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실태조사를 통한 고객만족도 분석

        손창기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문화프로그램에 대한 이용자의 수요 증대에 따라 공공도서관은 문화프로그램 서비스를 확대·제공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문화프로그램 서비스의 품질과 이용자만족도의 중요성 역시 증대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프로그램 서비스의 품질평가는 고객 만족도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척도가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과 서비스 품질, 고객만족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서비스 품질 구성요인을 수정·변형한 척도들을 제시하였다. 이를 사용하여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문화프로그램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고, 문화프로그램 서비스 품질, 가치에 대한 인식, 만족도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관련 서비스 품질 측정 관련 설문지 조사 과정을 통하여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였으며,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2007년 2월 23일부터 3월 16일까지 22일 동안 총 742부의 설문지를 배포·회수하였다. 이 중에 응답내용이 부실하여 자료 분석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102부를 제외한 640부만을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프로그램 이용자들의 재이용의도가 평균 3.980으로 다른 변수들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치에 대한 인식은 평균 3.881, 전반적인 만족도는 평균 3.509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이 만족하는 서비스는 (1) 강의 시간 준수, (2) 강사 지식의 적절성, (3) 강사의 수업 열성도, (4) 강사의 체계적인 설명, (5) 강의 내용의 참신성 유지 노력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불만족하는 서비스로 (1) 불만 사항에 대한 답변 개별적 통보, (2) 홍보의 적절성, (3) 기자재의 최신성, (4) 수업에 대한 충분한 설명, (5) 기자재의 충분한 구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프로그램 서비스 품질 구성요인의 평균값은 내용이 3.768, 도서관 시설/장비가 3.399, 도서관 및 직원의 지원/서비스가 3.295, 순으로 나타났으며, 문화프로그램 서비스 품질 구성요인의 전반적인 만족도의 평균값은 내용이 3.847, 도서관 시설/장비가 3.358, 도서관 및 직원의 지원/서비스가 3.323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모형에 대한 검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문화프로그램 서비스 품질은 재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프로그램 서비스 품질은 가치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프로그램 서비스 품질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문화프로그램 구성 요인중 하나인 도서관 및 직원의 지원/서비스는 재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와 가치에 대한 인식은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가치에 대한 인식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는 항상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똑같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시 더 발전된 측정문항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은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대구지역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운영 방식이 반드시 표준이지는 않을 것이다. 타지역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래서 지역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내어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운영에 도움이 되어야 할 것이다. User demands about cultural program is increasing, So public library expands/supplies cultural program service. The cultural program service quality and the importance of user satisfaction are increasing, and the Evaluation of cultural program service quality is very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user satisfaction. Based on the preliminary survey data about public library, service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this study revised questionnaires about public library service quality component. Using revised questionnaires, this study evaluates public library service quality in the daegu metropolitan public library and analyzes influnce of the loyalty according to cultural program service quality, perception about worth, and general satisfaction. Based on the preliminary survey data about public library cultural program, revis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742 cultural program customers in the eight daegu metropolitan public libraries, during 2-23 February and 16-22 March 2007. Total of 64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2.0 Korean edi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1. Mean of the user loyalty was 3.980, mean of perception about worth 3.881, and mean of the general sastisfaction 3.509, on the 5-point Likert scales. Satisfied services were (1) lecturer‘s keeping the time, (2) lecturer‘s knowledge excellence (3) lecturer‘s enthusiasm about the cultural program, (4) lecturer‘s appropriate explanation, (5) the newness of the cultural program contents. Unsatisfied services were (1) response about the unsatisfied things individually, (2) appropriate advertisement, (3) the newness of the tools, (4) appropriate explanation about the cultural program, (5) the readiness of the tools. 2. Mean of the cultural program service quality were as follows: contens 3.768, library facilities and equipment 3.399, library and staff support/service 3.295. Mean of the the general satisfaction about the cultural program service quality were as follows: contents 3.847, Library facilities and equipment 3.358, library and staff support/service 3.323. 3. Research model was testified based on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ultural program service quality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nce on the loyalty. The cultural program service qualit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nces on the perception about worth. The cultural program service quality has influnce on the general satisfaction, but Library and staff support/service does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nce on the loyalty, the general satisfaction and the perception about worth have significant influnce on the loyalty, the perception about worth have significant influnce on the general satisfaction. The service quality and the general satisfac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So it will be desirable that periodically same study should be conducted. Each time, the more developed questionnaires will be used. This study surveyed eight daegu metropolitan public libraries. The data from the daegu metropolitan public library cultural programs are not necessarily be generalized for all libraries. Other region's public library cultural programs should be studied in order to investigate between the region's common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should be examined.

