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20 - 30年代 韓國基督敎 農村運動에 관한 一考察

        엄혜순 淑明女子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8703

        3.1운동이후 변화된 조선의 정세에 따라 한국기독교인들도 신앙에 기초한 민족적 정열을 제반 사회문제에 돌리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기독교내에서는 한국사회가 직면한 구조적인 문제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채 사회적인 문제들을 개인의 도덕적, 영적인 문제로 환원해 버리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당시의 비인간적인 정치경제적 상황을 깊이있게 인식하여 사회를 변혁시키고자 하는 방향전환이 불가피했다. 이렇게 하여 전개된 한국기독교 사회운동은 점차 심화되어가는 식민지적 억압과 수탈에 대해 일정한 긴장관계를 유지하면서 사회, 경제, 인권 등 전반적인 측면에서 항일민족운동으로서의 성격을 띠면서 전개되었다. 그 추진세력들은 ‘하나님나라’ 라는 기독교적 상징이 가정, 마을, 사회라는 구체적인 현실속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보았던 사회참여적 신앙의 신념체계를 갖고 있었던 기독교인들이었다. 이들은 복음주의적 신앙체계, 즉 개인만을 위한 구원이라는 관점에서 탈피하여 가난, 무지, 질병의 제거, 영농기술의 개발, 교육의 확대 등 점진적인 운동을 목표로 의료활동이나 생활관습 개혁운동 등을 YMCA, 각교파의 교단, 학교, 병원 등의 조직을 통해 전개하였다. 이러한 기독교의 사회개혁운동이 기독교인들로 하여금 식민지 민족현실을 인식하도록 자극하였고 적극적인 사회운동의 전개를 모색하게 하였다. 1920-30년대에 전개되었던 기독교 사회운동의 형태는 교육, 계몽활동, 의료활동, 금주, 금연, 문자보급운동, 생활관습개혁운동 등의 사회사업과 사회봉사 그리고 사회개선의 형태로서 다양하게 나타났지만, 이른바 「식민지 상업자본주의」의 경제구조속에서 궁핍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전개되었던 농촌운동이 무엇보다도 두드러졌다고 할 수 있겠다. 한국기독교가 농촌운동을 전개하게 되는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년대 초부터 대두되기 시작한 기독교의 진보성 상실에 대한 국내외 지식인 및 사회주의계의 비판과 이에따라 비판세력들의 문제의식을 수용하여 기독교적인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했던 기독교 사회주의사상의 출현 및 노동자, 농민에 대한 관심집중을 들수있다. 둘째, 일제의 경제적 침탈로 인한 농촌경제의 심각한 파괴를 들수있겠다. 이러한 요인에 따라 한국기독교 농촌운동을 주도했던 세력들은 농촌과 농민의 생활향상을 중심적인 과제로 설정하고 20년대 중반이후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농촌계몽운동과 맥을 같이 하면서 농촌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 것이다. 한국기독교 농촌운동의 대표적 추진세력이었던 YMCA는 농촌운동에 대한 사업계획 수립을 위해 농촌조사사업을 벌였으며, 농촌운동의 선전 및 농촌 지도자 양성을 위한 순회강연 실시, 비료, 종자선택, 해충구제, 부업 등 농사경영에 대한 실험과 강습, 이를 위한 「농촌사업 협동위원회」와 「농민수양소」의 개설, 각종 신용조합의 설치와 농촌운동에 대한 계몽서적들과 잡지들의 발행을 통하여 활발한 운동의 전개 및 이론적 체계화를 꾀하기도 하였다. 한편 각 교회에서도 협동조합운동, 농촌지도자 양성을 위한 농업전문교육기관의 설치 및 그 운영, 그리고 이상촌 형태의 농촌공동체의 건설운동 등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이 조직과 체계를 갖추고 서로 연합하여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YMCA와 교회의 농촌운동은 30년대 후반부터 총독부가 전개한 「농촌진흥운동」에 타격을 받아 크게 위축되었다. 특히 일제의 농민운동에 대한 경계 및 포섭작업과 더불어 교회내의 비판에 직면한 기독교계의 농촌운동은 결국 1937년 농촌부를 폐지하지 않을 수 없었고 그 결과 기독교 농촌운동은 그 독자성을 잃어버린 채 식민지 관제운동으로 포섭되어 가고 말았다. According to political situations which were changed after March 1st Movement in 1919, the Korean Christians came to turn their national heart and soul based on their faith to social matters. They gave up the way of thinking that all social matters resulted from their perona1 morals and spirit without considering deeply the Korean society facing structural problems. Transition of recognition about inhuman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s in this period inevitably emerged between the Korean Christians. This social movement of the Korean Christians have been kept a bit tension against agravating colonial oppression and exploitation by Japan. They have spread it as a national movement against Japan in every respect such as society, economy, human rights, etc. Their leaders had the belief of social participation that the Christian symbol 'the kingdom of God' should be materialized actually in family, community, society. They turned their concerns from the conventional gospel belief, salvation only for themselves, to eradication of poverty, ignorance and deseases, development of agricultural technology, exte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reform of living, and medical cares which were carried out mainly by YMCA, churches, schools, hospitals. Such movements enabled Christians to recognize what the colonialism was and find a way to a positive social movement. The Christian social movements between the 1920's and 1930's had been materialized as a series of a social improvement, social businesses and services such as education, enlightenment, medical cares, refraining from smoking, a temperance movement, supply of Korean characters, reform of living, etc. The agricultural movement as a series of ·solving the problem of poverty in the economic frame of the so-called 「colonial commercial capitalism」 was most distinguished. The reasons are summerized as follows: First, Christian socialists apperared who tried to solve the social matters by a Christian way with reception of criticisms about loss of Christian progress in the first twenties which were shown. by the domestic and foreign intellectuals and their concerns for workers and farmers appeared. Second, destruction of the agricultural economy resulted from the economic exploitation of imperial ist Japan. Accordingly, christian leaders of the Korean social movement established improvement of living of rural areas and farmers as a main problem and participated positively in the agricultural work as a campaign for an agricultural enlightenment which was processed actively after the middle twenties. YMCA, a leading association of the social movements of the Korean Christians, carried out research on the rural areas to establish a work plan for an agricultural movement also tried to systemize their social activities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through campaigns for an agricultural movement, lecturing tours for bringing up leaders of rural areas, lectures and practices for agricultural management such as choosing fertilizers and seeds, extermination of vermin and side jobs, and publishing books and magazines relating to establishig 」「cooperative committees for agricultural works」 and 「resorts for farmers」 and credit unions and agricultural enlightenment. Meanwhile churches also established agricultural schools for bringing up leaders of rural areas and managing cooperative unions and carried out campaigns for construction of agricultural communities. The agricultural movements which were conducted actively and systemized by YMCA and churches have been shrinked by 「a campaign for agricultural promotion」 which had been held by the government-general since the late thirties. Especially the agricultural movement of the Korean Christians facing criticisms of churches and connotation and caution against the agricultural campaign of imperialist Japan has gone away starting from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in 1937 and changed into colonial government controlling movement.

