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들만의 리그'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 한국 금융투자업계의 젠더화된 네트워크에 관한 비판적 분석

        이영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thesis critically explores the labor culture and perceptions of workers in the Korean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and how financial capitalism operates based on it. The thesis argues that gender functions as an axis of a new accumulation strategy driven by global financial capitalism and seeks to capture it from a gender perspective revealed explicitly in the labor performance of industry workers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In addition, it demonstrates how such a gendered labor culture in the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highlights the inequality problem of Korean society, where financial capitalism is prevalent. With the rapid expansion of global capitalism, neoliberal financialization, the driving force, has firmly established itself in Korean society. As a result, the domestic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has grown, giving hope to countless people while also encouraging economic desires. Workers who entered the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by building various high specifications have been reborn as steady workers who embody the workers' image required by these specifications and move financial capitalism. However, becoming these “steady workers” differs depending on gender. As a result, experience is linked to practical labor inequality, making it difficult for female workers to gauge where their identity fits into the industry quickly. The “their league” structure, which is implicitly inherited and sensed, is maintained while strengthening the male centrality of the sector, which also shares context with the entire accumulation structure of Korean society. To carry out this thesis, the researcher met and talked with a total of 32 research participants from August 2019 to February 2021, conducted pilot research and full-fledged field research, and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with industry workers. Newspaper articles, legal and statistical data and related research papers were carefully reviewed and used to interpret empirical data obtained during field research. While conducting research, the researcher positioned herself as a "close outsider" in the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by witnessing various significant changes and crises in the Korean capital market. Participants in the thesis entered the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for various reasons, were connected by performing different tasks in multiple fields, and left the industry for various reasons. The intended arguments revealed in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is constructed on the capital market. The division of functional areas within the industry leading to the front-middle-back is the basis for the fundamental accumulation of financial capital profits. The 1997 IMF financial crisis,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enactment and subsequent revision of the Capital Markets Act are critical factors in the evolution of the Korean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Second, these changes in markets and industries have established "ideal" workability that suits them. This workability includes the daily performance of unpaid labor in light of “autonomous” labor, the internalization of heavy work intensity, performance-based contractual employment, and the acquisition of social capital through informal networking. This workability applies to many male workers located near the “front”(investment department) in the overlapping structure of the gendered industry labor network. Gender factors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ntering the industry—labor and moving—and leaving the