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최은정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관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욕구를 고려한 효과적인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와 사회복지의 궁극적 목적인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회복지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주민센터를 중심으로 운영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각 기관별로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가정 자녀 프로그램 운영상의 차이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서울․경기도․대전․충청남북도․전라남북도 지역에 있는 사회복지관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주민센터에서 다문화가정 자녀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74부의 설문지를 기초로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담당자는 대부분 3년 미만의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현장 업무를 담당하면서 프로그램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정 자녀 지도에 대한 교육경험은 적은 것으로 나타나 프로그램 담당자의 전문성이 많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 프로그램의 담당자와 자원봉사자의 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지원되는 프로그램으로는 교육, 문화예술, 보호, 상담․멘토링, 특기지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자 가정의 요구에 의해서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운영되고 있으며,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언어 및 학습지원 프로그램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로 담당자가 프로그램의 개발, 계획, 평가를 모두 하고 있어서 담당자의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이용자 본인은 거의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다문화가정 자녀는 주로 미취학아동과 학령기아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및 교육기관과의 연계에서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부모님의 연계수준이 교육기관과의 연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프로그램 연계기관으로는 교육기관, 민간단체와 적극적으로 연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이 협력하는 전문가로는 사회복지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느끼는 어려움으로는 ‘행․재정적 지원의 미흡’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전문인력의 확보, 다문화가정 자녀의 연령․특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재정적 지원의 확대,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기획,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연계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다문화 사회에 대한 보도 프레임 연구 : 2008년과 2009년의 조선일보와 한겨레를 중심으로

        양지현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에 등장하는 다문화 기사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언론의 다문화 프레임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다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보는 동시에 진보와 보수인 두 일간지 사이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외국인 거주 100만을 바라보는 현 시점에서 다문화가 이처럼 많은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 대부분이 사회학에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다문화 사회를 미디어 분석과 접목시킨 연구는 학문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이에 대한 언론의 시각과 역할을 분석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논문은 기틀린의 이데올로기적 프레임 이론을 중심으로 언론의 정치적 성향과 다문화에 대한 보도 프레임을 분석하였다. 두 일간지의 2008년과 2009년, 총 2년간의 다문화 관련 기사 640여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뉴스 스토리를 하나의 이야기 구조이자 분석 단위로 보고 이를 중심으로 프레임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총 다섯 가지 프레임 - 정책홍보, 인권제고, 행사이벤트, 사회공헌, 사회분석 - 이 선정되었다. 정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관련 정책 및 지원 프로그램 기사는 정책홍보 프레임으로, 다문화 사회 안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비판하거나 제고를 강조하는 기사들은 인권제고 프레임으로 분류했다. 행사 이벤트 프레임은 기업이나 개인, 시민단체 등에서 다문화 관련 행사가 주제인 경우이고, 다문화 대상자의 취업 등 성공 이야기와 사회공헌 내용들은 사회공헌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우리나라 다문화 상황을 사회적, 역사적, 미디어적으로 분석하고 외국 사례와 비교한 기사들은 사회분석 프레임으로 지칭하였다.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다문화 보도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두 행사이벤트 프레임과 사회공헌 프레임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인권제고 프레임이 많았다. 이것은 다문화라는 주제가 언론이 정치적 성향을 뚜렷하게 드러낼 만큼 보편적인 주제가 아니라는 사실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다문화에 대한 기사 대부분이 자원봉사와 행사, 사회공헌적인 이벤트와 정책 홍보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가 갖는 의의는 무엇보다 우리나라 다문화 사회와 미디어를 접목시킨 연구와 아울러 보수 진영과 진보 진영의 인식 차이를 비교분석을 통해 우리 사회가 바라보는 다문화에 대한 시각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전개된 논의들이 향후 바람직한 사회 통합을 위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news frame on multi cultural society in Korea based on two prestigious newspapers knows as Chosun Ilbo and Hankyoreh, each representing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ideas in Korea.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is mainly focused on social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and how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aper each presents this social phenomenon. At present about one million foreigners are estimated to live in Korea, which brought attention to multi cultural society in this country. However multi culture related studies in Korea have been mostly reviewed only in sociological point of view, and rarely with media and journalism. This brought my attention to relate Korea's multi culture society with journalism, believing such analysis is important for future journalism studies as well as understanding multi culture society through journalistic point of view in Korea. Based on Gitlin's ideological news frame theology, the study analyzed newspapers' political views connected to their news frames on multi culture related articles. 640 news articles from year 2008 through 2009 were researched and each article was seen as a single story structure news frame. The result showed five news frames on multi culture society in Korea. They are 'government policy promotion', 'human rights enhancement', 'event and ceremony', 'public welfare contribution' and 'social analysis' frames. News articles concentrated on government policies was analyzed as 'government policy promotion' and articles that mainly concentrated and criticized on human rights issues in multiculturalism was categorized as 'human rights enhancement' frame. 'Event and ceremony' frame was given to articles which focused on multi culture related events by business corporations, civil society and individuals. 'Public welfare contribution' frame was for the stories which dealt welfare and successful stories of the members of multi culture society. Last of all, news articles which analyzed Korea's multiculturalism into social, historical and journalistic point of view and compared its phenomenon with overseas were categorized as 'social analysis' frame. After careful observation the study found out that Chosun Ilbo and Hankeoreh did not show major differences in their news frames on multi culture society in Korea. Both paper had large numbers of 'event and ceremony' and 'public welfare contribution' frames in their articles, followed by 'Human rights enhancement' frame. Such study result shows that, despite of certain possible arguments, multi culture society in Korea is not reviewed as a universal phenomenon at the moment, meaning not socially acknowledged enough for Korea media to prove their political views on this matter. This is why both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apers show similar news frames on multi culture society where most of their stories are largely related to events and ceremonies, followed by public welfare topics. The importance of the study is that it focused on Korea's multi culture society with domestic journalism, and tried to find the public awareness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apers on this issue. I sincerely hope this study may be part of sound progression of multi culture society in Korea.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어머니 및 자녀의 상호작용행동 분석

