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일·미 교과교실형 중등학교 교사공간 구성요소 비교 분석

        정동열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Depending on the objective and the method of public education, the curriculums have been revised. After the 7th public education revision in 2007 and 2008, it include a systematic and concrete framework. This produces outstanding individuals adaptable to current and future society. These revisions require to change from general course + special course to the subject-class course on which student moving on each class. This change have been adapted in 2009, and the government pursue this subject-class course to be entirely extended all. Although the government attempting, the school hesitates planning and remodeling the class because of absence of rare operating pre-case. This research have purpose to produce the reference for remodeling and planning the class optimized to the subject-class course through domestic and abroad floor plan and area analysis of the subject-class course school. First chapter refers the background, purpose and scopes of this research and present rough understanding through research flow chart. Next chapter, the definition and change of public education, and the content of 2009 education revision are searched. Also the pros and cons of the subject-class course are analyzed. Chapter 3, this suggest the research survey plan and the current example of the subject-class course in Korea, Japan, and US are shown. Also this chapter clarify spatial interpretation and somparison of Methods. Chapter 4, the components consisting of the variation type are suggested and sorted by criteria. Next, each sorted each components in Korea, Japan and US are compared. Chapter 5, through the floor plan analysis method, this research occupying area per person on each class room sample for relative comparing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spatial moving support areas, student support areas. The conclusions are bellow. The arrangements of Korea school remodeled vary. Mainly one side corridor typeand variation type+meeting room, subject block and center homebase are found. In Korea, new schools mainly have variation type+meeting room+media space, subject block and center homebase under the H-shape and ㄷ-shape arrangement and middle corridor type, one side corridor type structure. The classroom arrangement in Japan also are various. They mainly have one side corridor type structure, the some school have middle corridor type structure. Subject block consists of variation type, meeting room and media space. 4 schools are under distributed homebase and 2 schools are under center homebase. In cases of 4 schools in US, there are H-shape and ㅡ-shape under middle corridor type structure. subject block consists of variation type, meeting room and media space, with outside locker. Second conclusion, the rooms of the subject-class course school for instructor is sorted according to the subject-class course demand, in for classification; Space areas,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Spatial moving support areas, Student support areas, Spatial Moving areas. Space areas: variation type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meeting room, office, media space, etc, Spatial moving support areas : homebase, rounge, locker, etc, Student support areas : student union office, restroom, water foundation, etc Spatial Moving areas : corridor, stairs, elevator, etc Third, according to comparing the component of these schools, the basic overall constitutions are similar. but there are difference in name of the room and use of the space. In Space areas, depending on the lectured subject, it varies. In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this space is used for the instructor rather than students in Korea, but instructor and student share the space in Japan and US. In case of spatial moving support areas, homebase in Japan is distinguished by the use of space. this space In US is composed of locker differently from Korea and Japan. Comparing student support areas, The space in Japan seems relatively monotoneous. There are varient component in US such as snack bar or cafeteria. Spatial moving areas areas in Korea, Japan, US has common thing. And more the area in US is used for student's society activity. Fourth, the comparison of occupying area of Contemporary results that remodeled spaces in Korea and the space in Japan mainly have Space areas, rarely have Student support areas. In US there are most Spatial Moving areas and hardly spatial moving support areas. Ratio of Space areas in comparision three nation is the highest in US and lowest in Japan. Korea case has relatively more Space areas than Japan’s, this is because rearrangement of plane structure.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is most located in US, also there are many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in Japan. The case of Korea has most low ratio of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The reason is difficult rearrangement due to limitation of spatial Composition. Spatial Moving areas is relatively located in newly remodeled space in Japan and US. This is because the locker is occupied at corridor in US. Student support areas is located more in US, and less in Japan. New school has more the space. Spatial Moving areas is located highly in Korea. This is because of wide corridor and one side corridor type plane structure. In US, it has lowly located for the reason why the part of plane structure of middle corridor type is used for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Fifth, occupying area per student is the highest in Japan and the lowest in Korea remodeled case. Spatial Moving areas is the largest occupying area and Student support areas is the lowest occupying area. The summary of comparison with cases in Korea, Japan and US is bellow. Occupying area per student of Spatial Moving areas is the largest in Japan, next US, newly constructed, and last remodeled space. Variation type in Japan is various. Also Variation type per student in Japan is spacious. In Korea case, areas of Variation type is more roomy which is the result of the plan for the subject-class course. Also occupying area of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is