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農村改良住宅의 平面構成에 관한 硏究 : 長城郡(長城邑.西參面),光山郡(大村面)을 中心으로

        서종태 全南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의 農村住宅은 새마을 運動等으로 農村環境 및 住民意識 構造에 많은 變化를 가져왔다. 聚落構造 改良事業은 傳統的인 農村의 모습과 農村 住宅의 變面形式을 變化시켰으며 政策的으로 住生活의 合理化를 도모하기 위해 "標準型" 모델을 選定하고, 이에 따른 住宅이 많이 建立 되었으나, 基礎的 硏究가 末治한 實情이다. 農村住宅은 地域的인 특성과 장래의 전망이 존중되는 改善事業이 推進되어져야 하고 住宅의 平面構成은 장기적인 生活行態의 變化가 考慮되어져야 하므로 本 硏究는 改良住宅의 住空間을 對象으로 平面構成을 分析 綜合하므로써 今後의 農村改良 住宅 計劃의 基礎資料를 提供하고자 한다. 1) 硏究對象 地域은 光州市 近郊인 湖南 高速道路邊과 光木間 高速化 道路邊에 位置한 3個마을의 264戶중 改良된 住宅 56戶를 抽出하여 家口構成, 耕作面積, 垈地, 建築面積 및 農家所得등의 槪括的인 調査와 住居空間의 利用實態 및 規模등을 調査 分析하였다. 2) 都市近郊의 農村住宅은 都市類型 住宅을 선호하는 傾向이 있으나, 住宅의 規模는 18∼20 坪型이 全體의 68%로 나타 났으며, 垈地의 規模는 150 坪以下가 68%로 나타났다. 3) 房의 機能은 각 個人이 獨立된 生活을 要求하는 傾向이었으며, 建築面積이 增大 할수록 房이 차지하는 面種比率은 점차 反比例하는 現象으로 나타났다. 4) 부엌의 規模는 建築面積에 대한 面積比率이 16.7%로 建築面積이 增大 될수록 부엌이 차지하는 比率은 점차 增加하였으며, 부엌은 취사전용 공간 이외에도 연료의 收納空間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住民의 意識構造 變化에 따라 취사 방법 및 부엌의 改善은 漸進的으로 合理化 되어지고 있다. 5) 마루가 차지하는 比率은 建集面積의 15.8%로 建築面積이 增大되면 마루가 차지하는 比率은 점차 增加 하고 있으나 아직도 협소한 空間으로 分析되었으며, 家事作業空間 및 家族의 단란공간으로 活用될 수 있는 面積이 必要할 것으로 본다. 上記 事項을 考慮해 볼때, 建築面積에 따른 各室이 차지하는 面積比率은 不均衝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農村改良住宅의 計劃時 農村住宅 本來의 機能을 發揮할 수 있는 平面構成을 導出할 수 있도록 앞으로 더욱 硏究 開發되어야 할 것으로 思料된다. The rural housing of Korea has been changed greatly in farm life environment and farmers' way of thinking by the Saemaul Movement etc. The village structure improved undertaking has made the traditional rural conditions and the plane model of the rural housing change. As the result, "a standard type" model is chosen in a policy to scheme the rationalization of residential life. Many housing after the model of this are built, but the basic study feels not quite satisfied. I am going to present the basic data of the rural improved housing planning in future through analysing and integrating plane space composition covering the residential space of the improved housing in this paper, because the architects have to push forward the rural housing improved undertaking from the point of view paying serious attention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 and the prospect, and the plane space composition of the rural housing has to take change of a long-term living aspects into due consideration 1. The rural housing in the suburbs of urban community is inclined to prefer urbanity housing, and the housing size of 1820 pyong type shows 68% and the residential site size of 150 pyong and less indicates 68%. 2. Room function shows a tendency to seek an individual's independent life and room space in proportion to building area enlargement indicates a phenomenon of inverse proportion. 3. Kitchen space to building area shows 16.7% in proportion to building area enlargement. Kitchen is used to the storing space of fuel except the exclusive use space for cooking, and cooking, and cooking method or improvement of kitchen is rationalized little by litt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farmers' way of thinking. 4. Floor space ratio shows 15.8% of building area and increases gradually in proportion to building area enlargement, building area enlargement, but even now it is analyzed into a small space. I think that the larger floor space is required for the family affairs and the happy homelife space of family. Judging from the above four facts, space ratio of each room to building area is out of balance. Accordingly, I think that planning the rural improved housing, all the architects have to study and to develop more and more in future so as to make a plane composition displaying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rural housing.

