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음악감상 수업의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 광주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영철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음악 교육은 음악 감상으로 부터라는 말이 있듯이 학교 교육에 있어서의 음악 감상 교육은 학생들의 심미적 체험을 통하여 풍부한 미적 경험을 갖도록 하며 바람직한 인격형성을 위하는 현대 교육의 목표에도 부합되는 가장 근본적인 교육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음악 교육은 가창, 감상, 기악, 창작의 네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감상 영역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실제 학습 현장에서는 대체로 가창을 중심으로 한 표현학습 위주로 음악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의 표현능력의 개발은 되고 있으나 감상 능력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표현능력에 비해서 열등한 상태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더구나 감상 영역은 어느 영역보다 창조력, 표현력, 감수성을 개발하는 데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만 현장의 실태는 감상교육이 충실히 이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 교육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찾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 범위는 광주광역시 소재 8개 초등학교의 교사 2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음악 감상에 대한 교사의 흥미 및 관심은 어떠한가? 둘째, 음악 시간 운영에 대한 관심과 주 활동 영역은 무엇인가? 셋째, 음악 감상 수업의 교수 - 학습 지도 측면은 어떠한가? 넷째, 음악 감상 후의 정리 활동 및 평가는 어떻게 하는가? 다섯째, 학교 음악 감상 시설 및 자료 보유의 실태는 어떠한가? 여섯째, 음악 감상 교육의 어려운 점 및 개선 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로 설정하여 29문항의 설문을 작성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의 대부분이 음악 감상의 기회를 특별한 경우 외에는 갖고 있지를 못하였고, 90%이상이 가창 영역에 관심을 갖고 활동하고 있었으며, 음악 시간에 대한 자신감을 대부분 갖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감상 영역의 지도에는 교사들의 음악에 대한 이해도 부족으로 대부분 자신감을 갖지 못하여 감상 학습의 진행에 어려움을 갖고 있었으며 이미 프로그램화되어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음악 수업 자료를 단순히 컴퓨터 마우스의 클릭만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따라 오도록 하면서 진행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때문에 감상 학습에 맞는 수업 진행은 찾아보기 쉽지가 않았고 교재에 있는 감상곡을 제대로 다루지 않고 지나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상 수업 후에 평가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나 대부분 감상문을 쓰게 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사들이 감상 교육이 목표는 알고 있었고 감상 교육이 학생들의 바람직한 인격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을 하였다. 감상 학습을 위한 학교의 시설이나 학습 자료도 제대로 갖추고 있지 못해 심각한 상태로 나타났다. 또한 감상 교육의 정상화를 묻는 물음에는 시설 및 자료의 보완과 교사들의 지도력 신장을 위한 계속적인 연수 활동을 강화시켜야한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태의 조사를 통한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을 하였다. 첫째, 음악 교육의 정상화와 음악 감상 학습의 효율을 꾀하기 위해서는 시청각 자료, 멀티미디어 도구, 음향 시설 등의 음악 교육적 환경의 개선 및 시설, 자료의 확충과 재정적인 투자가 요구된다. 둘째, 학교 측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아래 교사들의 음악적 자기 계발을 위한 음악적 활동과 다양한 감상 지도 방안에 대한 연수의 기회가 확대되어야한다. 셋째, 학교에서의 감상 학습은 대부분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교사용 지도서의 감상곡 지도내용에 대한 분석이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넷째, 학교에서의 집단적인 감상 수업이 개인적인 음악 감상 능력을 무시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개별적 감상 학습을 위한 지도 방안이 연구 되어야한다. 다섯째, 학생들의 정서 순화와 심미적 체험을 위해서 음악 감상 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학교와 사회의 인식의 전환과 교사 자신의 연주활동 참여 및 연주회 참여와 학생들의 연주회 참여 권고 등 음악을 평소에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갖도록 하는 것과 음악 감상 기회를 계속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해야한다. Like the saying that a music education begins with a music appreciation, the education on music appreciation in terms of a school education can be the most fundamental educational activity to provide students with abundant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their aesthetic experience and to be in line with the goal of a contemporary education to form a desirable personality. The music education is conducted in four areas of singing, appreciation, instrumental music and creation. And the appreciation area is on a gradual increase. However, in a practical learning field, the music education is generally conducted on the basis of an expression