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립과 사립대학교병원의 효율성 비교분석

        양종현 인제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립과 사립대학교병원의 효율성 비교 분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국립대학교병원과 사립대학교병원의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12개 국립대학교병원과 20개 사립대학교병원을 선정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국립과 사립대학교병원의 주요 특성 및 지표, 외래환자수, 입원환자수, 인력, 병상수, 의료수익, 의료비용 등의 연도별 변화 및 비율 분석을 하였으며, 효율성 분석을 위한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를 연도별로 분석하였다. 둘째, DEA를 이용하여 CCR(기술효율성), BCC(순수기술효율성), SE(규모의 효율성)분석을 하고, 2007년 BCC(순수기술효율성)를 토대로 비효율병원의 준거집단 및 가중치, 투입부족분, 산출부족분 등을 통하여 효율적인 목표치 값을 각 병원에 제시하였다. 셋째, 대상병원의 효율성 수치와 비용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비용과 관련 있는 변수를 추가하여 이들 간의 연관성에 대한 검정을 하고, 이를 위해 변수들의 평균, 상관성 검정(Correlation 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자원 효율성의 분석 결과 2005-2007년 국립과 사립대학교병원의 CCR(기술효율성), BCC(순수기술효율성), SE(규모의 효율성)에서 거의 모든 대학병원이 0.9이상으로 효율성이 높게 나왔다. 일반적으로 사립대학교병원이 국립대학교병원보다 효율성이 높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자원 효율성 측면에서는 국립대학교병원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재정 효율성 분석 결과에 있어서도 자원 효율성과 마찬가지로 2005-2007년 국립과 사립대학교병원의 CCR(기술효율성), BCC(순수기술효율성), SE(규모의 효율성)에서 거의 모든 대학병원이 0.9이상으로 나왔다. 재정 효율성 측면의 경우 전반적으로 사립대학교병원이 국립대학교병원보다 높았는데, 결과적으로 국립대학교병원이 사립대학교병원에 비해 자원 효율성은 높은데 비해 재정 효율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효율성이 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자원 효율성이 비용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재정 효율성이 비용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자원 효율성의 투입변수는 의사수, 간호사수, 일반직원수이며, 산출변수는 외래환자수, 입원환자수로 구성되었는데 여기서 의료인력, 규모 및 환자수와 비용이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효율성이 높은 병원은 비용이 낮고 수익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 효율성과 비용의 관계를 보면 효율성이 높은 병원의 경우 비용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병원이 비용적 투자를 늘리면 환자수가 늘어나고, 의료수익이 증가하여 효율성이 높아지는 선순환의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라 추정된다. 특히 국립과 사립대학교병원의 효율성과 비용의 관계에서 사립대학교병원의 비용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인적 규모와 병상수에 비해서 병원 운영의 비용적인 측면인 인건비, 재료비, 관리비에서 상당히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국립대학교병원이 사립대학교병원에 비해 자원 효율성은 높았고, 사립대학교병원은 국립대학교병원에 비해 재정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효율성과 비용의 관계에서 효율성이 높을수록 비용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립대학교병원이 국립대학교병원보다 병원 운영에 있어서 비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국립대학교병원, 사립대학교병원, DEA, 효율성

