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최고경영자 유형에 따른 토너먼트 이론의 효과성 검증

        홍준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Tournament theory according to the type of CEO.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nsation gap between the CEO and top managers and firm performance and firm value are differentiated between professional-CEO managed firms and owner-CEO managed firms. Tournament theory argues that when the compensation gap between hierarchy within a company is large, members of the lower class have an incentive to put a high level of effort to obtain higher compensation through promotion, which in turn leads to higher firm performance. Since the tournament theory presupposes that there is an opportunity for promotion in the lower classes,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compensation gap may appear completely different in professional-CEO managed firms and owner-CEO managed firms. In other word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ournament theory will not hold in owner-CEO managed firms compared to professional-CEO managed firms, considering that the promotion opportunities for managers to the CEO are limited in owner-CEO managed firms where an owner's family takes on the position of CEO.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ensation gap between the CEO and top managers by dividing the sample into professional-CEO managed firms and owner-CEO managed firm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how the incentive given to managers through the compensation gap changes when professional CEO exists together as co-CEOs as well as owner manager in an owner-CEO managed firm. Fi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which can affect managers' decision-making regarding effort inp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nsation gap and firm performance and firm value.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collected the types of CEOs whose individual compensation is disclosed from 2013 to 2019 by hand-collecting, and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urnament theory is supported in the firms which professional manager exists as a CEO. In other words, this study finds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nsation gap between the CEO and top managers and firm performance and firm value. On the other hand, in owner-CEO managed firms, there was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nsation gap and firm performance, but rather ha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firm value. This means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tournament theory according to the compensation gap is different in professional-CEO managed firms and owner-CEO managed firms. In other words, within an owner-CEO managed firm, as opportunities for promotion of managers to the CEO are limited, the compensation gap does not function as an incentive. This result is rather interpreted that compensation gap reduces incentives, and it leads to decrease in firm value. Second, even though the owner manager takes the CEO position in the owner-CEO managed firms, when a professional CEO exists as co-CEOs, this study find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nsation gap and firm performance and firm value. This means that even in an owner-CEO managed firm where the owner takes the position of CEO, the compensation gap with the CEO can give incentive to the managers if they have the opportunity to be promoted as the co-CEO. Third, using the corporate governance rating which disclosed annually by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this study divided sample firms into a sample with strong governance and a sample with weak governance. In the sample with strong corporate governance, the positive effect of the compensation gap in professional-CEO managed firms was increased and the negative effect of owner-CEO managed firms was mitigated.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ior studies analyzing the effect of the compensation gap according to the tournament theory have been conducted without distinction of CEO type. On the contrar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ype of CEO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tournament theory. In addition, on the perspective of firms, this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that the type of CEO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compensation scheme to provide optimal level of incentives to managers. Second, under the situation that co-CEO structure is widely adopted in Korean firm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existence and type of co-CEOs can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tournament theory. And, it was shown that not only the type of the CEO but also the CEO structure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in determining the compensation scheme that grants the optimal incentives to managers. Third, this study has a contribution point in that it supplements the limitations of the owner manager classification criteria of previous studies and presents a more sophisticated and refined classification standard of classifying the owner manager. 