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장·노년기의 노인부양의식에 대한 영향요인

        정선주 翰林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노령인구의 증가문제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각국으로 대두되는 중요한 문제로서, 노인들의 거취와 노인부양에 대한 대책 측면의 여러 사회적 문제와 연결된다. 특히 산업화, 도시화로 인하여 노인의 지위가 하락하였고, 일부 성인자녀들은 노부모 부양을 하나의 부담으로 지각하는 경향까지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의 역할증대와 정책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앞으로의 노인부양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양의 주체가 될 청년기 뿐만 아니라 부양하고 있는 장년기 및 노년기 대상으로 노인 부양에 대한 일반적인 의식조사와 경제적, 정서적, 신체적 부양의식에 대한 의견 등 전반적으로 부양의식을 조사함으로써 광주시의 부양의식과 영향요인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광주시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생애주기), 성별, 학력, 월수입, 동거형태, 종교, 직업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이에 따른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생애주기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양의식을 살펴보면 광주시의 경제적·정서적·신체적 부양의식이 생애주기 및 일반배경변인의 상관없이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장년층이 청년층이나 노년층에 비해 노인의 경제적 부양의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정서적 부양의식과 서비스 부양의식은 생애주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일반배경변인 중 학력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고학력일수록 노인에 대한 경제적 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1), 저소득일수록, 남성이 여성에 비해 정서적 부양의식이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p<.001). 그러나 서비스 부양의식은 조사대상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부양의식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노인부양에 대한 일반적인 의식을 살펴보면, 미래에 대한 노인상으로는 자립능력을 갖고 젊게 산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노인 부양의 책임소재에 대한 결과는 노인자신과 가족의 응답이 가장 많았다. 노인에 대한 자식들의 태도의 응답결과는 대체로 잘 모시고 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노후생활방식에서는 여성은 가까운 곳에 살고 싶다는 응답이 많은 반면, 남성은 자녀와 함께 노후생활을 즐기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일 자녀와 함께 사는 경우 청년기와 남성의 경우 함께사는 것이 당연하므로 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나, 장년기와 노년기, 여성은 건강이 나빠지면 도움이 필요해서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자녀와 동거하는 상황의 응답결과는 청·장년기, 고학력일수록, 미혼일수록 아들 딸 구별없이 마음에 맞는 자녀와 함께 동거하고 싶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반면, 노년기는 38.2%가 아들 중 마음에 맞는 자식이라고 응답하여 응답에 차이를 보였다(p<.01). 노후 여가시간활용에서는 여행이나 취미 생활을 즐기고 싶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노후생활의 준비도에 대한 응답결과는 노년층으로 갈수록 노후생활에 대한 준비가 많이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p<.001). 부모님이 유료 양로원(실버타운)에 가길 원할 경우 찬성하겠는가에 대한 응답결과로 보통과 동의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교적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님을 위해 유료양로원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부모님이 원하지 않을 것 같아서라는 응답과 비용문제 때문에 유로 양로시설을 이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셋째, 부양의식간의 상호관계에서의 연구결과로는 경제적 부양의식이 높을수록 정서적 부양의식이 높아지고, 경제적 부양의식이 높을수록 서비스 부양의식이 높아지며, 정서적 부양의식이 높을수록 서비스 부양의식도 높음을 알 수 있어 부양의식간의 밀접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연구결과를 살펴본 바와 같이 부양의식에 있어서는 생애주기별로 볼 때, 장년기층과 기혼자가 경제적 의식이 높게 나타난 것은 사회적으로 가정적으로 안정을 찾아가는 시기로서 이들이 이루어야 할 발달과업이므로 경제적 부양의식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예상되며, 부양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인구학적인 측면의 요소보다는 경제학적 측면 즉 학력이나 월수입에 관련된 요인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Recently the aging of population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world. Plans for behavior and supporting of the older adults can be connected to many social problems. Especially, the status of the older adults has declined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also the grown-up children feel supporting their old parents is a burden.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eral awareness of adolescent, middle, and old generation on the matter of supporting the older adults as well as their opinions about financial, emotional, and physical supporting of older adul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supporting older adults since the social welfare of the local government is expanding and influencing it largely. By doing this, this study has a purpose of looking into awareness of supporting older adults in Kwangjusi and factors that influence the awareness. The study was done on 300 adults residing in Kwangju city and set the age, gender, academic background, monthly income, resident type, religion, and occupation of the people as in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f awareness of supporting older adult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when their awareness of supporting the older adults was looked into, their awareness of financial, emotional, and physical supporting of the aged was relatively high despite the life cycle and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As for the awareness of financial supporting of older adults, the middle generation showed a higher result than the adolescent and old generation but the awareness of emotional and service supporting did not show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ife cycle. Also, there was difference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and gender. People with higher academic background had high awareness of financial supporting of the older adults(p<.01) and the male showed more positive awareness of emotional supporting of older adults than the female(p<.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supporting the older adult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Second, when the general awareness of supporting the older adults was looked into, many responded that the older adults of the future would live youthfully with independent ability, and most responded that the family and the older adults person himself/herself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of supporting the older adults. As for the children's attitude toward the older adults, most of them responded that the children take good care of the older adults and when they were asked about the lifestyle of old age, many of the female responded that they want to live close to their children but many of the male wanted to enjoy their old age with their children. Also, as for the reason of living with the children, most of the adolescent and male people responded 'because it is a matter of course' but most of the middle and old generation as well as the female responded 'because they need help when their health worsens.' As for the situation when the older adults live with their children, adolescent·middle generation, people with higher academic background, and unmarried people responded that they want to live with children who they can get along regardless of son or daughter. 38.2% of the old generation said that they want to live with a son who they can get along so there was difference in the responses(p<.01). Most of them responded that they want to travel or enjoy hobbies for their leisure time in the old age and it could be seen that the older people were more prepared for their old age. When they were asked if they would agree with their parents going to an old people's home, most of them responded they agree so it shows that they relatively agree with it. Many of the responded that they do not want to send their parents to an old people's home because their parents may not want it and because of financial problem. Thir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of supporting the older adults. As the awareness of financial supporting increases, the awareness of emotional supporting increases and also the awareness of service supporting increases. When the awareness of emotional supporting is high, the awareness of service supporting is high. Therefore, this shows that the awareness of supporting the older adults has effect on each other. When the awareness of supporting the older adults was looked into as shown in the study, the middle generation and the married people had high awareness of financial supporting because they are in the period of stabilizing socially and domestically so this is their progressive task. Also as for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wareness of supporting the older adults, the study shows that the financial factors such as academic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influence the awareness more than the populational factors.

