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 :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은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특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교수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시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교수역량, 그릿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특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교사역량, 그릿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특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다.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절차를 수행하였다. 첫째, 연구에 앞서 특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교사역량, 그릿 및 그 관계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후, 각 척도를 관련 연구 경험이 풍부한 특수교육 전공 교수 2인과 15년 이상 경력의 특수교사 3인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 설문지를 구성하여 조사를 시행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교사역량, 그릿의 수준과 관계를 탐색하기 위하여 전국에 소재하고 있는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에게 설문을 의뢰하여 271명에 대한 응답을 받았다. 이후 자료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설문지 1부를 제외하고 최종 27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셋째, 최종 선정된 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척도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수행하였고, 각 변인의 수준을 탐색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one-way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릿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매개회귀분석 실행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교사역량, 그릿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특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은 동료의 지지 수준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학부모의 지지, 교장의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의 교사역량 하위요인은 교사의 기본자질 및 태도의 수준이 가장 높고, 교수학습역량, 학급운영 및 교육지원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사의 그릿 하위요인은 근성의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회복탄력성과 진취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역량, 그릿 간의 관계를 탐색한 결과 각 변인 간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그릿에 영향을 미치고, 그릿은 교사역량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는 교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학부모의 지지와 그릿의 하위요인인 진취성이 교사역량의 모든 하위요인의 수준을 높여주며 의미 있는 결과를 보였다. 셋째, 특수교사의 그릿은 특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역량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로 인한 총 효과가 매우 높아짐이 확인되었다. 즉, 그릿이 특수교사의 교사역량을 향상하는 데 있어 직접 그리고 간접적으로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특수교사의 그릿 향상에 있어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함을 실제적인 근거로 제시하며 본 연구에 의의를 더하였다. 본 연구는 특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교사역량, 그릿의 관계 검증을 통하여 그릿이 특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역량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효과를 주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특수교육 분야에서 미진한 연구인 그릿과 관련한 연구가 확장되어 수행되어야 할 당위성과 타당성을 입증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특수교사의 교사역량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 매개로 확인된 그릿의 향상에 대한 여러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앞으로 특수교육의 그릿과 관련된 연구에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특수교육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초등교사의 직무역량 차이 인식 및 개인의 직무성과 분석 연구

        임정준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social demand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expanding, this study aims to discover what kind of influences the job competence required to execute various jobs have on the job performance of the teachers. Consequently, the research has studied the importance of job competence and the level of possession of them in the view of the teachers and has seen whether or no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possession of job competence depending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lso, the study has attempted to find out about what kind of influences d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have on the job Performance as well as the job competence that affect the job performance of teach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udy through positive method, a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Gyeonggi-do currently. Total of 31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295 copies were collected to show 95% rate of collection. Among the 295 collected copies, excluding 4 copies which were insincerely answered, 291 copies (valid rate of collection 93.8%) were selected as the final valid sample to be used. The collected data was used through SPSS 12.0 for Windows. In order to find out the general information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basic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ossessed job competence and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job competence, actual differences of competence, and teachers’ characteristics, correspondence t analysis, independent t test, cross tabulation, and one-way design analysis of variance. In addition, the Scheffe’s method was used for back testing. To find out about the influence of teachers’ competence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performance of the teacher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knowledged all job competence important. And the level of possession of competence was average. They particularly considered the <attitude> competence group including the self-development competence to improve professionalism and perspective on teaching most importantly. And actually, they answered they possessed the <attitude> competence group the most. In addition, they thought the <learning assessment> competence group which includes the provision of feedback to evaluations, use of evaluation results, and understanding of evaluation and measurement theories was less crucial than other competence groups and presented the lowest level of possession in reality as well. Second,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gender did not have much effect on the level of possession of competence. However, the teaching experience presen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session of competence of teachers. Mostly, the more experienced as a teacher had the higher level of competence. The academic achievem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lesson planning and preparation> competence group, <teaching> competence group, and <learning assessment> competence group. The college graduates (2 years) were shown to have the largest competence followed by above master’s degree and bachelors’ degree.