      • 1930年代 朝鮮總督府의 農村振興運動

        양영환 崇實大學校 大學院 1988 국내석사

        RANK : 248703

        농촌진흥운동은 1932년 7월에서 1940년말까지 7년간 조선총독부가 실시한 농민운동이다. 당시 조선농촌은 일본인 지주에게 토지가 집중되어 농민의 약55%가 토지를 소유하지 못한 소작농민과 화전민이고 적은 자기농지와 남의 농지를 함께 경작하는 자·소작농민이 25%이며 자기의 땅을 경작하는 자작농민은 16%에 불과했다. 또한 소작농민은 50~85%의 고율소작료를 부담하고 미곡증산을 위한 농경비·수세 세금을 지주가 경작자에게 전가시키어 농민의 85% 이상이 부채의 고통을 받고 있었다. 더욱이 토지 집중으로 농촌분해와 부채증가 현상은 날이 갈수록 가속화하여 한국농촌은 위기에 처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제공황이 밀어 닥치어 곡가가 폭락되고 그 피해가 농촌에 집중됨으로써 한국농촌은 파탄에 직면하게 되었다. 파탄에 직면한 농민대중은 부당한 수탈과 식민지배에 저항하는 소작쟁의를 격렬하게 전개했다. 한국농민은 1920년대의 농촌계몽운동과 사회주의운동의 영향을 받아 자각되고 의식수준이 한층 높아저 있었다.때문에 농민의 저항은 단순한 소작쟁의가 아니고 일본의 식민지배를 거부하는 독립운동의 성격을 갖었다.한국민족의 80%가 농사에 종사하는 농민임으로 이러한 농업의 위기와 농민의 저항은 곧 일제의 식민지배의 위기였다. 일본이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구상한 식민지배정책이 1930년대의 조선농촌진흥운동이다. 농춘진흥운동은 1931년8월 새로이 총독으로 부임한 우가끼에 의해 입안·실시되었는데 당시 일본제국은 중국침략을 준비하고 있었음으로 한국인과 자원을 침략전쟁에 동원하는 한반도를 침략기지로 재편성하는 공작이 내포되어 있었다. 그러나 우선 한국농촌의 파탄을 막는것이 급선무였음으로 농촌갱생운동을 전개했다. 농촌의 만성적인 식량부족과 부채를 해결하여 농가가의 경제수지의 균형을 마추기 위한 자급자족을 목표로 했다. 그 방법은 중앙으로부터 도·군·면에 총독부의 모든 권력을 집중시킨 각급 진흥위원회를 설치하고 자연 촌락단위로 진흥회를 조직하여 농민지도체제를 갖추고 지도대상 농가를 선정지도하는 것이였다.농가 한집 한집의 재산·노동력등 기초조사를 하여 이를 토대로 갱생계획을 수립하여 실천시키는 것이다. 첫째 방법이 부업을 통한 전가족의 근로였다. 농한기에 가마니짜기, 누에치기, 퇴비조성등에 노동력을 소화하고 부녀자나 아동들도 가사에 매달리지 말고 농업노동과 부업노동에 투입하는 것이였다. 둘째 방법은 소비절약을 위한 생활개선이였다. 전통적인 관혼상제를 간소화하고 흰옷대신 물드려 입을 것을 강제했다. 흰옷을 입은 사람에게 관리들이 물총으로 먹물을 뿌리거나 관청 사무처리를 거부하기도 했다. 셋째 방법은 식량이 되는 곡물과 소채 생산에 전념케하고 경제작물이나 축산등을 경계했다.농민은 농민정신인 농도를 지켜야하는데 이윤을 추구하면 신성한 농도(農道)가 무너진다는 것이었다. 결국 농촌진흥운동은 농가의 남·여·노·소를 총동원한 전가족의 근로와 전통적인 관·혼·상·제의 생활문화의 포기로 귀결되었다. 물론 농촌진흥을 위한 총독부의 시책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소작인의 억울함을 호소할 수 있는 소작조정령(1932)이 제정된데 이어 조선농지령이 공포 시행되어 소작인 보호시책이 나오고 고리채 정리를 위한 저리자금의 공급도 시행되며 복합농영의 장려등 진흥책이 시행된다. 그러나 농촌진흥운동에 숨어있는 정치적 목적은 항일 독립운동을 근절시키는 것이였다. 3·1운동 이후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청년학생들이 농민대중을 계몽하여 조직화한 결과 1930년대 초에는 조직적 포력적인 민중항쟁이 격렬하여졌다. 조선총독부는 촌락 단위 진흥회를 조직하여 저항적 자립적 농촌운동 조직을 파괴하고 저항운동을 저지시키었다. 즉 농민대중을 민족운동권에서 식민지통치권으로 흡수한 것이다. 따라서 경제공황이 진정된 1935년경에는 식민통치의 안정이 회복되고 전쟁수행을 위한 총동원체제를 준비할 수 있게 되였다. 이러한 농촌의 안정에는 농촌경제가 어느정도 호전된 결과라고도 볼 수도 있다. 식량자급율이 1933년에는 지도농가의 55%, 34년에는 64%, 35년에는 48%, 36년에는 39% 해결되고 농가부채도 1933년에는 총농가의 85%가 부채를 지고 있었으나 1938년에는 50%선으로 낮아졌다. 특히 자소작농은 85.6%에서 34.4%로 격감되었다. 일본의 대한식민정책이 1910년에서 30년까지는 오로지 정치적 탄압과 경제적 수탈로 이어졌으나 1930년데에 와서는 대륙침략에 동반하기 위해 적당한 빵을 공급하는 농민대중의 회유정책으로 전환한 것이다. 그러나 농촌경제 진흥 정책을 실시하면서 자금에 투자없이 맨손으로 농민의 근로에 의존하는 소비절약만을 강조한것은 한국의 증강될 부를 한국인에게 놓아줄 의사가 전혀 없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농촌진흥운동을 일제에 대한 식민통치사적인 면에서 볼때에 통치영역을 지배계층에서 민중으로 확대하여 통치권력이 한국당의 모든지역, 모든영역, 모든사람에게 밑이게 된 것이다. 1910년대에는 소수 귀족과 손잡고 무단통치를 하다가 3·1운동 이후 1920년대에는 중간계층까지 확대하고 1930년대에는 농민대중에게까지통치권력을 침투시키어 완전 지배단계에 들어가게 되었다. 더욱이 조선 농촌진흥운동은 일본의 군부팟쇼화와 함께 진행되었음으로 손쉽게 한민족의 독립운동을 잠재우고 한국인과 자원을 대륙침략에 동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The Rural Promotion Movement is the Agricultural campaign which the Chosun General Supervision Board established for 7 years from July 1932. through the late 1940s. During that period, many rural areas of Chosun were owned by Japanese land lords. Consequently, some 55 percent of tile farmers accounted for cottage farmers and nomads without their own land, some 25% for self-supporting or cottage farmers cultivating little amount of their own farming land and others' farmland and some 16% for self-sufficient farmers w o had their own land. In addition, cottage farmers paid the high rates of 5% through 85% in such landborrowing payments, and more than 85% of the farmers were under hard pressure of debt as the landlords pransmitted the responsibilities of land cultivating taxes, still water taxes and other income taxes for the rising production of rice into the hands of the cultivators. Furthermore, the phenomena of the rural dissolution and debt increase owning to the centralization of farming land acceleratingly put the Korean rural communities into a state of crisi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rushing out of the economic depression caused the rice price to plunge and its disservices which exclusively fell upon the Korean rural communities made them encounter bankrupcy. The farming populace who were confronted with this kind of bankrupcy vehemently staged the loaned-contracting strike, resisting unjustified robbery and colonial rule. For they who had been stirred up by the rural enlightment movement and socializm campaign had the high level of perspective and sense. In this context, the farmers' resistence was not so much a mere land contracting strike as something of an indendence movement, reject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As some 80 percent of the Korean were engaged in farming those kinds of agricultural crisis and farmers' resistence meant the crisi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is was, what we called, the Chosun Rural Promotion Movement in 1930s, a policy that Japan designed to overcome the crisis. The movement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in June 1931 by newly appointed usage. In other words, as the board was prepared for the future aggression on the continental Chiana, the movement was an implicit conspiracy to reorganize the Korean peninsula for an invasion base where Korean and their resources could be mobilized for war. However, the urgent task first and foremost was to present the Korean rural communities from being bankrupted, be Japan staged the Korean rural rehabilitation Movement. It was aimed at creating the riable economy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grucultural balance of payments, in harmony by making a dent in solving the inveterate food shortage and debt among the farmers. The approach Japan exploited was to organize each level of the promotion association on which the General Supervision Board focussed all the powers from the central agency, to fashion the leadership system of farmers by organizing the promotion association on the natural village basis and to choose and teach the farmers as it intends to be. After the agency basically reserched the property and labour force of each house, on their basis, the rehabilitation project was subject to be set up and implemented. The first method was to use labor force of the whole family by way of sidelines. That is to say, it meant even during the off-season period, its program was to put people into weaving of rice sack, larva raising and fertilizer making and also put housewives children into agricultural labor and sidelins, not by letting them stick to their housekeeping. The second one was to improve the living standards by means of thrift. The program streamlined the traditional rituals-soluting the forefathers, mandated the Koreans to get dressed in colored clothes instead of white ones. These who wore white clothes were often spread over with ink sprayers by public servants and turned down on the public office process. The third one was to force them to apply themselves to producing any grans and vegetables substituting food, keeping them from growing economic products and cattles. The main logic of the program was that any farmer had to observe his agricultural methos, but if not,-that is- if he pursued benefit, divine agricultural method was bound to fall flat. In the end, the Rural Promotion Movement resulted in whole family's labor, mobilizing men and women, young and senior citizens, renunci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al rituals. It went without saying that there was a kind of solid policy by the General Supervision Board toward the Agricultural Communities Promotion. As the coordinating law for cottage farmers staged, they were able to appeal for complaints and mistreatments. The Chosun farming land law was made after that to aim to protect cottage farmers. Capital at a low interest rate was provided in order to dispose of the sideeffects of brokerage. A mixed type of cultivation was promoted. However, political intention to root 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behind the movement. As young students from the nationalism front and the socialism front since the March 1st movement enlightened and organized the rural populace, the organized and violent uprisings of them were becoming even more vehement in the early 1930s. The Chosun Genral Supervision Board destroyed the resisting, independent organization of the rural movement, and prevented the protest activities by organizing the promotion association on the village basis. Namely, the board acquired the rural movements into the colonial rule from the national movements. In consequence, if around 1935 when the economic depression appeased, the stability of the colonial rule was recovered, and it enalbed the board to prepare the all-out mobilization system for staging war. Given the stability of the rural communities, the rural economy was improved to a certain degree. It was true that the self-sustaining rates of food among the farmers who took the lessens were 55% in 1933, 64% in 1934, 48% in 1935, and 39% in 1936. And it was clear that even though 85 percent of the whole formers had dept in 1933, just in 1938, its percent dropped by 50%. In particular, self-sustaining or cottage farmers decreased from 85% to 34.4% while the Japanese colonial policies toward Korean from 1910 though 1930 were almost exclusively political crackdown and economic robbery with the advent of 1930s, its policies were transformed into the appeasement for the natural populace by providing appropriate "bread" in order to make them support the confident invasion into China. However, while the board was accomplishing the promotion policies, of the rural economy, it stressed people's thrift, depending upon farmers' barehanded labor with the investment money. In this context, I believe that this emphasis meant that the borad had no intent to distribute Koreans' beefed up wealth to them. Meanwhile, considering the rural promotion movement in term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board's control areas extended from the governing classes to the polulace, control power covered all of Korea's land areas, and ultimately the Korean people, In 1910s, the board took the police control policy in hands with the small number of aristo crats. Since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its grip over the country was extended into the middle class. And in 1930s, its grip was penetrated into the rural polulace and entered a complete control phase. Moreover, as the Chosun Rural Promotion Movement proceeded along with Japan's movements of Koreans with ease, and laid the foundation for mobilizing Koreans and their resources if a future continent invasion.