      • 농촌주택 평면구성 특성과 표준설계도 적용에 관한 연구 : 예산·홍성지역을 대상으로

        김태겸 청운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Regarding the housing environment of rural areas, various aspects of residential culture have been formed, which were different from urban housing and fited for farmer's living, through the changes of lifestyle 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se changes in rural housing began with the Saemaeul Movement in the 1970's. The standard plan of rural housing were presented along with a variety of governmental policies. However, there were few responses from people in rural areas. Therefore to find the changing process of rural housing in detail, this study is purposed to review the current rural environment, as well as to investigate contents and time of spatial changes in the housing environment, and then to ascertain factors according to this.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identify what problems happened rega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standard plan of rural housing presented by the government, and to propose the solutions and directions for development.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arried out in this study on rural society and housing through reviews on documents. Based on the examination, a case analysis was made on surveys of basic data and actual conditions focused on Yesan-Gun and Hongseong-Gun, Chungchongnam-do that had the characteristics of typical rural areas.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rural houses in Korean have been improved into such houses that were grounded on reasonability and convenience rather than on traditional trends since the modernization until now. Although a lot of remodeling and repair as well as new constructions have been conducted so far in The rural housing environment, many residents were still found to live in obsolete houses. Moreover, despite the distribution of the standard plan of rural housing proposed by the government, most of them failed to perceive the proposed plan and had very few intents to construct houses according to the plan. It was also found that they wanted such a housing construction that reflected personal demands and strong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In particular, the problem was that the rural environment has not been developed and failed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rural residents in terms of their place of residence because of factors such as a decrease in population, the aging society and an increase in cultivated acreage, which are among the most outstanding problems in rural areas. To complement the current problems of rural housing, it may be necessary to hammer out housing plans that could help the types of urban housing and the types of traditional housing complement each other mutually and co-exist. Furthermore, although it is important to make new plans and designs for the rural housing environment, a realistic necessity for housing life of rural residents must take precedence over such planning and designing. For this, a qualitative improvement should be made in rural housing. As well, realistic policy supports should be provided by governmental organizations for progress toward an advanced style of rural society.

      • 농촌주택 표준설계도 이용자의 중요도 우선순위 분석

        강현탁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1970년대 농어촌의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처음 도입된 농촌주택 표준설계도는 개발과 폐지, 보완 등을 거쳐 2009년 이후 총 32종의 농촌주택 표준설계도가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보급되고 있으나 그 실질적인 활용도가 떨어지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증가하는 귀농·귀촌 인구의 농촌주택 표준설계도에 대한 활용도를 높이고자 도시형 주택에 거주한 경험이 있는 귀농·귀촌 인구의 요구를 반영함과 동시에 귀농과 귀촌이라는 서로 다른 귀향 목적을 고려한 새로운 유형의 농촌주택 표준설계도를 개발하여 보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농촌주택 표준설계도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귀농·귀촌 가구들이 주택에 대하여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및 각 요소별로 중요시되는 요인을 살펴보고, 귀농 또는 귀촌이라는 서로 다른 귀향 목적에 따라 중요도 우선순위에 있어 어떤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및 이론적 고찰 분석을 통하여 농촌주택 표준설계도의 이용자들이 주택에 대하여 중요하게 생각하는 구성요소 및 세부요인을 분석, 총 4개의 구성요소(공간요소, 시설요소, 디자인요소, 구조요소)와 20개의 세부요인을 도출하여 계층구조화하고, 계층분석과정(AHP)기법을 활용하여 주택 구성요소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의 차이점을 분석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농촌주택 표준설계도를 이용하려는 귀농·귀촌인 집단 1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Expert choice - 20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한 후 귀농인 및 귀촌인 두 집단의 중요도 우선순위 비교분석을 통하여 그 차이점이 무엇인지 도출하였다. 