learning focused on singing. As a result, while the students' expression ability is developed, it is true that the appreciation ability is in an inferior state to an expression ability due to several causes. Moreover, although the appreciation area has a greater effect on developing a creative power, expression ability and sensibility than any other areas, it is not true in an actual condition in the fiel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music education conducted in the field, find out the problem and prepare the means to improve. The coverage for this study was 281 teachers at the 8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issues were as follows: First, What do you think of a teacher's interest and concern for music appreciation? Second, What is the interest on operation of music class and the main area of activity? Third, What do you think of the aspect of teaching- learning guidance in a music appreciation class? Fourth, How is the wrap-up activity and evaluation conducted after the music appreciation? Fifth, What do you think of the actual condition on a school's music appreciation facility and material maintenance? Sixth, What do you think of the difficulties in the education of music appreciation and the means to improv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29 questions prepared. As a result almost of teachers seldom have music appreciation chance and 90% of teachers are concerned singing field, they don't have self-confidence in music lesson. In music appreciation field, teachers feel difficulty when they progress the music appreciation lesson because they don't make sense of music well. Almost teachers use music educational material by click the mouse which are programed on the internet. So it was very hard to find the proper lesson progress in music appreciation and teachers skip the appreciation melody in classes. After music appreciation lesson, evaluation methods are variety but teachers use writing a description of student's impressions. However most of teachers know aims of music appreciation lessons, and they answered music appreciation lessons have a good effect to students desirable personalities. Lack of School facilities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music appreciation lessons are serious. How to normalize the music appreciation lessons-teachers answered that supply for school facilities and educational materials and study and training the teachers continually for upgrade the teaching skills. I suggested these methods for improvement by thi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First to normalize music education and efficiency of music appreciation, we need to improve music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sight and hearing materials, multimedia tools, auditory equipments, to make good facility and material and to get financial investment. Second, under positive support and cooperation by school, all the teachers have many chances to get training consists of musical activities and various appreciation teaching methods for their musical self-development Third, we have to analyze teaching contents of appreciation songs in teaching manual book deeply because appreciation learning in school is centering on teaching manual book. Forth, we have to study teaching methods for individual appreciation learning because a collective appreciation lesson in school ignores student's individual music appreciation ability. Fifth, to make students purify their emotions and get aesthetic experiences, we need conversion of school and society about importance of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We have to give students have many chance to contact music on ordinary times(such as teacher's direct participation of performing musical instrument and concert, and suggestion for student to take part in concert) and to appreciate music continually.

