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창의성에 미치는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및 공감능력의 효과분석-수업역량 매개를 중심으로-

        이경미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창의성에 미치는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및 공감능력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수업역량이 어떻게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공감능력, 수업역량, 유아창의성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공감능력, 수업역량, 유아창의성 간의 구조적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G시, J도, S시, K도에 소재한 217개소 유아교사 317명과 유아 726명이다. 연구도구는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은 Cropley(2004)의 교수창의성 도구를 참고하여 강병재와 백영숙(2013)이 타당화한 교수창의성, 공감능력은 Davis(1980)가 제작한 대인관계 반응지수를 번안한 박성희(2004)의 도구, 수업역량은 김연수(2017)가 개발한 유아교사용 수업역량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 창의성 검사는 노영희, 김경철, 김호(2006)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창의성 평정 척도(TCRSYC)’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24.0 프로그램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해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인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공감능력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며 독립변인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공감능력은 매개변인인 유아교사의 수업역량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공감능력, 수업역량과 종속변인인 유아창의성 간에도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독립변인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공감능력 그리고 매개변인인 수업역량이 종속변인 유아창의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공감능력에 매개변인인 수업역량이 더해질 때 유아의 창의성에 직・간접적으로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공감능력 변인에 매개변인 수업역량이 더해질 때 유아창의성 발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에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공감능력, 수업역량을 높여 유아창의성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도록 유아교사의 자기개발을 통한 노력이 필요하다. 즉 유아교사 스스로 교수창의성과 공감능력을 높이기 위한 동기유발과 수업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반성적이고 발현적 사고를 지속적으로 실천해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유아교사가 유아의 창의성을 발달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 교육연수, 워크숍 등에 참여하여 유아 발달의 이해와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여 교수창의성이 있는 수업역량을 높일 수 있는 이론적 근거로 제시하고자 한다.

      •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음악교수내용지식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윤미정 인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음악교수내용지식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수효능감이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또한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음악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수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수효능감의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수효능감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3.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실행하기 위하여 경기도와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사 3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315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는 백영숙, 김희태(2008)의 ‘유아교사 교수창의성 측정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윤지영(2014)이 개발한 ‘유아음악 교수내용지식 측정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는 방은영, 박찬옥(2005)의 ‘음악교수효능감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공립유치원과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의 경우, 또한 경력이 높을수록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수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음악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창의성에 비해 음악교수내용지식이 미치는 영향이 조금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음악교수내용지식의 하위요인 중 음악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음악교수내용지식의 ‘교수학습’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교육내용’이었고 교수창의성에서는 ‘개방성과 모호함의 허용’의 순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음악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음악교수내용지식은 현직교사 연수나 예비교사교육을 통해 충분히 발현될 수 있는 요소이므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후속연구에서도 심도있는 자료를 토대로 한 분석이나 조사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예비교사 교육이나 현직교사를 위한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의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하게 편성하여 지속적인 교사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유아교사, 교수창의성, 음악교수내용지식, 음악교수효능감 ABSTRACT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Music Teaching Efficacy Yun, Mi Jeong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by their demographic variables and se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were associated with one another and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ffected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Do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differ by their demographic variables? 2. How ar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3. How do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ffect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To answer these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in 324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nurseries in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and the data from 31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Scale developed by Baek and Kim (2008) was used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the Early Childhood Mus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ale developed by Yun (2014) was used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he Music Teaching Efficacy Scale developed by Bhang and Park (2005) was used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n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by their demographic variables, those who were more educated, who were employed at public kindergartens or at employer-supported nurseries, and who had longer career showed higher levels of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ll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ffected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had a slightly greater impact than teaching creativity did. Third, as for the effects of the sub-factor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the sub-factor fo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at had the greatest impact on music teaching efficacy was ‘teaching learning’, followed by ‘teaching contents’, and ‘permission of ambiguity and openness’ among the sub-factors for teaching creativity had the greatest impact. In conclusio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ffect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In particular, si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the factor that can be developed fully through training for incumbent or preservice teache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continuous teacher training.