large in Japan. This is because move areas in Japan is used for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The case in US is simillar to Japan case. In Korea case, There low occupying area of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this is because of limited plane structure and limitation of budget. Spatial Moving areas is the largest in Japan case , larger in Korea and lowest in US case. This is because of guidance behavior in Korea and Japan. In US case the locker is located in this areas which is different from homebase of Japan and Korea. In Japan case, the number of component of this areas is low, but the each area of the component is larger than other nation's case. The area In Korea case remodeled is larger than newly constructed. This is because the consideration of plan for convenient space for student. Spatial Moving areas is smallest in remodeled room. the areas in newly constructed space is larger than the remodeled space. The areas is most larger in Japan, this is because of the plan that when operating the subject-class course, the crowd is avoided. In US case, student support areas is shared with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in plane structure of middle corridor type . This result in the small areas occupation area. This research is for application in plan for school. It includes the comparison with floor plan of Korean remodeled, newly constructed, the classroom in Japan, the classroom in US. Domestic school is remodeled for the subject-class course. The classroom is prepared which is insufficient comparing US and Japan case. This research can be applicate for planning composition of space factors and occupying area of each student. However this paper is only limited in floor plan analysis. The more case analysis for planning the subject-class course-classroom is necessary. 시대의 변화에 따라 교육이 추구하는 목표와 방법도 변화하였으며 그에 따라 교육과정도 변화를 거듭해 왔고 1997년 선진형 교육을 위한 7차 교육과정 개편이 후 2007, 2009 개정을 거치면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틀이 마련되어 현재와 미래사회에 적응력을 높인 우수한 인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변화로 교수 및 학습공간과 운영방법의 변화가 필요함에 따라 기존의 일반교실+특별교실형 운영방식이 교과 전용교실을 갖추어 학생이 수업을 위해 교실을 옮겨다니는 교과교실제가 시행되는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이에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2009년부터 기존학교들에 대한 교과교실형 전환이 시도 되었으며, 2014년 중․고교 전면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런 대대적인 확대 추친에도 불구하고 국내 학교의 교과교실제 운영사례가 극히 드물어 리모델링 및 신설 학교에 대한 계획자료가 부족한 실정으로 이들 학교 시설에 대한 대응 방안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국외 교과교실형 운영학교의 평면 및 면적 분석을 통하여 신축 및 리모델링 학교의 교과교실형 운영 계획을 위한 자료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범위 및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연구 흐름도를 통해 본 연구의 계략적 흐름을 파악한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이 되는 문헌 조사를 통하여 교육과정의 정의와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2009 교육과정 개편 내용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학교 운영방식에 대한 조사와 교과교실형 운영방식의 정의 및 장․단점, 특징을 정리 하였다. 3장에서는 본 연구의 계획에 대한 구체적 서술로 연구 및 조사 계획을 제시하고 한국, 일본, 미국 조사대상 교과교실형 중등학교의 일반적 현황을 정리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하는 공간의 해석 및 분석 방법을 제시 하였다. 4장에서는 교과교실형 중등학교의 공간 구성요소를 분류하고 이 요소들을 영역별로 재분류하여 한국, 일본, 미국 교과교실형 중등학교를 영역별 요소비교를 하였다. 5장에서는 평면 자료 분석을 통하여 조사대상 학교의 공간이용관련, 교과학습지원, 공간이동지원, 학생편의지원, 공간이동관련 영역별 상대적 비교를 위해 면적 비율 분석을 하였으며 학생 1인 점유 면적 비교를 위해 이들 영역별 공간에 대한 학생수별 점유 면적을 분석을 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리모델링 중등학교는 다양한 배치 유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로 편복도형 구조와 교과교실+교과협의실의 교과블록 및 중앙집중형 배치의 홈베이스를 이루고 있다. 국내 신설 중등학교는 H형, ㄷ형의 배치 유형을 나타내고 중복도형, 편복도형의 구조와 교과교실+교사연구실+교과미디어의 교과블록 및 분산형 배치의 홈베이스를 이루고 있다. 일본 중등학교는 다양한 배치 유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로 편복도형의 구조를 갖고 있고 일부 중복도형 구조를 갖고 있다. 교과블록의 경우 교과교실+교과협의실+교과미디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홈베이스는 분산형 4개교, 중앙집중형 2개교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미국 중등학교 4개교의 경우 H형, ㅡ형의 배치 유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로 중복도형의 구조를 갖고 있다. 교과블록은 교과교실+교과협의실+교과미디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락커가 복도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교과교실형 중등학교 교사공간은 교과과실제의 소요공간 요구 및 활동에 따라 공간이용관련영역, 교과학습지원영역, 공간이동지원영역, 학생편의지원영역, 공간이동관련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 영역의 요소를 보면 공간이용관련영역은 교과교실, 교과학습지원영역은 교과협의실, 교과준비실, 교과미디어 등, 공간이동지원영역은 홈베이스, 라운지, 락커 등, 학생편의지원영역은 학생회실, 화장실, 음수대 등, 공간이동관련영역은 복도, 계단, 승강구 등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셋째, 이상의 영역들의 중심으로 조사대상학교의 요소를 비교한 결과 공간구성 요소의 기본적인 틀은 유사하지만 명칭의 차이와 학생들의 생활 관리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주를 이룬다. 공간이용관련영역의 경우 교과목 종류에 따른 교과교실의 종류의 차이를 알 수 있다. 교과학습지원영역의 경우 국내는 학생이용 보다는 교사의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요소의 비중이 높으며 일본과 미국은 학생과 교사가 사용하는 요소가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공간이동지원영역의 경우 국내와 일본은 생활관리에 의한 홈베이스의 구별이 확실하며 미국은 국내와 일본과는 다른 락커라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편의지원영역의 경우 일본이 비교적 단조로운 요소를 보이며 미국은 스낵코너 및 카페테리아 등 다양한 요소를 보인다. 공간이동관련영역의 경우 한․일․미 모두 유사함을 보이지만 활용면에 있어 미국은 단체활동이나 서클활동, 예술 창작활동 등 다양한 활동의 장소로 이용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영역별 면적 분석을 위해 영역별 점유면적을 상대적 비교를 한 결과 국내 리모델링은 공간이용관련영역 비율이 높고 학생편의지원영역은 낮으며, 국내 신설은 공간이동관련영역이 높고 학생편의지원영역이 낮으며, 일본은 공간이동관련영역이 높고 학생편의지원영역이 낮으며, 미국은 공간이용관련영역이 높고 공간이동지원영역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영역별 비교를 보면 공간이용관련영역은 미국이 가장 높은 점유 비율을 나타내고 일본이 가장 낮은 점유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국내의 경우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이지만 이는 단순한 평면구조의 재배치 이유로 판단된다. 교과학습지원영역은 미국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일본도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국내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점유비율을 보이는데 이는 평면구성의 제약에 따른 재배치의 어려움 때문으로 판단된다. 공간이동지원영역은 일본, 한국 신설, 리모델링이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유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생활지도의 차이로 판단되며 미국의 경우 복도에 일부에 락커를 배치하는 정도의 이용 특성 때문으로 판단된다. 학생편의지원영역은 미국이 가장 높은 점유 비율을 나타내며 일본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나타낸다. 국내의 경우 신설학교 계획시 다소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공간이동관련영역은 국내 신설학교가 가장 높은 점유비율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이동을 위한 넓은 복도와 편복도형 평면구조로 인한 이유로 판단되며, 미국의 경우 비교적 낮은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는 중복도형의 평면구조와 복도의 일부를 교과학습지원영역으로 활용하는 이유로 판단된다. 