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뇌졸중 환자의 선 자세에서 신체 동요 시 운동형상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종하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3

        연구목적 : 뇌졸중 환자가 독립적인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선 자세에서 균형 유지 능력과 자세조절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와 정상 성인의 신체동요 시 선행적 및 보상적 자세조절 패턴을 각 관절의 각속도, 가동범위, 반응시간 등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 정상 성인 16명과 뇌졸중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각을 통한 신체 동요의 확인 유무에 따라 목, 허리,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의 각속도와 관절가동범위 및 반응시간을 3차원 동작 분석 시스템(Oqus seris 5, Qualisys Inc, Sweden)을 이용하여 3회 측정한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ver 25.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선행적, 보상적 자세조절 패턴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 신체동요 시 자세조절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선행적 자세조절 시 실험군의 각 관절 각속도는 목의 외전과 회전, 허리의 회전, 고관절의 회전, 슬관절의 굴곡, 족관절의 굴곡과 외전에서 정상 성인보다 유의하게 빠르게 나타났다(p<0.05). 2. 선행적 자세조절 시 실험군의 각 관절 가동범위는 목의 회전, 허리의 외전과 회전, 고관절의 굴곡, 외전, 회전, 슬관절의 굴곡과 외전, 족관절의 굴곡과 외전에서 정상 성인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3. 보상적 자세조절 시 실험군의 각 관절 각속도는 목의 외전과 회전, 허리의 회전, 고관절의 회전, 슬관절의 굴곡, 외전, 회전, 족관절의 굴곡, 외전, 회전에서 정상 성인보다 유의하게 빠르게 나타났다(p<0.05). 4. 보상적 자세조절 시 실험군의 각 관절 가동범위는 목의 굴곡, 외전, 회전, 허리의 외전과 회전, 고관절의 굴곡, 외전, 회전, 슬관절의 굴곡, 외전, 회전, 족관절의 굴곡과 외전에서 정상 성인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5. 실험군의 선행적 자세조절과 보상적 자세조절 시 각속도는 모든 관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가동범위는 모든 관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6. 반응시간은 실험군과 대조군, 선행적 자세조절과 보상적 자세조절의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실험군은 신체 동요 시 선행적 자세조절과 보상적 자세조절에서 각속도와 가동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신체 반응시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신체 동요 시 선행적 자세조절과 보상적 자세조절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는 신체 동요 시 선행적 자세조절 시 목과 허리 및 고관절에서, 보상적 자세조절시 모든 관절의 회전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뇌졸중 환자는 자세조절을 위해 신체를 회전하는 패턴을 사용하는 특성을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icipatory and compensatory posture control patterns using by angular velocity, range of motion, response time according to the perturbation between stroke patients and healthy adult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6 healthy adults and 14 stroke patients. We measured the angular velocity, range of motion and response time of neck, lumbar, hip, knee and ankle according to the perturbation with and without visual cue were measured 3 times using by the 3-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Oqus seris 5, Qualisys Inc, Sweden)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independent samples t-test to compare between stroke patients and healthy adults. Results: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perturbation condition were as follows. 1. The angular velocities in anticipatory postural control of the stroke patients were significantly faster than healthy adults in the abduction and rotation of the neck, rotation of the lumbar, rotation of the hip, flexion of the knee, flexion and abduction of the ankle(p <0.05). 2. The range of motion in anticipatory postural control of stroke patient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healthy adults in the rotation of the neck, abduction and rotation of the lumbar, flexion and abduction and rotation of the hip, flexion and abduction of the knee, flexion and abduction of the ankle joint(p <0.05). 3. Angular velocities in the compensatory postural control of stroke patients were significantly faster than healthy adults in abduction and rotation of the neck, rotation of the lumbar, rotation of the hip, flexion and abduction and rotation of the knee, flexion and abduction and rotation of the ankle joint(p<0.05). 4. The range of motion in compensatory postural control of stroke patien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healthy adults in the flexion and abduction and rotation of the neck, abduction and rotation of the lumbar, flexion and abduction and rotation of the hip, flexion and abduction and rotation of the knee, flexion and abduction of the ankle joint(p <0.05). 5. Angular velocities in all joints in anticipatory and compensatory posture control of stroke patient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range of motion in all joint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6. The reaction tim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ng between anticipatory and compensatory posture control in stroke patients and healthy adults. Conclusion : Stroke patients had an influence on the angular velocity and the range of motion in anticipatory and compensatory postural control according to the perturbation. However, they did not affect the reaction tim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anticipatory and compensatory posture control in perturbation. We found that stroke patients used more body rotating pattern for postural control according to the perturbation with and without visual cue. Stroke patients used more rotation pattern of lumbar and neck and hip joint for anticipatory postural control, but rotational pattern of all of joint for compensatory postural control.