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tudies will make analysis or research based on in-depth data. It is also necessary to give preservice teacher training or provide incumbent teachers with a diversity of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in pursuit of continuous teacher training. Key words: Early childhood teacher, teaching creativit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music teaching efficacy

      •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수업역량의 관계에서 놀이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권다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 교수효능감, 수업역량 간의 관계와 상호 영향을 살펴보고, 교수창의성과 수업역량의 관계에서 놀이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 교수효능감, 수업역량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 교수효능감, 수업역량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 교수효능감이 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수업역량의 관계에서 놀이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 교사 23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백영숙, 김희태(2008)가 Urban(1997)의 창의성 요소 모델과 Cropley(2004)의 교사의 창의적인 교수 검사 문항을 토대로 수정 및 보완한 유아교사 창의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신은수·유영의·박현경(2004)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이재진(2013)이 수정 및 보완한 질문지 문항을 문미숙(2018)이 일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을 측정하기위해서는 김연수(2017)가 개발한 ‘유아교사용 수업역량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회귀분석 절차를 진행하였다. 유의성 검증을 위해서는 Hayes(2013)가 제안한 Bootstrapping 추정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 교수효능감, 수업역량은 비교적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은 5점 척도의 평균을 기준으로 볼 때 평균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은 5점 척도의 평균을 기준으로 볼 때 평균보다 높은 인식수준을 나타내었다.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은 5점 척도의 평균을 기준으로 볼 때 평균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 교수효능감, 수업역량 간의 관계 각각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 중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수업역량의 관계가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 교수효능감의 관계는 유의미한 높은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유아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과 수업역량의 관계도 유의미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 교수효능감이 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수창의성과 놀이 교수효능감은 수업역량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교수창의성이 수업역량에 대해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가졌다. 넷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수업역량의 관계에서 놀이 교수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를 지닌 유의미한 매개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교수창의성과 놀이 교수효능감을 높여주는 것이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compet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ing competenc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EC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competence?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competence of ECE teachers? 3. What is the effect of EC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ir teaching competence? 4. Is there a mediation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ing competence of ECE teacher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by random sampling of 230 ECE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the creativity test tool for ECE teachers tha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Baek and Kim (2008) based on the creativity element model by Urban (1997) and the creative teaching test items by Cropley (2004), were used. To measure the play teaching efficacy of ECE teachers, the questionnaire item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Lee (2013) were partially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Moon (2018) for the measurement tools developed by Shin, Yoo, and Park (2004) were used. To measure the teaching competence of ECE teachers, 'the teaching competence test too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ed by Kim (2017) was used.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1986). To verify the significance, bootstrap proposed by Hayes (2013)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C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competence were found to be relatively high. The EC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was highly perceived based on the average of the 5-point scale. The ECE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was highly perceived based on the average of the 5-point scale. The ECE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was highly perceived based on the average of the 5-point scale. Second,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C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competence. Among them,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ing competency of ECE teachers was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EC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CE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competence was also significantly high. Thir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EC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teaching competence showed that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ly explained teaching competence of ECE teachers. Among them, teaching creativity had the most explanatory power on their teaching competenc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ing competence of ECE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was a significant mediator with partial mediation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ing competence of ECE teachers.