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between the college graduates and bachelor’s degree as well as college graduates and above master’s degre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bachelor’s degree and above master’s degree. Third, the gender among the teachers’ characteristics presented a significant variance in internal and external performance. The female teachers recorded higher performance than male teachers in internal performance. In terms of external performance, the male teachers had more experience of teaching students’ receiving awards than female students. Also, the male teachers had higher number of receipts of awards by their students in research contests than female teachers. It would be safe to say that female teachers have higher performance internally while the male teachers have higher performance externally. In terms of experience of teaching, the teachers with mor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an those with less than 5 years had higher internal performance. Also, the teachers with much experience had the most experience of receiving awards in research contests and the highest number of receiving awards. Less the teaching experience led to less experience of receiving awards. In addition, more experienced teachers presented higher percentage of receiving the grade A in terms of bonus. The internal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presen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llege graduates and bachelor’s degree in terms of job execution. In the external performance,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istence of receiving awards in the research contest and bonus. The above master’s degree presented the highest Performance in the experience of receiving awards in research contests. And the above master’s and college graduates affected the bonus. The above master’s had the highest Performance in number of receiving awards in research contests, number of awards of general rewards, and number of receiving awards of the students. The college graduates and above master’s had higher average bonus than the bachelor’s. Fourth, the teachers with higher level of possession of competence had higher internal and external performance. Especially the <class and school management support> competence group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rnal accomplishment of the teachers. The <daily life guidance> competence group only had an effect on the level of value contribution, <lesson planning and preparation> competence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subjects, and <lesson execution> on the job execution. In other words, teachers with higher level of class and school management support competence group had higher internal performance. It was able to discover that different competence influenced the internal performance. Also, the female teachers had higher performance in the level of value contribution and degree of satisfaction of subjects in terms of internal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bonus which is an external accomplishment was higher in those with mor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is research has understoo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ossession of compete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performance to confirm tha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pecific competence had effects on the competence.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in providing ideas for future education and training for teachers.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에 대한 사회적 요구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다양한 업무 수행에 있어 필요한 직무역량이 교사들의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교사들이 생각하는 직무역량의 중요도와 보유 수준에 대해 살펴보고 개인적 특성 차이에 따라 직무역량 보유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교사의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교사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역량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현재 경기도에 재직하고 있는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총 31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 295부가 회수되어 95%의 회수율을 보였다. 회수된 295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4부를 제외한 291부(유효회수율 93.8%)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2.