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전광역시 중학교 자유학년제 음악프로그램 비교 분석 : 2019-2020년을 대상으로

        고하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19-2020년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88개의 중학교에서 실행되는 자유학년제 운영 현황 및 음악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하여 COVID-19 전후의 음악프로그램 내용 변화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부의 학교 알리미 홈페이지에 탑재된 ‘2019-2020년 자유학년제 운영 계획서(1·3차)’를 토대로 문헌 연구 및 2019-2020년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88개의 중학교에서 시행된 자유학년제 운영 학기·운영 시수·운영 모형, 음악프로그램을 각 내용 체계 영역으로 분류하여 조사했다. 또한, 타 교과와의 연계된 융합프로그램까지 조사하기 위해 기존의 음악 교과의 내용 체계 영역에 융합 영역을 추가했다. 그리고 COVID-19 전후로 계획된 음악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하여 기존의 내용 및 변동사항을 알아보았다. 위와 같이, 해당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전광역시 중학교 운영 학기는 2019년에 자유학기제 중점에서 2020년에 자유학년제 중점으로 운영 학기 중요도가 변화했다. 둘째, 대전광역시 모든 중학교는 2019년에 자유학기제·자유학년제 권장 운영 시수를 지켰으나 2020년COVID-19로 인해 대다수의 중학교는 권장 운영 시수를 지켜서 계획하지 못했다. 셋째, 2019-2020년 대전광역시 중학교 자유학년제 운영 모형은 ‘(1학기) 일부 모형 운영+ (2학기) 4개 모형 모두 운영’으로 가장 많이 계획되었다. 또한, 운영 모형에서‘주제 선택 활동’과 ‘예술·체육 활동’이 자주 포함되었다. 넷째, 대전광역시 중학교 ‘주제 선택 활동’의 음악프로그램은 2019년 기준으로 65개, 2020년 기준으로 44개 계획되었다. 공통적으로, 다수의 우쿨렐레 프로그램·영어 교과와 다수의 연계 등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2020년 COVID-19로 인해, 비말 감염 위험성이 높은 가창 영역이 아예 계획되지 않고 해당 활동의 심층적·체계적 특징이 음악프로그램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했다. 하지만, 비대면 수업에서 활용성이 높은 창작 영역·감상 영역 비중이 높아지고 이전보다 다양한 활동이 계획되었다. 다섯째, 대전광역시 중학교 ‘예술·체육 활동’의 음악프로그램은 2019년 기준으로 216개, 2020년 기준으로 193개 계획되었다. 공통적으로, 가장 많은 음악프로그램 개수·국악 감상 프로그램 미비·생활화 영역의 음악프로그램 개수 동일·체육 교과와 다수의 연계 등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2020년 COVID-19로 인해, 악기 연주법·비말 감염 전파 확률에 따라 같은 기악 영역임에도 프로그램 개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지역 사회 기관 및 다양한 활동 연계의 어려움으로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수학습방법 내용으로 계획된 프로그램이 늘어나며 다양성·독창성이 하락했다. 하지만 ‘음악과 산업’의 음악프로그램은 현 사회적 상황에 적합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수업을 계획했다. 여섯째, 대전광역시 중학교 ‘동아리 활동’의 음악프로그램은 2019년 기준으로 158개, 2020년 기준으로 141개 계획되었다. 공통적으로, 다수의 인원 편성·협동 중심의 활동 등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이는 현 사회적 상황에서도 해당 활동의 특징을 유지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일곱째, 대전광역시 중학교 ‘진로 탐색 활동’의 음악프로그램은 2019년 기준으로 9개, 2020년 기준으로 4개가 계획되었다. 이는 COVID-19와 상관없이, 음악 교과의 활동을 중점으로 한 내용을 찾기 어려우며 프로그램 내용이 매우 제한적으로 계획되었다. 또한, ‘진로 독서 활동’의 권장 도서는 대개 음악 직업과 연관성이 낮았다. 그리고 ‘진로 체험 기관’은 대전 지역만이 아닌 다른 지역 기관과의 협력도 계획되며 , 현장견학형·현장직업체험형·직업실무체험형과 같이 직접적으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체험 유형이 다수 계획되었다. 그러나 2020년 COVID-19로 인해, 비대면 단방향 강연 및 쌍방향 소통 강연 등으로 운영 방법이 변동되며 ‘강연 대화형’의 체험 유형이 두드러졌다. 위의 결과를 통해, 비대면 원격 수업에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창작 영역 프로그램 개발·감상프로그램에 관한 자세한 설명·자유학년제 국악 관련 프로그램 개발·COVID-19 이후 다른 지역 간의 자유학년제 음악프로그램 비교 분석 등이 실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 대전광역시 기업의 판매구매 공간연계 연구