      • 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세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의 일반적인 경향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위의 연구문제를 분석하고자 경기도에 있는 국·공립 유치원과 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들을 대상으로 임의표집하여 2022년 1월 10일부터 2022년 2월 10일까지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지는 NAVER 폼을 사용하였으며, 링크를 연결하여 진행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기관이나 교사에게 사전에 연락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한 교사 420명에게 온라인 설문지가 배부되었으며 324부가 회수되어 77%의 회수율을 보였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 15부를 제외한 30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도구의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고, 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의 일반적인 경향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놀이지원역량 전체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놀이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인 놀이효능신념과 교수창의성의 하위요인인 확산적 사고와 행위, 동기와 동기유발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 및 놀이교수효능감을 통한 놀이지원역량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며, 유치원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향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xamine the impact of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play support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study ques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tudy question 1: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the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Study ques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Study question 3: What is the influence of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play support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analyze the study questions above, the researcher randomly enlisted the teachers of private kindergartens and public kindergartens in Gyeonggi-do and conducted a survey of them from January 10, 2022, to February 10, 2022, online. The online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using the Naver Form, and a link was provided to conduct the surve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tacte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r teachers, and 420 participants who gave their consent were issued with online questionnaire forms. Of these, a total of 324 were recovered, with a recovery rate of 77%. Of these, 15 forms were excluded due to incomplete answers, and a total of 309 questionnaire form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o understand the general background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earcher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tools, Cronbach’s alpha was calculated, as well. Also, in order to examine the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of the teachers,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In additio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a Pe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inally, the researcher conducte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 play support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were relatively high in general.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Third, an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th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play support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that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entirety of play support competency were the conviction in the efficacy of plays, which was a sub-factor of play teaching efficacy, and the expansive thinking, behaviors, motifs, and motivations,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the teaching creativity. This study showed that th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wer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ed play support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confirmed the need for various efforts in order to enhance play support competency through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while providing bas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play support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과 놀이지원역량의 연속다중매개효과

        함선정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과 놀이지원역량의 연속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1월 23일부터 2월 10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총 33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창의성 검사(백영숙, 김희태, 2008), 교사-유아 상호작용 척도(이정숙, 2003), 놀이교수효능감 척도(신은수 외, 2004), 놀이지원역량 척도(김화록, 2021)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v4.1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Hayes(2022)의 PROCESS macro (Model=6)을 사용하여 연속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 간에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과 놀이지원역량의 연속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교수창의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했으며, 교수창의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지원역량의 매개효과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의 질을 높이는 근거가 되어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 구현에 유의미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upport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samples of this study wer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an online questionnair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anuary 23 to February 10, 2023, and a total of 330 respondents were analyzed. This study used the Teaching Creativity Test (Baek & Kim, 2008), Teacher-Child Interaction Scale (Lee, 2003), Play Teaching Efficacy Scale (Shin et al., 2004), and Play Support Competence Scale (Kim,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correlation using SPSS 27.0 v4.1, and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Hayes (2022)'s PROCESS macro (Model=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teacher-child interaction,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upport competence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confirmed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upport competence.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confirm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support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confirmed. This study suggests that this study can provide meaningful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child-centered and play-centered curricula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teacher-child interaction,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upport competence.

