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30년대 대중문학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 심훈의 『상록수』를 중심으로

        문미정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사회는 다매체 사회이다. 이러한 시대에 인식의 전환으로 문학교육을 단지 문학만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매체문화를 토한 교육으로 나아가 문화를 바르게 향유하고 창조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존의 순수문학/대중문학이라는 이분법적인 잣대를 버리고 대중문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대중문학은 시대와 당대의 민중의 취향을 반영하는 문학이다. 또, 대중성은 상업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결국 문화와 관련이 된다. 소비문화와 여가문화가 점점 발달하는 현대사회에서는 문학도 소비재로서의 그 성격이 점점 뚜렷해지고 있다. 대중성에는 전형적인 특징이 있다. 대중에게 위안과 즐거움을 주기 위한 장르성과 도식적이고 관습적인 구조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영화, 인터넷 소설 등 다른 대중매체를 활용할 때에도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즉, 대중문학을 이해한다는 것은 다매체시대에 대중문화를 능동적이고 창조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중문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 대중문학의 발흥기인 1930년대의 대중문학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현대의 대중문학은 이 1930년대 대중문학 발흥기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1930년대는 대중문학이 식민지 시대에 언론탄압과 경제의 궁핍화로 도피와 위안으로 시작되었다. 당시 대중문화의 중요 매체였던 신문연재소설 및 잡지는 일제의 언론 탄압과 검열을 빠져나갈 방법을 모색한 끝에 리얼리즘 문학 대신 대중문학을 싣게 되었다. 대중문학은 예상치 못한 폭발적 인기를 끌었고, 이로 인해 당시의 문예물들은 사회경제적 궁핍에도 불구하고 유례없는 호황을 누렸다. 이 시기 출판업자들은 자본가로서의 뚜렷한 시각을 가지게 되었고 신문에 소설을 현상모집을 했다. 이 때 모집한 글의 종류로 당시의 대중문학 장르의 범주를 정하자면 연애소설, 추리소설, 역사소설, 농촌계몽소설이 된다. 이 당시에는 또한 영상매체인 영화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대중문학과 함께 당대의 대표적 오락매체가 되었다. 대중소설작가들이 영화의 영상기법들을 소설에 수용하고 그 감수성을 글로 표현했었는데, 이는 대중문학이 다른 대중매체와 상호 연관성을 있음을 보여준다. 본고에서는『상록수』를 중심으로 논의를 펼쳤다.『상록수』를 선택한 이유는 1930년대 대중문학 중 농촌계몽소설 장르의 작품으로서 장르적 패턴과 인물 및 구조가 대중문학적 특징을 잘 드러내면서 주제가 시대상을 잘 표현하며 교훈적이어서 교육적 의의가 큰 작품이기 때문이다. 작품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방법론을 이끌어가기 전에 먼저 대중문학과 대중문화의 관계 및 대중문학의 특징을 이론적 틀로서 살펴보았고, 1930년대 대중문학의 발흥 배경을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상록수』의 대중문학적 특징을 분석하고, 인터넷으로 활용하여 대중문학의 특성을 현대 대중매체를 활용하여 교육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인터넷을 활용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하이퍼텍스트 소설로의 전환을 시도했는데, 하이퍼텍스트 소설은 비선조적인 유형으로서 연결점으로 자신이 원하는 방향을 선택해 유동적으로 글을 읽을 수 있게 하는 열린 구조를 가진다. 『상록수』는 영신과 동혁의 이야기가 병렬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인공과 반동형 인물의 갈등과 그 극복이라는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하이퍼텍스트 소설로 전환할 경우 사건별, 인물별, 시간별로 할 수 있다. 또, 하이퍼텍스트는 인터넷의 다매체적 특질을 이용하여 음악, 영상, 이미지와도 연결할 수 있어 글을 입체적으로 느낄 수 있는 시청각적 효과를 제공한다. 예컨대 『상록수』에서 주요 무대가 되는 청석골이나 한석리의 배경 이미지나 내용에 맞는 배경음악을 연결점에 링크 걸어둔다면 소설을 더 풍부하게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하이퍼텍스트 소설은 사이버 소설이라는 현대 대중문학의 새로운 장르이다.『상록수』를 하이퍼텍스트 소설로 변용했다는 것은 과거의 대중문학이 현대 대중매체를 활용하여 재창조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인 것이다. 이것은 대중문학을 제대로 이해하면 대중문화 시대의 문학의 방향성에 대해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중문학을 제대로 교육하기 위해서는 1930년대 대중문학의 교육을 해야 한다. 이 시기는 대중문학의 발흥기로서 당대의 문화적 풍토와 대중의 취향을 파악할 뿐만 아니라 문학의 대중성을 연구하는 기점이 된다. 문학의 대중성을 연구해야 하는 이유는 고급/대중이라는 이분법적으로 구분으로 리얼리즘 문학이나 모더니즘 위주였던 문학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중문학의 연속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30년대의 문학은 전후사회 특유의 멘탈리티로 봉건주의/미국식 민주주의로 재편되는 이항대립적 단순화를 형성한 1950년대의 대중문학과 정부의 독재와 산업화 정책, 사회부조리에 의한 반발심리와 퇴폐적인 현실도피 인식을 반영한 1970년대 대중문학, 군부 파시즘과 경제신화로 정의나 민족주의와 같은 추상성과 결합하거나 자본주의적 성공을 상징하는 중산층을 담아내어 이중적인 당대 현실을 표현한 1980년대 문학, 그리고 특히 포스트모더니즘 논의와 함께 본격문학과 대중문학이 서로의 벽을 넘어서면서 대중문학이 문학사의 주류로 부상하게 된 현재의 대중문학의 전사로서 교육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즉, 1930년대 대중문학 교육은 한국문학사에서 대중문학의 위상은 새롭게 자리매김 할 수 있을 뿐더러, 현대 대중문화 속에서 문학이 가야할 길에 대한 진지한 모색이 된다. 또, 문학과 사회와의 관계를 올바르게 학습하여 한국문학의 연속성은 물론, 대중문화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바탕으로 문화를 향유하고 발전시킬 수 있기에 한국 대중문학 교육에 있어서 큰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1920年代 大衆文學論의 展開 樣相 硏究

        강종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1920년대 대중문학론의 전개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문학사적 의의를 규명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당시 신문이나 문예지 등에 게재된 130여 편의 논의들을 기초 자료로 삼았다. 이들 자료를 내용상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당시 문단의 큰 틀을 형성하고 있던 민족 진영과 프로 진영의 논의들을 비교 대조함으로써 1920년대 대중문학론의 총체적인 흐름을 조명하였다. 1920년대는 대중문학에 대한 논의의 초기 단계이다. 이 시기에 행해진 연구의 방향 설정이 차후에 논의되는 대중문학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불리한 여건으로 인해 아직까지 괄목할 만한 연구 성과가 없었음에 착안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대중문학과 관련된 용어들의 개념은 어느 시기를 기준으로 판단하느냐에 따라 충분히 다른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당대적 가치평가와 당대의 명칭을 중시하여 고찰하는 것이 더욱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취지에서 당대적 개념을 그대로 수렴하였다. 또한 당시 논의들을 고찰한 결과 대중문학의 주류를 이루는 것이 소설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당시 상황을 고려하여 이 논문에서는 대중문학론의 범주를 대중소설론 중심으로 국한하여 고찰하였다. 대중문학에 대한 논의는 대중문학이 지닌 독자들에 대한 위안의 기능과 그 부정적인 면만을 부각시키면서 저급한 분야로 도외시하는 자세를 지양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대중문화의 핵심이 되고 있는 대중의 개념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함으로써 문학적 위상을 명확히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1920년대는 대중문학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 정립이 되어 있지 않은 시기였다. 대부분 논의가 ‘대중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답하는 형식의 원론적 수준에 그쳤다. 아울러 논자들 대부분이 대중문학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내고 있었다. 1920년대 말에 이르러 비록 일부이지만 대중문학을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미적 가치를 제고하려는 논의를 제기한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이 연구는 그 동안 대중문학론의 발아기로서 연구의 가치가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1920년대 대중문학론의 전개 양상에 대하여 종합적이고 실증적인 접근을 통해 논의의 기초를 마련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out the significance of the popular literature theory of 1920s in the literature history, by examining the developing phase of the popular literature theory in 1920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referred to more than 130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newspapers and literary magazines at that time. This researcher tried to show the overall trend of the popular literature theory of 1920s by grouping the materials by contents and comparing the arguments between the nationalist camp and the proletarian camp, which were two main literary streams in those days. In 1920s the discussion on the popular literature was in the beginning stage, but it is very significant in that its study provided the theoretical base for the later study on the popular literature. Nevertheless, there haven't been such satisfactory studies on that topic due to several disadvantages. The terms related to the popular literature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basic time. Therefore the concept of the time was used in this paper since it is more reasonable to focus on the contemporary value and terms in examining. While examining the arguments of the day, this researcher could find out that novel formed the main stream of the popular literature. For that reason the discussion category of the popular literature was limited to the popular novel in this paper. In the discussion of the popular literature people should not underestimate the popular literature by stressing only on its negative aspects and its comforting function to the readers. Only th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oncept on the mass, which is an actual core of the popular literature, can set the literary place correctly. The theory on the popular literature was not well-organized in the 1920s. Most of the arguments could answer only to the question “What is the popular literature?" Furthermore, most of disputants stick to their negative viewpoints on the popular literature. However, it is noticeable that in the late 1920s there was a little movement to see the popular literature from a positive viewpoint and reconsider its esthetic value. The popular literature of 1920s can be said in a sprouting period of the popular literature. In spite of its significance, there were not many active studies on that topic. Therefore,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the base of an overall and substantial approach to the developing phase of the popular literature in 1920s.

