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준별 교수-학습을 통한 논술 능력 신장 방안 연구

        송광섭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3470

        논문요약 수준별 교수·학습을 통한 논술 눙력 신장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송광섭 본 연구는 「수준별 교수·학습을 통한 논술 능력 신장 방안 연구」라는 제목 하에, 기본·심화형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학습자 수준에 적합하도록 적용함으로써 논술에 대한 흥미 유발, 발표력 신장, 학습자 자신의 논술능력 파악 및 창의적 논술 능력의 신장을 연구의 목적으로 했다. 연구 대상은 2학년 인문반 1개반(34명)으로 하고, 2002년 1월~2002년 10월까지 계획 수립, 관계문헌 고찰, 연구 문제 선정, 주제 선정, 연구를 실행하고 전후 비교법(설문지 조사는 4월, 9월 두 번 실시)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목표 및 실행 계획을 다음과 같이 수립하였다. 첫째로 수준별 논술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했다. 이를 위하여 논술 교육에 관한 수준별 연간 지도계획을 수립했고 이에 의거하여 기본·심화형 수준별 논술 자료를 개발했다. 둘째로 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수준별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학습자 집단을 수준별(기본반, 심화반)로 편성했다. 학습자의 적성, 필요, 흥미, 학습 능력 등을 고려하여 1개 학급을 학습자 스스로 5개조(각 조당 6~7명)로 구성하고, 각 수준에 적합한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했다. 그리고 학생들의 흥미를 고취시킬 수 있는 수준별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적용했다. 셋째로 조별 상호 작용 평가, 전체 토의 학습 및 교사 확인 평가를 통하여 표현력과 창의력을 신장하려고 했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 활동에서 제시된 주제에 따라 논술문을 각자 작성하고 조원끼리 상호 평가를 실시한 후 <상호평가 발표록>에 발표할 내용을 부조장이 체계적으로 기록하게 했다. 부조장이 기록한 내용을 조별로 조장 학생이 발표하게 한 다음 발표내용에 대하여 전체 학생들의 토의 과정을 거쳐 이견을 조정하고 올바른 논술 작성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어 발표와 전체 토의를 거쳐 기록된 내용을 중심으로 조별로 자체 평가를 실시하고 개인별로 제시된 주제에 대하여 내용에 적합한 논술 작성의 방향이 어떤 것인가를 스스로 탐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가 확인평가를 하였다. 교사는 학생들이 탐구학습 실시 후 논술문을 재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하고, 이를 평가 기준표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기본·심화형 수준별 학습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로 학습자의 능력에 적합한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학습태도의 향상과 학습 의욕 및 흥미도가 상승 강화되었다. 둘째로 조별 상호 평가 및 발표, 전체 토의 학습과정을 거쳐 발표력이 신장되었다. 그러나 보완해야 할 내용은 모든 학생들에게 논술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이다. 특히 기본·심화형 수준별 논술 교수-학습 활동에 대체적으로 흥미가 없는 기본과정 학생들이 그 대상이다. 이 학생들에게는 지속적인 연구 과정을 거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충실한 자료를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학습 방법 개선을 통하여 소기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Improving Writing Ability through Teaching & Learning Method styled for Level Groups by Song Kwang-sup Korean Language Department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rise to students' motivation and to improve expression ability and creative competence for writing through developing the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styled for level groups and applying them to the real situation. The number of subjects is 34 students(2-1). After the books related to the theme were examined, the selection of the study problem and the theme was made and the plan was carried out from January 2002. to October 2002. The pre-post comparative method was used as a result test method in April 2002 and September 2002. The specific aims and plans for practice are as follows 1. The year-round plan to develop the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styled for level groups were made and put it into practice. 2. 5 learners' groups were formed considering the students' level and their attitude, interest, and needs in order to make the vigorous and energetic learning activities. Each group consisted of 6-7 students and the lesson models applying to the each group's level and giving rise to the students' interest were made and presented. 3.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crease the students' expression and creativity ability through the evaluation of each group's interaction and the whole debate and teacher's estimate. Students were made to make writing according to th theme presented in teaching & learning activities and estimate each other's work. Vices in each group were made to write the main points systematically to tell the whole group. After the presidents in each group announced the contents written by vices, all students in each group went through the procedure of discussion and tried to find the right direction for writing. Each group itself estimated the written contents after the announcement and discussion. Then students were made to find which direction for writing was proper in th contents. and then students were made to write a work and submit them and teacher estimated them according to the standard. The results of the teaching learning method styled for level groups applied in the class are as follows 1. Students' learning attitude, desire and interest are much improved as a result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ppropriate to the student level. 2. Students' expression ability was much improved as a result of class discussion and each other's group estimate activities Finally I suggest that a teacher should give rise to students' interest about writing. Especially we should encourage the students in basic level because they are less interested in writing learning. and then that we should develop good teaching materials available easily. Lastly we must try to improve teaching methods.

