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귀환포로공동체의 고토 재정착 연구

        박기형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의 목적은 바벨론 포로 이후 고레스의 칙령에 따른 유대인 포로들의 고토 귀환과 이에 따른 ‘귀환포로공동체’(the Golah community)의 형성 및 정착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그 성공적 정착의 원동력을 찾는 데 있다. 본 논문은 기존 학계의 연구가 외부요인인 페르시아의 영향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내부요인에 좀 더 많은 주의를 기울였다. ‘페르시아 가설’에 따르면 귀환공동체의 형성은 페르시아의 제국적 이익을 위한 식민지정책으로 대부분 설명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이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귀환공동체 자체의 내부적 역량에 좀 더 주목하려는 것이다. 이 논문의 중심논지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귀환포로공동체의 성공적 정착 요인 중 내부적 요인들이 보다 더 결정적이라는 것이다. 페르시아의 영향력만으로는 성경이 주장하는 귀환공동체의 독특한 성격이 충분히 설명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대인 포로공동체의 형성 과정을 설명할 때 포로공동체의 사회적 역량이나 종교적 정체성, 그리고 예언자적 전통과 같은 내부적 추동력을 중요 요인으로서 고려해야 한다. 둘째, 내부요인 중에서 포로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친 요인은 바로 신앙 전통에 대한 신뢰라는 점이다. 바벨론 포로들은 이주생활에 조기 적응하여 공동체를 이루고 나름의 민족적 전통을 지키면서 살았다. 그들이 축적한 사회경제적 역량도 상당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요소는 귀환공동체가 견지했던 공동체 회복의 약속 혹은 하나님 나라 재건의 비전이었다. 신명기적 역사관이 바벨론 포로공동체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귀환공동체의 고토귀환과 정착을 촉발하고 정당화하는 자기설득의 논리로 작용했다는 성경의 증언은 보다 진지하게 청취될 필요가 있다. 귀환포로공동체의 형성과 추동력의 상당 부분은 구약의 구원사적 전통(신명기 역사관과 예언자적 신학 전통)에 대한 바벨론포로들의 신앙과 의탁에서 발출되었다는 것이다. 이런 중심논지를 뒷받침하는 주요 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벨론 포로들은 뿔뿔이 흩어진 전쟁난민 신분이 아니라 강제이주민에 가까웠다. 따라서 나름대로 종족단위의 공동체생활을 유지함으로써 민족적 종교적 정체성을 지킬 수 있었다. 바벨론포로 2-3세들인 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 모르드개, 그리고 토빗, 수산나 등의 이야기는 민족적 종교적 정체성이 바벨론 포로들에게 대단히 중요한 실재적 요소였음을 보여준다. 둘째, 바벨론에서도 이스라엘 고유의 신앙생활은 유지되었다. 에스겔의 신학은 포로로 잡혀갔으나 임시성소를 중심으로 신앙을 지킨 귀환포로야말로 이스라엘 땅을 차지할 합법적 자격을 지닌 존재라는 것이다(11:17). 또한 에스라 8장에 의하면 귀환포로 대열에는 가시뱌 지역의 레위인 잇도(Iddo), 성전일꾼인 느디님 사람들(nethinim)이 특별히 포함되었다. 이들의 존재는 포로공동체 내에 종교 활동의 존재와 제의종사자의 지속적 역할수행 가능성을 암시한다. 셋째, 바벨론 포로들의 귀환 배경에는 포로사회의 내부적 역량으로서 경제적 부흥과 사회적 번성이 암시되어 있다. 바벨론의 고대 도시 닛푸르(Nippur)에서 발견된 무라슈 문서(the Murašu documents)에 따르면 주전 5세기 중엽 유대 포로들은 자신들의 독특한 유대식 이름들을 유지하며 중요한 상거래, 토지매매 등에 종사하고 있었다. 그 당시 상당한 경제적 부를 축적했으며 페르시아 왕실의 고위관리들을 배출했을 정도로 상당히 성공한 소수민족으로 부상했다. 아마도 주전 5세기 유대인의 사회 경제적 번영은 민족의식의 부흥을 촉진했을 것이다. 무라슈 문서에 등장하는 부유한 유대인들이 에스라-느헤미야 귀환운동을 주도한 세력에 가담하거나 예후드의 공동체를 경제적으로 후원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 논문은 귀환포로공동체의 복원력과 추동력을 1) 그들의 사회적 역량과 민족적 전통, 2) 포로사회의 종교생활과 신앙적 정체성 유지, 그리고 3) 귀환공동체의 재건신학으로서 추동력을 제공한 신명기적 역사신학과 신학적 전통 등과 같은 세 가지의 영역에서 찾아볼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내적 역량과 내부적 요인이 에스라-느헤미야의 개혁에 긴밀하게 연동되어있음을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return of the Jewish exiles(the Golah community) and their subsequent resettlement in the land of Canaan with view to identifying major factors behind the success of this resettlement project. The present study proposes prioritizing ‘internal’ factors over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influences of the Persian Empire. To back up this proposal, the study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dynamic potentials within the Jewish community itself, in contra-distinction to the ‘Persian hypothesis’ which explains the formation of the Golah community mostly as the result of the Emperial colonial policies designed primarily for the imperial interests of the Empire itself. The present thesis puts forward two major theses. First, the internal factors should be more seriously taken into account over the external facrors in understanding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Golah community; the influence of Persia alone cannot adequately explain how the Golah community succeeded in reclaiming the land of ancient Israel and its history as described in the post-exilic texts of the Old Testament. Thus the study puts more emphasis on those internal dynamics such as its social capabilities, its self-consciousness as a religious community, and the strong prophetic traditions it held on to. Second, more than anything else, it is the far-reaching importance of the religious traditions that contributed to the success of the resettlement. The Babylonian exiles, on returning to their homeland, had no major problems in adapting to the new environments and building a solid community sustained by strong religious and cultural traditions. Their social capabilities were also substantial. More crucial than these, however, were their conviction about the divine promises of restoration, the hope of rebuilding Israel as God’s Kingdom. In this respect, one needs to take more heed of the Biblical testimony that the Deuteronomic view of history had an ongoing influence on the community, stimulating the process of resettlement and providing necessary rationales for their effort. In other words, the formation of the Golah community derived its stimuli mostly from their faith in the redemptive tradition of the Old Testament, especially the Deuteronomic history and the prophetic traditions. The major arguments for these theses are as follows. First, the Babylonian deportation was a forced migration rather than an uncontrolled dispersion of war refugees. In Babylon they were able to maintain their own identity as a distinct ethnic community. The stories of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of the exiles such as Ezra, Nehemiah, Esther, Mordecai, Tobit, and Susanna, clearly illustrate the prime importance of religious and ethnic identity for the Jewish exiles in Babylon. Second, the exiles maintained their own faith tradition even in Babylon. Ezekiel shows that the rightful owner of the land of Israel are those who have kept their faith with a provisional sanctuary at the center of their lives (11:17). In Ezra 8, among the returned exiles one finds in particular Iddo, a Levite leader at the place called Casiphia and the nethinim, the temple servants. The existence of these groups of people alludes to the possible maintenance of religious life and the continuous functioning of cultic laborers among the exiles. Third, there are some evidences that indicate that the return of the Jewish exiles had been prompted by their economic and social prosperity in Babylon. According to the Murašu documents discovered in Nippur, the Jewish exiles of the fifth century B.C. still maintained their own Jewish names. They also accumulated substantial amount of wealth, and became a distinctive minority race successful enough to produce high-ranking officials for the Persian court. People like Ezra, Nehemiah or Esther were all products of the reconstruction movement of the Jews. And their economic prosperity probably caused the resurgence of their ethnic consciousness as Jews. It is highly probable that such wealthy Jews as mentioned in the Murašu documents either joined the returning campaigns of Ezra-Nehemiah or supported them financially. In sum, the present thesis argues that the formative dynamics of the Golah community include the following three internal factors: 1) their social capability and maintenance of their ethnic tradition; 2) preservation of religious identity even in Babylon; 3) faith in the Deuteronomic view of history as the theological basis for their restoration movement.