      • 1950年代 大衆小說論의 展開 樣相 硏究

        이효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2

        이 연구는 1950년대 대중소설론의 전개 양상을 통해 아직까지도 단편적이고 부분적으로 논의되어 왔던 1950년대 대중소설론을 종합적인 차원에서 검토함으로써 우리 근대문학사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길을 찾는 데에 의의를 두었다. 1950년대 대중소설론의 전개양상을 살피기 위해 당시에 신문이나 문예지에 실렸던 90여 편의 논의를 기초 자료로 삼았다. 이를 통해 1950년대의 일반적인 대중문학 논의를 비롯해 대중문학의 중요한 축이 되는 대중소설 자료를 기준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고찰함으로써 전체적인 대중문학론의 흐름을 조망해 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대중문학에 관한 논의는 소수에 의해 산발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그것도 대중문학에 관한 부정적 속성을 비판한 것이 큰 흐름을 이룬다. 대중문학론의 전개과정에서 ‘대중문학’이라는 용어가 어느 정도 확정된 시기는 50년대에 들어와서이다. 대중사회의 도래와 더불어 대중소설이 본격적으로 발돋움하는 계기를 신문소설이 만들었다는 점은 누구라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비판의식을 표출하는 기능을 신문소설이 수행하고 있었다는 점은 1950년대 대중소설의 두드러진 위상이라 할 수 있다. 문학의 비속화, 지나친 상업성의 추구, 기존 체제에의 순응이라는 대중문학의 부정적인 요소를 경계하면서, 한편 대중문학이 우리의 문학풍토에서 어떻게 정립되어 왔으며 대중문학이 성공하게 된 요인과 자질을 확인하는 작업은 오늘날 우리에게 반드시 필요한 과업이라 할 수 있다. 지금 우리는 문학뿐만 아니라 각 분야의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문화적 변혁의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런 변화의 물결을 완고히 거부해서 과거의 문학관만을 고집해서도 안되고 그렇다고 무조건 새로운 것만을 추구해서도 안된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 문학의 전통을 폭넓게 수용하여 미래를 유연한 시각으로 통찰하는 자세가 필요하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ing phrase of th popular novel theory in 1950s and to get some general ideas of the popular literature. As the discussion on the popular novel in 1950s has been only in parts, this study places emphasis on the expansion of the literary realm by examining it comprehensively. For this purpose, over 90 articles and comments appeared in the newspapers and literary magazines in those days are also examined thoroughly. In the developing process of Korean popular literature theory, the term of "The Popular Literature" was not settled until 1950s. The novels published in the newspapers in those days had quickened the development of the mass society and the popular literature. They also had an important role in terms of the critical consciousness. Nevertheless, with its several weak points there haven't been such satisfactory studies. Only a small number of critics went into the discussion on the popular literature in 1950s. In addition, it was not an intensive discussion but a sporadical one. some critics also adhered to their negative viewpoints ; its vulgarity, the pursuit of excessive commercialization, and the sympathy with the existing system. However, it is indispensible to check the successful elements and qualities of the popular literature. we should not underestimate its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and should try to set the literary place correctly through it. As a lot of things have been changing in all respects of the literary theory, we should be quick to adapt to the trend of the times. That is, the study on the popular literature should be continued with an affirmative concept and an overall outlook. In this point, this study is thought to be supply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later study on the popular literature.

      • 최인호 문학의 명랑성과 미학적 정치성 연구 : 1970년대 대중사회화와 대중문학의 문제를 중심으로

        심재욱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2

        With regard to Choi In‐ho's novels, the issue of how to understand degeneracy and reality in terms of gender, romanticism, and deviance is one of the pillars of research of Choi In‐ho's literature from the contemporary criticism at the time to the present. Thus, this study began from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to be able to reveal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Choi In‐ho's literature which caused the disagreement with the dominant discourse in the context of the 1970s era while admitt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oi In‐ho's novels characterized by brightness. This study tried to reveal that Choi In‐ho's literature does not take an ideological attitude, but that it can be paradoxically political by abandoning its ideological attitude, and tried to redefine the meaning of this political event. For this, this study used Jacques Rancière's concept of aesthetic politics. Jacques Rancière claims that aesthetics is a way to sense the world, and the mode in which each method is visualized is a literary work. In this sense, the heterogeneous form of literature is itself a political act that creates discord with the dominant discourse. The new type of literature is also political in that it gives the reader a chance to experience the world through different perspectives, thereby undermining the existing sens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trend of the 1970s popular novels and youth culture, which is degenerate and escapist, began with breaking away from collectivism and solemnism based on hierarchical sense order and demanding its own share as equality, which can be seen as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masses. And Choi In‐ho's literature involved in the reorganization of these senses becomes a political text. To prove this specifically, Chapters 2 and 3 of this study prove that Choi In‐ho's novels are novels that are light and cheerful apart from ideological ones, and Chapter 4 identifies that the popularity of popular novels and youth culture in the 1970s, centered on the cheerful Choi In‐ho's literature, lies on the dimension of aesthetic politics. In Chapter 2, this study explored the brightness of Choi In‐ho's novels derived from irresponsible and optimistic attitudes preached the political elitism. The brightness of Choi In‐ho's novels is an aesthetic feature that arises from the fact that we are not seeing or looking at the serious problems that arise in the world full of poverty, alienation, corruption and absurdity. This is proven due to the fact that the characters who are consistently irresponsible and easy optimists are perceived in a distorted way, which is entangled with complex conditions on a symbolic level, and the world itself is transformed into a romantic space by resolving the conflict. Choi In‐ho's novels are biased and inexplicable because they perceive a world structured by masculinity and knowledge with a childish look. But for that reason, it is an opportunity to escape the political solemnity and make the experience of looking at the world from a new perspective pleasant. In Chapter 3,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purposeless subject' indulging in surplus pleasure in Choi In‐ho's novels visualizes the possibility of other life. The characters of Choi In‐ho's novels consume money, time, and energy surplus through consumption, play, and sex at unproductive levels. This surplus act does not just expose the existing sense order and discrepancy, but opens up a new gap in the existing sense order by constructing a 'purposeless subject'. In Chapter 4, this study reveals that the politics tangled between Choi In‐ho's political novels and youth culture declarations lies on the level of aesthetic politics. The brightness of Choi In‐ho's novels, which evangelize political sovereignty and visualize the world of purposeless subject, is materialized in popular fashion of popular novels and youth culture in the context of the 1970s culture. The social wavelength of a popular achievement of a popular love novel, "the Hometown of the Stars," and "the Youth Culture Declaration" which is nothing more than a declaration of irresponsibility, is the most obvious event in which democratic politics that is subject to 'discrepancies' became visible. After all, Choi In‐ho's literary world is not constructed in a way that captures the world through fixed perspectives, but is a negatively reconstructed reality. In the so‐called 1970s period, this form of injustice was visualized by the aesthetics of brightness, which triggered the reorganization of senses causing social discord and disorder. Therefore, the brightness of Choi In‐ho's literature can be said to be aesthetics and politics that perceive the world in a different way. By approaching Choi In‐ho's literature as a concept of aesthetic politics, this study expects two effects. One is to prove that Choi In‐ho's literature is a novel that has a merry character in the aesthetic sense and offers popular fun.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n intrinsic continuity of Choi In‐ho's medium‐length and short novels and long novels that have been developed in isolation from one another, and they can open a new horizon for interpreting Choi In‐ho's novels of various characters . Another is to reject a fixed view of linking literature and politics by demonstrating that Choi In‐ho's novels have performed the function of politics in the context of the 1970s. Literature is related to politics in terms of performance. If Choi In‐ho's literature proves that a new way of aesthetics can be politics, future literature research will be more flexible and open to various directions. 최인호 소설과 관련해 통속성과 낭만성, 일탈성과 같은 탈정치적이고 현실비판적인 면모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의 문제는 당대 비평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최인호 문학 연구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명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최인호 소설들의 미적 특징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면서도, 1970년대의 시대 맥락 속에서 지배 담론과 불화를 일으켰던 최인호 문학의 정치적 의미를 밝힐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최인호는 소설가의 정체성을 사상가가 아니라 장인(匠人)의 차원에 놓고 출발했던 작가다. 시대적 문제의식을 담은 소설을 쓰는 것, 이념적 입장을 강조하는 것, 이를 위해 의지적인 인물을 통해 전망을 모색하는 것, 반성적인 인물을 통해 치열하게 현실과 고투하는 것이 당시의 일반적인 소설쓰기였다면, 최인호는 스스로 ‘다른 소설’을 쓰고자 노력했다는 점을 당당히 밝혔다. 소설뿐만 아니라 최인호의 여러 산문들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은 무책임하고 안이한 낙관에서 비롯하는 명랑함이다. 그의 소설들과 ‘청년문화선언’이 ‘이념이 없다’는 이유로 공적 담론장으로부터 비판 받았던 것은 이를 입증한다. 본 논문은 최인호 문학은 이념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았지만, 이념적인 태도를 버림으로써 역설적으로 정치적인 것이 될 수 있었음을 밝히고 이러한 정치적 사건의 의미를 해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랑시에르의 미학적 정치 개념을 원용하였다. 랑시에르는 미학이란 세계를 감각하는 방식이며, 각각의 방식이 가시화된 양태가 문학작품이라고 주장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질적인 문학 형식은 그 자체로 지배 담론과 불화를 일으키는 정치적인 행위가 된다. 또한 새로운 형식의 문학은 독자가 다른 시선으로 세계를 체험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감각을 뒤흔든다는 점에서 정치적이다. 본 논문은 1970년대 나타난 대중문화 현상과 그에 따른 대중사회화 과정은 스스로를 자유롭고 평등한 존재로 감각하기 시작한 대중의 목소리가 만들어낸 정치적 사건으로 본다. 즉, 탈정치적이고 현실도피적인 면모를 띠는 1970년대 대중소설과 청년문화의 유행은 위계적인 감각질서를 바탕으로 하는 집단주의와 엄숙주의로부터 탈피하여 평등한 존재로서 자신의 몫을 요구하기 시작한 대중들의 정치적 참여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감각의 재편에 개입한 최인호 문학을 정치적인 텍스트로 규정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입증하기 위하여 본 논문의 Ⅱ장과 Ⅲ장은 최인호의 소설이 이념적인 것과는 거리를 둔 가볍고 명랑한 성격의 소설임을 입증하고, Ⅳ장은 명랑한 최인호 문학을 중심으로 한 1970년대 대중소설과 청년문화의 대중적 유행이 미학적 정치의 차원에 놓여 있는 것임을 밝히고자 했다. Ⅱ장에서는 무책임하고 낙관적인 태도에서 비롯한 최인호 소설의 명랑함이 정치적 엄숙주의를 전도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최인호 소설의 명랑성은 가난과 소외, 타락과 부조리가 팽배한 세계 속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들을 객관적인 시선으로 보지 않거나, 혹은 다르게 보고 있다는 사실로부터 발생하는 미적 특징이다. 이는 구체적으로 무책임하고 안이한 낙관으로 일관하는 인물들이 상징적인 차원에서 복잡한 조건들에 얽혀 있는 현실을 왜곡된 방식으로 인식하고, 그 갈등을 해소함으로써 세계 자체를 낭만적인 공간으로 전환시키고 있다는 점을 통해 입증된다. 또한 최인호 소설은 현실에 대한 총체적인 시선을 포기하고 얻은 유아적인 시선으로 상징적인 남성성과 앎을 재현하고 있기 때문에 정치적 엄숙주의가 전도된 양상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지적했다. Ⅲ장에서는 최인호 소설에서 잉여쾌락에 탐닉하는 ‘무목적적 주체’가 다른 삶의 가능성을 가시화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최인호 소설의 인물들은 사회적으로 합의되어 있는 목적에 반하는 잉여적 행위에 탐닉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점에 주목하여, 돈과 시간과 에너지를 비생산적인 차원에서의 소비행위, 놀이, 성(性)을 통해 잉여적으로 소비하는 양상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아울러 잉여적 행위는 기존의 감각 질서와 불일치를 드러내는 데 머물지 않고, ‘무목적적 주체’를 구성함으로써 기존 감각 질서의 새로운 틈을 열어놓는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Ⅳ장에서는 최인호 문학을 중심으로 한 1970년대 대중소설과 청년문화의 대중적 유행이 미학적 정치의 차원에 놓여 있는 것임을 밝혔다. 정치적 엄숙주의를 전도하고 무목적적 주체의 가능성을 보여준 최인호의 소설은 실제 1970년대 문화의 맥락에서 대중의 목소리를 가시화하고, 동시에 대중의 감각적 해방에 개입한 정치적 텍스트였다. 통속적인 애정소설인 ��별들의 고향��의 대중적 성공과, 무책임한 선언일 뿐인 「청년문화선언」이 일으킨 사회적 파장은 ‘불일치’를 조건으로 하는 민주주의적 정치가 가시화된 가장 명백한 사건이다. 최인호의 문학 세계는 고정된 시각을 통해 세계를 포착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부정적으로 재구성된 현실이다. 1970년대라는 엄숙한 시대적 조건 속에서 이러한 부정의 형식은 명랑성의 외피를 두르고 가시화된다. 따라서 최인호 문학의 명랑성은 그 자체로 세계를 다른 방식으로 감각하는 미학이자 정치라 할 수 있다. 최인호의 문학을 미학적 정치성 개념으로 접근함으로써, 본고는 두 가지 효과를 기대한다. 하나는 최인호의 문학이 미학적인 측면에서는 명랑한 성격을 띠고 통속적인 재미를 제공하는 소설이라는 점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성과는 그간 단절적으로 전개되어온 최인호의 중단편 소설과 장편소설에 대한 내재적 연속성이 있음을 밝히고, 다양한 성격의 최인호 소설들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지평을 열 수 있으리라 본다. 또 하나는 오락적인 최인호의 소설이 1970년대의 시대적 맥락 안에서 정치의 기능을 수행했음을 입증함으로써 문학과 정치를 연결하던 고정된 시각을 거부하는 것이다. 즉, 문학이 정치와 관계 맺는 것은 수행의 차원에 있기에, 문학의 정치성을 밝히기 위해 텍스트를 해체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정치적인 실천을 보여주는 문학만을 사회와 관계 맺는 것이라 해석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최인호 문학을 통해 새로운 방식의 미학이 정치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된다면 앞으로의 문학 연구는 좀 더 유연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