      • 裴敏洙의 基督敎 農村運動과 思想的 背景

        김성수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가족적인 3.1독립운동이 실패로 돌아가고 직접적인 항일무력투쟁이 어려워지자 국내의 각 운동 세력이 새로운 민족운동으로 모색하였던 것이 1920∼30년대의 '농촌운동'이었다. 20년대 중반기에 일어나기 시작하는 농촌운동의 기운이 일제에 의해 저지되는 30년대 후반까지 YMCA를 비롯하여 YWCA, 장로교와 감리교가 각각 농촌부를 설치하고 농촌운동을 전개할 때, 사회주의의 기독교 침식에 대항하고, 또한 사회적 요청에 부응하면서 보수적 근본주의 신앙군의 기독교 세속화라는 비판과 오인 속에서도 확고한 기독교적 정체성 가지고 복음적 사회참여, 또는 실천적 복음주의 농촌운동이 되고자 했던 것이 "배민수의 농촌운동"이었다. 배민수는 장로교 농촌부 초대 총무요, 목사라는 직책과 직분이 말해주듯이, 확고한 기독교 복음정신의 바탕 위에 서서 그의 농촌운동을 전개하였다. 그의 운동의 배경에는 유년기 일제치하에서 아버지의 洵死와 기독교적 주변환경이 가져다준 복음적 신앙의 영향으로 기독교인으로서 조국의 독립을 위해 일하는 것은 당위적인 일로 받아들여졌고, 청주지역과 평양에서의 성서중심적 신앙은 3.1운동을 거치면서 현실 참여적인 신앙의식이 자라났으며, 또한 숭실시절 조만식 선생과의 교류, 여러 신앙 동지들과의 만남을 통해 민족과 공동운명시하는 내면적 정신으로 발전했으며, 또한 평양신학교와 맥코믹 신학교에서의 修學을 걸치면서 보편적 기독교 세계주의 등의 사상이 확립되어 갔다. 이와같은 배경 하에서 '하나님 나라'사상과 기독교 경제관, 예수의 십자가의 희생 정신으로 피폐한 농촌 현실을 타개하고 '하나님 사랑'· '노동사랑'의 삼애정신에 바탕하여 '예수촌'이라는 이상농촌을 건설함으로써 우리민족이 힘있고 부강한 나라가 되면 자연스럽게 조국의 독립도 되찾게 될 것이라는 '민족운동'과 이러한 민족해방운동은 기본적으로는 기독교 정신 없이는 이룰 수 없는 것이며 궁극적으로는의 한국 사회가 기독교 사회가 되고 모든 한국 민족이 기독교인이 되는 '하나님 나라 운동'의 일환이라는 맥락을 견지하였다. 당시 선교사들의 의도적 비정치하의 지향과 보수적 신앙군의 비판은 오히려 잘못된 근본주의적 성향에 바탕하여 몰역사적 태도를 양산할 우려가 있었다. 그러한 편향적 태도는 한국 기독교의 중요한 흐름인 복음적 신앙에 바탕한 역사참여적이고 민족공동운명체적 교회의 정신에서 일탈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배민수는 신앙의 눈으로 역사를 읽는 혜안이 있었다. 그는 한국역사의 한복판에서 언제나 옳게 행동하려고 고민하고 노력하였다. 그럼으로써 아버지를 일제에 잃었지만 감정에 매이지 않았고, 청년기의 소영웅주의에 빠지지도 않았으며, 금융조합 총재 및 자유당 중앙위원 등의 지위를 이용하여 개인적 야망을 채울 수 있는 절호의 경제적, 정치적 기회 앞에서도 일신의 영달에 함몰되지 않았으며, 위기에 처한 조국을 위하고, 고난 가운데 있는 민족을 위하고, 하나님을 위하여 기독교의 사랑과 복음정신을 이 땅에 심고자 '농촌운동'의 일관된 삶을 일생동안 실천하였다. 그가 전개하였던 장로교 농촌부 활동(1933∼37), 미국순회 강연(38∼41), 금융조합연합회 회장으로서 식산계부흥사업의 전개(53∼55), 대전 기독교농민학원 설림(57), 대전기독교여자농민학원(62), 일산 삼애농업기술학원(67) 등의 줄기찬 농촌사랑 운동은 단순한 민족운동의 차원에 머물렀던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는 아직 피폐하고 비루했던 농촌현실을 타개할 뿐 아니라 한국 사회의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 전반에 걸친 진보를 이루고자 했던 사회개혁운동이었으며, 민족적 아픔에 동참하고자 했던 사회참여적 복음주의 운동이었고, 나아가 한국교회 신학사상사에서 '조선에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고자 했던 신학의 실천운동이었던 것이다. When the nationwide 1919 Independence Movement returns by failure and direct armed struggle for anti-Japan became difficult, the rural movement was groped as a new national movement in the the 1920's and the 1930's by domestic national movement groups. Presbyterian and Methodist Church Including YMCA and YWCA, established each Rural Department and had waged rural movement from in the mid 1920's that the energy of rural movement began to spring up to in the later 1930's hindered by Japan Pai Min-Soo's Rural Movement tried to oppose to the erosion of Christian socialist, and wished to become the practical and evangelical rural movement with the clear identity of Christianity in spite of criticism and misunderstanding as it called secularization of church by the conservative Fundamentalism party i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Rev. Pai Min-Soo (1896-1968) was a patriot, a man of national movement, and a evangelical pastor who lived to practice God's love through his life in the most gloomy times ethnically from the 1910's which Japan began to rule Korea to after liberation. Especially his Christian rural movement does not stay in an individual evangelical activities but locates in the core of the Christian movement in Korea. His activities and thought have signicant historical meanings in the contemporary Korean history of politics, economics and thought, jumping over religious category. We surveyed the background of church history in Pai Min-Soo's Rural Movement in chapter II of this research, the process of building of his thought in chapter III, the thought of Sam'ae ("Three Loves") as his ideal in chapter IV, and the theological background and Christian thought of his rural movement in chapter V. In chapter VI, we searched the historic personality and meaning in church history and the history of rural mission of Pai Min-Soo's Rural Movement with this survey and concluded. Pai Min-soo's nationalism in the 1910s, the decisive influence in Pai Min-Soo's conversion to reformist movements was the intellectual training he received from Christian nationalist Cho Man-sik, Pai Min-Soo discovered a new way of life and a new direction for the nationalist movement:the Chistian rural movement. In 1931, Pai Min-Soo enrolled in the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in Chicago, Illionis. He constructed the Evangelism for Social Participation based on "Christian love". After he returned to Korea, Pai Min-Soo was a leader of Presbyterian rural movement and Pai Min soo tried to impoverish broken rural community, based on the thought of "Kingdom of God", the Christian economic view, and the sacrifical spirit of Jesus' Cross and build the ideal village, that is, "Jesus Village" based on the thought of Sam'ae ("Loving three")-'Loving God', 'Loving ruyal community', and 'Loving labor'. If our nation becomes strong, rich and powerful country, we'll see the independence of moderland. His movement was misunderstood and refused as secularization of church by the conservative party in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n fact, the aim of his movement was to build a community of God named 'Kingdom of God' in the Korean rural society , and to make God's people grow in evangelical faith. Because of his steadyfast love of rural community, Pai Min-soo had waged the activities of the Presbyterian Rural Department(1933∼37), lecturing tour in the United States America (1938~41), the "Siksan'gye Revival Movement" as a chairman of banking association(1953~55), and the establishment of Christian Farmers' Academy in Taejon(1957) and Christian Women Farmer' School in Taejon(1962) and of the Sam'ae ("Three Loves") Agricultural Technology Institute in Ilsan.(1967). His love of rural community didn't stay only in the dimension of simple racial movement but wished to impoverish braken rural community to prgres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Korea and Evangelical movement for participation in society to try share ethnic pains, and furthermore to wish to accomplish theological practical movement 'Kingdom of God' in the Korean church theological history.

