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산광역시 대학 졸업자의 취업이동 특성과 결정요인 분석

        김노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09

        지식기반경제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대졸 이상 학력을 가진 인적자본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부산지역의 경우 인구가 순유출되고 있으며,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지역 인재의 유출은 더욱 심각한 실정이다. 지속적인 지역 인재의 유출은 지역 간 불균형의 심화를 불러오고, 지역의 성장 잠재력 및 경쟁력을 저하시키며, 이를 통해 다시 지역 인재가 유출되는 악순환의 우려가 있어 심각한 지역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해 부산시 대졸자 취업이동의 실태를 분석하고, 취업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해 지역 내 청년 유출을 완화 시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 부산광역시 대학 졸업자의 취업지를 부산지역, 울산·경남지역, 수도권 지역, 기타지역으로 총 4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부산시 지역 인재의 취업이동 실태 및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취업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도출한다. 셋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부산시 지역 인재 유출 현상 완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부산지역 대학 졸업자의 취업이동 특성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시 대졸자를 대상으로 취업이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 대졸자의 절반가량이 부산시에 정착하지 않고 타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지역 취업이동자는 정보통신업 및 전문과학 기술 서비스업 등의 산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취업이동 지역선택 중 울산·경남 지역을 취업이동 지역으로 선택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별, 직업교육 이수 여부 등의 변수로 도출되었다. 수도권 지역의 경우 취업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근로소득, 취업 지역의 종사자 수 등으로 도출되었으며, 기타지역의 경우에는 성별, 학교 유형, 사업체 규모 등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부산시 대졸자의 취업이동 특성분석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지역 대졸자의 유출을 막기 위해서 제시하고자 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타지역 취업이동자들이 선호하는 산업 분야의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며, 지역 인재 정착에 대기업 유치 또는 중소기업 지원 등의 정책이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취업이동에 주거 임대료 및 문화의 수준 등 지역의 특성이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에 따라 일자리지원에 초점을 맞춘 현재의 청년 정책에서 벗어나 주거, 문화, 복지 분야 정책의 비중을 확대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지역산업육성 정책이 기업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 세종특별자치시소재 기업 중심으로

        조창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77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지역 산업군의 특징에 맞춰 지역산업진흥계획을 수립하고 지역 주축산업과 미래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기업지원 사업들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정책 사업들이 실질적으로 기업성장에 어떤 정량적 성과를 가져왔는지, 더 나아가 어떤 기업이 수혜를 받았고 어떻게 해당사업을 받게 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균형발전에 중심에 있는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매해 세종테크노파크에서 조사하는 세종지역특성데이터와 사업별 수혜기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업 수혜기업과 비수혜기업의 매출액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해본결과 사업지원을 받은 기업들이 매출액 기준 성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업별 지원기업들의 변수를 활용하여 사업별 분류모델을 구축해보았다. 의사결정나무와 다항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활용하여 모델을 구축하여 비교분석결과 의사결정나무 분류모델이 사업지원 분류정확성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정책사각지대에 있는 유망기업 발굴 및 적재적소에 사업지원으로 지역 내 기업 성장에 확대를 도모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various corporate support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to establish regional industrial promotion pla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industries and foster regional main industries and new future industrie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what quantitative results policy projects have actually brought to corporate growth, and furthermore, which companies benefited and how they came to receive the project. In this study,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which is at the center of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compared and analyzed the sales of business beneficiaries and non-beneficiary companies using Sejong Regional characteristic data surveyed by Sejong Techno Park every year. In addition, a classification model for each project was established by utilizing the variables of supporting companies for each project. A model was constructed using decision tree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the decision tree classification model showed better business support classification accuracy. Through this,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growth of companies in the region by discovering promising companies in the policy blind spot and providing business support in the right place.

