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리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는 지리교수전략

        장성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변인에 대한 논의에서 인지구인 뿐만 아니라 비인지구인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즉, 흥미, 학습동기, 성취동기, 자아개념, 내외통제요소, 불안, 가치관, 자아개념, 스타일 등 비인지구인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을 들 수 있지만 학습자의 흥미, 즉, 학습에 대한 만족감에 결정적 역할을 하여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교사의 일방적인 교수-학습방법에 의해 강제적 학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학습 흥미가 떨어지고, 수업에 대한 만족도도 낮아져 좋은 교수전략이 될 수 없다. 지속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과에 대한 흥미가 필수적이고, 바람직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과흥미를 높이는 교수전략이 필요하다. 종래의 지리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를 보면, 기존에는 교수-학습방법에 있어 학습자의 학습양식을 토대로 한 흥미도를 고려한 수업모형이 아니라 이미 연구되어지고 검증된 구성주의적 지리 교수-학습모형을 기계적으로 실제수업에 적용하여 학습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대다수여서 단위학교의 교육적 환경과 학습자 특성에 맞는 수업방법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아무리 좋은 교수-학습방법이라 할지라도 수요자인 학생들이 부담스러워 하거나 적극적인 수업참여가 없다면, 바람직한 교육의 목표도달도 어려울 뿐 아니라 지리교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만 가중되게 할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지리교수방법 중에서 교과흥미를 높이는 수업방법을 찾아내고, 학습자의 흥미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수업전략을 실행한다면 수업의 집중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본 연구는 지리교육에 있어 일반적으로 검증된 구성주의적 학습의 특성을 고려하는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는 수업모형을 선정하고, 선정된 모형을 바탕으로 수업설계를 하여, 이를 실제 지리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지리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는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교과흥미를 고려한 여러 가지 지리수업방법을 선정하고, 실행하여 기존의 강의식 수업과의 학습효과를 비교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는 방법을 모색한다. 둘째, 학생들이 선호하는 협동학습과 문제해결학습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연구학교에 적용하여 나타난 결과와 시사점을 알아본다. 셋째, 효과적인 지리학습을 위하여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인 흥미를 고려하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한 사례가 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교과흥미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모형을 실험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지리교과에 대한 흥미도, 만족도, 학업성취도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리교과에 대한 인식을 묻는 사전 설문지 조사를 토대로 실험대상을 분석하였고, 학생들이 선호하는 협동학습과 문제해결학습에 대한 학습지도안을 제작하여 실험 수업을 하여 수업에 대한 흥미도, 만족도, 학업성취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수업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 학습의 흥미도면에서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실험반은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을 한 비교반에 비하여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사후 설문 조사에서 지리 교과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던 학생들 중 많은 학생들이 ‘재미있었다’라고 답해 학생들이 선택한 협동학습과 문제해결학습을 통하여 유의미한 학습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하였다. 둘째, 지리 학습의 만족도면에서도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험반에서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평소에 지리과목을 좋아하는 학생에게서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지리 학습의 학업성취도면에서는 유의수준을 95%로 할 때, 2학기 중간고사에서 실험반과 비교반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평소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에 익숙하여 교과서와 노트 정리를 잘하는 학생들은 1학기 기말고사에 비하여 학업성취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수업내용에 대한 설명이나 학습자의 요약, 정리가 다소 부족했던 점과 선행학습이나 학습전략의 미비 등 학습자체에 관련된 요인에 기인한다고 본다. 하지만 서술형 문제에 있어 다양하고 창의적인 답안이 나와 학습자의 지리적 안목이나 의사결정 능력, 문제해결능력에서 좀 더 향상된 점이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정답과 조각 지식의 획득을 추구하는 인간이 아닌 다양한 사고와 개성 있는 인격체로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 진로성격유형과 교과학습흥미의 관계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김영애 신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counsell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cational personality type and the learning interests in academic subjects. The investigation was peformed with 328 students of the two elementary schools in Busan. In order to analyze data, I used three methodologies. First, I performed the cross-analys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vocational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the sexuality. Second, I carried out the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metho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ocational personality type and the learning interests in academic subjects. Third, I used the one-way ANOVA and LSD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the learning interests depending on the vocational personality typ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part in the overall distribution of the vocational personality type is the Artistic. Second, the Realistic and the Investigative are dominant for boys, meanwhile, the Artistic and the Social are dominant for girls. Third, the Investigative shows high learning interests in most academic subjects. In addition, although Artistic shows relatively high learning interests in arts not in physical education and music.