industry, resulting in inequality. Third, these gendered industry network structures and ideologies that drive labor culture include risk-taking and performance-based meritocracy. Risk-taking ideology maximizes profits while transferring the responsibility associated with it to the outside of a male-dominated investment network. Taking these as steppingstones, exclusive and speculative accumulation and distribution of profits occur among workers, which are also linked to the polarization of Korean society and the problem of predatory financial capitalism related to economic inequality. This thesis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critical cultural studies of finance by revealing that financial capitalism and the labor culture of the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reinforce the new gender order. This study deals with the dynamics of financial capitalism from a feminist perspective by critically examining the gendered labor culture of the Korean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and its “league of their own” by interpreting the experiences, desires, and life stories of those “who feel they do not belong to it.” 본 연구는 한국 금융투자업계 노동자들의 노동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여 업계 노동문화와 그에 기반한 금융자본주의의 작동 방식을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연구자는 젠더가 글로벌 금융자본주의가 추동하는 새로운 축적 전략의 한 축으로 기능한다고 주장하며, 한국 사회의 맥락에서 그러한 전략이 구체적으로 업계 노동자들의 노동 수행에서 드러나는 지점을 젠더 관점에서 포착하고자 했다. 덧붙여 이러한 금융투자업계 젠더화된 노동문화가 금융자본주의가 만연한 한국 사회의 불평등 문제와 만나고 있음을 보여주려 하였다. 글로벌 자본주의의 급속한 팽창과 함께 한국 사회에서도 그 원동력인 신자유주의 금융화가 공고하게 자리 잡았다. 그 영향으로 국내 금융투자업계는 성장 가도를 달리며 수많은 이들에게 모종의 희망을 부여하고, 동시에 경제적인 욕망을 부추겼다. 각종 고스펙을 쌓아 금융투자업계에 입성한 노동자들은 그 안에서 요구하는 노동자상을 수행하며 금융자본주의를 굴러가게 하는 착실한 일꾼으로 거듭난다. 그러나 이 일꾼이 되는 과정은 젠더에 따라 다르게 경험된다. 경험은 결과적으로 노동의 장에서 실질적인 불평등 문제와 연결되고, 이로 인해 여성 노동자들은 업계 내에서 자신이 어떤 정체성으로 어디에 위치하는지 쉽게 가늠할 수 없게 된다. 암묵적으로, 혹은 은연중에 계승되며 감각되는 ‘그들만의 리그’ 구조는 업계의 남성 중심성을 강화하면서 유지되는데, 이는 금융이 주도하는 자본주의 사회로 접어든 한국 사회의 배타적인 축적구조와도 맥락을 공유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자는 2019년 8월경부터 2021년 2월까지 파일럿 연구, 본격적인 현장연구, 업계 노동자 심층 인터뷰 등을 진행하며 총 32명의 연구 참여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신문기사, 법률 및 통계자료, 관련 선행연구 논문 등을 꼼꼼하게 검토하여 현장연구 때 획득한 경험적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활용했다. 연구자는 한창 연구를 진행하는 중에도 한국 자본시장의 여러 굵직한 변화와 위기를 경험하면서 금융투자업계에 ‘가까운 외부자’로 자신을 위치시켰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 다양한 이유로 금융투자업계에 진입했고, 여러 방면에서 다른 일을 수행하며 연결되었으며, 또 별개의 이유로 업계를 떠났다. 본 연구에서 드러내고자 했던 논지 및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금융투자업계는 자본시장을 토대로 구성되며, 프론트-미들-백으로 이어지는 업계 내부의 기능적인 영역 구분은 가장 기본적인 금융자본 이윤 축적의 기반이 된다. 1997년 IMF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09년 자본시장법 제정과 이후 개정은 한국 자본시장 및 금융투자업계의 발전과정에서 손에 꼽을 수 있는 핵심적인 변화 국면이다. 둘째, 이 같은 시장과 업계의 변화는 그에 걸맞은 ‘이상적인’ 노동자성을 구축하게끔 했다. 이 노동자성에는 ‘자율’노동으로 비추어지는 무급노동의 일상적인 수행, 그에 따른 과중한 업무강도의 내면화, 성과에 따른 계약직 형태의 고용, 비/공식적인 네트워킹을 통한 사회적 자본의 획득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노동자성은 젠더화된 업계 이중 노동 네트워크의 중첩된 구조 속에서 주로 투자부서인 ‘프론트’에 위치한 다수의 남성 노동자들에게 적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업계 입성-노동 및 이동-이탈 과정에서도 젠더 요인이 유의미하게 개입되며 결과적인 불평등을 발생시켰다. 셋째, 이러한 젠더화된 업계 네트워크 구조와 노동문화를 움직이는 이데올로기로는 위험 감수(Risk taking)와 성과에 따른 능력주의가 있다. 위험 감수 이데올로기는 이익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그에 수반되는 책임을 남성 중심적인 투자 네트워크의 외부로 이전시켰다. 이를 발판 삼아 다시 한번 노동자들 사이에 배타적이고 투기적인 이윤 축적과 분배가 발생하며, 이는 한국 사회의 양극화, 경제 불평등과 관련된 약탈적인 금융자본주의의 문제와도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전 지구적으로 확장하는 금융자본주의와 그 안에서 태동하고 구성된 금융투자업계의 노동문화가 새로운 젠더 질서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을 금융의 젠더화 등의 개념적 논의를 통해 학문적으로 규명하고 드러냄으로써 비판적인 금융문화연구의 외연 확장에 기여한다. 이를 통해 한국 금융투자업계의 젠더화된 노동문화를 살펴 한국 사회와 글로벌 금융자본주의의 연결과 그에 따라 구축된 ‘그들만의 리그’를 비판적으로 살피고, 그 바깥에서 노동하고 살아가고 있는, ‘그들이 아닌’ 이들의 경험과 욕망, 삶의 이야기를 학문의 장에서 더욱 심도 있게 논의함으로써 금융자본주의의 역동을 젠더 관점에서 새롭게 사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산업 자본주의와 기술 봉건주의의 경계에서 : 국내 인쇄업 생태계에 대한 문화기술지