다섯째, 학생수별 점유면적을 보면 전체적으로 학생 1인당 점유 면적이 일본이 가장 높으며, 국내 리모델링이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영역별로는 공간이용관련영역이 제일 높은 점유 면적을 갖으며 학생편의지원영역이 가장 낮고 한․일․미 조사대상학교를 영역별로 비교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공간이용관련영역의 학생 1인당 점유면적은 일본이 가장 높고 미국, 국내신설, 리모델링 순으로 점유 면적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본의 경우 교과교실의 다양성과 더불어 학생 수 대비 교과교실의 면적이 넓은 것을 알 수 있으며 국내는 신설에서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초기 계획시 교과교실제를 위한 계획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교과학습지원영역 역시 일본이 가장 높은 점유면적을 보이고 있다. 상대적으로 넓은 점유 면적을 보이는 일본은 다양한 교과학습지원 요소와 이동영역을 교과학습지원영역으로 사용함에 따른 이유로 판단되며, 미국 역시 일본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국내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점유 면적을 보이는데 이는 제한적 평면 구조와 예산의 제약 때문으로 판단된다. 공간이동지원영역은 일본이 가장 높은 점유 면적을 보이며, 미국이 가장 낮은 점유 면적을 나타낸다. 일본과 국내의 경우 생활지도 때문에 미국에 비해 넓은 점유 면적을 보이며 미국은 국내와 일본의 홈베이스와는 다른 락커를 복도에 배치하는 특징 때문으로 판단된다. 학생편의지원영역은 일본이 가장 넓은 점유 면적을 갖고 미국 역시 국내에 비해 넓은 점유면적을 갖는다. 일본의 경우 이 영역의 요소가 적은 특징을 보였으나 적은요소에서도 학생이 사용하는 면적은 상대적으로 넓음을 알 수 있다. 국내의 경우 리모델링에 비해 신설의 점유 면적이 넓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리모델링의 제한적 평면구조에서 벗어나 학생 생활 지원을 위한 편의 공간요소를 학교계획시 반영한 결과로 판단된다. 공간이동관련영역은 국내 리모델링이 가장 좁은 면적을 갖고 신설이 리모델링에 비해 넓어짐을 알 수 있다. 일본의 경우 가장 넓은 점유면적을 보이는데 이는 학교 계획 초기부터 교과교실제 운영을 위해 이동시 혼잡을 최소화하기 위한 계획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미국은 중복도형의 평면구조와 복도에 학생편의지원 및 교과학습지원공간과 공유되어 다소 좁은 점유 면적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교실제 실시에 따른 교사공간 계획자료 도출을 위하여 국내 리모델링 및 신설 학교와 일본 및 미국 학교의 평면자료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 교과교실형 중등학교는 리모델링을 거쳐 신설 계획되면서 공간영역의 구성이 정비 되었지만 교과교실제가 선 시행된 일본 및 미국 학교에 비해 아직은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공간 구성 요소 및 영역별 면적 구성, 학생 1인 점유 면적의 정비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일부 학교의 평면자료 분석만으로 연구하였으므로 분석의 양이 미흡하다 할 수 있다. 앞으로 더 많은 교과교실형 중등학교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교과교실형 교육공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문법교육을 위한 이야기 설계 방안 연구 :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유상미 고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고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문법교육의 내용 제시 방식으로 논의되고 있는 이야기의 양상을 교과서와 실용 문법서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법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이야기의 구성요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이야기가 문법교육의 내용 제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한 ‘서사(敍事), 내러티브(narrative), 스토리텔링’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연구들을 살펴보면서 이야기가 무엇인지 개념을 밝히고 이야기의 교육적 의의와 문법교육에 주는 가치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문법교육의 내용제시 방법으로서 활용한다면 학습자의 흥미 유발, 문법 지식의 구조화, 문법 지식에 대한 기억과 적용의 강화 등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것으로 보았다. 3장에서는 이야기를 활용한 국어 교과서와 실용 문법서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3.1.절에서는 분석에 앞서 분석 대상과 분석 기준 설정 문제를 밝히었다. 교과서와 실용 문법서 모두 이야기의 내용적 측면에서는 이야기의 기본적 요소인 ‘캐릭터, 사건, 배경’을 살폈고, 형식적 측면에서는‘교과서 단원 또는 실용 문법서의 체계와 표현 형식’을 살폈다. 3.2.절에서는 이야기를 활용하여 문법 내용을 단원으로 구성 한 교과서인 2007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 4종과 2011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 2종의 이야기 분석 통해 교과서의 내용과 형식적인 측면에서 드러나는 한계점을 파악하였다. 3.3.절에서는 이야기를 활용한 실용 문법서 5종을 교과서와 동일한 기준으로 분석하여 문법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이야기 구성요소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의 교과서와 실용 문법서의 양상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문법교육을 위한 이야기 구성요소 방안을 구체화 하였다. 4.1.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방안을 제시하기 이전에 문법교육용 이야기 설계를 위한 전제 조건인 단어 영역의 성격과 수업 전개의 마무리 단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4.2.절에서 문법교육용 이야기의 구성요소 방안을 내용적·형식적 측면에서 요소별로 마련하였다. 문법교육용 이야기의 내용적 측면에서 캐릭터는 ‘탐험형, 영웅형, 참여형, 성장형, 수용형, 만물박사형’처럼 다양한 성향을 지니고 있어 학습자들이 쉽게 동일시 될 수 있는 14종의 캐릭터를 제안하였고, 사건의 전개는 형식차원의 액자형·피카레스크식 플롯과 내용차원의 성장·교육의 플롯처럼 교육적으로 유용한 3가지를 제안했으며, 배경은 학교처럼 구체적이면서도 친근한 곳이거나 마법의 세계처럼 낯설지만 신선한 배경을 3가지 제안했다. 형식적 측면에서 체계는 교육 목표의 달성 여부와 정도를 학습자가 스스로 점검하고 수정할 있도록 ‘읽기 전 활동 – 이야기(교사가 이야기 구성) – 개념 정리 – 학습활동 – 이야기(교사 또는 학습자가 이야기 구성)’의 체계를 제안하였고, 표현의 형식은 영상 세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삽화가 있는 글과 만화 형식을 제안하였다. 4.3.절에서는 4.2.절에서 제시한 이야기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실제 문법교육용 이야기를 설계하였다.

      • 실내구성요소의 중첩을 통한 빛의 표현효과를 적용한 Bar design : 인위적인 빛을 중심으로

        하혜옥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실내디자인은 종합예술로서 복잡하고 다양한 구성요소들간의 상호작용과 결합에 의해 생성된다. 빛에 의해 그 실제적 가치를 갖는 실내공간은 각각의 구성요소들과 빛과의 적절한 결합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완벽한 공간으로 새롭게 생성된다. 따라서 실내디자인에 있어서의 빛은 공간과 형태뿐만 아니라 구조, 재료와도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공간을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디자인 요소로서의 빛은 결코 부분적인 요소의 개념이 아닌 디자인 전체를 통합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하며, 디자인 전과정을 통해 영향을 끼치는 기본적이고도 절대적인 요소로 파악해야 한다. 적어도 실내건축에 있어서 이 자극적 요소는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성의 원천이요, 도전이며, 공간 분위기를 위한 중요한 구성성분이다. 자유로운 예술표현을 가능하게 하며 인간 삶의 내면에 숨겨진 깊은 환상과 짙은 욕망을 현실화 할 수 있는 실내건축요소인 것이다. 실내공간요소인 인위적인 빛의 역할은 과거의 경우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현대의 생활공간이 다양해지고 개성화 됨에 따라 건축 및 실내장식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면서 인위적인 빛도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차원의 연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인위적인 빛은 그 자체만으로도 훌륭한 실내디자인 요소이며 특히 다른 실내구성요소에 첨가되어 전체적인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위적인 빛의 감성적 표현가치를 현대건축의 조형방법에 적극 활용되고 있는 중첩의 개념에 접목하여 이를 실내공간 연출에 적용함으로써 인위적인 빛의 잠재된 미적 능력을 충분히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진행되어진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기술하고, 제2장에서는 실내공간구성에서 중첩에 활용될 수 있는 실내공간구성요소들을 설정하고, 이러한 요소들의 활용방법과 함께 인위적인 빛이 갖는 기능들을 기본적으로 문헌을 통해 고찰하여 이를 바탕으로 실내구성요소들의 중첩을 통한 빛의 표현 방법들을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위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3장에서는 이의 실제적인 적용사례의 하나로서 하나의 대상공간을 임의로 선정하여, ①인위적인 빛의 감성적 가치를 실내공간구성의 요소로 적극 활용하여 다양하고 풍요로운 실내공간 구성. ②인위적인 빛의 심리적 효과 및 체험의 극대화를 위해 신소재를 중심으로 다양한 인공광원 사용. ③계획 대상지의 현황 및 주요 고객층의 트렌드, 라이프스타일을 고찰하여 도출된 개념을 프로그램과 디자인에 적극 반영 등을 기본방향으로 압구정동의 Bar공간을 계획하였다. 