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심장 및 대동맥 수술환자에서 포괄적 혈액보존법 시행군과 비시행군에서의 동종수혈의 용량 및 치료비용의 비교

        김상범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671

        서론 동종수혈의 위험인 간염 및 후천성 면역결핍증의 감염, 동종면역의 유발, 열성반응 등을 최소한 감소시키기 위해 심장 및 대동맥 수술 환자에서 여러 가지 혈액보존법을 이용하여 동종혈액 소모량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널리 시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예정 및 응급 심장 및 대동맥 수술 환자에게 본원에서 이용 가능한 혈액보존법을 시행한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군에서 동종 수혈의 용량, 술후 1일 및 3일의 적혈구 용적율, 혈소판수,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을 비교 관찰하였고 이에 따른 의료수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동아대학교 병원 중앙수술실에서 예정 및 응급으로 개심술 및 대동맥수술을 시행받은 20명을 혈액보존법을 이용한 전향적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1주일 내에 아스피린 및 항응고제 투여한 환자, 뇌혈관 질환, 경동맥 폐쇄 (carotid a. stenosis), 혈색소 30% 이하인 환자는 제외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본 연구 이전에 혈액보존법을 시행하지 않은 비슷한 수술 및 수술 난이도로 비슷한 연령 및 술전 적혈구 용적율, 심에코 상의 좌심 박출분율을 가진 20명의 환자를 병력지를 참조하여 후향적으로 선별하였다. 혈액보존법으로 술전 자가공혈(autologous predonation) 및 혈소판반출 ( platelet pheresis), 체외순환기 사용전 급성 정혈량성 혈액희석 (acute normovolemic hemodilution), 술중 cellsaver 사용후 술후 투여 등의 방법을 사용한 군과 혈액보존법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의 동종수혈의 용량, 술후 1일 및 3일의 적혈구 용적율, 혈소판수,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을 비교 관찰하였다. 합병증의 비교는 퇴원후 경과기록지를 참고하였고 의료수가 계산은 술전 및 퇴원 때까지 사용한 모든 동종전혈, 적혈구 농축액, 혈소판 농축액을 각 unit 당 가격으로 계산하였으며 혈액 보존법을 시행한 경우는 혈소판 반출 및 cellsavor 사용가와 소모품 가격을 합산하였다. 결과 입원부터 퇴원까지 혈액보존법 시행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전혈사용량 (1.6±1.3 대 2.8±1.9 unit) 및 혈소판 농축액 사용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5.4±6.7 대 9.4±6.4 unit). 혈소판수는 혈액보존법 시행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술후 1일에는 의미있게 많았으나 (171±41,3 대 152±47.3×103개) 술후 3일의 혈소판 수는 통계적 의의있는 차이는 아니었다.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PTT)은 혈액보존법 시행 환자군 술후 1일 및 술후 3일에 비시행 환자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짧았다 (37.3±14.5 대 46.4±14.4 sec 및 30.8±6.1 대 43.2±11.0 sec). 합병증은 대조군군에서 출혈로 인한 재수술 1례, 호흡기 합병증 2례, 대동맥 내 풍선펌프 (IABP) 1례로 시행군에 비해 많았다. 결론 결론적으로 심장 및 대동맥 수술환자에서 혈액보존법을 시행하면 동종전혈 수혈량을 42%, 동종 혈소판 수혈량을 43% 감소시킬 수 있었고 의료수가는 약 100,000원 가량 추가되었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으로 포괄적 혈액보존법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ackground: To reduce the amount of homologous transfusion with its inherent problems of transmission of viral hepatitis,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nd others, many institutions use comprehensive blood conservation methods (CBCM) in open heart and major aortic ope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mount and cost of homologous transfusion and the efficacy of coagulation between patients with or without CBCM adoption. Methods : We prospectively assessed available CBCM of our institution in 20 patients, comparing the requirements of blood products, their cost and the efficacy of blood coagulation with those of another 20 patients similar in age, types of operation, operation difficulty and duration of bypass time retrospectively. Platelet pheresis was done 3 days before operation in 4 patients and after that procedure acute normovolemic hemodilution was done and cellsaver was used in 20 patients. Result : Fewer whole blood and platelet concentrates were transfused in patients with CBCM (p<0.05).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used packed red blood cell and fresh frozen plasma between two groups. Partial thromboplastin time was significantly short in patient with CBCM (p<0.05). The mean extra-financial cost for using cellsaver, platelete pheresis and homologous blood products were somewhat higher but total cost and prevalence of complications were lower in patients with CBCM. Conclusions : The CBCM are cost-effective in reducing the amount of homologous transfusion, and efficient measures to normalize postoperative blood coagulation. So it is reasonable to use the CBCM more widely to achieve more favorable patient outcome.

