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대학기록관의 기록물 보존관리 실태와 개선방안 : K대학 기록관을 중심으로

        박도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looks through records' actual conditions of the University Archives in Daegu and aims to suggest enhancement plans for records' actual conditions of the University Archives. As discussed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 pilot study also examines a study on records' preservation conditions, records' administrative conditions of the University Archives, and records' preservation of equipment and systems. Second, the study searches records' preservation management and preservation equipment, archives management organization at home and abroad and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Among these, the study arranges the terms of preservation management in records' preservation management and closely inspects methods of records' preservation environment. Especially, methods of records' preservation environment are classified by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reservation environment. In addition, preservation equipments can be cataloged in preservation equipment by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 preservation equipment by recording medium, and preservation equipment by records' preservation environment. Furthermore, the study discusses that the actual conditions of records' preservation management consists of management organization of domestic archives and management organization of foreign archives. Among these, management organization of domestic archives are based on Daejon branch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Nara repository(SungNam library). The study examines Management organization of foreign archives through the function of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present conditions of facility management focused on restoration of ancient documents in America, Canada, England, Australia and France.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consists of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discuss the actual conditions of records' preservation management. The following domestic universities archives are examined: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Busan National University, and foreign universities archives of Harvard University, and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are examined. Third, the study discusses records' present condition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rchives. The study investigates the present conditions of University archives focused on organization and main business, present conditions of facility and records, present conditions of records' preservation equipment retention. Among these, the present conditions of records' preservation equipment retention consists of preservation facility equipment, preservation equipment, computing equipment, microfilm equipment. Based on these, the study analyzes records' preservation management of University archives classified by the analysis of organization and main business, the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s of facility and records, the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s of records' preservation equipment retention. Fourth, the study focuses on enhancement plans of preservation management of university archives. The enhancement plans for the preservation management of university archives consists of at the national level and at National University level. The study suggests the three improvement plans at the national level: the improvement of support systems for university archives, the improvement of legal standards of university archives' installation, and the establishment support of regional stronghold centers. The study also suggests the six enhancement plans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evel: the expansion of facility and equipment,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records' present conditions, an advancement of preservation management and of securement experts, human resources sharing network, forging a joint cooperative system with neighboring organizations, and establishment of a joint preservation management center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대학기록관(university archives)은 국가기록원으로의 이관이 아닌 자체적인 아카이브(archives)의 기능을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학기록관의 보존관리 기능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공공기록물법은 대학기록물 관리에 대한 특수성을 생각하지 않고, 일반적인 기록관(record center) 기능을 대학기록관에 그대로 적용하고 있어 대학기록관이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국내 대학기록관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의 대학기록관 기록물 보존관리의 실태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대학기록관 기록물 보존관리의 효율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K대학, P대학, S대학, H대학의 기록물 보존관리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해 대학기록물의 보존관리 현황 및 기록물 보존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조사한 기록물관리기관의 보존시설 및 장비의 기준 표와 해당 기록물관리기관의 보유 장비 현황 표를 바탕으로 하여 담당자와의 인터뷰에서 얻은 각 기록관의 보존관리 실태 자료들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기록관의 조직을 비교․분석해 볼 때 현재 대학기록관의 전문 인력들이 담당하는 업무는 기록관리 총괄, 기록물 서비스, 기록물 전산관리시스템 운영, 기록물 정리 및 폐기, 기록정보서비스, 대외 협력 및 홍보, 대학행정기록 관리, 연구노트 관리, 일반행정, 정보공개 및 열람 제공 창구 운영, 학교사기록 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들 업무는 대부분의 대학기록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보존관리와 관련된 업무는 다른 업무에 비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의 근원적인 이유는 대학기록관에 근무하는 보존관리 전문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둘째, 보존관리 업무 분석 결과, 항온항습기를 구비하고 있으나 운용을 하지 않고 있으며, 기록관이 보유하고 있는 기록물 중 탈산처리가 필요한 기록물은 많은 데 비해 탈산분무기는 용량이 작다. 