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포함한 일반적인 사항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등 기초통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교사 역량의 중요도와 실제 역량의 차이, 교사 특성에 따른 보유 역량의 차이와 교사 성과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응 t 분석, 독립 t-검증, 교차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교사 역량이 교사의 내적, 외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모든 직무역량군에 대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보유하고 있는 수준은 보통정도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성함양을 위한 자기개발능력과 교직관을 포함한 <태도> 역량군에 대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실제로도 <태도> 역량군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평가에 대한 피드백 제공과 평가 결과의 활용, 평가 및 측정 이론의 이해를 포함하는 <학습평가> 역량군이 다른 역량군에 비해 중요도가 낮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실제 보유 수준도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 개인 특성 중 성별은 역량 보유 수준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교직 경력은 교사의 역량 보유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대체로 교직 경력이 많은 순서에 따라 더 많은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수업계획 및 준비> 역량군과 <수업실시> 역량군, <학습평가> 역량군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전문학사(2년제)가 가장 많은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고 나타났고, 그 다음이 석사이상, 학사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문학사와 학사사이, 전문학사와 석사이상 사이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학사와 석사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찾을 수 없었다. 셋째, 교사의 특성 중 성별은 내적, 외적성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내적 성과에서 모두 높은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적성과에서는 지도학생수상에 있어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더 많이 지도학생 수상경험이 있었다. 또한 연구대회와 지도학생수상 횟수도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수상 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성과는 여교사들이 더 많은 성과를 내고, 외적으로는 남교사들이 더 많은 성과를 낸다고 볼 수 있다. 교직경력은 경력이 많을수록 5년 이하의 경력교사에 비해 내적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외적 성과에서는 경력이 많은 교사가 연구대회 수상 경험과 수상 횟수가 가장 많았으며 경력이 적을수록 수상 경험과 수상 횟수가 적었다. 또한 성과급도 경력이 많을수록 A등급을 받는 비율이 더 높았다. 학력에 따른 내적 성과는 직무수행성에서만 전문학사와 학사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외적 성과에 있어서는 연구대회 수상경험 유무와 성과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대회 수상 경험에 있어서는 석사이상 학력이 가장 높은 성과를 나타났고, 성과급에 있어서는 석사이상 학력과 전문학사 학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상 횟수는 연구대회, 일반포상 수상 횟수, 지도학생 수상 횟수에서는 모두 석사이상의 학력이 가장 많은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과급 평균에서는 전문학사와 석사이상 학력이 학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보유 역량이 높을수록 내적, 외적 성과가 높았다. 특히 <학급학교경영지원> 역량군은 교사의 내적 성과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지도> 역량군은 가치기여도에만, <수업계획 및 준비>역량은 대상만족도에만, <수업실시> 역량군은 직무수행성에만 영향을 미쳤다. 즉 학급학교경영지원 역량군을 많이 보유한 교사가 내적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기 다른 역량이 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여교사가 남교사에 비해 내적 성과 중 가치기여도와 대상만족도에서 높은 성과를 나타냈으며, 외적 성과인 성과급은 경력이 높을수록 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개별 특성에 따른 역량보유 수준의 차이와 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개별 특성 및 특정 역량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교사 교육 및 교사 연수에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 초등교사들의 소프트웨어교육 관련 역량 교육요구도 분석

        박만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현장 초등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소프트웨어 교육에 필요한 초등교사들의 역량을 도출하고 교육요구도를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육현장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선행 연구와 문헌 분석을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프트웨어 운영지침과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의 지향점과 이에 필요한 교사의 역량을 탐색하였다. 이후 교사의 기본역량 및 스마트교육 관련 역량에 관련된 연구들을 탐색하고 지도교수와의 협의를 거쳐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해 필요한 초등교사의 역량을 도출하였고, 이를 역량군, 역량, 세부역량으로 나누어 조사도구를 준비하였다. 1차 조사도구로 인천, 경기지역 초등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고 소프트웨어 교육 전문가 및 실천경험이 많은 현장교사 20명을 대상으로 타당도 조사를 실시하여 부적합한 질문들을 제외한 최종 조사도구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조사도구를 종이 설문지와 구글 드라이브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으로 제작하여 300명을 대상으로 배부하였다. 회수 된 설문지를 기술통계분석, 일반변인에 따른 집단별 평균분석을 하고 t검정, 일원분산분석, 보유도-중요도 차이 분석, Borich 요구도 분석을 통해 결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변인에 따른 보유도 조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소프트웨어교육 연수경험 유무와 소프트웨어교육 실천경험의 유무였다. 연수경험이 있거나 실천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보유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체 교사의 소프트웨어교육 관련 역량 교육요구도 조사 결과 소프트웨어교육 수업설계 및 개발, 대외 협력관계, 내용전문성, 평가 및 성찰, 정보소양, 컴퓨팅 사고소양의 순으로 높은 요구도를 보였다. 셋째, 기본소양영역과 실천역량영역 중 요구도가 더 높은 영역군은 실천역량영역이었고 그 중에서도 수업의 실제에 관련된 역량들이었다. 두 영역군의 중요도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기본소양영역의 보유도가 실천역량영역 보다 높아 요구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소프트웨어교육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이에 관련된 초등교사 역량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다양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홍보가 필요하다. 기존에 운영 중인 프로그램들에 요구도를 반영한 컨텐츠를 확대하고 교사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을 파악하여 제시하야 하며 연수 기회를 확대하여 교육기회의 접근성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교사 개개인의 역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되고 이를 이용한 역량의 진단과 분석을 통해 적합한 지원계획의 수립으로 이어져야 한다.

      • 추상회화의 표현 활동을 통한 교사역량 함양에 관한 질적 연구

        김진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예술적 체험을 통한 미래 교사들의 교사역량 함양에 관한 질적 연구이다. 교사의 역량은 교육과정에서의 실제적인 경험이 효과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전제를 두고 출발한다. 본 연구자는 전통적인 미술 표현의 방식을 벗어난 자유롭고 생성적인 표현 과정의 자아극복을 통한 자기형성이, 미래교사의 자질을 향상하고 스스로 창조적인 삶을 더욱 더 고양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미래의 창의·융합형 인간의 육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핵심인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고 이를 뒷받침 할 교사의 교육이 요구된다. 아직도 미술교육은 전통적이고 획일적인 표현 형식의 틀에 중심을 두고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미술교육 현장의 변화가 절실히 필요하다. 미술교육은 다양하고 새로운 표현의 접근과 실험을 통한 고유하고 독특한 체험 활동이 학생을 더욱 더 주체적이고 창의적인 삶으로 이끌어 갈 수 있다. 니체에 의하면 인간은 끊임없이 파괴하고 생성하는 과정에서 창조적 삶의 자기극복을 통해 초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니체사상과 IPA 방법의 해석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추상회화 표현의 체험을 통해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교사 역량이 어떻게 향상되고 변화될 수 있는 지 그 성장 과정을 탐색하였다. 교사역량에 관한 해석학적 탐구를 하기 전에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사고와 초인사상을 기반으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해석학적 관점의 이해를 통해 분석결과의 효과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예술체험을 통한 교사역량 함양에 관한 선행연구가 충분하지 못한 이유로, 연구자는 5년 동안 미래 교사들을 대상으로 추상회화 표현 수업의 폭넓은 경험을 쌓아왔다. 