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계자산 축적의 동태적 변화에 관한 연구 : 부동산자산과 금융자산 비교를 중심으로

        이창희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가계는 청·장년기에 왕성한 소득활동과 저축으로 자산을 축적하고 소득보다 소비가 더 많은 노년기에는 자산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자산-연령 프로파일은 언덕모양의 역U자 형태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생애주기가설에 기반한 전통적인 국내 선행연구들은 대체로 자산을 세분하지 아니한 전체 자산을 대상으로 연령효과와 코호트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원시자료(2010-2016년)를 활용하여 Deaton 정규화 분석모형으로 가계자산을 부동산자산과 금융자산으로 나누고 나아가서 소득분위에 따라 자산 축적의 동태적 변화를 연령별· 코호트별· 시간별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가계의 부동산자산과 금융자산의 축적에 연령효과, 코호트효과 및 시간효과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자산-연령 프로파일은 역U자 형태로 생애주기모형과 비슷하다. 다만, 그 정점이 부동산자산은 60대 전반, 금융자산은 40대 전반으로 나타나서 양 자산이 서로 다르다. 코호트를 통제하면 금융자산도 부동산자산과 동일하게 60대 전반이 정점이 된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반영하면, 금융자산은 큰 변화가 없지만, 부동산자산은 80세 최고령까지 지속적으로 상향하는 패턴을 보이는데 이는 생애주기 모형과 다소 다른 모습이다. 소득상위계층들이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부동산자산을 선호하는 이유는 저금리, 월세 대중화 등 환경 변화에 따른 자산포트폴리오 관리 차원이고, 60대 이상 연령그룹의 부동산 불패 경험과 불안한 노후에 대한 예비적 동기와 상속 대비를 위한 전략적 동기가 내재된 결과로 여겨진다. 셋째, 코호트효과로는 1960년대 출생 코호트의 부동산자산의 낙폭이 크게 나타나는데, 이는 1997년 외환위기 당시 30세 전후의 결혼 적령기에 있었던 코호트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1960년대 출생자 중에서 60년대 전반(1960-1964년생)은 같은 베이비부머세대인 1950년대 후반(1955-59년생)과도 크게 다른 프로파일을 보이는 것은 외환위기 당시 생애주기단계의 차이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소득 5분위들은 1960년대 출생이라도 동년배들과는 달리 부동산자산을 상당 수준 축적했던 점과 소득 5분위그룹 내의 코호트 간의 편차가 작은 것은 가정형성 초기에 이미 富를 부모 등으로부터 적지 않게 이전받은 결과라고 추측할 수 있다. 넷째, 시간효과는 2010년 이후 부동산 경기의 부침에 따라 받은 영향이 투영되었고, 금융자산과 부동산자산의 시간효과가 마치 데칼코마니처럼 대칭적인 패턴을 나타내는 것은 양 자산 간의 상호 대체재적 속성에 따른 것임을 시사한다. 한편, 소득 5분위의 부동산자산의 경우는 1년 먼저 급상승 후 하락 및 재상승하는 W형태의 패턴을 보인다. 이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즉각 반응해서 발 빠르게 실행에 옮기는 고소득계층의 군집행동식 투자행태가 반영된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섯째, 자산 축적의 요인에서 배우자 있는 기혼과 대졸 이상 학력, 종업원을 두고 있는 자영업의 특성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금융자산과 부동산자산이 동일하나, 수도권 거주 변수는 금융자산과는 달리 부동산자산은 부(-)의 영향으로 작용한 것은 조사 기간 내의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이의 부동산시장 경기의 차이로 분석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생애주기 관점에서 소득 중·상위계층이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반영하면, 노년기까지도 부동산자산의 축적이 지속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점과 시간효과 분석에서 금융자산과 부동산자산의 상호 대칭성 발견으로 양 자산 간 대체재적 성격과 부동산자산의 준금융자산성 함의를 밝히고, 부동산정책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W자형 패턴의 군집행동적 투자행태를 발견한 점이다. 그리고 1960년대 출생그룹의 코호트효과를 확인하였고, 소득 5분위에서는 열악한 코호트 특성이 예외가 되고, 이미 30대에 상당수준의 부동산자산 축적 및 코호트 간의 작은 편차 등 부의 대물림으로 추측되는 패턴을 발견한 점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시간효과에서 발견된 부동산자산의 준금융자산성과 금융자산과의 대체재적 성격 그리고 W자 행태의 군집행동적 투자패턴 발견은 학술적 가치가 있다고 평가된다. 생애 말년까지 축적되는 부동산자산이 향후 경제적 충격 등 환경 변화에 따라 노후의 위협 요소될 우려가 크므로, 가계 차원에서는 다운사이징 등 포트폴리오 조정이나 부동산자산의 유동화로 노후 소득의 안정적 조달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금융회사 차원에서는 코호트별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상품개발과 자산관리 자문서비스 지원이 요긴하며, 정책 차원에서는 부의 대물림 추측과 관련하여 조세 형평을 위한 세원 확보 노력과 주택연금 등 다양한 유동화상품의 개발과 획기적 개선 그리고 부동산시장 붕괴에 대비하는 정책수단도 요구된다. Households accumulate wealth through vigorous income activity and savings in adolescence and manhood and come to get their wealth reduced in senescence where consumption occurs more greatly than savings. Accordingly, the wealth-age profile comes to show a hill-shaped inverted U-form. Traditional domestic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life cycle hypothesis did not subdivide wealth or assets in general but focused on analyzing the age effect and cohort effect for whole wealth or assets. Therefore, this study divided household assets into property assets and financial assets based on Deaton's normalization analysis model by using raw data of the household finance · welfare survey 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10-2016) and furthermore attempted to analyze the dynamic change of wealth accumulation in accordance with income quintiles from age, cohort and time perspectiv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ge effect, the cohort effect and the time effect occurred on the accumulation of property assets and financial assets in households as follows: First, the wealth-age profile is similar to the life cycle hypothesis in an inverted U-form. Its apex in property assets was found to exist in the first half of the 60s and in the first half of the 40s in case of financial assets, which indicat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wo assets. If the cohort is controlled for, financial assets like property assets come to arrive at the apex in the first half of the 60s. Second, financial assets did not make great changes if socio-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were mirrored, and property assets showed a pattern of continuing to move upward up to the highest age of 80 years. This is the figu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life cycle model. Upper-income brackets have a preference for property assets though they may be old. The reason is thought to include the dimension of asset portfolio management with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low interest rates, popularized monthly rent and so on, and experiences in the barbican of real property by the age group of people in the 60s or older, the preliminary motive for unstable old age and the strategical motive to prepare for inheritance. Third, it was found that in terms of the cohort effect, there was a great drop in property assets in the cohort of people born in the 1960s, which is seen to result from the r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hort put at the marriageable age of around their 30s at the time of the foreign exchange crisis in 1997. People born in the first half(1960-1964) of the 