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년세대' 구성의 문화정치학 : 2010년 이후 청년세대담론에 관한 비판적 분석

        김선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청년세대를 규정하고, 연구하고, 기획하려는 욕망들이 다양한 청년세대담론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동력이 되고 있다. 이 논문은 청년세대담론들이 ‘청년세대’의 사회적인 상(像)을 어떤 식으로 구성하고 있는지, 청년세대담론이 반복적으로 등장하도록 만드는 사회적 맥락은 무엇인지, 청년세대담론은 청년들의 정체성 문제와 관련해 어떠한 사회적 효과를 지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담론 실천이 지닌 문화정치적 함의를 규명해 보고자 했다.세대담론이라는 연구대상을 바라봄에 있어서, 이 연구는 급진적 구성주의적인 관점을 일관되게 취하려고 노력했다. 이는 세대담론에 관한 다수의 선행논의들이 갖는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이었다. 어떤 세대담론은 비판하면서도, 동시에 특정 세대담론에 대해서는 그것이 실제 세대 현상에 대해 갖는 진실성을 학문적으로 승인하는 이중적인 관점을 취하는 것을 경계함으로써 청년세대담론이라는 연구대상에 대한 더욱 엄밀한 분석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보았다. 세대사회학의 시초를 놓은 사회학자 카를 만하임의 세대 개념에 대한 분석적 구분과 피에르 부르디외의 계급 이론 재구성은 구성주의적으로 세대담론을 바라보는 관점을 사고하는 데 도움을 준다.주요 일간지에서 2010~2014년의 기간 동안 발행된 ‘청년세대’와 ‘2030 세대’ 관련 기사 557건이 분석의 대상이 되었다. 대상을 구성하고, 주체를 형성시키는 담론의 두 가지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대상 기사들이 청년세대에 관한 어떠한 지식들을 유포시키고 있으며, 기사 내부에서 청년세대가 자리할 주체의 위치가 어떻게 상정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질적인 텍스트 담론분석과 양적인 내용분석을 보완적으로 실시해 연구에서 시행한 비판적 담론분석 작업의 신뢰도를 높이려 했다.청년세대담론은 동질적인 담론의 묶음이 아니라, 그 내부가 이질적인 개별 담론들의 집합이다. 따라서 청년세대담론이 구성하는 ‘청년세대’의 형상은 균질적이지 않고 엇갈리는 다양한 청년상들이 공존하는 모습이었다. 2010년대 한국사회의 청년세대담론은 주로 세대 간 경제적 불평등 담론, 세대의 정치 담론, 젊은 세대의 사회문제 담론 등의 담론적 맥락에서 만들어지고 있었는데, 담론 생산자의 의도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 청년세대에 관한 지식들이 경합하고 있었다. 동시에 청년세대담론은 세대적 관점이나 세대라는 사회적 범주에 관한 지식을 함께 유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세대 현상에 관한 객관주의적인 이해와 세대적 해석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세대주의적 세계관이 청년세대담론을 통해 재생산되고 있었다.복수의 담론들이 가진 이질성은 담론 내에서 청년세대에게 어떠한 주체상이 부여되는지에서도 드러난다. 개별 담론들 사이에서는 청년들을 진보적 정치주체로, 보수적 정치주체로, 경쟁 주체로 호명하는 등 엇갈리는 주체화 양식들이 동시에 작동하고 있다. 이러한 개별 담론들이 모여 만들어진 담론 전체 수준에서 ‘청년세대’는 기성세대에 대한 타자로 설정되고 있었다. 청년은 규명되어야 할 해석의 대상이자 비주체로서 청년세대담론 내에 위치하는 반면, 기성세대는 청년세대를 계도하거나 책임져야 하는 주체로 상정된다.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청년세대의 이름을 빌려 사회 현상에 관한 주장을 정당화하고, 세대 간 차이를 강조하면서 사회구성원들을 청년과 기성세대로 분할하고, 세대내 동일성을 전제하면서 그러한 동일성에 해당하지 않는 사회구성원들을 억압하고, 청년들을 ‘청년 정체성’ 안에 가두면서 수동적 세대로 만드는 등의 문화정치가 청년세대담론을 매개로 일어나고 있음을 밝혔다. ‘탈-청년’의 담론적 문화정치를 수행하는 것은 이러한 문화정치의 현실에 대한 대항 담론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 체육의 부정적 인식 형성에 관한 비판적 담론 분석

        김준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대중이 갖는 체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로 인해 파생되는 여러 가지 사회현상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체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드러나는 기사는 무엇이며, 이 기사들을 범주화할 수 있는가? 둘째, 범주화된 체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 요인들은 어떠한 상호 관련성을 맺고 있는가? 셋째, 체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형성의 주도적 하위 담론은 무엇이며, 어떻게 재구성되는가? 이는 또한 사회적 맥락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가? 이에 답하기 위해 페어클로의 비판적 담론 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을 활용하였으며 이에 더해 귀납적 범주분석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차용하여 담론의 범주를 나누고 그 구조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교육, 학원스포츠, 스포츠 조직, 계층·계급, 일탈행위, 젠더논리의 6가지 분야를 연구 영역으로 설정하였으며 2000년대 이후 192개의 신문기사 중 기사의 반복성, 대표성, 신뢰성을 검토하여 내부 기준에 부합하는 95개 기사를 추려 원자료로 사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Ⅳ장에서는 체육담론이 의심 없이 주고받을 만큼 정확한 것인지 또 신문기사가 텍스트 내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텍스트 분석을 통해 의미를 파악하였다. 이후 상호텍스트적 분석을 통해 대중이 이러한 텍스트를 생산하고 소비할 때 어떤 문화적 자원에 의존하는지 밝혔고 주체들의 인식을 기준으로 담론적 실천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Ⅴ장에서는 Ⅳ장에서 규명한 담론적 실천들이 각각, 혹은 통합적으로 관계 맺고 작동하는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귀납적 범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떠한 담론적 실천이 부정적 인식 형성에 기여했는지 밝히는 과정과 각각의 부정적 인식이 갖는 공통점을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문화’, ‘경제’, ‘교육’의 세 가지 담론 요인을 기반으로 하는 ‘담론의 틀’과 이를 구체화 한 ‘담론의 구조’를 도출하였다. 마지막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Ⅵ장에서는 생성, 수정, 유지·강화, 폐지·약화라는 담론의 생애주기 요소를 근거로 시대별 체육담론의 변화과정을 추적하고 변화의 근거를 찾아냈으며, 동시에 Ⅴ장에서 도출한 바 있는 ‘담론의 틀’안에서 해당 담론이 갖는 의미를 논의하였다. 이후 Ⅴ장에서 밝힌 ‘담론의 구조’에 따라 부정적 인식의 형성에 있어 주도적 역할을 하는 하위담론을 규명하고 이데올로기와 헤게모니의 관점에서 해당 담론을 조명하였다. 또한 체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 형성의 과정에 있어 미디어의 개입효과를 밝히고, 그로 인해 미시적 차원에서 이루어진 텍스트적 실천이 담론적 실천을 통하여 현존하는 헤게모니를 어떻게 재구성하고 재구조화하는지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체육담론은 신문을 대표로 하는 미디어의 제도적 장치를 통하여 사람들에게 유포되었고 체육인 및 대중 등 관련자들이 해당 담론 내 특정 위치에서 사회를 해석함으로써 실제 체육을 둘러싼 상황을 악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담론은 사회를 형성하고 구성하는 동시에, 사회적으로 형성되고 구성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Ⅶ장에서는 이러한 체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사회적 반영물의 관점에서 고찰해보고 체육에 대한 재개념화를 통해 개혁담론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논의를 제시하였다.

