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정숙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정숙희 지도교수 김주후 본 연구는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의 특성과 관계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양육행동 수준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이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바람직한 부모교육으로 이어져 부모들이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조금이나마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유아교육 현장에서 부모, 교사 등이 유아의 문제행동을 진단하고 예방․치료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의 특성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은 관계가 있는가? 3. 어머니의 양육행동 수준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다니는 만3~5세 유아 420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유아의 담임교사 21명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의 특성에서 어머니의 기질에서는 사회성이, 양육행동에서는 합리적 지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으로는 과잉행동-산만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어머니의 기질은 어머니의 직업 유무에 따라 활동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배경 변인으로 학력에 따라 애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월 급여수준에 따라서는 권위주의적 통제와 적극적 참여 요소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문제행동은 남아가 여아보다 적대-공격성, 과잉행동-산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배경 변인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적대-공격성, 과잉행동-산만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를 보면, 먼저 어머니의 기질과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는 기질 중 사회성이 적대-공격성과 부적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는 양육행동의 합리적 지도는 적대-공격성 및 걱정-불안과 부적상관관계로 나타났고, 적극적 참여도 적대-공격성과 부적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권위주의적 통제는 적대-공격성 및 걱정-불안과 정적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기질과 양육행동의 관계는 기질 중 정서성은 양육행동의 애정 및 적극적 참여와 부적상관관계로 나타났고, 권위주의적 통제 및 과보호와는 정적상관관계로 나타났다. 활동성은 합리적 지도 및 애정, 적극적 참여와 정적상관관계로, 권위주의적 통제 및 과보호와는 부적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수준에 따라 유아 문제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양육행동의 구성 요소들의 합계 점수를 구하여 상위 25%인 사람과 하위 25%인 사람을 각각 추출하여 그 각각의 양육행동 수준과 유아 문제행동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양육행동 전체와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해서는 양육행동의 수준별 점수와는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양육행동의 각 세부 구성요소별로 차이를 알아보았더니 양육행동 중 합리적 지도 점수가 높은 상위 집단은 하위 집단에 비해 유아의 문제행동 중 적대-공격성, 걱정-불안, 과잉행동-산만의 정도가 모두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양육행동 중 권위주의적 통제에서는 점수가 높은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에 비해 유아의 문제행동 중 적대-공격성, 걱정-불안, 과잉행동-산만의 정도가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아동의 자극추구 기질이 실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 : 성별에 의해 조절된 부모의 권위적 양육행동과 아동 자율성의 이중매개효과

        한상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아동의 성장과정에서 실행기능 발달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아동의 자 극추구 기질과 실행기능 관계에서 부모의 권위적 양육행동과 아동 자율성의 이중 매개 효과와 아동 성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아동의 실행기능 곤란, 아동의 자극추구 기질, 부모의 권위적 양육 행동, 아동의 자율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아동의 자극추구 기질이 실행기능 곤란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부모의 권위적 양육행동과 아동 자율성의 이중매개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아동의 자극추구 기질이 실행기능 곤란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부모의 권위적 양육행동과 아동 자율성의 이중매개효과를 성별이 조절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내 초등 2~4학년을 둔 부모 195명이다. 연구를 위하여 아동의 기질 및 성격, 부모의 양육행동, 아동의 실행기능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7.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Process macro ver 4.2의 모형 6번, 88번으로 매개모형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별과 부모의 권위적 양육행동의 관계에서는 여아의 경우 권위적 양육행동이 나타났다. 아동의 성별과 실행기능 곤란 관계에서는 여아의 경우 행동 조절의 어려움이 적었다. 아동의 자극추구 기질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의 권위적 양육행동 수준과 아동 자율성의 수준은 낮았다. 또한, 아동의 자극추구 기질이 높 을수록 실행기능의 모든 하위기능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권위적 양육 행동 및 아동의 자율성 수준이 높을수록 실행기능 곤란의 모든 하위기능의 수준 이 낮았다. 둘째, 아동의 자극추구 기질이 실행기능 곤란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부모의 권위적 양육행동과 아동 자율성의 이중매개효과를 실행기능 곤란의 3가지 하위요 인별로 검증했을 때, 부모의 권위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율성은 자극추구 기질과 실행기능 곤란을 연쇄적으로 매개하였다. 아동의 기질이 자극을 추구할수록 부모 의 권위적 양육행동 수준은 낮아지고, 아동의 자율성도 감소하여 행동조절, 정서 조절, 인지조절의 실행기능 곤란 수준을 높아지게 하였다. 셋째, 아동의 자극추구 기질과 실행기능 곤란의 관계에서 부모의 권위적 양육행 동과 아동 자율성의 매개역할은 성별에 의해 조절되는 효과가 있었다. 권위적 양 육행동의 매개역할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는 행동조절, 정서조절, 인지조절 곤란 에서 모두 유의하여, 여아의 경우에만 권위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자율성의 매개역할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는 행동조절, 정서조절, 인지조 절 곤란에서 모두 유의하여, 남아의 자율성의 간접효과가 더 컸다. 마지막으로, 권 위적 양육행동과 자율성의 이중매개역할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는 인지조절곤란 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남아의 경우 권위적 양육행동과 자율성의 간접효과 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아동의 실행기능 발달을 위해서는 여아와 남아 모두 부 모의 권위적 양육행동에 따른 자율성 발달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실행기능 발달과 성공적인 적응을 위해 아동 개인차를 고려한 지원의 이 론적 근거가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대학생의 기질, 인지적 정서조절 방략이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조문한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기질과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이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기질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의 중재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92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 기질 및 성격검사(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Revised-Short Version: TCI-RS)의 기질 하위척도를 사용하였고,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을 측정하기위해 인지적 정서조절방략 질문지(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nnire: CERQ)를 사용하였다. 