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만 연안 도심지역의 PM2.5 농도의 주중/휴일 효과와 중규모 기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정혜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부산과 인천은 대표적인 항만 도시로 내륙과 해안이 인접해 있지만, 각각 남해와 서해에 위치하여 비슷한 조건을 갖추면서도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기상학적 차이가 발생하는 지역이다. 또한 두 지역 모두 항만이 위치하고, 관광으로 유명한 대도시이므로 항만의 선박 활동, 대도시의 많은 교통량, 사람들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으로 초미세먼지(PM2.5)가 생성되어 대기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미세먼지 흡입 시 인체 내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우리나라는 2011년 1월부터 미세먼지 예보 및 경보에 관한 조례를 시행함으로써 국가 차원으로 대기질을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항만 연안 도심지역의 1차 오염 물질인 와 의 농도 및 2차 오염 물질인 의 농도의 특성을 살펴보고, 항만과 관광지로서 주중, 주말, 휴일의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비교함으로써 주중/휴일효과의 특성과 발생 지역을 분석하였다. 또한 부산과 인천의 지리적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종관 기류와 중규모 기류의 방향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특성을 중규모 기류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산과 인천 모두 주중/휴일 효과가 발생하며, 주중이 휴일보다 초미세먼지(PM2.5)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여름철 강수 집중 현상으로 주중에 비해 휴일에 대기오염물질이 감소하는 효과와 함께 대기오염물질 배출원에 해당하는 공업 지역, 교통량이 많은 지역, 선박 운항 및 하역이 이루어지는 항만 지역에서 휴일 동안 산업 활동량이 감소한 영향일 것이라 추정된다. 우리나라는 여름철 남동 계절풍이, 겨울철 북서 계절풍이 종관 기류의 주풍으로 작용하고, 부산과 인천은 각각 남해안과 서해안에 위치하여 부산에서는 남북 방향, 인천에서는 동서 방향으로 중규모 기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부산과 인천의 기류 방향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중규모 기류가 발생하는 해풍일을 선별하여 대기오염물질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부산과 인천 모두 이산화질소(NO2)가 초미세먼지(PM2.5)의 발생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으며, 부산의 경우 여름철인 난후기(5~8월)에는 해풍의 영향으로 항만에서 발생한 이산화황(SO2)이 초미세먼지(PM2.5)의 발생에 더 많은 영향을 주었고, 인천의 경우 종관 기류와 중규모 기류의 방향이 일치하여 항만에서 발생한 이산화황(SO2)과 인천 도심에서 발생한 이산화질소(NO2)의 영향을 모두 받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 김해시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과 오존농도의 변화경향

        김재석 仁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구와 산업체가 급증하고 있는 김해시를 대상으로 김해시·군을 통합한 1996년 당시와 2000년 이후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김해시 지상오존농도와의 관계 및 변화 경향을 직접관측과 측정망자료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김해공항측후소의 기상자료와 김해시 동상동의 대기오염물질의 시간별 농도자료(1997.1~2002.12)를 사용하였고, 2001년 봄부터 2002년 여름까지 계절별로 3일간, 3시간 간격으로 4개 지점에서 오존과 이산화질소의 농도를 관측하였다. 그 결과 김해시에 산재한 점·선·면 오염원에 의해 산정된 총배출량은 14,044.88 ton/yr이었으며, CO(42%)가 가장 많은 구성비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이 NO_(x), SO_(x), PM10 순이었다. 또한 오염원의 기여도는 선오염원(58.6%)이 가장 높았으며, 면오염원, 점오염원 순으로 나타났다. 1996년에도 역시 CO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이 NO_(x), SO_(2), TSP 순으로 나타나 지금과 유사하였으며 점·선·면 오염원의 기여도도 선오염원(66.2%)이 가장 많았고, 면오염원, 점오염원 순으로 나타나 김해시는 점오염원에 의한 배출량은 1996년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선오염원의 경우 다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선오염원의 기여도는 변함없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NO_(x)의 배출량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김해시의 오존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김해시의 오존농도는 지난 1996년 이후 매년 증가하여 1999년에는 대기환경기준을 초과하였고, 여름보다 봄, 그리고 가을철에 농도가 높게 나타나 연안도시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오존의 전구물질인 이산화질소의 배출량 증가, 그리고 일사량, 기온, 바람 등과 같은 기상 요소의 변화와 자동차의 증가로 인하여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관측을 통한 오존의 농도는 김해시 전역이 동상동지점과 유사하게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특정 바람이 불 경우 안동공단의 영향이 주변 지역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늘어나는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오염농도의 증가에 원인이 되는 자동차의 증가, 에너지 소비량 및 인구의 증가와 농도 저감에 직접적 관련이 있는 기술의 개발과 환경 정책으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김해시 대기질 관리를 위한 저감방안과 그 피해를 줄이기 위해 오존의 예보 및 경보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 and emission of air pollutants at Gimhae city, rapidly increased the population and industrial facilities, recently. For this purpose, It was investigated the amount of emission between after 2000 and 1996, which it were combined Gimhae city and Gimhae-Gun, and compared the surface ozone concentration from 1996 to 2002 using the hourly ozone concentration data measured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concentration of ozone and nitrogen dioxide directly observed at 4 site(Andong industrial complex, Naewoe-dong residental area, dongsang-dong commercial area, inje background area) in Gimhae city. As a results, Total emission emitted a point, area, and line sources at Gimhae city was 14,044.88 ton/yr and air pollutant with the largest emission ratio is CO(42%), and the next is NO_(x), SO_(x), and PM10 in decreasing order of magnitude. Air pollution sources with the largest contribution is a line source(58.6%) and the next is an area source, a point sources in decreasing order of magnitude. These things are similar to 1996's emission ratio and contribution of air pollution sources and the emission of a point sources is higher than the one of 1996. The concentrations of ozone tend to be increased every year and are higher in spring season than in summer season similar to costal urban area and continue to increase because of the increase of nitrogen dioxide concentration, the precursor of ozone, weather elements such as sunshine, air temperature, winds, and the increase of car numbers. By observing ozone and nitrogen dioxide concentration, the ozone concentration is high at Naewoe-dong, Andong industry area, Inje University area similar to the ozone concentration in Dongsang-dong site, and in case of special wind, it has an effect on the near area air pollutants emitted Andong industrial area. Like this, we have to consider the technical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al policy in direct relation to the increase of vehicles, energy consumption, increase of population, and the decrease of concentration, which are the cause of the increase of pollution concentration, to decrease. the emission quantity of pollutants. Consequently, We need to specify the condition of atmospheric pollution appropriately and study step by step to prevent the atmospheric pollution in the future.

