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항암 효과를 가진 Viscothionin의 STAT3와의 관련성 연구

        안서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Lung cancer is the crucial cause of mortality world-wide.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STAT3) are important signaling factors in malignant diseases and are constantly activated in 22% ~ 65%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cells. STAT3 also can be activated by interleukin-6 (IL-6) which induces cell growth in various cancer cells. Although viscothionin has been studied for various health beneficial effects, the anticancer effect of viscothionin has not been studies so far against lung canc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anticancer effect of a polypeptide, viscothionin in NCI-H460 lung cancer cells, which represents NSCLC. To do this, cultured NCI-H460 cells were treated with viscothionin (up to 10 μg/ml) and/or IL-6 (10 ng/ml), and the cell viability, as well as expression levels of STAT3, Akt, mTOR, Bax, Bcl-2, and Bcl-xL, including caspase-3 activity were assessed. As a result, cell viability was decreased in the viscothionin-treated group as compared to control. Also, viscothionin significantly decreased STAT3, Akt and mTOR protein expression levels in NCI-H460 cells. Additionally, the levels of the Bax, an apoptotic protein were in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whereas the expression levels of anti-apoptotic proteins Bcl-2 and Bcl-xL were de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IL-6 shows the reversible effect compared to viscothioni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viscothionin exhibits potent anticancer effect in NSCLC through STAT3 inhibition, and could be considered a natural agent of lung cancer therapy.

      • 계간지 시대 비평 담론 연구

        안서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1966년 <창작과비평>(이하 <창비>)이, 1970년 <문학과지성>(이하 <문지>)이 창간되어 두 잡지가 공존하다가 1980년 강제 폐간되기까지의 시기를 ‘계간지 시대’로 설정하고, 이 시기 비평 담론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계간지 시대는 이후 한국문학의 틀을 마련한 설정적 시기로서 의의를 지니며, 매체사적으로는 기존 동인지에 비해 개방적인 체계를, 문학사적으로는 문학의 시대적 사명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인식을, 비평사적으로는 외재적 비평으로의 전환과 활발한 방법론적 탐색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논문은 계간지 시대를 주도한 비평가들의 실제 비평 글쓰기 즉 비평적 실천의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그 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계간지 시대 비평은 4.19 이후의 두 가지 주요 비평 담론, 즉 ‘순수참여논쟁(참여론)’과, 195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왔으며 4.19 이후 국학계의 변화와 함께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던 ‘전통론’이라는 두 비평 담론의 전환적 전개 양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계간지 참여 비평가들은 순수참여논쟁의 소모성을 지양하고, 다양한 이론적 탐구를 통하여 문학과 사회의 관계를 다각도로 해명함으로써 기존의 참여론을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해나갔다. 또한 기존 전통론의 두 방향이었던 전통단절론과 회고적 전통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당대 국사학계의 움직임, 즉 독자적 근대의 논리를 현시한 이른바 내재적 발전론과 이를 식민지 시대 비판으로 이어나간 민족주의 사학의 성과를 문학 분야에 적용하여, 한국문학 전통의 연속성을 논리적으로 설명해내는 것을 전통론의 과제로 삼았다. 따라서 계간지 시대의 비평은 4.19 이후 지성계의 흐름 속에서 제기된 ‘참여’와 ‘(문화적)탈식민’이라는 의제에 대한 본격적 담론 전개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결국 계간지 시대 혹은 이른바 계간지 비평가 그룹이 공동으로 실천하고자 한 것은, 가라타니 고진 식 ‘근대문학’, 즉 개인의 주관성과 사회적 주체성을 매개함으로써 공동체의 형성과 보충에 기여하는 ‘네이션(nation)의 문학’의 수립이었다고 할 수 있다. 개인의 글쓰기가 직접 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논하는 사르트르의 ‘참여문학론’이 당대 비평에서 커다란 화두가 된 까닭도, 비평가들이 문학사를 논하거나 직접 서술을 시도할 정도로 한국문학 전통의 고유한 논리라는 화두에 천착한 까닭도 여기에 있었다. 