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공지능 시대 기술레짐 비판 : 기술비판이론의 확장적 재구성

        김현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11

        이 논문은 인공지능 시대, 지능정보사회에서 과학기술과 사회문화를 분리키기는 이원론적 모더니티 하에서 과학기술의 가치중립성을 유일한 합리성으로 포장하는 기술중립론적 기술신화 체제인 기술레짐을 해석하고 비판하며 나아가 대안적인 민주적 기술합리성과 기술정치학을 모색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탐구하며 구축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학의 구성주의 전통 하에서 앤드류 핀버그의 기술비판이론을 중심으로 뒤르켐주의 기술문화사회학 등을 도입하여 기술비판이론의 이론적 재구성과 문화연구적, 사회학적 확장을 도모하고 통합적 기술문화연구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로써 오늘날 보다 정교해지고 심화된 기술중립론, 기술결정론, 기술 투명성 신화를 담지하는 인공지능 기술레짐과 새롭게 등장한 AI 기술합리성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정립한다. 오늘날 과학기술과 그것의 혁신에 대한 지배적 견해는 기술 설계에서 사회∙문화적 차원을 배제시키고 기술을 투명하고 중립적이며 자율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중립론은 기술해법만능주의, 기술지상주의와 함께 과학기술의 설계를 결정하는 기술레짐을 만들어 내며 기술권력 또는 기술관료제의 지배력을 공고히 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기술에 대한 유일한 합리성으로 간주되는 이 지배적 견해는 물질적 기술과 사회적 문화를 분리시키는 이원론적 모더니티에 기반을 두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은 이 기술신화와 기술레짐의 중심적이고도 문제적이며 논쟁적인 장소와 인공 사물이 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기술신화와 기술레짐을 이론적으로 정교하게 포착하고 비판하기 위해 기술비판이론의 재구성과 확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핀버그의 기술비판이론이 핵심적 자원임을 강조하면서 이를 체계적으로 해명하고 재구성한다. 이를 통해 구성주의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기술비판이론이 본질주의 기술철학을 비판하고 기술적 원리와 사회적 힘의 이분법을 극복하며 기술정치적 실천에 기여할 수 있는 성찰적 기술비판이론임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 논문은 기술비판이론이 기술레짐의 문화적 논리, 기술의 문화적 심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알렉산더가 발전시킨 뒤르켐주의 기술문화사회학의 보충이 요청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는 보다 심층적이고 통합적인 기술문화연구 프로그램으로 확장하기 위해서 기술의 문화 지평을 중시하는 문화이론들을 도입하고 이것의 기술비판이론적 함의를 밝힌다. 이로써 문화사회학은 기술레짐과 기술합리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비판이론과 문화사회학적 접근들이 모두 모더니티 기술신화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극복하기 위한 유용한 이론적 자원임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기술비판이론을 AI 문제에 관한 문화연구 및 사회이론으로 확장, 적용하여 AI 국면에서 기술레짐의 변동을 읽어내고 신종 AI 기술합리성의 문제를 드러낸다. 이에 생성형∙대화형 인공지능은 체계와 생활세계를 상호 침투시키고 매개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과 기술레짐을 생성, 확장시키고 새로운 기술합리성을 생성, 관철시키는 새로운 조절매체 권력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설적으로 이러한 테크노시스템이 기술적 시민주체들의 개입 지점이 될 수 있다는 양가적 가능성을 고려하면서 문화적 차원으로 보충되고 확장된 구성주의적 기술비판이론의 기술정치학적 의의를 드러낸다. This paper explores and build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interpreting and critiquing the technological regime, a techno-neutralist system of technological mythology that packages the value-neutral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the only rationality under the dualistic modernity that separates science and technology from society and culture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further explores an alternative democratic technological rationality and technological politics. To this end, this research propose an integrated program of techno-cultural studies, focusing on Andrew Feenberg's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in the constructivist tradi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and introducing Durkheimian techno-cultural sociology to reconstruct th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and expand it to cultural studies and sociology. In doing so, this study establish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AI technological regime and the emerging AI technological rationality, which today contain more sophisticated and deepened techno-neutralism, technological determinism, and techno-transparency myths. The dominant view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its innovation today is to exclude social and cultural dimensions from the design of technology and to consider technology as transparent, neutral, and autonomous. This techno-neutralism, along with techno-solutionalism and techno-terrestrialism, creates a technological regime that determines the desig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helps to consolidate the dominance of technocracy or techno-bureaucracy. This dominant view of technology as the only rationality is based on a dualistic modernity that separates material technology from socio-culture. Artificial intelligence, in particular, has become a central, problematic, and contested site and artifact of this technological myth and technological regime. This paper argues that a re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th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is needed to capture and critique these technological myths and technological regimes in a theoretically sophisticated manner. To this end, it systematically elucidates and reconstructs Feenberg's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emphasizing it as a key resource. In doing so, it reveals that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which critically embraces constructivism, is a reflectiv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that can critique essentialist philosophies of technology, overcome the dichotomy of technical principles and social forces, and contribute to technological political practice. This paper argues that technocritical theory needs to be supplemented by Durkheimian cultural sociology of technology developed by Jeffrey Alexand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ltural logic of technological regimes and the cultural depth of technology. It introduces cultural theories that emphasize the cultural horizons of technology and reveals their implications for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in order to expand it into a deeper and more integrated cultural studies of technolgy research program. It is argued that cultural sociology can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echnological regimes and technological rationality. The results show that both critical theory and cultural sociological approaches are useful theoretical resources for critically analyzing and overcoming modernity's technological myths. Finally, by extending and applying th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to cultural studies and social theory on of AI issue, we read the fluctuation of technological regimes in the conjuncture of AI and reveal the problem of new kinds of AI technological rationality. It is argued that generative and interactive AI is emerging as a new mediating power that creates and expands communication and technological regimes and creates and enforces new technological rationalities by interpenetrating and mediating the system and the living world. It also considers the ambivalent possibility that these technosystems can nevertheless paradoxically become points of intervention for technological citizens, revealing the technopolitical implications of a constructivist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supplemented and extended with a cultural dimension.