      • 韓國大學生의 老人扶養意識에 관한 硏究 : 光州光域市 所在 大學在學生을 中心으로

        오세룡 朝鮮大學校 政策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We faced the 21 century with the deep consideration of advanced ages among people. We call the societies which have the 14% of over 65 years old people among general population as an advanced age countries. In following 20 years, our country will also belong to this group. The spending times to be an advanced age country in korea is shorter than Japan, the shortest country among advanced countries. It is the one of gratitude to live long and lengthen average span of life. But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decrease of average birthrate and population of rate, we need to prepare thorough scheme for it. The guarantee of old man's income, the preparation of health care system and giving more opportunity to get jobs to old man should be actualized. Caring old parents in korea seems to be a social taboo so younger generation should accept this as their obligation. Especially, in oriental culture It is more obligative virtue. Before the modernization, people mainly live by agriculture. this keeps the family unification inevitable. In this situation the role of leader is very important and also he has authority. With this circumstance children are used to obey their parents and take care of them, when they are in need because of getting sickness or being old. But since 1960's industrial advancement, the general social views of this succeeding custom have been changed. Fast economic advancement produces the improvement of life standard and the progress of medical technics produces the extension of average span of life. As a result, the population of over 65 years old people is increased from 2.9% in 1960 to 6.1% in 1966. and It shows 7.3% of 3,250 thousands in 2001. Korea is appointed as nation in aging society by UN. The average span of life is extended from 52.4 in 1960's to 74.9 in present. This record tells us 50% increase in it. So we can predict we will have more old aged people in population who need to be cared. Probably it can cause a big problem in social welfare. At this point, we need to define what cause our society to have this problem. Firstly, Industrialization and the change of family system from unified family to nuclear family decline the importance of obeying parents to children. Secondly, the extension of average span of life result in financial responsibility to care them. Thirdly, the sudden social exchange causes the change of general viewpoint. It gives old people difficulty to be accustomed to new change in hurry. It gives them loneliness. Fourthly, increasing rate of old aged people produces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health cure facility. Consequently, we need to educate young people on the importance of respecting their parents and being health members, this will be the most practical step. As a matter of fact, most responsibility for caring old people is on each family. people should take care of them economically, physically, and mentally. It is very practical to educate young generation on the importance of respecting old people. Therefore I like to study college students' consciousness about how they think of caring old people. This research is conducted by college students going to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located in Kwang-Ju. We set these kinds of questions for them. At first, what is their consciousness about old people according to region, sex, religion, and birth rank? The second, do they have experience to live with their grand parents? how do their parents educate them on respecting old people? what are their present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he third, what are their plans for their own family about whether they will live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how will they do when they are old? Nevertheless, we study to produce practical outcome. There are still some limit to apply it as solid grounds. As it were, firstly, in choosing the object of research, we set limits to university students in Kwang-ju. Secondly, There should be more influential factors than factors we consider. Our research is basis of researcher's viewpoint and relating documents. In spite of these limits, we research to many kinds of relating documents for getting objectivity. Through these steps, we set up the subject and prime variables. All researching materials were analyzed by the way of spss WIN 10.0 k. As prime analyzing methods, we used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technical statistics, Duncan Ta etc. This research were operated from 21. Oct. 2002 to 2 Nov. 2002 for 2 weeks. Researchers vistited each universities and asked the cooperation to professors in charge. We asked students to fill in the research papers. We used 400 research papers and got back 345 among them as proper materials. We chose three general universities in Kwang-ju. These three universities were already analyzed by other research institute. We can summarize these results like this. 1. The consciousness of caring old people by variables of social population. At first, The consciousness of coring old people according to universities was showed. The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have the most interest in expense and physical care for old people. For the interest in mental care, All university students showed less interest, but still the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ranked first. Secondly, the consciousness of caring old people according to sex showed male students have more interest them female students. But by general statistics, there are no big difference between sex. Thirdly, the consciousness of caring old people according to birth rank showed the oldest son and daughter have more interest. But this result doesn't have meaning anymore because Family system exchanges from a large family to a nuclear family. Fourthly, the consciousness of caring old people according to religion showed Catholic have the most interest for it generally. But buddhism has best in economical support. This result tells Catholic serve most for social community. But statistically, There is big difference among many religious group. 2. The consciousness of caring old people by family variables. Firstly, people who have experience to live with old people and keep good family. Relationship, have more interest in caring old people economically. Them people who don't have. Secondly, people who don't have experience to live with old people and keep bad family relationship, don't have less interest in caring old people. A nuclear family, husband and wife both working, and over-caring for children lessen the family relation. At school, It educates students only with respect of their grades. It is hard to find the education for humanity. In social sight, there is confusion of general viewpoint because of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the knowledge industry. therefore, there should be rational method to solve them. Thirdly, the consciousness of caring old people in physical service Having experience to live with old people, educated in democratic family, and used to respecting parents' order influence positively on it. 3. the consciousness of caring old people with consideration of their being old. 1) response to their being old Firstly, people who have a mind to live with their children in future, have better consciousness on it. Secondly, when they are old, They anticipate their children to take core of them. Thirdly, people who have positive thought of it have more interest of it. Economical expense of caring old people should be formulated like National welfare system and pension system. For caring old people by mental care, we need to set up the general view about old people respecting them in family and society. For the physical care for them, local autonomy should construct more accommodation facility, organize civil volunteer service and operate education program continuously. 2) The attitude for old people. At first, generally, young people have positive attitude to respect and understand old people. Secondly, young people who have mind to live with their parents have better interest in caring old people than not. Statistically, 70% of young people like to live with their parents. Thirdly, young people who mentally respect old people, have more interest in caring old people than not. With these results, I like to suggest several things to be harmonized between young people and old people in family. 1. We need to educate young people to have positive and practical view for old people. So it can be a motive to generize this view in society. 2. Religious groups take important role to expand this view to many local communities and families. 3. Students should realize caring parents rely on their sponsibility first. They do their best to respect their parents and build a healthy family. 4. Old people try to be used to new trend and understand young generation. 5. Caring old people is no more for family responsibility getting more budget, constructing more welfare facility should be considered by social community. 6. This research was operated by university students. We can't say we got very object and general statistic. That's why we need to get more expanding research for getting detail statistics.

