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 구축 특히, 지식정보DB 구축은 소프트웨어 개발감리와 달리 구축유형 및 대상에 따른 감리중점항목이 상이하며 또한 구축데이터에 대한 품질검증으로 인한 추가자원의 투입이 요구되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에 대한 감리대가를 분석하고 통계분석을 통한 유효성 높은 감리대가 산정에 고정비율을 도출하기위해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 구성 별 사업비 분석 및 감리대가와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선형회귀식을 설계하고 각 계수를 추정한 결과를 통해 4개 모형의 고정비율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상의 감리대가 고정비율에 지식정보DB 구축 사업 감리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해 분야별 지식정보 품질점검 전문가 투입을 위한 적정 비용을 산정하고 이를 반영함으로써 현실적인 지식정보DB 구축 사업 감리대가를 산정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감리의 현실적인 감리대가 산정기준을 마련함으로서 지식정보DB 구축 사업 감리를 통해 검증되어지고 최종적으로 서비스되어지는 국가 정보자원의 활용도 극대화 및 신뢰성 향상을 통한 지식정보DB 구축 사업의 목적 달성에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데이터베이스 성능관리와 개선방안 : 수강신청시스템 사례분석 및 구현

        박종오 경기대학교 산업정보통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경기대학교의 웹 사이트는 보통 때 원활하게 서비스 되고 있지만 수강신청, 대학입시 관련 등으로 사용자 접속 수가 일시적으로 증가 시점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많은 관리자들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분명히 데이터베이스에 성능 문제가 있는데 무엇 때문에 느린 것인지 모른다는 것이다. 본 논문의 핵심은 일반적인 성능저하 원인 및 해결방안에 대한 관련 연구를 근거로 "경기대 수강신청 시스템 사례 분석"에 의해 수강신청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시스템 모니터링 도구와 DB 진단 도구를 이용한 성능 분석을 통해 성능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모든 개발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 성능을 고려한 "실습실 관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고자 한다. Even though Kyeonggi University's homepage is consistently being well maintained. But for the application for enrollment and entrance exam, there are a lot of sudden users which can cause system errors. Thus, to avoid such system errors, it's necessary to prevent them from happening in the first place. This has now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with system management. The core idea of this thesis is based on the importance of general concept of database management and their performance problems and solutions. In order to improve student application operations, as stated in "An Analysis of the Laboratory Management System for the Kyonggi University Student Application Form System", a database manager must analyze and evaluate the system practically. As a result, methods or suggestions regarding how to improve database performance and the detailed database performance problems will strengthen the system's performance. In addition, throughout all of the developing stages, I analyzed,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Laboratory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conside rate overall relationship to database structure and performance.

      • 생물학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분산정보통합체계의 구축에 관한 연구

        이광석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생물학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이질의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하는 웹과 같은 환경에서 통합된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의 단일 데이터 형식의 정보를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분산된 정보를 통합하는데 어려움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간의 데이터 형식의 불일치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mediator - wrapper 기반의 3계층 분산 정보 통합 체계의 BioQuery를 소개한다. BioQuery의 구조설계 모델은 mediator개념과 wrapper개념을 포함하는 정보 통합 체계로 정의되며, mediator는 통합된 뷰를 통해 통합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위해 적용되며, wrapper는 이기종의 데이터를 단일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해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 구축하고자 하는 분산 정보 통합 체계는 인터넷상에 분산되어 있는 다양한 생물학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질적인 데이터 형식의 생물학 정보들을 통합 인터페이스에서 검색하고, 단일화된 데이터포맷으로 저장하며, 중앙 저장소에서 데이터 통합이 가능한 통합된 개념의 정보체계를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으로 생물학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분산정보통합체계의 구축을 모색하고 그 모델을 소개하고자 한다. Users who are searching integrated information on the Web have limitation to obtain information of single data format for the underlying various heterogeneous databases including the biological databases. Due to the discrepancies of data format between databases, distributed information integration is not so easy. To solve those problems, in this paper, we present a 3-Layered distributed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based on mediator-wrapper. The purpose of proposed architecture is to define information integration model, which combine both mediator concept and wrapper concept. Mediator is used as for integration interface via single view, and wrapper is used as for transformation heterogeneous data format into single data format. This study presents the Distributed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which is th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hat can search the Heterogeneous data type of biological informations in distributed various biological database on internet with integrated interface, store in single data format, integrate the data in central repository. This study proposes to develop and suggest the Distributed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model for Biological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서버 탐지 방안에 대한 연구