      • 유아의 실개천 놀이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노혜진 공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09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childhood play culture of people who grew up in the same environment and what is ethnographic research on the brooklet play of children, for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play culture that occurred in the past and still occur in the present around the brooklet of Wongong Village which was recently restored. The research issues set up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play culture in the brooklet? 2.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hood‘s play culture of adults in the brooklet? 3. What are the chronological changes of the brooklet’s play culture? The study involved children, teachers, adults, and parents.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unstructured open questions from January 2017 to February 2018, and data collection began by observing and taking notes. Data collection began with observing and taking notes about unstructured open questions from January 2017 to February 2018. Interviews were mainly conducted at the village hall and the brooklet. Before the interview, I explained the origin of brooklet,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reatures to form rapport. During the explanation, I participated and observed play of children. In particular, I tried to look closely at the phenomena during children’s playing process at brooklet. In order to integrated description of the play experiences at brooklet,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ed with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field data research. The study analysis was performed as area analysis, and 10 semantic relationships were derived as a result such as ‘Feel the Flow of Nature’, ‘Want to protect Living Things’, ‘Want to Show it as a Beautiful Place’, ‘Make it a Life Story Sculpture’, ‘Catch a Life to Solve a Foodstuff’, ‘The Body that Becomes One with Nature’, ‘Play in the Water while Enjoying Freedom’, ‘Natural things Transform into Toys’, ‘Reminisce Childhood with Snacks’ and ‘Play Change with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play at brooklet has common play with the adult's childhood play in Wongong Village.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water-rich brooklet, there are common plays among generations, such as ‘Feel the Flow of Nature’ and ‘Want to protect Living Things’. Second, the adults who have been lived in Wongong Village have a life and culture that solved the food and shelter at brooklet. In the past, well was used by drinking water. There was only one well in the village, so they had to laundry and bathe in the same well. In the difficult journey to carry eatable water, the creatures were abundant. So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lay culture in the food and shelter such as ‘Catch a Life to Solve a Foodstuff’, ‘Make it a Life Story Sculpture’, ‘The Body that Becomes One with Nature’ and ‘‘Play in the Water while Enjoying Freedom’ Third, the play culture of the brooklet also changed over generations. Children’s play is ‘From Fear to Exploration and Creation’. In other words, the aspect of play has changed from fear of unfamiliar environment to search for real stream and creation of play using experience. The play of adults in Wongong are changed to ‘The stream, the Road of Suffer to Flowers’ and ‘Snacks embracing Generations’. The ‘Sang-go-sang-gil’, which is the road named because of struggling to solve the food and shelter with suffering, was recently restored as a play space. Adults in Wongong Village wanted to share the pleasant memories that they could feel in the midst of difficulties with the next generation. Finally, the play of parents is ‘Separation, but Together’ and ‘Children’s Play-Initiation’. Parental play changed into a role that put down their initiative, acknowledge children's play, and open up the gap so that their children's initiative can be demonstrated in the brooklet. Therefore, the brooklet as a play space is another space that parents' generations experienced in their childhood. 본 연구는 최근 복원된 원공마을 실개천에서의 과거와 현재, 놀이문화 특성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의 실개천 놀이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가 무엇인지 동일한 환경에서 성장한 사람들의 어릴 적 놀이문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들이 보이는 실개천에서의 놀이문화 특징은 어떠한가? 2. 성인들의 실개천에서의 어린 시절 놀이문화 특징은 어떠한가? 3. 실개천 놀이문화에서의 세대 간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유아, 교사, 성인, 부모가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월부터 2018년 2월까지 비구조적인 개방형 질문을 관찰하며 메모하는 것부터 시작하였다. 면담은 마을회관과 실개천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면담 전 실개천의 유래, 주변 환경, 생물들에 대해 설명하여 라포를 형성하였다. 설명과 함께 유아들의 놀이에 참여하며 관찰하였다. 특히 유아가 실개천 놀이과정에서 나타내는 현상을 면밀히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들의 실개천 놀이 경험에 대한 통합적 기술을 하기 위해 참여관찰, 심층 면담, 현지자료조사를 적용한 문화 기술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은 영역분석으로 포함용어 55개의 주제 중 ‘자연의 흐름을 느껴요’, ‘생물을 보호해주고 싶음’, ‘아름다운 장소로 보여주기 원함’, ‘삶의 이야기 조각보를 지음’, ‘생물을 잡아 의식주를 해결함’, ‘자연과 하나 되는 몸’, ‘자유를 만끽하며 물놀이하기’, ‘자연물이 놀잇감으로 변신함’, ‘간식을 제공하며 어린 시절을 회상함’, ‘부모와 함께 하는 놀이변화’ 등의 의미론적 관계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유아들의 실개천 놀이는 원공마을 성인들의 어릴 적 놀이와 공통된 놀이가 있다. 물이 풍부한 실개천이라는 물리적 환경에서 ‘자연의 흐름의 느껴요’, ‘생물을 보호해주고 싶음’ 등의 놀이가 현재에도 이어져, 세대 간의 공통된 놀이가 존재한다. 둘째, 원공마을 성인들은 실개천에서 의식주를 해결했던 삶과 문화가 있다. 과거에는 우물을 식수로 이용했다. 우물이 마을에 하나밖에 없어 빨래와 목욕을 모두 같은 우물에서 했다. 식수를 길어먹어야 하는 힘든 여정 속에서 생물들은 풍족하여 ‘생물을 잡아 의식주를 해결함’, ‘삶의 이야기 조각보를 지음’, ‘자연과 하나 되는 몸’, ‘자유를 만끽하며 물놀이하기’ 등과 같이 의식주 속에 놀이문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실개천의 놀이문화도 세대를 거치며 변화가 생겼다. 유아놀이의 변화는 ‘두려움에서 탐색, 생성의 놀이’로 낯선 환경에 대한 두려움에서 실개천 탐색, 경험을 활용한 놀이의 생성 등으로 놀이의 양상이 달라졌다. 원공마을 성인들의 놀이는 ‘생고생 길에서 꽃길로 변한 실개천’, ‘시대를 아우르는 먹거리 나누기’이며,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이름 붙였던 ‘생고생길’은 최근에 놀이 공간으로서 복원되었다. 원공마을 성인들은 어려움 속에서도 느낄 수 있었던 즐거운 추억들을 다음 세대와 공유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놀이는 ‘따로, 또 같이하는 놀이’, ‘유아의 주도성이 인정되는 놀이’로 이곳에서만큼은 부모가 자신의 주도권을 내려놓고 자녀의 놀이를 인정해주며, 아이의 주도성이 발휘되도록 틈을 열어주는 역할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현재의 놀이공간으로서의 실개천은 부모 세대가 어린 시절에 경험했던 것과 또 다른 공간이라 할 수 있다.