      • 가족건강성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충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사회는 1960년대 이후 산업화, 근대화,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적 변화와 문제에 직면해 있다. 그 중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인구의 고령화와 가족부양여건의 변화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로 인해 전통적인 노인부양의식에 있어서도 적지 않은 변화와 문제가 초래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빠른 고령화와 가족부양여건의 변화로 인해 향후 노인부양문제를 둘러싼 사회적 갈등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부양의식에 대한 사회적 환경 및 가족부양 여건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관점에서 가족건강성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노인의 부양은 가족 및 개인의 일차적인 책임과 의무로 여겨져 왔으나 오늘날 사회가 발달하고 산업화가 진전되는 과정에서 인구의 고령화와 도시화에 따른 가족구조의 변화, 유교적 전통에 입각한 효의식의 약화, 여성의 사회진출에 따른 성역할의 변화 등은 노인부양의식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우리사회의 가족부양 여건 및 가정환경, 가치관, 역할의 변화는 자녀와 가족 중심의 노인부양과 부양의식을 약화시키는 주요 요인이며 이로 인해 노인부양문제가 가족 및 개인의 한정된 문제가 아닌 사회 전반의 구조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가족은 여전히 노인부양문제뿐만 아리라 사 회전반에 거쳐 가장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기본이 되는 집단이다. 이러한 가족의 역할과 기능은 1960년대 산업화와 근대화 및 도시화에 따른 여러 변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가족의 건강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건강하고 행복한 가족에 대한 열망은 남녀노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우리 모두의 기본적인 욕구이다. 가족의 건강성은 가족과 사회 전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노인부양문제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10대∼60대의 폭넓은 세대를 대상으로 가족 건강성이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연구함으로서 가족건강성에 따른 노인부양의식의 현재 수준과 향후 노인부양의식의 변화를 미리 예측 해 봄으로써 노인부양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에 있어 유용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가족응집성이 노인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둘째, 가족적응성이 노인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셋째, 가족의사소통이 노인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이와 같이 3가지 연구 목적을 설정하여 조사와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의 분석은 SPSS 통계패키지를 통해 이루어졌고 빈도분석 기술통계t-test, ANOVA,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가족건강성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가족건강성과 노인부양의식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16%의 설명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 3가지 하위 영역인 가족응집력, 가족적응력, 가족의사소통과 가족건강성 모두 노인 부양의식과 관련하여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셋째, 전반적인 노인부양의식에 있어 가족 응집력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노인에 대한 부양의식에 가족건강성, 즉 가족응집력, 적응성, 의사소통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노인부양문제에 사적부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자녀와 가족에 대한 노인부양문제와 연계한 가족의 건강성 증진을 위한 지원정책 및 제도, 프로그램 등의 마련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하겠다.

