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특별시 자치구청 소속 기록연구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환경에 관한 연구

        정하영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기록연구사들이 기록관리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직무가 조직화되고, 직무환경에서는 동기가 부여되며 근무여건은 실제의 업무와 관련된 시스템을 갖추도록 하여야 한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기록연구사들을 정규직으로 거의 채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그들이 조직 내에서 기록관리 혁신을 위한 충분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초기 단계에 기록연구사가 배치된 조직 내에서는 기록관리 직무가 조직화되고 직무환경 및 근무 여건이 조성되어 그들이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초자치단체 기록관 소속 기록연구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환경을 조사하여 지방기록연구사의 업무 운영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기록연구사들이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하여 기초자치단체의 개념, 기초자치단체 기록관 소속 기록연구사의 배치 현황 및 업무, 서울특별시 자치구청 소속 기록관의 현황과 업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직무특성이론과 직무환경요인에 대한 근거 이론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항목은 인구통계적 현황, 직무특성요인, 직무환경요인, 근무여건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수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자체에 대한 직무특성요인은 직무환경요인, 근무여건보다 긍정적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기록연구사들은 전문가로서의 자부심과 책임의식을 갖고 있었고, 자신의 담당업무가 여러 가지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야 하는 것임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소속 기관 내에서 기록연구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도는 낮게 나타났고, 이는 역할 갈등이 커지는 결과로 이어지면서 직무스트레스 항목에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 직무환경요인은 직무자체에 대한 인식을 나타낸 직무특성요인보다 낮게 나타났다. 기록연구사들은 기록관리업무를 수행하면서 소명감과 보람을 느끼고 있었으며, 소속 기관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고 하지만, 타인에게 이 직업을 권하고 싶어하지는 않았다. 기록연구사들과 상사나 동료와의 관계는 원만했지만, 그들은 기록관리 업무에 대한 관심도가 낮았고, 새로운 업무분야인 기록관리를 위한 교육에 대한 기관의 투자가 부족했다. 근무여건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법령에 의거한 업무관리규정이나 운영규칙은 대부분 마련되어 있으나, 기록관의 실무와는 차이가 있었다. 기록연구사들은 기록관의 조직편제와 업무처리를 위한 업무분장에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기록관의 업무처리를 위한 예산은 충분하게 배정되지 않았으며, 기록관리시스템은 25개 자치구청이 공동으로 구축하였으나, 기록관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시스템 및 중앙기록물관리시스템과의 연동에 어려움이 있었다. 정보공개서비스의 질은 높아졌으나, 정보공개청구는 단순 민원이 대부분이고, 공개기록물과 비공개기록물의 구분이 어려웠다. 타 자치구청 소속 기록연구사들과의 교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이 기록관마다 다른 상황을 고려하지 않아 기록관과의 업무협력에 어려움이 있었다. 기록연구사들은 근무여건 개선을 위하여 부서 간 소통이 중요하며, 장기간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여건과 인적 네트워크의 형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직무특성요인, 직무환경요인, 근무여건의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산 배정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파악되었다. 이를 위한 개선방안은 기관장 및 상사와 동료의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기록연구사들의 기록관리에 관한 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파악되었다. 이를 위한 개선 방안은 교육에 대한 기관 차원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서울시 자치구청에 근무하는 기록연구사들은 기록관리업무 이외에도 일반민원행정업무까지 처리하는 등 혼자 감당하기에는 과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를 위한 개선방안은 기록관리업무를 담당할 인력충원 혹은 기록연구사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분담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넷째, 중앙기록물관리기관과의 업무협력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기록물관리기관과의 피드백이 좀 더 활성화되어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은 기초자치단체 기록관의 구체적인 업무환경을 파악하고, 업무환경에 맞는 행정적인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 기록연구사의 ‘전문적 영향력(Expert Power)’이 기록관리 담당자의 기록관리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광주광역시 교육청을 중심으로 -

