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표현양식에 미치는 영향 :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의 조절효과

        강다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성인 진입기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표현양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단주의 성향과 개인주의 성향의 다중가산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만 18세에서 만 29세의 대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Cook(1988)의 내면화된 수치심(ISS), 전겸구 외(1997)의 분노표현양식(STAXI-K), Singelis 외(1995)의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INDCOL)을 측정 하였다. 내면화된 수치심은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에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분노조절과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개인주의 성향은 분노표출양식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지만, 집단주의 성향은 분노억제와 부적 상관을, 분노조절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집단주의 성향이 분노억제와 분노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표현양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단주의- 개인주의 성향의 다중가산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집단주의 성향이 유의미하게 조절하였다. 반면 개인주의 성향의 유의미한 조절효과는 없었다. 따라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억제의 관계에서 집단주의 성향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은 수준일 경우, 이러한 보호 효과가 점차 낮아짐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으로 인한 역기능적 분노억제에 대해 집단주의 성향의 제한된 보호적 영향력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nger Expression style for college students in the emerging adulthood. For this purpose, Internalized Shame Scale (ISS) of Cook (1988), Anger Expression Inventory(STAXI-K) of Jeon Gyeom-gu et al.,(1997), The Collectivism-Individualism scale(INDCOL) of Singelis et al.,(1995) were conducted on 270 college students, aged 18 to 29 who are enrolled in local(South Korea) universities. Internalized Sham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nger-In and Anger-Out,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ger-Control. In addition, Individualism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ger expression style, but Collectivism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ger-I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nger-Control.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Collectivism is a major variable influencing Anger-In and Anger-Control. Next, in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expression of anger,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ism-Individualism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Anger-In was significantly controlled by Collectivism.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ism.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Collectivism tended to act as a protective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nger-In. Howev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is protective effect gradually decreased when the Internalized Shame level in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limited protective effect of Collectivism on the dysfunctional Anger-In caused by Internalized Shame.

      •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적 지지 지각을 매개로

        박정은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Especially, th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on was verified by being motive based classified into the relation- involv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and the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For this purpose, the sample of 341 adults over 18 were asked to complete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ISS),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Scale(AEQ-K),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Scale.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were used by using Mplus 7.4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nalized shame and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the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the self-defensive ambivalence), and between the internalized shame and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Also, it was verified 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nalized shame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between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the perception of support sense. the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 each for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but both of them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each of the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the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dually mediated in order variables between the internalized shame and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each of the self-defensive emotional conflict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between the internalized shame and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that the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dually mediated in order variables between the internalized shame and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e results means that the tendency of the internalized shame caused the anxiety of the social interaction through the involv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rather than through the self-defensiv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This study would help to underst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more effective stategies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Also, the clinical implications, several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her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를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적 지지 지각이 매개하는 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특히, 정서표현 양가성은 그 동기에 따라 관계관여적 정서표현 양가성과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18세 이상의 성인남녀 350명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nternalized Shame Scale),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Scale), 사회적 지지 지각 척도(Perception Of Social Support Scale)의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341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Mplus 7.4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모형의 타당성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정서표현 양가성(관계관여적, 자기방어적),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는 정적, 사회적 지지 지각과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정서표현 양가성 중 관계관여적 양가성은 사회적 지지 지각 및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자기방어적 양가성은 사회적 지지 지각과는 부적,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 지각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은 서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관계관여적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적 지지 지각은 각각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적 지지 지각도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각각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관여적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적 지지 지각이 순차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지지 지각의 관계를 이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사이를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적 지지 지각이 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해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의 경향성은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적 지지 지각을 거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예측하기 보다는 관계관여적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적 지지 지각을 거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예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이해와 상담에서 보다 효과적인 개입을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통제력, 공격성 및 중독가능성의 관계

        유은영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중독 가능성의 주요 요인으로 주장되고 있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실제로 중독가능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증명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중독 가능성과 관계가 있다고 주장되는 자기통제력, 공격성의 내면화된 수치심과의 관계를 검증하고, 일반집단과 AA집단에서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통제력, 공격성 및 중독 가능성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의 AA집단 참가자 100명과 성인 380명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자기통제력(SCRS), 공격성 척도(BDHI), 중독 가능성 척도(APS)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공격성 및 중독 가능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자기통제력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AA집단의 내면화된 수치심, 공격성 및 중독 가능성의 평균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일반집단의 평균 점수보다 높았고, 자기통제력의 평균 점수는 일반 집단보다 낮았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중독 가능성에 대해 고유한 설명량을 가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내면화된 수치심이 중독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경험적 연구를 통해 밝혔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며,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empirical evidence between internalized shame with addiction potential. Which has been claimed to have a strong connection theoretically. Also investigate how internalized shame was related with self-control, aggression, and addiction potential; and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Alcoholics Anonymous (AA) group of internalized shame, self-control, aggression and addiction potential. For that purpose, the data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380 adults in Seoul, Gyeonggi, Busan area and 100 person who attend AA in Seoul, Gyeonggi area. In order to measure each variable, internalizes shame scale (ISS), self-control rating scale (SCRS), Buss-Durkee Hostility inventory (BDH), addiction potential scale (APS) were used. The survey result was analyzed with Pearson Correlation,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rist, the internalized shame and the aggression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and also with the addiction potential. But in the other hand, the self-control shows negative correlation toward internalized sham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internalized shame, self-control, aggression and addiction potential between normal group and AA group. AA group recorded a higher level in internalized shame, aggression and addiction potential than normal group and also recorded a lower level in self-control. Third, internalized shame had influence on addiction potential. Based on the finding, the implications of understandings and the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of this research were offered for the further.