      • 오염대기환경에서 일회성 고강도 운동이 호흡반응에 미치는 영향

        김민주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오염지역(Polluted Air Area: PA)과 일반지역(Normal Air Area: NA)에서 일회성 고강도 운동 시 호흡기능반응에 대한 비교에 목적이 있었다. 성인 남자 대학생 13명을 대상으로 일반환경(22.7±0.7, 47.6±13.3, 22±18, 0.2±0.4, 1384±212, 20±11, 6±7, 9±4, 0, 49±18)과 오염환경(온도; 22.2±0.8℃, 습도; 68.5±7.8%, PM; 26±19㎍/㎥, CO; 1.3±0.5ppm, CO2; 3413±1059ppm, Toluene; 3128±261㎍/㎥, Etylbenzene; 5920±471㎍/㎥, Xylene; 3451±294㎍/㎥, Styrene; 149±22㎍/㎥, HCHO; 75±26㎍/㎥)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두 실험 모두 10분 동안 Step Test(가로 1m, 세로 50cm, 높이 40cm)와 운동 전 30분간의 휴식 기간 취한 후 최대심박수의 80%의 강도로 스텝운동을 10분 동안 실시(120bpm=30steps per min)하고, 15분의 휴식기를 가졌다. 총 실험시간은 55분이 소요되었다. 실험 당시 호흡기능반응과 심혈관기능 반응에 관한 측정은 실험 전· Resting 직후· 운동 직후· 15분 후(Recovery)에 실시되었으며, 대사반응에 관한 측정은 Resting직후·운동직후에 실시되었다. 오염대기환경과 일반지역에서 운동 시 호흡기능반응에서 FVC는 15분 Recovery 직후 NA에서 5.60±0.86ℓ, PA에서는 6.17±1.11ℓ(p <.05)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FEV1는 운동 직후 NA에서 4.86±0.79ℓ, PA에서는 5.47±0.83ℓ(p <.05)와 15분 Recovery 직후 NA에서 4.61±0.84ℓ, PA에서는 5.25±1.02ℓ(p <.05)에서 유의하게 달랐다. PEFR는 30분 Resting 직후 NA에서 8.99±2.42ℓ/s, PA에서는 10.28±1.85ℓ/s(p <.05)와 15분 Recovery 직후 NA에서 8.49±2.53ℓ/s, PA에서는 10.50±1.89ℓ/s(p <.05)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심혈관기능반응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대사기능반응에서는 운동 직후에 NA에서 7.33±2.14 mmol/L, PA에서는 8.73±1.95mmol /L(p <.05)로 유의하였다. 오염대기환경에서 고강도 운동 시 호흡기능과 대사기능에서 반응을 보였다. 이는 우리 몸에 호흡활동으로 인한 오염물질의 흡입이 폐에 자극을 일으켜 호흡량의 증가를 야기하고, 그로 인해 인체 피로도가 증가되어 젖산수치에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대기 중의 산소를 섭취하여 신체의 조직까지 운반해주고, 운동의 결과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체외로 배출시켜주는 호흡 순환계의 역할은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필요한 산소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과환기가 필요하여 당연한 결과로 보인다.