      • 해방기 귀환 서사 연구

        정재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해방기 귀환을 소재로 하는 서사 텍스트에 내재한 귀환 인식의 특질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를 건설하려 했던 당대 귀환 서사의 역사적 상상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귀환이 2차 세계 대전의 종전과 함께 전세계적으로 나타난 사건이라는 점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귀환은 '민족의 땅'을 되찾아가는 이동인 동시에, 식민 질서가 해체되고 새로운 질서가 구축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람들의 이동이었던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귀환이 탈식민화 과정의 일환으로 전개되었다는 점과 더불어 식민지 상태에서 독립한 지역으로의 귀환은 이미 국가 체계가 성립되어 있던 지역으로의 귀환과는 다르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전자는 새롭게 국가를 건설해야 할 지역으로의 귀환이었기 때문이다. 근대 국가는 일정한 영역(영토)에 거주하는 사람(국민)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배타적 권력(주권)을 소유한다. 그렇다면 해방된 조선으로의 귀환은 새롭게 건설될 국가의 국민이 되는 과정일 수 있었다. 그러나 식민지에서 독립한 지역의 국가 건설 과정에는 '국민'이라는 공동체 인식의 확산이 반드시 필요하다. 제국을 통해 근대 국가를 만날 수밖에 없었던 식민지의 경험은 민족을 자각케 하였을지는 모르나 '민족 국가'의 국민이라는 의식을 일깨우지는 못하였다. 귀환의 서사는 바로 이 지점에서 중요성을 얻는다. 귀환의 서사는 '국민'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하나의 기제였기 때문이다.귀환 서사를 고찰하기에 앞서 이 논문에서는 귀환의 전제가 되는 이주의 상황이 귀환 후 어떻게 기억되는지를 먼저 살펴보았다. 이주의 기억은 귀환 서사와 밀접한 관련을 보일 수밖에 없다. 식민 지배가 종식된 상황에서 이주 당시의 기억은 두 가지 특징을 지니며 구성되고 있었다. 이주의 계기를 제공한 일제는 적으로 규정되며 타자화되고, 고국을 떠나야 했던 동포들은 희생자로 규정되며 동정의 대상으로 지목되는 것이다. 따라서 귀환 서사에서 귀환은 일제의 억압에 의해 행해졌던 과거의 이주를 되돌릴 수 있는 사건일 뿐만 아니라 '우리'가 결속할 수 있는 사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해방이 식민 잔재의 청산과 민족의 국가 건설이라는 목표와 이어졌던 만큼 귀환의 문제 역시 당대의 기획에 연동하여 서사의 층위에서 재탄생하는 모습을 살필 수 있었다.과거의 청산과 미래의 기획이 귀환 서사의 큰 틀을 이루면서 귀환 서사는 과거 부정과 미래 긍정이라는 이분법적 인식을 서사적 상상력의 근본적 힘으로 삼는다. 귀환 서사에서 민족과 민족의 땅은 과거 이주지와는 대조적인 것으로 서술된다. 과거 이주지에서의 삶은 부정적인 것으로 서사화되는 반면 귀환할 고국은 긍정적인 이미지로 부각되는 것이다. 고국의 명미한 자연 경관은 이주지의 척박한 생활 환경과 곧바로 대조되며, 고국의 풍토가 기른 신체는 다른 민족들과는 판이한 것으로 서술된다. 이주지에서의 과거를 부정적으로 기억하고 고국에서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서술하는 서사적 상상력은 향수(鄕愁)의 형태로 나타남과 동시에 일종의 통과 의례를 텍스트에 새기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귀환은 일정한 의례를 통과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사건으로 서사화되는 것이다. 통과 의례가 의례를 통과한 자와 그렇지 못한 자를 나누는 작용을 한다는 점을 상기하면 귀환의 서사가 결속과 배제의 메커니즘을 서사의 기저에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단기간에 귀환민들이 급격하게 유입되어 갖은 혼란이 야기됨으로써 그들은 곧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당대의 언설들은 귀환민들을 일제의 식민 정책에 의해 희생당한 '동포'로 규정하여 동정의 대상으로 지목하고, 그들을 구호하여 건국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자고 역설하였다. 이 같은 언설은 희생자를 만들어 낸 '적'을 상정하면서 동포들의 결속을 강조하는 동시에, 규합된 힘을 국가 건설이라는 당대의 정치적 기획 속으로 흡수하려는 시도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귀환의 서사 역시 귀환민들이 떠나게 되었던 이유의 토대에 조국이 자리 잡고 있었음을 전면화하면서 동포와 민족의 땅에 대한 그들의 애착을 부각시킨다.그러나 해방기 귀환 서사는 귀환민들을 희생자로 지목하면서도 그들에게 건국의 초석이 될 것을 주문하기도 한다. 귀환민들에게 강조되는 헌신의 요구는 해방된 조선 사회가 그들에게 부여한 주체의 위치가 무엇이었는지 분명하게 밝혀 준다. 귀환민들은 타지에 나갔다가 돌아온 사람들로 동정하고 감싸 안아야 할 대상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그들은 새로운 국가의 국민이 될 자격을 얻어야 될 사람들이기도 했던 것이다. 따라서 귀환민들은 스스로가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려는 태도를 띠기도 한다. 귀환 서사에 나타나는 귀환민들에 대한 사회적인 기대와 그 기대에 부응하려는 귀환민들의 모습은 해방기 귀환 서사의 작용 지점이 당대의 정치적 기획과 연관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 즉 해방기 귀환 서사에서 볼 수 있는 국민을 만들고 국민이 되려는 모습은, 앞으로의 삶을 향한 기대 지평의 근간에 국민 국가의 질서가 자리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암시하는 것이다.그러나 해방기 귀환 서사는 그 기대 지평의 한 편에 미래의 안정된 삶이 놓여 있었다는 사실도 드러내고 있다. 식민/피식민의 경험이 차별적 현실 속에서 대타적 성격의 내셔널리즘을 발흥케 했던 만큼 귀환은 내셔널리즘이 추동하는 이동으로 인식될 수 있었다. 하지만 귀환 과정이 각국의 이익에 따라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귀환을 추동한 내셔널리즘이 '우리의 내셔널리즘'만은 아니었다는 것을 말해 준다. 제국의 해체는 제국을 구성하던 다양한 집단의 범위를 복수의 내셔널리즘이 작용하는 영역으로 구획하였다. 전후의 혼란 속에서 이들 내셔널리즘이 교차하고 부딪치는 갈등 과정에서 귀환은 이루어졌다. 단적으로 말해 현재 살아가고 있는 곳에서 더 이상 거주하기 힘든 사람들이 귀환길에 올라야 했던 것이다. 지금까지의 삶과 앞으로의 삶을 아울러 바라보았을 때, 보다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만한 여지가 있는 장소를 선택했던 셈이다.따라서 귀환의 서사는 결속의 상상력과 더불어 내적인 균열의 양상도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귀환민들이 귀환 후 겪게 되는 고국에서의 경험들은 안정적인 삶을 바라는 귀환민들의 기대가 이루어지기 힘들다는 사실을 일깨웠기 때문이다. 귀환 서사는 귀환민들이 돌아와서도 정착하지 못하고 어렵사리 생활하는 장면들을 제시하는데, 이는 조선 사회가 귀환민들을 배척하는 양상과도 연결되었다. 사실 식민지에서 해방된 고국이 귀환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삶의 방편은 보잘것없었다. 귀환민들은 안정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조국을 원했으나 당시 조선의 사정은 그러하지 못했던 것이다. 막상 돌아온 곳에서 오히려 이주지를 그리워하거나 재이주를 결행하는 모습은 민족과 국가로의 귀환이 기대했던 대로 이루어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순탄하지도 않은 과정이었음을 시사한다. 고향을 떠났던 '동포'들이 잃어버렸던 '민족의 땅'으로 되돌아온다는 귀환의 서사는 민족과 국가로의 편입이 단일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사실을 역설적으로 말하고 있는 것이다. This thesis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atriate narratives in the years following Liberation of Korea and examines their contributions to the nation-state building efforts of the time.The issue can be best explored in the context of world-wide return of displaced people to their country of origin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Repatriation meant more than a physical return to their country of origin. It was a transition into a new paradigm from an old colonial regime. Repatriation of Korea at the time was rather unique in that it was not returning to an already existing country, but returning to a state where nation had to be built from scratch. Modern nation-state has sovereignty over its people who reside in its territory. Returning to liberated Korea meant becoming a citizen of a new born country. Thus, facilitating the idea of national identity and citizenship was essential. Experience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may have generated nationalist sentiment, but assuming a new identity as a 'citizen' of a country was a totally different story. This is where the crucial role of repatriate narratives of the time lies. They served as a means of forming a concept of citizenship.The memories of displacement in the narratives are characterized by stark contrast between 'them' (Colonial Japan) and 'us' (these poor people who were forced to leave their country). Repatriation carried symbolic importance in a sense that it rectified past injustice and but also had practical values in that it served to unify people. In its effort of freeing themselves from colonial legacy and building a new nation, Korean people rewrote repatriate narratives in accordance with their goal in mind.These narratives center around the theme of uprooting the past legacy and marching into the future and rely heavily on the contrast between negative past and rosy prospect for the future. For instance, beauty of the native land set in contrast with the waste land of Japan. Coming back to homeland was like a rite of passage in a sense that it is a process of cutting oneself off from the past and assuming a new identity. The rite of passage is exclusive by nature, dividing those who passed through it and those who didn't, and this again confirms the mechanism of internal consolidation against outsiders at