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사의 농문화 인식 정도에 관한 연구

        김주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장애인의 병리학적인 특성을 넘어 언어적, 문화적 소수민족의 특성을 가진 농인(Deaf)의 문화적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효과적인 사회복지실천 서비스의 기본이 됨을 전제로 밝히고 있다. 현재 농인은 복지의 사각지대에 속해 있으며, 이는 사회복지 내에서 농문화(Deaf culture)의 이해가 뒷받침 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문제제기 하고,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들이 농문화를 인식하는 정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특히 일반 사회복지기관과, 장애인 복지관, 농인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의 농문화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여 사회복지사가 농문화를 바르게 인식하고 사회복지 실천적 서비스에서의 함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68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배포 및 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전체적인 사회복지사는 농과 농인을 전통적이고 병리학적인 관점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농문화의 요소 중 족내혼, 즉 농인사회 내에서의 결혼 및 출산에 관한 부분에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농인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는 네트워크를 제외한 모둔 부분에서 농문화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장애인복지관과 기타 일반사회복지기간을 비교한 결과 이 두 집단에서는 농문화 인식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농인과 장애인과 같은 장애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음을 증명한다. 농문화의 차이를 보이는 요인 중에는 단순한 수화학습의 유무가 아닌 수화실력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형식적인 수화학습이 아닌 하나의 언어와 문화로서 접근하는 수화학습이 농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몇 가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사회복지사가 수화를 습득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수화 학습의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수화통역사 제도 및 수화강사 제도를 마련하고, 체계적인 수화학습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농인복지의 전문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넷째, 농인기관 종시자들의 전문성이 더욱 요구되어야 한다. This study has premised that understand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eaf who have the traits of linguistic and cultural minority beyond the pathological trait of the handicapped is the foundation for practical service of effective social welfare.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ocial workers recognize Deaf culture. Especially, the study aims to help social workers understand Deaf culture right and offer the reserved meaning in practical service of social welfare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recognizing Deaf culture among social workers at general social welfare agencies, welfare centers for the handicapped, and institutions for the Deaf.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ntire social workers looked at deafness and the Deaf from the traditional and path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y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endogamy among the elements of Deaf culture, that is, marriage and childbirth within the deaf society. The social workers at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eaf were recognizing Deaf culture positively in every part except network. However, when the social workers at welfare centers for the handicapped and general social welfare agencies were compar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Deaf cultur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proves that the Deaf and the handicapped don’t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disability. Among the elements indicating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Deaf culture, sign language proficiency, not the simple existence of sign language learning, showed a meaningful outcome. This can mean that sign language learning approached as a language and culture instead of conventional sign language learning is helpful to understand Deaf culture. Accordingly, the followings can be suggested. First, an institutional devise should be arranged for social workers to acquire sign language. Second, the quality of sign language learning should be improved. For this, a sign language interpreter system and a sign language instructor system should be prepared and systematic sign language learning should be supplied. Third, welfare professionalism for the Deaf should be ensured. Fourth, professionalism of those working at institutions for the Deaf should be required more.