      • '다문화' 시대의 정체성 형성 : 이주배경청소년의 문화수용태도를 중심으로

        김효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7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이주배경청소년의 정체성과 사회적 관계가 다층적인 문화수용태도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호영향을 미침을 밝히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해, 이들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했다. 양적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하는 다문화청소년패널데이터(MAPS)를 이용해 잠재계층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일반적인 논리와 이해를 도왔다. 또한 보다 세밀한 메커니즘 분석을 위해 심층면접을 함께 진행하였고, 다양한 이주배경과 문화수용태도를 고려해 총 8명의 청소년을 통해 심층 면접을 진행했다. 그 결과 첫째, 문화수용태도를 ‘향유하는 문화’와 ‘진학 및 거주희망’의 문화로 세분화했을 때에, 문화수용태도의 잠재집단은 3개(한국문화수용집단, 비한국문화수용집단, 이중문화수용집단)로 도출되었다. 둘째, 비한국문화집단을 준거집단으로 삼고 사회적 관계들에 대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했을 때 한국문화수용집단과 이중문화수용집단에서 부모와의 관계와 친구와의 관계가 상당히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셋째, 정체성과 사회적 관계의 상호작용을 보며 문화수용태도를 살폈을 때에, 세 집단은 모두 스스로를 한국인으로 정체화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어떤’ 한국인인지 정체화함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였다. 한국어의 능숙도, 견고한 친구 관계, 외국인 부모의 노력, 부모 모두의 노력 등이 이들의 상이한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주배경청소년의 문화수용태도 형성에 있어서의 정체성과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함의와 제언을 논의한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with a particular attention to their personal identities and social relationships. Specifically, this paper identifies how their identities and social relationships interactively formulate dissimilar attitudes regarding cultural acceptance. Mixed methods are applied to both examine the general process as well as the specific mechanism of this process. Regarding quantitative analysis, a combination of latent class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is adopted using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 a panel 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terms of qualitative analys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 total of 8 teenagers as well as their par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This study yields three important findings. First of all, three dissimilar groups are identified regarding their 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Korean culture group, non-Korean culture group, and integration group. Secondly, both parental relationships and peer relationships matter regarding the formation of 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Finally,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identify themselves as Koreans regardless of their culture acceptance attitudes, but at the same time, they differ regarding what type of Koreans they are. Both the role of parents and proficiency in Korean turn out to be critical in shaping their identity, social relationships, and 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conclusion.