the core of repatriation narratives.Sudden influx and accompanying problems put repatriates in the spotlight. They were the victims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us should be given necessary social support to become a contributing member of a society. This kind of discourse served the purpose of rallying people around common enemy (Japan) and common goal (nation building). In the same manner, expatriate narratives contributed to promote nationalist sentiment and compatriotism by emphasizing the fact that displacement was one of the tragic consequences of not having a nation.However, repatriates were not just considered as a victim. They were also asked to become a responsible citizen who contributes to the task at hand-formation of a nation. They may deserve sympathy as a victim of colonialism, but they also have duties to fulfill as a member of a new nation, The narratives show various attempts on repatriates part to live up to these social expectations. This implies that there was social consensus that hope for the future was only feasible in the context of successful creation of a nation.Nonetheless, in a practical sense, it cannot be said that they came back in order to participate in the grandiose plan to build a nation. Simply put, just as the colonialism forced them to leave, the end of colonialism and subsequent events forced them to come back in the hope for better, stable life. Unfortunately, reality was harsh. Repatriate narratives not only reflect high hopes for harmonious future but also latent problems of discord. Some narratives depict difficult lives of expatriates, sometimes shunned by their own compatriots. In practical sense, life their homeland provided was no better than that of Japan. The fact that there were some people who even wanted to go back to Japan clearly shows that the transition was not an easy task.

      • 귀환이주활동가의 사회운동과 초국적 사회자본에 관한 연구 : 방글라데시 네팔 노동자를 중심으로

        양혜우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논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에서 공동체 운동, 농성, 노동조합 등의 이주운동 경험을 가진 이주활동가들의 귀환 후 사회 경제적 삶과 사회운동가로서의 실천을 다룬 논문이다. 그동안 이주노동자들은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공동체를 형성하여 서로를 보살펴 왔고,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찾기 위해 각종 집회와 농성에 참여했다. 정부의 강제추방 정책에 항의하며 일 년이 넘는 기간 동안 농성을 벌이기도 했고, 노동조합을 만들어 계급에 기반 한 이주운동을 펼치기도 했다. 그러나 국가는 이주노동자들의 권리 요구에 대해 무력으로 대응했고, 이주노동자에 대한 체류권의 박탈에 대해서도 국민국가의 권한임을 강조해왔다. 오랜 기간 한국에 체류하면서 사회연결망을 형성하고 한국사회에 깊이 뿌리를 내린 미등록 이주노동자들은 한국으로부터 거부되어졌고, 이주활동가들은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하나 둘씩 한국을 떠날 수밖에 없었다. 이주노동자의 정치적 주체성을 오로지 자본에 의한 착취를 철폐하기 위해 투쟁하는 노동자 계급의 성격만으로 이해한다면 이주노동자의 저항과 투쟁은 한국에서의 기록으로 끝나야할 것이다. 그러나 이주노동자를 초국적 저항주체로 이해한다면 이주노동자운동의 기록은 계속되어져야한다. 한국에서 이주운동의 경험과 이주운동에 참여하면서 맺는 사회연결망은 귀환 후 자국에서의 사회운동을 만들어 내는데 크고 작은 영향력을 미치고, 이는 곧 국제 연대의 국제적인 실천의 장이 되고 있었다. 이주활동가들에게 있어서 한국에서 이주운동의 경험은 단절된 것이 아니라 귀환 이후에도 다양한 형태의 운동으로 재현되고 있으며, 노동자의 계급적 정체성은 다중적 정체성으로 재구성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이주활동가들의 귀환 후 삶을 조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초국적 저항주체로서 살아가고 있는 이주활동가들의 귀환 후 삶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귀환이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귀환은 삶의 연속성을 잃어버리는 정신적 고통과 심리적 불안을 낳는다. 한국에 오랫동안 체류한 이주노동자들은 한국사회가 문화 정서적으로 더 친숙했고 편안했으며, 오히려 고향같이 느꼈다. 이렇게 한국에서의 사회문화적 삶이 익숙한 이주노동자들에게 출국은 뿌리 내린 곳에서의 뿌리뽑힘의 과정이었다. 귀환은 고향으로 돌아가는 과정이 아니라 다시 고향을 새롭게 만들어야하는 시작의 자리인 것이다. 그러나 귀환을 단순히 뿌리뽑힘의 고통만으로 규정할 수는 없다. 이주를 통해 자아인식이 확장되고 귀환 후에도 모국만을 삶의 준거로 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과 모국을 연결하는 더 넓은 초국적인 사회의 장에서 사회관계를 맺고, 행동하고, 정체성을 발전시키며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귀환 이주활동가들은 ‘뿌리뽑힘’의 고통을 넘어서 초국적 이주자로서의 삶의 공간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한국과 모국이 연결되는 중간지대를 요구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노동운동의 경험, 한국에서 꿈꿔왔던 삶이 단절되지 않고 이어지는 위로받을 수 있는 초국적 공간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네팔에서는 실천적 중간지대로 한국과 연관된 지역개발사업을 위한 비하니바스티와 아시아문화인권개발포럼과 같은 사회복지기관이 있고, 노동운동가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의식적인 중간지대로는 지펀드라는 노동조합 총연맹이 있다. 또한 한국어와 한국음식 등 문화적 향수와 정서적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문화적 중간지대는 한국어 관광 가이드라는 공간이 그 역할을 담당했다. 이곳은 한국사회 한국인과의 삶이 연결되는 초국적 공간이었고, 이곳에서 정체성을 재형성해 나가며 내부 사회로의 진입을 준비할 수 있는 공간되기도 했다. 그러나 방글라데시에서는 네팔과 같은 초국적 사회적 공간인 중간지대가 형성되지 않았다. 노동조합의 부재, 방글라데시 한인 사회의 폐쇄성, 이슬람 사회에 대한 한국인의 거리감, 귀환 활동가들 사이의 반목 등이 중간지대를 형성되지 못한 주요인이 되고 있다. 방글라데시 이주활동가들은 삶의 박탈감을 경험하며 개별적 일상으로 돌아갔고, 미래에 대한 전망과 비전도 파편화 되는 경향이 있다. 셋째 귀환 이주활동가들은 각자 자신이 서 있는 자리에서 사회적 조건과 역할에 맞는 사회운동을 만들어 나가고 있었다. 풀뿌리 조직에 기반을 둔 신용협동조합 운동과 지역 운동, 계몽적 지식인으로서의 정체성과 과거 교사의 경험을 살려 낸 교육 운동, 한국에서의 이주노동자 경험을 살린 노동운동과 한국으로부터의 경제적 지원을 통해 추진되는 빈민지역개발운동, 아동 NGO 활동, 새마을 운동들도 있다. 이러한 사회운동들은 노동자 정체성을 사장시키는 것이 아니라 노동자 정체성 위에 새로운 정체성을 재형성하도록 했다. 이주활동가들은 노동자이며 동시에 다양한 직업군에 속하는 경제인이고 동시에 사회운동가라는 다층적이며 다중적 정체성을 지닌다. 넷째 귀환 이주활동가들이 참여하고 있는 사회운동은 한국으로부터 물적 지원을 받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귀환 이주활동가들은 한국과 지속적인 사회연결망을 유지하고 있었는데 이 관계망을 통해 사회자본이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되고 있었다. 사회연결망의 형성 공간은 한국에서의 이주공동체 활동이나 농성이 중요한 역할을 했고, 귀환 후 현지의 한국인 또는 한국단체와도 새로운 사회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다. 한국에서 개방적인 사회 연결망을 형성한 네팔 이주활동가들은 폐쇄적인 사회연결망을 형성했던 방글라데시 이주활동가들보다 질적으로 양적으로 더 많은 사회자본을 동원하고 있었다. 다섯째 초국적인 사회자본의 형성은 한국 시민사회 단체의 운동 방향과도 맥을 같이한다. 최근 이주노동자상담 단체는 물론이고 종교, 노동조합, 교육 예술 계 등 각 분야마다 아시아와의 연대를 중요한 과제로 채택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운동의 경험을 토대로 아시아와 연대하고자 할 때 귀환 이주활동가들과 이들의 사회운동은 한국단체들에게 좋은 활동의 터전을 제공해 준다. 한국의 활동이 아시아 연대로 옮아가면서 사회자본도 함께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검색어 : 귀환, 이주노동자, 이주운동, 네팔, 방글라데시, 이주노조, 귀환프로그램, 초국적 사회자본, 초국적 사회운동, 이주노동자 농성, 이주노동자 공동체

      • 해방 후 한반도 거주 일본인 귀환에 관한 연구 : 점령군·조선인·일본인 3자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이연식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Abstract〕 A Study on the Repatriation Process of the Japanese in Korea after Liberation YI Yeon-Sik There lived about 700,000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who began to repatriate to their mother land just after the defeat of World War Ⅱ. This paper deals with the repatriation process of japanese settlers as an end of Japanese Empire in korean peninsula. Chapter 1, performs the statistical survey of the ways of living through change of the population, native places, occupational distribution, and their residence distribution in korea. through the survey, we ascert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as settlers, about 3% of korean population monopolized high post of governmental organization and well-paying jobs. And they lived mainly colonial metropolis and urbane area(Bu and Jijong-Meyon), where there are so many infrastructures like high and modern buildings, transport and water and power supplies. Chapter 2 and 3, the survey of