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산물 유통회사 설립에 관한 연구 : 강화군 사례

        안덕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강화군을 사례지역으로 하여 2009년부터 실시되는 ‘농산물유통회사 제도’가 사례지역의 농산물 산지유통 개선에 적합한 방안인지를 검토하고, 농산물 유통회사의 설립 및 운영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쌀은 현재의 방식대로 농협에서 취급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생산량 증대가 농업인들의 소득증대로 연결될 것으로 예상되는 속노랑고구마, 순무, 약쑥, 도라지 등의 품목은 농업인들의 생산 확대를 확실하게 뒷받침할 산지유통 활성화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농산물 유통회사의 취급품목으로는 속노랑고구마가 가장 적합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고구마의 경우 수확기와 단경기의 가격 차이가 크기 때문에 수확기에 고구마를 저장한 후 단경기인 봄철 이후에 판매할 경우 유통회사의 수익창출이 가능하다. 유통회사를 통한 안정적인 수매는 고구마 생산 증대로 이어져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타 지역 유통회사의 운영사례를 검토하고 선행연구도 분석해 본 결과 유통회사의 성공을 위해서는 원물확보, 효과적인 마케팅 및 경영의 전문성이 중요한 것임을 확인했다. 특히 판매관리 즉 마케팅의 미흡으로 농산물유통시설이 부실화된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판매관리능력을 높이는 노력이 중요하다. 그리고 자금부족으로 인한 원료구입의 어려움, 지나친 시설확충 일변도의 지원정책으로 인한 부실운영 등도 유통회사의 수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설문대상 농가의 85.6%가 산지유통의 미흡으로 발생하는 판로와 가격 불안정, 생산을 확대할 경우 판매에 문제는 없을까 하는 우려 등을 농산물 판매에 있어서의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속노랑고구마, 순무, 약쑥과 같은 농산물의 생산 확대를 통해 고소득 농업을 실현하려면, 이들 농산물을 안심하고 확대 생산할 수 있도록 출하기에 수매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런 기능을 담당할 유통회사 설립에 찬성하는지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95.2%가 필요하다고 답변하였다. 그리고 92.5%의 농민이 투자여부와 관계없이 농산물 유통회사와 거래를 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또한 유통회사 설립 시 투자여부에 대해서는 91.3%가 투자를 하겠다고 응답했고, 손실이 발생해도 투자를 하겠다는 응답자도 71.6%에 달했다. 타 유통회사 사례분석, 농업인 설문조사 결과, 현실적인 출자능력 등을 감안할 때 유통회사 설립 시 출자비율은 농업인, 농협, 자방자치단체가 각각 25 : 35 : 40으로 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회사의 조직은 CEO를 정점으로 통합관리자(상무) 밑에 품질관리, 마케팅 및 총무의 3개 팀을 두고 이사회는 출자자 대표 등 5인 이내로 하여 능률적인 운영이 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유통회사의 연도별 사업물량은 2029년까지의 연도별 고구마 추정생산량이 2008년도 생산량을 초과하는 물량 중 일정량(30~ 50%)으로 산정하였다. 강화군의 고구마 생산량 추정에는 구조모형을 활용한 국내 수급 모형에서 도출된 시장가격을 적용하였다. 유통회사 설립의 경제적 타당성은 순현재가치, 편익/비용비율(B/C Ratio), 내부수익율(IRR)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경제성 분석결과 목표 사업량이 5,000톤인 경우나 7,200톤인 경우 모두 순현재가치가 양(+)으로 나타났고, 편익/비용 비율이 1보다 크며, 내부수익율이 시장수익율(5.49%)을 상회하였다. 따라서 유통회사의 설립은 필요하며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termine whether the establishment of the agricultural marketing company would be an appropriate measure to promote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local farm products in Ganghwa-gun. This thesis seeks the optimal form of the company. A comprehensive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problems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Ganghwa-gun’s major products, and to explore whether such marketing company might help resolve them. This thesis finds that rice, the most important agricultural product in Ganghwa-gun, should continue to be sold through Nonghyup. However, a government measure promoting the distribution of local farm products such as yellow sweet potatoes, turnips, lion-foot wormwood or balloonflowers, which yield significant profits, could benefit farmers by increasing production and consequently their income. Upon closer examination of each of these farm products, this thesis concludes that yellow sweet potatoes are best suited to the agricultural marketing company. A large quantity of fresh yellow sweet potatoes can be stored at harvest time to sell in spring when prices are higher. The increase in sales volume would encourage farmers to grow more sweet potatoes and thereby generate more income. This thesis also assesses responses of farmer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agricultural marketing company. A close examination reveals that a stable supply of crops,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and management expertise were critical for success. These findings are considered in making the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y. The farmers, Nonghyup, and the govt of Ganghwa-gun should work together to establish the agricultural marketing company. The Funds should be raised in the ratio of 25:35:40.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new company be led by a CEO, who should oversee a general manager in charge of teams for quality control, marketing and general affairs. For maximum efficiency, it is recommended that the company’s board of directors consist of no more than five people. This thesis estimates that the new company will purchase about half of the increased production volume of sweet potatoes. This calculation was made by projecting supply and demand conditions, as well as prices of sweet potatoes nationwide. This thesis concludes that a project to distribute sweet potatoes through agricultural marketing company is economically viable in terms of B/C ratio, net present value and internal rate of return.