      • 국립대학병원에 대한 경영성과평가제도의 수용도에 관한 연구 : 충남대학교병원을 중심으로

        이건상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government has operated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to promote system management and management efficiency on public institutions. Previously, management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limiting to public enterprises and quasi-government agencies among public institutions after considering public roles and financial scale of each public institution, let each competent Ministry execute the system to other public institutions by including these institutions as objects of management evaluations. So, management evaluations on 13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were carried out by supervision of Department of Education. As basic purpose of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the system was introduced to enhance publicness and management efficiency of public institutions under the intent of 「Normalization of public institutions」 in Park Geun-hye government, and to promote nationwide services ultimately. However, public university hospitals belong to a public institution that has very large public roles in health sector because of doing medical treatments on diseases which cannot be treated easily in general private hospitals and public health on social vulnerable class etc. In easily introducing and operating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centering on profits to such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organizational members who accept the system would have repulsion at the same time. Specially, if reli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system drop and not accept it positively according to differences between evaluation results and sentiment of targeted evaluation institutions together with problems shown at operations of management evaluations, questioning on effects of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is bound to be made. Also,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have disparate conditions and environment differently from other public institutions, so the matter is proposing larger issues on efficacy and necessity.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how th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having been executed i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other public institution belonged to Ministry of Education, and analyze acceptance of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by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and its influence factors. For doing so, content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preceeding researches 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and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and a research model was composed by centering on acceptance of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and understanding variable on the system, specialty variable of management evaluation subject, adequacy variable of management evaluation object and index, adequacy variable on management evaluation methods and procedures, and then a questionnaire survey was executed by objecting faculty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ho was evaluating objects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 having been produced subsequently. As a result of doing comprehensive comparison by applying many statistical techniques and analyzing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it appeared as effecting positive(+) influences to acceptance of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from ① adequacy of management evaluation methods and procedures, ②speciality of management evaluation subject, ③ properness variable of management evaluation objects and indexes. Though significant influences were not acquried statistically as a result of executing multi regression analysis on understanding variable of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besides 3 variables, policy applications were suggested by such contents from a viewpoint that the result of not having significance statistically did not mean no policy meaning. In doing suggestions on acceptance of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having been gotten through this research: First,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is forced to lost existing purposes if organizational members do not participate in positively with ownership in spite that very excellent evaluation system has been equipped with. So, Ministry of Education which is the competent government of management evaluations 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is encourag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evaluation institution through steady education on purpose, necessity, results of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to members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Besides, broader legal bases related to management evaluations 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shall be prepared. Second, there are arguments about Ministry of Education has speciality to the degree of being able to evaluate medical treatment·public health sectors which are near to jurisdiction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ather than that of Ministry of Education. Thus, letting evaluation objects have confidence on evaluation subject of management evaluations is necessary. Third, evaluation objects and indexes which can consider characteristics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shall be developed. Fourth, objective and fairness on management evaluation methods and procedures shall be raised by guaranteeing sufficient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transparence of members in relation with management evaluation methods and procedures. Fifth, an attracting system to ensur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is required. Sixth, various methods to relax evaluation burdens of targeted evaluation institutions shall be arranged. Lastly, as the forthcoming research parts of having to be supplemented together with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on effect factors about acceptance of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by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First,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to al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because a sample survey was carried out by objecting faculty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cond,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kept in the questionnaire survey. Third, researches for several years by selecting regular investigation objects are necessary in order to make clear the causality between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and acceptance more. Finally, researches on various variables have to be made to analyze close analyses on acceptance of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but this study has limitations of doing analyses focussing on several effect factors such as understanding on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specialty of management evaluation subject, adequacy of management evaluation objects and indexes, and properness of management evaluation methods and procedures etc. Therefore, useful results could be deduced only when analyses on various variables have to be made through wide survey on preceeding researches and other effect factors. Nonetheless, this study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tried an empirical analysis on acceptance of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having been introduced to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recentl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could be utilized as a reference model i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similar public institutions, public medical organizations afterwards. Key word: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Acceptance, Ministry of Education, Other public institution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정부는 공공기관에 대한 체계적 관리 및 경영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경영평가제도를 운영하여 왔다. 기존에는 각 공공기관의 공적인 역할이나 재정 규모 등을 고려하여 공공기관 중 공기업과 준 정부기관에 한정하여 경영평가를 실시하였으나, 2014년도부터는 기타공공기관도 경영평가 대상으로 포함시켜 각 주무부처가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13개의 국립대학병원에 대한 경영평가도 교육부 주관 하에 실시되었다. 국립대학병원 경영평가제도의 기본목적은, 박근혜 정부에서 「공공기관 정상화」라는 취지하에 공공기관의 공공성 및 경영효율성을 향상하고, 궁극적으로는 대국민서비스를 개선하고자 도입된 것이다. 그러나, 국립 대학병원은 일반 민간병원에서 쉽게 치료하기 어려운 질병에 대한 진료와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공공의료 등을 수행하기 때문에 의료부문에서 가지는 공공적 역할이 매우 큰 공공기관이다. 이러한 국립대학병원에 자칫 수익성 위주의 경영평가 제도를 도입하고 운영함에 있어 그 제도를 받아들이는 조직구성원들은 그 제도를 받아들임과 동시에 거부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경영평가의 운영에서 나타나는 문제와 함께 평가결과와 피 평가 기관이 느끼는 체감의 차이로 인하여 제도의 신뢰도와 효율성이 떨어져 이를 적극 수용하지 못하면, 경영평가제도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의문시되기 마련이다. 또한, 국립대학병원은 다른 공공기관과 다르게 그 여건과 환경이 상이하여 경영평가의 실효성과 필요성에 더욱 커다란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육부 소속 기타 공공기관인 국립대학병원에서 시행되고 있는 경영평가제도가 피 평가기관 직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국립대학병원 직원들의 수용도와 그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대학병원 및 경영평가제도에 대한 이론적 검토 및 선행연구를 통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경영평가제도의 수용도와 경영평가제도의 이해도 변수, 경영평가 주체의 전문성 변수, 경영평가 대상 및 지표의 적절성 변수, 경영평가 방법 및 절차의 적절성 변수를 중심으로 연구모델을 구성한 후, 이를 바탕으로 생산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평가대상인 충남대학교병원 교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대하여 여러 통계기법을 적용 및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한 결과 ①경영평가 방법 및 절차의 적절성 ②경영평가 주체의 전문성 ③경영평가 대상 및 지표의 적절성 변수가 경영평가제도의 수용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3개 변수 외에 경영평가제도에 대한 이해도 변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영향력을 확보하지 못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고 해서 정책적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라는 관점에서 이러한 내용까지 담아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경영평가제도의 수용도에 대한 제언은 첫째, 아 무리 훌륭한 평가제도가 갖춰져 있을지라도 조직구성원들이 주인의식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면 경영평가제도는 존재 목적을 상실 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국립대학병원 경영평가의 주무부처인 교육부는 국립대학병원 구성원들에게 경영평가제도의 목적, 필요성, 결과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피 평가기관 구성원들의 이해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국립대학병원 경영평가와 관련된 보다 명확한 법적근거가 마련되어야겠다. 둘째, 국립대학병원 경영평가 주체인 교육부는 비록 국립대학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감독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교육부 소관이라기보다는 보건복지부 소관에 가까운 진료·공공의료분야 등의 평가를 수행 할 만 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지 논란이 있다. 따라서, 경영평가 주체의 전문성 확보를 통하여 평가대상자가 평가주체에 대한 신뢰감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국립대학병원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는 평가 대상 및 지표를 개발해야겠다. 넷째, 경영평가 방법 및 절차 전반에 있어 구성원들의 충분한 이해와 참여, 투명성을 보장하여 경영평가 방법 및 절차에 대한 객관성과 공정성을 제고해야 하겠다. 다섯째, 평가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유인체계가 필요하며, 여섯째, 피 평가기관의 평가 부담을 완화 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겠다. 끝으로, 국립대학병원 경영평가제도의 수용도에 관한 영향요인에 대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보완하여 연구해야 할 부분은 첫째, 본 연구는 충남대학교병원 직원을 대상으로 하여 표본조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국립대학병원 전체를 대상으로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둘째, 본 연구는 설문조사가 지니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셋째, 경영평가제도와 수용도의 인과관계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조사대상을 선정하여 다년간에 걸쳐 연구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경영평가제도의 수용도에 관한 면밀한 분석을 위해서는 다 양한 변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나, 본 연구에서는 경영평가제도의 이해도, 경영평가 주체의 전문성, 경영평가 대상 및 지표의 적절성, 경영평가 방법 및 절차의 적절성 등 몇 가지 영향요인을 위주로 분석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 및 다른 영향요인들에 대한 폭넓은 조사를 통해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보다 유용한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론적·방법론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최근 국립대학병원에 도입된 경영평가제도에 대한 수용도에 대하여 실증적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며, 향후 본 연구 결과가 국립대학병원과 유사한 기타공공기관 및 공공의료기관에서 참고 모델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 국립대학병원, 경영평가제도, 수용도, 교육부, 기타공공기관, 충남대학교병원