본 연구는 기업의 최고경영자 유형에 따른 토너먼트 이론(Tournament theory)의 효과성에 대해 검증한다. 구체적으로 최고경영자와 임원 간 보수격차와 기업성과 및 기업가치 간 관계가 전문경영기업과 소유경영기업에서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토너먼트 이론은 기업 내에서 계급 간 보수격차가 클 때 하위계급의 구성원은 승진을 통한 높은 보수를 획득하기 위해 높은 수준의 노력을 투입할 유인을 가지며, 이는 곧 높은 기업성과로 이어짐을 주장한다. 이러한 토너먼트 이론은 하위계급의 승진기회가 존재함을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문경영기업과 소유경영기업에서 그 효과성이 전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즉, 오너일가와 같은 소유경영자가 최고경영자 직책을 맡는 소유경영기업 내에서는 전문경영기업과 비교하여 임원들의 최고경영자로의 승진기회가 제한되어 있다고 봤을 때, 토너먼트 이론이 성립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표본기업을 전문경영기업과 소유경영기업으로 구분하여 최고경영자와 임원 간 보수격차의 효과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소유경영기업 내에 소유경영자뿐만 아니라 공동 최고경영자로서 전문경영자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 보수격차를 통해 임원에게 부여되는 인센티브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임원의 노력 투입에 대한 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업지배구조가 최고경영자와 임원 간 보수격차와 기업성과 및 기업가치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2013년부터 2019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DART 내 사업보고서에 개별보수가 공시된 최고경영자의 경영자 유형을 수작업으로 수집하였으며, 최고경영자 유형에 따른 토너먼트 이론의 효과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경영자가 최고경영자로 존재하는 경우 최고경영자와 임원 간 보수격차와 기업성과 및 기업가치가 양(+)의 관계를 가져 토너먼트 이론이 성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소유경영자가 최고경영자 직책을 맡는 경우에는 보수격차와 기업성과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관계를 보였으며, 오히려 기업가치와는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가짐을 보였다. 이는 전문경영기업과 소유경영기업에서 보수격차에 따른 토너먼트 이론의 효과성이 차별적으로 나타남을 의미한다. 즉, 소유경영기업 내에서는 임원의 최고경영자로의 승진기회가 제한됨에 따라 최고경영자와의 보수격차가 인센티브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오히려 최고경영자가 보수의 많은 부분(pie)을 독식함으로 인해 임원의 인센티브를 감소시켜 기업가치를 해치고 있다고 해석된다. 둘째, 소유경영자가 최고경영자 직책을 맡는 소유경영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전문경영자가 복수 최고경영자로서 소유경영자와 함께 존재할 경우에는 보수격차와 기업성과 및 기업가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유경영자가 최고경영자로 존재하는 소유경영기업이더라도, 임원에게 공동 최고경영자로서 승진에 대한 기회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최고경영자와의 보수격차가 임원에게 인센티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기업지배구조등급을 사용하여 기업지배구조의 강건성에 따라 표본기업을 지배구조가 강건한 표본과 부실한 표본으로 구분하여 첫 번째 분석을 재검증한 결과, 대체적으로 기업지배구조가 강건한 표본에서 전문경영기업의 보수격차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가 증대되고 소유경영기업의 부정적인 효과가 완화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지배구조의 감시(monitoring) 효과에 따른 임원의 노력 투입에 대한 유인의 증가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토너먼트 이론에 따른 보수격차의 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국내외 선행연구는 경영자 유형에 대한 구분 없이 진행되어 왔다. 이와는 다르게 본 연구는 실증적으로 토너먼트 이론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유형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기업의 입장에서도 임원에게 최적의 인센티브를 부여하기 위한 보상체계를 설계함에 있어 해당 기업의 최고경영자 유형을 고려해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국내 다수의 기업에서 도입하고 있는 복수 최고경영자 체제 하에서 공동 최고경영자의 존재와 그 유형이 앞서 분석한 최고경영자 유형에 따른 토너먼트 이론의 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업 내에서 임원에게 최적의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보상체계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앞선 최고경영자의 유형뿐만 아니라 경영자 구조가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보였다. 셋째, 본 연구는 인터넷 검색을 통한 수작업으로 소유경영자 여부를 구분함으로써, 선행연구의 소유경영자 구분기준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보다 정교하고 정제된 구분기준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헌점을 갖는다.

      • 동적역량과 시장지향성 및 의존성이 중소기업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조완제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4차산업의 혁신기술 등장으로 기술 생태계가 변모하자 세계 각국이 치열한 기술패권경쟁을 벌이고 있다. 코로나 이후 기업의 생존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최근 많은 기업에서 관심을 갖는 경영이론으로 동적역량(Dynamic Capability)론이 있다. 기존의 자원기반이론만으로는 기업의 지속적인 생존과 성장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 동적역량론이다. 이번 연구는 기존 자원기반관점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등장한 이론인 동적역량관점에서 독립변수인 동적역량과 매개변수인 시장지향성 및 종속변수인 기업경영성과 간의 요인분석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신뢰도, 타당성 및 상관관계 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의 동적역량이 경영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적역량의 하위변수인 3종의 기회탐색역량, 자원획득역량, 자원재구성 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에서는 동적역량인 기회탐색역량의 영향력이 가장 크고, 자원획득역량의 영향력이 중간수준, 자원재구성역량 순으로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둘째, 매개변수인 시장지향성의 매개효과는 종속변수인 기업경영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지향성(시장정보 창출능력)의 매개효과는 기회탐색역량과 자원획득역량에서는 부분매개로 자원재구성역량에서는 완전매개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장지향성(시장정보 확산능력)은 동적역량의 하위변수 모두에서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시장지향성(시장정보 반응능력)은 기업경영 성과의 관계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회탐색 역량과 기업경영 성과의 관계에 대한 시장정보 반응능력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자원획득역량과 자원재구성역량은 완전매개로 채택되었다. 