      •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정신재활시설 이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정신재활시설 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허형섭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5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decision to use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mentally disabled people in the community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for each type of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y. Mental health services for the mentally disabled have gradually been integrated into the community from facility accommodatio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oriented services in the past, and the role of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at provide these services has become important. However,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ccount for a low proportion of all mental health service providers, and the number of mental medical institutions still occupies an absolute advantage, raising the importance of an absolute quantitative increase in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However, currently,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utiliz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facility, and although the utilization rate of residential facilities that provide daytime rehabilitation services is saturated, the utilization rate is low. Considering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act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disabled on the decision to use the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y by facility type in order to expand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lead the mentally disabled to consumers.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 basis for expanding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and compare the personal factors of the mentally disabled that affect the use of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o deriv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classifie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disabled in the community into leading factors, possible factors, and desire factors according to the Andersen model, and analyzed the use of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by facility type. The analysis data were analyzed on 990 people who answered whether to use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the 2017 "Status Survey on the Mentally Handicapped in the Community," a research service project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mpared to not using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dds of using residential facilities, using residential facilities, and using both residential and used facilities. First of all, when the basic model was verified, there were no problems in the normality of independent variables,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multicollinearity, so it was found to be suitable as a research model. The results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model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residential facilities, in the preceding factors, age, education level, and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showed positive results, and marital status showed negative results. In terms of possible factors, supply and demand status and employment status were static, in terms of desire factors, the desire to use residential facilities was static, and family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significant were negatively significant. In the use-type facility, age was negatively significant in the preceding factors, and education level and gender were positively significant. In the possible factors, subjective class awareness and employment status were statically significant, and in the desire factors, disability registration and desire to use residential facilities were sta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using both facilities,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employment status, and desire to use residential facilities were statically significant, and the desire to use residential facilities and family relationships were negatively significant. Among them, the variables that were commonly significant in the three types were employment status and desire to use residential facilities, and the variables that were equally static in the use of residential and use facilities were the level of education. However, the 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residential and use-type facilities, but the impact was the opposite. Finally, in the case of using both residential facilities and both facilities,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family relationships were common.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 of comparing and analyzing whether mentally disabled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decide to use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by classifying them by facility type. In addition, unlike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ly on individual welfare services,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use of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facility. Based on this,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were proposed to expand users of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improve facilities. First, as a practical implication, both use-type and residential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should actively develop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or activate workplace development or inter-institution linkag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disabl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ssessment and evaluation tools that can grasp the needs of the mentally disabled in the use of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multiple and specific ways, and to expand links between institutions for continuous service provis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esidential facilities, family education and counseling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factors that hinder the use of the facility by identifying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of