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과학교과서의 남성중심성에 관한 교육과정사회학적 분석

        유영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11

        교육사회학은 교육과 관련한 사회 불평등 문제를 핵심적 주제로 삼고 있다. 교육사회학의 핵심적 주제인 교육과 사회 불평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교육 불평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원인 규명이 필요하다. 교육사회학에서 교육 불평등을 초래하게 하는 원인은 여러 곳에서 찾을 수 있지만, 일차적으로 학업성취의 격차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학업성취는 미래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왜냐하면 업적주의 사회에서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개인의 성취수준에 의해 결정되고, 개인의 성취수준은 일반적으로 학교에서의 학업성취에 근거하여 개인에게 사회경제적 지위가 분배되기 때문이다. 이렇듯 학업성취는 한편으로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위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교육 불평등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학업성취의 격차는 계층별 격차, 지역별 격차, 성별 격차로 대별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학업성취의 성별 격차에 관심을 갖는다. 여학생이 학업성취에서 격차를 가져오게 하는 요인은 학생의 속성, 가정의 문화적 환경, 학교의 질적 수준, 교육내용,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등 여러 곳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논문은 여학생의 학업성취 격차의 원인을 교육과정(敎育課程)의 내용에 있다는 교육과정사회학적인 시각에서 출발한다. 학업성취의 성별 격차에 관한 많은 연구 결과는 여학생들이 과학을 기피하고 성취가 저조하다는 사실을 문제로 인식한다. 과학에서 여학생들의 성취가 저조한 것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과학적 지식이 중시되고 과학과 관련된 직업이 시장성이 높은 현대의 산업기술사회에서 과학은 직업과 관련된 다양한 계열과 코스를 선택하는 기본적 요건이 되며, 궁극적으로 직업선택의 관건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과학에서 학업성취의 성별 격차는 사회적 성취의 성별 불평등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은 여학생의 학업성취와 관련하여 여학생이 과학에서 저조한 학업성취의 원인이 과학교과서에 있음을 가정한다. 즉 과학교과서가 남성중심적으로 편성·조직되었기 때문에 여학생은 과학교과에서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이는 결국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과학교과에서 학업성취의 격차가 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과학교과서의 남성중심성에 초점을 맞추어 성별 불평등의 원인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가정을 기초로 하여 과학교과서의 남성중심성에 관한 연구문제를 다음의 여섯 가지로 구체화하였다. 첫째, 교과서의 편찬과정에 있어서 성별편중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교육내용의 선정에 있어서 성별편향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교육내용의 조직에 있어서 성별편향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넷째, 역할 모델의 제시에 있어서 성별편중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다섯째, 성역할의 전달에 있어서 성역할 사회화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여섯째, 과학의 이미지 전달에 있어서 성별편향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8권, 중학교 과학교과서 6권, 고등학교 과학교과서 18권을 연구자료로 하여 과학교과서의 남성중심성에 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의 여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과서의 편찬과정은 성별로 편중되어 있음이 나타났다. 교과서 편찬자의 성별 분포는 남성편중적이었고 교과서 편찬자의 편찬당시 소속은 주로 대학교와 초중등학교로서 모든 기관에서 남성이 편중적으로 교과서 편찬에 참여하였다. 둘째, 교육내용의 선정은 성별선호성에 비추어 남성중심적으로 선정되었다. 교육내용은 과학의 영역과 주제로서 남성의 관심과 흥미에 적합하였다. 셋째, 교육내용의 조직은 실험관찰의 사례와 성 관련 용어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사례는 남성의 경험에 기초하고 성 관련 용어는 문장에 따라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되었다. 넷째, 역할모델의 제시는 과학교과서에 소개된 과학자와 사진에 제시된 성인 남녀의 모습에서 성별편중성을 나타냈다. 다섯째, 성역할 사회화는 사진·삽화에 제시된 과학적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과학적 활동의 특성은 남녀 학생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역할 분담에 있어서도 과학적 활동은 남성중심적으로 주도되었다. 여섯째, 과학의 이미지는 과학지식의 기술적용면에서 살펴보면 과학지식은 대부분 산업과 군사 등에 적용되었고, 과학 관련 직업면에서는 남성은 생산과 관련된 활동 장면을 묘사하고 여성은 가정과 관련된 활동을 보여줌으로써 과학과 관련된 직업이 남성의 영역임을 내포하였다. 이상의 교과서 분석 결과는 과학교과서가 남성중심적으로 편성·조직된 것이 여학생의 과학과목의 학업성취 격차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이러한 학업성취의 격차는 사회적 성취의 격차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과서는 학생들의 태도 형성과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고 나아가 성인이 되어서도 그 태도와 영향이 지속한다. 이와 같은 차원에서 본다면 교과서는 어떤 형태의 편견이나 고정적인 성역할 사회화, 성에 따른 직업에 있어서의 한계 등과 같은 표현을 피해야 한다. 업적주의 사회가 실현되기 위한 전제조건은 모든 사람들이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일이다. 교육의 평등은 교육기회의 평등에서부터 교육과정(敎育過程)의 평등과 교육결과의 평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남녀간의 교육의 평등은 양적인 측면에서 어느 정도 실현되었으며, 외형적으로 볼 때도 여학생은 남학생과 동일한 교육을 받고 있다. 그러나 남학생과 동일한 교육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학생이 상대적으로 학업성취에서 불리한 입장에 놓인다면 진정한 교육의 평등을 실현하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의 연구 결과는 교육의 평등은 교육기회의 평등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교육에서의 성별 불평등에 대한 요인은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어 질 수 있지만, 교육기회의 평등은 학교교육의 기본이 되는 교과서에서부터 양성평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Sociology of education focuses in social unequality in relation to education. Accurate understanding about educational unequality is needed in order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s main topic of sociology of education and social unequality. The origin of educational unequality, likewise, is found in everywhere, first of all it is found in the difference of study achievement. Study achievement effects as important element to determine socioeconomic status of future and quality of life. Because in