      • 學校敎育費의 配分에 關한 硏究 : 光州廣域市敎育廳傘下初等學校를 中心으로

        안형관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4303

        학교재정은 기본적인 학교 유지는 물론 이거니와 학교교육을 가능케 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학교재정 운영원리는 2001년부터 학교회계예산제도의 시행으로 규모는 작다고 할지라도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치는 등 교육재정의 운영원리와 마찬가지로 운영되고 있다. 학교회계예산제도의 도입목적 중 하나는 단위학교 재정의 자율적 운영이다. 그러므로 교육수요자 중심의 학교별 특색에 맞는 자율적인 재정운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학교교육비 배분이 객관적이고 합목적적인 배분방법을 강구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교육청의 학교교육비 배분 과정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유익한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재정의 배분기능과 준거, 표준교육비에 대한 논의, 타 시ㆍ도교육청과 광주광역시교육청의 학교교육비 배분기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단행본, 연구기관의 연구보고서, 학술지, 학위논문, 각종지침, 행정기관의 관련 예ㆍ결산서 등을 수집하여 참고 하였으며, 교육청 업무담당자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학교교육비 배분방법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출한 문제점은 다음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표준교육비 적용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즉, 6학급단위로 묶어 교당경비를 적용함으로서 1학급 차이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배분기준은 1,000만원~2,100만원 정도의 차이가 나고 있으며, 학교 규모별로 해마다 표준교육비 지원율을 달리함으로써 적은규모 학교보다는 큰 규모의 학교가 교당경비 산정에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 또한, 교육청의 재정상황에 따라 단위사업비를 학교부담으로 전가한다거나 법규개정으로 인해 학교재정 부담이 늘어나는 등 학교의 외적인 요인에 의해 학교의 안정적인 재정운영 기조가 흔들리고 있다. 둘째,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경우 단설유치원과 비교하여 유치원 교육비 차이가 학생 1인당 3배 이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유치원 교육활동과 운영에 어려움 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재정적 열악성은 연쇄적으로 소속된 초등학교 학교교육비를 잠식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초등학교 운영에도 재정적인 어려움을 유발하게 한다. 셋째, 단위학교 재정적 자율성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학교교육비를 목적지정을 하지 않고 덩어리로 배분하는 대신에 목적사업비의 비율을 낮추어야 한다. 그러나 광주교육청의 경우 거의 40%~50%에 가까운 목적사업비를 배분함으로써 그만큼 재정적 재량을 축소시켜 자율적인 학교운영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표준교육비에 포함되는 사업을 목적사업으로 지원하다거나, 매년 반복되는 소액경비 사업들을 새로운 목적사업으로 추가하며, 대규모 재원 투자사업에 목적사업비를 배분하면서 학교 대응투자를 유도하는 등의 목적사업을 축소하기보다는 확대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넷째, 각급학교에서 교육활동과 학교운영을 위하여 채용하고 있는 비정규직 직원들의 인건비에 관한 문제이다. 초등학교에는 공통적으로 교무보조원, 사서보조원, 과학보조원 등이 근무하는데, 이들의 인건비가 2007년의 경우 60억원을 넘어서고 있으며, 학교별로 5,000만원 정도가 소요되고 있다. 더욱이 문제가 되는 것은 향후 상시ㆍ지속업무에 대해서는 무기계약근로자로 전환하는 계획이 추진되고 있어 이들의 인건비 부담은 학교 재정운영의 압박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표준교육비 적용에 있어 학교당 경비를 1학급 단위로 세분하여 산정되어야 하며, 학교규모와 관계없이 산정된 표준교육비 지원율을 일정하게 할 필요가 있으며, 새로운 학교 외적요인 발생으로 추가재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지원율을 상향 조정하여 보완하여야 한다. 또한,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교육비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단설유치원 교육비의 70%수준까지 상향시켜 교육비를 배분하여야 하고, 목적사업비를 배분에 있어 표준교육비 개념에 포함되거나 매년 반복되는 소액경비 사업, 대응투자 사업은 과감히 폐지하거나 축소하여야 하며, 목적사업비의 배분원칙을 마련하여 목적사업비 비율을 낮추려는 정책적 노력도 필요하다. 더불어 대부분의 학교에서 공통적으로 채용하여 근무 중인 교무보조원, 사서보조원, 과학실험보조원 등의 비정규직원들의 인건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정원기준을 마련하여 정원기준에 따라 인건비를 지원해 주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향후 학교교육비 지원은 7차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산출된 표준교육비의 100%를 지원한다는 정책적 기조가 유지되어야 하며, 목적사업비의 비율은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교육청의 예산중에서 핵심기능과 선택적 기능이 무엇인가를 설정하여 핵심기능외에는 모든 사업은 총액예산에 포함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총액지원 경비가 확대된다면 자율적 재정운영을 평가할 수 있는 학교재정운영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학교 재정운영의 모든 분야를 평가하여 재정적 인센티브(incentive)를 부여하여 책임운영을 유도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함을 제안하였다.