기존에 ‘민족(민중)주의 대 자유주의’ 혹은 ‘리얼리즘 대 모더니즘’이라는 양립 관계로 설명되어 온 두 계간지의 공존은, 실은 이와 같은 공동의 목표를 분업적으로 수행한 국면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고진은 <근대문학의 종언>에서 한국에서의 ‘근대문학’을 1990년대 이전의 문학, 즉 1980년대까지의 문학으로 규정한 바 있지만, 실상을 보면 1980년대에는 문학의 역할이 다시 상대적으로 축소되고 사회과학이론이 담론 장을 주도하게 된다. 따라서 시대상황으로 말미암아 문학 부문이 저항 담론의 역할을 상당 부분 담당하고 있었으며, 그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계간지’라는 문예제도를 새롭게 창설하고 한국문학의 참여와 전통의 논리를 마련하는 데 자신의 역량을 집중하였던 ‘편집자-비평가’들의 활약이 두드러진 이 시대야말로 ‘근대문학의 시대’였다고 할 수 있다. 계간지 시대에 고유한 시대성이 부여될 수 있는 또 다른 이유는 비평 방법론의 탐구에서 찾을 수 있다. ‘작품’ 중심의 내재적 비평에서 벗어나 ‘작가-작품-독자’라는 문학적 소통의 회로를 연구하는 외재적 비평이론이 지속적으로 탐구되었다. 이와 같은 노력은 독자나 작가의 위상에 대한 탐구나 다양한 문학적 참여의 방법론에 대한 모색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1970년대 후반이 되면 대중산업사회화에 대한 인식과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던 대중운동의 영향에 힘입어 대중문학론의 활발한 전개로 이어지게 된다. 흔히 지적되는 외국문학 전공자 중심의 인적 구성으로 말미암아 계간지 비평 그룹은 주로 서구 이론의 영향 아래 놓여 있었던 것이 사실이지만, 이들의 방법론적 기여는 비단 외래 이론의 단순 수용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계간지 비평가들은 서구 계간지들의 체재와 그 바탕이 된 이론을 폭넓게 참조하여 문학과 비평의 새로운 존재방식을 고안해냈으며, 특히 푸코와 후기구조주의 이론의 영향을 받아 인식론적 단절을 가져오는 질문으로서의 비평 방법을 실천하였고(<문지>), 또 이에 대한 대화적 응전을 통해(<창비>) 자신들의 비평 논리를 체계적으로 구축하였다(이 시대 계간지 비평에는 푸코 식 ‘고고학’과 ‘계보학’의 질문법이 도입되었다. 가령 ‘지금 한국문학에서 참여를 말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가?’가 ‘고고학’의 질문방법이라면, ‘한국문학의 전통은 어떻게 구성되어 왔는가? 그 과정에서 무엇이 포함되고 또 배제되었는가?’가 ‘계보학’의 질문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의 1.2절과 2장 참조). 본 논문의 2장에서는 <창비>가 창간되어 <문지>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동인지들과 공존하였던 시기이자 계간지 비평의 ‘과제 설정’의 시기인 1966년~1970년의 비평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시기에 계간지 주도 비평가들은 비평의 새로운 위상을 천명하고, 다음의 두 가지 담론적 과제를 설정한다. 문학의 사회적 기능 회복을 위한 필요조건이라 할 수 있는 독자와의 소통의 모색, 그리고 참여의 조건인 개인 주체의 성립을 위한 비평적 노력이 참여론의 과제로, 문화적 식민지성의 극복과 기존의 전통론 혹은 문학사 논의에 대한 재검토가 전통론의 과제로 각각 제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비평적 과제들의 해결을 모색하기 위하여 리비스주의(<창비>)나 푸코 식 문화적 고고학(<문지>)의 방법이 긴밀하게 참조되었다. 3장에서는 <문지>가 창간되면서 <창비>와의 비평적 대화가 보다 활발해진 ‘이론 논쟁’의 시기인 1971~1975년의 계간지 비평 글쓰기 양상을 분석하였다. 계간지 비평가들은 이 시기에도 참여론의 후속 논의를 다각도로 전개하는데, 이는 사르트르의 참여문학론의 영향과 극복이라는 문제와 맞물려 있다. 사르트르의 이론에 대한 논의를 심화하는 과정에서 계간지 비평가들은 작가의 위상과 문학적 참여의 방법을 둘러싼 논쟁을 펼친다. 또한 이 시기 <창비>는 루카치의 참조를 통한 리얼리즘 이론의 심화를, <문지>는 바르트의 이론 소개를 통한 독자적인 참여의 논리 모색을 보여주는데, 이 과정은 평단의 리얼리즘 논쟁의 전개 양상과도 맞물려 있다. 또한 이 시기에 문학사를 둘러싼 논의 역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 시기 <창비>는 민족주의 사관의 영향을 받아 고유한 문학사론을 전개하며, <문지>는 김현이 공저자로 참여한 <한국문학사>의 서술과 그 공과를 둘러싼 논쟁을 통해 전통의 연속성 해명이라는 과제에 주력하였다. 4장에서는 그동안 모색된 비평 논리가 보다 구체화에 이르는 ‘비평관 정립’의 시기, 즉 1976년부터 두 계간지가 강제 폐간을 맞는 1980년까지의 계간지 비평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그간의 계간지 비평의 독자 이론은 보다 구체적인 방향으로 나아가, 문학에서의 민중성 혹은 대중성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탐구하는 대중문학론으로 새롭게 전개된다. 이와 같은 대중문학론은 다시 계간지 비평가들이 파악한 당대 기술산업사회 혹은 대중소비사회에서의 문학의 전망문제와 연관되면서 종합적 비평관으로 발전해나간다. 또한 전통론의 영역에서는 <창비>의 제3세계문학론이 본격적으로 개진되고 김현의 문학사 서술 시도가 단독 저술 <한국문학의 위상>으로 이어지는 등, ‘후진국의 문학’이라는 명제를 극복하고 세계 속에서의 한국문학의 위상과 역할, 그리고 한국문학의 주체성을 비평 논리화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 페이스북 커뮤니티 <여행에 미치다>의 이용 문화와 유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플루서의 기술적 형상과 벤야민의 미메시스 능력을 중심으로