      • 소비자 만족도 분석을 통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활성화 방안

        이준호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농산물 전자상거래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측정하여,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농산물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가입된 회원 중 250명을 임의로 추출하여 e-mail을 통해 설문 조사 하였다. 농산물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전자상거래는 컴퓨터, 정보통신, 인터넷 등 전자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등장하기 시작한 새로운 형태의 상거래이다. 비록 현 수준의 상거래가 기업간 차원이나 정부조직 등의 차원에서 활성화되고 있긴 하지만 개별 소비자들을 겨냥한 전자상거래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인터넷이 전자상거래 확산을 위한 촉진제로서의 역할을 다하여 경제적 영역을 넓히고 있다. 실제 농산물 전자상거래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회귀분석을 통하여 그 요인을 파악한 바, 쇼핑몰의 구성이 사용하기 편리할수록, 상품정보가 정확할수록, 배송이 빠를수록, 교환 및 환불 처리가 편리할수록, 대금결제수단이 신뢰할 수 있을수록, 개인정보 보완이 신뢰할 수 있을수록, 신선도가 높을수록, 상품이 다양할수록, 쇼핑몰의 디자인이 우수할수록 또한 상품가격이 낮을수록 소비자의 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그 중에서 상품가격 요인이 소비자 만족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소비자들은 농산물 전자상거래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한 결과 ① 쇼핑몰 이용의 편리성, ② 개인정보보완에 대해서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고, ① 상품정보, ② 배송, ③ 교환이나 반품, ④ 대금결제 수단, ⑤ 신선도, ⑥ 상품 가격, ⑦ 상품의 다양성, ⑧ 쇼핑몰의 디자인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의 세부적인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산물 전자상거래를 이용하는 소비자 만족도 평가에서 ① 농산물 전자상거래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37.5%가 편리성에 대해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농산물 쇼핑몰 이용에 있어 구매활동을 하기에 편리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② 소비자들의 70.4%가 상품정보의 유용성에 대해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소비자들의 구매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상품의 유용하고, 정확한 정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③ 소비자들의 56.8%가 배송의 신속성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배송체계의 구축이 매우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④ 농산물 쇼핑몰에서 상품 구입 후 상품의 교환이나 반품의 편리성에 대해 소비자들의 32.3%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⑤ 농산물 쇼핑몰에서 상품 구입 시 대금결제 수단의 편리성에 대해 소비자들의 46.3%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기존의 대금결제 시스템의 보완 및 기존의 대금 결제 방법보다 더 신속하고 안전성이 확보된 간편한 전자대금 지불 시스템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⑥ 개인정보 보완의 신뢰성에 대해 소비자들의 37.5%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부정적인 반응 또한 27.0%로 나타나 암호화나 방화벽(firewall)의 구축 등 다각적인 방안이 연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안성에 의구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⑦ 상품 구입 시 상품의 신선도에 대해 소비자들의 59.9%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소비자들이 농산물 전자상거래를 하는데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는 부분 중에 하나가 바로 제품의 신선도에 대한 우려였다. ⑧ 농산물 쇼핑몰 상품 가격의 만족도에 대해 소비자들의 76.6%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요인분석 결과 상품 가격이 소비자의 만족도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므로 개선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⑨ 상품의 다양성에 대해 농산물 전자상거래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27.1%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전자상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연중 일정량의 품질이 균일한 동일품목 혹은 연중 판매가 가능한 가공농산물 및 표준규격으로 포장된 다양한 농산물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⑩ 농산물 쇼핑몰의 디자인 만족도에 대해 소비자들의 31.8%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기초통계분석 결과와 같이 농산물 전자상거래를 이용하는 주 연령대가 20~40대(75%)인 것으로 보아 연령대에 맞는 웹디자인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으로 내릴 수 있다. 농업인 개인에 의한 개별적인 인터넷 비즈니스의 수행은 상품의 가격, 상품의 다양성 부족, 물류비용의 상승 등으로 인하여 성장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시할 수 있는 것이 사이버 협업체의 구성이다. 사이버 협업체의 구성은 개별경영의 단점과 통합쇼핑몰에서 나타나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교류 단절 등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되며 정보기술이 부족한 소규모 농가도 쉽게 참여할 수 있다. 사이버 협업시스템에서는 단순 판매기능에서 벗어나 자재의 공동구매, 고가의 농기계 또는 생산자재의 공동이용 및 구매, 기술정보의 공유 시스템을 구축, 효과적으로 운영하면 사이버상에서 규모의 경제(Economy of Scale)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농산물에 대한 전자상거래는 농산물 자체의 특성과 제반 여건의 미비로 단순한 상품홍보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농산물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활용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하며 이는 농산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단기 및 장기로 나누어 추진되어야 한다. 