        임은숙 울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어머니 및 자녀의 상호작용행동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어머니 및 자녀 상호작용행동간의 상관과 놀이신념,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어머니 및 자녀의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어머니 및 자녀의 상호작용행동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어머니 및 자녀의 상호작용행동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연구문제 3.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놀이신념,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어머니 및 자녀의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그 자녀 40쌍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2개월에 걸쳐 연구자와 관찰자 2인이 각 가정으로 방문하여 관찰 및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놀이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Fogle(2006)이 개발한 Parent Play Beliefs Scale(PPBS)척도를 유미(2008)가 번안, 수정한 설문도구를 사용하였다. 다문화가정 어머니 및 자녀의 상호작용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어머니와 자녀간 자연스런 상황에서의 놀이 장면을 15분간 비디오로 녹화하였다. 녹화자료를 바탕으로 Mahoney(1999)가 개발하였고, 한국에서 적용 타당성을 검증한(김정미ㆍ제럴드 마호니, 2009) 어머니행동 평가척도(K-MBRS: Korean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와 아동행동 평가척도(K-CBRS: Korean Child Behavior Rating Scal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들을 기초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놀이신념 하위영역간 평정차이 분석 결과, 어머니의 놀이신념은 학습중심신념보다 놀이중심신념이 더 높았다. 이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수세기, 한글읽기와 같은 학습적인 성취를 강조하기보다는 놀이를 통한 사회성 및 정서발달, 문제해결능력 등을 더 강조하고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놀이신념의 차이 분석 결과, 놀이중심신념에서는 어머니의 연령, 어머니의 취업여부, 가족구성, 가정의 한 달 총 수입에 따라 유의미하였다. 즉 연령이 높고 비취업모 집단의 어머니가 놀이중심신념이 높았다. 또한 시부모가 함께 거주하지 않고 배우자와 자녀로만 구성된 집단의 어머니가 놀이중심신념이 높게 나타난 결과를 근거로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겪고 있는 시부모와의 갈등이 어머니의 자녀양육과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가정의 한 달 총수입에서는 100-200만원 미만 집단의 어머니가 가장 높은 놀이중심신념을 보여주었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학습중심신념의 차이 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 및 자녀의 상호작용행동 차이 분석 결과, 어머니의 한국거주기간 및 자녀의 월령과 소속에 따라 유의미하였다. 즉 어머니의 한국거주기간이 길수록 자녀의 활동적 상호작용행동이 높았으며, 이는 곧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 정착 경과기간이 문화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자녀의 월령에 따른 어머니 및 자녀의 상호작용행동 차이를 살펴보면 자녀 월령이 25-36개월이고, 어린이집이나 유치원과 같은 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자녀를 둔 어머니가 어머니 반응적 상호작용행동, 효율적 상호작용행동 및 자녀의 활동적 상호작용행동, 사회적 상호작용행동이 높았다. 둘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어머니 및 자녀 상호작용행동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어머니 반응적 상호작용행동, 효율적 상호작용행동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이는 곧 놀이중심신념을 지지하는 어머니일수록 자녀에게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녀의 소속에 해당되는 어린이집만이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 효율적 상호작용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자녀의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과 자녀 월령이 자녀의 활동적 상호작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과 지시적 상호작용행동, 자녀 월령이 자녀의 사회적 상호작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자녀의 상호작용행동에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여준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이 자녀의 상호작용행동과 긴밀한 연관성이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어머니와 자녀간 상호작용행동은 어느 한 쪽에서 결정되는 부분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그 상호작용행동의 질이 자녀의 모든 발달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놀이신념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고, 어머니와 자녀 두 대상 모두에게 초점을 둔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객관적인 관찰법을 통해 다문화가정 어머니 및 자녀의 상호작용행동 특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지역에 따른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및 관련 변인 연구

        신찬양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for research mainly focused on immigrant women but this study concerned about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by expanding the region that affect their language development and talked about those variables. In addition, specifically investigated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mong regions by expanding its scope to big cities,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And variables are limited home environment variables from the previous studies had reveal. Through the above process I found which areas have different and what is the reason. This study revealed a difference between big cities and small cities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y and variables that affect the acceptance vocabulary turned out 'Mothers' Korean learning period and 'Children's outside educational institutions hours', variables that affect the expression vocabulary turned out 'Ratio using Korean in the home'. As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acceptance vocabulary turned out 'Mother lived in South Korea', 'Mother's subjective listening skills', 'Children's outside educational institutions availability', 'Children's using terms of outside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variables that affect the expression vocabulary turned out 'Mother's age',' Korean using ratio in the home',' Children's using terms outside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Through this research result I hope that regional policy has been marginalized will be more active and provide the high quality of education to multi-cultural families. During the course of this study, the regret point is not an objective investigation of 'Mother's Korean skills'. Diagnostic tools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the mother language will should be developed as soon as possible. So research on multi-cultural families hope to be able to accelerate. Finally, through multi-cultural families child's language development survey only looked at the child's current developmental state, from now on the not only current state but whether the current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continues should be investigated periodically. If continued a steady language developmental delays, it may be language disorders rather than late compared to normal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Therefore, long-term support for language disorders will be provided.