      • 뇌졸중 장애인의 건강상태 영향요인의 이해: ICF 모델 기반 접근

        김 정 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943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만성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정신건강의 개선과 함께 인지기능 저하를 줄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졸중은 뇌혈관질환으로 인해 신경학적 결손이 발생하는 임상 증후군으로 운동장애, 인지기능 저하 등의 다양한 후유증을 겪게 된다. 매년 늘어나고 있는 뇌졸중 발생과 관련 후유증으로 인해 뇌졸중 장애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뇌졸중 장애인의 건강은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결정이 되는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건강 요인들을 분석하고 요인 간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ICF 모델과 같은 이론적 체계에 기반한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 장애인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요인 간의 관련성을 ICF 모델에 기반한 접근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뇌졸중으로 인한 보행장애 또는 인지장애를 가지고 있는 뇌졸중 장애인 111명을 목적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모집하였다. 운동기능, 인지기능, 사회적 차별 인식, 목표의지, 실행의지, 낙상위험, 신체활동 수준, 일상생활기능, 주관적 건강, 만성질환을 각각 평가하였으며, 정규성 검증 과정을 거쳐 최종 105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신체활동 수준이 주관적 건강평가, 인지기능 그리고 일상생활 독립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Process Macro 기반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5,000 samples)을 활용 하여 신체활동 수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입원과 외래 집단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외래치료 집단에 속한 뇌졸중 장애인 의 운동기능은 신체활동 수준을 매개로 주관적 건강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β=0.19, 95% CI=0.04∼0.42), 연령 (β=-0.21, 95% CI=-0.53∼-0.01)과 사회적 차별인식(β=-0.39, 95% CI=-0.88∼-0.04)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입원 치료집단은 실행의지가 신체활동 수준을 매개로 일상생활 독립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β=0.68, 95% CI=0.08∼1.41), 만성질환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β=-0.79, 95% CI=-1.66∼-0.05).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외래치료집단 에서는 잔존 운동기능에 대해 조절 가능한 요인인 신체활동 수준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입원치료집단에서는 재활치료를 포함한 신체활동 수준에 대한 실행의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뇌졸중 장애인의 건강 유지와 개선을 위해서 신체활동 참여의 필요성과 함께 실행 의지의 중요성을 시사한다고 생각한다. Regular physical activity reduces the risk of chronic diseases and the decline of intellectual functioning along with improving mental health. Stroke is a clinically defined syndrome in which neurological deficits attributed to cerebrovascular disease, and suffer from various consequences, such as motor dysfunction and cognitive decline. Due to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stroke and related consequences, interest in the health status of individuals with stroke is increasing. Since the health of individuals with stroke is complicated, an approach based on a theoretical framework, such as the ICF model, is necessary to understand various health related factors and their interaction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 status of individuals with strok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ose factors based on the ICF mode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11 individuals with stroke who had gait disorder or cognitive impairment were recruit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Motor functions, cognitive functions,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goal intention, implementation intention, fall risks, physical activity levels, daily living function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were assessed. Except for outliers(n=6), data from 105 participants were included for the primary analyses. As a result, physical activity level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rated health, cognitive function, and independence of ADL (p<.05). Bootstrapping (5,000 samples) based on PROCESS Macro showed there were different mediating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levels by inpatient and outpatient groups. The motor function of the individuals with stroke in the outpatient group had a mediating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levels between motor functions and self-rated health (β=0.19, 95% CI=0.04∼0.42),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ge (β=-0.21, 95% CI= -0.53∼-0.01) and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β=-0.39, 95% CI=-0.88∼-0.04) appeared significantly. In the inpatient group, physical activity level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ementation intention and independence of ADL (β=0.68, 95% CI=0.08∼1.41), and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hronic disease was found (β=-0.79, 95% CI=-1.66∼-0.05). The research findings may indicate that physical activity behavior that is a modifiable factor for remaining motor function plays a pivotal role in the outpatient group, and implementation intention, including rehabilitation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critical in the inpatient group. In conclusion, the current research may suggest that the importance of implementation intention and the need for physical activity to maintain and improve health of individuals with stroke. Key words: individuals with stroke, ICF model, health status, physical activity, implementation intention