        류순현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현대 사회는 지역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다양하게 부여하고 있으며 지역성장의 핵심요소는 지역특성을 반영한 지역경제의 성장이다. 특히, 비수도권의 경우 자생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해당 지방정부 관할지역 내에 소재한 기업들의 작동체계 및 역할이 우선적으로 정립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한 기업과 지역 간의 협력적 네트워크 형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의 배경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 상호간의 관계를 네트워크로 구조화하여 공간입지와 기업관계를 도출하고 이의 개선을 통해 지역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기업의 연계망이 구축되어 있는 전국이다. 연구의 방법은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대전광역시 소재 기업을 중심으로 공간입지 네트워크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자료는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매출 10억 이상 700대 기업의 기초데이터를 확보하여, 이들 기업들의 매출액 규모 및 구매·판매관계를 대상으로 하여 작성하였다. 또한 이들 기업들의 공간 네트워크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이들 기업들이 소재하고 있는 지리적 정보를 수집하여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이론적 바탕은 지역경제의 공간연계, 지역기업의 네트워크에 대한 것이다. 네트워크 분석에 앞서 대전광역시의 경제구조, 산업여건, 기업 활동여건, 지역산업정책 등을 살펴보았다. 대전광역시에는 연구개발특구 등에서 창출되는 연구 성과물을 사업화할 수 있는 벤처기업이 다수 위치한 반면에 미래의 시장 경쟁에서 능동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술교류 및 네트워킹 등의 바람직한 네트워크 설계 및 구축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물자연계 이론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과의 연계관계가 다수 형성되고 있었는데, 특히 한강 이남의 강남구, 서초구, 구로구, 영등포구 등과 주된 물자연계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경기도와의 대전광역시 기업네트워크는 남부지역 소재의 기업들과 강한 연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대전광역시 소재의 기업들 간 자체적인 물자연계 관계가 두드러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대전광역시 인근의 충남, 충북, 세종을 포함하는 충청권과 연계관계가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핵심인 기업네트워크 분석은 구매처, 판매처와 통합 네트워크의 형태성, 중심성, 지역적 특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기본 구조에 있어 노드(결절) 수는 구매처가, 링크(연결) 수는 판매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연결구조를 판단할 수 있는 평균연결은 구매처보다 판매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심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심성 분석 결과, 대전광역시 소재의 일반 기업이 높은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반면, 판매처와 통합 네트워크의 특성은 정부출연 연구기관, 공기업 및 대기업 등이 중심성 지수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였다. 지역적 특성은 구매, 판매, 통합 네트워크 모두 주로 대전광역시 내부에 위치한 기업 간 네트워크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부적으로는 수도권에 위치한 기업과의 네트워크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볼 때, 대전광역시 기업네트워크는 주로 내생적인 국지적 네트워크 구조를 띄고 있고, 지역 내 자체 네트워크 의존경향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수도권과 대전광역시 내부의 강한 물자연계 관계가 형성되고 있어서 수도권 지방정부와의 지역경제 분야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대전광역시에는 벤처기업 등 중소규모의 기업이 다수 위치하고 있지만 네트워크에서 발현되는 그들의 위상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네트워크 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공공기관을 비롯한 정부출연 연구소와 네트워크 참여가 미비한 중소기업을 연결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그리고, 특정지역에 지나치게 치중된 자생적 네트워크 구조는 거시적 차원의 지역발전 및 지역혁신 체계와 관련하여 그 효과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연구를 필요로 한다. 결론적으로 먼저 대전광역시와 인접한 세종시와 충청권에 소재한 다수 기업들의 네트워크 참여를 적극 장려하여 대전광역시가 충청권 경제 네트워크의 거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다 실현가능한 정책기반 구축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大田廣域市에 있어서 市民評價制의 發展方案에 관한 硏究

