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어 관용 표현의 실태 연구 : 중학교 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김미련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어에는 다른 언어에 뒤지지 않는 다양하고 풍부한 관용 표현의 전통이 있다. 이러한 관용 표현을 얼마나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은 국어사용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국어 교육의 주된 목적이 국어사용 능력의 신장이라는 점에서 볼 때, 국어 사용자들이 다양하고 풍부한 관용 표현을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 국어 교육의 목표 중의 하나가 된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지금까지 이러한 점이 간과됨으로써, 우리의 언어 생활에서 국어의 풍부한 관용 표현의 전통이 잘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관용 표현이 우리말의 특유한 표현 방식이며 언어 전통의 하나라는 점에서, 이러한 상황은 곧 전통의 단절로 이어질 것이므로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언어 전통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그리고, 국어사용 능력의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관용 표현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국어 관용 표현의 현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설문 조사를 통해서 관용 표현의 실태를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알아 보고, 그 개선 방안을 나름대로 제시해 보았다. 설문 조사 결과 중학생과 중학교 교사는 물론 국어를 가르치는 국어 교사의 관용 표현 실태도 그다지 좋지 못했다. 분석한 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중학생은 전체 관용 표현 중 27.8%의 뜻을 알고 있으며, 16.8%를 사용하고 있었다. 유형별로 보면, 속담의 인지도와 사용도가 높고 관용적 비유는 매우 낮았다. 유형에 따른 이러한 차이는 전체 설문 대상의 공통된 것이었다. 중학교의 일반 교사는 평균 61.2%의 뜻을 알고 있으며, 41.1%를 사용하고 있고, 국어 교사는 66.5%의 뜻을 알고 있으며, 47.7%를 사용하여 일반 교사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그런데, 주목할 만한 사실은 연령에 따라 편차가 매우 컸으며, 특히 20대 교사들의 경우 인지도 및 사용도가 매우 낮았다는 점이다. 여기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은 국어의 다양하고 풍부한 관용 표현의 전통이 사라져 가고 있다는 우려가 사실로 드러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의 변화에 따른 언어 생활의 자연적인 변화로 간단히 치부할 수만은 없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이는 관용 표현에 국한된 문제이기 보다는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서 전통적인 요소가 사라지고 있는 현상과 관련된다는 점이다. 둘째, 세대간의 편차가 크고, 특히 젊은 세대가 관용 표현을 잘 사용하지 않는 것은 사회의 변화가 근본적인 원인이긴 하지만, 국어 교육에도 상당한 책임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통의 계승이라는 차원에서 관용 표현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가장 직접적이고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국어 교육 측면에서 보다 적극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서, 관용 표현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의 논의에서 살펴본 국어 교육의 측면에서 개선해야 할 점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가 교육 과정면에서 볼 때, 세부 지도 내용에 관용 표현에 대한 내용이 첨가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나치게 분리되어 있는 언어 영역과 문학영역이 통합적으로 운영되어 표과적인 표현이라는 측면에서 관용 표현 교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겠다. 상대적으로 경시된 읽기 영역, 특히 고전 읽기의 중요성이 좀 더 보강되어야 하겠다. 둘째, 교재면에서는 우선 교과서 이외의 관련 교재를 연구 개발하여 제공해야할 것이다. 그리고, 교과서의 단원 구성이나 수록 작품의 선정에 보다 신중을 기하여, 학생들에게 모범적인 국어사용의 시범을 충분히 보여 주어야 할 것이다. 특히, 고전 소설을 비롯한 국문학 작품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셋째, 교사의 측면에서는 교사 양성에 있어 실질적인 국어사용 능력의 신장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며, 고전 교육을 좀 더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사 자신은 스스로 유능한 국어 사용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것이다. 국어사용 능력은 실제적인 국어사용 활동을 통해서만 얻어질 수 있다. 다독, 다작, 다상량의 3다의 원리는 국어과 교육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많이 읽고, 많이 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국어관용 표현을 잘 사용하는 글을 많이 제공해서 많이 접하게 하면 자연히 국어 관용 표현 능력도 길러질 것이고, 또한 국어사용 능력도 신장될 수 있을 것이다.

      • 국어과 매체 언어 교육 방안 연구 : 텔레비전 언어를 중심으로

        이은주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 사회에서 매체의 영향력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매체는 성인세계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가치관이나 언어 생활 전반에 매우 다각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학교 교육 차원에서 적극적인 대응을 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국어 교육 차원에서 다양한 접근이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모색의 일환으로 2002년부터 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국어 생활'이라는 교양 선택 과목을 신설하여 처음으로 매체 언어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매체 언어 교육은 필요성에 의해 도입은 되었지만, 그동안의 교육적 논의가 매우 부족하여 구체화된 커리큘럼이나 교육 방법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습자들에게 매체 언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창의적 표현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매체 언어 교육의 개념과 목표를 살펴본 다음, 국어 교육과 매체 언어 교육의 연관성을 살피기 위해 국어 교육관의 패러다임 변화 과정을 검토해 보았다. 다음으로 매체 언어 교육이 이미 실시되고 있는 캐나다의 매체언어 교육과정 자료를 검토하여 우리나라 매체 언어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이와 함께 현재 제7차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매체 언어와 관련된 교육 내용을 검토하고 이후의 지향점을 모색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현재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매체 중 텔레비전을 선정하여 텔레비전 언어의 개념을 살펴본 후, 국어 교육에서 텔레비전 언어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인 방향성을 검토한 후, Ⅳ장에서는 실제 다큐멘터리와 뉴스 언어를 선정하여 국어 교육에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다큐멘터리언어와 뉴스 언어는 학습자들의 언어 사용 기능 신장에 도움이 되며, 비판적 사고력, 영상 문식성을 획득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각각의 매체 언어가 지니고 있는 속성 즉 매체 언어의 문법을 교수-학습함으로써 뉴스와 다큐멘터리에 대한 이해 능력과 표현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국어 교육적 가능성을 토대로 다큐멘터리 언어와 뉴스 언어를 TV 프로그램에서 선정하여 실제 교수-학습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교재화의 틀을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교수-학습 방안은 교육 현장에서 매체 언어를 교육할 때,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매체 언어 교육이 활발히 실시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국어 교육의 영역이 확장되어야 한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어 지식, 문학으로 분류되어 있는 현재의 영역에 매체 언어 교육이 어떻게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인가의 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며, 기존의 다양한 이론적 연구들을 기반으로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매체 언어 교육의 커리큘럼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influence of media text keeps growing in the modern society. Since such media affects not only the adult society but also the mentality and linguistic life of the youth in many aspects, it is widely accepted that regular education system needs to take various measures towards usage of media, especiall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al purposes. One of such attempts is the adoption of "Practical Korean Language" course in high schools for 7th curriculum which began in 2002. Although the Media Literacy courses were introduced as needed, lack of discussions on the Media Language has resulted in insufficient concrete curriculums and limited educational methodologies.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ctual methodologies to enhance critical understanding and creative expression of the students. Chapter Ⅱ briefly goes through the concept and targe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of the present and reviews the past changes in the paradigm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Literacy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llowing this, the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in Canada, where it is quite well-established, is studied to seek any implication on the Korean situation. At the same time, the Media related programs in the 7th curriculum is reviewed and possible suggestions for future improvement is proposed. Chapter Ⅲ chooses one most influential form of Media, the Television, studies the concept of its Media Literacy, and tries to find the usage of it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nce direction is set, actual documentary programs and news media is studied for its practical usage. These programs proved to be useful in developing students' language usage abilities, critical understanding and visual literacy. On the basis of Television's usa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und in previous chapters, chapter Ⅳ proposes actual course formats that can be used at educational sites using documentary and news media. It is intended to provide practical support for Media Education in the classroom.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actively practicing Media Education is the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s scope. The placement of Media in the current classification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Literary Knowledge, and Literature must be clarified, and at the same time, various curriculum for practices in the classroom need to be developed.