      • 고등학교 수열 단원 수리논술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박정심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3455

        수리논술은 단편적 지식이나 기계적으로 암기한 공식을 이용해서는 해결이 어렵고, 정확한 개념의 이해를 통한 통합적 사고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정보화 시대에 학생들의 고등 정신능력을 기르기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수리논술을 교육하는데 있어서 교사들 입장에서는 수리논술의 지도시간 부족, 전문적인 수리논술 지식의 부족, 적절한 교재의 부족 및 교재 연구 부족 등의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고, 학생들 입장에서는 수능 준비와 병행해서 수리논술을 준비해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선정하여 수리논술 지도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1) 학생들의 대입 수리논술 시험 대비를 위해 수능과 연계한 효과적인 학교 수리논술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2) 학생들의 대입 수리논술 시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폴리아의 문제 해결 방법론을 이용하여 학교 수리논술의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는 4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첫 번째, 보충수업 적용 시 수학의 한 영역에서 주제를 선정하여 보충수업의 한 기간을 운영할 수 있는 수리논술 수업의 모델을 제시하고, 두 번째, 내용 측면에서는 대학 입시 수리논술 기출문제에 제한을 두지 않고 교과서 그리고 우리가 접하면서도 깨닫지 못했던 실생활과 자연현상에서 수학 예를 제시하며, 세 번째, 방법적인 측면에서 주요 대학교의 기출문제 분석을 통하여 수리논술 출제 방향을 알아보고, 수리논술 기출문제들을 학생들이 배우고 있는 교과서, 수능과 연결 지어 수리논술에 접근성을 높이고 학생들이 수학적 안목을 기르고, 활동지를 통해 직접 문제에 대한 답안을 작성해 봄으로써 문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을 갖도록 하며, 네 번째, 대상 측면에서도 고등학교 1학년부터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수열 단원을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이러한 수리논술 교수-학습 자료가 학생들에게 단계별로 문제를 해결해 봄으로써 어렵다고 여겨지는 논술문제에서 구조를 파악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이 될 것이고,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관련된 문제들은 주변 환경에 대한 수학적 안목의 신장과 학생들의 흥미로 이어져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협동학습을 통한 논술 교수 학습 방안 연구

        구본영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3439

        본 연구의 목적은 논술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여 구체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논술교육이 자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감상을 바탕으로 하여 독자, 즉 학습자의 심미적 체험, 인격 형성이라는 본질적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자료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구체적 교수 학습 방법으로 협동학습 모형을 구안하여 수업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실효성을 검증해 보았다. II장에서는 논술 쓰기 지도에서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학습목표를 제시하여 이에 따라 협동학습이라는 교수 학습 방법을 원용하여 협동학습을 바탕으로 한 논술 쓰기 교수 학습 모형을 구안해 보았다. 전체 학습 구조는 ‘1단계 교수 학습 계획, 2단계 동기 유발과 신문기사문 자료 읽기, 3단계 활동 과제 선정, 4단계 토의 활동 및 결과 보고, 5단계 정리와 평가’로 설정하였다. III장에서는 구안된 신문기사문을 활용한 협동학습 모형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오산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적용 과정을 기술하였다. 연구 집단과 비교 집단을 설정하여 프로그램 투입 유무에 따른 실험 처치 내용과 방법, 실험 도구 등을 살펴보고, 실제 수업의 과정을 소개하였다. Ⅳ장에서는 실험 처치 결과를 검증하고 해석해 보았으며, 검사 결과의 통계 처리는 SPSS/PC+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고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연구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논술 쓰기 능력 검사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임으로써 협동학습이 논술 쓰기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연구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논술 흥미도 검사와 학습 효능감 검사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임으로써 협동학습이 논술교육의 정의적 목표를 실현시키는 데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논술교육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의 논술교육을 지향해야 하며, 협동학습이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는 점에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학습자 중심의 논술교육을 위한 현장 교사들의 각별한 관심과 노력이 요구되고, 학생들의 자유롭고 능동적인 학습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 통합 교육을 바탕으로 한 효율적인 논술 교수 학습 방안