      • 국립대학병원 환자의 전반적 만족도 및 재이용 의사 결정요인

        정승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71

        국립대 병원 입원환자들의 재이용 의사 결정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11개 국립대 병원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또는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전반적 만족도와 재이용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외래 8가지, 입원 9가지로 정하고, 다시 요인별로 세부적인 특성 변수를 측정하였다. 외래 환자의 재이용 의사 결정에 가장 큰 효과를 미치는 변수는 건강회복정도(.242)로 나타났고 전반적 만족(.231), 의사 요인(.185), 직원 요인(.158)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원 환자의 경우는 건강회복정도(.241), 간호사 요인(.193), 의사 요인(.144), 전반적 만족도(.120), 입원절차 요인(.102)의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재이용 의사에 총효과로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절차 요인, 직원 요인, 시설 편의성 요인, 입원생활의 질 요인 등도 전반적 만족도를 통해서 재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따라서 환자들의 건강회복에 대한 기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우수한 의료진과 장비를 갖추는 노력과 더불어 진료과정의 표준화, 의료서비스 질 관리 등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의사 및 간호사뿐만 아니라 전 직원의 체계적인 교육과 보상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장기간 병원에서 생활하는 입원환자들을 위한 사생활 보장 및 시설 환경면에서도 세심한 배려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전국 국립대 병원 환자를 대상으로 병원 재이용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 자료가 일회의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단면자료이고, 또한 국립대 병원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본 연구 결과를 전체 병원의 환자들에게 일반화하는 데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비록 국립대 병원이 수익성을 최고 목표로 하는 민간병원과는 조금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최근 환자 중심의 병원과 운영 효율성을 강조하는 사회 전반적인 흐름을 인식할 때, 관료적 틀에 안주해 오던 국립대 병원 역시 독자생존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여러 차원에서 환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병원 재이용 의사를 제고하기 위한 경쟁력 강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이중적 지위에 있는 근로자의 근로관계에 관한 연구 : 국립대학병원 겸직교원의 근로관계를 중심으로