      •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 연구

        김상돈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우리나라는 1990년대 국제화, 세계화를 거쳐 2000년대에는 다문화 사회로의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였다. 한국인들이 단일민족이라는 신화에 사로잡힌 국민의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다문화적 글로벌 시민으로 다시 태어나야 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노력을 통해 국민들의 의식을 바꿔 성숙한 글로벌 민주 시민으로 성장하게 하기 위한 교육적 대응이 필요한 시기이다. 다문화 정책이 국가 정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면서 다문화 가정에 대한 지원과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에 대한 교육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학교는 다문화 정책의 파급 효과가 그다지 크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이 충분히 준비되어 있지 못하고,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인식의 수준도 일반인과 크게 다르지 않은 데 기인한다. 다문화교육이 교육 현장에 제대로 착근되기 위해서는 다문화 교육과정이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한국 사회나 교육 현장에서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다문화교육을 하기 위한 다문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는 무엇인가?’ 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관련 문헌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안을 설계하였다. 잠정적으로 설계된 목표 체계는 최종목표 1개, 종합적 행동 목표 3개 영역 4개 항목, 인지적 목표 5개 영역 12개 항목, 정의적 목표 5개 영역 13개 항목, 심동적 목표 4개 영역 11개 항목이 제시되었다. 내용 체계는 다문화 사회 3개 영역 31개 항목, 지구적 과제 3개 영역 22개 항목이 제시되었다. 이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2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개발된 안을 계속적으로 수정·보완하였고,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친 제2차 델파이 조사(N=20) 결과를 기초로 내용타당도 비율(CVR)을 산출하여 CVR 유효값이 .42 이상인 항목을 확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의 내용 영역의 분류는 상징적, 처방적, 기술적, 공학적 정보와 내용을 바탕으로 <다문화적 시민성>, <전지구적 과제>로 분류되었다. 중간목표는 A. Dean Hauenstein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의 목표 분류 체계에 따라 개인적 측면의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최종목표는 여러 다문화교육 및 사회과교육 관련 문헌 등을 참고하여 종합적 행동 목표 내 사회적 측면의 <지식 및 이해>, <기능(사고, 판단, 표현)의 습득>, <태도(관심, 참여)의 형성>의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목표 영역의 내용타당도 비율(CVR)은 0.00 ~ 1.00에 위치하는데, 일반적으로 20명이 참여한 제2차 델파이 조사에서 내용타당도 비율(CVR)이 .42 이상일 때 유효한 값으로 인정된다. 이에 따라 목표 체계는 최종목표 1개 항목, 종합적 행동 목표 3개 영역 6개 항목, 인지적 목표 5개 영역 9개 항목, 정의적 목표 5개 영역 12개 항목, 심동적 목표 4개 영역 10개 항목으로 설정되었다. 셋째, 내용 영역의 내용타당도 조사결과 그 비율(CVR)은 0.30 ~ 1.00 범위로 나타났다. 내용 영역을 <다문화적 시민성>과 <전지구적 과제> 영역으로 분류한 것에 대해 전문가 의견의 타당도 평균이 3.50(5점 척도 기준)로 나타났다. <다문화적 시민성> 영역을 <정체성>, <다양성>, <평등, 정의>, <시민성>으로 분류한 것에 대해서는 타당도 평균이 3.75로 나타났다. <전지구적 과제> 영역을 <상호의존>, <평화>,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분류한 것에 대해서는 타당도 평균이 3.90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내용 체계는 <다문화적 시민성> 4개 영역 27개 항목, <전지구적 과제> 3개 영역 16개 항목으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다문화교육은 민족 정체성 교육, 국제이해교육, 세계교육을 포괄적으로 아우르는 지구촌 다문화교육(Global Multicultural Education)의 성격을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가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적 가치> 내용 영역은 물론, <전지구적 과제>의 내용 영역에 대해서 전문가들이 대부분 ‘타당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매우 높았기 때문이다. 이는 전문가들이 다문화 사회에서 세계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소양도 중시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교육의 최종목표는 ‘문화적 다양성, 국가와 민족 정체성과 세계 시민 의식을 함양한 다문화적 시민 양성’에 있다. 다문화교육의 목표 영역은 최종목표와 중간목표로 구성될 수 있다. 최종목표는 사회(집단성원)의 목표이고, 중간목표는 개인(학습자)의 목표이다. 개인(학습자)의 목표는 과정목표로서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으로 구성되고, 사회(집단성원)의 목표는 산출목표로서 <지식 및 이해>, <기능(사고, 판단, 표현)>, <태도(관심, 참여)>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내용 영역은 다문화적 시민성과 전지구적 과제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문화적 시민성>은 <정체성>, <다양성>, <평등, 정의>, <시민성>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전지구적 과제>는 <상호의존>, <평화>, <지속가능한 발전>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넷째, 이 연구에서 제시한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안에 대해 두 차례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도가 검증되었고, 전문가들은 이 목표와 내용 체계를 타당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교육의 목표 설정과 내용 선정에 대한 전문가들의 합의가 이루어져 다문화교육의 정립과 교수학습 방법, 평가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 결과는 매우 실제적인 것으로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후속 연구와 개발이 요구되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은 끊임없이 발전되고 변화된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가 일시적인 유행으로 그치거나 단순한 현실 극복 차원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따라 학교급별과 학년별 수준에 따라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국한되어 주로 ‘왜’ 교육해야 하고 ‘무엇을’ 교육할 것인가에 중점을 두고 있다. 다문화교육을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가 하는 교육방법과 제대로 교육하고 있는가 하는 교육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즉, 다문화교육 교수학습방법 개발, 학습자료 및 평가 자료의 개발, 평가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고, 다문화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다음 세대인 학생들이 다문화교육이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두 세계 시민으로서 반드시 필요한 자질을 익히는 필수적인 교육이라는 인식을 가지게 하고 다문화적 의식 함양을 위한 시대적인 요청임을 깨닫게 해야 하는 것이다. 