        김민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71

        This study aim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capitalism through an anthrop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Korean printing industry ecosystem. Recent discussions on capitalism suggest expanding beyond the discourse centered on financialisation. These discussions, although partially intersecting and overlapping, are named according to their emphasized characteristics, such as Rentier Capitalism and Techno Feudalism. They argue that existing explanations of financial capitalism fail to sufficiently account for the dynamics of unearned income and the influence of digital platform companies based on cloud estates, emphasizing the need for a new dimension of understanding capitalism. However, synchronic analysis and field research in the printing industry reveal that the characteristics emphasized in various discussions on capitalism are intertwin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how features from neoliberal financialisation, rentier capitalism, and techno feudalism are reconfiguring the domestic printing industry ecosystem without diverging from the traditional language of industrial capitalism. To investigate this, the researcher conducted fieldwork while working at a printing shop in Seoul from January 2018 to May 2021, visited AP's promotional center in Singapore in July 2018, and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visitors. Additionally, follow-up research was conducted from 2019 to 2024 through three rounds of interviews with 17 participants from analog and digital printing and various post-print processing companies. The digitalization of the printing industry is led by multinational corporations that combine technology and capital, resulting in a new fee collection system called click-charge. This method, not seen in analog printing, has been adopted by most companies producing and selling digital printing machines. These companies monopolize the maintenance and technical aspects of their digital printing machines, effectively controlling printing businesses and extracting new forms of 'rent' through click-charge. Their profit accumulation methods are designed to be more complex and multi-layered than before, reinforcing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global capital and small printing businesses, altering the meanings of management and labor in the process. Printing business managers compare themselves to 'sharecroppers' and 'slaves' to express the exploitation they experience, while still being part of a 'superimposed structure of exploitation' where they also exploit print workers. Consequently, workers are exposed to such structures, positioning them at the lowest rung of the newly reorganized capitalist hierarchy. On the other hand, the digitalization and subsequent automation in the printing industry do not lead to the disappearance of print labor or an increase in technological unemployment. Instead, the role of human labor transitions to being more immaterial and proactive. The advancement and digitalization of printing machines demand constant management, supervision, and creative execution to operate more efficiently. While the physical labor intensity in analog printing has decreased, the importance of handling and mastering continuously advancing digital machines has increased. The direct labor of operating printing machines gradually shifts to skilled operation of computers that control them, signifying a transition to active agents managing the machines. Furthermore, the digitalization of the printing industry continually reorganizes the ecosystem without separating from the foundational elements of industrial capitalism. Issues related to the placement of larger and heavier digital machines disrupt the collaborative and division-of-labor-centric structure of the printing industry through neoliberal