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 교재원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초·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태훈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초․중․고등학교의 교재원 현황과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학교급별 교육과정 내의 교재원 관련 내용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교재원의 규모와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광역시교육청 관내 초․중․고등학교 내 교재원의 유무, 교재원 보유 현황, 교재원의 구성요소 현황, 교재원의 활용 사례 등을 파악하여, 둘째, 교재원의 운영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과의 관련여부를 분석한 후, 셋째, 교재원 운영의 효과 분석을 위하여 교재원의 조성 면적과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학생, 학부모 만족도 평가 및 학교폭력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넷째, 효과적인 교재원 운영을 위한 교재원의 면적과 구성요소, 적정비율을 산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교육청 관내 429개 초․중․고등학교의 교재원 관련 자료를 전화, 메일, 학교정보공시사이트 및 직접 방문하여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학교 교재원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설립별, 학교급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Scheffe의 다중범위 검정(Scheffe's multiple range test)을 통하여 p<.05에서 유의한 차이를 검정하였고 교재원 활용의 효과성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별 교재원의 보유 면적을 조사한 결과 학교교지대비 교재원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초등학교 0.79%, 중학교 0.16%, 고등학교 0.17%로 초등학교가 중․고등학교에 비해 학교교재원 면적 평균 비율이 약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재원의 각 구성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화단, 화분, 밭 등 식물 재배를 위한 공간이 가장 많은 규모를 차지했으며, 동물 사육을 위한 사육장과 수족관, 연못, 기상 및 지질 관찰을 위한 암석원, 백엽상, 기상대의 순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재원 활용 관련 학교급별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가 126개 주제, 중학교 6개 주제, 고등학교 4개 주제가 교재원을 활용한 교육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넷째, 초․중․고등학교의 학급당 교재원 면적과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생만족도, 학부모만족도, 학교폭력 심의건수와의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결과 중․고등학교의 경우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초등학교의 경우 학급당 교재원 면적이 많을수록 학생, 학부모 만족도는 높아졌으며 학교폭력 심의건수는 낮아지는 것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별 교재원 면적과 학급당 교재원 면적의 평균을 분석해 본 결과, 학급당 교재원 면적 평균은 초등학교는 6.26㎡, 중학교는 1.23㎡, 고등학교는 1.53㎡으로 나타나, 초등학교는 교육과정 속에 나타난 교재원 관련 주제를 학습하기 위해서 보다 많은 교재원 면적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보이며, 학교급별 학급당 교재원 면적은 평균 면적 이상을 확보해야할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교재원 구성요소별 면적은 초등학교의 경우 식물재배 면적 평균이 54.15㎡, 동물사육 면적 평균이 15.57㎡, 지질․기상 관찰 면적이 5.25㎡로 3개 항목에 대한 비율은 약 7:2:1가 적정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구성요소별로 모두 1곳 이상을 갖추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중·고등학교의 경우 인성적 측면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교재원 운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초등학교의 경우 학급당 교재원 면적은 최소 3.5㎡이상, 최대 8㎡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해 볼 수 있다. 넷째,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재원 활용 주제 수에 따라 초등학교는 더 많은 교재원 면적을 확보해야하며 중․고등학교의 경우 창의적 체험학습이나 동아리 활동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섯째, 학교 교재원 체험활동을 통해 올바른 인성 및 정서 함양, 폭력예방, 창의인재 양성과 같이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현재 마련된 교재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과 미흡한 요소에 대한 보완책이 마련되어야한다. This study was created to develop methods and scal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Gardens based on current and operating status' and having content related to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Daegu Metropolit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irst, the research is about whether or not there is Learning Gardens in the Daegu Metropolit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present conditions and state of existing Learning Gardens and the case application for the gardens. Second, are the Learning Gardens and the educational curriculum, or textbook content, related. Third, does the Learning Gardens effect the Teacher Evaluation for Ability Development and help prevent school violence. Lastly, how to calculate the scale of composition and proportion of the Learning Gardens to be most effective in the schools. The objective and the method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and analyze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and the level of the school through identify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Learning Gardens.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data from 429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urveys conducted by phone, mail, personal visits to the school information posting system site and the schools. The research was performed by the program SPSSWIN 18.0(one-way ANOVA) and it verifi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using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The following are the key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comparing the average area of the Learning Gardens to their school's total area, we see that the elementary school Learning Gardens occupy approximately 0.79% of their school's property, while Learning Gardens at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occupy .0.16% and 0.17% of their school's area.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each composition element of the Learning Gardens presents that the space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such as the flower bed, the pots and the field has the largest size. Next is the farm for raising animals, the aquarium, the pond, the rock garden for the weather and geological observation, the instrument shelter and the weather station.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presents that 126 topics in the elementary school, 6 topics in middle school and 4 topics in high school are related to the Learning Gardens. Fourth,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presents that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don't have any meaningful results. The elementary school has a result showing that students satisfaction(r=.461, p<.001)and parents satisfaction(r=.475, p<.001) are high, and school violence(r=-.244, p<.01) is low.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several recommendations could be made: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verage size of Learning Gardens for each class is 6.26㎡ in elementary school, 1.23㎡ in middle school and 1.53㎡ in high school. Elementary school Learning Gardens should secure more area based on curriculum related topics and the level of the school. Second, the average area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is 54.15㎡, the average space for raising animals is 15.57㎡ and the average space for the weather and geologic observation is 5.25㎡. The proportion of these three items shows that approximately 7:2:1 is an appropriate ratio. Also, preparing more than one area for each compositional el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various methods of operations for the Learning Gardens should be prepared by considering the school's needs. Third,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the area of the Learning Gardens with relation to each class could be made from a minimum of 3.5㎡ to a maximum of 8 ㎡. Fourth, the elementary school's curriculum topics using the Learning Gardens should secure more area.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arning Gardens will become more desirable to operate for creative experience learning and club activities. Lastly, methods enhancing the applicability and the supplement policies for the insufficient Learning Gardens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have positive effects like right personality, cultivation, violence prevention and training for creative people through garden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