the mentally disabl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ervene to detect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are economically vulnerable early and provide housing rights. As a policy implication, the current disability registration system for the mentally disabled, which is set to medical standards, should be revised or abolished focusing on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human rights of the mentally disabled. In addition, the regulations on the use of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should be completely revised to deviate from the framework of protective obligations, and a system that can be changed to focus on decision-making or procedural assistance for mentally disabled people should be actively utiliz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cure continuity of services by developing information windows or opening platforms to strengthen connectivity between mental health-related institutions and provide information on institutional us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did not specifically reflec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organizations and policies that affect the operation of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the provision of services.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entally disabled because variables that can identify the family and informal support system, which are the support systems of the mentally disabled, are not reflected. Since there is a lack of consideration for economic factors such as detailed income level of each mentally disabled person or budget for mental health-related input, future studies will identify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the mentally disabled and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정신재활시설 이용 결정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고 정신재활시설 유형별로 변인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서비스는 과거 시설 수용과 치료 및 재활 중심의 서비스에서 점차 지역사회에 통합되고 인권 및 복지 중심의 서비스의 확대가 중심이 되면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신재활시설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그러나 정신재활시설은 전체 정신건강서비스 제공 기관 중 낮은 비율을 차지할 정도로 절대적인 수가 부족한 상태이며, 여전히 정신의료기관의 수가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어 정신재활시설의 절대적인 양적 증가가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다만 현재 정신재활시설은 시설 유형에 따라 이용률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주로 주간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용형 시설은 이용률이 포화 상태이지만, 주거서비스를 제공하는 주거형 시설은 이용형 시설보다 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용률이 저조한 상태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했을 때, 정신재활시설의 확충 및 향후 탈원화되어 지역사회에 통합될 정신장애인을 소비자로 이끌기 위해서는 정신장애인의 개인적 특성이 정신재활시설 이용 결정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시설 유형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재활시설을 확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정신재활시설 유형에 따라 시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장애인의 개인적 요인을 파악하고 비교 분석하여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개인적 특성을 Andersen 모형에 따라 선행 요인, 가능 요인, 욕구 요인으로 구분하여 독립변수로 설정한 후 정신재활시설 이용 여부를 시설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2017년 보건복지부 연구 용역 과제인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현황조사’ 자료에서 정신재활시설 이용 여부에 답한 99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주거형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이용형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주거형과 이용형 시설 모두 이용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이용을 결정하는 승산을 구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기초 모형을 검증했을 때 독립변수의 정규성과 변수 간 상관관계, 다중공선성에서 문제점은 없어 연구모형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에 따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주거형 시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선행 요인에서는 연령, 교육 수준, 가구원 수가 정적인 결과를, 결혼 여부는 부적인 결과를 보였다. 가능 요인에서는 수급 상태, 취업 여부가 정적으로 유의했으며, 욕구 요인에서는 주거형 시설 이용 욕구가 정적으로 유의했고, 가족 관계, 우울은 부적으로 유의했다. 이용형 시설에서는 선행 요인에서 연령이 부적으로 유의했고, 교육 수준, 성별이 정적으로 유의했다. 가능 요인에서는 주관적 계층 인식, 취업 여부가 정적으로 유의했고, 욕구 요인에서 장애등록, 주거형 시설 이용 욕구가 정적으로 유의했다. 두 시설을 모두 이용한 경우에서는 가구원 수, 취업 여부, 주거형 시설 이용 욕구가 정적으로 유의했으며 이용형 시설 이용 욕구, 가족 관계는 부적으로 유의했다. 이 중 세 유형에서 공통으로 유의했던 변수는 취업 여부, 주거형 시설 이용 욕구였으며 주거형, 이용형 시설 이용에서 똑같이 정적으로 유의했던 변수는 교육 수준이었다. 다만 연령은 주거형, 이용형 시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나 영향은 반대로 작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주거형 시설과 두 시설 모두 이용한 경우는 가구원 수, 가족 관계가 공통으로 유의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들의 정신재활시설 이용 결정 여부를 시설 유형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는 함의를 가진다. 또한 개별 복지서비스로만 한정해서 실시한 선행 연구와 달리 시설의 유형에 따라 정신재활시설 이용 유무를 살폈다는 의의를 가진다. 이를 바탕으로 정신재활시설의 이용자 확충 및 시설 증진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먼저 실천적 함의로는 이용형과 주거형 정신재활시설 모두 직업 재활 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하거나 정신장애인의 취업을 증진할 수 있도록 정신장애인의 특징을 고려한 작업장 개발이나 기관 간 연계를 활성해야 한다. 또한 정신재활시설 이용에 있어 정신장애인의 욕구를 다원적이며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사정 및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연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관 간 연계를 확장해야 한다. 특히 주거형 시설의 경우 정신장애인의 가족의 질적 특성을 파악해 시설 이용을 저해하는 요인을 개선하기 위한 가족 교육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경제적으로 취약한 정신장애인을 조기 발견하고 주거권을 제공하기 위한 개입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정책적인 함의로는 우선 의료적 기준에 맞춰진 현 정신장애인 장애 등록 제도를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특성 및 인권을 중심으로 개정하거나 폐지해야 한다. 또한 정신재활시설 이용 규정을 보호의무자라는 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전면 개정하여 정신장애인의 의사결정 중심으로 바꾸거나 절차 보조를 할 수 있는 제도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또한 정신건강 관련 기관 간 연계성을 강화하고 기관 이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정보 창구를 개발하거나 플랫폼을 개설해 서비스의 연속성을 확보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정신재활시설 운영 및 서비스 제공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및 정책 등 환경적 요인을 구체적으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또한 정신장애인의 지지체계인 가족, 비공식적 지지체계를 파악할 수 있는 변인들이 반영되지 못해 정신장애인의 주변 환경에 대한 특성을 고려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정신장애인 각 개인의 자세한 소득 수준이나 정신건강 관련 투입 예산 수준 등 경제적 요인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며, 사각지대에 속해 있는 정신장애인이 연구 대상자로 포함되지 않았기에 향후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 및 정신재활시설 관련 환경적 요인을 파악해 연구 분석에 반영하고, 전체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향후 다양한 실천 및 대안을 추론할 수 있도록 제언하고자 한다.

