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남자의 직업만족도와 의복행동과의 상관연구 : 사무직, 관리직, 전문직을 중심으로

        임정선 숙명여자대학교 198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직업을 가진 성인남자를 대상으로 1) 직업만족도와 의복행동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2) 연령, 교육정도, 결혼여부, 직업, 월수입, 경제수준 등의 배경변인과 직업만족도 및 의복행동의 차를 비교하며 3) 의복행동과 직업만족도 및 배경변인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며 4) 직종별 직업만족도와 의복행동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며 5) 의복행동 변인 상호간의 관련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의복행동변인에는 의복의 만족도, 안락감, 유행에 대한 관심, 의복수용의 네측면을 포함시켰다. 본 연구는 설문지에 의한 조사방법을 택하였으며, 측정도구로 직업만족도의 측정은 Miller 의 The Attitnde Toward Any Ocupation Scale 총 90 문항 중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20문항으로서 김원옥(1984)의 연구에서 신뢰도가 인정된 문항을 사용하였고 의복의 만족도, 안락감, 유행에 대한 관심, 의복수용등의 의복행동 측정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표집대상은 서울시내의 전문직, 관리직, 사무직에 종사하는 성인남자 300명을 임의로 표집하였으며 그중 불완전한 응답을 제외한 253명이 통계처리 되었다. 자료분석에는 Pearson 적률상관계수, F-test (One-Way ANOVA 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test, 다변량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인남자의 직업만족도와 의복만족도는 유의한 正的 상관관계가 있었다. 2) 배경변인과 직업만족도 및 의복행동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연령과 직업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교육정도와 직업에서는 직업만족도·의복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결혼여부와는 유행에 대한 관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월수입과 경제수준에서는 직업만족도·의복만족도 및 의복수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의복행동과 직업만족도 및 배경변인과의 관계에서 의복행동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의복만족도에는 직업만족도·경제수준이 영향력을 주었고, 의복안락감에는 연령이 영향력을 주었고, 유행에 대한 관심에는 결혼여부가 영향력을 주었으며, 의복수용에는 월수입이 영향력을 주었다. 4) 직종별 직업만족도와 의복행동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즉, 관리직 종사자는 직업만족도와 의복만족도에서 유의한 正的상관이 있었고, 직업만족도와 유행에 대한 관심에서는 유의한 負的 상관이 있었으며, 전문직 종사자는 직업만족도나 의복만족도에서 유의한 正的 상관이 있었으나, 사무직 종사자는 직업만족도와 의복행동에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의복행동 변인 상호간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즉, 의복만족도는 의복안락감과 유의한 正的 상관이 있었고, 의복안락감과 유행에 대한 관심에서는 유의한 負的 상관이 있었다. With adult men who work and live in the Seoul area as on o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e the following solations; 1)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clothing behavior. 2) Differences between the variable background factors - age, an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an occupation, a monthly income, and an economic level - and the degree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clothing behavior. 3) Relationship of clothing behavior, the degree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the variable background factor. 4)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by occupation and clothing behavior. 5) Correlation in the Clothing behavior variable factors. The clothing admission, a degree of satisfaction in clothes, a sense of comfort, an concern for fashion are included in the variable factors of the four clothing behavior. This study adopted a survey by the questionaire, and the barometer of the degree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is based upon Miller's The Attitude Toward Any Occupation Scale of the total 90 questions of the book, 20 questions were considered appropriate in Korea by Kim Won-ok in 1984 and were adopted in this study. The survery of clothing behavior such as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clothes, an concern for fashion, admission of clothes is selected from questionaires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Pollees subject to this study are 300 men engaged in a professional job, an administrative job, and an office job, of the total responses from the 300 persons, responses from 253 persons were considered appropriate and reflected in this study.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F-test(one-way ANOVA 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of adult men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clothes have static correlations. 2) The variable background factors, the degree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clothing behavior have differences in part. This is, ag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had some differences, and the degree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that of satisfaction in clothes have some differences, Marital status and a concern for fashion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e degree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that of clothing satisfaction are correlative together with clothing admission. 3)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clothing behavior, the degree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the background variable factors are as follows; The degree of clothing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the degree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on economic level. A sense of comfort in clothes is affected by age. Marital status effects a concern for fashion. Clothing admission is influenced by a monthly income. 4) The degree of satisfaction by occupation is partly correlated with clothing behavior. That is, people in an administrative job is correlated wi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by occupation in terms of the degree of clothing satisfacti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by occupation is not related with a concern for fashion. For professionals, the degree of satisfaction by occupation and that of clothing satisfaction are statically correlated. For office workers, there is no correlations found between the degree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clothing behavior. 5) Correlations are partly found among the clothing behavior variable factors. That is, the degree of clothing satisfaction is statically correlated with a sense of comfort in clothes, and a concern for fashion and a sense of comfort in clothes are not correlated with each factor.

      • 운동강도로서의 Double product와 혈액성분과의 상관 : 성인남자를 대상으로

        정인영 우석대학교 1992 국내석사

        RANK : 248669

        본 연구의 목적은 이미 선행 연구결과로 활용되고 있는 운동지표로서의 운동강도 즉 심장에 주는 부담도(Double product : DP)를 Bicycle Ergometer운동을 통하여 구하고 이를 혈액성상인 콜레스테롤 GOT, GPT, 그리고 혈압과 비교 검토하는데 두었다. 운동의 강도로서 활용되는 심부담도(DP)를 지표로서 활용하고자 성인남자 13명을 대상으로 Ergometer를 이용하여 SBP, DP, HR를 산출하였으며 산출된 심부담도(DP)와 혈액성분인 콜레스테롤, GOT, GPT, 그리고 혈압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BP와 DP, HR과 DP는 매우 높은 상관을 가지고 있으며 SBP와 DP는 SBP의 증가에 DP가 비례관계를 가지고 직선상으로 증가했으며 HR의 증가에 DP는 80~100박 사이의 증가보다 140박을 전후로 더 높은 증가를 보였다. 2) DP와 혈압, 콜레스테롤, GOT, GPT와의 상관은 DP와 GOT에 있어서 저도상관을 나타냈고 DP와 콜레스테롤은 負的(부적)상관을 나타냈다. 특히 혈압은 운동강도에 따른 DP와 고도상관을 나타냈으나 휴식기의 혈압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