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잡지『內鮮一體』에 나타난 내선결혼의 양상 연구

        대옥천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1930년대에 들어서 일본은 그 동안 조선에 대해서 표방했던 문화통치를 지양하고 ‘내선일체(內鮮一體)’라는 보다 적극적인 동화정책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내선일체는 조선인을 완전한 일본인으로 만들기 위한 일본의 황국화 정책의 최종 단계이며, 총독부는 내선일체의 완전체로 ‘내선결혼’을 권장하였다. 그리고 1930년대 후반부터는 염상섭, 이광수, 김사량, 이효석을 비롯한 많은 작가들이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일본인과 조선인 사이의 연애와 결혼 문제를 자주 언급하였다. 또 1940년 1월에는 내선일체실천사가 기관지 內鮮一體를 발간하여 내선결혼 촉진에 주력하였다.실천사는 내선일체를 통해 내선결혼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한편 내선결혼상담부를 운영, 내선결혼을 직접 중매하였다. 한 쌍이라도 더 많은 내선 부부를 탄생시키고자 실천사는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내선결혼을 미화하고 권장하였다. 이 논문은, 잡지에 드러난 결혼에 대한 장려와 추천의 목소리 뒤에 은폐된 내선결혼의 현실적 어려움을 역설적으로 읽어낸 것이다.내선일체에 드러난 내선결혼을 막는 장애물은, 크게 <풍속 습관 언어의 차이>, <가정의 반대와 사회적 몰이해>, <사회 제도의 문제>, <‘조선인’ 차별>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장애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내선절충과 서양의 도입>, <정부의 적극적 장려> 그리고 <제3국으로의 탈출>이 제안되었다. 서양문화가 내선문화의 윤활유로서 기능했다면, <제3국으로의 탈출>은 내선간의 갈등을 근본적으로 해소하는 방법으로, 내선결혼자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한 것이다. 요컨대 내선일체를 위한 이상적인 내선결혼은 내선일체의 외부, 즉 일본제국의 외부에서만 가능했다고 할 수 있다.총독부의 정책적 장려와 여론의 권장에도 불구하고 ‘내선결혼’이라는 정책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내선결혼을 둘러싼 현실적 장애물들이 내선결혼을 가로막은 것은 사실이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내선결혼’이라는 논리 자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선결혼’ 자체가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모순을 내포하고 있었던 것이다. 당시 총독부와 내선일체는, 내선결혼은 어디까지나 ‘개인과 개인의 결합’이며 ‘사랑에 근거한 결혼’임을 강조하면서 내선결혼을 개인의 문제로 국한시키고자 하였다. 그런데 내선일체에 실린 글들을 면밀히 분석해보면, 실천사가 추구하는 내선결혼이란 ‘국가 대 국가의 결합’ 및 ‘국가를 위한 결혼’이라는 사실이 은연중에 드러난다.‘국가를 위한’ 개인의 부정은 내선에서 당대를 풍미했던 사상운동 ‘신체제’에서 기인한다. ‘신체제’ 운동의 지향점은 국민 각자의 세계관, 인생관, 국가관, 생활감정에서 개인주의를 없애고 이기주의를 타파하여 각각의 직분(職分)을 국가의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데에 있었다. 당시 일본의 목적은 전쟁에서의 일본의 승리, 나아가 일본을 중심으로 한 세계신질서 건설이었다. 국가의 목적 달성에 있어 조선인의 개인주의나 이기주의는 위험 분자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본은 개인주의를 타파하고 ‘국가주의’를 함양하는 데에 전력을 기울였다. 내선결혼촉진운동의 논리도 이와 같은 국가주의체제 이데올로기에 근거한 것이었다. 다만 내선일체는 ‘결혼’이라는 개인간의 문제를 정면에 내세움으로써 ‘국가를 위한 개인의 희생’이라는 논리를 은폐하였다.또한 본고는 내선일체에서 논의된 시론(時論)과 내선결혼을 주제로 한 소설들을 분석하여 일본인․조선인은 각각 ‘내선결혼’을 어떻게 인식했으며, 어떠한 반응을 보였는가를 살펴보았다. 양국의 내선결혼자 비율을 조사해보면 일제가 본격적으로 내선결혼을 장려하기 시작한 1930년대 말부터는 조선 남성과 일본 여성의 결혼이 일본 남성과 조선 여성의 결혼보다 훨씬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비율의 불균등을 초래한 원인은 바로 내선결혼에 대한 일본인과 조선인의 인식 차이였다.조선 남성에게 내선결혼은 ‘제국 일본’에 동화됨으로써 피지배자의 위치에서 벗어나, 한순간에 세계를 지배하는 민족의 일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했다. 이 때 일본 여성은 조선 남성이 ‘일본인’으로서의 권리를 획득하기 위한 도구적 역할을 했다. 더구나 조선 여성에 비해 높은 교양과 생활력을 갖춘 일본 여성은 좋은 신부감으로 평가받고 있었다. 따라서 조선 남성에게 내선결혼은 ‘일본인’이 될 수 있는, 좋은 ‘아내’를 얻을 수 있는 ‘이상적인’ 결혼이었던 것이다. 조선 남성들의 일본 여성에 대한 동경심은 내선일체 기사나 당시 소설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내선결혼상담부에 결혼 신청을 하는 사람 대부분이 조선 남성이었다는 사실 역시 이를 입증한다.일본 입장에서도 조선 남성과 일본 여의 내선결혼은 내선일체의 목적에 부합하는 결합이었다. 왜냐하면 내선결혼을 통해 일본이 획득하고자 한 것은 병참기지로서의 조선과 일본 남성의 대체노동력, 그리고 전력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병사로서 동원되는 조선인 남성의 경우에는 완전한 일본인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했다. 언어나 충성심 면에서 황민화가 안 된 조선인 남성에게 무기를 주는 것은 위험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또한 재조선 일본 여성은 대부분이 만주나 지나 등으로 이주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이 없었기 때문에 재조선 일본 여성들과 조선 남성의 결혼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대륙 진출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고 여겨졌다. 따라서 일본 남성들은 내선결혼의 설천을 권장하면서도 스스로는 내선결혼을 하지 않고 내선결혼 중매자로서의 역할에 주력한 것이다.이처럼 일본 남성과 조선 남성의 요구가 만나는 지점이 있었고, 동시에 일본 여성들의 적응력이 뒷받침되어서 조선 남성과 일본 여성의 결혼은 압도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내선결혼의 불균등성은 내선결혼의 환경적 측면과 개인들의 심리적 측면이 드러나고, 그것을 둘러싼 국가와 개인의 첨예한 이해관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1930年代に入り日本は、それまで朝鮮に?し標榜していた文化統治を止揚し‘?鮮一???というより積極的な同化政策を追求し始めた。?鮮一?とは、朝鮮人の完全なる日本人化を目標とした、皇民化政策の最終段階ともいえるのだが、朝鮮?督部では?鮮一?の完全?として??內鮮結婚??を??した。また、1930年代の後半からは廉想涉、 李光洙、 金史良、 李孝石を初めとする多くの作家達が、肯定的であれ否定的であれ、日本人と朝鮮人との間に展開される?愛や結婚の問題を、より積極的に扱うようになった。そして1940年1月、內鮮一體實踐社は機?誌內鮮一體を創刊し、?鮮結婚の促進に邁進した。實踐社は、內鮮一體を通じ、?鮮結婚の正?性を主張する一方、?鮮結婚相談部を設立し、?鮮結婚を直接仲介した。實踐社は、一組でも多くの?鮮夫婦を誕生させるため、誌面の多くを割いて?鮮結婚を美化し??したのだが、この論文では逆?的に、その??と促進の裏に?蔽された?鮮結婚の困難を?みとった。內鮮一體に表われた?鮮結婚の障害物は、大まかに〈風俗、習慣、言語の差〉、〈家庭の反?と社?の無理解〉、〈社?制度の問題〉、〈朝鮮人差別〉等に分類できる。これらの障害を解決する方法として、〈內鮮折衷と西洋の導入〉、〈政府の積極的??〉及び〈第3?への?出〉が提案された。西洋文化が?鮮文化の潤滑油として機能したのに?し、〈第3?への?出〉は、?鮮間の葛藤を根本的に解消する方法として、?鮮結婚者に新しい可能性を?えた。つまり?鮮一?のための理想的な?鮮結婚は、皮肉なことに?鮮一?の外部、?ち日本帝?の外部でのみ可能であったのだ。?督部の??や世論の??にもかかわらず、‘?鮮結婚??という政策はそれほどの成果を?め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鮮結婚をめぐる現?的な障害物が?鮮結婚の促進を妨げたのはいうまでもないが、その根本的な原因は別のところにあったといえる。要するに???鮮結婚??という論理自?が抱える矛盾が、?鮮結婚を?現不可能としていたのだ。?時、?督部や內鮮一體は?鮮結婚を??するにあたり、?鮮結婚はあくまでも??個人と個人の結合??であり??愛に基づいた結婚??であることを?調していた。しかし內鮮一體に?載された記事を綿密に分析することにより、實踐社が追求した?鮮結婚とは、???家??家の結合??および???家のための結婚??であった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家のための個人の否定??は、?時?鮮を風靡していた思想運動??新?制??に起源する。新?制運動の目的は、?民各自の世界?、人生?、?家?、生活感情などから個人主義を排除、利己主義を打破し、各自の職分を?家のために全うするところにあった。この?時日本は、??での勝利、さらには日本を中心とした世界新秩序の建設を目標としていたのだが、目標達成において朝鮮人の個人主義や利己主義は、その妨げとなるおそれがあった。よって日本は、個人主義の打破と?家主義の涵養に全力を?くしたのだ。內鮮結婚促進運動の論理も、このような?家主義?制のイデオロギ?に基づいたものだといえるのだが、內鮮一體は?鮮結婚の??において個人の問題を前面に押し出すことにより、???家のための個人の?牲??という論理を?蔽したのだ。またこの論文は、內鮮一體で扱われた時論や?鮮結婚をテ?マとする小?を分析し、日本人、朝鮮人はそれぞれ?鮮結婚をどのように認識し、どのような反?を見せていたのかを探究した。??の?鮮結婚者の割合を調査してみると、日本帝?が本格的に?鮮結婚を??し始めた1930年代末からは、朝鮮人男性と日本人女性の結婚が、日本人男性と朝鮮人女性の結婚に比べかなり高い比率を占めたことが分かる。?はこのような比率のアンバランスを招いた原因こそ、日本人と朝鮮人の間に存在する‘?鮮結婚??に?する認識の差にあった。朝鮮人男性にとって?鮮結婚とは、‘帝?日本??に同化することにより、被支配者の地位から一瞬にして世界を支配する民族の一員となる可能性を意味した。このとき日本人女性は、朝鮮人男性が??日本人??としての?利を獲得するためのツ?ルであったといえる。さらに朝鮮人女性に比べ高い?養と生活力を備えた日本人女性は、結婚相手として高く評?されていた。よって、朝鮮人男性にとって?鮮結婚とは、??良妻??を迎え??日本人??になることのできる、ある意味??理想的な結婚??だったといえる。朝鮮人男性の日本人女性に?する憧憬は、內鮮一體に?載された記事や?時の小?から確認することができる。また、?鮮結婚相談部への結婚申し?み者の多くが朝鮮人男性であったという事?も、やはり、これを立?するだろう。一方、日本にとっても、朝鮮人男性と日本人女性の組み合わせは、?鮮一?の目的に符合する結合だった。?鮮結婚を通じ日本が目指したものは、兵站基地としての朝鮮と、兵力としての朝鮮人、および??に動員された日本人男性の代替?力の獲得であったからだ。特に、兵士して動員される朝鮮人男性の場合、完全なる日本人化が絶??件であった。言語や忠誠心の面で皇民化されていない朝鮮人男性に武器を持たせることは、日本にとって危?となりえたからだ。また、在朝鮮日本人女性の多くは、?州や支那への移住に比較的積極的だった。そのため長期的にみても、在朝鮮日本人女性と朝鮮人男性の結婚は、大陸進出を狙う日本にとって有利に展開し得る結婚であったといえる。日本人男性が、?鮮結婚の??を推?しながらも自らは?鮮結婚をせず、むしろ?鮮結婚の仲介に力を注いだのはそのためだ。このように、日本の政策と朝鮮人の野望が一致した上、日本人女性たちの順?性も加わり、朝鮮人男性と日本人女性の組み合わせが?倒的に高い比率を占めた。つまり、?鮮結婚の比率のアンバランスは、?鮮結婚の環境的側面と心理的側面の表徵であり、それを取り?く?家と個人の尖銳な利害?係を如?に表わしたものだといえる。