policies of Japanese Government-General, USAMGIK, and Soviet Army. Japanese Government-General made use of japanese army for public order, and issued plenty of bank-notes to prevent the crisis of moratorium. And then made some leaders of japanese community organize Relief Society(Nihonjin-Sewakai) all the provinces in Korea for the purpose of support the repatriation of japanese settlers in korea. USAMGIK repatriated the disarmed soldiers as soon as possible, and then the civilians. On the other hand, Soviet Army ordered all the japanese in north to move, after that send all the men from the age of 16 to 40 or so to the other area, for example, Manchuria, Sakhalin, and Soviet territory including Siberia. They were made to carrry the facilities of plant, products, and grains to the soviet territory for rebuild and reconstruction of soviet union. At the time of just after liberation, the korean political organization called Kon-Jun, insist mutual concession between the koreans and the japanese to secure the koreans abroad including japanese islands. But the most of koreans wanted expel the Japanese as soon as possible, because of their illegal conduct, for example illegal shipping, Stow-away, destruction of plant of their own, waste of grains and so on. Chapter 4 and 5, As for japanese settlers in south korea, their community was devided into two parts. One part wanted to repatriate to their motherland for security and settlement in japan. but the other part want to stay in korea for the good time, because they have so much assets and social networks through the long time of stay in colonial korea. By the way, the things changed as the pressure of expel from koreans and USAMGIK, after the order of all the japanese repatriation, they made an exertion to secure favorable condition of repatriation. And the japanese under detention in north korea have been trying to escape from the place where they were to the south of 38。. In conclusion, the repatriation process of the japanese settlers in korea was influced complicatedly by the conflicting repatriation policies between USAMGIK and Soviet army, by koreans with deep anti-japanese sentiments , and by the japanese who wanted to secure or carry out their private properties. Keywords : World War Ⅱ, Repatriate(Hikiage), Japanese, Settlers, Japanese Relief Society(Nihonjin-Sewakai), Korean peninsula, Korea, USAMGIK, Soviet Army, GHQ/SCAP, North Korea, Japanese Government-General. Vested Properties 본 논문은 1945년 8월부터 1946년 12월까지 식민지 시기 조선에 거주하였던 약 70여만 명의 일본인들이 일본 열도로 귀환하는 과정을 ‘한반도 식민자의 소멸’이란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고찰한 시론이다. 본고는 크게 5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에서는 식민지 시기 일본인의 거주 실태를 고찰함으로써 이들이 식민자(settlers)로서 지닌 속성들을 확인하고 집단의 공통적 속성과 다양한 균열 요소가 이들의 귀환방식을 어떻게 규정하게 되었는지를 살폈다. 제2장에서는 일본인 귀환문제를 둘러싼 조선총독부와 미․소군정의 송환 정책을 살폈다. 제3장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조선인 사회의 논의과 주장들을 건준의 자주호양론, 귀환 전 일본인들의 행태 변화에 따른 응징․추방론의 확산, 일본인 재산 처리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살폈다. 제4장에서는 귀환 전 일본인 사회의 동향을 남한지역과 북한지역으로 나누어 살폈고, 제5장에서는 일본인의 귀환과정과 귀환규모, 그리고 사례를 통해 각기 남한과 북한에서 돌아간 일본인의 귀환체험 내용, 이에 대한 인식과 기억을 고찰했다. 미군정은 군사적 관점에서 군인․군속을 최우선적으로 송환했고 민간인은 점령통치에 방해가 되는 집단과 조선인들의 원성이 자자한 집단을 순차적으로 돌려보내는 계획송환 정책을 실시했다. 반면에 소련군은 진주와 더불어 노동력 확보를 위해 일본인들의 이동을 일괄적으로 금지시킨 뒤 청장년기의 남성을 북한지역을 비롯해 만주․사할린․소련본토 등 노동력이 필요한 곳으로 압송하였다. 그로 인해 남한지역과 북한지역의 일본들은 판이한 거류환경과 귀환과정을 경험하게 되었다. 한편 조선총독부는 패전 직후 조선군의 힘을 빌어 치안을 확보하고 통화증발을 통해 대량 예금인출 사태로 인한 모라토리엄 위기를 극복한 뒤, 일본인세화회라는 반관반민조직을 통해 일본인 귀환을 원호하도록 하는 한편, 조선근로동원원호회라는 형식적인 조직을 설치해 해외에서 돌아온 조선인 귀환자들의 불만을 무마하여 궁극적으로 일본인들의 안전한 귀환을 도모하고자 했다. 그리고 남한 각 지역의 일본인들은 초기에는 조선에 잔류하려는 자들도 있었으나, 점차 점령당국의 송환압박과 조선인들의 추방압력이 고조됨에 따라 귀환을 결심하고 보다 유리한 조건에서 귀환하고자 강력한 통역진의 구성, 접대시설의 정비 등을 시도하였다. 반면 북한의 일본인들은 주택 접수에 따라 공동거주를 통한 집단 관리의 대상이 되었고, 집단 노동에 동원되고 잡역에 종사함으로써 빈곤에 처하게 되어 당국의 묵인 하에 1946년 봄을 기점으로 집단 남하를 통해 남한지역을 거쳐 일본으로 돌아갔다. 건준으로 대표되는 해방 초기의 조선인 정치세력은 불필요한 마찰을 줄이고 해외 거류 조선인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자주호양론을 주장했다. 그러나 일본인들의 조선인 살상사건을 비롯해 밀항을 통한 공사유 재산의 횡령․반출이 횡행하자 일본인의 조기송환과 재산 반출 단속을 강력히 요구하였다. 상기한 문제들을 고찰한 결과 해방 후 일본인의 귀환문제는 판이한 송환정책을 실시한 미소 점령군의 절대적 영향 하에서, 일본인들을 하루빨리 돌려보내려는 조선인, 생활기반 상실을 두려워 한 일본인, 이 3자간의 역관계 변화와 연동하면서 지역과 시기에 따라 각기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어(Keywords) : 제2차세계대전, 귀환, 인양(引揚げ), 일본인, 식민자, 일본인세화회, 한반도, 조선인, 미군정, 소련군, 연합국총사령부(GHQ), 북한, 조선총독부. 귀속재산

      • 귀환자와 북한주민들 간의 사회적 갈등에 관한 연구

        오츠카켄지 북한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conflict between returnees from Japan and North Korean People. The study pointes out the repatriation program which North Korean regime was enforced to Koreans in Japan from December 1959. At that time, the compatriots gone over to North Korea faced social and economical difficulties so that they had chose to settle down into their homeland. They were buoyant with expectations to make a fresh life in the homeland. By succeeding in this program, North Korean regime wanted to show the socialism superiority toward all the country in the world and to take the top place in regime competition with South Korea. Without separation from the people in North Korea, the returnees from Japan successfully put down roots in North Korea. Therefore, they could lead a life with the native and thier children was also able to take some parts in school life with the children were members of native tribes. However, the comflict were slowly raised among the returnees and the native in the process of the homecoming program. They took an unfriendly attitude to each other and divided themselves into two groups even using special name. This kind of problems was based on some perceptions caused by different social backgrounds. When the internal comflict among people came to the surface, the two leaders in North Korea, Kim Il Sung and his son and successor Kim Jung Il asserted that the people carried out the repartriation program well with the returnees for themselves. Although the two leader’s persuation, it didn’t exercise influence on that comflict. This study analyzed two main questions. One is how the two groups entered into a connection and the other is which sisuation the conflict apreared on. By focusing on the theme, it shows the character of the social unification in North Korea and also indicates another way to understand North Korean society. 1959년 12월부터 개시된 일본에서 북한으로의 귀환사업에 의해 재일교포 중 9만 3,340명이 북한에 건넜다. 그들은 당시 일본의 사회·경제상황에 어려움에 처해있었음으로 북한으로 이주해서 새롭게 시작할 삶에 대한 기대감을 가텼다. 당시 북한은 자본주의사회에서 사회주의 사회로 귀환자들의 대량유입을 성공시키는 것에는 사회주의의 우위성을 세계에 과시하며 남한과의 체제경쟁에서도 우위를 점하고자하는 목적도 있었다. 귀환사업으로 북한에 건넌 귀환자의 대부분은 한반도남부 출신자이었다. 그러나 북한당국은 처음부터 그들 귀환자자라고 사회로부터 격리하려고는 하지 않았다. 따라서 귀환자들은 북한주민과 함께 생활을 꾸려 나갔으며, 자녀 역시 북한주민의 자녀와 함께 학교를 다녔다. 그러나 귀환자와 북한주민의 사이에는 갈등이 있었다. 귀환사업이 시작되어서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귀환자와 북한주민은 서로를 구별하는 호칭으로 자기 집단과 구별하는 배타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귀환자는 귀환자끼리 어울리며, 북한주민들과 교제하는 것을 어려워했다. 북한주민은 귀환자를 자본주의 사상에 물든 집단으로 인식하였고, 귀환자는 북한주민을 감시와 밀고 등에 대한 의심으로 불신하고 경계했다. 이러한 갈들을 격화시킨 것이 북한당국의 계급정책이었다. 김일성과 김정일은 북한주민들에게 귀환자들과의 사업을 잘 이루기를 반복적으로 독려했지만 그러한 갈등은 해소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귀환사업에 주목하므로서 북한사회 속에서 귀환자와 북한주민이라는 서로 다른 사회적 배경을 가진 두 집단이 서로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인가, 특히 어떤 측면에서 갈등이 생기는지를 파악해서 북한의 사회통합의 특성을 볼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귀환자와 그 생활에 대하여 미시적으로 접근해 북한주민과의 관계에서 북한사회의 역동성을 보는 본연구는 북한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또 다른 바로미터가 될 것이다.