        정연정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40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eaching-learning method of essay writing that realizable in schooling. I suggest to practical use a text book and based on integrated education. Essay Writing is not only the active writing for revealing own opinion or self-assertion to other people, but also one of the ways of living. So, this course stimulates students' creative idea and makes them thought and behaved actively, and then, they will internalize right their values and faith. A school model of Essay Writing education conforms to the process of theory of constructivism. A interrupted subject model is evidence to be able to apply for a common education techniques in a Essay Writing aiming a pan-curriculum, but the blending subject model needs to correct itself by accepting a concept of learners and tools. A interrupted education was researched in the lights of integrated languages, a cooperating instruction, and unification of forms. They are full of suggestions in terms of using of Essay education. Although there are difficulties to apply for a education field, they will be corrected gradually. This study research workable interrupted educations on the basis of these theories, and tries to the Essay Education model.

      • 수리 논술 교수-학습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

        이인영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375

        본 논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 등 고등사고능력을 신장하고 교수 학습과정을 개선하여 학습자의 수학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수리 논술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수리 논술 교수 학습 모델과 수리논술 교수-학습 자료의 일반화 방안이 마련되어 다양한 방법으로 학교 현장에서 쉽게 이용 하는데 도움을 주리라 본다. 제 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다루었다. 제 2장은 이론적 배경을 문헌 역구와 서술 논술형 평가의 기본 지식에 대하여 논하였다. 제 3장은 실태분석 및 실행목표1, 실행목표2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 4장은 연구 설계에 관하여 논하였다. 제 5장은 연구 실행단계로 학습지도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제 6장은 연구 결과를 서술하고 제 7장은 결론 및 제언으로 수리 논술 교수 학습의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expanding students' higher order thought such a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s well as awakening learners' new cognition and interest in mathematics by improving learning and teaching process. In addition, this provides a teaching-learning model of statement solving questions and a generalization plan of them, so that it can help us to use them as diverse methods in active classroom. In Chapter 1, we introduce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In Chapter 2, we discus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and the basic knowledge of statement type evaluation. In Chapter 3, we describe the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the performing purpose 1 and the performing purpose 2. In Chapter 4, we discuss the design of this study. In Chapter 5, we deals with the learning guidance, as a performing step of study. In Chapter 6, we describe the result of this study In Chapter 7, we suggest the teaching-learning direction of statement solving questions as a result and suggestion.

      • 문제해결과정으로서의 사회과 논술 지도에 관한 연구 : '10학년 사회' 수업을 중심으로

        김명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00686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사고력을 함양하기 위한 사회과 논술 교수?학습 방법으로 ‘과정 중심 논술교육’의 수업 모형을 설계하고 적용한 후 ‘결과 중심 논술교육’과 비교함으로써 그 유용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사회과와 논술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과 논술의 방향 및 목표를 재정립하였다. 그리고 사회과 논술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객관주의적 교수?학습 방법과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방법으로 나누어 검토한 뒤, 사회과 논술교육을 ‘결과 중심 논술교육’과 ‘과정 중심 논술교육’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사회과 논술의 각각의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유용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을 설계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은 2010년 10월에서 11월에 걸쳐 10학년 사회수업시간에 실시하였다. 4개 학급(134명)을 무선 할당하여 각각 ‘결과 중심 논술교육집단(67명)’과 ‘과정 중심 논술교육집단(67명)’으로 나누어 수업을 실시하였다. ‘결과 중심 논술교육’은 객관주의적 교수?학습 방법에 근거한 교사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였고, ‘과정 중심 논술교육’은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방법에 근거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특히, ‘과정 중심 논술교육’은 원진숙의 ‘문제해결중심의 쓰기 과정 모델’을 수정?보완하여 ‘계획하기-표현하기-토의하기-평가하기’의 4단계 수업 모형과 그에 따른 구체적인 단계별 전략을 제시하였다. 집단별로 사회과 논술수업 전에 실시한 1차 논술시험의 점수와 사회과 논술수업 후 실시한 2차 논술시험의 점수를 측정하여 논술학업성취도의 향상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업 후 논술수업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자료를 바탕으로 논술수업 만족도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정 중심 논술교육집단이 결과 중심 논술교육집단에 비해 논술학업성취도의 향상도와 논술수업 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고등사고력을 함양하기 위한 사회과 논술 교수?학습 방법으로 결과 중심 논술교육방법에 비해 과정 중심 논술교육방법이 유용하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고등사고력 함양을 위한 사회과 논술 교수?학습 방법으로 ‘과정 중심 논술교육’의 수업 모형을 설계하고 적용함으로써 사회과 논술교육의 잠재성과 유용성에 대한 실천적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즉, ‘문제해결과정으로서의 사회과 논술교육’이라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은 학습자 중심의 협동학습 및 자기 주도적 탐구학습을 통해 지식을 구조화함으로써 비판적 사고력, 창의력, 문제해결력 등 고등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과 논술교육의 발견적 연구로서 사회과에서의 논술교육의 현장 연구에 실제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 통합논술의 자기 주도적 교수학습 모델 연구 : 인지적 도제 방법 적용 및 매체 블렌딩을 중심으로