urban restructuring and spatial adjustments. This leads to a monopolistic competition structure dominated by a few large companies with concentrated capital and technological superiority. These companies are changing the landscape of the printing industry by introducing standardized quotation systems and payment methods based on digital and online platforms. Additional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generational change among the aging participants in the printing industry amid the transition to digital. This leads to proactive efforts centered on family succession in the printing industry. In this process, the employment relationship in the printing industry, explained by a family-centered culture and a small-scale collaborative structure, allows for a more nuanced interpretation of printing labor. While the concept of 'family' may blur employment relationships, it sometimes entails the potential for the most severe forms of exploit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focuses on how contemporary capitalism, on the boundary between industrial capitalism and techno feudalism, reconstructs a specific industry within a country and reveals the dynamics and subjectivities of its participants. The influence of technological and financial developments, and the emergence of a few large capitals on our lives, is growing. Understanding the current meaning of capitalism is becoming increasingly challenging. Through the specificity and multidimensionality of field research in the printing industry,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various discussions explaining capitalism. The researcher argues that discussions on the transformation of capitalism must be re-examined within the context of the complex and diverse phenomena of the real world. This understanding cannot be simply described as 'a change from A to B' but must be fully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where various discussions on capitalism intersect and overlap. 본 논문은 한국의 인쇄업 생태계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오늘날 자본주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 시도이다. 최근 자본주의에 대한 여러 논의는 기존의 금융 자본주의(Financialisation)를 중심으로 한 담론의 지형을 보다 확장시킬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것들은 부분적으로는 서로 교차하고 중첩되면서, 각각이 더욱 강조하는 특징에 따라 지대 자본주의(Rentier Capitalism)나 기술 봉건주의(Techno Feudalism)와 같은 이름으로 명명된다. 이런 논의들은 기존의 금융 자본주의에 관한 설명이 오늘날 자본주의에서 두드러지는 불로소득 동학이나, 클라우드 영지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플랫폼 기업들의 영향력에 관해 충분한 이해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주장하며, 이로부터 자본주의에 대한 새로운 차원의 이해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인쇄업에 대한 공시적 분석과 현장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자본주의의 양상은 자본주의에 대한 여러 논의에서 강조하는 특징들이 서로 착종되는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 금융화, 지대 자본주의, 그리고 기술 봉건주의와 같은 논의들에서의 특징이 전통적인 산업 자본주의의 언어들과 여전히 갈라지지 않은 채, 국내 인쇄업 생태계를 어떻게 재구성 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오늘날 자본주의가 특정 국가의 산업과 참여자들의 일 경험을 어떤 방식으로 재조직해내고 있는지에 주목하며, 이를 국내 인쇄업에서 디지털 인쇄기기가 보급되는 과정 속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2018년 1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서울의 한 인쇄소에서 근무하며 현장연구를 수행했고, 2018년 7월엔 세계 최대 디지털 인쇄기기 제조업체 AP가 운영하는 싱가포르의 홍보센터에 방문하여 참여·관찰 및 방문자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후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총 세 차례에 걸쳐 아날로그와 디지털 인쇄업 및 각종 인쇄 후가공 업체에 종사하는 인쇄업 참여자들 17명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수행했다. 인쇄업에서의 디지털화는 기술과 자본이 결합된 초국적기업의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클릭차지(click-charge)라는 새로운 형태의 요금 징수 체계가 만들어져 있었다. 클릭차지는 아날로그 인쇄업에서는 볼 수 없던 방식으로, 디지털 인쇄기기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대부분의 회사들이 도입하고 있는 요금제도였다. 그들은 자신들이 개발한 디지털 인쇄기기의 유지·보수에 관한 기술 일체를 독점하고, 이로부터 인쇄업체를 효율적으로 통제함으로써, 클릭차지라는 새로운 형태의 ‘지대’를 추출해내고 있었다. 그들의 이윤축적 방식은 전에 비해 훨씬 더 복잡하고 다층적인 구조로 설계되고, 그렇게 파생된 이윤을 전유해가는 과정을 통해 글로벌 자본과 중소 인쇄업체 사이에 위계관계를 더욱 강화시키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경영과 노동의 의미 또한 달라지고 있었다. 