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공지능 시대 기술레짐 비판 : 기술비판이론의 확장적 재구성 = Questioning a Technological Regime in the Age of AI : Expanding th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505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인공지능 시대, 지능정보사회에서 과학기술과 사회문화를 분리키기는 이원론적 모더니티 하에서 과학기술의 가치중립성을 유일한 합리성으로 포장하는 기술중립론적 기술신화 ...

      이 논문은 인공지능 시대, 지능정보사회에서 과학기술과 사회문화를 분리키기는 이원론적 모더니티 하에서 과학기술의 가치중립성을 유일한 합리성으로 포장하는 기술중립론적 기술신화 체제인 기술레짐을 해석하고 비판하며 나아가 대안적인 민주적 기술합리성과 기술정치학을 모색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탐구하며 구축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학의 구성주의 전통 하에서 앤드류 핀버그의 기술비판이론을 중심으로 뒤르켐주의 기술문화사회학 등을 도입하여 기술비판이론의 이론적 재구성과 문화연구적, 사회학적 확장을 도모하고 통합적 기술문화연구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로써 오늘날 보다 정교해지고 심화된 기술중립론, 기술결정론, 기술 투명성 신화를 담지하는 인공지능 기술레짐과 새롭게 등장한 AI 기술합리성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정립한다.
      오늘날 과학기술과 그것의 혁신에 대한 지배적 견해는 기술 설계에서 사회∙문화적 차원을 배제시키고 기술을 투명하고 중립적이며 자율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중립론은 기술해법만능주의, 기술지상주의와 함께 과학기술의 설계를 결정하는 기술레짐을 만들어 내며 기술권력 또는 기술관료제의 지배력을 공고히 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기술에 대한 유일한 합리성으로 간주되는 이 지배적 견해는 물질적 기술과 사회적 문화를 분리시키는 이원론적 모더니티에 기반을 두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은 이 기술신화와 기술레짐의 중심적이고도 문제적이며 논쟁적인 장소와 인공 사물이 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기술신화와 기술레짐을 이론적으로 정교하게 포착하고 비판하기 위해 기술비판이론의 재구성과 확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핀버그의 기술비판이론이 핵심적 자원임을 강조하면서 이를 체계적으로 해명하고 재구성한다. 이를 통해 구성주의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기술비판이론이 본질주의 기술철학을 비판하고 기술적 원리와 사회적 힘의 이분법을 극복하며 기술정치적 실천에 기여할 수 있는 성찰적 기술비판이론임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 논문은 기술비판이론이 기술레짐의 문화적 논리, 기술의 문화적 심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알렉산더가 발전시킨 뒤르켐주의 기술문화사회학의 보충이 요청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는 보다 심층적이고 통합적인 기술문화연구 프로그램으로 확장하기 위해서 기술의 문화 지평을 중시하는 문화이론들을 도입하고 이것의 기술비판이론적 함의를 밝힌다. 이로써 문화사회학은 기술레짐과 기술합리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비판이론과 문화사회학적 접근들이 모두 모더니티 기술신화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극복하기 위한 유용한 이론적 자원임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기술비판이론을 AI 문제에 관한 문화연구 및 사회이론으로 확장, 적용하여 AI 국면에서 기술레짐의 변동을 읽어내고 신종 AI 기술합리성의 문제를 드러낸다. 이에 생성형∙대화형 인공지능은 체계와 생활세계를 상호 침투시키고 매개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과 기술레짐을 생성, 확장시키고 새로운 기술합리성을 생성, 관철시키는 새로운 조절매체 권력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설적으로 이러한 테크노시스템이 기술적 시민주체들의 개입 지점이 될 수 있다는 양가적 가능성을 고려하면서 문화적 차원으로 보충되고 확장된 구성주의적 기술비판이론의 기술정치학적 의의를 드러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and build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interpreting and critiquing the technological regime, a techno-neutralist system of technological mythology that packages the value-neutral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the only rationalit...

      This paper explores and build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interpreting and critiquing the technological regime, a techno-neutralist system of technological mythology that packages the value-neutral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the only rationality under the dualistic modernity that separates science and technology from society and culture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further explores an alternative democratic technological rationality and technological politics.
      To this end, this research propose an integrated program of techno-cultural studies, focusing on Andrew Feenberg's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in the constructivist tradi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and introducing Durkheimian techno-cultural sociology to reconstruct th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and expand it to cultural studies and sociology. In doing so, this study establish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AI technological regime and the emerging AI technological rationality, which today contain more sophisticated and deepened techno-neutralism, technological determinism, and techno-transparency myths.
      The dominant view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its innovation today is to exclude social and cultural dimensions from the design of technology and to consider technology as transparent, neutral, and autonomous. This techno-neutralism, along with techno-solutionalism and techno-terrestrialism, creates a technological regime that determines the desig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helps to consolidate the dominance of technocracy or techno-bureaucracy. This dominant view of technology as the only rationality is based on a dualistic modernity that separates material technology from socio-culture. Artificial intelligence, in particular, has become a central, problematic, and contested site and artifact of this technological myth and technological regime.