      • 조세담론의 구조와 변동에 관한 연구 : 노무현·이명박·박근혜 정부를 중심으로

        강국진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조세정책을 사례로 삼아 조세정책을 둘러싼 담론의 구조와 변화과정, 담론경쟁의 양상, 조세담론이 조세제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그런 조세정책을 하나의 담론으로서 인식하고 그 구조를 분석한다는 것은 ‘조세’가 단순한 비유가 아니라 일반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정치적 전략 속에서 기획과 확산이 이뤄진다는 것을 전제한다. 조세정책은 국가가 분배갈등을 제도화하는 양상을 규명할 수 있는 경험적 토대를 제공한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담론은 구체적인 정책에 대한 권력관계를 반영하고 역사적인 맥락 속에서 존재하며 현실 맥락을 재구성함으로써 제도변화를 촉진하거나 제약하는 구실을 한다. 이 연구는 담론의 세 가지 핵심요소에 주목했다. 첫째, 담론은 과학적 진리에 반하는 허위의식이 아니라 ‘과학적 언설’을 통해 구성된 ‘지식’으로서 진실효과를 가지며 현실을 적극적으로 재구성한다. 둘째, 담론은 토대(경제적 생산양식)로부터 일정한 자율성을 가지며 사회적으로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열린’ 성격을 갖는다. 셋째, 담론은 정치적 효과 혹은 목적을 위해 ‘의식·무의식적’으로 생산되고 유통될 뿐 아니라, 특정한 권력개입 시점을 위해 전략적이고 집중적으로 유통되는 생명주기를 갖는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8개 신문에 실린 조세와 관련한 사설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의미연결망분석과 담론분석을 수행한 결과, 이 연구는 조세담론을 세금폭탄, 감세, 증세 세 국면으로 나누었다. 세금폭탄 담론은 종합부동산세를 계기로 형성됐으며, 국가에 대한 불신에 토대를 둔 담론인 동시에 국가에 대한 불신을 확산시키는 담론이다. 이 담론 구조가 향하는 곳은 감세와 규제완화 등 ‘시장’이다. 세금폭탄 담론은 감세를 처방으로 제시하면서 감세 담론의 헤게모니를 강화시켰지만 제도화와 함께 부자감세 담론이 분화되면서 헤게모니를 일부 상실했다. 세금폭탄이 시장으로 귀결됐다면 부자감세는 증세 담론을 활성화시켰다. 헤게모니 위기에 직면한 감세 담론은 ‘증세없는 복지’로 귀결된 반면, 증세 담론은 ‘선별증세’와 보편증세로 분화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증세 없는 복지’는 헤게모니 담론이 저항담론의 도전에 직면해 내놓은 대응일 뿐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형성되고 발전해온 헤게모니 담론의 정책적 귀결이었다는 성격도 동시에 갖는다. 둘째, ‘국가에 대한 신뢰’ 혹은 사회자본 회복이 없으면 조세정치는 끊임없이 갈등의 진원지가 될 수밖에 없다. 셋째, 누가 더 내고 덜 낼 것인가 하는 형평성 차원을 벗어나 연대성이라는 문제로 담론지형을 바꾸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이론적인 면에서 본다면 이 연구는 의미연결망분석과 담론분석을 통합하려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결망분석을 통해 조세담론의 전반적인 지형을 확인한 뒤, 이를 토대로 담론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이론적 타당성을 높였다. 또한 담론이 제도변화에 제약하거나 촉진하는 것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의미를 갖는다. 다만 연결망분석을 좀 더 심층적인 차원에서 수행하지 못했고 제도적 담론분석에서 주목해야 할 세 측면인 제도·담론·권력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지 못했다는 점은 이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 이상적 정치 공동체 실현을 위한 그리스도교 사회윤리학적 고찰 : Jürgen Habermas의 담론윤리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백재욱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Every human being searches for ‘a good life’ and ‘his happiness life’. This desire is very deeply rooted in human nature. However, this natural desire is often frustrated by various internal-external conditions which set some restrictions or limitations on human being himself and his society. The purpose of politics is to make the full realization of the good of human persons and to maximize the justice in their community. How could the ultimate goal of politics be achieved? In this regard, Jürgen Habermas, one of the greatest social philosophers in contemporary times, makes reference to a paradigm of mutual understanding as the intersubjectiv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who are socialized through “communication”. He formulates a theory of social action which makes possible mutual understanding and consensus, based on a rationality, that is to say “communicative rationality”, which is put into the process of demonstrative arguments in order to be rendered rationally and morally justified. Habermas’ “discourse ethics” refers to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hroughout which the validity of moral norms is ensured. So to speak, this ethics is destined to the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and individual happiness, pursued by every member of a community. The realization for this necessitates the new kinds of social solidarity and the discursive communication based on the “intersubjective” relationships. This communication presupposes ‘the Ideal Speech Situation’ in which speakers participate in a discourse, choosing and performing their own speech and act without being forced by any repression or inequality. These are essential elements and properties that constitute the ideal political community, proposed by the German philosopher Habermas. But Habermas’ discourse ethics is limited to the reaffirmations on the important role of modern reason in the process of mutual understanding and consensus between subjects. This implies a reduced perspective that stresses just a calculating function of human reason, when taking consideration into the process of discursive demonstration for the realization of “the good for and of a person” and the realization of “the common good”. The authentic achievement of politics consists in ‘fully realizing the common good’. The common good cannot be reduced to a collective amount of individualistic justice and individual goods, calculated by means of a consensus, but can be identified with the full realization of the personality of human persons and with the attainment of full communion among human persons. This communion does not mean a merely static state of artificial link and of accidental unity but a real “event” which rush to persons that encounter each other. It can be therefore accepted that the common good is realized in the dynamic event of love, where persons totally give themselves to one another in an interpersonal encounter. In conclusion, politics can be identified with interpersonal action by which human being as person, at maximum level, realizes himself in love and communion that render justice complete, not in keeping with an individualistic action for the minimum good guaranteed by a rationalistic-contractualistic consensus concerning personal and social interests. In order to taste a mature political life, it is necessary to take others and their life into consideration in the light of love. The process toward the ideal political community always goe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humanum in its entirety, which is fully realized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ere the communication of the good is involved, because the ideal political community is intended for the good life and happiness, sought after by virtue of the natural desire. 인간이라면 누구나 ‘좋은 삶’, ‘행복한 삶’을 원하며 이는 인간 내면의 본성적 욕망이다. 하지만 인간과 사회의 내외적 조건들의 제약과 한계로 인해 개인의 선추구나 행복에 대한 욕구는 자주 가로막히게 된다. 정치는 바로 이러한 제약과 한계를 극복하고 공동체 구성원 모두의 정의와 선을 충만히 실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겠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서 그 궁극적 목적에 도달할 수 있는가? 현대 사회철학자 가운데 하나인 위르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는 물음의 실마리를 인간 주체 상호간의 대화 곧 ‘의사소통’에서 찾고자 한다. 하버마스는 새로운 차원의 합리성 개념 곧 ‘의사소통합리성’을 바탕으로 상호이해와 합의를 도출해내고, ‘논증적 절차’를 통해서 문제의 타당성과 도덕적 정당성을 밝혀내고자 한다. 이렇게 ‘담론적 의사형성의 과정’을 거쳐 보편타당한 도덕적 규범을 정립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담론윤리’다. 담론윤리는 사회 내 정의와 공동체 구성원들의 ‘행복’(das Wohl)실현을 지향하며, 여기에는 새로운 차원의 사회적 연대와 타자와의 의사소통이라는 ‘상호주관적인’ 결속관계가 요구된다. 이때의 의사소통은 담론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어떠한 장애나 강제 없이 균등하게 자신의 언어행위를 선택하고 수행하는 ‘이상적 담화 상황’을 최종 목표로 한다. 이것이 바로 하버마스가 제시하는 이상적 정치 공동체의 전형이다. 그러나 하버마스가 제시하는 담론윤리적 대안은 그것이 기본적으로 인간 주체들 사이의 상호이해조정과 합의를 도출해가는 과정에 있어서 근대적 이성에만 주목하는 한계가 있다. 공동체 전체의 선을 이끌어내기 위한 ‘논증의 과정’에서 ‘개인의 선’에 대한 계산적 조율의 요구를 함축하고 있는 것이다. 정치의 참된 완성은 ‘공동선의 실현’에 있다. 공동선은 전체가 동의할 만한 정의나 선의 내용을 상정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실제 그 공동체 안에 살아가는 개별적 인격체로서의 인간 실존이 자신의 인격성을 충만히 실현하고 다른 인격들과의 ‘친교’(communio)를 이루는 것이다. 여기서 친교는 단순한 함께함이나 우연적 일치가 아니라 인격을 지닌 둘 이상의 존재가 만나는 리얼리즘적 ‘사건’이다. ‘나’라는 존재가 ‘너’라는 타인을 만나 서로를 내어주고 받아들이는 ‘상호인격적’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역동적인 사랑을 체험하는 사건 안에서 참다운 공동선의 구현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결국 정치는 계약적 관계를 중심으로 상호 이익을 조정해감으로써 최소한의 선을 상호 보장하는 행위의 차원을 뛰어넘어, 사랑과 친교를 향해 나아가는 인격체로서의 인간이 최고의 차원으로 자신을 실현해가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 행위가 참된 완성에 이르기 위해서는 나에게로만 집중되어 있는 시선을 돌려, 남을 보아야 한다. 이렇게 서로 자신들의 존재의 충만을 지향하며 참된 인격성을 완성해갈 때 인간이 본성적으로 추구하는 ‘좋은 삶’, ‘행복한 삶’을 성취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이상적 정치 공동체의 실현 또한 가능해질 것이다.