      • 해방전 배민수의 농촌운동 연구

        김영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1

        1920년대 시작했던 해방 전 한국 개신교의 농촌운동은 그 의도에 있어 한국농민의 경제적 궁핍을 해결하고자 했던 적극적인 운동이었다. 당시 한국 인구의 80%를 농민이었음으로, 민족문제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은 자연히 독립운동의 차원에서 농민운동에 관심을 가졌다. 실제로 1920-30년대, 직접적인 항일무력투쟁을 하기 어려웠던 국내에서 각 운동세력들이 주력한 분야가 농민운동이었다. 이러한 한국농촌의 경제적인 궁핍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신교의 농촌운동으로서는, 대표적으로 YMCA 농촌운동, YWCA 농촌운동, 장로교 농촌운동, 감리교 농촌운동 등이 있다. 장로교 농촌운동을 실질적으로 이끌었던 것은 배민수였다. 그는 철저한 실천적 삶을 조만식을 통해서 배웠고, 미국 유학을 통해 복음주의 신앙을 배웠다. 이러한 실천적 신앙은 현실적 문제를 만날 때마다 적극적으로 해결하려고 하였다. 일제하에서 독립운동을 추구하였고, 한국 농민이 전 세계 각국 농민 중 가장 빈곤하고 불의에 처하여 있기 때문에 자신이 한국의 농촌에 헌신하게 되었다고 말하고, 공산주의 사상이 한국 교회를 흔들기 때문에 강력하게 복음주의 신앙을 앞세웠다. 배민수는 신앙은 물질 또는 이기적 생활을 초월하여 신앙과 실생활이 일치되어야 그 신앙이 참된 신앙이라고 말하고, 이러한 신앙을 복음주의 신앙이라고 할수 있다. 복음주의 신앙에 근거한 그의 농촌운동은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협동생활’과 ‘정신적 물질생활’ 그리고 ‘십자가 정신’ 즉 사마리아인과 같은 희생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배민수는 복음주의 농촌운동의 목표는 마을 마을에 들어가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여 예수촌을 건설하고 실제농사에 과학적 상식을 보급하여 곳곳이 모범농촌을 건설해서 이 땅위에 기독교왕국을 세우고 영원한 천국복음을 누리게 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러한 목표는 “너희는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라” 명하신 예수의 사명과 행적을 조선농촌에 실천하여 영적생활과 물질생활을 동시에 책임지는 복음주의 실천운동이었다. The agricultural movement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before the liberation of Korea was an active movement that tried to solve the economic poverty of the Korean farmers. 80 percent of the population of Korea at that time were farmers, therefore naturally, people who had interest in nationalistic matters were concerned in the agricultural movement as an independence movement. In fact, during the 1920s till the 1930s since a direct anti-Japanese armed combat was difficult to be practiced within the nation. all movement forces concentrated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movements. The YMCA agricultural movement, the YWCA agricultural movement, the Presbyterian Church agricultural movement and the Methodist Church agricultural movement are the Protestant typical examples of the agricultural movements that tried to solve these economic poverty problems in the Korean agricultural villages. The Presbyterian Church agricultural movement was essentially lead by Bae, Min soo. He learned the drastic practical living from Cho, Man shik and through studying abroad in the United States, he achieved evangelistic faith. This practical faith helped him to aggressively solve each realistic problems he had to face. He sought for an independence movement under the rule of Japan. and proclaimed that the reason why he is devoting himself for the Korean agricultural villages is because the Korean farmers are the most destitute in the World and because they are placed in injustice. Moreover, he strongly lead forth his evangelistic faith because the communistic ideas agitated the Korean church. Bae. Min soo declares that a true faith is a faith that transcends material and selfish living and which faith and the actual living is consistent. and that this kind of faith is the evangelistic faith.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his agricultural movement under evangelistic faith, he states that 「cooperative life」「spiritual materialistic life」and 「the spirit of the cross」are the aspects that are needed. In other words, the sacrifice of the good Samaritan is necessary. Moreover, Bae, Min soo said that his goal of the evangelistic agricultural movement was first, to go into every village to spread the word of God and construct a village of Jesus and second, to construct an exemplary agricultural village by propagating scientific knowledge in the existing agriculture, so that in the end, he could build a Christian kingdom in this land and enjoy the eternal heavenly words. These goals put into practice "You will be my witnesses to the ends of the earth" which is what Jesus has commanded as mission and achievement, and by applying this to the Korean agricultural villages, an evangelistic practical movement that was responsible for both spiritual life and material life, was borne.