심리적 부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사회불안척도(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ADS), 신체증상척도, 자기비판/자기공격과 자기위한 형태 척도(the Form of Self Criticizing/attacking and self Reassuring Scale: FSCRS)의 자기비판 하위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질요인이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자극추구는 사회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위험회피는 신체증상, 자기비판, 사회불안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민감성은 사회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인내력은 자기비판과 사회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심리적 부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질요인은 위험회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이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적응적 인지조절방략은 사회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적응적 인지적 조절방략은 신체증상, 자기비판, 사회불안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이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방략보다 심리적 부적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질이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중재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극추구 기질과 자기비판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이 중재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자극추구 기질의 경우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방략 사용을 줄이는 것이 심리적 부적응 경감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와 기존 결과와의 비교 분석과 함께 연구의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mperamen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psychological maladapt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between temperament and psychological maladaptation. The subjects of study were 192 students of a university in Gyeonggi-do, Korea. For research tools, the temperament sub-measure of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 Revised-Short Version (TCI-RS) was used to measure temperament an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was used to measure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Furthermore, to measure psychological maladaptation, th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ADS), the somatic symptom scale, and the self-criticism sub-measure of the form of self criticizing/attacking and self reassuring scale (FSCR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emperament on psychological maladaptation, sensation seek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and harm avoid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matic symptoms, self-criticism, and social anxiety. Social sensitivity was negative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and pat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criticism and social anxiety. The temperament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psychological maladaptation was harm avoidance.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psychological maladaptation, the adaptive cognitive regulation strateg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and the maladaptive cognitive regulation strateg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matic symptoms, self-criticism, and social anxiety. Furthermore, the maladaptive cognitive regulation strategy had greater effect on psychological maladaptation than the adaptive cognitive regulation strategy.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in the effects of temperament on psychological maladaptation,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had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 seeking and self-criticism. This suggests that in the case of sensation seeking temperament, reducing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can effectively reduce psychological maladapta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청소년의 기질 및 성격특성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혜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기질 및 성격특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지각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의 기질 및 성격특성과 사회적 지지 지각, 안녕감의 일반적 경향 및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 그리고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청소년의 기질 및 성격특성과 사회적 지지의 지각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기질 및 성격특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지각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의 사회적 지지는 청소년 스스로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를 지칭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고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 345명이었다. 기질 및 성격특성, 사회적 지지의 지각, 그리고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 한국판 기질 및 성격검사-청소년용(오현숙, 민병배, 2004), 사회적 지지 지각 척도(박지현, 2006), 그리고 한국 청소년 안녕감 척도(K-SWBS; 이현주, 이미나, 최인수, 2008)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기질 및 성격특성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위험회피, 사회적 민감성, 인내력 기질차원 및 자기초월 성격차원에서만 나타났는데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기질 및 성격특성의 학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 지지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모와 교사 지지에서 나타났는데 모 지지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교사 지지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교사 지지에서만 나타났으며, 2학년이 1학년보다 더 높게 지각하였다. 그리고 안녕감의 경우, 성별에 따른 차이가 전체 안녕감 및 정서적·심리적·사회적 안녕감에서 모두 나타났는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더 높았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정서적 안녕감에서만 나타났는데 1학년이 2학년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기질 및 성격특성과 사회적 지지, 안녕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우선 자극추구 기질차원은 교사 지지, 전체 안녕감 및 사회적 안녕감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위험회피 기질차원은 부와 친구 지지, 전체 안녕감 및 안녕감 하위유형과 부적상관을 나타낸 반면, 모 지지와는 정적상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민감성 기질차원 및 자율성, 연대감 성격차원은 모든 지지원의 하위유형, 그리고 전체 안녕감 및 안녕감 하위유형과 모두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인내력 기질차원은 부 지지를 제외한 모든 지지원의 하위유형, 그리고 전체 안녕감 및 안녕감 하위유형과 모두 정적상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자기초월 성격차원은 부모 지지, 전체 안녕감 및 심리적·사회적 안녕감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모든 사회적 지지원 및 전체 안녕감과 안녕감 하위유형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청소년의 기질 및 성격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먼저 위험회피 기질차원은 전체 안녕감 및 정서적·사회적 안녕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민감성 기질차원은 전체 안녕감과 정서적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인내력 기질차원은 심리적 안녕감에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성 성격차원은 전체 안녕감 및 안녕감 하위유형에 모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자극추구 기질차원 및 연대감, 자기초월 성격차원은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의 평가적 지지는 전체 안녕감 및 사회적 안녕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모의 평가적 지지는 정서적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정서적 지지는 전체 안녕감 및 정서적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친구와 교사 지지의 총합은 전체 안녕감과 안녕감 하위유형 모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기질 및 성격특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전체 안녕감의 경우, 모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자기초월 성격차원과의 관계에서,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위험회피와 사회적 민감성 기질차원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정서적 안녕감의 경우, 부의 사회적 지지는 인내력 기질차원과의 관계에서, 부, 모의 사회적 지지는 자율성 성격차원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였다.