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軍소음보상 민군갈등 해결방안 실증연구 : 육군 비행장 · 사격장 소음보상을 중심으로

        박종남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軍소음보상 민군갈등 해결방안 실증연구 - 육군 비행장·사격장 소음보상을 중심으로 - 단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갈등관리전공 박 종 남 지도교수 : 가 상 준 본 논문은 軍소음보상 입법과정 고찰을 통해 민군갈등 원인을 알아보고 해결방안을 제시해 보는 것이다. 군용비행장과 사격장은 국가안보라는 공공 재와 소음불편, 재산권 침해라는 사익이 충돌되어 비용과 편익이 불일치되는 대표적인 시설이다. 이에 軍은 군시설의 소음방지와 효율적인 피해보상을 목 적으로 군소음보상법을 시행(2020. 11월)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매년 천억원 이상의 보상금을 지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민군갈등은 더욱 심해지고 있 다. 이는 갈등해결을 위해 입법이 이루어졌지만 갈등이 해결되지 않은 사례 로서 왜 입법은 기존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였으며 갈등을 증폭시켰는지 알 아보는 연구가 필요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軍갈등관리 담당자에 의해, 입법 과정의 관점에서 갈등원인을 실증해 보고 해결방안을 제시한 최초 사례라는 점과 향후 법 개정과 국방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 가능하다는 점 에서 실용적·학문적 공헌효과가 기대된다. 이를 위해 공공(민군)갈등, 비선호시설 갈등특성 및 원인, 군사기지 및 시설 갈등, 갈등해결기제로서의 입법 관점에서 이론적 배경과 현장 민군갈등 실태 를 확인하여 현실적이고 가능성 있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군소음 보상 입법시 군사시설 주변(도시, 비도시) 주민들과의 소통 부재 및 주민참여 부족이 민군갈등을 초래한다. 둘째, 군소음보상 입법시 소음대책사업과 주민 지원사업의 제외가 차별적 법률로 민군갈등을 촉발한다. 셋째, 군소음 피해 보상 범주에 진동피해 보상문제를 간과한 불합리한 보상 방식이 민군갈등을 초래한다. 넷째, 군소음 피해보상 범주에 가축피해 보상이 미고려된 불합리 한 보상방식이 민군갈등을 초래한다. 다섯째, 군사시설 즉, 국방을 위해 지역 과 주민들의 희생이 당연하게 고려되고 있다는 인식이 민군갈등을 초래한다 는 연구 문제로 검정해 보았다. 연구방법은 국내 다른 보상법과 비교하여 형평성과 차별성 차원에서 고찰해 보고, 국회 입법과정간 소통 및 참여, 보상수준 형평성과 차별성, 불합리한 보 상방식, 주민 희생에 대한 당연한 인식 논의 관점에서 민군갈등 원인을 규명 해 본다. 또한 실제 지역주민과 현장 전문가의 설문(인터뷰)조사를 통해 군소 음보상법에 대한 만족도, 주민 인식, 갈등원인, 해결방향 등 현장 의견을 들어 보았다. 먼저 입법과정에 대한 가설 검정결과로 첫째, 입법과정에서의 주민 소통과 참여부족은 군사시설 밀집지역인 접경지역의 비도시 주민 중심으로 주민 무 시와 소외감을 느끼게 됨으로서 민군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둘째, 소음대책사업과 주민지원사업의 제외는 민간 항공소음방지법 을 포함한 국내 다른 보상법과 비교시 형평성과 차별성 문제에서 민군갈등 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확인되었다. 