다문화 관련 내용을 교육과정 내에 첨가하거나 기존 교육내용을 수정하는 소극적인 기여적(contributive), 부가적(additive) 접근법보다는 적극적인 변혁적(transformative), 사회적 행동(social actoin) 접근법으로 교육과정의 변혁을 이루어 개인, 학교, 사회의 의식의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 주제어: 다문화, 다문화주의, 다문화교육, 다문화 교육과정, 교육목표, 교육내용, 타당도, 델파이, CVR Korea has had a rapid change of entering multicultural society in 2000s after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in the 1990s. The era has come that Koreans should get away from the national ideology of the myth of single nationality to reborn as multicultural and global citizen. This times requires educational response that changes public awareness to become mature global citizen through continuous and long-term effort. As the multicultural policy takes an integral part of national policy,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education for those students from the families are actively being developed. However, ripple effect of multicultural policy is rarely seen at schools because there have not been prepared for enough curriculum and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becaus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the public in terms of necessity and level of awarenes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take root at schools, multicultural curriculum needs to be develop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multicultural curriculum for systematic and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not only at schools but in Korean societies. To achieve this purpose, a research question of "What is the system of objectives and content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set up. An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reference literature and experts review, a draft proposal of the objectives and content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as developed. The system of objective comprises of 1 final objective, 3 comprehensive behavioral objectives and 4 area categories, cognitive objective with 5 sub areas and 12 categories, affective objective with 5 sub areas and 13 categories, psychomotor objective with 4 sub areas and 11 categories. The system of contents were presented which includes multicultural society area with 3 sub areas and 31 categories and global challenges area with 3 sub areas with 22 categorie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tudy,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In this process, continuous modification and supplement for the developed plan were made, reflecting the opinion of experts. Based on the result of the 2nd Delphi survey (N = 20) after gathering opinion, CVR was calculated to select category of which effective value is higher than 0.42.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classified as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Global Challenges" based on symbolic, prescriptive, descriptive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contents. Formative objective was classified as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area of individual aspects, according to "A Conceptual Framework For Educational Objective"' by A. Dean Hauenstein. Final objective was classified as areas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btain of skill(thought/decision/expression> and <formation of attitude(interest/participation)> in social aspect of comprehensive behavioral objective, referring to related literature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Second, the objective area of CVR had been located in 0.00~1.00. In the 2nd Delphi survey with 20 people participated, CVR over 0.42 was generally acknowledged as valid data. Therefore, the following system of objectives was presented. 1 Final objective, comprehensive behavioral objectives with 3 sub areas and 6 categories, cognitive objectives with 5 sub areas and 9 categories, affective objectives with 5 sub areas and 12 categories, and psychomotor objectives with 4 sub areas and 10 categories. Third, CVR of contents area ranged from 0.30 to 1.00. The average of CVR of experts view was shown 3.50 for the contents area classified as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global challenges". The average of CVR for multicultural citizenship classified as the area of <identity>, <diversity>, <equality/justice> and <citizenship> was shown 3.75. The average of CVR for Global Challenges area classified as the area of <interdependence>, <peas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consequence, Multicultural Citizenship area with sub 4 sub areas and 27 categories and Global Challenges area with 3 sub areas and 16 categories were selected in the system of cont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an be concluded related to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irs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has the personality of global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straddles national identity education,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global education comprehensively because the response ratio of experts saying 'valid' is very high in the contents area of Multicultural value and Global challenges. This indicates that experts think high of literacy that one should have in this multicultural society. Second, the final obj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lies in fostering multicultural citizens with multicultural diversity, national identity and global citizenship. The area of obj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comprised of final objective and formative objective. The final objective is the objective of society(member of society) and the formative objective is the one of individual learner. The objective of individual is formative that has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areas, while the objective of society is outcome objectives which are composed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skill (thinking, decision, expression)> <attitude(interest, participation)>. Third, the contents area of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comprised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global challenges.