1960s, of those born in the 1960s, showed the profile greatly different from those born in the latter half of the 1950s, the baby boom generation, which is judged to be attributable to a difference in the life cycle stage at the time of the foreign exchange crisis. But people in the income quintiles, unlike their cohorts, accumulated a given level of property assets thought they might be born in the 1960s, and the small deviation between cohorts within the group of income quintiles can be guessed to be because they already inherited a considerable level of wealth from their parents at the initial stage of family formation. Fourth, influences from the ups and downs of the real estate business since 2010 were projected into the time effect, and the time effect of financial assets and property assets showed a symmetrical pattern like decalcomanie, which implies that they take on a character of mutual substitute goods. On the one hand, the property assets of income quintiles showed a W-form pattern of their sharp rise in one year, drop and second rise. This can be judged to result from the reflection of the herding-behavior investment of the upper-income bracket in quick response to the real estate policy of government. Fifth, it was found that married life with the couple, academic background of higher than college graduation and private business with employe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wealth accumulation of both property assets and financial assets. But the variable of residence in the metropolitan area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accumulation of property assets unlike financial assets, which is analyzed to have been due to a difference in the real estate market business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over the period of survey.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made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to the fact that the wealth accumulation of property assets lasts up to senescence when middle- or upper-income brackets and socio-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from a life cycle perspective. And it made clear the character of substitute goods of financial assets and property assets and the connotation of the semi-financial assets nature of property assets by finding out the mutual symmetricalness of both assets in relation to time effect analysis. And it found out the W-form pattern of herding-behavior investment in quick response to the real estate policy. And it found out the cohort effect of the group of people born in the 1960s and found that the poor cohot characteristic was an exception in income quintiles and there was a pattern guessed to be the inheritance of wealth such as the accumulation of a considerable level of property assets in the 30s and a small deviation between cohorts. This study has its implications of academic value in that it found the semi-financial assets nature of property assets found in the time effect, the mutual substitute goods between property and financial assets and the W-form herding-behavior investment. Property assets accumulated up to the latter years of life may be the great factor threatening to old age with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future economic shocks. So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scheme for stable old-age income through portfolio adjustment such as downsizing at the household level or the securitization of property assets. At the financial company level, it is urgent to develop customized financial products suited for cohort characteristics and provide support for asset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 At the policy level,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secure the sources of tax revenue for tax equity in relation to the inheritance of wealth, to develop and innovatively improve diverse securitized products such as housing pension and to provide against the collapse of the real estate market.

      • 금융투자자산 포트폴리오에서 비선형적 수익구조형 상품의 적절한 비율에 대한 연구 : Black-Litterman Model 중심으로

        김만제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7년 가을 이후 유례없는 금융 위기 속에서 금융투자자산 관리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부각되었다. 1952년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의 아버지'라 불리는 해리 마코위츠에 의해 기존의 개별 증권의 변동성과 수익률 특성에 초점을 둔 이차원적 과정의 투자관리에서 포트폴리오에 대한 각 증권의 분산효과(diversification effect)를 평가하는 삼차원적 최적 분산투자 개념으로 자산관리에 있어 일대 혁명이 일어났다. 이후 자본시장에 관한 연구는 샤프(F.Sharpe), 린트너(J. Lintner), 모씬(J. Mossin) 등에 의해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으로 확장되었으며, 로쓰(S. Ross)에 의하여 재정가격결정이론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모형들은 코너해문제(corner solution), 기대수익률이나 위험의 측정과정에서 발생한 오차의 최적화 과정에서의 증폭문제 그리고 모든 투자대상자산의 기대수익률 파악의 어려움 등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 중 Black 과 Litterman은 기대수익률 등 투입변수 값에 따라 자산배분 결과가 지나치게 크게 바뀌는 문제점에 대처하여 기대수익률을 정확히 추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이들은 시장포트폴리오에 내재된 균형기대수익률을 기초로 투자자의 시장전망을 반영한 기대수익률을 도출하고 이에 평균분산모형에 투입하는 모형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Black-Litterman 모형이라고 부른다.현재 국내 금융 시장하에서 금융투자자산의 적절한 배분비율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금융투자협회에서 펀드 유형별로 분류해 놓은 증권, 단기금융, 파생상품 및 부동산펀드로 가상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이를 블랙-리트만 모델에 적용한 후 시장전망을 달리한 포트폴리오의 자산배분 내용을 살펴보고 주식, 채권과 같은 기존의 선형적인 수익구조형 상품외에 ELS나 RCF와 같은 비선형적인 수익구조형 상품의 적절한 비중에 대해 알아보았다.결과적으로 향후 시장의 변동성에 대한 시각에 따라 비선형적 수익구조형 상품의 적절한 비중이 달라졌는데 시장의 변동성이 비선형적 수익구조형 상품의 Knock-in-barrior를 touch 할 수 있을 정도로 클 것이라 예상하는 경우에는 전체 금융투자자산에서 10%내외의 비중이 적절해 보였고 반면 touch가능성을 희박하게 볼 경우에는 30%정도의 비중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에 있어 최고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것보다는 주어진 환경하에서 최선의 수익률을 달성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최선의 수익률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특정 자산에 집중해서 투자하는 것보다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이를 위해 더 체계적이고 세밀한 연구와 함께 새로운 자본시장법하에서 다양한 금융상품의 개발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가계 재무안정성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자산배분전략