achievement society, one's socioeconomic status is determined by his achievement level and his achievement level is generally distributed in foundation on study achievement in school. Like this, on the one hand study achievement affects on socioeconomic status of an individual, on the other hand it causes educational unequality. The level of study achievement roughly classifies the difference of social stratum, region and gender. This thesis concentrates in the difference of gender in study achievement. We can notice the difference of women's study achievement in the field of students' self-tendency, home cultural background, the level of schools quality,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The main issue of curriculum, however, begins with the viewpoint of sociological curriculum. Lots of research about the difference of gender in study achievement bring that women evade science and unactively achieve it. That women's inactive achievement in science is going to be important issues. The reason is that scientific knowledge is important and jobs related to science are reasonable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originally, it is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of work choice. This thesis assumes that science textbooks are the cause of women's inactive achievement in science textbooks which give the first consideration to men. That is why women have inactive achievement in science compared with men. Therefore, this thesis focuses in masculinity in science textbooks and then searches gender unequality. On the basis of these assumptions, the research about masculinity in science textbooks make concrete as follows ; First, how does gender inclination appear in compiling science textbooks? Second, how does gender preference appear in selecting textbook contents? Third, how does gender inclination appear in presenting role models? Forth, how does gender inclination appear in curriculum system? Fifth, how does socialization of gender role appear in transmitting gender role? Sixth, how does gender inclination appear in transmitting science image? To analyze these issues, with 8 volumes of elementary school's science textbooks, 6 volumes of middle school's science textbooks and 18 volumes of high school's science textbooks, I analyzed contents about masculinity in science textbooks. The finding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 First, the process of textbook compilation appeared in gender inclination. Textbook compilers' gender distribution was masculinity and at the compilation moment, men who are from all facilities such as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compiled textbook with inclination. Second, textbook contents were selected out masculinity by gender preference. Textbook contents are field and subject of science, those are adequate to men's concern and interest. Third, role models showed masculinity with male scientists introduced in textbooks and the different role of man and woman in the picture. Forth, in curriculum system, according to the example of experiment observation, an phraseology of gender meant different meaning by every sentence. Fifth, in transmitting gender role, according to scientific activities in the picture and illustration, scientific activities were differently shown between man and woman and focused in masculinity in role allotment. Sixth, scientific knowledge applied industry and military affairs, in relation to job men were described as producers and women acted as housewives. That means job relation to science involves men's area. These findings of textbooks analysis show that science textbooks can be the cause of women's inactive achievement in science and women's inactive achievement in science subsequently affects the level of social achievement. Textbooks affects student's attitude and study achievement and then they continue into adulthood. From this viewpoint, textbooks must avoid a prejudice or socialization of fixed gender role, and job limit relation to gender. The precondition to realize achievement society is to make competitive atmosphere under the same condition for all of the people. Educational equality can be argued with a variety of opinions from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equality of process and results. In modern society, the quantity of educational equality realized in somewhat, man and woman have same education externally. In spite of same education, if women are relatively at a disadvantage, it is difficult to realize sincere educational equality. In a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thesis show that sincere educational equality starts from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Therefore the cause of gender unequality in education can be argued with a variety of ways but perfect gender fairness is accomplished from textbooks as basic material in school education.