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has <identity>, <diversity>, <equality/justice>, and <citizenship> areas, while the global challenges has <interdependence>, <pea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Fourth, a draft proposal of the objectives and content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is study were verified as valid through twice Delphi survey, and it shows that experts consider the objective and system of contents to be valid. Fi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fining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al study after experts' understanding and agreement on establishment of obj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electing contents. This study is very practical and requires subsequent research and development, so the followings can be proposed. First,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keep being developed and change ceaselessly. Th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not just for transient trend or not mere way to get things over. Instead, more systematic and sustainable research is essential. According to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various of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levels of schools and grades, and developmental stage of students. Second, this study is confined to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to why and what to educate. Therefore, research on teaching method (how to teac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valuation of education (whether it is properly educated) are needed. Consequently, it is very important to research on multicultural curriculum and program, and to research on developing teaching metho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tudy/evaluation material. Third, it is essential that next generation students realiz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the demand of the times and indispensable to be multiculturally educated as national citizen and global citizen. In ord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be highly effective in not only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areas, but also in understanding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area, research on approach of transformative and social action is required. Transformation of curriculum brings changes to individual, school and society if multicultural curriculum is developed from the way of approach of contribution and addition to the way of approach of transformation and social action. Key Words: Delphi, CVR, multiculture, multiculturalism, multicultrual education, multicultural curriculum, objective of education, contents of education

      •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에 관한 연구 : 중학교 1학년 개정 사회 교과서 중심으로

        나혜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A B S T R A C T A Study on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on multicultural education - focusing on the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for 7th graders Na Hye-Mi Department of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An Ho-Yong With the globalization and openness in the 21st century, the Korean society has been transformed into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This is also attributed to the increase in international marriage and the number of migrant workers. Unfortunately, migrant work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are still regarded as the alienated class in the Korean society. This is mainly attributable to Koreans' emphasis on the homogeneous nation. In the midst of the globalization, however, the closed notion of alienating others is nothing but an anachronism. Under this circumstance, there have been many requests for educational measure to respond to this situation. On top of that, to change the notion of the public, the curriculum should deal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systematic way, expand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e society level. Education is conducted through textbooks and teachers at an institution called schools. For this reason, analysis on textbook would provide the fundamental basis to understand how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conducted in Korea. Reflecting opinions from various walks of life, the 2007 curriculum set the goal of nurturing civil qualities with which students would take the lead in social changes in the age of informatization, globalization, and openness. In this respect, the revision emphasizes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thesis is designed to analyze the social studies textbook for the 7th graders, which reflects the 2007 curriculum and has been applied since 2010.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find out how much multicultural education is reflected on the textbook and how to improve and apply the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the textbook. To this end, I analyzed 15 kinds of textbooks, which passed the qualification screening, following the 2007 curriculum in terms of human rights, culture, class, ethnicity, religion, region, and globalization as factors for multiculturalism. As a result, this thesis concluded that the textbooks focus on only partial of the subject or have lower frequency of them. Moreove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nly concentrates on global education and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hereby lacking the right direction. Furthermore, this article drew up Banks' MTA learning model Ⅰwith which teachers could use at class concerning human rights and culture, the most frequent subject at textbooks. Multicultural education is intended to overcome stereotypes on cultural phenomenon. However, the current social studies textbook displays many limitations. In this respect, we should consider more various cultural factors in developing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is is the only way the textbook could contribute to helping students understand variety of ethnicity, culture, and classes and learn the multucultural perspective. When it comes to content, it would be helpful if the textbook provides more detailed and clear examples and documents.