      • 다층보장체계 노후소득보장 가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민구홍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3

        Based o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consideration of the multi-pillar system, this study presented the coverage status of pension that may appear i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differences among the secondary baby boomers(born in 1965-1974). To this end, 1,424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was analyzed in secondary baby boomers who did not be covered by specific corporate pension, using data from Korea Institution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orea Welfare Panel Study 『 』 in 2019. Through cross-analysis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determinants of multi-piller system were found within the secondary baby boomers. Based on that, policy directions and alternatives for individual resolution were suggest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40% of the secondary baby boomers were exposed to the non-pension type or only covered by the national pension, indicating that they were quite vulnerable to retirement security, and that non-wage based workers are more vulnerable to retirement security than wage based workers. More than 70% of wage based workers were in the form of pension coverage on the second floor or higher, but 83% of non-wage based workers were exposed to non-pension type or only covered by the national pension, indicating that a large difference in pension coverage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wage-based or not. Second, in the occupational category, simple labor worker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vulnerable pension coverage type than other occupational category. More than half of them belong to temporary and daily workers, so they are excluded from the occupational pension, and even the national pension. Third, as the overall size of the workplace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ing covered in the upper tier of pension increased. And as the size of the workplace increased, the proportion of wage based workers increased, which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pension type on the second tier or higher. Fourth, in the multi-pillar system, as income increased,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voluntary implementation of voluntary-private pension subscription. This can be estimated that voluntary-private pension subscriptions are mainly centered on high-income earners, and wage based workers subscribe voluntary-private pension for tax benefits in addition to income guarantees on the first and second tier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at non-wage based workers have weaker retirement guarantees than wage based workers, the Durunuri social insurance should expand from wage based workers to non-wage based workers at workplace with less than 10 employees to resolve the blind spot of the national pension. Second, simple labor workers are the most vulnerable workers among occupation category, so it is required to improve finding out their income and found a system to secure pension rights by reducing insurance premiums for low-income workers. Finally, the suggestion through institutional review is to found new policies in private areas that can reduce the burden of accumulated money of small workplace owners in order to revitalize the occupational pension introduction rate of small workplace. 본 연구는 다층보장체계의 법적, 제도적 고찰을 바탕으로 경제활동인구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연금가입유형을 제시하고, 제도의 성숙도에 따라 영향력이 달리 나타나는 점을 고려하여 2차 베이비붐 세대(1965-1974년생) 내에서는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 2019년 1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특수직역연금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2차 베이비붐 세대에서 경제활동계층 1,424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차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을 통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2차 베이비붐 세대 내에서의 노후소득보장을 점검하고 발견되는 가입결정요인별 해결을 위한 정책방향과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차 베이비붐 세대의 40%이상이 무연금 유형이나 국민연금에만 가입되어 있어 세대 내 노후보장에 있어 상당수 취약한 구조가 나타났고, 비임금근로자가 임금근로자에 비해 노후보장에 취약한 결과가 나타났다. 임금근로자의 70% 이상은 2층 이상의 연금가입형태를 보이나, 비임금근로자의 83%가 무연금이나 국민연금에만 가입된 결과가 나타나 임금근로자여부에 따른 연금가입유형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종사직종에서 단순노무직이 다른 직종에 비해 매우 취약한 연금가입유형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들의 과반 이상이 임시·일용직에 속해 있어 퇴직(연)금 당연가입대상에서 제외되어 있고 국민연금조차 소득파악이 되지 않아 무연금 유형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전반적으로 사업장 규모가 커질수록 상위의 연금유형 가입 확률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사업장규모가 커질수록 임금근로자의 비율이 높아져 2층 이상의 연금가입형태에 속할 확률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다층보장체계에서 소득이 증가할수록 자발적인 개인연금 가입 이행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개인연금 가입이 주로 고소득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임금근로자의 경우 1,2층 소득보장에 더해 세제혜택을 목적으로 가입한다고 추정해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언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비임금근로자가 임금근로자에 비해 노후보장이 취약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을 기존 10인 미만 사업장 임금근로자에서 비임금근로자까지 적용대상을 확대하여 국민연금 사각지대에 대한 해소 방안을 제시한다. 둘째, 종사직종에서 단순노무직이 노후보장에 있어 가장 취약한 직종으로 나타나 이들의 소득파악에 대한 개선과 함께 저소득근로자의 보험료 경감을 통해 연금수급권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의 도입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제도적 고찰을 통해 살펴본 제언으로 영세사업장의 퇴직연금 도입률 활성화를 위해 영세사업장 사업주 적립 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는 사적영역에서 새로운 정책 도입 필요성을 제시한다.

