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한국대학생과 중국조선족대학생간 노인부양의식의 차이에 관한 비교연구

        장길종 翰林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노인부양에 관한 비교문화적 연구는 아직까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것을 계기로 본 연구는 같은 문화권 내 한국대학생과 중국조선족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에 대한 가치지향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한 나라의 사회문제를 같은 문화권 국가와 비교하는 것은 문제양상과 특징을 파악하고 문제해결의 대안을 찾는데 있다. 그것은 서로 다른 지역이나 나라에서 생활하는 대학생들이 노인부양의식에 대하여 일부 공통적인 특성이 존재하기도 하겠지만 문화 사회적인 요인의 영향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는 부분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이 노인부양의식에 대해 가지는 가치와 이념을 파악하고 장래 가지게 될 부양행동의 실마리를 찾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 200명과 중국연변조선족 대학생 200명 총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문화간의 차이와 같은 문화권 안에서도 성향비교가 가능한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을 중요한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이에 따른 효 의식과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생과 중국조선족 대학생간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 효 의식 및 노인부양의식은 모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있어 한국 대학생은 개인주의 성향임이, 중국조선족 대학생은 집단주의 성향임이 검증되었다(P<0.001). 특히 한국 대학생은 전체사회의 집단주의적 정서에도 불구하고 개인주의적 성향을 보여주고 있어, 앞으로 한국사회의 변화방향을 추측해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중국조선족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효 의식과 노인부양의식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P<0.001). 둘째,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별, 연령, 성장지, 형제수, 가정교육엄격성 정도, 경제수준, 부양책임주체, 노후 부양기대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여자이고, 나이가 적으며, 도시에서 성장하고, 형제수가 많고, 가정교육이 자유로우며, 경제수준이 상위이고, 노인부양책임이 자녀에게 있지 않다고 생각하며, 자신의 노후를 자녀들로부터 기대하지 않는 경우 개인주의 성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은 여자이면서 형제가 적거나 외동인 경우 개인주의성향을 지니고, 중국조선족 대학생은 인구사회학적, 가족문화적 요인에 따라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 의식은 나이가 적고, 읍·면에서 성장하였으며, 형제수가 적고, 가정교육이 엄격하고, 경제수준이 하위권이고, 노인부양책임의 주체가 자녀이고, 자녀의 부양을 기대하고, 집단주의 성향을 지니는 경우 효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은 자신의 노후에 자녀가 부양해 주길 기대 하는 경우 효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조선족 대학생은 인구사회학적, 가족문화적,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효 의식 정도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노인부양의식은 가정교육이 엄격한 경우 노인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은 확대가족이고(P<0.1), 조부모와 같이 살고 있는 경우(P<0.1) 노인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고, 중국조선족 대학생은 여자이고(P<0.1), 가정교육이 엄격한 경우(P<0.05)에 노인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것은 중국 정부가 아들에 의한 부모 부양을 전제로 경제·사회적 정책을 펴고 있는 것과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효 의식은 0.484(P<0.001)로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로 검증되었다. 효 의식을 통해 노인부양의식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선행요소는 국적과 가족 및 문화적 요인 중 가정교육 엄격성 정도와 노후부양기대이다.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총인과 효과량은 각각 0.226028, 0.044528, 0.0484의 순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효 의식만이 노인부양의식에 직접효과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연구 결과 한국에 있어서 노인부양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은 현대적인 의미의 실천 가능한 효의 재정립을 통한 효의 자원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가정교육은 무조건적인 복종보다는 세대간에 이해와 대화를 통해 교호적인 관계속에서 자연스럽게 강화되어 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의 강화를 위해서 긍정적인 조부모와의 동거경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학생과 조부모 사이에 매개역할을 할 수 있는 어머니가 조부모에게 애정과 존경을 가지고 행하는 부양행동의 실천교육이 가정에서 전제되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lture of supporting the old age has not sufficiently made.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comparing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between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j the same cultural area. In order to compare the social problems of one country with that of other country in the same cultural area, it is requited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s and find an alternative plan. This is caused by the fact that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other region or country cab show different values of supporting the old age due to an cultural and social influence though they may have some specific characteristics in common. This study is focused on looking into what values Korean university students have about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contributing to predicting their support actions in the future. This study ha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total 400 persons including 200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200 Chinese-Korean students living at YanBian, China. In order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this study has fix the disposition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s an important independent variable that can be compared even in the same cultural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turned ou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disposition, filial piety consciousness, and supporting the old age consciousness between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Korean ones. For the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dispositi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prevailing disposition of individualism while Chinese-Korean ones show a prevailing disposition of collectivism(P<0.001). Especially,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s a distinguished disposition of individualism from the collectivized sense of the whole society, reflecting the direction of radical change in the Korean society. In addition, it has turned out that Chinese-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higher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and supporting the old age than Korean university students(P<0.001). Second, the variables which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distortion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re sex, age, place where they have been brought up, number of brothers, degree of sternness in home education, economic conditions, expectation of support in their old age, and so on. In other words, the students tend to show the disposition of individualism in case that they are women, still younger, brought up in a urban area, have much more brothers, have free or democratic atmosphere of home education, have better economic conditions, and do not expect their children to support themselves in their old age. While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strong disposition of individualism in case they are women or the only son, Chines-Korean ones show no difference in the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disposition according to factors of population sociology and family culture.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has turned out to be high in the group that is younger, brought up in a rural area, much more brothers, in a stern atmosphere of home education, in poor economic conditions, has a strong disposition of collectivism.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high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in case that they expect their children to support themselves in their old age. On the other side, the Chinese-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consistent sense of filial piety less influenced by factors of population sociology, family culture,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has turned out to be high in the group that has been brought up in a stem home education.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a strong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in case they have been brought up in a large family(P<0.l) and live together with grandparents(P<0.l), while the Chinese-Korean students do in case they are women(P<0.l) and have brought up in a stem home education(P<0.05). This reveals an unexpected result from the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carried out by the Chinese government to assume the old age support. Third, the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has been turned out ti be a parameter to give an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amounting to 0.484(P<0.001). Essential prerequisites, which exert an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through the filial piety consciousness, are degree of sternness in home education and expectation of support in old age. Total amount of cause effects influencing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get higher in the order of 0.226028, 0.044528, 0.0484. However, it has turned out that only the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The results of a positive study above stated imply that it is required to rebuild the concept of traditional filial piety in a way that it cab be effectively carried out in a modem society to shape a policy of supporting the old age. For this, home education should adopt a democratic method, which can naturally strengthen the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through understanding and conversation among different generations, instead of enforcing an absolute obedience. Additionally, it is recommendable to experience living together with grandparents to sharpe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old age. It means that a mother should play an intermediate role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grandparents, giving the students a good example of paying affection and respect to grandparents to carry those precepts into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