본 연구자는 교육대학교에서 미술실기와 미술이론 수업을 십년 이상 지도한 교사교육 경력을 갖고 있다. 자료 분석은 수집한 텍스트들을 여러 번 반복해서 연구 주제 및 방향성의 의미를 찾아내어, 연구 자료들을 다시 읽어보고 점검하며 유사한 내용들로 묶어 큰 범위를 정하고 같은 맥락의 의미구조 단위를 설정하였다. 각 의미구조 단위와 관련된 내용들을 가장 잘 표현해 줄 수 있는 함축된 의미의 대표 주제어를 정해 의미 단위의 내용을 통일성 있게 구성하였다. 위와 같은 질적 연구의 탐구를 통해 연구자가 설정한 세 가지 문제를 다음과 같이 해결하였다. 첫째, 미래 초등 교사들은 추상회화의 주체적이고 자유로운 표현행위의 체험을 통해 예술적 표현을 확장하면서 자신의 또 다른 가치를 발견하고 자기를 계발할 수 있는가? 미래교육은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을 통한 창의적 인간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곧 니체의 철학사상과 딜타이의 해석학적 입장에서 다양성의 관점과 다원적인 해석을 통한 창조적인 삶을 실천하는 인간과 같은 맥락이다. 본 연구에 활용된 추상회화 표현은 기존의 한정된 표현 형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표현 시도와 실험을 통해 스스로 새로운 능력을 발견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나로 거듭나는 과정에서 자신의 새로운 가치를 찾아갈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추상회화 표현의 체험은 니체가 말한 초인적 삶과 어떠한 관점에서 관련되는가? 추상회화 표현은 자유로운 상태에서 주체적인 표현이 주가 되고 다양한 시도와 실험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극복하며 작품을 완성해 가는 과정이다. 참여자들은 예술적 표현을 확장하며 전통적인 표현형식을 벗어나 새로운 표현능력을 계발할 수 있었다. 니체가 주장한 ‘낡은 서판을 갈아 끼우고 새판으로 갈아 끼우자’는 말과 같이, 인간은 아이들의 놀이처럼 부수고 다시 만들며 끊임없이 파괴하고 생성할 수 있는 디오니소스적 사고와 초인의 창조적 삶의 자세와 관련된다. 셋째, 추상회화 표현의 체험은 미래 초등 교사들의 교사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가? 선행연구를 통해 설정한 교사 핵심역량과 실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와의 관련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체적 표현을 통한 자기 이해와 자기발견은 ‘교사 정체성·효능감 역량’과 관련된다. 둘째, 새로운 표현의 시도와 도전 및 다양한 방법을 총동원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은 ‘창의적 교육 역량‘과 관련된다. 셋째, 폭넓은 체험을 통한 예술표현의 확장 및 고차적인 미적감성과 자기능력 계발은 ‘전문성 및 자기계발 역량’과 관련된다. 넷째, 다양한 표현과 작품 감상 과정에서의 유연성 향상을 통한 타인에 대한 이해는 ‘유연적 사고 역량’과 관련된다. 마지막으로 모둠 활동을 통한 ‘협업·협력과 조화·존중’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며 하나의 이미지 작품을 만드는 과정은 ‘교육 공동체 역량’과 관련되어 있음을 도출하였다. 그럼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연구는 주체적이고 자유로운 추상회화 표현의 체험이 미래교사 핵심역량 함양에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자는 예술적 체험이란 단순히 심미적 감성의 향상이나 미적인 재현의 작품 제작만이 아니라, 끊임없는 파괴와 생성의 자기극복을 통해 주체적이고 창조적인 삶을 영위하는데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교육과정의 예술적 체험이 교사역량 함양에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고 어떻게 변화해야하는지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미래 교사들이 그들의 교육현장에서 창의·융합형 인재를 육성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유아교사역량에 관한 연구

        김현주 중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지가 유아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대전과 충남북지역에서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근무 유아교사 288명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15일부터 3월 28일까지 설문지를 배포하고 직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배경특성변인에 따른 지속가능발전교육 인식, 실천 의지, 교사역량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평균의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지속가능발전교육 인식과 교사역량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단순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유아교사역량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운영 실태와 요구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실천 의지는 어떠한가? 넷째, 유아교사역량 수준은 어떠한가? 다섯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유아교사역량 발달의 관계는 어떠한가? 여섯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효과는 어떠한가? 이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이 지속가능발전 용어를 처음 접하게 된 경로는 동료나 지인을 통해서이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방법은 필요한 경우 수시로 실시하고 있었다. 교육내용과 주제 선정방법은 교사의 자율적인 판단에 따라 수행하고 있었으며 환경지속성 영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하기에 적합한 유아들의 연령은 만4세 이상, 누리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하기 좋은 주제는 동식물과 자연을, 교수학습방법으로서는 실험 실습 등 체험활동을 가장 많이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수준은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지속가능발전교육 인식 수준도 높은 수준을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실천의지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유아교사들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유아들에게 필요하다는 것에 대해 공감하고 있었으며,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등 실천의지가 강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교사의 교사역량 인식 수준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들보다는 유치원 교사들일수록, 경력수준이 높을수록, 연령이 상대적으로 적거나 많을수록,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의 교사역량 수준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인식과 교사역량은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교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들에 대한 상대적인 설명력에서는 사회지속가능성 관련 지속가능발전교육 인식, 환경지속성 관련 지속가능발전교육 인식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현재 유아교사들은 동료나 지인 또는 교원연수나 양성과정을 통해서 지속가능발전이라는 용어를 처음 접하였지만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수준은 매우 높다.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시할 때 교사들의 의견을 최대한 존중해서 교육내용과 주제를 선정하고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들을 위한 교사교육과 교육자료 제공,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 제공, 지역사회와의 공유와 협력관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환경지속성, 사회지속성, 경제지속성과 관련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이해 역량, 개인적 자질 역량, 교육과정 실행 역량, 학급 운영 역량, 교육계획 수립 역량이 높아진다. 셋째, 유아교사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실천의지는 강하다. 유아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유아에게 필요하다는 것에 대해 공감하고 있으며,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등 실천의지가 강하다. 넷째, 유아교사들의 교사역량에 대한 인식수준은 높다. 유아 학습 지원 등에 관련된 교사역량을 충분히 갖춘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다섯째, 유아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아질수록 교사역량 수준이 높아진다. 교사역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회지속성 관련 지속가능발전교육 인식이며 추가로 환경지속성 관련 지속가능발전교육 인식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유아교사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실천 의지가 강화되었고 교사역량이 증진되었다.