제4장에서는 이상의 문헌을 통한 연구와 실제 공간의 계획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빛에 의해 그 실제적 가치를 갖는 실내공간은 각각의 구성요소들과 빛과의 적절한 결합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완벽한 공간으로 새롭게 생성되는 것이다. 빛은 공간과 형태뿐만 아니라 구조, 재료와도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디자인의 개념을 표현하는 것이다. - 디자인 요소로서의 빛은 결코 부분적인 요소의 개념이 아닌 디자인 전체를 통합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하며, 디자인 전과정을 통해 영향을 끼치는 기본적이고도 절대적인 요소로 파악해야 한다. - 인위적인 빛의 양과 질이 인간을 비롯한 다른 생명체의 감정과 정서에 깊고 다양한 영향을 끼치며, 특히 사람의 내적 심리와 외적 행동에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 실내구성요소들의 중첩을 통하여 표현되어지는 인위적인 빛의 다양성은 부유, 방향성, 리듬감, 실루엣, 속도감과 역동성, 은유와 암시, 공간의 깊이감과 볼륨감 등의 언어로써 하나의 공간 안에 폭넓은 디자인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 연구는 공간을 연출함에 있어 인위적인 빛으로 표현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디자인 요소로서 인위적인 빛이 갖는 중요성을 일깨우고 이에 대한 창조적인 연구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라며 진행되었다. “빛을 만약 물질이라 부를 수 있다면 빛은 매우 정신적이고 활발한 (Psychoactive)재료일 것이다. 빛은 부드러울 수도 있고 단호하며 강할 수도 있다. 난 빛의 무덤덤한 순간은 생각 할 수가 없다" 라고 말한 Ingo Maurer 의 말처럼 공간을 계획하고 창조하는 디자이너로서 인위적인 빛이 갖는 잠재된 미적 능력을 충분히 활용하고 개발해 나가는 것은 끊임없이 고민되어져야 할 과제일 것이다. Interior design is formed by interaction and combination of all elements as composite art. Interior ultimately can have real value through the light and be created by design process that each interior design element with mutual light combination. Therefore light is an important element in intimately expressing interior spaces with other elements of design such as shape, structure, color and material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We should understand the light as an essential interior element and concept synthesis that can affect the whole process of interior design. At least in interior architecture, this sensational element is the source of possibility, potentiality and important constituent for interior space. In addition, it is an element of interior architecture, which makes human's illusion and desire come true with its source and free art expression. The role of artificial light in interior space has a simple purpose of lighting up the past. However, these days, there is a need of treating light in a different way as space of life diversifies by vidualization and increasing interest in interior space and architecture. Artificial light is a splendid element itself, especially by effectively maximizing the value of space with the other element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 plan of applying value of artificial light's emotional expression adapting to the overlap of interior's elements, which is applies to in modern architecture. It consists of four chapters and the process as follows: In chapter one, the background, purpose and method of study are explained. In chapter two, after setting up what constituent elements for using overlap techniques, methods of expressing light through overlapping of interior's elements are presented. It is based on studying functions of artificial light with cases and records. In chapter three, a design of a bar in Apgujung-Dong is planed as one of the practical case that is based on this study. It is pla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omposition of various and rich interior space with emotional value of artificial light as an essential interior element, usage of various and new lighting material to maximize experience and effect the human mentality and reflecting the present status and condition of site, trend and life style of the main potential user to program and design for the bar. In chapter four, a synthetic conclusion is presented. Based on this process of the study,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interior space can have real value through the light that is formed by intimate combination of light and other interior elements such as shape, structure, color and material. The light is an essential interior element and synthesizing concept that can affect the whole process of interior design. It is the source of possibility, potentiality and important constituent for the interior space. Quality and quantity of artificial light deeply affect the environment of the mental and behavioral human. Expressing of light through overlapping of interior elements can be come true possibility of design. These various expressions of light show a silhouette, a floating, a direction, a rhythm, a metaphor and a dynamic effect. The above mentioned plan and study apply a new attempt. The light expresses a rich interior space, the importance of artificial light as an interior element is realized through this project and the creative study about light could be kept up and be developed into potential value of light constantly by all designers.

      • 문장구성요소 조합 활동을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 문장 쓰기 학습 효과

        허진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문장 쓰기가 시작되는 단계에 있는 초등 6학년 학습자들은 구두로 익힌 구문의 암기에만 의존해서 문장을 쓰고 있기에 쓰기의 부담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학습자들은 영어로 문장을 구성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조금만 변형된 새로운 문장을 표현하는 것에도 어려움을 느낀다. 문장은 자신이 나타내고 싶은 생각을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므로 기본적인 문장을 정확하고 유창하게 쓸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문장을 이루는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이를 연결하고 나누고 조합하는 활동을 활용한 문장 쓰기 학습을 구안하여 학습자의 쓰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현장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 55명을 대상으로 총 26주 52시간에 걸쳐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전 평가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문장구성요소 조합 활동을 활용한 문장 쓰기 학습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교과서의 쓰기 학습을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로는 사전․중간․사후 쓰기 능력 검사와 정의적 영역 설문 검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위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 능력을 구성하는 평가 요소로 맞춤법, 어법, 문장 의미 면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중간, 사후 평가에서 모두 평균의 상승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문장구성요소를 이해하고 동사 중심으로 문장구성요소를 조합하여 문장을 생성하는 활동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둘째, 정의적 영역의 평가 요소인 흥미도, 자신감, 참여도 면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평균의 상승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문장구성요소 조합 활동을 활용한 문장 쓰기는 학습자들이 문장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산출하도록 하여 영어 쓰기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 참여도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고려해 볼 수 있는 교육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교사는 학습자들이 많은 오류를 산출한다고 하여도 직접 손으로 써볼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한다. 