        박종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examined the asset allocation of household and analyzed the impact variables such socio-demographic and financial factors on the portfolio ratio of different kind of assets and debt.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s household assets composed of mostly real estates and bank account in the financial assets. The asset allocation of household and scale of household debt are important matters to discuss for household and concern of policy maker because of money spiral problems. The analyses presented in this article are based on data from the Survey of Household Finances(SHF) from 2010 to 2013. The SHF is an annual survey of approximately 40 thousand Korean households and sponsored jointly by the Statistics Korea,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nd the Bank of Korea. The data set contains the socio-demographic or micro economic variables such as the household’s ages, sex, level of education, home ownership, residing in Seoul∙capital region, real estates, financial assets, stocks and bonds, debts, incomes and debts, etc. This study examined determinants of the real estate ratio, financial investment asset ratio, risky financial asset ratio, debt ratio and debt holding probability of household by Tobit model regression or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Major determinants of real estate ratio are household age and home ownership. In particular, net asset, income and educational attainment turn out to be the major factors that can account for the level of financial investment asset ratio or risky financial asset ratio. And income and net asse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household’s debt ratio. Research has shown that income has positive impact and net asset has negative impact on the debt ratio. These findings may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real estate, financial market and debt. Korean government should be cautious in making further household debt through real estate economy boosting. For financial peace of household there need some financial education, financial planning. And government should give tax incentive for longtime investing in financial products such funds,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REITs).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가계 자산배분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자산배분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 중 자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자산에 75% 이상 편중되어 있어 다른 국가들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며, 이에 비해 금융자산의 비중은 매우 낮은 편이다. 또한 금융자산 중 펀드, 주식, 채권 등의 투자형 금융자산의 비중도 금융자산 대비 12%에 불과해 안전형 금융자산에 편중되어 있다. 그리고 가계의 가처분소득대비 부채비율도 매우 높아 매우 건전하지 않은 자산배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가계의 자산배분상태는 가계의 재무안정성도 위협하지만 금융기관 및 국가의 재무안정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산업 생산 부문으로 자금이 이동하지 않고 토지와 건물 등의 부동산자산 또는 안전형 금융자산에 묶여 돈의 동맥경화(머니 스파이럴: money spiral)을 야기해 우리 경제를 장기 불황의 늪으로 빠질 우려를 낳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통계청,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공동으로 조사한 가계금융복지조사(2010년~2013년)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가계의 주요 특성들이 어떻게 자산배분에 영향을 주는지를 STATA 통계패키지를 이용해 다양한 각도로 분석하였다. 가계의 주요 특성들이 부동산자산 비중, 금융투자자산 비중, 위험금융자산 비중, 부채비율, 부채 보유 요인 등에 영향을 주는지를 토빗 회귀분석 또는 로짓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구주의 연령이 높은 경우 및 자가를 보유한 경우에 부동산자산 비중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자산증식의 수단으로 부동산자산을 활용하였기 때문에 가구주의 연령이 클수록 부동산자산 비중도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순자산, 경상소득, 학력수준이 투자형 금융자산 비중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부채비율에 영향을 크게 주는 가계의 특성은 경상소득 및 순자산이었다. 경상소득이 클수록 양의 영향을, 순자산이 클수록 음의 영향을 주었다. 소득이 크면 미래 소득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부채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또한 부채 보유 요인을 분석하였는데 수도권에 거주하는 경우 및 부동산자산 비중이 부채 보유 요인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경우에 부동산자산 비중도 크고, 부동산자산을 대출을 통해 취득하였기에 부채 보유 요인과 양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가계의 자산운용이 부동산자산에서 투자형 금융자산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투자형 금융상품 개발, 세제지원, 증권시장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수립해 시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주거의 안정을 기할 수 있도록 장기공공임대주택 등을 충분히 공급하여야 할 것이다. 분석결과 자가 보유 여부가 가장 크게 부동산자산 비중에 영향을 주었다. 주거의 불안정으로 인해 우리나라 가계들의 자금이 주로 주택 구입하는 데에 묶이고 이로 인해 부동산자산 비중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주거의 안정을 통해 가계의 자금이 금융상품(특히 투자형 금융상품)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 필요가 있다. 셋째, 인위적인 부동산경기 활성화 정책은 매우 신중하게 실행하여야 한다. 부동산자산 하락을 막고 부동산 투자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세제지원 등은 가처분소득대비 높은 가계 부채 수준과 부채의 질이 악화된 점을 감안하면 장기적으로 가계의 재무안정성을 위협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넷째, 금융교육 또는 재무설계를 통해 생애주기에 맞는 목표자금을 설정하고 자산배분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특히 분석결과를 볼 때 학력이 낮은 가구주이거나 여성이 가구주인 경우 은행의 예금 또는 적금과 같은 안전형 금융자산 위주로 자산 운용이 이루어진 점을 감안할 때 그들을 대상으로 하는 금융교육 또는 재무설계가 절실하다. 다섯째,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로 소득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가계 부채를 축소시키는 방법으로 소득대비 부채 규모를 낮출 수 있도록 정책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 금융자산 규모에 따른 투자자의 투자 성향에 관한 연구 : 펀드 투자자를 중심으로