      • 1910~1920년대 대중문학론의 전개와 대중소설의 형성

        이주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1

        이 논문은 1910년대에서 1920년대까지의 근대문학 장에서 대중문학론이 전개되고 대중소설이 형성되는 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1910년대와 1920년대는 사회·문화적으로 대중이 성숙하지 않은 때이며, 문학적으로도 대중이 영향력을 발휘하기 전인 시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중문학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대중문학이 흥성했던 1930년대를 대상으로 삼았다. 하지만 1930년대 대중문학의 만개를 가능하게 했던 문학사적 원인이 무엇이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근대적 대중의 개념이 형성되고 대중문학이 정체성을 획득하기 시작한 1910년대와 1920년대의 상황을 분석할 필요가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우선 1910년대와 1920년대 비평자료를 통해 문학 장 내에서 대중의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며 대중문학이 순수문학과의 길항 관계 속에서 어떤 정체성을 부여받았는지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논의의 초점을 사회사적으로 확대하지 않고 문학사적 변화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대중과 대중성 그리고 대중문학에 대한 지식인들의 인식이 보여주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근대적 문학 교육을 받은 1910년대의 신지식층과 1920년대의 문인들은 미적 자율성을 바탕으로 한 예술적 문학 장을 정착시키기 위해 당대 대중들이 즐기던 문학을 배제하여 대중과 소통하지 않는 문학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려 하였다. 이들은 1910년대 이념의 공백 상태에서 󰡔매일신보󰡕의 상업적 기획으로 표면화된 문학의 대중성을 거부하려고 하였으나 자신들의 전문성을 인정해 줄 사회적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역설적으로 다시 대중의 호응을 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지식인들은 대중문학을 순수문학의 하위 개념으로 포섭하면서 대중문학은 저급한 형태의 문학이라는 위계질서를 구축하였고, 수준 높은 예술을 위해 대중문학을 계도해야 한다는 계몽적인 의도를 표면화시켰다. 그러나 대중문학 장은 지식인들의 의도만으로 형성되지는 않았다. 1910~1920년대 대중문학은 문학 생산자인 지식인의 의도와 그 소비자인 대중들의 욕망이 신문이라는 매체의 상업적 기획을 통해 서로의 입장을 절충하며 전개되었다. 지식인의 의도와 대중의 욕망은 신문의 기획을 통해 절충되면서 다양한 장르를 분화시켰다. 1910년대에는 번안소설을 중심으로 연애소설과 정탐소설이 각축을 벌였는데, 연애소설은 자유연애를 통해 근대적 개인의 자율성을 획득하고자 하였던 지식인들의 담론과 조응하면서 1920년대 이르러 신문연재소설의 주도적인 서사로 부각되었다. 그에 비해 정탐소설은 탐정소설이라는 명칭으로 장르명이 변화하면서 지적인 취향을 만족시켜줄 수 있는 장르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이런 지적 취향의 강조로 인해 탐정소설은 살인과 추적과 복수의 서사를 즐기는 대중의 욕망을 담아내지 못하고 번안소설의 수용으로만 그 명맥을 유지하였다. 역사소설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 정착되었다. 역사소설은 부정적 현실에 대해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며 주체의 순결을 유지하려했던 지식인 남성 독자들의 욕망에 부응함으로써 지적인 취향을 지녔던 탐정소설 독자를 흡수하게 되며, 1930년대로 넘어가면서는 연애소설 중심의 현대물 다음으로 신문에 자주 연재되는 장르가 되었다. 이러한 대중문학 장의 특징은 1910년대와 1920년대에 대중의 호응을 얻었던 신문연재소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910년대에서 1920년대까지 가장 인기를 끌었던 작품들은 연애소설 유형의 작품들이었다. 이들 작품에서 화자는 이항대립적인 인물 구도를 설정하여 자신의 가치관을 독자들에게 명확하게 전달하고자 하였으며, 설득적인 어조를 통해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고 대중을 계도하려 하였다. 화자의 이런 권위적인 태도는 대중을 계몽하려는 지식인의 의도가 텍스트 속에 반영된 것으로, 이후 대중소설의 전형적인 서술방식으로 정착되었다. 하지만 독자의 욕망은 이런 화자의 의도를 받아들이면서도 그 의도에서 빗겨나갔다. 1910년대에서 20년대에 걸쳐 대중들의 인기를 얻었던 작품에 나타나는 갈등구조와 현실인식은 당대를 살아가는 대중들의 욕망이 어떤 지점에서 고착되고 있는지 알 수 있게 하였다. 󰡔장한몽󰡕에 나타난 ‘선택과 갈등의 삼각관계’는 󰡔개척자󰡕에서 제시된 ‘사랑과 방해의 삼각관계’로 정착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타락한 여주인공에서 순결한 여주인공으로 바뀌면서 시작되었다. 당대 대중들은 사랑이 실패한 원인을 주체의 결함에서 찾지 않고 현실 사회의 모순에서 찾음으로써 주체의 도덕적 정당함을 보장받고자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1920년대 후반에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대중소설은 󰡔장한몽󰡕과 󰡔쌍옥루󰡕와 같은 번안소설을 통해 도입된 자책과 자학이라는 신파적 정서를 받아들이기보다는 순결한 주체가 부정적 현실 속에서 좌절하면서 발생하는 비극적 정조를 향유하였다. 1910년대에서 1920년대 대중문학론은 대중을 배제하고 교화하려는 입장을 노정하였다. 이러한 지식인 담론의 특징은 대중문학 장르의 형성과 대중소설의 특징에도 영향을 끼쳤다. 권위적인 위치에서 독자를 계도하려는 화자의 모습은 대중을 교화하려는 지식인의 의도를 형상화하고 있으며, 번안을 통해서만 탐정소설을 소비하고 역사소설에 열광적으로 호응하는 모습은 부정적 현실에 대해 비판적 거리를 가지려는 지식인들의 욕망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지식인들의 욕망은 󰡔개척자󰡕와 같은 소설에서는 주체의 사랑이 부정적 현실에 방해를 받으면서 좌절하는 형태로 형상화되는데, 이는 당대 현실에 대한 비관적 인식이 반영된 모습이기도 했지만, 외부의 억압 속에서도 이상적 사랑을 고수하는 주체의 순결한 의지를 통해 부정적 현실에 저항하고자 했던 태도를 드러내기도 했다. 부정적 현실에 연루되지 않고 순결한 위치를 유지하려고 하였던 지식인들의 욕망은 대중들에게 확산되어 1920년대 후반에 정착되는 대중소설에는 순결한 주체가 부정적 현실의 방해로 이상적 사랑 획득에 좌절한다는 ‘사랑과 방해의 삼각관계’가 보편적으로 정착되었다. 이와 같이 지식인의 의도와 대중의 욕망은 끊임없이 서로를 모방하고 참조하며 당대 대중문학의 특징을 만들어나갔다.