      • 도시특성요소와 대기질의 관계에 대한 효율성 분석 : 2008-2010년간 서울시 이산화질소(NO2)를 대상으로

        제현정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기 환경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의 증가에 따라 우리나라는 연료 중심의 대기관리 정책을 통해 대기환경을 개선해왔으나, 대기오염물질인 이산화질소 및 오존 등 2차 오염물질은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산화질소는 오존을 발생시키는 원인 물질로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오염물질의 배출 규제에만 치우칠 것이 아니라, 대기오염의 근본적인 원인인 도시특성요소와 대기질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동시에, 대기오염을 근본적으로 저감하기 위한 지자체별 실천계획의 수립 등과 같은 (지자체의) 정책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지역별 차별화된 대기관리방안을 모색하고, 그 결과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배경 아래, 본 연구는 지역별(서울시의 경우 25개 자치구별)로 차별화된 대기질 관리 방안을 통하여 대기개선 정책의 수립이 가능하도록 주택, 교통수요, 토지이용패턴, 공간구조 등 도시특성요소의 효율성분석을 수행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서론과 네 장으로 구성된다. Ⅱ장에서는 도시특성요소를 정의하였고, 도시특성요소와 대기오염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효율성 분석에 대하여 관련이론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대기오염(이산화질소)의 환경적 효율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을 정립하였다. Ⅳ장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대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도시특성요소들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유의미한 요소와 이산화질소 농도 값을 대상으로 효율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연도별 분석을 수행하였고 시계열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결과를 해석하였다. 끝으로 Ⅴ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을 밝혔다. 본 연구를 위하여 효율성 분석인 3단계 DEA를 수행하였고,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 회귀분석의 분석결과, 이산화질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2008년에는 공원면적이, 2009년에는 수송용 도시가스 버스업체수, 공원면적, 그리고 2010년에는 공동주택수, 시가화지역의 개발밀도, 천인당 자동차등록대수, 수송용 도시가스 버스업체수, 공원면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변수의 부호는 모두 예상되는 결과를 나타냈고, 연도별로 종속변수인 이산화질소에 대해 동일한 영향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회귀분석의 결과를 2단계인 효율성 분석의 가정에 맞도록 투입 및 산출변수를 변형하여 3단계인 효율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효율적인 DMU(비교대상)는 규모효율성이 1인 결과 값을 나타내는 구로, 2008년과 2009년의 경우는 효율적인 DMU가 동대문구 1곳으로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 2010년의 경우는 서울시 25개 구 중 15곳이 효율적인 DMU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효율적인 DMU는 모든 분석에서 규모의 증가에 따른 수익감소가 비효율의 원인이 됨을 확인하였고, 이를 결과해석에 적용하였다. 비효율적인 구는 분석의 잔여값을 통해 비효율성의 원인과 규모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도시특성요소들의 개별 요소가 대기오염(이산화질소)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효율성 분석을 통해 비교대상별(행정구별)로 제시함으로써 정책입안자로 하여금 해당 지역의 한 도시특성요소를 강화 또는 약화시킬지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urban characteristics factors affecting the air quality of Seoul to provide an effective way of environmental policy application. In most studies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characteristics factors and air quality has been being analyz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an measure the power of influence on the factors, but to measure the scales of the influence due to changes of the factors is not possible by the method. In this study an efficiency analysis was introduced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model. So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as used as an efficiency analysis for the task of this study by years. According to the analysis from 2008 to 2010, urban characteristics factors affecting the air quality were different by year and some cause of the inefficient DMU were proved by the corresponding slac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ble to contribute effective decision making for the districts in changing their urban characteristics factors in consideration of their given conditions.