인쇄업 경영자는 스스로를 ‘소작농’과 ‘노예’에 비유할 정도로 자신들이 겪는 수탈의 경험이 크다는 것을 드러내는 동시에, 여전히 인쇄 노동자를 착취하는 ‘수탈과 착취의 중첩’된 구조 속에 놓여 있었다. 이로부터 노동자는 그러한 구조에 노출되어 새롭게 재편되고 있는 자본주의 위계서열의 맨 끝에 자리하게 된다. 한편, 인쇄업에서의 디지털화와 이에 따른 자동화로 인해 인쇄노동이 사라지거나, 기술적 실업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이 과정에서 인간노동의 역할은 비물질적이고, 더욱 능동적인 것으로 전환된다. 인쇄기기의 발전과 디지털화는 기계에 대한 끊임없는 관리·감독과, 그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창조적 수행을 요구하고 있었다. 아날로그 인쇄업에서 이루어지는 육체적인 노동의 강도가 줄어들었다고 해서 인쇄노동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끊임없이 발전하는 디지털 기계들에 대한 조작과 숙달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었다. 인쇄기기를 조작하는 직접적 노동은 점차 그것을 통제하는 컴퓨터에 대한 숙련 기술로 변화하며, 기계에 종속되는 것을 넘어 그것을 다루는 능동적 주체로의 전환을 의미하게 된다. 또한, 인쇄업에서의 디지털화는 여전히 산업 자본주의의 바탕이 되는 요소들과 분리되지 않은 채, 인쇄업 생태계를 끊임없이 재조직해내고 있었다. 최신의 디지털 기술을 탑재하여 더욱 거대하고 육중해지는 인쇄기계의 배치에 관한 문제는 신자유주의적 도시 재편과 이에 따른 공간적 조정을 통해, 협업과 분업 중심의 인쇄업 집적구조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자본의 집중 및 기술적 우위를 선점한 대형화된 소수 업체에 의한 독점적 경쟁구조가 나타나고 있었고, 이들은 디지털과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표준화된 견적 시스템과 결제 방식을 도입해 인쇄업의 지형을 변화시키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로의 전환 속에서 갈수록 고령화되는 인쇄업 참여자들의 세대교체에 대한 요구 또한 높아지고 있었다. 이는 기존 노동자들의 퇴출의 문제와 이들을 대체할 청년 세대의 부재 속에서, 가업 승계를 중심으로 한 인쇄업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실천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소규모로 분업화된 협업 구조와 이를 바탕으로 한 가족 중심 문화로 설명되는 인쇄업에서의 고용-피고용의 관계는 인쇄 노동에 대한 보다 다채로운 해석을 가능케 했다. 가족이라는 언어 속에서 인쇄노동은 고용의 관계를 희미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때로는 가장 잔인한 형태의 착취의 가능성을 내포하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산업 자본주의와 기술 봉건주의의 경계에 있는 오늘날 자본주의의 양상이 한 국가의 특정 산업을 어떻게 재구성하고, 그 안의 참여자들의 역동성과 주체성을 어떤 방식으로 드러내고 있는지 살펴보는데 초점을 두었다. 기술과 금융의 발전, 그리고 이로부터 등장한 소수의 거대 자본이 우리 삶에 끼치는 영향력은 날로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오늘날 자본주의의 의미를 명확하게 포착하는 것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인쇄업에서의 현장연구가 갖는 구체성과 입체성을 통해, 자본주의를 설명하는 여러 논의들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에, 연구자는 자본주의의 변형에 관한 논의가 현실세계의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살펴보는 과정 속에서 새롭게 검토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A에서 B로의 변화’와 같이 단순한 서술로 설명되지 않으며, 오히려 자본주의를 설명하는 다양한 논의들이 서로 교차하고 중첩되는 맥락 속에서 온전히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 금융자본주의 시대 영화의 포스트-컨티뉴어티 연구

        김선형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71

        In the age of 21st century, more specifically after 2010, not a few films addressing the issue of ‘class’ were witnessed which was abolished long time ago. It seems anachronistic to raise this issue in the time of neoliberalism of which the ideology is limitless freedom. Even digital(and post) cinema boasting flamboyant images has ‘class’ issue in the core of its narrative. Thus, this dissertation argues the phenomenon is symptomatic of class society, and that was the very start of this research. Not just economic class but more diversified forms of class, which is social and cultural class, exist now and the root of it is obviously capital, not of previous systems but of financial capitalism. The expansion of ‘class’ from economic to social and cultural field is the result of introduction of neoliberalism as the economic system, which places ‘financial capitalism’ in the center of its operation. Capital adroitly capitalizes on human desire for consumption not for use-value but for sign-value. The triad of ‘capital-desire-class’ works closely together and in the core of this dynamics lies ‘ubiquitous computational media’, which spread spectacular and enticing images worldwide in an instant. ‘Neoliberalism’ came after late capitalism in the 70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freedom, but it was actually designed and introduced to reinstate the power and wealth of the rich. The core device of this new system called financial capitalism employs ‘derivatives’ for the infinite increase of the capital, especially that of the upper class. As a result, this new system caused serious problems such as widening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dramatically and giving rise to more intensified class divide not just in visible economic field but in invisible cultural field as well.