즉 부패의 위험이 적고 비교적 규격화 되어있는 지역 특산물, 가공식품 및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높은 유기농산물, 환경농산물에 대한 전자상거래가 우선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의 확고한 비전 제시, 종합적 관리를 위한 기구 설립, 다양한 인센티브제공, 지속적인 교육 및 홍보의 확대 실시 등이 요구된다. 또한 장기적 관점에서 볼 때 중단기적인 활용 방안과 상호 피드백을 유지하면서 장기적으로는 신선농산물을 포함한 농산물 전반에 걸쳐 전자상거래를 도입,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농산물의 등급화와 표준화, 농촌지역의 정보인프라 구축, 지속적인 기술개발, 관련 법 및 제도의 정비 농산물 전자상거래 분야의 전문가 양성, 종합적인 전자상거래 통합서비스 구축 등이 점진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인터넷 사용자수 급증과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거래의 많은 장점들을 고려할 때 전자상거래 시장을 매우 빨리 확산될 것이며 그로 인한 부가가치 또한 지속적으로 증대될 것이다. 이런 전망을 근거로 세계 여러 나라들이 앞을 다투어 전자상거래 보급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다양한 쇼핑몰이 등장하는 등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누구든지 쉽게 진입이 용이하고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만큼 역으로 치열한 경쟁의 세계라는 것을 의미한다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버 비즈니스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차별화와 아이디어 개발은 물론 소비자의 확보를 위한 다양한 노력과 마케팅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이러한 정보화 마인드와 능력을 갖추고 철저한 준비와 노력으로 상당한 소득을 올리고 있는 성공적인 사례도 있으나 대부분의 개별사이트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농산물의 홍보효과를 고려하더라도 판매 면에서는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정부는 기술 변화에 쉽게 부응하는 상업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민간 각 부문의 전자상거래 사용자 및 공급자를 잘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atisfaction Survey of Consumers of Agricultural Product E-Commerce Jun-Ho, Lee Dept. of Food Resource Economics Graduate School, Life & Environmental Science Korea University February 2009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urvey satisfaction of consumers of agricultural product e-commerce and provide basic necessary information to promote the use of e-commerce. The following survey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purpose; I randomized 250 people in members of agricultural product e-commerce websites and polled them by e-mail. Based on the result, I identified factors that affect satisfaction of users of agricultural product e-commerce website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paper is summarized as follows. E-commerce was introduced as a new type of business transaction as electronics such as computers, telecommunications and the internet made rapid progress. It is true that the internet is accelerating spread of e-commerce and expanding the area of economy.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I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satisfaction of consumers of agricultural product websites, I found out that users are satisfied better when the shopping mall is easier to use, when product information is more exact, when delivery is faster, when exchange and refund is convenient, when products are fresher, when products are more various, when payment methods are more secure, when designs of shopping malls are better, and when product prices are lower. Expecially, the prices are positively influence the satisfaction. Also, according to another survey to find out user evaluation of agricultural product e-commerce, the shopping malls were evaluated as easy to use and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were evaluated as secure. However, product information, exchange and refund, payment methods, degree of freshness, prices, variousness of products, and designs of shopping malls were evaluated as unsatisfactory. Based on those surveys, I can say as follows. E-businesses owned by individual farmers have limitations in development because of high product prices, lack of variety, and rise of distribution costs. The alternative to it is forming a cyber cooperative. It is a measure to overcome disadvantages from individual management and problems happening in integrated shopping malls such as a rupture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Also, small farm houses which have short information technology can easily take part in it. A cyber cooperative system will realize the economy of scale if we use it for not