        이영학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71

        A worker who is responsible for the provision of labor in a relationship with an employer is protected by various laws governing employment relationships. Public servants are protected by laws on the basis of election or appointment, and workers are protected by labor-related laws that regulate the behavior of employers or ensuring means of self-protection through organizations called trade unions. And worker protection laws are determined by worker status. On the other hand, in exceptional cases, public officials can engage in commercial activities with the permission of the employer, and in some cases, they form individual employment relationships with multiple employers. And because of their status as a public servant, there is no need to protect individual employment relationships. The problem is that protection laws applied according to worker status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re is no legal way to regulate the employment relationship of persons who are both recognized as double employees. For example, when a person who has the status of a public official has an individual employment relationship with another employer by law or the permission of the person who has the right to hire, the law governing the individual employment relationship cannot be applied by the status of a public employee. As such, employers who have individual employment relationships with public officials do not have to fulfill their legal obligations to protect workers at a minimum, and cannot force them to protect workers. This is a major cause of failure to improve the individual working environment of public officials. Of course, there are cases where work is not adequately protected by law because it has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icult to evaluate by law. In the case of doctors employed in medical institutions, they are exposed to a non-waiting work situation such as an emergency or have a working type that makes it difficult to calculate working hours physically and because they are paid relatively high wages and have an independent form of work, it is difficult to fully apply the Labor Standards Act, and it is recognized as a long-standing work task of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The case of an adjunct professor at a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s a case of exposure to the two typical working environments mentioned above. He has the status of a public official as a professor at the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t he is engaged in commercial activities at the university hospital with the permission of the law and the right of appointment. nevertheless it is a problem that because of their status as a public official, they are not receiving adequate protection from various working conditions or occupational accidents based on the Labor Standards Act. In this paper, the author recognized the need to protect individual employment relationships of public officials approved by the appointment authority, pointed out problems with unprotected situations, analyzed, evaluated and suggested several ways to improve them. First, if a public official who has been approved by the appointment authority has an individual employment relationship that provides non-official work to the employee, the employment contract shall be set as a mandatory requirement and the appointment authority shall confirm it in advance. Secon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Labor Standards Act should be expanded. This is because only those with worker status apply the worker protection law and should not be excluded from the application because they are public officials. Third, in cases where public officials engage in concurrent job activities with the approval of the appointment authority, essential conditions of employment and means to protect workers from occupational accidents must be provided by law. Fourth, if public officials themselves are permitted to work concurrently, the means and procedures for determining the employee and working conditions must be guaranteed by law, at least if there is an identical or similar occupation, the standard that the working conditions that are less than their working conditions are invalid must be established in the labor relations law. As reviewed above, in order to protect the employment relationship of a person with dual status, the law must provide a means of protection so that various problems due to the restrictions on worker statu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 itself can be improve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dual employment relation system of public officials can be established as a more practical work system.