      • 교직과목 영역과 수업에서의 교사역량 반영 수준

        채다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기관의 교직과목 영역과 교직과목 수업에서의 교사역량 반영 정도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교직과목 영역에서의 교사역량 함양 수준을 파악하고 교직과목 수업의 전반적인 교사역량 반영 정도를 파악하여 교사양성과정의 교직과정 운영에 대한 개선점을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교사역량의 구성 요소에 대해 분석하여 6가지 영역의 20가지 교사역량을 도출하였다. 교사역량은 수업설계, 수업실행, 평가 및 피드백, 생활지도, 학급운영 및 행정, 윤리의식 및 태도 영역으로 나누어 수업설계 역량에는 교육과정 이해, 수업지도안 작성, 교수학습 자료개발, ICT 활용 역량으로 구성하였다. 수업실행 역량에는 학습동기 및 흥미 유발, 의사소통, 다양한 사례 제시, 학생과의 상호작용 역량으로 구성하였고, 평가 및 피드백 역량에는 평가계획과 평가기법 및 평가도구 활용, 피드백 활용 역량이 해당된다. 생활지도 역량에는 학습자 이해, 생활·인성지도, 진로지도 역량을 하위역량으로 두었으며, 학급운영 및 행정 역량은 학생관리, 학급환경 조성 및 관리, 행정업무 처리 역량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윤리의식 및 태도 역량에는 교사 사명감, 윤리적 행동, 자기계발 역량으로 설정하였다. 교직이론 및 교직소양과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가 가장 잘 길러지고 있다고 응답한 역량은 윤리의식 및 태도 역량과 수업실행 역량이었으며, 다른 역량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개발되고 있다고 인식한 하위역량은 교육과정 이해, 행정업무처리, 다양한 평가기법과 평가도구 활용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이론 및 교직소양 영역에서의 교육과정 이해 역량은 예비교사가 학습할 가치가 높다고 인식하는 영역임(이동엽·김사훈, 2015)에도 불구하고 함양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개발이 필요한 역량이며, 행정업무처리 역량 또한 실제 관련 업무나 문서를 처리하는 실천적 행위의 역량임에도 교사 업무 전반에 대한 부분을 이론을 통해 배우게 됨으로써 다소 발전시키기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으므로 교사의 직무수행에 있어 실질적인 도움(최성욱, 2012)을 줄 수 있는 수업이 필요해 보인다. 교육실습 영역에서의 교육과정 이해와 행정업무처리 역량 함양 수준이 낮은 것은 예비교사가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해볼 수 있는 경험과 기회(류보라·백혜선, 2015)가 적기 때문이다. 수업 시연의 기회가 자주 제공되어 예비교사가 교육과정을 재구성해볼 수 있는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수업 참관과 수업 시연의 최소 횟수나 수업 시연의 방식 등에 대해 구체적인 틀이 마련되는 것이 필요해 보이며(류보라·백혜선, 2015), 예비교사들이 실무적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실습을 내실있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현, 2019). 교직과목 수업에 대한 교사역량 반영 정도에 대한 인식은 강의계획서, 수업, 평가, 교육환경 측면에 따라 알아보고자 했으며, 예비교사는 평가 측면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역량이 반영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세부적인 요인으로 살펴보면, 교육환경 측면 중 시설 및 설비 요인이 역량 증진을 위해 가장 낮은 수준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두 번째로 낮은 인식 수준을 보인 요인은 평가 측면 중 교직수업에서 실시한 평가를 통해 자신의 역량함양 수준을 파악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수업에서 실시한 평가에 대한 피드백 제공 요인도 다소 낮은 인식 수준을 보였다. 교직과목의 교육환경과 평가 측면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사역량 개발을 위해 필요한 시설 및 설비에 대한 예비교사의 구체적인 요구 파악과 교직수업에서 교사역량 함양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평가가 실행되어 자신의 역량 수준을 인지할 수 있도록 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해주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 초등학교 교사의 역량 보유도와 발휘도 차이 연구

        최은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역량 보유도와 발휘도 실태를 연구, 그 차이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역량 보유도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역량 발휘도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역량 보유도와 발휘도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사 역량에 관한 역량군, 역량, 세부역량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교사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 연구된 교사역량 모형을 탐색, 지도교수의 조언을 거쳐 본 연구에 적합한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후 파일럿 조사를 거쳐 추가적 역량을 첨가하여 제작된 설문지를 전라북도 초등학교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배부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설문지는 기술통계분석, 배경변인에 따른 집단별 평균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역량 보유도는 역량군의 경우 교직생활역량군의 보유도가 높고, 학교조직역량군의 보유도가 낮으며, 교과지도, 평가, 업무평가, 대인관계, 자기개발에서 역량 보유도가 낮다. 또한 교육경력이 짧을수록, 부장교사가 아닐수록 역량 보유도가 낮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역량 발휘도는 교육경력이 길수록, 부장교사일수록 발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휘도가 높은 역량은 학급경영, 생활지도, 업무수행, 문제해결능력, 상호협력, 교사사명감, 자기주도성이고, 반면 평가, 업무평가, 자기개발은 낮은 발휘도를 보였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역량 보유도와 발휘도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차이가 큰 역량군별 순서는 자기관리역량군, 학생지도역량군, 학교조직역량군, 교직생활역량군이다.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세부역량은 성별에 따라 9개, 학력별로는 3개, 교육경력별로는 2개, 학교규모별로는 8개, 학교소재지별 2개, 자기연찬별로는 4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역량 보유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저경력 교사나 비보직교사를 대상으로 위에서 분석된 보유도가 낮은 역량인 교과지도, 평가, 업무평가, 대인관계, 자기개발 등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역량 발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발휘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 업무평가, 자기개발이 교직사회에서 발휘되기 어려운 환경적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 셋째, 보유도와 발휘도간 차이에서 성별이나 학교규모에 영향을 받는 세부역량이 많았다. 남교사들이 교직사회에서 역량을 발휘할 때 겪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안, 또는 소규모학교의 교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 등을 고려해야 하고 정확한 요인분석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2014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발명교사역량 측정도구 타당화 및 발명교사역량, 평생학습 지속성, 학교조직문화가 창의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양영모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창의성과 지식재산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오늘날 미래인재에게 필요한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발명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발명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발명교육을 지도하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강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명교사가 발명과 관련한 창의적 교수효능감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발명교육을 수행함에 있어 어떤 특성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내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발명교사가 창의적 교수효능감을 높이게 된다면 발명교사로서의 업무 수행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점에서 발명교사의 창의적 교수효능감에 어떤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발명교사의 창의적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도출한 후, 1단계로 발명교사의 발명역량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였다. 