        윤상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00655

        This study seeks for the definition and significance of 'Integrated Discourse', in the first place, which are reflected in diversely shifted aspects of the educational view going after social changes to the current of knowledge & information times. Knowing the origin and concept of Integrated Discourse represents the right teaching direction to us. Based on thi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mainly to materialize the self-directed teaching & learning methodology suitable for the distinctive feature of Integrated Discourse, especially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In short, today computer technologies and media are grown to stress on individual creativity and diversity. Moreover, social & cultural changes in this way have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education and cried for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reform to 'the self-directed learning'. In former days, teaching methods have been mostly taken the cramming education which is 'teachers-centered' rather than learners. However, they are now changed that 'learners' are the nucleus of the learning process. By the way, most existing studies have a limit to define Integrated Discourse depending on the criterion of exams for the college entrance. The consequence is that their focal point for teaching discourse ceases discussing on the problem, 'how to write well', focused on 'the result'. Owing to this, in spite of requiring quite different educational paradigm, discourse class does not yet break from an teaching method by rote and is still buried under the cramming education. In fact, discourse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it needs a balance between 'how to write' and 'what to write'. A further thing in the Integrated Discourse requiring the synthesized knowledge and thinking is 'what to write'. This is a reason that Integrated Discourse, especially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is characterized as follows: (1) synthesized thinking, (2) creative communication with heterogeneous subjects, (3) learning process-centered (day to dayness), (4) self-directed (learner-centered). Especially, with this in mind, 'day to dayness' of learning Integrated Discourse is very important because a learner's discourse ability could not grow for once a class only. Thus, we can say that Integrated Discourse not only means 'a writing act or skill' but includes 'total learning process(course)' for the synthesized knowledge and thinking among related subjects. Notwithstanding its distinctive features, many teachers at schools still incline to think that Integrated Discourse is a sort of writing just for the result-oriented. Consequently, this study is mainly to materialize the self-directed teaching & learning methodology under the notion that Integrated Discourse is characterized as previously stated. With this in mind, the teaching & learning model this study designed is based on the cognitive apprenticeships and put some essential methods of it, like 'modeling', 'scaffolding', 'coaching', 'fading', etc, to the each learning frame transformed corresponding with each purpose by intent. Furthermore, this study testifies the self-directed teaching & learning model of Integrated Discourse, whether it can be realistic or not, with reifying the teaching strategy blended with a medium, especially internet 'blog' and 'caf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shows the feature of Integrated Discourse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current of times, makes out the self-directed teaching & learning model, and gives shape to a model. However, at the same time, it has a limit in that it is not taken an objective method, like quantitative analysis. Therefore, maybe succeeding studies related to the above will be expected to make up for this.