        김용서 忠南大學校 行政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Citizen evaluation system, also known as citizens satisfaction survey, is designed to measure the public's satisfaction on administrative services provided by the city government and is centered around consumers. The metropolitan government of Daejeon has also been emphasizing performance-based and consumer-centered administration and has adopted citizens' evaluation system in 2001. In this study, the operation of the evaluation the measurement of citizen satisfaction, the evaluation of the evaluation, the measurement of citizen satisfaction, the evaluation criteria, the method of acquiring data,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study result a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possible room for improvement form a practical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study includes a citizen evaluation team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a civil servant in charge of the citizen evaluation, a surveying agent, in the five district office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members of the citizen evaluation team. This paper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Chapter I. Introduction Section 1. The purpose of the study. Section 2.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Chapter II.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itizen evaluation system. Section 1. The history of the citizens' evaluation system and the change in administrative paradigm. Section 2. Significance, function and form of citizen evaluation system. Section 3. Previous studies on citizen evaluation system. Section 4. The research framework for the improvement of citizen evaluation system. Chapter III. The case study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citizen evaluation system. Section 1. The history and purpose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citizen evaluation system. Section 2. The current operation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citizen evaluation system. Chapter IV. The ways to improve Daejeon Metropolitan City citizen evaluation system. Chapter V. Conclusion 87.9%, or 51 people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five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are given the anonymous label of A,B,C,D and E. In general, Daejeon Metropolitan City has taken great interest and effort in implementing the citizens' evaluation system, which has reaped great benefits. However, in order for the continued improvement and success of his system, there has to be a wholistic and systematic way of carrying out the system. In order to obtain fair and objective data, the following should be implemented. First, the operation of the citizens' evaluation system needs to be improved. Especially,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in all stages of the evaluation must be encouraged. Second, the method of calculating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must improved; the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should consist of absolute level of satisfaction. Third, the evaluation system should directly aid in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service. Lastly, the research method and evaluation data must be utilized. It is hoped that citizens' evaluation system be established for all administrative services so that the government truly becomes citizen-centered.

      • 대전광역시 문예진흥기금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무용예술분야를 중심으로

        이지은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Today, the cultures, which hav their own values and also show various aspects, exist in all human societies, and these are taking root as the essential factor in human living. In addition, not only the cultural activities, which many people can share, enables people to enjoy benefit form culture, but also greatly contrbute to improve life quality, and therefore people are progressively getting into much interest i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Recognizing this trend, this study looked into Taejon Metroplitan City's actual status of "Culture & Arts Promotion Fund", which is currently plaing an essential role in the deveopment of culture and arts, its problems and its improvement direction, especially centering on the field of dancing art.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objective that it researches and analyzes the support work, application method, deliberation method and post-assessment in the field of dancing art among the "Culture & Arts Promotion Fund" of "Korean Culture & Art Foundation" and "Taejon Metropolitan City", Which has been contnuously perated even under the several changes having bee repeated for the time, and then studies the effective improvement plan for the field of dancing art of "Culture & Arts Promotion Fund". In Chapter II, this study looked into the creational background and changing history of the "Culture & Arts Promotion Fund" of "Korean Culture & Arts Foundation" and "Taejon Metropolitan City" by sorting them into 5 stages such as creating stage, developing stage, foundation-forming stage, leaping stage and maturing stage, and then it sorted them in detail again and looked into them thoroughly thgether with tables. In addition, this study looked into each Culture & Arts Promotion Fund's support methods together. In Chapter III,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status of application and support in the field of cultural and artisitic field of "Culture & Arts Promotion Fund" of "Taejon Metropolitan City", and first of all, it looked into the actual status of the applications and support in the field of "Culture & Arts Promotion Fund" of "Taejon Metropolitan City", Which have been made form 1997 to 2002 now, based on the actual statistical data and then it analyzed the support workds in its own way, based on the research & analysis of the previously-examined actual status of application. The actual statistical data was also used in this process, and it also presented the figures in chronological order. In Chapter IV, this study reviewed the critical point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Culture & Arts Promotion Fund" of "Taejon Metropolitan City", which were revealed while researching and analyzing in Chapter II and III. If we briefly summarize the above study results, it is as follows; Though the "Culture & Arts Promotion Fund" of Taejon Metroplitan City" has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arts quality and human life Quality, as a result we studied, it revealed the problems that it lacks the attempt for various changes and it has followed the traditional support methods. Therefore, the"Culture & Arts Promotion Fund" of "Taejon Metropolitan City", which was formed for the purpose of cultural and artisitic creation, study and spread in Taejon, will have to pursue If we make new suggestions for such a change, it is as follows; The "Culture & Arts Promotion Fund" of "Taejon Metropolitan City" will have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in distributing Fund, try to make the selection process clear while selecting the objects to support and escape form the monotony of supporting methods, and also it will have to devote itself to the post-management system. If we review in detail the imprivement plans, in regard with distribution of fund, the plans, such as the actualization of support amount, distributing the fund by proportional basis, first & latter half support and post-support in order to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mprove dancing art, will have to be positively and practially reviewed. In addition, in regard with selection proess, the objective and fair selection suitable for support work should be announced officially, and in reard with support emthod, the indirect support method, which Taejon Metropolitan City can introduce, should be groped, and the more specific method will have to be established in regard with post-assessment, which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01. Finally, the unchanged support method, which does not correspond to the cultural environemet, should not be pursued, while Taejon Metropolitan City wiil have to introduce other cities' support methods, and the new type of support methoud suitable for our region will have to be developed. In addition, the dancing artists and dancing art organzations also should make more specialized and specific business planes in order to induce financial support and then apply for support, and thet will have to develop diverse support windows with their voluntary and positive participation and effort, not depneding on only the supoport of the "culture & Arts Promotion Fund".