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new economic system is for the accumulation(or dispossession) and the increase of the capital, so it actively encourages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simulacra. This process is facilitated by Post-Fordist production system and that gave birth to the new class called ‘precariat’. These are the subjects who are burdened with the instability of subsistence and under the precarious life condition, they become split and pathological being. Films which narrate capital, desire, class and pathological subjects in the age of financial capitalism were analyzed in depth in chapter 2. Interestingly, these films also showed very new and unintelligible images irrespective of the graveness of the theme. These images depart from the previous film language in a sense that they are not competing with the narrative, not having obvious political purposes like those of political modernism films, nor showing off adrenaline-gushing images. They are not totally new but they don’t belong to any of the previous film language, so these new images were hard to define or categorize. This study found that each film had its own distinctive images but they all shared common aspect, which is the interference of the film continuity. To put it in another word, they are post-continuity images of post cinema. To clarify the images of films in this study, two new terms, ‘intermittent continuity’ and ‘images of aboundary’, were coined and with these new concepts, film images were analyzed in terms of esthetics in chapter 4 and 5. After the analysis of narratives and esthetics of images respectively, the next study was aimed at finding the implication of these images. These images exist in the films in an independent and individual way, which means they are not intertwined strongly with the narrative nor foregrounded on their own. The images positioned themselves in the films in a very balanced way with the narrative with the same weight. This study finds the implication of these images is the reflection of the ‘feeling of structure’ of our time. In another word, the reflection of the flow of ‘affect’ of the world now where computational media and postmodernism thrive. Computational media are everywhere and they work below the threshold of conscious awareness. Postmodern world tore down the preexisting boundaries. In this respect, the two newly coined images mirror the affect of the present society. Films are moving images. We are moving images. Everything in this world is moving, changing and influencing one another. Films observe the world and produce and disclose it. In this film world, we experience the world with spectacle(affect) and narrative, which expand to the semiotic world of meaning. Films as moving image reflect our world and with the film experience, we broaden our horizon and adapt ourselves to the new world. 본 논문의 연구는 21세기의 시대, 더 구체적으로 2010년 이후의 영화들이 지속적이고 적극적으로 발화하는 계급의 문제, 그것의 목격에서 시작되었다. 제도적으로 소멸한지 오래인 계급의 문제를 현란한 기술을 자랑하는 디지털 영화 또는 포스트 시네마들이 스펙터클 이미지와는 별개의 문제로 제기하고 있는 현상을 본 연구자는 현대 사회가 보이지 않는 또 다른 계급사회라는 것, 그것을 영화들이 징후적으로 드러내고 있다고 판단하면서 현대의 계급문제를 이 글 연구의 출발점으로 설정하였다. 현대사회의 계급은 경제계급으로만 환원할 수 없는 좀 더 복잡하고 다원화된 계급, 즉 문화계급과 사회계급의 영역으로 확장되었으며 그 근저에는 당연히 자본이 자리 잡고 있다. 자본은 현대인의 욕망과 긴밀한 관계역학을 형성한다. ‘자본-욕망-계급’이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역학의 중심에는 기술의 발달이 가져온 매체 변화, 즉 전 세계를 동시에 연결하고 공간의 경계를 무너뜨린 새로운 매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비쿼터스 컴퓨테이셔널 미디어의 등장이 있다. 이러한 현재의 상황 하에 자본은 ‘금융자본주의’ 체제로 작동한다. 1970년대 후반 기득권의 부의 회복을 위해 ‘자유의 수사학’을 앞세워 등장한 신자유주의의 핵심 구동 장치인 금융자본주의는 ‘파생상품’을 통해 자본을 무한 증식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다. 