      • 劉載奇의 예수촌思想과 農村運動

        김병희 啓明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박사

        RANK : 248701

        본고는 일제시기와 해방 공간에서 활발한 농촌운동을 펼친 유재기를 분석한 글이다. 그는 일제하 대표적인 협동조합이론가이자 기독교 농촌운동가였다. 특히 유재기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에 이르기까지 한국근현대사의 전개과정에서 역동적인 삶의 궤적을 잘 보여준 인물이었다. 그의 삶은 근현대 한국사회의 주·객관적 조건에서 자신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과정이었다. 또한 한국근현대사의 변동에 직접적으로 참여한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당시 유재기는 예수촌 운동을 통해 새로운 사회를 모색하고자 했다. 유재기의 행적은 크게 일제시기와 해방이후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일제시기 유재기는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특히 1910년대에는 기독교를 수용하면서 민족주의 흐름을 이해하였다. 1920년대에는 교남학교, 일본 유학 등을 거치면서 농촌을 바탕으로 하는 온건기독교 사회주의자가 되었다. 그는 일본 유학에서 돌아온 이후 처음에는 농촌교회 조사로 농촌순회전도 활동과 계몽활동을 주로 하였다. 이후 직접 기독교 농촌연구회를 결성하여 예수촌 운동을 전개하였다. 1930년대에는 그의 가장 핵심적인 활동은 예수촌 운동을 펼치면서 농촌운동가로 변신했다. 해방 이후 유재기는 활동공간을 대구·경북에서 중앙으로 옮겼다. 이때부터 그는 교파를 초월하여 당면한 조선 농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운동을 전개한다. 이 시기 그가 가장 중점을 둔 활동은 흥국형제단을 통한 예수촌 운동이었다. 유재기가 구상한 예수촌은 그리스도의 박애와 희생정신으로 무장한 복음주의 이념에 입각하여 표준적 소유관계를 실현한 자립적 기독교 농촌공동체였다. ‘耕者有田’의 농민적 토지소유의 원리와 반봉건·반이윤·반독점의 경제관념을 지향했다. 예수촌은 일제하 농업·농민문제에 대한 농민적 타개 방안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그것은 보편주의 사회복음관에 기초하여 농촌의 경제적 모순을 타개하고 빈농을 구제한다는 사회개조의식 위에서 구상된 것이다. 그는 예수촌의 국가적 확대와 세계적 실현을 생각하였다. 예수촌건설론이 현실사회와 긴밀한 연대관계를 갖는 기독교 농촌운동사상·사회개조사상이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유재기의 예수촌 운동은 농민층의 경제자립과 기독교 농촌복음을 결합한 예수촌 건설이었다. 그 실천원리는 협동조합을 기반으로 생산력증대와 생활개선 도모였다. 그의 실천방침은 이 원리를 실현할 기독교 농촌지도자 양성에 있었다. 이를 위해 유재기는 조선농민복음학교를 설치하여 농촌지도자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농민복음학교의 목표는 경제적 혼란과 농촌 피폐로부터 농촌을 개혁하고 새로운 조국을 건설하는데 있었다. 유재기는 예수촌 건설의 대강목을 중심에 두고 그것을 현실화하기 위한 제반 기초 사업으로 협동조합운동·부인운동·농촌소년운동·기술운동 등을 추진했다. 그의 이러한 실천운동은 당시 한국농촌과 민족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This dissertation approaches Yu Jae-gee, who had the initiative and took participation in the rural movements during the Japanese ruling period and liberation from it. He was a leading member and founder of a Christian evangelical movement of cooperatives in the rural communities while Korea was under Japanese government. Yu Jae-gee is especially a significant figure who reflects the dynamic development and changes in the Korean modern and recent age. His life can be regarded as a searching process for self direction in various ways in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Jesus village movement for a new society, which he spread out those days, clarifies his efforts to evolve and demonstrate Christian approaches to agrarian problems. The achievements of his life time contributions can be divided into two periods: during Japan's governing Korea and after Korea's emancipation from its ruling. During the colonial period, Yu Jae-gee's activities focused mainly on the areas such as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Particularly in the 1910s he received Christianity and deeply understood a stream of nationalism. In the 1920s through education in Gyonam school and studying in Japan he became a moderate Christian socialist who is based on the rural communities. At first after coming back from Japan he devoted himself to evangelical movement and enlightenment for churches in the rural areas through researches and tours. Since then he organized the Christian Association for the rural communities and developed the Jesus village movement. In the 1930s mainly participating and engaged in the movement, he presented himself as a rural enlightenment and evangelical activist. After liberation, his influential areas were expanded to the capital region and the movement began to be evolved more systematically beyond the boundary of Christianity. The Jesus village movement through the group named Brothers for Revival Korea is a good example on which Yu Jae-gee particularly emphasized in this period. The theological and intellectual conception that Yu Jae-gee conceived for the Jesus village movement was meant to be a self-sufficient, Christian rural community that maintained a standardized economic life and that were based on the evangelism armed with the spirit of Christian love and sacrifice. It sought peasant land ownership - that is, only those who are engaged in agriculture possess land - and anti-feudal, anti-profit, and anti-monopolistic economic principles. The Jesus village movement represented a pro-peasant position in its approach to the solution of agricultural problems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movement was also conceived out of a desire for social reconstruction for the sake of poor peasants on the basis of universal, social evangelism. He believed that the movement would make it possible to expand the Jesus village to the nation wide level and to establish it worldwide. Therefore, the village movement was believed to be a combination of Christian rural movement and social reformative movement with close relation to the difficult situation of reality. The aim of the movement lies in the construction of Jesus village combined with economic self-sufficiency for the peasant class and Christian rural evangelism. The method for establishing the village was to try to achieve an increase in productivity and an improvement in living standards through cooperative unions. In order to make his plan realized, Yu Jae-gee emphasized on the cultivation of rural Christian leaders supported rural evangelical schools whose purpose was to innovate the rural communities and construct a new nation. On the basis of establishing Jesus village Yu Gae-gee performed cooperative unions, women movement, young men movement in the rural communities, and introduction of technical skills into rural areas. All these his life time dedicated effort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Korean rural communities and national innovative reconstruction.