        안서현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explains social media users' culture and perception of various travel contents generated in social media through Flusser's technical pictures and information players in the telematics age. Also, it aims at finding Benjamin's mimetic practice through participation and experiential cases of play by non-sensual similarity and dialectical images.   To investigate how social media users engage in information consumers and producers who share their travel experience with others based on the travel culture of 'Travel holic,' 13 users of 'Travel holic' were chosen as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interview with FGI, I tried to explore the qualitative meaning in their culture. The research participants used 'Travel holic' for fun, interest, and information under the common denominator of travel. They showed strongly favorable attitude and replied that the greatest advantages are the ease of use that allows fast and easy access of information, and their simple and intuitive videos that demonstrate interest and informativeness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research problem, I found out that travel information production activity through hashtags appeared as 'network communication', the most ideal communication form, and the communication type of 'Travel holic' allows horizontal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through their travel information capability and their own filtering and purification system for excessive information and errors. However, passive users in a state of 'public deceitfulness' were also observed, who perform independent act of appreciating the contents but not being able to develop into communicative communication. Yet, there appeared activities of creative imaginers who would use contents to play the role of ideal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travelers have the same experience in terms of mimetic power and play, but their thoughts following their experience all have different dialectical images. Through the mimetic practice of enjoying independent history and feeling amusement, they themselves will try to participate in 'Travel holic' and can therefore explain the reason it has become the base of participatory content platform. 'Travel holic' has a cultural implication in that it possesses similarity through the phenomenon of average people like myself willingly participating and non-sensual similarity, and the mimetic concept that comes from the use of the public, the practice of consumption-production, and the consequent creativity and resistant enjoyment.   Based on the thoughts of Flusser and Benjamin, this study analyzes travel information and contents in the age of social media through social media users' culture and perception in multiple perspectiv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suggests a direction for the leisure culture and travel information of 'Travel holic.'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안에 생성되는 다양한 여행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들의 문화와 인식을 플루서의 기술적 형상과 텔레마틱 시대의 정보 유희자를 통해 설명하고 벤야민의 미메시스적 실천을 비감각적 유사성과 변증법적 이미지를 통해 참여와 경험적 사례의 유희를 통해 찾아보고자 하였다.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은 ‘여미’의 여행 문화를 바탕으로 타인과 자신의 여행 경험을 공유하는 정보 수용자이자 생산자 활동을 어떻게 실천하려 하는지 ‘여미’ 이용자 1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FGI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들 문화에 존재하는 질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여미’를 여행이라는 공통분모 속에서 재미와 흥미 및 정보 추구를 위해 사용하며, 정보의 접근 측면에서 쉽고 빠르게 다가갈 수 있는 이용의 편리함과 콘텐츠의 흥미와 정보성이 동시에 드러나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영상을 가장 큰 장점으로 꼽으며 강력한 호감을 드러냈다. 