      • AHP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시설의 입지 평가요인에 관한 연구

        류호운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Advanced countries have recently paid attention to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as a new driving force for economic growth. As the number of simple manual labor jobs declines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new types of industries to make up for the loss have been drawing attention. Although Korea also follows this global trend focusing o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re is still not enough study on factors for evaluating the optimal location of cultural contents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location evaluation factors related to cultural contents facilities us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addition, the applicability of this study was confirmed by applying the site evaluation factors of this study to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Korea Institute of Culture and Technology, which is expected to be built in Gwangju. 최근 선진국들을 필두로 하여 새로운 경제성장의 동력으로 문화콘텐츠 산업을 주목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도 화두가 되었던 4차 산업혁명이 다가올수록 단순 육체노동의 일자리가 급속히 줄어들고 줄어든 일자리를 보충하기 위한 새로운 종류의 산업이 주목받고 있으며, 그중 하나가 문화⦁지식으로 대표되는 문화콘텐츠 산업이다. 대한민국에서도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따라 문화콘텐츠산업이 점차 주목받고 있지만, 문화콘텐츠시설이 건립될 때 어떠한 입지요인을 통해 자리잡아야 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 상황을 개선하고자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활용하여 문화콘텐츠시설 관련 입지 평가요인을 연구하였다. 또한, 연구 후에 도출된 입지 평가요인을 광주광역시에 건립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입지선정 과정에 응용하여, 본 연구의 응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고천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94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의 문화적 맥락 속에서 ‘재미있는 체육수업이 무엇이며, 이를 기초로 재미있는 체육수업을 촉진 및 저해하는 요인은 어떠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질적연구 방법의 하나인 문화기술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좋은 체육수업을 위한 단서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서울시의 A, B, C, D 중학교에서 학생 24명과 담당교사 6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심층면담과 체육수업일기, 수업관찰, 그리고 문서자료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는 사례 기록과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고, 자료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각도 분석법, 동료간 협의, 구성원간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미있는 체육수업을 촉진하는 요인으로는 다양한 스포츠 활동의 즐거움, 게임 활동의 즐거움, 운동의 생리·심리·사회적 욕구 해소, 도전의 즐거움, 선생님이 좋아요, 기타요인으로 경쟁과 시합, 좋아하는 운동 활동 시로 나타났고, 재미있는 체육수업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활동 내용이 지루하고 재미없어요, 수업이 힘들어요, 운동기능의 저하로 인해 자신감이 없어요, 기후와 열악한 환경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이 즐겁고 흥미롭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다양한 활동 세부 프로그램이 구안 적용 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스포츠 기능교육과 함께 스포츠의 문화를 경험하고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도록 교사의 철저한 준비와 관리,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체육수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체육교사는 학생들의 관점에서 학생들의 동기와 재미에 중점을 두어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재미 그 자체가 체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아니지만 학생들이 체육수업에 적극적이고 즐겁게 참여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 학교체육을 미래의 생활체육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재미요인을 고려한 교사의 교육이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iddle school P.E. instruction by applying an ethnographic method, one of qualitative approaches. It's meant to determine what interesting P.E. instruction should be like and what made P.E. instruction enjoyable or not in middle-school cultural contexts in an attempt to give a clue about how to offer quality P.E. instru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 students and six P.E. teachers in A, B, C and D middle schools in Seoul.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and journals on P.E. instruction and relevant documents were gathered. Besides, the lessons the students took were observed. All the data were analyzed in an inductive way and case recording was implemented. To produce more trustworthy results, triangulation and peer discussion were utilized, and the data were reviewed by the teacher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As for factors of making P.E. instruction more interesting, the students investigated had fun in P.E. class when they took pleasure in doing a variety of sport activities, when they found it delightful to play games, when their physiological, psychological or social needs were satisfied, when they found it enjoyable to make a challenge, and when they liked their teacher. As they were asked to give another example, they answered they had a lot of fun in P.E. class when they competed with one another or took part in contests or when they got their favorite exercise. Regarding factors of making P.E. instruction less interesting, they didn't have fun when they found what they did in class boring and not exciting, when P.E. instruction gave them a hard time, when their waning motor skills had them diffident, when the weather wasn't good and when they were placed in harsh environments. In order to provide more exciting and cheerful P.E. instruction, a wide variety of specific programs should be applied, and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improve their motor skills. Teachers should make a thorough preparation to let them enjoy sport culture, and class management and evaluation should be done in an ideal way. P.E. teachers who play the most crucial role in P.E. class should prepare the kind of curriculum that could provide motivation and fun to students, and they should do that from their perspective. Having fun is not the ultimate goal of P.E. instruction, but teachers should educate students by considering whether they find P.E. class interesting or not, as that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ir learning efficiency and let them enjoy sports for all after graduation.

      •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류계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93