      • 귀환이주자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북미지역에 거주했던 귀환이주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신희정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귀환이주자들은 한국사회에 형성된 새로운 소수자로서, 다수인 한국인들과 함께 공존하는 안전한 정착과 사회 적응을 어떻게 모색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들의 귀환은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국가적 차원에서 한국사회의 중요한 인적자원으로서 당면한 인구감소의 문제성과 구조화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의 사회적응을 위한 귀환 후 연(軟)정착과 통합은 활발하게 논의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북미지역으로부터의 귀환이주와 귀환이주자라는 특정한 집단과 개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들의 생활과 경험을 중심으로 귀환이주자의 문제를 다각도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귀환이주자의 범주는 미국이나 캐나다 출신으로 이주목적, 정착국의 거주기간, 연령, 직업, 성별 등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선정하였다. 또한, 보편성과 타당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국적별, 이주 세대별, 한국에서의 체류 형태별 등 다양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귀환 당시 정착국의 시민권을 소지하거나, 영주권을 소지하였던 경험이 있고, 단독이 아닌 직계가족이나 배우자 등과 동반하여 거주했던 가족단위 이주의 경우로 한정하였다. 참여자들은 30대에서 70대까지의 연령층으로 최소 14년에서 최장 38년까지 거주 후 귀환한 사람들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최초 이주의 사유와 정착국에서의 삶을 집중 분석하였다. 또한 사회·문화적 적응과 갈등, 민족 정체성 등의 연구를 통하여 귀환이주의 발생 원인을 도출하였다. 이는 최초 이주의 사유와 생활상이 귀환이주의 배경과 귀환 후의 삶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귀환이주자들이 겪는 정착과 문화적응의 난관을 논의하며 이를 통한 시사점과 사회통합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귀환이주자를 대상으로 여러 차례의 이주 경험을 심도있게 기술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질적 연구 방법인 내러티브탐구 방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주라는 사회적 행동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를 전개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불명확한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것보다 참여관찰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는 결과의 일반성보다는 참여자들의 생애사를 통한 사례의 구체성과 의미성을 지향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는 설문지와 심층인터뷰 작업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로 하여금 자신의 이주사에 대한 체험적인 이야기를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심층면담의 방법으로 비형식적인 면담과 반구조화 된 면담을 심층적으로 병행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은 범주 합산(Categorical Aggregation)으로 범주화 작업을 통하여 이들의 이야기를 정리하고 이 이야기들을 재구성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참여자들의 이주 이야기를 시간성, 사회성, 장소성이라는 삼차원 차원에서 조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로는 해외에서 연구되었거나 국내에서 연구된 국내외의 귀환이주사례, 문화적응 등을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이 논문의 핵심이야기인 귀환이주이론과 유형론을 비롯한 초국적 이주, 복수국적 및 문화적응과 문화충격, 그리고 이주와 관련된 정체성 이론들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의 본론은 모두 네 개의 장으로 이루어 졌다. 제2장은 개개인의 이야기를 Cerase(1974)의 귀환이주 이론을 바탕으로 범주화하였다. 이 이론은 북미지역 출신의 귀환자들의 삶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이를 현 시대에 맞게 재개념화하여 유형화하였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이들의 자전적 이야기를 개인적, 사회적으로 재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제3장에서는 한국에서 북미지역으로의 이주를 중심으로 이주의 동기와 이유를 살펴보았고, 제4장은 ‘정착과정’의 구체적인 특성과 논점을 분석하였다. 제5장은 북미지역에서 한국으로 ‘돌아오는’ 이주와 관련된 귀환사유, 정착과정, 정착 이후의 삶은 물론 이를 통한 시사점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결론을 통하여 다음 내용을 도출하였다. 참여자들은 개인마다 새로운 언어나 문화, 사회제도 등을 흡수하는 정도가 달랐는데 개인적인 성향과 이주자를 대하는 선주민의 태도가 문화적응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다.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귀환 후 재진입 충격을 겪었는데, 이는 고국의 새로운 모습과 변화된 문화는 물론이고, 주변 사람들의 이해 부족이 원인이었다. 한편, 민족 소속감이나 정체성은 단지 이주 세대나 정착국의 거주기간, 사용언어로 구분지어지는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았다. 이처럼 민족적 정체성의 형성은 고정된 것이 아닌 유동적이었으며, 정체성이란 개인이 느끼는 감정과 생각에 의해서 결정되며 시간의 흐름과 정착 장소에 따라 변화를 겪었다. 또한, 귀환이주자들은 혈연을 중심으로 한 종족정체성보다는 사회 구성원임을 의식하는 시민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귀환의 사유는 정착국에서의 통합 실패, 이주 목적 달성, 은퇴, 역동적 삶 추구 등이었다. 귀환 후의 만족성은 높은 편이었는데, 참여자들의 연령이 높을수록 사회복지제도의 효율성을, 연령이 낮을수록 사회적 역동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이들 중 일부는 재이주를 고려하거나 계획 중에 있으며, 그 이유로는 사회·문화적 갈등과 정착국 가족과의 이산 등이 주요 요인이었다. 참여자들은 대부분 정착국의 국적을 유지하고 있었고, 이중 65세 이상자들은 복수국적을 취득하였다. 한국 국적보유 사유는 대부분 한국의 복지수혜 등 한국정착 시 편리성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자는 귀환이주자들이 사회의 일원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한국인의 ‘국민됨’의 이해가 필요하며, 선주민과 귀환이주자들의 이해관계가 상충하지 않는 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로써 본 연구는 북미지역 출신 재외동포의 귀환이주자의 삶을 탐색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정착과 이후의 문제점을 개선시키는데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본 연구는 이에 관한 선도적 연구로서, 향후 한국으로의 귀환이주를 희망하는 재외동포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효율적인 이주환경 조성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본다. 또한 지금까지 연구되지 못한 북미지역 출신 귀환이주자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통하여, 귀환이주자들이 한국사회에서 안착하고 시민이자 공동체의 일원으로 ‘더불어 사는’ 사회를 이루는데 있어 상호간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귀환국군포로 생애사 연구 : 끝나지 않는 이산

        임순희 북한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Korean society has a tendency to forget about the victims of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as well as those who are living as social minorities as a result of this division. The issue of the marginalized postwar population is not astrictly individual, one-dimensional one; rather, it is a communal one intertwined with the Korean history and society, carrying the painful legacy of Korea’s continued division. This study seeks to observe the realities of Korea’s division and reflect on its consequences, specifically by looking closely at the life stories of three returned prisoners of war through significant historical benchmarks such as division and war, Cold War, and the post-Cold War period. The prisoners of war introduced in this thesis share a commonality in that they all fully experienced and survived the division of Korea. All three of the prisoners of war fought in the Korean War and experienced the battlefield. They were forced to relinquish the opportunity to return to South Korea as the postwar national division solidified and had to adapt to their new status as North Korean citizens. However, the collapse of the socialist economy, along with the beginning of the Arduous March, broke down the security and strength of the border, rendering the once-impossible return to South Korea a possibility. In this