      • 이광수의 내선일체지향소설 연구

        박수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2

        친일문학이 태어난 배경은 식민주의 억압에 의한 것이었으나 문인들과 지식인들은 친일문학 창작을 통해 일본의 식민주의 정책을 내면화했다. 그런 의미에서 친일문학은 일본의 식민주의 전반 즉 군사주의와 전체주의, 자원입대와 내선일체 등을 모두 포함할 뿐만 아니라 식민주의를 내면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이광수는 스스로가 친일을 했음을 인정했고, 단순히 일제의 외압에 의해 작품 활동을 했다기보다 스스로 내적 논리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친일문학을 창작했다. 평론, 소설, 시, 수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글을 썼을 뿐 아니라, 강연회와 문인협회 조직 등 작품 내적, 외적으로 다양한 친일행위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광수의 친일문학에 대한 연구는 친일행위에 집중한 나머지 문학은 외면하는 양상을 띠어 구체적인 작품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았다. 이광수의 친일을 논하는데 있어 단순히 친일행위에 집중하여 이를 조명하는 것은 큰 의미를 갖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이 논문에서는 그의 친일문학 형성에 있어서 작가 개인의 창작 욕구에 의한 부분과 일본의 식민주의 정책에 의한 부분을 함께 살펴보려 하였다. 1910년대와 20년대의 이광수는 정신적 자각에서 기초한 ‘변화’를 꾀하는데 모든 노력을 기울였다. 유교를 비롯한 조선의 구습을 비판하고 새로운 지식과 체제를 받아들여야 한다며 준비론과 실력양성론을 주장하였다. 이는 조선의 독립을 위해서는 변화를 바탕으로 한 민족성 개조와 실력양성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광수가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는 것이 있었다. 바로 교육의 중요성이다. 일본의 신지식과 신체제를 조선인에게 교육하는 것, 이광수에게 있어 교육은 일제하 혼란스러운 조선의 현실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뿐만 아니라 교육은 조선인을 능히 일본인으로 만들어줄 수 있고, 조선을 일본화(化)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방법이었다. 한편 이광수의 내선일체지향소설의 외부적인 발생요인으로는 국민문학론의 등장을 들 수 있다. 이광수의 내선일체논리는 이미 1910년대부터 그 기초가 마련되어 있었고, 1930년대 후반 일제의 식민지배 정책 중 하나인 국민문학론의 등장과 맞물려 내선일체지향소설로 나타났다. 일본어를 문화어로 규정하는 일본어상용정책을 통해서 문학을 도구로 삼아 일본의 이데올로기를 전파하여 조선인을 ‘일본적 교양인’으로 양성하는 것이 국민문학의 목적이었다. 2장에서는 이광수의 내선일체지향소설이 이광수의 내적 논리와 일제의 식민지논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조선에 대한 여러 정책과 맞물려 이를 홍보하고 선전하는 국민문학의 성격을 뚜렷이 띠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이광수의 내선일체지향소설이 주장하는 바를 살펴보고 작품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광수의 내선일체지향소설이 주장하는 바는 ‘조선인의 일본인화’이며, 이 논문에서는 이를 ‘생활의 황민화’, ‘생활의 임전화’, ‘조선(인)과 일본(인)의 일체화’ 이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민족개조론과 그 궤를 같이 하는 이광수의 내선일체지향소설에는 개조의 대상이 반드시 등장한다. 그 대상은 조선인이며 실제로는 조선 전체를 의미한다. 개조의 방법과 목적은 일본의 앞선 문화, 제도, 사소한 생활양식까지도 모두 이어받아 조선인의 철저한 일본인화를 꾀하는 데 있다. 4장에서는 이광수가 내선일체지향의 구체적인 실현방안으로 작품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선인(內鮮人)간의 연애와 결혼, 교육을 통한 계몽, 징병제와 참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광수의 작품에서 내선인간의 결혼과 연애는 일본인 남성과 조선인 여성, 또는 조선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의 결합을 통한 總親和가 목적이다. 이러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제시된 것이 ‘창씨개명’과 ‘내선결혼’이다. 특히 내선결혼은 이광수가 내선일체지향소설에서 일관되게 나타내고 있는 ‘정(情)을 통한 내선일체’의 방향에도 잘 부합되며, 내부적으로 조선과 일본을 결합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이었으므로 1940년대에 활발한 국책사업으로 홍보하기도 하였다. 교육은 조선인을 황민화 하는데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이광수의 여러 내선일체지향소설에 공통적으로 등장한다. 이광수는 훌륭한 교육자 한 사람이 조선인 여럿을 변화, 감화시킬 수 있음을 작품을 통해 보여줌으로써 &#65378;민족개조론&#65379;에서부터 이어져온 피라미드식 동맹이 조선민족의 개조와 조선인의 변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징병제의 실시는 조선인에 대한 인적 착취였음에도 불구하고 이광수의 내선일체지향소설에서 완전한 일본의 국민이 될 수 있는 기회로 포장되었다. 결국 이광수의 내선일체지향소설에 드러난 내선일체의 목적은 ‘조선인의 일본인화’였으며 그 방법론은 ‘정(情)’을 통한 것이었다. 또한 이광수의 ‘내선일체’는 조선인이 일본인을 모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피와 살과 뼈가 일본인이 되어야 하는 것, 조선인이 완전한 일본인이 되는 것이었다. 1910년대 조선의 현실을 비참하게 자각한 이광수에게 있어 일본은 조선의 현실을 극복하고 미래의 희망을 제시할 수 있는 이상향이었다. 결과적으로 일본을 지향하는 내선일체의 기본 논리는 1940년대까지 지속되었고, 그 과정에서 방법론만이 이따금 변화하였을 뿐이다.