        윤선희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A study on Investor's propensity according to Net Financial Asset Size -Focused on the Fund Investor- Yoon, Seon Hee Department of Private Banking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Soongsil University The financial market and the investment environment have changed at higher speed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change of asset portfolio construction for individual households is required to prepare for periods of low interest rates, the aging society and the change of real estate market. The role of Private Bankers (PB) is to suggest the direction which makes investors select the efficient asset portfolio for their own propensity. First of all, to make it possible, PB should clearly know the propensity of the investors and the current financial asset portfolio of their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perspective for private bankers to construct the optimal asset portfolio of the investors by understanding influence of their net financial asset size on their propensity. This study raises the problems as follows: First, it tries to study if the more net financial assets of investors have, the more their propensity is changed from being risk averse to the direction that they prefer to take risk. Second, it does to examine if as the net financial assets increase, the propensity of the investors has more effect on the direction that they prefer to take risk when investors are divided into sections in terms of their net financial asset size. Third, it understands if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erms of composition of their asset possession between propensity groups when the net financial assets of the investors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most significant asset position among general deposit and installment savings, cash management account(CMA), direct investment, fund investment and saving-oriented insurance. Finally, it checks if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propensity groups when importance of 5 types of the net financial assets of the investors was analyzed after dividing them into section. To analyze the problems, the Analysis of Basic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d One Way ANOVA were done based on the data of 2009 [The Fund Investor Survey] that Korea Investors Protection Foundation investigated. The analytical result of the research problem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re the net financial assets of the investors are, the more their propensity is changed from stability to aggression which is direction that they prefer to danger. Second, the result which analyzed influence of the investors on the propensity in each section of the net financial asset size after dividing it into less than KRW 0.1 billion, from KRW 0.1 to 0.2 billion and more than KRW 0.2billion is as follow: The more the net financial assets of the investors are, the more their propensity is changed to direction that they prefer to danger in the section of less than KRW 0.1 billion. The more the net financial assets of the investors are, the more their propensity is changed from aggressive investment to direction that they prefer to stability in the section of from KRW 0.1 to 0.2 billion. The way how the propensity of the investors are changed could not be found in the section of more than KRW 0.2billion. Third, there were th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propensity groups when importance of the net financial assets of the investors by general deposit and installment savings, CMA, direct investment, fund investment and savings insuranc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pensity of the investors. The more the propensity is changed from aggressive investment to stability, the higher importance of general deposit and savings insurance is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vestment importance about direct investment among groups of stability pursuit, active investment and aggressive investment. And there were the meaningful differences about savings insurance between groups of active investment and stability pursuit. Fo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opensity groups when importance of 5 types of the net financial assets of the investors was analyzed after dividing them into section. 국문초록 순금융자산 규모에 따른 투자자의 투자 성향에 관한 연구 -펀드 투자자를 중심으로- 프라이빗 뱅킹 학과 윤 선 희 指 導 敎 授 김 범 글로벌 외환위기 이후 금융시장과 투자환경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저금리, 노령화사회, 부동산 시장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개인 가계의 자산포트폴리오 구성에 변화가 필요하다. Private Bankers (PB)의 역할은 투자자들이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는 효율적인 자산 포트폴리오를 선택하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것이 가능하려면 PB는 무엇보다도 투자자의 투자 성향과 투자자의 현재 금융자산 포트폴리오에 대해 명확히 알아야 한다. 본 연구 목적은 투자자의 순금융자산 규모가 투자자의 투자 성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여 PB가 투자자의 최적의 자산포트폴리오를 구성함에 있어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문제제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투자자의 순금융자산이 커지면 커질수록 투자자의 투자 성향은 안정형에서 좀 더 위험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둘째, 투자자의 순금융자산 규모를 구간별로 나누었을 때도 그 구간에서 순금융자산이 커지면 커질수록 여전히 투자자의 투자 성향이 안정형에서 좀 더 위험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투자자의 순금융자산을 일반 예금적금, CMA, 직접투자, Fund투자, 저축성 보험별로 보유하고 있는 비중을 분석하였을 때 각 투자성향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해본다. 넷째, 투자자의 순금융자산 규모를 구간별로 나눈 후 순금융자산을 5가지 유형별로 보유하고 있는 비중을 분석하였을 때 각 투자성향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는지 확인해본다. 위의 문제제기를 분석하기 위해서, 한국투자자보호재단에서 조사한 2009년 [펀드투자자조사]자료를 기초로 사용하여 기초통계량 분석과 상관분석, Ordinal logit regression, One 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투자자의 순금융자산이 커지면 커질수록 투자자의 투자 성향은 안정형에서 공격형으로 좀 더 위험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순금융자산의 규모를 1억원 이하, 1억원~2억원 이하, 2억원 초과를 기준으로 나눈 후 각 구간에서 투자자의 투자 성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이다. 1억원 이하의 구간에서는 투자자의 순금융자산이 커질수록 투자자의 투자성향은 좀 더 위험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1억원~2억원이하의 구간에서는 투자자의 순금융자산이 커질수록 투자자의 투자성향은 공격투자형에서 안정형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2억원 초과하는 구간에서는 투자자의 투자 성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일정한 방향성을 찾을 수 없었다. 셋째는 투자자의 투자성향에 따라서 투자자의 순금융자산을 일반 예금적금, CMA, 직접투자, Fund투자, 저축성 보험별 보유한 비중을 분석하였을 때 각 투자성향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투자 성향이 공격투자형에서 안정형으로 갈수록 일반 예금적금의 비중이 높아지며, 안정추구형과 적극투자형, 공격투자형 집단 간에는 직접 투자에 관한 투자 비중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며, 적극투자형과 안정추구형 집단 간에는 저축성 보험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는 투자자의 순금융자산 규모를 구간별로 나눈 후 순금융자산을 5가지 유형별로 보유하고 있는 비중을 분석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Income versus Financial Asset Distribution in Korea : 국내 소득과 금융자산 분포의 관계에 관한 연구