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자기초월 성격차원과의 관계에서,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자극추구 및 위험회피 기질차원, 자율성 그리고 연대감 성격차원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의 경우,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자기초월 성격차원과의 관계에서,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위험회피 및 사회적 민감성 기질차원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사회적 안녕감의 경우, 모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자기초월 성격차원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며, 교사 This research studies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temperament, character and well-being of adolescents f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this study examined general tendencies and demographic differences of adolescent’s temperament, character,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as well as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temperament, character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well-being in adolescents, and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character and well-being. In this study, a social support is referred to as social supports perceived by adolescents themselves. This research participated 345 high school students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s. To measure adolescent’s temperament, character,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Korean versions of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JTCI) by Hyun-Sook Oh, Byoung-Bae Min (2004),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by Ji-Hyun Park (2006), and Korean Subjective Well-Being Scale(K-SWBS) by Hyun-Ju Lee, Mi-na Lee, In-su Choi (2008) were us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n the tendencies of temperament, character,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regarding to the sex difference, grade difference showed the following. Gender difference of adolescent’s temperament and character was only found in hard avoidance, reward dependence, persistence and self-transcendence. More girl students showed a high tendency in terms of all variables than boy students. Grade difference of an adolescent’s temperament and character was not found. Gender difference of social support was found in supports by the students’ mothers and teachers. Girl students appeared to be more likely to perceive mother supports than boy students while boy students appeared to be more likely to perceive teacher supports than girl students. Grade difference was only found in teacher’s support, in which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showed more tendency to perceive than those in the first grade. Also, gender difference of well-being was all appeared in overall well-being and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s, and more boy students showed a higher tendency to experience such well-beings than girl students. Grade difference in the well-being variable can only be found in emotional well-being, in which students in the first grade showed a higher tendency to experience emotional welling-being than those in the second grade. Second, the cor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temperament, character,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ir novelty seeking(N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 teacher’s support, overall well-being and social well-being, and then harm avoidance(HA)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upports by father and friends as well as overall well-being including its subordinate types of well-beings while 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 mother’s support. Reward dependence(RD) and self-directedness(SD) as well as cooperativeness(C)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ubordinate types of all the sources of supports and overall well-being including its subordinate types of well-beings. Persistence(P)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ubordinate types of all the sources of supports and overall types of well-being including its subordinate types of well-beings, except a farther’s support. Self-transcendence(ST)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upports by parents as well as overall well-beings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s. Finally, all the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all the sources of supports and overall types of well-being including its subordinate types of well-beings. Third, looking at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temperament, character and social support on well-being, HA temperamen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overall well-being and emotional and social well-beings. RD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verall well-being and emotional well-being, and 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SD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overall well-being and its subordinate types of well-being, whereas NS, C and ST had not influence on well-being. Furthermore a father’s evaluative suppor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overall well-being and social well-being while a mother’s evaluative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motional well-being. In addition, a teacher’s emotional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verall well-being and emotional well-being. Lastly, total sum of supports by friends and teach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verall well-being including its subordinate types of well-being. Fourth,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character and well-being in adolescents was significant. First of all in terms of overall well—being, social supports by mothers and friends were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ST, while social supports by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s with HA and RD. In terms of emotional well-being, social supports by fathers were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P while social supports by parents were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SD. It appeared that social supports by friends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ST while social supports by teachers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NS, HA, SD and C. With regard to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s by friends were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ST while social supports by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HA and RD. Regarding social well-being, social supports by mothers and friends w