      • 대전광역시 노인복지정책 현황과 발전방향

        박종갑 대전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를 맞이한 현시점에서 우리나라는 그 동안 지속적인 생활순준 향상과 보건, 의료 기술의 발달로 인한 국민들의 평균 수명의 연장과 함께 노인인군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전체인구 중 노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늘어나면서 도래하는 고령화 사회는 선진 각국은 일반적인 현상이 되었다. 우리나라도 2000년 현재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7.2%를 넘어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게 되었고, 대전광역시 역시 노령인군가 5.5%를 넘었고 2010년도에는8.2%로 전망돼 고령화 사회를 곧 맞이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들은 어떠한 형태이든지 경제발전에 헌신적인 기여를 했지만 그들의 수입원은 대부분 자녀들에게 의존하는 등 대다수 노인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운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다수가 장기간 치료 요양이 필요한 당뇨, 관절염, 고혈압 등 만성 퇴행성 질환을 앓고 있으며 많은 노인은 일상생활을 위한 동작 수행을 전혀 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나마 건강한 상태에서는 자유로운 생활이 가능하여도 건강을 잃게 되면 자립생활을 할 수가 없다. 이러한 노인들의 빈곤, 질병, 고독 및 역할상실 등 제반 문제가 대가족제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1960년대부터 급격한 경제성장에 따른 핵가족화 되면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21세기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대전광역시의 노인복지정책의 현황을 Gilbert와 Spect의 사회복지정책 분석모형에 따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노인복지정책 발전방향을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경로효친사상의 사회적 풍토를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노인공경 분위기 조성을 위한 행사를 확대하고 타의 귀감이 되는 표창자에게는 관내업체에 취직의 우선권을 부여하는 등 사후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노인복지의 대상이 모든 노인에게로 확대하고 가족의 노인보호 기능을 강화시켜 주는 서비스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사회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봉사활동 참가를 촉진하고 노인의 정신적 및 신체적 노쇠를 방치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의 사회복지협의회를 중심으로 노인복지회관과 종합사회복지관 등이 주축이 되어, 노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행정적 ·재정적으로 적극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 할당기준과 급여를 확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시」』입소 노인에게 지역사회와 단절된 느낌이 없이 가정에서 생활하는 것과 같은 삶이 애루에질 수 있도록 지역주민에게 개방하도록 한다. 특히 지역사회의 노인입소시설의 기능을 지역사회의 노인전체에게 확대함으로써 재가노인 복지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유기적인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재가노인의 다양한 욕구에 맞게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며 나아가서는 전체노인을 위한 보편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소득보장 측면에서 노령인구를 위한 취업기회의 제공과 경로연금, 노인부양 수단 및 생활보호사업 등 수해대상과 급여수준을 확대하여야 한다. 셋째, 노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선이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는 노인복지정책의 기획, 조정, 평가기능을 강화하고 새로운 복지수요를 사전 예측하며 이체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노인복지 행정체계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보강시켜야 한다. 또한 양질의 노인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노인복지행정체계의 보강과 더불어 노인복지 서비스를 담당할 전문인력의 확보가필요하다. 넷째, 사회복지에 있어서 지방자치제의 의미는 지방자치단체별로 지역의 특수성이 보장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즉 국민의 최저한 기본생활은 지역에 관계없이 중앙정부 차원에서 보장을 해주고, 그 이상의 욕구는 지방자치단체의 특정에 다라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대전광역시는 지역적 특성에 맞는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재정적 자주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는 대전광역시의 점증하는 노인문제에 효율적이고 장기적이며 거시적인 안목에서 노인복지정책을 수립하고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국가적인 차원에서 집행되고 있던 상의하달 자세에서 벗어나 대전광역시의 전통을 계승발전 시키려는 사회·문화적 여건에 맞는 대책 마련이 절실하게 요청된다.