      • 국립대병원의 감사성과 측정 및 감사접근방법 개발 연구

        윤석준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그간 감사원과 교육부 등에서 국립대병원을 대상으로 수행한 감사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고, 해외 감사기관의 감사 중점사항과 국제기구의 보건의료 분야 주요 이슈들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국립대병원에 적합한 감사 접근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감사원과 교육부, 국립대병원 자체감사기구에서 국립대병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감사에 대한 결과를 활용하여 처분요구사항(지적사항)과 감사성과(재무조치, 신분조치, 행정조치)의 규모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최근 해외에서 강조되고 있는 의료 질과 환자안전의 평가·측정방법을 반영하여 우리나라 국립대병원 감사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국립대병원의 감사기준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하고, 국립대병원 특성을 반영한 감사 접근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대병원 감사는 감사원에서 20건(’99년∼’19년), 교육부 8건(’13년∼’18년), 국립대병원 자체감사 509건(’16년∼’18년) 실시되었다. 감사성과는 재무조치 성과, 신분조치 성과, 행정조치 성과로 분류하였는데, 재무조치 성과의 경우, 감사원은 총 21건 처분요구를 통하여 15.1억 원 상당의 금액을, 교육부는 116건의 처분요구를 통해 총 595.2억 원 상당의 금액을, 국립대병원 자체감사에서는 131건의 처분요구를 통해 총 42.3억 원 상당의 금액을 지적·적발하여 회수하였다. 따라서 재무조치 실적은 교육부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분조치 성과의 경우, 감사원은 총 30건 처분요구를 통하여 147명을. 교육부는 234건의 처분요구를 통해 총 1,292명을 국립대병원 자체감사에서는 759명에 대해 신분조치 하였다. 그러므로 신분조치 실적은 국립대병원 자체감사가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행정 조치 성과의 경우, 감사원은 총 51건, 교육부는 50건, 국립대병원 자체감사는 1,146건 행정조치(개선요구)하여, 국립대병원 자체감사의 행정조치 실적이 가장 많았다. 둘째, ‘의료 질·환자안전’ 분야의 세부 감사 기준으로 ‘환자안전관리’, ‘의료효과성’, ‘의료접근성’, ‘환자중심성’, ‘의료효율성’ 등 5가지 감사기준이 도출되었다. 먼저, ‘의료의 질 관리’는 WHO, OECD, World Bank, 미국, 캐나다 등에서도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분야이다. 이 기관 및 국가들은 의료의 질 평가 및 관리의 주요 지표로 의료효과성, 의료접근성, 안전성(환자안전), 의료효율성, 의료연계성, 의료형평성 등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에서 이를 상당수 반영하여 평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다음으로 ‘환자안전 관리’ 분야 역시 WHO, OECD, World Bank, 미국, 호주 등에서 중요성을 강조 하고 있다. 이 기관들은 환자안전 관리의 주요 지표로 의약품안전, 의료감염관리, 수술 안전관리, 수혈관리, 낙상사고관리 등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한국 의료 질 보고서’에서 이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 외 병원 경영(운영)과 관련된 문헌검토를 거쳐 감사기준을 도출한 결과, ‘재정관리’, ‘자원관리’, ‘의약품,환자안전 관리’, ‘정보관리’, ‘시설관리’, ‘의료비관리’ 등 6개 감사기준(AHP 1계층)과 20개 하위 감사기준(AHP 2계층)이 도출되었다. 하위 감사 기준을 살펴보면, 1계층 ‘재정관리’의 2계층은 ‘병원예산관리, 병원회계관리, 병원 재무관리’ 등으로, 1계층 ‘자원관리’의 2계층은 ‘인적자원관리, 물적자원관리’ 등으로, 1계층 ‘의약품, 의료기기 관리’의 2계층은 ‘의약품관리, 의료기기 관리(멸균처리)’ 등으로, 1계층 ‘정보관리’의 2계층은 ‘병원정보관리, 의무기록관리, 진료정보시스템’ 등으로, 1계층 ‘시설관리’의 2계층은 ‘병원건축관리, 병원설비관리’ 등으로, 1계층 ‘의료비관리’의 2계층은 ‘진료비 청구관리, 비급여항목 관리, 의료수가 관리’ 등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감사의 우선순위는 1계층에서 ‘의료 질, 환자안전 관리’의 AHP 중요도가 0.451로 산출되어 다른 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의약품,의료기기 관리 측면 0.194(2순위), 자원관리 측면 0.104(3순위), 정보관리·의료비관리 측면 0.080(4순위), 재정관리 측면 0.061(6순위), 시설관리 측면 0.030(7순위)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1계층의 중요도의 가중치를 2계층 중요도에 적용한 결과, AHP 중요도 상위 5순위는 환자안전관리(0.261), 의약품 관리(0.127), 의료효과성(0.090), 인적자원관리(0.085), 의료기기관리(멸균처리)(0.067)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우선순위를 살펴보면, 1계층 ‘의료 질·환자안전관리 측면’의 2계층인 환자안전관리가 전체 20개 중 1순위, 의료효과성은 3순위, 의료접근성은 7순위로 도출되었고, 1계층 ‘의약품·의료기기 관리 측면’의 2계층 의약품 관리는 2순위, 의료기기 관리(멸균처리)가 5순위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의료 질·환자안전관리’과 ‘의약품·의료기기 관리’의 감사영역은 감사기준을 선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할 수 있는 감사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국립대병원의 특성을 반영한 감사 접근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국립대병원의 전반적인 업무 적정성과 조직 인력 예산을 검토 목적으로 기관운영감사를 실시하고, 감사 과정에서 심층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는 감사 사항을 고려하여 차후에 성과감사, 특정감사를 계획·실시하는 것이다. FGI 조사 결과, 성과감사, 특정감사는 의료 질·환자안전 관리, 의약품·의료기기 관리, 의료비 관리, 정보관리 분야에 접근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다만 이 분야의 감사 난이도가 높고,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하기 때문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의 전문 인력의 협조를 받아서 감사를 실시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한편, 국립대병원 감사를 통해 의료 질·환자안전 평가 결과가 미흡한 국립대병원의 취약 원인을 규명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는데 이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기관은 의료 질·환자안전 감사 시 관련 지표의 측정·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감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의료 질 평가제도는 요양급여적정성평가(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기관인증평가(의료기관평가인증원), 상급종합병원지정및평가(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검진기관평가(국민건강보험공단), 응급의료기관평가(국립중앙의료원), 연구중심병원지정평가(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이다. 이상의 평가결과를 활용하여 자료 수집 단계부터 감사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제고해야 한다. 둘째, 감사기관은 국립대병원의 ‘임상진료지침(clinical practice guideline:CPG)’이나 ‘표준진료지침(critical pathway:CP)’, ‘환자의 알 권리 제도 보장’의 준수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임상진료지침(CPG)은 의학적 근거에 기초한 특정 임상적 질환과 관련되는 증상, 원인, 시술 등 의료인의 효율적인 임상적 의사결정이 목적이고, 표준진료지침(CP)은 특정 진단 또는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질환· 수술별 진료의 순서와 치료의 시점 등을 미리 정해 둠으로써 과잉진료나 과소진료를 방지하는 등 효율적인 의료자원 운용이 목적이다. 또한 국립대병원에서 의료서비스의 안전정보와 효과정보를 환자에게 고지함으로써 ‘환자중심성’ 향상을 유도하는 ‘환자의 알 권리 보장제도’가 원활하게 작동하는지 살펴봐야 한다. 셋째, 감사기관은 국립대병원의 마취로 인한 의료사고의 안전성 확보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국립대병원은 마취로 인해 의료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마취시술 실태와 마취사고의 원인을 분석하여 이를 예방하기 위한 인력, 시설, 장비 등에 대한 안전 기준을 강화하고 마취 안전성 강화를 위한 진료지침, 사고 예방 가이드 등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의료인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는 등 마취시술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The study aims to suggest audit approaches appropriate for Kore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It measured audit performances 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conducted by both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Korea. The main audit focus of foreign audit inspection institution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ajor concerns related to medical and health care were also analyzed. By using the audit reports on Kore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conducted b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Ministry of Education, and self-audit institutions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for the past 20 years, the size of requests for correction(feedback) and evaluation on financial ·personnel·administrative audit performances were analyzed. Based on foreign hospitals’ evaluation and measurement methods on ‘quality of health care & patient safety’, the factor that is being emphasized in overseas countries recently, the study searched for audit approaches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The main research result of the study is as below. First, the audit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was conducted 20 times b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1999∼1919), 8 tim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1913~1918), and 509 times by self-audit institutions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1916∼1918). The audit performance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inancial performance, personnel performance, and administrative performance. In terms of financial performance, through detection and analysis by auditing,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collected ₩1.51bil by making 21 requests for correc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collected ₩59.52bil by 116 requests for correc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collected ₩4.23bil by 131 requests for correction. As a result, the Ministry of Education collected the highest amount by auditing financial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audit of personnel performance, 147 people b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234 people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1,292 people by self-audit institution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have been required to correct their action. Among the three institutions, the internal institution of the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rovided the most comments. Second, for the in-depth analysis of ‘quality of health care & patient safety’, 5 audit factors as ‘patient safety’, ‘effectiveness’, ‘access’, ‘patient-centeredness’, and ‘efficiency’ were subclassified as critical standards. The ‘quality of health care’, was considered essential in institutions such as WHO, OECD, and World Bank, and countries as the U.S., and Canada for the audit of hospitals. In Korea, 5 audit factors as ‘patient safety’, ‘effectiveness’, ‘access’, ‘patient-centeredness’, ‘efficiency’ are regarded as key factors when HIRA(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generated ‘Comprehensive Quality Report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imilarly, ‘patient safety’ was also understood as necessary in the audit of institutions as WHO, OECD, and World Bank, and countries as the U.S., and Canada. These entities set standards such as ‘medication safety’, ‘infection control’, ‘surgical safety’, ‘safety of transfusion’, ‘patient falls’ to supervise ‘patient safety’ for audit. In Korea, these points were also highly considered when KIHAS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nounced the ‘Korea Healthcare Quality Report’. On top of these considerations, after referring to reports on hospital management(operation), this study derived 6 audit standards(AHP Tier 1) including ‘hospital fund’, ‘resource management’, ‘medication & patient safety’, ‘health record system’, ‘facility management’, and ‘medical expenses management’ and 20 audit standards(AHP Tier 2) as subcategories of tier 1. In detail, the tier 1 group ‘hospital fund’ included tier 2 items as ‘hospital budget management’ ‘hospital accounting management’, and ‘hospital financial management’. Similarly, the tier 1 group ‘resource management’ included tier 2 items as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materials management’. Also, the tier 1 ‘medication & patient safety’ had tier 2 items as ‘drug &medical devices safety(sterile medical aids)’. Finally, tier 1 ‘medical expenses management’ contained tier 2 points as ‘care billing management’, ‘non-payment item management’, and ‘medical fee management’. Lastly, in terms of audit priority, in tier 1, ‘quality of health care & patient safety’ recorded 0.451 in AHP analysis, ranking the highest compared to the other standards. The results of other standards were as follow(arranged in order of importance): ‘drug & medical device management(0.194)’, ‘recourse management(0.104)’, information management & medical expenses management(0.080)’, financial management(0.061), and facility management(0.030). When weights of tier 1 items were applied to tier 2 items, the top 5 items with the highest AHP result in the tier 2 group were ‘patient safety(0.261)’, ‘drug management(0.127)’, ‘effectiveness(0.090)’, ‘human resource management(0.085)’, and ‘medical device management(sterile medical aids)(0.067)’. The overall audit priority was ranked as follows. In tier 1 group, ‘quality of health care & patient safety’, ‘patient safety’ was ranked as the 1st, ‘effectiveness’ was the 3rd, and ‘access’ was the 7th. In the other tier 1 group, ‘drug & medical device management’, ‘drug management’ was ranked as the 2nd, and ‘medical device management(sterile medical aids)’ was the 5th. It was shown that the factors such as ‘quality of health care & patient safety’ and ‘drug & medical device management’ were valued when creating audit standards. As a result, the audit approach reflecting the research result and characteristics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was derived: It is advisable to conduct an institutional audit to conceive matters that need more in-depth research as a first step, and plan or carry out performance audit or special audit as a next step to check factors such as general opera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budget control of a hospital. According to the FGI research, performance audit and special audit were efficient to approach ‘quality of health care & patient safety’, ‘drug & medical device management’, ‘medical fee manage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However, since these items require in-depth review due to their complicated structure, it is wise to collaborate with professional institutions as HIRA or NHIS(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 the audit process. On top of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untermeasures and identify causes of vulnerability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found by audits. Conclusively, here are the suggestions drawn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audit inspection institutions need to fully consider audit standards and audit statistics or evaluations. The evaluation process of quality of health care is being provided by ‘Comprehensive Quality Report of National Health Insurance(HIRA)’, ‘Healthcare Accreditation(KOIHA: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Designation and Evaluation of Tertiary General Hospitals(HIRA)’, ‘Institution Evaluation of Medical Check-Ups(NHIS)’, ‘Evaluation of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NMC: National Medical Center)’, ‘Evaluation of Research-driven Hospitals(KHIDI: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etc. By using these reports, the efficiency of the audit process should be improved from the basic step such as data collection. Secondly, the auditing institution is required to check whether ‘clinical practice guideline(CPG)’, ‘critical pathway(CP)’ or ‘patients’ right to know’ are being kept properly. The CPG is aimed at medical personnel’s effective clinical decision-making based on analysis of symptoms, causes, procedures for medical treatment. The CP is for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to prevent over-or under-treatment by predetermining the order of treatment of each disease or surgery for patients that requires special diagnosis or treatment. The patients’ ‘right to know’ needs to be cared for by delivering patients the information on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the medical procedure to promote patient-centeredness. Finally, the auditing organizations need to confirm i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are ensuring the safety of treatment of anesthesia to prevent any medical malpractices. The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have a responsibility to analyze medical treatments and causes of accidents related to anesthesia by enhancing safety standards on employees, facilities, and devices and creating guidelines on anesthesia and medical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secure the safety of medical treatment of anesthesia by developing and providing training or education programs for medical professionals i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 국립대병원과 지방의료원의 경영성과 및 영향요인 특성에 대한 연구