        At schools, much effort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for a long time. However, it's still not very improved. On one hand, I thought that the main problem that students had was overlooked because we had studied about it only based on the view of study. Classrooms are not just simple physical space where lectures are conducted. In outward appearance, many students just seem to be led orderly by teachers in each classroom, however there are numerous and continuous interactions inside. In consideration of the point, I studied about ‘the factors that can influence on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When choosing a social situation as a subject of the study, a target place, target performers, and a target action were considered. Hapcheon Elementary School, a public elementary school, where observation and interviews could be conducted, was selected as a target place. Performers consisted of a student whom I could have honest answers from and some other students as reporters, based on the target classroom. And I analyzed how the problems students had were solved and what their cultural features were like by ethnographic method including observation and interviewing. According to the study, I had a result that the following factors influenced on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First, what students learn in previous classes can influence on next lecturers regardless of their contents. Second, when solving difficult problems, even though students should think very much to understand and solve them, most students don't. Even in the case that they solved those problems by themselves, they didn't know whether the way they used was correct or not. Third, if they are allowed to change their seats, it can make themselves distracted in their classroom and give some bad influences on the quality of lectures. Fourth, in break or lunch time when teachers can't control, some problems can happen. Fifth, some students, who don't have breakfast, can be distracted from their teachers quite often at 12 o'clock class Sixth, some stuff like toys, money, and so on except educational materials can distract not only himself or herself but other friends in the same class. Seventh, students can end up having a quarrel or fight even if they are in a good relationship at ordinary times. Eighth, some students and parents focus on academy education more than school education. Ninth, teachers' attention can affect both students' problems and their whole school lives. There must have numerous factors that can influence on students' problem solving, however in this study, I focused on a shadow effect(from a previous class to the next class), confidence in problem solving, seat changing, difficult problems, emergency, a mathematics class at 12 P.M., cheating, new things, no effort problem, academy problems, teachers' attention, and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그 동안 학교 현장에서는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 왔다. 그러나 아직도 문제해결력이 신장되지 않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연구의 관점에서만 접근하여 학생들이 갖는 본질의 문제점을 간과한 것은 아닐까? 학교 교실은 단순히 수업이 이루어지는 물리적인 공간이 아니다. 교실은 다양한 성장문화를 가진 학생들이 모인 사회적 집단이며 사회적 공간이다. 외형적으로 교실은 교사의 주도하에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는 안정된 집단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그 안을 살펴보면 심리적 상호작용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주요 관찰 장면이 되는 사회적 상황을 선정함에 있어서 장소, 행위자, 행위를 고려하였다. 장소는 연구자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할 수 있는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공립초등학교인 합천초등학교를 선정하였다. 행위자는 연구대상 학급의 학생을 중심으로 진솔한 답변을 얻을 수 있는 학생과, 같은 학급의 몇몇 학생을 제보자로 선정하고, 학생들의 문제해결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들이 갖는 문화적 특성이 어떠한지를 관찰과 면담 등을 통한 문화기술적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앞시간의 수업내용이 그 다음시간의 내용과 무관함에도 불구하고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둘째,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때, 깊이 생각하고 고민하여 문제를 이해하고 문제풀이 방법을 찾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자신이 문제를 해결해 놓고도, 자신의 방법이 옳은지 그른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셋째, 학생들 마음대로 행하는 자리바꿈이 수업의 집중력 저하와, 교실분위기의 산만으로 인해 수업의 질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있다. 넷째, 교사의 관심이 미치지 못하는 쉬는 시간이나 점심시간에 문제가 발생 하는 경우가 있다. 다섯째, 아침밥을 먹지 않고 등교하는 학생들은 4교시가 되면 수업집중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여섯째, 학습준비물 외 학교에 가지고 온 장난감, 물건, 돈 등이 본인은 물론 옆자리의 친구들에게도 수업집중에 방해가 된다. 일곱째, 친구끼리 잘 지내다가도 조금만 뜻이 맞지 않으면 말다툼을 하거나 주먹이 올라가는 경우가 있다. 여덟째, 학교공부보다 학원공부에 더 치중하는 학부모와 학생들이 있다. 아홉째, 교사의 관심이 아동의 문제해결은 물론 학교생활 전반에 여러 변화 를 가져온다. 학생들의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나열할 수 없을 만큼 많은 것들이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앞 시간의 그림자 효과, 문제해결에 대한 확신, 자리바꿈, 어려운 문제, 돌발상황, 4교시의 수학시간, 부정행위, 새로운 물건, 대충 넘어가기, 학원 문제, 교사의 관심과 문제해결력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학교에 가고 싶지 않은 아이들에 대한 문화기술연구

        김방실 全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8

        Ⅲ장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이해를 위한 기초적 배경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과 학교 특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구 지역은 전라북도 내에 위치한 소도시로서 매년 학생수가 크게 모자라 중학생들의 학력은 전반적으로 매우 낮아진 상태이다. 연구 참여자들이 재학중인 고등학교는 전형적인 인문계 고등학교이고 아이들은 교사에 대해 신뢰와 친밀감이 많이 형성되어 있는 편이다. Ⅳ장에서는 지각·결석하는 아이들을 유형에 따라 '무기력한 아이들'과 '노는 애들'로 구분하여 지각·결석하는 이유에 대해 심층면접을 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기술·분석하였다. 먼저, 무기력한 아이들이 지각·결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님의 이혼과 사별로 인해 가정에서의 지속적인 관심과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마음의 허전함과 쓸쓸함을 달래기 위해서 게임에 빠지게 되었고 이로 인한 불규칙한 생활 태도로 인해 쉽게 지각·결석을 하게 되었다. 둘째, 특정 과목 선생님의 불합리한 체벌 기준과 비인격적 태도는 아이들의 학교 생활을 힘들게 하여 지각·결석을 하게 하였으며 담임 선생님의 적절한 지도와 관심의 부재는 지각·결석을 계속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 셋째, 과제를 챙겨주거나 학교 생활을 신경 써주는 사람이 없어 기초 실력이 많이 부족한 아이들에게 하루 9시간 이상의 국·영·수 위주의 수업은 괴로움이었고 학교 생활을 거부하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넷째, 무기력한 아이들은 특별히 하고 싶거나 되고 싶은 게 없고 미래에 대한 희망과 목표가 없으며 특별히 재미있는 것도 없는데 가정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지도를 받지 못한 이유로 인해 진로에 대한 고민이 제대로 성숙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희망이나 욕구가 없이 무기력한 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에 지각·결석을 하게 되었다. 다섯째, 무기력한 아이들은 학교에 대해서 재밌게 다니고 싶은 기대도 없이 그저 고등학교 졸업장은 있어야 할 것 같고 학교를 그만두었을 때에 대한 대안이 마땅히 없기 때문에 그냥 다니고 있다. 여섯째, 무기력한 아이들에게 있어 자신에 대한 생각과 고민은 쉽지 않은 문제일 뿐 아니라 자신의 삶에 대해서 많이 고민하지 않으며 가끔 삶에 대해 불만족스럽더라도 누군가에게 고민을 상의하거나 얘기 해본 적이 없고 그럴 수 있는 사람도 없기 때문에 고민을 잊으려고 컴퓨터 게임도 하게 되었고 불규칙한 생활이 반복되어 지각·결석을 하게 되었다. 노는 애들의 지각·결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는 애들은 학교 밖 생활의 불규칙성과 불성실한 생활 태도로 인해 지각·결석을 많이 한다. 이 아이들은 노는 것에 많은 에너지를 쏟기 때문에 피곤하고 귀찮을 때는 학교에 가지 않는데 아이들 때문에 속을 끓이다 지친 부모님은 아이들의 생활태도를 변화시키기에는 영향력이 모자라는 상황이다. 둘째, 노는 애들도 담임 선생님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엄하면서도 애정이 있는 담임 선생님의 경우는 나름대로 노력을 하기도 하지만 그 반대일 경우에는 지각·결석을 자주 하게 된다. 셋째, 노는 애들은 낮은 기초 학습 능력으로 수업과 공부가 재미없고 힘들기 때문에 아이들은 학교를 싫어하고 지각·결석을 자주하게 되었다. 