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lso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성격 유형과 교과 학습흥미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것으로, 이는 향후 초등학생의 진로교육과 진로상담에 관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2개교 6학년생 328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Holland 진로성격 유형 검사와 학습흥미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성별에 따른 진로성격 유형 분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진로성격 유형과 교과 학습흥미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진로성격 유형에 따른 교과 학습흥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증 LSD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진로성격 유형의 전체적인 분포는 예술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남학생은 실재형과 탐구형이, 여학생은 예술형과 사회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성격 유형은 교과 학습흥미와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진로성격 유형에 따른 교과 학습흥미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탐구형이 대부분 교과에 높은 학습흥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술형은 미술교과에 대해 비교적 높은 학습흥미를 보였으나, 체육이나 음악교과에 대한 학습흥미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진로성격 유형과 교과 학습흥미에 대한 심층적인 질적 연구가 후속되어야 한다. 둘째, 진로성격 유형과 교과 학습흥미 외에도 다양한 변인에 대한 관계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진로성격 유형에 대한 후속 연구와 함께 교과별 학습흥미 검사 도구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 성취목표와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의 예측관계

        권정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과목에 따른 성취목표,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의 예측관계를 알아보고,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수학과 영어 과목으로 분류하여, 고등학교 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설정한 성취목표,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간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변인간의 예측 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수학에서는 숙달접근이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이며, 수행접근이 가장 낮은 평균값을 보인 반면, 영어에서는 수행접근이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이고, 숙달접근이 가장 낮은 평균값을 보이는 차이가 드러났다. 수학과 영어 모두 개인적 흥미가 상황적 흥미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으나, 영어가 수학보다 흥미와 자기조절학습의 평균값이 높았다. 둘째, 수학에서는 성취목표가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와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영어에서는 수행회피가 교과흥미와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선행연구와 상반되는 결과에 따라 수행회피의 문항 중 이질적인 문항을 삭제한 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행회피와 자기조절학습과의 상관 정도가 낮아졌으며, 학업성취와도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문항을 삭제한 자료를 바탕으로 실시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수학과 영어에서 성취목표는 교과흥미에 다른 예측력을 보였다. 수학에서는 숙달접근과 수행회피가 교과흥미에 정적 예측력을 보인 반면, 영어에서는 숙달접근만이 교과흥미에 정적 예측력을 보였다. 수학에서는 숙달접근, 수행접근, 교과흥미가 자기조절학습에 정적 예측력을 보인 반면, 영어에서는 수행회피가 부적 예측력을 보였다. 수학은 수행접근, 교과흥미가 학업성취에 강한 정적 예측력을 보인 반면, 영어는 자기조절학습, 수행접근, 교과흥미 순으로 예측력을 보였으며, 교과흥미가 학업성취에 부적 예측력을 보여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교과흥미와 자기조절학습은 매개효과 검증 결과, 수학과 영어에서 교과흥미가 숙달접근, 자기조절학습에서 매개효과를 갖고, 자기조절학습은 영어에서 수행접근과 학업성취, 교과흥미와 학업성취에서 매개효과를 갖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성취목표는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에 예측력을 갖고 있으나 그 양상은 수학과 영어 과목에서 부분적으로 상이하였으며 선행 연구와 반대되는 결과도 제시되었다. 또한 과목에 따라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도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은 대학 입시를 앞둔 우리나라 고등학교 여학생이 갖는 과목별 학습 동기와 전략 사용을 이해하고, 향후 교과에 따라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로 이어질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사고양식에 따른 학습동기 및 교과흥미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윤미선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비교적 새로운 인지양식 개념이지만 교육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되기에는 지나치게 복잡하다는 평가를 받았던 Sternberg(1988)의 이론을 전제로 사고양식에 대한 프로파일적 접근을 제안하고, 우리나라 중·고생들의 사고양식 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성취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때, 학습자가 자신의 능력을 활용하는 인지양식으로서 사고양식이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내재되어 있을 것이라고 가정되는 비인지구인의 간접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습동기와 교과흥미를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의 인지양식을 프로과일로 진단하는 사고양식이 학업성취 및 성취관련 비인지구인으로 기능하는 학습동기와 교과흥미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입증할 수 있다면, 학습자의 성취를 이해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새로운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 할 수 있다. 연구를 위해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서울 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9개 중·고등학교를 단순무작위표집하였으며, 총 2552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사고양식 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성취 및 학습동기와 교과흥미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부터 8가지 프로파일 중 특정 프로파일간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학업성취에 대한 사고양식, 학습동기, 교과흥미의 직·간접 효과를 추론할 수 있다. 학습동기 패턴에 따른 학업성취와 교과흥미의 대한 차이를 검��한 결과들로부터 사고양식 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성취와 교과흥미의 관계를 매개하는 학습동기의 직접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교과흥미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과 교과성취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과 내용요인과 유능감요인에 대한 중요서을 확인하였다. 교과흥미와 교과성취와의 관계는 정적 상관의 양상이 나타났으나 성취 수준에 따른 분석에 있어서 상당히 다르게 나타났다. 