또한 기록물의 보존상자를 중성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탈산장비나 소독장비를 전혀 구비하지 않은 곳도 있었다. 재난 상황에 대한 상세한 재난 대비책 및 구체적인 지침을 수립하지 않은 곳이 있으며, 가스식 휴대형 소화기와 분말소화기를 같이 비치하고 있는 곳도 있었다. 그리고 마이크로필름을 생산하는 보존장비를 갖추지 않아 보유하고 있는 보존장비를 제대로 운용하지 못한 곳도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국내 대학기록관의 보존관리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역 거점보존관리센터 설립을 지원해야 한다. 대학기록관의 효율적인 기록물 보존관리를 위해서는 해당 대학 인근의 대학 역사기록관, 대학박물관, 대학도서관이나 지역 향토박물관, 국립 박물관 등 인근 지역 유사기관을 아우르는 지역 거점보존관리센터 설립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기록관의 기록물을 효율적으로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소장 기록물의 기록 매체별(종이 기록물, 행정 박물, 전자 기록물, 시청각 기록물) 현황 파악과 기록물 현황을 총체적 시스템화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각 대학기록관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전문 관리 인력 및 연구 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대학 내 유사 기관(대학기록관, 도서관, 박물관 등)간의 전문 인력 공유 제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학기록관의 기록물 보존처리 장비를 규격에 맞게 갖추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필수 전문 인력이 부족한 것은 국내 대학 및 기록물 관련 유사기관들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현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보다 집중적이고 조직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인근 대학끼리의 협력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때의 협력체계는 각 대학교에서 일차적으로 공동보존관리실을 설립하고, 여기에다 인근 대학기록관들이 필요로 하는 보존 시설과 장비들을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대학기록관 기술요소 적용 현황과 발전방향

        안성환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기록물의 정보 이용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검색도구, 기술규칙, 자동화와 표준화에 의한 데이터 교환 등 기술적인 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통합검색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관성 있고 정확한 기술(Description)의 선행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표준화된 기술규칙을 활용하는 기록관리기관이 기술을 실제 얼마만큼 기록에 대한 정보를 잘 전달하고 있는지 부족한 점은 무엇인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의 Iowa 대학교 아카이브, Washington 대학교 아카이브와 국내의 고려대학교 박물관 디지털아카이브, 명지대학교 사료실의 웹사이트에 등록된 기록물들의 기술요소와 기술된 기술정보를 바탕으로 ISAD(G) 및 ISAAR(CPF)와 비교·분석하여 부족한 부분을 찾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다. 추가적으로 현재 기술현황이 갖는 부족한 점이나 한계점을 RiC-CM v0.2에서 제시한 개체, 속성을 적용하여 보완된 기술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 결과 기록에 대한 기술정보 부족, 전거레코드의 부족, 디지털기록의 대비 부족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결과에 따라 제안한 보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정보 기입 작업자의 교육 및 보완된 기술요소 사용; 둘째, 전거레코드 개체 RiC-E07(Agent)의 하위 속성인 RiC-A21(History) 추가; 셋째, 디지털기록 환경을 반영하여 RiC-CM v0.2에서 새롭게 제시된 RiC-E06 (Instantiation) 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기록관의 전체 현황이 아닌 한정적인 표본을 가지고 진행하였기 때문에 완전한 기술규칙을 위해서 더 넓은 범위의 연구가 필요하지만 대학기록관 웹사이트에서 사용하는 기술요소 및 실제 등록되어있는 기술정보의 현황을 파악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s interest in the use of information in records has increased, the focus on the importance of descriptive aspects such as search tools, descriptive rules, and data exchange through automation and standardization is on the rise. An effective integrated search service requires the existence of consistent and accurate description. Accordingly, this study delves into the details of how well the records management agencies utilizing the rules of standardized descriptive rules are conveying the records-related information and what is lacking. This study is based on the descriptive elements and information of records registered within Iowa University Archives, University of Washington Archives, Korea University Museum digital archives, and Myongji University Archives. The first purpose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forementioned archived data with ISAD(G) and ISAAR(CPF) to find what is lacking. In addition, the aim was to propose an enhanced descriptive solution to the deficiencies or limitations of the current descriptive status through application of the objects and properties suggested in RiC-CM v0.2.  The comparative analysis identified a lack of descriptive information for records, lack of archival authority records, and lack of contrast of digital records.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the suggested points of improvement are as follows. First, training of descriptive information entry personnel and the use of supplemented descriptive elements. Second, addition of RiC-A21(History), a sub-property of authority record object RiC-E07(Agent). Third, addition of RiC-E06(Instantiation) newly proposed in RiC-CM v0.2 to reflect a digital recording environment.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ducted with limited samples rather than the entire population of university archives to facilitate a more thorough research a complete understanding of descriptive rules would require, this study can serve as meaningful basic data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ituation.