      • 일제 말기(1938년-45년) "내선일체"론과 전시동원체제

        최유리 이화여자대학교 1995 국내박사

        RANK : 248702

        Imperialist Japan reigned over Chosun by taking the form of direct rule, based on the assimilation principle from the beginning. Especially, Minami, Jiro(南次郞), who started for his new post as a governor-general of Chosun just before the outbreak of Sino-Japanese War in 1937, enforced the most powerful assimilation policy on the people of Chosun under the slogan of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內鮮一體) as it was his ideology of colonial rule. The theory of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 had the purpose of providing spiritual mobilization system in making Chosun a supply base of the continental advancement for the performance of war of imperialist Japan. Therefore, the theory made the important ideological basis of all policies during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The import of the "theory of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內鮮一體論) was to make perfect Japanese out of Chosun people, centering around the national structure of Japan, and this was used for the purpose to make Chosun people think that they were the community having the same fate as Japanese and then they could be easily mobilized without any resistance when in war. Similarly, as a part of the operations to control thoughts and intelligence of Chosun people, they carried out the readjustment of newspapers written in Chosun language, and in this process, Dong-a-ilbo and Chosun-il-bo, the representative national papers, were forcibly discontinued their publication. In order to reorganize spiritual state of Chosun people on a war footing, a government-inspired campaign was entered upon in the name of the General Mobilization of National Spirit Campaign(國民精神總動員運動) in 1938. This campaign systematized whole Chosun people into the organized system unified with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at the same time, it was forming the watch and mobilization system through low echelon organization unit so-called Patriotic Neighbourhood Meeting(愛國班). The substance of the Campaign was devided into two categories, that is, one was campaign of spiritual-enlightment for integration of Japanese and Chosun people, and the other, that of war-time cooperation which supported economically performance of war of imperialist Japan but, despite of its demanding of Chosun peoples spontaneous participation in the Campaign, it was no more than quite formal character. Japan found the way out of limits of the Campaign of General Mobilization of National Spirit, and in order to keep pace up with the trend of a new system movement, arising at the time in Japan, Japan switched the Campaign of General Mobilization of National spirit over to National All-out Campaign(國民總力運動) in 1940. While the new system campaign in Japan made progress by the name of Taisei Yokusan Kai(大政翼贊會), in Korea, they named National All-out Campaign in order to eliminate the political character of campaign from the very beginning, and stricktly kept guard on the gushing out of political interest through the organization of the campaign. The National All-out Campaign appeared as the colligation movement of all the colonial politics of imperialist Japan, by abolishing or unifying the movement of developing an agricultural community(農村振興運動), which had been carried through 1930s. Not only that but, the governor-general, by going into office directly as the President of the League of Chosun, went forward to the unification of government structure of imperial Japan and the organization of the Campaign. The substance of the Campaign took over basically that of the previous General Mobilization of National Spirit Campaign as it was, but as the importance of delivery(供出), production increase(增産), and saving, etc. were given much weight because of performance of war, economical pressure on Chosun people was gradually added by an extra weight. Series of government-inspired campaigns, from General Mobilization of National Spirit Campaign to National All-out Campaign, aimed for the completion of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 as their most important object, and also the main gist of the campaigns were operations of recreating the imperial subject(皇民) out of Chosun people. However, the ultimate object of "Integration of Japan and Korea" was to prepare for the practicable situations to mobilize Chosun people to war. One of the good example was the problem of diffusion of Japanese language. The campaign of diffusion of Japanese language, which was one of the National All-out Campaign and had been unfolding in the name of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Language" and "Campaign of Ordinary Use of Japanese Language"(國語全解·常用運動) since 1942, was a recreating operation of imperial subject and at the same time it was the preparation work for draft system, which was expected to bring into operation in 1944. Imperial Japan converted the lukewarm policy of Japanese language diffusion, which had been performing mainly at school since the year of 1937, when the argument on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 had begun. Now, on one hand, teaching of Chosun language was eliminated from school curriculum but the other hand, several measures to turn Japanese language into ordinary-use-language were putting into practice. In other words, as an important device of imperializing policy, diffusion of Japanese language was coming up to the surface. Nevertheless, the diffusion rate of Japanese language as of 1942 did not come up to 20% of the national average. As for imperialist Japan, who must introduce draft system under the condition of only 25% of age group of recruiting objects, understanding Japanese language, couldnt but concentrate on the diffusion and ordinary use of Japanese language by putting whole organization of National All-out Campaign into full operation. Both the military volunteer system that started in 1938 and the draft system which had been enforced since 1944 had something in common. Both were the systems aimed at the mobilization of Chosun people to war as military force, but the concrete purpose of practice and the real intention of imperial Japan was different. In case of the volunteer system, it was enforced under the intention of infusing imperial sense into Chosun peoples minds, along with the purpose of trying to clear up the problem of insufficient military forces which came up with the expansions of aggressive and long-pending war. In this period, the great emphasis was rather placed on the former. Namely, imperialist Japan calculated that it would be not until the national education for Chosun people be put to practice when right time for the practice of perfect compulsory education arrives in Chosun, that then Chosun people could be used with confidence as the resources of military force. Therefore, enforcement of draft system in Chosun was estimated as the task of approximately 50 years or, at least, 20 to 30 years later than that of volunteer system and they clarified that the volunteer system was not the premise of the draft system. But this plan of imperialist Japan brought about a big mistake on account of the outbreak of World War Ⅱ. The scale of military forces that imperialist Japan needed was 2,000,000 to 2,500,000, while the reasonable scale available was merely 1,200,000 in case of supplying solely with Japanese people. What was more, continuous drop of birth-rate in Japan brought about the shortage of labor and even insufficiency of military force. Consequently, imperialist Japan noticed the use of foreign people and Chosun people became the first object of it. Accordingly, the draft system in Korea was to be enforced. Unlike the original intention of imperialist Japan, the draft system had to be introduced all of a sudden before the mapping out of concrete plan for the compulsory education was done yet. In fact, the compulsory education was precondition of the draft system. Soon, Japan enforced thorough education to the objects of the draft through Youth Special Training School(靑年特別鍊成所) as preparation for the draft system. Above all, the fact of not being able to have confidenc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of the youths, born aft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had started and educated from them, proved the opposite that the assimilation policy of Japan did not give any satisfactory results. The propaganda and enlightenment on the draft system, which had driven the very lives of Chosun people into war, were of great importance. The primary logic was nothing but the theory of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 that is, by advocating their logic,--having had accomplished the task of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 they offered the noble obligatory military service--they concealed cleverly the original intention of Japanese imperialism that they had intended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military force through conscription. Along with the enforcement of the draft system, the problem of suffrage of Chosun people was of great importance. Since Chosun people underwent the obligatory military service as Japanese people now, an issue on suffrage flared up again among the national reformers(民族改良主義者) in Chosun, who were in the state of lull since the first half of 1930. Namely, the issue was that Chosun peoples participation in government must be expanded as a consideration to the paying of blood tax. Imperialist Japan who had been consistently confronting with the claim on suffrage of Chosun people till then, now began to bring on a change in method by introducing extremely limited and formal local self-government system. They worried that if they kept using the device of expansion of local government system as the solution of suffrage problem, it might go as far as the formation of Chosun local assembly and moreover, it would possibly go further into the self-governing dominization and independence. On this matter, Japan judged that further expansion of local self-government system was dangerous for continuance of the colonial rule in Chosun, and settled the problem of suffrage, by allowing Chosun members participation in the House of Representative of Japan(衆議院), about which they were abstained from up to that time from the reason that they might hold the casting vote. However, the method of election was such a strictly restricted one that only 2% of whole Chosun people held the right to vote and 22% of it was occupied by Japanese. In short, the franchis was given to extremely small part of pro-Japanese, and then, they planned to realize a government of national separate control(民族分割統治), by weaving in the government structure of imperialist Japan through measures of granting very few Chosun people whom they had 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Japanese assembly. And yet, they kept propagating toward Chosun people the logic of having accomplished the result of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they had already confirmed with the enforcement of draft system--, through the system of participation in Japanese congress. In this manner, with the same logic Japanese imperialism explained to Chosun people that matters of draft system and suffrage were a materialization of "Integration of Japan and Chosun". But the fact of including both the draft system, which regarded the lives of Chosun people as its object and the suffrage, which its object was economically upper class and only less than 2% of whole population by way of strictly limited election, was not persuasive enough. 일제의 조선 통치는 처음부터 同化主義에 입각한 직접 통치의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특히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직전 조선총독으로 부임한 南次郞은 식민지 지배의 이념으로 ‘內鮮一體’를 내걸고 조선인에 대한 보다 강력한 동화정책을 실시하였다. 내선일체론은 조선을 일제의 전쟁 수행을 위한 대륙전진병참기지로 만드는 데 있어 정신적인 동원 체제를 갖추기 위한 것으로서 일제 말기 모든 정책들의 이념적 기반을 이루고 있었다. 내선일체론은 일본 國體를 중심으로 조선인을 완전한 일본인으로 만드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조선인들로 하여금 일본인과 같은 운명 공동체라는 인식을 갖게 하여 아무런 저항없이 전쟁에 동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었다. 이와 함께 조선인들의 사상과 정보를 통제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조선어 신문에 대한 정리가 단행되었고, 이 과정에서 조선의 대표적인 민족지였던 동아·조선일보가 강제 폐간되었다. 뿐만 아니라 교육령의 개정을 통해 조선인을 ‘皇國臣民’으로 만드는 작업이 병행되고 있었다. 조선인들의 정신상태를 전시체제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움직임이 본격화한 것이 1938년의 ‘國民精神總動員運動’이다. 이 운동은 행정조직과 일원화된 조직 체계 속에 전조선인들을 조직화하는 한편, 애국반이라는 말단 조직을 통해 감시와 동원체제를 만들고 있었다. 운동의 내용은 내선일체화를 위한 정신교화운동과 일제의 전쟁 수행을 경제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전시협력운동으로 나누어지고 있었는데, 일제의 조선인들에 대한 자발적인 참여 요구에도 불구하고 극히 형식적인 성격을 벗어나지 못했다.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이 보여주고 있었던 한계성을 타개하고 마침 일본 내에서 일어나고 있었던 ‘新體制運動’의 움직임에 보조를 맞추기 위해 1940년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은 ‘國民總力運動’으로 전환하였다. 일본의 신체제운동이 ‘大政翼贊會’라는 명칭의 단체에 의해 주도된 것에 비해 조선에서는 운동의 정치성을 처음부터 배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민총력운동으로 명명함으로써 조선인들의 정치적 관심이 운동의 조직들을 통해 분출되는 것을 극히 경계하고 있었다. 국민총력운동에서는 1930년대를 일관하여 진행되어 오던 農村振興運動을 폐지·통합함으로써 일제의 모든 식민지 정책을 총괄하는 운동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총독이 중앙조직인 조선연맹 총재에 직접 취임함으로써 일제의 통치 구조와 운동의 조직을 일체화시켜 나아갔다. 운동의 내용은 앞서의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을 기본적으로는 그대로 계승하였지만, 전쟁 수행을 위한 공출·증산·저축 등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조선인들에 대한 경제적 압박을 가중시켜 나아갔다. 국민정신총동원운동에서 국민총력운동에 이르는 일련의 관제운동들은 모두 내선일체의 완성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내걸고 있었고, 운동의 내용 또한 조선인의 皇民化 작업을 주된 골자로 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내선일체의 최종적인 목적은 조선인들을 전쟁에 동원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추는데 있었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서 들 수 있는 것이 일본어 보급문제이다. 국민총력운동 가운데 ‘國語全解·常用運動’ 명칭으로 1942년부터 전개되었던 일본어 보급 운동은 일본어를 통한 황민화 작업인 동시에 1944년으로 예정되어 있던 징병제 실시를 위한 준비작업이었다. 일제는 내선일체론이 등장한 1937년 이후 그때까지의 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하고 있었던 미온적인 일본어 보급 정책을 전환하여 조선어 교육을 학교 교육에서 배제하는 한편 일본어를 생활 언어로 만들기 위한 여러 조치들을 실시하고 있었다. 즉 황민화 정책의 주요한 수단으로 일본어 보급이 부상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2년말 현재 일본어 보급률이 전국 평균 20%에도 미치지 못하고, 또 징병 대상 연령층이 25% 정도만이 일본어를 해득하고 있는 상황에서 징병제를 도입해야 했던 일제로서는 국민총력운동의 전조직을 가동하여 일본어의 보급과 상용에 몰두할 수밖에 없었다. 1938년 시작된 陸軍特別志願兵制度와 1944년부터 실시된 徵兵制는 모두 조선인들을 병력으로 전쟁에 동원하기 위한 제도라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구체적인 실시목적과 그 가운데 나타나고 있는 일제의 의도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지원병제도의 경우는 일제의 침략전쟁 확대와 장기화에 따른 병력 부족을 해소한다는 목적과 함께 조선인들에게 황국의식을 주입하기 위한 의도아래 실시되고 있었다. 즉 조선에서 완전한 의무교육을 실시하는 단계가 되어 조선인에 대한 국민교육이 실시된 후에야 비로소 조선인들을 안심하고 병력 자원으로 쓸 수 있다는 생각이었다. 따라서 조선에 대한 징병제의 실시는 지원병제도 실시 후 50년 정도 적어도 2, 30년 후의 일로 상정하고 있었으며, 지원병제도가 징병제의 전제가 아님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제의 이러한 계획은 1941년 태평양전쟁의 발발로 커다란 차질을 가져오게 되었다. 일제가 필요로 하는 병력의 규모가 200만 내지 250만에 이르는데 반해 일본 민족만으로 병력을 충당할 경우 적정 규모는 120만에 불과한 상황이 된 것이었다. 게다가 계속되는 일본내의 출생률 저하는 병력의 부족과 더불어 노동력의 부족까지 초래하게 되었다. 그 결과 일제는 外地民族의 활용에 착안을 하게 되었고, 그 일차적인 대상이 된 것이 조선인들이었고 조선에 징병제가 실시되게 되었다. 일제의 당초 의도와는 달리 징병제가 그 전제조건이었던 의무교육이 구체적인 계획도 입안되기 전에 갑작스럽게 도입되게 되자 일제로서는 징병제의 준비 작업으로 靑年特別鍊成所를 통해 징병 대상자들에 대한 빠짐없는 교육을 실시하였다. 특히 일제가 조선통치를 시작한 이후 태어나 일제로부터 교육을 받은 청년들의 의식 상태에 대해서도 신뢰를 보낼 수 없었다는 것은 일제의 동화정책이 아무런 실효가 없었음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여기서 중요성을 갖고 등장한 것이 바로 조선이들의 생명을 전쟁에 몰아 넣는 징병제에 대한 선전·계몽이었고, 그 주된 논리가 바로 내선일체론이었다. 즉 조선인의 내선일체화 작업이 완성되었기 때문에 비로소 숭고한 병역의 의무가 부여되었다는 논리를 내세움으로써, 병력의 부족을 조선인의 징집을 통해 보충하려 한다는 일제의 본래의 의도를 교모히 감추고 있었다. 징병제의 실시와 더불어 중요성을 갖게 된 것이 조선인들의 參政權 문제였다. 조선인들이 일본인들과 마찬가지로 병역의 의무를 지게 되자 1930년대 전반 이후 소강 상태를 보이던 조선의 민족개량주의자들 사이의 참정권 논의가 다시 재연하게 되었다. 즉 血稅를 납부하는 데에 대한 반대급부로서 조선인들의 정치 참여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일제는 지금까지 조선인들의 참정권 요구에 대해 극히 제한적이고 형식적인 지방자치제의 도입으로 일관하고 있었던 대응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었다. 참정권 문제의 해결을 지방자치제의 확대라는 방식으로 계속해 나아갈 경우 이것이 조선지방의회의 설립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조선의 자치령화와 독립으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대해 일제는 조선의 식민지 지배를 영속화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의 자치제 확대는 위험하다는 판단 아래 지금까지 캐스팅 보트를 쥘 수도 있다는 이유로 금기시되어 왔던 조선인 의원의 일본 중의원 참여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참정권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그 선거 방식은 엄격한 제한선거였기 때문에 전조선인의 약 2%만이 선거권을 갖는 것이었고, 그 가운데 29%는 일본인이 점하고 있었다. 즉 극히 일부의 친일적인 조선인들에게만 선거권을 부여하고, 이들이 뽑은 몇몇 조선인들을 일본 의회에 참여시키는 방법을 통해 일제의 지배 구조 속에 편입시킴으로써 민족분할통치를 실현하려는 의도였던 것이다. 그러면서도 조선인들에 대해서는 징병제의 실시로 확인한 조선인들의 내선일체화의 결과를 일본 의회 참여라는 제도를 통해 완성시켰다는 논리로 선전해 가고 있었다. 이처럼 일제는 징병제와 참정권 문제를 내선일체의 구현이라는 같은 논리로 조선인들에게 설명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전조선인의 생명을 대상으로 하는 징병제와 엄격한 제한선거로 전조선인의 2%에 불과한 경제적 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참정권을 함께 포괄하기에는 설득력을 갖기 어려운 것이었다.