      •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이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반영된 양상

        정진아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학생들의 글쓰기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과정 중심 쓰기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이 과정 중심 쓰기를 배우게 되는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그래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2009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2011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과정 중심 쓰기가 어떻게 반영되었으며,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의한 검정 국어 교과서 7학년 23종, 8학년 15종, 10학년 16종에 과정 중심 쓰기가 어떻게 적용되어서 학생들의 실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이 연구의 목적이다. 논문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선행 연구, 연구 범위를 설정하였고, Ⅱ장에서는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전반적인 학문적 이론을 제시하고 이 이론과 7차 교육과정의 ‘작문’의 기능을 중심으로 과정 중심 쓰기 반영 양상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를 근거로 Ⅲ장에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7학년, 8학년, 9학년, 10학년 성취기준과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화법과 작문Ⅰ> 세부내용, 2011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중1~3학년군〕, 국어Ⅰ, 국어Ⅱ의 내용을 분석하였고, Ⅳ장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 교과서 7학년 23종, 8학년 15종, 10학년 16종을 평가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Ⅴ장에 정리를 하였다. Ⅲ장과 Ⅳ장에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과정 중심 쓰기 반영 양상을 분석해 보니, 크게 4가지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첫째는 대체적으로 과정 중심 쓰기의 단계가 잘 지켜지지 않았고, 둘째는 과정 중심 쓰기 중 고쳐쓰기에 대한 고려가 거의 없었다. 셋째는 과정 중심 쓰기의 전략제시가 잘 나타나지 않았고, 넷째는 모든 갈래에서 골고루 과정 중심 쓰기를 반영하지 않았다. 이런 문제점이 생긴 원인은 교육과정에서 과정 중심 쓰기를 큰 틀로 삼고 있지만, 세부적인 부분에서는 과정 중심 쓰기 이론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각 단계의 특정 부분만 강조하였기 때문이다. 교과서도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동일한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의의는 첫째, 쓰기 교육과정의 큰 틀은 과정 중심 쓰기라는 것을 한 번 더 인식하게 하였다. 둘째, 검정 국어 교과서가 해마다 계발되고 있는 상황에서 검정 국어 교과서의 쓰기 영역이 어떻게 계발되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 한편의 글을 쓰고 글 쓰는 것에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과정 중심 쓰기가 여전히 존재해야하고 중요시 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과정과 교과서에는 실제에 맞는 과정 중심 쓰기를 잘 반영하도록 해야 하고, 앞으로 학생들의 한 편의 글을 쓰는 데 적합한 검정 교과서가 많이 계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focused the educational course and text book in which students learn course centered writing with interest in the course centered writing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y of students in writing. Therefore,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examine the reflection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to the 2007 revised Korean subject educational course currently implemented and the 2009 revised Korean subject educational course and the 2011 revised Korean subject educational course and application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to 23 types for 7th grade, 15 types for 8the grade and 16 types for 10th grade of the certified Korean textbook by the educational course of the 2007 revised Korean subject to improve the student's actual writing ability. Chapter I established the necessity of the study and preceding studies and study scope and Chapter II suggested the whole scientific theory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education and prepared for evaluation criteria to examine the reflection situation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focused on this theory and 'writing' functions of the 7th educational course. Based on this, Chapter analyzed performance criteria of the 7th, 8th, 9th and 10th grade of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ourse and the〔middle school 1st ~ 3rd grade group〕and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I and II of the 2011 revised educational course as well as <speech and writing?> details of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ourse. In addition, its results were arranged Chapter V.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flection situation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of the educational course and textbook, in large 4 types of problems were detected. First, generally the stages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were not observed well and second, consideration for writing correction out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was rarely made. Third, the strategic suggestion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was not revealed very well and fourth, all forks didn't reflect the course centered writing equally. The reason why these problems were caused is that the course centered writing theory in detailed sections was not completely understood even though the educational course takes the course centered writing as a big flame, it emphasized only specific part of each stage. Even the text was made based on the educational course so that the same phenomenon occurred.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recognized once more that the big frame of the writing educational course is the course centered writing. Second, in the situation that certified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annually developed, it suggest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writing area of certified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ies in writing a book, the existence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should be still emphasized. Therefore, the course centered writing in compliance with reality should be well reflected to the educational course and textbook and in the future, appropriated certified textbooks suitable for student's writing of a book should be developed a lot.