      • 사회인지적 관점에서의 논술 쓰기 교육 방안 연구

        허성백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00637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writing theories have been changed and developed into cognitive constructivism, socio-constructivism and socio-cognitive theory based on constructivism, this study seek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bout a low level of essay writing with the socio-cognitive view, which may be the most developed theory of the latest constructivism paradigm. Overcoming limitations of formalism writing theory that adheres to a previous objectivism view, a cognitive constructivism writing theory has played a very meaningful role in that result-centered writing stream was changed into process-centered writing by putting a greater emphasis on the cognitive process in a writer's brain rather than form. Thus, the focus favors process rather than result. Cognitive constructivism has significance in that it opens a new prospect in the field of writing: essay writing is viewed as a problem-solving process through dynamic construction of meaning with writing process and strategy emphasized. However, the cognitive constructivism essay writing theory has limitations that it views writing as a personal matter directed at an individual and ignores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and contexts and also ignores texts made as a product. The socio-constructivism writing theory characterizes the fact that writing is a social behavior within social contexts. However, the theory is criticized for neglecting the unique cognitive process in each person's brain by overemphasizing only the social contexts in which an essay is creat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establishing the validity of a socio-cognitive writing theory depending on the fact that because both cognitive constructivism, which emphasizes an individual's cognitive process, and socio-constructivism, which emphasizes social interactivities in conversation community centered on socio-cultural situations contexts, have limitations as well as significance, they need to be incorporated so that they may complement each other. Based on this discussion, this study suggests the principle of essay writing education and teaching & learning methods in a socio-cognitive view. First of all, the principles of essay writing are as follows: the first is a principle of incorporating contexts & texts & cognition; second, a principle of social mediation; and third, a principle of transferring responsibilities. Next, this study looks for essay writing teaching & learning methods in a socio-cognitive view. Finally, this study is schematized in the following steps: the teachers' introduction and demonstration, the text composition through cooperation, and self-initiated text composition. Based on this view, it devises teaching & learning models and procedures. Additionally, it also devises teaching & learning models and procedures in a socio-cognitive view. Essay test questions in 2011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s regular admission period were materialized according to procedures of essay writing education in a socio-cognitive view. This study searches for ways to enhance essay writing ability through models and principles of essay writing education in a socio-cognitive view. Also, it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a way of essay writing education based on socio-cognitive essay writing theory, which is the latest trend in the constructivism paradigm. It is expected that by both overcoming limitations of cognitive constructivism and socio-constructivism and establishing a basis of essay writing, students'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and essay writing abilities will be improved. 본 연구는 쓰기 이론이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인지 구성주의, 사회 구성주의, 사회인지 이론으로 변화·발전해 온 것에 주목하여 최근의 구성주의 패러다임의 가장 발전된 이론이라 할 수 있는 사회인지적 관점에서 작문의 하위 영역인 논술 쓰기에 관한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인지 구성주의 작문 이론은 기존의 객관주의 관점을 신봉하던 형식주의 작문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여 작문의 결과보다 과정을, 형식보다 필자의 머리 속에서 이루어지는 인지 과정에 더 관심을 둠으로써 작문 이론의 흐름을 결과 중심에서 과정 중심으로 바꾸어 놓았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또한 인지 구성주의 관점에서는 작문 행위를 역동적인 의미 구성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문제해결 과정으로 파악하여 글쓰기 절차나 전략, 기능을 중심으로 한 작문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점에서도 큰 의의를 지닌다. 하지만 인지 구성주의 작문 이론은 작문 행위를 개인에 한정된 문제로만 인식한 나머지 작문이 이루어지는 사회 문화적 상황이나 맥락을 소홀히 했다는 점과 결과물로서의 텍스트 자체에 대해서 소홀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사회 구성주의 작문 이론은 쓰기 활동이 사회적 맥락 안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행위라는 인식을 갖게 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지나치게 작문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맥락만을 강조한 나머지 개인의 머리 속에서 이루어지는 고유한 인지 과정을 소홀히 했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지적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개인의 인지 과정을 중시하는 인지 구성주의 작문이론이나 사회 문화적 상황과 맥락을 바탕으로 담화공동체 안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사회 구성주의 작문 이론이 모두 나름대로의 의의와 한계를 갖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두 관점을 상호보완적 차원에서 통합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사회인지적 관점에서의 작문 이론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사회인지적 관점에서 논술 쓰기 교육의 원리와 함께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논술 쓰기 지도 원리로 첫째 맥락·텍스트·인지 통합의 원리, 둘째 사회적 중재의 원리, 셋째 책임 이양의 원리를 제안하였으며, 사회인지적 관점에서 논술 쓰기 교수·학습 방법을 3단계(교사의 안내와 시범 → 협동을 통한 텍스트 구성 → 자기주도적 텍스트 구성)로 도식화하여 교수·학습 모형 및 절차를 구안하였다. 그런 다음 2011학년도 서울대학교 정시모집 논술고사 문제를 실례로 활용하여 그 구체적인 실제를 사회인지적 관점에서의 논술 쓰기 교육의 지도 절차에 따라 구현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인지적 관점에서의 논술 쓰기 교육의 원리와 모형, 그리고 그 모형에 대한 실제를 통해 논술 쓰기 능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성주의 패러다임의 최근 동향이라 할 수 있는 사회인지 작문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논술 쓰기 교육의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지금까지 논의되어 왔던 인지 구성주의와 사회 구성주의의 한계를 극복하여 상호보완적 차원에서 논술 쓰기 방안의 기초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의 논술 쓰기 능력을 훨씬 더 신장시키고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적 사고력을 확장시키는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