      • 급성기 뇌졸중 환자 임상양상 분석 및 한국형 예측 모델 개발

        이성은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943

        연구배경 및 목적: 뇌졸중 치료에 있어서 시간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특히, 정맥내혈전용해치료가 도입되고 최근 동맥내접근법을 통한 혈전제거술을 이용한 치료가 성공하며 시간은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시간 내에 재개통치료를 받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는 소수에 불과하다. 이는 초기 상황에서 뇌졸중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거나, 적절한 조치를 시행하기 위한 결정이 늦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여러 나라들에서는 뇌졸중조기인지를 위한 점수체계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지만 현실에 적용할 때는 진단의 정확성 등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기 뇌졸중으로 내원한 환자들의 임상양상, 생체징후, 및 초기 혈액 검사 소견을 분석하여 응급실에서 의료진들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아주대학교병원 뇌졸중팀에서는 급성기 뇌졸중 의심 환자들이 빈번하게 호소하는 증상을 분석하여 “S 입방체 모델”을 발표하였고, 이를 전자의무기록과 연결하여 전향적 레지스트리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레지스트리에 등록되어 있는 2012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증상 발생 6시간 이내에 응급실에 내원한 급성 뇌졸중 의심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임상정보(Clinical Information), 생체징후(Vital signs), 및 초기 혈액 검사 소견(Initial Laboratory findings)을 통합하여 CIVIL이라는 새로운 점수체계를 생성하였다. 이러한 체계를 뇌졸중 및 뇌졸중모방 환자에 적용하여 실제 뇌졸중을 예측하는 새로운 체계로 발전시키려 하였다. 본 점수체계는 이전에 사용되어 오던 뇌졸중조기인지체계인 Cincinnati Prehospital Stroke Scale (CPSS), Los Angeles Prehospital Stroke Screen (LAPSS), 및 Recognition of Stroke In the Emergency Room (ROSIER)와 ROC 곡선을 통해 진단수행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총 1,621명의 환자가 급성 뇌졸중 의심 증상으로 내원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배제기준에 속하지 않은 1,559명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전체 환자 중 1,153명(74.0%)이 뇌졸중 확정 진단을 받았다. 임상정보에 있어서 뇌졸중환자는 뇌졸중모방환자에 비해 나이가 많고(64.5±14.2 vs. 62.2±15.7세, p=0.012), 남성의 빈도가 높았으며(60.6 vs. 49.3%, p<0.001), 고혈압(52.6 vs. 41.9%, p<0.001), 심장관련질환(22.8 vs. 17.0%, p=0.014)의 빈도가 높았지만, 정신과적 문제(1.5% vs. 9.4%, p<0.001), 실신이나 경련의 과거력(0.1% vs. 20.0%, p<0.001)의 빈도는 낮았다. 비대칭적 증상 및 징후는 뇌졸중환자에서, 한쪽에 국한되지 않는 증상이나 의식변화는 뇌졸중모방환자에서 빈번하게 나타났다. 내원 당시 생체징후는 뇌졸중환자에서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이 모두 높게 측정되었으며(151.1±28.6 vs. 137.7±28.9mmHg, p<0.001; 86.8±16.4 vs. 81.9±34.7mmHg, p=0.007), 비정상적인 맥박수나 체온 이상은 적게 관찰되었다(1.0 vs. 2.7%, p=0.014; 1.1 vs. 4.7%, p<0.001). 응급실 내원 시 혈액검사 소견에서 혈당수치의 이상 소견이 뇌졸중 군에서 적게 관찰되었다(0.8 vs. 4.4 %, p<0.001).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는 항목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총 14개의 항목(임상정보: 10개, 생체징후: 3개, 혈액검사 소견: 1개)을 이용하여 새로운 점수체계(CIVIL)를 제시하였으며, 이전 점수체계와 진단능력을 비교하였을 때 진단적 정확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곡선아래영역: CIVIL vs. ROSIER vs. LAPSS vs. CPSS; 0.770 vs. 0.751 vs. 0.713 vs. 0.674). 결론: 초기 임상정보, 생체징후, 및 혈액 검사 소견을 이용하는 CIVIL 체계는 응급실에서 의료진들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고 기존의 뇌졸중 조기인지체계보다 진단적 정확도가 높은 새로운 방법으로 판단된다.

      • 뇌졸중 발병 이후 노인들의 삶의 경험

        공화자 백석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943

        국문초록 뇌졸중 발병 이후 노인들의 삶의 경험 본 연구는 뇌졸중 발병 이후 노인들의 삶의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그들의 관점에서 그들의 목소리를 통하여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개념이나 현상에 대한 개인의 경험의 의미를 기술하고, 경험의 본질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인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질문은 ‘뇌졸중 발병 이후 노인들의 삶의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뇌졸중 발병 이후 후유증을 겪고 있는 70세 이상 10명으로 노인복지관 내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고 있다. 총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11월부터 2016년 4월까지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과 메모를 실시하였고, 1회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30분∼1시간 정도이다. 참여자별 면담 횟수는 평균 4∼6회이다. 모든 면담자료는 참여자가 표현한 기술을 그대로 필사하고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발병 이후 노인들의 삶의 경험에서 기술된 내용을 학문적 용어로 변환된 의미단위들을 동일한 의미끼리 묶어서 191개의 의미단위로 요약하였고, 41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묶은 후 다시 11개의 구성요소로 정리하였다. 이상의 구성요소로 살펴볼 때 뇌졸중 경험의 원리적 측면이 선행되면서 노인들의 삶에서 심신의 변화를 경험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참담한 현실’은 뇌졸중을 부정적 의미로 받아들이며 죽음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느끼며 마음 한편으로 죽음을 생각하기도 하고, 현재 삶을 힘겹게 살아가고 있다. ‘혼란한 상황과 갈등’은 발병 초기에 질병에 대한 사전 지식 부족과 대처방안 미숙함에 대한 아쉬움이 있다. 치료과정 중에 의료진에 대한 불신과 불만에 대한 의사표현을 하지 못했다. 장기적인 입원과 치료는 경제적 부담감으로 작용하고 참여자보다는 가족의 이동성, 접근성 등 편의에 따라 결정되어 비용이 저렴한 기관으로 옮겨진다. 이후 가족에게 짐스런 존재로 인지되는 과정이다. ‘회복을 위한 노력’은 다양한 재활치료를 받고 회복 효과성에 의구심이 들고 남들이 효과를 봤다는 곳과 민간요법, 대처활동도 병행한다. 나쁜 습관을 고치고, TV를 통한 구두정보를 얻는다. 가족들은 완전회복의 기대치가 낮고, 재발의 가능성과 질병의 현재 상태와 타협한다. 참여자는 종교에 의지하여 마음의 위안을 얻고자 한다. ‘부양과 경제적인 부담감’은 경제적 원인으로 발병 초기에 충분한 재활치료를 받지 못하거나 가족의 결정에 따라 치료를 중단하기도 한다. 급성기이 후에는 주로 통원치료와 한방치료를 병행했다. 퇴원 후 유배우자 참여자는 배우자의 부양으로 가족부담이 낮아졌으나 부부간의 갈등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무배우자는 가족의 편리에 의한 부양 순서, 기간 등을 정하는 공동부양은 거주지의 잦은 이동으로 심리적 위축과 자존감이 하락하나 가족 간 갈등이 비교적 적은 편이다. ‘방황하는 마음’에서 질병의 장기화는 치료의 낮은 효과와 느린 회복으로 치료보다는 증상조절에 기대한다. 일상기능의 의존성이 높을수록, 부정적인 부양이 많아질수록, 경제력이 빈약할수록 우울과 같은 심리적 갈등이 심해졌다. 반면에 가족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 경우 지금 상황을 좀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 ‘가족의 소외와 갈등’은 참여자들이 발병 이전과 같은 사회생활 복귀와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하지 못했다. 긍정적 지지를 받지 못하고 무관심과 소외감을 느꼈다. 자식들은 참여자의 부양부담에 따른 경제적, 신체적, 정신적 압박과 갈등으로 소원해지기도 했다. 참여자의 의사소통장애는 대인관계가 원활하지 못하고 수동적이나 배우자나 가족들에게 폭언과 폭력을 사용하거나 반대로 구박을 받기도 했다. ‘세상과 단절’은 참여자 스스로 일상생활수행이 가능해짐에 따라 가족의 관심이 감소되고. 신체적 의존도가 높은 참여자는 활동 영역이 축소되고 외부세계와 단절과 고립으로 이어졌다. ‘현재 상황 수용하기’는 노년기에 접어든 자식의 경제력 상실과 무능력으로 며느리가 생활전선에 나서는 등 가정 내 역할 변화와 가족구성원의 부양부담감이 가중되었다. 참여자는 어른으로서의 지위 격하와 위축감을 경험하고, 더 이상 가족의 위계질서와 가족 중심적 사고를 요구하지 않는다. 변화된 효 가치관을 인정하고 수용하며 점점 주변화 되어간다. ‘가정을 지키기 위한 노력’에서는 배우자가 없는 참여자는 자녀양육 책임감 때문에 재혼도 포기하였고, 자식이 경제적으로 무능력한 참여자는 발병 이전까지 경제적 활동을 하였으며, 부부가 해로한 경우도 사후에 남게 될 배우자의 경제적인 면과 부양부담을 걱정하였다. 참여자들은 거주지 선택도 자식들 사정에 따라야 하나 익숙한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살기를 원한다. ‘세상에 다가서기’은 가족 구성원간의 화해와 소통을 위한 공식적, 비공식적 지지체계를 통해서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지원을 얻고 가족 간의 부양부담이나 갈등에 대한 상황을 극복해 간다. ‘평온한 끝맺음을 위한 노력’은 사후처리에 대한 시간적 여유와 자식들에게 폐해를 주지 않는 적절한 시기에 고통을 자각할 의식 없이 짧은 임종과정을 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은 뇌졸중 발병 이후 후유증으로 신체적 어려움과 다양한 원인으로 부정적인 정서와 좌절감을 경험하고, 죽음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수용적 태도와 임종에 대한 두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반면에 남아있는 여생에 대한 강한 애착과 좀 더 나은 삶을 살기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사회복지 및 정책적 함의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주제어: 뇌졸중, 발병 이후, 고령노인, 삶의 경험, 질적연구