      •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 평생교육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무완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평생교육의 활성화는 지역 공공도서관의 발전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고 대구지역의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실태를 비롯한 도서관 운영실태를 분석하여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 대구광역시 초등학교시설 입지와 적정배치에 관한 연구

        문송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대구광역시의 도시발달 시대를 반영하는 도심지역과 서부토지구획정리지구와 칠곡2택지개발지구에 위치한 초등학교의 입지특성을 조사·분석하여 도시발달과 인구변화에 대응하는 학교시설의 입지와 적정배치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사례지역의 10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급수 및 학생수의 변화추이, 학교용지의 특성, 학교주변 교육환경과 인접지역의 특성, 통학구역 및 통학환경 특성, 학교시설 사용면적을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초등학교시설의 입지 및 적정배치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교육환경을 고려한 학교용지의 입지 선정이다.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내에 유해시설이 없도록 학교위치를 선정할때 상업지역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선정하며, 학습환경에 유리한 도서관, 문화시설, 공원 등과 연계하여 입지를 선정한다. 이를 위해 교육환경평가제도를 적극 활용하여야 하며, 기설학교에 대해서도 교육환경평가를 실시하여 학교의 교육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접근성과 활용도를 고려한 학교용지의 선정이다. 학교용지는 교사배치 및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평지에 입지해야 하며, 형태는 세장비가 1 : 1.2이하인 사각형으로 함이 좋다. 도로 접근성을 고려하여 학교용지의 2면 이상이 10~25m미만의 도로에 접하도록 선정한다. 셋째, 적정한 통학구역의 설정이다. 통학거리는 1,000m 이내로 하며, 인근 초등학교와의 거리는 300~1,000m로 한다. 통학구역 형태는 육각형이 이상적이며, 반경은 400~800m로 설정하고, 통학구역의 중심에 학교가 위치되도록 한다. 통학구역내 주요 도로가 통과하지 않도록 설정하고, 학교주변에는 안전한 통학로의 확보를 위해 교통정온화시설을 설치한다. 넷째, 지역사회와 연계한 학교시설계획의 수립이다. 도시 공공시설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학교시설과 공원, 문화시설을 연접 배치하여 개방형으로 설치하여 공동 활용한다. 학교가 지역사회의 중심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학생수 감소로 발생되는 여유시설을 지역에서 필요한 문화·체육·보육시설로 공동 활용하는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학교시설을 신축할 때부터 시설의 복합화로 지역사회와 연계한 시설활용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도시개발에 대응하는 학교시설계획의 수립이다. 도시성장과 인구변동추세를 볼때 도시성장은 도심에서 외곽으로, 인구는 전체적으로는 감소추세이며 도심은 감소하고 외곽지의 신시가지는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적정규모의 학교시설 확보와 복합화로 유통성 있는 활용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위와 같은 학교용지의 입지선정을 위해서는 지역개발계획을 수립할때 도시계획전문가와 학생수용계획담당자가 포함된 협의기구를 만들어 학교용지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The research aim of the present paper is suggesting location plans and optimal allocation plans for school facilities in accordance with urban development and population changes through investigating and analyzing location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at the inner city area, the Western Part Land Readjustment Zone, and Chilgok-2-District Development Zone which reflect the urban development era of Daegu. In the present paper, the changes of the number of classes and students, characteristics of school sites, features of near-school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djoining areas, traits of school districts and near-school environment, and usable areas of school facilities of ten elementary schools of the case example areas were studied and investigated, and location plans and optimal allocation plans for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it suggests decision for the location of a school site considering educational environment. A school location should be chosen to be distant from commercial areas to a certain extent so that harmful facilities can be avoided within a school environment and sanitation zone, and it should be connected to libraries, culture facilities, and parks which are favorable to educational environment. To do tha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ssessment system should be actively used, and the assessment system is needed to be implemented for schools which are already established as well to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schools. Secondly, the present paper suggests a school site decision considering accessibility and usability. A site for a school should be located on level ground for school building plotting and to raise the usability, and it is recommended to be a square with less than 1 : 1.2 slenderness ratio. Considering road accessibility, more than two sides of a school site should adjoin roads ranging from 10m to 25m. Thirdly, the present paper proposes designation of a proper school district. The length of a school district should be less than 1,000m, and the distance from a nearby elementary school should range from 300m to 1,000m. The shape of a school district is ideally a hexagon, the radius should range from 400m to 800m, and a school should be located at the center of a school district. It is important to make sure that a main road does not go through a school district, and traffic calming devices should be established in near-school areas to ensure safety in a school district. Fourthly, the present paper suggests school facility plans related to local communities. To raise the usability of urban public facilities, school facilities, parks, and culture facilities are to be established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placed together and built as open-type facilities for joint uses. It is required to make a plan through which superfluous facilities made by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udents can be shared as culture, sports, and child care facilities needed to local communities so that a school can fulfil main functions of local communities. From the construction stage of school facilities, facilities should be designed to allow facility uses of local communities by making them have multi functions. Fifthly, the present paper proposes school facility planning in accordance with urban development. On examination of urban growth and population change trends, it was found that urban growth was happening from the inner city to the outer city, population was on the decrease on the whole, the inner city was being reduced, and new downtown areas of the outer city were increasing. To deal with the changes, it is needed to pursue flexible application plans through ensuring proper-sized school facilities and making them have multi functions. To select a location for a school site as mentioned above, it is required to hold a conference including urban planning specialists and student admission planers for designating a school site when making a local development plan.