      • 흉복부대동맥 수술 후 척수신경 손상에 대한 보조적 수단과 위험인자 분석

        윤석원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287

        목적: 흉복부대동맥 수술 후에 생기는 허혈성 척수신경 손상을 줄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다양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명확히 입증된 바가 없다. 이 연구는 흉복부대동맥 수술에서 시행되고 있는 여러 가지 보조 수단 중 뇌척수액 배액술과 부분 심폐순환술에 대한 평가를 내리고 수술 위험 인자들을 제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1992년 9월부터 2006년 5월까지 울산대학교 서울 아산병원 흉부외과에서 단일 집도의에 의해 실시된 흉복부대동맥 수술 환자 중 Crawford 분류 제 1형과 제 2형, 그리고 제 3형 환자 1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조 수단으로서는 저체온법, 다양한 동맥 삽관 및 분할 대동맥 겸자를 이용한 부분 심폐순환술, 주요 늑간 동맥의 재 부착, 뇌척수액 배액술 등을 시행하였다. 이 중 뇌척수액 배액술을 시행한 군과 그렇지 않은 군은 각각 38명, 69명이었고 목표 뇌척수액 압력은 10 mmHg 또는 그 이하였으며 특별한 신경학적 이상이 없는 경우 수술 후 하루 또는 이틀 동안 배액을 계속하였다. 체외순환을 이용한 환자 중 완전심폐순환정지 군과 부분심폐순환술 군은 각각 63명, 22명이었다. 결과: 11례(10.28%)의 총 사망률 중 10례(9.35%)가 30일 이내의 조기 사망이었으며 이중 3례(7.89%)는 뇌척수액 배액술 군에서, 7례(10.14%)는 대조군에서 발생하였다(p=1.00). 총 8례(7.48%)의 척수신경손상으로 인한 마비가 있었으며 2례(5.26%)는 뇌척수액 배액술 군에서 6례(8.69%)는 대조군에서 발생하였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p=0.709). 반면 수술 시 나이와 술 전 신장부전 여부가 척수신경손상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각각 p=0.04). 또한 수술시 심폐순환기 사용 여부와 술 후 첫 24시간동안의 수혈 양 역시 척수신경손상 여부와 관계가 있었다. 인공심폐기를 이용한 환자 군 중 완전심폐순환정지 군과 부분심폐순환을 실시한 군 간의 척수신경손상 여부에는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p=0.274) 결론: 흉복부대동맥 수술에서 사용되고 있는 보조적 수단 중 뇌척수액 배액술 및 부분 심폐순환술의 척수신경손상에 대한 효율성은 본 연구에서 증명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술 후 합병증에 대한 위험인자들을 나타낼 수 있었다. 향후 더 많은 수술 례를 통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Objective: Despite the use of various protective adjuncts against spinal cord ischemic injury, its benefit remains unprov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act of cerbrospinal fluid drainage and partial cardiopulmonary bypass on the thoracoabdominal aortic repair and to suggest the risk factor for postoperative complication. Methods: Between September 1992 and May 2006, 107 patients underwent repair of Crawford extent I, II and III thoracoabdominal aortic aneurysm by same operator. The profound and moderate hypothermia, segmental aortic cross clamping with multiple arterial cannulation, reattachment of patent critical intercostal arteries and cerebrospinal fluid drainage(CSFD) were used as surgical adjuncts. The repairs were performed with CSFD(n=38) or without CSFD(n=69). In the former group, CSFD was initiated during the operation and continued for 48 hours after surgery, unless there was neurologic abnormality. The target CSF pressure was 10 mmHg or less. There were 63 cases of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and 22 cases of partial cardiopulmonary bypass. Result: Overall early mortality was 10 cases(9.35%): 3 cases(7.89%) in the CSFD group versus 7 cases(10.14%) in the control group(p=1.00). The incidence of paraplegia was 2 cases(5.26%) and 6 cases(8.69%) for CSFD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p=0.709). The risk factors of paraplegia were advanced age, preoperative renal failure, non-using of cardiopulmonary bypass and less postoperative transfusion for 24 hours. No other significant risk factors were identified for paraplegia in DHCA and parital cardiopulmonary bypass groups. Result: CSFD and partial cardiopulmonary bypass did not reduce deficits in this study. But we were able to determine risk factors associated various postoperative complication. Continued research is required with more operative cases and clinical trials.