셋째, 동적역량과 기업경영 성과 간의 상호의존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으로 3단계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의존성을 조절변수로 기업경영 성과를 종속변수로, 동적역량을 독립변수로 하는 것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의존성은 기회탐색 역량과 기업경영 성과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고 기회탐색 역량과 기업경영 성과의 관계에 대한 의존성의 조절효과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다시 종합하여 설명하면 의존성의 조절변수는 ‘기회탐색역량과 경영성과, 자원획득역량과 경영성과, 자원재구성 역량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라는 것은 모두 기각되었다. 이번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급격한 사업환경 변화 속도에 따라 현재 보유 하고 있는 정태적(靜態的) 자원의 활용만으로는 급속한 환경변화의 속도에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내부 및 외부 역량을 통폐합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인 동적역량을 활발히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최근 연구결과로 동적역량이 높은 기업일수록 좋은 성과를 이룬다는 것이 실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중소기업이 간과하지 말아야 하는 것은 동적역량과 혁신활동을 위한 기업이 지향하는 비젼과 경영전략수립을 명확히 하고 기업이 보유한 유무형 자원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에 대해 올바른 선택과 집중이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지속적 발전과 성공을 기약하는 주춧돌의 근간으로 반드시 중소기업이 보유하여야 할 역량과 혁신활동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기업가 정신과 시회적책임(CSR)이 조직몰입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미숙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제4차 산업혁명의 흐름속에 세계화와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기업환경은 급속도로 변하고 있다. 치열한 경쟁과 변화 속에서 기업들의 생존과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서 기업가 정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경쟁의 공정성이 훼손되면서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협 받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이로 인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선택이 아니 필수로서의 핵심적인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가 정신 및 기업의 사회적책임(CSR)활동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업가 정신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사회적책임(CSR)활동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조직몰입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사회적책임(CSR)활동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가 정신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기업가 정신을 혁신성, 성취욕구, 위험감수성으로 구분하였고, 사회적책임(CSR) 활동은 경제적책임, 법적책임, 윤리적책임, 자선적책임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가 정신과 사회적책임(CSR)활동이 조직몰입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 정신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 정신의 하위변수인 혁신성, 성취욕구, 위험감수성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책임(CSR) 활동은 조직몰입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SR활동의 하위변수인 경제적 책임 활동과 자선적 책임 활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법적 책임 활동과 윤리적 책임 활동은 기각되어 조직몰입과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몰입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책임(CSR)활동은 경영성과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책임 변수와 자선적책임 변수는 강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법적책임 변수와 윤리적책임 변수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기업가 정신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가 정신을 이해하고, 조직 구성원의 관점에서 내가 속한 조직에 대한 소속감, 일체감, 동일시, 충성도를 가지고 자신의 일에 몰두하기 위해서는 기업가 정신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사회적책임(CSR)활동이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직 구성원들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태도로 조직에 남아 있고자 하는 의지 등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사회적책임(CSR) 활동이 경영성과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경제적책임과 자선적책임이 높을수록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법적책임과 윤리적 책임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업가 정신이 경영성과를 향상 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대해서 설문조사의 취지를 충분히 설명하려고 하였으나 설문조사가 응답자의 이해 및 주관적인 판단 기준 등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둘째, 기업가정신, 사회적책임(CSR), 조직몰입, 경영성과 상위개념만을 가지고 분석하여 상위변수를 구성하고 있는 하위변수들 간의 면밀히 분석하지 못하였다. 향후 조금 더 다양한 변인 및 매개변수를 활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기업이 처한 대내외적인 경영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실증 분석을 위해서는 각 산업별, 지역별, 이해관계자별, 연령별, 사업연한, 기업경영자의 특성 등 조절변수를 다양화해서 면밀한 연구를 진행하여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CSR활동과 기업 경영성과간의 상관관계에서 기업내 사회적책임(CSR) 활동이 마련된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과의 객관적인 자료를 입증하지 못하였다. 기업의 재무제표 자료 등 계량적 지표를 바탕으로 객관적이고 다양한 측면에서 비재무 성과를 포함하여 기업의 경영성과를 비교 분석 해 볼 필요가 있다.