      • 대구광역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명암(明暗)

        임영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DMOE’s(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olicy on the creativity education during the past 20 years has been carried out, and to evaluate its process and results. To complete the study’s objective, this study uses documents analysis and interview as the research method. The followings ar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explored in the study. Firstly, what are the positive aspects(the light) on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Secondly, what are the negative aspects(the shade) on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Thirdly, what are the implications and alternatives of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found ‘congruency’, ‘continuity’, ‘systematicity’, ‘specificity’, and ‘validity’ as positive aspects of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found followings: First, the DMOE failed to realize the plan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creativity. Furthermore,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there existed gaps in satisfaction level for each concrete project and perception on the factors that restricted proper implementation of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third research ques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s are discussed. Firstly, the gap in perception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is inevitable in the course of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policies. Due to this, it is crucial to constantly revise them based on reality to solve this problem. Secondly, as a suggestion of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for the past 20 years, it was discussed that the direction of policy should be placed on the expression of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through daily classroom classes. Finally, the meaning of 'question' in creativity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classroom with questions' as an alternative to DMOE’s creativity education were examined. The practical contribu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One of practical contributions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a basic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from 2001-20 through an overview and analysis of pros and cons. Thi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This study also provides organized data on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for the past 20 years despite the DMOE has not published a white paper on the creativity education policy. On the other hand, sinc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rough an overview of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it has a limitation in specifically dealing with cases of creative instruction and evaluation. Another limitation to the study is that it collected data through a small number of interviewees because it conducted interviews to supplement the literature analysis as the main research method. 본 연구는 2001~2020년의 대구광역시교육청(이하 대구시교육청)의 창의성 교육 정책의 전개 과정을 되돌아보고, 그에 대한 명암(明暗)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문헌 분석과 면담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명(明)은 무엇인가? 둘째,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암(暗)은 무엇인가? 셋째,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시사점과 대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결과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명(明)은 정합성, 지속성, 체계성, 구체성 및 타당성의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암(暗)은 두 가지로 나타났다. 우선, 대구시교육청이 창의성 측정 도구 개발 계획을 실현하지 못한 점이다. 둘째, 2002~2008년의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실태 조사에 대한 분석에서 사업별 만족도와 장애 요인에 대해 관리자와 교사 간 인식의 차이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탐색한 세 번째 연구 결과에서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시사점과 대안이 논의되었다. 우선, 교육 정책의 집행 과정에서 관리자와 교사 간의 인식의 차이는 불가피하다는 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실에 맞게 끊임없이 수정해 나가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둘째, 지난 20년간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시사점으로 일상적인 교실 수업을 통해 학생의 일상적인 창의성의 발휘에 정책의 방향성을 두어야 한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마지막으로, 창의성 교육에서 ‘질문’의 의미와,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의 대안으로 ‘질문이 있는 교실’의 도입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와 한계를 지닌다. 우선, 본 연구는 2001~2020년의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개관과 명암의 분석을 통해 그에 대한 기초적 이해와 평가 작업을 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는 추후 대구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방안을 모색할 때 기초자료로 유용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대구시교육청이 그간의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별도의 백서를 발간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난 20년간의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자료들을 수집, 정리하여 기록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개관을 통한 평가를 목적으로 하였기에 창의성 교육에 대한 수업과 평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은 한계를 지닌다. 그리고 본 연구는 주 연구 방법인 문헌 분석의 보완을 위해 면담을 수행하였기에 소수의 면담자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 대구 주택가격 변동패턴에 관한 연구