      • 기초자치단체공무원의 노인부양의식 실태연구

        우성진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2006년도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평균수명 연장으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5년에는 전체인구의 7.2%(339만명)를 차지하고 2018년에는 14.3%(707만명, 약2배)에 다다르고 2027년에는 21.8%(1,065만명, 약3배)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농어촌 지역의 고령화 속도는 도시에 비해 매우 빠르며, 일부 지역은 노인인구가 전체의 20%를 육박하는 지역이 나타나고 있다. 반대로 미래노인인구를 부양해야 할 대상의 출산율이 높아야 함에도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고 특히, 외환위기 이후 2001년부터 초저출산 사회로 진입하고 있어 노인부양부담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노인부양의식의 현상적 특징을 정리하고 노인부양의식 고취와 노인복지정책 실천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통해 설문지를 작성하고, 인천광역시 공무원을 대상으로 노인부양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노인의 부양의식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x2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부양유형의 분석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바탕으로 t-test와 일원변량 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SPSS WINDOWS 1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95%의 신뢰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으며 조사연구 분석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문제 원인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로 부양을 필요로 하는 노인의 연령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사람이 70세 부터라고 응답하였으며 노인의 부양책임자에 대해서는 아들 · 딸 상관없이 부모님과 마음이 맞는 사람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노인에 대한 바람직한 부양형태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자의 대다수가 자식과 가까운 거리에 공간적으로 독립하여 살면서 접촉하는 형(완전 독립형태)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부모님의 치매가 심할 경우 치매 전문 요양원이나 노인전문병원을 이용할 의향에 대해서는 85%가 치매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문요양시설 입소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성공무원에 비해 여성공무원이 치매전문시설의 입소를 더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경제적 부양의식은 여성공무원보다는 남성공무원이, 소득이 작은 집단보다는 소득이 높은 집단에서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신체적 부양의식은 50대에서 가장 높았고 남성이 여성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노인복지정책실현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면 첫째, 지방자치단체와 노인시설간의 자매결연을 통해 공무원의 노인부양경험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조사에서 노인부양경험이 있거나 현재 부양을 하고 있는 대상이 부양경험이 없는 대상에 비해 경제·정서·신체적 부양의식이 높았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와 노인시설의 자매결연을 통해 지방자치단체공무원이 노인시설현장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공무원의 노인이해와 노인부양의식을 향상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 둘째, 노인부양과 관련된 공무원 인사제도상의 지원제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에서도 나타나듯이 노인의 치매발생시 치매전문시설입소에 대한 의향을 묻는 설문에서 85%이상이 입소희망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자치단체는 공무원의 노인부양율을 높이기 위해 노인을 부양하는 공무원에게 승진시 혜택을 주어 노인부양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현대적인 노인이미지 제고를 위한 지원사업이 확대되어야 한다. 노인존재개념의 조사에서 공무원의 절반이상이 측은하고 불쌍하며 부양에 부담스러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노인들이 현대적 이미지를 가진 노인으로 성장하여 아름답고 우아하게 늙어갈 수 있도록 노인대학 등 평생교육을 지원하여야 한다. 넷째, 노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사회적 일자리를 창출하고 노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공무원은 일반인들과 달리 퇴직 후 연금을 수령하기 때문에 노후에 대한 문제를 일반인들에 비해 덜 고민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조사에서 노인의 부양책임에 대해 노인들 스스로 자립해야 한다는 의견이 두 번째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노후를 준비하지 못하고 퇴직 후 혹은 노후에 연금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는 현실을 인식하고 올해부터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을 비롯하여 기초노령연금 제도와 같은 공적부조 뿐 만 아니라 이와 연계된 노후소득보장체계를 구축하여 노인이 경제적 자립을 할 수 있도록 노인일자리 영역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기초자치단체라는 생활상의 공간에서 노인을 위한 현실적인 정책과 제도가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지역의 노인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공무원은 노인에 대한 이해를 새로이 하고 노인부양을 위한 지역단위의 정책개발에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future population calculations done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06,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s lengthening in Korea. The number of people over 65 years old is increasing. It accounted for 7.2% (3,390,000 people) of the total population in 2005. It is expected to almost double to 14.3% (7,070,000 people) by 2018 and triple to 21.8% (10,650,000 people) by the year 2027. In fishing and agrarian villages, the percentage of elderly people is increasing faster than in the cities. In some areas elderly people accounted for almost 20% of the population in 2005. Another problem is the birth rate is not increasing. This means there will not be enough people in the future to support the elderly. The birth rate has been especially low since 2001 after the foreign exchange crisis. This has caused a continuously increasing burden to support elderly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plans that will inspire people who support elderly people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a welfare policy for elderly people. These plans were made using the prevailing ideas of the public service workers in a metropolitan city that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questions were created by studying old records and surveys. Public service work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were surveyed and asked their opinions about supporting elderly people.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grasp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nswers and cross analysis was used (x inspection)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opinions about supporting the elderly.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d one way ANOVA based on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to interpret the supporting patterns of the answers to the survey. A mutual 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onnection between the different opinions of supporting elderly people. The study was analyzed with SPSS WINDOWS 14.0 and with 95% trustworthines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most participants in the survey thought elderly people would need help when they reached the age of 70.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child who gets along well with their parents should help support them. The best way, according to responses, is to live separately but in a nearby area. Second, 85%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would use a nursing home if their parents developed a bad case of Alzheimer’s disease. More female workers said they will think about sending their parents to a nursing home. Third, when asked about the financial responsibility of supporting elderly people, most workers answered that since male workers have a higher income they also have a higher responsibility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When asked about physically supporting elderly people, respondents in their fifties thought male workers should also have more of the responsibility. On the basis of the above mentioned results I have developed plan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welfare policies for elderly people in a local autonomous city. First, a local autonomous city needs to be established with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facilities for elderly people and public workers with experience of supporting elderly people. People who have had experience of are presently supporting elderly people have a higher awareness of what providing support to elderly people entails than people with no experience. By having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workers and elderly people, inexperienced people can learn how to care for elderly people. Second, a promotion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relating to caring for elderly people. As stated previously, 85% of the people responding to this survey would consider using a nursing home is elderly people had Alzheimer’s disease. The local autonomous city needs to give a promotion to workers who continue to care for elderly people instead of sending them to a nursing home. This will encourage workers to be more concerned about taking care of elderly people. Third, use supportive businesses to improve the image of elderly people to a more modern image. One-half of the people surveyed thought negatively of supporting elderly people. They had a poor image of elderly people and pitied them. Therefore, elderly people should have lifelong support for more education such as returning to university in order to be able to function in modern society as well as to age beautifully and elegantly. Fourth, jobs suitable for elderly people’s ability and aptitude should be created and offered to the elderly. The second most commonly held opinion among survey respondents was elderly people should become independent. Public workers trying to establish a welfare policy for elderly people should allow for elderly people to work in various fields of employment. They should also create a guaranteed income system for elderly people who work similar to the basic pension received by elderly people. This would allow elderly people to become financially independent.