그리고 2단계로 선행연구에 의해 창의적 교수효능감에의 영향변인으로 도출된 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발명교사역량 검사와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평생학습 지속성, 학교조직문화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발명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발명교사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17개 시·도 발명교사 452명의 응답을 분석하였으며, 변인들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17개 시·도 발명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및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발명교사역량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발명교사의 창의적 교수효능감에 발명교사역량, 평생학습 지속성, 학교조직문화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로, 발명교사역량은 발명교육과 관련하여 제반 사항을 기획, 관리, 수행하는 교사에게 요구되는 기술 또는 능력이라고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발명교사역량모델에 포함된 하위변인은 발명교육과 관련한 전문적 지식, 수행, 사고, 태도를 포함하고 있는 발명교육 전문가적 역량, 교수·학습 설계, 실행, 평가 및 성찰을 역량 요소로 발명교육 교수학적 역량, 발명교육 프로그램 구안, 실행, 평가 및 성찰을 포함하고 있는 발명교육 프로그램운영역량의 세 가지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개념과 발명교사역량모델을 기초로 하여 발명교사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38개 문항의 신뢰롭고 타당한 자기보고식 측정도구가 개발되었다. 둘째로, 발명교사역량, 평생학습 지속성, 학교조직문화는 발명교사의 창의적 교수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창의적 교수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창의적 교수수행효능감, 창의적 교수전략효능감, 창의적 사고효능감 모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발명교사역량 측정도구는 발명교육 전문가적 역량, 발명교육 교수학적 역량, 발명교육 프로그램운영역량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발명교사들이 자신의 발명교사로서의 역량을 스스로 점검하고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발명교사의 역량 함양을 위한 연수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에 참고로 한다면 유용할 것이다. 둘째, 발명교사들의 창의적인 교수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스로가 발명교사로서의 역량을 함양하고 평생학습 지속성과 그 하위 변인인 자기관리전략, 학습지속의지, 성취만족을 높이기 위한 교사 자신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지원하기 위한 학교조직문화의 개선과 교육관련 정부기관의 정책적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cultivate the competencies needed for future talents, which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and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for inventions is needed. In order to make such invention education systematic and continuous at the school site, the role of the teacher is of the utmost impor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e teachers in the invention of inventive education with creative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from this point of view, validated the first step by developing a measurement tool which can reliably and properly measure the inventive capability of invention teachers. In order to measure the variables derived from the previous study, the competency test of invention teachers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e analysis of the invention teachers using the lifelong learning persistence and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developed in the previous research has been analyzed.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ponses of 452 Invention Teachers from 17 major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In order to confirm the influence of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e surveyed the data of 350 individuals from 17 cities and provin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2.0 programs. In addi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collected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vention Teacher Competency Measurement Tool.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vention teachers’ ability, lifelong learning persistency,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school on the creative teaching efficacy of Invention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vention Teacher Competency is a skill requiring teachers who plan, manage, and carry out various matters related to invention education. In addition, the sub-variables of each competency are as follows: the professional competency of invention education (professional knowledge, performance, thinking, and attitude); invention-teaching professor competency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execution, evaluation, and reflection). Based on this concept and the Invention Teacher Competency Model, a reliable and valid self - report measurement tool of 38 items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inventor 's competency. Second, it is confirmed that the Invention Teacher Capacity, Lifelong Learning Persistence, and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nvention teacher's creative teaching efficacy. Also, it has direct effects on creativity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hinking efficacy, which are a sub-area of ​​creative teaching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using the Invention Teacher Competency Measurement Tool, it would be possible to measure professionally competence of Invention Education, Invention Education Instructional Ability, an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bility. Therefore, Invention Teachers using it as a tool for self -examination may be possible. Also, it would be useful to refer to the case of developing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to cultivate the capability of the inventor. Second, in order to enhance the creative teaching efficacy of the invention teacher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ir ability as an invention teacher, and for them to make their own efforts to increase lifelong learning continuity and its subordinate self-management strategy,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and achieve satisfaction. Lastly, to implement these proposals, the improvement of school organization culture and government policy efforts related to education should be enacted.