only sales but also cooperative buying of materials, pooling resources such as expensive agricultural machines and implements, and building and managing electronics sharing system. However, present agricultural product e-commerce is just advertising produce because of the feature of agricultural product itself and unprepared circumstances. Therefore, we need to try to find ways to revitalize agricultural product e-commerce, which should be driven with short, middle and long term plans regarding farm produce's features. That is, e-commerce for local specialties and processed food which are imperishable and standardized and organic farm produce and eco-friendly farm produce, which are well known to consumers, should be preferentially introduced. The government need to bring up firm vision, establish an organization for synthetic management, give various incentives, and provide constant education and promotion for it. More over, in the long term, it is required to introduce and promote e-commerce over the whole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fresh agricultural products with getting feedback from short and middle term methods. To achieve it, we need to grade and standardize farm produce, build information infrastructure, develop technology, prepare laws and regulations, train experts in agricultural product e-commerce, and build a synthetic e-commerce system gradually. Product differentiation, new ideas, efforts and marketing strategies to attract consumers are needed to be competitive in cyber business. Farmers should supply quality farm produce, provide accurate and easy-to-understand information about agricultural products, build a system that they can deliver immediately. Also, they need to make it easier to exchange and refund, to make sure payment methods secure. Consumers should trust the government and pay proper, critical and favorable attention to e-commerce to make it improve. The government should act as a mediator between e-business users and providers in each private field to create commercial atmosphere which keeps up with the trend of technology.

      •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조형분석에 관한연구

        최여주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A brand plays role as a bridge when a consumer communicates with goods. We notice that agricultural products have brands in circulation or markets. Because of excess supplies for agricultural products, expansion of circulation, and a commercial transaction through internet, environment of circulation is changing with high speed where marketing strategy of product differentiation is important issue in agricultural market.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tend to have brands to compete with other regions. It is difficult that agricultural brands make consumers choose their products with only high quality where many brands come about constantly. That is why it is needed power of brand. Design of brand have to sufficient element to succeed in competition. This research shows a way of improvement for common brand design of agricultural product differentiation from the research for modeling of agricultural common brand. I researched brands selected of common marketing structure from agricultural products circulation public affairs and mountainous circulation policy conference after examining a plan of operation, marketing strategy, organization system for common brand in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Common brands are totally 15, selected in 2004(‘04.11.29~12.8) are 9 and 2005(‘05.11.7~18) are 6. I analyzed modeling cases such as brand symbol mark, visual expression element in large, brand logo tyle, brand color, brand design. The result about plan of improvement from analysis process and questionnaire is like follow. First, symbol mark expressing character of goods with logo tyle gives positive effect. Second, brand design with modeling matter draw consumer's interest and give high vale. Third, logo type highlighted and changed slightly without distort letters too much with symbolized image makes beauty of molding. Forth, artificial color combination from molding element like symbol mark make sense and high