      • 협동학습을 통한 전남 농어촌 지역의 소인수학급 국어교육 방안

        임영복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남 농어촌 지역의 소인수학급은 경제력과 맞물려 지역적인 여건상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인수학급의 구성원들은 전학을 가고 싶어도 가지 못하고 그 지역에 남아있다는 것만으로도 위축되어 있다. 또한 부모의 이혼이나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대부분이 조부모와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가정 조력학습을 기대할 수도 없다. 학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열은 그나마 상위 그룹의 학생을 초등학교 때부터 도시로 전학을 보내기 때문에 전체적인 성적은 하락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학생들의 심리에까지 영향을 끼쳐 학습동기를 저하시키고 급기야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습부진아가 되어 교사는 일방적으로 말하고 학생은 듣기만 하는 상호 작용이 없는 교실을 만들어 가고 있는 것이 농어촌 소인수학급의 현실이다. 또한 과외를 받고 싶어도 주변에 학원이 없어 개인적으로 공부를 할 수도 없으며, 학습 조력자가 없어서 베끼기 식의 과제를 제외하고는 스스로 해결하기가 힘들다. 이러한 요인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점점 더 학습과 멀어지게 만들어 가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학습에 참여하게 할 것인가에 중점을 두어,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협동학습을 택하였다.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과 상황맥락을 고려한 국어 사용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총 15개의 모형을 소개하였다. 의사소통 영역 모형에는 내용을 정리하며 듣기 · 내용을 판단하며 듣기 · 요약하여 말하기 · 자기 소개하기 · 협동하여 읽기 · 다양한 관점에서 읽기 · 토론한 내용으로 쓰기 · 문장 연결하여 쓰기 등을, 문학 영역에는 뒷이야기 상상하기 · 인물인용하기 · 작품 속으로 · 시 창작 등을, 국어지식 영역의 모형에는 언어의 특성 · 낱말 만들기 · 국어의 음운 등을 소개하였다. 또한 케이건의 복합 구조적 접근 방법에 따르면, 수업 자체가 여러 개의 구조로 조직되며, 구조는 내용을 담는 그릇으로 구조 속에 수업 내용을 담아 학습 활동이 일어난다. 학습 내용 '무엇을'을 '어떻게'의 구조를 통해 달성해 나가는 것이다. 구조 중심의 협동학습을 도입하면 학습 목표에 효율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수단은 물론 구조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협동학습에 대한 학습 방법도 함께 학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장점은 특히 협동학습에 서툰 교사나 학습자들에게 유용하다. 연습을 통해 간단하고 익히기 쉬운 구조를 능숙하게 다루는 과정을 경험하게 되면, 그들은 그 구조를 변형하거나 응용하면서 새로운 구조를 생성하거나 그 구조에 다른 구조를 복합적으로 연관지을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협동학습을 택한 이유는 학생들의 활발한 참여 기회를 높이는 동시 다발적인 상호작용, 공동 과제 해결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상호 긍정적인 의존관계, 모둠원 모두가 참여해야 과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수업에 성실하게 참여해야 하는 개인 책무성, 그리고 모든 학생들의 성공을 위한 기본요소로 순서 정하기와 임무분담을 통해 이루어지는 동등한 참여 등의 협동학습의 기본 원리 때문이다. 이러한 협동학습의 기본 원리는 소인수학급의 국어 수업 현장을 학생들의 참여로 살아있는 교실을 만들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국어과 교육은 국어가 사용되는 맥락과 목적과 대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열린 마음으로 국어 사용 양상과 내용을 정확하고도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사상과 정서를 효과적이고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국어교육에서 강조하는 바가 의사소통 교육인 점을 고려한다면 수업 시간 내내 또래집단의 활동이 활발한 협동학습은 7차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number of small-sized classe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n Jeonnam annually increases by the deteriorated financial situation in the areas within the regional circumstances. The members of these small-sized classes are psychologically withered by the reason that they are not able to transfer to another area and should remain. Furthermore, many of them who stay with their grand parents because of their parent's divorce or the financial situation cannot expect home-aid learning. In addition, sending top-levelled students to urban schools even from when they are primary students leads the overall grade lowering among the remaining students. The reality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s that all these facts impact on students' mind and deteriorate their motivation for study and then ultimately most of the students become to be retarded in education and result in a state that teachers unilaterally talk and students listen without any mutual actions between them. Besides, even though students hope to personally attend after-school classes in such as Hakwon in and around their places, there are no places of such that and students are not able to solve some problems and assignments by themselves without any study-aid but to make a copy. Students in this situation become to be estranged from study because of those factors.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how to make students participate in study and makes a choice Cooperative Learning as its method to accomplish the final purpose. And it also introduces 15 models so as to increase the individual power of Korean Language Use in the context of basic communicative ability with situation considerations. In the models of communicative area, are there listening with organization on the content · listening with judgement ·speaking with summarization · self-introduction Cooperative reading Guides · Different Perspectives for Reading · writing after discussion · writing with sentence connections, etc, in the area of literature, are there imagine after the story ending · Character quotes · being inside of a work · creative writing of poetry, etc, in th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are there introduc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 word creation · phonemes of Korean Language. According to Kagan's multi-structural approach, lessons are composed with several structures and a learning activity is activated with contents inside a structure, a structure as bowel of contents. The course is accomplished through learning content such as 'What' and 'How'. Once the structure 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is introduced, not only a method of how to efficiently reach a learning goal but also a learning method of cooperative learning included by a structure itself will be studied. If students once experience the handy course of simple and learnable structures through practice, then they will obtain new structures by application or transformation of the structures, and connect them to the others in multi-dimension. The reason that this paper choose Cooperative Learning as its topic is that simultaneous mutual reaction which increases the opportunity of active participants by students, mutual positive dependency which is able to be acquired in the course of cooperative problem solving, personal responsibilities for assignments in which all the member is obliged to take part, making order and division of works as fundamental elements for the success of every participant are basic principles of cooperative learning. These basic principles of cooperative learning are expected to build active and living classes of small-sized one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spots by students' particip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believed to put it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on accurate and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usage aspects of Korean language and its content, and the development of the attitude and the ability of effective and creative expressions on thought and emotion, with open minded consideration on its context, purpose and subjects. Considering the communicative education is emphas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operative learning of vigorous peer group activities will be able to establish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that the 7th education course pursues.