이때 문장구성요소를 이해하고, 동사와 나머지 구성요소와의 의미관계를 생각하며 구성요소를 조합하는 활동이 쓰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둘째, 학습자의 흥미와 자신감을 유발하는 문장 쓰기 활동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쓰기의 목적을 제공하고 학습 동기를 유발하도록 모험시도 과제를 제시하여 학습의 초기부터 쓰기와 생각을 연결지으며 문장 구성을 원활히 함으로써, 차츰 상급학교에서의 어휘나 문법의 암기 부담을 줄여주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문장구성요소 조합 활동을 활용한 문장 쓰기 학습은 학습자의 쓰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의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따라서 동사 중심의 문장구성요소 조합 활동을 활용하여 단계적으로 문장 쓰기 활동을 함으로써 문장구성능력을 증진시켜 학습자의 쓰기 능력의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 한옥형 호텔의 공간구성요소와 체류만족에 관한 실증분석 : 경주 보문단지 내 ‘라궁(羅宮)’의 방문객을 중심으로

        박승규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우리나라 전통주거인 한옥은 양옥과 비교되면서 정주하기 불편한 주택으 로 인식되었지만, 건강 및 웰빙에 대한 욕구 증대로 관심이 급증하였다. 따 라서 한옥은 정주기능 이외에 상업, 공공, 업무, 교육, 숙박 등 파생적 상품 으로 탄생하면서 가치를 재평가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한옥을 정주기능과 파생적 기능이 융합되어 나타난 사례인 한 옥형 호텔에 대해 이용자 중심의 공간구성요인을 탐색 조사하고, 실증분석을 하여 공간구성요인과 체류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 는 경주 보문단지 내에 있는 ‘라궁호텔’이며, 시간적 범위는 2012년 12월 1 일부터 2013년 6월 2일에 걸쳐 실시한 횡단면적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를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정성적 연구로 한옥형 호텔의 정의, 공간구성요소, 체류만족도 등과 관련하여 선행 연구 및 문헌조사를 하였다. 정량적 연구는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주된 실증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통계패키지는 SPSS 18.0을 사용하였다. 한옥형 ‘라궁호텔’의 공간구성 변수에 대해 이용객을 대상으로 요인분 석을 실시하여 4개요인, 17개의 세부항목으로 공간구성요인을 도출하였 다. 각 요인을 ‘전통적 환경디자인 요소’, ‘전통 마감재 요소’, ‘경관 및 건축 요소’, ‘한옥 접객시설 요소’로 명명하였는데 이중 ‘전통적 환경디자인 요소’가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요인분석에서 선정된 4개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체류만족)의 다중회귀분 석 결과 체류만족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소로 ‘경관 및 건축 요소’가 도출되었다. ‘경관 및 건축 요소’는 한옥에서 보여주는 지붕, 온돌로 구성된 객실, 조경공간 등 한옥 고유의 특징을 보여줄 수 있는 중요 한 요인으로, 한옥의 특징을 나타냄과 동시에 숙박시설에서 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핵심적 사항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다중회귀분석 결과 ‘경관 및 건축 요소’가 한옥형 ‘라궁호텔’의 방문목적에 가장 부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요인으로 판단하였다. 한옥형 호텔이 최근에 등장하여 현재까지 개념에 대한 구체적 정의나 체 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나라 전통가옥인 한옥과 한옥형 호텔 그리고 공간구성요소와 만족도에 관한 정의를 내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한옥형 호텔의 공간구성요소를 도출한 후 이용객들이 느끼는 공간 구성요소와 체류만족도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라궁호텔’을 사례대상지로 실증분석 하였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으나, 사례가 1개 지역에 불과하여 한옥형 호텔의 전체를 반영하는데 한계를 보였다. 앞으로 한옥형 호텔이 전국적으로 활성화 되어 더욱 많은 사례가 추가된다면 공간구성요소 에 대한 방문객들의 요구를 더욱 더 정확히 알아냄으로써 고객의 니즈를 반 영한 계획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한옥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를 통해 이제는 한옥이 거주의 공간에서 체류의 공간으로서 가치를 증대할 필요성이 있다. 이제는 한옥이전통의 유산으로서 단순 보존의 대상이 아닌 활용의 방안을 연구하였다는 의미를 지닌다. 앞으로 사회가 복잡하고 다변화되면서 한옥의 활용이 정주기능 이외에도 파생적 활용에 대한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여러 분야에서의 활용이 예상 된다.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소득이 증가하고 의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삶 의 질과 가치가 향상됨에 따라 숙박공간이 단순한 체류를 넘어 주변 환경 속에서 삶의 질을 추구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Korean Traditional Hanok recognized as a uncomfortable housing in comparison with western style housing. Recently Hanok arouse interest by health and wellbeing trend. Therefore, Hanok has been reevaluated as a rebirth of derivative product not only residential function but also public, office, education and accommodations. This study practiced exploratory factory analysis on Hanok hotel case has residential and additional function. In addition, anlyzed relation between space component and stay satisfaction. Spatial scope of this paper is limited to ‘Ragung’ in Bomun resort complex. The period of study was conducted between June 2, 2013 from December 1, 2012. In other words, it is a cross-sectional area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was used in combinati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study. As a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about definition of Hanok hotel, the space components and stay satisfaction through literature study. Quantitative research was used for the main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empirical analysis was SPSS18.0. Space component variables of Hanok style hotel ‘Ragung’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method and elicited 4 factor: ‘traditional environment factor’, ‘traditional material factor’, ‘landscape and architecture factor’, ‘hanok Hospitality facilities factor’. Among these factors, ‘traditional environment factor’ was the highest explanatory effect. After the multiple regression about selected four variables, ‘landscape and architecture factor’ factor was elicited statistical meaning element about stay satisfaction. ‘Landscape and architecture factor’ has essential point and meaning of Hanok and accommodations, this factor is very important element that show the roof of hanok, room of ondol, landscape space in hanok housing. After all, ‘landscape and architecture factor’ was agreed with visitor’s purpose on destin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significants that space component of hanok Korean traditional housing and hotel, stay satisfaction were defined systematically. Second, space componets of hanok style hotel was derived components, then relation of visitor’s stay satisfaction and space components were analyzed empir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Ragung hotel' practices were demonstrated to destination has a significant meaning, but the case site is only one in the area to reflect the whole of the hanok style hotel was the limit. Hanok style hotel is enabled in the future more cases throughout the country, if the additional space required for the components of visitors finding out more accurately reflect the needs of our customers seems to be the real plan. This study looking at the Hanok through changes in vision now living in hanok stay in space as the space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value. Now, as a simple preserve the legacy of traditional hanok not being studied ways of utilizing the has meaning. As future society diversified complicatedly, utilization range of hanok expanded residential function from housing to multiple use place. Considering sustainable economic growth and an increase in the income level of consciousness and high quality of life, derivative hanok value transcend not simple accommodations and to be a high quality living space. keyword : Hanok, Hanok Style Hotel, Space Component, Stay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A STUDY ON IMMEDIATE CONSTITUENTS ANALYSIS