      • 裵敏洙의 民族意識 形成과 民族運動 變化 硏究

        주명식 延世大學校 聯合神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논고는 裵敏洙의 民族運動에 관한 것이다. 그의 民族運動에 대한 의식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었는가를 다루는 것이다. 세계 열강의 제국주의와 자본주의 국제질서 속에서 소용돌이 치던 조선왕조는 일제에 의해 국권이 침탈당하게 되었다. 조선왕조 말 壬午軍亂(1882)과 乙巳條約(1905)에 이어 丁未七條約(1907)으로 마침내 舊式軍隊가 해산되면서 전국적이고 전계층적인 의병봉기가 있었다. 裵敏洙는 구식군대의 하사관이었던 아버지 裵昌根이 의병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옥사하기 전 남긴 유언과 같은 말에 크게 자극받았다. 반드시 나라를 되찾아야 한다는 抗日意識과 구국에 대한 독립의지가 싹트게 된 것이다. 이것이 裵敏洙의 民族運動의 시발점이라 하겠다. 義兵運動은 훗날 독립군의 獨立戰爭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또한 구한말에 裵敏洙는 基督敎를 접하게 되었고 기독교 학교를 통하여 민족의 정체성을 보다 분명하게 의식하게 되었다. 기독교 宣敎師들과 民族意識이 투철한 민족청년들에 의해 설립된 淸州淸南學校에서 裵敏洙는 세계적인 인물들과 영웅들을 알게 되었다. 특히 미국의 아브라함 링컨을 존경하게 되어 그와 같이 민족의 英雄이 되고 싶은 야망을 품게 되었다. 淸南學校에서 基督敎的 價値觀과 世界觀을 통해 民族意識이 더욱 투철해진 裵敏洙는 친구들과 함께 숲속에서 몸에 문신을 새기는 秘密儀式을 치르기도 했다. 이 시기의 裵敏洙의 민족에 대한 의식은 아직은 운동의 차원이 아닌 하나의 야망과 꿈으로 형성되던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裵敏洙는 普通學校를 마치고 역시 선교사들에 의해 세워진 中等敎育 기관인 平壤崇實學校에 입학하였다. 裵敏洙는 숭실학교에서 그의 생애 가장 획기적인 경험을 하게 되었다. 그것은 다름 아닌 朝鮮國民會라는 地下秘密組織을 결성하게 된 것이다. 國民會는 다분히 義兵運動과 같은 연장선에서 그 성격의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그 행동양식에 있어서 게릴라(guerrilla)적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이 그러하다. 國民會는 絶對的인 武裝獨立鬪爭路線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 시기에 우리는 裵敏洙의 民族運動에 대한 특징이 暴力的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훗날 그의 暴力的 運動이 변화되긴 했지만 당시의 裵敏洙는 非暴力 無抵抗을 강조했던 톨스토이나 인도의 간디, 그리고 마틴 루터 킹 목사와는 달리 독일의 나치정권에 대항했던 본회퍼의 神學思想과 유사한 行動樣式을 취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겠다. 하지만 裵敏洙가 조직한 투쟁적이던 國民會는 거사를 치르기도 전에 정체가 발각되면서 일제에 의해 국민회 회원들은 체포되어 징역살이를 하게 되었다. 이 시기 裵敏洙는 독립운동단체들간의 의견불일치를 인식하게 되었고 아울러 民族運動에 대한 行動樣式의 문제점을 제기한 曺晩植을 만나게 되면서 그의 민족운동은 보다 온건하면서도 持續可能한 實力養成論쪽으로 기울어지게 되었다. 裵敏洙는 특히 咸鏡北道 城津에서 三一獨立運動을 주도하게 되었다. 성진에서의 독립운동의 특징은 독립선언문에 기록되어 있는대로 그 행동양식이 非暴力的이었다는 점이다. 아버지의 의병활동과 국민회의 독립운동을 위한 행동양식에 비교하면 대단한 변화와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국민회 사건과 성진에서의 삼일독립운동으로 裵敏洙는 옥고를 치르게 되었고, 현실적으로 투쟁이나 무력을 통한 방식으로는 민족운동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식한 裵敏洙는 그가 일평생 심혈을 기울였던 농촌운동에 투신하게 되었다. 당시 韓國의 80%가 農村이었다. 농촌을 살리는 일이 곧 獨立運動이요 民族運動이란 점을 깨달은 배민수는 農村運動에 전념하게 되었다. 하지만 義兵運動에 대해서도 일정한 거리를 두었던 선교사들처럼 韓國敎會의 농촌운동에 대한 부정적 시각과 日帝가 농촌운동을 독립운동으로 파악하게 되면서 배민수의 농촌운동은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난관에 봉착하게 되었다. 裵敏洙는 이 문제를 神學的으로 해결하고자 平壤神學校에 입학하게 되었다. 하지만 保守的 根本主義 神學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던 평양신학교에서도 裵敏洙는 농촌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지 못하게 되자 미국의 맥코믹 신학교로 유학을 떠나게 되었다. 평양신학교와 같은 보수적 근본주의 신학을 표방하고 있던 맥코믹 신학은 한국에 있는 평양신학교와는 달리 自由主義도 根本主義도 아닌 온건한 중도적 입장에 서 있다는 것을 裵敏洙는 알게 되었다. 그는 그곳에서 많은 다양한 신학 교수들을 만나게 되었다. 특히 라우센부쉬의 社會福音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 裵敏洙는 美國留學을 통해서 民族主義的 民族運動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세계를 아우르는 세계관을 갖게 되었고 이것은 이 지상에 하나님 나라 건설이라는 보다 靈的인 운동으로 한 차원 격상하게 되었다.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여 長老會 總會 農漁村部 初代 總務를 맡으면서 농촌순회 강연과 농촌지도자 양성에 열심했지만 미국경제의 불황과 후원금 감소로 인한 재정난 또는 농촌경제와 복지보다는 救靈이 우선이라고 하는 총회의 保守性에 밀려 마침내 농촌부는 폐쇄되고 말았다. 사실 裵敏洙는 귀국하여 曺晩植 등과 함께 農村硏究所를 설립하고 理想的인 예수촌 건설을 꿈꾸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야망들이 쉽게 이루질 수 없었다. 해방과 더불어 피폐해진 한국농촌을 구원할 방도에 고심하던 裵敏洙는 大田基督敎聯合奉事會와 함께 基督敎農民學院을 설립하게 되었다. 裵敏洙는 평생의 숙원이었던 하나님 나라 건설을 위해 농촌운동이 가장 절박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농민학원을 운영하게 되었다. 농민학원을 통하여 裵敏洙는 하나님 나라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삼애정신을 특히 강조하였다. 애신(愛神 ; Love God), 애농(愛農 ; Love Land), 애로(愛勞 ; Love Work)가 바로 그것이다. 삼애정신은 利他的인 것이 특징이다. "남 살려야 내가 산다"는 배민수의 座右銘이 그것을 잘 말해준다. 당시 19世紀末 基督敎會가 말씀 선포(kerygma)만 강조하거나, 친교(koinonia) 혹은 봉사(diakonia)만 강조하던 교회의 삼중구조에 대한 일편적인 불균형을 裵敏洙는 三愛精神을 통하여 통전적으로 접근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아직 그때까지 신학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았던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일맥상통하는 것이라 하겠다. 어떤 점에서 裵敏洙의 하나님 나라 건설 운동의 요체인 삼애정신에서 우리는 그가 敎會至上主義를 극복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宣敎神學的으로 달리 말하자면 '하나님 - 교회 - 세상'의 구조가 아닌, '하나님 - 세상 - 교회'의 구조를 띄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裵敏洙의 농촌운동은 단순하게 농업개량이나, 福祉次元을 뛰어넘는 四海同胞적인 신학과 理念을 표방하고 있는데 그의 농촌운동으로서의 이 땅 위에 하나님 나라를 건설하려는 운동은 그의 저서 "그 나라와 한국 농촌"에 잘 드러나 있다. 요컨대 裵敏洙의 民族運動이란 舊韓末 義兵運動에서 시작하여 極端的인 抗日武裝獨立運動으로 발전하였고 이어 지속가능한 농촌운동으로 변화하게 되었지만 마침내 민족주의적 한계를 극복하고 일생의 사명이었던 전세계 인류를 위한 하나님 나라 운동으로 성숙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 하나님 나라 건설을 위하여 배민수는 한국농촌을 선택하였던 것이고 삼애정신으로 그것을 꽃피우고자 했던 것이다. 義兵運動 - 獨立運動 - 農村運動- 하나님 나라 운동(삼애정신)이 그것이다. 이것은 다시 暴力的 運動 - 啓蒙的 運動 - 神國的 運動(三愛精神)으로 정리할 수도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take Bae Min Su' national movement, the process of his awareness on national movement and its development. In the vortex of imperialistic and capitalistic world system ruled by western powers, the Chosun Emperor was disseized of its sovereign rights by Japan. In the end of Chosun Emperor, gone through the Im-O Army Rebellion(1882), Eul-Sa Treaty(1905) and Jung-Mi 7 Treaties(1907), Chosun was in a state of anarchy. At last Korean army was disarmed by Japan and there rose a nationwide revolt of patriotic soldiers(guerilla) in every classes. Bae Chang Kun, Bae Min Su's father, who was a sergeant of Korean army was one of the patriotic soldiers. On the last day of his death in prison, his last words meant to Bae Min Su as an enlightenment of his consciousness, resisting to Japan and of the strong will of national independence. This was the start of Bae Min Su's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end of Chosun Emperor, Bae Min Su came to know the Christianity and he could recognize his national identity more clearly through his life at mission school. At Chungnam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by foreign missionaries and patriotic youths, where Bae came to know the stories of world popular heros, such as Abraham Lincoln, he dreamed of being a national hero. With Bae's worldview and life perspective based on Christianity, his patriotic consciousness was strengthened and he had a secret ceremony with his friends tattooing on his body as a strong pledge for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t this time Bae's awareness on national movement could be called as a vision rather than a movement. After graduating a primary school, Bae entered Pyong Yang Soong Sil School which was one of the secondary grade schools, founded by foreign missionaries. At Soong Sil he had a most epochal experiences in his whole life, at which he organized a secret group for underground movement for Korean independence, named "Korean National Association". "Korean National Association" had a similar character with the patriotic soldiers' revolt, especially its guerrilla features in its behavior.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dhered to an absolute armed-equipped resistance of independence movement. At this time Bae's national movement was highly violent. Though Bae's violent activity was turned to the non-violent afterwards, his national movement at this time was similar to Dietrich Bonhoeffer who was against the Nazi government of Germany rather than following the non-violent resistance of Tolstoi and Ghandi. However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Branch" was detected by Japanese police before it started its first action and all its members were arrested and imprisoned. Witnessing the divisions of organizations of independence movement, Bae's recognition on national movement became to be inclined toward moderate and sustainable movement, strengthening national power when he met Cho Man Sik who raised questions on the way of national movement at that time. Bae Min Su led the Samil(1919) Independence Movement at Sungjin, the northern province of Ham Kyung, which was, of course, non-violent movement following the principle of Independence Statement. Compared to his father's patriotic soldiers' revolt and his violent activities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his Samil(1919) Independence Movement at Sungjin showed much changes and difference. Serving of his two terms of imprisonment as a result of his violent activities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nd his Samil(1919) Independence Movement, he realized that the violent national movement was practically impossible and he started to engage himself in the movement to uplift the rural societies. At that time the 80% of Korea was agricultural communities. Bae became to understand that enlightening the agrarians was namely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also the national movement. However his rural movement became to face a deadlock when Japanese government regarded his rural activities as an independence movement and Korean churches also understood his rural movement in a negative way. With this experience as a momentum Bae Min Su entered Pyong Yang Theological Seminary, one of the most conservative and fundamental thological seminaries but he couldn't get an answer for his questions on rural movement even at the seminary. At last he decided to study at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in U.S.A. Different with Pyung Yang Theological Seminary claiming to stand for the conservative and fundamental theology, the McCormick was taking a moderate middle-of-the-road theological standpoint and Bae could study with many good professors in a diverse and various theological fields. Especially, he seemed to be influenced much by Rauschenbusch's social gospel movement. An Academic experience at McCormick gave Bae Min Su a broadened worldview to overcome the limit of his national movement which could upgrade his movement to spiritual movement building God's Kingdom on earth. Upon his return to Korea, he took his office as a first executive secretary of rural mission department in Presbyterian Church of Korea(PCK). and he worked eagerly to empower the rural leaders and opened a lot of lecturing tours in rural areas. however with the decrease of supporting fund from U.S.A. due to its financial depression and the PCK's evangelical policy stressing the saving of souls, the office of rural mission department was closed. Bae Min Su had a vision to found a rural research institute with Cho Man Sik and build a Jesus Village but it was not easy for him. After Korea's Independence Bae Min Su found the Daejeon Christian Service Association and opened an agrarian school as a way to save impoverished rural communities. As means to build God's Kingdom on earth, Bae Min Su sincerely felt that the rural movement is the only way to it and he opened an agrarian school where he emphasized three-love-spirit, "Love God", "Love Land", and "Love Work". These three-love-spirit themes showed his altruism very well and we can also find his altruistic ideas in his motto, " I can only be alive when I save others." In the end of 19th century, the churches were imbalanced in its mission of three principles, Kerygma, Koinonia and Diakonia, being impartial to one of them but Bae Min Su realized its three missions holistically through his three-love-spirit themes,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Missio Dei". In some way, we could find he had already overcome the church-for-church principle with his three-love-spirit themes as a main energy for the God's Kingdom movement. Speaking in missiological view, his theological themes could be defined as "God-World-Church" rather than "God-Church-World". Bae's rural movement was beyond the simple uplift of rural society and its welfare, aiming at the altruistic ideology and theology, which is well expressed in his writings, titled " The Kingdom and Korean Rural Society. Bae Min Su's national movement has its origin in the patriotic soldiers'(guerilla or fighteous soldier) revolt in the end of Chosun Empire, developed to the armed resistance to Japan's colonialism and turned to the sustainable rural movement. Finally his national movement was matured as God's Kingdom movement which could be an alternative to overcome a limit of national movement. To build God's Kingdom on earth, Bae Min Su found his mission field in Korean rural communities and developed his three-love-spirit themes. Bae's main themes which influenced his whole life could be defined as the patriotic(fighteous) soldiers' movement - the independence movement - the rural movement(three - love - spirit). In other way, it could be also summarized as violent movement - enlightenment movement - new national movement (God's Kingdom = three-love-spirit).