      • 국어교육 문법 연구의 연구 동향 분석

        백해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한국어교육 문법 연구의 유형별, 주제별, 연구방법별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교육의 중요한 교육 내용인 한국어 문법 및 한국어교육 문법 연구가 나아가야 할 연구 방향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언어 교육에서 문법은 말을 운용하는 규칙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왔으며 한국어교육 연구에서도 문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문법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연구는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연도별 및 연구 주제별 동향을 분석하는 데 국한되어 왔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 동향 분석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8년 12월까지 발행된 한국어교육 문법 연구 총 1,703편의 학위 논문 및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도 및 논문 유형,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유형을 분류 기준으로 삼아 한국어교육 문법 연구의 동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 및 논문유형별 동향을 살펴보면 현재까지 양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석사 학위 논문은 2000년대 초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문법 연구가 2011년을 기점으로 학위 논문 위주로 전환되었다. 둘째, 연구 주제별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내용으로서의 문법을 연구한 문법내용 연구와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과 관련된 문법교육 연구로 구분하였다. 문법교육 연구가 전체의 64.2%, 문법내용 연구가 35.8%로 문법교육 연구가 두 배 가까이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문법내용 연구의 주제별 동향은 문법요소, 대조 분석, 문법체계, 문법전반 연구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결어미, 조사, 종결어미 관련 문법항목 연구와 경어법, 시제·상 관련 문법범주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고 대조 분석 연구에는 중국어와 한국어를 대조 분석한 연구가 압도적으로 나타났다. 문법교육 연구는 문법교수·학습 연구, 문법 교육 자료 연구, 교사 관련 연구로 나눌 수 있다. 특정 문법에 대한 교수 방법을 제시한 문법교수 연구가 전체의 87.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문법 교육 자료 연구와 교사 관련 연구가 뒤를 이었다. 셋째, 연구 방법의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혼합 연구가 24.1%, 조사 연구가 21.7%, 교재 분석이 20.9%, 문헌 연구가 15.1%, 대조 분석이 11.1%, 말뭉치 분석이 3.8%, 실험 연구가 3.1%로 나타났으며 사례 연구는 5편에 불과했다. 혼합 연구 중에서는 [교재·대조·조사]방법과 [교재·조사]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또한 한국어교육 문법 연구를 위해 사용된 연구 자료를 유형별로 분류한 결과 문어 자료가 44.5%, 교재가 33.9%, 혼합 자료가 8.9%, 미디어 자료(영상, 문헌자료)가 6.8%, 구어 자료가 5.9%로 나타났다. 한국어교육 문법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어교육 문법 연구는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에 있어서 특정 주제에 치중되어 있다. 연구 주제는 주로 연결어미, 조사, 경어법과 같은 특정 주제에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연구 방법은 교재 분석 방법, 문헌 연구, 조사 연구 등 특정 연구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둘째, 최근 연구 경향으로는 의사소통 기능 관련 문법 연구, 문법 교사에 대한 연구,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방법을 사용한 문법 연구 등 새로운 주제와 연구 방법들을 활용한 연구도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결론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후속 연구들이 이어질 필요가 있다. 첫째, 한국어교육 문법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문법 교사 관련 연구나 주로 다루어졌던 이유·원인 연결어미, 경어법 관련 연구 이외의 문법항목 연구 등 지금까지 많이 주목하지 않은 연구 주제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국어교육에서의 문법 교수와 차별화되는 한국어교육의 문법 교수 즉, 교수법적 접근, 교수 모형 등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미디어 자료 등을 활용한 한국어 문법 교육 및 문법 교육 자료 개발 관련 연구도 필요하다. 이를 통해 향후 한국어교육 분야 문법 연구가 보다 현장 기반의 실제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current trends of research of Korean grammar in Korean education by analyzing its research trends and on the basis of this it has the purpos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rammar study in the field of the Korean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e grammar in the field of language education has taken an important position as a rule for managing words and the research of grammar has been actively progressed on the studies of Korean education as well. In comparison, the study, which analyzed the trends of grammar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has been specifically focused on mainly on journals research by year and subjec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uch existing trend analysis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research on a total of 1,703 dissertations in the grammar studies of Korean education published from 2000 to December 2018. The trend of the grammar study in the Korean education was analyzed by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using the yearly basis and paper type, research topic and research type, a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on closer scrutiny of trends by year and the type of thesis the volume of the studies has been increased so far, and theses for master's degree have shown a steady increase from the early 2000s to the present. In particular, the grammar research, which was centered on theses of academic journals, was shifted to the dissertation of the degree from 2011 as starting point. Secondly, we divided the trends into two parts to analyze them in each subject 1) the research of grammar content that studies the grammar as content and 2) The study of grammar education related to the course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study of grammar education nearly doubled in frequency (64.2%) compared to the percentage of research of the grammar content (35.8%). The trends of topic in the study of grammar content consisted of grammar elements, contrast analysis, grammatical system, and overall grammar research in order. The study of grammar items (connective ending, postposition and sentence-closing ending) and the study of grammar categories (the honorification, tense and phase) were conducted mostly and, the study of contrast analysis between Chinese and Korean overwhelmingly occupied. The research of grammar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the research related to teaching/learning grammar, material for the grammar education and teachers. The studies for teaching grammar which is suggesting teaching methods for specific grammar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at 87.8% and research of material for the grammar education and research related to teachers are accounted for the percentage. Thirdly, the analysis by type of research method showed that 23.3 percent of mixed studies, 20.9 percent of textbooks, and 19.2 percent of research studies were conducted, and only five cases were found. Among mixed studies, [teaching, contrast, research] and [teaching and research] methods were used the most. The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teaching material itself and on analyzing the teaching pattern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grammar. In addition, the study data used to study grammar in Korean education was 44.5 percent for written language, 33.9 percent for textbooks, 8.9 percent for mixed data, 6.8 percent for media data (video, literature), and 5.9 percent for spoken language data. The conclusions draw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rend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grammar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grammar in Korean education is focused on certain areas.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ly on research related to specific research topics such as connection mothers, surveys, and the use of specific research methods, such as teaching materials analysis methods,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research methods. However,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new research has been attempted within the existing framework, with grammar studies related to communication functions being conduct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mmar research and grammar studies using learners' recognition and demand survey methods. Therefore,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mma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a number of areas, including research topics that have not been addressed so far,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I also suggest that research on the unique grammar teaching metho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fresh Korean grammar education materials will be attempted. This will require a wider and more colorful study of grammar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 한국어교원의 다문화역량 제고를 위한 질적 사례 연구