구성요소 및 세부요인에 대한 중요도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주택 표준설계도를 이용하고자 하는 귀농·귀촌인들의 종합적인 중요도 우선순위는 ‘단열’, ‘작업공간’, ‘평면구성’, ‘환기’, ‘냉·난방’, ‘철근콘크리트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를 다시 각 집단별로 살펴보면, 귀농인의 경우 ‘작업공간’, ‘단열’, ‘환기’, ‘냉·난방’, ‘평면구성’, ‘실형태’의 순으로, 귀촌인의 경우 ‘평면구성’, ‘단열’, ‘철근콘크리트조’, ‘환기’, ‘냉·난방’, ‘경골목구조’의 순으로 각각 중요도 우선순위가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귀농인의 경우 농촌지역에서의 주생활이 농업이고 외부에서 많은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외부 공간계획을 반영할 수 있는 ‘작업공간’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귀촌인은 안락함과 나만의 전원생활공간을 가질 수 있는 ‘평면구성’ 요인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에서는 귀향 목적별로 다른 경향이 나타나지만, 동시에 실내 주거환경의 쾌적함과 편리함에 관하여는 귀농·귀촌인 모두 같은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구성요소의 중요도 우선순위에 대한 귀향인들의 공통적 경향 및 귀향 목적별 차이점을 향후 농촌주택 표준설계도 개발 시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새로운 농촌주택 표준설계도를 개발·보급함으로써 농촌주택 표준설계도의 실질적 활용도를 높이고 결과적으로 이용자의 만족도 및 농촌주거환경의 개선에 본 연구가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농촌주택 표준설계도 이용자를 귀농·귀촌인으로 한정한 것을 넘어 보다 다양한 유형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수행하고, 구성요소를 도출함에 있어서도 세부요소 및 요인의 항목을 추가하여 보다 세분화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rural housing standard drawings that were introduced in 1970s to help improve the poor living environment of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would be revised, abolished, and complemented; since 2009, a total of 32 rural housing standard drawings have been approved by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o be disseminated, but their actual applications have been insignificant. Since more and more people have been returning to the rural regions lately, it is deemed necessary to make the rural housing standard drawings more available for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a new type of the rural housing standard drawing that would reflect the needs of the potential users who had lived in city-type houses and at the same time, take into consideration their different motives or farming and rustic lif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ould review the factors perceived important by the resettlers and the reasons why they perceived so, and thereupon, would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ir priorities depending on their motives of returning to the soil, namely, farming or rustic life. First of all, this study reviewed preceding studies to analyze the factors and sub-factors perceived important by the potential users of the rural housing standard drawings. Thus, a total of 4 factors (space, facilities, design, and structure) and their 20 sub-factors were determined to be structured hierarchically, and then, the AHP technique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ir importance and priorities depending on the types of the potential users. For this study, 120 rural resettlers who would be willing to use the rural housing standard drawings were sampled to be subject to a questionnaire surve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r farming life group and rustic life group.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Expert choice-2000 program to compare the priorities of importance for the rural housing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st priority perceived important by the subjects for the rural housing standard drawing was 'insulation,' followed by 'working space,' 'planar structure,' 'ventilation,' 'cooling & heating,' and 'reinforced concrete' in their order. Secondly, the farming life group's priorities were 'working space,' 'insulation,' 'ventilation,' 'cooling & heating,' 'planar structure,' and 'room type' in their order, while the rustic life group's priorities were 'planar structure,' 'insulation,' 'reinforced concrete,' 'ventilation,' 'cooling & heating' and 'light-frame wood structure' in their order. Summing up, as the farming life group whose primary job is farming tend to work outdoors much, they would perceive more important for 'the working space' accommodating diverse outdoor activities. In contrast, the rustic life group who want to live a comfortable and private life would perceive more important for 'planar structure.' Despite such differences, both groups had the same tendency, namely comfortable and convenient indoor environment. As discussed above, this study suggested rural resettlers' common tendencies and different priorities as a guideline for future development of the rural housing standard drawings. It is hoped that a new set of the rural housing standard drawings reflecting this guideline will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and thus, applied much more to improve users' satisfaction with their rural living as well as their living environment. Lastly, it is hoped, too,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that will use a larger sample just beyond farming and rustic life groups and thereby, add more factors and sub-factors for more specified results.