즉,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라 교과성취에 대한 흥미의 기여도가 다를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한편, 교과흥미에 대한 중·고생간 차이는 전반적으로 학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지만 사회과목만은 고등학생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중·고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인지양식과 비인지적 성취관련 변인들의 직·간접 효과를 경험적 자료에 의해 분석한 본 연구는 최근 교육심리학 분야에서 연구의 초점이 되고 있는 학습자 중심의 실제적 교수-학습환경 설계에 대해 실용적 가치를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thinking styles on academic achievement with mediators of academic motivation and subject-specific interests. The thinking styles profile was constructed by combining the three distinctive thinking styles(judicial, hierarchic, global), resulting in 8 different thinking styles. For this study, 2700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9 middle and high school in Seoul.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motivation, and subject-specific interests among 8 thinking styles. ANOVA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specific interests among 4 academic motivation patterns, indicating the academic motivation as a mediator between thinking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content interests' and 'perceived competence' were the best predictors for subject-specific interests. Correlation analyses showed differential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pecific interests and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achievement. It was also found that students preferred English, Science, Math, Social Studies to other subjects and the reason for the preference was mainly due to the interests in 'content' of each subject. In addition, one-way ANCOVA revealed that high school students were less interested in the subjects area than middle school students except social studies. From above results, It was discussed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inking styles profile, the relationship with mediators of academic motivation and subject-specific interests, and the implication for designing individualized learning environment.

      • 학습정리단계에서 역사학습만화 활용이 초등학생의 교과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중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1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effect it has on the students’ interest in the curriculum and their achievement level of study to utilize comic strip data related to that study instead of summarizing the contents by a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text book such as the teacher’s explanation or handwriting, etc. at the review session of an elementary history class. In order to attain to this goal the questions of study settled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study summary utilizing historical study comics on a student’s interest in the curriculum?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study summary utilizing historical study comics on a student’s achievement level of study? Third, what is the effect of the study summary utilizing historical study comics on a student’s memory? In order to ascertain the above study questions the class proceeded with 62 students from 2 classrooms of 5th grade at S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Siheung City, Kyunggi-Do in 2 bodies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each,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aking the historical study comics data and the comparison group using the conventional text book.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utilized historical study comics and the comparison group which used the conventional explanatory summary in the interest in the curriculum and the achievement level of study, both groups took a pre․post check ups, and the results were examined for a meaningful difference at a degree of p<.05 through a t-inspection. All the statistics were processed using SPSS /WIN 12.0. In addition the tests on the interest in the curriculum and the achievement level of study were administer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not onl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but also between the sexes and among the different achievement levels of study in order to obtain accurate analyses from the diversified test results. The study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effect of the contents summary utilizing historical study comics on a student's interest in the curriculum, the study showed that the group which adopted the historical study comics improved much in the interest in the curriculum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 which used the conventional text book. Also the results of the test which itemized the interest in the curriculum into 3 sub-categories showed that the interest in the curriculum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dopted the historical study comics was much higher than the comparison group which used the text book in all the categories of 'the interest in the social study courses,' 'study motivation,' 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for the class.' On considering all these the class that utilized the historical study comics had an