      • 1930년대 忠北 지역 官制 靑年團 硏究

        주계운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8668

        Government-made Youth Association was established from a model of ‘guidance for the graduates’ the Japanese Empire carried into execution in Gyeonggi-do in the process of strengthening the control of the graduates. The reasons wh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ried to control the graduates of regular schools were to undermine the Korean youth’s capabilities for movement and on the other hand to put them under the control of the colonial authority. Chungcheongbuk-do recruited young people in the region by the unit of a village and allowed a youth association to be formed and expanded the organization to mobilize the youth for the farm village control policy as soon as the agrarian development movement was carried out. Furthermore, Chungbuk changed the agrarian development movement to a system operated with the youth association as the center from 1935. The youth association in Chungbuk was introduced as a ‘model’ case through ‘a meeting of interested parties for the whole Joseon agrarian development movement’ held in 1935 i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became a standard by which the youth association to be spread throughout the nation. Meanwhile, Chungcheongbuk-do allowed each county to host a unified youth association in order to prepare for a methodical order system that connects do(city)-gun(county)-eup-myeon-village. In case of Goesan-gun and Okcheon-gun, it was a method of forming the unified youth association of gun and that of eup and myeon at the same time. In case of Youngdong-gun, with concerns that socialist agitators might penetrate into the youth association, it used the method of forming a unified youth association of each eup and myeon and then forming that of gun based on former one. The ‘Unified Youth Association’ of the whole Chungcheongbuk-do was established in the process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planned to form ‘the Entire Joseon Unified Youth Associ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encouraged each do(city) to form a Unified Youth Assocation in order to create a methodical system that connects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 do (city) – gun (county) – eup/myeon as soon as a Youth Association was spread throughout the nation together with the agrarian development movement. For this reason, Chungcheongbukdo formed Chungcheongbukdo Unified Youth Association on May 12, 1936. It is enacted that the key business and activity of the Youth Association is to carry out rural control policy of the Japanese Empire. Flag raising, night school association, wearing dyed clothes, bobbed hair and others that were carried out by the Youth Association were designed to liquidate Koreans’ racial spirit and to instill in them the philosophy of Japanese Emperor National. Moreover, the Farm Improvement business was an activity the Japanese Empire encouraged in order to carry out the agrarian development movement effectively for the reinforcement of controlling Korean farm village in the 1930s. In this way, the Japanese Empire formed government-made Youth Association in the 1930s and controlled its business and activity and eventually let it play a role of the representative implementing the colonial agricultural administration policy in the village. 관제 청년단은 일제가 경기도에서 실행하고 있었던 ‘졸업생지도’를 모델로 보통학교 졸업생들의 통제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조선총독부가 보통학교 졸업생들의 통제를 강화하고자 했던 것은 한국 청년 대중들의 운동 역량을 약화시키는 한편 이들을 식민권력의 통제 아래 두고자 한 것이었다. 충청북도는 마을을 단위로 하여 지역의 청년을 모집하여 청년단을 조직하도록 하였고, 농촌진흥운동이 실시되자 청년들을 농촌통제정책에 동원하기 위해 청년단의 조직을 확대하였다. 나아가 1935년부터는 농촌진흥운동을 청년단을 중심으로 한 운영 체제로 전환하였다. 충청북도의 청년단 조직은 1935년 조선총독부에서 개최된 ‘전조선 농촌진흥운동 관계자 회의’를 통해 ‘모범’적인 사례로 소개되어 이후 전국적으로 청년단의 조직이 확산되는 기준이 되었다. 한편 충청북도는 도 - 군 - 읍면 - 마을로 이어지는 계통적인 명령체계를 갖추기 위해 각 군별로 연합청년단을 개최하도록 하였다. 괴산군과 옥천군의 경우 郡의 연합청년단과 邑面의 연합청년단을 동시에 결성하는 방법이었고, 영동군의 경우 사회주의 운동가들의 청년단 조직 내로 침투할 것을 염려하여 각 邑面의 연합청년단을 결성한 후 이를 바탕으로 郡의 연합청년단을 결성하는 방법이었다. 충청북도 전체의 ‘연합청년단’은 조선총독부가 ‘전조선 연합청년단’ 결성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조선총독부는 농촌진흥운동과 함께 청년단이 전국적으로 조직이 확산되자 조선총독부 - 도 - 군 - 읍면에 이르는 계통적인 체계를 만들고자 각 도별로 연합청년단을 결성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충청북도에는 1936년 5월 12일 충청북도 연합청년단을 결성하였다. 청년단의 주요 사업과 활동은 일제의 농촌통제정책을 수행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었다. 청년단의 실행했던 국기게양, 夜學會, 염색옷 착용, 斷髮 실행 등은 한국인의 민족정신을 말살하고 황국신민화 사상을 주입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아울러 농촌개량 사업은 1930년대 일제가 한국 농촌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실행한 농촌진흥운동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장려한 활동이었다. 이와 같이 일제는 1930년대 관제 청년단을 조직하여 그 사업과 활동을 규제함으로써 촌락에서 식민농정정책을 실행하는 대리자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 韓國敎會의 信仰 內燃과 그 外延 構造의 相關 關係 硏究 : 1903-1910年 復興運動과 日帝末 韓國敎會 抵抗을 中心으로