      •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들의 특성 및 서술방식 분석 연구

        이지애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the unequal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y analysing the characters of Great men and the ways describing them in textbooks in the view of sociology. I rose some questions on this purpose. The first question is which Great men are mentioned in the textbooks by grades and subjects. The second is what is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Great man included in the textbooks on the aspect of their sex, period, nationality or profession. The last question is how is the ways of description of them. I analysed the Great men in the 84 textbooks of 6 grades and 13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n could find out the unequal factors in the view of sociology. First distinct feature is that same and more Great men were introduced repeatedly in the textbooks from lower grades to higher grades. And most Great men were included in the social studies and moral education textbooks. Second feature is that male were mentioned too much more often than female. The third is that the many textbooks introduce modern and contemporary Great man more than other periods, and most of them are kings, politicians and generals. They were involved in political works and contributed to achievement of ruler. It seems that there is intention to see the history on the basis of dynasty and ruler. The fourth is that Koreans were introduced most frequently. In addition, when foreigners were mentioned, most of them were european or north american people. It means that most textbooks are affected by white people-dominated and city-toward ideology. The fifth is that more than half of introduced Great men were former kings, politicians, military men, governors or administrators. It means that textbooks can inculcate authoritarianism, distorted view about labor and rural or biased attitude forward jobs. The last feature is about the wrong descriptive ways which textbooks introduce Great man. These are focused on only Great man's achievement and these treat their success story as a myth. I'd like to give some suggestions to get rid of inequality and for further study based on my study. First, we have to make efforts to find out more Great men from various areas and countries for children to be able to experience the value of education. Second, we have to empower schools and students more chance to choose and learn textbooks through enlarging authorized textbooks. Therefore they should have rights to do value judgement freely without any unilateral, sectional ideology. The third, we have to develop after-school teaching program. It helps children enjoy educational autonomy and expend opportunities to get information about Great men not only specific subjects but also other various programs. The fourth, we need to expend our study to textbooks of art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and keep watch if those are biased toward specific and limited cultures or styles or not. Finally, my study is limited only into elementary school textbooks of Korea, so it will be more interesting and constructive when I compare with foreign textbooks about the descriptive way and the frequency of Great man in them. 본 연구는 교육과정 사회학적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들의 특성 및 서술방식을 분석함으로써 교육과정에 내포된 불평등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제시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교과서에 학년별, 교과목별로 어떤 인물들이 수록되었는가? 2.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의 영역별(성별, 시대별, 국가별, 직업별) 특성은 어떠한가? 3.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들이 서술된 방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초등학교 6개 학년 총 13과목 84권에 수록된 인물들을 분석한 결과 나타난 불평등 요소를 교육과정사회학적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과서를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 수록된 인물 중 중복 서술된 인물들이 많게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많은 수의 인물이 여러 차례 수록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가장 많은 인물이 수록된 교과목으로는 사회/사회과탐구, 도덕/생활의 길잡이로 나타났다. 