      This paper argues that a re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th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is needed to capture and critique these technological myths and technological regimes in a theoretically sophisticated manner. To this end, it systematically elucidates and reconstructs Feenberg's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emphasizing it as a key resource. In doing so, it reveals that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which critically embraces constructivism, is a reflectiv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that can critique essentialist philosophies of technology, overcome the dichotomy of technical principles and social forces, and contribute to technological political practice. This paper argues that technocritical theory needs to be supplemented by Durkheimian cultural sociology of technology developed by Jeffrey Alexand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ltural logic of technological regimes and the cultural depth of technology. It introduces cultural theories that emphasize the cultural horizons of technology and reveals their implications for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in order to expand it into a deeper and more integrated cultural studies of technolgy research program. It is argued that cultural sociology can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echnological regimes and technological rationality. The results show that both critical theory and cultural sociological approaches are useful theoretical resources for critically analyzing and overcoming modernity's technological myths. Finally, by extending and applying th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to cultural studies and social theory on of AI issue, we read the fluctuation of technological regimes in the conjuncture of AI and reveal the problem of new kinds of AI technological rationality. It is argued that generative and interactive AI is emerging as a new mediating power that creates and expands communication and technological regimes and creates and enforces new technological rationalities by interpenetrating and mediating the system and the living world. It also considers the ambivalent possibility that these technosystems can nevertheless paradoxically become points of intervention for technological citizens, revealing the technopolitical implications of a constructivist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supplemented and extended with a cultural dimen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표 목차 - ⅴ
      • 그림 목차 - ⅴ
      • I. 서론 - 1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표 목차 - ⅴ
      • 그림 목차 - ⅴ
      • I.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 - 1
      • 2. 연구의 목적과 연구 문제 - 7
      • 3. 논문의 구성 - 12
      • II. 기술/사회를 통합하는 기술비판이론의 재구성을 위한 이론적 논의틀 - 14
      • 1. 기술결정론: 기술/사회 이원론과 기술중립론 비판 - 15
      • 2. 사회적 결정: 기술-사회 합성론으로서 사회구성주의 - 20
      • 3. 기술-사회문화 통합적 기술문화연구 프로그램을 위한 방법론적 토대 - 29
      • III. 기술레짐 분석의 중핵: 구성주의적 기술비판이론의 재구성 - 36
      • 1. 핀버그의 기술비판이론의 주요 개념과 논리 - 36
      • 1) 루카치와 마르쿠제 비판이론의 비판적 계승 - 36
      • 2) 도구화 이론: 기술합리성의 양가성의 체계화 - 41
      • 3) 기술 본질주의 이데올로기 비판 - 44
      • (1) 유토피아적 기술중립론(상식적 도구주의)과 기술결정론 비판 - 44
      • (2) 디스토피아적 실체론 비판 - 45
      • (3) 기술결정론과 실체론의 토대로서 본질주의 비판 - 46
      • 4) 본질주의 극복을 위한 기능주의 비판: 기능과 의미의 관계 - 49
      • 5) 기술코드: 기술의 과소결정과 해석적 유연성 - 51
      • 6) 기술레짐: 기술성∙패러다임∙문화체계로서의 기술 - 57
      • 7) 테크노시스템: 시스템으로서의 기술적 인공물, 시스템 안의 인간 - 59
      • 8) 비판이론의 갱신: ‘세계 객체’로서 AI, 인간의 유한성, 가류주의 - 64
      • 2. 구성주의에 대한 기술비판이론의 비판적 수용 - 65
      • 1) 사회구성주의: 문화적∙해석적 갈등을 통한 기술의 구성 - 66
      • 2) 행위자-연결망 이론: 기술/사회의 대칭적 공동구성 - 69
      • 3) 푸코의 계보학: 문화체계로서 과학기술 진리레짐 - 72
      • 3. 소결: 성찰적 기술비판이론과 기술정치적 실천 - 73
      • IV. 기술레짐의 문화적 논리: 기술비판이론의 기술문화사회학적 보완 - 81
      • 1. 알렉산더의 뒤르켐주의 기술문화사회학: 기술문화의 자율성 강조 - 81
      • 1) 문화의 자율성 이론화 - 82
      • 2) 문화(성/속 정보)기계로서 컴퓨터 - 93
      • 3) 물질적 디지털 IT∙AI기술의 문화적 생산 기제- 96
      • 2. 기술사적 문화연구: 기술의 대중신화적 차원의 강조 - 105
      • 1) 사회기술적 상상으로서 기술레짐 - 105
      • 2) 문화적 구성체와 서사로서 기술레짐 - 110
      • 3) 기술권력복합체(거대기계)로서 기술레짐 - 113
      • 3. 소결: 기술문화와 기술 신화를 통한 기술 심층의 포착 - 118
      • V. 기술레짐 분석을 위한 기술비판이론과 기술문화사회학의 종합 - 120
      • 1. 디지털 기술레짐의 기술합리성 변동 - 120
      • 1) 문화적 상호작용 창출 권력으로서 디지털 기술레짐 - 121
      • 2) 탈정치/해방의 분열적 디지털 기술레짐 - 125
      • 2. 디지털 기술레짐의 양가적 기술합리성 생산 - 130
      • 3. 기술합리성의 문화적 이해: 기술비판이론과 기술문화사회학의 이론적 통합 - 139
      • VI. AI 국면 기술레짐 변동과 기술비판이론의 확장적 적용: 신종 AI 기술합리성 문제 - 150
      • 1. 기술레짐 변동의 배경: 커뮤니케이션 권력과 기술합리성의 일상화 - 150
      • 2. AI를 통한 기술레짐의 변동: 체계-생활세계의 상호 침투와 융합 - 155
      • 1) 의사소통의 객관∙도구∙합리적 기술매체로서 AI - 156
      • 2) 신종 기술합리성으로서 AI 중립론 - 160
      • 3) 기술레짐의 조절매체: 의사소통(합리성) 위임 권력으로서 AI의 부상 - 166
      • 3. 신종 AI 기술합리성의 딜레마: 커뮤니케이션 생성 조절매체 권력의 등장 - 170
      • VII. 결론: 이론적, 실천적 함의 - 182
      • 참고문헌 - 190
      • Abstract - 2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