        Ro, Eul Ah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조사의 데이터를 이용해 2005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 자산의 지니계수와 울프슨지수를 도출하여 그의 추이를 살펴본다. 국내 소득 불평등 추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전으로 높은 불평등 수준을 보였으나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는 오히려 급격히 하락하였다. 반면에 양극화의 정도를 보여주는 울프슨지수는 금융위기 이후에 하락하는 듯 보였으나 2011년 이후 급격한 상승을 보였다. 총자산의 불평등 정도는 금융위기 이전에 정점을 찍은 후 계속해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추세는 부동산 자산에서 비슷하게 발견할 수 있으며 금융위기 이전의 불평등 심화 원인으로 부동산 자산의 분포가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금융자산 불평등은 금융위기 직전에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로는 계속해서 하락하는 추세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지니 분해(Gini decomposition)를 통해 가계자산 구성별 지니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그 결과, 국내 자산분포의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은 부동산 자산임을 알 수 있다. 부동산 자산의 불평등 정도는 금융자산의 불평등 정도보다 낮지만 가계자산 중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절대적으로 높아 불평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국내 금융자산이 자산계급에 관계없이 가계자산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적어서 오히려 금융자산 외에 다른 자산이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 각 가계에 금융자산이 1%씩 증가하면 총자산 불평등은 완화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inequality and bipolarization in Korea from 2005 to 2014. The data from the KLIPS were used to estimate the Gini coefficients and Wolfson index. According to the calculated Gini coefficients, the level of total income inequality was at a high point befor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but it sharply decreased in 2008. The Wolfson index, which depicts the level of bipolarization, seemed to be decreasing after the crisis but it increased in 2011. Moreover, the level of total assets peaked before the crisis and then decreased continuously. Such trends are also similarly depicted in the trends of inequality in nonfinancial assets. Inequality in nonfinancial assets is predicted to be the main cause of the intensification of the degree of total assets inequality. The level of inequality in financial assets peaked right before the crisis, then these trends gradually decreased after 2008. According to the Gini composition, it is verified that the unequally distributed nonfinancial assets worsen the level of total assets inequality. It also indicates that a 1% increase in financial assets alleviates the degree of inequality in total assets, while holding other assets equal.

      • 저성장·고령화시대가 가계자산에 미치는 영향 : 금융투자자산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박해중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roblem of the elderly is becoming more serious in South Korea, which has achieved remarkable economic growth that is rarely seen in this world before.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he declining of birth rate are the worst in the world, and the poverty rate of the elderly is also most serious in all OECD nations. To improve this problem, preemptive preparations for the aging society are very essential nowadays. The income from household assets is highly efficient in financial assets with good profitability and good returns, but South Korea is highly concentrated in real assets. This is the result of unconditional avoidance of risky assets. In this study, we present an empirical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financial factors, demographic factors and creditor countries on the proportion of financial investment assets in major economies in order to suggest the necessity of restructuring portfolios of household assets as financial investment asse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ther the country is a creditor country affects the proportion of financial investment assets in the positive(+). In the study, the creditor country was foun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financial investment assets rather than real assets. Second, stock prices in creditor countr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oportion of financial investment assets. The creditor households are less likely to resist risky assets, which means they can increase their investment in risky assets such as stocks. Third, it is confirmed that the actual house price of the creditor country affects the proportion of financial investment assets in the negative(-). The decline in real house prices leads to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financial investment assets in order to make more profit. Fourth, the consumer price growth rate of creditors affects the proportion of finance investment assets in the negative(-). In the low growth rate countries with decreasing in consumer's price growth rate, the portion of financial investment assets is increased to improved profitability. Finally, it is confirmed that the birth rate of the creditor country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ratio of financial investment assets. The decrease in the birth rate of creditor countries means that the portion of safe assets is reduced, which leads to the inclusion of highly profitable financial investment assets. Thus, creditor countries continue to increase investment in risky assets in order to expand the portion of financial investment assets for the profitability than the other countri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the recognition and direction of financial assets of creditor countries. It is hoped that this will be a momentum for the voluntary change in the structure of household assets in Korea, which has entered the creditor country based on this. Unprepared households must be a crisis in the age of low growth and aging. It is necessary to find a countermeasure strategy that can change the structure of household assets by analyzing the change of perception of aggressive household assets and various indexes of households.