      • 치료적 중재의 보존적 접근법이 만성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자세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동수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3

        뇌졸중(stroke)은 뇌혈관의 이상으로 인하여 뇌경색 또는 허혈, 뇌출혈로 인한 국소 신경학적 장애나 의식장애가 24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사망을 초래하는 갑자기 발생하는 국소 또는 전반적 뇌기능의 장애를 보이는 임상징후라고 정의한다. 뇌졸중은 심각한 장애를 일으킴으로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일단 손상을 받으면 재생이 힘들고, 질환이 장기화되기 쉬워 사회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한국 임상현장의 보존적인 뇌졸중 재활치료는 신경가소성 원리에 입각하여 신경발달치료(neuro-developmental treatment), 근전도-유발 기능적 전기자극(EMG-trigger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목표지향훈련(task-oriented exercise), 몸감각운동(sensorimotor exercise), 운동학습(motor learning)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비급여 항목인 최신의 치료들이 있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로봇치료(robotic device therapy)등은 뇌졸중 환자의 균형훈련에서 효과성이 있다. 하지만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환자 대부분이 효과성이 있는 비급여의 최신 치료를 받을 수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임상현장에서 제공하는 보존적 물리치료(conservative physical therapy)가 만성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필요충분조건이 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만성 뇌졸중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균형 및 보행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4주간 진행되는 중재의 전과 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재활 센터에서 현재에 입원치료를 중인 만성 뇌졸중 편마비 환자 335명이다. 중재 프로그램에는 임상에서 주로 적용되고 있는 보존적인 치료로서 세부적으로 신경발달치료 30분, 근전도-유발 기능적 전기 자극 20분, 균형운동 40분, 목표지향운동 20분, 몸감각운동 20분으로 총 2시간 20분, 1주에 5회씩, 4주 동안 진행하였다. 평가도구는 일어나 걷기검사(timed up and go test),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동적보행지수(dynamic gait index)의 3가지로 진행했고 중재 전, 중재 후 총 2회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보존적인 재활치료를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이후의 효과를 비교했을 때 균형 변수인 버그균형척도 점수는 증가하였고, 일어나 걷기검사 시간은 감소하였고, 동적보행지수 점수는 증가하였다.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 한국의 재활병원에서 실시하는 보존적인 재활치료가 뇌졸중 균형 및 보행 훈련에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보존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치료 또한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과 보행의 향상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부담을 덜어주어 환자와 환자 보호자 및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결과가 될 것이다. Stroke is characterized by a sudden onset of local or overall disability in brain function, which results in cerebral vascular abnormalities and accounts for local neurological disorders such as cerebral infarction or hemorrhage that lasts longer than 24 hours or causes death. It leads to severe debilitation that reduces the quality of life, resulting in difficult regeneration. It thereby amplifies the socioeconomic burden of disease due to prolonged illness. Based on the neuroplasticity, conservative stroke rehabilitation therapy in Korean clinical settings comprise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EMG-trigger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ask-oriented exercise, sensorimotor exercise, motor learning, and others. In addition, there are up to date therapeutic modalities that are not covered under national health insurance. Virtual reality, robotic device therapy, and other state of the art therapy are effective in establishing balance in stroke patients. However, due to economic reasons, most patients cannot receive advanced therap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in individuals with chronic hemiparetic stroke in Korean clinical settings, as assessed by the most commonly used gait and balance assessment tools. Altogether, 335 patients who were afflicted with chronic hemiparetic stroke and hospitalized in rehabilitation cent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nservative treatment comprised the modalities commonly used in clinical settings. The intervention programs consisted of a series of physical therapies, which included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30 minutes), EMG-trigger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20 minutes), balance training (40 minutes), goal-oriented training (20 minutes), and somatosensory training (20 minutes). The evaluation tools employed to assess the parameter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cluded the timed up-and-go test, the Berg balance scale, and the dynamic gait index. On comparing the pre and post intervention results,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average Berg balance scale score, a reduction in the timed up-and-go test average time, and an increase in the dynamic walking index average score. In conclusion, conservative rehabilitation in Korean rehabilitation hospitals was effective in balance and gait training for chronic hemiparetic stroke patients. Therefore, conserv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stroke can improve their postural balance and the ability to walk, as well as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their caregivers, and their families by reducing the financial burden.