둘째,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을 성별로 분석한 결과 남성 인물이 여성 인물에 비해 현저한 차이를 보이며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우리 사회가 지극히 남성 중심적인 지배 문화 속에서 남성중심 성문화가 반영된 결과로서 남성 중심 이데올로기의 한 형태라 볼 수 있다. 셋째,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을 시대별로 분석한 결과 현대 인물과 근세 인물이 가장 여러 차례 수록되었다. 근세 인물의 대부분이 왕이나, 정치가, 장군인 점은 인물의 대부분인 정치적 활동에 이바지한 인물로서 지배자들의 업적에 대한 것으로 왕조 중심이나 지배자 중심으로 역사를 보려는 의도로 보인다. 넷째,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을 국가별로 살펴본 결과 국내 인물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유럽과 북아메리카의 인물 중심은 백인 중심 지배이데올로기, 도시지향 이데올로기가 교과서에 반영되어 있다고 본다. 다섯째,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들의 절반 이상이 이전의 왕, 정치가, 장군에 해당하는 직업인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에 해당하는 인물이었다.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의 대부분이 왕, 정치가, 장군이 대부분이라는 점은 지배세력으로서의 독점 자본가 세력의 현재관과 권력의 핵심인 군부의 현재관, 왜곡된 노동관과 농촌관, 편향된 직업관이 교과서에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의 인물에 대한 서술이 업적만이 주로 드러나는 강점 중심의 신화적 서술을 하고 있었다. 또한 인물 수록에 있어 인물 자신이 가지고 있는 약점 요인이 대부분 드러나지 않게 서술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과서 인물의 불평등 요소 해소 방안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이 인물이야기를 통해 다양한 교육적 가치를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국내/국외 인물들의 발굴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검인정 교과의 확대를 통해 학교와 학생이 자율권을 가지고 교과서를 선택하고 배울 수 있는 교육의 자율성과 기회 확대를 통해 사회가 일방적으로 주는 특정 집단의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개인의 자유로운 가치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본다. 셋째, 인물이야기가 특정 교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자유롭게 선택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방과 후 프로그램 등)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본다. 넷째, 초․중․고의 예술 교과에서 나타난 작품들을 통해 특정 문화와 양식이 집중되어 있는지 교육과정사회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연구도 의미 있으리라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국내의 초등학교 교과서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외국의 교과서에서 자국의 인물과 국외 인물을 다루는 방식이나 편중을 파악하여 우리나라와 비교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 교육과정 연구에서의 철학적 접근과 사회학적 접근

        양영자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33327

        이 논문은 교육과정 연구 분야에서의 교육철학적 접근과 교육사회학적 접근을 비교 검토하고 그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두 가지 접근에 가정된 교육내용관의 특징을 밝히고 그러한 교육내용관이 최근 논의에서 어떻게 수정 보완되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두 가지 접근 사이에 내재하고 있는 갈등적 요소를 완화할 수 있는 시각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교육철학 분야의 교육내용관은 분석적 교육철학자의 대표자인 피터즈와 허스트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들은 이론적 지식의 가치는 진리추구에 정합적이며 발달된 마음을 길러주는 것에 있다고 이해한다. 그런데 이 주장은 결과적으로 이론적 지식과 일상적 지식이 구분된다는 논리를 전제로, 이론적 지식을 일상적 지식보다 가치로운 것으로 평가하여 지식관의 위계적 특성을 옹호하는 측면이 있다. 교육사회학 분야의 교육내용관은 신교육사회학자의 주도적인 인물인 영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영은 교육내용이란 갈등적인 사회에서의 '권력' 작용에 의해 상황적이고 맥락적으로 구성된 계층화된 지식이라고 본다. 지식 계층화가 사회불평등의 원인이라고 보는 영은 계층화된 지식을 정당화시키는 학문적 교육과정의 전제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며 상대적으로 배제된 일상적인 지식의 가치를 복원시키고자 한다. 곧, 탈위계적 지식개념을 견지하고 있다. 이 두 접근에 전제된 교육내용관의 차이는 지식의 위계성에 대한 견해차, 지식의 성격에 대한 견해차, 사회관의 견해차로 설명할 수 있다. 지식의 위계성에 대한 견해차는 보다 근본적으로는 지식이 공적·보편적·객관적 성격인가, 아니면 분절적이고 국지적인 성격을 지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견해 차이에서 야기되며, 더 나아가 상이한 사회관 곧 갈등적 사회관과 질서 사회관의 대립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두 가지 관점 사이의 대립은 이제까지 상호 대화나 비판이 불가능 할 만큼 근본적인 대립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리하여, 두 담론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계성 또는 관련성보다는 상호독립성 또는 불연속성의 특정이 더욱 부각되어 온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두 담론 상호간에 비판이나 대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채, 나름대로의 논리를 전개해옴으로써 연계성을 찾기 위한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런데 다행히 최근 허스트나 영은 각 관점에서 초기 지식관을 수정함으로써 두 관점의 단절을 완화시키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허스트는, 이성의 절대적 지위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이론적 지식을 중시하던 견해를 수정함으로써 위계적인 지식관을 탈피하고 있다. 또한 이성의 구사는 사회적 맥락에 놓일 수밖에 없다는 견지에서 프랙티스(practice) 개념을 도입하여 초기의 공적 개념을 역사 사회적으로 구체화하고 있다. 영은 경제 논리를 기초로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이론적 지식의 학습이 중요하다고 주장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위계적 지식관을 수용하고 있다. 