실물이 아닌 가상의 화폐로 활동하는 금융자본주의 작동방식을 통해 증식하는 자본은 빈부격차와 부의 양극화를 심화시켰음은 물론이고 경제자본이 전환되는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은 자본가의 총자본량을 증대시킴으로써 경제 영역 뿐 아니라 문화사회 영역에서까지 격차를 발생시켰고 이것이 결국 현대의 계급을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던 것이다. 실물의 소비가 안고 있는 한계를 기호 소비로의 전환으로 극복하고자 한 현대의 자본주의는 기호/표층/기표인 시뮬라크르의 이미지를 전지구적으로 유포하면서 욕망을 증식시켜 그 목표를 성취해 낸다. 이러한 과정에 새로이 등장한 것이 포스트-포디즘적 생산 환경과 그 과정에 소용되는 프레카리아트 계급이며 이들은 불안을 안고 사는 소모되는 존재들인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대 사회를 조명하는 영화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그들이 말하는 현대사회를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그런데 이 영화들은 서사와 직접적인 연결성을 갖고 있지 않지만 영화 전체의 중심 구조를 형성하는 독특한 이미지들을 전시하고 있었다. 서사와의 우열의 문제, 이미지를 통한 정치성의 발화, 또는 이미지 자체의 전시, 이 어느 범주에도 포함되지 않는 분석 영화들의 이미지, 그것의 의미를 찾아내는 것, 그것 또한 본 연구자에게 또 하나의 난제로 다가왔다. 본 연구자는 이들 영화들이 나타내는 이미지들을 포스트 시네마로 범주화하면서 특히 이들의 특징을 불연속성을 의미하는 포스트-컨티뉴어티 이미지에 소속시켰다. 그리고 이들 이미지를 미학적으로 분석한 후 이들의 시대적 함의를 탐색하는 것으로 논문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자가 의미의 명료화를 위해 새로이 제안한 ‘단속적 연속성’과 ‘몰경계의 이미지’는 인간의 지각 하에서 작동하는 매체 환경과 경계가 무너진 포스트모던한 현재의 정동적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영화가 드러내는 이들 이미지들은 무의미한 스펙터클의 전시가 아닌 시대의 반영, 즉 현재의 감정구조를 반영하고 있었던 것이다. 무빙 이미지인 영화는 우리의 세계를 반영한다. 세계를 관찰하고 만들고 드러낸다. 그리고 우리는 그 영화들을 정동적, 서사적, 그리고 의미론적으로 체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금융자본주의 사회의 자본-욕망-계급의 문제를 영화들은 서사를 통해 드러내고 있었으며 이 과정 이전에 앞서 이들 이미지가 갖고 있는 특성, 즉 기표화되지 않은, 바꿔 말하면 의식 하에 존재하는 정동들, 현대 사회의 정동의 흐름을 이들은 반영하고 있었던 것이다. 영화의 정동과 서사의 체험은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 기호로 확장된다. 무빙 이미지인 영화는 우리가 사는 세상을 보여주고 또 우리는 그 영화들을 통해 세상을 보고 느끼고 적응하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영화들이 말하는 금융자본주의의 사회의 특이성, 그리고 그 사회를 보여주는 이미지들은 현재 사회를 총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우리 또한 그 사회를 영화를 통해 인지하면서 인식의 지평을 넓혀가는 것이다.

      • 글로벌 금융위기와 시민사회의 대응

        김해정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8

        The global civil society which tried to response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has focused on preventing recurrence and minimizing the social impact of crisis with various social movements. For these goals, not only many Civil Society Organizations(CSOs) in different fields built coalitions to spread the issues but also concentrated on their own sectors to make the concrete activities. Theses movements were practiced with these five themes; financial taxes, commodities speculation, bank accountability, reform of international finance institutes and social economy. Some of multiple CSOs spoke out with one voice for the political pressure to reform the financial system and institutes in each sector and developed their own movements to protect citizens from the bankster, and to boost the local finance and alternative finance. Others spread these efforts as the cross-cutting issues 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sector as well. More over, as a global alliance of various CSOs which recognize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as the common issue of global society and made the same type of movements, these activities have opened the possibility of more developed global social movement. These activities were not going on with analyses in detail but were constructed and concentrated following the time and issue just related to the financial crisis. Therefore, this study tries set a new framework to analyze with the measure to divide them into counteraction part and resilience part; the former means to resist the financial globalization and the latter means the adaptation to the constancy of financial crisis respectively. Following the study with this measure, there are some meaningful results to adjust to the practice of activities although there are still some limits of this study not to include all the cases of movement and not verify value of the framework.