      • 실험견에서 상복강 대동맥 교차차단 재개통시 Furosemide 투여가 신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혁 계명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32254

        신동맥 상부 대동맥 수술과 관련한 신기능 장애의 발생률은 17% 정도로 매우 높다. 이러한 신부전의 발생에는 신장 허혈-재관류 손상이 주요한 원인이 되는데, 이로 인한 신혈류 감소외에도 신혈류 분포의 불균형, 레닌 안지오텐신계 및 교감신경계의 활성화, 그리고 endothelin 등과 같은 각종 매개물질의 생성 및 방출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하여 술 후 신기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복강 대동맥 교차차단과 재개통 시 발생하는 신혈류량, 국소 신관류, 산소 이용률 및 신기능의 변화를 관찰하고 furosemide가 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견 13마리를 상복강 대동맥을 결찰 및 재관류시킨 대조군(n = 7)과 상복강 대동맥의 결찰 및 재관류 시 furosemide를 투여한 군(n = 6)으로 나누었다. 동맥 및 폐동맥 카테터 거치 후 정중 개복을 시행하여 우측 신동맥에 거치한 혈류 측정기를 통하여 신혈류량을 측정하였으며, 열확산 탐침으로 국소 신관류의 변동을 관찰하였다. 대동맥 교차차단 60분 후, 즉 재개통 직전에 모든 전신 혈역학, 신동맥 혈류 및 국소 신관류를 대조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후 대동맥 혈류를 완전히 재개통 시킨 1, 2, 3, 4, 5 및 6 시간 후에 각각의 전신 혈역학, 신동맥 혈류 및 국소 신관류를 측정하였다. 상복강 대동맥의 재개통 시 신혈류와 국소 신관류 및 산소 이용률은 furosemide 투여 유무에 따른 두 군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신혈류와 국소 신관류는 재개통 후 두 군에서 모두 대조치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하였다. 또한 혈장 레닌 활성도는 furosemide를 투여한 군에서 대동맥 재개통 3시간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혈청 크레아티닌과 Cystatin-C는 두 군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furosemide 투여에 따른 상복강 대동맥 교차차단과 재개통시 신기능의 향상을 증명할 수 없었다.