        成昌燮 경북대학교 1974 국내석사

        RANK : 248703

        문법 이론은 많은 변천을 겪어 왔지만, 그 역사적인 흐름으로 보아 크게 전통문법, 구조문법, 변형생성문법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이들은 무장을 분석하는 데에 각기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모든 문장 분석법은 그 근거를 구성 요소에 두고 있다는 점은 명백하다. 직접 구성 요소 분석의 기본 개념은 문장이 인접한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그 각 부분들이 또 두 부분으로, 이렇게 더 쪼개어질 수 없을 때까지 나누어진다는 점이다. 이 직접 구성 요소 분석은 문장에서뿐만 아니라 단어에서도 볼 수 있다. 구조 문법의 이 직접 구성 요소 분석은 문장 구조가 어떻게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지는가를 보는 데는 편리하지만, 모든 문장이 다 단순 서술문처럼 분할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과, 의미 요소를 다루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John is easy to please."와 "John is eager to please" 사이의 의미론적 차이를 나타낼 수 없다는 약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 요소는 제외하고 표면 구조만을 다루며, 구조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는 관점에서, 직접 구성 요소가 문장의 이해에 어떻게 공헌하는가를 연구한다. 제2장 직접 구성 요소 분석의 배경 : 구조 언어학 전통 문법에 대한 비판이 드높아졌던 1930년대에 언어 연구에 대한 새로운 접근-구조 언어학-이 시도되었다. 구조 언어학자들은 다른 언어에 관련을 짓지 않고 가능한 한 객관적으로 한 언어의 구조를 연구하려 했으며, "의미"는 구조 분석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았다. 구조 문법의 연구 대상 세 단계로 구분된다. 즉, 화자가 사용하는 음의 조직을 다루는 음운론, 낱말과 그 낱말의 유의미한 부분을 다루는 형태론, 그리고 낱말이 모여서 문장을 형성하는 것을 연구하는 문장론이다. 구조 문법가들의 언어관을 요약하면 음을 중시하며, 의미보다는 형태를 위주로 하고, 모든 언어는 서로 다르며,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고 믿으며, 문장론의 모형으로 직접 구성 요소 분석을 사용한다. 제3장 직접 구성 요소 분석 A. 직접 구성 요소의 정의 구조(construction)란 어떤 유의미한 낱말의 집합이며, 요소(constituent)란 큰 구조 속에 포함되는 작은 구조를 말한다. 직접 구성 요소는 어떤 주어진 구조 속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요소 중 하나를 말한다. 예를 들면, "The girl in the next house bough : a dress at the store"에서 'The girl in the next house'와 'bought a dress at the store'는 각기 전체 문장의 직접 구성 요소들이다. 'the girl'은 'the girl in the next house'의 직접 구성 요소이며, 전체 문장의 직접 구성 요소는 아니다. 'bought a dress'와 'dat the store'이며, 'bought'와 'a dress'는 'bought a dress'의 직접 구성 요소이다. 그리고 'a dress'는 'a'와 'dress'로 직접 구성되어 있으며, 이처럼 더 쪼갤 수 없는 요소를 궁극 요소라 한다. 문장 분석의 과정은 각 층의 직접 구성 요소를 찾아내는 과정, 다시 말하면 직접 구성 요소를 사이의 관련성을 기술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B. 직접 구성 요소 분할 : 도형과 분할 순서 1. 도형 직접 구성 요소로 구조를 도형화하는 방법은 다양한, 그 중 대표적인 형을 들어 보면 Fries, Gleason, Stageberg, Hockett, Francis등의 도형이 있는데, 이들 중 Fries와 Stageberg와 Hockett의 도형들은 그들의 분할 순서나 모양으로 보아 유사하나, Gleason의 도형은 아주 다르다. 다시 말하면 전자는 전체에서 부분으로 분할해 나가는 반면, Gleason은 부분에서 전체로 묶어가는 식이다. 그러나 이 차이는 단순히 순서의 문제이지, 직접 구성 요소 자체에 대한 의견의 차이는 아니다. Francis의 도형은 각 궁극 요소를 하나의 테두리 속에 집어 넣은 후, 그 의에 점점 더 큰 테두리로 둘러쌈으로써 구성 요소들의 연관 상태를 잘 알아 볼 수 있도록 나타내고 있다. 2. 분할 순서 한 문장의 직접 구성 요소를 분할하는 데의 기본 원칙은 첫째, 문장 수식어와 문장 자체를 분할하고, 둘째, 문장 내에서의 주부 명사구와 술부 동사구를 분할하며, 다음은 이 구들은 다시 각 낱말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끊어 나가는 것이다. 물론 복잡한 문장을 분석해 나가는 데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된다. 그래서 어떤 문법자들은 직접 구성 요소 분석은 핵문에 한정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C. 비단순 직접 구성 요소 1. 복식 직접 구성 요소 모든 구조는 두 개의 직접 구성 요소를 갖는 것이 원칙이다. 'foot-pound-second'와 같이 세 개의 요소를 가진 것도 있으며, 'books and pens'에서 'and'와 같이 별개의 요소로 구분되는 것도 있다. 2. 비연속 직접 구성 요소 두 개의 구성 요소가 이어져 있다는 점이 직접 구성 요소의 개념이지만, 의문문, 부정문, 목적격 관계 대명사에 이끌리는 절 등은 비연속적이다. 예를 들면 "Is John going with you?"에서 'is'와 'going'이나, "which she bought"에서 'which'와 'bought'가 'John'과 'She'를 사이에 두고 비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다. 3. 동시성 직접 구성 요소 이것은 초분절음소에 속하는 문제로서 어조를 하나의 구성 요소로 보는 견해이다. "He is a doctor."에서 가장 먼저 문장자체와 어조(/231↓/)를 각각 하나의 구성 요소로 보고, 그 다음 문장에서의 직접 구성 요소를 분할해 나가는 것이다. D. 직접 구성 요소 분석과 구조상의 애매성 단일한 구조가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이 있다. 물론 일상 구어에서는 억양이나 어조, 혹은 앞 뒤 말의 연결에 따라 쉽사리 해득이 되나, 문자화되어 있는 경우엔 이해에 혼란을 초래한다. 예를 들면, "The rooms of the house which seemed dirty."에서 'which seemed dirty'가 rooms'와 'house'중 어느 것을 수식하고 있는지, "They are visiting professors."에서 'visiting'이 'professors'와 'are'중 어느 것과 직접 구성 요소를 이루고 있는지, 또는 "He paints pictures and plays the violin well"에서 'well'이 'plays the violin'만을 수식하는지 양쪽을 다 꾸미는지 등의 여러 가지 애매성이 있다. 이런 구조상의 애매성은 직접 구성 요소 분석에 의해 명백히 구분되며, 특히 이것은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되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제4장 타 문장 분석법 A. Reed-Kellogg 도형 Reed-Kellogg 도형은 전통적인 분석이라 불리우며 지금까지 현장 학습에 많이 적용되어 왔다. 이 문장 분석의 기본 사상을 요약하면, 문장의 핵심요소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를 선상에 나타내어 수직선(보어는 사선)으로 구분하고 모든 수식어는 각각 피수식어에서 선 아래로 연결지워지는 것이다(그 하층 구조에서도 역시 위의 규칙은 적용된다). 이 방법은 많은 약점이 지적되는데, 그 중 한 가지를 들어 보면 "Happily he did not die"와 "He did not die happily"와 같이 분명히 다른 의미를 지닌 두 문장을 구분하여 나타낼 수 없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도형으로 나타냈을 때 문장 수식어인 앞의 'happily'와 'die'를 꾸미고 있는 뒤의 'happily'가 공통적으로 'die' 아래에 도시된다는 것이다. B. 직접 구성 요소 분석과 PS Tree "The boy gave the girl a ring."을 구조 문법의 직접 구성 요소 분석법과 변형 생성 문법의 PS Tree로 나타내어 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위의 두 도형에서 순서는 반대이지만 각 구성 요소로 분할되어 나가는 것은 일치한다는 사실, 즉 두 방법은 문장이 요소들로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원칙적으로 같으며, 구조가 두 갈래씩으로 분할된다는 점에서 문장 분석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제5장 결론 문법적으로 틀림이 없는 문장이 어떻게 구성되는가를 알기 위해서는 문장들이 어떻게 조직되어 있나 분석해 보면 된다. 그 분석 방법 중 한 가지로서 본 논문에서 구조주의 문법가들이 주창한 직접 구성 요소 분석을 다루었다. 한 구조를 두 직접 구성 요소로 분할할 때 그 원칙적인 순서는 1) 문장 수식어와 문장 자체, 2) 문장내에서의 주부와 술부, 3) 2)의 각 부분을 각 낱말에 이를 때까지 끊어 나가는 것이다. 이 직접 구성 요소 분석 이론은 문장에서 뿐만 아니라 두 개 이상의 형태소로 구성된 단어에도 어떤 규칙성을 가지고 적용이 된다. 직접 구성요소 분석은 문장의 표면 구조만을 다루지만, 변형 생성 문법의 tree diagram은 한 문장이 어떻게 심층 구조에서 표면 주조로 생성되는가를 설명하려 한다. 그러나 이 두 방법이 모두 문장을 '구성 요소'의 관점에서 보고, 문장의 구조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는 사상은 공통적이다. 이런 점에서 필자는 변형 생성 문법의 tree diagram이 구조 문법의 직접 구성 요소 분석에서 유도된 것이라고 본다.