      •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교수몰입도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은주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creativity, teaching immersion,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verb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ing creativity of infant teachers and the sub-factor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eaching creativit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i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significance of each factor of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ing immersion of infant teachers, diffusion thinking and behavior, intensive task performance, and motivation and motivation among teaching creativ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addition, the challenge of professor immersion and natural performanc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Third, the effect of teaching immersion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is as follows. It can be seen that specific plans, challenges, and internal motivations, which are sub-factors of infant teachers' teaching commitmen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In term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infant teacher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specific plans and challenges were found to be the most explanatory.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immersion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entire teaching immersion an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infant interaction is the low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higher the teaching creativity and teaching commitment of infant teachers, the greater the impa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teacher's own recognition of when and how they can intervene and participate in the play process with infants.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infant play and activities, which recognizes that infant teachers can properly intervene according to play characteristics, provide various play materials and space composition, have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and expand play.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교수몰입도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써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교수몰입도가 교사-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의 양질을 높이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하며, 영유아 교사의 교사창의성과 교수몰입도의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교수몰입도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상관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교수창의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 한가? 연구문제 3. 교수몰입도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 한가? 본 연구는 K지역과 J지역에 소재한 영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영유아교사 28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영유아교육 프로그램 평정척도(Bredekamp & Apple, 1986; Howes & Smith, 1995)를 수정한 이정숙(2003)의 도구를 강병재와 백영숙(2013)이 영유아 교사에 맞게 수정 보완한 자기 보고식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측정을 위해 Cropley(2004)의 교수창의성 척도를 백영숙과 김희태(2008)가 타당화 작업을 거친 교수창의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영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송주연(2014)이 영유아교육현장에서 영유아교사들이 경험하는 몰입상황을 반영하여서 개발하고 타당화한 영유아교사 교수몰입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교수몰입도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상관 관계는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 한 결과, 교수창의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의 경우 교수창의성 전체와 교사-영유아상호작용 전체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하위요인인 정서적 상호작용과의 관계 역시 유의미한 정적 상관성이 나타났다. 또한, 언어적 상호작용과의 관계, 행동적 상호작용과의 관계는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교사-영유아상호작용 하위요인들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창의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이 교사-영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회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교수몰입도의 각 요인에 대한 유의성을 판단하기 위한 유의도에 의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교수창의성 중 확산적 사고와 행위, 집중하여 과제수행하기, 동기와 동기유발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몰입도의 도전, 자연스러운 수행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창의성이 교사-영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교수창의성의 하위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수창의성의 하위요인의 회귀분석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확산적 사고, 집중하여 과제수행하기, 동기와 동기유발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의 하위요인 3개의 변수가 함께 투입되어 교사-영유아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나타나 회귀 모형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하위요인 확산적 사고와 행위, 집중하여 과제수행하기, 동기와 동기유발 모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설명력을 지닌다. 영유아교사의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 기준으로 볼 때, 교수창의성의 하위요인중에서 확산적 사고와 행위, 집중하여 과제수행하기, 동기와 동기유발이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창의성의 하위요인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 범위는 교수창의성의 특정영역의 지식기반과 기술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교수창의성의 확산적 사고와 행위와 언어적 상호작용의 상관관계는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교수몰입도가 교사-영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영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의 하위요인 4개의 변수가 함께 투입되어 교사-영유아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나타나 회귀 모형에 적합함을 알 수 있으며, 영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 하위요인 구체적 계획, 도전, 내적동기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설명력을 지님을 알 수 있다. 영유아교사의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에서 살펴 볼 때, 구체적 계획과 도전이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몰입도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의 경우 교수몰입도 전체와 교사-영유아상호작용 전체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성이 나타났고, 교수몰입도의 하위요인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에서 교수몰입도의 집중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정서적 상호작용은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교수몰입도의 조절과 행동적 상호작용의 관계는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교수몰입도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영유아교사의 학습과정 뿐만 아니라 매일매일 새로운 상황에 직면해야 하는 교육 과정 전반에 보다 더 체계적인 접근법을 활용해야 함을 다시한번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교수몰입도가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영유아교사가 영유아와의 놀이 과정에서 언제 개입하고 어떻게 개입하는지, 교사가 참여할 수 있는지 영유아교사 자신의 행동에 교사 스스로 인식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은 영유아의 놀이 활동에 정서적으로, 행동적으로, 언어적으로 영유아와 상호작용을 하는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의 놀이와 활동에서 영유아교사가 놀이 특성에 따라 교사의 시기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공간구성과 놀이자료를 제공하며, 교사와 영유아의 긍정적으로 상호작용 하며, 놀이를 확장해 나갈 수 있다고 인식하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면 앞으로 영유아교사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봤을 때 영유아 상호작용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사 교육 및 교수창의성 및 교수몰입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확정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른 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교수창의성의 차이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오현숙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른 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교수창의성의 차이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른 교수효능감 및 교수창의성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아보고 검증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교수몰입, 행복감, 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라 교수효능감은 차이가 있는가? 3.