      • 척수 허혈 토끼에서 점진적 산소 분압 상승의 신경 보호 효과

        장원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32238

        목적: 대동맥 수술시 척수 신경 손상의 주요 원인은 허헐/재관류 손상과 동반된 척수 허혈에 기인한다고 여겨진다. 저자는 대동맥 차단후 재관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점진적으로 산소 분압을 상승 시키는 방법의 유용성을 평가 하였다. 방법: 토끼의 대동맥을 20분간 차단하여 척수 허혈을 유도하였다. 정상 산소 분압군은 대동맥 재관류 후 정상 산소분압을 유지하며 관류하였고 점진적인 산소 분압 상승군은 산소 분압을 점차 올리면서 재관류 하였다. 10% 포름알데하이드로 척추를 고정 후 척추 후궁 절제술을 시행하여 요천추 부위의 척수를 채취 하였다. 나우타 도은 염색을 시행한 후 호은성 신경세포를 평가하였다. 결과: 점진적인 산소 분압 상승을 시행한 군에서 호은성 신경세포의 개수 및 분율과 축삭내 호은성 염색 분율이 정상 산소 분압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13.67 ± 4.08/mm2 vs 4.50 ± 2.32/mm2 p < 0.05, 32.82 ± 12.00%/mm2 vs 11.22 ± 5.23%/mm2 p < 0.05, 16.93 ± 4.97%/mm2 vs 3.15 ± 1.48%/mm2, p < 0.05) 결론: 토끼의 척수 허혈 모델에서 점진적으로 산소 분압을 상승 시키는 재관류 방법은 정상 산소 분압으로 재관류 시키는 방법에 비하여 조직학적으로 신경 보호 효과가 있었다.

      • 양대혈관우심실기시증의 수술성적 및 임상적 고찰 : 양대혈관우심실기시증의 임상적 고찰

        현성열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222

        Background. The double-outlet right ventricle(DORV) is a rare congenital anomaly in which the aorta and the pulmonary artery both originate from the right ventricl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atomic features and surgical strategies in children with DORV.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1994 to February 2001, 17 patients underwent anatomic correction of double-outlet right ventricle. There were 12 males and 5 females. At operation, ages ranged from 11 days to 20.4 years(mean 24.4 months) and weights from 3.09 Kg to 46.75 Kg(mean 8.91 Kg). Results. 11 patients had one or more palliative procedures, 9 patients had corrective procdures and 3 patients had corrective followed palliative procedures. The palliative procedures were systemic-pulmonary artery shunt, atriostomy, pulmonary artery banding, right ventricular outflow widening, D-K-S(Damus-Kaye-Stansel) and BCPS(bilatera1 cavopulmonary shunt). The corrective procedures were intraventricular baffling and Fontan operation. The deaths were as follows : 4 deaths(23.5%) in the group with palliative procedures and 2 deaths(11.8%) with corrective procedures; the overall deaths were 6 deaths(35.2%). Conclusions-DORV represents a broad spectrum of anomalies from simple ventricular septal defect(VSD) or tetralogy of Fallot(TOF) to transposition of great arteries. The operative approach va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within these groups, is influenced by the presence of associated anomalies.