      • 지적장애인 직업역량 프로파일과 예측요인 탐색

        이경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3

        직업은 지적장애인에게 있어서 비장애인과 동일하게 경제적 자립의 기반이 되고, 사회에 소속감을 가지게 하며, 결과적으로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직업역량 유형에 따라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하여 잠재집단 특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도구는 ICF에 근거하여 범장애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장애인 고용 다양성 검사(2020)>을 활용하여 지적장애인 2,021명의 검사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분석과정은 3단계로 이루어진다. 우선, 지적장애인에게 요구되는 직업역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요인추출 분석하였다. 직업역량은 7개 역량(대인관계 역량, 시간관리 역량, 인지기능 역량, 대근육 사용, 소근육 사용 및 이동 능력, 긍정정서, 부정정서)으로 구분되었으며, 추출된 직업역량을 기준으로 지적장애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여 하위 잠재집단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3개의 잠재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각각 ‘직업역량 충족집단’. ‘직업역량 미충족: 전반지원 요구집단’, ‘직업역량 미충족: 집중지원 요구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지적장애인의 직업역량에 따른 3개의 하위 잠재집단의 특징과 강·약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및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관련 요인, 장애 관련 요인, 고용 관련 요인을 예측변수로 투입하여 잠재집단을 구분하는 데 영향을 미친 변수를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인의 직업역량 하위 7개 요인은 ICF 기준의 장애 정의와 일치하며 인지 기능에서의 제한 외 직업역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지적장애인의 직업역량 변화 가능성에 초점을 주고 학령기부터 직업역량을 교육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는 지적장애인의 고용서비스 및 직업역량 계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지적장애인 하위 잠재집단은 크게 ‘직업역량 충족집단’과 ‘직업역량 미충족집단’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하위 집단에 따라서 고용서비스 지원이 개별화되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잠재집단을 예측하는 변수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개인 관련 요인에서는 최종학력과 연령대, 고용 관련 요인에서는 취업경험횟수가 유의하게 잠재집단을 구분하였다. 추가로 일상생활 도움요구 정도, 장애수용 정도, 취업의지 정도를 예측변수로 투입하였으며 각 잠재집단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적장애인을 위한 직업역량 계발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 job is regarded as the basis for economic independence, construction of a sense of belonging to society, and consequently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like people with non-disabilit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ypes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elong to each latent profiles by relating to auxiliary variables based on vocational competency. Data were gathered from 2,021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ver the age of 16 using the <Employment Service Judgment Tool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2020)>, which was developed for all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ICF. The analysis of the study consists of three steps as follows. First, the vocational competency required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regarded as one group by limitation of the intellectual function, is identified in seven sub-areas; interpersonal competency, time-management competency, cognitive-function competency, gross motor skills, fine motor skills and mobility,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Secon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identified three heterogeneous group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distinguished by different pattern of vocational competency : Fulfilled Vocational Competency Group (68.6%), Unfulfilled Vocational Competency Group: Overall Support Demand Group (23.3%), and Unfulfilled Vocational Competency: Intensive Support Demand Group (8.1%).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three sub-potential groups according to the vocational competency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nall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found that compare the sub-groups and verified whether the availability of individual-related factors, disability-related factors, and employment-related factors affecting these groups as predictor. Based on these results, the seven sub-areas of vocational competenc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fficulties are consistent with the definition of disability derived from ICF standards, and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vocational competency beyond the intellectual limitation. Through a focus on the strength of the areas, it is required to make an emphasis on the possibility of change and educate vocational competencies from school age, which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employment services and vocational competenci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Next, findings confirm that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vocational competency occur as multiple rather than a homogeneous group which has limitation on intellectual functions. Also, the sub-potential group classified by three latent profiles can be broadly re-classified into a 'Fulfilled vocational Competency Group' and an 'Unfulfilled vocational Competency Group', and employment service support should be individualized and supported according to the belonging to the sub-groups. Finally, the variables predicting the three latent profiles were examined, and the education level and age group were classified in individual-related factors, and the number of employment experiences was classified in employment-related factors. In addition, the degre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status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the level of work volition were input as predictors, and each potential group was classifi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ompetency for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코로나19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일상적 이타행동 의향 관계 연구 : 일상적 이타행동 경험의 조절효과 분석