      • 창업기업 경영자의 혁신성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상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analyzes an entrepreneur's innovativ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a start-up company of fewer than seven years. It conducts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the entrepreneurs' innovativeness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and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o determine whether entrepreneurial innovativeness affects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2. To confirm whether entrepreneurial innovativeness affects the employees' innovation behavior. 3. To study whether employees' innovation behavior affects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4. To check whether employees' innovation behavior mediates between entrepreneurial innovativeness and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targeted CEO or managers in large or small and medium-sized firms, this study targeted the employees of start-up companies and newly presented discovery DNA and execution DNA, which are specific behavioral indicators of entrepreneurial innovation.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employees working at a start-up company in Daegu and Gyeongbuk with less than seven years of business history. This study defined entrepreneurial innovativeness as the discovery DNA and execution DNA. Furthermore, it reg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ees' innovation behavior and companies' innovation perform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ntrepreneurial innovativeness significantly affects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2. Entrepreneurial innovativeness significantly affects th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3. Th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4.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innovativeness and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mployees' innovation behavior which plays a vital role in a company's innovation capability as a driving force for creating innovation performance, was confirmed. In addition, the research subject was expanded to start-up companies, and the mechanism that leads to the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was confirmed. Practical implications suggest that to improv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and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entrepreneurs should continuously establish innovation strategies and empathize with employees. In addition, by confirming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at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mediates between entrepreneurial innovation and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it is suggested that a plan is needed to promote the innovative thinking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put it into action. 본 연구는 7년 이하 창업기업 조직구성원들의 관점에서 기업 경영자의 혁신성을 진단하고, 경영자의 혁신성이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의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기업 경영자의 혁신성이 기업의 혁신성과와의 영향을 조사한다. 둘째, 창업기업 경영자의 혁신성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과의 관계에 미치는지에 분석한다. 셋째,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조사한다. 넷째,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이 창업기업 경영자의 혁신성과 기업의 혁신성과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확인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대기업 또는 중소기업의 대상, 혹은 경영자를 대상으로 하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창업기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것과 경영자의 혁신성을 구체적 행동지표인 발견 DNA, 실행 DNA를 제시한 것에 차별성을 가진다. 이를 위해 대구와 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7년 이내 업력을 가진 창업기업에 근무 중인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창업기업 경영자의 혁신성을 발견 DNA와 실행 DNA로 정의하고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과 기업의 혁신성과 간의 관계를 회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기업 경영자의 혁신성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둘째, 창업기업 경영자의 혁신성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셋째,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창업기업경영자의 혁신성과 기업의 혁신성과 관계에서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혁신성과를 창출하는 원동력으로 기업의 혁신역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연구 대상을 창업기업으로 확장하였으며, 경영자의 혁신 DNA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과 기업의 혁신성과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과 기업의 혁신성과 향상을 위해 창업기업 경영자는 지속적으로 혁신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조직구성원과 공감해야 함을 제시한다. 또한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이 창업기업 경영자의 혁신성과 기업의 혁신성과 사이를 매개하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함으로 조직구성원의 혁신적인 사고를 촉진하고 이를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 整理解雇에 관한 硏究 : 기업의 해고회피노력을 중심으로 : focused on management effort to avoid workfored reduction

        박현상 漢陽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8703