      • Translanguaging에 기초한 농문화 교육이 일반학교 중학생의 다문화 로서의 논문화와 수어 이해에 미치는 영향

        신선미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언어섞어쓰기(Translanguaging)에 기초한 농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일반학교 중학생들에게 다문화로서의 농문화와 수어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S중학교에 재학하는 3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매 90분씩 8차시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세 가지 영역인 ‘다문화로서의 농문화 이해’, ‘수어 이해’ 그리고 ‘농문화와 수어에 대한 태도’로 구성된 총 35문항의 사전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사후설문지에는 언어섞어쓰기(Transglanguaging)의 방식, 수어에 대한 견해와 문화 감수성에 대한 질문을 추가하여 학생들이 자유롭게 서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문제를 다각도로 파악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개별 학생진술과 녹화된 수업 영상 그리고 면담 내용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섞어쓰기(Translanguaging)에 기초한 농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다문화로서의 농문화 이해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 학생들은 농인들이 자신들만의 문화 공동체를 가졌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인식하여 농문화가 일반 한국문화와 마찬가지로 존중받아야하는 문화로 받아들였다. 농문화가 소리를 기반으로 하지 않은 문화이기에 농인들의 ‘소리없음’의 존재양식을 그대로 인정하여 농인을 병리적인 관점으로 바라보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다른 문화를 받아들이는 문화감수성이 더욱 풍부해졌다. 둘째, 언어섞어쓰기(Translanguaging)에 기초한 농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소수자의 언어인 수어 이해에 큰 도움이 되었다. 학생들은 수어가 단순한 손짓이 아닌 하나의 언어체계로 받아들였으며 수어의 문법 요소인 분류사, 비수지 기호와 공간사용 등을 응용하여 수어시와 수어노래를 표현함으로서 수어 문학을 긍정적으로 경험하였다. 셋째, 언어섞어쓰기(Translanguaging)에 기초한 농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농문화와 수어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원어민인 농인의 수어이야기와 수어농담을 유창한 수어로 직접 본 이후에 이를 배우고자하는 열망이 더욱 커졌다. 또한 자신들이 배운 수어를 원어민과 직접 사용해봄으로써 수어에 대한 자신감도 생겼다. 농문화 교육을 통한 다문화로서의 농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확대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다문화 학생들이나 청각장애 학생들과 통합 교육하는 학교나 이들과의 접촉이 많은 지역의 학생들에게 본 연구의 농문화 교육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둘째, 언어섞어쓰기(Translanguaging)에 기초한 농문화 교육에 대한 심도 있는 검증이 필요하며 교재에 대한 연구, 개발 그리고 공유가 절실히 요구된다. 더불어 연구 목적 달성에 주요했던 농인 초청 수업에 대한 행정적인 절차의 간소화가 필요하고 실력있는 농인 강사 풀을 만들어 일선 학교에서 쉽게 농인 강사를 섭외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언어섞어쓰기(Translanguaging) 기법 자체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일반 청인 중학생들에게 다양한 수준과 영역에서 언어섞어쓰기(Translanguaging)를 활용하여 농문화 교육의 효과를 알아보는 후속 연구도 필요하지만 한국에서 태어난 다문화 가정의 농인(청각장애) 학생들에게 언어섞어쓰기(Translanguaging) 방식을 통한 학습 효과를 알아볼 필요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Translanguaging-based Deaf Culture Program to heari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34 hearing middle school students enrolled in S Middle School in Seoul who went through the program which consisted of eight 90-minute sessions. A total of 3 measurement items, composed of deaf culture as multiculture, sign language and attitude towards the deaf, were established in a pre-survey to discern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post-survey included three more open-ended questions pertaining to Translanguaging methodology, opinions on sign language and cultural sensitivity for students to write about.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in depth, answers from each student, recorded sessions, and interview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oremost, a Translanguaging-based Deaf Culture Program had meaningful effects on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Deaf culture as mulitculture. The students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in their lives that Deaf people had their own unique culture to be respected by the general society. They also moved away from a pathological viewpoint of looking down on Deaf culture as a disabled community and gained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for Deaf culture as any other culture. Through the process, cultural sensitivity towards other cultures has also improved. Secondly, the Translanguaging-based Deaf Culture Program was beneficial to the students in understanding sign language. Students realized that sign language was not a series of gestures but rather a language with its own grammatical structure. The opportunity to recite and perform a sign language poem and a song allowed the students to have positive experiences in applying classifiers, non-manual signals and space unique to sign language. Lastly, a Translanguaging-based Deaf Cultur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attitude towards Deaf culture and sign language. This was further enhanced when the students encountered a native sign language lecturer and saw fluent sign language stories and comedies as one of the activities in the program. Students also gained confidence as they tried sign language themselves and wer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native speaker.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or the increase in utilization of a Translanguaging-based Deaf Culture Program as it nurtures positive outcomes. There is a need to conduct a Translanguaging-based Deaf Culture Program to different subjects who either enroll in inclusive education or live in multicultural areas where students have constant contact with Deaf peers or multicultural members. Next, there should be a careful examination to ensure the efficacy of this Deaf Culture Program based on Translanguaging along with the development and a shared network of curriculums, books, and other related materials about deaf culture. In addition, the authorized procedure of inviting a Deaf lecturer to a public school should be simplified and be made possible. A pool of qualified Deaf lecturers should be generated and be accessible to public schools as they represent Deaf Culture and serve with the key purpose of incorporating such programs in the curriculum. Then, an attentive review about Translanguaging methodology itself is necessary. Deaf Culture Program should be operated in different levels and language areas of Translanguaging to further research relevant results of hearing students. Also, this method should be applied to deaf students who are bor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o perceive its effectiveness.