      • 初等學校 倂設 幼稚園의 建築施設利用實態에 관한 硏究 : 光州廣域市의 초등학생 過疎地域을 중심으로

        노선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34303

        조사대상지인 광주시는 80년대 8개원에 지나지 않았던 병설유치원이 90년대들어 21개원으로 설립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은 첫째, 처음부터 유치원+초등학교의 개념으로 설계된 것이 아니라 이미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던 유휴교실에 유치원 시설을 수용하고 둘째, 교육방법이 다른 초등학교와 유치원이 동일한 교지내에서 같은 시설을 이용함으로해서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주시에 위치한 21개원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교사 내에 위치한 유치원의 시설현황 및 실내구성을 살펴보고, 이 중 교육환경이 다른 3개 유치원을 선정하여 유아의 공간이용실태를 조사·분석하므로서 도시내 과소지역에 계속 증설될 병설유치원계획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 것으로 먼저 조사내용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원의 조직체계는 초등학교 교장 겸임 원장, 초등학교 교감겸임 원감, 유치원 교사, 원아로 이루어져 있고 구비시설은 실내부분으로 일반교실, 유희실, 자료실, 교사실, 화장실등이 있고 실외부분으로 유원장이 있다. 초등학교와 공용하고 있는 시설은 자료실(1개원), 화장실(15개원), 양호실(21개원), 식당(2개원), 강당(21개원), 유원장(19개원) 등이고, 그외 일반교실, 유희실, 교사실과 같이 유아교육에 관여하는 공간은 독립된 실을 보유하고 있다. 2) 조사대상 병설유치원을 원사의 배치에 따라 분류해보면 원사독립형(14개원), 한층전체형(6개원), 한층일부형(1개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학자들의 제안을 토대로 대체로 1인당 필요 면적을 3㎡내외로 보면 학급당 원아수 30인으로 할 때 학급교실의 면적은 90㎡내외가 필요하다. 그러나 조사대상원의 일반교실의 규모는 55∼70㎡미만인경우가 15개원으로 가장 많았고, 70∼85㎡미만인 경우가 5개원, 85㎡ 이상이 1개원으로 나타나 이상적인 교육을 위한 면적확보에는 크게 부족함을 알 수 있다. 4) 조사대상 유치원의 일반교실은 자유놀이를 위한 흥미영역과 일제학습을 위한 대그룹영역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설립당시 유치원 전용관리실이 따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일반교내에서 관리제기능이 이루어지고 있다. 5) 조사대상 유치원중 유희실을 구비하고 있는 원은 9개원으로 유휴교실의 여유가 있는 유치원에서 구비하고 있는데 유희실의 이용은 놀이기구 및 운동기구를 설치하여 자유놀이시간이나 단체활동시간에 이용하게 되는데 그 외에도 유치원 운영에 필요한 관리제기능이 이루어지고 있다. 6) 조사대상 유치원의 화장실중 실내에 위치해 있는 원이 9개원, 室外에 位置한 圈이 12개원이고 幼稚園전용이 구비되어 있는 園이 5개원, 그 외의 園은 初等學生들과 化粧室을 같이 사용하고 있다. 化粧室 便器의 크기는 幼兒의 인체치수에 맞는 便器를 구비한 園이 2개원, 그 외는 初等學校 化粧室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調査對象 幼稚園에서 園舍內에 洗面臺를 設置한 경우는 6개원으로 그 외는 初等學生의 洗面臺를 共用하고 있다. 7) 일반교실의 시설을 살펴보면 창문은 1개원을 제외하고는 창대높이가 90cm로 유아가 볼 수 있는 최고높이인 81.3cm보다 높고 유아들이 이용하는 문은 180×100cm의 구조로 유아들이 사용하기에는 불합리한 구조이다. 또 마루와 벽은 유아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기존의 것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8) 조사대상원중 전용유원장을 구비하고 있는 원은 2개원, 그중 유원장에서 놀이가 이루어지는 원은 1개원이다. 9) 조사대상원의 일과구성은 반일제프로그램으로 자유학습과 일제학습 위주로 구성되어 있고 교사의 지도계획에 따라서 원아의 요구와 흥미에 따라 항상 일률적이라기 보다는 다소 융통성을 지니고 이루어지고 있다. 10) 園內에서 園兒들의 生活內容은 교육방침이나 시설의 환경조건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병설유치원의 경우 일제학습은 일반교실의 대그룹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자유학습은 일반교실의 흥미영역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루어진다. 중흥은 2층내에서, 오정은 일반교실내에서, 양동은 원사주변까지로 자유롭게 행해지고 용변은 실내에 있는 중흥과 양동은 학습행위의 전환시 교사가 용변을 지도하기도 하지만 별도의 정해진 시간에 행해지기보다는 유아들이 필요시 개인적으로 화장실을 다녀오나 실외에 위치한 양동은 교사의 지도아래 삼삼오오 짝을 지어 이용하고 있다. 이상 앞의 내용을 통하여 초등학교 유휴교실을 사용하고 있는 병설유치원의 시설현황 및 공간이용실태를 살펴보았다. 앞에서 밝혀진 사항에 대하여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원사가 초등학교 교지내 어디에 위치하는가는 유아들의 자유놀이시 큰 영향을 미친다. 유치원 교실이 초등학교 교사내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유치원의 실내소음 등으로 인하여 유치원에 인접해 있는 초등학교 교실에 적지 않은 지장을 주고 유아들의 자유로운 생활도 통제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사는 초등학생들과 분리된 동선을 가질 수 있는 독립형이나 한층전체형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2) 유치원 교실은 대부분 초등학교의 유휴교실을 사용하고 있는데 교실의 면적이 동적인 놀이공간을 충분히 제공할 수 없는 면적이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조사대상원은 교육부분으로는 일반교실과 유희실, 유원장은 구비되어있으나 교사실(1개원), 자료실(2개원), 조리실(1개원)등과 같은 유치원운영에 필요한 관리제실을 구비한 원이 거의 없다. 따라서 유아학습공간과 관리공간이 일반교실에 공존하고 있어 유아교육에 영향을 주므로 병설유치원 설립시 교육부분을 위한 실과 함께 독립된 관리제실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 유치원이 기존의 초등학교 시설들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유아들의 보호와 활동의 자유로움을 보장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변기의 규격, 세면대 시설규격, 창문의 높이와 문구조와같은 유아들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설을 유아들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구비한 원이 화장실은 2개원, 세면대는 10개원, 창문의 높이는 1개원으로 나타나 유아교육시설에 관한 최소한의 고려도 하고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치원의 교육시설에 관한 세부사항에 대해 별도의 시설·설비기준의 설정이 필요하다. 5) 조사대상 유치원 중 초등학교 운동장을 공용하고 있는 원이 19개원이다. 