      • 성인 뇌졸중 환자를 위한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 기반 병원-가정 전환 프로그램의 효과

        조수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9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ospital-to-home transitional program based on the Interaction model of client health behavior for adult patients with stroke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Based on Cox (2003)'s Interaction model of health behavior (IMCHB), this program consists of Client-Professional Interaction 4 factors (Affective support, Information, Decisional control,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into specific strategies, identifying and promoting changes for Dynamic variables of individual participants (Affective response, Cognitive appraisal, Intrinsic motivation).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nterviews with experts and participants, validation of content validity of experts, and preliminary research. In order to test the effect of this program,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among adult patients with first-ever stroke who were hospitalized at three medical institutions, those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and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In the final analysis, 20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and 18 patie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were included. Data were collected for about 17 months from February 2020 to August 2021. Pre-test, intervention treatmen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sequentially. As for the intervention treatment, the control group applied education once based on the results of questionnair about the adherence of health behavior, and the intervention group applied the developed program individually for 12 weeks 8 times. The research variables in the pre and post-tests were biological risk factors for stroke recurrence, physical dysfunction, anxiety, depression, stroke severity, health behavior adherence, patient satisfac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data analysis,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 test, ANCOVA, Independent t-test were utilized using SPSS 28.0 Window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e-post difference in the biological risk factors for stroke recurrence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no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F=2.44, p=.127). 2. The pre-post difference of physical dysfunction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no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Z=-0.24, p=.828). 3. The pre-post difference of anxiety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2.46, p=.009). 4. The pre-post difference of depression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no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Z=-1.38, p=.176). 5. The pre-post difference of stroke severity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Z=-2.35, p=.022). 6. The pre-post difference of health behavior adherence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3.81, p<.001). 7. The pre-post difference of client satisfaction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Z=-2.06, p=.044). 8. The pre-post difference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2.93, p=.003).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hospital-to-home transitional program based on Interaction Model of Client Health Behavior (IMCHB-Stroke), improved anxiety, stroke severity, health behavior adherence, patient satisfac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 patients with stroke. Therefore, the program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an effective transition program that aims to improve health outcomes by educating and practicing healthy behavior promotion and negative emotional management methods to prevent recurrence for adult patients with stroke discharged from hospitals to their homes.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뇌졸중 환자를 위한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 기반 병원-가정 전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본 프로그램의 개발은 Cox (2003)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을 기반으로 의료인과 대상자 간 상호작용 요소인 정서적 지지, 건강정보 제공, 의사결정 통제, 전문가적/기술적 역량을 구체적인 전략으로 구성하고, 대상자 개인의 역동적 변수인 정서적 반응, 내적 동기화, 인지적 평가를 확인하고 변화를 도모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문헌 분석, 전문가와 대상자 면담,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 검증 및 예비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와 포항시 소재 3개 의료기관에 입원한 생애 첫 뇌졸중을 진단받은 성인 환자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자로, 최종 대조군 20명, 중재군 18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자료수집은 2020년 2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약 17개월간 이루어졌으며, 사전조사, 중재처치, 사후조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중재처치는 대조군은 사전 건강행위 이행에 대한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1회 교육을 제공하였고, 중재군은 개발된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12주간 8회기 적용하였다. 사전․사후 조사는 뇌졸중 재발관련 생리적 위험지수, 기능장애, 불안, 우울, 뇌졸중 중증도, 건강행위 이행, 환자 만족도,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사전조사에서는 추가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Window Program의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 test, ANCOVA, Independent t-test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1. ‘성인 뇌졸중 환자를 위한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 기반 병원-가정 전환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은 뇌졸중 재발 관련 생리적 위험지수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대조군보다 클 것이다’의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F=2.44, p=.127). 가설2. ‘성인 뇌졸중 환자를 위한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 기반 병원-가정 전환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은 기능장애 점수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대조군보다 클 것이다’의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Z=-0.24, p=.828). 가설3. ‘성인 뇌졸중 환자를 위한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 기반 병원-가정 전환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은 불안 점수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대조군보다 클 것이다’의 가설은 지지되었다(t=2.46, p=.009). 가설4. ‘성인 뇌졸중 환자를 위한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 기반 병원-가정 전환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은 우울 점수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대조군보다 클 것이다’의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Z=-1.38, p=.176). 가설5. ‘성인 뇌졸중 환자를 위한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 기반 병원-가정 전환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은 뇌졸중 중증도 점수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대조군보다 클 것이다’의 가설은 지지되었다(Z=-2.35, p=.022). 가설6. ‘성인 뇌졸중 환자를 위한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 기반 병원-가정 전환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은 건강행위 이행 점수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대조군보다 클 것이다’의 가설은 지지되었다(t=-3.81, p<.001). 가설7. ‘성인 뇌졸중 환자를 위한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 기반 병원-가정 전환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은 환자 만족도 점수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대조군보다 클 것이다’의 가설은 지지되었다(Z=-2.06, p=.044). 가설8. ‘성인 뇌졸중 환자를 위한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 기반 병원-가정 전환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은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대조군보다 클 것이다’의 가설은 지지되었다(t=-2.93, p=.003). 본 연구의 성인 뇌졸중 환자를 위한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 기반 병원-가정 전환 프로그램은 성인 뇌졸중 환자의 불안, 뇌졸중 중증도, 건강행위 이행, 환자 만족도, 건강관련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병원에서 가정으로 퇴원하는 성인 뇌졸중 환자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건강행위 증진 및 부정적 정서관리 방법을 교육하고 실천함으로써 건강결과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효과적인 전환 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뇌졸중 환자와 정상 성인 간 생활시간사용 비교 분석