completion. This paper consists of 5 chapter and contents is like follow. Introduction include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range. Chapter 1 is for consideration of agricultural common brand in large, chapter 2 is for types of brands, background of molding matter in the abstract. Chapter 3 is for classification into symbol mark, logo, type, color from molding analysis of agricultural common brand and an actual proof and description about molding matter of brand design. I also analyzed brand logo type applied to preexistence handwriting, logo type applied to creation handwriting, logo type applied to modification handwriting as classification of shape, motif, expression techniques in brand symbol mark. I analyzed into Ming-style printing type, Gothic type, the rest as logo types applied to preexistence handwriting. Brand color is classified by monochrome, 2', coloring of over 3', gradation. I also applied the symbol and image of color brand has to brands with angle of originality, symbol, simplicity, aesthetic appreciation , future as molding matter. Chapter 4 is for synthesis of the result from chapter 3 in which I bring up improvement solution. 브랜드는 상품과 소비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교량과 같은 역할을 한다. 유통업체나 시장에 나가보면 농산물도 브랜드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농산물의 공급과잉 현상과 대형 유통업체의 확산 및 전자상거래의 활성화 등으로 유통환경이 급격히 변화되고 있어 농산물 시장에서도 상품의 차별화를 통한 마케팅 전략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입 농산물과 타 지역 농산물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각 지자체의 농산물에도 공동브랜드를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있는 농산물 브랜드의 경쟁 속에서 품질력 만으로 소비자의 선택권을 차지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여기서 브랜드라는 보이지 않는 힘이 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브랜드로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디자인에서 나름대로의 요건을 충실하게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차별화된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디자인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려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농림부에서 공동브랜드에 대한 사업계획 수행능력, 마케팅 전략, 조직체계 등을 심사하여 농수산물유통공사와 산지유통정책협의회를 통해 공동마케팅조직으로 선정된 브랜드를 대상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2004년(‘04.11.29~12.8)에 선정된 9개와 2005년(‘05.11.7~18)에 선정된 6개의 공동브랜드는 합해 총 15개이다. 브랜드의 조형분석은 대표적 시각 표현요소인 브랜드 심벌마크, 브랜드 로고타입, 브랜드 컬러, 브랜드 디자인의 조형적인 요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과정과 설문조사에서 알 수 있었던 개선 방안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제품의 특징을 표현한 심벌마크와 함께 로고타입의 활용으로 소비자의 긍정적인 호감을 유발시켜야 한다. 둘째는 조형요건을 수반한 브랜드 디자인으로 소비자의 시선을 끌고 그 가치를 증대시킨다. 셋째는 글자체를 크게 왜곡시키지 않으면서 약간의 변형이나 강조의 효과를 높인 로고타입과 다른 상징적 이미지와의 결합으로 로고타입의 조형적인 미를 살린 서체로 제작되어야 한다. 넷째는 심벌마크 등 조형요소들과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조화로운 컬러적용으로 감각과 심미적 완성도를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논문의 구성은 총 5개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루어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론으로 연구 목적, 연구 범위 및 방법을 기술하였으며, 제 1장은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일반적 고찰과 2장에서는 브랜드의 유형과 조형요건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조형분석 및 실증분석 결과에서는 대상 브랜드의 심벌마크, 로고타입, 컬러로 분류하고 브랜드 디자인의 조형적 요건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브랜드 심벌마크에서는 형태, 모티브, 표현기법에 의한 분류로, 브랜드 로고타입은 기존서체를 적용한 로고타입, 창작서체를 적용한 로고타입, 변형서체를 적용한 로고타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존서체를 적용한 로고타입은 명조체계열과 고딕체 계열, 기타체 계열로 세분하였다. 브랜드 컬러는 단색, 2도, 3도이상 배색, Gradation으로 표현된 색 수에 의해 분류하여, 브랜드가 지닌 컬러의 상징성과 이미지 등을 각각의 브랜드에 적용시켰으며, 브랜드의 조형적인 요건인 독창성, 상징성, 단순성, 심미성, 미래성의 관점으로 분석해 보았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분석결과에 따른 개선방안을 논의하고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였다.

      • 한·중 농산물경제협력의 현황 및 전망