        주용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 주택가격의 변동패턴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한 통계적 방법은 교차상관관계분석과 그랜저인과관계검정법 그리고 벡터오차수정모형(VECM,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의 구축을 통한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이다. 실증분석의 첫 번째 단계로 거시경제변수와 전국주택가격 그리고 거시경제변수와 대구광역시주택가격 간에 교차상관관계분석과 그랜저인과관계검정을 실시하여 “거시경제변수는 전국과 대구광역시 주택가격에 상이한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교차상관관계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자금대출금(HL), 종합주가지수(KOSPI), 소비자물가지수(CPI), 광의통화(M2), 경상수지(BCA) 등은 전국주택가격(NHP)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중에서 전국주택가격에 먼저 영향을 끼치고 지역경제에 속해 있는 대구광역시의 주택가격에는 시차를 두고 영향을 주었다. 둘째, 3년만기회사채수익율(CB)과 CD수익율은 대구광역시주택가격에 대한 상관강도가 전국주택가격에 대한 상관강도의 약 50% 정도로 약하게 작용하였다. 셋째, 환율(원/달러, FX)은 전국주택가격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에 대해 상관하는 방향성이 서로 반대로 나타났다. 넷째, 주거용건축허가면적(CP)은 전국주택가격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에 대하여 무상관인 것으로 판별하였다. 그랜저인과관계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국주택매매가격에 그랜저인과하는 거시경제변수는 소비자물가지수(CPI), 3년만기회사채수익율(CB), 광의통화(M2), 환율(원/달러, FX), CD수익률, 경상수지(BCA) 등이었다. 그러나 대구광역시주택가격에 그랜저인과하는 거시경제변수는 소비자물가지수(CPI), 3년만기회사채수익률(CB), 광의통화(M2), 종합주가지수(KOSPI) 등으로 결과가 서로 상이하였다. 실증분석의 두 번째 단계로 본 연구의 목적인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의 변동성을 유발하는 요인을 밝혀내기 위해 대구광역시주택가격과 대구경제변수조합(DEVP, Daegu Economic Variables Pool)간에 벡터오차수정모형(VECM,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의 구축을 통한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 을 실시하였다. VECM 모형은 변수의 숫자를 9개로 채택한 Full Model과 변수의 숫자를 5개로 제한한 Reduced Model로 이원화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각 VECM 모형별로 계수추정을 실시하고 대구광역시주택가격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였으며 모형내의 각 변수들의 자기회귀계수의 유의도 검정과 각 모형의 설명력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Full VECM과 Reduced VECM의 계수추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Full VECM(2)의 추정결과 전월의 대구광역시주택가격과 소비자물가지수 그리고 종합주가지수 등의 회귀계수 값이 p-value 5% 유의수준 내의 값을 나타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고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Adjusted R-squared 값은 0.6091을 나타냈다. Reduced VECM(2)의 추정결과 Full VECM(2)에서와 같이 전월의 대구광역시주택가격과 소비자물가지수 그리고 종합주가지수 등이 p-value 5% 유의수준 내의 값을 나타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소비자물가지수의 회귀계수의 값과 유의도가 Full VECM(2)에서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Adjusted R-squared 값이 0.6192로 Full VECM(2)에서의 0.6091보다 조금 더 높았지만 두 모형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VECM 모형별로 실시한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ull VECM(2)의 구성을 통한 분석결과이다. 충격반응분석의 결과로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은 시차 1부터 시차 10까지는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자체의 변동 그리고 다음으로 소비자물가지수(DCPI), 주거용건축허가면적(DCP) 등의 순서로 그리고 시차 15부터 시차 24까지는 소비자물가지수(DCPI),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주거용건축허가면적(DCP) 등의 순서로 변수의 1단위 충격에 대하여 정(+)의 방향성을 가지고 반응을 크게 하였다. 그리고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은 시차 1에서는 실업율(DUR), 주거용건축허가면적(DCP)의 순서로 시차 5에서는 실업율(DUR), 3년만기회사채수익률(CB) 시차 10에서는 실업율(DUR), 예금은행대출금(DBL) 시차 15에서는 예금은행대출금(DBL), 실업율(DUR) 시차 20에서는 예금은행대출금(DBL), 종합주가지수(KOSPI) 시차 24에서는 종합주가지수(KOSPI), 예금은행대출금(DBL) 등의 순서로 변수의 1단위의 충격에 대해 충격의 방향과 반대인 부(-)의 방향성을 가지고 반응을 크게 하였다. Full VECM(2)에서는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이 변수의 1단위 충격에 대해 부(-)의 방향성을 가지고 반응한 변수들 간의 영향력 순서가 시차의 흐름에 따라 안정되지 않고 계속 바뀌는 현상이 나타났다. 분산분해분석결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의 분산에 대한 설명력은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그 자체, 지역경제변수인 대구광역시의 소비자물가지수(DCPI), 거시경제변수인 종합주가지수(KOSPI), 3년만기회사채수익율(CB) 그리고 지역경제변수인 예금은행대출금(DBL), 대형소매점판매액(DLRS), 광공업생산액(DIP), 실업율(DUR), 주거용건축허가면적(DCP), 무역수지(DTB) 등의 순서로 설명력 비중을 나타냈다. 둘째, Reduced VECM(2) 모형의 구성을 통한 분석결과이다. 충격반응분석 결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은 시차 5부터 시차 15까지는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자체의 변동, 소비자물가지수(DCPI), 대형소매점판매액(DLRS) 등의 순서로 변수의 1단위 충격에 대하여 정(+)의 방향성을 가지고 충격에 대한 민감도가 크게 반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차 20부터 시차 24까지는 소비자물가지수(DCPI),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자체, 대형소매점판매액(DLRS)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은 시차 10부터 시차 24까지 거시경제변수인 종합주가지수(KOSPI), 3년만기회사채수익률(CB) 등의 순서로 변수의 1단위 충격에 대하여 부(-)의 방향성을 가지고 반응을 크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산분해분석 결과 대구광역시주택가격의 분산에 대해서는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자체, 지역경제변수인 소비자물가지수(DCPI), 거시경제변수인 종합주가지수(KOSPI), 지역경제변수인 예금은행대출금(DBL), 거시경제변수인 3년만기회사채수익률(CB), 지역경제변수인 대형소매점판매액(DLRS) 등의 순서로 설명력 비중(백분율)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VECM 모형별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을 통한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대구광역시의 주택가격은 대구광역시주택가격(DHP) 자체가 변동하는 것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그 다음으로 대구광역시의 지역경제변수인 소비자물가지수(DCPI) 그리고 거시경제변수 중에서 자산선택(portfolio selection)적 변수인 종합주가지수(KOSPI)와 3년만기회사채수익률(CB)의 영향과 지역경제의 펀더멘탈(fundamental)적 변수인 예금은행대출금(DBL), 대형소매점판매액(DLRS) 등의 영향을 동시에 받아들이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letter is to identify the causing factors of the volatility of the Daegu housing prices.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ruled regional housing markets without any discrimination against national housing markets. The macroeconomic tools like a liquidity control policy were mostly applied onto the national wide. This sort of wrong housing policy has distorted regional housing markets like Daegu's due to the different regional housing market status and regional economic fundamentals from those of national'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letter, four statistical methodologies, which were the Cross Correlation Analysis, the Granger Causality Test,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were used.