      • 내면화된 수치심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에 미치는 영향 : 분노반추를 통한 정신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허유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 간의 관계에서 분노반추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정신화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만 20세-39세의 394명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반추, 정신화,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을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Baron과 Kenny(1986)의 제안에 따라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조절효과 분석 및 SPSS Macro를 활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변인들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반추,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신화와 기타 변인들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하위요인인 분노표출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반추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면화된 수치심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하위요인인 분노억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반추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수록 분노반추에 영향을 미쳐 분노표출 및 분노억제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정신화는 분노반추와 분노표출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신화 수준이 높을수록 분노반추가 분노표출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함을 증명하였다. 넷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분노반추를 매개로 분노표출에 영향을 미치며, 분노반추와 분노표출의 관계에서 정신화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상담 장면에서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through anger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e measures used to assess these effects with a sample of 394 adults 20-39 years old, corresponding to early adulthood, who liv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cluded internalized shame, anger rumination, mentalization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uggestions of Baron and Kenny(1986), and the Bootstrapping was performed. Next, the moderating effect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SP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ger rumination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anger-out, anger-in) , and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verified between mentalization and other variables. Second, the significant full mediating effect of anger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nger-out that is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s sub-factors was 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nger-in that is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s sub-factors had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in anger rumination. The higher internalized shame had influenced anger rumination and increased anger-out and anger-in. Third,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anger-out was found, but not for anger-in. Thereby it was proved that the higher mentalization, the less the effect of anger rumination on anger-out. Fourth,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ger rumination, and anger-out was found. Based on the finding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implications in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 : 지각된 통제감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서은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control,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358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Gyeonggi-do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which is composed of ISS(Internalized Shame Scale), K-ACQ-R(Korean version of Anxiety Control Questionnaire Revised), AAQ-16(Acceptance Action Questionnaire-16), SIAS(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PS(Social Phobia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appeare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experiential avoidance, as well as social anxiety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control and internalized shame as well as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Also,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Second, perceived control and experiential avoidance appeared to hav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Also the present study found full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control and experiential avoidance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The result of present study implied that internalized shame, perceived control and experiential avoidance significantly contribute to social anxiety. Last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과 경험회피가 나타내는 매개효과와 그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및 대학원생 358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개정된 한국판 불안통제 질문지(K-ACQ-R), 수용-행동 질문지(AAQ-16), 사회적 상호작용 척도(SIAS), 수행불안 척도(SP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경험회피 및 사회불안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지각된 통제감과 내면화된 수치심, 경험회피, 사회불안 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경험회피와 사회불안 간에도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과 경험회피는 차례로 연속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화된 수치심은 매개변인들을 통하여 사회불안에 간접적으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불안에 내면화된 수치심, 지각된 통제감, 경험회피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은폐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 정서표현양가성 매개효과