      • 대동맥 판막 역류증을 동반한 타카야수 동맥염에서 수술적 치료에 따른 장기적 치료 성적 및 예후 인자

        남소혜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15919

        Background: Aortic valve surgery is often performed for aortic regurgitation (AR) in patients with Takayasu arteritis (TAK). However, data on the long-term outcomes are lacking. This study aimed to compare long-term outcomes of aortic valve surgery in TAK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AR between those in non-TAK patients with severe AR. Methods: We included 35 TAK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AR who underwent aortic valve surgery. Poor outcomes were defined as all-cause death and major adverse cardiac and cerebrovascular events (MACCE) including a life-threatening late development of an aortic aneurysm. Overall survival (OS), MACCE and re-operation rates were presented. One hundred five age-matched non-TAK patients who underwent aortic valve replacement due to primary severe AR were compared. Results: The 10-year OS rate was 70.5% in TAK patients and 89.4% in non-TAK patients (p=0.04). MACCE and re-opera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AK patients (10-year MACCE rates 41.8% vs 13.6%; p=0.0025, 10-year re-operation rates 36.9% vs 1.7%; p=0.0007). Eighteen of 35 patients (51.4%) had poorer outcomes during follow-up.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coronary artery involvement with significant stenosis [HR, 4.178; 95% CI, 1.222,14.282; p = 0.023] and decreased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HR, 0.968; 95% CI, 0.947,0.989; p = 0.003]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poor outcomes. Conclusion: The long-term outcomes of aortic valve surgery in TAK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AR was poorer than that in non-TAK patients with severe AR. The poor cardiovascular outcomes in TAK patients with AR were associated with concomitant coronary artery involvement and decreased renal function. 목적: 타카야수 동맥염 환자에서 대동맥 판막 역류증은 심장 판막 질환 중 가장 흔하게 동반되며 심각한 경우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환자들은 최근 수술 기법의 발달로 높은 생존율을 보이나 술 후 합병증 발생이 드물지 않아 나쁜 예후가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동맥 판막 역류증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타카야수 동맥염 환자와 타카야수 동맥염을 동반하지 않은 환자들 사이의 장기적 치료 성적을 비교하고, 예후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중등도 및 중증의 대동맥 판막 역류증으로 수술을 시행받은 35명의 타카야수 동맥염 환자들이 연구에 포함되었고 나쁜 예후는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과 주요 심장 및 뇌혈관계 사건 (major adverse cardiac and cerebrovascular events)로 정의하였다. 전체 생존률, 주요 심장 및 뇌혈관계 사건과 재수술 발생률을 확인하였고, 타카야수 동맥염을 동반하지 않고 중증의 원발성 대동맥 판막 역류증으로 인해 대동맥 판막 치환 수술을 시행받은 연령과 수술 시기를 짝짓기한 105명의 환자들이 비교되었다. 결과: 수술 후 10년 전체 생존률은 타카야수 동맥염 환자에서 70.5%로 확인되었고 타카야수 동맥염을 동반하지 않은 환자들은 89.4%로 확인되었다 (p-value = 0.04). 수술 후 10년 주요 심장 및 뇌혈관계 사건과 재수술 발생률은 모두 타카야수 동맥염 환자군에서 높았다(10년 주요 심장 및 뇌혈관계 사견 발생률 41.8% vs 13.6%; p-value 0.0025, 10년 재수술 발생률 36.9% vs 1.7%; p-value 0.0007). 대동맥 판막 역류증으로 수술을 시행받은 35명의 타카야수 동맥염 환자들 중 18명이 나쁜 예후군으로 분류 되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중등도 이상의 관상동맥혈관 침범 [Hazard ratio, 4.178; 95% Confidence intervals, 1.222,14.282; p = 0.023] 과 감소된 사구체 여과율 [Hazard ratio, 0.968; 95% Confidence intervals, 0.947,0.989; p = 0.003]이 나쁜 예후와 관련된 유의한 인자로 확인되었다. 결론: 대동맥 판막 역류증으로 인해 수술을 시행받은 타카야수 혈관염 환자들은 타카야수 혈관염을 동반하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나쁜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등도 이상의 관상동맥 침범과 신기능 저하가 심혈관계 합병증 발생과 관련이 있었다.

      • Outcomes of repair of coarctation of aorta with hypoplastic arch using extended end-to-side anastomosis technique

        김응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15834

        Introduction: The optimal surgical repair technique for coarctation associated with aortic arch hypoplasia (CoA/AAH) in neonates and infants is controversial. This study evaluates our current strategy utilizing extended end-to-side anastomosis (EESA) under selective cerebral and myocardial perfusion (SCMP) in treating this group of patients. Methods: Through a retrospective review, we analyzed the outcome of 87 infants who underwent surgical repair of CoA/AAH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15.Patients with functional single ventricle were excluded. Results: There were no early mortalities and 4 patients (4.6%) experienced early complications. Eighty-five patients (97.7%) were followed-up during a mean duration of 6.1± 3.53 years. There were 2 late mortalities (2.3%) and 3 re-intervention (3.5%) of the aortic arch. Ten-year overall survival and freedom from re-intervention for the entire cohort was 97.7% and 96.3%, respectively. At last follow-up, 4 patients (4.5%) showed a peak velocity greater than 2.5m/s across the repair site.7patients (8.2%) were hypertensive. Among 44 patients (50.6%) with post-operative CT data, 7 patients (15.9%) showed gothic shaped arches. In the present study, we could not correlate arch geometry with increased blood pressure. Conclusions: Our strategy with EESA under SCMP is safe and effective for repairing CoA/AAH in neonates and infants. Concomitant repair of associated cardiac anomalies can be done without added risk. Surgical results are excellent with low rates of mortality, re-intervention, and late hypertension.