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라 교수창의성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 교사 3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라 교수효능감 및 교수창의성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도구는 교사의 교수몰입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Jackson과 Eklund(2004)가 개발한 ‘몰입상태척도-수정판(Flow State Scale, FSS-2)'을 김미현(2012)이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연구자가 수정하여 어린이집 교사들에게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최요원(2002)이 번안하여 사용한 Hills와 Argyle(2002)의 옥스퍼드 행복 질문지(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OHQ)척도를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교수효능감 측정도구는 Enochs와 Riggs(1990)의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조부경, 서소영(2001)이 번안한 교수효능감 척도를 백영숙, 김희태(2007)가 사용한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Cropley(2004)의 교사의 창의적인 수업 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백영숙과 김희태(2008)가 타당화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광주광역시 소재의 국공립, 민간, 직장(법인), 가정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후 최종적으로 회수한 설문지 373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부호화 과정을 거쳤으며 구체적으로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빈도와 백분율로 파악하였고, 각 측정 도구의 기술통계량(descriptive statistics)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사의 몰입과 행복감에 따라 일반적·개인적 교수효능감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교사의 몰입과 행복감 간에 상호작용이 나타나는지 파악하기 위해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수행하였다. 이 때 독립변수로서 각각 상, 중, 하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교사 몰입 수준 및 행복감을 투입하였고, 사후검정(post hoc)을 통해 집단 간 구체적 차이를 파악하였다. 이상의 분석에서 유의수준은 , , 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교수몰입, 행복감, 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일반적 교수효능감에 비해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다음으로 창의적 교수 또한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인지적 요인에서는 확산적 사고와 행위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였고, 일반적 지식과 사고기반의 경우 특정 영역의 지식기반과 기술의 경우 유사했다. 인성적 요인, 동기와 동기 유발, 개방성과 모호함의 허용의 경우 전반적으로 유사한 평균값을 보였다. 교수 몰입 역시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수 몰입은 전반적으로 유사한 수준의 평균값을 나타냈으며, 마지막으로 교사 행복감의 경우 6점 척도로 구성되어 평균적으로 중간 이상의 행복감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른 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살펴보면, 교사의 몰입과 행복감이 증가할수록 개인적 교수효능감 역시 전반적으로 증가하며, 두 변인 간에는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몰입의 정도가 하위집단일 경우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행복감 수준의 증가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몰입이 높을 경우에는 행복감이 낮다 하더라도 비교적 높은 개인적 교수효능감을 나타내며, 행복감이 중간일 때에는 오히려 상대적으로 낮은 개인적 교수효능감을 보였고, 행복감이 높을 때에는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이는 결론적으로 교수 몰입이 중간 정도의 수준이라 하더라도 행복감 또한 중간일 경우에는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저조한 양상을 보이며, 마찬가지로 행복감이 비록 낮다 하더라도 교수 몰입 이 높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개인적 교수효능감을 보이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셋째,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른 교사의 교수창의성을 살펴보면 몰입과 행복감이 높을수록 교수창의성의 하위영역 중 확산적 사고와 행위 역시 높으며, 몰입과 행복감 사이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몰입과 행복감이 높을수록 교수창의성의 하위영역 중 일반적 지식과 사고기반 역시 높으며, 몰입과 행복감 사이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몰입과 행복감이 높을수록 교수 창의성의 하위영역 중 특정 영역의 지식기반과 기술 역시 높으며, 몰입과 행복감

      •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이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송윤숙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이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이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있는 영유아 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 하였으며 수집된 211부의 설문지를 분석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측정 도구는 Cropley(2004)의 교수창의성 문항을 참고로 수정하고 보완한 백영숙과 김희태(2008)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 측정 도구는 이영주(2021)이 개발한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 자기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측정한 도구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문항 내적 합치도인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교수창의성과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를 요약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중심교육 실천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교수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가장 높게 나타난 변인은 확산적 사고이며,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 하위요인 중 가장 높게 나타난 변인은 놀이의 이해와 영유아 존중이다. 둘째, 교수창의성과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이 높을수록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이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설명력 총 75%로 나타났으며, 교수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개방성과 모호함의 허용이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높은 교수창의성은 영유아의 놀이에 대한 민감성을 강조한 확산적 사고 행위와 놀이에 대한 몰입과 지식을 탐구하는 개방적인 허용이 놀이중심교육과정을 실천하는데 있어 전체적인 역량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되었고, 교사 자신이 역량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교수창의성을 발휘한다면 영유아의 놀이 지원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을 높이기 위해 창의적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효율적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on their competency of play-based curriculum practic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First, what are the levels of teaching creativity and competency of play-based curriculum practice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reativity and competency of play-based curriculum practice? Third, what is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on their competency of play-based curriculum practice? The study targeted teachers employ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alyzing 211 collected surveys. The measurement tool for teaching creativity was adapted from Cropley's (2004)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items, modified by Baek Young-Sook and Kim Hee-Tae (2008). The tool for measuring competency of play-based curriculum practice was based on the self-assessment tool developed by Lee Young-Ju (2020).