      • 일제강점기 부여의 內鮮一體 聖地화 과정 : 寒村에서 神都로

        최유리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1

        The Japanese Empire advocated assimilation such as ‘Naesun-Ilga(Japan and Korea are the same nation)’, ‘Naseon-Yunghwa(Korea-Japan harmonization)’ and ‘Naseon-Ilchea(oneness of Korean and Japanese)’ during the colonial rule of Chosun. As this is for the rationalization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colonial rule, the Japanese Empire implemented various forms of assimilation policies for Chosun. By analyzing Japanese assimilation policies conducted in certain areas,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details of colonial policies. The areas that can be objects of study are Gyeongju, Buyeo and Pyeongyang. Among them, Buyeo is noteworthy because the change of phase appeared distinctly according as the Japanese Empire conducted assimilation policies in stages, unlike other colonial cities. By studying the process to make the ‘Holy Ground of Naseon-Ilchea’ in Buyeo showing intensively periodic assimilation policies of the Japanese Empi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colonial rul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By Japanese intellectuals, Buyeo, the ancient city of Baekje, was recognized as the site that has the close relationship with Japan based on Nihonshoki and Kojiki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ccordingly, the Japanese Empire focused on Buyeo to rationalize and justify the colonial rule through assimilation policies. The investigation of historical remains in Buyeo to prove the historical relationship that the Japanese Empire insisted began in 1909. However, because the results were below the level that the Japanese Empire expects, the status of Buyeo in accordance with assimilation policies was not that high also recognized as a Han-chon, a poor village. Since 1929, Buyeo and historical remains in Buyeo had been utilized more directly as evidences to prove assimilation. As a result, Buyeo was emerged as a symbol of assimilation, and was upgraded to the ‘Holy Ground of Naseon-Ilchea’ in the late 1930s. In Buyeo, the construction of Kanpei-taisha Buyeo Shrine was implemented, and the construction of ‘Shin-do Buyeo’, Buyeo as a sacred city, proceeded in turn. The various businesses for taking shape of ‘Shin-do Buyeo’ as well as the maintenance through the urban planning proceeded. In the late 1930s, operations to make the ‘Holy Ground of Naseon-Ilchea’ in Buyeo by the Japanese Empire proceeded with Buyeo as the base of operations, for ‘Japanese imperialism’ toward all Koreans. It was to make Chosun a commissary base and to construct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from it. The process to make the ‘Holy Ground of Naseon-Ilchea’ in Buyeo was a series of processes to confirm perception of political · economic exchanges as well as cultural exchanges between ancient Japan and Baekje, and to establish · spread it. Although the constructions of Buyeo Shrine and ‘Shin-do Buyeo’ were not completed because of the independence in 1945, the Japanese militaristic views on the process to make the ‘Holy Ground of Naseon-Ilchea’ in Buyeo have influenced Buyeo’s development planning for tourism with understanding itself as an ancient capital city of Backje. Therefore the important thing is that Koreans have to look at Buyeo not with distorted historical views according as the Japanese Empire attempted, but with correct and balanced perceptions of history. As such, this paper has the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analyzes comprehensively · systematically the process to make the ‘Holy Ground of Naseon-Ilchea’ in Buye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considers the historical meanings of the process to make the ‘Holy Ground of Naseon-Ilchea’ in Buyeo by examining the influences after liberation. 일제는 조선에 대한 식민지배에서 '내선일가(內鮮一家)', '내선융화(內鮮融和)', '내선일체(內鮮一體)' 등의 동화주의(同化主義)를 표방하였다. 이는 식민지배의 합리화?정당화를 위한 것으로, 이에 따라 일제는 조선을 대상으로 다양한 형태의 동화정책을 시행하였다.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된 일제의 동화정책을 분석함으로써 일제강점에 따른 식민지배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필 수 있다. 이러한 연구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지역은 경주, 부여, 평양 등이 있다. 그 중 부여는 다른 식민도시와는 달리 일제가 동화정책을 단계적으로 시행함에 따라 그 위상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어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일제의 시기별 동화정책을 집약적으로 나타내는 부여의 '내선일체 성지'화 과정 연구를 통하여 일제강점기 식민지배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일본 지식인들은 일제강점기 이전부터 백제의 고도 부여를 『일본서기(日本書紀)』, 『고사기(古史記)』 등을 토대로 하여 일본과 관계가 밀접한 곳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일제는 동화정책을 통한 식민지배 합리화와 정당화를 목적으로 부여에 집중하였다. 일제가 주장하는 사적(史的) 관계를 입증하기 위한 부여고적조사(古蹟調査)는 1909년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그 결과는 일제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수준에 그쳤고, 따라서 이 시기 동화정책에 따른 부여의 위상은 그리 높지 못하였다. 1929년 이후에는 부여와 부여의 고적이 동화주의를 증명하기 위한 증거로써 보다 직접적으로 활용되었다. 이에 따라 부여는 동화주의의 상징으로 부상하게 되었고, 1930년대 말 '내선일체의 성지(聖地)'로 격상하게 되었다. 부여에서는 관폐대사 부여신궁(官幣大社扶餘神宮)의 조영이 시행되었으며 이에 따른 '신도(神都) 부여' 건설이 진행되었다. 시가지계획(市街地計劃)을 통한 정비뿐만 아니라 '신도 부여'로서 면모를 갖추기 위한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었다. 1930년대 말 일제에 의해 진행된 부여의 '내선일체 성지'화 작업은 부여를 거점으로 하여 전조선인에 대한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를 목적으로 진행된 것이었다. 이는 조선을 병참기지화(兵站基地化)하고, 이를 통해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을 건설하기 위함이었다. 일제의 군국주의적 해석을 바탕으로 진행된 부여의 '내선일체 성지'화 과정은 고대 일본과 백제의 문화 교류는 물론 정치·경제 교류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정착·확산시킨 일련의 과정이었다. 비록 부여신궁 및 '신도 부여'의 건설은 1945년 광복에 따라 중단되었으나, 부여의 '내선일체 성지'화 과정에서 기인한 백제의 고도 및 사비 백제 인식은 물론 그에 따른 부여의 관광지화는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에 중요한 것은 부여의 '내선일체 성지'화 과정에서 드러나는 일제의 의도에 따라 부여를 바라보는 것이 아닌, 한국인으로서 균형 잡힌 역사 인식을 가지고 부여를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부여의 '내선일체 성지'화 과정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종합적?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해방 후 영향을 살펴 부여에서의 '내선일체의 성지'화 과정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내선결혼'의 불/가능성 : '내선결혼' 담론을 통한 일제의 식민지 통치방식에 관한 연구