      • 大田廣域市 東區 活性化 方案에 관한 實證的 硏究 : 住民欲求를 중심으로(with housing environment as the center)

        楊明浩 대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개발과 더불어 동구의 활성화 방안을 찾고자 하며, 그 중에서 주거환경을 중심으로 대전시민을 대상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나가야 하는가를 모색하는 데에 그 연구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논문에서는 우선 도시개발의 이론적 측면과 선진국 및 신도시 개발과정에 대한 기존의 문헌 연구가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현재 대전광역시에 연고를 두고 있는 시민 약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AS packag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논문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동구비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남자(87.3%), 여자(96.8%)를 불문하고 '모른다'는 응답이 많이 나왔다. 그리고 연령층에서도 '모른다'는 대답이 지배적이었으나 41세-50세(16.5%)에서와, 거주형태에서 자택(13.6%)부분이 다른 대상집단보다는 '알고있다'는 응답이 비교적 많이 나왔다. 또한 타구에 사는 시민보다는 역시 동구에 거주하는 시민이 '동구비전'에 대하여 비교적 많이 알고 있었다. '동구가 타구에 비해 만족스러운 부분이 있는가'를 묻는 문항에는 '없다'(39.8%)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자연환경'(27.6%)이라는 응답이 많이 나왔는데, 이는 동구가 대전광역시에서 지리적으로 차지하는 위치 상 주변에 산이 많이 때문에 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대전광역시 구중에서 가장 낙후된 구로는 '동구'(79.1%)가 절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으며, 발전된 구로는 '서구'(41.8%), '유성구'(38.3%)가 타구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대전시민들은 동구가 '발전한다'(48.0%)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러한 실증적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동구의 주거환경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구의 도시성격은 문화도시, 교통도시, 환경도시를 중심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동구가 타구에 비하여 좋은 조건을 갖고 있는 것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동구에 알맞은 주택단지로는 타구보다는 비교적 서민이 많음을 고려하여, 서민아파트가 최우선으로 보이며, 타구 주민의 이주를 유도하기 위하여 중형아파트 또한 필요로 할 것이다. 셋째, 이러한 개발을 위해서는 도로개선이 가장 시급하며, 동구에 밀집되어 있는 학교간에는 대학촌 구성 등과 같은 연계가 필요하며, 문화도시를 위한 종합쇼핑몰(백화점, 멀티플렉스, 대형할인점)과 앞으로 중요시 여겨질 환경 친화적인 도시를 위해서는 동구가 가지고 있는 환경을 살려서 공원 등을 많이 조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ill find activation device of Eastern area with development of Daejeon metropoli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best direction with housing environment as the center for the Daejeon citizen. In this thesis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of all, existing literature about the theoretical side of Urban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new urban area as well as an advanced country was examined. And then the survey was completed by about 200 citizens who have a connection with Daejeon now,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SAS package. The summary of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is data is as follows: First , we could find recognition about a vision for the Eastern area as we asked that. Most men(87.3%) and women(96.8%) responded that they didn't know about that. But people aged 41~50(16.5%) and people who lived in their own house(13.6%) responded that they knew a little more than other target groups, and there were a lot of people who knew that in the Eastern area than in other areas. As well many people responded that they would rather not know(84.5%) than know(15.5%) about the Parliament of Eastern area with the vision of the Eastern area. In the question about whether there was something special in the Eastern area which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than in other areas, most people said "No(39.8%)" and then "Natural environment(27.6%)" so they seemed to be influenced by the fact that there were a lot of mountains near the Eastern area. The Eastern area was the less developed area of Daejeon metropolis according to a high percentage(79.1%) and not only Western area(41.8%) but Usung area(38.3%) were considered as developed areas compared with other areas. Citizens of Daejeon thought that the Eastern area is going to develop(48.6%) if it was based on authentic study. I could suggested activation device of resident environment in the Eastern area like this: At first, Urban character of Eastern area will have to develop with culture, traffic, environment urban as the center. It is judged that the Eastern area has a better condition than other areas and makes the most of that . Secondly, there are a lot of the common people in the Eastern area so the common apartments seem to be the best and medium size apartments will be necessary in order to induce migration of residents of other areas. Lastly, for the development of these, the improving of the road is the most urgent and it is necessary to be connected between the schools crowded in the Eastern area like formation of a University Village. Also an environmental shopping mall for cultural purposes(department, multiplex, large size discount store) is needed. Furthermore it is judged desirable to make a lot of parks by using the environment of the Eastern area for a natural friendly urban area.