      • 수화통역사의 농문화 인식이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언경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0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look into the effect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perception of deaf culture on their competency. A survey was conducted on 247 freelance sign language interpreters, who are working i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centers, welfare centers or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hearing-impaired, the TRS center (Telecommunication Relay Service), and universities in Korea. In addition, it aimed to discover a relationship between, on the one hand, sign language interpreters’ competency that develops and improves their understanding of deaf culture and, on the other hand, their promotion of social integration of the deaf, in order to find out practical methods of surveying, analyzing, and examining sign language interpret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sign language interpreters’ perception of deaf culture was more positive and higher when they had longer experiences of deaf-related working centers, careers and interpretation activity experiences. Secondly, sign language interpreters’ competency was examined according to gender, age, working centers, careers, interpretation activity experiences, and deaf-club related activities. Thirdly, the effect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perception of deaf culture on their competency showed that the higher the identity with the deaf culture, sign language of the deaf, and organizational network, the more positive sign language interpreters’ grasp of deaf culture was, and the higher their competency became.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methods for sign language interpreters’ genuine understanding of deaf culture and improvements in their competence are as follows: Firstly, the training process and institutional systems should aim at sign language interpreters’ correct understanding of deaf culture. Secondly, the formation process needs to create training in interpretation to improve sign language interpreters’ professionalism, as well as their ability to perform systematically specialized jobs. Thirdly,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deaf and deaf culture is the priority, before sign language training, from the formation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to the acquirement of the sign language interpreters’ license. Fourthly, training needs to divide sign language interpreters into the different qualifications and roles, according to the areas and kinds of interpretation they will have to work in. Fifthly, studies on deaf culture, as lived by the deaf, who are on the receiving end of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should be conducted. Sixthly, a study of the roles and function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needs to be carried out. Sign language interpreters, who are lifetime companions of the deaf and help them not to be alienated from society, have difficulty in recognizing their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with a proper understanding and positive view of the deaf and deaf culture. Sign language interpreters should have a professional attitude with regard to the welfare of the deaf. They should accept and respect deaf culture, and improve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interpretation skills to improve their competency. 본 연구는 현재 전국에서 수화통역활동하고 있는 247명을 대상으로 수화통역사의 농 문화 인식이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고 고찰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화통역사의 농 문화 인식은 농 관련 근무기관, 근무경력 및 통역활동 경력이 오래될수록 긍정적이고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화통역사의 직무수행능력은 성별, 연령, 근무기관, 근무경력, 통역활동경력, 농 관련 동아리활동 유무에 따라 직무수행능력의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수화통역사의 농 문화 인식이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농 문화의 하위요인 집단 정체 감, 수화, 조직네트워크가 높을수록 농 인에 대한 수화통역사의 농 인식이 긍정적이며 그들의 직무수행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수화통역사의 올바른 농 문화 인식과 직무수행능력의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적 실천방안은 수화통역사 양성과정에서 농 문화 인식을 위한 교육과정, 수화교육, 통역의 영역별 전문교육, 그리고 농인 과 농 문화의 이해가 먼저 이루어져야 하고 수화통역사의 통역영역별, 통역종류별 구분에 따른 자격구분과 역할구분을 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수화통역사는 농 인의 전반적인 삶에 함께 하는 동반자이고 농 인이 사회복지적으로 소외되지 않게 하는 역할이 부여된 점을 고려할 때 농 인과 농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긍정적인 인식 없이 정체성과 전문성을 확립하기 어렵다. 수화통역사는 농인 복지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농인 문화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존중하며 직무수행능력을 향한 전문지식과 전문통역기술에 따른 자신의 개발이 필요하다.