      •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 조사

        김명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의 조사 목적은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며, 연구조사는 2008년 4월 1일부터 2008년 4월 5일까지 대구한의대학교 학생 중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일부 문항에 대해서 삭제, 수정·보완하였고 2004년 4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25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250명을 일반적 특성별로 구분해 보면 성별로는 남자가 99명 39.6%, 여자 151명 60.4%로 조사되었으며, 학년별로는 1학년이 69명이고 27.6%였으며, 2학년은 82명 32.8%, 3학년 76명 30.4%, 4학년 23명 9.2%였다. 2. 노인부양의식에서 가장 강한 부양의식을 가진 것은 경제적 부양의식(4.24)이었고, 그 다음이 서비스적 부양의식(4.04), 정서적 부양의식(3.83)의 순이었다. 3. 대학생들의 경제적 부양의식에 관한 조사에서 연령별로는 22세이상 24세미만 학생들의 경제적 부양의식이 4.43으로 가장 높았다(p<0.05). 출생 서열별로는 외동이 4.54로 부양의식이 가장 높았다(p<0.01). 부모님 건강상태별로는 부모님이 건강한 편이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부양의식은 4.36으로 조사되어 부모님의 건강수준이 대학생들의 경제적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4. 대학생들의 정서적 부양의식에 관한 조사에서 연령별로는 22세이상 24세미만 학생들의 부양의식 4.01로 정서적 부양의식이 가장 높았다(p<0.05). 또한 부모님이 건강하다라는 학생집단에서 정서적 부양의식이 높았다(p<0.01). 5.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서비스적 부양의식에 관한 조사에서 부모님 건강이 건강하지 않는 편이다라는 집단에서 서비스적 부양의식이 3.92, 건강이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부양의식은 4.00, 건강한 편이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부양의식은 4.14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6. 경제적·정서적·서비스적 부양의식과 서로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서적 부양의식과 서비스적 부양의식은 서로간의 상관관계가 강하게 나타났다(r=.730). 7. 회귀분석 결과 노인부양의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출생순서(β=.148), 종교(β=.127), 부모님 건강상태(β=.168)였다. 즉 출생순서에서 외동일수록 노인에 대한 부양의식이 높았으며, 종교에서는 종교가 있을수록 노인부양의식이 높았고, 부모님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노인부양의식이 높았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undergraduates’ awarenes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It has conducted preliminary study to verify valid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 survey to 30 students among undergraduates in Daegu Hanny University from 1 to 5 April 2008. Then, it deleted, revised or corrected some items and it performed the field survey to 250 students from 15 April to 31 May 200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y general characteristics, 250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99 men (39.6%) and 151 women (60.4%); 69 freshmen (27.6%), 82 sophomores (32.8%), 76 juniors (30.4%) and 23 seniors (9.2%). 2. With regard to awarenes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economic caregiving awareness was the strongest in this study(4.24), followed by service (4.04) and emotional (3.83). 3. The economic caregiving awareness was highest in students aged between 22 and 24 (4.43) (p<0.05). The awareness was greatest in only child (4.54) (p<0.01). Regarding to health status of parents, it showed 4.36 of supporting awareness in the group answered ‘my parents are healthy’. It meant that health status of parents affects the economic caregiving awareness (p<0.05). 4. With regard to the emotional caregaiving awareness, it was highest in undergraduates aged between 22 and 24 (4.01) (p<0.05) and in the group with healthy parents (p<0.01). 5. In the case of the service caregiving awareness, it was 3.92 in the group with somewhat unhealthy parents; 4.00 in students with somewhat healthy parents 4.14 in the group with healthy par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01). 6. In the correlation among those awareness, it show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and service caregiving awareness (r=0.730). 7. A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awareness for the aged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birth order (β=.148), religion (β=.127) and health status of parents (β=.168). In other words, the awareness was greater in the only child, in the student with religion or with healthy parents.