      • 『아리랑』지 게재 소설 연구 : 195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위수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0

        This thesis examines the popular fictions published in Arirang magazine, a monthly mass periodical of the 1950s. As the society became steadier from the confusion caused by the Korean War, mass magazines began to lead the market. In spite of the fact that it is a mass magazine once has a circulation of around 90,000, Arirang sought to not only entertain the mass but also enlighten them. For that reason, unlike other mass magazines, Arirang pursued to be a 'readable' magazine, differentiated from 'viewable' magazines. Until now, however, although about 190 authors published more than 900 fictions in Arirang during the 1950s, the magazine and those fictions have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from researchers. To deal with this problem this thesis aims to review the status of Arirang and the popular fictions published in it, focusing on the period from 1955 to 1959. Since there is no serious study of Arirang and the fictions in it,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s an overview of both the magazine and the fictions, including the histo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Arirang, and some features of the fictions. In the following chapter, this study analyzes the popular fictions in Arirang with the four thematic characteristics of them, considering that those four them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context of the 1950s and to the interests of the subscribers. Finally, this thesis discusses the meaning and the position of Arirang and the fictions in it as a leading medium of popular literature in the 1950s and as a driving force that led the general public to be a reader of literature. 본고는 1955년부터 1959년까지 『아리랑』지에 게재된 소설 작품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아리랑』지와 그 게재 소설이 차지하는 문학사적 위상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6.25 전쟁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이 점차 안정되기 시작하던 1950년대 중후반, 대중오락잡지는 잡지 시장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아리랑』은 최대 9만여 부에 이르는 판매고를 올리며 이러한 흐름을 주도하였다. 이 시기에 『아리랑』은 ‘완독잡지’, 즉 ‘보는’ 잡지와 대비되는 ‘읽는’ 잡지로서의 성격을 내세웠다. 이로 인해 5년여의 기간 동안 『아리랑』에는 190여명의 작가진에 의해 900여 편에 이르는 소설이 게재되었다. 그럼에도 『아리랑』과 그 게재 소설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고에서는 우선적으로『아리랑』지와 그 게재 소설의 성격 및 특징 등을 개괄하고자 하였다. 발행인 서재수의 출판 신조에 따라 초기의 『아리랑』은 대중오락잡지임에도 ‘오락성’과 더불어 ‘교양성’을 갖춘 잡지를 지향하였다. 때문에 1950년대의 『아리랑』은 소설에 가장 큰 비중을 두었다. 이때 『아리랑』 게재 소설의 작가진은 문단의 원로에서부터 전후 등장한 신진 작가에 이르기 까지 폭 넓은 세대를 아우른다. 이와 더불어 여성 작가와 방송·언론계 겸업 작가들의 작품이 다수 게재되었다는 점도 특징적인 부분이다. 작품들은 장르와 성격, 형식의 측면에서도 다양성을 갖추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잡지 자체의 장르 구분을 참고하여 『아리랑』 게재 소설을 ‘명랑소설’, ‘현대소설’, ‘탐정소설’, ‘역사소설’ 등 네 가지 계열로 분류하였다. 각 계열의 작품들은 비슷한 비중으로 게재되었으며, 각 계열마다 작품을 주로 발표하는 작가 또한 달랐다. 작품들의 성격에 대해서는 ‘오락성’을 중시하는 유형, 비판적인 성격을 드러내는 유형, ‘계몽성’을 지닌 유형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성격은 잡지의 성격 및 대중들의 요구와 편집진의 지향을 동시에 반영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아리랑』 게재 소설들에 대한 주제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고에서는 『아리랑』 게재 소설들이 천착하고 있는 주제를 크게 네 가지로 나누었다. 첫 번째로 전후 현실 및 식민 체험에 대해 증언하고 있는 작품들에 주목하였다. 이 유형의 작품들은 당대의 구성원들이 뚜렷하게 기억하고 있는 전쟁과 식민체험을 다룸으로써 독자들의 공감과 흥미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어 반공 이데올로기를 강조하고 있는 작품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러한 작품이 다수 게재된 데에는 국가적인 요청과 더불어 작가진, 편집진의 성향과 전쟁을 경험한 당대의 일반 대중들의 지향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음으로는 ‘아프레 걸’과 성 윤리의 타락에 대해 비판하고 있는 작품들이 있었다. 이러한 작품들이 다수 게재되는 데에는 ‘아프레 걸’에 대한 당대 사회 전반의 인식과 함께 『아리랑』의 주 구독층이 남성들이라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끝으로 가장의 애환과 빈곤한 현실을 폭로하고 있는 작품들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유형의 작품들에도 잡지의 주 독자층인 남성들에 대한 고려가 반영되어 있다. 이처럼 『아리랑』 게재 소설들은 공통적으로 당대의 사회적인 맥락과 더불어 잡지의 주 구독층인 남성들의 시각을 반영한 주제들을 주로 다루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Ⅳ장에서는 『아리랑』지와 그 게재소설이 지니는 문학사적 위상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먼저『아리랑』게재 소설은 전후 현실을 다층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제까지 논의되어 온 전후 문학 작품들은 대체로 전후 지식인의 허무 의식을 중심으로 현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아리랑』 게재 소설들은 일반 대중들의 시각에서 서구 및 도시 문화에 대한 동경을 그리는 등 전후 현실에 대한 다채로운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아리랑』게재 소설은 또한 일반 대중들을 문학의 소비층으로 유인하고 대중독자층을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 『아리랑』에는 다양한 작가들에 의해 여러 가지 장르 및 성격의 작품들이 게재되었다. 이로써 대중들은 『아리랑』을 통해 손쉽게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본격적인 문예 작품의 독자로 거듭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아리랑』은 이후 이루어지는 대중문학 분화의 전사(前史)로 기능한다. 우리나라에서 ‘대중소설’의 전성기는 1930년대와 1970년대라 할 수 있다. 이때 『아리랑』은 두 시기를 연결하면서, 이후 대중문학이 뻗어나가는 다양한 방향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이에 따라 『아리랑』지 및 그 게재 소설에 대한 보다 활발한 논의가 요구된다. 기존에 논의되어온 지식인 담론 중심의 전후 문학 작품들과는 달리, 『아리랑』게재 소설들은 당대의 현실에 대한 일반 대중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아리랑』 게재 소설들은 이전과 이후 시기의 대중문학의 특징 및 대중문학 장르의 분화 양상을 집약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아리랑』 게재 소설은 연구 대상으로서의 분명한 의미를 지닌다. 『아리랑』 게재 소설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1950년대의 문학에 대한 보다 폭 넓은 조망이 가능할 것이다.