셋째, 피해보상 범주에 진동피해 문제가 누락된 것은 육군 대형사격장 피탄지 진동과 접경지역 마을로 상시 이동하 는 궤도장비의 특성이 보상에 미반영됨으로서 민군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피해보상 범주에 가축피해 보상 누락은 접경지역 비도시 특성상 농·축산업과 자가 가축사육 농가 다수로 생·부업 피해에 따른 주민 생계와 직결되는 문제가 있었다. 다섯째, 국방을 위한 주민들의 희생이 당연하게 고려되고 있다는 인식은 다른 보상법에 비해 낮은 보상수 준과 국가안보라는 중요한 공공재를 국가재정 한계만으로 우선 고려한 정책 적 결정에서 비형평적·차별적 민군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현장 의견수렴 결과, 군소음보상법에 대한 만족도로 지역주민은 89.1%, 현장 전문가 72.5%가 불만족으로 나타났으며, 불만족 이유로는 지역 주민은 낮은 보상수준, 현장 전문가는 주민참여 부족과 소외감이 크게 나타 났고, 다른 보상법에 비해 차별적이라고 느끼는 주민은 71.7%로 나타났다. 또한 군소음보상 민군갈등 원인에 대한 인식 순위는 ① 당연한 희생인식 – ② 소통 및 참여부족 – ③ 주민지원사업 제외 – ④ 가축피해 보상누락 – ⑤ 진동피해 보상누락 순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물질적인 보상에 대한 문제보 다도 지역적 희생과 주민참여 부족에 대한 불만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어 향후, 법 개정 및 정책 추진간 참고해야 할 시사점이라고 볼수 있을 것이다. 가설검정과 현장 의견수렴 결과를 토대로 민군갈등 해결방안을 입법적 측 면, 국방정책과 연계한 단계적 추진 측면, 민관군 협력체계 구축 및 유지 측 면이라는 세가지 해결방안 측면에서 제시해 보았다. 첫째, 입법적(법 개정)측 면에서는 총 8가지의 법 개정안을 제시해 보았다. 특히, 궁극적으로 군사시 설 완충지대 확보를 통해 소음원과 소음노출자를 분리시켜 근본적인 군소음 문제를 해결하는 내용을 포함하였다. 둘째, 국방정책과 연계한 단계적 추진 은 법 개정, 국방정책 반영, 민관군 협력체계 구축이 종합적이고 단계적 되 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지역 공동체와 신뢰 및 협력을 바탕으로 민관군 협력체계 구축 및 유지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군소음보상 민군갈등 원인은 입법의 편협함과 급조로서 소통 과 참여 부족, 차별적인 보상수준, 불합리한 보상방식, 국방을 위한 군사시설 주변 주민의 희생이 당연하게 고려되고 있다는 인식에서 갈등원인을 규명해 볼 수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법 개정, 국방정책과 연계한 종합적 이고 단계적 추진방안, 민관군 협력체계의 구축과 운영이 필요하며 이를 통 해 軍은 군사활동의 안정된 기반 여건을 보장받고 民은 쾌적한 생활환경과 적정한 보상을 보장받으면서 官은 주민의 생활 편익을 추구하는 민관군이 지속가능한 상생협력의 공존 생태계가 유지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공공갈등 및 민군갈등, 비선호시설 갈등 특성 및 원인, 갈등해결 기재로서 입법, 군소음보상(법)