      • 大氣質指數 算定方式에 의한 大氣質評價

        이도철 慶星大學校 産業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기질 환경기준에 근거한 대기질 평가는 단순히 대기질 농도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일반인의 경우 이 수치로써 대기질 환경상태를 파악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기질을 알기 쉬운 환경점수로 환산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ORAQI 및 PSI 등의 지수산정 원리를 토대로, 국내에서 개발 사용중인 AI 및 AEI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 후 FORTRAN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국 34개 도시 84개 측정망의 90∼94년 8월까지의 일별 대기오염자료를 정리한 후, 이를 각 지수산정 방식에 적용하였다. 동자료중 93년 부산지역 대기오염 측정자료를 중심으로 각 지수에 적용하여 산정된 지수값 의한 대기질 특성을 측정위치별로 평가하였으며, 또한 전국 주요도시중 년별 측정일수를 고려하여, 각 지역별 년도별 대기질 평가와 아울러 주오염물질 구성분포특성을 파악하였다. 각 장별 주요내용은, 제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및 내용과 범위를 밝힘으로써 본 논문의 목적과 범위를 명확히 제시하였다. 제Ⅱ장에서는 관련 참고문헌을 고찰하여 대기환경지수 및 지표에 대한 종류, 산정방법들에 대하여 정리하였고, 본 연구에 적용될 ORAQI, PSI, AI, AEI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특히, PSI와 AEI에 대하여는 전반적인 이론적 전개과정과 적용기준에 대하여 명확히 나타내었다. 제Ⅲ장에서는 대기질 지수값 산정에 적용될 대기질 측정망 자료의 성격을 보다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전국 대기질 측정망의 배치 및 현황분포, 설치목적, 배치기준, 측정항목 및 측정방법에 대한 정리를 한 후, 본 연구에 사용된 자동측정망 자료에 대한 자료정리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Ⅳ장에서는 부산지역 대기질 측정지점별 93년 대기오염 수치를 중심으로 하여 ORAQI와 AI 및 PSI, AEI에 적용시켜 각 지수별 등급 및 주오염물질 구성분포(%) 특성을 측정지점별 월별, 계절별로 규명하였으며, 또한 전국에 걸쳐 각 8개소의 공업, 상업 및 주거지역의 90년∼94년 8월까지의 대기질 측정자료에 대하여 AEI값으로 산정한 후, 용도 및 지역별로 대기질 등급 및 주오염물질 구성분포(%) 특성을 고찰하였다. 특히 각 지역 및 월별 주오염물질을 표출함으로써 대기오염저감대책의 주안점을 제시하였고, 아울러 PSI와 AEI 산정방식에 대한 차이점도 밝혀, 기준치 강화등의 개선 방안에 대한 견해를 나타내었다. 제Ⅴ장에서는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을 정리하였다.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proper methods for the evaluation of the air quality which is the important factor to the quality of life in order to minimize the adverse effect by air pollution due to the urban concentration of the population, high consumption of energy, and increase of the traffic volume. But it is difficult for the public to understand the evaluation method which simply shows the concentration level of each air pollutant,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e the methods of synthetically estimating air quality. In this study, the air pollution data measured from 84 monitoring network, from Jan. 1990, to Aug. 1994, were applied to four different air quality indices; ORAQI (Oak Ridge Air Quality Index), PSI (Pollutant Standards Index), AI (Air Index), and AEI(Air Environment Index). AI and AEI were developed in Korea based on the principle of ORAQI and PSI. From the analysis of application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ORAQI and AI values for the average air quality in the Pusan area in 1993 were classfied as 'Good' level. And the values for spring and winter were higher than those of summer and autumn. 2. AEI value for the average air quality in Pusan area were also classified as 'Good' level. And there were no major differences among AEI values from different locations. 3. The air quality status estimated by PSI in 1993, showed TSP as a critical pollutant with 73% but AEI showed O_(3) as a critical pollutant with 43%. 4. Average daily and monthly AEI values were peaked in April. And O_(3) had the most frequency ratio as a monthly critical pollutant. 5. The AEI values were estimated from 13 to 23, and did not show any annual differe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8 industrial area, 8 commercial ,and 8 residential area from Jan., 1990 to Aug., 1994. 6. Generally, O_(3) and NO_(2) as a critical pollutants had higher frequency ratio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 than in industrial area. 7 As a critical pollutant, SO_(2) had high frequency ratio in industrial area. On the other hand, O_(3) had the most frequency ratio in overall area, especially from 1992.

      •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안전관리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 축열식 소각로의 화재 및 폭발 방지 중심으로