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were set up through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VECM). The statistical null hypothesis() that The macroeconomic variables undiscriminatingly affected the Daegu housing prices against the national housing prices was tested thru the Cros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Granger Causality Test. These are the macroeconomic variables which were selected and used; Broad Money, Consumer Price Index, Blance of Current Account, Foreign Exchange, Corporate Bonds, negotiable Certificate of Deposit, Korean Stock Price Index, Housing Loan and Residential Construction Permits. And the statistical null hypothesis() was turned out to be rejected. To clarify the causing economic variables to the fluctuations of the Daegu housing prices, the Daegu Economic Variables Pool(DEVP) was set up. The DEVP was consisted of 8 regional economic variables and 2 macroecnomic variables; Daegu Large Retail Sales, Daegu Consumer Price Index, Daegu Unemployment Rate, Daegu Trade Blance, Daegu Industrial Products, Daegu Bank Loan, Daegu Construction Permits and the macroecnomic variables which were KOSPI and Corporate Bonds. Then three statistical methods which were the Granger Causality Test,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were executed between the Daegu Housing Prices and DEVP. Two different VECM were made. One was a full model which had 10 variables including Daegu housing prices itself variable and the other was a reduced model which had 6 variables including a target variable. The adjusted of those two models were almost the same which were 0.6091(full model) and 0.6192(reduced model)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different models. And Daegu housing prices itself, Daegu CPI and KOSPI variables were found to b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ithin 5% CI from two models. Also under the same conditions, two different VAR models were made to compare the outputs with the outputs of VECMs. Consequently, the Daegu housing prices itself, Daegu Consumer Price Index, KOSPI, Corporate Bonds, Daegu Bank Loans and the Daegu Large Retail Sales were turned out as the key factors of the causes of the fluctuations of Daegu housing prices. That is, the Daegu housing prices itself was the biggest causing variable of the fluctuations of the Daegu housing prices and the Daegu Consumer Price Index which was the regional economic variable came next. And the KOSPI which was a macro economic variable and the Corporate Bonds, the Daegu Bank Loans and the Daegu Large Retail Sales in the order.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mplies these points. First, the macro economic variables do not affect the national-base housing prives and regional Daegu housing prices. Second, there exists a limit to fully explain the causes of the fluctuations of Daegu housing prices only with the macro economic variables. Third, the fluctuations of Daegu housing prices were derived from the regional economic variables and macro economic variables. but there also exists a limitation to explain the causes of the fluctuations without Daegu housing prices itself variable.

      • 대구광역시 상수도 에너지원단위 산정연구

        임효철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Water project is the process that pumping water from water source, sending and receiving water in the reservoir to store and drain water from the use of energy in each course. However, approximately 5,000,000 kwh per day to use the power of energy, water intake, water purification, draining the water without delimited data, and then without the cost of production, sending and receiving data for correlation analysis and evaluation is impossible. In this study, for applying collection data, finding out the status of each water treatment plant in Korea, Daegu city water treatment plant compared the electric power usage per unit with Seoul. In addition, Daegu city water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and in different directions to increase savings for effluent ratio was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statistical of tap water in Korea and water treatment processes used for sending and receiving water was modified. In Daegu, electric power usage in the intake process is 0.113 KWh/m3, water treatment process is 0.062 KWh/m3, sending and receiving process is 0.146 KWh/m3, draining process is 0.223 KWh/m3 was estimated to be processes accounted for 16.8% of the entire process. therefore, the amount of electricity required for water supply reach up to more than 80~90%, and distribution through pipe network that wed that could be used to supply water. To conserve power, rather than in a water treatment plant leakage reduction projects to perform strongly, while protecting water resources and preventing waste of power in diameter was found that pathway. In addition, it is reported that the rate of effluence improved 5.8% in Daegu, and electric power decreased about 16.4% was reached 17,430,041 KWh every year as energy saving. In future it is clearly that water creating statistics and reformation in the electric power usage for each process, it is the mission for operators of water supply which can cause that low carbon green growth an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 대구광역시 암 등록사업 중 건강보험 심사청구 건에 대한 타당성 평가