      • '氣質變化 敎育論'에 근거한 李珥의 兒童敎育觀 연구

        김미령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성리학(性理學)적 주기론(主氣論)에 기초하고 있는 '기질변화 교육론(氣質變化 敎育論)'을 근거로 율곡 이이(李珥: 1536-1584)의 아동교육관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이의 '기질변화 교육론'에 근거한 아동교육관은 주로 『소아수지(小兒須知)』와 『격몽요결(擊蒙要訣)』를 통해 고찰하였다. 두 저서에 나타난 아동교육의 특징은 '입지(立志)'와 '습관교육(習慣敎育)'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는 도덕적 주체적 삶의 방향을 제시해 준다는 점과 교육의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이의 '기질변화 교육론'에 근거한 아동교육관의 교육 사상적 특징이 무엇인가? 둘째, 『소아수지(小兒須知)』와 『격몽요결(擊蒙要訣)』에 나타난 이이의 아동교육관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연령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가? 또한 그의 아동교육관은 어떠한 교육내용과 방법을 제시해 주는가? 셋째, 이이의 '기질변화 교육론'에 근거한 아동교육관이 현대의 아동교육에 시사하는 교육적 의의는 무엇인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교적 아동관은 인간의 본성은 선(善)하다는 성선설(性善說)적 인간관에 기초하고 있다. 이이는 이러한 긍정적 아동 이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인간의 마음을 본연성(本然性)과 기질성(氣質性)이 묘합(妙合)한 일원적(一元的) 구조로 파악하는 주기론적 인간관을 제시하였고, 유가의 이상적 인간상인 성인(聖人)이 되어 가는 과정은 기질성을 변화시키는 데서부터 출발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즉, 이이의 교육론은 인간의 선(善)한 본성을 회복해야 한다는 '복기성(復其性)'과 기질은 변화가 가능하다는 '교기질(矯氣質)'로 요약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기질변화 교육론'이라 하였다. 이이의 '기질변화 교육론'의 대전제는 이(理)의 보편성과 기(氣)의 특수성을 함축한 이통기국(理通氣局)과 인심도심도설(人心道心圖說)로 함축할 수 있다. 이는 인간마다 타고난 기질이 다른데 따른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한 것으로, 그 핵심은 습관교육을 통한 기질변화에 있다. 이이는 이러한 '기질변화 교육론'의 방법으로 '입지(立志)'와 '극기복례(克己復禮)'를 들어 설명하였다. 둘째, 『소아수지(小兒須知)』와 『격몽요결(擊蒙要訣)』에 나타난 이이의 아동기 인식은 대체로 선진유학에서부터 전해 내려온 아동에 관한 긍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이이는 아동의 신체적·정신적 미성숙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발달단계에 따른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즉, 『소학(小學)』교육에 들어가기 전의 소아 단계에서는 일상생활을 통한 습관교육을, 『소학』 교육기에서 『대학』 교육기에 있는 아동에게는 습관교육과 아울러 거경(居敬)·궁리(窮理)·역행(力行)·독서(讀書) 등의 교육을 제시하였다. 셋째, 이이의 '기질변화 교육론'에 따른 아동교육관이 현대 아동교육에 시사하는 교육적 의의는 습관교육에 있다는 점이다. 특히, 가소성(可塑性)이 큰 아동기 교육에 있어서 올바른 태도형성을 위한 습관교육은 도덕교육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기질변화 교육론'에 근거하고 있는 이이의 아동교육관을 분석하면서, 인간의 교육적 완성을 위한 출발점으로서 습관교육이 중요함을 고찰하였다. 아동기의 올바른 습관교육을 바탕으로 한 지식교육은 도덕적 삶의 지표로서 그 역할을 담담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교육이 간과하고 있는 습관교육을 전통교육의 관점에서 재조명한 이 연구는 대학입시를 위하여 지식위주의 교육에 치중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바로 이러한 점에 있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ed new light on Yulgok Lee Lee's theory on temperament change, which was built on his Jugiron, and his ensuing view of child education. Specifically, it's attempted to analyze Soasuzi and Gyeokmongyogyeol to find out how he taught about habits and Lizhi.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Yulgok's view of child education based on the educational theory on temperament change? Second, what age group of children does Yulgok target in Soasuzi and Gyeokmongyogyeol? And what type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does he present? Third, what i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his view of child education for modern child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fucian outlook on child is based on the ethical doctrine of innate goodness that regards human as fundamentally good. In addition to such a positive understanding of child, Yujok argued that there were both intrinsic nature and temperament in human nature, which is called Jugiron. He suggested that temperament should change to become a sacred person. He insisted that man should recover his or her original good nature, which is called Bokgiseong, and that it's possible to change temperament, which is called Gyogijil. In this study, such an outlook was named an educational theory based on temperament change. This theory is based on Litonggiguk and Insimdosimseol, which respectively refers to the universality of Li and the specificity of Qi. This indicated that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different human temperament, and its focus is placed on inspiring good habits. Lizhi and Geukgibokrye are good ways to teach learners to form good habits. Second, in Soasuzi and Gyeokmongyogyeol, Yulgok sticked to Confucianism's positive approach to children, and presented how to teach children in consideration of children's physical and mental immaturity and their developmental stages. In preschool stage before Sohak education isn't yet conducted, children should be educated to build up good habits in everyday life, and for children who receive Sohak and Daehak education, Geogyeong, Quinli, Yeokhang and reading education should be offered in addition to habit education. Third, concerning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Yulgok's view of child education based on temperament change, his attempt for education of habits shows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modern child education. His outlook on child education, which focused on the right habits and knowledge education, clearly indicates in which direction today's knowledge-based education that pursues college admission only should move in the future. Especially, habit education could serve as an alternative to moral education, since it aims at instilling children with the right attitude toward life. The effort by this study to discuss Yulgok's view of child education that was based on temperament change in pursuit of the right habits and more perfect human beings could make a contribution to identifying what problems current knowledge-based education faced and finding a workable solution about that.