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help students have various cultural perspectives on the society. Therefore, there is much room for improvement to remove stereotype, increase tolerance, and care for others. One thing to remember is that teach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nurturing students to be an active and matured member of multicultural society. 21세기 한국 사회는 세계화, 개방화가 진행되면서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또한 국제결혼의 증가, 외국 노동자의 증가 등의 이유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주 외국인과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은 아직까지 우리 사회에서 소외받는 계층으로 자리잡고 있는게 사실이다. 그 이유는 한국인의 단일민족 의식을 꼽을 수 있는데 이러한 폐쇄주의적 사고는 이제 더 이상 세계화라는 변화 속에서 자랑으로 여길만한 것이 되지 못한다. 단일 민족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이방인을 배타적으로 대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생각일 뿐이다. 다행히 이 같은 흐름을 따라 한국사회는 이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교육적 변화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많은 사람들의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 과정에서 체계적으로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중심으로 하여 다문화교육이 사회적으로 확산되어 나가야 한다. 교육은 학교라는 기관에서 교사와 교과서를 매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교과서분석은 우리사회에서 다문화교육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여러 사회와 국가의 요구에 따라 이루어진 2007 개정 교육과정은 정보화&#8228;세계화&#8228;개방화 시대의 사회변화를 주도할 시민적 자질의 육성을 목표로 다문화사회에 대비하는 국제이해교육과 다문화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2010년부터 새롭게 적용이 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를 분석하여 다문화 교육 내용이 교과서에 얼마나 반영되어 있으며, 더 나아가 중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개선방향과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교과서 검정 심사에 통과된 15종 교과서를 인권, 문화, 계층, 민족, 종교, 지역, 세계화 등 7가지의 다문화개념 요소가 얼마나 나와있는지 분석해 본 결과 개념들이 골고루 나타나기 보다는 일부 내용 요소에 집중적으로 나타나있거나 낮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이 아직까지 세계교육, 국제이해교육에 치중되어 있어 바람직한 방향도 제대로 설정되지 않고 있다. 다음으로 교과서 분석 결과 가장 많이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는 ‘인권’과 ‘문화’ 두 가지 주제를 바탕으로 실제 교실에서 활용가능한 다문화 교수-학습 방안을 Banks의 MTA 학습 모형 Ⅰ이라는 수업 모형으로 지도안을 만들어 활용가능하도록 하였다. 다문화교육은 우리가 접하는 문화 현상에 대해 당연하게 여겨졌던 사실들에 내재되어 있는 편견을 새롭게 인식하고 고쳐나가려는 것이다. 하지만 현 교육과정의 사회 교과는 많은 부분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사회에 나타나는 여러 인종, 문화, 계층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다문화적 시각을 가질 수 있게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개발할 때 문화적 요소를 다양하게 제공해야 한다. 내용 구성에 있어서 다문화 사회의 현실을 좀 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다문화교육은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의 관점과 시각으로 사회를 바라볼 수 있게 해야 한다. 따라서 다문화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기 위한 관용적 태도와 배려, 편견의 제거를 위한 교육내용이 사회 교과에 적절하게 포함될 수 있도록 교과서의 개선이 필요하고 나와 다름에 대한 수용 능력을 길러주어 다문화사회에서 적극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시민으로 자랄 수 있도록 교사의 지도도 필요하다.

      • 대학생용 다문화태도 척도의 한국판 타당화 연구

        강혜정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an the muticultural Attitude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In this study, mlticultural Attitudes is defined internal characteristics that could properly understand the different cultures, care about diverse cultures and consistently cope with in a multicultural society. Mlticultural Attitude consists of three elements that Cognitive component understanding the existence of discrimination and the differenc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ffective component caring about and accepting different culture with open mind, and Behavioral component acting and seeking practice to eliminate discrimination. These definitions and distinctions based on a broad multicultural concept which include nation and race as well as sex, socioeconomic status, physical and intellectual abilities, and religion. The proces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ifty items were collected from translating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MASQUE; Munro, 1996) into korean and gathering related items through domestic literatures review. Second, classify fifty items into three tentative standards - Cognitive component, Affective component, and Behavioral component-after reviewing and modify the items. Third, to select the items,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of 425 University students from Jeolla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comes to consist of three factors - 'Recognizing differences'(6 items), 'Openness and Acceptance'(5 items), 'Committment'(5 items). The total is 16 items. Second, the indices of the modified best fit model on th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are good(GFI=.911 CFI=.925, REMSEA=.065). Third, the concurrent validity was tested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ewly developed scale and cultural sensitivity scale. The correlation between two scales shows meaningful results. Fourth, the newly developed scale revealed its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Cronbach &#9082; .766 - .789). Based on the results, some conclusion can be drawn: 1) the best model for multicultural attitude construct consist of three dimension; 2) th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reliable and validate instrument. Key words: Multicultural attitude, Recognizing differences, Openness and Acceptance, Committment.