        황순용 명지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8703

        As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disruption arose due to rapid development of chemical industry, together with increased amount of air polluting substances, regulations on discharge of such substances are being strengthened. Consequently, in an attempt to cut the discharge rate of air polluting substances, many industries are constructing new air pollution control systems or replacing and extending existing facilities. However, if thermal oxidation-type air pollution control devices is installed devoid of safety stability, the potential hazard of fire or explosion may increase, and recently, there has been a report of fire- and explosion-related accidents at a RTO. In addition, most air pollution control devices are tied with large-scale storage tanks of hazardous substances or with processing facilities dealing with such substances, therefore any small-sized accidents may develop into a major industrial accidents affecting the laborers within and citizens around the workplace or environmental destruction. Hence in this research, we performed fact-finding investigations about enterprises using thermal oxidizers focusing on preventing fire and explosion of thermal oxidizer such as RTO to understand the problems about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air pollution control system and derive improvement scheme. As for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among all enterprises currently in use of thermal oxidation-type air pollution control system, PSM application enterprises were selected that have high dangerousness of extended damage in case of fire- or explosion-related accidents; the present conditions and controversial points were analyzed using standardized condition questionnaires centering around the personnel in charge of safety and environment affairs or thermal oxidizer management. Meanwhile, after examining a fire-/explosion-related accident that took place in a RTO-type thermal oxidation system for offensive odor treatment after a resin re-treatment process, which was previously known as danger-free process, through risk assessment of causal substances and factor analysis of the accident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fact that there is in fact no potential danger of fire or explosion during ordinary operations, but accidents may occur in case the condensation substances evaporate due to internal fire or superheating of RTO. After fact-finding investigations performed on enterprises manufacturing/utilizing thermal oxidation system and factor analysis of the explosions, we were able to uncover the following controversial points 1. Poor security and management of technical data including analysis, assessment, design standard, and computation basis about potential risk of substances and composition of processed gas, 2. Poor execution of basic elements of process safety management including process risk assessment, safe operation guide, management of change, inspection before operation, establishment of emergency response plan, and educational training. 3. Poor countermeasures regarding prevention and removal of condensed matters of the body and RTO lead-in duct and installation of detonation arrestor or flame arrestor, explosive pressure radiation system, and combustible gas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lead-in duct for the thermal oxidation system. accordingly, the manufacturers of thermal oxidation-type air pollution control system must establish and comply with safe design standards, and the users must institute safety management guides for a more practical safety management such as enforce higher-level process risk assessment, abide by safe operation procedures, and implement education and training about emergency response outlines. 화학공업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 증가에 따른 환경파괴의 심각성이 제기되어 대기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사업장들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저감을 위하여 대기오염 방지시설을 신설하거나 기존설비의 교체 및 증설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소각방식의 대기오염 방지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화재나 폭발사고의 잠재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축열식 소각설비(RTO)에서 화재 및 폭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또한 대부분의 대기오염 방지설비는 대규모의 위험물질 저장탱크나 이들을 원료로 사용하는 공정시설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소규모의 화재 및 폭발 사고가 사업장 내의 근로자는 물론 인근 주민 또는 환경까지 피해를 일으키는 중대산업사고로 발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TO 방식 등 소각시스템의 화재 및 폭발 방지를 중심으로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소각설비 사용업체에 대한 실태조사를 하였다. 조사대상은 소각방식의 대기오염 방지설비를 사용하고 있는 사업장으로서 화재나 폭발사고 발생 시 피해확대의 위험성이 큰 공정안전관리(PSM) 적용사업장으로 하였으며, 안전·환경업무 담당자 또는 소각설비운전 관계자를 중심으로 정형화된 실태조사표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한편, 폭발사고의 위험성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어온 수지(ABS, PS 등) 후처리 공정의 악취제거를 위한 RTO 방식 소각설비에서 발생한 화재 및 폭발 사고에 대한 사고원인 분석 및 원인물질에 대한 물질 위험성 평가 실험을 통하여 RTO의 과열 또는 내부화재로 응축물질의 증발이 일어나는 경우와 같이 운전 및 관리조건에 따라서는 화재 및 폭발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각설비 사용업체 및 제작업체에 대한 실태조사와 소각설비 폭발사고 원인분석을 분석한 결과, 나타난 주요 문제점으로는 첫째, 처리대상 가스의 조성과 물질의 잠재 위험성에 대한 분석·평가와 설계기준 및 계산근거 등 기술자료 확보 및 관리상태가 미흡하며, 둘째, 공정위험성 평가, 안전운전지침, 변경관리, 가동전 점검, 비상조치계획의 수립 및 교육·훈련 등 공정안전관리의 기본요소들에 대한 이행상태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설비적 측면에서는 소각설비 인입가스의 농도감시 및 제어시스템, 폭발압력 방산시스템, 화염방지기 또는 폭굉방지기 설치, 그리고 RTO 인입 닥트 및 본체의 응축물 축적 방지 및 제거 등에 대한 대책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각방식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제작업체는 안전설계기준을 확립하여 준수하고, 사용업체에서는 안전관리지침을 제정하여 수준 높은 공정 위험성 평가 실시, 안전운전절차 준수, 비상조치요령에 대한 교육·훈련 등 실효성 있는 안전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수도권의 행정지역별 대기오염 특성 세분화 및 지역특성에 적합한 대기환경정책 방안 연구