        고교릉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71

        When the imperialist government of Japan annexed the Korean Empire in 1910, it rendered the Koreans into so-called “Japanese nationals,” but still left them distinct from the Japanese. The imperialists thus were faced with various contradictions in ruling the Koreans as these “Japanese nationals.” One such contradiction concerned the status of marriag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dividuals; this is what I discuss in this stud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ny Korean people moved into Japan, and Japanese people moved into Korea, but there are not many known cases of marriage between members of the two ethnicities. However, there are studies that suggest that the Japanese imperialists encouraged Koreans to marry ethnic Japanese and referred to this practice as “Naisen-Kekkon.” Other studies counter that the policy promoting “Naisen-Kekkon” was merely a slogan, or that if it did exist, it failed. However, so far it has not been clear exactly what the Japanese imperialists thought about marriage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Marriage is the act of forming a family, so it carries important meaning in the act of nation-building. Exploring the way in which the Japanese imperialists treated marriages between the colonizers and the colonized reveals how they defined the nation of Japan and its people. For these reasons, in this study I comprehensively analyze the documentation, systems, representation, and actual marriage status of Koreans to Japanese nationals, with the aim of revealing the meaning of marriage between these two group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y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did the social context of marriage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change over the course of this time period? Second, who discussed this type of marriage, and how; and finally, what did this issue mean to the Japanese imperialists? As a result of my analysis, I have discovered the following answers to these questions. Regarding the social context of inter-ethnic marriage, first, the Japanese imperialists did not encourage marriage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as an official policy. Second, in the majority of cases where individuals of the two ethnicities did marry, their unions arose from their economic situation and family environment, not as a conscious implementation of national policy. As for the discourse surrounding inter-ethnic marriage, I found that this first became active earlier in the colonial period, when the Japanese felt the need to assert their authority; they regarded the idea as a symbol that demonstrated their subjects’ “assimilation.” It was in the latter stages of the period that the actual term “Naisen-Kikkon” arose, and it seems to have been particularly attractive among the colonialized men. With regard to my final question, the Japanese were silent among themselves in the discourse about “Naisen-Kekkon.” Having examined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marriage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to the Japanese imperialists, I have concluded that the Japanese themselves did not encourage “Naisen-Kekkon.” It was not a formal colonialist policy to “make Koreans into Japanese,” but the expression of some Koreans’ own desire to “become Japanese.” In the end, “Naisen-Kekkon” existed only as a rhetorical tool in the overall campaign to dominate the colonialized population. At first, the Japanese imperialists took advantage of some colonialized Koreans’ desire to “become Japanese,” but the imperialists changed their attitude when they began to feel that this threatened the boundaries that they endeavored to maintain between the ethnicities. The closer the colonialized people who believed in the possibility of “Naisen-Kekkon” got to “becoming Japanese,” the more the Japanese imperialists rejected this type of marriage. It thus became forever impossible to achieve the ideals of “Naisen-Kekk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wofold: first, I have explored and promulgated the meaning of “Naisen-Kekkon;” second, I have exposed to a further degree the degeneracy of Japanese colonialism. 일제는 대한제국을 합병하면서 조선인을 ‘일본국민’으로 재규정하였으나 ‘일본인’과는 구별되는 존재로 두었다. 따라서 일제는 ‘일본국민’이면서 ‘조선인’을 통치할 때 다양한 모순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조선인과 일본인 간 결혼도 그 모순 중 하나다. 일제강점기 동안 많은 민중들이 경계를 넘는 이동을 했으나 민족 간 결혼을 한 사례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그러나 일제가 ‘내선결혼’이라는 용어 하에 조선인과 일본인 간 결혼을 장려했다고 간주하는 선행연구들이 있다. 이와 반대로 ‘내선결혼’ 정책은 슬로건에 불과했다거나 실패한 정책이었다고 주장한 연구도 있다. 하지만 일제가 조선인과 일본인 간 결혼을 어떻게 여겼는지에 대해서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결혼은 가족을 형성하는 행위이므로 국가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일제의 조선인과 일본인 간 결혼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일제가 ‘민족’과 ‘국민’을 어떻게 규정했는지 밝힐 수 있다. 이러한 관심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선인과 일본인 간 결혼의 의미를 밝힐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지식과 제도, 재현 및 실제 결혼 사례를 포괄적으로 분석한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인과 일본인 간 결혼 상황은 구체적으로 어떠했나. 제도와 상황은 어떻게 변화해 갔나. 둘째, 조선인과 일본인 간 결혼은 어떻게 이야기 되었나. 담론적 행위자들은 구체적으로 누구이며, 어떻게 이야기되고 그 배경은 무엇일까. 마지막으로, 조선인과 일본인 간 결혼은 일제의 식민통치에 어떤 의미를 지녔을까. 앞의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의미를 고찰한다. 민족 간 결혼 상황에 대한 분석결과로 첫째, 일제는 제도로써 민족 간 결혼을 장려하지 않았다. 오히려 식민통치가 길어짐에 따라 소극적 태도에서 부정적 태도로 변화했다. 둘째, 식민지 시기 조선인과 일본인들은 국책에 따라 결혼한 것이 아니라, 당시 경제상황이나 가정환경 등을 바탕으로 때로는 생존을 위해 때로는 우연적으로 민족 간 경계를 넘어 결혼 대상자를 선택했을 뿐이라는 점이 밝혀졌다. 두 번째 질문인 조선인과 일본인 간 결혼 관련 담론에 관한 결과로는 첫째, 민족 간 결혼 담론은 식민통치 강화가 필요했던 시기에 활발해졌다. 둘째, 동화의 상징으로서 결혼은 피식민 남성에게 매혹이었다. 조선인 남성은 ‘일본’을 소유함으로써 온전한 주체가 될 것이라 상상했으며, ‘내선결혼’은 그러한 피식민 남성의 기만적 욕망과 조응한다. 셋째, ‘내선결혼’ 담론의 반대편에 일본인들의 침묵이 있었다. 일본인 ‘내선일체’론자가 갖는 본심과 명분 간 틈을 드러낸 것이 바로 ‘내선결혼’이었다. 이로 인해 ‘내선결혼’은 ‘내선일체’론의 동상이몽적 성격을 폭로하는 기제가 된다. 조선인과 일본인 간 결혼이 가졌던 의미를 살핌으로써 이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일제는 일본어 교육이나 창시개명 등과 달리 ‘내선결혼’을 장려하지 않았다. ‘내선결혼’은 조선인을 ‘일본인’화하기 위한 정책적 수단이 아니라, 조선인 스스로가 ‘일본인’화되고자 함을 선전함으로써 조선인 남성을 지배ㆍ통제하고자 한 일제의 통치 전술이었다. 일제는 처음에는 피식민자가 일본인이 되고자하는 욕망을 이용했으나 민족의 경계가 침범될 위협을 느끼자 태도를 바꾼다. ‘내선결혼’의 가능성을 믿었던 피식민 주체가 ‘일본인’과 가까워질수록 ‘내선결혼’은 식민통치자로부터 거부되었으며 더욱 불가능해진다. 본 연구의 함의로 ‘내선결혼’의 숨겨진 의미를 밝힌 것과 결혼이라는 성적인 친밀성을 실마리로 일제 식민통치의 기만성을 더 강도 높게 드러낸 것을 들 수 있다.