또한 교육연구의 정치적인 성격을 분명히 하고, 교육이론과 실천과 정책을 연계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최근 두 관점의 변화는, 수직적 관점과 수평적 관점이라고 하는 초기의 분류틀을 거부하는 가운데 두 관점의 관계를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해 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와 같은 지식관의 변화는 상호 이해가능성을 확장시킨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식관의 기초가 되는 사회관에 있어서는 여전히 큰 변화를 찾아보기 어려우며, 이것이 두 접근 사이의 상호이해와 대화를 어렵게 한다. 그러나, 교육과정 분야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두 접근 사이의 연계성을 찾을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교육과정 연구에서 해체-구성-재해체의 연속과정을 중시하는 체리홈즈의 개념틀에서 두 접근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곧 허스트의 사회관과 영의 사회관은 각각 구성자와 해체자로 규정될 수 있으며, 이 때 양자는 상호구성적인 관계를 맺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두 접근의 연계성을 해체-구성-재해체의 연속과정으로만 파악할 경우, 그 과정이 지향하는 궁극적 목표가 없다는 점이 문제로 부각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실제적 목표가 중시되는 현재적 시간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현재적 시간은 실용성에 의해 지배되어 삶의 변화가능성과 역동성을 살려준다. 이 현재 시점의 실용성을 목표로, 교육과정 연구는 총체적인 삶의 형식에 대한 이해에 따라 산적한 현실 문제를 해결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교육과정 연구의 범주에서 철학적 접근과 사회학적 접근의 연계를 모색하고자 시도한 이유는 교육과정 연구의 성격이 종합적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또한 교육과정이 삶에 대한 깊은 이해를 기반으로 실제 문제를 해결해 가야하는 분야라는 점에서 그 어느 측면에서든지 총체성을 손상시켜서는 안 된다는 믿음 때문이기도 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new framework, which interconnects between a philosophical approach and a sociological approach to curriculum inquiry by reviewing and comparing those two approaches. Chapter II deals with an initial discussion on knowledge as contents of education from two perspectives: philosophy of education and sociology of education. The first part of this chapter begins with a review of R. S. Peters and P. H. Hirst's examinations on contents of education in the area of philosophy of education, presented in the 1960s and 1970s. They argue that theoretical knowledge is more worthwhile than common knowledge, on the assumption that theoretical knowledge and common knowledg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at two different kinds of knowledge are hierarchically stratified. The second part of this chapter presents a viewpoint of sociology of education on contents of education. M. F. D. Young, who is a leading scholar in the 'new sociology of education', argues that contents of education can be defined as a set of stratified knowledge which is socially organized by those in positions of power for their own particular purpose. For this reason, he casts doubts on a basic assumption of education and the academic curriculum which make the stratification of knowledge justified He contends that the stratification of knowledge has led to social inequality; thus, superiority of theoretical knowledge should be withdrawn. In the light of different viewpoint of each approach to contents of education, the third section of chapter II discusses how these approaches are different in terms of the following areas: 1) hierarchy of knowledge; 2)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3) viewpoint of society. Different perspective of two approaches on the hierarchy of knowledge stems from a different way of identifying fundamental features of knowledge: Is knowledge public and objective, or is it segmental and local? Furthermore, the difference is originally based on a different viewpoint of society: Is society characterized as conflicts or a set of order? In fact, the controversy between these different approaches has not found its middle way. However, Hirst and Young have recently shown a possibility of decreasing a gap between two perspectives. Chapter III examines the recent discussion on knowledge as contents of education. First, Hirst has recently tried to stay away from the concept of 'stratification of knowledge' and redefine the position of reason. He has introduced the concept of practic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use of reason is supposed to be carried out in the context of society. On the other hand, Young puts more emphasis on usefulness of theoretical knowledge, compared to his initial