      • 『문학과지성』의 비평적 글쓰기 연구 : '문학-지식'의 형성과 전개를 중심으로

        허선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87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mmon discourse of literary theories and noetics developed through critical writings of Moonji. This shows not only the fact that Moonji was a conversational place where various discourses existed and mingled but also the interactional relationship of those who shared media. In addition, planning publishing activities of Moonji Publishing Company as an expanded type of critical writing were selected as a study object. To see how publishing companies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managed and the companies and quarterlies established their joint line can be an exploration of the origin of the current literary system. Meanwhile, Moonji shows a circulatory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knowledge. This paper names their critical discourse ‘literature-intelligence’ and examines literature-intelligence as what mingle and confront with each other due to internal principles and rules such as media, systems and capital and as where literary things, academic things in the literature field, authors, intellectuals and critics are autonomously in. Chapter 2 identifies epistemology, esthetics related to universality and sociality, and social values of introspection and inner side(citizenship) through the writings of Moonji critics in 1960s. So-called 4·19 generation was categorized through the identity of reason and refinedness of linguistic sense considered to be obtained by childhood experience in war and Hanguel education, and this identity and linguistic modality are redetermined to be gained through 4·19 incident at some point. However, their linguistic awareness and identity related to global perception they continuously claim were the change that the experience in war brought them at first. Their generational identity explained without mentioning 4·19 has occupied a prerogative position in Korean history by monopolizing the symbol called 4·19. Dependence on foreign literature theories shown in 󰡔The Age of Prose󰡕 and debut works shows that they seek for the modernity of literature through western theories. This modernity can be said to be absolute purity. Yeom Moo-ung considers this as something impossible and what the author’s will is not reflected in while Kim Joo-yeon, Kim Hyun and Kim Chi-so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professional reading in this literary attribute. It can be said that the modernity of literature whose meaning needs to be recreated through reading is necessarily the expansion of criticism, and furthermore, guarantees that creation through criticism is possible. Meanwhile, the awareness of tradition and universality deducted during the conflict with the postwar generation was a major problem to young critics in 1960s as well. It appears that to postwar authors, universality was what they could identify themselves with without doubt, but it was something unreachable to 4·19 generation. Such a problem related to universality makes one inquire into something internal or his own problem. At this moment, the reason for oneself, the concern about his position, this is the Korean thing, appear to be something social that literature needs to achieve, and ‘sociality’ strongly associated with esthetics emphasizing inner and autonomy emerged as a major reference point in criticism later. The point where literary positions of Baek Nak-cheong and Kim Hyun-Kim Joo-yeon that were categorized together as 4·19 generation make the difference between each other is about literature subject. Kim Hyun and Kim Joo-yeon emphasized the individual human being as a subject who autonomously considered that the meaning of the world revealed as the world and the individuals mingled. The petit bourgeois Kim Joo-yeon submitted is the pure human being who carried out epistemological severance with a possibility to change into an individual one through independent reasons and exploration into the world. As the petit bourgeois becomes an individual human being, the world and objects have their own meaning. The reality and ideology passing individualities and inner sides themselves were typical of diversity. In this way, Kim Byeongik defines the petit bourgeois as the one who seeks for ‘ethics’. For those who doubted and denied the existing world, the novelty of literature appeared as the one discovering the new world order and building the principles of life, and it paradoxically made the ‘personality’ submitted by them again obsessive to the principles of order and integration. On the other hand, ‘the petit bourgeois’ was accepted as the way of acknowledging the alienated from the community, which was only made in the relation to ‘citizen’. Writings by Kim Joo-yeon and others guided by such a critic discourse not only made ‘petit bourgeois’ into the shape considered as ‘citizen’ but also discussed it again having ‘citizen’ that projected introsp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s in mind. However, this was not a way of identifying Baek Nak-cheong-typed ‘human being’ but a way of overlapping ‘the modernity of literature’ with ‘citizen’. In Chapter 3, the directing point of literature-intelligence established during the beginning of Moonji is examined. Individuality, universality, social things and ethics/morality as the order suggested through various conflicts and arguments in 1960s became the key criteria for their awareness and esthetics. In addition, their esthetics and awareness are re-emphasized in the way that they ‘overcame’ and ‘transcended’ the two debates that continued in the oppositional composition in the 1960s literature field. Especially,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Kim Yoon-sik and Kim Joo-yeon in the ideal criticism, epistemological intelligence and criticism can be referred to in identifying the epistemological attitudes of criticism coterie of Moonji different from other critics at the time. The critical writing of Moonji, a work asking about the essence of literature and criticism, forms a literary genealogy that leads to them, and it can be said that the critics of Moonji designed complete self-establishment by forming a contact point betwee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I’. (Section 3.1) Meanwhile, ideals of literature of Moonji become clear in ‘realism controversy’ when its first issue is about to be published. Imagination in Moonji is not a regulative judgement but a reflective one, and engagement in literature means to express meanings invisible in the not-signified phenomenon(structure/social contradiction) by a language. ‘Realism’ of Moonji including Kim Hyun is the realism as a way to recognize the world, and it was possible through the imagination recognizing the reality of the world and making it a constructive truth and the sensitivity making others’ experiences his own and understanding it as a universal thing. The reality and literary truths found in this way were involved in ‘reality’ from ‘recognizing’ them, and this also guaranteed the political character as literature.(Section 3.2) If the role of ‘literature’ is to construct reality through ‘imagination’, recognize problems and turn it into a literary form, what intelligence does is to achieve this work through ‘knowledge’. Such imagination(reflective decision) is the item required of intellectuals as well, and the intellectuals can be involved in the society through ‘social imagination’ discovering invisible social contradictions. There were literature-intellectuals’ worries and desire for freedom toward criticism in this background of noetics.(Section 3.3) Chapter 4 shows that the value of ‘reading’ and ‘readers(the public)’ and the communicational possibility of literature-intelligence were mainly sought for during the middle and the latter part of Moonji. The overall intention of Chapter 4 is to shift the focus on understanding Moonji, too. Another dimension of Moonji such as the format of intelligence suggested as not writ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by the modern theory about origination and structuralism but sharing and criticizing it, and the work’s posthumous effect in the author’s imagination and personal creativity―the implementation of creative work through reading and discovery of its possibility―will be examined. Moonji critics intended to suggest new literature-intelligence by describing history of literature such as understanding of semantic network. 