      • 일제말기 친일문학의 내적논리와 회고의 전략 : 이광수, 김동인, 채만식을 중심으로

        박수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67

        본 논문에서는 일제말기(1937년~1945년) 친일문학과 해방기 회고의 전략적 성격을 문인들의 ‘자기규정’과 ‘식민지적 정체성’을 통해 살펴보았다. 일제말기 친일문인들은 대중적 지도자나 사상가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제국일본과 조선 사이의 ‘번역자’로 살아왔다. 그러나 일제의 외부적 압력과 문인의 내부적 혼란이 극대화된 시점에 갑작스럽게 이루어진 해방은 이들을 순식간에 민족의 죄인이자 평범한 인민의 한 사람으로 끌어내렸다. 해방공간에서 친일문인들은 일제말기 제국일본의 식민지배이데올로기를 조선(인)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노력했던 것 이상으로, ‘정치적’이고 ‘전략적’인 자기변호의 텍스트를 생산해낼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친일문인들의 해방기 ‘회고’는 문인의 내적 욕망과 외부적 압력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라는 점, 시대와 이데올로기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문학적, 사회적 생존을 모색하기 위한 행위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일제말기의 ‘친일문학’과 매우 닮아있다. 본 논문의 기본적인 시각은 제국주의와 주체의 관계성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적 담론의 자장 속에서 형성된 것이다. 선행연구와 차별을 두기 위해 일제말기 친일문학에 영향을 미친 외부적 요인보다는 문인 개개인의 사상적 배경과 문학론, 그들의 식민지적 주체형성 과정에 주목함으로써, 친일문학이 그저 외압에 의한 몰개성한 선전문학이 아님을 규명하려 했다. 이를 위해 각기 다른 사상적 배경과 문학론, 식민지적 주체성을 형성하면서 일제하에서나 해방공간에서 활발히 작품 활동을 이광수, 김동인, 채만식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이 세 명의 문인을 통해 친일문학이 일제의 식민지배이데올로기를 문인 각자의 맥락에서 내면화한 결과물이라는 공통점을 발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취하는 서술전략과 서술방식의 차이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친일의 범위와 의미를 일제강점기에 국한시키지 않고, 이를 해방 후 회고와 연결시킴으로써 친일의 시작과 완결을 철저히 작가 본인의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서론에서는 친일문학에 대한 기존 연구사가 갖고 있던 견고한 민족주의적 시각에 대해 정리하고, 이를 돌파하려는 최근 연구 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사 검토를 통해 최근 친일문학 연구에서 주목하는 ‘식민지적 주체’의 문제를 본 논문의 문제의식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또한 친일문학(연구)의 정치적 성격으로 인해 연구자들이 경직된 태도와 시각을 갖게 된다는 점을 지적하며 친일문학 연구의 난점과 방법론의 문제를 정리하였다. Ⅱ장에서는 일제말기 조선문단의 상황과 문인협회의 존재의의를 바탕으로, 세 문인의 ‘친일논리’가 구축되는 과정을 그들의 비평(적)텍스트를 통해 살펴보았다. 일제말기 조선의 문인들은 일본을 중심으로 한 ‘대아시아’ 개념 속에서 근대와 동양을 초극하고 서구에 대항할 가능성을 찾았다. 문인협회는 문인들의 친일행위를 집단화・조직화하고, 일본으로부터 ‘국민문학론’을 수용하는 등 새로운 문학의 방향을 모색했지만 문학론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식민지적 주체의 사상적 균열과 분열을 만들어내는데 일조하였다. 식민지 조선의 독립을 위한 근간인 ‘민족주의’가 친일로 흐르게 되는 양상은 일견 아이러니로 보이지만, 이광수를 통해 보면 민족주의와 제국주의는 결코 상반된 개념이 아님을 알게 된다. 그의 민족주의는 ‘자강론’, ‘실력양성론’ 등과 결합하면서 자연스럽게 동화주의(assimilation)로 이어지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반면 김동인의 친일논리는 그의 민족의식의 부재를 잘 보여준다. 그는 일본이 내세우는 식민지배이데올로기에 현혹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내면화하거나 자기화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김동인은 자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이 조선문단의 대표적 친일문인으로 보이기를 원했다. 생존을 위해서는 일제하에서 문인의 가치를 높여야 한다는 생각에 이르자, 일찍이 문학의 자율성에 대한 철저한 옹호자였던 김동인은 문학이 가장 중요한 ‘도구’일 수 있다는 자가당착적 결론에 다다른다. 그래서 일제말기 김동인에게는 주체성이 결여된 식민지 지식인의 수동적인 모습과 식민지배 체제 내에서 가치 있는 존재가 되고자하는 피식민자의 욕망이 동시에 발견된다. 반면 무력한 니힐리스트이자 체제순응자인 채만식의 사회주의는 ‘전체주의’라는 공통점으로 인해 일제하 신체제로 빨려 들어가는 양상을 보인다. 채만식의 친일논리는 이광수에 대한 모방으로, 친일소설의 구상은 히노 아시헤이의 영향 하에서 그 기반을 마련하지만, 이광수와 달리 채만식은 조선(인)을 초극하여 사고할 수 없다는 점에서 결정적인 차이를 보인다. 조선과 조선문학, 그리고 조선인으로서 자신을 모두 미달된 존재로 규정했던 채만식은 현실적 제조건으로부터 결코 벗어날 수 없는 존재이기에 시대에 순응하는 것으로써 자신의 길을 정한다. Ⅲ장에서는 일제말기 문인에게 내면화된 식민지배이데올로기의 결과물인 소설텍스트를 분석해보았다. 특히 이 장에서는 해방 후 삭제된 서사를 복원하고, 지금까지 연구대상이 되지 못했던 친일소설텍스트들을 새롭게 의미화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세 문인의 ‘개성’은 문학작품의 제재(題材)와 장르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광수의 친일소설은 기본적으로 일상에서 제재를 취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는 조선인에게는 충(忠)을, 일본인에게는 성(誠)의 정신을 주입시키려 함으로써 계몽의 이중적 의도를 보인다. 완전한 내선일체의 완성은 한쪽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광수 특유의 도식적인 인물구도는 ‘내지인-조선인’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구현되어 ‘정신적 내선일체’를 완성하고, 원술을 동원한 군인정신의 강조는 징병제 실시를 통한 ‘실질적 내선일체’의 기획을 뒷받침하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미완으로 남은 일군의 소설들에서 이광수는 내선일체론과 국민문학론의 허상을 스스로 폭로하고, 불완전한 내면을 드러내기도 한다. 김동인의 친일소설은 모두 백제, 일본, 중국을 배경으로 하는 ‘역사소설’이다. 김동인의 친일역사소설은 텍스트 자체만으로 볼 때에는 친일적 요소를 발견하기 어렵지만, 컨텍스트와 함께 읽으면 그 안에 숨겨진 식민사관과 텍스트의 진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도의 전략적 글쓰기라 할 수 있다. 그는 서구를 통해 동양의 가치를 재인식하고, 일본중심의 대동아공영권 구상을 뒷받침한다. 아편전쟁을 제재로 삼은 두 편의 역사소설에서 김동인은 중국의 치욕적인 역사를 통해 反서구의 정서를 정당화하고, 친중적인 서술태도로 제국일본의 대동아공영권 구상을 뒷받침한다. 일본정신을 반영한 예술가소설에서는 국책문학 창작에 대한 일본인 문사의 고민을 담았지만, 그 함의는 조선 문인의 일본어 글쓰기에 대한 고민으로 읽는 것이 옳다. 일제의 고대사복원 계획과 발맞춘 친일역사소설에서는 일본역사관을 바탕으로 백제와 일본의 역사적 친연성을 강조하고, 과거 백제가 일본의 도움으로 당군을 물리친 것처럼 조선이 일본을 도와 중국에 대항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채만식의 친일소설은 르포문학의 형태를 띤 전쟁소설과 후방의 역할을 강조하는 총후문학으로 이루어져 있다. 직접 전쟁에 참여하는 용맹한 일본군, 후방에서 이를 적극 지원하는 이상적 ‘총후부인’과 ‘군국의 어머니’를 통해 채만식의 소설은 군국주의적 전체주의를 선전한다. 일제말기 채만식의 소설 가운데 장편 『아름다운 새벽』은 해방 후 단행본으로 엮이는 과정에서 친일적 요소가 의도적으로 삭제되면서 해석상의 혼란을 야기했다. 본고에서는 삭제된 서사를 복원하고, 채만식 친일논리와 해방기의 정치성을 보여주는 텍스트로 의미화 하였다. Ⅳ장에서는 해방공간에서 쓰인 세 문인의 회고를 대상으로 친일문인들의 ‘자기규정’과 반성의 ‘전략’적 측면을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특히 복잡한 수사와 정치적 맥락 사이에 숨겨진 텍스트의 ‘진의’를 찾고자 했다. 이광수는 인생의 모든 기간을 대상으로 하는 ‘자서전’이 아님에도 친일협력의 기간을 ‘일제말기’에 한정하고, 그 의미를 희석시키기 위해 자서전 형식의 회고를 썼다. 자의적으로 서술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민족주의자’의 순수성을 강조하기 위한 전략이었다. 반면 김동인은 이광수를 ‘민족주의를 내세워 자발적으로 친일한 민족적 지도자’로, 자신을 ‘일생 조선문 소설쓰기에만 몰두한 순수하고 무력한 소설가’로 규정함으로써 친일의 그림자를 이광수에게 덧씌우고 자신은 그 비판으로부터 벗어나려 한다. 특히 그는 자신의 문학적 공로를 과장되게 제시하고, 일제하와 미군정의 ‘지배/점령’을 동일하게 의미화 함으로써 자신을 철저한 피해자에 위치시킨다. 채만식은 스스로를 민족의 ‘죄인’으로 규정하지만, 그의 회고에는 죄의식과 억울함이 동시에 나타난다. 그의 회고에서는 반복적으로 죄에 대한 인정과 동기에 대한 부정이 중첩되어 서술된다. 자신의 친일을 인정하면서도, 본심에서 이루어진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려 하는 채만식의 회고는 본심과 양심 사이의 팽팽한 힘겨루기를 보여준다. 해방기 채만식의 인식은 ‘조선인 대부분이 민족의 죄인’이라는 것이다. 자기풍자와 자기폭로를 통해 죄의식을 드러내고는 있지만, 그런 면에서 채만식의 회고는 친일에 대한 반성적 텍스트가 아닌 자기변호의 텍스트임이 분명해진다. 문인들의 친일의 동기와 경로, 해방 후 보여준 자기비판과 반성까지 검토한 후 드러나는 것은 식민지적 주체의 모순과 분열의 복잡한 양상이다. 친일문학은 그 자체로 정치적인 텍스트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문학’이란 한 인간이 세계를 보는 관점이자, 그 자신의 반영이기 때문이다. 친일문학은 국책을 위한 전략적 글쓰기인 동시에 한 작가의 문학적 지향과 식민지적 정체성을 담고 있는 대상이다. 친일문인은 식민주의 내부의 구조적인 불균등성을 극복하는 것이 목표이지만 정작 자신들의 존재가 이 체제를 상징한다는 것, 나아가 체제를 더 공고히 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이 논문은 세 문인의 일제말기와 해방기의 텍스트를 통해 식민지적 주체의 형성과 분열, 일제식민지배이데올로기의 환상과 모순, 친일문학에 내재된 피식민자의 욕망과 주체의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해방 후에도 여전히 세계의 비주체적 존재에 머물 수밖에 없었던 그들에게서 ‘식민지 근대성’의 또 다른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 재조일본인 작가와 조선인 작가의 소설작품의 유형 분류 : 『녹기』를 중심으로