        윤영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ABSTRACT A Qualitative Case Study for Enhancing the Multicultural Capabi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Young Ju Yoon Foreigners staying in Korea have Korean language training or education in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Korean language. A person who takes charge of such education or directly educates the foreigners is called a Korean language teacher. Korean language is taught to foreign leaners in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and affiliated institution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institutions operating social integration programs.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required to have professionalism for improving immigrants' language skills and right perception of multiculture. However, it is hard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o internalize the value of multiculture, because of their long unique tendency of culture as a single-race nation. In this circumstance, it is necessary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o have multicultural competence in order to accurately communicate with learners who have a variety of cultural backgrounds in diverse Korean language environm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rograms of raising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retraining programs and to look into the direction for multi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o achieve that,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specific situations of a new event or an unknown event and to fi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people who experienced changes, it is very proper to conduct a qualitative case study.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d study issues as follows: First, what are Korean language teachers' experiences for multicultural competence perception. Secondly, what is the plan for improving Korean language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e? To address these study issues, this researcher selected as study subjects six Korean language teachers working 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 as an affiliated institution of universit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social integration program, and private Korean language institution in order for qualitative research. In the principle of individual interview, this researcher had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study subject twice. It took for about 1 hour to have one interview. To prevent interview contents from going out of the study purpose in the way of an interview, semi-structured and open questions were used. In the course of organizing collected data, the data with recorded interview contents were read and were categorized. The categories with a common theme were classified. When interview contents fit a conventional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the contents of relevant works, they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m in order to secure study reliability. By describing interview data as they are, this researcher tried to understand what study participants thought from their standpoints and in the content of their experiences. Accordingly, this study looked into Korean language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e factors-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attitude-and the patterns of multicultural techniques, which are hard to be analyzed in quantitative research, so as to find their multicultural competence experiences and consider a direction of improving and enhancing multicultural competence.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multicultural knowledge of the study subjects, they replied that the multicultural change of society was the natural flow of the times, but didn't properly understand their roles in terms of the targe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goal and the necessity and concep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ourse of an interview, they neither directly mention specific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nor understood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standards in curriculum and textbooks. As a result, they were found to have poor knowledge of the human rights of foreign learners and their so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erm of multiculture. The study subjects' knowledge experiences of multicultur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knowledge. In particular, in case of the knowledge about immigrants' human rights, the study participants who already experienced multiculture had a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immigrants theoretically. Secondly, regarding the study participants' multicultural attitudes, they showed contradictory attitudes toward multiculture, such as assimilation of foreign learners, tolerance and acceptance of multiculture, self-reflection and introspection, and sensitivity of the human rights of foreign learners. Foreign learners had different learning attitudes, life styles, and cultures.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embarrassed by such behaviors and instructed them to assimilate in the Korean culture. It is somewhat equal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by Yoon Gap-jeong and Gyeon Joo-yeon (2011) according to which Korean language teachers emphasized the unity of foreign learners' assimilation in Korean culture. It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teachers' perception or instruction method. Such attitudes were attributable to Korean language teachers' lack of knowledge about immigrants and lack of experience of relationship with foreign learners. The study participants perceived that it was necessary to have the attitude to accept cultural diversity, rather than deny cultural differences. Their anxiety, fear, uncertainty, and overreaction for the issue of diversity arising in class are caused by their failure to understand and prepare such points in curriculum. It means that they need to be educated in terms of perception of immigrants and attitudes toward them. Thirdly, the study subjects' multicultural techniques were found to be the technique of improving cultural diversity, the technique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immigrants, and the technique of operating a proper education program fitting immigrants. They obtained the technique of improving cultural diversity through numerous trials and errors which also helped them to learn the technique of dealing with bias and conflict. Regarding the technique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immigrants, they gave emotional support to immigrants through counseling and thereby solved conflicts and played a mediating role. However, somewhat passive and unilateral actions, rather than interaction, were taken only by the teachers. Regarding the technique of operating a proper education program fitting immigrants, they tried to develop a proper educational program for immigrants and teaching-learning competence which were somewhat non-systematic and non-organizational. Given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n multicultural competence, there were the problems with the educational program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Multicultral knowledge focused on Korean culture only. The programs about multicultural attitudes emphasized only the understanding of immigrants. Regarding multicultural techniques, although there were some programs to improve counselling skills, they were retrained in the way of avoiding other specific counseling tha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programs of raising and retraining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not good enough to enhance their multicultural competence.