        이양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7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국립대병원과 지방의료원의 최근 4개년(2012년∼2015년) 재무제표 자료를 이용하여 병원의 경영성과의 대리변수인 의료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식되는 복리후생비율, 교육훈련비율, 광고선전비율 그리고 의료기기⦁장치비율 변수들이 국립대병원과 지방의료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동 변수들의 영향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병원의 경영자와 관리자들이 경영을 하는 데 있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제공하는 재무제표 자료(2012년∼2015년)와 전국병원명부 등의 자료를 통해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 첫째, 의료수익률, 복리후생비율, 교육훈련비율, 광고선전비율의 평균이 지방의료원에 비해 국립대병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방의료원의 병원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하였고 이는 더 많은 공공의료에 힘써야하는 지방의료원에 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지원이 더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하였다. 둘째, 국립대병원과 지방의료원 모두 복리후생비율이 일관되게 의료수익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라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게 하였는데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공공의료기관의 경영자 및 관련 기관에게 복리후생비의 증가는 더 이상 불필요한 지출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광고선전비율의 경우에도 국립대병원 및 지방의료원에 있어 전반적으로 경영성과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활동을 해야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였다. 셋째, 교육훈련비율의 경우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교육훈련비가 증가할수록 경영성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지방의료원의 경우에는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국립대병원의 경우에는 교육훈련비율이 증가할수록 경영성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는 정반대의 결과가 제시되었다. 따라서 국립대병원의 경우 병원의 경영자 및 관리자에게 교육훈련의 과정이나 효과에 대한 보다 정밀한 검토가 필요함을 인식하게 하였다. Purposes :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hospital managers as analysing which differences are shown between same variables, and finding how welfare benefit, education training, and medical equipment ratios, which are regard as impact factors on hospital management result and medical benefit using financial statement of 4 years (2012-2015). Method :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chieve research purpose. Result and Conclusion : First of all, the average of medical benefit, welfare benefit, education training, advertisement publishment ratios are shown higher for national hospital rather than regional hospital, so it is known regional hospital is inadequate. Moreover, there are some cognitions coming up that regional hospitals need more financial supports. Second of all, welfare benefit is the factor to improve medical benefit for both national hospital and regional hospital. For these reasons, however, welfare benefit improving of public medical centre manager is not anymore needless. In addition, advertisement publishment ratio generally affects as improving factor for both hospitals, so there are some needs to be active and effective. Third of all, education training ratio shows more education training expense with more generally improving management result. This research shows same result for regional hospitals but opposite for national hospitals. Therefore, the cognition that managers or administrators education training effect should need close examination is needed.