      •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모델 개발

        구형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o develop a core competency model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er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teacher competencies and a Delphi method. The core competency model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as also developed by integrating the needs assessment of curren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to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Delphi metho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imperative to consider in the study results: firstly, what are the components of core competencies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development of the core competency model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as establish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 Delphi approach. As a result, the core competency model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nsists of 15 core competencies which are divided into four competency groups. First, the ‘understanding of student competency group’ includes the competency of ‘understanding of an individual student’, ‘understanding of student’s level’, ‘counseling of school life’, and ‘counseling of career’. Second, the ‘PE class competency group’ includes the competency of ‘planning for PE class’, ‘implementation of PE class’, ‘assessment in PE class’, and ‘handling in-class situation’. Thir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in P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performing physical movement’, ‘analysis of physical movement’, ‘enjoyment of physical culture’, and ‘self-development’. Fourth, the ‘administration of PE competency group’ consisted of ‘processing administration of PE’, ‘managing groups of students’, and ‘understanding of PE policy’. Secondly, what is the perceived level of attainment and needs of core competencies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researcher surveyed a total of 168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regions in Gyeonggi province by creating questionnaires to determine their perceived level of attainment and the importance of core competencies. With the data collected, researchers were able to analyze the perceived level of attainment and needs using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coordinate plane from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 of the perceived level of attainment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mpetencies with a higher perceived level of attainment are ‘understanding of an individual student’, ‘understanding of student’s level’, and ‘handling in-class situations’. On the other hand, the competencies with a lower perceived level of attainment are ‘understanding of PE policy’, ‘counseling of career’, ‘assessment in PE class’, and ‘planning for PE class’. Next, the result of the needs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riority competencies include ‘planning for PE class’, ‘implementation of PE class’, and ‘assessment in PE clas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points are discussed: firstly, the practical usage of the core competency model for the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level was examined. The researcher found that domestic research connecting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competencies is relatively lacking compared to international research. Thus, the researcher devised the ways in which teacher competencies can be utilized in teacher education on two levels: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level, this research suggested reforming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s to reflect teacher competencies for future teachers and establishing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and maintain the qualities of teacher competencies for current teachers. Secondly, the research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understanding of PE policy’, which showed the lowest perceived level of attainment, and ‘assessment in PE class’, which showed the highest need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ore competencies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nsidered ‘understanding of PE policy’ as the lowest perceived level of attainment and the least important. The researcher speculated that the cause for this result was frequent changes in physical education policies without notable characteristics delineating different policies. Thus,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each physical education policy needs clearly distinct and unique features. Moreove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assessment in PE class’ as the highest needs. The researcher believed this was due to the lack of courses on physical education assessment in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college and the lack of