        김승대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1년간 대구광역시 암 등록 사업 추진 중 최초 진단일 기준 병원으로 등록된 환자로 건강보험 심사 청구 건에 대한 타당성을 지표들을 이용하여 지역 암 등록 사업 활성화와 질 향상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200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간 대구광역시 지역 암 등록 자료 중에 건강보험 공단으로부터 심사 청구한 709건에 대하여 타당성을 보기 위하여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 의무기록을 열람하여 실시하였다. 2002년도 대구광역시 암 등록 총 건수는 10,075건이었고 보험공단으로 신청 건수는 2,492건 중 조사 대상 병원급 이상 1,559건 중 암 등록 병원 5개와 비 등록 병원 5개, 총10개 의료기관을 선정하여 조사한 총 건수는 709건이었고 그 중 순수 대구광역시 대상자 388명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암 등록 병원 5개(A~E)조사건수 576건 중 56건(9.7%)이 암이 아닌 상병코드로 신청되었고, 비 등록 병원 5개(F~J) 조사건수 133건 중 16건(12%)이 암이 아닌 상병코드로 신청되었다. 전체 709건 중 72건(10.2%)이 오류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타당도의 지표를 이용하여 암 등록 병원과 비 등록 병원을 분석한 결과 병리 조직학적 확진율(HV%)은 암 등록 병원의 확진율은 62.1%, 비 등록 병원의 확진율은 12.6%로 암 등록 병원이 비 등록 병원 보다 병리학적 확진율(HV%)이 더 높았다. 남자는 43.6%, 여자는 31.2%로 남자가 좀 더 높았고 HV%는 전체적으로 보면 간암이 98.0%로 가장 높았고, 전체 진단부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확진율이 가장 낮은 연령대는 전체적으로 70세 이상으로 노년층으로 갈수록 조직학적 확진율이 떨어지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원발부위를 모르는 분율(PSU%)은 암 등록 병원의 PSU%는 1.0%, 비 등록 병원의 PSU%는 0.8%로 등록 병원이 더 높았다. 전체 PSU%는 1.8%로 남자 1.3%, 여자가 0.5%로 남자가 여자보다 원발부위 불명률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나 타 국가의 암 등록 자료와 비등하였다(IARC, 1992). 암 치료 방법은 남자가 31.2%, 여자는 24.2%로 남자가 여자보다 치료율이 높은 암은 위암, 간암, 폐암, 대장 직장 암, 기타 암 순이고, 여자가 남자보다 치료율이 높은 암은 간암, 폐암, 대장 직장 암, 기타 암 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40대 이상의 경우 빈도가 40세 미만에 비해 많이 증가 한 것임을 보아 40대 이후 건강을 생각하는 비중이 커져 나간다는 것을 짐작 할 수 있다. 연령 미상률(AUK%)은 모두 등록된 상태로 0%이다. 1%미만이 타당도의 지표이므로 타당도가 매우 높다(IARC, 1992). 이상의 살펴본 바와 같이 대구광역시 암 등록 병원과 비 등록 병원 전체 오류율은 10.2%(≒90% 정확도)로 타 도시 지역보다 높게 나왔고, 타당도 지표인 병리조직학적 확진율(HV%)는 남자가 43.6%, 여자가 31.2%로 타 선진국가의 암 등록 자료보다 조금 낮은 편이었고, 원발부위 불명률(PSU%)는 남자는 1.3%, 여자는 0.5%로 타 국가의 암 등록 자료와 비교하여 비등하였다(IARC, 1992). 연령 미상률(AUK%)은 전산 체계망의 발전으로 0% 수준으로 타당도가 아주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종합해 볼 때 대구광역시 암 등록 사업 중 건강보험 심사 청구 건에 대한 암 등록 타당성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the patients registered in hospitals based on the first day of diagnosis during the one-year project using the validity of the requests for reinvestigation of health insurance as an indicator for cancer registration implemen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in order to boost regional cancer registry and promoting its quality. To achieve this aim, I first of all visited medical institutions and perused their medical records so as to confirm the validity of 709 cases claimed for review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NHIC) among the cancer registry data in Daegu city for a year between Jan. 1, 2002 and Dec. 31, 2002. The total cases of cancer registered in Daegu city in 2002 amounted to 10,075 cases, and 2,492 cases were applied to the NHIC for reinvestigation. The number of hospital-level medical institutions which were considered for this study was 1,559, among them, 10 hospitals, consisting of 5 cancer-registry hospitals and 5 cancer non-registry hospitals, were selected. Then, among a total of 709 cases available, 388 of them who were only in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investigated here. It was confirmed that fifty six cases or 9.7% among 576 cases of 5 cancer registry hospitals(A~E) and sixteen cases or 12% among 133 cases of 5 non-registry hospitals(F~J) were applied not as cancer but as a sickness code. Moreover, seventy two cases out of a total of 709 cases, or 10.2%, turned out to be in error, and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p<0.05). The result from analyzing those two types of hospitals using validity indicators was that the histological verification(HV%) of cancer registry hospitals(62.1%) showed higher than that of cancer non-registry hospitals(12.6%). Besides, it was higher in male patients(43.6%) than in female ones(31.2%), and liver cancer had the highest HV%, 98.0%, in all, reaching statistical significance by the whole diagnostic sites(p<0.05). Among different age groups, those aged 70^(+) showed the lowest, signifying that the older they grew, the lower their histological verification showed. In terms of primary site unknown(PSU%), cancer registry hospitals(1.0%) were higher than cancer non-registry ones(0.8%). The percentage of all the primary sites which were uncertain was 1.8%, where males(1.3%) were a little higher than females(0.5%), which is nearly the same as cancer registry data in other countries(IARC. 1992). The methods of cancer treatment among men(31.2%) were more than that among women(24.2%). While the cancer type having the highest chance of successful treatment in males was gastric cancer, followed by liver cancer, lung cancer, rectal-colon cancer, and other cancers, liver cancer ranked as the most commonly treated among females, followed by lung cancer, rectal-colon cancer, and other cancers. Additionally, those who aged 40 and over showed much increasing frequency than those aged 40 or less, suggesting that those who aged 40 or more would become increasingly careful about their health. There were no patients of unknown age-i.e., Age Unknown(AUK%) was 0%, so the validity was so high because its indicator was less than 1%(IARC. 1992). As a whole, the total error rate of both groups, registry and non-registry, was higher than that in other cities, indicating 10.2%(≒ 90% accuracy); the histological verification(HV%) as a validity indicator, 43.6% among males and 31.2% among females,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other advanced countries; and the primary site unknown(PSU%) of men was 1.3%, and of women was 0.5%, which was similar to the registry data of other countries(IARC. 1992). Besides, due to the advancement in computer network systems, the level of validity was so high, with 0 percent in Age Unknown(AUK%). Consequently, the validity of the requests for reinvestigation of health insurance among the cancer registration cas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was comparatively satisfactory.