        김석준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 된 이후 현재까지 많은 교육기관에서는 기록연구사를 양성해 내었다. 그 후 기록연구사들은 각 공공기관에 배치되어 전문직으로서 기록관리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 전문직은 기관 및 조직 내에서 ‘전문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집단이다. ‘전문적 영향력’은 French·Raven(1959)에게 처음 나온 개념으로 기관 및 조직 내에서 전문직으로서 구성원에게 끼칠 수 있는 전문적인 직무 관련 영향력을 의미한다. 보통 영향력은 상사가 부하에게 미치지만 ‘전문적 영향력’은 부하 뿐 아니라 상사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특이성을 가진다. 기록연구사 또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자격증’을 소유한 전문직이다. 기록연구사가 배치 된지 10여년이 훌쩍 지난 지금 기록연구사가 전문직으로서 구성원들에게 인식되고, 그들에게 직무와 관련한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점검할 필요가 느껴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록연구사의 ‘전문적 영향력’이 본 연구 대상인 기록관리 담당자들의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연구대상인 광주광역시 교육청 산하 초·중·고 기록관리 담당자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피 대상자인 기록연구사에게 사전 전화 통화를 통해 연구에 대한 동의를 구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예비 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 연구를 통해서 24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예비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확정하여 연구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 조사 후 총 103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one-way)을 사용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PSS 23.0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회귀분석 결과 기록연구사의 ‘전문적 영향력’ 요인 중 ‘전문성’과 ‘영향력전술’은 기록관리 담당자의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록연구사의 ‘전문적 영향력’ 중 ‘전문성’과 ‘영향력전술’ 부분에 있어서는 기록관리 담당자에게 직무와 관련하여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기록연구사의 ‘전문적 영향력’ 요인 중 ‘영향력요건’은 기록관리 담당자의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별 독립 표본 T검정과, ANOVA를 실시한 결과 성별, 기관(학교), 직급, 연령, 근속 연수, 기록관리 직무수행기간에 따른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기록연구사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기록연구사의 기록관리 직무 지식 및 기술에 대한 능력 개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국가기록원은 기록연구사에 대한 직무훈련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직무훈련을 제공받은 기록연구사는 기관 및 조직 기록관리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는 기록 관리 직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기록관리 담당자들의 기록관리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둘째 기록연구사에게 ‘영향력전술’에 대한 교육훈련을 제언한다. ‘영향력전술’은 조직 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한 인간관계 전략이다. 이러한 전략을 기록연구사에게 교육함으로써 조직 내 기록연구사가 전문가로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효과적인 직무 수행을 위해 기록연구사가 기록관리 담당자에게 기록관리 직무 성과에 대한 보상 및 제재 등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 기록관리학계에서 생소하였던 ‘전문적 영향력’이라는 개념을 기록연구사에게 적용함으로써, 기록연구사의 ‘전문적 영향력’에 대한 내용을 이론적으로 정리하였다. 둘째 기존 기록연구사만을 대상으로 했던 연구와는 달리 기록연구사의 ‘전문적 영향력’에 대한 처리과 기록관리 담당자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셋째 기록관리 담당자의 기록 관리에 대한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이 어떠한지 조명해 볼 수 있었다. 넷째 기록연구사의 ‘전문적 영향력’과 기록관리 담당자들의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기록관리 담당자의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록연구사의 ‘전문적 영향력’ 개발 방안을 제언하였다.