        린이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적으로도 비슷하기 때문에 예부터 긴밀한 정치․경제․외교관계를 유지해 왔습니다. 특히 1992년에 양국의 정부 및 민중의 공동 노력을 통해 외교관계를 맺었으며 이에 따라 양국의 경제협력 관계가 급속도로 성장해 왔습니다. 현재 한국은 중국의 제3대 무역 파트너고 제3대 수출 시장이자 제2대 수입 대상국이며, 중국은 한국의 제일 큰 무역 대상국입니다. 한국은 전체 산업에서 1차 산업의 비중이 낮은 국가입니다. 2010년의 GDP는 1조 달러였고 그중에서 농산물 생산총액은 GDP의 5%도 미치지 못했습니다. 한국은 산업화로 인해 노동력비용이 높아짐에 따라 농업 생산원가가 높기 때문에 농산물 수출량은 수입량보다 굉장히 적은 편입니다. 농업은 농촌인구의 소득, 국가식량안전 및 사회 안정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한국 정부가 여러 가지 조치를 통해 농업발전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농산물 생산대국이다. 토지 및 노동력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에 농산물의 생산량이 많으며 가격이 낮습니다. 중국 농산물은 가격 면에서도 저렴하고 한국과 지리적으로도 가깝기 때문에 한국에 수출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농산물은 한국에 대량 수출함으로써 한국이 농업에 큰 충격을 초래합니다. 한국은 본국의 농업을 보호하기 위해 점점 높은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설립합니다. 이어서 중국의 대 한국 농산물수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양국의 무역마찰이 열기를 더해 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역마찰 보다 양국의 농산물협력이 더 큰 발전 공간이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한중 양국이 농산물 경제협력이 현황 및 발전전망의 연구는 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 및 중국의 농산물부문의 생산현황 및 경제협력현황의 분석을 통해 양국 농산물 경제협력의 특징 및 문제점을 제시하고 장래 양국의 농산물 경제협력이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에 대한 한번 탐색해 볼 것입니다. 본 논문의 2장에서는 우선 한중 양국의 농산물생산현황 중 주로 생산규모현황, 경지면적현황 및 노동력현황의 분석을 통해 양국의 농산물생산규모가 커지고 있으나, 경지면적이 감소하고, 한국의 노동력이 노령화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한국의 농산물생산현황의 분석을 통해 한국의 농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아주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상위 25가지 농산물의 생산이 전체 농산물생산량의 80%이상을 차지한다는 사실로 보아 농업생산이 인기 있는 상위품목에만 집중되며, 생산량이 적거나 없는 종류의 농산물 수입을 통해 만족을 시킨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중국의 농산물의 생산현황의 분석을 통해서는 중국 농산물의 생산액이 계속 증가하고 있고 재식농업이 전체 농업의 약 50%를 점유함으로써 제일 큰 비중을 차지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양국의 농업현황의 분석을 통해 양국의 농업은 발전할 필요가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제3장에서는 한중 양국의 농산물 경제협력 현황을 살펴보았습니다. 한국농산물의 수출입동향 분석을 통해 한국농산물의 수출입차액이 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의 주요 농산물수입대상국은 미국, 중국, 호주, 브라질 등인데 그 중에서 미국과 중국에서 한국으로 수출하는 농산물 품목이 겹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미국과 중국이 한국시장의 확보를 위해 경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중국의 농산물 수출입 동향 분석을 통해 중국의 농산물 수출입액이 다 증가하고 있으나, 수입액의 증가속도가 수출액의 증가속도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에 계속 적자상태인 것을 살펴보았습니다. 중국의 농산물 수출 국가는 일본 미국, 한국 등이 있습니다. 한중 양국의 농산물 투자관계는 주로 한국이 중국에 투자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한국의 중국에 대한 농산물투자액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제4장에서 양국의 농업현황 및 농업경제협력현황의 기초로 양국 농업 및 농산물 경제협력중의 문제점을 제시한 것입니다. 문제점은 주로 몇 가지 있다. 한중 양국 외교관계 수립 기간은 20년도 되지 않았기 때문에 협력 영역이 매우 협소한 편입니다. 대부분의 무역은 양국의 국민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양국 정부가 직접 나선 전략적이고 제도적인 협력은 전개되지 않습니다. 중국 농산물이 한국에 대량 수입됨으로써 한국의 농업이 큰 타격을 입기 때문에 한국은 높은 관세 및 비관세장벽을 설립합니다. 게다가 중국의 농산물 자체의 품질문제는 한국의 엄격한 검사를 통과할 수가 없었고, 이에 따라 무역이 원활하게 전개될 수 없었습니다. 또한 중국의 농산물이 저렴하여 한국 농가에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한국으로 수출하는 과정에서 덤핑조사를 많이 받았고, 이것 또한 한중 농산물 무역의 제약요인으로 볼 수 있었다. 제5장에서 양국의 입장에서 농산물자유무역을 분석했습니다. 한국의 입장에서는 되면 한국의 농업에 큰 타격을 줄 수 있고 식량안전을 위협할 수 있고 정부 및 민중의 일으킬 수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중국의 입자에서 농산물자유무역은 한중FTA체결의 목표중의 하나이고 중국농산물의 경쟁력 높일 수 있고 무역분쟁을 감소 할 수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양국의 농산물경제협력에 문제점이 많이 있지만 특히 한중 양국의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농산물 경제협력이 필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후 한중 양국의 농산물 협력교류의 확대 추이를 볼 수 있고 한국의 중국에 대한 농업투자도 확대 추세를 보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한·중 양국의 농산물 경제협력에 문제점이 많이 있지만 양국 간의 농산물경제협력이 역사의 추세이기 때문에, 양국의 농산물의 생산량, 가격, 품질 및 검역제도 등의 정보에 대한 교류 등의 협력적 조치를 통해 문제점을 보완하고, 양국의 무역마찰을 해결할 수 있는 공식 기구를 설립하여 앞으로 무역분쟁을 줄이며 농산물경제협력을 확대한 것을 전망한다 Since the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re has been a dramatic increase between their trade volumes.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s of Korean-China agricultural production and trade, China held a certain advantage on the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However, on the agricultural trade, there was still plenty of barriers those two countries should faced with such as an issue of the quality of Chinese agricultural products, a shock of the related industry, food safety, political risks etc. on Korea. As a long-term development, it benefits for establishing a free trade zone that an economic cooperation on agricultural products between Korea and Chin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is cooperation.