넷째, 노는 애들은 공부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이 없고 학교 생활에 대한 의미를 많이 찾지 못하고 있지만 부모님들의 오랜 고집과 설득 등으로 고등학교 졸업장은 있어야 할 것 같기 때문에 그럭저럭 학교를 다니고 있다. Ⅴ장에서는 지각·결석하는 아이들의 생활에 대해서 심층면접을 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기술·분석하였다. 첫째, 지각하는 날 아이들이 학교에 오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기력한 아이들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밤새 컴퓨터를 하다가 늦게 일어나 학교에 가기가 싫으면 단골 피시방으로 간다. 그동안 결석한 일수도 많고 짤릴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면 버스를 타고 학교에 가기도 하지만 꼭 학교를 가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기 때문에 마음 내키는 대로 행동한다. 노는 애들의 경우는 흡연과 늦은 취침 시간으로 늦잠을 자는데 깨우다 지친 부모님도 밖에 나가시고 안 계시기 때문에 친구네 집으로 간다. 이곳에서 마음대로 담배를 피우거나 편히 쉬거나 놀다가 가고 싶을 때 학교를 가기도 한다. 둘째, 학교에 왔다가 도망가는 날(재끼는 날)의 생활 모습은 다음과 같다. 무기력한 아이들은 특별히 학교 생활에서의 재미도 없기 때문에 학교에 오더라도 또다시 재끼고 집으로 간다. 언제든지 가고 싶으면 가고 대부분은 피시방으로 간다. 노는 애들의 역시 인내심이 부족하기 때문에 학교에 오면서부터 밖으로의 탈출을 꿈꾼다. 수업을 마치거나 중간에 조퇴를 하거나 재끼는 날은 언제든지 일단은 피시방으로 간다. 보통 8시나 9시가 되면 아이들은 서서히 집으로 향하고 여자친구가 있는 아이는 여자 친구와 그 이후의 시간을 보낸 후 11시쯤 귀가하는데 집에서 부모님과의 대화는 거의 없다. 셋째, 학교에 오는 날의 학교에서의 생활은 다음과 같다. 무기력한 아이들의 경우는 낮은 학습능력으로 수업 내용을 제대로 알아듣기 힘들어 수업 내내 게임에 대한 생각과 공상으로 시간을 때우거나 대체적으로 잠을 자는 걸로 보낸다. 노는 애들 역시 공부에 대한 흥미와 기초적인 내용에 대한 학습의 시기를 놓쳤기 때문에 학교에서의 수업을 거부하는 경향이 강한 편이나 대학에 가고 싶은 생각이 많이 들어서 간혹 수행평가 비중이 많은 과목에 신경이 써지기도 하지만 수업 시간에는 거의 잘 듣지 않고 애들이랑 끼리끼리 뒷자리에 앉아 얘기를 하거나 아니면 공상을 하면서 수업 시간을 때우고 있다. 넷째, 학교에 안 오는 날의 학교 밖에서의 생활은 다음과 같다. 무기력한 아이들은 게임을 하다가 늦게 잠들어 늦잠을 자면 학교에 안 가게 되기가 쉬우며 하루 결석해도 담임 선생님의 특별한 전화 같은 게 걸려오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며칠동안 결석이 이어지게 된다. 학교에 안가는 날에는 집에서 하루 종일 게임을 하기나 아니면 단골 피시방에 가서 게임에 몰입되어 있을 뿐 학교 가는 것에 대한 별 걱정은 안 한다. 노는 애들은 교복을 벗는 순간 사회인이 된 듯한 생각을 하고 사회인처럼 생활하고 있다. 아이들이 교복을 벗는 순간 아이들은 다만 소비자에 불과하다. 아이들이 제대로 놀아보는 날은 학교 가는 부담이 없는 주말이나 방학 때이다. 1차를 거하게 한 후 보통은 노래방에 가고 포장마차나 호프집에서 3차를 하기도 한다. 이렇게 노는 날은 모두들 외박하는 게 거의 공식적인 약속이 되었고 여관이나 24시간 영업하는 사우나를 이용하기도 한다. 가끔은 부모님 차를 몰래 가져오거나 허락을 맡고 가져와 운전을 하면서 어른이 된 듯한 느낌을 갖기도 한다. Ⅷ장에서는 지각·결석하는 아이들의 생활의 변화와 그 요인에 대해서 심층 면접과 참여 관찰을 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기술·분석하였다. 먼저 무기력한 아이들의 변화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담임 선생님과의 관계에서 오는 요인이었다. 담임 선생님의 따뜻한 말과 관심, 수업 시간의 자상함과 상담으로 인한 교감 형성 등으로 선생님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갖게 되었으며 지속적인 관심은 아이들이 지각·결석하지 않도록 하는 자극제가 되었다. 둘째는 이성 친구와 관련된 요인이었다. 부모님의 따뜻한 사랑을 많이 받지 못한 가정환경에서 성장한 경우에 심리적으로 많은 의지가 되어 예전처럼 컴퓨터를 많이 하지 않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학교 생활에 완전히 적응하거나 학교 생활이 즐겁게 느껴지는 것은 아니다. 그나마 항상 같이 다닐 수 있는 친구가 생겨서 학교 나올만 하다고 생각한다. 친구가 생겨서 학교 생활을 그럭저럭 할 수는 있지만 학교 생활이 여전히 재미없는 건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한다. 노는 아이들의 변화 요인은 첫째, 선생님들의 관계와 칭찬이었다. 자신의 가치를 인정해주고 알아주는 선생님의 따뜻한 말과 용기와 칭찬은 아이들에게 매우 커다란 힘과 용기와 기쁨이 되었으며 교사들의 따뜻한 미소는 아이들의 마음을 열게 해 서로간에 따뜻한 감정이 오고 가면서 아이들은 선생님들의 본심을 읽게 되었다. 둘째는 담임 선생님의 영향이다. 훨씬 더 친밀한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있는 담임 선생님의 영향으로 학교 생활이 더 편해졌으며 자신들에게 눈높이를 맞추려고 하는 선생님께 미안하고 죄송해서라도 학교 생활을 잘하게 되었다. 셋째는 실장으로서의 책임감이다. 실장이 된 후 책임감을 매우 크게 느끼고 있으며 실장이기 때문에라도 학교 생활을 잘하려고 애쓰게 되었다. 넷째는 미래에 대한 생각이다. 어른이 되고 싶은 마음이 들기는 하지만 그래도 아무 대책 없이 사회에 나간다는 게 많이 걱정이 되고 막연하게나마 대학에 가고 싶지만 고등학교 졸업해서도 할 수 있는 게 하나도 없는 미래에 대한 걱정에서 학교 생활을 잘하게 되었다. 다섯째는 공부에 대한 즐거움이다. 수업시간에 필기는커녕 대부분 책도 없이 딴 생각을 하면서 시간을 때우기에 급급했는데 이제는 필기도 열심히 해서 선생님들의 칭찬을 받다 보니 알게 되는 것도 참 많아지고 배우는 즐거움도 조금씩 느껴졌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가끔씩 흔들림을 느끼고 있다. 예전에 비해서는 많은 변화가 있고 생각도 많이 달라졌지만 가끔씩은 이렇게 지내는 학교 생활이 답답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1. The purpose and problem of the study This study focuses on the youth who are frequently late for or absent from school.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reason why students are frequently late for or absent from school and their lives inside and outside school and their change of school life.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projecte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1) What is the reason why students are frequently late for or absent from school? (2) What is the life inside and outside school of students who are frequently late for or absent from school? (3) What makes the lives of students who were frequently late for or absent from school? This research will provide good information for the teachers who try to help students having difficulty in school life. 2. The methods and contents of the research In order to study these topics, adopted the culture-descriptive approach as the typical qualitative research. So in order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life and thinking of youth who are frequently late for or absent from school and a way of thinking which was intrinsic deeply under its phenomenon and against its appearance, this study took diverse research methods as the whole and general research. The research methodology in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observation, a participative observation interview and collection of many kinds of data related students. Afterward analyzed thes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contents. 3. The result of the study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I noticed the change of youth's attitude and through this change, I could see the hope of education and several fac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respect youth as an independent individual, based on th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Generally, as the students who are late for or absent from school tend to receive little interest from others, students feel moved by teachers' compliment and interest and are encouraged to attend school by teachers who recognize their worth. Second,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express positive attitude toward students who are late for or absent from school. Teachers' compliments and warmth made students open up their mind and express themselves, and understand each other. Third, we need education to enhance spirit of students who are late for or absent from school. Being recognized by someone is very important to students and it makes them happy and confident. By one word, students might feel hurt or might feel happy and change their attitudes. Finally school should be changed into interesting place. it is true that the attitude toward life of students who are late for or absent from school stared to change and then they tried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but there was no change in school. Students who are late for or absent from school were different from before in attitude toward school life and in a way of thinking, but they said that they felt oppressed and restricted by school. It showed that students have the possibility of change but education condition did not support it.