      • 군소로부터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추출 정제 및 세포주를 이용한 기능성 탐색

        윤보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Chondroitin sulfate와 heparin등의 GAGs는 포유동물의 조직에서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포유동물이 주 원료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여러 가지 질병으로 인한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 단점으로 인해 그 대상이 해양생물로 바뀌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 또한 원료의 단가가 매우 높고 주원료인 상어, 고래, 다랑어류의 어획량이 감소하고 있어 대체 자원의 탐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해안 일대에서 여름철에 어획되어 부산과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특정 지역을 위주로 소비되는 군소를 이용해 GAGs를 추출 정제하고 그 기능성을 검색하고자 하였다. 군소의 PS 추출에서 가수분해 효소로는 Flavourzyme 500 MG가 가장 우수하였다. 당도 및 ethanol 사용량에 따른 영향을 알아본 결과 Brix는 60일 때 가장 우수한 추출율을 나타내었고, ethanol 사용량은 5배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인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군소 PS를 위한 최적 조건은 Flavourzyme 500 MG를 이용하여 60℃에서 15시간 반응 후 Brix를 60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ethanol을 5배량 사용이었다. Ion-chromatograpy를 통해 정제된 군소 GAGs는 N-acetylglucoamine, N-acetylgalactosamine이 70% 이상을 차지하는 다당복합체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주 구성분이 heparin 또는 heparan sulfate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군소로부터 추출한 PS와 정제한 GAGs의 기능성을 확인해 본 결과 대식세포주인 RAW 264.7을 통해 세포독성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NO 생성량, TNF-a, IL-6 생성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군소 PS와 GAGs는 대식세포를 직접적으로 활성화 시켜 면역증강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암 세포주인 AGS를 통해 100 μg/mL 농도에서 배양 72시간 후 약 40%에 가까운 위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나타내었고, 정상세포 IEC-6에는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군소로부터 추출 정제된 PS와 GAGs는 면역증강을 위한 기능성 식품 및 약제 원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 주었으며, 위암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Glycosaminoglycans such as heparin and dermatan sulfate are usually extracted from mammalian tissues. Some have recently been isolated from marine invertebrates. Marine origin may constitute a safer alternative with no infectious risk due to viruses or to prions. In this study, we extracted a whole polysaccharidic fraction from the Aplysia kurodai and screening its functional properties using cell lines. The most effective enzyme was Flavourzyme for extracting polysaccharides from Aplysia kurodai. And the optimum condition of hydrolysis was incubation at 60℃ for 15 hr. Precipitation of polysaccharides were depended on brix and ethanol volume. The most effective concentration of Brix was sixty and ethanol volume was three times. The purified sample from Aplysia kurodai extracts respected heparin or heparan sulfate. The functional activities of extracts were investigated using cell lines. The extracted polysaccharides and its fraction from DEAE-Sepharose fast flow 6B chromatography did not show the toxicity on RAW 264.7 cell line in the range of 10-200 ug/mL, but increased the cell growth rate. The extracted polysaccharides and its fraction also increased the formation of NO, interleukin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on RAW 264.7 cell. Particularly, the polysaccharides fraction inhibited the proliferation rate of stomach cancer cell line, AGS, up to 40% for 72 hr incubation, but did not the intestinal epitherial IEC-6 cell lines. The polysaccharides and its response from Aplysia kurodai suggest the potential source to increase immune function and to inhibit the proliferation rate of the stomach cancer.