유치원 교실과 초등학교의 놀이터가 먼 경우에는 교사의 지도에 문제가 따르고 놀이기구 이용시에는 초등학생과의 마찰이 우려되어 병설유치원의 경우 실내학습위주로 일과구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병설유치원 설립시 초등학교와의 관계를 고려한 전용유원장을 유치원 교실에서 인접한 곳에 설치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때 전용유원장은 햇빛이 잘 드는 남쪽에 위치시키고, 초등학생과 동선이 중복되지 않고 소음이 잘 전달되지 않은 곳에 위치시켜야 한다. 이상과 같이 광주시 동·서·남·북구에 위치한 초등학교병설 유치원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정리해 보았는데 앞으로 이 부분에 관한 더욱더 자세한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e 1980s, there were only 8 elementary school-affiliated kindergartens in Kwangju metropolitan city, the area surveyed in this study. The number has increased to 21 in the 1990s, and continues to grow. Many problems have appeared because school-affiliated kindergartens are located on the same school complex and share the same facilities with the elementary school, where a different style of teaching is used. This study investigates current building facilities and interior compositions of the 21 kindergartens which are located within elementary school complexes. Also, 3 kindergartens with different educational environments have been selected for study and analysis of their usage of elementary school buildings and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information for planning an elementary school-affiliated kindergarten, which are increasing in depopulation areas of metropolitan cities. 1) The kindergartens surveyed in this study share a material room, restroom (15 kindergartens), school infirmary (21 kindergartens), cafeteria (2 kindergarten), auditorium (2 kindergartens), and a play room (19 kindergartens) with elementary schools. They maintain kindergarten facilities such as a regular classroom, a playroom, and teachers' room in independent spaces. 2) The surveyed affiliated kindergartens can be classified into 3 types according to location: an independent building, a whole floor, and a part of a floor. The most common is a part of a floor type (14 kindergartens), but this type of set up significantly interferes elementary school classes which are located right next to them. Affiliated kindergarten classes are also restricted by limiting children's free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lacing a kindergarten in a separate building or on a separate floor, so that classes and other activities of both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would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3) Most kindergartens use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as their regular classroom. In terms of the classroom size, the condition of affiliated kindergartens is not bad considering the numbers of both classrooms and kindergarten students. 4) Most classrooms used by the surveyed kindergartens are regular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Special kindergarten facility areas like those used for snack preparation, teaching material storage, and the space for receiving guests are all placed in one classroom. Since special facility areas could significantly affect children's education, independent spaces for these areas should be established in separate areas such as in a renovated corridor area or in an annexed room. 5) When a kindergarten uses the elementary school facility, it is essential to ensure the safety of children and consider the sizes of the toilet and sink, the height of windows, and other facilities that are designed for the kindergarten children. However, there are only 2 kindergartens equipped with a restroom designed for kindergarten children, 10 kindergartens with a special sink, and only 1 kindergarten with windows designed for this purpose. These examples show such considerations are applied minimally. A separate facility and establishment of standards exclusively for kindergarten facilities are necessary. 6) A kindergarten playroom should face south in order to receive a maximum amount of sunlight. It also needs to be placed in an independent, noise-free space outside the area frequented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in the same school complex.

      • 광주광역시 일부 초등학교 급식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 관련 인식 조사