      • 한국예술종합학교 대학기록관 설립 방안에 관한 연구

        박하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plan of University Archives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Article 10 Paragraph 11 was amended on November 4th, 2014, to specify the range of universities that should install archives amongst public universities in Korea.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K-ARTS”), one of the universities specified in Paragraph 11, is yet to install university archive and also lacks record management systems and relevant professional records managers. This paper demonstrates K-ARTS’ need for installation of university archive, and suggests utilization methods of the university archive by delineating the range of the items in the archiv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was established by, and remains affiliated to,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f Korea. The university aims to groom young talented artists through a holistic, systematic education system centered on practical courses. The university currently comprises of six schools: School of Music, School of Film, TV & Multimedia, School of Dance, School of Visual Arts, and School of Korean Traditional Arts. K-ARTS’ curriculum requires creativity, and its students need to produce artistic pieces in their relevant degrees to complete their courses of studies. In the process of their artistic endeavors, various artistic items are produced. However, such artistic items are currently not being professionally archived or managed by the K-ARTS. Students’ graduation projects and relevant reading materials are available and managed through the university’s Arts Library & Information Center. However, the scope of work provided by the Arts Library & Information Center is limited to the preservation and searching services, with little to no archiving activities. This paper seeks to discuss K-ARTS’ need for systematic record management, given the abundance and importance of creative artistic items, and items produced thereof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ose artistic items, created by the professionals of the future arts scene. Concomitantly, the paper also suggests the ideal structure of K-ARTS’ university archive. K-ARTSS, which comprises of six schools, was judged to have a vast number of various forms of artistic items, comprising of both administrative items and non-administrative items. As such, this paper predicts that various types of artistic items need to be recorded, and thus proposes various plans to utilize those items. The paper first analyses the status quo of the K-ARTS’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selects two existing institutions, Arko Arts Archive and Korean Film Archive, as models for the university archive. Following the analysis of the two model institutions’ records management systems, plan for installation of K-ARTSS’ university archive was proposed. The plan is as follows: First, K-ARTS’ university archive items were delineated by function and genre. The archive items were further split into administrative archive items, archived due to university requirements, and non-administrative archive items. In conjunction, by analyzing K Arts’ main functions and responsibilities, the respective functions’ main archive items were arranged. Furthermore, artistic items to be produced by the six schools within K Arts were arranged. With this, the paper proposes K-ARTS’ university archive structure. First proposed structure would be for the university archive to be an independent institution under the direct supervision of the Deans of the various Schools, with independent budgets and collaborative support from the various schools, and decision-making power regarding records management. Second proposed structure would be for the university archive to be a body under the library, based on the status quo of K-ARTS’ current Arts Library & Information Center, library, and the nature of archive. Aforementioned paragraphs have discussed plan for installation of university archive and the archive’s structu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K-ARTS. This study proposes four possible utilization methods of the university archive - should they be established - based on existing studies of archives. Firstly, this paper proposes the display structure of the university archive. The archive would utilize itself as a means to promote K-ARTS, by displaying its artistic collections and proving the educational value of its collections to society, thus attracting further interests to its collections. Secondly, this paper proposes the university archive to publish magazine issues on artistic archives. In parallel to U.S. Smithsonian Archives of American Art’s Archives of American Art Journal, the magazine issue would serve to introduce K-ARTS university archive’s collections, programs and exhibitions. Thirdly, this paper proposes university archive field trip programs and collaborative management system. Field trip program is one of the record management methods to educate how archives are managed and the state of preservation of archive collections. K-ARTS’s field trip program can further serve as a guideline for other university of arts’ artistic archive management. K-ARTS already possesses various archive planning programs, with rough archives on K-ARTS-related artists and oral history research. This paper proposes further activating the existing programs. This can be achieved by collaborating with the K-ARTS library and external art institutions. Fourthly, this paper proposes for a management of a program that archive K-ARTS students’ individual class projects. It is difficult for a university archive to collect all of artistic items accumulated by individual students through their classes and activities. To overcome this, cognition of individual archive needs to be improved, and structure of university archives that have been successful in the aforementioned endeavor needs to be studied and adopted. For example, students themselves could upload their individual projects completed for classes to K-ARTS’s website, so as for the university archive to accumulate non-administrative archive items - students’ individual projects. The uploaded artistic items would then be archived under the university archive, and this can further be utilized in an archive for graduates who have developed into eminent personnel. Aside from the aforementioned university archive management methods that could be adopted by K-ARTS, continual support needs to be given to the record managers so as for them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university archive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K-ARTS. Besides, collaboration with other university archives and/or non-university archives can facilitate academic publications, joint exhibitions, and exchange of record management techniques and information - further developing K-ARTS university archive. This paper has discussed the effects of K-ARTS university archive’s installation and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archive items. Firstly, K-ARTS’s university archive installation could serve as an example for other universities’ School of Arts, other arts universities, and arts high schools, and guide in their endeavors to install archives. Secondly, K-ARTS university archive could reinforce its own arts education system, and also raise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of domestic arts. Lastly, it can serve to raise the future value of domestic arts culture.