      • 정치신뢰가 군소정당 지지에 미치는 영향 : 국회의원 비례대표 선거를 중심으로

        서태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정치신뢰가 국회의원 비례대표 선거에서의 군소정당 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정치신뢰가 낮을수록 군소정당 지지에 정(+)의 영향을 끼친다는 가설을 세우고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 관한 유권자의 정치의식과 군소정당 지지여부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제21대 국회의원 총선거 관련 유권자 정치의식조사」,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 관련 유권자 정치의식조사」, 「제19대 국회의원선거 유권자 조사 (2012)」, 「제18대 국회의원선거 유권자 의식조사(2008.04.09)」, 「제17대 국회의원선거 유권자 의식조사(2004.04.15)」이며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각 1,000~1,500명의 표본으로 조사된 자료이다. 자료의 분석은 상관관계 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치신뢰는 제21대, 제19대에서 군소정당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제21대의 경우에는 신뢰가 낮을수록 군소정당 지지에 음(-)의 영향을 제19대의 경우에는 신뢰가 낮을수록 군소정당 지지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직 정치지도자 신뢰도가 낮을수록 군소정당 지지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민주정치 만족도가 낮을수록 군소정당 지지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정치인 신뢰도의 경우 제20대의 경우에 한해 정치인 신뢰도가 낮을수록 군소정당 지지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적 정치효능감 역시 제21대의 경우에 한해 효능감이 낮을수록 군소정당 지지에 음(-)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군소정당 지지에 관한 다음과 같은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첫째, 낮은 민주정치 만족은 군소정당에겐 지지를 획득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만족도가 낮은 시기에 군소정당이 이에 맞는 적절한 전략을 펼친다면 지지를 획득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둘째, 각 군소정당이 현직 정치지도자 신뢰도를 살펴 자신과 현 정부와의 관계를 점검하는 것이 지지를 획득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셋째, 정치인 신뢰가 낮을수록 군소정당 지지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시기가 있었으므로 정치인 신뢰를 높이는 정치전략을 군소정당이 활용하거나 정치인 신뢰가 높은 유권자를 대상으로 한 활동에 주력한다면 군소정당에게 유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외적 정치효능감이 높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전략이 군소정당의 지지도 상승에 유리할 수 있으며 진보정당계 군소정당일 경우 최종학력이 높거나 정치이념이 진보적이거나 여성인 유권자의 지지를 얻는데 주력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지역구 국회의원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일수록, 비투표 정치참여에 긍정적일수록 군소정당 지지에 양(+)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대정당의 지역구 국회의원을 비판하거나 비투표 정치참여 행동을 독려하는 것은 군소정당에게 유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정치신뢰와 관련하여 군소정당 지지에 관한 정치적 함의를 도출했다. 다만, 본 연구는 정치신뢰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군소정당 지지를 설명하는 모형의 설명력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점, 모든 시기에서 동일한 개수와 문항으로 변수를 구성할 수 없었기에 수치를 정교하기 비교하기 어려웠다는 점, 신뢰를 연구하기 위한 자료가 아니었기에 신뢰 관련 문항이 적었다는 점, 신뢰라는 감정을 논리적으로 구분하여 분석할 수 밖에 없었다는 점 등의 한계를 지닌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voters' political awareness and support for small parties in the 17th, 18th, 19th, 20th, and 21st general elections, hypothesizing that lower political trust has a positive(+) effect on small parties' support in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lection.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are the 「21st National Assembly General Election Voters' Political Awareness Survey」, the 「20th National Assembly General Election Voters' Political Awareness Survey」,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Voters' Survey (2012)」, the 「18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Voters' Survey (2008.04.09)」 and the 「17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Voters' Survey (2004.04.15)」.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an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Political trust was confirmed to have an effect on the support of small parties in the 21st and 19th. However, in the 21st case, the lower the trust, the negative(-) effect on the support of small parties, and in the 19th case, the lower the trust, the positive(+) effect on the support of small parti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er the trust on incumbent political leaders, the negative(-) effect on the support of small part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ower the satisfaction level of democratic politics, the more positive it had on the support of small parti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politician reli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er the politician reliability in the 20th case, the negative(-) effect on the support of small parties. External political efficacy was also analyz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upport of small parties as the efficacy was lower only in the 21st case.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supporting small parties can be found. First, low democratic political satisfaction can be an opportunity for small parties to win support. In particular, it can be advantageous to win support if small parties implement appropriate strategies accordingly at a time when satisfaction is low. Second, since the influence of incumbent political leader credibility is greater, it may be advantageous for small parties to check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urrent government. Third, there was a time when the lower the trust of politicians, the negative(-) effect on the support of small parties, so it can be advantageous for small parties if they use political strategies to increase politician trust or focus on activities targeting voters with high politician trust. In addition, a strategy targeting groups with high external political efficacy may be advantageous for small parties to increase their support, and if a minor party is a progressive party, it may be advantageous to focus on winning the support of voters with high final education, progressive political ideology, or female. Finally, the more negative the evaluation of local lawmakers and the more positive the participation in non-voting politics, the more positive the support of small parties is, so it may be advantageous for small parties to criticize local lawmakers or encourage non-voting political participation. This study derived political implications for supporting small parties in relation to political trust. However, since this study focuses on political trus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explaining support for small parties may be limited, it was difficult to elaborate the figures because variables could not be composed of the same number and questions at all times, it was not a data to study trust, there were few trust-related questions. there was no choice but to logically separate and analyze the feelings of trust.