      • 영아의 숲체험놀이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정계환 안양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78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들의 숲체험놀이 과정에서 상호작용과 놀이를 탐구하여 영아기 숲체험놀이의 의미와 놀이의 특징을 탐구하는데 있다. 숲체험놀이가 영아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와 놀이의 특징이 어떠한지 를 밝히기 위하여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경기도 G시의 I어린이집의 만 2세 영아 7명 과 교사 1명, 부모 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2015년 3월부터 2015년 12월 말까지 영아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하였으며 교사와 부모들을 대 상으로 형식적?비형식적 면담을 실시하였고, 기타 문서 등의 자료를 수 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영아들의 숲체험놀이는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 연구문제2: 숲체험놀이에서 나타난 영아들의 놀이 특징은 어떠한가? 첫째, 영아의 숲체험 놀이의 의미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아들은 숲에서의 자유로운 놀이를 통해 직접적인 체험을 하며 민감 한 감각적 탐색을 하였다. 반복적인 탐색은 또 다른 체험의 기회로 연속 되어 자연의 대상과 현상에 대한 속성과 개념을 내면화하여 새로운 지식 을 스스로 구성하며 자연을 이해하고 관계를 형성하는 기회를 제공하였 다. 영아들은 숲체험놀이를 통해 쌓였던 부정적 감정들을 해소하여 안정 적 정서를 경험하였고, 풍부한 자연 놀잇감을 가지고 놀며 나눔을 알게 되었다. 숲의 자유로운 환경이 주는 여유로움은 함께 놀이를 전개하는 가운데 양보와 배려를 알게 하였고, 부모와 영아, 교사가 함께 하는 놀이 는 영아들의 놀이 형태를 변화시켰으며, 보조교사로 참여한 부모들은 영 아의 숲체험놀이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더불어 영아들 이 생물체의 입장으로 자신의 감정을 이입하여 타자의 감정을 읽을 줄 알게 되었고, 이는 또래와의 갈등상황에서도 타협하고 받아들이며 관계 형성이 변화되었다. 영아들은 지속적인 숲체험놀이를 통해 자연에 대한 친밀감과 안정감을 갖게 되었고, 다양한 대상들을 오감으로 느끼며 영아 들의 감정을 다양하게 표현하였으며, 자신의 감정을 탐색하고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였다. 둘째, 숲체험놀이에서 나타난 영아들의 놀이 특징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아들은 상징놀이를 하며 자연물에서 실제사물을 연상하여 ‘사물을 가작화’하면서 상황에 따라 다르게 의미를 부여하였다. 영아 들은 상징놀이를 통해 사고의 확장과 새로운 지식을 구성하였으며 창조 적인 놀이를 즐기고 또래관계를 형성해갔다. 영아들은 또래들과 역할을 나누고 점차 놀이영역을 넓혀 사회적 협동놀이를 창조적으로 전개해나갔다. 본 연구 결과는 영아를 대상으로 매일 2시간씩 이뤄지는 숲체험놀이가 영아들의 다양한 영역에서 전인적발달이 이뤄짐을 보여주고 교육현장에서 보다 적극적인 활용방안 모색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forest experience play for young children by investigating the interactions and plays involved in forest experience play for young children. I have used an ethnographic method to bring light on what forest experience play means to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my study selected as its subjects seven 2-year-olds from I-daycare center in the G-city in Gyeonggi-do, one teacher, and seven parents. From March 2015 through December 2015, I took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ir activities to observe the kids, conducting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the parents, and collecting other data like documents for the analysis. Research questions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does forest experience play mean to young children? 2. What characterizes the plays involved in forest experience play for young children? First, the study on what forest experience play means to young children has come up with the following results. Young children engaged in sensitive, sensational explorations through their personal experiences in the free play in the forest. Repeated exploring led to further opportunities for some other experiences and provided the children with an opportunity to organize new knowledge, understand nature, and form relationships by internalizing natural phenomena and their attributes and concepts. Through their forest experience play, the young children experienced emotional stability by dissolving the negative emotions piled up and came to learn sharing while handling ample natural playthings. The leisureliness delivered from the free forest environment let the children learn yielding and being considerate through their joint engagement in the play. The plays shared with the teacher brought changes to the form of the play for the young children, all the while helping the parents who engaged as assistant teachers understand forest experience play for young children. At the same time, the young children came to read others’ feelings by putting their feelings into other bioorganisms, which led to their compromising and accepting attitude in their conflicts with their peers, thus changing their created relationships. The young children came to feel close to and secure about nature through continuous forest experience play. While feeling various objects through their senses, the young children gave various expressions to their feelings, explored their feelings, and experienced positive feelings. Second, my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s play as shown in forest experience play has come up with the following results. The young children awarded different meaning to natural objects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by picturing actual objects through them while ‘creating a metaplay with objects’ in their symbolic play. Through symbolic play, young children expanded their thinking and organized new knowledge, enjoying creative plays and forming peer relationships. Young children chose roles among them and gradually expanded the scope of their play, thus creatively unfolding social collaboration. 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2-hour daily forest experience play promotes young children’s total development in diverse categories, thus pointing to the need to explore a plan to use it more actively in actual education.

      • 초등학교 학습부진아 지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정종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78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달빛 초등학교의 기초 학습부진아 특별반지도 교사를 중심으로 학습부진아 지도가 어떤 모습으로 이루어지며 그 이면의 문화적 특성은 무엇인지 문화기술적 연구를 통하여 밝혀 보았다. 달빛 초등학교에서 기초 학습부진아 지도는 교육부의 지도 지침에 의해상급 교육청을 거쳐 기초학력책임제라는 이름으로 계획되어 실시되고 있다. 교육부의 정책은 상급 교육청을 거쳐 학교 현장에서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으며, 특히 상급 교육청에 보고하는 공문은 교사들의 지도가 실제로 이루어 지도록 강제한다. 학습부진아 지도와 관련한 업무는 대부분의 교사가 바쁜 일상에서 많은시간을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힘들다고 한다. 학습부진아들의 산만하고 의존적인 행동 특성으로 인한 힘든 수업 여건은 교사들의 학습부진아 지도를 더욱 어렵게 만든다. 학습부진아를 지도하면서 지도 교사들은 자신들의 부족한 시간을 경제적으로 활용하고 학생들과 1 : 1 수업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교재를 중심으로 문제풀이와 설명을 중심으로 한 수업을 하게 된다. 교사에게 이러한 수업방식은 현실적인 상황에 맞춘 수업 전략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상급 교육청에서는 층층시하의 행정 절차로 학교의 학습부진아 수업 현상을 사실상 규정짓고 있으며 짜여진 틀 속에서 지도교사는 상급 교육청에 보고하거나 장학 지도 때 보여주기 위한 행정 문서를 작성하기도 한다. 학습부진아 지도는 교육부 차원에서 강조하는 중요한 업무이긴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학습부진아 지도는 '지도 수당'이라는 부분 이외에는 업무나 제도적 차원에서 사실상 배려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학습부진아의 행동 특성을 고려하거나 교사 상호간 또는 교사와 학부모 사이의 연계가 없이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매년 교체되는 업무 담당자와 지도 교사로 인해 지속적인 지도가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기초 학습부진아 특별 수업을 통해 구제된 학생이라 하더라도 자기 학급에서는 교과 학습부진아로 남아 학습 부진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교사들이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해 필요로 하는 것이 있다면 학생들에게 투입할 수 있는 시간과 실질적인 배려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educational practices for underachiever, who has little basic ability for study, in elementary school with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Teachers of underachiever in Dal-bit Elementary School in Ul-san city and their class were observed for one year for this study. All educational practices for underachievers in this school were executed by the control of upper educational board and this project was called 'accountability system of basic academic abilities'. All teachers charging underachiever class thought that it was hard job, because they had to take a lot of tasks in everyday besides. Moreover teachers felt more difficult with their behaviors such as distractive and dependent behavior. In their class, teachers wanted to use his limited time more effectively. So teacher made his class 1:1 style with using their workbooks. The upper board of education has controled all policies and practices of underachiever, and teachers should report all proceeding practices with official documents. In spite of underachiever teacher's hard works, teachers did not have any benefit except compensation. The practices for underachievers were executed without consider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without any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nd these practices could not have any consistency because of every year change of teacher. For more efficient underachiever practices, sufficient time should be permitted for them and considerable benefit should be offered to their teachers.