      • 건물에너지절약과 경제성을 고려한 농촌주택 표준모델의 최적설계요소 평가

        승호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국민들의 GDP와 생활수준의 성장으로 웰빙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보다 자연친화적이고 건강한 삶을 위해 귀촌, 귀농하는 국민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건물분야에서의 에너지사용량은 전체 에너지사용량의 약 20%가 넘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농촌주택 부분에서의 에너지절감 또한 해결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주택 표준설계도에 대해서 ECO2와 Designbuilder를 이용하여 농촌주택 표준모델의 연간에너지소요량 및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을 산정하였다. 또한, 산정된 결과를 통해 농촌주택 표준모델의 에너지절약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에너지절약설계기준과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건축주에게 경제적이고 에너지 효율적인 농촌주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농촌주택 표준모델을 ECO2와 Designbuilder 두 프로그램으로 시뮬레이션하였을 경우 두 결과값의 오차율은 약 11%이다. 하지만 오차율을 감안하여도 두 프로그램 모두 서울지역의 필요에너지효율등급인 2등급을 만족하는 1++ 등급이 산출되었다. 이는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에 사용하는 ECO2의 타당성을 Designbuilder를 통해 검토해 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 (2) ECO2 프로그램을 통해서 농촌주택 표준모델의 에너지절약 성능요소에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의 열관류율 및 열전도율 최대값을 적용시켜 보았다. 그 결과, 단위면적당 연간에너지소요량은 외벽 중부지역기준(10.0%) > 창호 중부지역기준(8.5%) > 지붕 중부지역기준(5.8%) > 바닥 단열재‘라’등급(5.4%)순으로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 Designbuilder의 경우에는 외벽 중부지역기준(17.0%) > 창호 중부지역기준(5.8%) > 지붕 단열재‘라’등급(2.4%) > 바닥 단열재‘라’등급(2.3%)의 순으로 단위면적당 연간에너지소요량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에너지절약에 미치는 성능요소에 따라 효율적인 설계를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4) 농촌주택 표준모델에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에너지절약 성능요소들 중 단위면적당 연간에너지소요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만 적용해보았다. ECO2는 107.3 kWh/m²·year, Designbuilder는 97.75 kWh/m²·year로써 에너지효율등급 1+ 등급이 산출된다. 이는 서울의 필요에너지효율등급인 2등급을 충분히 만족하였다. 이는 시뮬레이션의 오차율을 감안하더라도 농촌주택 에너지절약 성능요소의 완화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5) 건축주의 초기비용 절감을 위해 ECO2와 Designbuilder 중 에너지소요량이 더 높게 산출된 ECO2의 요소적용기준을 토대로 공사비를 산출하였다. 이를 통해 산출된 공사비는 농촌주택 표준모델의 공사비와 16,412,790원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농촌주택의 에너지절약 성능요소를 완화하였을 시 초기비용을 충분히 절감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1980년대 강원도 한옥형 농촌표준주택 연구

        金榮載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Korea is traditionally an agricultural country and the traditional Korean-Style dwellings in rural districts represent the average homes for the working classes. Therefore, what it means here with 'home' is a living space for people who have mainly engaged in farming/agriculture in a rural district. These homes(houses) had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ir activities for living, and the climate such as the cold and the heat had also become the major effect when building their homes. It was no surprise but only the natural result to have different forms of houses depending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ir social status and the various lifestyles. The Korean-Style houses in urban districts had drastically changed as the society faced the rapid conversion after the modernization. However the ones in rural areas had maintained their old-fashioned style longer without a big change. Then in 1970s, the rural communities entered upon a new phrase by the effect of `Sae-Ma-Ul movement began by the government. The movement had a purpose in the development of the entire country areas mainly focused on the old-fashioned Korean-Style dwellings, and a proper plan for standardized houses was made for the systematic change. However, the government soon faced a big, difficult problem which brought the destruction of our tradition along with the new project which was not considered enough of our own traditional elements in housing. And as a lot of new-style houses were supplied with a moderate price, the problem grew bigger and bigger. As a solution, the government appointed certain regions by showing of