      • 농산물의 전자상거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장위위 우석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 ABSTRACT > A Study on the Activating Strategy of Agricultural E-commerce Zhang, Wei Wei Department of International Business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Communications and other technologies have be developed rapidly. Internet system allows real-time information delivery and Information Society that was done quickly. In this paper,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Active measures to enable e-commerce in agriculture is discussed. Empirical survey of agricultural e-commerce to the consumer satisfaction were conducted. In addition to, as a e-commerce features, information, convenience, interface presented. After research results, I think information, convenience, interface is important to consumer. Consumers will be spent on activities having a new value. To respond to these consumers, Companies must evaluate the internal capabilities. and outside the assessment continuously. Empirical survey shows that freshness and reli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important in e-commerce. Agricultural certifica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for the positive e-commerce Agricultural e-commerce will give an effective tools to companies. Therefore, agricultural e-commerce should be done as soon as possible positively.

      • 친환경농산물 브랜드 자산의 구조적 관계에서 소비경험의 조절효과

        이영석 세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논문요약 건강과 환경에 대한 의식 수준이 향상되면서 먹거리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특히, 먹거리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농산물의 선택 기준에 안전성과 환경성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면서 친환경농산물 소비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농산물은 재배과정 및 품질에 대한 정보 공개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는 친환경농산물로 인증된 제품을 믿고 구매하고 소비한다. 즉, 신뢰-구매-소비 과정을 반복하는데 기존 연구들은 주로 신뢰와 구매결정요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소비 특성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농산물 인증제품을 브랜드로 상정하여 브랜드 자산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구성요소로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 신뢰, 충성도를 영향관계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친환경농산물의 소비경험 특성을 파악하여 소비유형에 따른 브랜드 자산의 관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증을 위한 자료수집은 친환경농산물 구매경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인터넷 조사를 통해 수집된 54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브랜드 자산의 연구모형 분석 및 소비경험의 조절효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지도가 높고 이미지가 좋을수록 소비자들의 신뢰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브랜드 인지도보다는 이미지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지식은 신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전체적인 인상으로서의 이미지는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신뢰를 제고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친환경농산물의 인지도와 이미지, 신뢰가 좋을수록 소비자들의 충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신뢰가 충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친환경농산물에 있어 신뢰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이 재확인 되었다. 셋째, ‘친환경농산물을 구매하고 소비하면서 지각하는 총체적인 경험’을 의미하는 소비경험은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유형1은 친환경농산물 소비 자체를 소비자 자신의 이미지와 라이프스타일에 반영하는 상징성에 기반을 둔 개인가치형이고, 유형2는 타인들과 친환경농산물을 함께 소비하면서 갖는 친밀감과 긍정적 공감대에 가치를 두는 사회성에 기초한 관계가치형이다. 이러한 결과는 친환경농산물 소비자들은 시장 세분화 될 수 있으며, 세분시장의 특성에 맞는 마케팅 노력이 이루어져야 함을 나타낸다. 넷째,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지도와 이미지, 그리고 신뢰와 충성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소비경험의 조절역할을 검증한 결과를 통해 친환경농산물 소비경험은 모든 유형에서 브랜드 자산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가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소비경험 유형에 따라 관계 강도는 차이가 있으며, 개인가치형 집단에서 이미지와 신뢰, 충성도 관계가 높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친환경농산물의 호의적인 이미지를 강화하는 활동은 상징적 가치를 중시하는 개인가치형 소비자들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신뢰와 충성도를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 수도권 지역 학교 영양(교)사의 GAP 농산물에 대한 인식도 및 사용 확대 방안