      •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 직무 분석에 관한 연구

        이을지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들의 직무의 세부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그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를 분석하여 교육청 기록관리 업무 환경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문헌조사와 교육청 기록관 운영규정 분석을 통해서 교육청 기록관리 업무를 기록관 운영, 수집과 평가, 정리와 기술, 서비스, 학교기록물 관리 지원 5개 업무 영역과 정보공개청구제도 운영, 기록물 수집 등과 같은 세부적인 24개의 업무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업무영역별, 업무요소별 중요도, 난이도, 수행 빈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조사 결과를 IPA기법을 활용하여 중요도와 수행 빈도, 중요도와 난이도를 교차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육청 기록연구사들의 업무 가운데 가장 수행 빈도가 높은 것은 정보공개청구제도 운영과 기록물 열람서비스 같은 서비스 영역의 업무로 조사되었으며, 반면에 중요도와 난이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업무는 수집과 평가 영역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결과는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들은 중요도가 높고 어려운 업무보다는 상대적으로 중요도와 난이도가 낮은 업무를 주로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어 실제 업무와 인식 사이에 상당한 괴리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교육청 기록관리의 고유 영역이라 할 수 있는 학교기록관리 지원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이 영역의 업무에 집중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서비스 영역의 업무는 매우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업무이지만 상대적으로 그 중요성을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들의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수집과 평가 영역에 대한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기록관리규정이나 지침의 수립과 관리, 기록관리기준표의 작성과 같은 업무 수행을 위한 일정한 기준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의 업무를 개선하고, 직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들이 느끼는 일상과 인식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기 위한 교육과 업무의 재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비스와 관련된 영역에 대한 기록연구사들의 저평가를 해소하기 위해서 이러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중요도가 높은 영역의 업무, 특히 학교기록 관리 지원과 같이 교육청 고유의 업무이면서도 실제적으로 그 수행이 미진한 영역의 업무 수행을 강화하기 위한 업무의 재설계가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특히 IPA분석에서 제2사분면에 위치한 업무요소들을 조직 내부의 다른 전문가들이나 보조 요원을 활용하거나 아웃소싱 함으로써, 중요도가 높은 업무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교육청 소속 기록연구사들의 직업적 전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은 특히 수집과 평가영역에 집중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기록관리지침이나 기록관리기준표와 같이 업무 수행을 위한 기준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매뉴얼이나 편람 등을 공동으로 개발하거나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혁신도시 소재 공공기관 기록연구사의 상호 협력 방안 연구 : 강원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허솔지 한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Innovation cities were created to recognize the problem of polariz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o realiz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e metropolitan area should move away from quantitative expansion, which is mainly labor force and capital and to convert it into a qualitative development policy centered on knowledge, environment,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the province should realize policies to promote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its own innovation. Public institutions located in innovative cities shall actively carry out reg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o meet the purpose of creating innovative cities. It is promoting various activities such as social contribution and talent donation activities, cooperation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sectors where public institutions and local residents harmonize, and promotion of public resource facilities,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and special lectures and programs using expertise. Records managers of public institutions in innovative cities shall also participate in activities using records management as part of regional development activities. In order to propose regional development activities using record management, the recognition of innovative cities and reg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f public institution record managers in innovative cities was investigated using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cords managers of public institutions in innovative cities recognized that local development activities were carried out in institutions and felt the necessity of regional development activities using record management. However, they answered that it is difficult to realize due to problems such as overload and role sharing. Based on th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cooperate with public institution record managers in innovative cities to carry out regional development activities considering the problems faced by record managers. The methods presented in this study include the composition of the council, joint promotion of documenting locality, open campus, and local record service activities. The effect that can be created when a public institution record managers in an innovative city participates in regional development activities using record management can realize social value. Social values are 'valu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ublic interests and communities in all areas such as society, economy, environment, and culture'. In addition, it can help the local settlement of record managers, contribute to local archiving, and activate local communities. Especially, social values are recognized as essential values ​​to create a society that lives well together in Korean society that pursues only economic values, and they are trying to realize social values ​​first at the national level. Records managers can expand social roles and areas while realizing social values and broaden the horizon of archives. It is expected that discussions on social values, which are the upper concepts that can encompass values ​​such as memory, justice, and accountability that have been pursued In the archiving field, will be activated. 