연구 문제를 통해 해쉬 태그를 통한 여행정보 생산 활동은 가장 이상적인 커뮤니케이션인 ‘망형 대화’의 형태로 나타났고 ‘여미’의 커뮤니케이션 형태는 여행 정보 능력과 지나치게 많은 정보 및 오류를 자체적 필터링과 자정을 통하여 개인들 간의 수평적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콘텐츠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콘텐츠를 감상하는 주체 행위를 실천하고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으로 발전하지는 못하는 '대중적 기만' 상태에 놓인 수동적인 이용자들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콘텐츠를 통해 이상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창조적 상상가의 활동도 나타나게 된다. 또한 미메시스적 능력과 유희의 측면에서 여행자는 같은 경험을 하였지만 경험 후 느끼는 사유는 모두 다른 변증법적 이미지를 가지게 되며 주체적 역사를 향유하고 유희를 느끼게 되는 미메시스의 실천을 통해 ‘여미’에 스스로 참여하고자 하며 참여형 콘텐츠 플랫폼으로의 터전이 된 이유에 대해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나와 비슷한 일반인들의 참여하고자 하는 현상을 통해 살았던 유사성, 비감각적 유사성을 지니고 대중에 의한 이용, 소비-생산의 실천과 그 과정에서 생겨나는 창조성 및 저항적 즐거움에서 오는 미메시스 개념을 통해 ‘여미’는 문화적 함의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소셜 미디어 시대의 여행 정보와 콘텐츠에 대하여 플루서와 벤야민의 사유를 바탕으로 이용자들의 이용 문화와 인식을 통해 다각적으로 해석하고 '여미'의 여가 문화와 여행 정보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COVID-19로 인해 자가격리 중인 성인을 위한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안서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해 자가격리 중인 성인이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참여자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해외에서 국내로 입국하여 2주간 자가격리 중인 26세 성인 여성이다. 미술치료 사례는 2020년 07월 13일부터 2020년 07월 24일까지 주 3~4회 60분씩, 참여자가 자가격리를 하는 동안 총 7회기 실시하였으며, 실시간 화상회의 플랫폼인 줌(Zoom)을 활용하여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자가격리가 미치는 심리적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참여자의 정서 안정과 스트레스 대처 및 단기적 적응에 중점을 둔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으며, 심리응급개입(Psychological First Aid)의 원칙을 바탕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미술치료 회기에서 완성한 미술작품, 참여자와의 사전𐩐사후 면담, 연구자의 관찰 및 임상 일지, 녹음파일, 전 회기 과정을 기록한 화상비디오 녹화본과 축어록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자가격리 중인 성인의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사한 텍스트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참여자의 유의미한 언어적 표현, 비언어적 행동, 미술 표현을 정리하였고,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내 삶의 이벤트처럼 시작된 비대면 미술치료가 기대됨과 동시에 아쉬움을 느낌’, ‘격리로 인한 갑작스러운 변화들을 받아들이기 힘듦’, ‘고립된 상황 속에서 유일한 친구로 다가온 미술치료 안에서 편안한 감정을 느낌’,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나와 나를 둘러싼 상황을 새로운 눈으로 살피며 인식과 관점이 확장됨’, ‘격리 기간 동안 스트레스에 대처한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일상복귀 후 마주할 어려움을 직면할 용기가 생김’의 총 5개의 상위주제와 15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COVID-19로 인해 자가격리 중인 성인이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에서 경험한 것과 그 의미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는 격리 환경에서 심리적 고립을 경험하는 참여자에게 사회적 연결감을 제공하였으며, 이때 미술은 참여자가 편안한 마음으로 자신을 개방할 수 있도록 촉진하였다, 둘째,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를 통해 참여자는 자신과 주변 상황을 거리를 두어 바라보는 기회를 가졌으며, 자신과 상황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통찰을 경험하였다. 셋째,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는 참여자가 스스로 격리 기간 동안 스트레스에 잘 대처한 경험으로 인식되었으며, 이는 참여자의 자원이 되어 격리 해제 후 미래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극복할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시켰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COVID-19로 인해 자가격리 중인 성인을 위한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를 통하여 자가격리 중인 성인은 안전하고 편안한 방식으로 타인과 소통함으로써 사회적 연결감을 유지하고 심리적 고립감을 해소하였다. 또한 수용적이고 개방적인 태도로 ‘나’와 주변 상황을 바라봄으로써 이해와 통찰을 경험하고 스트레스 상황에 적응하였다. 