      • 국립대 병원 직원의 직무만족 및 직장애착 결정요인

        최원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국립대 병원 직원의 직무만족도와 직장애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국립대 병원의 합리적, 효율적인 인력관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및 종속변수간의 인과관계 모형을 설정한 후 경로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자료 수집은 전국의 11개 국립대학병원 중에서 병상규모가 유사한 8개 국립대 병원 직원을 대상으로 각 국립대 병원 행정경로를 통해 2003년 10월 27일부터 11월 24일까지 28일간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국립대 병원 간호직, 행정직, 기술직, 기능직으로 각각 50명씩 직종별로 구분하여 배포하였으며, 의사직의 경우에는 전임강사 이상을 대상으로 전수 배포하였다.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1,499부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수들의 직무만족도, 직장애착도에 대한 인과모형 추정 결과 직무만족도에는 업무의 다양성, 업무의 명확성, 업무의 양, 업무의 중요도, 직업안정성, 분배공정성, 승진기회,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자아효능감, 긍정적 심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외부취업기회, 부정적 심성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애착도에는 업무의 중요도, 직업안정성, 분배공정성, 승진기회, 절차공정성, 상사의 지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외부취업기회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사용된 인과모형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인 직무만족도가 직장애착도의 변이를 59.1%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모형에서 설정된 구조적 변수, 환경적 변수, 심리적 변수 중에서 직장애착도에 미치는 총효과 측면에서 업무의 다양성, 업무의 명확성, 업무의 일관성, 자아효능감, 긍정적 심성, 절차의 공정성, 일의 중요도, 직업안정성, 분배공정성, 승진기회는 직장애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지며, 외부취업기회, 부정적 심성은 직장애착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립대 병원 직원들의 직장애착도에는 구조적변수, 환경적 변수, 심리적 변수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중에서 경영진의 노력으로 개선이 가능한 변수들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관리가 요망되며, 특히 직장애착도는 직무만족도를 통한 간접효과의 영향이 크므로 국립대 병원 직원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among employees i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to come up with basic data for logical and effective personnel management i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Path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se factors affecting setting a cause-effect model between each independent variable, mediating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staff in 8 out of 11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hosing similar numbers of beds through a self-filling survey by contacting the staff through the administrative route for 28 days from Oct. 27 to Nov. 24 in 2003. Fifty copies of the survey were distributed according to each job in the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including nurses, administrative staff, technical support staff, and technician.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all doctors who were higher than fellow. The total number of copies distributed was 1,499 cop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cause-effect model of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using independent variables, job satisfaction was affected positively by job variety, role clarity, workload, job significance, job stability, distribution justice, promotion opportunity, supervisor support, peer support and self-efficacy; and negatively by job opportunity. Job commitment was affected positively by job significance, job stability, distribution justice, promotion opportunity, procedural justice and supervisor support; and negatively by job opportunity. The cause-effect model used in this study could account the variability of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mediating variable, i.e,. job satisfaction, for 59.1%. Secondly, as for the overall effect of the structural variables, environmental variabl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on job commitment, job variety, role clarity, role consistency, self-efficacy, positive affectivity, procedural justice, job significance, job stability, distribution justice and promotion opportunity affected positively on job commitment, whereas job opportunity affected negatively. Thus, it was concluded that structural variables, environmental variabl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all affect job commitment among staff i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Among these variables, active management is needed for the factors that could be improved through efforts by the management. The method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mong staff i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need to be developed since job commitment indirectly effects job satisfaction.