      • 교육소외 학생을 대상으로 담론을 통해 확률과 통계 교수·학습에 관한 사례 연구 : 고 2를 중심으로

        백정환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Since little research has done on the minority with low-achievement & low-SES for their improvement of mathematical learning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this research was attempted to motivate them on the mathematical learning and help them feel confident in mathematics by providing the learning materials to develop their thinking ability through the class discourse and analyzing the change of their thinking level in those classe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According to Bernstein (1977), the educational discriminations are caused not only in the process of distribution of knowledge, but also in the process of the knowledge transmission. So we can say that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al discriminations are due to the overlook on the individual conditions, situations, and environments. The limitation of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by the disadvantages such as individual conditions and its environments resulted in the low school achievement. The results of low achievement often cause them to experience lower treatment by the society and loss of the opportunity for the wealth. Now is the period that the failure of the wealth acquisition by parent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ir children's educational conditions and environment, the social poverty is passed down to offsprings by the class, and the 'rags to riches' became an old story which had been very common. Therefore, in order to resolve any of those discriminations, the preliminary inspection of the minority with low-achievement & low-SES of the 2nd-year class at ○○ high school located in Euijeongbu-si, Kyunggi-do, who were the children in the lower-SES group and the under-achievement group at the same time, and 12 students of them were contacted as a result. However, only 4 students of them were successful to complete the 20-unit lesson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guided by the direct instruction and repetitive explanation. This showed their significant inclination to give up the program due to the various learning disabilities on their own because this research was to give a chance of learning according to their voluntary will of participation. It took the period of the 2nd semester in 2010 in conducting the research through group activities with those students once or twice a week. All the processes of the research was video-recorded and transcribed within a week, and analyzed by the coding based on the 3 sources of data collections such as students' records, teachers' observation records, and video transcription along with 20-unit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analysis of the thinking level of those students in this research, Jones et al.'s framework (1999) for the probability and Mooney (2002) for statistics were used, and the cognitive development was also combined through Vygotsky's (1985)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Change of the self-efficacy in attitudes toward learning was investigated as well. As a research result, it is found that mathematical teaching was developed with the circular movement in the discourses: 'Introducing→Presenting tasks→Forming prerequisite organizers→Formulating the concept→Presenting tasks' under the directing teaching method and the repetitive learning. For presenting tasks, the scaffolding A as well as scaffolding B to form prerequisite organizers were provid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ing. For the student's thinking level, it was observed that they were improved from the 1st to the 3rd level in the probability, and from the 1st to the 4th level in the statistics. For the level of the cognitive development through Vygotsky's ZPD, they reached between the 2nd and the 3rd level for probability, and between the 3rd and the 4th for statistic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we found that the adequate utilization of the encouragement, the praise, the direct explanation, and the scaffolding enabled them to prompt their learning motives and the increased responsibility on the learning. As time passed, the participants could share their mathematical knowledge and its concept with others, and this resulted in the increased self- efficacy. In the processes of researcher's work with students it is found that teachers were required to have a role toward the minority with low-achievement & low-SES, who were as a revolutioner against cultural reproduction and as a guide for those students with the student-focused attitude based on the equity in the school life. In add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lack of the prerequisite in learning and the difficult surroundings, it is found that the repetitive explanation in learning, much time to invest, and especially teacher's proactive attitude were required.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ere could be the differences among the minority with low-achievement & low-SES themselves, and should guide their learning through the discourse considered with the individual difference. In addition, they should make them participate in the classes by various methods which gave the positive feedbacks to them, and should understand much of encouragement and praises could make the self-efficacy improved. It was also needed that teachers' attitudes toward being united together with students to have pleasure to notice their students being delighted with a tiny praise and to show teachers their change should be proud of their delights to other students. Accordingly, in order to improve the cultural reproduction, teachers are required to develop the models of instruction that fits with those students as well as the learning materials, provide the scaffoldings for their levels in the discourses, and share their daily lives with each other, by seeking all the methods to help them. Key Words : Discourse, Cultural Reproduction, The Minority with Low-Achievement & Low-SES, School Underachievement, Self-Efficacy, Probability and Statistics, Mathematical Teaching and Learning, Jones et al's framework, Mooney's framework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면과 경제적인 면에서 혜택을 받지 못하는 교육소외 학생을 대상으로 확률․통계 영역에서 수학학습의 향상을 위해 이루어진 연구가 그리 많지 않음에 주목하고 이 학생들에게 담론을 통하여 사고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학습 자료를 구성하고 이를 활용한 확률․통계 수업에서 교육소외 학생들의 사고 수준의 변화를 분석해봄으로써 이들에게 수학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 및 수학에 대한 친근감을 갖게 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Bernstein(1977)에 의하면 교육적인 불평등은 지식의 선택․분배의 과정에서 만이 아니라 지식의 전달과정에서도 야기되고 있다고 한다. 