        강지헌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re mediating sequent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magnetic concealment. For this purpose, a self - repor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14 adult males and females aged 20 to 40 years, who were early adulthoods of Erikson(196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self - concealment,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l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This means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second. The internalized shame mediates sequentially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the path that influences self concealment is significant. In addition, the internalized shame mediates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influences self concealment. However, internalized shame mediated the rejection sensitivity, indicating that pathways affecting self - concealment were not significant.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hs that affect self - concealment through mediating th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on in the internalized shame, and the paths affecting self - concealment and the internalized shame mediating sequentially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more effective intervention i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Erikson(1963)의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20세부터 40세까지의 성인 남녀 총 31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은폐, 거부민감성, 정서표현양가성은 모두 변인들 간에 서로 정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변인들 간에 밀접한 관련성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거부민감성, 정서표현 양가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자기은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면화된 수치심이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하여 자기은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미하였다. 하지만 내면화된 수치심이 거부민감성을 매개하여 자기은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하여 자기은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내면화된 수치심이 거부민감성, 정서표현 양가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자기은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 관계의 이해와 상담에서 보다 효과적인 개입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 다음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re mediating sequent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magnetic concealment. For this purpose, a self - repor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14 adult males and females aged 20 to 40 years, who were early adulthoods of Erikson(196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self - concealment,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l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This means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second. The internalized shame mediates sequentially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the path that influences self concealment is significant. In addition, the internalized shame mediates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influences self concealment. However, internalized shame mediated the rejection sensitivity, indicating that pathways affecting self - concealment were not significant.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hs that affect self - concealment through mediating th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on in the internalized shame, and the paths affecting self - concealment and the internalized shame mediating sequentially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more effective intervention i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 내면화된 수치심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서은아 동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전남·광주지역 소재의 4년제 남녀 대학생 345명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측정도구는 이인숙과 최해림(2005)이 타당화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2008)이 타당화한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 조맹제와 김계희(1993)가 타당화한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 척도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자비, 우울 수준을 비교하고, 연구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Baron과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변인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내면화된 수치심과 우울 수준이 높았고, 자기자비 수준은 낮았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자비, 우울 간의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내면화된 수치심은 자기자비와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우울과는 정적상관을 보였고, 자기자비와 우울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수록 자기자비 수준은 낮았고, 우울 수준은 높았으며, 자기자비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은 높았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했다. 내면화된 수치심이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자비를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했다는 점에 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상담 혹은 치료 장면에서 자기자비적인 태도를 증진시키는 구체적인 상담방법 개입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가 특정 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일반화의 어려움이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이 일반인이기 때문에 결과를 우울 장애 환자군으로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우울로 진단된 임상 표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주요어: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자비, 우울

      • 내면화된 수치심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와 고통감내력의 순차적 매개효과

        박소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초기 성인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고통감내력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만 18세 이상 35세 미만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자비, 고통감내력, 관계중독을 측정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에 대해 SPSS 23.0과 PROCESS macro 4.1을 활용하여 각 변인의 기술통계, 상관관계, 매개효과 및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자비, 고통감내력, 관계중독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자기자비, 고통감내력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관계중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관계중독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고통감내력은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자기자비와 고통감내력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유의하지 않은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내면화된 수치심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유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고통감내력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distress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relationship addiction in early adulthood.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22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who aged 18 to 34 had been surveyed to assess internalized shame, self-compassion, distress tolerance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and distress tolerance, whereas it display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lationship addiction. In relation to relationship addiction, self-compassion and distress tolerance reveal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hereas self-compassion and distress toleranc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relationship addic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distress tolerance, whereas the indirect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on relationship addiction via self-compass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relationship addiction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self-compassion and distress toler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limit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had been discussed.

      •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후반추사고의 이중매개효과

        윤효석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후반추사고의 매개효과와 그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의 성인 40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배포하여 응답을 받았으며,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척도(SDSAS), 사후반추사고 설문지(PRQ), 사회적 상호작용 척도(SIAS), 사회공포증 척도(SP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응답들을 대상으로 IBM SPSS Statistics 22.0과 IBM SPSS Statistics Process Macro 4.3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사후반추사고, 사회불안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후반추사고가 각각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후반추사고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며, 내면화된 수치심은 해당 변인들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만 사회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후반추사고라는 인지적 과정을 통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며, 해당 경로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후반추사고의 영향이 지배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post-event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To this end,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Internalized Shame Scale(ISS), 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SDSAS), Post-event Rumination Questionnair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and Social Phobia Scale(SPS) were given to 400 people over the age of 18.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ternalized shame,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post-event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Seco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post-event rumin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The direct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social anxiety was not significant when the mediating variables were considered. Such findings show the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post-event rumination on social anxiet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중년 여성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외로움의 관계 : 자기침묵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장은경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침묵, 정서인식명확성, 외로움의 관계를 알아보고, 중년 여성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정서인식명확성이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년 여성 39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인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자기침묵 척도, 정서인식명확성 척도, 외로움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들 사이의 인과관계와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매개 모형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침묵, 외로움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정서인식명확성은 다른 변인들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즉, 내면화된 수치심은 외로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침묵과 정서인식명확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외로움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외로움에 대한 이해를 높였을 뿐만 아니라, 내면화된 수치심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정서인식명확성이라는 중간 기제를 밝힘으로써, 효과적인 상담 개입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internalized shame, self-silencing, emotional clarity, and loneliness in middle-aged wome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silencing and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loneliness.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sing the Internalized Shame Scale(ISS), the Silencing The Self Scale(STSS), the Trait Meta-Mood Scale(TMMS), and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RULS) for 399 middle-aged wome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ied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internalized shame, self-silencing, and loneliness. But, emotional clarity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aforementined variables. Secondly, the rel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loneliness was partially mediated by self-silencing and emotional clarity. In other words, internalized shame not only directly affected loneliness, but also indirectly through self-silencing and emotional clarity.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