      • 조선시대 종로 시전행랑의 평면형태에 관한 연구 : 종로 청진지구 발굴유구를 중심으로

        민소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723

        본 연구는 조선시대 종로 시전행랑의 규모 및 평면형태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종로 청진지구 시전행랑의 평면형태와 시대별 변화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종로청진지구 발굴조사보고서를 중심으로 시전행랑 발굴유구를 분석하고 시대별 평면형태를 분석하고 이외에 시전행랑의 평면형태를 알아 볼 수 있는 『군소가옥연접도형(郡小家屋連接圖形)』을 통해 좀 더 면밀하게 살펴보았다. 발굴조사보고서를 통해서 조선초기 시전행랑의 모습을 알아 볼 수 있었다. 조선 건국 초기 시전행랑의 모습은 1칸이 정면 3.8∼4.2m내외였고 측면이 6.1∼6.3m정도였으며 행랑 전면 배수로까지 약1.9∼2.3m를 포함한 규모였다. 이러한 행랑이 동일한 축으로 동서방향으로 이어져 종로가로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 후 1426년 대화재를 거치면서도 이러한 평면 형태는 유지되어 왔다. 이후에도 평면 형태는 유지되었으며 동서방향으로 이어진 시전행랑의 특성상 동서방향으로 공간을 늘리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업 활동이 활발해 지면서 상인들은 방화벽과 피맛길이 있는 북측보다는 남측으로 공간을 늘리기 시작했다. 배수시설 전까지 채양을 달거나 기단을 이용하여 상업 활동을 하였고 평면내부의 온돌의 크기를 늘리기도 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시전행랑은 소실과 복구를 반복하며 그 평면형태와 규모도 변화하였다. 조선 중기에는 전보다 더 적극적으로 확장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남측으로는 채양을 건물내부로 만들어 배수시설 석축 안쪽에 간의 벽체를 만들어 공간을 확장하거나, 북측으로 벽체를 늘려갔다. 이로 인하여 피맛길의 폭이 조선초기보다 줄어들었다. 또한 확장이 어려운 동서방향으로는 양쪽의 시전행랑을 나누어 사용하며 그 규모를 늘려갔다. 조선후기의 시전행랑의 모습을 보면 남측으로 1칸이 확장된 상황이며 배수시설의 석축보다 앞쪽으로 늘어난 상황이다. 이 당시 시전행랑의 규모가 가장 확장된 상황으로 보이며 이 후 일제강점기를 지나며 종로대로 확장 등으로 인하여 그 안쪽으로 확정된 모습으로 보인다. 조선후기에서 현재까지의 유구는 기존 건축물 때문에 많이 파괴된 상태이다. 이 당시의 시전행랑은 19C말∼20C의 상황을 나타내고 있는 『군소가옥연접도형(郡小家屋連接圖形)』에 나타나고 있는 모습을 해석해 보면 1칸으로 정형화된 시전행랑의 모습이 많이 변화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업 활동의 변화, 상인들의 상업 활동 운영의 변화로 인하여 다양한 평면과 규모의 건물이 생겨났다.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하나의 종로 가로를 형성하고 있던 시전행랑은 다양한 평면을 갖은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시전행랑에 대한 연구는 발굴조사를 통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그 구체적인 부분에 대하여 우리가 정확히 알지 못하는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 발굴된 유적의 특성상 원형보존 및 보존처리가 어렵기 때문에 발굴유적에 대한 세세한 기록과 함께 학제적 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발굴유적에 대한 연구라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현재까지 시전에 관한 연구는 사·자료의 한계로 인하여 시전 내의 건축물에 대한 연구보다는 도시 계획적, 경제·상업사적 시각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는데 도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시전행랑의 규모와 형태, 변화과정에 대해 밝혔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갖는다.