      • 유아 혼자놀이의 의미에 관한 연구

        장지영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662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의 일과 중 놀이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자유놀이시간에 유아들은 어떤 원인으로 혼자놀이를 하게 되며 유아가 하는 혼자놀이에서 찾을 수 있는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연구를 위하여 Y어린이집 만 5세 학급인 하늘반 유아 22명과 하늘반 담임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2012년 3월부터 10월까지 8개월 동안 자유놀이시간에 참여관찰을 하였다. 관찰을 통하여 도출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아가 혼자놀이를 하게 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둘째, 만 5세 유아의 혼자놀이의 의미는 무엇인가? 첫 번째 연구문제인 유아가 혼자놀이를 하게 되는 원인을 관찰한 결과 8가지로 항목화시킬 수 있었다. 이는 ‘더 몰입해서 놀아요’, ‘혼자 노는 게 좋아요’, ‘친구를 기다려요’, ‘아직 끝내지 못했어요’, ‘규칙을 지켜야 해요’, ‘아직은 어색해요’, ‘자신이 없어요, ‘친구들이 놀아주지 않아요’이다. 첫째, 유아는 다른 유아들과 비교하였을 때 놀이의 몰입도가 높아 혼자놀이를 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는 친구와 함께놀이 하는 것보다 혼자놀이 하는 것을 더 좋아하기 때문에 혼자놀이 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는 친구와 놀이하기로 약속을 하고 친구를 기다리는 동안 혼자놀이를 하고 있었다. 넷째, 유아는 다른 유아들에 비해 행동이 느려 혼자놀이를 하고 있었다. 다섯째, 유아는 놀이 시간의 규칙을 지키기 위해 혼자놀이하고 있었다. 여섯째, 유아는 또래와의 관계를 형성하지 못한 어색한 상태에서 혼자놀이를 하고 있었다. 일곱째, 유아는 자신감 부족과 위축된 정서 상태로 인해 혼자놀이를 하고 있었다. 여덟째, 유아는 또래 유아들로부터 배척당하여 혼자놀이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혼자놀이를 하는 유아는 상황에 따라 개별적인 원인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로서 유아의 혼자놀이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관찰한 결과 유아가 혼자놀이하게 되는 여덟 가지 원인을 세 개의 의미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첫째, 유아가 좋아하여 스스로 선택한 놀이라면 혼자놀이하고 있는 모습은 매우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것이다. 실제로 놀이 선호도에 의해 자발적으로 선택하여 혼자놀이를 하는 유아들은 그렇지 못한 유아들보다 놀이의욕이 높았으며, 자신이 좋아하는 놀이를 선택할 때 매우 적극적이었다. 그리고 또래와 함께 어울리기보다 혼자서 놀이하는 것을 선호하는 혼자놀이 모습도 이와 같이 자발적 으로 선택한 혼자놀이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사전에 함께 놀이 할 또래와 약속을 하고 또래가 활동을 다 마치기를 기다리기 위해 혼자놀이를 선택한 경우 역시 유아는 자신의 의지에 의해 혼자놀이를 선택한 것이었다. 즉 유아가 혼자놀이를 하고 있을지라도 그것이 발생된 원인을 살펴보고 혼자놀이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맥락적으로 파악해 보았을 때 유아의 혼자놀이에서 매우 긍정적인 의미를 찾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자발적인 선택이 아닌 상황이 만들어 내는 혼자놀이의 경우도 많았다. 기질적으로 행동이 느린 유아, 주변에 관심이 많아 한 눈 파는 시간 때문에 더디게 활동하는 유아, 등원시간이 늦은 유아들도 이에 속하는데 일단 놀이를 늦게 시작하게 되면 자유놀이 선택을 할 때 유아가 선호하는 놀이영역을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 되었다. 유아가 하고 싶은 놀이가 있는데도 놀이에 참여하지 못하고 다른 것을 선택해야 했을 때 아이들의 놀이 의욕은 저하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놀이로 진행이 되면 좋지만 그렇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는 혼자놀이로 이어지는 상황이 잦았다. 다음은 규칙의 문제이다. 교실 안에서 여러 명의 유아가 함께 생활하면서 지켜야 하는 규칙이 있어야 하는 것은 모든 유아들의 교육 목표를 달성하고 안전한 일과 운영을 위해 꼭 필요하지만 규칙을 잘 지키기 위해 발생하게 되는 혼자놀이의 상황은 현재 우리나라 유아교육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마지막으로 관찰된 원인 중의 하나가 바로 관계의 미숙에서 오는 혼자놀이의 모습이었다. 관계의 미숙에서 오는 혼자놀이의 경우 관계형성이 되지 않아 어색한 단계의 혼자놀이 모습은 시간이 지날수록 좋아지는 모습으로 염려할 필요가 없겠으나, 관계형성의 미성숙한 발달로 인한 문제와 또래의 배척은 적극적인 교사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일 것이며 이미 많은 선행연구에서 이에 대한 교사의 전략을 통해 개선된 유아의 사례들이 보고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유아의 혼자놀이 모습에는 다양한 원인과 그에 관한 많은 의미를 담고 있었다. 이에 대해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사회성 발달에 어려움이 없고, 유아가 스스로 선택한 혼자놀이라면 격려하고 지지해주어야 한다는 혼자놀이의 가치에 대해 인식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 중등 수학교사들의 표상 관행에 대한 문화기술연구

        이유빈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60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representational practices employed by mathematics teachers during classes through the methodology suitable for cultural study from the viewpoint to consider representational practices as a culture phenomena. For this purpose, the representational practices of three teachers were being observed, and the following research topics were selected to describe and to analyze the observation. First, what kind of representations are there in representational practices of mathematics teachers? Second, what is the role of representation in the representational practices of mathematics teachers? Third, what kind of representational activities are there in the representational practices of mathematics teachers? Fourth, is there any kind of semantic relationship amongst representational practices of mathematics teacher?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three mathematics teachers from secondary schools in Daegu, Kyeongbuk. From April 2014 to July 2014,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e classes held by the participants were executed for four month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To be concrete, the participants were two male junior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and one male high school teacher. All 788 pages of transcripts from the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analytic induction (Erison, 1986) and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Strauss & Corbin, 1994),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representational practices were interpreted based on the semantic relationship by Spradley (2006).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of representation by teachers, there were five mathematical representational types, namely, abbreviation, paraphrastic, partial, typical, and hint representation. The abbreviation representation, a representation which reflects the economic principles of language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refers to syllables or figures representing mathematical procedures or terms. Paraphrastic representation refers to the representation that is changed by teachers from the representation of the content of the text or information of the problem into the representation associated with the students' prior knowledge to help students understand better. Typical representation refers to the representation which reveals mathematical concepts best to explain or introduce mathematical concepts. Partial representations is what happens when teacher expands a part of a mathematical object to recover the loss of information that takes place essentially when the level of mathematical objects changed in dimension and representation as in geometry class. Hint representation refers to the representation that contains a light instruction or indirect allusion of teachers presented to the students. These instructions include strategies, principles, or contents to help students solve problems. Second, the