이러한 전체 경험은 참여자로 하여금 스트레스를 극복한 경험으로 인식되어 스스로에게 내재된 스트레스 대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고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an adult in online mindful art therapy during COVID-19-related self-quarantine. The researcher appli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a 26-year-old woman who was in her two-week self-quarantine after returning to Korea from overseas. Seven online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from 13 July 2020 to 24 July 2020 while the participant was in self-quarantine, three to four times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through the video conferencing platform Zoom. Based on the principle of psychological first aid, the online mindful art therapy sessions were focused on the participant’s emotional stability, response to stress, and short-term adaptation, bearing in mind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self-quarantin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rtworks that were completed during the art therapy sessions, pre-session and post-session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 researcher’s observation and clinical notes, audio recording files, video recordings and verbatim records of all sessions.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an adult’s online mindful art therapy in self-quarantine and its significance. The researcher repeatedly read the transcribed text to summarize the participant’s meaningful verbal expression, non-verbal behavior, and artistic expression and completed the analysis through the process of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verification. Upon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five topics and fifteen sub-topics were derived, including ‘looking forward to online art therapy that started as an event in my life but also feeling a sense of disappointment at being unable to have face-to-face therapy’, ‘difficult to accept all the sudden changes caused by quarantine’, ‘feeling comfortable in art therapy that became the only friend in this quarantined situation’, ‘expansion of perception and perspective by looking at myself objectively, and looking at myself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with new eyes’, and ‘having the courage to face difficulties after returning to daily life based on the experience of dealing with stress during quarantin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online mindful art therapy provided a sense of social connectivity to the participant who was experiencing psychological isolation in a quarantined environment, and art encouraged and promoted the participant to open herself up comfortably. Second, through online mindful art therapy, the participant had the opportunity to observe herself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from a distance and thus gained new understandings and insights of herself and the given situation. Third, online mindful art therapy was perceived by the participant as an experience through which she could handle stress effectively throughout the quarantine period. The therapy became a resource, enhancing her confidence in her ability to overcome stress in future situations once self-quarantine is over. In conclusion, through online mindful art therapy in COVID-19-related self-quarantine, the adult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able to maintain a sense of social connectivity and relieve the strains of psychological isolation by communicating with others in a safe and comfortable channel. She also observed herself and surrounding situations in a receptive and open manner, gaining understandings and insights, and adapting to the stressful situation. This overall experience was perceived by the participant as an experience of overcoming stress, encouraging confidence in her inherent stress response capabilities.