        90년대에 들어서 國際景氣의 沈滯와 달러 換率의 상승으로 국내기업의 構造調整과 産業再編이 가속화됨에 따라 기업의 人員調整이 불가피해지고 이에 따른 整理解雇問題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整理解雇는 一般解雇와 달리 근로자의 歸責事由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사정에 따라 일방적으로 행해짐으로 근로자의 勤勞權과 生存權을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따라서 기업의 정리해고 對象者의 解雇事由와 選定基準등의 명확한 기준을 확립함으로써 企業과 勤勞者의 摩擦을 줄이고자 정부는 그동안 判例에 의해 인정되었던 것을 1997年 3月 勤勞基準法 第31條 ‘經營上의 이유에 의한 雇傭調整’에서 기업의 정리해고에 대한 사항을 明文化하였다. 資本主義 經濟體制下에서 기업이 經營危機에 직면했을 경우 人件費를 포함한 經費節減을 위하여 근로자를 해고함으로써 기업의 再建, 存續을 도모하는 ‘經營의 自由’를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경영의 자유를 無制限 인정하게 되면 많은 근로자는 勤勞權을 그 가족은 生存權을 위협받게 됨으로써 社會不安이 조성되므로 국가는 근로자의 근로권과 생존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경영의 자유에 일정한 제한을 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失業補償制度의 未洽, 社會保障制度의 缺如, 年功序列式 賃金體系, 中老年勤勞者의 再就業이 곤란한 현실에서 해고는 근로자에게 치명적이다. 하지만 기업의 입장을 고려할 때 기업의 經營惡化는 기업의 도산을 불러올 우려가 있고, 기업의 倒産은 더 많은 근로자의 失職을 의미함으로 무조건적인 정리해고의 금지는 全體的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勤勞基準法上의 整理解雇의 要件을 살펴보면 1. 긴박한 經營上의 必要要件 有無 2. 사용자의 解雇回避努力 有無 3. 합리적이고 공정한 解雇基準과 이에 따른 해고대상자의 選定 與否 4.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勞動組合이나 勤勞者 代表와의 성실한 協議 여부에 따라 정리해고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긴박한 經營上의 必要要件이 발생할 시 사용자는 解雇回避努力을 통하여 해고를 최소화하고 해고가 不可避 할때에는 勞動組合이나 勤勞者代表와의 協議에 따라 공정하게 解雇對象者를 선정하여 해고함으로써 기업의 경영악화를 막을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기업의 행동반경을 넓게 해석하고 있다. 최근 國際勞動機構나 各國의 정리해고사항은 사용자와 근로자의 위치를 동등한 선상에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각국의 조치를 여과없이 받아들이기에는 産業構造的인 면이나 社會保障制度側面에서나 부족한면이 많으므로 문제점이 있다하겠다. 따라서 정리해고의 要件이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기업은 충분한 整理解雇回避努力 즉 非業務用 不動産의 賣却, 保有株式. 債券의 賣却, 任員報酬. 管理職 手當의 커트, 配置轉換(生産部門에서 營業部門으로), 希望退職者 募集, 新規採用禁止등을 통하여 기업 정상화에 최선을 다하여야 하며, 그래도 경영악화가 지속될 경우에 한하여 勞動組合이나 勤勞者 代表와의 協議를 통하여 근로자의 피해를 最少化 하는 방면으로 정리해고를 실시하여야 하며, 정리해고자의 補償對策을 강구하여야 한다. 또한 不當解雇에 대한 구제방법으로 정당한 이유없는 해고의 救濟申請은 勞動組合法 및 勞動關係調整法 第82條 내지 第86條의 규정에 따라 勞動委員會에 그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그러나 노동위원회의 救濟命令이 있어도 사용자가 구제명령에 대해 이행을 거부할 경우 사용자에 대한 처벌규정이 미약하여, 근로자는 法院에 소송을 제기하는것외에는 방법이 없으나 근로자에게 있어 訴訟의 提起는 막대한 時間과 費用을 필요로하므로 현실성이 없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하겠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사용자의 解雇濫用을 막고, 정리해고가 불가피할 경우 해고 근로자가 再就業에 필요한 就業情報 및 職業轉換에 필요한 職業敎育, 교육에 따른 生活費 補助, 就業 斡旋등의 努力을 통하여 근로자의 再就業에 적극 노력하여야 한다. 整理解雇의 문제는 근로자의 雇傭保護라는 法的理想과 雇傭調整의 필요라는 기업의 현실적 필요사이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整理解雇問題를 法的次元에서만 다루는 것으로는 부족하고, 雇傭政策制度와 雇傭保險制度 그리고 職業訓鍊制度를 통하여 해결해야 하며, 정리해고가 사용자와 근로자간의 문제만이 아니므로 使用者, 勤勞者, 政府 3者가 公平負擔의 원칙에 입각하여 법을 적용하고 施行上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 中小企業經營에 適合한 스포츠·레저用品産業에 관한 硏究 : 볼(BALL)類를 中心으로

        성대경 檀國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development of necessity of leisure has been caused by a rapid growth of the National Income. According to this. the demand to sports-leisure goods and its industry has been increased, too. But in the present time, the sufficient investigations of sports-leisure goods industry have not been enforced yet. Therefore we recognize that sports-leisure goods industry is one sector of the National Economy and of the business administration study and have to enforce the research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entiry by an empirical study. This paper is composed of four sections : the first grasp the fixed concept and peculirlity in the sports-leisure goods industry, the second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s of sports-leisure goods industry in our country, the third abstract the actual conditions cutting down, and the fourth grope about the efficient upbrining schemes. Its outline is as follows : 1. The sports-leisure industry is the field of manufacturing of distributing sports-leisure goods. 2. According to increasing the National Income, the development procedure of sports-leisure goods industry in our country is divided into three phases that are germinate period(1960 ~ 1969), foundation construction period(1970~ 1979), and higher growth period (1980 ~ ). 3. The sports-leisure goods industry in our country has two basic characteristics which are labour intensive industry and small business initiative industry. 4. The sports-leisure goods industry in our country is influnced by the economic environment elements of growth of the National Income and of relative industry and the legal environment elements of "Basic Small Business Law", "Nation People Athletic Law". 5. The sports-leisure goods industry in our country rises steadly and its production condition is shown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small business. That concentrates its efforts on export and its price and quality(high level) conpetitive power is comparatively lower than other competitive nation's. 6. Ball-manufactorying industry in our country is also seen the basic peculirity of sports-leisure goods industry and has some difficulty in demanding and supplying raw materials and high' level techenical labour sources. But the external and intenal demand is comparatively satisfactory and its exports is lean upon U.S.A. and Japan. 7. The sports-leisure goods industry involves seven basic inverterative problems : small scale business, lack of demand, lack of relationship with relative industry, insufficiency of promotion-small-business-system, over-weight of export indirect cost, and internal distribution of inferior foreign manufactured goods. 8. The upbrining schemes of sports-leisure goods industry can be proposed following down: 1) seletion of upbrining items. 2) introducing managerial techenics for quality control. 3) introducing and promoting techenics for new product explotation. 4) connecting with raw material makers. 5) Development of export strategy.