        박수진 대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와 정상성인 간의 각 특성에 따른 생활시간사용량을 비교 분석 해 보고자 하였다. 2016년 1월부터 2016년 3월까지 대구·경상지역의 재활 및 요양 전문 의료기관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집단 150명과 대구 지역 K재활병원 보호자, 성당, 노인대학 기관 대상자 1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총 1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연구자가 기관에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 배부 후 직접수령 또는 우편으로 회수하였으며, 93%의 응답률을 통한 설문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졸중 집단의 인구학적 특성 중 연령에 따른 필수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발병 후 기간에 따른 여가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둘째, 정상성인 집단의 인구학적 특성 중 연령에 따른 의무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연령에 따른 여가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셋째, 뇌졸중 집단과 정상성인 집단의 성별에 따른 시간사용 비교분석에서 두 집단 모두 필수시간, 의무시간에서 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연령에 따른 시간사용 비교분석에서 모든 연령에서 필수시간, 의무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뇌졸중 집단, 정상성인 집단에서 총 생활시간사용량과 영역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필수시간, 의무시간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불균형한 시간배분, 작업불균형이 나타났으며 생활시간조사가 적절한 시간 배분, 작업균형을 맞추는데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설문을 작업치료분야 있어 유용하게 접근하기 위하여 수정 보완이 필요 할 것이고, 뇌졸중 이외의 다양한 질환에서도 비교·분석, 성별, 연령 이외의 다양한 특성을 추가하여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time use between stroke patients and healthy adults by their characteristics.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150 stroke patients who received rehabilitation treatments in rehabilitation or convalescence-specialized medical institutions in Daegu and Gyeongsang regions from Jan. to Mar. 2016 and another 150 normal adults, such as care-takers from K Rehabilitation Hospital, catholic church members and elderly college students. To conduct a total of one survey, the researcher visited the related institutions and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copies in person, and then collected 93% of the questionnaire copies in person or by mail, and the survey results are as below. Firstly, out of all the stroke group characteristics, the stroke group showed differences of time use in essential time, compulsory time and leisure time by gender and age. Secondly, out of all the normal group characteristics, the normal group showed differences of time use in essential time, compulsory time and leisure time by gender and age,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f time use in essential time and leisure time by age(p<.05). Thirdly, between the stroke group and the norm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ime use in essential time and compulsory time by gender(p<.05), and significant differences of time use in essential time and compulsory time by age(p<.05). Besid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ime use in leisure time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at the age of 25 to 39 and the ones at 65(p<.05). Even in gender and ag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ime use.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otal time use and the domain between the stroke group and the normal group, and both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ssential time and compulsory time. As a result, an imbalanced time distribution and a work imbalance were found in stroke patients, and it seems that this time use investigation will be useful in distributing time properly and balancing work. Further studies should modify and supplement this survey results to effectively apply to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and even for various other diseases beside stroke, further comparativ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with more characteristics added beside gender and age.