      •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인천지역 베이비부머들을 중심으로

        한정연 가천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고령 사회의 진전과 저출산 현상의 심화는 예기치 못했던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발생시켰다. 그중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노인부양(老人扶養)의 문제이다. 노인 수는 계속 늘어나는데 비해, 이들을 부양해야 하는 젊은이들은 줄어듦으로써 노인부양 부담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선 전통적으로 노인들이 노후를 자녀에게 의지해서 살아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산업화의 영향으로 핵가족제도가 확산되면서 자녀부양의 전통이 희박해지고 있다. 사회가치관도 급속히 바뀌면서 자녀가 부모부양에 있어서 규범적 책임을 다 해줄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더 이상 어렵게 되었다. 사회 변화에 맞춰 노인들도 자녀들의 효(孝) 의식에 노후를 기대려는 생각을 스스로 접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소득의 향상, 장수(長壽)시대의 도래는 한국인에게 노후생활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처럼 상반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예비노인이라고 할 수 있는 베이비부머들이 단계적인 은퇴에 들어서고 있다. 우리나라 인구의 14.6%를 차지하는 베이비부머들의 동향은 앞으로 한국사회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중․고령에 접어든 베이비부머들이 부모부양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또 자신들이 노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노인부양실태, 노인부양에 대한 인식과 부양의식 수준(경제적 부양, 신체적 부양, 정서적 부양)에 대한 것으로 구성되었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는 전통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 이데올로기를 고수하지는 않았다. 즉, 부모부양에 대한 책임이 ‘자녀’에게 있음을 인지하면서도, 본인의 노후 생활을 자녀와 함께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부양의식을 경제적, 신체적, 정서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본 바, ‘경제적 부양’은 ‘자가 주택 소유 여부’와 ‘가구유형(직계가족 여부)’에 따라서, ‘신체적 부양’은 ‘자가 주택 소유 여부’와 ‘부모의 건강 상태’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정서적 부양’에는 ‘부모의 건강 상태’가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베이비붐 세대’에 있어서 노인부양(老人扶養)의 문제는 은퇴와 마찬가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사회적 관심이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그 동안 노인부양의 문제는 청소년 계층에 국한되어 다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는 더 이상 특정 연령층에만 해당되는 문제가 아니다. 노인부양과 관련된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심의 대상과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여 근거를 충분하게 마련할 필요가 있다. Low fertility and an ageing population create social problems. One of the most sensitive social issues is the support of senior citizens. It is difficult to assure that the support of aging parents is a common and normative responsibility of family members. With the improvement of economic and a longer average life expectancy, traditional family values have recently changed. It is expected that this phenomenon is more serious for the Korean Baby-Boom Generation(born from 1955-63) who have experienced dramatic social change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factors on the support for the elderly and subsequent public interest of the Baby-Boom Generation. For the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perform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about the characteristics, actual conditions for support, and awareness of support for citizens located in the city of Incheon. The awareness of support is divided into: economic support, physic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The main findings are detailed as follows. The Baby-Boom Generation has a negative perception of living with children in their old age, despite the recognition that children have the responsibility to provide old-age support to parents. Secondly,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detailed components; economic support, physic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however, the component that showed the most significance was economic status. The house-owner has a strong awareness of the economic and physical aspects of support. Beyond that, individual factors like type of house(stem family) and parent's health conditions partially affected the Baby-Boom Generation consciousness to support senior citizens. This research help explains the Baby Boomer's behavioral pattern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a diversified study design. Current studies on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have focused on adolescen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extend a range of interests to implement an evidence-based policy.