      • P대학 기록관의 업무분석에 따른 이용자 유형별 기록정보 서비스 방안

        장정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University Archives should play a role which hands down a university's history and culture through the systematic record management, establishes its identity, and maximizes its organization's work. The University Archives in Korea is mainly recognized to reserve and protect historic sources of a university rather than its basic duties such as managing records which are the evidence of the activities of its university members. This kind of reality has resulted from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general record management and the imperfect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he university members have. As a means to overcome this, the University Archives needs to prove its own value. To do this, the University Archives should conduct the reference services which can meet its university members. That's why a university has been founded on a definite purpose and the reference services of the University Archives is the way to achieve its goal. This paper under these circumstances aims to propose that the University Archives play its role, that is the specific reference services on the types of users as a university organiz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it takes advantage of various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study, case study, and written survey for the Archives users. With a comprehensive literature study, this paper went over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reference services for users as well as some variables to conduct the market segmentation for users. In addition, it came to deriving the user types of the University Archives applied by the demographical variables. With various case studies such as Holocaust Museum in U. S., Hiroshima Peace Memorial-Genbaku Dome in Japan, and Archives of Korea Democracy Foundation,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user services on a type basis and derived some meaningful implications which can be applied to P University Archives. Classifying users means to put a focus on segmenting the users' needs, because it's not possible to conduct any segmentations without grasping their needs. Therefore, this paper i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written survey for the Archives users in P University. With theses grounds and some applied demographical segmentation variables derived from the existing archival science field, the users of the University Archives are divided largely into the inside users and outside users, and more specifically into students(including graduates), staff, and professors from the inside users and students from other universities, the public and the alumni from the outside users. After connecting and analyzing the visit purposes of each classifies user and the references they mainly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including graduates) for doing their reports recorded highest and the most frequently referred archives were P University year history of with the well-described history of P University, curriculum, photos with the P University views and buildings, newsletters of P University, school paper, and graduation albums and so on. This paper divided the types of users into students, staff, professors and the outside users and proposed the reference services. The proposals are as follows. First, the reference services for students should be the ones for supporting their reports, developing proper contents for history archives, planning some events to attract the attention to the University Archives and applying student reporters. Second, the reference services for staff should focus on educating the archives management, establishing the reference lists, and educating the information disclosure. Third, the reference services for professors should be to provide the displays for the research archives as well as the research archives' lists, the research archives' lists for support their lectures, and the promotion brochures of the university history for the newly appointed professors. Lastly, the displays of the historical documents applied by the university historical records and the active information disclosure service were proposed for the reference services for the outside users. 대학기록관은 체계적인 기록 관리를 통하여 대학의 역사와 문화를 전승함으로써 정체성을 확립하고 조직의 업무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대학기록관은 대학 구성원의 활동 증거인 기록을 관리하는 기관이라는 본연의 의무보다는 대학사료를 보존하고 보호를 담당하는 인식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대학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전반적인 기록관리 인식의 부재와 인적․물적 자원의 미비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그릇된 인식을 극복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있겠지만, 먼저 대학기록관 스스로 존재가치를 증명해야 할 것이다. 본연의 존재가치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대학기록관이 대학 구성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기록정보 서비스를 수행해야 한다. 왜냐하면 대학당국이 대학기록관을 설립한 것은 ‘목적’이 있고 대학기록관의 기록정보 서비스가 그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대학기록관이 학내 조직으로서의 그 역할을 다하고자 이용자 유형별 기록정보 서비스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 사례연구, 기록관 이용자 서면조사 분석의 연구방법들을 이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기록정보 서비스의 이론적 배경과 이용자 세분화를 위한 시장세분화 변수에 대해 살펴보았고, 인구통계적 변수를 응용하여 대학기록관의 이용자 유형을 도출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서는 미국 홀로코스트 기념관, 일본 히로시마평화기념자료관, 우리나라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을 대상으로 이용자 유형별 서비스에 대해 조사․분석하여 P대학 기록관에 적용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용자를 유형화한다는 것은 이용자의 요구를 세분화한다는 것에 의미를 둔다.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하지 않은 상태에서 세분화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으므로 본 연구자는 P대학 기록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면조사 결과 분석을 근거로 하여 기존 기록학 분야에서 연구되었던 이용자 세분화 변수 가운데 인구통계적 변수를 응용하여 대학기록관의 이용자 유형을 크게 내부 이용자와 외부 이용자로 나누었다. 나아가 내부 이용자로 학생(대학원생 포함), 직원, 교수로 나누었으며, 외부 이용자로는 타교생, 일반인, 동문으로 나누었다. 이렇게 나누어진 이용자 유형별 이용 목적과 주로 이용한 기록물을 연관 지어 분석해 본 결과, 과제 수행으로는 학생(학부생+대학원생+타교생)이 제일 많았으며, 주로 많이 이용한 기록물은 P대학의 역사를 가장 잘 기술하고 있는 P대학 연사류(40년사, 50년사, 60년사)와 교과과정, 학교 전경 및 건물에 대한 사진류, P대 소식지, 교지, 졸업앨범 등이었다. 그리고 이 기록물들은 모든 이용자들이 공통적으로 이용한 기록물이었다. 본 연구에서 이용자 유형을 학생, 직원, 교수 외부 이용자로 나누어 기록정보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을 위한 기록정보 서비스는 과제 지원, 역사기록물 콘텐츠 개발, 대학기록관에 대해 관심을 유도하는 이벤트 기획과 학생기자를 활용하는 서비스이며 둘째, 직원을 위한 기록정보 서비스는 기록물 관리 교육, 이용자료 목록 구축, 정보공개에 대한 교육 서비스이다. 셋째, 교수를 위한 기록정보 서비스는 연구기록물 전시 및 연구기록물 목록 제공, 강의지원을 위한 기록물 목록 제공, 신임교수에게 대학의 역사를 홍보하는 자료 제공이며 마지막으로 외부 이용자에 대한 기록정보 서비스로는 대학사료를 활용한 사료전시회, 적극적인 정보공개서비스 등으로 이용자 유형별로 차별화된 기록정보 서비스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 대학기록관 실무자 면담을 통한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연구