        이지영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빈번한 학교급식 식중독 사고 발생으로 인해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농산물에 의한 식중독의 경우 생물학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생물학적인 요인 및 물리적, 화학적인 위해요소를 관리하는 GAP 농산물의 사용을 통해 품질 위생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GAP 농산물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보고 GAP 농산물의 사용현황 및 장애요소, GAP 농산물 사용 확대를 위한 방안을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제 4기 영양(교)사 GAP 자발적 학습조직 찾아가는 교육에 참여하여 기존 GAP 관련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목적에 맞도록 설문지 개발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으로 일반사항, GAP농산물 인지도, 사용실태, 장애요인, 홍보방안, 확대방안의 항목으로 총 2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통계 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ver. 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빈도 분석, 백분율(%), t-test, ANOVA(일원 분산배치 분석), 사후검정 Bonferroni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GAP 인증 제도 인지 여부는 응답자 79명 모두 알고 있다고 하였으나, GAP 농산물과 일반농산물 및 타 인증 농산물의 차이 인식, 신뢰도의 경우 50%를 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학교급식에서 GAP 농산물을 사용하지 않는 비율이 73.4%로 나타났으며 학교급식전자조달시스템 18.3%, 학교급식지원센터 15.2%를 통해 구매한다고 하였다. GAP 농산물 사용반대이유는 안정적 공급이 어렵다 28.0%로 나타났으며, 지자체 보조금 구매비율에 해당없음 72.2%, 보조금 없음 17.7%로 나타났다. GAP 농산물 구매시 가장 큰 문제점은 GAP 인증 홍보가 부족하다 34.5%, 물량수급이 원활하지 않다 31.0%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의 제언에서 제안한 부분은 총 3가지 사항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현 학교급식 발주시스템(eaT)에 다양한 GAP 농산물 품목 코드를 선택하고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영양(교)사의 선택의 기회를 넓혀주는 것이다. 둘째, GAP 바로 알기를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온·오프라인 활동을 하여 영양(교)사 뿐만 아니라 급식소비자인 학생까지도 GAP에 대한 이해를 높여 급식 식단에 메뉴를 다양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책적으로 현 친환경 농산물의 학교급식 보조금 지원과 같이 예산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GAP 농산물의 우수성인 위해요소관리, 농산물이력추적시스템을 통해 학교급식 현장에서 비가열 공정의 식품 안전성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사용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 농협 농산물산지유통센터의 수익확대 방안 연구

        조원석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농산물산지유통센터(Agricultural Processing Center : APC)는 농산물 주산지별로 품목 특성에 맞는 규모화 현대화된 산지유통시설을 설치하여 산지 농산물유통의 거점시설로 육성하고 생산과 유통의 계열화로 시장교섭력을 강화하여 우리나라 소규모 영농의 한계를 극복함과 동시에 급변하는 유통환경에 대한 산지 대응능력을 제고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농산물산지유통센터는 농산물의 집하, 선별, 예냉, 저온저장, 냉장수송 등 저온유통기반을 구축하고 농산물을 공동선별함으로써 균일한 품질의 농산물을 규격포장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등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경영전략 확산과 대형 유통업체와의 직거래 추진, 소포장 상품개발, 기능성 농산물의 개발 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농산물산지유통센터는 전반적으로 경영의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단일품목 중심의 운영, 시설의 유휴기간의 발생 그리고 낮은 수준의 가동율 등으로 인하여 경영의 효율화를 가져오지 못하고 있다. 또한 운영주체에 따라 경영능력, 전문지식의 부족 그리고 관리소홀, 규모의 영세성 등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농협의 농산물산지유통센터들은 하나의 경영체로서 손익을 우선하기 보다는 조합원에 대한 편익 제공 차원에서 대부분 운영되고 있으며 손실발생을 당연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농산물산지유통센터가 장기적으로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감가상각비를 포함한 제 비용이 충당되어야 할 것이며, 운영주체들은 손익의식을 명확히 해야 하고 운영 활성화를 통해 조합원에 실익을 주면서 농산물산지유통센터가 영속적인 경영체로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농협의 농산물산지유통센터 수익확대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농산물산지유통센터를 하나의 시설물로 인식하지 말고 문자 그대로 농협 판매사업의 핵심거점으로 그 역할과 기능을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농산물산지유통센터가 환원사업 차원이 아니라 하나의 사업체로서 운영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독립사업체로서의 성격이 명확하게 부여되어야 한다. 셋째, 관내의 생산여건과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전략적인 품목을 선정하여 이를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할 것이며, 선정된 전략 품목은 수확 후 관리기술 등을 적용하여 규격화되고 고품질인 제품이 되도록 하고 철저한 품질관리와 촉진활동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 넷째,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통해 부가가치를 높여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주산지별, 품목별 연합판매사업 기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연합판매사업은 마케팅 교섭기구로서 개별 농협이나 농업인이 수행하기 힘든 판로개척, 판촉, 광고, 홍보 등 다양한 마케팅 기능을 수행하며, 물량의 규모화에 의한 시장지배력 확대, 수급조정과 같은 고도의 기능도 수행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농산물산지유통센터의 가동율 제고와 산지유통시설간 계열화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연중 가동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취급품목의 다양화를 통한 주년화를 달성하여야 하며, 주작목과 부작목을 시기별로 적절히 배치하여 시설의 가동율을 높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