thoughts, since society has transformed by the logic of economy. Also, he is concerned with interrelations among education theory, practices, and policy. These changes in two scholars' arguments reflect that the validity of an initial framework has become obscure. Furthermore, those changes provide a new perspective in which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oretical knowledge and common knowledge can be discussed. However, there still exists a gap between different point of view on society,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knowledge. In Chapter IV, I argue that this problem of a separation between different viewpoints should be solved, especially in the curriculum inquiry.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atic issue, I suggest a clue for a new perspective in a framework of destruction and construction addressed by C. H. Cherryhom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overcome its limitations; i.e. The lack of no ultimate purpose in the process of destruction -construction-redestruction. The curriculum inquiry needs to be discussed in a framework of destruction-construction-redestruction process which is complemented by its ultimate practical purpose. Thus, I contend that the concept of 'now,' linked with a practical purpose, should be introduced in this framework. A philosophical approach focuses on the past of society, while a sociological approach is concerned about future of society. Therefore, both approaches underestimates the issue of 'now.' The issue of 'now' can be a connecting point between the past and future of society, and it reflects practical implications beyond desires of human beings and purity of reason. From this vantage point, there is high possibility of totalistic understanding of life, since the study of education curriculum is related to the totality of life.

      • 現行 高等學校 國史 敎科書의 支配集團 中心的 敍述 性向 分析 : 敎育課程社會學 理論을 中心으로

        황정희 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33311

        As a result of the anlysis in this thesis from the viewpoint of the sociology of the school curriculum, I have shown how much the ideology of the ruling classes is contained in current highschool textbook of history. According to my analysis for the general principles of curriculum, such as the goal of education, the scope and sequence of curriculum, and the evaluation, we must accept that current textbook contains in respect of ideology various elements partial to the ruling classes intentionally. The details are as follows: 1. Education of history suggested in current textbook, put the emphasis on society- or nation-oriented goals rather than on individual-oriented goals. 2. As for the scope and sequence of curriculum, textbook avoids general concepts or principles intentionally, and relies on topics or simple facts excessively. 3. As for the contents, many parts of textbook are devoted to justify the ideology and political purposes of the ruling classes. We can also find out that textbook degrades the fact that common people have played the main roles in modernization of our country, and neglects the historical facts which would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in the part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extbook merely arranges simple and fragmentary facts in chronological order. Finally, textbook gives the ruling classes higher and more important position than that which they have actually occupied, by concealing and distorting the truth. 4. As for evaluation, the main types of written examination such as the mutiple choice method and the simple sentence method, are adopted almost generally. Those types tend to impede the development of higher intellectual faculties, by forcing pupils to have obedient ways of thinking and to give up critical thought and attitude. Education in school should help pupils to achieve their learning extensively, and to form various points of view for themselves. In order to arrive at such aim, the system of publication of textbooks and especially textbook of history should be converted from that of control by the government to that of liberal character.