      •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정서표현반응양식과 애착안정성과의 관계

        이민수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이 애착 안정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기질과 아동의 애착 안정성은 관계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과 아동의 애착 안정성은 관계가 있는가? 3.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이 아동의 애착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N 초등학교 6학년 남녀 학생 133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어머니에 대한 애착 안정성 척도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IPPA-R), 개정판 기질 차원 척도 (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 DOTS-R),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 척도 (Parent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 : PACES)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4K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기질 차원별 요소가 아동의 애착 안정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부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이 아동의 애착 안정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부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이 아동의 애착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아동의 기질 차원 중에서는 융통성 기질 차원이,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 중에서는 아동의 부적절한 호기심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양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즉, 아동의 부적절한 호기심 정서표현에 대해 어머니가 적절히 통제할수록 아동의 애착 안정성이 높아지고, 아동의 융통성 기질이 낮을수록 아동의 애착 안정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과 아동의 기질은 아동의 애착 안정성의 11.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정서표현 반응양식이 아동의 애착 안정성 형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앞으로 어머니들에게 아동의 전 생애에 걸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는 애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교육하는데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re related to attachment securit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following topics : 1. How is children's temperament related to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2. How is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related to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3. How are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eren's emotional expression exert influence on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In order to find out the answers, the school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133 students of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and their mothers.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 IPPA-R, 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 DOTS-R, Parent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 : PACES were used as measuring tools.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4K. The survey results were highlighted as follows: 1st, according to a correlation analysis conducted to see how the dimensions of children's temperament are related to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it is partly meaningful. 2nd, based on a correlatio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nd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 it is proved to be in part significant 3rd, Multiple Regression has been conducted to see how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exert influence on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The statistics shows that flexibility among the dimensions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dren's inappropriate emotional expression about curiosity among the dimensions of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re related to attachment security. That is to say, the more mothers tolerate children's inappropriate emotional expression about curiosity, the less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gets. The lower children's flexibility temperament gets, the higher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gets.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nd children's temperament account for 11.3% of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response pattern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nd attachment security have meaningfully related. This study can be used as a preliminary data in educating mothers with the efficient ways to enhance the attachment security, which is greatly to influence the whole life of children.