        이혜경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9년「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제정과 함께 기록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사회전반에 확산되었다. 또 대학 역사가 유구해짐에 따라 대학 내에서 연사편찬을 위해 대학 사료 수집 및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국·공립대학을 비롯한 사립대학에서 본격적으로 기록관이 설치·운영되기 시작하였다. 대학기록관이 설치·운영되기 시작한지 1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 대학기록관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이론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실제 현장에서 수행되는 대학 기록관리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그 중에서 대학기록관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실제적 연구가 부족하여 대학기록관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기록관의 이용 및 이용자에 대하여 파악하고, 현장에서 실제 제공되고 있는 기록정보서비스의 유형 및 종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 대학기록관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특성과 한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3개의 주요 연구 질문을 다음과 같이 작성하였다. (1) 국내 대학기록관의 기록을 이용하는 이용자는 누구이며, 어떤 목적으로 기록을 이용하고, 그리고 어떤 기록을 이용하는가? (2) 국내 대학기록관이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록정보서비스의 유형과 종류는 무엇이 있으며, 실제 어떤 프로그램들이 있는가? (3) 국내 대학기록관에서 기록정보서비스를 시행의 어려움과 앞으로 계획하고 있는 기록정보서비스는 무엇인가? 연구자는 위와 같은 연구 질문과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가 부족하고 또 실제 기록정보서비스의 행태를 조사하기에는 질적 방법이 유효하다고 판단되었다. 그래서 질적 방법의 한 종류인 심층 면담을 통한 조사 방법을 수행하였다. 대학기록관의 현장 실무자를 대상으로 직접적인 면담을 통해 기록관에서의 기록정보서비스와 관련된 내용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대학기록관 현장에서 진행되는 서비스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그리고 문헌 연구를 통하여 주요 연구 질문을 작성 후, 면담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본격적인 자료 수집을 위하여 12곳의 대학기록관 실무자와 심층 면담 및 웹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면담 내용을 질문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수집한 자료를 통해 연구 참여자 배경정보, 대학기록관 열람서비스 이용과 제공, 대학기록관 제공 서비스의 종류 및 활동, 기록정보서비스 한계와 향후 계획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4가지 부분으로 대학기록관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발견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기록관 활성화를 위한 기록정보서비스의 발전 방안을 4 가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1) 대학기록관 이용자 증진과 부가가치·활용촉진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등을 위해 소장 기록 및 컬렉션을 개발해야 한다. (2) 대학기록관의 효과적 활동을 위하여 외부적으로는 대학기록관협의회와 국가기록원과의 협력 관계를, 내부적으로는 행정 부서 및 학생 단체 등과 같은 내부 구성원 조직과의 협력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3) 대학기록관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잠재적 이용자를 이끌 수 있는 다양한 부가가치·활용촉진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4) 다양한 이용자에게 기록관의 존재와 가치를 알리고, 기존의 이용자에게 더욱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아카이빙 구축을 통한 온라인 원격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위와 같은 노력으로 대학기록관에 대한 내·외부적 인식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학기록관의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As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was enacted in 1999, records management started to be considered important in many fields of the society. In addition, as the history of university has been long, the voice was heard inside from universities that the data of university histories need to be collected and managed in an attempt to compiling chronicles. Accordingly, public and private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orea began to establish and run archives sincerely. Since then, it has been over 10 years and still various theoret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ctivate university archives. However, it is unfortunate to know that the studies on the management of university records, which is practically applied on spot in university, haven't been much carried out. Since actual researches for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of university archives are insufficient, it is hard to know how such service is being operated in university archives on spo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sage and users of the centers and examine the types of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that is provided by domestic universities. In addition, it attemp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service of domestic university archives.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this study brought forth 3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Who are the users of the records in a domestic university archival and why do they use them? (2) what kinds of services and programs do domestic university archives provide the users? (3) What makes it difficult to fruitfully execut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in domestic university archives and what plans are to be considered in future? The author of the study determined that there are not sufficient and enough studies that can help with these research questions and that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s considered more effective in examining the types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in real sense. Therefore, in-depth interview,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employed. Thus direct interview with the hands-on workers at university archives was used to collect data related to the service. First, the range of the service offered in the field of university archives was defined. And then, the key research questions were compos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 questionnaire was finally prepared. To collect valid data to be analyzed, this study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and online survey with the hands-on staffs of 12 university archive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by the topic of interview for analysis. By using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yielded the demographic informa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usage of reading service and offers of university archives, the service types and activities of university archives, and the limitations and future plan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the implications of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of university archives in 4 domains. According to the implications, it suggested 4 directions to the improvement of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of university archives as follows. (1) The records and collections of the centers should be more improved to develop a service program that can attract more users of university archives, create added value to the centers and activate the use of the centers. (2) For the centers to work more effectively, they should build up a tight collaboration with University Archives & Records Center and National Archives of Korea externally while working closely with organizations such as university administrative units and student groups internally. (3) The archives should develop and provide various services that can elevate the awareness of university archives, induce more potential users and create added value to and promotion of the centers. (4) They should expand online distance service to establish a digital archiving which makes the value and existence of the archives known to a variety of users and provides more convenient service to users. Through those efforts, university archives are expected to raise their awarenes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activate the use of university archives through the provision of various serviced to the users.