        정지민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연구를 통해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3곳을 대상으로 초등학생의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2년 12월19일부터 12월 23일까지 실시하였다. A초등학교에서는 260명, B초등학교에서는 180명, C초등학교에서는 60명으로 하여 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결측치(99부)를 제외하여 총 401 부로 집계됐고 회 수율 은 80.2% 였다. 본 연구의 결과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서 수면 시간은 평균 이하인 비율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그에 반해 평균 이상인 비율은 남학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시간이 1시간 미만에 해당하는 비율은 남학생 보다 여학생이 더 많았고 저 체중 비율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 반면 과 체중 의 경우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만인 비율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 조사 대상자의 채소 반찬 섭취 가짓수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덜 다양하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일 섭취 빈도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전혀 먹지 않는 다는 비율이 더 높았다. 콩 두부 섭취 빈도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전혀 먹지 않는 다는 응답이 높았다. 생선 섭취 비율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전혀 먹지 않는 다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햄 소시지 가공 섭취 비율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전혀 먹지 않는 다는 비율이 더 높았다. 라면 섭취 비율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비율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과자 섭취 빈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전혀 섭취 하지 않는 다는 비율이 더 높았다. 성별에 따라 유의 적인 차이를 보인 결과를 정리해 보면 과일 섭취 빈도는 ‘전혀 섭취 하지 않는다’의 경우 남자가 81.5%, 여자가 18.2%로 나타났으며, 육류 섭취 빈도에선 ‘한 달에 1 번 섭취 한다‘ 라는 응답에서 남자가 50%, 여자가 66.7% 로 나타났다. 햄 소시지 등 가공식품 섭취 빈도에서 남자가 11.1%, 여자가 88.9%로 나타났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에 대한 인지 여부의 경우 남학생이 54.7%, 여학생이 45.3% 인 것으로 나타났다. 급식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 ’맛‘을 남학생(56.1%)이 여학생(43.9%) 보다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의 선호도 또한 남학생(57.5%)이 여학생(42.5%) 보다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비율이 더 많았다. 따라서 남학생의 경우 식단을 구성함에 있어 맛과 기호 성 을 더 고려하여 구성하되, 영양소의 균형 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방법에 대한 교육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 더 적극적으로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rough this study,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ere investigated on the overall perception of food waste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9 to December 23, 202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 total of 500 people, with 260 at A elementary school, 180 at B elementary school, and 60 at C elementary school. Excluding the missing value (99 copies), a total of 401 copies were counted, and the recovery rate was 80.2%. As a result of this study, as a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urvey subjects, the rate of sleep time below the average was higher for female students than for male students, whereas the rate above the average was higher for male students. The proportion of female students with less than an hour of exercise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and the proportion of underweight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overweight, the proportion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addition, the rate of obesity was also higher for male students than for female students. The number of vegetable side dishes consumed by the survey subjects was found to be less diverse for male students than for female students. The frequency of fruit intake was also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 The frequency of bean curd consumption was also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 As for the rate of fish intake, male students had a higher rate of not eating at all than fe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age of female students who ate ham sausage processing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n terms of the rate of ramen consumption,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male students was low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nd in the frequency of snack consumption, male students did not