context, repatriation means that one’s detainment in North Korea has ended, one has fully served his military service, and one has reconnected with his family in South Korea. However, the repatriation process that these prisoners of war experienced did not align with this traditional, "problem-solving" perspective of repatriation. The society that the prisoners of war returned to in sixty years was too unfamiliar; as they were forced to confront sensitive financial issues such as property rights and compensation,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members quickly broke down. The men also suffered from guilt as they longed for their second family left behind in North Korea. These shared experiences demonstrate how much the history of Korea’s division manifests itself in the lives of the people. On the other hand, although subject to same historical conditions, the lives of these three prisoners of war unfolded in different ways. Within the testimonies of these prisoners of war, many experiences are intertwined; discrimination faced as a prisoner of war, conditions faced by a coal mine worker, emotions of being separated from one’s family and home, building a new family in North Korea, and the joys of visiting one’s hometown all shaped their life stories in one way or another. This shows how the life stories of these prisoners of war are accurately representative of Korea’s modern history, but at the same time, have unique and idiosyncratic characteristics. Within the similar, yet distinct life stories of the three prisoners of war, family surfaced as a common theme. All of the prisoners of war experienced different formats and variations of family throughout their lives, accompanied by a permanent separation from a section of their extended families at any given time. Ever since the Korean peninsula split into two nations, the prisoners of war have been experiencing an unending continuation of separation, missing their families in the south when in the north and vice versa. The findings presented in this study demand a deeper introspection and examination into the current policies about and discussion surrounding prisoners of war in South Korean society. It is deeply problematic that South Korea has been unable to properly deal with the issues presented by prisoners of war in the sixty years that have followed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However, a discussion focused on repatriation simply fixes the perspective of many people on the situation sixty years ago, failing to give weight to the value of the specifics of daily life and the relationships that the prisoners of war built while in North Korea. In addition, these discussions often do not address the different problems that returned prisoners of war face in adjusting to life in South Korea, including re-separation. To ignore these personal intricacies and pursue a straightforward repatriation process would, in fact, highlight and reproduce more of the problems that arise from division. If society truly understands the unique and complicated situation that returned prisoners of war face, a more comprehensive policy involving facets such as more frequent reunions and appropriate welfare measures should be pursued, rather than the oversimplified repatriation that is often brought up. Most importantly, society as a whole must reflect on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cultural consequences, which to this day continue to manacle the returned prisoners of war into a situation of continuing separation. 본 연구는 귀환국군포로 3인의 생애사 분석을 통해 이들이 분단과 전쟁, 냉전과 탈냉전의 역사적 과정 속에서 어떠한 삶을 살아왔고 또 이를 어떻게 의미화 하는지 살펴봄으로써 분단 현실과 그 효과를 성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 소개한 귀환국군포로들은 한반도 분단의 역사를 온몸으로 살아낸 사람들이다. 이들은 6.25 전쟁에 참전하여 치열한 전투를 경험했고, 휴전 이후 분단이 고착화되면서 남한으로의 귀환을 사실상 포기하고 가정을 꾸려 북한 인민으로서의 삶을 살아야 했다. 그러나 사회주의 경제권 붕괴와 함께 시작된 고난의 행군은 국경의 경계를 일부 허물었고 불가능해보였던 ‘귀환’을 가능하게 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귀환’은 북한에 의한 억류를 벗어나 귀향하여 꿈에 그리던 가족과 만남으로써 문제가 해결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들이 겪은 귀환은 ‘문제해결’의 상황이 아니었다. 60년 만에 돌아온 사회는 낯설기 짝이 없고, 오래 헤어져 있었던 가족들은 재산권, 보상금 등의 경제적 이해관계 등으로 인해 남보다 못한 사람들이 되었다. 북한에서 꾸린 가족과는 새로운 이산가족이 되어 죄책감과 그리움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공통적인 경험과 이야기는 이들의 삶에 구현된 한반도 분단의 역사를 잘 드러내 준다. 한편 이들의 이야기는 동시에 동일한 역사적 조건에서도 서로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꾸려온 개인으로서의 이들의 삶을 드러내고 있기도 하다. 실제 구술자들의 이야기를 자세히 들어보면 국군포로로서 차별받았던 삶, 탄광노동자로서 대우 받았던 삶, 고향과 가족을 그리워하며 살았던 삶, 북한에서 새로 형성한 가족들과 어울려 살아온 삶, 고향을 찾게 된 기쁨, 재이산의 슬픔 등이 얽혀 있다. 이는 이들의 생애가 한반도의 근대사라는 거시적 사회사의 반영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개별적 특수성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렇듯 서로 유사하지만 동시에 다른 이들의 생애사 속에서 핵심 화두로 등장한 것은 “가족”이었다. 구술자들은 생애를 거쳐 다양한 가족을 경험하였고, 그 가족 중 항상 부재하는 가족을 그리워하는 디아스포라적 삶을 살았다. 이들은 분단 상황 속에서 북에서는 남의 가족을, 남에서는 북의 가족을 그리워하는 “끝나지 않은 이산”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발견은 한국사회의 국군포로 관련 정책과 담론에 대한 성찰을 요구한다. 휴전 이후 60여 년 동안 한국사회가 국군포로문제를 제대로 다루지 못한 것은 문제적이다. 하지만, ‘귀환’ 중심의 담론은 국군포로 문제를 ‘60여 년 전’ 의 시점에 고정시켜 이들 각자에게 60여 년 동안의 '구체적인 일상'과 그 안에서 맺어온 ‘관계’ 가 있었음을 사상하게 만든다. 또한 이러한 담론은 실제 귀환한 국군포로들이 한국사회 정착과정에서 겪는 여러 가지 어려움, 특히 ‘재이산’ 등의 문제를 외면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삶의 모습을 외면하고 단순한 귀환을 추구하는 것은 끊임없는 이산을 초래하는 분단의 문제를 재생산, 현재화하는 것일 수도 있다. 남북 분단의 비극으로 인해 반세기를 남한의 가족을 그리워하며 살아왔지만, 귀환한 남한에서도 여전히 부재하는 가족을 그리워하며 이산을 경험하고 있는 귀환국군포로의 삶을 이해한다면 “송환”이라는 하나의 답안을 추구하기보다는 정기적 상봉이나 고향방문, 남북 어디서든 편안한 노후를 맞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등 다양한 형식을 함께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들을 “끝나지 않는 이산”에 속박시키는 한반도 분단과 분단문화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 해방 이후(1945~1977) 사할린 한인의 정착과정과 귀환운동

        이상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8.15 해방은 일제강점기 여러 가지 이유와 경위에 따라 조선을 떠난 조선인들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한 대사건이었다. 그 가운데 일제 말기에 강제동원으로 사할린(樺太)에 끌려간 사람들과 경제적 이유 때문에 임시로 거기까지 건너간 사람들이 있었다. 이들은 두말할 것 없이 재빨리 고향 땅을 밟고 싶어 하였다.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 종식과 더불어 시작된 냉전이란 냉혹한 국제질서는 이들의 귀환을 허용하지 않았다. 이들은 일본의 귀환의무 회피와 소련에 의해 사할린에 억류되었다. 이 글은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하였던 사할린 한인의 귀환열망을 키워드로 삼았다. 해방 직후부터 1977년까지 이들의 소련사회 정착과정에서 내외부적 요인에 따른 귀환열망의 변화 및 표출 양상을 집중적으로 검토하고 귀환운동과 그 결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 재외동포의 귀환정착지원에 관한 연구