      • 기독청년이 지각하는 노인에 대한 태도가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 20~30대를 중심으로

        윤미라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27

        국문초록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가 저출산․고령화로 인하여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한국사회는 서구적 가치관과 물질문명에 의해 개인주의적 성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젊은 세대의 부양부담의 증가로 인해 노인에 대한 태도와 부양의식은 감소할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독청년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부양의식이 어떠한지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독청년들에게 노인에 대한 태도와 부양의식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 교육적․사회적 기초자료로 제시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해 불가피하게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로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20~30대 기독청년 164명과 비기독청년 16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청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인에 대한 태도 및 부양의식을 보면 가정 분위기가 화목할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와 부양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민주적인 가정교육을 받은 사람일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고, 노인 대상으로 봉사한 경험이 많을수록 부양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독청년과 비기독청년 사이에 신앙과 노인에 대한 태도 및 부양의식에 대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기독청년의 교회출석기간과 구원의 확신유무가 노인에 대한 태도와 부양의식과는 상관이 없었다. 넷째 기독청년에게 신앙보다는 그들이 지각하는 노인에 대한 태도가 부양의식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기독청년들이 노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첫째 가정의 분위기가 화목하고 부모의 양육방식이 민주적이어야 하다. 둘째 노인을 돌보는 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야 할 것이다. 셋째 청년들의 노인에 대한 교육과 가정의 적극적인 신앙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간호사의 노인부양의식과 노후생활준비 간의 관계

        이원주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문초록 간호사의 노인부양의식과 노후생활준비 간의 관계 간호학과 이 원 주 지도교수 이 지 원 본 연구는 간호사의 노인부양의식과 노후생활준비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0년 10월 18일부터 11월 3일까지 울산광역시에 소재하는 일 대학병원의 간호사 29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노인부양의식은 이영길(2006)의 도구를 서정아(2008)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고, 노후생활준비는 황승일(2000)과 박민숙(2007)의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부양의식의 정도는 3.76점(범위 : 1-5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로 보면 ‘경제적 노인부양의식’이 3.82점으로 가장 높았고, ‘신체적 노인부양의식’이 3.81점, ‘정서적 노인부양의식’이 3.65점의 순이었다. 2. 노후생활준비의 정도는 3.28점(범위 : 1-5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로 보면 ‘정서적 노후생활준비’가 3.65점으로 가장 높았고, ‘경제적 노후생활준비’가 3.62점이고, ‘신체적 노후생활준비’가 3.30점의 순이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부양의식 정도의 차이는 결혼(t=2.720, p=.007), 노인의미(F=9.439,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노인부양의식의 정도는 결혼에서 미혼이 기혼보다 높았으며, 노인의 의미에서 ‘존경의 존재’가 ‘측은한 존재’보다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후생활준비 정도의 차이는 연령(F=5.991, p=.003), 학력(t=-2.455, p=.015), 결혼(t=-1.974, p=.049), 근무형태(F=4.048, p=.018) 및 조부모 동거경험(t=2.672, p=.00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노후생활준비 정도는 연령에서 41세 이상이 30세 이하보다 높았으며, 학력에서 대졸이상이 전문대졸보다 높았고, 결혼에서 기혼이 미혼보다 높았다. 근무형태에서 기타가 3교대보다 높았으며, 조부모 동거경험에서 있는 것이 없는 것보다 높았다. 4. 노인부양의식과 노후생활준비간의 관계는 유의하게 낮은 순상관관계(r=.294, p=.001)가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간호사의 노인부양의식 정도는 중정도 이상이었으며, 노후생활준비 정도는 중정도이었고, 노인부양의식이 높을수록 노후생활준비 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노후생활준비를 위해, 노인부양의식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주기 위한 프로그램이 다양한 간호현장에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노인부양의식, 노후생활준비