혁신도시는 수도권 양극화의 문제를 인식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실현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수도권은 노동력과 자본 위주인 양적 팽창에서 탈피하고 지식·환경·문화 등이 중심이 된 질적 발전 정책으로 전환해야 하는 동시에 지방의 혁신을 통해 지역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정책을 실현해야 한다고 보았고, 그에 따라 수도권에 집중되었던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여 혁신도시를 조성한 것이다. 혁신도시 소재 공공기관은 혁신도시의 조성 목적에 부응하기 위하여 지역발전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한다. 사회공헌·재능기부 활동, 이전 공공기관과 지역주민이 화합을 이루는 문화·예술 분야의 협력, 지역물품 구매 촉진 등 지역경제 활성화, 공공기관의 공공자원시설 개방, 도시재생 뉴딜사업 추진, 전문지식을 이용한 특강 및 프로그램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혁신도시 소재 공공기관 기록연구사도 지역발전 활동의 일환으로서 기록관리를 이용한 활동에 참여해야 한다. 기록관리를 이용한 지역발전 활동을 제안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의 방식을 이용하여 혁신도시 소재 공공기관 기록연구사들의 혁신도시와 지역 발전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 결과, 혁신도시 소재 공공기관 기록연구사들은 기관에서 지역발전 활동이 진행되는 것을 인지하고 있고, 기록관리를 이용한 지역발전 활동의 필요성도 느끼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업무 과중과 역할 분담 등의 문제로 실현하기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기록연구사들이 직면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혁신도시 소재 공공기관 기록연구사의 상호 협력하여 지역발전 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으로는 협의회 구성, 지역 기록화 공동 추진, 오픈 캠퍼스, 지역 기록 서비스 활동이 있다. 혁신도시 소재 공공기관 기록연구사가 기록관리를 이용한 지역발전 활동에 참여하였을 때 창출할 수 있는 효과는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회적 가치란 ‘사회, 경제, 환경, 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가치’이다. 또한, 기록연구사들의 지역 정착을 도울 수 있고, 지역 아카이빙에 기여하며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할 수 있다. 특히 사회적 가치는 경제적 가치만을 좇았던 한국 사회에서 더불어 잘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필수적인 가치로 인식되며, 국가적 차원에서 사회적 가치를 우선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기록연구사는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면서 사회적 역할과 영역을 확장할 수 있으며, 아카이브의 지평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기록학계에서 그동안 추구했던 기억, 정의, 설명책임성과 같은 가치들을 포괄할 수 있는 상위 개념인 사회적 가치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IPA를 활용한 지방자치단체 기록연구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박태섭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기록연구사의 업무를 명확히 밝히고 IPA를 활용한 직무분석, 고용형태별·경력별로 업무에 대해 인지하는 차이와 특성을 규명하여 효과적인 업무 운영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기록연구사의 업무를 분석하였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에 대해서 통계분석과 IPA Matrix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지방자치단체 자치법규, ‘2016년 정부산하 공공기관 기록물관리 지침’과 현장에서 근무하는 기록연구사의 의견을 종합하여 지방자치단체 기록연구사의 업무를 체계화하였다. 그 결과 6개의 기능과 23개의 업무, 48개의 세부업무로 세분화하였다. 둘째,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23개의 업무 중 16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이 가운데 기록의 이관업무와 편찬·전시·홍보에서 큰 대응차를 보여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IPA Matrix 분석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수행도가 낮아 노력을 집중해야 하는 업무는 보존기능의 종이기록의 전자화 업무와 보존포맷으로의 변환업무, 행정지원기능의 주요 회의록, 조사·연구·검토서, 비밀기록물, 간행물, 행정박물, 시청각기록물의 관리 업무로 조사되었다. 기록연구사들은 이에 대한 이유로 보존기능 업무에 대해서는 예산부족으로 수행이 어렵다고 답했으며 행정지원기능 업무에 대해서는 처리과 직원의 비협조적인 태도와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결여, 생산부서의 직접관리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넷째, 중요도는 낮지만 수행도가 높아 과잉노력을 지양해야 하는 업무는 수집·정리기능의 기록물 생산현황 취합 및 영구기록물 관리기관 통보, 소관 비공개기록물 및 비밀기록물의 공개 재분류와 보존기능의 기록관의 시설 및 장비관리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서 기록연구사들은 수행해야하는 업무의 양이 과도하게 많아 부담이 크고 업무의 성격이 반복적이라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고용형태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정규직이 비정규직에 비해 업무에 대하여 중요도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IPA 분석결과 차이를 보이는 업무는 6개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해서 비정규직은 모두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경력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3년 미만이 인지하는 중요도가 제일 컸다. IPA 분석결과 차이를 보이는 업무는 9개로 나타났고 이에 대해 6년반 미만은 대부분 중요도가 낮다고 인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자치단체 기록연구사의 업무를 개선하고 역량강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조속한 설치로 기록의 이관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기록물 편찬·전시·홍보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예산부족으로 인해 수행하지 못하는 종이기록의 전자화업무와 기록의 보존포맷 변환 업무에 대해서 예산 결정권을 가진 기관장과 조직 내 직원들에게 해당 업무 수행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설득하여 필요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처리과 직원의 비협조적인 태도와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결여는 직원 교육을 통해 체계적인 기록관리의 필요성과 기록관으로 이관되어야하는 기록의 종류를 명확히 인지시켜야 한다. 또한, 생산부서에서 기록이 직접 관리되지 않도록 기록관리 권한을 명확히 하여야 한다. 넷째, 수행하여야하는 업무의 양이 많고 그 성격이 반복적인 업무에 대해서는 보조 인력의 활용과 조직 내 타부서와의 협업을 통해서 업무 부담감을 경감시키고 더 중요한 업무에 시간, 노력 등을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고용형태별·경력별로 업무에 대해 인지의 차이를 보이는 만큼 이를 바탕으로 직무 재교육이 각각 다르게 이루어져야 한다. 비정규직 기록연구사와 6년반 이상의 기록연구사들에게는 업무 중요도를 제고시키는 방향으로 교육을 진행하여야 한다.