󰡔History of Literature󰡕, which tried to overcome not-western-centered and independent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described based on the existing awareness and prejudice, relied on transcendental conditions such as backwardness, modern era and race, so it revealed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history of literature that it criticized. While sharing the plann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which intended to find a new relationship of literature‘s’ through ‘structural reading’ and the interpreter’s meaning making, Kim Joo-yeon and Kim Chi-soo’s historial recognition method is different from of 󰡔History of Literature󰡕. Kim Joo-yeon suggests a history of literature that focuses on authors and considers the society as a ‘place’ where the authors in. At this time, ‘society’ was another set of exceptional individuals who could see the meaning, spirit and world of the times to Kim Joo-yeon. In this way, social things can only be understood as something beyond reality, and the culture, which is the fruit of the author who is a member of this society, appears as the sublime of spiritual thing transcending marital things. On the other hand, Kim chi-soo argues that the history of literature should be written as not an unexpected and exceptional individual history of the author but the history of society system where the author is in from the viewpoint of literary sociology. What he says is that the history of literature developing individually by historicizing the western trend of literature or the trend of literature corresponding Korean society needs to be discovered. Furthermore, this awareness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order of power inherent in the composition of dominance of the developed-underdeveloped.(Section 4.1) The late 1970s was also the time when the media and publishing of literature were integrated. Publishing let their literary theories and works by the authors they evaluated in the distribution process, and this spread of literature-intelligence was their delivery of literary and esthetic values. At the same time, it was impossible to exclude the power of those who owned media and publishing capital. The will to spread intelligence was possible through the action of rationality such as choosing of excluding something, which was the desire of the enlightened who wanted to spread their knowledge. Paradoxically, however, this will of rationality was possible by turning literature-intelligence into ‘product, and while doing so, Moonji coterie accidently became aware of the ’cultural level’ of ‘reading masses’ who chose their ‘product’. (Section 4.2) The spread of publication and increase in reading population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recognize ‘the public’ to them. The spread of mass media made intellectual-critic themselves aware that they were also ‘public’, and the reading phenomenon of ‘public’ or the unexpected popularity that literature-intelligence showed made it possible to see the ‘intelligence’ of ‘public’ newly and contemplate the universalization of culture or literature-intelligence. The transformation of ‘public awareness’ that appeared in the late 1970s was in this context, and the discussion on the literature technique as a form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reading-public’ was shown as well.(Section 4.3) This discussion confirms the esthetic practice of various literary people who asked about the logic of literature and criticism in the 1970s and the function of literature, and at the same time, makes it possible to guess the continuity and disconnection from the current literary criticism. Furthermore, the formation and spread of publishing capital was confirmed to be linked to the discursive direction of literature, which showed that literature-intelligence work related to the spread of culture and intelligence was closely related to the place for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literature. In addition, a clue to precisely trace the bifurcation of study and literature and the differentiation of knowledgeable things and literary ones that appeared at this time was prepared. 이 논문은 『문학과지성』의 비평적 글쓰기를 통해 전개된 담론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문학과지성』이라는 매체를 공유하면서 풍부한 사유를 제출했던 여러 비평가들의 상호 영향관계를 추적함으로써 『문학과지성』이 다양한 담론이 존재하고 교차하는 대화적 장소였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비평적 글쓰기의 확장된 형태로서 문학과지성사의 기획 출판활동 또한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시기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출판사의 운영과, 출판사와 계간지의 공동 노선의 구축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현재의 문학적 제도의 기원을 탐색하는 시도라 할 수 있다. 한편, 『문학과지성』의 비평은 문학과 지식의 순환적 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이 논문은 이들의 비평담론을 ‘문학-지식’으로 명명하고, 문학장(場)에서 문학적인 것과 학술적인 것, 작가와 지식인, 그리고 비평가의 공동 영역과, 매체와 제도, 자본과 같은 문학 외적 원리와 규칙에 의해 교차하고 대립해나가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2장에서는 1960년대 『문학과지성』의 비평가들의 글을 통해 인식론, 보편성과 사회성에 관련된 미학과 성찰성과 내면의 사회적 가치(시민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른바 4·19 세대는 유년의 전쟁 체험과 한글 교육을 통해 획득되었다고 여겨지는 사유의 주체성과 언어감각의 세련성을 통해서 범주화되었고, 어느 시점에 이르러서 이 주체성과 언어의 양식은 4·19라는 사건을 통해 얻어진 것으로 재규정된다. 하지만 이들이 줄곧 주장하는 그들의 언어 의식과 세계 인식에의 주체성은 애초에 전쟁 체험이 그들에게 가져다 준 변화였다. 4·19를 직접 거론하지 않고서도 설명되었던 이들의 세대적 정체성은 4·19라는 상징을 전유함으로써 한국사에서 특권적 위치를 점하게 된다.(2장1절) 󰡔산문시대󰡕와 등단작 등에서 나타나는 외국문학이론에 대한 의존성은 이들이 서구 이론을 통해 문학의 현대성을 모색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김주연과 김현, 김치수는 상투화하지 않는 20세기 문학의 창의성에서 전문적 독서의 가능성을 발견한다. 독서를 통해서 의미가 재창조되어야 하는 문학의 현대성은 비평의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며 나아가 비평을 통한 창조가 가능함을 보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한국인으로서 도달할 수 없었던 유럽적 보편성은 오히려 4·19세대로 하여금 내면성과 자기 자신의 문제에 천착하게 만들었다. 이때 자기 자신에 대한 사유, 즉 한국적인 것에 대한 고민은 문학이 성취해야 할 사회적인 것으로 전환되어 나타났다. 내면과 자율성을 강조하는 미학에 결부된 ‘사회성’은 이후 이들의 비평에서 주요한 기준점으로 나타났다.(2장2절) 김현과 김주연은 세계와 개인이 교차함으로써 드러나는 세계의 의미를 주체적으로 사유하는 개인으로서 개성적 인간을 강조하였다. 김주연이 제출한 ‘소시민’은 인식론적 단절을 감행한 순수한 인간이며, 주체적 사유와 세계에 대한 탐색을 통해 개성적 인간으로 변모할 수 있는 가능성을 담지한 존재였다. ‘소시민’이 개성적 인간이 되는 과정에서 세계와 사물은 제각각의 의미를 획득하고 이와 같인 개성과 내면을 통과한 현실과 이념은 그 자체로 다양성을 표상하는 것이기도 했다. 한편, ‘소시민’은 비-사회적 인간형을 인정하는 논법으로 받아들여졌고, 이는 시민과의 관련성 속에서만 이해되었다. 이와 같은 ‘소시민’에 대한 비판담론에 이끌려갔던 김주연 등의 글은 ‘소시민’을 시민으로 여겨지는 형상으로 만드는 동시에 성찰성과 지식인성을 투사한 시민을 염두에 둔 개념으로 재논의하고 있었다. 이는 이전부터 그들이 제출했던 ‘문학의 현대성’이 ‘시민’에게 겹쳐지는 방식이기도 했다.(2장3절) 3장에서는 『문학과지성』 창간 당시에에 구축된 ‘문학-지식’의 지향점을 확인해보고자 했다. 1960년대 여러 대립과 논쟁 등을 통해 제기되었던 개성, 보편성, 사회적인 것과 질서로서의 도덕/윤리는 이들의 인식과 미학에 주요한 기준이 되었다. 또한 1960년대 문학장에서 대립적 구도로 지속되었던 논쟁을 ‘극복’하고 ‘초월’하는 방식으로 이들의 미학과 인식은 재차 강조된다. 문학과 비평의 본질을 묻는 작업인 『문학과지성』의 비평적 글쓰기는 자신들까지 이어지는 문학적 계보를 구성하고 있는데, 이는 『문학과지성』의 비평가들이 문학사와 ‘나’의 접점을 형성함으로써 완전한 자기 정립을 구상했던 것이라 할 수 있다.(3장 1절) 한편, 『문학과지성』의 문학적 이념은 창간을 즈음한 ‘리얼리즘’ 논쟁에서 뚜렷해진다. 『문학과지성』에서 상상력은 규정적 판단이 아니라, 반성적 판단을 의미하는 것이며, 문학을 한다는 것은 의미화되지 않은 현상에서 보이지 않는 의미(구조/사회모순)를 발견하여 이를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다. 김현을 비롯한 『문학과지성』의 ‘리얼리즘’은 세계를 인식하는 방법으로서의 리얼리즘으로, 이는 세계의 현실을 인식하고 이를 구성적인 진실로 만드는 상상력과 타자의 체험을 자기화하고 보편적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감수성을 매개로 가능한 것이었다. 이와 같이 발견되는 리얼리티, 문학적 진실은 그것을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여 ‘현실’에 관여하는 문제로 나아가는데, 이들은 이것이야말로 문학으로서의 정치성을 담보하는 것이라고 보았다.(3장 2절) 현실을 ‘상상력’을 통해 구성하고 문제를 인식하는 것, 그리고 이를 문학적인 형상으로 바꾸어놓는 것이 ‘문학’의 역할이었다면, 지성은 이와 같은 작업을 ‘지식’을 통해서 이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상력은 지성인에게도 요구되는 항목이며, 상상력을 통해 보이지 않는 사회적 모순을 발견할 수 있는 ‘사회적 상상력’을 통해 지식인이 사회에 관여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지성론의 배경에는 고민과 비판의 자유를 향한 당시 지식인의 갈망이 놓여있었다.(3장 3절) 4장에서는 『문학과지성』이 ‘독서’와 ‘독자(대중)’의 가치를 발견하고 ‘문학-지식’의 소통 가능성을 모색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문학과지성』의 비평적 글쓰기는 문학사 서술, 출판 등 다양한 작업으로 구현되었으며, 이는 대중담론에서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었다. 『문학과지성』의 비평가들은 “의미인의 문학사” 서술을 통해 새로운 ‘문학-지식’을 제시하고자 했다. 󰡔한국문학사󰡕는 서구중심적이지 않고 주체적인 문학사 서술을 목적으로 기존의 인식과 편견에 사로잡힌 문학사 인식을 극복하려는 작업의 산물이었다. 그러나 후진성, 근대, 민족과 같은 선험적 조건들에 의존함으로써 자신들이 비판했던 기존 문학사의 문제점을 그대로 드러내는 한계를 보였다. 구조주의적 독서, 해석자의 능동적인 의미 부여를 통해 문학‘들’의 새로운 관계를 찾고자 했던 문학사 서술의 기획을 공유하면서도 김주연과 김치수의 역사 인식 방식은 󰡔한국문학사󰡕의 그것과는 차이를 노정하고 있다. 김주연은 작가를 중심으로 하는 문학사, 작가가 놓여있는 자리로서의 사회적인 것을 고려하는 문학사를 제안한다. 이때 김주연에게 사회는 시대의 의미와 정신, 세계를 투시할 수 있는 또다른 예외적 개인들의 집합이었다. 이렇게 볼 때 사회적인 것이란 현실 초월적인 것으로만 이해되며, 이 사회의 구성원인 작가의 산물로서 문화는 물질적인 것을 초월하는 정신적인 것의 숭고함으로 나타난다. 한편, 김치수는 문학사회학의 관점에서 작가라는 돌발적이고 예외적인 개인의 역사가 아니라, 그 작가가 놓인 사회, 체계의 역사로 문학사를 새롭게 쓰자고 주장한다. 서구의 문예사조를 상대화·역사화함으로써 개별적으로 발전하는 문학의 역사, 혹은 한국의 사회에 조응하는 문예사조를 발견하자는 것이 김치수의 주장이었다. 나아가 이와 같은 인식은 선진-후진의 우열적 구도에 내재한 힘의 질서를 간파하게 한다.(4장1절) 1970년대 후반은 문학의 매체와 출판이 통합되는 시기이기도 했다. 출판은 이들의 문학론과 자신들이 고평하는 작가의 작품이 다양한 형태로 유통할 수 있게 했다. 이와 같은 ‘문학-지식’의 확산을 통해 이들은 자신들의 미학을 전달하고자 했다. 한편, 이 출판은 매체와 출판 자본을 소유한 자들의 권력 작용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지식을 확산시키려는 의지는 자신들의 앎을 확산시키고자 하는 계몽주의자의 욕망에 같으며, 이는 무언가에 대한 선택과 배제라는 이성의 작용을 통해 실현될 수 있는 것이었다. 역설적으로 이와 같은 이성의 의지는 ‘문학-지식’을 ‘상품’으로 만듦으로써 가능했고, 이 과정에서 『문학과지성』의 동인들은 우연히도 자신이 생산한 ‘상품’을 선택하는 ‘독서대중’의 ‘문화적 수준’을 자각하게 되기도 했다.(4장 2절) 출판의 확산, 독서 인구의 증가는 이들에게 ‘대중’을 재인식하는 계기로 작용하기도 한다. 대중매체의 확산은 지식인-비평가 스스로도 ‘대중’임을 자각하게 하였으며, ‘대중’의 독서 현상, 혹은 ‘문학-지식’의 출판이 보여준 의외의 흥행은 ‘대중’의 ‘지식’에 대해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해 주었고, 이는 ‘문학-지식’의 보편화에 대한 풍부한 사유를 이끌었다. 1970년대 후반에 나타난 ‘대중 인식’의 변모는 이러한 맥락에 놓여 있었고, 그 과정에서 독서 대중과 소통 가능한 형식으로서의 문학 기법이 논의되는 모습이 나타나기도 했다.(4장 3절) 이와 같은 논의는 1970년대 문학과 비평의 논리, 그리고 문학의 기능에 대해 질문했던 다양한 문학자들의 미학적 실천을 확인하는 작업이며, 동시에 현재의 문학 비평과의 연속과 단절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출판자본의 형성과 확산의 과정이 문학의 담론적 향보와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문화와 지식의 확산에 관한 ‘문학-지식’적 작업이 문학의 생산과 소비의 장과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계간지 시대 비평 담론 연구