        이규용 서울시립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8703

        수도권의 행정지역별 대기오염 특성 세분화 및 지역특성에 적합한 대기환경정책 방안 연구 이 규 용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지도교수 김 신 도 요 약 문 계속 악화되어가는 수도권 대기환경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대기관리정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를 근간으로 한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어 2005년 1월 l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또한, 장기적인 전망에 기초하여 수도권의 대기환경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수도권 대기환경개선 기본계획(2005~2014)’도 2005년 11월 확정된 바 있다. 수도권 지역은 전체 국토면적의 11.8% 밖에 차지하지 않으나, 우리나라 전체 인구와 자동차의 47%가 집중되어 대기환경관리상 매우 열악한 여건을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형과 기상요인 등으로 인해 대기오염물질이 광역적으로 이동하여 자치단체간 상호 영향을 주는 특성이 있어서 어느 한 자치단체만의 노력으로는 대기환경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수도권은 광역적 대기관리의 필요성이 큰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단위 지역별로는 오염원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대기오염 양상을 보이고 있어 광역적 관리와 더불어 지역 특성에 적합하고, 보다 세분화된 대기개선대책도 병행해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한 지역의 대기오염은 그 지역에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로 인한 영향이 가장 크다는 일반론적인 견지에서 볼 때에도 지역별 오염 특성을 고려한 세분화된 접근은 상당한 설득력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국립환경과학원은 수도권지역을 5개 권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권역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권역 내의 오염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연구한 바 있다. 그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 지역의 대기오염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오염원에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을 줄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러한 연구결과가 시·군·구 지역단위에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특정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과 그 지역 대기오염도와의 상관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특별법에서 정하고 있는 대기관리권역내 59개 기초자치단체 중 대기오염자동측정망이 설치·운영되고 있는 52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피어슨 통계분석을 활용하여 대기오염물질 배출량과 대기오염도간의 상관성을 평가하였다. 분석에서는 미세먼지, 이산화질소, 아황산가스 등 3개 오염물질에 대한 4년간('00~'03)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또한 세 가지 오염물질에 대하여 배출량, 오염도 및 환경기준 초과횟수 등 세 항목에 대한 오염도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그 기준에 따라 시·군·구 지역을 오염 개선지역, 부분개선지역, 정체지역, 부분악화지역, 악화지역 등 5개로 분류하고 각 분류지역별 오염특성을 세밀하게 분석하였으며, 특히 각 지역별 주요 오염요인을 파악해 보고, 이를 토대로 기초자치단체별로 특성화된 대기환경 관리정책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상관성 평가결과, 대기오염물질 배출량과 오염도간에 양의 상관성이 큰 지역은 PM10의 경우 24개 지역으로 전체 대상지역의 약 46.1%에 해당되며, NOx와 NO2도 25개 지역(48.1%)에서 양의 상관성이 크게 나타났고, SOx와 SO2의 경우 13개 지역(25.0%)에서 양의 상관성이 크게 나타났다. 세 가지 물질이 모두 양의 상관성이 크게 나타난 지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은평구, 경기도 광명시 등 3개 지역으로 전체 지역의 약 5.8%를 차지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형, 기상 등 여러 요인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지역에서 오염물질 배출량이 당해 지역의 대기오염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권역별 선행 연구결과가 분산모델과 통계분석간의 연구방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기초자치단체 단위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을 뒷받침 해준다. 더욱이 자료의 부족, 4년간 자료라는 단기적 특성에 따른 상관성 분석의 한계 등으로 상관성이 전체적으로 낮게 평가되었음을 감안하면 실제적으로 상관성이 높은 지역이 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지역별 대기오염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오염도 평가기준에 따라 지역을 분류해 본 결과, PM10의 경우 오염악화지역은 19개 지역(36.5%)이며, 15개 지역(28.8%)은 부분악화지역으로 평가되었고, 5개 지역(9.6%)이 부분개선지역으로 분류되었다. NOx-NO2의 경우 악화지역은 5개 지역(9.6%)이며, 17개 지역(32.7%)은 부분악화지역으로 평가되었고, 2개 지역(3.8%)은 정체지역으로, 1개 지역(1.9%)은 부분개선지역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SOx-SO2 오염도 평가결과 악화 혹은 부분악화지역은 한 곳도 없었으며, 23개 지역(44.2%)이 개선지역으로 평가되었고, 19개 지역(36.5%)은 부분개선지역으로 평가되었다. 악화 또는 부분악화로 분류된 지역을 보면 PM10의 경우 대부분의 배출량 증가가 이동오염원에 기인하고 있어 노후 경유자동차에 대한 관리 강화, 운행차 정밀검사의 엄격화, Low Emission Zone 정책 등의 교통수요관리, 자동차용 경유의 황함유 기준 강화, 무·저공해 자동차의 보급, 선박 및 건설장비의 배출가스 관리 등 이동오염원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줄이는 방안을 대기환경개선대책으로 제안할 수 있다. NO2 역시 주로 이동오염원의 배출기여율이 크나 일부 지역의 경우 점오염원의 기여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오염원의 영향이 큰 지역은 이동오염원에 대한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부착, 제작차 배출허용기준의 강화, 일정 오염지역내 저공해 자동차·건설기계의 사용의무화 등 자동차에 대한 오염저감대책을 추진하여야 하고, 대형 엔진의 배출허용기준을 설정·규제하여야 하며, 점오염원의 경우에는 연소시설에 대한 관리 강화와 사업장 배출총량제 적용외에 저NOx 보일러 집중 보급, 지역난방 보급 확대 등이 필요하다. SO2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개선되었으나, 일부 지역의 경우 주거용시설과 화력발전소, 연소시설 등의 점오염원이 주 배출원이므로 청정연료의 지속적 보급확대, 황산화물에 대한 배출허용기준 강화, 사업장 총량관리제를 통한 배출량 저감방안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에 의하면 분석 자료나 방법론상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기초자치단체별로 세밀하게 대기오염 경향과 그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 특성에 적합한 대기환경개선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한다면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을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본 연구에서는 4년간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자료와 오염도 측정결과만을 활용함으로써 분석대상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아 그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으며, 아울러 대기오염 예측모델링 기법이 아닌 통계적 접근법을 적용함으로써 소구역별로 정확한 오염요인을 분석하는 데 미흡한 측면이 있다. 향후에는 보다 장기간에 걸쳐 축적된 자료를 토대로 대기오염 예측모델링 등을 활용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주요어 : 대기오염배출량, 대기환경기준, 대기오염 특성평가, 배출기여율, 대기개선대책