      • 군소알로부터 항암 활성에 관한 연구

        김원석 濟州大學校 2008 국내박사

        RANK : 247711

        제주도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군소알로부터 수용성 추출물을 제조하여 in vitro에서의 항암활성과 in vivo에서의 항암활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군소알 (Sea hare eggs)로부터 각 20℃, 40℃와 60℃에서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수용성의 물 추출물 (SHE)을 제조하였다. 그 중, 20℃에서 추출된 SHE가 40℃와 60℃에서 추출된 군소알 물 추출물보다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이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20℃에서 추출된 SHE를 항암 활성 실험에 사용하였다. SHE는 대장암세포인 CT-26, 백혈병 세포인 U-937과 HL-60, 피부암세포인 B-16, 유방암세포인 FM3A에 대한 세포 성장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암세포 종에서 상당한 억제 활성을 보였다. 특히, 혈액암세포인 U-937과 유방암세포인 FM3A에 대한 IC50 값은 각각 10.42 ㎍과 10.62 ㎍으로 다른 암세포들에 비해 상당히 높은 억제 활성을 보였다. SHE를 U-937과 FM3A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핵 응축, apoptotic body 형성, DNA 단편화 및 같은 성상이 증가되어 결국 apoptosis를 유도하였다. Comet assay 결과로부터 SH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U-937과 FM3A 세포에서 모두 DNA 손상이 증가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poptosis 구간으로 알려져 있는 sub-G1기의 DNA 양이 U-937과 FM3A 세포에서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U-937과 FM3A 세포에 SHE 25 ㎍/㎖과 50 ㎍/㎖를 각각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sub-G1기에 해당하는 DNA 양이 각각 약 5 배와 6 배 정도 증가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HE를 U-937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pro-apoptotic 단백질인 Bax의 발현이 상당히 증가되었으나. Bcl-2의 발현은 거의 변화가 없었고, FM3A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는 Bax의 발현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Bcl-2의 발현은 상당히 감소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aspase-3의 발현은 두 세포 모두에서 활성화되었고, cleaved caspase-3에 의해 유도되는 PARP의 활성화는 U-937과 FM3A 세포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In vivo 상에서 FM3A 세포를 투여하여 마우스에서 유방암을 유도하고, SHE의 유방암 종양 크기 억제 효과를 6주간 확인한 결과, 마우스 한 마리당 SHE 30 ㎍과 3 ㎍을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종양크기가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SHE 3 ㎍을 처리한 예방군은 대조군에 비해 약 2 배 정도 유방암의 종양크기 (부피/mm3)를 감소시키는 상당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예방치료군과 예방군 모두 농도에 의존적으로 종양크기를 감소시키진 않았지만, 대조군에 비해서는 유방암 종양 크기의 감소를 유도한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예방군이 예방 치료군보다 다소 좋은 억제활성을 가졌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암 활성을 가지는 SHE의 활성 단백질을 찾아내고자 수행한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는 19개의 분획물이 U-937 세포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고, 그 분획물을 모아서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결과, 24개의 분획물로부터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확인했다. 이렇게 얻은 24개의 분획물을 가지고 mono Q sepharose column을 이용하여 분획물을 정제하였고, 그것을 가지고 단백질 분자량을 확인한 결과, 20 kDa 부근과 30 kDa 부근 등 SHE의 30 kDa 이상 분획물이 함유하고 있는 단백질들과 유사함을 보여주었으나, 14 kDa과 66 kDa의 분자량 부근에서 새로운 단백질 분자량들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SHE가 혈액암세포와 유방암세포에 대하여 apoptosis를 유발하여 성장 및 활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물실험으로부터 예방처리하였을 때 유방암 종양 크기를 가장 많이 억제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군소알로부터 유래한 추출물은 다양한 암세포에 대한 강력한 항암효과를 확인하였기 때문에 향후 해양 천연물 유해 항암 소재로서 충분히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Sea hare (Aplysia kurodai), belonging to the order Opistobranchia, subclass Gastropoda, is a marine shell-less snail. Recently, due to the bioactive molecules such as peptide or glycoprotein, and then their biomedical abilities including antitumor, antimicrobial, and antibacterial effect we have tried to prepare water-soluble extract from sea hare eggs (SHE: sea hare egg extract) and investigated its anticancer activities in vitro and in vivo. On the antitumor exmaination, strong antitumor activities of SHE were observed for the growth of the five tumor cell lines such as CT-26 (mouse colon carcinoma cell line), U-937 (human monoblastoid leukemia cell line), HL-60 (human promyelocyte leukemia cell line), B-16 (murine melanoma cell line) and FM3A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and their IC50 values were between 10 and 20 ug/㎖, but around 80 ug/ml for the growth of normal cell line (V79-4). Especially SHE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s against the growth of U-937 and FM3A tumor cells (IC50 10.42 ug/㎖ and 10.62 ug/㎖, respectively). SHE induced dose-dependantly apoptosis, which formed apoptotic body, induced DNA damage and DNA fragmentations, and increent of sub-G1 DNA contents in U-937 and FM3A cells. In addition, SHE significantly or week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Bax (pro-apoptotic protein), whereas slightly or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Bcl-2 (anti-apoptotic protein) with the increment of concentrations in U-937 or FM3A cells, respectively. Additionally, SHE stimulated the activation of caspase 8, caspase 3, and PARP in the tumor cell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HE induced apoptosis via caspase pathway for anticancer activities in vitro (U-937 and FM3A cells). In animal model, SHE administration via intradermal injection (i.d.)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tumor growth induced by the treatment of FM3A cells. Especially, antitumor effect of SHE in the experimental tumor rats induced by FM3A tumor injection was dramatically observed even at a dose of 3 ㎍/mouse by around 50% inhib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antitumor active compounds from SHE, the water-soluble extract of SHE was separated to the four fraction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under a ultrafiltration membrane separation system, and then 30 kDa < fraction was selected. The fraction was applied to a gel filtration and an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then the antitumor active fractions were taken on mono Q Sepharos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The fractions were pooled and concentrated and then applied to SDS-PAGE. Five bands were observed on near 20.1 kDa and 30 kDa, between 30 kDa and 45 kDa, and 97 kDa molecular weight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SHE strongly inhibited the tumor growths,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of U-937 and FM3A cells as eliciting apoptosis via caspase pathway and decreased the breast tumor size in vivo. Therefore, this present study suggests that SHE might be a strong potential anticancer agent and it will be expected as a novel antitumor drug.