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apply a program of enhancing Korean language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e t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ircle. Above all,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required to have multicultural knowledge to perceive the difference between other cultures and their own culture, multicultural techniques a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ability of multicultural attitudes as relational interaction ability. It is necessary to lay more stress on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competence ability in a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alternatives in order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ctiv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find Korean language teachers' level of perception of multiculture and thereby to create a systematic and professional multicultural program for the teacher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xternal foundation which helps Korean language teachers to practic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learners to experience a variety of multiple cultures. Thirdly, it is necessary to the education authority to provide support in order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o apply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practical teaching methods to educational fields. Fourthly, it is necessary to open a subj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program of raising Korean language teachers in order to enhance their multicultural competence as new qualification. Fifthly, it is necessary to plan a systematic and professional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program in order to enhance Korean language teachers' professional skills and competence. Sixthly, together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ts, Korean language teachers need to research educational contents. Experts who are awa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 learner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re needed. Seventhly, it is necessary to create a useful website where it is possible to find information on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knowledge to solve the difficult of teaching methods. In order to help Korean language teachers to deal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where the number of learners with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is on the rise, to lead a class as a small global village, and to improve their competence as a global citizen,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education on the assumptio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t is expected to conduct in-depth and diversified follow-up research on the organiz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in an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국문 초록 인하대학교 대학원 다문화학과 이민‧다문화학전공 윤 영 주 한국에 거주하는 이주민들은 대부분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에서 한국어교육을 받는다. 이주민들을 담당하고 직접 교육하는 사람들을 한국어교원이라고 한다. 이들은 국내외 대학교 및 언어교육원이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회통합프로그램운영기관 등에서 이주민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친다. 따라서 한국어교원은 이주민의 언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문성과 함께 다문화에 대한 바른 인식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교원에게 다문화적 사고의 내면화는 상당 기간 단일민족이라는 교육을 유지해 온 문화의 특수성으로 인해 용이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의식을 갖고 점점 다양해지는 한국어교육 환경에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이주민들과의 원활하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어교원에 대한 다문화역량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에 현재의 한국어교원양성과정과 한국어교원 재교육과정을 통해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본 후, 향후 한국어교원의 다문화역량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질적 사례 연구방법은 잘 알려지지 않거나 새롭게 나타나는 사건을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실제로 경험한 사람들의 주관적인 인식을 살펴보고자 할 때 적절한 연구방법이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교원의 다문화역량 인식과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한국어교원을 위한 다문화역량을 제약하는 요소와 이를 극복하는 방안을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어교육 최일선에 있는 대학부설 의 언어교육원,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종사하는 한국어교원 6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한국어교원 6명으로 심층면담은 개별면담을 원칙으로 각각 3회씩 시행하였다. 1회당 면담시간은 약 1시간 정도가 소요되었다. 면담과정은 반구조화 된 질문부터 시작하여 개방형 질문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면담내용의 기록한 자료를 읽으면서 공통된 주제를 가진 범주들을 찾아 정리하였다. 정리된 자료를 바탕으로 해석하는 과정에서 면담 내용이 기존의 선행연구 내용과 다문화역량 이론에 부합되는 경우 이를 근거하여 해석 및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신뢰도를 확보하고, 한편으로는 면담 자료를 사실 그대로 기술함으로써 그들 경험의 맥락 속에서 연구참여자들의 입장과 생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적연구로는 살펴보기 어려운 한국어교원들의 다문화역량에 대한 다문화지식, 다문화태도, 다문화기술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교원의 다문화역량 경험을 파악하고 다문화역량의 제고 강화 방향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의 다문화역량 중 다문화지식은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식, 이주민에 대한 인권과 사회적 환경에 대한 지식, 다문화가정의 언어와 문화적 환경에 대한 지식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은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필요성 및 개념에 대해서 유보적으로 인식하고 감정적 인식의 단계에 치우쳐 있었다. 또 이들은 면담과정에서 다문화적 준거개념과 다문화교육의 구체적인 내용 등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언급을 하지 않고 모호하게 표현하였다. 다문화와 관련된 이주민 인권과 사회환경적 지식에 대한 이해 수준은 다소 미흡한 모습을 드러내었다. 연구참여자들의 다문화에 대한 지식 경험은 그들의 지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이주인권의 지식의 경우에도 다문화적 경험이 있는 연구참여자들의 경우에도 이론적으로 이주민에 대한 낮은 수준의 이해를 보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다문화태도에 있어 이주민들에게 동화주의적인 동시에 다문화에 대한 포용력과 수용적 태도, 반성 및 성찰, 이주민 인권에 대한 감수성으로 상호모순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들은 이주민들의 각각의 학습태도나 문화적 차이, 생활양식의 차이에 대해 준비 없이 상황에 놓이다 보니 당황스러움을 느끼며 그들을 서둘러 한국문화에 통합시키기 위해 한국문화에 대해 집중적으로 지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원들이 이주민들에게 한국문화로서 동화의 통일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원의 태도나 지도 방법에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이주민에 대한 사전지식 부족, 이주민과의 관계에 대한 경험의 부족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구참여자들은 문화적 차이를 부정하는 것 보다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실에서 부딪치는 다양성 문제에 대한 불안, 두려움, 불확실성, 과잉반응과 같은 것들은 교육과정에서 이에 대한 충분하고 적절한 준비가 되지 못했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며 이로써 이주민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다문화역량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의 다문화기술은 문화다양성을 증진하는 기술, 이주민의 관계 형성 기술, 이주민에 적합한 교육과정 운영기술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은 문화다양성을 증진하는 기술은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체득하게 되었으며 편견과 갈등 등의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 대한 기술을 익히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주민 관계 형성 기술로는 상담을 통해 이주민과의 정서적 지원을 도우며 갈등 해결과 중립적인 중재의 역할을 한다고 하였으나 상호작용보다는 교원들 위주로만 다소 소극적이고 일방적으로 진행된다고 하였다. 또 이주민에 적합한 교육과정 운영기술은 이주민들에게 적합한 교육과정과 교수 학습 역량을 개발하려는 노력을 한다고 하였으나 다소 교원들 간의 교육정보의 비공유로 인해 비체계적이고 비조직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역량을 통해 본 한국어교원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다문화지식은 한국문화 중심으로만 교육되고 있다는 점이다. 다문화태도 관련 프로그램들은 이주민들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는 수준이었으며 다문화기술은 상담능력을 키우려는 프로그램도 있지만 한국어 교육 이외에 구체적인 상담프로그램 없이 재교육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재 한국어교원의 양성과정 및 재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역량을 강화하기에 어려운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교원의 다문화역량 강화를 프로그램을 모색하는 것은 한국어교육계의 다문화교육 교과 과정에서 반드시 적용해야 할 부분이다. 무엇보다 타문화와 자신의 문화의 차이를 인식하는 다문화에 대한 지식, 문화 간 의사소통 기술인 다문화기술, 관계적 상호작용 능력인 다문화태도 능력이 요구되며 프로그램에서 다문화역량 능력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원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교육의 적극적인 실천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어교원의 다문화인식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다문화 교사프로그램을 확충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한국어교원들이 다문화교육을 실천하도록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이주민들도 다양하게 다문화적 경험을 할 수 있는 외적 기반이 확충될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어교원들이 전문적인 지식과 실제적인 교수 방법을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 당국의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넷째, 한국어교원의 새로운 자질인 다문화역량 강화를 위하여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내에서 다문화교육 관련 과목이 개설되어야 한다. 다섯째, 한국어교원이 전문적인 자질 및 역량강화를 위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다문화교육연수가 기획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한국어교원과 다문화교육 전담가가 한 팀으로 교육 내용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주민을 위한 한국어교육과 다문화교육을 모두를 알고 있는 전문가가 필요하다. 일곱째, 교수방법의 어려움이 있을 때는 교육방법이나 교육지식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유용한 사이트가 마련되어야 한다. 한국어교원으로 하여금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이주민 증가라는 변화된 환경에 대처하고, 작은 지구촌이라는 교실 환경을 이끌어 가야 하는 교수자로서, 보다 넓게는 글로벌 세계시민으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다문화간 의사소통의 전제가 되는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앞으로 한국어교원 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 과정 편성에 대한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 국어교육과정의 문화교육 반영 연구