an example and supplied the new Korean-Style houses in accordance with our own traditional factors, from 1979 to the end of 1980s. Under the lead of the authorities, the model villages had changed into a new town with the traditional elements of our own. With the result of the village, some said, although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seriously considered the preservation of our traditions, the government had focused only on the exterior of the buildings without carefully elaborating upon the investigations or examinations. For this research, 5 different districts where the project of the standardizing Korean-Style houses had been carried out in Kang-Won province from 70s to the late 80s were selected. With the careful and detailed investigations and analysis, the research has reached to the conclusion as below Considering all the factors above, we can conclude that, depending of the period of the construction, each village has got different elements in houses. The eariler the village was constructed and changed, the more it maintains the forms of traditional wooden structure. The villages which formed and changed in the late 80s show the traditional elements only in rooves, but an outer wall, windows and doors appear to be the forms of the modernized Western-Style houses in urban areas in that time of year.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농업국가로 전통농촌주택은 일반 살림집을 대표한다. 따라서 여기서 살림집은 농업이 주업인 농민들의 생활공간, 즉 농촌주택을 말한다. 이러한 살림집은 자연환경과 생산활동에 맞게 발전해 나갔으며, 추위와 더위, 눈과, 비, 바람에 대응하여 살림집을 지었다. 생활양식이 다르거나 사회조건에 따라 살림집 형태도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 도시형한옥은 근대화이후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인해 사회적 요구에 따라 변화되어온 반면, 농촌주택은 느린 변화 속에서 큰 변화 없이 과거의 행태를 답습하며 유지되다가 1970년대에 이르러 정부의 새마을 운동의 영향으로 급격히 변화하게 된다. 1970년대 농가주택의 전체적인 발전적 변화를 목표로 표준형 농촌주택 설계도를 작성하여 보다 빠르고 손쉽게 농촌주택을 개량해나가기 시작한다. 저가의 급속한 농촌주택의 개량은 전통의 파괴라는 문제가 나타났고 정부는 일부지역을 시범마을로 지정하여 한옥형 농촌표준주택을 보급하였다. 한옥형 농촌표준주택의 보급은 1979년부터 1980년대 말까지 이어졌으며 관의 주도하에 한마을 전체를 전통의 형태를 갖춘 농촌마을로 바꾸었다. 이렇게 보급된 한옥형 농촌주택은 기본취지는 전통의 보전이었을지라도 추진과정에서 지역의 특성이 반영되지 않았고, 농촌생활의 면밀한 검토 없이 기존의 표준형농촌주택의 평면에 외형만 전통형으로 바꾸었다는 비판도 있다. 강원도내의 파악 가능한 관주도로 추진된 한옥형 농촌표준주택마을 5곳(속초 신흥리 마을, 고성 공현진리 마을, 고성 신안리 마을, 속초 상도문리마을, 횡성 두촌리 마을)을 선정하여 조사 분석 하였고 한옥형 농촌표준주택의 특성을 조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한옥형 농촌주택의 형태적 특성 본체의 지붕은 전통적인 한식기와를 사용한 팔작지붕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모두 겹처마로 되어있다. 벽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는데 목구조에 흙벽을 또는 조적벽에 몰탈마감 후 흰색페인트를 칠 것과 현대식 양옥으로 붉은벽돌 치장쌓기로 마감된 벽으로 구분 할 수 있었다. 2. 한옥형 농촌주택의 공간적 특성 배치는 본채, 대문채, 부속채로 구성되는데 대체로 각 가옥은 본채만으로 이루어지며 화장실의 외부설치정도의 부속채를 설치하고 있어, 본채, 부속채, 문간채, 등 여러 채로 나뉘어 지던 전통한옥의 구성방식에서 각 기능이 본채로 집약되어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창고나 차고, 등을 설치하고 있다. 3. 조사대상마을의 조사 내용을 종합해보면 각 마을별로 건설시기에 따라 많은 차이점을 보이는데 비교적 초기에 건설된 마을일수록 전통목구조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개량된 모습을 보이고, 80년대 말에 형성된 마을의 가옥들은 지붕에서만 전통형식이 나타나며 외벽, 창호, 등은 도시의 현대화된 양옥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중국연변지역 조선족과 한족 농촌주택의 현대적 변화에 관한 비교연구 : 중국사회정책변화에서 본 주택평면변화를 중심으로

        허성걸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농촌주택은 그 지방 고유의 자연적, 사회문화적 환경 등의 제반조건에 따라 농민들에 의해 축적된 생활의 지혜를 표현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중국의 연변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족주택 연구는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나, 현재까지의 연구는 전통주택에 한정되고, 원형에서 공간의 성격을 파악하는 현상적인 연구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이런 상황에서 연구 관점을 달리하여 연변지역의 조선족과 한족농촌주택이 중국사회정책의 변천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여 현재의 주거공간으로 이용되느냐를 비교분석하는 것은 주거문화의 변화성과 지속성을 이해하는 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농촌주택의 흐름을 총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중국의 사회정책을 주요 연구의 단면으로 설정하여 연변지역의 조선족과 한족의 이주정착기(1860-1940년대) 농촌주거 공간구성의 특징에서부터, 인민공사화 및 문화대혁명정책시기(1950-1970년대)를 비롯하여, 개혁개방 및 계획생육정책시기(1980-1990년대), 사회주의 신 농촌건설정책시기(2000년 이후)에 이르기까지 중국사회정책이 