      • 知識管理시스템 使用者들의 知識共有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에 關한 硏究 : 補償을 中心으로

        안서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기업이나 조직은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와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불확실하고도 역동적인 경쟁 환경 속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식을 전략적 자원으로써 인식하여 조직이나 기업 내부의 지식자산 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이 개별적으로 갖고 있는 지식을 효율적으로 발굴하여 이를 공유, 활용하고자 지식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지식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개인의 노하우나 핵심지식을 서로 교환할 수 있는 지식공유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도로써 공공조직에서 사기업에 이르기까지 많은 조직에서 지식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 중에 있다. 그러나 단순히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해서 지식공유를 활성화하기는 쉽지 않다. 지식은 개인의 입장에서도 중요한 자산이며, 이를 활용할 때 조직 내 위상 및 업무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인의 핵심지식을 공유하게끔 하기 위해서는 보상과 같은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적절한 보상은 개인의 불안감 해소 및 지식공유 활동에 강력한 동기 및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상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 많은 논쟁이 되고 있다. 또한, 보상의 유형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유형에 따라 지식공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를 토대로 하여, 보상의 유형을 외재적 보상, 내재적 보상, 관계적 보상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지식관리시스템 사용자들의 지식공유 행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 때 지식공유는 지식공유 행위의 양과 공유되는 지식의 질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군 조직(공군)을 대상으로 공군 인트라넷 설문조사 시스템 이용 및 연구자 직접 방문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9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를 토대로 SmartPLS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모형 및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재적 보상은 지식관리시스템 상에서 공유되는 지식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사용자들의 지식공유 행위의 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재적 보상 또한 지식관리시스템 상에서 공유되는 지식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사용자들의 지식공유 행위의 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적 보상은 지식공유 행위의 양과 공유되는 지식의 질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지식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조직이나 기업에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먼저 조직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서로 도울 수 있는 관계를 형성토록 노력하여 지식관리시스템을 통해 서로 간에 필요한 지식을 주고받을 수 있는 상호호혜적인 문화를 조성해주어야 한다. 또한, 업무 성과 및 개선에 도움이 되는 지식을 공유한 구성원들에게 공정하고도 확실한 보너스, 인사점수 반영, 위상 제고 등의 물리적, 심리적 보상을 제공하는 방안들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상의 유형을 변수로 제한하여 연구하였으나, 시스템 사용 환경, 집단 간 문화 차이, 구성원 성향 등의 변수를 추가하여 연구를 수행한다면 더 심도 있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지식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한 개 조직(공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결과의 일반화를 위하여 좀 더 다양한 분야를 대상으로 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종단 연구를 통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보상의 영향력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면 더욱 의미 있고 발전된 연구가 될 것이다.