        이문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자가 '국어 교육'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이다. 그런데 '어떻게'는 '무엇'을 확정한 다음의 문제이다. 국어 교육학에서 '무엇'의 출발은 '언어'로부터이다. 그러므로 국어 교육은 언어가 어떤 모양으로 발달하는가를 살펴야 한다. 그러나 국어 문화의 다양한 변화를 국어 교육 과정이 재빠르게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언어 문화'를 통해 '문화교육'의 개념을 정립하여 국어 교육과의 관련성을 검토한다. 또한 학교에서의 국어 교육 실천을 위한 출발로 7차 국어 교육 과정의 문화 교육 반영 실태를 점검하여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인 10학년 국어 과목을 모형으로 국어 교육 과정의 은화 교육 수용 방안을 제시한다. 2장은 문화 교육을 정의하고 국어과 문화 교육의 위상과 범위를 고찰함으로써 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의 관련성을 검토한다. 문화 교육은 문화의 다양한 전승 통로를 학교 교육이라는 공식적인 체제로 일원화하는 것이다. 이는 문화 교육이 전통을 계승한 새로운 문화 창조, 세계 문화 속에 한국 문화의 위치 수립, 한국인의 문화인으로서의 가치관 습득을 의의로 갖게 한다. 국어 교육은 현재 수준의 국어 문화를 국어 교사가 철저히 탐구하여 이를 명료하게 학생들에게 교육시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어 문화에 대한 학교 교육 내용이 충분히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구어 문화의 범위에는 사회적 변동을 고려하여 국어 문화 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문화 내용을 다양하게 수집하고 반영해야 한다. 3장은 현행 국어 교육 과정의 문화 교육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며 의사 소통· 국어 지식·문학 영역을 비롯한 국어 생활·화법·독서·작문·문법·문학 등 심화 선택과목의 문화 교육 반영 실태를 파악한다. 국어 문화 교육은 국어 문화 의식이 국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까지 적용되는 것인데, 7차 국어 교육 과정은 문학 영역 및 문학 과목을 제외한 영역에서 문화 교육으로서 그 내용과 방법이 아직 미흡하다. 4장은 문화 교육 수용의 방향을 수립하여 10학년을 중심으로 문화 요소 삽입과 문화 영역 신설을 통한 국어 교육 과정의 문화 교육 수용 방안을 제시한다. 국어 교육 과정에 문화 교육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자질, 문화 요소 선정, 문화 현장에서의 직접 체험 방식의 교육, 국어 문화 요소의 지식과 기능 자료와 시설의 구비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국어 교육 과정의 기존 영역에 문화 요소를 삽입하거나 문화 영역을 새롭게 신설한다. 국어 교육 과정에 문화 교육을 반영함은 국어 문화가 일상 생활 속에서 학생들에게 올바르게 실천될 수 있도록 학교에서 체계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를 앞으로의 연구 과제로 남겨둔다. What matters in korean education is what and how to teach. But how to teach should be decided after what to teach is determined firs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language is the primary factor to be considered to determine what to teach. Therefore, in which way language has developed should carefully be examined, but Korean language curriculum have failed to stay abreast with changing Korean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ccordingly, to delve into language culture in a bid to define culture educa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s also attempted to look into to what extent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provided culture education and to suggest in which way culture education could be conducted in Korean class for grade 10, one of the required courses. Chapter 2 defined culture education and discussed its position and scop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ulture education refers to building a unified system to transmit culture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that aims at creating new culture on the basis of tradition, upgrading Korean culture in the world and inspiring Koreans with good values as civilized people. Korean teachers should make a thorough inquiry into Korean culture and teach students about that, but that isn't educated properly yet. Every part of Korean culture that is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including social upheaval,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Korean culture is instructed. Chapter 3 described how culture education was handled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especially in 'the areas of communication, Korean knowledge and literature' and in the enrichment electives including 'Korean life, narration, reading, writing, grammar and literature'. In Korean culture education, what and how to teach in Korean language class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a consciousness of Korean culture, but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failed to offer sufficient culture education except some 'literature areas and literature subject'. Chapter 4 suggested in which way culture education should be covered in Korean language class for grade 10, in method of instructing cultural components in all areas and creating new cultural areas besides six areas. In order to make culture education more successful, it's also required to improve teacher qualifications, provide firsthand field experiences, and prepare ample relevant materials. The reflection of culture education to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ims at students carry out the right Korean culture in actual life, and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edicated to finding out teaching Plan how that object could be realized.

      • 중·고등학교 국어지식교육 내용의 연계성 및 정도성에 관한 연구

        나승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고에서는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 중, 중·고등학교 기간의 국어지식 내용의 정도성과 연계성을 살피고 국어지식 내용의 심화 과목의 성격을 지니는 문법 교과서와의 대비를 통해 심화의 정도와 연계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중국 시나 웨이보(新浪微博)의 한국어교육 콘텐츠 분석

        리앙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Chinese learners, who study Korean through Sina Weibo, and to give some advice of improvement based on their point of view by organiz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on Weibo. The first chapter reveals my research purpose and necessity of writing this paper. Through the analysis of prior studies, I summarized the background of this paper which includes mobile learning, and the practicability of using social network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In order to facilitate the smooth analysi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ina Weibo, chapter two introduces development history, influences and features of Sina Weibo. After that it elaborat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nalysis, which is the concept of mobile learning and social network learning. The third chapter first chooses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Sina Weibo to be analyzed in this thesis, and then it analyzes the content comprehensively with the research method I have mentioned on above steps. Finally, last chapter is mainly based on the conclusions from the third chapter, gives suggestions to the content of Korean education on Sina Weibo from learners’ perspective. keywor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Social media, Sina weibo 근래에 들어 세계 언어 속에서 한국어의 위상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한국어 세계화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최근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습 열풍이 대단하다.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중국에서는 한국과 수교한 후 한국 기업의 진출과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중국에서 이동 통신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한국어 학습을 하는 사람은 많이 늘어나기 때문에 소셜 미디어를 기반으로 다양한 한국어교육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 학습자를 대상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중 중국에서 사용자가 제일 많은 소셜 미디어인 시나 웨이보(SINA WEIBO)의 한국어교육 콘텐츠를 정리하고 이 콘텐츠들을 분석하여 그 역할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제1장에서는 우선 본 논문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본 논문의 이론적인 배경인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한국어교육의 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시나 웨이보의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나 웨이보의 특징과 기능을 소개한 다음 이를 뒷받침 하는 모바일 학습과 소셜 미디어 교육의 개념, 특성, 역사,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장단점 등 이론적인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3장에서는 우선 본 논문에서 분석할 시나 웨이보 한국어교육 계정(페이지)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한국어교육 계정은 후지앙 한국어, 한국어 교실, 요구르트 한국어 선생님, 한국어1920, 한국인 교사 queenchopa, 한국어 에듀넷 총 6개이다. 선정된 계정에 대하여 2017년 8월 31일 이전의 오리지널 콘텐츠 200개를 순서대로 정리하여 웹과 소셜 미디어 기반으로 이루어진 한국어교육 콘텐츠를 분석한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제4장 결론 부분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한 다음 학습자의 입장에서 제언하였다. 우선 콘텐츠 개발자는 콘텐츠의 정확성에 대한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에 따라 각 등급별 맞춤형 콘텐츠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소셜 미디어의 특성을 살려서 교육자와 학습자 사이의 활발한 상호작용적인 학습 방식을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 주요어: 한국어교육, 콘텐츠, 소셜미디어, 시나 웨이보