representation due to representational practices of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enhanced the teaching effectiveness of teachers and played a role of correcting the students' errors. In a mathematics classroom, if a teacher did not record any representation on the board or in the textbooks, teachers’ instruction was made of relying only on linguistic representation. This dependence on linguistic representation resulted in inefficiency of teaching by cutting the flow of the lesson, adding confusion to the delivery of information and the formation of cognitive meaning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could see the errors that appeared to students through the questions and answers of students on mathematical concepts. And for these errors, teachers used verbal, graphic, algebraic, or physical representations corresponding to the errors so that the students themselves could recognize his or her errors and make corrections. Third, the representation activities that appeared in math classes were representation generating activities, representation prior activities, representation evaluation activities, representation correspondence activities, and representation persuasion activities. Representation generating activity refers to an activity except for linguistic representation teachers produce for particular purposes. Representation prior activity refers to an activity that first presents the representation on the board or on the textbook to make students recall the existing prior knowledge or to link the knowledge to learn with the prior knowledge to activate the schema. Representation evaluation refers to an activity that compares which representation is better than the other representations and can explain mathematical concepts or problematic situations better. Representation correspondence activity refers to an activities to correct students’ misconceptions whenever they appear by presenting diverse representations to them. Representation persuasion activity is the use of a variety of persuasive strategies to convince students with the use of a particular representation. Finally, there were semantic relationships such as reason relations, inclusion relations and order relations among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practices of representations. The absence of recording practice which was common to teachers caused the regeneration of linguistic representations, so the linguistic representation generating practices became the cause for the absence of recording practice of linguistic representation. In other words, there was a semantic relation in these two practices in that both of them were fundamental reasons to each other (Spradley, 2006). Math teachers were generating a variety of represent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in the end five kinds of representations formed by teachers’ purposes, namely, abbreviation, paraphrastic, partial, typical, and hint repr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수학교사들의 표상 관행을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보고 문화 연구에 적합한 문화기술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수학교사들이 수학 시간에 사용하는 표상과 관련된 관행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학 교실 현장에서 세 교사들의 표상 관행을 관찰하였으며 이러한 관찰을 기술하고 해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수학교사들의 표상 관행에서 나타나는 표상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둘째, 수학교사들의 표상 관행에서 표상의 역할은 무엇인가? 셋째, 수학교사들의 표상 관행을 통해 나타나는 표상 활동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넷째, 수학교사들의 표상 관행 사이에는 어떤 의미론적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4년 7월까지 대구, 경북에 위치한 중등학교 수학 교사 세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교사들의 수학 수업을 4개월 동안 참여관찰을 하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구체적으로 중학교 남자 수학교사 2명과 고등학교 남자 수학교사 1명이다. 참여관찰과 인터뷰에서 수집된 총 788장의 녹취록을 분석적 귀납법(analytic induction, Erison, 1986)과 상시비교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 Strauss & Corbin, 1994)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교사들이 표상 관행들 사이의 관계는 Spradley(2006)의 의미론적 관계를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표상 사용 목적에 따라 표상은 약어 표상, 환언적 표상, 전형적 표상, 부분표상, 힌트 표상이라는 다섯 가지 수학적 표상 유형이 있다. 약어 표상은 언어의 경제 원리가 수학 교실에서 반영되어 나타나는 표상으로 교사가 수학적 절차나 용어를 음절이나 형태가 단축된 형태로 나타내는 표상을 말한다. 환언적 표상은 교과서의 내용 표상이나 문제의 정보 표상을 교사가 학생들의 선행 지식과 관련된 표상이나 학생들의 이해에 도움이 되는 표상으로 바꾼 표상을 말한다. 전형적 표상은 교사가 수학적 개념을 설명하거나 도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학적 개념이 가장 잘 드러나는 표상을 말한다. 부분표상은 기하 수업에서 수학적 대상의 차원과 표상의 차원이 달라짐에 따라 필수적으로 일어나는 정보의 손실을 회복하기 위해 교사가 수학적 대상의 특정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표상을 말한다. 힌트 표상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가벼운 지시나 간접적인 암시를 담은 표상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시에는 학생들의 문제 해결을 도와주는 전략이나 원리,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둘째, 중등학교 수학 교사들의 표상 관행에 의한 표상은 교사들의 수업 효율성을 높여주며 학생들의 오류를 수정하는 역할을 하였다. 수학 교실에서 칠판이나 교과서에 기록 표상을 하지 않은 경우 교사는 언어적 표상에만 의존하는 교수 활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존성은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내용 전달과 의미 형성에서 인지적 혼란을 가중시켜 수업의 흐름이 단절되어 교수 활동의 비효율성을 야기시켰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오류를 수학적 개념에 대한 학생의 질문이나 대답 그리고 학생들의 정답 표현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오류에 대해 교사는 언어적 표상, 그래프 표상, 대수적 표상, 물리적 표상으로 각각의 오류에 대해 대응하는 표상을 생성하여 사용함으로써 학생 스스로 자신의 오류를 인식하여 수정하였다. 셋째, 수학 수업에 나타나는 표상 활동에는 표상 생성 활동, 표상 선행 활동, 표상 평가 활동, 표상 대응 활동 그리고 표상 설득 활동이 있다. 표상 생성 활동은 언어적 표상을 제외한 표상을 교사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생성해 내는 활동을 말한다. 표상 선행 활동은 학생들이 스키마를 활성화하기 위해 교사가 교수에 앞서 학생들의 기존에 알고 있는 지식을 회상하게 하거나 앞으로 배우는 지식과 기존의 지식을 연결하기 위해 칠판이나 교과서에 표상을 우선 제시하는 활동을 말한다. 표상 평가 활동은 하나의 표상이 다른 표상보다 수학적 개념이나 문제 상황을 더 잘 설명하는지를 교사가 기준을 가지고 표상을 비교하는 활동을 말한다. 표상 대응 활동은 수업에서 학생의 오개념이 나타날 때마다 교사가 다양한 표상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오개념을 수정하는 활동을 말한다. 표상 설득 활동은 학생들에게 특정한 표상의 사용을 설득하기 위해 교사가 다양한 설득 전략을 사용하는 활동을 말한다. 넷째, 중등학교 수학교사들의 표상 관행들 사이에는 이유 관계, 포함 관계 그리고 순서 관계와 같은 의미론적 관계(semantic relationship)가 있다. 교사들의 공통적인 관행인 언어적 표상의 기록 부재 관행은 언어적 표상의 재생성을 가져오므로 언어적 표상 생성 관행은 언어적 표상의 기록 부재 관행의 이유가 된다. 다시 말해, 두 관행 사이에는 근본 이유라는 의미론적 관계가 있다(Spradley, 2006). 수학 교사들은 교수-학습 활동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표상을 생성한다. 본 연구의 결과 교사가 목적에 따라 생성한 표상의 종류에는 약어 표상, 환언적 표상, 전형적 표상, 부분표상, 힌트 표상 등이 있다. 이러한 다섯 가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