      • 국립대 병원의 직원의 직무만족 및 직장애착 결정요인

        최원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국립대 병원 직원의 직무만족도와 직장애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국립대 병원의 합리적, 효율적인 인력관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및 종속변수간의 인과관계 모형을 설정한 후 경로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자료 수집은 전국의 11개 국립대학병원 중에서 병상규모가 유사한 8개 국립대 병원 직원을 대상으로 각 국립대 병원 행정경로를 통해 2003년 10월 27일부터 11월 24일까지 28일간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국립대 병원 간호직, 행정직, 기술직, 기능직으로 각각 50명씩 직종별로 구분하여 배포하였으며, 의사직의 경우에는 전임강사 이상을 대상으로 전수 배포하였다.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1,499부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수들의 직무만족도, 직장애착도에 대한 인과모형 추정 결과 직무만족도에는 업무의 다양성, 업무의 명확성, 업무의 양, 업무의 중요도, 직업안정성, 분배공정성, 승진기회,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자아효능감, 긍정적 심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외부취업기회, 부정적 심성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애착도에는 업무의 중요도, 직업안정성, 분배공정성, 승진기회, 절차공정성, 상사의 지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외부취업기회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사용된 인과모형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인 직무만족도가 직장애착도의 변이를 59.1%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모형에서 설정된 구조적 변수, 환경적 변수, 심리적 변수 중에서 직장애착도에 미치는 총효과 측면에서 업무의 다양성, 업무의 명확성, 업무의 일관성, 자아효능감, 긍정적 심성, 절차의 공정성, 일의 중요도, 직업안정성, 분배공정성, 승진기회는 직장애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지며, 외부취업기회, 부정적 심성은 직장애착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립대 병원 직원들의 직장애착도에는 구조적변수, 환경적 변수, 심리적 변수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중에서 경영진의 노력으로 개선이 가능한 변수들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관리가 요망되며, 특히 직장애착도는 직무만족도를 통한 간접효과의 영향이 크므로 국립대 병원 직원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환자경험, 서비스품질 및 전반적 만족과 추천의도와의 관계

        정용재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외부고객만족도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입원한 경험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본인이 경험한 의료서비스, 투약 및 처치과정, 병원환경에 대한 환자 경험과 핵심내용, 서비스 제공과정, 서비스 제공환경, 사회적 책임과 역할의 서비스 품질과 전반적 만족이 궁극적으로 추천의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타인에 대한 추천 의도에 의사서비스, 병원환경, 핵심내용, 전반적 만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lucidate relation of patient experience, service qua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to recommendation by using data from a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in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Jung-gu Deajeon. Among 958 subjects, consisting of 485 in the first half and 473 in the second half, who participated in the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957 subjects excluding one from the first half were looked at for the present study. In conclusion,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tient experience, service qua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on recommendation, and found out that doctor’s service, hospital environment, service qua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the valid factors. Given that hospital environment affected recommendation, a broad-scale renovation undergone at the targeted hospital during the survey period was understoo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atient experience and recommendation.

      • 국립대학병원 노조간부의 역할관련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 및 탈진의 관련성

        김현주 慶尙大學校 行政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 among role related-job stress, job involvement and burn-out of union leaders i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Subjects for this research were union leaders employed in 8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then 220 of them were collected. 184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This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items to measure job involvement(11 items, α=.829), role ambiguity(11 items, α=.806), role overload(7 items, α=.804), burn-out(8 items, α=.745), role conflict(7 items, α=.730), and respondents' demographic variables. For data analysis, statistical program SAS V.8.0 for Win was used. Frequency analysis was adapted to describ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o test constructiv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uestionnaire were calculated.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measured variables were calculat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find out validity of models using role related job stress factors as predictor to explain the variance of job involvement and burn-out. A summary of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nion leader's role-related stress and job involvement showed meaningful negative relation( r = -.223, P<.01). Specifically, the higher level of role ambiguity, the lower level of job involvement. HypothesisⅠwas supported. Second, union leader's role-related stress and union leader's burn-ou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ed( r = -.581, P<.001). The higher role conflict level of union leaders, the higher burn-out level. HypothesisⅡwas supported. Implications of the these results and issue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