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rethink the future uncertainties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ratio of financial investment assets and to immediately implement a mid- to long-term and reasonable asset portfolio. 전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눈부신 경제 성장을 이룬 우리나라의 내면에는 노인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인구의 고령화 현상과 출생률 저하는 세계 최고 수준이며, 불명예스럽게 노인 빈곤율이 OECD 가입 국가 중 1위라는 큰 문제를 안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선제적 노후 준비가 필수적인 시점이다. 노후 준비는 소득원 확보부터며, 노후의 소득은 근로소득보다 축적한 가계자산을 통해 얻는 소득이 매우 중요하다. 가계자산에서 얻을 수 있는 소득은 수익성과 환금성이 뛰어난 금융자산이 효율적이지만, 우리나라는 실물자산에 심한 편중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위험자산에 대한 무조건적 회피가 부른 결과로 귀결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금융투자자산으로 가계자산의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해야 되는 당위성을 제시하고자, 주요 국가들의 경제적요인, 인구 구조적요인, 채권국여부가 금융투자자산 비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채권국 여부는 금융투자자산 비중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채권국은 선행연구 결과와 같이 실물자산보다는 금융투자자산 비중을 확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채권국의 주식가격은 금융투자자산 비중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권국의 가계들은 위험자산에 대한 거부감이 낮아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으로의 투자를 확대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채권국의 실제주택 가격은 금융투자자산 비중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제주택가격 하락은 수익 창출을 위해 적극적인 금융투자자산 비중확대로 이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채권국의 소비자물가성장률은 금융투자자산 비중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성장률 저하는 저성장 시대의 채권국이 수익성 개선을 위해 금융투자자산 비중을 확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채권국의 출생률은 금융투자자산 비중에 음(-)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채권국의 출생률 감소는 안전자산 비중의 축소를 의미하여 수익성이 높은 금융투자자산으로 편입이 이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채권국이 아닌 국가 대비 채권국은 금융투자자산 비중의 확대를 지속적으로 진행하며, 수익성 확대를 위해 위험자산에 투자를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결과를 정리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채권국의 금융투자자산에 대한 인식과 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를 토대로 채권국으로 진입한 우리나라의 가계자산구조 변화에 대한 자발적인 인식 전환을 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미리 준비되지 않은 가계는 저성장․고령화시대에 위기임에 틀림없다. 적극적인 가계자산에 대한 인식 변화와 가계의 제반 지표들을 분석하여 가계자산구조 변화를 할 수 있는 대응전략을 모색해야 하며, 적극적인 투자성향을 가진 채권국의 가계처럼 우리나라의 가계도 중․장년기부터 노후를 위한 준비가 필요하며, 금융투자자산 비중의 방향성을 토대로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재고와 중․장기적이고 합리적인 가계 자산 포트폴리오를 즉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都市家計의 金融資産選擇行動에 관한 硏究 : 都市 中産層家計를 중심으로=

        김순미 梨花女子大學校 1987 국내박사

        RANK : 248702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which synthesizes Household Financial Management and Asset Portfolio Selection to explain the Asset Portfolio Selestion Behaviors by the urban households. For this purpose, amodel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an empirical test by various statistical methods. The data for this test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aire surveys conducted twice on randomly sampled 1,252 households from Seoul and Daejeon.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clud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etc. 1) relations among the three behaviors ; behaviors of Forcasting on Financial Assets, Efficient Portfolio Analysis, and Optimal Portfolio Selection. 2) the defferences in the three behaviors mentioned above that are induced by the socio-economic variables and the psycho-social variables. 3) the effects for the variables reflecting Household Financial Management Capability on the three behavior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 1) In view of actual conditions of Financial Asset Portfolio Selection of urban household, total smaples exceeds the medran point, which is followed by Financial Asset Forecast, Optimal Portfolio Selection, and Efficient Portfolio Analysis, in this order. Even though it exceeds the median point, it is not in the high level. By the regional criterion, Seoul is almost as high as Daejeon, and the latter is slightly higher than former only in Optimal Portfolio Selection. In the view of recognition of the profit and safety of Financial Asset, common households pay more attention on safety than on profit. However, an expert as good as the person who worked at banking institutions, consider safety and profit as same r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rate of saving are marrige years, the number of family member, asset, the degree of debt, the past experience of Financial Asset, the expectation of future, region, household financial mmanagement capablity. Financial Asset Forecast, Efficient Portfolio Analysis, and Optimum Portfolio Selection have the high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Financial Asset Portfolio Selection and each substages. However they have the relatively independent relations. 