        박종현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1903년부터 1910년까지 한국교회에서 진행되었던 부흥운동과 이 부흥운동이 한국교회사에 끼친 영향을 내연과 외연의 구조적 해석으로 연구하는데 있다. 한국교회 부흥운동은 한국교회의 신앙 형태를 구현하여 한국교회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 중요한 주제지만, 지금까지는 주로 부흥운동 당시의 상황에 그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전개 과정과 한국교회 전반에 미친 영향에 대한 전체적이고 집중적인 연구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교회 부흥운동이 일어났던 1903년부터 1910년 사이는 구한국 정부가 해체되고 일본의 식민 체제가 들어서던 정치적 혼란기였다. 특히 일본의 한국 침략이 절정에 이른 1905년에 이르러 급진적 반일 민족주의운동이 일어나게 되었고 그러한 민족주의적 여파는 교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정교분리의 정치불간섭을 신학적 원리로 가지고 있었던 선교사들은 한국교회를 비정치화하는 작업을 시도하게 되었다. 부흥운동은 이러한 비정치화를 동반한 신앙운동이었다. 부흥운동은 감리교 중심의 원산 부흥운동에서 장로교·감리교 연합의 평양 부흥운동으로 발전하였고 그리고 백만인구령운동으로 진행되었다. 부흥운동은 교회 입교 동기가 불분명하였던 한국교인에게 개인의 죄의 심각성과 회개의 체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구속과 성령의 임재 체험을 통한 신앙의 확신을 일으킨 신앙운동이었다. 이 부흥운동은 한국교회의 성격을 신앙 중심의 교회로 전환시켰다. 부흥운동은 미국과 영국의 근대 복음주의에서 나타난 일반적 신앙운동이었다. 덕음주의는 성서, 회심 체험, 전도 활동, 십자가의 구속 신학을 강조하였다 내한 선교사들은 이러한 복음주의의 전통을 지닌 사람들로서 부흥운동은 이 복음주의 신앙이 한국교회에 정착하게 되는 분수령이 되었다. 부흥운동으로 인하여 내향화된 신앙이 한국교회에 정착함으로써 부흥운동 기간 동안 조직이 정비되고 있던 한국교회는 복음주의적이고 목회적인 리더쉽을 확립하게 된다. 그리고 교회의 이러한 내향적 전환에 따라 민족주의적 기독교인들은 정치적 성격을 지닌 비밀결사를 조직함으로써 공교회와 분리된 리더쉽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후 한국교회에는 공교회의 복음주의적 전통과 민족주의적 계파가 공존하게 되었다. 민족주의 계보는 한국교회의 서북과 비서북이라는 지역적 구도와 연계하여 민족주의 단체들의 인맥이 교회의 교권을 장악하는 형태로 자리 잡았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복음주의자들이 성서중심의 신앙과 선교 그리고 부흥운동의 맥을 이어가는 동안, 민족주의자들은 최종적으로 정치적 독립을 목표로 하는 실력 양성의 차원에서 농촌운동과 사회운동을 전개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운동은 일제의 농촌진흥사업에 부합하는 결과를 가져왔을 뿐 아니라 1938년 기독교 민족운동 세력은 일제에 의해 와해되고 말았고 뒤이어 일제에 대거 전향이 나타났다. 일제하 최후의 한국교회의 저항은 1935년이후 일본이 전시체제로 접어들면서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전개된 신사참배 강요에 대한 거부였다. 이 신사참배 거부는 한국 장로교의 보수적 그룹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들 저항자들은 바로 부흥운동이후 형성된 한국교회의 복음주의적 신앙을 고수한 그룹으로서 신앙 안에서 기독교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있었던 그룹이었다. 이들은 신사참배를 끝까지 거부함으로써 일제하 한국교회의 최후의 승리를 이끌어 내었다. 신사참배 거부와 그 승리는 부흥운동을 통한 복음주의 신앙이 한국교회에 깊이 내연되고 그러한 신앙의 에너지가 신사참배 거부와 기독교 신앙의 정체성 수호라는 외연으로 표출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본 군국주의의 핵심인 천황제의 허구성을 드러내고 그것과 투쟁에서 승리함으로써 일제하 민족역사에 크게 공헌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기독교회는 다른 것이 아닌 기독교인의 그 신앙으로써 역사에 참여하고 공헌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o research on the revival movement that took glace in the Korean church from 1903 to 1910. This dissertation will investigate the effect that this revival movement had in the Korean church. This will be interpreted in the structure of Internal-combustion and Out-Reach. The revival movement of the Korean church embodied the form of faith of the Korean church, which is important t m u s e it has continuously influenced the Korean church. The period of 1903 to 1910 when the revival movement took place was a time of political confusion when the Old Korean government was dissolved, and the colonial system of Japan was established. Specially, in the year 1905, whe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reached it's peak, radical anti-Japanese nationalist movements took place. That kind of nationalist effect also influenced the church. However, the western missionaries had as principle the separation of State and church. The missionaries took steps to carry out the task of separating the Korean church from politicalmovements. The revival movement developed from a Methodist-centered Wonsan bible conference to a Pyongyang united revival movement of Presbyterian and Methodist churches; and it progressed into "the million souls campaign". At that time, to the Korean believer for whom the motive to enter the church was unclear, the revival movement was a movement of faith that generated the experience of repentance, the redemption of Christ's cross and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This revival movement transformed the character of the Korean church to be centered on faith. The revival movement was a common movement of faith appearing in the 19th century evangelicalism of the United States and England. Evangelicalism was a movement of faith that put emphasis on the bible, the experience of conversion, evangelical activity and the theology of the redemption of the cross. The missionaries in Korea were people who kept this tradition of evangelicalism. The revival movement became a turning point for this evangelistic faith to become rooted in the Korean church. During the revival movement period, the institution of the Korean church was organized. The Korean church established an evangelical and pastoral leadership. Against this revival movement, the nationalist Christians organized a secret association which had a political character. They formed a leadership separated from the established church. After that time, in the Korean church, the evangelical group and the nationalist p u p have separated. The genealogy of nationalism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regional composition of the Korean church: the north-west and the rest. The nationalist groups gradually grasped the ecclesiastical authoriw of the church of each region. During the 1920's and the 193o's, the evangelists carried out the bible-centered faith and revival tradition, missions and the revival movement. At the same time, the nationalists developed a rural and social movement with the purpose of gaining power in order to obtain political independence. This movement coincided with the Japanese promotion of the mal productivity. In 1933, the Christian nationalist movement power was disintegrat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After that, many nationalists adhered to Japanese Imperialism. The final resistance of the Korean church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was the resistance to the forcible demand of the worship of the Shinto shrines. The forcible demand of the worship of the Shinto shrines was a part of the policy of subordination of the Korean people to the Japanese emperor. This was a preparation for the war. This resistance to the worshp of the Shinto shrines was mainly carried out by the conservative group of the Presbyterian church. These opponents formed the group that adhered to the evangelical faith after the revival movement. This group maintained the identity of Christianity in the faith; and they carried out the ultimate victory of the Korean church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by opposing the worship of the Shinto shrines to the end. The resistance to the worship of the Shinto shrines and it's victory was due to the deep internal combustion of the evangelical faith in the Korean church. That faith was expressed by preserving the identity of the Christian faith and resisting the worship of the Shinto shrines. Not only that, it also exposed the fictitiousness of the Japanese emperor system, which was the center of the Japanese militarism By obtaining the victory in the struggle with it, a great contribution to the national history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was made. By doing that, the Korea church proved that it participated and contributed to history through nothing but by it's fai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