      • 원격 기반 한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승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distance education progra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develop a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one vased on said discussion. To achieve this goal, we first examined the theoretical rationale of foreign language teacher education and distance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professionalism and other qualiti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functions and qualities of foreign language teachers were examined. The teachers’ exhibited educative, linguistic, and linguistic-educative qualities, emphasizing the need for teachers to have practical experience if they are have sustained and successful careers. Meanwhile, in order to develop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we examined the pedagogic contents knowledge, the craft model, the applied science model, and the reflective models and suggested that Korean teachers should be able to transform and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del according to the situation. Moreover,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major models of distance education were examined for distance education progra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development. Various models of distance education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and for this,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development process and the role of participating personnel can measure educational performance. Next, we examined distanc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curriculum, operating system, content composition method, and course management method of training institutes and re-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see the actuality of distanc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 The institutions selected for each are as follows: entire institutions that had received an institutional examination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ere selected for the curriculum analysis; major cyber universities were used for the operating system; and two cyber universities, one remote-based credit bank institution, and three teacher-training institutes were selected for the content analysis. Analysis criteria were based on Gagne’s instructional design model. Furthermore, in order to examine the actual operation, a remote-based credit bank institution was selected and examined regarding the overall aspects of the operation based on my personal experience. From the above analyses, we presented limitations in structural and cognitive aspects. We first suggested that distance education can realize its function of providing learners with the opportunity to choose from the structural aspect, and we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the blended learning method, the introduction of evaluation certifica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educational requirements regarding the cognitive aspect. That is to say, we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distinguish between required major courses and elective major curses as well as for opening a wide range of elective courses to meet the needs or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group in order to secure the necessary qualifications and professionalis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Furthermore, the organization and role of the system and operating personnel, as well as the qualification criteria of the faculty educating them, were presented as necessary for efficient program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introduction of the mixed learning method as an operating method, we proposed the application of “micro-teaching” in the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ing practice courses, and we indicated the necessity of network establishment for the educational efficiency of learners. Lastly,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distance education progra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regarding the aspect of teacher training, we selected and presented the required courses and electives in order to allow learners to select courses according to their purposes and other variables while meeting the required number of credits and completion hours determined by the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Moreover, in order to efficiently convey the learning contents, it was modified based on Gagne’s instructional design theory and the existing contents analysis result, and it was presented. keyword: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course, Online Korean teacher training, Distanc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Korean teacher retraining 본 연구는 원격 기반 한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한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더욱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원격 기반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원리와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외국어 교사 교육과 원격 기반 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과 자질 함양을 위해 외국어 교사의 기능과 자질을 살펴보았다. 교사의 자질이란 교육자적 자질, 언어적 자질, 언어교육자적 자질로 구성되며, 지속적이고 성공적인 교사 생활을 위해서는 실제적인 경험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한편, 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해 교수내용지식 모형, 장인 모형, 응용과학 모형, 성찰 모형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사는 각각의 모형이 가진 특성을 상황에 맞게 변용하여 제시할 수 있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원격 기반 한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원격 교육의 개념과 특징, 주요 모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원격 교육의 다양한 모형은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콘텐츠 개발 절차와 참여 인력의 역할이 교육적 성과를 가늠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원격 기반 한국어 교사 교육의 실제를 확인하기 위해 양성 기관과 재교육 기관의 교육과정, 운영 체제, 콘텐츠 구성 방식, 과정 운영 방식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교육과정 분석은 국립국어원 기관심사를 득한 전체 기관을, 운영 체제는 주요 사이버대학을, 콘텐츠 분석 대상은 사이버대학 2개 기관과 원격 기반 학점은행제 1개 기관, 교사 연수 3개 기관을 선정하였으며, 분석의 기준으로 가네(Gagne)의 교수설계 모형을 토대로 하였다. 또, 운영의 실제를 살펴보기 위해 원격 기반 학점은행제 기관을 선정하여 필자의 경험에 입각한 운영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구조적인 측면과 인식적인 측면에서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우선 구조적인 측면에서 학습자들에게 선택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원격 교육이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으며, 인식적인 측면에서는 혼합 학습 방식의 도입과 평가 인증의 도입, 이수 요건 강화를 제안하였다. 즉, 한국어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공 필수와 전공 선택의 구분이 필요하며, 학습자 집단의 요구나 특성에 맞춘 폭넓은 선택 과목의 개설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 효율적인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 시스템과 운영 인력의 구성 및 역할, 이들을 교육하기 위한 교수진의 자격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운영 방안으로 혼합 학습 방식의 도입과 더불어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목의 운영에 있어서 ‘마이크로티칭’의 적용을 제안하였으며, 학습자들의 교육 효율화를 위해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원격 기반 한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교사 양성의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원 자격제도에서 정하고 있는 영역별 필수이수학점 및 이수시간을 충족하되, 목적과 변인에 따라 교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도록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을 선별하여 제시하였다. 또, 학습 내용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가네(Gagne)의 교수설계 이론과 기존 콘텐츠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변형하여 제시하였다. 주요어: 한국어교사교육, 한국어교원, 한국어교원양성, 한국어교원재교육, 온라인한국어교사교육, 원격기반한국어교사교육, 한국어교사교육과정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