2) The socio-economic variables indicating significant relation to Financial Asset Portfolio Selection are husband’s age, education degree, occupation, and something like that. The psycho-social variables are reference grouop, expect family, and profit, an exchange of money, convenience wothout safety, as well as the attitude of risk, the expectation of future, and information perception of Financial Asset expect other men’s thought and behavior, and conviction of the behaviors. The relative influence of all the variables affecting Financial Asset Portfolio Selection was analyzed. It resulted in confirming the information perception of Financial Asset as the most influencial variables. This indicates that when a selection is made, the degree of Financial Asset Portfolio Selection can be promoted on the basis of various information. The influence of variables of the total sample in Seoul and Deajeon is shown low. He kinds of all the influencial variables have differences according to regions and the relative influence also have differences. These caves need to recognize the difference of variable according to objects such as regions. 3) When the variable of Household Financial Management Capability is included as intervening variable, Household Financial Management Capability is the most influencial variable, which is resulted from analysis of the relative explanatory of all the variables affecting Financial Asset Portfolio Selection. It’s role is emphasized as mail variable of Financial Asset Portfolio Selection. The involvement of this variable changes the degree of explanatory and order of existing variables. The Addition of region variable, Asset and Expectation variable of future are also lost due to its involvement. Those variables explain Financial Asset Portfolio Selection which increased due to the variable of the involvement of Household Financial Management Capablity. This indicates that Household Finansial Management Capability is very influencial variable on Financial Asset Portfolio Selection. Even though the variable of Household Financial Management Capability increase explanatory on Financial Asset Portfolio Selection of Seoul, Deajeon and the total sample. The examination of other variables. As a result, the elaborateness of model is requir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other variables. The sesults of this present study can be attributed to the areas of research and educational program. These are as Follow : 1) Such a research of Financial Asset Portfolio Selection should be achieved by means of theoretical basis and its various methodologies, i.e., throughout the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Home Management and more detailed models. 2) The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carried out to improve the degree and capability of Financial Asset Portfolio Selection with respect to household, banking institutions and government. Household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s a educationof the Financial Asset Portfolio Selection capability which includes economic values and economic responsibility. In addition, education of banking institution can be emphasized as a education which contails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required by households. It should be also noted that govermental education is one of the ways to improve the well-balanced life and national welfare. Consequently such as educational program should also be responsible for school education, campaign, and public education. 本 硏究는 家計管理와 金融資産選擇行動의 理論的 體系를 정립하며 金融資産選擇行動의 實態 및 關聯있는 諸變因을 把握하여 家計管理의 기초를 確立하고 金融資産選擇行動의 硏究模型을 제시하는 데 그 目的이 있다. 이러한 硏究目的을 달성하기 위하여 硏究模型을 설정하고 測定道具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檢證하기 위하여 實證調査를 실시하였다. 本 調査의 대상은 서울과 大田에서 任意標本抽出方法(Purposive Sampling)에 의해 1,252家口를 선정하였고 說問紙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豫備調査와 本 調査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는 빈도분석, 백분율, 分散分析(ANOVA), 重回歸分析(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arson의 積率 相關係數 등의 統計方法에 의해 분석되었다. 本 調査에서 제기된 硏究問題는 다음과 같다. 첫째, 都市家計의 金融資産選擇行動의 실태와 金融資産豫測行動, 效率的 Portfolio分析行動, 最適 Portfolio選擇行動과의 관계를 파악한다. 둘째, 社會經濟的 變因 및 社會心理的 變因에 따른 都市家計의 金融資産豫測行動, 效率的 Portfolio分析行動, 最適 Portfolio選擇行動의 差異와 諸變因의 影響力, 關聯變因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한다. 셋째, 家計管理能力變因이 매개변인으로 들어 갔을 때 都市家計의 金融資産豫測行動, 效率的 Portfolio分析行動, 最適 Portfolio選擇行動에 대한 諸變因의 영향력과 관련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한다. 이상의 硏究問題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金融資産選擇行動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金融資産選擇行動의 수준, 金融資産의 收益性과 安全性에 대한 인식, 貯蓄率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投資決定者에 따른 金融資産選擇行動의 滿足度, 金融資産選擇行動의 각 下部段階行動의 相關關係를 分析하였다. 金融資産選擇行動의 水準은 전체표본이 중간점보다 약간 상회하기는 하나 높은 수준은 아니며 下部段階別로 보면 金融資産豫測行動, 最適 Portfolio選擇行動의 순으로 나타났다. 地域別로 보면 서울이 大田보다 약간 높으며 最適 Portfolio選擇行動에서만 大田이 서울을 상회하는 근소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金融資産의 收益性과 安全性에 대한 인식을 보면 一般家計가 收益性보다 安全性을 우선으로 하지만 專門家 및 金融機關關聯者는 安全性과 收益性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貯蓄率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結婚年數, 家族數, 財産, 負債所有有無, 金融資産의 過去經驗, 未來에 대한 豫見, 地域 및 家計管理能力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金融資産選擇行動의 滿足度는 投資決定者가 夫婦일 때, 住宅의 所有, 夫婦의 知的水準이 높으면 그 平均이 높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危險에 대한 態度에서 思考와 行動의 가능성과 公正性에 대해 긍정적이라면, 그리고 未來에 대한 豫見이 긍정적이면 滿足度의 平均이 높게 나타났다. 金融資産選擇行動과 각 下部段階行動과의 相關關係는 비교적 높은 相關을 갖고 있으나 한편 각 下部段階別 相關關係는 相互獨立的인 關係임을 알 수 있다. 이는 測定道具의 相互獨立性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金融資産選擇行動과 유의한 관련을 보인 社會經濟的 變因은 남편의 연령, 敎育水準, 職業 등이었고 社會心理的 變因은 家族을 제외한 기타 準據集團, 安全性을 제외한 收益性, 換金性, 便宜性, 他人의 思考 및 行動과 行動의 確信性을 제외한 危險에 대한 態度, 그리고 未來에 대한 豫見과 金融資産에 대한 情報認知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金融資産選擇行動에 미치는 諸變因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가장 영향력이 큰 변인은 金融資産에 대한 情報認知로 나타났다. 이것은 金融資産選擇行動을 할 때 多樣한 情報를 獲得한다면 金融資産選擇行動의 水準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서울과 大田 모두 가장 영향력이 큰 변인으로는 金融資産에 대한 情報認知였다. 그러나 地域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諸變因의 종류와 상대적인 영향력에 차이가 나타난 것은 선정한 변인외에 기타 변인의 모색, 對象에 따른 변인의 차이를 인식해야 하는 必要性을 의미한다. 셋째, 家計管理能力변인을 매개변인으로 포함하였을 때 金融資産選擇行動에 미치는 諸變因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중 家計管理能力이 주요변인이었으며 이 변인의 추가로 기존변인들의 영향력크기와 순서가 바뀌었고 地域변인의 추가와 財産, 未來에 대한 豫見변인등이 상실되었다. 