      • 기록연구사의 직무특성, 공공봉사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미용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87

        최근 인공지능 등 다양한 디지털 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고 기록관리 전문성을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제도적 개선뿐만 아니라 개인의 혁신행동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에 종사하는 기록연구사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직무특성과 혁신행동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 그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공기관의 기록연구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 총 13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통계분석기법은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여성 종사자가 62.8%로 남성 종사자보다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30~40대가 85.6%로 다수를 차지하였고, 학력은 석사가 84.8%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고용형태에 있어 정규직이 73.7%로 다수를 차지하였으나 계약직이 26.3%로 고용의 안정성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근무기관 내 기록물관리 담당 인원이 1명인 경우가 67.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기록연구사들이 인식하는 직무특성은 과업 정체성(4.42), 피드백 및 자율성(4.03), 과업 중요성(3.51), 기술 다양성(2.96) 순으로 나타났으며, 혁신행동은 아이디어 개발(3.45), 아이디어 홍보(3.41), 아이디어 실현(3.37) 순으로, 그리고 공공봉사동기는 동정심(4.11), 공익 중요성(4.01), 자기희생(3.34)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행동의 아이디어 개발, 아이디어 홍보, 아이디어 실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직무특성의 하위변인 중 ‘과업 중요성’과 ‘자율성 및 피드백’이 있으며, 공공봉사동기 요인 중에는 공익 중요성(공공봉사 호감도, 공공가치 몰입)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특성의 하위변인 중에서 과업 중요성이 공공봉사동기의 공익 중요성(공공봉사 호감도, 공공가치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록연구사의 직무특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공공봉사동기의 하위요인 중 공익 중요성(공공봉사 호감도, 공공가치 몰입)만이 직무특성의 하위변인인 과업 중요성과 혁신행동의 모든 하위변인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바탕으로 기록연구사가 갖고 있는 직무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공공봉사동기와 혁신행동과의 의미 있는 관계를 종합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앞으로 기록연구사들의 업무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혁신행동의 향상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re is a need for innovative behavior at the individual level as well as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response to the environment that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diverse new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enhances the professionalism of archive manage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job characteristics of archivist in the public sector on their innovative behavior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between them. The researcher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archivists at public agencies and used a total of 137 questionnaires col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tudy employed a host of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found that female practitioners made up more of the group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at 62.8%. As for age, those who were in their thirties or forties were the majority at 85.6%. Those who had a master's degree accounted for 84.8%. As for the type of employment, a majority of the respondents (73.7%) had a regular position with 26.3% being contract workers, which raises a need for employment stability. There was one staff member in charge of archive management at an agency in 67.2% of the cases. Second,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archivists had the highest perception of task identity (4.42), which was followed by feedback and autonomy (4.03), task significance (3.51), and skill variety (2.96), in that order. Under the innovative behavior category, idea generation (3.45) came first, being followed by idea promotion (3.41) and idea realization (3.37), in that order. Of public service motivations, compassion (4.11) was the highest, being followed by importance of public interest (4.01) and self-sacrifice (3.34), in that order. Third, task significance and autonomy and feedback under job characteristics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idea generation, promotion, and realization under innovative behavior. Importance of public interest (attraction to public service and commitment to public values) under public service motiv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them. Fourth, task significance under job characteristics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the importance of public interest (attraction to public service and commitment to public values) under public service motivation. Finally,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innovative behavior of archivists and found that i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m. Specifically, only the importance of public interest (attraction to public service and commitment to public values) under public service motivatio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significance under job characteristics and all the subvariables of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emonstrated the job characteristics of archivists and tested comprehensively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Furthermore, the study discussed measures to improve their innovative behavior to promote their job efficiency.