affirma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interest in the curriculum. Second, in the effect of the contents summary utilizing historical study comics on a student's achievement level of study, the study showed that in all the tests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levels of study and the sexes, the classes that adopted the historical study comics at the study review session do not have an affirma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 achievement level of stud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lasses using the text book. Third, in the effect of the contents summary utilizing the historical study comics on the students' memory, the study showed that the averag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applied the comics data at the study review session was much higher especially in the lower grade groups with a lower learning level of achievement. These results can be analyzed that the classes applying the comics data provided the chance for the lower graded students to comprehend the historical knowledge with much more ease, and the contents read through the comics data had an effective influence on the sustainment of the memory compared with the text book. In conclusion the class which applied the historical study comics at the study review session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that it can have an affirmative effect on the interest in the curriculum and the memory of historical knowledg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extbook-centered method.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historical study comics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achievement level of stud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The key words: The study review session, the historical study comics, the interest in the curriculum, and the achievement level of study 이 연구는 초등 역사 수업의 학습정리단계에서 교사의 설명이나 필기 등과 같은 교과서를 활용한 전통적 방법으로 내용정리를 하는 대신 관련 학습만화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학생들의 교과 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학습만화를 활용한 학습 정리가 학생의 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역사학습만화를 활용한 학습 정리가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역사학습만화를 활용한 학습 정리가 학생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경기도 시흥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5학년 2개 반 62명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에는 역사학습만화 자료를 투입하고, 비교집단은 기존 교과서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역사학습만화를 활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적인 설명식 정리를 실시한 비교집단간의 교과흥미, 학업성취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마다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자료들을 t검증을 통하여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 여부를 판정하였다. 모든 통계처리는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를 하였다. 교과 흥미와 학업성취도 검사는 실험집단 비교집단간의 단순 비교뿐만 아니라 남, 여 성별 간 비교,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비교까지 할 수 있도록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학습만화를 활용한 내용정리가 학생의 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역사학습만화를 활용한 집단이 기존의 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에 비해 교과 흥미가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과 흥미의 3가지 하위영역별로 구분한 검사 결과에서도 ‘사회과에 대한 흥미’, ‘학습동기’, ‘수업에 대한 이해정도’ 영역 모두에서 역사학습만화를 활용한 실험집단의 교과 흥미가 교과서를 활용한 비교집단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역사학습만화를 활용한 수업이 교과 흥미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역사학습 만화를 활용한 내용정리가 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학업 성취 수준별 검사와 성별에 따른 검사 모두에서 학습정리단계에서 역사학습만화를 활용한 수업이 기존의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 비하여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사학습만화를 활용한 내용정리가 학생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학습정리단계에서 만화 자료를 활용한 실험집단의 평균이 크게 높았으며 특히, 학업 성취 수준이 낮은 하위집단에서 더 큰 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만화 자료를 활용한 수업이 하위집단 학생들에게 역사 지식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만화자료를 통해 읽었던 내용이 교과서 보다 기억력 지속에 효과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학습정리단계에서 역사학습만화를 활용한 수업이 교과서 중심의 기존의 방법보다 교과 흥미 및 역사 지식 기억력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역사학습만화의 활용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중고생의 교사기대지각,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과흥미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연구

        최영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중고생의 교사기대지각,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과흥미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에 선행연구를 근거로 교사기대지각,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과흥미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모형을 설정하여 세 변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먼저 교사기대지각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교과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교사기대지각,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과흥미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교사기대지각(학업능력기대, 행동특성기대, 장래성기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그리고 교과흥미(교과내용, 교과가치 및 노력, 교과유능감, 담당교사 선호)의 하위요인들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2개 중학교, 2개 고등학교 남녀 학생 810명으로 중학생은 513명, 고등학생은 297명이었다. 