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calculating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variable exploration.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was assessed through Cronbach's alph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reativity and competency of play-based curriculum practice was examin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nalysis of general trends in teaching creativity and competency of play-based curriculum practice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consistently high tendencies.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ing creativity, divergent thinking exhibited the highest tendency, while among competency of play-based curriculum practice subfactors, understanding play and respecting children were the highest. Secondly,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creativity and competency of play-based curriculum practice, indicating that higher levels of teaching creativity correspond to increased proficiency in competency of play-based curriculum practice. Thirdly, the analysis of the overall impa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on competency of play-based curriculum practice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75%.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ing creativity, openness and tolerance for ambiguity were foun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overall proficiency in competency of play-based curriculum practice. In conclusion, high levels of teaching creativity serve as a crucial factor in enhancing early childhood teachers' overall proficiency in implementing play-based curriculum practice. Teachers who possess a belief in their own abilities and exhibit creative teaching behaviors, emphasizing divergent thinking and open acceptance of play, positively impact children's play. Th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fostering teachers' creative capacities to elevate their competence in supporting and encouraging positive play experiences for young children. Effective strategies for enhancing creative capabilities are essential in elevating teachers' proficiency in supporting play.

      •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2

        ABSTRACT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fulness Lee Jeong mi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wangju Women's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Oh Jae yeon) This study examines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affect children's play,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fulness.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general tre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children playfulness? 2. What are the differences in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children playful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s age, final education level, experience, type of work institution, class age in charge)? 3. What is the correla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play teaching efficacy, teaching creativity, and children’s playfulness? 4. How do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affect children's playfulness? In this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G Metropolitan City were randomly sampl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fulness. After calling and visiting the relevan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o expl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16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arge of classes aged 3, 4, and 5 at 42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who gave their consent.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reviewing all distributed questionnaires, 306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finally analyzed, excluding 10 copies with checking multiple responses to one question, missing responses or insincere responses. The summary of the results analyzed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trends of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children playful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d not differ for teaching creativity, but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y support competence, play teaching efficacy, and children's playfulnes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lay support competen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background variab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age of the teacher and the age of the class in charg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nal education level, experience, and type of work institution. Looking at each variab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aching creativit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age of the teacher and the age of the class in charg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nal education level, experience, and type of work institu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lay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in teacher ag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nal education level, career, type of work institution, and class age in charge.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playfulnes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type of work institutio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teacher's age, final education level, career, and type of work institution. Third, in th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children's playfulness, from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sub-factors,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were found to be related to children's playfulness. Among the causal variables of children's playfulness, play support competence and teaching creativit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and nex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with play teaching efficacy, demonstrating that the higher the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higher the children's playfulness. As a result, the higher the play support competence and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more valuable play experiences and cooperative play are provided to children and a variety of rich play environments are supported to children. It can be seen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and teaching creativity are