        이근기 高麗大學校 情報經營工學專門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미국의 Sarbanes-Oxley Act[1]와 같은 법안이 상정되고, 전자증거개시제도가 국내에 도입되려는 움직임[2]을 보이면서 국내에서도 기업 투명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국내 사법 기관은 기업의 회계 부정을 적발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기업 환경의 다양한 특성상 많은 어려움이 있다. 기업의 환경이 전산화됨에 따라 작성되는 자료는 사내의 중앙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하지만 기업 내에는 많은 전산 자원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사할 대상 시스템을 탐지하고, 나아가 수많은 데이터들 중에서 조사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추출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또한 부정을 행한 기업은 이를 더욱 은폐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은닉하여 관리함으로써 조사관은 시스템 존재를 식별할 수 없을 수도 있다. 기업 내의 네트워크 검색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탐지하거나,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 측의 사용 흔적 등을 추출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기업 내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탐지할 수 있다. 잘 알려진 네트워크 프루빙(Probing) 기법 중 ARP Ping과 ICMP Ping을 이용하여 특정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활성 호스트를 검색한다. 특히 두 쿼리의 결과가 다를 경우, 해당 시스템은 특정한 목적으로 보안을 강화했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다음 단계는 활성 호스트를 대상으로 포트 스캐닝을 수행하여 열린 포트를 탐지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포트를 열고 있다. 특정 호스트에 대한 열린 포트를 검색한 후 각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패킷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해야한다. 클라이언트 측 조사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컴퓨터에 남기는 로그들을 분석하여 IP, 포트번호, 데이터베이스 이름, ID, 패스워드 등을 추출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6 종의 제품군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MS SQL Server, Oracle, MySQL, DB2, Sybase, PostGre SQL, Duzon Solutions). 본 논문은 기업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탐지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 측 조사와 서버 측 조사를 통합하여 특정 네트워크 대역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방안을 정립하였고 실제 조사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탐지 도구를 구현하였다.

      • 데이터베이스 내 삭제된 레코드의 복원 방법에 관한 연구

        박수영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데이터베이스는 매우 다양한 용도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량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조사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가 증거로써 수집될 가능성이 높다. 데이터베이스가 증거로써 수집되었을 경우, 데이터베이스 내에 존재하는 실 데이터도 중요하지만, 증거에 조작이 가해졌을 가능성, 데이터 일부가 삭제되었을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발생한 다양한 행위를 파악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데이터가 삭제된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삭제된 데이터를 복원하는 과정 역시 중요하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된 레코드의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가 미비하며, 진행된 연구들의 경우에도 데이터베이스 제품군에 따라 그 절차가 상이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icrosoft SQL Server 및 SQLite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된 레코드를 복원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 각각의 복원과정에서 유사성을 도출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데이터 복원방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데이터 안전성 확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보안 감리점검 프레임워크 연구

        김광열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시스템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프로세스 자동화에서 데이터 관리 및 데이터 활용의 안전성과 효율성으로 전환되면서 데이터는 기업의 경영성과에 직결되는 구성요소로 인식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정보시스템과 경영활동의 핵심일 뿐만 아니라 기업 서비스의 효율, 성능, 구축효과 등을 측정하는 핵심요소로 관리되고 있다.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및 경영활동이 일반화되면서 네트워크, 서버, 데이터베이스 등 정보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대한 안전성 확보 방안이 기업의 주요 관리요소로 대두되었다. 그 중 데이터베이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안정성과 가용성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데이터베이스 보안 감리를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기업의 데이터베이스 보안대책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정보시스템 감리점검 기준에서도 데이터베이스 보안 감리에 대해서는 구제적인 점검항목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베이스 보안과 관련된 감리기준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도구로서 데이터베이스 보안 감리점검 프레임워크를 정의하고 프레임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점검영역별로 감리점검항목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실제 기업에서 작성하여 구현한 데이터베이스 보안 설계서를 대상으로 하여 감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본 논문에서 구성하고 정의한 데이터베이스 보안 감리점검 프레임워크의 적용 타당성과 효과를 검증하였다. 데이터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도구로서 데이터베이스 보안 감리가 활용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보안 감리를 위한 점검기준과 점검항목이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보안 감리점검 프레임워크에 기반한 감리수행을 제안하였다. 새롭게 정의된 '데이터베이스 보안 감리점검 프레임워크'의 실무적용사례를 증가시켜가면서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때 제안한 프레임워크의 완성도와 효과가 극대화된다고 사료되어 향후에도 관련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Data is being recognized as it is connected with management performance of business while the interest of corporation with respect to IT is changing from automated process to data management and safety and efficiency of data utilization. The database management system, which manages such corporation data, is not only the kernel of IT and management activities but also a key factor for efficiency,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of construction of corporation service. As service and management activities through the network is generalized, the procured safety plan become a prominent figure as an important factor of corporation in respect of constituents of IT such as network, server, and database. The database security auditing can be utilized as a tool to improve a quality of database security and to strengthen safety and availability of database. However, many corporation are lack of interest in a way of database security and a specific check list cannot be presented. So, an improvement is required. I made analysis of auditing standard status and issues relate to database security and proposed solutions to issues in this paper. I defined "Inspection framework for auditing database security" and derived "a list of Inspection items" for each section of framework.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Inspection framework for database security auditing are verified. I would like to increase the cases of a practical use within a newly defined inspection framework and to improve this framework continu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