      • 성명학에서의 작명에 관한 연구

        안서현 대구한의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Names in onomastics are generally deemed to have the function of supplementing human's innate fates. Therefore, naming, under the purport of improving human's fate to a certain degree, is based on diverse theoretical backgrounds allegedly enabling such improvement. Typical naming theories can be divided into two by and large. The first one is 'naming theory by semantic representation' that asserts human fates can be improved by matching source and number of strokes of Chinese characters such as the Five Elements of source of Chinese characters, the Five Elements of mathematics based on 81 numbers of Gumasaggi Geno. The other one is 'naming theory by phonetic representation that asserts human fates can be improved by matching pronunciation to the Five Elements like the Five Elements of Sound. These naming theories, combined with 'those via Saju (fate) analysis', are considered to allow more favorable naming for the betterment. The principle of naming is to allocate sources, the number of strokes of Chinese characters or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language, normally using opposite relations of Yin-Yang and favorable-unfavorable relations of the Five Elements.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combination of innate, unchangeable family name and given name after birth. The current naming trend, highlighting the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sees the emergency of naming theory in Korean language. According to this, the Five Elements - considered to be the principle of naming in Korean - are allocated with consonants and vowels, the methods of which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theories. One is allocation based on Hunminjeongeum-Unhae (Phonological analysis of native script for the Korean language), the other is one based on Hunminjeongeum-Haerye (Guide to the native script). These two versions have different consonants allocated to water and earth out of the Five Elements and so, the result of naming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ferenced version. That said, as "Hunminjeongeum-Haerye" is the guidebook to the principle of wording at the time of its creation, this study believes that allocation of the Five Elements of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as recorded in "Hunminjeongeum-Haerye" can be reasonably used as the principle of naming in Korean. Despite various naming theories, the assertion that names merely can alter a man's fate lacks persuasiveness. View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humans are existences with innate fates and their lives could be determined depending on Saju (fate) of the time/date/year of their births, naming theory can be accommodated to mean it may improve human fates partly. Thus, the functionality of naming is to supplement the excess or shortage of Yin-Yang/Five Elements analyzed by Saju-Myeongrihak (fortune theory), using names. 성명학에서 성명(姓名)은 대체로 인간의 태생적 운명을 보완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작명(作名)은 인간의 운명을 일정 부분 개선(改善)할 수 있다는 취지 아래, 운명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적 근거를 배경에 두고 있다. 대표적인 작명 이론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 가능하다. 첫째, 자원오행(字源五行), 구마사키 겐오의 81수(81數)를 기반으로 하는 수리오행 등 한자의 자원(字源)과 획수(劃數)를 맞추어 운명을 개선할 수 있다는 ‘표의(表意)에 의한 작명 이론’, 둘째, 음령오행 등 발음을 오행에 맞추어 운명을 개선할 수 있다는 ‘표음(表音)에 의한 작명 이론’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런 작명 이론은 ‘사주 분석을 통한 작명 이론’과 결부되어 보다 운명 개선에 유리한 작명이 가능하다고 간주된다. 작명의 원리는 일반적으로 음양의 대대(待對) 관계와 오행의 상생상극(相生相剋) 관계를 통해 한자의 자원이나 획수, 한자나 한글의 발음을 배열한다. 이는 태생적으로 부여되어 바뀌지 않는 성(姓)과 태생 후에 사용될 이름[名]을 조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재의 작명 추세는 한글 발음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한글 작명 이론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르면, 한글 작명 원리로 간주되는 오행에 한글의 자모음(字母音)이 배속되어 있는데, 배속 방법에서 크게 두 가지 이론으로 구분된다. 하나는 「훈민정음운해(訓民正音韻解)」를 근거로 한 배속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를 근거로 한 배속 방법이다. 이 두 판본은 오행 중 수(水)와 토(土)에 배속된 자음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어느 판본을 근거로 하는가에 따라 작명의 결과가 달라진다. 그런데 「훈민정음해례」가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당시의 제자(制字) 원리에 대한 해설서이기 때문에, 「훈민정음해례」에 기록된 한글 자모음의 오행 배속을 한글 작명 원리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양한 작명 이론에도 불구하고, 성명(姓名)만으로 한 인간의 운명을 바꿀 수 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부족하다. 인간은 태생적으로 운명을 가진 존재이며, 생년월일시의 사주(四柱)에 따라 삶이 결정되어 있다는 측면에서 볼 때, 성명 이론은 운명의 일부분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따라서 사주명리학에 의해 분석된 음양오행의 과부족(過不足)을 이름이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작명의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 리더십 유형이 직무 만족과 간호 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안서현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근무 형태에 따라 교대 직이 상근 직에 비해 직무 만족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가운데, 경력이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와 간호 업무 성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은 직무 만족 및 간호 업무 성과에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무 만족 및 간호 업무 성과에서 유의미한 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제인에어』 에 나타난 페미니즘과 제국주의적 한계