      • 대기질 측정 데이터 기반 대기오염 물질 모니터링시스템

        이재승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Recently, large-scale and urbanization is progressing in modern society, and it is polluted with numerous air pollutants. Air pollution includes yellow dust that can be seen with the naked eye, while fine dust or ultra-fine dust that cannot be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is not known until damage occurs, leading to disease or spreading to the human body. Meanwhile, among OECD countries, Korea is a major environmental problem, taking second place in terms of damage from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erefore, serious accidents can occur if precautions are not taken in advance. Accordingly,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around the world to provide measuring instruments and numerical data to measure the level of air pollution using related technologies based on the proliferation of IoT sensors and big data. Each country measures the level for each selected area and even provides monitoring. 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easuring instrument could not accurately measure and monitor a small area because the numerical value was obser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the city population, traffic volume, and industrial complex.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measuring instrument using human body and motion detection (RCWL-0516, MH-SR602),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SHT30 DIS), VOC sensor (SGP30) and fine dust sensor (SPS30). air pollutants (PM10), ultrafine dust (PM2.5), nitrogen dioxide (NO2), carbon monoxide (CO), ozone (O3)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he air pollution level of the selected area was visualized using the Map API for monitoring and indicating the air pollution level through the data collected from the measuring device.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collect and analyze air pollutants in the advertised area through a measuring instrument, and provide precise data to the user through the monitoring system and prevent it. 최근 현대 사회에서는 대형화 및 도시화가 진행되며 수많은 대기오염 물질들로 오염되고 있다. 대기오염은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황사가 있는 반면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 같은 경우는 피해가 나타날 때까지 모르고 생활하기에 인체에 질병으로 이어지거나 피해로 번지게 된다. 한편 OECD 국가 중 한국은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피해와 환경문제가 2위를 차지할 만큼 주요한 환경문제이다. 그러므로 미리 예방하지 않을 때 큰 사고까지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에서는 IoT 센서의 확산과 빅 데이터에 의한 관련 기술을 사용하여 대기오염의 수치를 측정하는 측정기와 수치 데이터를 제공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각국에서는 선별된 지역마다 수치를 측정하고 모니터링까지 제공해주고 있다. 하지만 측정기는 도시 인구수, 교통량, 산업단지 등의 주변 환경 변수에 따라 수치가 다르게 관측되기 때문에 소규모 지역에 대한 정확한 측정과 모니터링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인체 모션 감지 온습도 센서, VOC 및 미세먼지 센서를 사용한 측정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고 대기오염 물질인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오존이 관측되는 지역을 선정하여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로 비교분석 한다. 측정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대기 오염도를 나타내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Google Map API를 사용하여 선정된 지역의 대기 오염도를 시각화하였다. 이를 통해 선정한 지역의 대기오염 물질에 대해 측정기를 통해 수집 및 분석하여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오염물질로부터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GIS를 활용한 대기오염측정망의 최적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김아영 한세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도시의 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은 도시의 속성 값과 깊은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진행되었다. 경계의 의미가 없이 이동하고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대기오염물질의 특성으로 인해 정확한 측정과 예측에 어려움이 있지만, 대기 흐름에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대기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지형요소에 따라 이동에 제한이 발생할 것이라는 가설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가설에 따라 도시의 지형요소들을 고려하여 한 개의 측정소를 기준으로 주변 대기의 이동범위를 의미하는 영향권을 설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론적 공간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 단위를 제시하여 최적입지를 선정하였는데, 이는 표준 단위를 활용한 최적 입지 선정 과정이 타 대도시에도 적용 및 운영 가능한 대기오염측정망 최적입지 선정 모델의 기반이 될 수 있음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대기질 개선을 위한 연구와 효과적인 대기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대기오염 정도에 대한 정확한 측정과 측정값에 대한 자료관리가 중요하며, 정확한 측정값 수집을 위해서는 측정소의 입지선정이 가장 기본 사항이 된다. 측정소의 입지는 한 개의 측정소가 주변 지역의 대기 오염도를 대표할 수 있는 장소로 선정해야 한다. 특히 측정소는 설치비용이 크며, 이동 및 변경이 자유롭지 못하고, 설치 후 지속적인 운영·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에 대한 신뢰성 있는 근거와 의사결정에 대한 타당성이 요구된다. 신뢰성 있는 근거를 위해 수집된 자료의 구축과 가공 과정을 체계화하여 제시하고, 다양한 공간분석 방법을 비교하여 현 상태에 적합한 공간분석 방법을 선정하였다. 분석에 활용하기 위한 현황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GIS를 활용하여 대상지와 측정소가 위치하고 있는 대상지점을 분석하고 데이터화 하였다. 또한 측정소별 미세먼지 농도값을 데이터화하여 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가공하였다. GIS를 활용한 RBF 보간법을 통해 대기오염측정망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값으로 서울시 전역에 해당하는 미관측 지점에 대한 농도값을 예측하고, 미세먼지 농도지도를 제작하였다. 미세먼지 농도지도를 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가공하는 과정에 ArcGIS의 스플라인(Spline), 재분류(Reclassify), 래스터의 폴리곤화(Raster to Polygon), 공간 결합(Spatial Join) 기능을 사용했고, ArcGIS 파이썬(Python) 기능을 활용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를 다중 작업하였다. 구축된 현황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과정은 설계, 수행 그리고 결과 도출의 세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전체 분석의 기반이 되는 대기오염측정망의 영향권과 기준단위를 설정하고, 평가 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 수행 단계에서는 영향권의 내부 구조를 도시요인별로 평가하고, 대기 농도값과 중첩 분석을 통해 대기오염측정망의 최적 입지 후보지를 도출하였다. 마지막 결론 도출 단계에서는 도출된 최적 입지 후보지에 대해 재검토하고 선정된 지점을 설명하였다. 미세먼지 농도값 분석을 통해 추출된 고농도군 15개 지역과 대기오염측정망의 영향권별 도시요소 평가 결과 후보지로 선정된 강서구, 구로구, 마포구, 양천구, 종로구, 중랑구 지역을 중첩 분석하여 최종 5군데의 후보예정지를 선정하였다. 후보예정지는 A, B, C, D, E 로 구분하였다. A지역은 강서구와 양천구 일대로 총 헥사곤 48개에 해당하며 가장 넓은 지역으로 나타난다. B지역은 총 헥사곤 7개에 해당하며 서대문, 마포구, 영등포구 측정소 영향권의 경계부분에 해당한다. C지역은 구로구와 양천구 측정소 영향권의 경계에 해당하는 지역이고, 총 헥사곤 수는 22개이다. D지역은 종로구 측정소 영향권에 해당하며, 총 헥사곤 수는 18개이다. E지역은 노원구 영향권의 경계부분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총 헥사곤 수는 5개이며, 인근 측정소와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해 있다. 다섯 개의 예비후보지 중 A, D지역에는 측정소가 1개씩 위치하고, B, C, E지역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A지역은 총 면적 41.57㎢로 영향권의 평균 면적 27.71㎢를 넘기 때문에 측정소가 1개 이상 필요하다. 그러나 D지역의 면적은 15.59㎢로 평균 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측정소가 1개 이상 필요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측정소가 위치하지 않는 B, C, E지역과 A지역을 포함하여 총 4군데의 지점이 최종 입지 후보지로 선정되었으며, 그 위치는 가양대교 교차로 인근, 성산대로북단 인근, 신내역 인근, 구로역 인근에 해당한다. 최종 입지 후보지로 선정된 지점에 대해 검토하고 도출된 결과를 통해 서울시 대기오염측정망의 입지 적합성과 형평성을 분석하였다. 기존 대기오염측정망 입지의 비효율적인 영역을 도출하고, 추가 설치 지역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과정에서 대기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인구밀도, 도로율, 시가화 지역 비율, 주거·공업·상업지역 비율 등에 대한 요인들 위주의 분석을 하였으나, 도시의 녹지율, 수변환경, 미세먼지 저감 시설 등 긍정적인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대기질 개선을 위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핵심용어 : U-City, 미세먼지, 대기오염측정망, GIS공간분석, 공간보간