      • 대전광역시 공연장 운영의 현황과 발전방향 : 대전광역시 시민회관을 중심으로

        지은영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existing cultural gap between regions and social positions is getting bigger due to the centralization of culture mostly in big cities. It is noticeable that performance art in local cities among other parts of arts is underdeveloped compared to that of central cities. In order to narrow such gap, first and most importantly local cities should secure enough space and operate performance centers more effectively. Daejeon has become the second capital city in the country as the National Government Complex opened. It is necessary that management methods for performance art centers should be drastically improved in order to supply better quality culture services to the public. This study argued pending problems and possible improvement plans in managing the Daejeon Arts Center after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management conditions of the center where many local performance art activities are made and the public and cultural arts meet each other like other arts centers. The biggest root causes of the problems in Daejeon Arts Center are derived from the structure of personnel in management section. The center is run by the local government so the management seems unflcxib1e with lack of professionalism and relatively poor financial status that draw problems such as facilities maintenance, program developments, and audience attraction. The followings are possible plans for those problems: First, it is essential that professionalism and creativeness in private sectors should be introduced through destruction of bureaucratic and stubborn structure. Second, it is urgent that human resources in staging should be secured enough with professional knowledge in performance art. Third, high quality cultural arts projects should he executed in order for the center itself to secure more finance. Forth, a large-scaled reinforcement work should be started to sweep off the old image of the 20-year-old center. Especially, the large auditorium should be specialized and characterized through special performance art genre as the small auditorium changed into a drama-only theater. Other medium sized arts centers in the city should follow this trend in order to change their old and inefficient facilities. It is deemed desirable that specialization and characterization are one of the best solutions to the development of management for arts centers in Daejeon. Arts centers in Daejeon will no longer be known as an object of criticism which is known to waste taxes if people in related industry along with the personnel in the Daejeon Arts Center understand and accept the current problems and possible solutions. Therefore, the centers themselves wil1 be functioning as a supplier of high quality performance art, and the management of the Daejeon Comprehensive Arts Center which will be open in 2003 will benefit from the solutions. It is with a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cultural living of Daejeon citizens who shall be exposed to art performances with advanced local culture.

      • 대전광역시청과 대전광역시 5개구청의 풍수입지 연구

        안갑수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is a paper that studied of feng shui of the Daejeon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five district offices in Daejeon. From the perspective of feng shui, a traditional geography of the East, the Daejeon Metropolitan Government building in Korea's modern city was established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There is a common thought in the space where people live, regardless of the East or the West. Among them, the geographical view of the mountains, looking down at the water, is no different from the east and the west. Geographical interests in the East, especially in Korea, have long been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al geographical perception of feng shui, such as building houses, government offices, and even burial spaces for dead people. In particular, the remaining traditional houses in Korea are imitated by Gyeongbokgung Palace, the main palace of Joseon, and are believed to have melted feng shui location accidents. The existing papers confirm that even the local government offices representing the king in this traditional position have not escaped from the feng shui accident. From that point of view, we looked at the traditional feng shui location of the Daejeon Metropolitan Government, the government office of the modern city.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traditional feng shui location of the five district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how traditional feng shui location of each district could assist the city hall to make a better Daejeon Metropolitan City. From a feng shui point of view, there are mountains in all directions surrounding heaul(穴), of which there are main mountains, and the mountains in all directions have their own energy. Like the Daejeon City Hall, each ward office has its own main mountains and mountains all around. depending on how well each district office has a good location in terms of feng shui, it is economically good and bad. In terms of feng shui or general belief that Daejeon Metropolitan City can be rich if each district office is rich, the energy that each district office has can be a very important energy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Just as seven colors gather to form a beautiful rainbow color, Daejeon Metropolitan City also believes that unique energy from each district office can be gathered to create a beautiful Daejeon Metropolitan City. In this regard, the five district offices, led by the Daejeon Metropolitan Government, have the same energy as those of feng shui's sasinsa(四神砂) centered on 穴. As the basic idea of Oriental philosophy, the five energies(五氣), is that the unique energy of each district office can be harmonized and balanced around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Hall, just as the mok,wha,kum,su(木,火,金,水) spirits gather and unite into one through the 土 energy of harmony and balance. Korea's six major cities have big mountains and big rivers, but Daejeon Metropolitan City has no big mountains and rivers. Nevertheless, it is one of the six largest cities in Korea. There is no big mountain in Daejeon, but around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Hall, some 300 to 400 meters of mountains gathered to make Daejeon a basin. The basin can be hot on a summer day, with three streams (national stream) flowing through the basin called Daejeon Stream, Yudeungcheon Stream, and Gapcheon Stream. three stream serves as a large river, and Daecheong Lake, an artificial reservoir, and the Geumgang River is flowing flows through the eastern part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In feng shui, water(roads and railroads) is closely related to economic value. The unique location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lies in the diversity of roads and railways, the infrastructure of modern countries. Two inter-Korean cross-border railway lines and KTX and highways passing through Daejeon Metropolitan City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communication linking the nation. These transportation networks are closely linked to the economy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are considered of utility value comparable to large rivers and mountains in other cities. This paper is based on the location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Hall as feng shui, a traditional geographical recognition. The future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is bright when the five district office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are located in good locations. According to the feng shui logic that various energies can be gathered and reborn as a better space, if the five districts accept the energy and bring it together, a very good future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will come. To that end, the location of government offices, including each district office, is very important, and the location of feng shui is also important. after examining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Daejeon Metropolitan Government through the study of feng shui, we tried to present the improvement (subserve) and solution to the problems of feng shui. Feng shui is a trational, descriptive theory that can be applied to the location of government offices by reviving traditional thinking or today's good points