      • 대학 기록관의 이용자 교육 서비스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을 위한 연구

        원채원 漢城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대학기록관은 사회적인 변화와 정보통신의 발달, 이용자 요구에 따라 점차 관리 및 보존 중심에서 기록 및 기록정보를 활용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기록관은 대학 구성원에게 적극적인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기록관의 이용자 교육 서비스는 단순히 기록정보서비스 중 하나인 부가가치 서비스의 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독립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전시를 통한 기록관 소개 및 제한된 소장기록물의 안내를 하고 있고, 교육 및 연구 목적으로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는 여전히 오프라인을 통해 이용자 요청 시에만 제한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이용자 교육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는 대학기록관 이용자 교육 서비스의 운영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이용자 교육 서비스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이용자와 이용자 교육 운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해 이용자 교육 서비스에 대한 문제점과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수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3개 대학기록관 이용자 교육 서비스는 대부분 온라인보다는 오프라인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대학기록관 이용자 교육 서비스에 대한 내용은 기본적인 이용 안내에만 그치고 있다. 셋째, 기록관 웹사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가 매우 부족하다. 넷째, 소장기록물에 관련된 교육이 부족하다. 다섯째, 검색도구 및 매뉴얼 가이드라인 안내에 대한 제공이 부족하다. 설문에 대한 이용자와 운영자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록물의 가치와 내용의 이해에 관한 교육 안내가 부족하다. 둘째, 일률적인 기록관 이용 교육 안내이다. 이용자 마다 다양한 관심분야를 가지고 있고, 전공도 매우 상이하다. 셋째, 비정기적인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으로 대부분의 운영자가 정기적인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넷째,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 담당 부서 및 담당자의 부재와 인력 부족으로 인한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어렵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정기적으로 제공되는 이용자 교육 서비스 그리고 쉽고 간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강좌, 세미나, 포럼 등의 유형별 이용자 교육 서비스의 개설이 필요하다. 둘째, 이용자 요구와 특성에 따른 다양한 이용자 교육 서비스 개발이 우선되어야 한다. 셋째, 기록관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 담당자의 지속적인 전문가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이용자 교육 서비스의 필요성 강조를 위한 기록관 역할의 홍보가 필요하다. 다섯째, 이용자 교육 서비스 담당 부서 및 담당자 인력의 확충이다. 여섯째, 기록물의 가치와 내용의 이해에 관한 이용자 교육 서비스의 확충이다. 일곱째, 웹사이트 기록물의 확충으로 온라인에서 직접 이용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의 다양한 확충을 통해 기록관과 기록물의 이용의 활성화를 이끌어야 한다. 여덟째, 웹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가 필요하다. 대학기록관은 특정 대상을 위한 이용자층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과제·학습·연구를 수행하는 학부 학생, 대학원생 그리고 대학 구성원 등 이들을 위한 적극적인 이용자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점은 이용자들의 요구와 관심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에 따른 다양한 맞춤형 이용자 교육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기록관의 이용자 교육 서비스의 개발과 개선을 위한 실증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라며, 이를 위한 대학기록관과 대학의 적극적인 협조가 수반되어 대학기록관의 교육서비스를 대학구성원이 활발하게 이용하기를 기대한다. As the user’s interest for records and assuring the public of their rights to know are increasing, the role of archives which encourages users to access and use records becomes more important. While the traditional role of an archive was merely for collection and conservation, current archive centers on the use of records.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which satisfies user’s information needs by providing the physical and intellectual approach to records,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he archive. The university archive has provided various record information services to university members, which supports access and use of records. However, the university archive does not provide education service that addresses the interests and demands of the users. The existing body of researches on records and archive management has focused more on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as a concept in the outreach service than it being a user’s education service; thus, researches on archival reference service or instruction service are still lacking.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state of user education service management in Korean university archives and to suggest improvements. The education programs were analyzed, which are offered in the 13 university archives.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real users and administrators of university archives. The findings from the content analysis on user education programs are as follows: First, 13 university archive user education services were managed more via offline than online service. Second, university archive user education programs are limited to basic operation guide of the archive. Third, university archive user education programs available on the archive’s web site, are very few. Fourth, university archive user education programs, which provide information on the collections of archive, is lacking. Fifth, university archive user education programs, which provide information on search tool and manual guideline, is lacking. The findings from the survey and interview with users and administrator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archive users asked for the education and guides for the value of records and understanding of contents and history, which support their research. Second, university archive users asked for the education program varying with their interests and major fields of study. Third, university archive administrators answered the occasional user education program management made most administrators’ periodical user education program management difficult. Fourth, university archive administrators answered the absence of user education program department and scarcity of operator and personnel made user education program difficult. We suggest an improvement plan after identifying problems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First, establishment of uncomplicated and simple periodical user education service, lecture, seminar, forum, and other types of user education services is needed. Second, different user education service development based on user’s demand and characteristic is needed. Third, periodical professional education for archive user education program administrator is needed. Fourth, advertisement of the role of the archive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necessity for user education service. Fifth,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user education service department and operator personnel. Sixth, expansion of user education service regarding the value of records and contents is needed. Seventh, the importance of the use of archive and records should be introduced through developing the education program particularly by expanding the collections available via online service Eight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service through the web site is needed. The current University Archive is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a user group for a particular target. Active user education service is needed for the undergraduates, graduates, and university members who accomplish assignment, study, and research. One thing to be improved is the provision of different and customized user education services by precisely identifying the user’s demands and interests. We are hoping that several empirical studies will be done actively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Archive’s user education service; and we are also hoping that university members could utilize the University Archive’s education service while both the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Archive incessantly support this.