교육에서의 불평등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바로 학교 교육에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조건, 상황과 환경들의 차이를 간과하기에 발생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의 조건, 환경 등의 불리함으로 교육 기회를 제한받아 낮은 학업성취율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이런 낮은 학업성취율은 사회적으로 낮은 대접을 받게 되고 경제적 부의 획득의 기회를 잃게 한다. 부모의 경제적 부의 획득 실패는 자녀들의 교육 여건 및 환경에도 영향을 미쳐 사회적 빈곤이 대물림되어 계급의 재생산이 이루어지게 되며 과거 흔히 들을 수 있었던 ‘개천에서 용났다’는 말은 무색한 시대가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불평등을 조금이라도 해소하고자 경기도 의정부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중 저소득층 자녀이면서 학습부진아인 교육소외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를 통해 12명의 학생들이 접촉이 되었으나 4명의 학생만이 총 20차시 확률․통계 프로그램을 무사히 마무리하여 연구결과에 포함되었다. 이는 연구 참여가 자발적 참여를 원칙으로 하였기로, 교육소외 학생들이 지닌 다양한 요인에서 오는 학습장애로 학생 스스로 포기하는 경향이 컸기 때문이다. 이들 학생을 중심으로 그룹 활동을 통한 연구 수행은 매주 1~2 차례씩 실시되었으며 2010년 2학기 한 학기가 소요되었다. 연구의 전 과정은 비디오로 녹화되어 녹화된 그 주내에 전사되었고 20차시를 위한 학습자료, 학생들의 기록과 교사의 관찰기록 그리고 비디오 전사 자료 등의 3차원의 자료 수집을 바탕으로 코딩에 의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교육소외 학생들의 사고 수준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 확률 영역에서는 Jones와 동료들(1999)의 분석틀이, 통계 영역에서는 Mooney(2002)의 분석틀이 사용되었고, Vygotsky(1978)의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iopment, ZPD)을 통한 인지발달 과정 또한 병행하여 분석하였으며 학습태도 중 학생의 자기 효능감의 변화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직접적인 교수법과 반복학습에 의해 학생들의 수학 교수는 도입→문제 제시→선행조직자 구성→개념 형성→문제 제시로 다시 순환적 관계의 담론의 전개가 이루어졌고, 문제 제시에는 비계 A와 선행조직자 구성을 위해서는 비계 B가 제공됨으로써 학생의 이해력을 도왔다. 학생들의 사고 수준이 확률 영역에서는 제 1수준에서 3수준까지, 통계 영역에서는 제 1수준에서 4수준까지 향상되는 과정이 관찰되었고, Vygotsky의 ZPD를 통한 인지발달 수준은 확률 영역에서는 2단계와 3단계 사이의 수준까지 도달하였고, 통계 영역에서는 3단계와 4단계 사이의 수준까지 도달하였다. 격려와 칭찬, 직접적인 설명과 비계를 적절히 활용한 결과, 연구 초기의 어색한 시간이 지나간 뒤에는 학습동기 유발, 수업 참여에 대한 책임감 증가, 그리고 참여의 정도와 의사소통이 증가하면서 학습 참여자들은 수학적 지식이나 개념을 공유할 수 있었고 이 과정에서 자기 효능감이 높아졌다. 연구자가 대상 학생들과 연구를 진행하면서 교사의 역할로 본 연구에 참여하면서 문화적 재생산의 개선자와 교육소외 학생을 위한 안내자로서 학교생활에서 평등성에 기초한 학생 중심의 자세가 요구되었다. 선수학습의 결핍과 어려운 주변 상황을 극복하는 데에는 반복학습이 필요하고 많은 시간이 투자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교사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교사는 교육소외 학생들 사이에도 개인차가 있음을 알아야 하고 개인차를 고려한 담론으로 학습을 안내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업에 참여하게 하고 자기 효능감 향상을 위해 많은 격려와 칭찬도 필요함을 알아야 한다. 작은 칭찬에도 매우 즐거워하고 다른 학생들에게 자랑스러워하는 학생의 모습에 함께 즐거워하는 교사의 일체되는 모습도 필요하였다. 따라서 문화적 재생산의 개선을 위하여 교육소외 학생들에게 맞는 수업모형의 개발과 그들을 위한 적절한 학습 자료 개발, 담론에서 학생 수준에 맞는 비계 제공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일상생활도 서로 공유하며 이들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늘 모색하는 교사가 되어야 한다.

      • 담론 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세계수준대학육성정책 분석: BK21 사업을 중심으로

        이정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BK21 사업에 반영된 주요 정책 행위자들(정부, 교육부, 대학사회, 국회 교육위원회, 기재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등)의 세계수준대학에 대한 아이디어 변화를 탐구함으로써 최근 세계적 동향과 어떠한 간극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아이디어와 담론의 수준에서 정책 행위자들 간의 권력과 담론 과정을 종합적으로 조망하기 위해 담론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정책 담론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BK21 사업 4단계까지 각 단계별 사업의 설계 시점에 전반적으로 어떠한 단계별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전반적인 사업의 체계, 예산구조, 평가지표의 주요 사항을 분석하였다. 둘째, 각 단계별 정책 형성 과정에서 정부 및 교육부, 대학, 국회 교육위원회, 기획재정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등이 각각 어떠한 담론 양상을 보였는지를 담론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정책 행위자의 아이디어와 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각 주체가 아이디어를 세계수준대학육성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어떠한 담론 전략을 통해 조정을 이루어냈는지를 아이디어와 권력의 관계(Carstensen & Schmidt, 2016)에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BK21 사업 정책 변형에 영향을 미친 아이디어와 담론을 담론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조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단계별로 정부의 틀 짓기(framing)와 주요 행위자 간 담론과정에 나타나는 주체별 아이디어, 그리고 정책 반영을 위한 각 주체의 담론 전략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과정추적법을 활용하여 담론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내용은 1~4단계 BK21 사업의 정책 형성 및 수정이 이루어진 네 시기이며, 분석 자료는 BK21 사업과 관련된 보도자료, 연구 보고서, 공청회 자료, 국회 회의록 등이 있다. 분석에 앞서 이론적 탐구를 통해 오늘날 세계수준대학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국가의 영역을 넘어서서 글로벌 공공재로서 대학의 역할 실현에 있음을 보였다. 이에 따르면 세계수준대학육성정책 또한 세계화의 주체를 무엇으로 보고, 어떠한 목표로 어느 활동의 장(場)에서 역할을 수행할 것인가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분석에 기반하여 주요 정책 행위자의 세계수준대학 아이디어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주요 쟁점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주요 정책 행위자의 세계수준대학 아이디어와 정책의 담론 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정부와 교육부는 큰 틀에서 몇몇 개의 세계수준대학을 만들어내는 것만으로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세계적 평판이 좋아질 것이라는 아이디어를 갖고 정책을 구상하였다. 이러한 정책에 약자 대학들은 인지적 타당화와 규범적 가치를 내세워 교육부에 수치심을 줌으로써 정책 수정을 이끌어냈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정부의 아이디어에 동의함에도 불구하고, 지역균형발전, 대학 간 격차 완화, 공정성 등을 주장하였다. 이론적으로는 강조되고 있는 글로컬라이제이션, 즉 지역과 세계의 연결은 순위 경쟁을 중요하게 생각하던 우리나라 세계수준대학육성정책의 담론에서는 크게 힘을 얻지 못하였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예산 규모에 대한 권력을 행사하는 국회 교육위원회, 기획재정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정책처 등과 교육부의 줄다리기는 세계수준대학육성정책이 세계대학순위의 상위권 대학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는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교육부는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수준이 낮다’는 국제 지표를 내세워 세계수준대학 육성을 위한 정부 예산을 확보하기도 하나, 이는 결과적으로 교육부가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줘야 한다는 부담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는 질적 성과 지표로의 변화 필요성에 모두 동의하여도 쉽게 변화할 수 없던 이유였던 것으로 보였다. 국가연구개발평가 등은 오히려 사업 성과의 근거로서 대표성을 갖게 되며 (정성적) 정량 평가에 머무는 데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들이 견제적 관계에 있던 것만은 아니다. 교육부도 결과적으로는 세계수준대학 육성을 위해 ‘선택과 집중’의 원칙을 견지하고 싶었던 바, 이들과 긍정적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소수 대학들의 대안적 아이디어를 더욱 더 강하게 배제할 수도 있었다. 둘째, 정책 행위자의 세계수준대학 아이디어에 따라 정책이 어떠한 단계별 변화를 겪었는지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사업 초기에 ‘세계수준대학’은 세계 시장에서 어떠한 목표를 갖고 있다기 보다는 예산 확보와 선택적 대학 지원을 통해 국내 대학 간의 경쟁을 유도하기 위한 수사적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즉 정부와 교육부는 대학 제도개혁, 국가 내 대학 간 경쟁 유도의 목적을 이면에 숨겼다. 이에 따라 대학사회의 대안적 아이디어를 배제하고 일부 세계수준대학과 무관하다고 주장된 정책 내용을 강제하였다. 하지만 3단계에서부터는 교육부가 세계수준대학의 랭킹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 전체’ 차원의 노력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하기 시작하였는데, 3단계 사업의 추진과정에서는 교육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등의 강력한 반대로 반영되지 못하였다. 4단계에서 이르러 교육부가 그 필요성을 설득, 이들과 호의적 네트워크를 형성한 결과 대학원 혁신지원비에 대한 예산 확보에 성공할 수 있었다. 셋째, 세계수준대학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살펴본바, 이에 따른 우리나라 세계수준대학의 아이디어의 분석 결과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나라는 세계수준대학의 우수 연구인력 확보에 지대한 관심을 두고 있었으며,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여건을 형성해주는 것이 국내 학생의 두뇌유출을 방지하고 해외의 우수 교원과 유학생을 확보하는 방법이라고 여겼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이 모든 것이 국가 차원의 세계적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으로 여겨졌으며, 학술적 관점에서 외국인 연구자들과의 교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세계수준대학의 다문화 수용 등의 담론은 배제되었다. 