이들에 대해 교사기대지각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 교과흥미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세 변인들의 기초통계치와 변인간 상관, 그리고 관계모형에 대한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기대지각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기대지각은 교과흥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기대지각,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교과흥미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 영향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교사기대지각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교과흥미에 영향을 주고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 뿐 아니라 이 두 변인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세 변인들의 하위요인들이 학업성취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사기대지각에서는 학업능력기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는 세 하위요인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과흥미에서는 교과유능감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teacher expectancy, academic self-efficacy, subject-specific interest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1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Seoul and Ky&#335;nggi-do area.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were perceived teacher expectancy (Baek, Young-Bae, 1985), the modified academic self-efficacy (Park, In-Young & Kim, A-Young, 2001) and subject-specific interests (Yoon, Mi-Sun, 2003). The SPSS/WIN 10.0 program was essential in monitoring the base level data, as well as performing the analysis for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perceived teacher expectancy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academic self-efficacy.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perceived teacher expectancy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subject-specific interests.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perceived teacher expectancy, academic self-efficacy and subject-specific interest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had the strongest influences on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teacher expectancies on academic achievement had not only a direct influence but also the indirect influence mediated by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subject-specific interests on academic achievement. Fourth, perceived teacher expectancy of academic ability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academic achievement. Fifth, all sub-variables(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s) of academic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perceived competence of subject-specific interest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academic achievemen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perceived teacher expectancy, academic self-efficacy, subject-specific interests were important psychological factors in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 원격수업에서 피드백 제시 매체와 유형에 따른 교과흥미도, 교수실재감 및 학업성취도 차이 연구

        이현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99

        4차산업혁명으로 원격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적인 유행병으로 인해 학교 현장에서 원격교육이 전면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현재 시행되는 원격교육의 형태는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과 과제 수행 중심 수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비동기(非同期)적 원격교육으로 전체 82.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교육부, 2020a). 비동기적 원격교육은 동시간에 이루어지는 원격교육에 비해 학생-교사 간 즉각적인 의사소통이 어렵다. 이에 교육부는 원격수업의 질 제고와 학생-교사간 의사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시하는 것을 강조하는 등(교육부, 2020b) 원격교육에서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피드백을 도모하기 위한 교육계의 관심은 날로 커지고 있다. 피드백은 학습자의 학업 과정에 대한 교수자의 반응이자, 학습 수행이 올바르게 이루어지는지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이다. 선행연구에서는 피드백 제공자와 피드백 유형에 따라 학업성취 및 자기효능감 등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다. 하지만 대면수업과 원격수업의 교수학습 및 피드백 환경이 다른 만큼 대면수업을 전제로 한 피드백 유형에 따른 효과성 연구 결과가 원격수업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피드백 제공 매체에 따른 교육적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원격교육에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피드백 설계를 위해 피드백 매체와 유형에 따른 교육적 효과 차이를 연구해볼 필요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피드백 제공 매체와 유형에 따른 교과흥미도, 교수실재감 및 학업성취도 차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피드백 제공 매체는 음성, 문자, 영상으로 세분화하였고, 피드백 유형은 Flemming과 Levie(1993)의 분류에 따라 교정적 피드백과 설명적 피드백으로 설정하였다. 음성 피드백은 학생의 과제에 대한 관찰 및 평가를 교사의 목소리를 녹음하여 학생에게 제공하는 것이고, 문자 피드백은 학생이 제출한 과제에 텍스트 형태로 댓글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고, 영상 피드백은 교사가 영상에 출현하여 학생 수행에 대한 교사의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다. 교정적 피드백은 정·오답 여부를 제시하고 오답인 경우 정답을 제시하는 방식이고, 설명적 피드백은 정·오답 여부와 함께 틀린 이유를 설명하고 필요한 경우 선행 지식을 상기시켜 틀린 이유를 깨닫게 하는 방식이다. 실험을 위해 서울시 A 중학교 3학년 6개 학급의 68명을 대상으로 중국어 수업 3차시에 걸쳐 자기소개와 관련한 쓰기 및 읽기 과제와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6개 학급 중 3개 학급을 교정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집단, 나머지 3개 학급을 설명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또 나눠진 3개 학급을 다시 피드백 제시 매체를 기준으로 각각 음성 피드백 제공 집단, 문자 피드백 제공 집단, 영상 피드백 제공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교과흥미도 측정을 위해 학업적 흥미 측정 검사지(봉미미 등, 2010)를 활용하였고, 교수실재감 측정을 위해 고은현(2007)이 개발한 교수실재감 측정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학업성취도 측정을 위해 2020학년도 2학기 중국어 기말고사 문제를 활용하였다. 