      • 대학기록관 이용자의 기록정보서비스 평가

        정우철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기록관리에 대한 법제도 마련 및 전문가 양성 등에도 불구하고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기관 및 연구사들의 낮은 인식과 부족한 제반환경은 활발한 서비스 제공환경을 마련하는데 여전히 큰 어려움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록정보서비스의 대상인 이용자층을 학생 및 교수, 교직원 등으로 비슷하게 범주화 할 수 있으며, 기록정보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기관 실무자와의 상호작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기록관을 대상으로, 이용자 관점에서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평가수준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기록관의 고객이라 할 수 있는 이용자로부터의 평가는 해당 기관의 개선된 서비스 제공 및 운영의 방향성을 결정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에서 발표된 기록정보서비스 평가척도에 대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기록관 운영현실에 적합한 평가항목을 개발하였으며, 대학기록관 전문가들로부터 검수를 받아 설문항목을 완성하였다. 설문항목은 이용자의 대학기록관 이용흐름과 연계하여 구축하였으며, 기본파트 22개 문항 및 추가파트 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은 41개 대학기록관에 배포되었으며, 2015년 4월부터 10월까지 약 6개월간 기록관을 방문한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최종적으로 13개 대학기록관에서 113명의 서비스평가 결과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 데이터는 SPSS 22 프로그램을 이용해 이용자별, 기관특성별로 기초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을 통해 평가척도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기록정보서비스 평가항목은 이용결과영역, 정보제공영역, 기관운영영역, 상호작용영역 등 4개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 영역에 대해 영역별 평가와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영역별 평가에 있어서는 평균 5점 만점에서 상호작용영역(4.23점), 이용결과영역(4.06점), 기관운영영역(3.93점), 정보제공영역(3.45점)의 순으로 만족도가 나타났다. 즉 이용자들은 상호작용영역에 대해서 가장 좋은 평가를 내렸으며, 정보제공영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내린 것이다. 각 영역별 상관관계는 모든 영역 간에 정(+)의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 영향관계분석인 회귀분석 결과는 정보제공영역 및 상호작용영역이 이용결과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영역, 정보제공영역의 순으로 이용결과영역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기록관의 현황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기록정보서비스 평가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대학기록관을 이용하는 실제 이용자들로부터 평가의 수준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이를 토대로 각 대학기록관이 서비스향상을 위해 더욱 중점을 두어야 할 서비스영역을 파악할 수 있는 계기를 처음 마련했다는데 그 의의를 들 수 있다. In spite of legislation and records professionals’ allocation in public sector, the recognition on archive management and services is still very low, and that is huge barrier in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to users.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in user's perspectives on university archives, which can similarly categorize their user groups into students, professors, university personnel, and others, and have frequent interactions with the users for providing the service. The evaluation from users of the archives will be very helpful to decide directions to provide improved services. For this, based on the review on the both domestic and overseas’ literatures about the evaluation tools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evaluation items suitable for domestic university archives were developed, and finalized based on the examination by records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university archives.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basic part of 22 questions and additional part of 9 questions.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sent to 41 university archive, and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by the archivists to the actual users who visited the archives. For six months period from April to October 2015, 113 users' service evaluation results were collected from 13 university archives. The collected survey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22. Through validity and credibility analyses, the relevance of the evaluation measures were verifie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he users’ service evaluation items were categorized into four parts, including Use Results, Information Provision, Archives Management, and Interaction. For those four parts, evaluation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irstly, in the evaluation of each part, with 5 points criteria,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was as follows: the Interaction part was 4.23, Use Results was 4.06, Archives Management was 3.93, and Information Provision was 3.4 in order. That is, users were more satisfied on Interaction part, while they were relatively less satisfied in Information Provision part. O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parts, all the parts had positive(+) correlations, that is all the parts of users’ evaluation were related to each other. For regression analysis of the parts, the Interaction and Information Provision part had influences on Use Result part. This study tried to develop the most suitabl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evaluation tools which consider the current situations of university archives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that it received the information service evaluation results directly from user groups of many university archives for better and improved services in university archives. Also the evaluation result gave insight to the service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university archives.