      • 정보공개 전담 직렬의 필요성과 방안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사례를 비교하여

        강주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70

        A study on the need and countermeasures in a series of charges in the Information Disclosure : comparing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measures to properly respond to the greatly increasing demands of complex information disclosure. information disclosure and records management possesses a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 reason behind this is because to provide precise archival information when the user wants, one must properly preserve and systematically manage records. Thus, effectiv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s can be guaranteed through systematical management of the records. At the present times, South Korea puts deployment of records managers at public institutions mandatory through the Records Act. Alongside this, the records managers are responsible for records disclosure. However, in reality, for South Korea’s policies on records management has not been long since it was established, the secure settlement of the policies has not yet taken place, such as the fact that not all public institutions possessing records managers and problems in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As well as records management laws,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has been recently established, and thus have much problems and issues to be developed, but because most of such is managed by records researchers along with records management, it acts as a pressure of tasks. Especially, records disclosure goes beyond the simple decision of revelation and private usage of records, and requires professionalism of the institution such as the task knowledge and law-related knowledge in the decision of revelation and private uses. However, most records managers lack professionalism in the task of records disclosure despite achieving such in their regular work as in the records management. For such reasons, records managers are undergoing much difficulties in the task of records disclosure, as well as inflicting negative influences on their original tasks of records management. The problem is that consequently, they are inflicting negative effects on the providing of proper information to the users of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As a countermeasure for such issues, this study is proposing the introduction of a series of exclusive charge in records disclosure named the Government Information Specialist, that professionally manages the records disclosure of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Also, to understand the demand of such, surveys and interviews of records manager who undertakes both records management and records disclosure tasks at a South Korean public institution. As a result of research, the various problems that currently exist in the present Freedom of Information Act were identified in the viewpoint of the staff in charge. Secondly, the fact that most records managers feel much pressure of task on the records disclosure and at the same time feel the need of the preparing of professionalism in the records disclosure were identified. Lastly, the agreement of such managers in the introduction of a series of charges in records management was confirmed. For the introduction of a series of charges in the records disclosure of South Korea, the current records management laws that places records disclosure under the jurisdiction of records management must be revised, and further on, the clarification of the subject that manages records disclosure is necessary. The making of the series of charges regarding records disclosure lets the offerer execute and research more efficient records disclosure, and the users to be given access to information which is increased in quality and quantity. Thus the materialization of the series is expected to play a vast role in the future advancement of South Korea’s records disclosure.

      •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태불안의 매개효과

        김성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and analyze the effects of records managers’ job stress on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tate anxiety to better understand the job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levels of records managers at various organizations across the whole country.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literature review on the analysis of the records managers’ job process analysi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nxiety. The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44 record manager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of records managers. The collected 98 survey data were validated by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calculation,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all factors have significant reliability. In addition,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ANOVA 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As a result,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hich affected to the job stress were the number of records managers and the proportion of non-record managing tasks.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 anxiety through Baron&Kenny’s approach technique,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an independent variable was job stress and dependent variable was depression level, and control variable was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ate of anxiety appeared to be a complete med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on, and the number of records managers was confirme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as control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level of state anxiety for the records manager appropriately 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records managers for reducing the job stress. Furthermore, various efforts are needed in the future, such as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can focus on records management without being interrupted by other tasks. 본 연구는 전국의 다양한 기관에서 근무 중인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불안수준의 현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그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그 가운데의 상태불안의 매개효과를 관찰 및 분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직무를 분석한 연구 및 우울 및 불안의 매개효과에 관한 문헌조사를 실시한 후,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직무스트레스, 상태불안, 우울 수준을 가능한 한 정확히 반영할 수 있게끔 설문척도들을 설계하였다. 이후 현직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144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포함해 총 9요인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수준, 상태불안 수준을 묻는 설문지를 온라인으로 배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98부의 설문데이터를 회수했다. 수집된 설문데이터는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α) 계수 계산을 통해 신뢰도의 검증이 이루어졌으며,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신뢰도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변수들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직무스트레스 요인들의 평균차이가 가장 두드러지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담당인원과 기록관리 외 업무비중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독립변인, 우울 수준을 종속변인, 상태불안 수준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들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한 후 Baron&Kenny식 접근기법을 통해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요인에서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사이에서 상태불안이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담당인원이 통제변인으로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의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해 그들의 상태불안 수준이 필히 관리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기록물관리 담당인원의 전반적인 증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이 다른 업무들에 방해받지 않고 기록관리 업무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등, 보다 다양한 노력들이 향후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