실시됨에 따라 기거양식이 변화되면서 주택의 공간구조에 미친 영향을 조사 분석해 보고자 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주 정착기 조선족은 남녀노소에 따라 출입, 취침, 식사, 단란이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반면, 한족은 집안의 위계에 따라 취침 공간이 분리 되며, 출입과 식사, 단란은 공동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농업을 바탕으로 한 조선족 주택은 몇 간의 살림방과 농업에 적합한 부속 공간들을 가지고 있으나, 한족은 광업노동 종사를 목표로 생존에 필요한 공간이외의 부속 공간이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인민공사화 및 문화대혁명정책의 영향으로 공동축사운영제도가 도입됨으로 인해 조선족주택내의 부속공간인 외양간이 소멸되고 그 자리에 창고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도시 외교의 일부 주택은 벽돌구조가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농촌에 전기화된 정미소가 등장함으로 인해 주택내의 방앗간이 소멸되었다. 인민공사화와 문화대혁명은 소수민족을 한족화(漢族化) 하려는 정책이었기 때문에 한족에게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이 당시의 한족주택은 기본적인 식(食)과 주(住)의 기능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개혁개방 및 계획생육정책은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개인의 능력에 따라 신축주택을 짓을 수 있었으며, 새로운 재료와 기술 도입으로 인해 벽돌구조 주택이 일반화 되면서 툇마루가 소멸되었다. 또한 마을단위의 공동축사운영제도가 소멸됨으로 인해 주택지 내에 독립적으로 외양간을 건축한다. 평면구조는 방과 방 사이가 개방적으로 변하고, 침대, 싱크대, 가스레인지 등의 입식가구의 도입으로 일부 주택 내에서는 좌식+입식이라는 혼합적 기거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조선족이 적고 한족이 많은 마을에서의 조선족 주택에서 부분온돌을 설치하는 주택이 출현하였고, 한족이 적고 조선족이 많은 마을에서의 한족 주택에서는 전면을 온돌로 설치한 주택이 출현하였다. 그리고 계획생육 정책으로 핵가족화가 진행되면서 조선족의 온돌방과 한족 내옥(內屋)의 칸수가 줄어든다. 사회주의 신 농촌건설시기에는 정부에서 농촌주거환경개선정책으로 보조금을 주면서 주택의 구조와 지붕을 벽돌과 기와로 개량을 함으로 인해 초가집이 대량 소멸되었다. 또한 농촌주택에서는 화장실, 욕실, 싱크대와 같은 현대화 시설이 일반화 되면서 주택내의 기거양식은 좌식과 입식을 함께 쓰는 좌·입 혼합(坐立混合)형태로 변화한다. 그리고 핵가족화가 진행되고 남녀평등을 주장하면서, 방은 개방적인 통간형의 주택이 일반화 된다. 한족의 주택에서는 내옥의 캉(부분온돌)을 넓게 꾸며 조선족 주택의 전면온돌방식을 따랐다. 이는 두 민족이 온돌방식의 변화와 상호 융합된 결과이다. 연변조선족자치주 조선족과 한족의 시대별 중국정책변천에 따른 주택 변화를 정리해보면 주택평면은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다. 조선족은 중국 사회정책의 영향을 받으며 변화되어온 반면, 한족은 영향을 받지 않고 변화되었으며, 생존에서 생활의 단계를 거쳐 진화함과 동시에 생활방식의 필요에 따라 공간을 만들어 왔다. 이상과 같은 변화과정 이후에도 연변지역 조선족과 한족의 농촌주택은 계속 변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 변화의 방향은 앞으로 더 기다려 보아야 확인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가 보다 체계적이고 일반화된 결론으로 정립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농촌주거의 사례조사와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농촌주거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농촌의 생활공간 및 경관저해요인을 중심으로

        김태익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농촌에서의 주택은 도시의 주택과 차별되는 거주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대부분 농촌의 주민들은 다양한 규모의 농사를 짓고 있고 농촌의 주변 환경 또한 도시와 다르기 때문에 농촌과 도시 사이의 생활적 측면의 차이와 환경적 측면의 차이를 반영하는 농촌주택 계획이 이루어져야 함이 마땅하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농촌의 주택은 도시 주택의 형태와 크게 차이나지 않거나, 농촌에서의 생활 방식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형태로 계획되고 건축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실생활적 측면에서 주택의 각 공간들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으며, 어떠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 및 분석하여 건축 계획적 차원의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와 충청북도 일부 농촌주택 거주민들을 직접 방문하여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농촌주택의 현관, 거실, 방, 주방 및 식사 공간, 다용도실, 욕실 및 화장실, 보일러실, 주택 외부공간, 창고의 사용실태를 조사하 였다. 조사 결과 농촌주택 각 공간의 사용상 문제점들을 발견하였고 보다 편리한 농촌 주거생활을 위한 건축 계획적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농촌에서는 주택의 실내 활동과 농사일 등으로 인한 실외 활동이 함께 이루어지므로, 이 두영역이 상호 교차하는 지점에 중간영역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주택의 주방, 거실, 다용도실, 화장실 및 욕실은 중간영역과 상호 긴밀히 연계될 필요가 있다. 