      •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보육경험이 남녀 아동의 불순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하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남녀 아동의 불순응 행동에 대한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보육경험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규명하는데 주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성, 연령, 기질 등 아동의 개인적 특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그리고 보육 시작시기, 보육 이용시간, 보육교사의 질 및 보육교사의 행동조절 전략과 같은 보육경험을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보육기관을 이용하는 평균 44개월의 아동 62명(남아 34명, 여아 28명)이었다. 본 연구는 영아보육 프로젝트(박성연, 고은주, 2003, 2004)의 일부로, 자료수집은 1차년도(아동의 평균 연령 29개월)와 2차년도(44개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1차년도에는 Goldsmith(1992)의 기질 척도를 번안·수정한 활동성과 정서성의 기질에 관한 자료와 보육 시작시기에 관한 자료를 어머니로부터 수집하였다. 2차년도에는 Park, Belsky, Putnam과 Crnic(1997), 그리고 이미정(1998)의 연구를 참고로 어머니의 거부, 통제, 과보호, 반응적 양육행동을 측정하였다. 보육관련 변인 중에서는 어머니로부터 주당 보육시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보육교사의 질과 행동조절 전략은 NICHD(1996)의 ORCE 관찰을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아동의 불순응 행동은 Achenbach, Edelbrock와 Howell(1987), Larzelere, Amberson과 Martin(1989), Ladd와 Profilet(1966)의 척도를 참고로 문항을 구성하여 교사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SPSS 11 Program을 사용하였고, 각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는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문항들 간의 내적 일치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기초분석을 위해서 평균과 표준편차 및 t-검증을 사용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를 사용하였으며,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삼원변량분석, 일원분산분석 및 Duncan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모든 유의도는 p<.10 이하 수준에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순응 행동에 성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불순응 행동과 관련된 변인에는 성차가 나타나, 남아가 여아보다 활동성이 높고, 어머니가 여아에게 더 반응적이었으며, 여아의 보육 시작시기가 더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령에 따른 불순응 행동은 여아의 경우에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2세에 가장 불순응적이었다. 둘째, 남아의 불순응 행동은 기질 중에서는 활동성과 정서성, 양육행동 중에서는 거부와 반응성, 그리고 보육경험 중에서는 주당 보육시간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아의 불순응 행동은 정서성과 주당 보육시간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예상과는 달리 보육 시작시기나 보육교사의 질은 불순응 행동과 상관이 없었다. 셋째, 성과 기질 집단에 따라 불순응 행동 관련 변인들의 양상을 살펴보면, 남아는 양육행동, 여아는 보육경험의 영향이 유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관계없이 활동성 또는 정서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관계적 변인(어머니의 양육행동, 보육교사의 행동조절 전략)이, 활동성 또는 정서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구조적 변인(보육시작시기, 주당 보육시간)이 불순응 행동을 강력하게 예측하였다. 한편, 남아의 경우 '활동성×통제적 양육행동×주당 보육시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 가족 특성이 유리하더라도 과도한 보육시간은 아동의 불순응 행동 발달에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정서성×반응적 양육행동×주당 보육시간'이 상호작용하여 아동의 불순응 행동을 예측하였는데, 양육행동이 반응적이면 까다로운 기질이나 보육시간으로 인한 부정적 효과를 완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아의 경우에는 어떠한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보육경험은 아동의 불순응 행동을 예측하였으며, 아동의 성과 기질에 따라 서로 다른 상관관계 양상을 보여 기질에 조화로운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입증하였다. 또한 남아는 가족내적 변인의 영향 및 여러 변인들의 상호작용 효과에 민감한 반면, 여아는 가족외적인 보육경험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아의 경우 보육의 질을 통제했을 때, 기질, 양육행동 및 보육시간이 상호작용하여 불순응 행동을 예측하였는데, 과도한 보육시간이 가족 요인의 우수한 특성을 방해할 수도 있지만, 어머니의 반응성이 보육경험의 부정적 효과를 중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바람직한 양육행동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의 불순응 행동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생태학적 맥락의 관점에서 기질, 양육행동 및 보육경험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boys' and girls' noncompliance in ecological context.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lation of child's temperament(activity level and emotionality), maternal behavior, day-care(age of entry, quantity, quality and caregiver's control strategy) and child noncompliance, and their interaction effects were examined. A total of 62 average 44 month-old children(34 boys and 28 girls) enrolled in child-care center were observed, and mothers and caregivers completed questionnaires. Data was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three-way ANOVA,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child noncompliance. But girls' noncompli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activity level and emotionality, maternal rejection and responsiveness, quantity of day-care and boys' noncompliance. For girls, only activity level and quantity of day-care were related to noncompliance. Third, for boys, maternal behavior was a consistent predictor of children's noncompliance, whereas day-care variables were strongly related to girls' noncompliance. And regardless of gender, children who were low in activity level or emotionality were more affected by relational aspects(eg, maternal behavior and caregiver's control strategy), whereas children who were high in activity level or emotionality were more affected by structural aspects(eg, age of entry and quantity of day-care). In addition, for boys,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among temperament, maternal behavior, and quantity of day care. These results provided evidence that excessive day-care was a risk factor, but maternal responsiveness served a compensatory function for day-care experience. In conclusion, not only children's temperament, maternal behavior, and day-care experience predicted boys' and girls' noncompliance, but also their interaction effects were significant.