        이예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3

        본 논문은 코로나19가 개인에게 미친 사회·경제적 영향이 일상적 이타행동 의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 관계를 확인하고, 일상적 이타행동 참여 경험이 그 관계 안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 영향 요인은 코로나19로 인한 소득 변화와 감정 변화 문항을 활용하였으며, 일상적 이타행동은 기부, 자원봉사, 기부와 자원봉사 모두를 대상으로 하여 이타적 행동의 지속성과 몰입성에 대한 경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20년 서울복지실태조사의 3,027개의 가구 데이터를 연구 대상으로 활용하였으며,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이타적 행동 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하여 기부 의향을 가진 집단은 자녀 수(-), 기부 참여 경험(+), 봉사 참여 경험(+), 기부와 봉사 참여경험(+)에 유의한 영향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로 인한 감정 변화와의 관계에서 어떠한 이타적 행동 참여 경험도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이타적 행동 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하여 봉사 의향을 가진 집단은 봉사 참여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로 인한 감정 변화와의 관계에서 어떠한 이타적 행동 참여 경험도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준거집단에 비해 기부와 봉사 모두에 의향을 가진 집단은 가구원 수(+), 자녀 수(-), 주거 만족도(-), 기부 참여 경험(+), 봉사 참여 경험(+), 기부와 봉사 참여 경험(+)이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로 영향 요인과의 관게에서 어떠한 이타적 행동 참여 경험도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타적 행동의 경험은 이타적 행동 의향에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 또한 코로나19가 개인의 사회적, 경제적 상황에 미친 영향은 향후 이타적 행동 의향에 미치지 않았다는 결과를 통해 재난 속에서 일어난 이타적 행위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을 이끌어 낸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일어난 사람들의 이타적 행동 양상을 규명하고 검증했다는 점에서 함의를 가지며, 이타적 행위의 지속성을 결정하는 이타적 행위 의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에 따라, 기부와 자원봉사에 대한 이해와 확장을 이끌어 내었다. 또한, 비영리기관과 정부에게 기부와 자원봉사 활성화에 대한 전략적 접근을 가능케 하는 실천적 기반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기부문화와 자원봉사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적 토대를 제공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experience of altruistic behavior in the social and economy impact of the COVID-19 and intentions of philanthropic behavior. The factor of COVID-19 impact is variation of income and emotion in COVID-19 pandemic period. Altruistic Behavior factor is examined by donation and volunteer, both of all, so It's possible to understand tendency to the important continuity factor of generosity behavior.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3,027 household responses from the Seoul Welfare Survey 2020 in this stud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group that has no intention of altruistic behavior, The Group that had future donation intention was influenced by the number of children(-), donation experience(+), Volunteer experience(+), experience of altruistic behavior(+). Also, Any generosity behavior experience had a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e effect on relation between future donation intention and the emotional variation in COVID-19. 2nd, Compared to the group that has no intention of altruistic behavior, The Group that had future volunteer intention was influenced by the volunteer experience(+). Also, Any generosity behavior experience had a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e effect on relation between future donation intention and the emotional variation in COVID-19. 3rd, Compared to the group that has no intention of altruistic behavior, Number of household(+), number of children(-), donation experience(+), volunteer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altruistic behavior(+) has a statistically effect on future generosity inten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ny generosity behavior experience had not a moderate effect on relation between future generosity intention and the emotional variation in COVID-19. at this results, there is a important relations between altruistic behavior experience and intentions. and also, this study carry on understanding to altruistic behavior during COVID-19 as specially pandemic period. This study was meant by finding altruistic behaviors in social and economy COVID-19 impact. As research was conducted on altruistic behavioral intentions that determine the persistence of altruistic behavior, Draw understanding and extending of donation and volunteer sector. and lastly, this study had a practical foundation by Giving a strategic access that can be applied in the post-COVID-19 to NPO, Government for activating generosity such as donation and volunteer .