      • 公企業 民營化와 經營 效率性

        홍기두 亞洲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3

        공기업과 민간기업의 기본적인 차이는 그 소유구조에 있으며/ 공기업의 경우 '일반국민-정치인-정부관료-공기업경영자’라는 다단계 계층구조로 이루어진 복잡한 소유구조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다단계 계층구조는 주인-대리인 관계를 복잡하고 불확실하게 만들어 공기업에 심각한 대리인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공기업 민영화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공기업 대리인 문제로부터 야기된 경영의 비효율성에 대한 지적에서 출발한다. 공기업의 경영 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민영화를 추진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크게 두 부류의 반대에 직면하게 된다. 하나는 헐값 매각을 이유로 한 반대인데 공기업 인수자에 대한 특혜 소지를 지적한다. 또 하나는 공기업 존립 이유인 공공이익 확보에 대한 우려를 이유로 한 반대이다. 공기업 매각시의 헐값 매각과 관련된 논쟁은 본질적으로 공기업 가치에 대한 평가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공기업 경영상의 비효율성은 공기업 소유구조로부터 비롯된 대리인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만큼 그 치유가 용이하지 않다. 대리인 문제해결을 위해선 주인이 대리인 문제를 인식하고 대리인에 대한 효과적인 유인체계를 구축하여야 하는데 공기업의 경우 지배관계의 다단계 계층구조로 인해 문제 해결이 곤란하다. 따라서, 공기업 민영화와 관련하여 현재 실현되고 있지 않으며 현 상태로는 달성할 수도 없는 경영 성과를 매각 과정에서 반영할 수 없는 만큼 헐값 매각을 이유로 한 민영화 반대보다는 매각 방식을 다양화하여 민영화 후 제고된 기업가치를 매도자 측에서도 일부 향유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업이 추구하는 공공이익 확보를 이유로 한 민영화 반대는 공기업을 통한 방식보다 계약 또는 규제를 통한 공공이익 확보가 가능해 진 상황 변화를 간과한 주장이다. 최근 들어 계약 또는 규제방식이 발전하면서 공기업을 통한 공공재 공급보다 계약을 통한 공공재 공급이 보다 경제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어 왔으며, 이러한 변화가 선진 각국들의 공기업 민영화를 촉진시키는 배경이 되고 있다. 따라서, 공공이익의 경제적 확보 문제는 공기업 민영화와 관련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계약 또는 규제의 효율성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민영화된 공기업의 소유권자는 공기업시절의 경영 비효율성을 제거하기 위해 대리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안이 책임회계시스템의 도입과 이를 토대로 한 성과급제도의 적용이다. 대부분의 민영화된 공기업들이 민영화 즉시 경영진단을 받게 되며, 경영진단 결과 경영진의 책임과 성과를 분명히 하기 위해 사업부별 책임회계시스템이 도입되게 되고, 이 같은 새로운 회계시스템을 토대로 세분화된 주요 경영성과지표를 개발하여 경영진의 유인체계와 연계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통제가능성과 추적가능성을 근간으로 하는 책임회계시스템과 대리인의 의사결정에 대한 정보성을 중시하는 대리인 이론과 충돌하게 된다. 책임회계시스템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손익 및 자산 부채 계정을 각 사업부별로 배분하게 되는데, 대리인의 위치에 있는 사업부 입장에서는 자신이 통제 가능한 계정에 대한 배분만을 허용하는 반면, 주인의 위치에 있는 본부는 통제가능성 보다 사업부의 성과에 추가 정보를 줄 수 있는 모든 계정을 가능한 한 많이 대리인의 위치에 있는 사업부에 배분하려고 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본부의 경영책임자와 사업부 경영자 간에 충돌이 발생된다. 책임회계시스템을 엄격하게 적용할 경우 사업부 경영자의 통제가능성에 따라 성과 평가를 할 수 있게 되어 대리인에 대한 동기 부여를 강조하는 이점이 있는 반면, 적절한 위험 분담을 고려하지 않아 불확실성에 따른 사업부 경영자들의 위험회피 성향으로 인한 또 다른 대리인 비용을 발생시키게 된다. 대리인 이론에 보다 충실하게 정보성을 중시하여 통제불가능 비용을 각 사업부별로 배분할 경우 사업부 경영자들은 사업부가 확보할 수 있는 개별 정보들을 본부에 전달하여 사업부에서 통제할 수 없지만 자기 경영 성과에 영향을 주는 비용을 본부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게 된다. 즉, 통제불가능 비용의 배분은 사업부와 본부간의 정보 교류를 활성화하여 경영성과 제고에 순기능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difference between a public company and a private company is determined by its ownership structure. In the case of a public company, ownership structure takes the form of a multiple principal-agent relationship composed of citizens, politicians, public officials, and executive management figures of the entity. This type of ownership structure of public companies often gives rise to a complicated and uncertain principal-agent relationship, which can lead to a serious agency problem. This problem is also often cited as the reason for the inefficiency of management at public companies. In order to deal with agency problems, privatization of public companies has become a major issue in recent times. Privatization efforts with the goal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public companies are confronted, in general, by two objections. One is related to the selling of public companies at fire sale prices, which gives certain privileges to the buyer, while the other objection is concerned with the initial objective of establishing public companies in the first place -- namely ensuring public interest. Therefore, the fear of declining public interest is another reason for discontent. The dispute over selling public companies at fire sale prices is related the true value of the companies themselves. That is, the inefficient management of a public company does not stem from the actual nature of the company but rather from unqualified