또한, BK21 사업에서 대학의 재정 확보에 대한 논의는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우리나라의 맥락에서 지방대 및 국ㆍ공립대학이 산학협력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산업체를 찾기는 어려운바, ‘공정성’을 해친다는 규범적 아이디어가 작동하여 1~2단계의 대응자금 확보 조건마저 폐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자율성과 책무를 주제로 살펴보면, BK21 사업 수혜 대학의 책무는 대체로 국가의 경제적, 정치적 우월성을 대표할 성과를 도출하는 것이었으며, 대학 차원에서는 풍부한 재원 확보를 위해 국내 타 대학과 경쟁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이는 우리나라와 같이 유교 문화를 기반으로 한 국가들의 대학 정책에서 나타나는 특징이기도 한데, 이로써 형성된 세계수준대학 아이디어는 오늘날 강조되는 국제 사회의 공적 책무 수행과는 거리가 멀었다. 특히 평가와 평판을 성취의 기준으로 삼는 한, 우리나라의 연구중심대학이 활동 영역을 세계의 장으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여러 선결과제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세계수준대학에 지역-국가-세계를 포용할 수 있는 책무 부여, 지역우수대학과의 컨소시엄 활성화, 학술정치에 대한 전략 탐색, 질적 평가 체계의 타당성 확보, 과학기술부 등 타 부처와의 평가 체계 합의 도출 등의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s in ideas for World-Class Universities (WCU) by major policy actors (government, Ministry of Education, universities, National Assembly’s Education Committee, Ministry of Finance, Special Committee on Budget and Accounts, etc.) reflected in the BK21 Project.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ir gap with the recent global trends on WCU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analyzed the main points of the overall project‘s programs, budget structure, and evaluation indicators by looking at the overall changes in the design of each step until the 4th stage of the BK21 project. Second, the research focused on the idea and discourse of policy actors − such as the government, the Ministry of Education, universities, the National Assembly’s Education Committee,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nd the Special Committee on Budget and Accounts − in terms of discourse institutionalism. Third, based on this, the research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ideas and power (Carstensen & Schmidt, 2016) and how each agent had made adjustments to their reflect ideas in World-Class University Building Policy.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policy discourse from the perspective of discourse institutionalism to comprehensively view the power and discourse process among policy actors at the level of ideas and discourse.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framing’ of governments’ ideas, the ideas of the key actors appearing in the discourse process, and the discourse strategies they act to reflect their ideas in the final policy. This study used the process-tracking method to explore ideas that affected the BK21 Projects’ policy transformation.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were the four periods in which the policy formation and revision was made from stage 1 to stage 4(1999~2020).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the BK21 Project were used for analysis − press releases, research reports, public hearing materials, and minutes of the National Assembly meeting. Prior to the analysis, theoretical exploration has shown that today's social expectations for world-class universities were beyond the realm of the state and were in the realization of the role of universities as global public goods. This explains that the policy to foster WCUs can also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what the main body of globalization is and in which sphere it aims at. Based on this, the study sought to interpret the ideas and discourse of major policy actors on world-class universities. As a result, the following key issues were identified: First, the analysis of major policy actors' ideas of WCU and the process of policy discourse showed that the government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devised policies with the idea that ‘creating a few world-class universities would improve the global reputation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as a whole.’ Under these policies, weaker universities have brought about policy modifications by ‘giving shame’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by citing cognitive justification and normative values. Specifically, despite agreeing with the government's ideas, they argued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lleviating gaps between universities, and fairness. Although theoretically emphasized, the emphasis on Glocalization or regional-global connectivity did not gain much strength from the discourse of the nation's policy of fostering WCUs, which considered competition in the rankings more important. In addition, the tug-of-war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s Education Committee,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e National Assembly's Budget and Accounts Committee, and the Ministry of Budget and Policy − which exercise power over the size of the budget − is centered on the idea that the policy of fostering world-class universities should be able to create top universities in the world. By citing international indicators that tells that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in our country is low’,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secured an amount of government budget for WCU policies. This, in turn, leads to the burde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show tangible results in these international rankings in short terms. This seemed to be the reason why the project’s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es could not change easily even if all agreed to the need for a change to a qual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Also, the National R&D Evaluation has rather became representative as the basis for the performance of the overall project and seemed to have influenced the quantified quality assessment. Howev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financing boards were not just in a check-up relationship. Rather, by forming a positive network with the stakeholders in finance and budgets, the Ministry of Education wanted to maintain the principle of "select and focus” to foster WCUs, so it could rule out alternative ideas from minority universities more strongl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s, the policy has undergone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actor's idea of a WCU,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e study has shown that in the early stages of the project, 'world-class universities' were used as rhetorical expressions to induce competition among domestic universities through budgeting and selective university support rather than showing excellence in the global market.