      • 수화 이야기에 나타나는 유형과 농문화 특성 :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류정은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13

        본 연구는 농사회에 전해지고 있는 수화 이야기를 수집하여 그 유형을 분석하고 수화 이야기에 나타나는 농문화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농인들의 수화 이야기 27편을 수집하였고, 인터넷에 올라 있는 ‘강승욱(2005)의 수화 개그’ 6편 등 총 33편 중 18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18편의 수화 이야기 유형을 분석한 결과 ‘삶의 에피소드’, ‘유머’, ‘농인의 특성이 반영된 이야기’, ‘농 학교 귀신 이야기’, ‘외국에서 유입된 이야기’로 분석되었다. 둘째, 수화 이야기 분석을 통해 나타난 농문화는 농인들의 생활방식문화, 정신문화, 시각에 기초하는 독특한 문화, 문화에 대한 세 가지 약속, 그리고 청인사회와의 통합된 문화로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 농문화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수화 이야기를 다양한 장르와 다양한 지역에서 수집하여 분석하는 것은 농문화를 밝히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수화 이야기의 수집과 더불어 전승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 또한 농문화의 전승이라는 관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농인과 청인이 함께 진행하는 수어교육 수강생들의 수어 이해 경험 및 농인에 대한 태도 변화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박기숙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99

        본 연구는 농인과 청인이 함께 진행하는 수어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수강생의 수어, 농인 및 농문화에 대한 이해와 태도의 변화와 이해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시작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기획된 수어교육 프로그램은 ‘강좌 개설 확정 및 수강생 모집 – 프로그램 시작 – 사전 설문 - 수강생 개인 면담 – 강의 종료 – 사후 설문 조사 – 서술형 설문 조사 – 수강생 집단 면담 – 결과 분석 및 정리’의 9단계로 구성되었다. 강의는 서울 강남구 소재 못○도서관 다목적 강의실에서 수강생 12명의 참여로, 2022년 5월 6일부터 6월 24일까지 90분씩 8차시로 진행되었다. 수강생의 수어, 농인 및 농문화에 대한 이해와 태도의 양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농인과 농문화 관련 3항목 15문항, 수어 관련 3항목 15문항, 총 30문항의 사전·사후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강의 종료 후 서술형 설문을 진행하였다. 질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2번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최종 목표는, 이 프로그램이 수강생에게 제공한 수어, 농인 및 농문화에 대한 이해 경험이 수강생의 수어, 농인 및 농문화에 대한 이해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이었다. 실제로, 프로그램 중 수어 및 농인에 대한 태도, 이해 및 지식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한 사전 사후 설문 조사 결과에서 최저 17점에서 최고 59.5점 차이를 보이며 수강 후에 확연하게 향상되었다. 개인 면담과 집단 면담, 서술형 설문 조사에서도 농인과 수어에 대한 이해 경험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인과 청인이 함께하는 수어교육에 참여한 수강생은 수어에 대한 이해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수강생들은 한국수어를 창의적이고 표현이 다양한 매력적인 언어로 이해했고, 언어로서 한국수어를 깊이 이해하였다. 둘째, 농인과 청인이 함께하는 수어교육에 참여한 수강생은 농인과 농문화에 대한 이해와 태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수강생 대부분이 농인 강사의 강의 덕분에 농인과 농문화에 대해 쉽게 이해했고 더 많은 관심을 가졌다. 종합하면, 수어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수강생들의 한국수어 이해 경험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사후 설문에서 뿐만 아니라 개인 면담, 집단 면담, 서술형 설문에서 수강생들은 본 강의에 참여함으로써 농인과 수어에 대해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고 응답했다. 본 연구를 통해 네 가지 함의를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농인과 청인이 함께하는 수어교육 프로그램이 대중들의 청각장애, 농인, 농문화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의 변화를 끌어낼 수 있다. 둘째, 농인과 청인이 함께하는 수어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한국 농인에게 한국수어가 중요하고 유의미하다는 것을 대중에게 알릴 수 있다. 셋째, 수어교육에서, 청인 강사와 농인 강사가 함께 가르치는 것은 수강생들에게 수어와 농인에 대한 친숙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다. 넷째, 수어교육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시청각 자료와 사례가 수강생들에게 제공될 때 수강생들의 이해 및 성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는 앞으로 수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재 제작을 할 때 고려해야 하는 권장 사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perceptions and attitudes and understanding experiences of 'Deaf people, Deaf culture, and sign language' of hearing adults who participated in sign language lectures called 'Sign Language Education Program with Deaf and Hearing People.' The sign language education program design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9 steps: 'Determination of course opening and student recruitment, Program start, Pre-survey, Individual interview with students, End of lecture, Post-survey, Descriptive survey, Group interview with students, and Analysis results, and summary.' The lectures were held in 8 sessions of 90 minutes each from 6 May to 24 June 2022, with 12 students in the multipurpose classroom at the Motxxx Library in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In order to measure the quantitative change in the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sign language, Deaf and Deaf culture, pre- and post-surveys were conducted. The surveys consisted of 15 questions on 3 items about sign language, 15 questions on 3 items about Deaf and Deaf culture, and a total of 30 questions. Also, a descriptive questionnaire about the experiences of understanding sign language, Deaf, and Deaf culture was conducted after the end of the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confirm the qualitative change, two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ultimate goal was that the experience of understanding sign language, Deaf people, and Deaf culture provided to hearing adults by this program positively affected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sign language, Deaf people, and Deaf culture. In fact, in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survey conducted to identify attitudes, perceptions, and knowledge about sign language and Deaf people during the program,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a minimum of 17 points and a maximum of 59.5 points. It means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aking the program. In individual interviews, group interviews, and descriptive surveys, the experiences of understanding sign language and Deaf people were also positiv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gn Language Education Program Progressed by Deaf and Hearing People' positively affected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 sign language of students. The students recognized Korean sign language as an attractive language with creative and diverse expressions, and deeply understood Korean sign language as a language. Second, the sig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lso had a very positive effect on the awareness and attitude of the Deaf and the Deaf culture of the students. Most of the students easily understood and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 Deaf and the Deaf culture thanks to the lectures by the Deaf instructor. Comprehensively, the experience of understanding the Korean sign language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ign language education program was positive. In the individual interview, group interview, and descriptive questionnaire,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sign language and Deaf by participating in this education program.