      • 행동억제기질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

        김태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행동억제 기질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 성인 남녀 386명을 대상으로 성인의 행동억제 기질, 거부민감성, 정서표현 양가성, 사회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의 행동억제 기질, 거부민감성, 정서표현 양가성, 사회불안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행동억제 기질은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행동억제 기질은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각각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인의 행동억제 기질은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유아 기질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이미경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만 4~6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기질 유형이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에 개인적 차이라 할 수 있는 유아의 기질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다중지능의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다중지능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B법인어린이집과 A사립어린이집 만 4~6세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각 어린이집에 100부를 배부하여 B법인어린이집에서 61부를 회수하였고 A사립어린이집에서 68부를 회수하였으나 일부문항에 대한 답변이 누락되거나 불분명한 답변 기재 등으로 신뢰성에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판단되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연구의 동원된 최종 표본수는 102부이다. 유아의 기질 측정을 위하여 Thomas와 Chess(1977)에 의해 개발된 PTQ(Parent Temperment Questionnaire)와 Carey와 McDevitt(1978)가 개발한 ROTQ(Revised Infant Temperament Questionnaire) 및 천희영(1992)이 어머니와 면접에서 수집된 것을 참고로 하여 3세에서 7세까지 우리나라 유아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연구용 기질 평정척도를 김근화(2005)가 수정․보완한 유아 기질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기질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천희영(1992)과 최영희(1991)의 연구를 참고로 하였다. 유아의 다중지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Shearer(1996)가 개발한 유아용 다중지능 검사지인 MIDAS for young child(4~8세용)을 양옥승, 신화식, 이경옥, 황계경, 김승옥(2004)이 우리나라에 맞게 수정·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다중지능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에 대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과 다중지능과의 관계에 대해서 적응성은 신체․운동적 지능과 정적 상관이 있으며, 생리적 규칙성은 논리․수학적 지능, 공간적 지능, 개인이해 지능과 정적 상관이 있으며, 반응성은 음악적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언어적 지능과 정적 상관이 있으며, 정서성은 신체․운동적 지능, 공간적 지능, 개인이해 지능, 대인관계 지능과 정적 상관이 있는 반면, 활동성은 논리․수학적 지능, 공간적 지능, 언어적 지능, 개인이해 지능, 대인관계 지능과 부적 상관이 있다. 둘째,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반응성이 높을수록 음악지능, 신체․운동적 지능이 높아진다. 활동성이 낮고, 반응성이 높을수록 언어적 지능, 개인이해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이 높아진다. 반응성과 정서성이 높을수록 공간적 지능이 높아진다. 활동성이 낮을수록 대인관계 지능이 높아진다. 활동성이 낮을수록, 반응성과 정서성이 높을수록 유아의 다중지능이 높아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how children’s disposition affects their multiple intelligences targeting children with age of 4, 5 and 6 who are learning at children’s education institutes, and thus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hildren’s disposition which is individual difference for advancement of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researching multiple intelligenc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hall set goals of research as following: Research goal 1, How children’s disposition affects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Research goal 2, What is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disposition and their multiple intelligen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rents of children in their 4 ~ 6 age who attend B children’s school and A private school located G city, and distributed 100 copies of questionnaires those schools, and excluded answer sheets which lack reliabilities due to omitted and ambiguous answer, therefore, the number of samples was finally 102 copies.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disposition,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 for children’s disposition which was developed for research targeting children in their ages of 3 ~ 5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Geun Wha (2005). That questionnaire was referred to Parent Temperment Questionnaire (PTQ) developed by Thomas and Chess (1977) and Revised Infant Temperament Questionnaire(RITQ) developed by Carey and McDevitt(1978) and collected materials by Chun Hee Young’s interview with mothers In order to classify categories of disposition, researches of Chun Hee Young (1992) and Choi Young Hee (1991) are used. In order to know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 modified and translated by Yang Ok Seung, Shin Wha Sik, Lee Kyeong Ok, Whang Gey Kyeong and Kim Seung Ok (2004) based on MIDAS for young child (For age of 4~8) which was developed by Shearer(1996) to check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as following using SPSS 14.0 (program). First, this research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clarify how children’s disposition affects children’s disposition. Second, in order to check what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isposition and their multiple intelligences exists, Pearson's product-moment coefficient of correlation is us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re children’s disposition reacts to effects o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the higher musical, physical and exercising intelligences become. And the lower children’s activities become and the higher children’s reactions become, the higher linguistic intelligence, personal understanding intelligence, logical and mathematical intelligence becomes. The higher children’s reactions and emotions of children become, the higher spatial intelligence become. The less children’s activities become, the higher children’s inter-personal intelligence become. The less children’s activities become, and the higher children’s reaction and emotion becomes, the higher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become. Second, Adoptability in relations between children’s disposition and multiple intelligences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exercising intelligence, and physiological regularity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logical, mathematical intelligence, spatial intelligence and personal understanding intelligence. Abilities for reactions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musical intelligence, physical and exercising intelligence and linguistic intelligence, and emotional aspect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exercising intelligence, spatial intelligence, personal understanding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whereas aspects of activities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logical and mathematical intelligence, spatial intelligence, linguistic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 유아의 기질, 부모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숙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early childhood, maladjustment in educational institute and problem behaviors are durable and to decrease and prevent child’s problem behavior this study set-up three subject of inquiries. First subject of inquiry is ‘Is there are relation between child’s temperament and child’s problem behaviors?'. Second one is ‘Is there are relation between parent’s rearing-attitude and child’s problem behaviors?'