management staff and organizational mistakes. Yet because problems of inefficiency can be remedied, the value of the company should be assessed in terms of its value when successfully managed by a qualified management team, and thus should be sold at a higher price than its present market value. However, since inefficient management is caused by the ownership structure of the public company, a remedy concerning the agency problem is not always easy. First, the principal has to recognize the problem and devise an effective incentive program for the agent. But in the case of a public company, its multiple principal-agent relationship makes such implementation difficult. Also, instead of objecting to the sale of a public company at a higher value than its present market value, it is better to diversify the selling methods and find out alternatives to benefit from an improved company value after its purchase. Meanwhile, the objection related to the pursuit of public interest overlooks the fact that times have changed and public interest is now gained through contractual or regulatory methods rather than through the public company itself. Recent opinions concerning the supply of public goods imply that is more economical to acquire public goods through contractual or regulatory methods rather then through public companies, as a more favorable view regarding contracts and regulations has progressively developed. This recognition is also a driving force behind privatization efforts. As a result, the problem of public interest in an economic sense is not related to the privatization of public companies but rather to the efficiency of contracts and regulations. The owner of a privatized public company has to deal with the agency problem in order to eliminate inefficient management. The most widely used method is the responsibility accounting system, on which the application of an incentive system is based. Most privatized public companies undertake a management audit at the outset, and in order to accurately analyze the degree of responsibility of executive management, the responsibility accounting system is applied to each division. Based on this system, the major key performance indicators are extracted and combined with the incentive system of management. But during this process, the controllability and traceability on which the responsibility accounting system rests collides with the agency theory that focuses on the informativeness relevant to decision making process of the agent. During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responsibility accounting system, the profit/loss figures as well as assets and liabilities are allocated and listed in separate accounts for each divis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divisions, or agents, they would prefer to be responsible only for the amount they can control. On the other hand, the headquarters, or principal, would rather allocate all the accounts to the divisions that can giv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business performance and make the accounts as transparent as possible. During this process, the management of headquarters and the heads of the divisions will encounter conflicts. However, with strict application of the responsibility accounting system, the heads of the divisions can be evaluated in terms of their controllability, which brings the advantage of incentives. But at the same time, a risk-avoidance tendency of the responsible heads when not considering an adequate amount of risk can in turn create further agent costs. If more importance is place on the informativeness of the agent theory and the uncontrollable cost is allocated to each division, then each head of the divisions conveys the information of their divisions to headquarters. Although the divisions cannot control the information, they can still undertake efforts so that headquarters efficiently manages the amount that is affecting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division. That is, the allocation of uncontrollable costs can play a purely technical role in improving business performance by activa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divisions and headquarters.