      • 대구광역시 체육시설의 편의시설 실태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황호준 대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Daegu Survey of Sports Facilities Facilities Disabled facilities through the installation and determine the extent of the use local sports facilities and social care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some extent by examining whether the interventions on the issues and further explore ways concrete action plans that can improve the current status is to present. Sample of this survey with 51 places located in Daegu, a survey of sports facilities were full. Data analysis for this study, the first sports facility in Daegu installation of facilities to determine the degree of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Daegu Metropolitan Sports Facilities Facilities to examine the degree of installation, the installation of facilities so the rate was higher Proper installation is a simple installation and low rates can be seen. In our study, the degree Proper installation of facilities was lower because the rate of a long athletic facilities in most buildings and facilities for the installation is structured is difficult, but due to lack of awareness of facilities and installations, but if it is installed incorrectly data suggest there were lots. Through this survey of Daegu Metropolitan Sports Facilities Facilities to improve the degree of intervention are as follows. Daegu Metropolitan Sports Facilities Facilities for Improvement of short-term measures include the enforcement of convenience promotion even today 14 years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about disability facilities installed incorrectly or not to be neglected, and government agencies to strictly implement the law and related professional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facilities and ongoing efforts to improve awareness should be monitored. The above problems are felt most uncomfortable non-pregnant women with disabilities, the elderly, temporary disability, such as patient discomfort and temporarily acting as least in most cases, the expansion of these facilities was the improper installation of fixtures and improvements to all of us comfort and will be installed for safety perception was more important tasks. Through this study, Daegu Sports Facilities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still more research and improvements in many areas of this plan to become the center of the stage to be aligned in a more realistic target position has been recognized. Therefore, improvement of real institutional arrangements should be prioritized.

      • 대구광역시 교통환경에 대한 외국인의 의식평가

        안용택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구광역시는 국제화규격에 맞는 교통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경찰청의 교통선진화 방안을 전략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이러한 교통환경의 변화는 대구시민들 뿐만 아니라, 외국인거주자들에게도 민감한 사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한편 대구 주한미군의 미군 및 미 군무원들의 최근 교통사고 통계를 보면 교통사고 유형별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외국인의 경우 면허취득률이 낮고 자동차 보유률이 낮음으로써, 실제 외국인들의 도로 이용 시 불편사항이나 요구사항들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대상이었던 외국인 집단에 비해 승용차 보유율이 높고, 업무를 위하여 운전시간이 많은 주한미군들과 군무원들을 대상으로 대구 교통환경에 대한 의식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주한미군과 군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본 연구에 부적합한 항목들을 제외하고 최종 20개 문항을 선정하였으며, 국내 운전경력자와 면허시험응시자(간접경험자)집단, 그리고 국내 운전경력자집단 그리고 면허시험응시자(간접경험자)집단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에 대한 IPA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운전경력이 있는 외국인비율이 높은 집단일수록 상대적으로 더 많은 평가항목들이 중점개선영역에 포함되었다. 세부항목들을 살펴보면, 응급차량배려, 교통신호 위반, 운전부주의, 끼어들기, 오토바이 법규위반, 택시 급정거, 남에 대한 배려가 중점개선사항으로 나타났다. 특히, 택시 급정거, 다른 차량 고려는 전체집단의 분석에서는 개선항목에 나타났지만, 국내 운전 경력자들만을 대상으로 한 IPA결과에서는 중점개선사항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버스난폭운전, 경찰단속부족 또한 중점개선영역에 가깝게 이동하였다. 이는 외국인 운전자들이 대구광역시 교통환경 이용 시 운전자태도, 교통법규 단속, 대중교통과 관련된 사항들에 대해 교통안전에 상당한 위협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 본 연구를 통하여, 외국인 교통수요증가로 인한 교통안전서비스와 관련한 질적 서비스의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리고,외국인들이 직면하고 있는 교통안전서비스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외국인을 배려한 도로구조 및 시설물정비뿐만 아니라 운전자 태도, 교통법 규제, 대중교통 및 자전거 관련사항들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외국인들과 도로를 공유하게 될 국내 운전자들의 교통안전과도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Daegu has strategically implemented a project with the national police agency for the Advancement of traffic control and operating systems to provide a traffic environment that meets global standards. Those changes to its traffic environment are a sensitive issue to foreigners living in Daegu as well as its citizens. The recent statistics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soldiers and civilian workers of the U.S. (United States) army stationed in Daegu point to a constant flow of traffic accidents. There are limitations to figure out the level of inconvenience and requirements that this group has when using a road in the nation because foreigners are low in both the acquisition rate of a driver’s license and in the ownership of vehicles. This study thus is aimed at conducting an analysis and assessment of the perceptions of Daegu’s traffic environment, among U.S. army forces members, whose are relatively high in the ownership of vehicles and number of business driving hours. This was compared with other groups of foreigners in previous studies. As improper items were eliminated through a survey completed by the soldiers and civilian workers of U.S. army stationed in Daegu, 20 primary lists of assessment item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tudy divided the respondents into three groups (a group of drivers with driving experiences in Korea , a group of drivers' license testing applicants(second-hand experience) and total group of drivers with driving experienced in Korea and drivers’ license testing applicants(second-hand experience)) and conducted a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nalysis(IPA) for each group.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igher the rate of foreigners with driving experiences included in the group, the more major improvement items it contained. The items include:‘Not moving for emergency vehicles’,‘Ignore traffic signal’,‘Distraction driving’,‘Motorist ignore traffic rules’, ‘Cutting other driving lanes’,‘Taxi make sudden stop without giving enough warning’, and‘Do not consider others’. In particular,‘Taxi make sudden stops without giving enough warning’, and‘Do not consider others’are included as major improvement items in the group of drivers with Korean driving experiences. Also,‘Bus thinks that it has always right of way’and‘The lack of police enforcement’are closed to the major improvement area.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foreign drivers feel a considerable amount of threat for traffic safety in terms of a driver’s attitude, public transportation, and legal regulations when driving vehicles in Daegu. In short, South Korean society needs to make efforts and preparations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traffic environment and safety service due to the rising number of foreigners and their traffic needs. To resolve traffic safety service problems foreigners faced in Korea, not only investments and efforts of road structures and facilities but also improvement of matters relating to drivers’ attitude and legal regulations along with public transportation and bicycles are required. These measures will ultimately not be an irrelevance with traffic safety for Korean drivers that will share the road with foreigners.