. Last subject of inquiry ‘Does child’s temperament and parent’s rearing-attitude influence on child’s problem behaviors?'.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5 year old children (320) from 9 kindergartens in D City, and their father and mother (each 320). For temperament test tool, researcher used temperament test criterion tool which is devised by Thomas and Chess and modified by Choi Yeonhui(2001). Researcher used questionnaire which was adapted by Lee Wonyeong(1983) from Shaefer's(1959)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and modified by Bae Munju afterward, to use as a tool for measurement of parent's rearing-attitud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K-CBC) was also carried out which was standardized by Oh Gyeongja, Lee Hyeryeon, Hong Gangui, and Ha Eunhye(1997) who devised it on the basis of Achenbach's (1991) 4∼18 year old's Child Behavior Checklist(CBCL).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first subject of inquiry, emotional instability has significant relation with rhythmicity, adaptability, approach-withdrawal, threshold of responsiveness, quality of mood, distract ability, and intensity of reaction. Anxiety/depression problems has significant relation with rhythmicity, adaptability, approach-withdrawal, threshold of responsiveness, quality of mood, distract ability, activity and intensity of reaction. In the case of somatization, it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rhythmicity, adaptability, approach-withdrawal, threshold of responsiveness, quality of mood, distract ability, and intensity of reaction. For withdrawal problems,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 with rhythmicity, adaptability, approach-withdrawal, quality of mood, distract ability, activity, and intensity of reaction. For admonition problems, it has relation with rhythmicity, adaptability, quality of mood, distract ability, activity, and intensity of reaction. For aggressive operations, rhythmicity, adaptability, quality of mood, distract ability, activity, and intensity of reaction has significant relation. In the case of child’s temperament, it was shown there are close connections between ‘intensity of reaction’ and child’s behavior problem. The result of second subject of inquire shows that there is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emotional instability and parent’s affectional, autonomic, and rejecting attitude. Anxiety/depression problems has significant relation with father’s affectional attitude, mother’s affectional and autonomic attitude, and parent’s rejecting attitude. In the case of somatization, it has relation with father’s affectional and autonomic attitude and mother’s affectional and autonomic attitude, and parent’s rejecting attitude. For withdrawal problems, it has significant relation with father’s affectional and autonomic attitude, mother’s affectional and autonomic attitude, and parent’s rejecting attitude. Admonition problems have significant relation with father’s autonomic attitude, mother’s affectional and autonomic attitude, and parent’s rejecting attitude. And for aggressive operations, father’s affectional, autonomic attitude, mother’s affectional, autonomic attitude, and parent’s rejecting attitude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he case of parent’s rearing-attitude, it was turn out that parent’s rejecting attitude has closest connections with child’s behavior problems. The result of third subject of inquire shows that if approach-withdrawal increase emotional instability decrease and it increase when intensity of reaction. Anxiety/depression increase if activity and intensity of reaction increase and when approach-withdrawal and it decrease when quality of mood increase. Somatization decrease if rhythmicity and quality of mood increase and it increase if ‘intensity of reaction’ increases. In case of withdrawal problem, if adaptability, approach-withdrawal, and quality of mood increase, it decrease and if activity and intensity of reaction increase, it increase. In case of admonition problems, if quality of mood, attention span and persistence increase it decrease and if activity and intensity of reaction increase it increase. And aggressive operations decrease if quality of mood increases, and if activity and intensity of reaction increase, it increase. The influences of father’s rearing-attitude sub factors on child’s problem behaviors shows that if father’s rejecting attitude increase, emotional instability, anxiety/depression, somatization, withdrawal problems, admonition problem, and aggressive operations increase and when father’s autonomic attitude increase, admonition problems decrease. The influences of mother’s rearing-attitude sub factors on child’s problem behaviors shows that if mother’s rejecting attitude increase, emotional instability, anxiety/depression, somatization, withdrawal problems, admonition problem, and aggressive operations increase and when mother’s autonomic attitude increase, aggressive operations decrease. The factors of child’s temperament and parent’s-rearing attitude which influence on child’s problem behaviors are all different for each subcategory. In the case of emotional instability, parent’s rejecting attitude, approach-withdrawal, intensity of reaction and adaptability are significant variables and it was shown that mother’s rejecting attitude has the largest impact on. For anxiety/depression, it was shown that intensity of reaction, quality of mood, mother’s rejecting attitude, approach-withdrawal, and activity are significant variables and among them activity has great influence on. For somatization, it was shown that intensity of reaction, rhythmicity, mother’s rejecting attitud, approach-withdrawal, and quality of mood are significant variables and among them intensity of reaction has great influence on. For withdrawal problems, it was shown that adaptability, parent’s rejecting attitude, approach-withdrawal, activity, and intensity of reaction are significant variables and among them adaptability has great influence on. For admonition problems, it was shown that parent’s rejecting attitude, activity, quality of mood, intensity of reaction, attention span and persistence are significant variables and mother’s rejecting attitude has great influence on. For aggressive operations, it was shown that intensity of reaction, quality of mood, parent’s rejecting attitude, activity and adaptability are significant variables and intensity of reaction has great influence on. Child’s temperament and parent’s-rearing attitude have the largest effects on child’s problem behaviors. In conclusion, child’s problem behaviors are related to and influenced by child’s temperament and parent’s-rearing attitude. So analysis of the factors and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child’s temperament are needed and based on this information, moreover, parents and teachers should have proper response and guidance to their children. Also parents need multidirectional efforts to change the quality of rearing attitude positively. And there is expectancy that this research is used actively for decrease and prevention of child’s problem behaviors in child’s educational institu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