        전영순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오늘날 대한민국은 심각한 저출산ㆍ고령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국가통계 포털에 의하면 2020년 말 기준 출산율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래 0.84명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저출산 문제에 더하여 인구정책 관점에서 더 부정적인 것은 우리나라의 인구구조에서 노령인구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시간이 갈수록 더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OECD 국가인구지표에 의하면 한국은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으며 2025년이면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20%가 넘는 초고령화 사회에 이를 전망이다. 급격한 인구감소는 재외동포를 인구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열쇠로 보게 되었다. 대한민국은 자국 인구대비 재외동포 수가 많은 국가 중 하나로 대한민국 전체인구의 14.4%에 해당하는 약 750만 명의 재외동포를 보유하고 있다. 비단 해외에 거주하는 동포의 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 193개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이들은 훌륭한 미래의 인적자산이다. 2020년 기준 국내 체류 재외동포 수는 약 81만 명으로 그 규모는 앞으로도 더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제는 더 이상 재외동포를 동포ㆍ민족애라는 관점에서 고국 방문의 기회를 부여하고 잠시 머물다 떠나는 존재로 볼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재외동포를 대한민국에 정착하도록 하는 방안 마련이 절실해지게 되었다. 대한민국으로의 재외동포 귀환 이주는 90년대 초 한러수교와 한중수교 이후 그동안 금지되었던 사회주의국가 진영에 거주하던 재외동포가 한국으로의 입국이 가능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재외동포의 귀환 이주는 대한민국 건국 이전에 해외로 이주한 중국 및 중앙아시아지역 동포들이 2004년 3월 5일 「재외동포법」 개정을 통해 재외동포(F-4)로 인정되면서 해당 지역 동포를 중심으로 국내로의 귀환이 이루어졌다.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2007년 중국 및 중앙아시아지역 동포들을 위해 단순·노무 분야에서 일할 수 있는 방문취업제(H-2)를 도입하였다. 이를 계기로 본격적인 재외동포의 귀환 이주가 시작되었으며 그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어 귀환 이주 동포에 대한 안정적인 정착지원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대한민국이 직면한 저출산ㆍ고령화 문제를 재외동포를 통하여 해결하고자 기획되었다. 이를 위하여 이 글은 재외동포가 대한민국으로 귀환하여 안정적으로 정착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찾는다. 연구의 범위는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하되 경제활동 및 교육·가족결합 등의 이유로 모국으로 귀환하여 정착하고자 하는 귀환(歸還)동포를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재외동포 현황 및 통계자료 분석, 재외동포를 규율하고 있는 법제 분석, 해외의 재외동포 정책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귀납법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한민족 이산의 과정과 역사를 개관하고 각국에 체류하고 있는 재외동포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둘째, 재외동포의 국내 체류 현황과 재외동포의 체류자격 제도 및 지원 법제 현황을 살펴본 후 이들의 안정적 귀환을 위한 지원방안을 찾기 위하여 해외의 귀환정책을 탐구하였다. 셋째, 앞의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귀환이주 재외동포의 구체적인 정착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귀환이주 재외동포의 구체적인 정착 지원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재외동포에 관한 정책을 종합적으로 심의하고 조정하는 조직으로 ‘재외동포정책위원회’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그동안 ‘재외동포정책위원회’는 1996년 설치된 이후 설립취지와는 다르게 그 역할을 충실히 하지 못하였다. 이제라도 ‘재외동포정책위원회’는 연간 1회 이상의 위원회 소집을 의무화하여 재외동포에 관하여 균형 잡힌 정책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재외동포재단의 역할로 귀환 이주를 희망하는 재외동포에게 ‘귀환동포 종합상담센터’를 설치하여 귀환이민의 절차와 정착지원 안내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재외동포 귀환정착 지원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행정안전부장관 소속으로 ‘동포청’을 둘 것을 제안하였다. 현재 대한민국은 국내에 귀환 정착하고자 하는 재외동포를 전담하여 지원하는 소관 부처가 없고 해외에 체류하고 있는 재외동포를 지원하기 위한 업무도 다양한 부처에서 처리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에 정착하고자 하는 재외동포는 그동안 어떤 주목도 받지 못하였다. 따라서 재외동포의 국내정착을 관장하는 소관부처를 설립하고 조직을 세우는 것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행정안전부에 동포청을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이렇게 되면 행정안전부는 현재 가지고 있는 조직을 이용하여 국내에 정착하고자 하는 재외동포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재외동포(F-4) 비자의 경우 단순노무업종을 허용할 것과 방문취업(H-2) 비자의 체류기간의 상한 제한 4년 10개월 요건을 폐지하여야 한다. 여기에 더하여 방문취업(H-2) 사증을 보유한 외국국적동포가 체류 기간을 연장할 시점에서 이들이 체류자격을 재외동포(F-4) 비자로 변경하기를 희망하는 경우 체류자격 변경을 허용하여야 한다. 넷째, 공공임대주택 지원자의 범위를 넓혀 귀환 동포 영주권자에게도 임대아파트 및 임대주택지원 기회를 제공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와 더불어 영주권자가 아니어도 귀환 동포 중 농어촌에서 장기거주를 희망하고 농림어업에 종사하길 원하는 경우, 방문취업(H-2) 또는 재외동포(F-4)에게 농어촌 빈집을 정비하여 장기 민간임대주택 또는 공공임대주택 등의 지원을 통하여 이들의 주거문제를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재외동포 자녀의 영유아보육 및 교육과 관련하여 보육료, 아동수당 및 양육수당을 지원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다문화정책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어 수업시간을 현행 주 10시간 내외에서 운영되는 수업시간을 주 14시간으로 최소한의 한국어 수업시간을 확보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일반학교에 입학한 중도입국자녀 및 외국인 자녀에게도 한국어 지원을 위해 한국어 강사의 수를 늘리고 학기별 계약제로 운영되기보다는 적어도 1년 이상의 기간제로 운영하여 안정적 근무형태를 갖추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에 더하여 현행 다문화가족에게 지원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 방문서비스 제도를 귀환 동포 자녀들에게도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한민국으로 귀환하여 정착하고자 하는 재외동포에게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의 피부양자 범위를 현행 ‘배우자 및 미성년 자녀’에서 ‘배우자와 부모 및 자녀’로 확대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그동안 대한민국은 헌법전문에서 강조된 “동포애로써 민족의 단결”을 공고히 할 것을 소명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귀환을 희망하는 재외동포에 대하여 거의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다가 현재 저출산ㆍ고령화로 인구절벽에 직면하여 비로소 재외동포의 귀환 정착지원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이제라도 대한민국은 민족ㆍ동포에 관하여 헌법전문에서 명시한 소명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현재 직면하고 있는 저출산ㆍ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외동포가 대한민국으로 귀환하여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Nowadays, the Republic of Korea is facing serious problems regarding the extremely low birth rate and rapid increase of aging population.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Research, the fertility rate as of end of 2020 is 0.84. This number is symbolic, because it is the lowest ratio ev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Korean government. As mentioned already, in addition to the low birth rate problem, the more devastating factor from the perspective of population policy is that the proportion of elderly population of Korea's demographic structure is increasing significantly. Korea has already entered into an aging society, according to the OCED National population Index, and is expected to reach a super-aged society by not that faraway future of 2025, with more than 20% of the national population of 65 or older. The rapid decline in population has lead to think of overseas Koreans as an important key to solve the population problem in Korea. The Republic of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with a large number of overseas Koreans compared to its national, domestic population. Approximately, there are 7.5 million overseas Koreans and this is 14.4% of the entire Korea's population. Not only there a large number of Koreans living abroad but they are very evenly distributed in 193 countries around the world. Overseas Koreans is not only important quantitatively, but also important qualitatively. As of 2020, the number of overseas Koreans residing in Korea is estimated to be about 810,000. This number of scale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they are the excellent future human assets of aging Korea. This is the golden time to discuss measures to settle overseas Koreans in Korea and change the thought they are like guests who visit Korea once in a while and leave back to where they live. The return of overseas Koreans to Korea began when overseas Koreans living in the socialist country were allowed to enter Korea. This became possible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Russia and China in the early 1990s. On