      • 편측무시 유무에 따른 뇌졸중 환자와 비장애인의 시선 움직임 비교

        함예진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3

        편측무시는 주로 우반구 손상 뇌졸중 환자에게서 자주 나타나며 뇌졸중 후 일상생활 기능의 장애를 가지는 뇌졸중에 부정적인 예측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편측무시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시선추적기를 사용하여 비장애인, 편측무시가 없는 뇌졸중 환자, 편측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로 구분하여 위치에 따른 시선의 움직임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환자-대조군 관찰 연구로 뇌졸중이 없는 비장애인 군, 편측무시가 없는 뇌졸중 군, 편측무시가 있는 뇌졸중 군으로 총 세 군으로 분류하여 각 20명씩 총 60명의 연구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편측무시를 평가하기 위한 절대표준검사인 행동부주의검사(Behavioral inattention test; BIT)를 컴퓨터 환경에서 진행하는 동안 시선추적기를 이용하여 체류시간, 재방문 횟수 등의 정량적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NOVA을 사용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투키 사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편측무시 이외의 뇌졸중 환자의 시선 움직임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비장애인과 비교하여 뇌졸중 군에서 빈 공간에 대한 체류시간과 재방문 횟수가 현저하게 많았다. 편측무시가 있는 뇌졸중 군은 다른 두 군과 비교하여 매우 왼쪽과 왼쪽 영역에서는 체류시간과 재방문 횟수가 유의하게 적었다. 반면 편측무시가 없는 뇌졸중 군의 경우 비장애인과 비교하여 왼쪽영역에 대해 더 체류시간이 길고 재방문 횟수도 많았다. 편측무시 유무 외에 인지기능과 발병 양상도 영역에 따른 체류시간과 재방문 횟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본 연구를 통해 편측무시를 가진 뇌졸중 환자들의 한정적이며 독특한 시선움직임의 특징을 밝혔으며 이는 앞으로 편측무시 재활에서 긍정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Hemi-spatial neglect is often associated with right hemisphere stroke patients, negatively impacting the survivors' functional ability and quality of life. This study compared the information about the participant's eye movement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neglect after stroke, including the patterns of eye movement with dwell time and revisits depending on the area of interest. Methods: This study design is a case-control observational study. Sixty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non-disabled, stroke without neglect syndrome, and stroke with neglect syndrome. All participants evaluated the eye movement quantitatively using a gold standard assessment tool for neglect syndrome. The eye tracker collected eye data of the participants during evaluation. Compare and analyze the dwell time and revisits by five distinct areas of interest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spatial neglect between non-disabled and stroke patients. Results: Stroke patients showed longer dwell time and revisit count in white spaces compared to non-disabled groups. In the very left and left areas, both the dwell time and the revisit count in the stroke with neglect syndrome group were less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In contrast, stroke without neglect syndrome group had longer dwell time and high revisits than non-disabled. Also, cognitive function and stroke type make a difference in dwell time and revisits.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 unique and limited patterns of stroke patients' eye movement compared with non-disabled.

      • 뇌졸중 노인 부양자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환자의 일상생활동작능력 간의 관계

        곽영옥 삼육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43

        This paper studied about the descriptive corelation between the stress response,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social welfare of the Caregivers and ADL of Stroke Patient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120 sustainers of the apoplectic patients hospitalized in 3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ed from 20th, July to 20th, September in 2007.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like these: * The results of the study about the stress respons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are like these: 1. There was much difference in the corelation according to the spouse and job of the caregivers and there was a littl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stress response between the caregivers satisfied with their marriage life and those not satisfied, and between the caregivers under 2.5 million won and over in their monthly income state. And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religious state. 2. Male patients had a higher stress response in all its sub-variables in the analysis ab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oplectic. Female patients had a higher subjective well-being. There was no meaningful variables in the stress respons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between the patients with paralytic symptoms above average and the under or none. * The results of the study about the social support are like these: 3. As the results of ANOVA about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ocial supporting level(High, Middle, Low) to the post-stroke caregivers, there was a little meaningful co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ing level and the stress respons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caregivers. 4. As the regression analysis about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ub-variables( emotional support, informative support, substantial support, estimative support) of social support in the stress respons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post-stroke caregiver, there was a boundary significance in the stress response and there was a high significance in the subjective well-being. 5. This is the results of the study about the ADL. As the results of ANOVA about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DL in the in the stress respons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post-stroke caregiver, there was no variables with meaningful differences in in the stress respons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caregivers. In conclusion, beca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ain post-stroke caregivers have a lot of charges, it is necessary not to only provide the various social supports reducing their charges and increasing the satisfaction with their caring, but also to provide some educational supports and programs reducing stresses. 본 연구는 뇌졸중 노인을 부양하는 부양자의 스트레스반응 주관안녕 및 사회적지지 와 노인의 일상생활동작간의 관계를 조사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와 서울지역에 위치하는 병원3곳에 뇌졸중으로 입원하고 있는 환자 부양자 120명이었으며, 2007년 7월 20일부터 2007년 9월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 아닌 부양자와 배우자 부양자의 경우와 부양자의 직업의 유무에 따른 경우는 차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결혼에 만족하는 부양자와 결혼에 만족하지 못하는 부양자의 경우와 가계수입이 250만원이하와 251만원이상의 경우에서는 경계적 유의수준으로 나왔으며, 종교를 가지고 있는지 유무를 나타내는 경우에서는 유의도 수준 안에서 설명이 되는 요인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뇌졸중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나누어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반응의 하위 변수들 모두가 전체적으로 환자의 성별이 남성인 경우가 스트레스 반응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안녕에서는 환자의 성별이 여성인 경우가 더 주관안녕이 높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환자의 마비가 보통이상인 경우와 환자 마비가 아니거나 약간인 경우에 스트레스반응과 주관안녕에는 차이를 보이는 변인이 없었다. 셋째, 뇌졸중환자의 부양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 정도(상, 중, 하)에 따른 부양자의 스트레스반응과 주관안녕에 차이가 있는지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반응과 주관안녕을 보면 경계적 유의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뇌졸중환자의부양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 하위 변수(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 총사회적지지)에 따른 스트레스반응과 주관안녕에 차이가 있는지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에서 전체스트레스 반응에서는 경계적 유의수준을 보였고, 주관안녕에서는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 동작능력 정도에 따라 부양자의 스트레스반응과 주관안녕에 차이가 있는지 변량분석(ANOVA) 결과를 보면 환자의 일상생활 동작 능력 정도에 따른 부양자의 스트레스반응과 주관안녕에는 차이를 보인 변인이 없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노인환자의 주부양자가 부양부담을 많이 받으므로 부양부담을 줄여주고 부양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지지의 제공과 더불어 스트레스의 감소를 위한 교육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뇌졸중 환자가 겪는 경제적 스트레스의 관련요인 연구