        김광범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2

        일제강점기 하의 조선반도에서는 재조일본인과 조선인이 함께 공존할 수밖에 없는 차별의 공간으로 존재하였다. 1930년대 중반 이후에 접어들면서, 식민통치의 일환으로서 전개된 내선일체론의 확산은 이러한 두 민족으로 하여금 공통의 목소리를 이끌어내었다. 그러나, 그들이 근본적으로 가지고 있었던 서로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여전히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그들이 남긴 여러 문학 작품 가운데서 드러나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재조일본인과 조선인 사이에 나타난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내선일체를 선봉적으로 이끌어낸 매체인 『綠旗』에 게재된 소설작품을 연구대상으로 지정하고, 각 작품들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다. 이를 다시 재조일본인 작가의 작품들의 특징과 조선인 작가의 작품들의 특징으로 추려내고, 이 특징들 가운데서 나타나는 한일 양 민족에 대한 시선과 전개방식의 비교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서, 내선일체에 대한 한일 양 민족의 입장의 차이와 한일 양 민족의 상대민족의 인식차이를 이끌어낸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정리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재조일본인의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일본인은 계몽자적 위치에서 미개한 조선인을 개화시키는 입장으로 나타나며, 내선일체를 주장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양 민족 간의 일종의 상하관계적 입장을 명확하게 그려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생활개선을 장려하며 종교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들도 있다는 것을 미루어, 『녹기』에 참여한 재조일본인들은 종교수양단체로서의 녹기연맹의 기본적 사상의 틀에 기반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반면, 조선인의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조선인은 인습적, 무학, 가난의 상징으로 나타나며, 이를 극복할 대안적 인물로서의 ‘일본인으로 각성한 조선인’이 등장한다. 내선일체의 논리를 전개하는 방식에 있어서 조선인과 일본인 간의 차별이 없는 대등한 입장을 그려내는 방식을 취하며, 이는 주로 내선연애라는 방식, 혹은 동반자 의식의 전개라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이를 총체적으로 정리하면, 재조일본인의 내선일체론의 전개논리는 국가주의사상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그 대상이 재조일본인에서부터 조선인으로 범위가 확장된 것이며, 조선인의 내선일체론의 전개는 차별로부터의 탈출구로서 선택한 방법이라는 것으로 요약된다. In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existed as discriminated space, where Japanese in Korea and Koreans should live together. As entering into the second half of 1930s, the dissemination of Korea and Japan unification developed as one measure of colonization leaded the common voice from these two races. However, there still existed mutual perceptive differences, which had been possessed fundamentally by two races, and these perceptive differences were revealed in the literary works they left. In this study, to verify the perceptive differences, the novels published in "Ryokki", which was the leading media to induce the Japan and Korea unification successfully, are designated, summarized and arranged as study subjects, And they are classified again into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authors and those of Korean authors, from which the Japanese and Korean perspectives on the other race and the developing patterns were compared. Through them,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s of both Japanese and Korean races on the Japan and Korea unification and the perceptive differences on the other race are induced. The conclusions induc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Japanese character showed up in the works of Japanese in Korea appeared as enlightener who enlighten the uncivilized Koreans, and the vertical relationship of two races was clearly described in the manner of supporting the Japan and Korea unification. And judging by the fact that there are the works, which encourage the improvement of lifestyle and contain religious messages, the Japanese participated in "Ryokki" were based on the frameworks of fundamental thoughts of Ryokki Remmei, which was the religious disciplinary group.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characters appeared in the works of Korean represented as the symbol of the conventionalist, the uneducated, and the poverty and 'Korean enlightened as Japanese' appeared as alternative character to recover these. In the pattern of logical development of the Japan and Korea unification, describing equal position without prejudi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as adopted, which mainly as form of love of Japan and Korea or of partnership development. Conclusively, the logical development of Japan and Korea unification of Japanese in Korea expanded the subject range from Japanese to Korean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nationalist doctrine and the Korean's development of Japan and Korea unification was the choice to escape from the discrimination.

      • 일제 말 사상전향 관변단체의 조직과 전향논리 연구 : 우가키(宇垣) · 미나미(南) 총독 재임기를 중심으로(1930~1942년)

        김희훈 청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0

        1919년 3・1 운동 이후 일제는 조선인 (공산주의) 사상범에 대해 1925년 공포・시행된 치안유지법(治安維持法)에 기반 한 ‘엄벌주의(嚴罰主義)’ 정책을 사용했다. 즉 사상범들을 탄압, 고문, 처벌하는 일방적 방법만을 사용했다. 그러나 1930년대 초반에 들어와 민족해방운동의 고조와 적색 농민・노동자 조합의 활동에 따라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검거된 사상범의 수가 급증하기 시작하면서 기존의 엄벌주의 정책에 한계를 느끼게 된다. 여기에 1930년대 ‘파시즘 – 민주주의 – 공산주의’가 대치하는 국제정세와 1931년 만주사변, 1937년 중・일 전쟁의 개시와 함께 일제의 대륙침략이 본격화되면서 대륙병참기지로서의 조선의 치안확보가 절실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일제는 조선인 사상범에 대한 전향정책을 실시했다. 조선인 사상범에 대한 사상전향의 시행에 따라 일제는 사상범을 감시하고 통제함과 동시에 조선인들을 전시체제 전장이나 군수공장에 효율적으로 동원하고 일제의 식민정책을 적극 선전하기 위해 사상전향 관변단체들을 조직했다. 이렇게 조직된 대동민우회, 녹기연맹, 시국대응전선사상보국연맹, 대화숙, 조선방공협회의 친일 관변단체들은 사상전향자들을 회원으로 하여 국방헌금, 출정장병 위문, 각종 친일 좌담회 및 강연회 개최, 선전물 배포 등의 친일활동을 전개했으며, 사상범들의 전향을 유도하고 이들이 생계를 지원했다. 더 나아가서 블록경제에 기반 한 대국가주의(대동민우회), 조선 고유의 문화를 존중하면서 정신적으로 일본에 동화하는 협화적 내선일체(사상보국연맹), 조선 고유의 문화를 철저히 말살하고, 일본의 문화, 풍습, 언어를 받아들여 일본에 동화하자는 철저적 내선일체론(녹기연맹), 공산주의와 외국 간첩으로부터 조선과 일본인을 방어하자는 방공주의(조선방공협회)와 같은 전향논리를 주장했다. 1930~1940년대 식민지 조선에 대한 일제의 사상전향 정책과 그에 따라 조직된 사상전향 관변단체 그리고 사상전향자 사이에는 삼각관계가 존재한다. 먼저 조선총독부 그러니까 일제 식민통치 당국과 사상전향자 사이에는 사상전향과 탄압이라는 회유와 탄압 그리고 친일 협력의 관계가 있다. 당국은 사상범을 탄압・회유해 전향시키고, 그렇게 전향한 사상범은 기존의 공산주의 사상을 포기하고 일제의 식민통치에 협력하는 친일의 길로 나서게 된다. 총독부와 관변단체 사이에는 직간접적 지원 전향자 감시, 친일활동 및 식민정책 지원의 관계가 있다. 총독부가 단체의 조직과 행사를 지원하고, 관변단체는 내선일체, 공출, 생활개선, 국방헌금 등 친일활동을 협력・측면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관변단체와 전향자 사이에는 합법적 정치・사상 활동의 장 마련과 전향논리 제공이라는 관계가 있다. 이러한 일제의 사상전향은 해방 후 반공 이데올로기를 통해 그 잔재가 남게 된다. 즉 국가보안법, 국민보도연맹 학살사건을 비롯해서 이승만에서 박정희로 그리고 박정희에서 전두환으로 이어지는 독재체제 시기 반독재 민주화 세력을 탄압하는 수단으로 전향과 반공이 사용되었고, 그 역사적 연원이 일제강점기 사상전향 정책에 닿아있다는 것이다.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in Korea 1919, the Japanese Empire used a "severe punishment" policy based on the Security Law promulgated and enforced in 1925. In other words, they used one-sided methods to repress, torture and punish thinkers. However, in the early 1930s, the movement of the National Liberation and the activities of the Red Peasants and Labor Union have led to a surge in the number of political offenders arrested for violating the law on security. Here's the 1930s when Fascism–democracy–Communism was a conflict of international affairs. With the Manchuria Incident in 1931 and the start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and the full-scale invasion of the continent during the colonial period, it is essential to ensure the security of Joseon(Korea) as a logistics base. For this reason, the Japanese Empire implemented a policy to convert to Korean political offender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rsion policy, The Japanese empire oversees and controls the perpetrators of ideas, and at the same time, organizes the change of ideas in order to actively promote the colonial policies of the Japanese empire during the war time(1930~1942). The pro-Japanese interest group, which was organized in this way, They supported their livelihood by promoting pro-Japanese activities such as offering money for national defense, consolation for war veterans, holding talks and lectures, and distributing propagand. Also they guiding the converted political offenders. And furthermore these interest groups advocate conversion logic such as ‘Great – Nationlism(Daedongminuhoe)’, ‘Concording Integration(協和的 內鮮一體論, Sigukdaeung jeonson – Sasangbogukyonmang)’, ‘Exhaustive Integration(徹底的 內鮮一體論, Rokki-Renmei)’, ‘Anti-communism(The Anti-Communism association of Joseon)’ There is a triangular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 of the simultaneous change of thought to Korea during the colonial era of the 1930s and 1940s, and the change of thought organized by the policy,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the change of thought. First of all, since it i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and those who think of it as repression, repression and pro-Japanese cooperation. The authorities repress and soften the political offenders, who have converted so far, will give up their existing communist ideas and move on to the pro-Japanese path of cooperating with the colonial rule of the Japanese Empire. There is a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or's office and the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 to monitor the transferees, to support pro-Japanese activities, and to support the colonization policy. The governor's office will support the organization and events of the organization, while the government will also support pro-Japanese activities, such as providing extensions, improving living conditions and providing defense donations. Finally,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groups and transferers between them that they should establish a legal stage for political ideological activities and provide the logic of transmigration. Such a conversion policy by the Japanese Empire will leave behind anti-communist ideology after liberation. In other words, the National Security Law, the National Security Federation massacre and during the dictatorship in Rhee Seung Man to Park Chung Hee and Chun Doo Hwan government, They using conversion and anti-communism(反共) to supress anti-dictatorship and democratization movement.