March 5th, 2004, through the revision of the Overseas Koreans Act, those individuals who moved abroad to China and Central Asia before the establishment of Republic of Korea has been recognized as overseas Koreans(F-4) and they began to return back to Korea. Since then,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the visiting employment system(H-2) in 2007 for overseas Koreans in China and Central Asia, providing them opportunity to work in simple, labor fields. These two incidents triggered the full fledged migration of overseas Koreans and the number of returning individuals is increasing annually. The needs to create institutional mechanism to support stable settlement for the returning overseas Koreans is becoming the national task. This study is designed to solve the Republic of Korea problems of low birth rate and aging problem through overseas Koreans. This article suggests various ways to support returning overseas Koreans to successfully settle in Korea. It's range targets overseas Koreans and of them, the main focus is on those individuals who wish to return to their home country, in this case, the Republic of Korea, due to the economic, educational, family issues. Based upon the literature research,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current status of overseas Koreans, analyze statistical data and related legal terms and compare global policies regarding overseas population. In the end, it uses inductive methods to derive measure to improv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ly, this stud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process and history of the migrate of Korean peninsula and determines the current status of overseas Koreans residing in many different countries all around the world. Secondly,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overseas Koreans living in Korea, qualifications of earning the overseas Koreans and legislations, and explore foreign return policy. Thirdly, this study proposes specific supporting plans for the returning overseas Koreans settlement based on the research don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is study offers as follows. Firstly, the 'Overseas Koreans Policy Committee'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erms of comprehensively deliberate and coordinate overseas Koreans policies. Since the establishment in 1996 until now, this 'Overseas Koreans Policy Committee' has, unlike the purpose of its' establishment, not faithfully served its' duty. From this moment on, beginning with the mandatory yearly convocation of the committee, the 'Overseas Koreans Policy Committee' should utilize all of the resources and put its' maximum effort to establish a well-balanced policy plan for the overseas Koreans. In addition, the Overseas Koreans Foundation should establish a center to provide the comprehensive counseling and support service not limited to but including providing procedural assistance and settlement information for the overseas Koreans who wish to return to Korea. Secondly, a "Office for Overseas Koreans" should be officially established under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o solely manage the supporting work of returning overseas Koreans to successfully settle. Currently, the Republic of Korea doesn't have a competent or professional department dedicated to help overseas Koreans who want to return back to Korea. While Koreans living abroad receive at least some kind of service to support them throughout many different ministries, overseas Koreans who wish to settle in Korea have been out of focus for so long. Thus, it is an urgent matter to establish a competent ministry in charge and establish an organization to look after the returning overseas Koreans. In this study, it recommends to establish the "Office for Overseas Koreans" in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o effectively utilize existing resources to reach the goal of supporting overseas Koreans who want to settle in Korea. Thirdly, in case of overseas Koreans (F-4) visas, simple and labor related job opportunities should be allowed and upper limit of period of stay, 4 years and 10 months, for visiting employment (H-2) visa should be abolished. Furthermore, when the overseas Koreans with foreign citizenship, who possess the visiting employment visa (H-2), wish to change their residence status to overseas Korean (F-4) visa at the time of extension of the stay in Korea, then it should be permitted. Fourthly, the range of public rental housing applicants should be widely expanded to include permanently returning overseas Koreans as well. They also be guaranteed of at least the opportunities for the rental apartments and rental housing support. For those overseas Koreans who are not permanent residents but wish to stay long enough at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industry, vacant houses should be appropriately provided through long term either public or non-public rental housing and solve their housing problems. Fifthly, child care fees, child allowances, and child care allowances should be supported. Moreover, the current 10 hours of Korean language class at Multi-cultural policy school should be lengthened to 14 hours per a week to ensure the minimum necessary studying hours to learn a language. The number of natives teaching Korean language should be increased to provid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for students who registered general school in the middle of semester as well as foreign children of different nationality. The working condition for these instructors should be stable such as at least a guaranteed one-year period not as a semester-by-semester contract basis for the betterment of students.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visiting service provided to the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also be equally provided to returning overseas Koreans families. Lastly, the current range of dependents of local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from 'spouse and minor children" should be expanded to "spouse and lineal ascendant and descendant" for overseas Koreans who wish to return to Korea and settle down. Although "unity of the people as compatriots" is clearly stated in the Constitution, the republic of Korea has barely paid any attention to overseas Koreans. Nonetheless, as the entire country is facing the urgent agenda of solving the population cliff problems, the need to support the return overseas population to reside in Korea is becoming greater and greater. To solve the problem of aging society and low birth rate, active efforts should be institutionally, legally, environmentally made to embrace overseas Koreans within the range of Korean population, indiscrimina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