      • 대전광역시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 실태 분석

        차복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어린이를 위한 체계적인 독서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쌓고, 지역적으로 역사와 교육 ․ 복지 ․ 환경 등 인프라가 다른 대전광역시 공공도서관 구・신도심지역에서 어린이 독서프로그램 운영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조사・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대전광역시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독서프로그램 기획, 인프라와 인적자원(사서), 참여자의 만족도와 장애요인, 선결과제, 지역별(신도심・구도심) 차이 등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제고방안을 제시하였다. 대전광역시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 실태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대전광역시 공공도서관의 신도심과 구도심의 시설현황은 구도심이 신도심보다 봉사인구 대비 공공도서관 면적기준에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관별 면적이 신도심의 인구밀도 상승률에 기인한 기준 미달로 보여 진다. 둘째, 직원현황은 구도심과 신도심 모두 도서관법시행령에서 정하고 있는 도서관 면적과 장서량을 기준으로 산출한 정원보다 사서직원 확보가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신도심 보다 구도심의 사서직원 확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서 및 예산현황을 살펴보면 도서관 장서 수는 신도심이 많았고, 연간 장서 증가율은 구도심이 높게 나타났다. 연간 도서구입 비율 중 어린이 도서 구입 비율은 신도심이 높았다. 넷째, 어린이실 총 좌석 수 대비 어린이열람석 확보율은 구도심은 평균 3개 도서관이, 신도심은 1개 도서관만이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ㆍ구도심 도서관 모두 어린이실을 확보하고 어린이 대상 서비스를 활발히 제공하고 있으며, 대출권수 기준으로 구도심보다 신도심의 어린이 도서 대출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어린이 독서프로그램 운영횟수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 평균 구도심의 운영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독서관련 프로그램 운영은 구도심이 신도심보다 많았다. 이는 지자체소속 도서관 중심으로 구성된 신도심에 비해 구도심은 5개 도서관 중 2개 도서관이 교육청소속 도서관으로 학생독서교육 중심 프로그램 운영횟수가 지자체 소속 도서관보다 많아 구도심 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횟수가 많은 것으로 보여 진다. 어린이 독서프로그램 설문조사 실태 분석을 통해 어린이 독서프로그램 예산, 시설 등 쉽게 개선하기 어려운 사항들을 제외하고 운영과 관련하여 살펴본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프로그램 담당자의 경우 확대해야 할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으로 독서참여형과 독서습관 형성형 희망 프로그램을 개설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강사와 프로그램의 품질 관리가 중요하다. 학부모와 학생 모두 강사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때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기에 프로그램 계획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또한 학부모의 경우 이용하는 기관의 시설이나 프로그램의 운영기간 또한 프로그램 만족도와 다소 높은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시설관리나 운영기간의 적정성 등도 프로그램 개설 계획 시 고려해야 할 요인 중 하나 일 것이다. 셋째, 프로그램 홍보 수단 관리도 어린이 독서프로그램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학생의 경우 부모님의 권유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며, 학부모는 도서관 홈페이지, 도서관 홍보물을 통해 프로그램에 참여한다고 나타났으므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도서관 홈페이지 관리와 도서관 홍보가 매우 필요 하다. 넷째,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개설 또는 참여를 희망하는 프로그램의 종류와 인기 프로그램, 특색 프로그램, 참여 동기 등이 구・신도심 간에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지역적 특성은 프로그램 개설 계획 수립 시 반드시 반영되어야 하며 프로그램 활성화 여부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부분이다.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첫째, 도서관이 속해있는 지역사회에 대한 분석과 지역사회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독서습관 형성이라는 당위성만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운영하기에는 사회 시스템이 너무 복잡해졌다. 사회관계망을 통해 지역사회와 끊임없이 교류하고 이용자분석, 비이용자 분석, 장애요인 분석 등 다양한 변화요소를 찾고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은 독서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도서관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도서관 간 정보가 유통되고 분화 발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작게는 강사정보에서부터 크게는 지역사회 도서관 정책까지 공유하고 조율하고 분담 할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는 부족한 전문 인력과 예산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도 있다. 근래 공유(쉐어 : Share)의 개념이 사회 여기저기 퍼지고 있다. 자전거, 자동차, 방 등 종전에 나누어 사용하지 못할 것처럼 여겨지는 많은 것들이 쉐어라는 이름으로 함께 사용하고 있다. 이는 이용자에게 경제적, 시간적 이득을 주며 다른 창조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도서관 간의 공유의 개념은 장서일 수도 있고 시설일 수도 있지만 정보의 공유 또한 도서관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 일 것이다. 프로그램 관련된 정보의 공유가 부족한 인력과 예산을 메꿀 수 있는 한 수단일 수도 있다. 성과중심의 운영으로 인해 공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커뮤니케이션을 막는 큰 요인일 것이며 이를 어떻게 극복해 나가느냐가 공공도서관에 주어진 과제라고 할 수 있다.