      • 한국 유권자의 전략적 투표 행태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중심으로

        강동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710

        이 논문은 제20대 총선을 대상으로 전략적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했다. 유권자가 자신의 선호와 후보의 당선 가능성을 고려할 때 전략적으로 투표한다고 한다. 비례대표제를 채택하고 치열한 경쟁 양상이 나타난 20대 총선에서 높은 수준의 전략적 투표율이 예상된다. 먼저, 1인 2표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에서 군소정당 지지자들은 전략적으로 투표할 유인이 있기 때문이다. 높은 선거 경합도 역시 전략적 투표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데, 경쟁이 치열할 때 유권자는 자신의 투표효용을 높이기 위해 전략적으로 투표하기 때문이다. 개인 수준에서의 분석을 위해 서베이 자료를 활용했다.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변수들의 영향력을 측정한 결과, 20대 총선에서 분할투표에 영향을 준 변수는 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박근혜 국정운영평가, 정당 선호도로 나타난다. 교차분석 결과, 20대 총선에서 약 18%의 유권자가 분할투표한 것으로 추정된다. 분할투표자 중 후보투표는 진보적인 거대정당에 하고 정당투표는 진보적인 군소정당에 한 경우가 가장 많다. 또한 분할투표하는데 있어 군소정당 지지자들은 많은 경우 후보의 당선 가능성과 출마 여부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20대 총선에서 영남에 거주할수록,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할수록, 군소정당을 지지할수록 분할투표한 것으로 나타난다. 전략적 투표 행태를 다각도에서 접근하기 위해 집합 자료인 선거구 자료를 활용했다. 한국 선거는 지역 정당의 존재로 인해 지역구의 성격이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에 지역구 수준에서의 경험적 분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요인분석 결과는 세 가지로 압축된다. 먼저, 정당 규모에 따라 정당을 분류하는 것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리 엘리트의 의도는 전략적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전체 선거구 중 약 절반이 경쟁선거구로 집계되었으며, 이들 경쟁선거구에서 높은 수준의 전략적 투표 행태가 관찰된다. 상관분석 결과, 선거 경합도와 군소정당의 정당득표율과 후보득표율 차이는 음의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회귀분석 결과도 20대 총선에서의 치열한 경쟁이 군소정당 지지자들의 전략적 투표 행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20대 총선에서 지역구 1·2위 후보가 치열하게 경쟁할수록 군소정당 지지자들은 당선 가능성이 높은 거대정당 후보에게 투표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논문은 개인 수준의 서베이 자료와 집합 수준의 선거구 자료를 활용한 교차검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집합 자료를 통해 실제 선거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당선이 결정되는 선거구 단위에서 적실성 있는 분석이 가능하며, 선거 경합도의 독립적인 영향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개별 선거구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비록 집단의 성격을 통해 개인의 행태를 유추한다는 내재적 한계가 있지만, 개인 수준의 자료에 의존하는 현행 연구 방식을 보완하기 위해 집합 자료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전략적 투표 연구는 선거 제도가 투표 행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정당의 영향력이 감소하고 정당 지형도가 다당제로 바뀌는 현실에서 군소정당 지지자들의 투표 행태를 분석하는 것은 적실성을 갖는다. 선거 제도 개편의 필요성과 개헌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전략적 투표 행태는 대의 민주주의에서의 대표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新羅 下代의 群小海上勢力 硏究 : 韓半島 西·南海岸의 海賊化한 海上勢力을 中心으로

        최성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95

        On 9th Century marine commerce was thriving since the trade system was changed from public trade to private trade in the East Asian world. From a social point of view, there were in state of disorder because the administrative power was weaken. In Silla, local authority prevailed by reason of social confusion as frequent famine and insurrections. Also there were remarkable growth for small groups' of domain on the sea in extended international trade. This paper examines these activities and changes of small groups' of domain on the sea. Chapter one includes the concept and reasons to occurrence of small groups' of domain on the sea focusing the meaning of particular region; the Western sea and the Southern sea in Silla, where they were based. Chapter two demonstrates the process of being pirates for small groups' of domain on the sea, it's reason, their major activities, and the role of Cheonhaejin to control pirates. On Chapter Three presents activities and changes of pirate after the closing cheonghaejin, the period of resuming pirate.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of small groups' domain on the sea during the late silla period would give opportunities to understand small local groups' trading tendency and international trade system in those days.