실험 후 피드백 제시 매체와 유형에 따른 교과흥미도 및 교수실재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교과흥미도와 사전 교수실재감을 공변인으로 하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고, 학업성취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원격수업에서 피드백 매체 및 유형에 따른 교과흥미도, 교수실재감 및 학업성취도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드백 제시 매체와 유형은 교과 흥미도에 영향을 준다. 피드백 제시 매체 중에서 교과흥미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영상 피드백이다. 그 다음으로 교과흥미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문자 피드백과 음성 피드백 순이다. 또한 교정적 피드백으로 제시하였을 때 교과흥미도가 비교적 높다. 따라서 피드백 제공 시 교사가 출연하는 영상을 매체로 하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교과흥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피드백 제시 매체와 유형은 교수실재감에 영향을 준다. 피드백 제시 매체 중에서 교수실재감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영상 피드백이다. 그 다음으로 교수실재감에 영향을 주는 것은 문자 피드백과 음성 피드백 순이다. 또한 교정적 피드백으로 제시하였을 때 교수실재감이 비교적 높다. 따라서 영상 피드백을 제공하였을 때 교수실재감을 가장 크게 받을 수 있다. 셋째, 피드백 매체와 유형은 학업성취도 차이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본 연구는 원격수업에서 피드백 매체와 유형에 따라 교과흥미도와 교수실재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영상피드백 제시는 교사의 많은 수고와 노력이 필요하지만 교과흥미도와 교수실재감 증진을 위해 필요함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외국어 교과처럼 억양, 발음 등의 언어적 요소가 중요한 경우 영상 피드백을 제시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본 연구는 비동기적 원격교육을 토대로 진행한 연구이므로 실험의 결과는 비동기적 원격교육에 한정된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이 특정 지역과 연령에 한정되고 중국어 과목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연구 대상과 과목을 확대하여 피드백 매체와 유형에 따른 효과성을 알아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사회과 교과독서가 초등학생의 독서태도와 교과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주인숙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사회과 교과독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독서태도와 교과흥미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교과독서 활동이 독서태도와 교과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설정된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독서는 학습자의 독서태도에 영향을 줄 것인가? 둘째, 교과독서는 학습자의 교과흥미도에 영향을 줄 것인가? 본 연구는 부천시 오정구 소재 S초등학교 3학년 학생 44명을 대상으로 2011년 10월 24일부터 12월10일까지 총7주에 걸쳐 사전, 사후 검사와 프로그램 처치 10회를 실시하였다. 교과독서 프로그램은 아침 활동 20분, 수업 40분 총60분을 활용하여 읽기 전, 중, 후 활동으로 실시하였다. 교과독서 프로그램의 효과는 독서태도 검사지와 교과흥미도 검사지를 사용하여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SPSS 1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사회과 교과독서는 독서태도 향상에 효과를 보였다. 둘째, 사회과 교과독서는 교과흥미도 향상에 효과가 없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교과독서는 학생들의 독서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교과독서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교과독서 자료는 학생들에게 읽기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학생들이 흥미있게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어야 한다. 주제어: 교과독서, 독서태도, 교과흥미도, 사회과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ntent area reading program in social studies on elementary students' reading attitude and interest in the subject. The goal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tent area reading will influence the students' attitude. Second, content area reading will affect the students' subject interest. The reading should be carried out within the context of the subject in order to be meaningfully achieved at school while following the curriculum. It is called content area reading. Content area reading is applied in all of the subjects including Korean. Content area reading is to read the connective materials presented by various medias and then to link it with the learning activities. Students can activate their schema about the themes in the subjects through the content area reading. Content area reading will enhance their subject interest and reading attitude. This study about the content area reading program in social studies was conducted on 44 elementary students in 3rd grade in Ojeong-gu, Bucheon-city for 7 weeks from October 24, 2011 to December 10, 2011. The total numbers of lessons were 12 including the pre-test and post-test. The content area reading program was implemented for 60 minutes including 20 minutes in the morning and 40 minutes in class. The reading was divided into pre-reading, during-reading, and after-reading and the reading strategies were also applied. The gap between the tests for reading attitude and for the subject interest verified the effect of this content area reading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with t-test using SPSS 1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tent area reading in social studies showed an effect on the reading attitude of the students. Second, content area reading in social studies didn't have an effect on the students' subject inter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can be offered. First, content area reading should be implemented because i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reading attitude. Second, the reading materials included in content area reading can be a burden to the students, so they should be offered in variety to students to increase their interest in the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