      • 다문화 미술 교육을 위한 미술 교수·학습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5, 6학년 중심으로

        홍진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근래 들어 우리 사회는 전례 없이 급속도로 다양화 되고 있다. 이는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 농어촌 지역 중심의 국제결혼으로 인한 이주민 증가 등 그 원인은 다양하다. 특히, 국제결혼가정 자녀는 농어촌 지역의 학교 현장에서 실감 할 수 있을 만큼 그 수가 급증하였다. 이렇듯 우리 사회는 인구학적인 격변을 겪으면서 단일민족 국가에서 다민족 국가로의 변화에 따른 인식의 전환이 시급해졌고, 갑작스런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과 문제들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여러 학자들은 다문화 사회의 이러한 어려움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교육적 차원에서 해답을 찾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고, 다문화 이해 교육이 학교 교육의 커다란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한편 다문화교육은 다양한 교과에서 가르칠 수 있지만 미술교과에서 그 효과가 한층 클 수 있다. 미술은 문화적 가치와 신념을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도구가 되므로 학생들은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성에 대해 충분하고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적합한 유형인 다문화 미술 교육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미술 교과서를 분석한 뒤 창의적인 다문화 미술 교육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여 교사의 교수활동을 돕는 한편,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가정 학생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미술 교육을 실질적이고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연구의 제한점 및 용어의 정의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참고 문헌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가 다문화 사회로 변화한 주요 원인과 우리나라 다문화 사회의 특징을 논한 후, 다문화 미술 교육의 성립 배경과 개념, 내용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초등학교 5, 6학년 2007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라 미술 교과서에서 제시된 다문화 관련 교육내용 및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 하여 지도 방향을 수립한다. Ⅳ장에서는 앞 장에서의 미술 교과서 분석 및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 연구된 미술과의 워크시트와 워크북 자료를 참고하여 다문화 미술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한 후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자는 현행 미술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다문화 미술 교육 적용의 결과 다음과 같은 기대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보았다. 첫째, 학생들에게 우리의 정체성을 심어주고 외국의 문화를 편견 없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여 다문화적 가치를 이해하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둘째, 다양한 문화를 접하는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세계화, 다양한 지구촌 문화, 소수민족과 사회적 약자들에 대해 새롭게 이해할 수 있고, 지금까지 다루지 않았던 주제들을 접해봄으로써 평소 익숙하지 않았던 나라들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셋째, 다양한 문화와 배경 지식을 토대로 이와 밀접한 미술 작품을 접하게 함으로써 초등 미술과 교육과정의 표현, 미적체험, 감상 영역에 있어 학생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게 하여 더욱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 있게 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이 변화하는 사회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다양한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자세를 내면화 시킨다. 또한 다문화교육의 본래적 의미를 바탕으로 진정한 다문화 사회를 준비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다문화 미술 교육 적용 방안을 연구하여 다양성의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이 여러 문화를 편견 없이 받아들이고 이해하여 더불어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 다문화 보호청소년과 일반 보호청소년의 환경체계 비교분석

        박정일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수가 150만 명 돌파를 목전에 두면서 우리나라도 본격적인 다문화사회로 진입했다고 볼 수 있지만 사회 한편의 시각에서는 여전히 동남아 저개발국에 대한 차별과 질시가 존재하고, 비정규직 및 실업 상태의 장기화로 사회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건설업이나 서비스업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이 국내 노동자의 일자리를 잠식하면서 외국인 혐오를 넘어 인종차별 현상이 아직까지 단일민족 ? 단일문화의 환상에 사로잡혀 있는 우리 사회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다문화가정을 위한 지원정책의 거의 대부분은 제도권 내에 포섭된 경우에만 수혜가 가능하다. 공교육에서 이탈하거나 이들이 범죄나 비행을 저질렀을 경우 그 원인을 치유하거나 재범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은 없는 실정이다. 일차적 사회화 기관으로서 가정은 사회생활의 기반임에도 핵가족화와 자녀에 대한 부모의 방임적 태도와 과잉보호, 자녀가 공동체의 일원으로 사회적 규범을 지키며 건전하게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치기보다는 부당한 방법을 통해서라도 특권적 위치에 서기를 기대하는 과잉욕구를 여과 없이 자녀들에게 투영하면서 가정교육은 사실상 실종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법원으로부터 보호처분을 부과 받은 청소년 및 그들의 부모에게 교육을 통하여 부모의 바람직한 역할 및 자녀의 문제행동과 사회부적응을 개선하고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년법상 보호처분으로 보호관찰명령?사회봉사명령?수강명령을 받고 있는 청소년과 소년원 수용에 수용되어 있는 청소년을 일반 보호청소년과 다문화가정 보호청소년으로 구분하여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비행원인을 개인적 소질과 가정, 학교, 또래관계, 지역사회와 같은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주민 등 문화적 소수자들이 증오범죄의 피해자가 되고 이에 대한 불만과 갈등으로 범죄 가해자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처분단계에서 시행되고 있는 부모교육명령제도가 우리사회의 다문화적 상황과 부모-자녀 간의 관계 및 환경적 체계를 고려한 사회적 관계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 내용에 대해 제언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2년 7월 현재 전국 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을 받고 있거나 소년원에 수용되어 있는 일반 보호청소년 30명과 다문화가정 보호청소년 26명을 대상으로 개인, 가정, 학교, 또래관계, 지역사회 환경에서 범죄원인으로 작용할 만한 요인들에 관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자료는 SPSS for 14.0 windows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일반 보호청소년과 다문화가정 보호청소년 간에 구별되는 특유한 개인 및 사회환경적 요인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요인으로, 욕구좌절을 인내하는 법과 자신의 행동을 적절히 통제하는 법을 경험함으로써 좌절된 상황을 정당한 방법으로 극복하고 해결하며 부적응 행동을 피할 수 있는 욕구지연능력에서는 다문화가정 보호청소년이 더 높았다. 