variables that affect the expression of children's playfulness. Therefore, professional training opportunities are to be provided to strengthen the play support competence and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lans to respect and strengthen the autonomy of classes that can provide appropriate support for various play environments will be needed. Fourth, as for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fulness, among the causal variables of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hat al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affected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pleasure, and sense of humor among children's playfulness. Through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wh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are high,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pleasure, and sense of humor in terms of children’s playful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rectly affect children's playfulness in the children's education field in which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s being implemented. Therefore, efforts to improve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that affect children's playfulness in the field of children's education, and various studies that can be used in the configuration of play environment, continuous improvement and change, and children's education should be activated.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에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중요성을 시사하며,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과 교수창의성, 그리고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유아놀이성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교사연령, 최종학력, 경력, 근무기관유형, 담당학급연령) 에 따른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유아놀이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3.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놀이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 유아놀이성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4.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G광역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정하였다. 해당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전화 및 방문하여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 후, 동의 한 유아교육기관 42개소의 만 3, 4, 5세 유아담임교사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모두 회수 후 검토과정에서 한 문항에 대해 복수응답, 누락된 응답,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 10부를 제외한 306부를 최종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유아놀이성의 일반적 경향은 교수창의성에 관해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놀이지원역량, 놀이교수효능감, 유아의 놀이성에 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놀이지원역량은 교사연령과 담당학급연령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최종학력, 경력, 근무기관유형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변인을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수창의성은 교사연령, 담당학급연령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최종학력, 경력, 근무기관유형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놀이교수효능감은 교사연령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최종학력, 경력, 근무기관유형, 담당학급연령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은 근무기관유형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교사연령, 최종학력, 경력, 근무기관유형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유아의 놀이성 간 상관 관계는 각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은 유아의 놀이성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놀이성의 원인변인 중에서 놀이지원역량과 교수창의성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놀이교수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놀이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과 교수창이성 높을수록 유아들에게 가치있는 놀이경험, 협동적인 놀이를 제공하고 다양하고 풍부한 놀이환경을 지원해 줄 수 있고,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과 교수창의성은 유아의 놀이성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과 교수창의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연수기회 등이 제공되며 다양한 놀이환경에 대한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는 수업의 자율성이 존중되고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의 원인변인 중 독립변수의 영향력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모두 유아의 놀이성 중 신체적·사회적·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높을 때 유아의 놀이성 면에서 신체적 ·사회적·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 중인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랑,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주는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노력과 놀이환경 구성 및 지속적인 개선 및 변화 그리고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 공립유치원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수창의성 및 놀이성과의 관계

        권영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교사의 놀이성과의 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립유치원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수창의성은 어떠한가? 1-1.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은 어떠한가? 1-2.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사의 개인 변인(연령, 경력, 학력)에 따라 교수창의성에 차이가 있는가? 1-3. 공립유치원 교사의 기관 변인(관리자의 유형, 학급 유아의 연령)에 따라 교수창의성에 차이가 있는가? 2.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에 놀이성이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있는 공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374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놀이성과 교수창의성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놀이성은 Shen, Chick과 Zinn(2014)이 개발한 성인의 자기 보고형 놀이행동 측정 도구인 성인 놀이성 척도(Adult Playfulness Trait Scale: APTS)를 이순행, 이희연, 정미라(2018)가 타당화 연구를 거쳐 선정한 한국판 성인놀이성 척도(K-APTS)를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교수창의성은 Cropley(2004)의 교수창의성 척도를 기초로 백영숙과 김희태(2008)가 타당화 작업을 거친 교수창의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변인들의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교수창의성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F검정(one-way ANOVA)을 실시하고, 구체적으로 어떤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cheffé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문항의 내적 신뢰도 Cronbach’s α 를 산출하였고,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교수창의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놀이성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인지적 요인이 인성적 요인보다 평균이 높았다. 둘째,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수창의성은 개인 변인인 교사의 연령과 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력에는 차이가 없었다. 기관 변인인 관리자 유형, 학급 유아의 연령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공립유치원 교사의 놀이성과 교수창의성은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교수창의성과 놀이성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모든 하위요인 간 정적상관이 있었다. 교수창의성의 하위요인별로는 인지적 요인이 인성적 요인보다 놀이성과 더 높은 상관을 보였다. 놀이성 하위요인별로는 재미추구동기가 교수창의성과 가장 높은 정적 관계를 보였고, 비억제성, 즉흥성 순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공립유치원 교사의 놀이성은 교수창의성에 정적 영향력을 미치며, 놀이성 하위요인 중 재미추구동기가 교수창의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