      • 대학 내 조직과 협력을 통한 대학기록관 활성화 방안 연구 : 명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민철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의 대학은 현대 사회에서 차지하는 존재감과 그동안의 성장에 비해, 체계적으로 스스로를 돌아보기는 어렵다. 대학기관에서 대학기록관 운영 및 대학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고, 대학기록관의 수는 증가하였지만, 여전히 대학 구성원의 인식, 대학기록관의 역할 등 활성화 부분은 부족하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연구자는 대학기록관 자원의 특성과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분야와 산업간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추구하는 사례, 그리고 대학 관련 사회적 이슈에 따른 대학조직 개편의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을 통한 대학기록관 활성화 연구가 필요하다 판단했다. 이에 연구 목적을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을 통한 대학기록관 활성화 방안 제시로 설정하고, 세부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이 설정했다. 첫째,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 사례 확인하고, 다양한 협력 가능성을 분석한다. 둘째, 대학기록관 활성화를 위한 업무 분야별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과의 협력 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의 적절한 조직과의 협력 체계 구축 및 확장 서비스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대학기록관 관련 연구와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 사례, 복합문화공간 및 라키비움의 융합 사례를 분석했다.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 사례 분석에서는 대학기록관과 대학도서관, 대학박물관, 대학 본부, 총학생회, 총동문회, 학부 및 학과 등과의 협력 사례를 수집 분야, 전산화 분야, 공간 분야, 서비스 분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이를 통해 대학기록관이 대학 내 조직과 각 분야에서 어떤 협력을 진행하며, 협력을 통해 어떤 효과를 거두고 있는지 파악하며 시사점을 도출했다. 복합문화공간 및 라키비움의 융합 사례 분석을 통해서는 융합된 기관은 어떤 공간 구성을 갖추며, 그 속에서 기록관은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파악했다. 그리고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 및 명지대학교 내 조직의 협력 사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과 대학 내 일부 조직과의 협력 가능성을 파악했다. 대학기록관 관련 연구와 협력 및 융합 사례 분석,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의 협력 가능성 분석을 통해 도출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장점은 극대화하고, 아쉬운 점은 보완하는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과 대학 내 조직의 협력 및 활성화 방안을 제안했다. 대학사료실 활성화를 위한 업무 분야별 협력 방안은 다음과 같다. 수집 분야에서는 규정에 자료 교류 및 협력을 명문화하고, 적극적으로 찾아가는 수집 활동을 진행해야 한다. 전산화 분야에서는 규정에 기록관리 관련 전산화 부분을 명문화하고, 전산화를 수행하며, 이용자의 온라인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공간 분야에서는 대학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상업 공간·휴식 공간·메이커스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복합공간을 추구해야 한다. 서비스 분야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교육 및 비교과 프로그램이나 대학의 필수 이수 과목인 채플 등과 연계한 서비스를 기획해야 한다. 대학 내 조직별 협력 체계 구축 및 확장 서비스 방안으로는 대학도서관, 대학박물관, 총학생회, 총동문회, 대학 본부 등 대학조직에 대학사료실이 먼저 적극적으로 다가가고, 지원하며 관계를 형성해야 함을 강조했다. 그리고 나아가 해당 대학조직의 기존 프로그램, 행사, 기능 등을 활용·연계하는 확장 서비스 방안을 제안했다. 연구를 통해 제안한 내용은 명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모든 대학기록관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오늘날 다양한 협력이 이루어지며, 협력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점에서 대학기록관과 대학 내 조직의 다양한 협력 사례를 정리하고, 협력에 초점을 맞춰 개선방안 및 협력 방안, 확장 서비스 방안을 제안한 부분은 협력을 시도하는 기관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orean Universities are systematically unable to look back on themselves compared to their status in modern society and their growth so far. This is because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about the operation of university archives and management of university records. Although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Records has been revised and the number of university archives has increased, there are still regrets in the activation part such as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members and the role of university archives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reality, the researcher comprehensively considers many things that includ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archives resources, cases of pursuing synergy through cooperation between various fields and industries in modern society, and the necessity of reorganizing the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 reflecting social issues related to universities. As a result, the researcher decide that the study on ways to activate university archives is necessary.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plan to invigorate the university archive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rchives and organizations within the university. The detailed research goals are as follows. The first goal is to analyze possibilities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rchives and internal organizations of university by examining various cases. Second, it is to present a plan for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y archives and organizations within universities by business fields. Third, it is to propose a solution about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for university archives and organizations within universities and expanding the service.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related to the University Archives, the case of coope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rchives and the organization within the university, and the complex cultural spaces. The analysis of cooperative cases, such as collaboration with university archive, university library, university museum, university headquarter and student council, is divided into collection, computerization, space, and service fields. Through this analysis,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what kind of cooperation projects the University Archives is conducting with the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 in each fields and what effect it is getting. Also, by analyzing the convergence case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larchiveum,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fused institution and the role of the Archive are found out. In addition,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of cooperation in Myongji University's university archives and the case of collaboration in Myongji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s,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in the university is identified. Considering research related to university archives, analysis of cooperative cases, and the situation of Myongji University's university archives, it proposes ways to cooperate and revitalize the university archives and organizations in the university to maximize benefits and supplement disappointments. Cooperation plans for each business field to revitalize the university archives are as follows. In the field of collection, data exchange and cooperation should be stipulated in the regulations, and data collection activitie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area of computerization, the computerized part should be provided in the regulations and the online accessibility of users should be increased. In the field of space, university spaces should be efficiently utilized and complex spaces including commercial spaces, rest spaces, and makerspace should be pursued. In the service sector, services linked to user education in university libraries, a non-subject program or a required course at a university should be planned. As a way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for each organization within universities, this study emphasized that university archives should actively approach, support, and form relationships with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s such as university library, university museum, student council, university headquarter. Furthermore, it suggested an extension service plan utilizing the existing programs, events, and functions of the university organization. Since the contents proposed in this study are conducted based on the case of Myongji University,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all university archives. However, further cooperation is taking place today, an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llaboration is highlighted. So,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to organize various cases of cooperation between the university archives and university’s internal organizations,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and expansion service solutions with a focus on co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