둘째, 가정환경 요인으로, 다문화가정 부모의 한국어능력(읽기, 말하기)은 일반 보호청소년의 부모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부모의 자기통제력 변인과 관련해서 부모가 기분대로 행동한다고 느끼는가에 대해서는 다문화가정 보호청소년이 일반 보호청소년에 비해서 그들의 부모가 더 기분대로 행동하는 것으로 판단했다. 셋째, 학교환경 요인으로, 방과 후 공부하는 정도에 대해서 다문화가정 보호청소년이 일반 보호청소년에 비해 학교 정규수업 후 그리고 귀가하여 공부에 할애하는 시간이 더 많았다. 넷째, 두 집단 비행청소년의 비행에 취약한 환경적 요인은 대체로 유사하였다. 부모와 동거하는 비율이 다문화 보호청소년 58.0%, 일반 보호청소년 33.0%에 불과 했고, 부모 모두가 초혼인 경우는 두 집단 모두 30% 미만으로 나타나 가정의 구조적 형태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직업, 거주형태, 거주지 환경 등을 고려할 경우 경제적 수준은 하위계층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가정의 기능적 요인과 부모의 자녀양육 요인에 있어서도 두 집단 간 평균수치가 긍정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무단결석, 학업중단, 학업을 중단한 친구 유무, 가출 비율도 두 집단 모두 높았다. 공단이나 유흥가 주변에 거주하는 비율이 두 집단 모두 70%가 넘었고, 지역사회통제력도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보호처분 단계에서 부모교육명령제도를 활용하여 비행청소년의 재범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첫째, 부모교육에는 다문화가정 보호청소년 및 그 부모와 일반 보호청소년 및 그 부모들이 함께 서로의 문화에 대해 제대로 알게 하고 궁극적으로는 상대방의 환경 및 처지를 이해하게 함으로써 차별과 편견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인권개념을 정착시키기는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부모에게 자아인식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며, 부모-자녀간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향상시켜 청소년비행에 대한 보호요인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정 내 안전사고 및 어머니의 응급처치

        윤지윤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정 내 안전사고 및 어머니의 응급처치 In-home Safety Acci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and Mothers' Emergency Treatment 간호학과(응급과정) 윤 지 윤 지 도 교 수 여 정 희 현대 사회의 발달은 우리의 생활을 편리하게 한 반면, 여러 가지 사고 위험을 증가시켜 아동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아동의 사고 사망률은 증가추세이고, 특히 가정 내 안전사고의 비율이 높은 실정이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경험한 아동은 생명에 지장을 주거나 부정적인 삶의 질을 갖게 될 수도 있으므로 대책이 필요하다. 최근 국제결혼이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자녀도 증가하였고, 이들이 처한 환경은 한국 일반가정 아동보다 더 안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들 아동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 또한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아동을 위한 안전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이들의 안전사고와 응급처치 실태를 우선적으로 파악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B시의 다문화가정지원센터, 다문화지역아동센터, 복지관에 등록된 결혼이주여성으로써, 한국인 남편과 결혼하여 만 1세~만 6세 아동을 두고 있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가정 내 어린이 안전보고서(한국소비자원, 2011)를 기초로 재구성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안전사고 경험, 사고유형별 발생 장소, 보호자 동반여부, 사고유형별 응급처치여부 및 행위 또는 시행하지 않은 이유, 안전사고 예방 및 응급처치 교육 경험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이는 한국어 설문지 외 영어, 베트남어, 중국, 캄보디아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총 회수된 설문지는 221부로, 불충분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한 총 210명의 응답이 연구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program 20.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국적은 다양하게 나타났고, 연령은 20대가 62.9%, 학력은 중졸 이하가 40.5%이었다. 둘째, 안전사고 예방 및 응급처치 교육 경험률은 47.1%, 교육 경로는 시설이나 지역 내 다문화지원센터가 40.8%로 가장 많았다. 셋째, 안전사고율은 96.2%로 매우 높았고, 자주 발생하는 사고유형은 떨어짐/넘어짐/미끄러짐(62.9%), 충돌/부딪힘(46.0%)이었다. 사고 발생 장소는 방/침실이 많았으며, 외상종류는 타박상, 찰과상이 가장 빈번하였다. 넷째, 아동이 보호자와 함께 있을 때 사고율이 더 높았고, 어머니의 응급처치율은 사고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화학물질 및 약물복용(중독) 사고의 경우 응급처치율이 0%, 이물질 삼킴(질식) 사고는 31.1%로 낮았으며, 이유는 ‘응급처치법을 몰라서’였다. 사고로 인한 병원 내원율이 매우 높았고, 화학물질 및 약물복용(58.3%)과 화상(44.8%)사고의 입원율이 높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다양한 국적을 가지고 있었고, 교육수준이 낮았다. 이들이 돌보는 아동은 높은 사고율을 보였고, 이로 인해 아동에게 영구적 장애를 남긴 경우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정 내에서 어머니의 응급처치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사고 발생 시 병원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았다. 안전사고 예방 및 응급처치 교육 경험은 낮은 편이었고, 건강정보도 부족한 편이므로 이에 대한 안전사고 예방 및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을 현실화하여 제공하고, 모국어로 된 개별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연구가 미흡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안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의 폭을 넓혔으며, 다문화가정 아동의 안전한 환경 개선과 건강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있다. 주요어 : 다문화가정, 아동, 안전사고, 응급처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