      • 길상(吉祥) 이미지의 구성요소 분석 : 오복(五福)이 나타난 평면 부적을 중심으로

        이종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An talisman is a typical street custom of removing danger and calling blessings to a person who has a body or is installed inside the house to identify with God or others. An talisman consisting of red characters or lines on white or yellow paper is difficult to grasp because it distorts and transforms characters by emphasizing sorcery over readability. However, if we look at the content aspects of the study of talismans conducted in various fields, we can confirm that talismans are representative symbols of our people's thoughts, religion, culture and sentiment. Today, the perception of talismans ignores the content and only emphasizes the magical function, which is depreciated socially as a remnant of primitive beliefs and is not appreciat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Korean people's times and Korean sentiments contained in talismans through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talisman components that wanted five blessings. The scope of the study was largely divided into the content and form of talisman components. The content range was limited to an talisman symbolizing the five blessings, while the morphological range was limited to an talisman of a plane shape. also, The scope of collection for the study was limited to talisman images currently used in Korea.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by classifying the existing talisman images and selecting analysis targets and analyzing components. The classification of talismans who wanted the first five blessings was classified based on the collected talisman images, the first to live long, the second to rich, the third to be healthy, the fourth to have good virtue, and the fifth to live in peace throughout their lifetime and then to end their manifestations. Next, Five blessings was reinterpreted as a modern meaning of longevity, wealth, health, success, and self-sacrificing. These were respectively named: longevity talisman(Jangsu Bujeok), wealth talisman(Jemul Bujeok), health talisman(Gungang Bujeok), success talisman(Sunggong Bujeok) , and descendant prosperity talisman(Jasonbuchang Bujeok). Second, the selection of the analysis target selected 40 components from the existing talisman image through seven expert groups on three occasions. Third, the analysis of components extracte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oblique component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nents. In addition, the meaning of components was analyzed based on prior studies and books. First, the classification of the five blessings talismans is based on the collected talisman images based on the number five, the wealth, the riches, the principles, Yu Ho-deok, and Ko Jong-myung, who are the five blessings of Seogyeong. Classified as Next, it is interpreted as a modern life meaning longevity, wealth, health, success and prosperity, and longevity talismans and wealth amulets. health talisman, and prosperity talisman. Second, the wealth record wa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with meaning, such as contract, faithfulness, law, gain, result, establishment, and roadbed. In particular, we were able to find components that could tell the timing of the production of talisman. Third, the health defect was characterized by many wall beds made from the principle of co-prosperity and win-win. Fourth, we could see the characteristics of mainly using Chinese characters, which means the power of absolute existence, and Chinese characters, which means a strong talisman of energy. Fifth, although the progeny of the progeny is similar based on the longevity and the Chilseong belief, there were many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in terms of the balance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in the composition of the progenitor, namely the harmony of yin and yang. Sixth, each component of the five blessings parts has various meanings, so to check this, eight components (○, 一, □, 日, 尸, 鬼, 丨, 几) are extracted separately and their various meanings are identified. Analyzed. The analysis found that each component that makes up the oblique region represent a variety of meanings. In particular, the oblique area showed the component changing its meaning in relation to the number. The original numbers were for calculation, but the Obokbujeok(five blessings talisman) symbolized various auspicious signs. In this way, the concept of the number in the talisman was confirmed to show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talisman, which is a mixtur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s well as our folk beliefs and Yin and Yang phenomen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onents of the talisman, which symbolizes fivefold, the conclusion that the talisman is not a remnant of primitive faith but a symbolic image of Korea that contains the thoughts, religions, cultures, and emotions of our people. Go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ope that more active research on talismans and identity of culture will help us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that contain Korean sentiments in a global era where national competitiveness is becoming more competitive. 부적은 몸에 지니거나 집안에 설치하여 신이나 그와 동일시하는 존재에게 제액초복(除厄招福)을 바라는 대표적인 길상의 풍습이다. 흰색이나 노란색 종이 위에 붉은색 문자나 선으로 구성된 부적은 가독성보다 주술성을 강조하여 문자를 왜곡하고 변형하기 때문에 내용 파악이 어렵다. 하지만,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된 부적 연구를 통하여 내용적 측면을 살펴보면, 부적은 우리 민족의 사상과 종교, 문화와 정서가 담긴 대표적 상징 이미지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오늘날 부적에 대한 인식이 내용적 부분은 외면하고 주술적 기능만을 강조하고 있어, 사회적으로 원시 신앙의 잔존물로 평가 절하되고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오복부적 구성요소의 특징과 의미 분석을 통하여 오복부적 속에 담긴 우리 민족의 시대상과 한국적인 정서를 확인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범위는 크게 부적 구성요소의 내용과 형태로 나누었다. 내용적 범위는 오복을 상징하는 부적으로 제한하고, 형태적 범위는 평면형태의 부적으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수집범위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부적 이미지로 제한하였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부적 이미지 중에서 오복부적(五福符籍)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미지의 구성요소 분석을 위하여 분석작업을 3단계로 진행하였다. 첫 번째, 오복부적의 분류는 수집된 부적 이미지를 서경의 오복(五福)인 수(壽)ㆍ부(富)ㆍ강령(康寧)ㆍ유호덕(攸好德)ㆍ고종명(考終命)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오복을 현대적 의미인 장수(長壽)ㆍ재물(財物)ㆍ건강(健康)ㆍ성공(成功)ㆍ자손번창(子孫繁昌)으로 재해석하여 장수부적(長壽符籍)ㆍ재물부적(財物符籍)ㆍ건강부적(健康符籍)ㆍ성공부적(成功符籍)ㆍ자손번창부적(子孫繁昌符籍)이라고 각각 명명하였다. 두 번째, 분석대상의 선정은 기존의 부적 이미지에서 추출한 구성요소를 3회에 걸쳐 전문가집단 7인을 통하여 40개의 구성요소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세 번째, 구성요소의 분석은 오복부적 구성요소의 사용빈도를 각각 추출하고, 이를 통하여 구성요소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와 서적을 근거로 하여 구성요소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오복부적 구성요소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 번째, 장수부적은 주로 칠성신앙의 칠성신, 불교의 윤회 사상, 도교의 이상향인 삼청 등을 의미하는 구성요소가 사용되는 특징이 있었다. 두 번째, 재물부적은 계약, 신의, 준법, 이득, 결과, 세우는 것, 길상 등의 의미가 있는 한자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었다. 특히 부적의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는 구성요소를 발견할 수 있었다. 세 번째, 건강부적은 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원리로 제작된 벽병부(僻病符)가 많은 특징이 있었다. 네 번째, 성공부적은 절대적 존재의 위력을 의미하는 한자와 강한 양의 기운을 의미하는 한자를 주로 사용하는 특징을 알 수 있었다. 다섯 번째, 자손번창부적은 장수부적과 칠성신앙을 근본으로 하여 유사성을 가지고 있지만, 자손번창부적의 구성에 있어서 좌우의 균형 즉, 음과 양의 조화라는 측면에서의 표현이 많은 특징이 있었다. 여섯 번째, 오복부적 각각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의미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성요소 8개(○, 一, □, 日, 尸, 鬼, 丨, 几)를 별도로 추출하여 그 다양한 의미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8개 구성요소 각각은 한 가지 의미가 아닌, 여러 가지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숫자와 관련되어 구성요소 의미가 달라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래 숫자는 계산하기 위한 문자이지만, 오복부적에서 수의 개념은 상징적 표현을 통하여 여러 가지 길흉화복(吉凶禍福)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 속에는 음양오행사상과 우리의 민속신앙, 유교, 불교, 도교 등의 종교 및 각 시대의 문화가 녹아들어 부적의 사상적 배경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부적의 구성요소에는 각 시대의 사상과 종교, 한국적 정서와 문화가 압축되어 담겨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부적이 한국의 대표적 상징 이미지로써 손색이 없으며, 그 문화․예술적 가치 또한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독성보다 주술성이 강조되어 문자를 왜곡하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지양하고 현시대가 공감할 수 있는 디자인적 구성요소의 형태가 만들어지길 기대한다. 또한, 모든 세대가 공유할 수 있는 친근한 이미지로 변화되기 위해서는 문화와 토속신앙에 관한 연구를 통해 더욱 다양한 부적 디자인과 활발한 한국적 문화콘텐츠 개발에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국내여행상품 구성요소가 여행객의 플로우와 라포, 감정반응, 여행사와의 장기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호혜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성규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여행상품이 진행되는 환경에서 자극(S)인 국내여행상품 구성요소가 유기체(O)인 여행객의 심리와 행동에 관한 개념인 플로우, 가이드와 여행객의 관계형성을 뜻하는 라포, 여행경험에 대한 감정반응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모방성과 가격차별화 등 제한된 전략을 펼치는 여행업 시장에서 여행객의 여행경험을 통한 감정반응이 행위적 반응(R)인 여행사와 장기적인 관계를 지향하는 정도를 뜻하는 ‘장기지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여행객에게 형성된 여행사에 대한 ‘호혜성’이 여행객의 ‘감정반응’과 ‘장기지향성’간의 관계에 조절효과를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각 개념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변수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9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진행된 당일 국내여행상품에 참여한 내국인 국내여행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그들은 여행중 교통수단인 44인승 관광버스로 이동하였다. 여행상품은 여름휴가철 여행상품으로서 일정중 포항시, 울주군 지역의 계곡(포항시 소재 내연산 12폭포, 울주군 소재 내원암 계곡)과 관광지를 방문하는 여행상품이었다. 여행중 가이드는 여행객 인원파악, 관광자원소개 및 안내, 기념촬영, 식사안내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여행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은 여행일정을 마치고 돌아오는 버스 안에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법을 통하여 진행되었으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설정된 관계를 알아보았다. 총 332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다수 포함한 설문지 45부를 제외한 최종 287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여행상품 구성요소 중 여행상품 컨텐츠, 관광지, 식사가 여행객의 플로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여행상품 구성요소 중 가이드, 관광지가 라포의 즐거운 상호작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여행상품 구성요소 중 가이드, 관광지, 식사가 라포의 개인적 유대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여행상품 구성요소 중 여행상품 컨텐츠와 관광지는 긍정적 감정반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여행상품 구성요소 중 여행상품 컨텐츠, 관광지, 식사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플로우가 긍정적 감정반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감정반응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라포의 즐거운 상호작용, 개인적 유대감은 긍정적 감정반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라포의 개인적 유대감은 부정적 감정반응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감정반응 중 긍정적인 감정반응은 장기지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인 감정반응은 장기지향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호혜성이 부정적 감정반응과 장기지향성 사이에 부정적 감정반응을 낮추는 완충조절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연구결과를 통하여 밝혀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여행상품 구성요소가 국내여행상품에 참여한 여행객의 플로우, 감정반응, 가이드와 여행객간의 라포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여행객의 여행에 대한 감정반응이 여행사와의 장기지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실증분석을 통해 입증되었다. 또한 여행객에게 형성된 여행사에 대한 호혜성이 여행객의 여행에 대한 부정적 감정반응과 여행사와의 장기지향성간의 관계에 부정적 감정반응의 정도를 낮추는 완충조절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를 통해 여행사 경영 및 국내여행상품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여행객에게 형성된 여행사에 대한 호혜성이 여행사와 여행객간의 장기적 관계형성의 하나의 방안이 됨을 입증하였다.