또한 거주민들의 농사 규모와 이에 따른 창고의 규모와 종류를 조사하여 농촌주택 창고 건축계획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농촌주택 준공 이후 발생하는 무분별한 창고 증축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농촌의 경관은 농업경관, 자연경관, 생활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농촌 경관은 농촌에서의 쾌적한 주거 생활을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지금의 농촌은 도시 집중화에 밀려 점점 축소되는 동시에 농촌 경관마저도 점차 더 훼손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주택의 공간별 이용현황과 더불어, 실 생활적 측면과 연계된 농촌 경관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들이 무엇인지 조사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충청남도 청주지역의 8개 농촌 마을을 대상으로 각 마을을 방문하여 주민들을 만나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폐건축 물, 두엄, 소각장소, 폐기물 더미들이 농촌 각 마을의 경관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농폐기물인 폐비닐, 폐농약 및 농약 용기, 농기계 등의 폐유와 농촌의 생활 쓰레기인 폐플라스틱과 잡초, 음식물쓰레 기들의 처리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였고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기초적 대안을 모색하였다. Housing in rural areas requires a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is different from that in rural areas. In terms of architectural planning, the residential space in rural areas has also been changed to make it more convenient by applying urban residential space, so various rural residential buildings are now emerging. However, the architectural planning investigation into how each interior space in rural housing is actually used and what problems it has has is insignificant. In most rural areas, farming is often large and small, and it is easy to predict that farming tools, agricultural materials, and agricultural products that are needed can affect living space if they are cultivated. It is also possible to predict that the larger the scale of farming, the greater the content and space required. However, in the present design of farm houses for rural returnees, it is often found that they are designed as single-family houses similar to urban ones only by fragmentary knowledge and experience due to lack of accurate information. In particular, as there is no information on the types and sizes of various agricultural warehouses that are expected to be essential for agriculture, returning to farming poses many problems not only for the beauty of rural houses but also for the efficient use of land by adding necessary warehouses here and there after residential construction. In addition, farming work in rural areas was always accompanied by work clothes, soil, and dust, and it was deemed necessary to review and reinterpret various spaces in rural building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istinguish the types of returnees who plan to return to farming and rural areas in the future and to derive suitable residential spaces and living environments, while also to obtain basic data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rural housing plans at the rural regeneration level by identifying the details of farming and the contents and size of warehouses required by scale. In addi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problems in terms of the current rural environment and landscape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living space, environment, and residential conditions in rural areas, which are relatively inconvenient and poorly maintained compared to urban life, for traditional farming villages that have been gradually shrinking and disappearing due to urban centralization. First of all, the plan was to directly observe and investigate the living space of local residents in rural areas, identify and organize what appears to be a hindrance to the landscape and environment, and to identify their correlation with local residents and problems in settlement conditions. The plan was to conduct on-site surveys on the status of improper disposal of household waste, the existence of a mudslide, various piles of garbage piled up here and there, and to find ways to deal with and improve such waste, which were identified as major obstacles to rural landscape and living conditions. Furthermore,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urrent waste disposal status through a direct survey of the villagers. Through this process, various types of garbage generated in the village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sought. Based on this, the government sought institutional measures to systematically improve the landscape of rural villages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presented basic data for the regeneration of rural villages and living spaces.