      • 부산 연안의 군소 (Aplysia kurodai Baba) (Mollusca: Opisthobranchia)의 성장과 생식주기

        서현정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77

        본 연구는 부산 영도구 태종대 자갈마당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군소 (A. kurodai)의 성장과 명확한 생식주기를 밝히기 위해 2007년 4월부터 2008년 9월까지 18개월간 SKINSCUBA로 월별 채집하여 각 개체의 습중량 (wet weight)과 internal shell의 각고 (shell height), 그리고 생식소 중량을 측정하였으며, 생식소성숙지수 (gonadosomatic index, GSI), 난경, 생식소의 조직학적 월별 변화 및 군성숙도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군소 283개체 중 최대 습중량을 기록한 개체는 2007년에는 6월 5일에 채집된 1292.43g이었으며, 2008년에는 4월 5일 채집된 619.90g이었다. 또, internal shell의 각고는 2007년 10월에 8.40mm로 가장 작은 개체가 출현하였고, 2007년 8월에 89.20mm로 가장 큰 개체가 출현하였다. 군소는 각고에 따라 습중량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고와 습중량 간의 상대성장식은 WW = 0.1198SH^(2.0571) (n=217, r²=0.68, p〈 0.001)로 추정되었다. 전반적으로 월별 각고 조성을 살펴보면 하나의 그룹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10월에는 각고가 8-20mm 사이의 어린 개체들이 나타나 2008년 1월까지는 각고 20mm 이하의 개체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6월에는 꾸준히 성장하여 각고 36-40mm 이상이 주를 이루고 있다. 2008년 9월에는 다시 어린 개체들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군소는 기능적 동시 자웅동체로 암·수 생식세포가 동시에 생성되는 난정소 (ovotestis)는 간췌장 (hepatopancreas)의 뒤쪽에서부터 투명하게 발달하기 시작하여 노란색, 주황색 등으로 선명해지며 점차 간췌장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확장된다. 2008년 3월에서 5월까지 수온이 상승하는 것과 더불어 GSI가 상승하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r=0.924, r²=0.855), GSI는 2008년 5월에 1.48±0.30으로 최대값을 보였다. 군소의 난경은 11월에서 2월까지는 약 20㎛이하 (previtellogenic oocyte), 3월에는 30-50㎛ (growing oocyte), 4월부터 7월까지는 60-80㎛ (vitellogenic oocyte) 정도로 나타났다. 난정소의 발달단계는 자웅 생식세포의 특징을 기준으로 각각 4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2008년도의 태종대 연안 군소의 웅성 생식소 발달단계는 9월에서 그 다음 해 1월까지 미성숙기 (I), 2월과 3월은 성장기 (G), 4월에 성숙 및 교미기 (M)에 접어들어 5월까지 지속되다가 6월에는 퇴화흡수기 (D)로 들어간다. 반면 자성 생식소 발달단계는 미성숙기 (I)가 9월에 시작되어 2월까지 지속되며, 3월과 4월은 성장기 (G), 5월에 성숙 및 교미기 (M)에 접어들어 6월까지 지속되다가 퇴화흡수기 (D)로 들어간다.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는 수온의 변화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이며, 전반적으로 자웅 생식세포 발달단계에서 자성생식세포보다 웅성생식세포가 한 달 정도 빨리 성숙하고 배출되는 경향을 보였다. Internal shell의 각고 (shell height, SH)와 성숙비 (proportion of mature, P) 사이의 관계는 웅성의 경우 P=1/(1+exp[(3.488-0.138SH)]) (r²=0.703, P〈0.001), 자성의 경우는 P=1/(1+exp[(5.245-0.167SH)]) (r²=0.692, P〈0.001)의 함수로 구해졌으며, SH_(50)은 웅성은 25.28mm, 자성은 31.41mm에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growth and reproductive cycle of Aplysia kurodai on the rocky shore of Taejongdae, Korea. These animals were collected monthly from April 2007 through September 2008 by SKINSCUBA. Individual wet weight (WW), internal shell height (SH) and gonadal weight were measured. Monthly change of gonadosomatic index (GSI), egg diameter, histologically gonadal development and size at sexual maturity were investigated. Maximum the highest WW of A. kurodai was 1292.43g on June in 2007, the maximum SH was 89.20mm on October in 2007, and the minimum SH was 8.40mm on August 2007. There i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WW and SH, which are form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WW = 0.1198SH^(2.0571) (n=217, r²=0.68, p〈0.001). In monthly SH distribution, young individual (SH 8 to 20mm) appeared on October, 2007 and grew up until June, 2008 (SH 36-40mm). On September, 2008, another young individuals appeared. Since korean sea hare, A. kurodai, was simultaneous hermaphrodite. The ovotestis consisted of many follicles. Both egg and sperm were produced in the same follicle. The ovotestis was developed and grew up to the posterior edge of the hepatopancreas from pale to yellow or or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temperature and GSI was increase simultaneously from March to May in 2008. The maximum GSI value was 1.48±0.30 on May, 2008. The egg diameter of A. kurodai was lower than 20㎛ from November to February, 30-50㎛ on March, 60-80㎛ from April to July. Gonadal phases of these species were divided into 4 stages; immature stage (Male : September to January, Female : September to February), growing stage (Male : February to March, Female : March), mature and mating (or spawning) stage (Male : March to May, Female : April to May) and degenerative and resorptive stage (Male and Female : June to August). The reproductive cycle of these species were closely related to water temperature. It was set up a standard separated male and female gametes characteristics. The male gametes tend to attain maturity faster than female gametes approximately a month.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shell height (SH) and the proportion of mature (P) was calculated by fitting a logistic function; the male was P=1/(1+exp[(3.488-0.138SH)]) (r²=0.703, P〈0.001), the female was P=1/(1+exp[(5.245-0.167SH)]) (r²=0.692, P〈0.001). The SH_(50) is 25.28mm in male, and 31.41mm in fem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