        안서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84

        본 논문은 1966년 <창작과비평>(이하 <창비>)이, 1970년 <문학과지성>(이하 <문지>)이 창간되어 두 잡지가 공존하다가 1980년 강제 폐간되기까지의 시기를 ‘계간지 시대’로 설정하고, 이 시기 비평 담론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계간지 시대는 이후 한국문학의 틀을 마련한 설정적 시기로서 의의를 지니며, 매체사적으로는 기존 동인지에 비해 개방적인 체계를, 문학사적으로는 문학의 시대적 사명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인식을, 비평사적으로는 외재적 비평으로의 전환과 활발한 방법론적 탐색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논문은 계간지 시대를 주도한 비평가들의 실제 비평 글쓰기 즉 비평적 실천의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그 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계간지 시대 비평은 4.19 이후의 두 가지 주요 비평 담론, 즉 ‘순수참여논쟁(참여론)’과, 195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왔으며 4.19 이후 국학계의 변화와 함께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던 ‘전통론’이라는 두 비평 담론의 전환적 전개 양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계간지 참여 비평가들은 순수참여논쟁의 소모성을 지양하고, 다양한 이론적 탐구를 통하여 문학과 사회의 관계를 다각도로 해명함으로써 기존의 참여론을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해나갔다. 또한 기존 전통론의 두 방향이었던 전통단절론과 회고적 전통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당대 국사학계의 움직임, 즉 독자적 근대의 논리를 현시한 이른바 내재적 발전론과 이를 식민지 시대 비판으로 이어나간 민족주의 사학의 성과를 문학 분야에 적용하여, 한국문학 전통의 연속성을 논리적으로 설명해내는 것을 전통론의 과제로 삼았다. 따라서 계간지 시대의 비평은 4.19 이후 지성계의 흐름 속에서 제기된 ‘참여’와 ‘(문화적)탈식민’이라는 의제에 대한 본격적 담론 전개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결국 계간지 시대 혹은 이른바 계간지 비평가 그룹이 공동으로 실천하고자 한 것은, 가라타니 고진 식 ‘근대문학’, 즉 개인의 주관성과 사회적 주체성을 매개함으로써 공동체의 형성과 보충에 기여하는 ‘네이션(nation)의 문학’의 수립이었다고 할 수 있다. 개인의 글쓰기가 직접 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논하는 사르트르의 ‘참여문학론’이 당대 비평에서 커다란 화두가 된 까닭도, 비평가들이 문학사를 논하거나 직접 서술을 시도할 정도로 한국문학 전통의 고유한 논리라는 화두에 천착한 까닭도 여기에 있었다. 기존에 ‘민족(민중)주의 대 자유주의’ 혹은 ‘리얼리즘 대 모더니즘’이라는 양립 관계로 설명되어 온 두 계간지의 공존은, 실은 이와 같은 공동의 목표를 분업적으로 수행한 국면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고진은 <근대문학의 종언>에서 한국에서의 ‘근대문학’을 1990년대 이전의 문학, 즉 1980년대까지의 문학으로 규정한 바 있지만, 실상을 보면 1980년대에는 문학의 역할이 다시 상대적으로 축소되고 사회과학이론이 담론 장을 주도하게 된다. 따라서 시대상황으로 말미암아 문학 부문이 저항 담론의 역할을 상당 부분 담당하고 있었으며, 그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계간지’라는 문예제도를 새롭게 창설하고 한국문학의 참여와 전통의 논리를 마련하는 데 자신의 역량을 집중하였던 ‘편집자-비평가’들의 활약이 두드러진 이 시대야말로 ‘근대문학의 시대’였다고 할 수 있다. 계간지 시대에 고유한 시대성이 부여될 수 있는 또 다른 이유는 비평 방법론의 탐구에서 찾을 수 있다. ‘작품’ 중심의 내재적 비평에서 벗어나 ‘작가-작품-독자’라는 문학적 소통의 회로를 연구하는 외재적 비평이론이 지속적으로 탐구되었다. 이와 같은 노력은 독자나 작가의 위상에 대한 탐구나 다양한 문학적 참여의 방법론에 대한 모색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1970년대 후반이 되면 대중산업사회화에 대한 인식과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던 대중운동의 영향에 힘입어 대중문학론의 활발한 전개로 이어지게 된다. 흔히 지적되는 외국문학 전공자 중심의 인적 구성으로 말미암아 계간지 비평 그룹은 주로 서구 이론의 영향 아래 놓여 있었던 것이 사실이지만, 이들의 방법론적 기여는 비단 외래 이론의 단순 수용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계간지 비평가들은 서구 계간지들의 체재와 그 바탕이 된 이론을 폭넓게 참조하여 문학과 비평의 새로운 존재방식을 고안해냈으며, 특히 푸코와 후기구조주의 이론의 영향을 받아 인식론적 단절을 가져오는 질문으로서의 비평 방법을 실천하였고(<문지>), 또 이에 대한 대화적 응전을 통해(<창비>) 자신들의 비평 논리를 체계적으로 구축하였다(이 시대 계간지 비평에는 푸코 식 ‘고고학’과 ‘계보학’의 질문법이 도입되었다. 가령 ‘지금 한국문학에서 참여를 말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가?’가 ‘고고학’의 질문방법이라면, ‘한국문학의 전통은 어떻게 구성되어 왔는가? 그 과정에서 무엇이 포함되고 또 배제되었는가?’가 ‘계보학’의 질문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의 1.2절과 2장 참조). 본 논문의 2장에서는 <창비>가 창간되어 <문지>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동인지들과 공존하였던 시기이자 계간지 비평의 ‘과제 설정’의 시기인 1966년~1970년의 비평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시기에 계간지 주도 비평가들은 비평의 새로운 위상을 천명하고, 다음의 두 가지 담론적 과제를 설정한다. 문학의 사회적 기능 회복을 위한 필요조건이라 할 수 있는 독자와의 소통의 모색, 그리고 참여의 조건인 개인 주체의 성립을 위한 비평적 노력이 참여론의 과제로, 문화적 식민지성의 극복과 기존의 전통론 혹은 문학사 논의에 대한 재검토가 전통론의 과제로 각각 제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비평적 과제들의 해결을 모색하기 위하여 리비스주의(<창비>)나 푸코 식 문화적 고고학(<문지>)의 방법이 긴밀하게 참조되었다. 3장에서는 <문지>가 창간되면서 <창비>와의 비평적 대화가 보다 활발해진 ‘이론 논쟁’의 시기인 1971~1975년의 계간지 비평 글쓰기 양상을 분석하였다. 계간지 비평가들은 이 시기에도 참여론의 후속 논의를 다각도로 전개하는데, 이는 사르트르의 참여문학론의 영향과 극복이라는 문제와 맞물려 있다. 사르트르의 이론에 대한 논의를 심화하는 과정에서 계간지 비평가들은 작가의 위상과 문학적 참여의 방법을 둘러싼 논쟁을 펼친다. 또한 이 시기 <창비>는 루카치의 참조를 통한 리얼리즘 이론의 심화를, <문지>는 바르트의 이론 소개를 통한 독자적인 참여의 논리 모색을 보여주는데, 이 과정은 평단의 리얼리즘 논쟁의 전개 양상과도 맞물려 있다. 또한 이 시기에 문학사를 둘러싼 논의 역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 시기 <창비>는 민족주의 사관의 영향을 받아 고유한 문학사론을 전개하며, <문지>는 김현이 공저자로 참여한 <한국문학사>의 서술과 그 공과를 둘러싼 논쟁을 통해 전통의 연속성 해명이라는 과제에 주력하였다. 4장에서는 그동안 모색된 비평 논리가 보다 구체화에 이르는 ‘비평관 정립’의 시기, 즉 1976년부터 두 계간지가 강제 폐간을 맞는 1980년까지의 계간지 비평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그간의 계간지 비평의 독자 이론은 보다 구체적인 방향으로 나아가, 문학에서의 민중성 혹은 대중성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탐구하는 대중문학론으로 새롭게 전개된다. 이와 같은 대중문학론은 다시 계간지 비평가들이 파악한 당대 기술산업사회 혹은 대중소비사회에서의 문학의 전망문제와 연관되면서 종합적 비평관으로 발전해나간다. 또한 전통론의 영역에서는 <창비>의 제3세계문학론이 본격적으로 개진되고 김현의 문학사 서술 시도가 단독 저술 <한국문학의 위상>으로 이어지는 등, ‘후진국의 문학’이라는 명제를 극복하고 세계 속에서의 한국문학의 위상과 역할, 그리고 한국문학의 주체성을 비평 논리화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 『문학과지성』의 이론적 기반과 미학적 실천