      •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정부 정책의 비교분석 : 자본주의 다양성론을 중심으로

        오소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01167

        Klaus Schwab announced the beginning of the some major advanced capitalist countries have started preparing for an era of revolutionary changes. As the major technical innov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innovation have consistently developed, it is expected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influence every political, societal, and economic field in similar ways. However, each has invented different policy strategies with which to face the tim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oreover, since conflicting perspectives concern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s have come to the fore, it is much more important to search for the fundamental causes responsible for creating these differences among the four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of comparative political analysis has focused o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Germany, Japan, and Korea, which are classified as Liberal Market Economies (LME) and Coordinated Market Economies (CME).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governments’ policy strategies differ and the major reasons behind the differences. Therefore, this study finds the premier causes from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 (NIS), and the fundamental causes from the institutions of each country’s productive regimes.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major government reports and several academic research paper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each country has differentiated policy enforcement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results from the main sources of NIS; the way government provides support, relationships among innovation participants, and the technique infrastructures and its surrounding institutions such as industrial relations, education, vocational training, financial systems, and corporate governance. This is because institutional features and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 determine the comparative advantages of national innovation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learly show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First, the government needs to escape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al state and try to create more profitable innovation ecosystems. This could be made available by clearly setting major innovation participants(actors) and institutionalizing the relationships of its participants. Second, the priorities in its innovation policy must be clear to secure the competitive and comparative stages of the advantages. Meanwhile, the coordination of national institutions and policies should also be considered consistently.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이 제4차 산업혁명의 도래를 공식적으로 선언한 이후, 주요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변화의 시대에 대한 준비가 시작되었다. 4차 산업혁명의 주요 혁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정치, 경제, 사회 분야에서의 유사한 변혁적 양상이 기대되었으나, 사실상 국가별로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정책 전략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의 영향에 관한 대립적 시각이 대두되는 가운데 4차 산업혁명 대응 정책의 차이를 형성하는 근원적 이유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미국, 독일, 일본, 한국의 4개국을 자본주의 다양성 이론에 입각하여 자유시장주의 국가와 조정시장주의(산업기반, 그룹기반) 국가로 유형화하고 비교정책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방식이 국가마다 어떻게 상이하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그 원인을 밝히는 것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별 차이의 원인을 일차적으로 서로 다른 특징적 국가혁신체계의 형성으로부터 모색하고자 하며, 근본적인 원인은 생산레짐의 제도적 특징에서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주요 정부 보고서와 민간 연구보고서를 중심으로 하는 문헌분석을 통해 4개국의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정책 전략을 살펴본 후, 핵심 문헌들을 바탕으로 제도와 혁신체계의 결합 양상을 설명하였다. 연구 분석의 결과, 각 국가는 정부의 지원 양상과 혁신 주체의 관계, 그리고 기술 및 인프라로 구성되는 국가혁신체계 요소의 특징과 이를 둘러싸고 영향을 미치는 노사관계와 교육 및 기술훈련 제도와 금융제도 및 기업지배구조의 특징에 따라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하여 서로 다른 대응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조정시장주의로 분류되는 독일과 일본은 생산레짐과 국가혁신체계의 특징을 공유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주요 정책의 어젠다와, 핵심 혁신 기술, 추진 주체 등을 비롯한 대응 정책의 특징이 유사한 방향으로 수렴하였다. 이는 근본적으로 제도적 특징과 국가혁신체계의 양상에 따라 급진적 혹은 점진적 혁신 전략의 비교우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본주의 분류 체계와 달리, 미국과 한국이 상이한 생산레짐의 특징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대응 정책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차별적인 혁신 전략안을 제도와 정책의 정합성에 비추어 추진하는 국가와 그렇지 못한 국가의 한계가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로부터 한국 정부의 제4차 산업혁명 대응 정책의 향후 전망에 대하여 도출되는 주요 함의는 다음과 같다. 발전국가적 면모에서 벗어나 효율적인 혁신 생태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추진주체를 보다 명확히 하고, 혁신 주체의 관계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혁신 정책을 추진하는 특정 분야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여 경쟁적 비교 우위를 갖출 수 있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정책과 제도의 정합성에 대한 고려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