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hid behind the scenes the purpose of reforming the university system and induced competition among universities among the nation. Thus, it ruled out alternative ideas from the university community and forced the contents of policies that were claimed to be unrelated to fostering WCUs. However, from the third stage, the Ministry of Education began to express its opinion that ‘efforts at the ‘university-wide’ level should be made to raise the ranking of world-class universities’, but its implementation was not reflected − offended against strong opposition from the Education Committee and the Special Committee on Budget and Accounts. By the fourth stage, the Ministry of Education persuaded the offenders of the need for university-level support and formed a favorable network with them, which enabled them to succeed in securing the budget for the Postgraduate Innovation Support Funds. Third, after looking at various interpretations of WCUs, the analysis of the ideas of Korea's WCUs is as follows. First of all, Korea was very interested in securing excellent research personnel at WCUs, and it was considered that forming world-class research conditions was a way to prevent the brain drain of domestic students and secure excellent international faculties and students from abroad. In particular, all of these were considered strategies for securing global competitiveness at the national level in Korea; while as, discourse on exchanges with foreign researchers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and accepting multiculturalism from a socio-cultural point of view were excluded. In addition, the BK21 project did not actively discuss the financial security of universities, and it was difficult for local universities and public universities to find industries that would positively consider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in the context of Korea. In the end, based on the normative idea of 'unfairness' each university face in finding industries to fund, the conditions for securing response funds were abolished after the first and second stage. Finally, looking at the subject of autonomy and responsibilities of universities, it was understood that the responsibilities of universities benefiting from the BK21 project were generally to produce results that would represent the economic and political superiority of the country and that at the university level, it was competing with other universities in Korea to secure abundant financial resources. This is a characteristic of the university policies of countries based on Confucian culture such as Korea, and the idea of WCU was far from fulfilling the public responsibiliti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ich is emphasized today. In particular, as long as evaluation and reputation are used as the basis for achievement, it is believed that Korea's research universities will have a number of pre-determined tasks to expand their sphere of activity to the worl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research produced policy suggestions such as granting responsibility to world-class universities to embrace regions-state-world, revitalizing consortiums with local leading universities, exploring strategies for academic politics, securing feasibility of qualitative assessment systems, and reaching agreements on evaluation systems with other ministries, including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서민담론의 역사적 변화 : 동아일보사설에서 구성된 서민 정체성

        이종명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신문의 사설에서 구성된 서민이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어떠한 의미들로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역사적 맥락에서 형성되는 정체성은 문화정치 영역의 핵심으로서 지배 이데올로기에 의한 재현방식과 유형, 의미를 맥락 속에서 담론분석을 통해 읽어내는 것이 이 연구의 이론적 출발 지점이다. 연구는 1920년부터 2012년까지의 동아일보 사설에서 재현된 서민 정체성을 비판적 담론분석의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사설에서 불려진 서민은 1970년대까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보통의 일반 대중을 지칭하는 담론으로 구성되었으며 1990년대 말부터 경제적 의미를 지닌 ‘중산층’ 용어와의 결합을 통해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않은 생활을 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되었다. 권력을 가지지 않은 의미를 지닌 용어 ‘일반 서민’에서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의 계급적 의미를 가진 ‘중산층·서민’ 표현에 의한 구성을 거쳐, 서민은 정치적으로 시혜의 대상으로 정체성이 구축된 것이다. 이는 서민의 본래적 의미인 ‘관직을 갖지 않은 보통 사람’에서, ‘넉넉하지 못한 생활을 하는 사람’이라는 이차적 의미로의 확장과도 연결된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도움을 필요로 하는 대상으로 구축되는 것이 곧 서민의 정치적 담론이다. 2000년대 후반부터 정치권에서는 지속적으로 서민을 부르는데, 이와 같은 담론의 구성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수동적 대상으로 만듦과 동시에 지지 기반으로 삼는 의미를 지닌다. 미디어의 재현과 정치권력의 담론에 의해 재생산된 서민 정체성은 주체적인 대상으로 사회 구조 속에 자리잡기 보다는 지배 이데올로기의 담론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연구자는 현재 우리 사회의 집단을 정의하는 단어 중 빈번하게 언급되는 서민이 어떠한 용어에 의해 역사적으로 변해왔는지를 추적했다. 사설에서 재현된 서민 정체성의 역사적 담론 변화에 대한 추적은, 궁극적으로 서민을 바라보는 미디어와 정치권력의 시선, 그리고 그들이 구축해놓은 구조 속에 스스로를 위치시키는 서민을 이해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바라볼 수 있다. 정치권력에 의해 쉽게 언급되고 미디어에서 빈번하게 구성되는 서민 정체성 담론이지만 그동안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서민이라는 용어가 우리 사회에서 불려지고 구축되는 모습들을 사설을 통해 읽어냄으로서, 우리 사회의 은폐된 계급의 질서와 계급 재생산의 주체인 미디어와 정치권력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시도했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editorial represents "the common people" in the socio-cultural contexts. Interpellation, Althusser's concept, describes the process of institutions and discourses of hailing individual subjects. Particularly, the media reinforces ideology and reproduces social structure by representing the individual subjects as "the already interpellated" in social interactions. Thus, this study tests whether there are an intended pattern in the process of stating the common people, and how it has been effected by dominant ideology. In order to better analyse the change of an aspect of the term, the common people, selected editorials were analysed by conducting discourse analysis. In the case of Dong-A Ilbo editorial which is published from 1920 to 2012 represents the identity of the common people, and is examined by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interpellated common people from 1920s to 1970s are stated as the ordinary people in socio-cultural contexts. On the other hand, from the end of 1990s, the common people are combined with "the middle class" which has economical meaning. As a result, the common people has been described as impoverished and needy people. To be specific, the common people has been established from powerless term, which is ordinary people and classed term, which means people in lower middle class to political term, which defines as passive objects in political sector. That is, the common people has been extended from ordinary people who do not have specific position in society to economical people who live in insufficient environment. It reinforces the common people's political discourse as the object of people in need. Particularly, from the end of 2000s, political sector addressed the common people as passive object who possibly support the candidates. Therefore, the identity of the common people reproduced by media representation and discourse of political power has been defined in the process of presenting social ideology rather than acting with powerful independent subject. This study casts doubt on how the common people, as a term which has been used frequently in the media in order to define the specific social group, has been changed in certain period. The represented identities of the common people in the editorials ultimately convey not only the viewpoint of the media and political party but structured individual subjects. Since this general practice in the media is merely examined, this article paves the way for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media and political power which is a subject of unseen class order and reproduced class.