        이동걸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43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의 일부가 손상되어 신체기능의 마비가 생기게 되는 것으로 크게 뇌경색과 뇌출혈로 분류한다. 뇌출혈은 고혈압, 동맥류, 동정맥 기형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뇌경색은 뇌 영양동맥의 일시적 혹은 영구적 폐색으로 발생한다. 뇌졸중의 일반적인 요인으로는 성별, 나이, 인종, 가족력 등이 있으며, 위험인자(risk factor)로 가장 중요한 것은 고혈압이고 그 외 높은 연령, 심장병, 당뇨병, 고 지질혈청, 흡연, 비만증, 피임약 복용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들이 겪는 경제적 스트레스 및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 특성 및 질병의 제 특성을 파악하여 뇌졸중환자의 삶의 질 요인을 규명하므로 뇌졸중 환자가 겪는 경제적 스트레스 및 우울과의 관계를 통해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뇌졸중환자가 겪는 경제적 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전략을 모색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병원, 종합병원, 재활센타 등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환자 209명으로 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각각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1:1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경제적 불편감척도(Gore, 1978)와 Arruda J.E가 개발한 시각상사척도와 GHO-60(Goldberg, 1972), MOS SF-36(Ware 등, 1992)을 김건엽(2002)이 표준화한 23문항 중 삶의 질을 측정하는 12문항을 수정,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for the Social Sciences)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 특성, 물리치료 관련 특성, 질병 관련 특성, 경제적 스트레스, 우울, 부부관계를 독립변수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전체 연구 대상자의 기술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와 일반적 특성, 물리치료,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의 경제적 스트레스, 우울, 삶의 질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사용하여 뇌졸중환자가 겪는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먼저 통계적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성별, 연령, 종교, 교육정도, 결혼유무, 가구경제, 동거유무, 재정부담 등의 변인의 차이를 볼 수 있다. 경제적 스트레스 점수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 분석을 보면, 다중회귀분석 중 분석에 투입한 변수에서 의미 없는 변수를 제거하기 위해 후진 제거 법을 이용하였고, 발병 후 가계수입(p<0.05), 재정적 압박 수준(p<0.01), 우울(p<0.05), 삶의 질(p<0.05), 생활수준(p<0.05) 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지수, 삶의 질 정도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경제적 스트레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감정상태가 낮고 생활수준과 재정적 압박 정도가 매우 심할 경우 더 유의하게 경제적 스트레스 점수가 높게 나왔다. 이는 뇌졸중환자가 겪는 경제적 스트레스 요인이 우울과 함께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인구분석학적 결과를 보더라도 가구의 소득수준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건강에 대한 재정적 부담, 가족으로부터 소외 일과에의 영향, 올가미를 쓴 느낌 우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감정상태, 재정적 압박상태, 우울, 생활수준, 질병 관련 특성, 삶의 질을 위주로 하여 경제적 스트레스 관련 요인을 살펴본 결과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경제적 부담 수준을 측정하여 즉, 월평균 소득, 생활비, 보호자의 근로소득, 재산소득 등 뇌졸중 환자 및 그 가족의 실제적 경제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사용하고, 더불어 보다 객관적인 경제적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이용하여 조사를 한다면 임상적으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뇌졸중 환자의 경제적 스트레스를 감소하고 삶의 질 수준 증진시킬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하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치료 적 중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 된다. Stroke breaks out when blood vessels which supply blood for the brain are blocked or torn apart, bringing body parts into paralysis. It is divided into cerebral infarction and cerebral hemorrhage. Stroke is generally caused by gender, age, race, family history, and etc. Among them hypertension is the biggest risk factor, followed by aging, heart attack, diabete mellitus, smoking, obesity, contraceptive pills. The study is to discover relations between patients with stroke and their economic stress or depression, thus providing pertinent basic data. 209 patients with stroke in Daejeon were on the research.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rmulated questionnaires. Kim(2002)'s twelve questions measuring the quality of living out of 23 were modified and changed for the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ere put into SPSS 12.O, where t-test, ANOVA(analysis of variance) were analyz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Gender, age, religion, educational background, matrimonial status, household financial status, monetary status and et cetera were variables.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economic stress, statistically significant were household income(p<0.05), monetary pressure(p<0.01), depression(p<0.05), quality of living(p<0.05), standard of living(p<0.05). High depression and quality of living significantly brought about high economic stress. Economic stress was more significantly shown with low profile, poor standard of living, and financial pressure. This means that economic stress as well as depression affects stroke patients, implying that household income levels, isolation, and a sense of being trapped influence the patients and their depression. On the basis of these data as above and further analyses of monthly average income, spouse's income, property income of stroke patients' families, it is likely that more objective relations between economic stress and stroke or depression would be discovered. Alleviating the patient's economic stress and increasing the quality of living are required to decrease depression, and to develop an alternative of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