      • 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 패션스토어의 VMD구성요소 분석 : 브랜드 이미지와 상품구매의도관계를 중심으로

        박연하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study examined whether Imported Contemporary Fashion Store' VMD Components affect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VMD is a means to express the fashion store' brand identity, It enables communication of product and customer. The brand image Through VMD affects customer attitude and evaluation on product. To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nalysis Imported Contemporary Fashion Store' VMS Components,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VMD to promote product purchase. This study conduct a survey consumer aware of the br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lace to buy a Imported Contemporary Fashion product was department store(70.39%), Flagship Store(20.76%), Multi brand store(9.21%), Discount outlet 2.63%. The motivation to visit the Imported Contemporary Designer brand’s store were ‘Because the going to mind VMD’ 61.84%, ‘Because favorite brand’ 34.21, ‘Because the sale period’ 23.03%, ‘For market research’ 28.95%, ‘The impact of advertising or PPL’ 5.26%. Second, "VMD component of the Imported of the contemporary designer brand stor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image," it was adopted hypotheses 1-1, 1-2, and 1-3 are all called. In other words, store design, shop window displays, indoor displays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brand image. Third, "VMD component of the import contemporary designers brand store will affect the degree of the product purchase." Hypothesis was adopted 2-1, 2-2 and 2-3 are all called. In other words, store design, shop window displays, indoor displays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product purchases. Fourth, Hypothesis 3-1, 3-2, 3-3 on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image were all supported. Specifically, the brand image was in part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of VMD and product purchase. This means that the more positively evaluating the VMD component, tend to think in a positive brand image,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brand image also increases the product purchase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of the brand image was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VMD component and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demonstrated VMD component's importance, influence on brand image, product purch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materials for brand identity's formation and expression. 본 연구는 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 패션스토어의 비주얼 머천다이징(VMD)구성요소가 브랜드 이미지 및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비주얼 머천다이징(VMD)은 패션 스토어에서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는 수단이며 상품과 고객과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요소의 기능을 한다. VMD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평가에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의 상품구매의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 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 패션 스토어를 중심으로 VMD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브랜드 이미지 형성과 상품의 판매를 촉진시키는 선행요인으로 VMD의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 스토어의 VMD 구성요소(스토어 디자인, 쇼윈도 디스플레이, 인도어 디스플레이)와 브랜드이미지, 상품구매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를 인지하고 스토어 방문 경험이 있는 20~40대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VMD 구성요소에 대한 사례 분석, 브랜드 이미지와 상품 구매의도와 관계를 중심으로 통계분석을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소비자들이 수입 컨템포러리 브랜드 패션 제품을 주로 구매하는 곳은 백화점 응답자가 70.39%로 가장 많았고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가 20.76%로 그 뒤를 이었다. 이외 편집스토어 9.21%, 상설 할인 스토어가 2.63%의 순이었다. 자 152명 중 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의 스토어를 직접 방문하게 된 동기 질문에’ VMD가 마음에 들어서’가 61.84%로 가장 많았고, ‘평소 좋아하는 브랜드로 주로 그 브랜드 상품을 구매하므로’ 34.21%, ‘세일 기간이라 가격이 인하되어서’ 23.03%, ‘시장 조사(디자인, 가격 등 파악)를 하기 위해서’ 28.95%, ‘광고나 PPL을 보고 직접 착용해 보기 위해서’ 5.26% 응답하였다. 둘째, “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의 스토어의 VMD 구성요소는 브랜드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즉, 스토어 디자인, 쇼 윈도우 디스플레이, 인도어 디스플레이는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브랜드 이미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의 VMD 구성요소 중 스토어디자인, 쇼 윈도우 디스플레이, 인도어 디스플레이 즉 매장 내 진열과 연출 순으로 브랜드이미지에 대한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셋째,“수입 컨템포러리 디자이너 브랜드 스토어의 VMD 구성요소는 상품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즉, 스토어 디자인, 쇼 윈도우 디스플레이, 인도어 디스플레이는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상품구매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VMD의 구성요소와 상품구매의도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브랜드 이미지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라는 연구가설 역시 모두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VMD 구성요소가 상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브랜드 이미지의 부분적 매개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는 VMD 구성요소를 우수하다고 인식할수록 브랜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며,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상품구매의도를 증가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국,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인식이 VMD 구성요소에 대한 평가 -> 상품구매의도의 관계를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패션 산업 현장에서 실무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VMD 구성요소 중 브랜드 이미지의 형성과 상품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VMD 구성요소를 학술적으로 규명한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패션 스토어의 VMD 구성요소와 브랜드 이미지의 매개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날수록 상품 구매의도가 높아졌다는 사실을 밝혀냄으로써, VMD 스토어 기획 시, VMD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과 브랜드 개성 및 철학의 가시적 표현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 음악적 구성요소 중심의 새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정한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적 구성요소 중심의 새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음악적 구성요소 궁심의 새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음악적 구성요소 중심의 새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북도 C시에 소제한 S유치원의 6세 유아 두 학급의 40명이다. 실험집단 20명(남아:9명, 여아:11명), 비교집단 20명(남아:12명, 여아:8명)으로 구성하였고, 예비연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Mayer와 Salovery(1996)의 정서지능 모형에 기초하여 이병래(1997)가 개발한 정서지능 체크리스트(6세용)를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적 자료 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Social Science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적 구성요소 중심의 새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자기인식 표현능력에 영향을 주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음악적 구성요소 중심의 새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자기 조절능력에 영향을 주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음악적 구성요소 중심의 새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타인인식 표현능력에 영향을 주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넷째, 음악적 구성요소 중심의 새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타인 조절능력에 영향을 주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론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 및 의의를 갖는다.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을 위해 다양한 음악적 경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유아교육기관에서 음악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결정적 시기인 유아기에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적 구성요소 중심의 새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음악적 경험이 유아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를 제공했다는데 있어서 시사점 및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