      • 통합교육을 받은 청각장애대학생이 인식하는 장애수용, 농정체감, 농문화의 구조관계 연구

        구명성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64

        (초록) 이 연구는 통합교육을 받은 청각장애대학생이 인식하는 장애수용, 농정체감, 농문화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하였다. 전국의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청각장애대학생 중에서 통합교육을 받았던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모두 219(87.6%)부가 회수되었으나, 최종적으로 206(82.4%)부로 자료처리하였다. 자료처리를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그리고 t/F 검증과 함께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을 받은 청각장애대학생의 정체성은 배경변인별에 따라서 차별성이 없었다. 그러나 농정체감과 농문화에 대한 인식은 청력손실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 둘째, 통합교육을 받은 청각장애대학생이 인식하는 장애수용, 농정체감, 농문화의 구조에 장애수용 변인은 제외되었다. 즉 청각장애대학생은 농정체감과 농문화가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로 나타났다. 청각장애대학생은 청력손실이 건청인과 차별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청각장애가 ‘장애’에 포함되는 구조는 아니었다. 결론적으로 청력손실은 장애와는 무관하지만 농정체성과 농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이 연구에서는 제안하고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recognition to disability perception, deaf identity, and deaf culture of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s to study at the inclusive environment. The survey method was utilized, and 206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Factor analysis, validity, t/F 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degree of hearing loss of the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regular class was the important background to determine the deaf identity and deaf culture, however the disability perception was same perception regardless of the background of the college students; and (b) the disability perception variable was not included in the structure of the disability perception, deaf identity, and deaf culture of the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The deaf identity and the deaf culture were related with each other in the structural recognition. The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re was different with hearing students, however hearing impairment was not related with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degree of hearing loss was not related with disability, however the degree of hearing loss wa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deaf identity and deaf culture.

      • 농문화와 다문화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

        지상섭 대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3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lementary teachers' attitudes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eaf culture. Five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experiences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regula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ulticultural student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Interview was utilized to gather the information what are the same and/or differences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eaf 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elementary teachers cannot recognize what are the deaf culture. The teachers do not know the sign language is a language. Rather the sign language is a mere communication material to teach hearing impaired. They superficially understand about the sign language and deaf culture; (b) th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 well what ar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ven though the teachers have difficulty teaching the multicultural children in classroom, the teachers endeavor to teach the multicultural children. And (c) the teachers are aware that the deaf culture is a culture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 multiculture is a culture among non-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Korean society and schools are influenced by normalization spirits.