exam subjects on physical education assessment i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Thus, this research suggested offering courses on physical education assessments in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college and adding an exam subject on physical education assessment i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This research ultimately attempts to develop students’ competencies by develop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mpetencies. Developing the core competencies model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s considered crucial as it demonstrates the qualities needed from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본 연구는 중등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교사역량 관련 문헌 분석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체육교사로서 갖추어야 하는 교사역량을 도출하였으며, 교사역량에 대한 현직 체육교사의 요구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모델 개발은 국내외 교사역량 관련 문헌 분석과 델파이 조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델파이 조사는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교수, 중등학교 체육교사, 교육유관기관 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델파이 패널 10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모델은 4개의 역량군과 15개의 핵심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생이해 역량군’에는 학생개인이해 역량, 학생수준이해 역량, 학교생활상담 역량, 진로진학상담 역량 등이 포함되었으며, ‘체육수업 역량군’에는 체육수업계획 역량, 체육수업실행 역량, 체육수업평가 역량, 수업상황대처 역량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체육전문성 개발 역량군’에는 움직임수행 역량, 움직임분석 역량, 신체문화향유 역량, 자기개발 역량 등이 포함되었으며, ‘체육행정 역량군’에는 체육업무처리 역량, 학생조직운영 역량, 체육정책이해 역량 등이 포함되었다. 둘째,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에 대한 보유도 및 요구도는 어떠한가?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에 대한 보유도 및 요구도 분석을 위해 서울·경기 지역에서 근무하는 중등체육교사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보유도 및 요구도 분석은 설문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Borich의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의 좌표평면을 활용하였다. 먼저, 보유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보유도가 높은 역량은 ‘학생개인이해 역량’, ‘학생수준이해 역량’, ‘수업상황대처 역량’ 등으로 나타났으며, 보유도가 낮은 역량은 ‘체육정책이해 역량’, ‘진로진학상담 역량’, ‘체육수업평가 역량’, ‘체육수업계획 역량’ 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요구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요구도가 가장 높은 최우선순위 역량은 ‘체육수업계획 역량’, ‘체육수업실행 역량’, ‘체육수업평가 역량’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모델의 활용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국내에서 교사교육과 교사역량을 연관지어 살펴보는 노력이 국외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보았다. 이에 국외의 사례를 참고하여 교사역량을 교사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예비교사 단계와 현직교사 단계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즉, 예비교사 단계에서는 교사역량과 연계하여 예비교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현직교사 단계에서는 교사역량의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보유도가 가장 낮게 나타난 ‘체육정책이해 역량’과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체육수업평가 역량’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중등체육교사들은 ‘체육정책이해 역량’에 대한 보유도를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중요도 역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자는 이에 대한 원인을 체육정책들 사이에 차이가 뚜렷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체육정책이 바뀌는 주기가 짧기 때문이라고 보았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체육정책마다 차별성과 정체성을 명확하게 부여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중등체육교사들은 ‘체육수업평가 역량’에 대한 요구도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자는 이에 대한 원인을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체육수업평가 관련 과목 부족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체육수업평가 관련 시험 과목 부족이라고 보았으며, 이에 대한 방안으로 사범대학 교육과정에 체육수업평가 관련 과목 개설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체육수업평가 관련 시험 과목 추가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체육교사의 역량을 강화하여 학생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함이며,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모델 개발은 체육교사에게 필요한 자질이 무엇인지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보육교사의 그릿, 원장의 리더십과 교사역량의 관계

        김선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보육교사 그릿, 원장의 리더십과 교사역량의 관계 김 선 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박 용 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그릿, 원장의 리더십과 교사역량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의 영유아 교사 229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 의 그릿, 원장의 리더십과 교사역량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역량 전체에 대해서는 원장의 리더십 중 권위형은 정적으로 방임형은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 그릿은 교사역량과 정 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역량의 하위변인 중 교 육적 자극제공에 대해서는 보육교사 그릿의 상황적응, 노력지속, 열정은 정적으 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역량의 하위변인 중 정서적 민감성에 대해서는 원장의 리더십 중 민주형, 방임형이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 그릿의 하위변인 중 상황적응, 노력지속, 열정 이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역량의 하위변인 중 유아 자율성 지원의 대해서는 보육교사 그릿의 상황적응, 노력지속은 정적으 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흥미유지는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역량의 하위변인 중 교직전문성에 대해서는 보육교사 그릿의 상황적응, 노력지속, 열정은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고, 흥미유지는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 합하면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보육기관의 환경적 측면에서 원장의 민주적리 더십이, 보육교사의 개인적 측면에서는 교사의 열정과 끈기를 의미하는 그릿이 교사역량에 매우 중요한 변인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원장이 리더십을 잘 발 휘하고 보육교사의 그릿이 긍정적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원장의 리더십 교육뿐 아니라 보육교사의 그릿 관련 자질 역량을 적극적으로 키우도록 다양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원장의 리더십, 보육교사, 보육교사의 그릿, 교사역량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