      • 대기오염측정소 무인운영시스템 연구

        정용진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기오염측정망 설치․운영지침에 따르면, 대기오염측정소의 측정장비에 대해서는 주간점검을 실시하여야 하나, 현 본부의 보유인력(총 10명, 정규직 5명, 촉탁직 5명)으로는 관할 32개 전 측정소에 대해 주간점검을 수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특히 측정소의 65%가 왕복 200km이상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대부분의 업무시간을 도로에서 소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거리에 위치한 대기오염측정소를 현장에 방문하지 않고도 사무실에서 무인운영으로 동일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대기오염측정소는 주간점검, 월간점검, 수시점검 그리고 긴급점검을 통해 유지 보수되고 있다. 2009년 3월 지방청(원주지방환경청, 금강유역환경청)과 2011년 수도권대기환경청의 업무가 이관되기 전에는 현 본부에서 월간점검 위주로 측정소를 운영 하여 업무에 큰 지장이 없었으나, 지방청 업무 이관에 따라 측정소의 개수가 증가하고 주간업무까지 수행하다 보니 현재 인원으로 원활한 업무 추진이 힘들게 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갑작스런 장비고장 발생, 대외행사 참여, 공휴일이 포함된 주에는 실제 주간점검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무리한 업무수행으로 인해서 사고의 위험이 늘 상존하게 되었다. 또한 업무의 대부분을 출장으로 시간을 보내다 보니 정작 측정기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할애할 수 없으며, 현장 업무 상황에서 타 측정소에 문제 발생 시 대부분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대응시간이 늦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 측정기기의 원격 명령어와 측정소의 시스템을 연구하고 IP Speed Dome Camera를 설치하여 무인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사무실에서 전 측정소의 원격점검이 가능하였고 UPS, 에어콘, 메니폴더 등 원격으로 점검하기 불가능한 부분은 Camera를 활용하여 점검함으로써 대기측정망 업무에 대단한 발전을 가져왔다. 대기오염측정소 무인운영을 통하여 출장업무가 감소함으로써 예산을 점감할 수 있으며, 차량운행이 현격히 줄어들어 저탄소 녹색성장의 국가 기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main thing which this study focused on was to set up a long distance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s with an unmanned method. Every station was usually operated by weekly check, monthly check, spot check and urgent check. Wonju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 and Geum-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relegated their duty in terms of the station to our corporation as of March, 2009. Moreover this year, Metropolitan Air Quality Management Office handed over it's task. It was impossible to follow the guideline since our body was lack of manpower to cover all stations when urgent case, national holiday, other event occurred. And there was not enough time to study data from all stations because most time was spent on the road to ravel back and forth the site. When we calibrated some machine at one place and the others had a sudden problem at the same time, it's not possible to go there right away. So new process was needed to get over this situation. A station with an unmanned system was optimized by investigating remote commanders of the machine and system of each stations and installing IP Speed Dome Camera. When it comes to Camera, this try, which actualized the remote control of all stations at the office and verified the thing only checked at the spot such as monitoring the status of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ir-conditioner, manifolder etc, made a big difference in air monitoring arena. An unmanned station will be supposed to show saving of the budget spent on vehicle and business-trip and contribute to the key-note of the national low carbon and green growth by cutting CO2 form the use of vehicle drama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