      • 농 학교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농 학교의 농 문화에 관한 연구

        김성곤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35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he Deaf Culture of schools for the Deaf in Korea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Deaf Cultures teachers recognize and their own schools hav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40 teachers who were selected by a random sampling method and given two questionnaires; characteristics of the Deaf Cultures teachers recognize and their own schools hav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T-test.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af Cultures teachers recognize and their own schools have according to teaching methods; lip-reading and sign language is used. First, The perceived characteristics differs according to two factors; whether a teacher is in charge of a class or not, and which teaching method between lip-reading and sign language is used in school? Second, There was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atter than the form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af Culture in their own schools differs according to other two factors; the presence of the dormitory and teaching methods. The findings suggest that schools for the deaf should have curriculums related to the Deaf Culture and sign language, teachers should be qualified in professionalism of the areas, and for the best deaf education the Deaf culture should be educated and more restructured on the basis of the exact understanding about it.

      • 농문화 접근 태도에 따른 청각 장애 학생의 언어 선호도 연구

        권순황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8719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the language preference of the deaf student as per the approach attitude to deaf culture. In detail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find out the language preference of the deaf student as per the approach attitude to deaf culture. Second, to find out the language preference of the deaf student of each grade of school as per the approach attitude to deaf culture. Third, to find out the language preference of the deaf student of placement enrolled as per the approach attitude to deaf culture. To do this study, we have selected the samples from 138 deaf students of school for hearing impairment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Gyungsangnam -Do, and 46 deaf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regular schools in Gyungsangnam-Do,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Ulsan Metropolitan City. We referred the questionnaires on Deaf Culture developed by Mr. Simon (1994) and Mr. Choi (1995) to this study, and Sign language, Oral Speech, Total Communication Methods were used after analyzing the reliability with test-retest method based on 5-point questionnaires revised to meet Korean context. To do the research on the approach attitude of deaf culture and language preference by deaf students, we divided the school classes in 4 groups, first -third grade as lower grade group of elementary school, fourth -sixth grade as higher grade group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group and high school group. In addition, we divided schools in two groups, i.e., deaf school students and deaf students studying in normal schools. All of these students had hearing deficiency of more than 90dB, but without any other 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As a method of the research, we got help as research assistants from the teachers who knew quite well about the students in the deaf school, had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the schoo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d masters degree and were fluent in sign language. We also appointed as research assistants language therapist, who were running language and deaf clinics in three cities, had lots of experience in teaching deaf students and had masters degree and above. As a research method, research assistants showed the questionnaires to the selected students in advance, and let them give us their responses. We selected total communication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o give the right language environment to the selected students. Questionnaires were made to give answers to the face-to-face questions followed by 32 questions on attitude. With regard to the special terms about questions on attitude, we had let them fully understand the terms such as deaf culture, natural sign language, method sign language and total communication.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on July 5, 2001 and collected them on July 24, 2001 at "C" school for hearing impairment in Gyungsangnam-do and "I" school for hearing impairment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or research on the deaf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normal schools, we did during July 25, 2001 and August 31, 2001 in Daegu Metropolitan City, Ulsan Metropolitan City and Gyungsangnam-Do. We collected 212 questionnaires after distributing 240(collection rate :88.33%). We could use and analyze statistically only 194 questionnaires excluding 18 questionnaires which did not have sufficient responses to the questions or did not have proper responses to the attitude part. To solve the objective first of this research, which was to find out the language preference as per the level of approach attitude to the deaf culture, we applied one-way ANOVA on language preference between positive group having higher level of deaf culture (M≥3.5) and negative group (M≤2.5). To solve the objective second, we applied two-way ANOVA using independent variables of approach attitude to deaf culture (2) and school grades (4), and dependent variables of language preference. To solve the objective third, we applied two-way ANOVA using independent variables of approach attitude to deaf culture (2) and school arrangement, and dependent variable of language pre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pproach attitude to the deaf culture had an impact on student*s selection of language. Deaf students who had positive approach attitude to deaf culture prefer total communication and sign language to others, and as a means of communication, preferred natural sign system among deaf to sign language. Second, as grades go up and identity is decided, the deaf students learn natural sign language among deaf and use it as a means of communication. Natural sign language is accepted during high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period, in which period, the identity of deaf is decided. At this time the deaf student preferred the natural sign language as first language and had the attitude to accept the value on spoken language. Finally, between deaf students getting the inclusive education with normal students and deaf students getting separate education from normal students, the latter was positive in approach attitude to deaf culture and preferred sign language and spoken one as well. On the other hand, the deaf students getting the integral education was not positive in approach attitude to deaf culture and preferred spoken education among hearing to the approach to sign language. Furthermore, in approach attitude to deaf culture and preferred means of communication, deaf students in deaf school have positive attitude in natural sign language as their first language as well as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as their second language. Instead, the deaf students getting the inclusive education in normal school had negative attitude in natural sign language and method sign language as their first language.