      • 한국대학생과 중국조선족대학생간 노인부양의식의 차이에 관한 비교연구

        장길종 翰林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노인부양에 관한 비교문화적 연구는 아직까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것을 계기로 본 연구는 같은 문화권 내 한국대학생과 중국조선족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에 대한 가치지향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한 나라의 사회문제를 같은 문화권 국가와 비교하는 것은 문제양상과 특징을 파악하고 문제해결의 대안을 찾는데 있다. 그것은 서로 다른 지역이나 나라에서 생활하는 대학생들이 노인부양의식에 대하여 일부 공통적인 특성이 존재하기도 하겠지만 문화 사회적인 요인의 영향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는 부분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이 노인부양의식에 대해 가지는 가치와 이념을 파악하고 장래 가지게 될 부양행동의 실마리를 찾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 200명과 중국연변조선족 대학생 200명 총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문화간의 차이와 같은 문화권 안에서도 성향비교가 가능한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을 중요한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이에 따른 효 의식과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생과 중국조선족 대학생간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 효 의식 및 노인부양의식은 모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있어 한국 대학생은 개인주의 성향임이, 중국조선족 대학생은 집단주의 성향임이 검증되었다(P<0.001). 특히 한국 대학생은 전체사회의 집단주의적 정서에도 불구하고 개인주의적 성향을 보여주고 있어, 앞으로 한국사회의 변화방향을 추측해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중국조선족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효 의식과 노인부양의식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P<0.001). 둘째,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별, 연령, 성장지, 형제수, 가정교육엄격성 정도, 경제수준, 부양책임주체, 노후 부양기대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여자이고, 나이가 적으며, 도시에서 성장하고, 형제수가 많고, 가정교육이 자유로우며, 경제수준이 상위이고, 노인부양책임이 자녀에게 있지 않다고 생각하며, 자신의 노후를 자녀들로부터 기대하지 않는 경우 개인주의 성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은 여자이면서 형제가 적거나 외동인 경우 개인주의성향을 지니고, 중국조선족 대학생은 인구사회학적, 가족문화적 요인에 따라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 의식은 나이가 적고, 읍·면에서 성장하였으며, 형제수가 적고, 가정교육이 엄격하고, 경제수준이 하위권이고, 노인부양책임의 주체가 자녀이고, 자녀의 부양을 기대하고, 집단주의 성향을 지니는 경우 효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은 자신의 노후에 자녀가 부양해 주길 기대 하는 경우 효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조선족 대학생은 인구사회학적, 가족문화적,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효 의식 정도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노인부양의식은 가정교육이 엄격한 경우 노인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은 확대가족이고(P<0.1), 조부모와 같이 살고 있는 경우(P<0.1) 노인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고, 중국조선족 대학생은 여자이고(P<0.1), 가정교육이 엄격한 경우(P<0.05)에 노인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것은 중국 정부가 아들에 의한 부모 부양을 전제로 경제·사회적 정책을 펴고 있는 것과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효 의식은 0.484(P<0.001)로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로 검증되었다. 효 의식을 통해 노인부양의식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선행요소는 국적과 가족 및 문화적 요인 중 가정교육 엄격성 정도와 노후부양기대이다.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총인과 효과량은 각각 0.226028, 0.044528, 0.0484의 순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효 의식만이 노인부양의식에 직접효과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연구 결과 한국에 있어서 노인부양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은 현대적인 의미의 실천 가능한 효의 재정립을 통한 효의 자원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가정교육은 무조건적인 복종보다는 세대간에 이해와 대화를 통해 교호적인 관계속에서 자연스럽게 강화되어 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의 강화를 위해서 긍정적인 조부모와의 동거경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학생과 조부모 사이에 매개역할을 할 수 있는 어머니가 조부모에게 애정과 존경을 가지고 행하는 부양행동의 실천교육이 가정에서 전제되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lture of supporting the old age has not sufficiently made.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comparing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between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j the same cultural area. In order to compare the social problems of one country with that of other country in the same cultural area, it is requited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s and find an alternative plan. This is caused by the fact that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other region or country cab show different values of supporting the old age due to an cultural and social influence though they may have some specific characteristics in common. This study is focused on looking into what values Korean university students have about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contributing to predicting their support actions in the future. This study ha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total 400 persons including 200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200 Chinese-Korean students living at YanBian, China. In order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this study has fix the disposition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s an important independent variable that can be compared even in the same cultural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turned ou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disposition, filial piety consciousness, and supporting the old age consciousness between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Korean ones. For the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dispositi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prevailing disposition of individualism while Chinese-Korean ones show a prevailing disposition of collectivism(P<0.001). Especially,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s a distinguished disposition of individualism from the collectivized sense of the whole society, reflecting the direction of radical change in the Korean society. In addition, it has turned out that Chinese-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higher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and supporting the old age than Korean university students(P<0.001). Second, the variables which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distortion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re sex, age, place where they have been brought up, number of brothers, degree of sternness in home education, economic conditions, expectation of support in their old age, and so on. In other words, the students tend to show the disposition of individualism in case that they are women, still younger, brought up in a urban area, have much more brothers, have free or democratic atmosphere of home education, have better economic conditions, and do not expect their children to support themselves in their old age. While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strong disposition of individualism in case they are women or the only son, Chines-Korean ones show no difference in the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disposition according to factors of population sociology and family culture.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has turned out to be high in the group that is younger, brought up in a rural area, much more brothers, in a stern atmosphere of home education, in poor economic conditions, has a strong disposition of collectivism.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high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in case that they expect their children to support themselves in their old age. On the other side, the Chinese-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consistent sense of filial piety less influenced by factors of population sociology, family culture,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has turned out to be high in the group that has been brought up in a stem home education.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strong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in case they have been brought up in a large family(P<0.l) and live together with grandparents(P<0.l), while the Chinese-Korean students do in case they are women(P<0.l) and have brought up in a stem home education(P<0.05). This reveals an unexpected result from the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carried out by the Chinese government to assume the old age support. Third, the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has been turned out ti be a parameter to give an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amounting to 0.484(P<0.001). Essential prerequisites, which exert an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through the filial piety consciousness, are degree of sternness in home education and expectation of support in old age. Total amount of cause effects influencing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get higher in the order of 0.226028, 0.044528, 0.0484. However, it has turned out that only the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The results of a positive study above stated imply that it is required to rebuild the concept of traditional filial piety in a way that it cab be effectively carried out in a modem society to shape a policy of supporting the old age. For this, home education should adopt a democratic method, which can naturally strengthen the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through understanding and conversation among different generations, instead of enforcing an absolute obedience. Additionally, it is recommendable to experience living together with grandparents to sharpe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It means that a mother should play an intermediate role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grandparents, giving the students a good example of paying affection and respect to grandparents to carry those precepts into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