      • 청년층의 고용보험 가입유형과 결정요인 연구

        한효정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2

        오늘날 청년층의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이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청년 실업률은 매년 최고치를 경신하고 청년층 근로자의 비정규직 비중과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고용불안정에 대응하는 가장 일선의 제도로는 고용보험이 있다. 고용보험은 실업급여와 직업훈련 등을 통해 소득단절 및 고용불안정의 위험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청년층 근로자의 고용보험 가입률은 다른 근로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고용보험에 미가입한 청년 근로자는 고용불안정이라는 위험을 온전히 개인이 떠맡을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청년층 고용보험의 사각지대를 파악하고 그 결정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은 직업탐색과 같은 개인적 요인뿐 아니라 노동시장 유연화 및 이중화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매우 다양한 양상을 갖는다. 이를 반영하여 본 연구는 노동시장 진입 직후 5년간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고용보험 가입유형을 구분하고, 이어서 유형별 고용안정성의 차이와 유형의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고용보험의 구조적 사각지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5차~1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학력을 마치고 2009~2011년 사이 노동시장에 진입한 만 15~34세 청년 37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세 단계로 구성되며. 첫 번째 단계에서는 집단중심추세분석(Group-based trajectory analysis)을 활용하여 고용보험 가입유형을 구분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크루스칼-왈리스 검정(Kruskal-Wallis H test)을 통해 유형 간 고용안정성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세 번째 단계는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유형의 결정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의 고용보험 가입유형을 5가지로 구분하였고 유형별 궤적을 시각화할 수 있었다. 각 집단은 분석기간 5년간 계속 가입상태를 유지하는 ‘가입유지형’, 계속 미가입상태를 유지하는 ‘미가입유지형’, 분석기간 초기에 무직 상태로 전환하는 ‘초기이직(離職)형’, 후기에 무직상태로 전환하는 ‘후기이직(離職)형’, 가입상태에서 이탈하였다가 다시 복귀하는‘가입복귀형’으로 나뉘었다. 둘째, 각 유형의 고용안정성 수준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고용형태, 근로소득, 사회안전망, 근속기간, 미취업기간 변수의 유형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고용안정성 수준이 가장 높은 유형은 ‘가입유지형’이며 가장 낮은 유형은 ‘초기이직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자면, ‘미가입유지형’은 고용보험제도 적용상의 사각지대이며 ‘초기이직형’은 가장 고용이 불안정할 뿐 아니라 적용 및 수급요건의 사각지대에 속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취약한 두 가지 유형을 중심으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셋째,‘미가입유지형’과 ‘초기이직형’의 결정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첫 일자리 요인, 고용안정성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미가입유지형’의 분석 결과, 무엇보다 첫 일자리의 고용보험 가입여부가 비교집단 네 유형 중 ‘초기이직형’을 제외한 세 유형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시 말해, 첫 일자리에서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개인은 이후의 가입이력에서 ‘가입유지형’, ‘후기이직형’, ‘가입복귀형’에 속하기보다는 미가입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우리나라의 이중화된 노동시장을 반영하고 있다. 다음으로 ‘초기이직형’의 대표적인 결정요인으로는 성별, 첫 일자리의 고용형태, 평균 근속기간을 들 수 있다. 여성일 경우 근로상태를 유지하는 궤적을 보이는 ‘가입유지형’, ‘미가입유지형’보다 ‘초기이직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초기이직형’의 고용안정성 수준이 가장 낮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노동시장 내 여성의 지위가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첫 일자리가 비정규직일 때, 평균 근속기간이 짧을 때‘초기이직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함의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보험제도의 정합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분석 결과, 가장 고용안정성이 높은 이들이 우선적으로 제도 내로 포함되고 가장 고용이 불안정한 집단이 제도 밖에 머무는 제도의 부정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용보험은 오늘날 청년층의 고용불안정에 잘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가장 취약한 청년들을 포괄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 둘째,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활성화를 통해 취약한 청년들의 안정적인 노동경력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연구 결과, 첫 일자리의 요인이 취약한 경우 고용보험제도의 사각지대에 속할 확률이 높아 분절된 노동시장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용서비스 및 직업훈련 등을 통해 개인의 인적자본을 개발하고 노동의 상향이동을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여성일 경우 분석기간 동안 계속 근로하기보다는 초기에 무직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는 가사 및 육아 등으로 인한 이직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여성들이 경력단절 이후 비정규직 또는 저임금 일자리로 복귀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일-가정 양립정책의 활성화를 통해 여성의 안정적인 노동경력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분절노동시장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 첫 일자리 요인이 취약할 때 ‘미가입유지형’과 ‘초기이직형’에 속할 확률이 높아 이중화된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2차 노동시장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며, 사회보장 강화뿐 아니라 중소기업 지원, 최저임금 향상, 비정형일자리 규제 등 다방면에서의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The labor market insecurity on youth has been a huge societal problem. In Korea, Employment Insurance(EI) works in the first line against this employment insecurity. However,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he EI coverage rate on youth workers are relatively low which is 73.0% in 2017. The youth who are left behind the EI have to deal with insecurity by themselves.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young workers who are not covered by the EI and making policy suggestions to support their vulnerabilities in the labor market. Therefore, this conducted three steps to find out the insured types of youth on EI and their determinants. First, it examined the types with Group-based trajectory analysis. Second, this investigated the distinctiveness by the type with Kruskal-Wallis H test and Mann-Whitney test. Third, the study analyzed determinants of the vulnerable types vi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Based on the Korean Welfare Panel data(KoWePS), the 373 youth who are between the age of 15-34, finished final academic background, and started their first work during 2009-2011 were selected as a target population and individual EI insured records were analyzed, which trace for five years after they entered into the labor marke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sured typ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and the trajectory of every type was able to be visualized. The first type is ‘Continuous insured type’ which keeps insured status for five years of the whole observation period and the second type is ‘Continuous uninsured type’ which is exactly opposite from the first type. The third type is ‘Early out-of-work type’ that joblessness happens in the early part of the observation period, and ‘Late out-of-work type’is the fourth one that has joblessness in the latter part of the period. The last and the fifth one is ‘Re-insured type’ displaying dynamic trajectory that had been out of EI coverage but re-enter into the insured status later on. Second, the study examined the level of employment security which is composed of five variables which are employment status, labor income, EI status, length of continuous employment, length of out-of-work. As a result, the highest level of employment security was found in ‘Continuous insured type’ and the lowest in ‘Early out-of-work type’. To sum up the results above, ‘Continuous uninsured type’ and ‘Early out-of-work type’ are vulnerable among five types in that the former one is not covered by the EI, and the latter one experiences the biggest insecurity and is not likely to receive unemployment benefits from EI because of the short insured period. Therefore, only these two types were dealt in the latter part for examining determinants.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Continuous uninsured type’ and ‘Early out-of-work type’. For the former type, when the youth are not insured in the first workplace of their job career, they are more likely to be uninsured for the whole observation period, which reflects dual labor market in Korea. For the latter type, three variables of gender, employment status in the first workplace, mean of length of continuous employment were significant. When it comes to gender, compared to male, female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Early out-of-work type’ which is the most vulnerable in employment security. Moreover, when the first work is irregular and the length of continuous employment is short, it is more likely to belong to this type. Based on these results abov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EI should meet the aim of itself which supports employment vulnerabilities. EI does not well cope with the insecurity in the Korean youth and needs to take action to cover the youth workers. Second, it is needed to support youth career experiences via ALMPs(Active Labor Market Policies) because it was found that the more vulnerable in the first workplace, they are more likely to be vulnerable in five years. Therefore, developing human capital and facilitating upward labor mobility should be supported by ALMPs. Third, more supports are needed for work and family reconcili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female are more likely to move to out-of-work early rather than keep working. Considering big motherhood penalty or family gap in Korea, reconciliation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in a more proactive way. For the last, the study could observe segmented labor market in Korea and, therefore, not only the suggestions above but other policy efforts should be taken to mitigate dual labor market in Korea as well. Various proactive actions are require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secondary labor market and decrease the gap between two distinct markets, including supporting SMEs, raising minimum wage level, regulations on irregular workers,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