      • 담론수업을 통한 고등학교 기하교육 사례연구

        차지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간의 수학적 의사소통을 강조한 담론 수업이 수학 문제 해결력에 어느 정도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 담론 수업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만족도를 알아보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수학적 의사소통을 강조한 담론수업을 고등학교 이과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학업성취도의 상승효과와 고등학교 학생들의 담론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문제해결력의 향상에 영향을 준 학생들의 담론의 특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담론수업의 효과성에 대한 근거를 들것이다. 그리하여 담론수업의 고등학교 수학수업에의 적용가능성과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입증 하고자 한다. 이는 고등학교 입시위주의 수학수업에 치우침을 지양하고, 담론활동을 통한 학생중심의 수업의 효과성과 중요성을 강조하여 단지 대학을 들어가기 위한 입시과목의 수학이 아닌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학생들의 수학교육을 위하여 취해야할 교사의 수업진행 방식을 생각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S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열 학생 3개의 반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기하와 벡터 <Ⅱ.이차곡선 중 타원과 쌍곡선 에 대한 사전 검사지>를 통하여 학생들의 기하문제에 대한 개념의 이해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담론수업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 상승도를 t-test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 때, 담론 수업은 4명을 한조로 실시하였고, 각 조별로 사전검사에서 틀린 문제를 활동규칙에 따라 짝을 지어 문제를 맞힌 학생이 틀린 학생에게 설명을 하는 방식이다. 또한 문제해결력의 향상에 영향을 준 학생들의 담론의 특징분석을 통하여 담론수업의 효과성에 대한 근거를 들고자 담론 수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학생들의 담론을 녹음하였다. 본 연구자는 담론녹음자료와 소그룹 학습 활동지 및 만족도 설문지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담론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등학교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를 위하여 설문지를 돌리고, 설문지 문항별 점수 분석과 서술형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답안분석을 통하여 담론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수학적 의사소통을 강조한 담론수업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사후 점수와 사전 점수의 차를 각 변량으로 t-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의 결과 유의도가 2학년 6반은 .050, 2학년 9반은 .000, 2학년 10반은 .000으로 유의수준 .05 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수학적 의사소통을 강조한 담론수업은 고등학교 기하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이 향상 되었다면, 담론의 어떤 부분이 영향을 주었는가? 학습효과가 가장 좋았던 조의 담론분석의 결과 몇 가지 특징을 발견하였다. 우선 학생들은 하나의 문제에 대한 친구들의 다양한 풀이방법을 공유할 수 있어 문제 해결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가질 수 있었다. 또한 즉각적인 질문과 피드백 등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함으로서 수업에 대한 흥미를 느끼고, 수학수업에 대한 지루함을 덜어 주는 효과를 가졌다. 더불어 동료와의 수학적 의사소통을 통하여 반복학습의 효과 또한 있었다. 비교적 수학에 흥미가 없던 학생들도 동료와의 친근한 말투와 대화로 인하여 즐거움과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임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수학문제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수학공식이 기억나지 않을 때는 동료와 함께 직접 유도함으로써 문제에 대한 성취감과 기쁨을 맛보는 기회를 가진 것을 볼 수 있었다. 3. 담론수업의 효과는 이미 이전의 수많은 연구와 본연구의 결과를 통해 입증 되었다. 그렇다면 과연 담론 수업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는데, 이에 답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만족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인 2학년 6반은 만족도 평균점수 1점, 2학년 9반은 만족도 평균점수 0.87점, 2학년 10반은 만족도 평균점수 0.77점으로 3개의 반 만족도 평균점수가 0.88 으로 보통이다(0점) 이상으로 산출되었다. 또한 설문지 서술형 문항의 답안의 90%가 긍정적인 답변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대부분의 학생들이 담론수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조선후기 ‘열녀담론’ 연구 : <열녀전>을 중심으로

        박선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조선조 내내 여성에게 지배적이었던 ‘정절이념’은 최상위의 윤리의식으로 자리 잡으면서 하나의 풍속처럼 내면화 되어갔다.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열녀담론’의 형성 배경과 전개과정을 통하여 이러한 내면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조선시대 규범적 여성의 표상이었던 ‘열녀’가 단순히 중국의 유교이념의 영향을 받아 생긴 자연스러운 결과물이 아니라, 사대부 계층의 체계적인 계획아래 의도적으로 형성되었음에 주목하였다. 이에 사대부의 사회적, 정치적 함의가 잘 드러난 열녀전과 역사기록을 중심으로 열녀전에 나타난 서술방식과 열녀의 양상을 사회적 배경과 관련지어 ‘열녀담론’의 한 가닥 실체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조선은 건국시작부터 성리학의 이념을 토대로 유교이념을 강화하였고 이를 위하여 교화서의 편찬 및 다양한 정표 정책을 실시하였다. 특히 임·병 양난 이후에는 전쟁으로 무너진 유교 이념을 재정립하고자 유교이념 중 ‘정절이념’을 최우선으로 하여 적극적으로 열녀담론을 확산시켜 나갔음을 알 수 있다. 조선후기를 네 시기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열녀담론’은 각 시기마다 미묘한 차이를 드러내었다. 17세기에는 유가적 ‘禮’의 실천이 열행의 주요 기준으로 자리 잡으면서 유가적 교화의 도구로서 열녀를 이용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8세기는 가문과 문중의 중요성과 경쟁이 열녀의 배출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양상을 띠면서 죽음을 동반한 획일적이고 강화된 열행이 신분에 상관없이 일반화되는 현상을 보였다. 19세기에는 열의 개념이 남편을 위한 정절의 개념에서 벗어나 제사후사문제 해결과 가정을 위해 평생 헌신하는 현실적이고 포괄적인 성격으로 확장되면서 가족을 위한 여성의 헌신과 노동력은 유교적 가정유지와 사회적 자본의 초석이 되는 생산성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개화기는 급격한 사회변화와 이념의 대립 속에서도 기존의 ‘열녀담론’이 유지될 수 있었다. 그 이유로 정통유학자들은 ‘민족’이라는 이름을 내세워 열녀에 더욱 집착하였고, 계몽지식인들은 여성의 욕망과 개인의 삶을 내세우며 ‘改嫁論’을 제시하면서도 수절하는 여성의 미담을 끊임없이 기록하고 칭송하는 이중적인 관점을 유지하면서 열녀를 도덕적으로 신화화시키는 작업을 그치지 않은 데서 찾을 수 있다. ‘열녀담론’의 문학사적 의의와 한계에 대해서는 ‘열녀담론’을 다룬 수많은 텍스트들이 갖는 서사적인 특징과 경험들이 문학작품으로 확장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될 수 있었던 점에서 문학사적으로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열녀전도 조선후기로 갈수록 점차 서사문학으로 발전 변모되는 양상을 보이며 다양하게 전개되었지만 ‘열녀담론’의 근원적인 문제점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아내지 못하고, 이념 교화서의 성격에서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좀 더 생산적이고 발전적인 ‘열녀담론’으로 나아가지 못한 한계성을 드러내었다고 보았다. 또한 약속이나 한 듯 여성의 열 행위 중 죽음만을 강조, 묘사하는 공통된 서술방식을 보임으로써 여성의 몸과 죽음에 대한 사대부들의 획일적이고 경직된 유교적 관념을 드러내보였다. 이로써 열녀전 어디에도 여성의 삶과 목소리는 나타나지 않고, 오직 사대부 남성이 바라는 유교적 여성상만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종합해 본 결과 ‘열녀담론’의 가장 큰 문제점은 열녀나 열행의 기준이나 평가가 어떠한 기준으로 지켜지는 영역이 아니라, 지배층들의 개인적 이익과 수시로 변하는 정치적 사안에 따라 끊임없이 의도적으로 반복되어 재생산되거나 변형된다는 사실에 있다. 이렇듯 시대가 변해도 보편성이라는 기준아래 또 다른 형태의 권력과 담론의 연합이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더 객관적인 시선으로 사회적 담론들에 대한 비판과 관심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그 시대의 담론은 새로운 역사로 재생산될 수 있기에 역사와 담론, 문학 작품 간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과거의 경험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을 찾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과제다. ‘Fidelity ideology’ which was dominant for women throughout Joseon Dynasty settled as the highest ethics and became internalized like a custom. This research tried to look over these internalized processes through the background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es of ‘exemplary women discourse’ in latter Joseon Dynasty.