      • 급성 A형 대동맥박리증 수술의 병원 내 사망률 예측인자에 대한 연구

        김태윤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99549

        목적:. 급성 A형 대동맥박리증은 응급수술을 요하는 심혈관계 질환이며 높은 수술 후 사망률을 보인다. 본원에서 시행하였던 급성 A형 대동맥박리증 수술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수술 후 병원 내 사망률 예측인자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7년 9월부터 2016년 7월까지 급성 A형 대동맥박리증으로 수술받은 환자는 88명 이었다. 이 중 55명(62.5%)의 환자는 반대동맥궁치환수술(hemi-arch replacement)을 5명(5.7%)의 환자는 상행대동맥치환수술(ascending aorta replacement)을 나머지 28명의 환자는 전대동맥궁치환수술(total arch replacement)을 시행받았다. 6명(6.8%)의 환자가 대동맥 기부(aortic root) 재삽입술 또는 치환수술을 받았으며, 13명(14.7%)의 환자는 대동맥동(aortic sinus) 교정수술을 받았다. 대동맥박리와 연관된 동맥 내막의 손상은 78명(88.6%)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결과: 병원 내 사망률은 9.1%(8명)였다. 단변량분석에서 밝혀진 병원내 사망률의 위험인자는 수술 전 쇼크(P=0.02), 역행뇌관류(retrograde cerebral perfusion; P=0.03) 그리고 장골동맥의 침범(P=0.006)이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추가적인 분석에선 수술 전 쇼크만이 독립적인 병원 사망 예측인자로 나타났다.(P=0.02, relative risk of 7.8; 95% CI, 1.3-45.3) 비록 대동맥 기부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인공심폐기 적용시간과 대동맥 클램프 시간이 유의하게 길었으나 이는 초기 수술 결과에 영향은 없었다. 수술 후 1년과 5년 생존률은 각각 92.0±2.9%와 89.3±3.9%였다. 결론: 본 연구에 따르면 급성 A형 대동맥박리증으로 응급수술을 받는 환자의 병원내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예측인자는 수술 전 쇼크의 유무였다. 더 많은 수의 환자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병원내 사망률에 대한 다른 예측인자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is a cardiovascular disease that requires emergency surgical repair and has high postoperative mortality. To investigate predictive factors of hospital mortality after surgery, w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of our surgical experiences. Methods : Between September 2007 and July 2016, 88 consecutive patients underwent surgery for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Of these, 55 (62.5%) had hemi-arch replacement and 5 (5.7%) had replacement of ascending aorta, whereas 28 patients (31.8%) had total arch replacement. Six patients (6.8%) had aortic root reimplantation or replacement, and 13 (14.7%) had sinus repair. The intimal tear associated with dissection was observed in 78 patients (88.6%). Results : The hospital mortality rate was 9.1% (8/88 patients). Risk factors for hospital mortality were preoperative shock (P = 0.02), retrograde cerebral perfusion (P =0.03), and involvement of iliac arteries (P = 0.006) in univariate analyses. In further analyses using logistic regression, we found preoperative shock to be a unique independent predictor of hospital mortality (P =0.02, relative risk of 7.8; 95% CI, 1.3-45.3). Although the bypass and clamp times were significantly long in patients with aortic root surgery, they did not affect early postoperative outcomes. The 1-year and 5-year survival rates were 92.0 ± 2.9% and 89.3 ± 3.9%. Conclusions : Our study revealed that preoperative shock is a unique predictive factor of hospital mortality in patients undergoing emergency repair of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Other independent predictors for hospital mortality may be expected with a much larger patient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