        인아영 서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ed light on the theoretic basis and literary practices of Moonhak-kwa Jisung (Moonji) (Literature and Intelligence), one of the leading Korean literary magazines of the 1970s. The first step of this thesis is to focus on the standpoint regarding Moonji as the coherent embodiment of literarism or aesthetic autonomy, based on the mistake accrued in preceding researches that resolves the theoretic root of Moonji in French structuralism. This point of view not only results in 1970s literature reverting to the 1960s literary controversy between Changbi and Moonji , or “participation literature” and “pure literature,” but also overlooks that Moonji was a dynamic field in which diverse stances struggled with one another. Thu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theoretic basis of Moonji as composed of various foreign theories, such as French structuralism, the critical theory of the Frankfurt School, and literary sociology. In addition, this work attempts to examine the theoretic basis that contributed to forming the intrinsic aesthetic standard of Moonji connected to the literary criticism of the middle and late 1970s. Restoring theoretic basis would help understand the true nature of Korean literature in this period. To achieve these ends, the second chapter of this thesis focuses on the meaning of Moonji accepting Western Europe theory in the context of 1970s Korean literature. The increasingly vocal critics of the 1970s criticized the existing literary circle for their impressionist criticism and accepted foreign literary theory as the inevitable measure that enabled objective reflection on the problems in the Korean literary field. For Moonji, the meaning of “foreign” signified “Western Europe,” regarded as the manifestation of critical thinking, as well as a spiritual homeland, in contrast to “the United States,” which was considered materially wealthy, with a culture of consumption. Although French structuralism and the critical theory of the Frankfurt School have developed respectively in the Western history of intellectual movements, Moonji accepted the two in the same period because the critical mind must introspect and analyze Korean society and Korean literature objectively. Additionally, the third chapter deals with the fact that French structuralism was accepted as the scientification of literary study or the discourse of modernization, rather than the method of literary criticism, and it was applied to Kim Yoonsik and Kim Hyun’s Korean Literary History (1972–1973), the literary practice of Moonji that was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texts regarding structuralism in early Moonji were the main writings that criticized Sartre’s existentialism. Meanwhile, in the middle and late 1970s, writings increased remarkably in Moonji that emphasized structuralism not as a literary trend, but an objective methodology of literary criticism. However, structuralism was barely applied to literary criticism individually.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Moonji’s involvement with structuralism was not only related to aesthetic autonomy along with the French literary field, but also, more importantly, to the literary,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in Korea at the time. Moonji accepted structuralism not as a methodology for literary criticism, as Moonji ostensibly insisted, but as a sort of modernization discussion alongside terms such as “objectivity” or “literary science.” It was an abstract discussion for a literary theory, but it had an opportunity to take concrete shape when connected to Lucien Goldmann’s genetic structuralism applied to Kim Yoonsik and Kim Hyun’s Korean Literary History (1972–1973). The fourth chapter of this work analyzes the fact that Moonji’s interest in the critical theory of the Frankfurt School originated from the attempt to introspect regarding the status and the meaning of Korean literature rather than from Marxist social criticism or the resistance to the dictatorial government. As of the late 1970s, a mid interest in an industrial society and mass culture in the academic world, Moonji accepted the critical theory of the Frankfurt School in earnest. Among the critics and writers of Moonji, they easily agreed on an industrial society; however, their perspectives on mass culture was different, since the mass culture served as momentum to contemplate the status and role of Korean literature in an industrial society. It appeared in Kim Hyun’s The Evolvement and Coordinate of Korean Literature, which defines “real” literature as critically reflecting the suppression of society, creating distance from both “participating literature” and “popular literature.” This standard became the grounds on which critics such as Kim Byung-ik, Kim Chi-soo, and Oh Sang-geun spoke highly of the literature, which criticized an industrial society. 이 논문의 목적은 1970년대 문학 계간지 『문학과지성』(이하 『문지』)의 이론적 기반을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당대의 문학 장 속에서 어떠한 문학적 실천으로 이어졌는지 밝히는 것이다. 본고는 『문지』가 문학주의 혹은 언어의 미적 자율성을 일관적으로 옹호했다고 보는 시각이, 『문지』의 이론적 뿌리를 프랑스 구조주의로 환원하는 오류에 근거한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이러한 시각은 1970년대 문학 장을 『창작과비평』 대 『문지』 혹은 정치성 대 문학성으로 단순화할 뿐만 아니라, 『문지』가 여러 필진들의 다양한 목소리가 길항하는 역동적인 장이었다는 사실을 간과하게 한다. 따라서 본고는 『문지』의 이론적 토대가 단지 프랑스 구조주의라는 단일한 요소만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론 및 문학사회학 등 여러 이론적 입장과 상호작용하였다는 사실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 『문지』의 고유한 미학적 기준이 만들어졌으며 이를 토대로 형성된 문학관이 1970년대 중후반의 소설비평으로 이어졌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문지』의 외국이론 수용에는 1970년대 비평가들의 고유한 사상적·문학적 지향 및 한국문학에 대한 문제의식이 짙게 깔려있기 때문에 이를 복원하는 것은 1970년대 문학의 실체와 그 문학사적 의의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를 위해 본고의 2장에서는 1970년대 문학 장 속에서 『문지』가 외국이론, 그 중에서도 서유럽의 이론을 수용한 양상과 그 의미를 고찰한다. 1970년대 신진 비평가들은 1950-60년대에 월간지를 중심으로 권력화된 기성문단이 주관적인 인상비평을 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그 극복방안으로써 외국의 문학이론을 수용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 있었던 『문지』 역시 「창간호를 내면서」부터 한국사회 및 한국문학의 병폐로 ‘패배주의’와 ‘샤머니즘’을 제시하며 문학에 대한 객관적인 성찰과 분석을 가능케 하는 외국이론 수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때 『문지』에게 있어 ‘외국’이란, 당대에 물질적인 풍요와 소비문화라는 이미지로 수렴되었던 미국과 달리 정신적 고향이자 비판적 이성(理性)의 현현으로 여겨졌던 서유럽이었다. 서구지성사에서 프랑스의 구조주의와 독일의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론은 거의 교류를 맺은 바 없이 각각 발전해왔지만, 『문지』는 한국사회와 한국문학을 객관적으로 성찰해야 한다는 문제의식과 그 극복방안으로 여겨진 비판적 이성에 대한 지향 아래 두 이론을 동시기에 수용했던 것이다. 3장에서는 『문지』에서 구조주의가 문학비평의 방법론이라기보다는 문학연구의 과학화 및 근대화담론으로서 수용되었으며, 이것이 1972-1973년에 연재되었던 김윤식, 김현의 「한국문학사」(7-14호)를 통해 근대문학사 서술이라는 문학적 실천으로 이어졌음을 밝혔다. 『문지』에 제출된 구조주의 관련 텍스트들은 초기에는 롤랑 바르트를 통해 사르트르의 실존주의를 직접적으로 비판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나, 1970년대 중후반에 이르러 구조주의가 사조가 아닌 방법론으로서 수용되었다는 입장으로 선회한다. 그러나 『문지』에서 구조주의는 문학비평의 형태로 거의 실현되지 않았다. 그 까닭은 구조주의가 문학연구를 객관적인 과학으로 자리매김하려는 기획, 그리고 당대의 근대화담론과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문지』의 구조주의 수용은 내재적 발전론과 함께 문학사에 대한 관심이 대두된 1970년대의 분위기와 조우하여, 김윤식과 김현의 「한국문학사」로 결산되었다. 「한국문학사」는 루시앙 골드만의 발생론적 구조주의라는 방법론을 통해 한국만의 개별적인 근대문학사를 서술함으로써 한국문학의 주변성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골드만의 구조주의는 『문지』가 한국근대문학이라는 개념을 1970년대식으로 설정하기 위한 일종의 조주(助走)였던 셈이다. 본고는 이를 통해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언어화해야 한다는 『문지』의 고유한 미학적 기준이 태동했다는 점 또한 밝히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론에 대한 『문지』의 관심이 마르크시즘적인 사회비판 혹은 당대 독재 정권에 대한 저항적인 인식에서 비롯하였다기보다는 한국문학의 위상을 성찰하기 위한 시도에서 비롯하였다는 점에서 『문지』가 구조주의를 수용한 이유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가설을 제기하고자 한다. 또한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론 수용을 통해 정리된 ‘문학’의 정의 및 외연이 1970년대의 구체적인 문학작품에 대한 현장비평으로 이어졌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1970년대 후반에 이르러 산업사회와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인문사회학계 전반에 고조되면서 『문지』도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론을 본격적으로 수용하였다. 이때 산업사회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는 필진들이 비교적 뚜렷한 합의점에 이르고 있는 것과 달리 대중사회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였는데, 이는 그만큼 대중문화가 『문지』의 촉수를 건드리는 주제였기 때문이다. 대중문화는 산업사회 속에서 존재하는 한국문학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서 새롭게 고찰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러한 문제의식은 김현의 「한국문학의 전개와 좌표」(22-28호)로 이어졌다. 이 글은 참여문학과 대중문학이라는 두 영역과 비판적 거리를 둠으로써‘사회의 억압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문학’을 ‘진짜’문학으로 새롭게 정의한다. 문학이란 인간과 사회에 대한 억압을 반성케 해야 한다는 입장은 1970년대 후반 김병익, 김치수, 오생근 등의 비평가들이 산업사회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보인 문학을 고평하는 근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1970년대 문학 장에서도 통용되는 비평적 기준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