      • 청인의 입장에서 본 감리교 농인사역의 현장과 과제

        정지선 감리교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4

        본 논문은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농인교회의 실태를 파악하고 농인목회 현장에서의 문제점들에 대해 조사해 봄으로써 농인선교 활성화를 위한 농인과 청인의 협력 방안들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홀 선교사로부터 100여년, 최초의 농인교회 설립 이후 65년의 긴 역사만큼이나 농인선교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선교주체의 변화이다. 선교초기 외국인 선교사에서 점차 한국인 청인목회자로, 현재는 농인목회자로 선교주체가 변화되었다. 선교의 현장도 학교에서 교회로, 청인교회 농아부에서 독립된 농인교회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농인들만의 특수한 언어와 문화를 전면수용하면서 그들이 가장 잘 수용할 수 있는 언어적, 문화적 접근으로 선교하기 위한 발전적 변화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농인선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단절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 선교주체와 선교방법이 모두 농인 중심이 되면서 청인들은 농인선교에 대한 사명으로부터 조금씩 멀어져갔다. 그 결과, 활발하게 변화, 발전해오던 농인선교는 주춤해졌고 농인목회자들도 인적, 물적 자원의 한계는 물론 청인목회자들과의 의사소통 문제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그러므로 농인선교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재의 농인선교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농인과 청인의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 주로 사용된 연구방법은 조사방법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전국 감리교회 농인교회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농인사역의 실태와 청인의 농인사역에 대한 시각 및 농인과 청인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선교동역을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역별 농인 수에 비해 농인교회수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 20-30대 목회자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회지망생도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농인목회자 양성 활성화 방안으로, 대학원에 전문 수어통역사를 파견해 줄 것과 농인교수 및 강사를 통한 목회실제에 대한 강의를 수강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을 제안하였다. 4. 목회자들의 사역희망지역이 대체로 도시지역으로 나타나 앞으로도 농어촌지역 농인선교가 활성화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측되었다. 5. 교인구성을 보면 성인은 농인이 대부분이며, 아동은 청인이 대부분이었다. 즉, 농인교회라 하더라도 교육 분야에서는 청인목회자가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6. 대부분의 목회자들이 최저생계비에도 미치지 못하는 사례비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의사소통의 문제로 교육 참여나 교역자 회의 및 지방 행사참여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8. 청인목회자가 있는 농인교회는 많지 않으나 90% 이상의 목회자들이 농인교회 내 청인목회자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농인선교 활성화 방안들은 다음과 같다. 1. 농인교회와 농인목회자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2. 신학대학교의 과제로 전문 수어통역사 양성, 장애인 선교 및 농인 선교 과목 개설, 교육개발 및 교육 참여 기회 확대 등이 필요하다. 3. 지방회 및 연회, 교단 차원의 과제로서 농인교회에 대한 재정 및 인력지원, 수어성경제작의 교단적 협력, 교단 내 농인선교 체계의 구축 및 교단차원의 전문수어통역사 양성 등이 필요하다. 4. 지역 교회의 과제로서 자막예배 및 지역 농인교회를 위한 인력지원, 난청인과 후천성 농인 및 그 가정을 위한 사역이 필요하다. 이 논문을 통해, 농인선교를 농인들의 몫으로만 생각해왔던 현재까지의 사고가 전환되길 기대한다. 또한 이 논문을 기반으로, 농인들의 언어와 문화를 올바로 이해하고, 농인과 청인이 협력하여 이루어가는 농인선교의 구체적이고 활발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전개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