      • 農村型 共同住宅의 住居特性과 改善方案 硏究

        김강섭 慶尙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8703

        Apartment houses, taking root as an important residential type in today's rural communities, should also serve as an appropriate living place to people the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e a new residential development plan appropriate for the conditions and needs of rural areas, and a new housing type that can cope with the changes there.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apartment houses, and propose a new plan to improve rural apartment housing. In this paper, both documentary survey and residential condition survey were used as research method. The scope of research targeted the 7 si & gun districts in Gyeongsangnam-do and 4 apartments at Yeongdong-gun in Chungcheongbuk-do. The contents of research dealt with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rural apartment houses and dwellers' attitude to and behaviour of using space. As a result,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are as follows. First, rural apartment houses are generally adjacent to production and natural environments, and tend to be constructed in small complex of 50 households or less with the lack of convenient facilities. For economical reasons, they do not have a janitor, so they are not poorly maintained. Second, row house-styled apartments, constructed under the government support, should be equipped with individual storages for farm households. However, actually there is no work place or storage farming tools necessary for harm houses, undermining the living environments. So, we need a plan to improve this situation and ac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ird, rural apartment houses are dwelled by residents with various occupations as well as farming households. The householders of farmhouses are mostly aged between 30's and 40's cultivating the controlled vegetable in greenhouses. And those farmhouses highly demand common storages and farm machines storages. Fourth, the preferred number of floors of apartments is 3 to 6, and the appropriate size of unit plane is 25 to 34 pyong. And their hopeful area to move into is suburb country and they prefer apartments. Fifth, people in farmhouses tend to install various shelves and cabinets indoors due to the insufficient space for storage. And they use the front balcony for clothes drying and storage, while using the back balcony for storage and housework support. Sixth, the external space is mostly changed into a storage for various stuff, and outdoor tap or bicycle site is installed. And as far as the internal space is concerned, the usage purpose is simply changed and there were trifle changes due to outworn fac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stall storages within the apt. complex and secure a buffer zone where people can wash their hands before entering the houses. The application types and the improvement plans of rural apartment housing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basic directions of rural apartment housing plans are locality, ecology, tradition, community, and flexibility. And the ultimate goal of rural apartment housing plans is to improve the livability, community, and rurality on the basis of the basic direction of rural areas. Second, the types of rural apartment housing include farming, non-farming and combined types considering dwellers' characteristics. There are individual and mixed complex types in terms of apartment arrangements. The types of connecting living space with auxiliary space are horizontal and vertical connection types. Third, rural apartment housing should adopt the space components of auxiliary facilities including storages for agricultural products and farming appliances, common workshops, field attached to home, and washrooms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s of rural areas different from urban apartment housing. Fourth, The arrangement of rural apartment housing should adopt a yard or inner court departing from uniform style. The number of floors and types should be planned for row house-styled apartments of 3 to 5 floors considering rural landscape. And the appropriate size of the complex is 50 to 100 households to activate the community among neighbors and secure convenient facilities. Fifth, the direction of planning the rural apartment housing of unit plan is to improve living conveniency in terms of securing the space for storing various stuff, considering flexible uses, introducing traditional elements, and using new types. Sixth, for more active apartment complex, the piloti should be applied to the bottom of residential block to make space organically connected and have openness, and should be planned for residents' community space. And the semibasement space can be planned for storage by means of the first floor and slant area of residential block. The rural apartment housing require much effort to take root as a new type of dwelling type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conduct continuous research on developing a model and unit plane type of the rural apartment housing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