      • 대구광역시 문화공간의 활성화 방안 연구 : 대구문화예술회관을 중심으로

        여진희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70년대 이후 경제가 발전으로 고도 성장을 하게되자, 많은 사람들이 물질적 풍요를 얻게 되었고 이제는 정신적인 풍요나 여유, 교양 등 자발적으로 무엇인가를 지향하려는 소위 문화적 욕구를 각성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정치, 경제, 사회 등 국가 정책에 비해서는 문화예술이 낮은 비중으로 발전 할 수 없었으며, 경제, 사회 등 전 분야의 중앙집중화현상들이 문화 부분에서도 중앙과 지방, 대도시와 중소도시로 불균형 현상이 누적, 심화되어 여러 분야에 격차 문제를 야기시켰다. 지방과 서울의 문화적 격차를 좁히기 위해 정부는 전국 각 지역에 문화공간을 조성하고 문화행사를 개최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으나 각 지역의 하나의 문화공간으로는 지방 문화시설을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하다. 문화공간이란 그 곳을 찾는 관객들에게 단순한 즐거움만을 주는 것이 아니라 문화예술 행위로 인해 가치관의 재정립과 문화 교육적 기능을 수행하고 바람직한 예술세계관을 인식시켜 문화공간을 휴면공간으로 두지 않고 친숙한 공간으로 재기능을 발휘해야 한다. 답답한 주의환경과의 차별화를 이루어 편안하고 정감있는 공간으로 개선하여 활발한 문화예술활동이 이루어지는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어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대표적인 문화공간의 활성화를 위해 구체적으로 대구 문화예술회관의 운영사례를 연구, 검토하여 현재 운영 현황을 비롯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조사하고 그것을 토대로 대구문화예술회관이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한 운영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대구광역시 문화공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가 필요하다. 첫째, 문화예술회관의 종사자의 전문 인력을 갖추어야 한다. 현재 문화예술회관의 운영은 대부분 일반직 행정 공무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문화예술회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선 관장 그리고 직원들의 전문 문화예술인으로 안목과 경험을 갖추고 문화예술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전문인을 채용해야 한다. 둘째, 문화예술회관의 다양한 문화예술활동을 전개하여야 한다. 워크�� 문화강좌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여 지역문화진흥에 앞장을 서고 지역민들에게 문화예술 보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사무조직을 개편해야 한다. 운영관리를 단순한 행정상의 구분으로만 유지한 것을 책임있는 형태로 구분지어 공연과를 만들어 실질적인 업무를 문화예술회관의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한다. 넷째, 기획 공연을 위한 재정 확보를 해야 한다. 공공자금으로만 지원되는 자체기획 공연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는 것은 힘들다. 예산 담당 공무원을 만나 작품에 관해 설명을 하고 공연을 관람하게 하여 문화예술회관에 대한 관심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회원제도를 활성화해야 한다. 현재의 시립예술단은 각 단체의 회원제에서 문화예술회관 중심의 회원제도로 바꾸어 대구 시민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티켓의 전산화 시스템을 구축한다. 현재 수작업으로 하고 있는 티켓검인을 전산화하여 관객이 좌석을 선택하며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한다. As society has grown rapidly through development of the economy since the 1970's, people obtain richness of material, and now it comes to the point that they are awakened to so-called cultural desire, voluntarily pursing something such as spiritual richness, composure, and culture. However, in terms of the national policy, culture and art had to be underdeveloped compared to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he centralized phenomenon in all areas including economy, society, etc. caused a gap problem in the various fields also in cultural parts, accumulating and deepening imbalance between capital and local, big cities and medium/small cities. To narrow the cultural gap between Seoul and locals, the government gives full support constructing cultural places and holding cultural events in many regions of the country, but one cultural place in each region is insufficient to satisfy local cultural facilities. Cultural places do not only give enjoyment to visitors but reestablish a point of view and perform a cultural and educational function through cultural and artistic performances. They should display the original functions as familiar places, not as resting places, making people recognize an artistic worldview. They have to be settled as places where active cultural and artistic performances are held, by differentiating them from stifling environments and developing relaxing and friendly plac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specifically the operation case of the Daegu Culture and Arts Center and investigated the current operation status as well as it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activation of a representative cultural place in Daegu. Based on this, operation problems to be solved were suggested so that Daegu Culture and Arts Center could be revived as a new cultural place. In this sense, several tasks are needed for activation of cultural spaces in Daegu. First, there should be expert workers engaged at the Daegu Culture and Arts Center. At present the Daegu Culture and Arts Center is operated mostly by general administrative public official workers. Therefore, expert artists, who have appreciation, experiences and full understanding about all the area of culture and art, should be employed as a chief and worker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Daegu Culture and Arts Center. Second, a variety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have to be performed at the Daegu Culture and Arts Center. Through active performances such as workshops and culture lectures, it should lead to the promotion of local culture and provide community residents with culture and art. Third, the office organization has to be reorganized.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which has been maintained as administrative divisions simply, should be divided as a responsible form and a Performance Division should be founded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Daegu Culture and Arts Center through virtual busin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