        안서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novel『Jane Eyre』 is a kind of Bildungsroman in which a woman named Jane Eyre tries to reclaim autonomy while resisting the Victorian society where women were usually oppressed. In this novel, Jane was left an orphan when she was born and suffered from social and class suppression, but she managed to tide over such difficulties and grew to finally get married to Rochester. This novel suggested a new image of woman, not a traditionally passive image of woman of that time period. It could be interpreted from a feminist viewpoint, and this work has much room for positive and negative criticism simultaneously for Jane's resistance in a patriarchal society and its subsequently revealed woman's role in the situation of the time. Jane, who had been vehement in resisting undue suppression during childhood in the custody of her aunt, finally complied with traditional social value. This novel was evaluated as a revolutionary work growing out of immoral, overly deep-rooted social ideas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this novel was reviewed as a work portraying Jane as a woman who helplessly compromised with social convention and went with its standard of value. Jane came to form her identity while resisting male-dominant ideology. However, her resistance was not just a woman's resistance, but was also based on racial discrimination by imperialistic principles. The fact that the novel 『Jane Eyre』 had to do with the imperialistic principles was portrayed through the racial and sexual discrimination revealed through Rochester's former wife, Bertha, who was locked in an attic by Rochester. The imperialist's aspects were noticeably revealed at the scene where Saint John desired to be a superior man by civilizing and dominating other races by working as a white missionary in India. Jane also revealed her imperialistic dominant desire, as seen in St. John's getting enslaved to the idea of civilizing India.

      • 토공사의 최적운영을 위한 플릿 관리 시스템 개발

        안서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construction jobs, a combination of various kinds of machinery is used to perform earthworks at a large-scale site. The performance of new construction equipment has rapidly improved; however, the maximum effect of mechanized construction cannot be obtained unless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operation methods ar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expert survey,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ion methods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alloca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that is not suitable for the construction work, the combination of equipment that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real-time field situations, the decline in the skill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drivers, and lack of real-time access to necessary information. In this study, construction equipment fleet management system is developed for solving this problem and find way to improving efficiency in earthworks site. The entire concept of the fleet management system, including its function and process, has been systematically outlined in this paper. An operational methodology has also been suggested, where a number of machines, such as the excavators and trucks, are chosen and further grouped into a cluster. The fleet management system can provide a method to maximize the work rate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fleet by developing an equipment allocation plan based on field conditions. Ultimately, it is believ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ion system in the field will make it possible to reduce carbon emissions by improving productivity and reducing fuel consumption. 건설공사에서 토공작업은 단지와 같은 대규모 현장 내에서 다수 및 다종의 건설장비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최근의 각종 건설장비의 성능은 급속도로 발전되고 있지만 기계화 시공을 위한 관리 및 운영방법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기계화 시공으로 인한 효과를 최대한으로 누리지 못하게 된다. 전문가 설문에 따르면 전통적인 건설장비 운영방법의 문제점은 공종에 적합하지 못한 건설장비의 투입과 작업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건설장비의 조합, 건설장비 운전자의 숙련도 저하와 필요한 작업정보의 실시간 이용불가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장비 플릿 관리 시스템(Fleet Management System)을 개발하여 전체 토공현장의 효율성 향상을 모색한다. 본문에서는 시스템의 기능과 프로세스 등을 제시하면서 플릿 관리의 개념에 관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작업패키지(Task Package)에 조합되는 굴삭기, 트럭 등의 장비대수를 결정하여 장비 클러스터(Equipment Cluster)로써 무리지어 운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플릿 관리 시스템은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필요할 때마다 건설장비 할당계획을 수립하고 클러스터의 작업시간율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였다. 궁극적으로 플릿 관리 시스템의 현장적용을 통하여 작업생산성 향상과 연료사용량을 감소함으로써 탄소배출도 저감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