      • 수학 포기자의 수학 포기 경험에 대한 교육과정 사회학적 해석

        김성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3311

        "Supoja" is a new term that has recently emerged which refers to students who refuse to study math and give up, causing them to underachieve. This study was set out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hese students who regarded themselves as Supojas and interpret their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curriculum. The issue of Supojas is connected to the social functions of education, which means that their reasons for giving up math should be analyzed sociologically, beyond their underachievement in math to the personal level in order to find more profound solutions to the pressing issue. Sociology of curriculum is a useful methodology for analyzing the macroscopic perspective, which covers the impacts of social institutions and culture on schools, and the microscopic perspective, which covers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their students in lessons according to the classroom culture. The investigator intended to interpret Supojas' experiences of giving up math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curriculum and provide implications to solve problems in math education. The study raised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do the students, who admit that they have given up math, experience while studying math? Second, how are their experiences of giving up math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curriculum? Third, what implications do their experiences of giving up math have for the improvement of math education in the nation? In an effort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investigator interviewed 15 high school students who identified themselves as Supojas in K City in Gyeonggi Province with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with the constructive grounded theory. The findings show that they had the following experiences of giving up math: first, the Supoja students began to study math through private education, forced by their parents. In elementary school, they had no idea what math was about. As they had to solve excessive amounts of problems by repeating simple calculations, they developed a disliking to math. Meanwhile, they continued to study math through private education since they enjoyed boasting their superior math scores to their friends. In this process, they learned the ideology of education for college entrance, which states that one should be good at math starting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be recognized for their intellect and advance to great schools of higher level. Second, when they advanced to middle school, they experienced math that was different from what they studied in elementary school. Unlike in elementary school, they had to use letters in math questions, learn new terms in new context, such as functions, and were forced to memorize formulas. They failed to adjust themselves to this strange new math much different from what they studied in elementary school, and got poor grades even though they studied similar or greater amounts of math than elementary school. Because of their poor math grades, they were branded as underachievers in classes. These experiences drove them to giving up math. Finally, the students that gave up math in middle school experienced alienation in high school lessons and exams: they were in the same space as their peers, but they lived in a different world. They refused to participate in math lessons despite their experience of alienation because they believed this subject of math defeated them. Recognizing that math grades were needed to be admitted in college, they made another attempt at math study. They, however, failed to finish the advance learning lessons and obtain grades that would make their hard work worthwhile, giving up math once again. Once they gave up math completely, they choose to pursue liberal arts despite their interest in natural sciences, or followed a path that required no math grades such as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The Supojas were aware that the goal of studying math was not to develop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but to grade and rank students, but they believed that they gave up math because they lacked efforts and internalized that they were inferior to other students. After attempting to interpret the Supojas' experiences of giving up math,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facts: all societies ask adolescents to pass a bottleneck test so that they can have access to social status and wealth. In South Korea, the college entrance exam is an important bottleneck test. Math is one of the critical means of classifying students. As the bottleneck grows narrower, the competition based on math grades becomes even fiercer. Since parents have a role of helping their children pass the bottleneck, they force them to study math through private education at an early age. Students themselves try their best to excel in math, but some are selected and others are excluded in the education system, which means that a majority of students experience alienation except for a few that are selected for their math grades. There are two cultures formed in the math classroom: one is the culture of "math study" involving a good number of difficult questions. The other is the culture based on "the need for math" to answer the question "Are math grades are needed for my career?" Students a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are able to participate in these two cultures: the "top math students" that are able to participate in math study and realize the need math for their careers, and the "good Supojas that are poor at math" who are not able to participate in math because of their poor math learning skills but feel the need math for their careers; the "Supojas who didn’t need math" who do not need math grades for their careers regardless of math study; and the "true Supojas" that are not able to participate in math study and need no math grades for their career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ll the types were Supojas except for the top math students and that Supojas who didn’t need math and good Supojas who were poor at math ended up becoming true Supojas. The findings of the study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ath education in the nation: first, the emergence of Supojas is a concern of the education system rather than a lack of personal effort. Second, education should provide a community for students getting together instead of creating a battlefield of life or death to solve the Supoja issue fundamentally. Third, selection based on evaluation should move from the old screening approach to a new approach of regarding students of certain scores or higher as having the same abilities and selecting them all. Fourth, the goal of studying math should convert from classification to math itself. The most urgent improvement for the math curriculum is to connect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 curriculum. Math is a study of researching patterns (Jo Bolar, 2016) and a journey of finding answers in a logical thinking process by converting given questions to mathematical scenes. This journey should ensure the participation of all students instead of a few that get good math grades. It is urgent to change the social environment around lessons, curriculums, and education so that "equality of math" will be realized which helps students enjoy math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and aptit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