      • 기업의 윤리경영이 장기관계구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B2B 관계사 중심으로

        권찬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기업 간(B2B) 거래에서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밀접한 관계 유지는 필수적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업의 윤리 경영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학문에서는 기업 의(B2B) 거래에서 윤리 경영이 거래 관계 신뢰, 관계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윤리경영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거래 관계 신뢰나 관계 몰입이 장기지향관계 구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윤리 경영의 진정성을 조절 변수로 설정하여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해 기업경영윤리, 거래관계신뢰, 관계몰입, 장기지향관계구축, 경영윤리 진정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수립하였다. 기업의 윤리경영의 구성요소를 기업윤리경영인식, 운영능력, 그리고 실행의지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기업 간(B2B) 거래를 중심으로 하는 국내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대상은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B2B 거래를 중점적으로 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시간적 범위는 2018년 10월부터 12월, 2개월간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가 진행이 되었다. 공간적 범위로는 전국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1323부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윤리경영의 진정성은 윤리경영의 구성요소와 신뢰나 몰입에 대해서는 조절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윤리경영의 진정성이 높을수록 거래관계 신뢰가 관계 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진정성이 높을수록 신뢰가 장기지향관계 구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으면 관계 몰입이 장기지향관계 구축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고 할 수 있다. 기업의 윤리경영에 대한 진정성 기업의 윤리경영 구성요소가 신뢰나 관계 몰입, 장기지향관계구축에 영향을 미칠 때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 결과, 모든 조절변수에 대한 고 집단과 저 집단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윤리경영에 대한 진정성이 높을수록 기업 거래 간 신뢰와 관계 몰입이 장기지향관계 구축에 더 강하게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검색어: B2B 거래, 기업윤리경영, 거래관계 신뢰, 관계 몰입, 장기지향관계 This means that the more loyal the firm is in B2B transactions, the stronger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the customer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we must focus on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companies can conduct fair trade based on trust in order to strengthen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to survive in this competitive world.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buyers and sellers is essential to business-to-business (B2B) transaction, requiring studies of corporate ethical management.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ethical management of compan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ethical management on business relation trust and relationship commitment in B2B transaction, components of ethical management, and effects of business relation trust and relationship commitment on long-term oriented relationship. To determine a moderating effect, authenticity of ethical management was established as a moderating variable. We performed a literature review on corporate management ethics, business relation trust, relationship commitment, establishment of long-term oriented relationship, and authenticity of ethical management, established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and classified the components of corporate ethical management into perception of corporate ethical management, capability of operation, and willingness to implement. We performed a nationwide survey on domestic companies focusing on B2B transaction for two month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8). A total of 132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 empirical analysis. The authenticity of ethical management did not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components of ethical management, trust, and commitment. However, the higher the authenticity, the stronger the effect of business relation trust on relationship commitment and long-term oriented relationship, and the stronger the effect of relationship commitment on long-term oriented relationship. The authenticity and the components of corporate ethical management did not have moderating effects when they affected trust, relationship commitment, or long-term oriented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high and low groups in terms of all the moderating variables, suggesting that the B2B transaction trust and relationship commitment are connected with long-term oriented relationship more strongly as the authenticity of ethical management was higher. Key word: B2B, Ethical Management, Trust, Commitment, Long Term Relationship

      • 경영컨설팅의 서비스품질이 중소기업의 인지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윤일선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경영환경은 WTO, FTA, 각종 규제, 첨단 과학기술의 발전 등으로 한 치 앞도 예측하기 어려울 만큼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에 생존하기 위해 기업이나 조직은 최신 경영기법 도입과 경영합리화 등을 통해 기업의 역량을 극대화해야 한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대기업은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나 중소기업은 전문인력의 부재, 자금 부족 등의 이유로 적절한 기업의 경영 역량과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함은 물론이고 적절한 경영전략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 이때 내부자원으로 실행이 어려운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 외부전문가를 이용한 경영컨설팅이 필요하다. 하지만 경영컨설팅은 큰 비용이 발생하여 주로 대기업과 중견기업, 공기업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소기업은 극히 일부분만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중소기업청,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관계 기관을 통해 경영컨설팅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으며 지속적인 제도 개선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데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부에서 정부지원 경영컨설팅을 받은 부산, 경남에 소재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지원받은 경영컨설팅의 서비스품질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196개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증연구를 시행하였고 설문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AMOS 18.0을 이용한 확인요인분석과 인과관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컨설턴트의 역량과 컨설팅회사의 역량에 대한 부분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컨설팅의 인지도와 컨설팅이 필요로 하는 경영인의 인지된 가치에 따라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데 수진기업이 컨설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가치가 있다고 인지하는 가치에 따라 경영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컨설팅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컨설팅에 전반적인 공감성, 신뢰성, 응답성, 확신성 등은 본 연구자는 컨설팅의 응대성이라 지칭하였고, 이 응대성은 인지된 가치, 컨설턴트의 역량, 컨설팅회사의 역량 등의 세부요인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전반적인 경영성과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경영컨설팅의 서비스품질은 컨설팅을 지원하는 환경이나 컨설팅을 인식하는 경영자의 인지된 가치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다른 선행연구에서 중요하다고 인식한 컨설턴트의 역량과 컨설팅사의 역량이 이번 연구에서는 경영성과에 큰 변별력을 주는 중요한 요소가 아님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즉, 정부에서 지원하는 경영컨설팅의 서비스품질은 단순히 컨설턴트의 역량과 컨설팅회사의 역량의 중요성보다 컨설팅의 기대하는 가치와 컨설팅의 기본적인 본질에 대한 부분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설문조사에 참여했던 대부분의 컨설팅 수진기업은 정부로부터 지원금 전액 또는 일부를 받았기 때문에 설문지에 대해 긍정적이고 우호적으로 답변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에는 컨설팅이 이뤄진 시점을 전·후로 하여, 기업의 매출 등의 회계자료를 포함한 경영성과 분석이 필요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컨설팅을 앞둔 수진기업이나 경영컨설턴트, 그리고 정부나 컨설팅지원기관에서 좋은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