      • 『모던일본 조선판(モダン日本 朝鮮版)』을 통해 본 재조일본인(在朝日本人)의 조선인식

        조경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6

        Japanese magazines and newspapers began to circulate in Joseon after 1876, when three major ports in Japan were opened. In the early days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s, there were a lot of Japanese who traveled in Joseon to take advantage of the war and take economic advantages. But, due to the unstable situation during the war, various kinds of magazines could not be published. However, since 1905, when the Japanese colonial rule was implemented in the Joseon Dynasty, intellectual class including civil servants and teachers from Japan felt the need to have their own means of exchanging information. Since 1910, when Joseon was forced to be merged, Joseon became a place for long-term residence among Japanese people, and publications for Japanese readers staying in Joseon grew rapidly after this period. Through major Japanese magazines such as 『Joseon(朝鮮)』, 『Joseon Peninsula(韓半島)』, 『Joseon Business(朝鮮之実業)』 and 『Joseon Public Opinion(朝鮮公論)』, Japanese in Joseon shared the information of the Joseon Dynasty, kept in contact with the culture of the Japanese mainland far away, and try to maintain their identity. And after the Sino – Japanese War in 1937, the Joseon Peninsula was once again under the influence of war, and Japan’s imperialist national policy and ‘the Naeseon Ilche(内鮮一体: Joseon and Japan are One)’ policy were accelerated. 『Tourist Joseon(観光朝鮮)』 and 『Modern Japanese Joseon Edition(モダン日本 朝鮮版)』 which were published at that time covered the contents similar to the above-mentioned magazines, while adding the perception of Joseon that the Japanese had in mind. These magazines were made up of contents of a new perspective on the image of the original Joseon, which was nothing more than an image of Joseon which was subjectively interpreted by Japanese living in Joseon. In this study, I tried to understand how Japanese in Joseon perceived Joseon and how they wanted to enhance their presence despite being apart from the mainland of Japan by analyzing articles in the 1939 and 1940 『Modern Japanese Joseon Edition』. The magazine appears to be a typical mass culture magazine composed of various articles but at the same time consistently infuses the ideas that support the Naeseon Ilche ​​policy claims. It also insists on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similarities between the Joseo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on the theme of myth and ancient culture, and urges the readers to treat Joseon and other cities in the mainland on an equal footing. It also promotes the opportunity to raise money in Joseon through the special procurement. Above all, it shows how superficially biased the perception of Joseon in Japanese’ mind was at that time, by dealing with the contents of the praise of Joseon's scenery and ‘Gisaeng(妓生: Korean geisha)’ throughout the magazine. The images of Joseon appearing in the magazines describes Joseon as a place where the Naeseon Ilche ​​policy is deeply settled, and people can enjoy a great quality of life and can find a chance to make big money. It is expressed as a place where there is a beautiful environment and the Gisaeng.  The position of Japanese in Joseon, which had been dominant in the Joseon Dynasty, but which was also classified as 'outsider' from the mainland Japanese, is well represented throughout the 'Modern Japanese Joseon Version'. The magazine emphasizes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gnificance of Joseon at all times, praises its beauty, and emphasizes the Naeseon Ilche ​​policy, which is strongly supported by the Japanese in Joseon. As a means of increasing the status of Japanese in Joseon, Joseon is portrayed as playing a pivotal role in the coming era, depicted in a beautifully controlled, beautifully arranged image of their desires. In the background of "Modern Japanese Joseon Version", it is confirmed that Japanese in Joseon had such a desire. 조선에서 일본어 잡지 및 신문이 유통되기 시작한 것은 일본에 세 곳의 주요한 항구가 개항된 1876년 이후에 해당한다. 개항이후 초기에는 주로 조선에서 전쟁 특수를 노리고 경제적 이득을 취하기 위해 도항한 일본인들이 많았는데, 전시의 불안정한 상황으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잡지들이 출판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조선에서 일본에 의한 통감정치가 실시되는 1905년 이후 부터는 일본에서 건너온 공무원, 교원 등, 다수의 전문직 인텔리 계층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보의 교환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기에 이른다. 결국 조선이 강제 병합되는 1910년 이후부터, 조선은 일본인들의 장기체류 장소로 변모하게 되고, 이들의 생활을 보조하는 내용의 출판물들이 이 시기를 앞 뒤로하여 붐을 이룰 정도로 출간되기에 이른다. 『한반도(韓半島)』, 『조선의 실업(朝鮮之実業)』, 『조선공론(朝鮮公論)』과 이후 『조선 및 만주(朝鮮及満州)』로 이름이 바뀌는 『조선(朝鮮)』 등이 대표적인 잡지로서 재조일본인들은 이를 통해 조선의 정보를 공유하고, 멀리 떨어져 있는 내지의 문화를 간접 체험하며 자신들의 정체성을 지속시켜 나가게 된다. 그리고 1937년 중일전쟁을 전후하여, 한반도는 다시금 전쟁의 영향력에 놓이고 일본의 제국주의적 국가정책과 식민지 ‘내선일체’ 정책은 가속화된다. 이즈음 발간된 『관광조선(観光朝鮮)』과 『모던일본 조선판(モダン日本 朝鮮版)』은 앞에서 언급된 잡지들이 지닌 성격위에, 재조일본인들이 바라보는 조선에 대한 인식이 더해져 출간된다. 이들 잡지는 기존 조선의 이미지에 새로운 시선을 담은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재조일본인들에 의해 철저히 대상화 된 조선의 이미지에 다름 아니었다. 본 연구에서는 1939년과 1940년 『모던일본 조선판』의 기사분석을 통해 재조일본인들이 어떻게 조선을 인식하고 있었고, 내지를 향해 어떻게 외지인으로서의 존재감을 높이고자 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잡지는 다양한 형식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대중 교양지의 외양을 띠고 있으며, 동시에 내선일체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정서가 일관되게 관통하고 있다. 신화와 고대문화를 주제로 한반도와 열도의 공동문화권 설정을 주장하기도 하고, 조선과 내지의 다른 도시를 동등하게 대하기를 촉구하며 내선일체의 정신을 강변하기도 한다. 그리고 전쟁특수를 통한 조선에서의 일확천금의 기회를 선전하는 내용도 확인된다. 무엇보다도 잡지 전반에 걸쳐 조선의 경치와 기생에 관한 극찬에 가까운 내용을 다루는 것을 보면, 당시 일본인들이 가진 조선에 대한 인식이 얼마나 피상적으로 편향되어 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잡지에서 나타나는 조선의 이미지는 내선일체가 고도로 체화되어 살기 좋은 지역이자, 일확천금을 꿈꿀 수 있는 기회의 땅이며, 아름다운 환경과 기생이 존재하는 곳으로 표현될 뿐이다. 조선에서의 지배적 위치를 점하고 있었지만, 동시에 본토 일본인으로 부터 ‘외지인’로서 구분되고 있었던 재조일본인들의 입장은 『모던일본 조선판(モダン日本 朝鮮版)』을 통해 잘 드러난다. 잡지는 시종일관 조선의 정치경제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가시적 아름다움을 찬양하며, 동시에 일본인이 우위에 있는 내선일체를 강조한다. 어디까지나 재조일본인들의 위상을 높이는 수단으로서 조선은 그들의 욕망이 투영된, 잘 통제되어 정돈된 아름다운 모습으로 그려지며 다가올 시대의 중추적 위치로서 설명된다. 『모던일본 조선판』의 바탕에는 재조일본인들의 이와 같은 욕구가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일제 말기 이효석 소설 연구

        조성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2

        본 연구는 이효석이 일제 말기에 발표한 일본어로 쓴 작품을 중심으로 엿볼 수 있는 문학적 경향과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일제 말기라는 제한적인 창작 활동을 할 수밖에 없는 특수한 국내 정치적 상황을 고려했을 때, 그 이전 시기와 같이 자유로운 문학활동은 보장되지 않았다. 일제 말기에 접어든 후 이효석에게 발견되는 변화는 일제의 국책 이데올로기로 말미암아 작품에서 보여준 문학적 경향의 변화이다. 조선어로 창작하면서 동시에 일본어로도 창작한 이중어 소설 작품의 경향을 본고에서는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일제의 내지인과 조선인의 대표적인 동화 정책인 ‘내선일체’ 정책 노선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었고, 두 번째는 ‘조선적인 것’에 대해 이효석의 심미적 취향을 엿볼 수 있었던 작품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세 번째는 당시 일제 정책과 관련한 ‘국민문학’과 관련된 이효석의 작품과 소설관을 언급하였다. 이효석의 전체적인 삶을 조망하였을 때 그의 문학 세계는 여러 가지 성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일제 말기 그의 문학적 경향을 비추어 보았을 때 ‘탈이데올로기’적 성향이 다분했다는 것과 제한적인 소재와 주제로 창작할 수밖에 없었던 시기에 이효석의 심미적 취향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의 심미적 취향은 일제 말기에 ‘조선적인 것’ 또는 ‘향토적인 것’과 맞물려 일제가 의도하고자 하였던 지배 담론을 역으로 뒤집어 놓는 효과를 만들기도 하였다. 또한 이효석의 ‘국민문학론’을 생각해 본다면 세계적 차원에서의 지방 문학으로서 조망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literary tendency and aspects in Lee Hyo-seok’s works which were written in Japanese in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The writers under the special internal political circumstances in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could not help writing with limited literary creation. Therefore It was clear that Lee Hyo-seok was not guaranteed the freedom of literary activities as of old. The literary changes discovered in Lee Hyo-seok since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was due to the ideology of the national policy by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his bilingual novels written both Korean and Japanese are as follows. First, the dissertation examined his works which included the policy of 'Japan and Korea are one', typical assimilation policy between Japanese people dwelling in Joseon and the people of Joseon. Second, the dissertation inspected closely Lee Hyo-seok's aesthetic tastes about the identity of Joseon, Third, the dissertation contained Lee Hyo-seok's viewpoint of novels in light of national literature which was connected to Japanese imperialism. Surveying Lee Hyo-seok's whole life, his literary world can be divided into several aspects. He tried to escape from ideology in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nd distinct leaning toward aestheticism was shown greatly in his works with limited materials and subjects of that time. He mixed things Joseon with ‘local color’ using his aesthetic tastes in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nd overturned dominating discourse and obtained the desired results. And also the Lee Hyo-seok'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can be discussed as local literature as a world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