      • IMF이후 대전광역시 아파트경매시장의 변화와 수익률 분석

        조남복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2

        Purpose of this report First, examined quantitative changes that is articles sold by auction or explosion that occur to real estate auction market since IMF, and examined whether apartment auction thing that come out second to real estate auction market after with IMF move substantially and is bid successfully is some difference. Executed Case Study for apartment successful bid th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at is bid successfully in complete work district court for this. Quantitative changes that show to Daejeon metropolitan city real estate auction market since IMF are as following. First is explosion of quantity. Auction event requisition number of item of 1998 that influence of regular IMF system is materialized decreased about 10.3% than 98 by 6,407 case to 65.2% or 7,143 case that increase, 1999 in contradiction to past years. In same period, requisition number of item compared to 65.2% or that increase, processing number of item can know that do not increase greatly. Second, it is change of successful bid ratio. Apartment articles sold by auction or successful bid ratio was expose by 32% to 23.5%, 1999 years 34.3%, 2000 37.9%, 1998 in 1997. Another research purpose was real estate articles sold by auction or thing, which examine whether it is to apartment successful bid thing specially some difference after with IMF move. 1. If examine location present condition, apartment object knocked down or increase of West Europe site means that investment that consider investors' economical value (new volume one formation) and learning environments is consisting. 2. According to auction kind different present condition, apartment successful bid thing of forced sale by auction shows the rise in 2000 while decrease from 1997 to 1999, and random auction shows 2000s decrease phenomenon while look increase trend continuously to 1999 on the contrary with this. 3. According to creditor type present condition, apartment object knocked down that creditor is financial institution or while increase from 1997 to 1999 continuously in 2000 declining tendency show. 4. According to equilibrium present condition, 20 pyongs low shows the constant rise except 98 that is IMF after, and is increasing from 1997 to 2000 continuously in case fewer than 21 - 25 equilibrium. 5. According to failure present condition, 98 years' enlargement of failure number of times increase that is 2nd failure thing looks that is caused in bid participant's decrease by slump by IMF effect and shrinkage of real estate market etc. 6. If examine appraiser present condition, cases less than 40 million won are increasing continuously for last 2 years while decreased in 98, and 40~60 million won looks increase trend since 2000 while decrease continually until 1999. 7. If examine lowest bidding price present condition, cases of 30~50 million wons was expose that increase about 10% in 2000 while decrease until 1999. 8. If ascertain average successful bid, successful bid of 1997 consisted in average 64 million won prices, and can know 54 million won prices, that successful bid formed in 46 million won prices in 2000s, that is shortly after IMF, in 58 million won prices and during 1998~1999. Third, IMF economy analyzed change on qualitative change of real estate auction market, return on investment that reach. First of all increased continuously for last 4 years in case expenses less than 2 million won cost to acquire apartment successful bid thing if examine acquisition expense. Fourth, according to return on investment analysis result, apartment object knocked down or earning rate in case fewer than 10%, in 1997 64.2% was most, and decrease in 1998 and stays 7.5% in 1999 and 2000 15.8%. Raised low profit of only 10% by apartment object knocked down of 1997 or earning rate 8.21% but was expose that rise and dominate Daejeon metropolitan city apartment object knocked down or earning rate 38.94% until 2000 continuously until 2000 present in 99 zooming by return on investment 34.97% of 1998 that is shortly after IM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