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d that ‘exemplary women’ which were the representation of normative women in Joseon era were not natural result formed simply by the influence of Chinese Confucianism, but intentionally formed under a systematic scheme of noblemen hierarchy. Therefore, based on exemplary women stories and history records well exposed for the implications of noblemen’s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t tried to explore the true natures of ‘exemplary women discourse’ associating with social background in narrative methods and aspects of exemplary women. Joseon reinforced Confucian philosophy based on Neo-Confucianism philosophy from the start of its nation, and executed compilation reformation and various memento policies. Especially, after Imjin Wa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Byungja War (Manchu war of 1636), it prioritized ‘fidelity ideology’ in Confucian philosophy in order to reestablish Confucian philosophy which was shattered by the wars, and one can see that it spread exemplary women discourse actively. As the result of dividing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s era into four, ‘exemplary women discourse’ revealed subtle differences for each period. In 17th century, practice of Confucian ‘etiquette’ settled as the main basis of chaste reputation, and showed tendency to utilize exemplary women as a tool of Confucian reformation. In 18th century, the importance of family and clan, plus the competition showed appearance that closely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exemplary women appeared to generalize for the occurrence regardless of one’s status on strengthened chaste reputation which is uniform accompanied by the death. In the 19th century exemplary concept escaped from chastity concept of husband and got expanded into a realistic and comprehensive nature that devoted lifelong for the family as well as problem solving after memorial services. In addition, it obtained productivity implications that became cornerstone for maintaining Confucian family and social capital. In the time of enlightenment, existing ‘exemplary women discourse’ could be maintained with the rapid social changes and confrontation of ideologies. As its reason, traditional Confucians got more obsessed with exemplary women by placing with the name of ‘ethnic group race’, and enlightenment intellectuals presented ‘remarriage ideology’ placing desires of woman as well as lives of individuals, yet continuously recorded and honored impressive stories, where women maintaining one’s integrity in dual perspectives, yet never stopping works to make mythology on exemplary women into morality. Regarding literatur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exemplary women discourse, it considered for its significance as literature from the viewpoint that many texts dealing with ‘exemplary women discourse’ including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could be the driving force to be extended as literature. exemplary women stories variously developed showing aspects that gradually transformed into the narrative literatures toward the late Joseon Dynasty, but it did not have critical viewpoints on source problems of ‘exemplary women discourse’ and escap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ideological narrative stories, so it revealed limitations for not being able to progress into more productive and constructed ‘exemplary women discourse’. Furthermore, by showing into the common narrative methods of emphasizing and describing the death among women’s exemplary behaviors as it is being promised, it revealed noblemen’s uniform and rigid Confucian notions. Therefore, exemplary women stories do not appear women’s lives and voices, but only Confucian women’s figures exist by the viewpoint of noblemen. Taken together for all these series of course results, the biggest problems of ‘exemplary women discourse’ are not followed by the area protected by exemplary standard and assessment. However, it is within the truth that it is constantly repeated on purpose to be reproduced or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fluctuating political issues and personal interests of rulers. Since different forms of power and union of discourse can appear at any time under the criteria of universality even the age changes, so interests and criticisms should be made for social discourse with the objective viewpoints. Also, research should continue to find a way to move forward after reviewing past experiences within clos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discourse, and close relationships among literatures.

      • 아시아나 항공사고 보도에 대한 국가간 비교연구 : YTN, CNN, CCTV 보도에 대한 기호네트워크분석(SNA)과 담론구조분석(DSA)을 중심으로

        김진용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의 뉴스보도가 수용자들의 현실인식구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전제로 2013년에 발생한 ‘아시아나 항공의 미국 샌프란시스코 추락사고’에 대한 보도가 어떠한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어떠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고가 발생한 2013년 7월 7일부터 아시아나 항공에 대한 징계가 확정된 2014년 12월 5일까지 한국의 YTN, 미국의 CNN, 중국의 CCTV에서 보도된 기사들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백선기 교수의 기호네트워크분석(Semiotic Network Analysis : SNA)과 담론구조 분석(Discourse Structure Analysis : DSA)을 사용하여 해당 방송사의 뉴스보도 패턴과 그에 따른 함의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1국면에서 나타난 세 방송사의 차이를 살펴보면, 한국 YTN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의 기계적 결함과 항공기의 결함을 사고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한 반면, 미국 CNN은 한국 아시아나 항공사 소속 조종사의 과실이 주된 사고원인이라고 지목하고 있다. 또한 중국 CCTV는 자국민의 사망과 관련해 인명피해와 현장의 혼란스러움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보도하고 있다. 제 2국면에서는 사고에 대한 조사가 본격적으로 진행이 되고, 조종사의 과실이 사고의 주된 원인일 수 있다는 점이 발표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대해 한국 YTN은 아직 정확한 사고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니 계속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보도를 주로 한 반면, 미국 CNN은 제 1국면에서 지목하였던 조종사의 과실을 해당 조종사의 비행시간까지 언급하며 더욱 구체적으로 보도하기 시작하였다. 중국 CCTV는 이번 사고로 ‘한국인의 사망은 없고, 중국인이 사망했다는 사실은 다행’이라는 한국 언론의 보도와 미국이 주도하는 보상대책에서 사망자인 중국인의 보상금액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에 대한 중국인들의 분노를 주된 내용으로 보도하였다. 더불어 제 2국면에서 CNN만이 항공기 사고 시 승객들의 비상대처법을 자세하게 설명함으로써 재난발생시 미디어의 역할을 충실히 하려 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제 3국면에서는 사고원인에 대한 조사가 속속 마무리됨에 따라 한국 YTN과 미국 CNN은 비슷한 보도경향을 보이게 된다. 하지만 YTN은 계속해서 기계적 오류도 사고원인의 일부라는 보도를 함으로써 사고의 직접적 원인이 조종사의 과실만은 아니라고 보도하는 반면, CNN은 기체결함이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이를 조종사가 인지하고 안전하게 착륙시키는 것이 조종사의 임무라고 지적하며, 이를 인지하지 못한 것도 조종사의 과실 중에 하나라고 보도하였다. CCTV는 이와는 다르게 구조과정에서 구조차량과의 충돌로 추가 사망한 3번째 중국인에 대한 사고조사에서 구급차를 운전했던 구급대원이 불기소 처분을 받자, 사고원인조사가 미국주도로 이루어져 공정하지 못하다고 보도하며 이에 대한 중국인들의 분노를 보도하였다. 제 4국면에서는 최종사고조사에 대한 발표가 있고 난 후, 한국 YTN과 미국 CNN은 사고원인은 아시아나 조종사의 과실이라는 보도를 공통적으로 하였고, 중국 CCTV는 이번 사고에 대한 조사와 사후대처에서 발견된 중국인의 차별에 대한 분노를 보도하며, 앞으로 이러한 차별은 존재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지적하였다. 결론적으로 세 방송사는 한 가지 사건을 보도함에 있어서 각자 이데올로기와 입장에 맞추어 뉴스를 새롭게 재탄생시키고, 그로 인해 수용자가 받아들이는 현실은 접한 미디어에 의해서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결과로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재난발생시 미디어가 대처방법이나 행동요령 등을 보도하는 것이 부족하여 언론사의 사회적 중요성만큼 그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 대한 결과로 인해 수용자가 접하는 뉴스란 있는 사실 그대로의 것이 아닌 미디어에 의해서 재탄생한 것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