家計管理能力의 포함에 의해서 서울, 大田, 전체표본의 金融資産選擇行動에 더 많은 영향력을 주었으나 그래도 그 영향력은 낮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기타변인의 모색을 통한 模型의 精巧化作業이 요구되는 점을 시사한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提言을 할 수 있다. 첫째, 金融資産選擇行動에 대한 硏究方向은 理論的 體系와 硏究方法의 개발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金融資産選擇行動에 관한 本 硏究는 우리나라에서 先行된 硏究가 없었기 때문에 초기적 硏究가 갖는 制限點을 갖는다. 本 硏究에서는 金融資産選擇行動에 관한 理論에서도 특히 Portfolio理論만을 중심으로 하였고 기타 資源配分이나 行動上의 心理的 多樣性을 이미 주어진 것으로 보았으나 이러한 배경은 家庭의 特性을 결정짓는 多樣한 것이므로 함께 고려할 수 있는 接近方法의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Portfolio理論을 근거로 작성한 測定道具도 金融資産選擇行動을 설명할 수 있는 변인이 충분히 선정되어 있지 못해 앞으로 硏究模型을 精巧化시키는 作業이 요망된다. 우선 理論 및 槪念的 體系는 기존연구가 經濟學이나 經營學에 그 기초를 두고 있었던 것에 반해 行動主體的측면에서 家庭經營學의 理論을 기초로 한 硏究方向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둘째, 家計, 金融機關, 政府의 3側面에서 敎育 Program의 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家計에서의 敎育은 金融資産選擇行動能力자체에 대한 敎育뿐이 아니라 家計管理와의 相互關聯性을 고려해야 하고 經濟的 價置 및 經濟的 責任能力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金融資産選擇行動의 重要性認識, 能力開發, 새로운 經濟觀과 經濟的 責任등의 內容을 중심으로 전개해야 하며 우선적으로 家計管理能力을 향상시킬 수 있는 敎育內容이어야 한다. 또한 金融機關에 의한 敎育은 金融資産種類의 홍보 및 販賣의 自體目的을 위한 방향적 시각의 知識과 情報제공이 아닌 家計가 원하는 知識과 情報를 제공하는 敎育으로서 家計가 競爭的 상황에서 金融資産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政府側에 의한 敎育은 國民들의 건전한 經濟意識을 함양하고 또한 國民生活水準向上과 福祉증대에 목표를 두고 실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制度的으로 學校敎育에 반영시켜 성장에 따른 건전한 經濟價値觀을 양성하는 한편 社會에서 캠페인이나 公共敎育으로 國民意識을 함양시키도록 한다. 過去에 家計投資行動이나 金融資産選擇行動에 대한 社會敎育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現代資本主義經濟하에서 財務的 機能의 중요성을 인식한다면 金融機關과 政府에 의해 실시되는 敎育은 보다 적극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 보험회사의 이익조정 및 RBC 비율 통제에 관한 연구 : 매도가능금융자산을 중심으로

        최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2

        Insurance companies have become more difficult to improve their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actual business activities. In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empirical analysis of earning management and the RBC ratio adjustments using available-for-sale financial assets of insurers. Specifically, it first verifies whether insurers consider income from underwriting a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earning management. Secondly, it empirically verifies that insurers make accounting choices related to available-for-sale financial assets to avoid the RBC ratio regul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surance companies first confirmed that they had discretionary adjusted the proceeds on disposal of available-for-sale financial assets to offset any reduction in income from underwriting. Secondly, insurance companies do not selectively dispose of available-for-sale financial assets to avoid the RBC ratio regulation. And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insurance companies control gains on valuation of available-for-sale financial assets through financial asset reclassification and adjust the RBC ratio through this. Insurance companies that reclassified financial assets show greater volatility in valuation gains on available-for-sale financial assets than insurance companies that did not reclassify financial assets. This means that insurance companies that reclassified financial assets improved the RBC ratio. And it can be seen that the goal of the insurance company's asset management portfolio composition was focused on improving the RBC ratio. 보험회사들의 영업이익 규모는 보험소비자의 신뢰도 유지 및 보험회사의 재무건전성 측면에서 해당 보험회사를 판단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보험업의 특성 때문에, 금융감독원은 보험회사의 재무건전성을 감독하기 위하여 RBC(Risk Based Capital: 지급여력비율) 비율을 중심으로 규제를 하고 있다. 따라서 보험회사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영업이익 규모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익조정을 하거나 RBC 비율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회계선택을 할 동기를 가지고 있다. 최근 보험산업을 둘러싼 경영환경이 악화됨에 따라 보험회사들은 실제 영업활동을 통해 영업성과를 개선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보험회사들의 매도가능금융자산을 활용한 이익조정과 자본조정에 대해서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우선 보험회사들이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익조정을 하는지와 이 과정에서 주요 경영성과 지표인 보험영업이익을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고려하는지를 검증한다. 둘째는 재무건전성의 중요성이 확대됨에 따라 보험회사들이 RBC 비율 규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회계선택을 하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 번째로 보험회사들은 보험영업이익이 감소하는 경우 이를 상쇄하기 위하여 매도가능금융자산 처분이익을 재량적으로 조정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보험회사들은 평가이익이 큰 매도가능금융자산을 선별적으로 처분하여 당기 이익을 상향 조정하였다. 이와 같은 이익조정에 있어서 보험회사들은 보험영업이익을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고려하였다. 두 번째로 보험회사들은 RBC 비율 규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매도가능금융자산을 선별적으로 처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도가능금융자산을 처분하면 그만큼 매도가능금융자산 평가이익이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보험회사들이 RBC 비율을 통제하기 위하여 이를 활용하기에는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자본조정의 두 번째 대안으로 보험회사들이 금융자산을 재분류하여 매도가능금융자산 평가이익을 통제하고 이를 통해 RBC 비율을 조정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체적으로 금융자산을 재분류한 보험회사와 금융자산을 재분류하지 않은 보험회사들의 RBC 비율 개선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매도가능금융자산 평가이익에 대한 금융자산을 재분류한 보험회사들의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는 보험회사들이 RBC 비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금융자산을 재분류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차별성이 있기 때문에 학문적 의의와 정책적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생명보험회사와 손해보험회사를 구분하지 않고 전체 보험회사를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보험영업이익이 이익조정의 중요한 결정요인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세 번째 RBC 비율 관리에 매도가능금융자산 처분이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매도가능금융자산의 처분보다 매도가능금융자산 평가이익을 활용하여 RBC 비율을 관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분석을 통해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