eat at all than female students. The frequency of breakfast was the same as that both boys and girls did not eat at all. In the item asking about the diversity of food intake,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had a lower rate of diversity intake than female students. In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food that is not consumed, female students have a higher rate of "eating well" than male students. In the question of the frequency of food intake sold at convenience stores,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intake rate than male students. In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nutritional ingredients were checked,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the highest rate of "not checking at all."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perception of food waste, male students answered "yes" more than female students when asked about the degree to which they thought food waste was the cause of pollution. In addition, in the question of the justification for the occurrence of leftover food after meals, male students answered "yes" more than female students, while male students answered "no." In the question of the experience of receiving education to reduce the balance,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more education than male students.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were more aware than female students in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knew how to dispose of leftover food. As for the types of food left, female students leave the most rice, while male students leave the most soup and stew. In the question of conductivity for new food, 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conductivity rate than fe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rate than male students in the category of asking for acceptance of food they did not like. 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rate than female students in the category of willingness to improve eating habits for weight loss. In the question of what food the survey subjects answered and why, male students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because it was not delicious, because it was disliked," while female students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due to a lot of food distribution" and "due to a lack of meal time." In the question of the degree to which they thought was important in school meals, the percentage of male students who responded that "taste" was very important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terms of nutrition, male students answered "important" more than female students. The percentage of male students who answered that "student preference" was the most important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The percentage of male students who answered that it is very important in "sanit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the question of "experience in reducing leftover education," male students had a higher percentage of experience than female students, and in the question of how to reduce leftove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a higher percentage of "reducing the amount of food." In the question of whether to participate in the residual reduction exercise,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percentage than male students, while male students answered "not participating" overwhelmingly higher than female students. As for the food environment of the survey subjects, the rate of "one to two meals a week" was higher for male students than for female students, and the rate of "not eating at all" was the highest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frequency of eating out was higher for male students than for female students, and in the question of how often they watch food-related videos, male students answered "not interested" more than female students. In the question of the degree to which they think is important in school meals,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56.1%) think "taste" is more important than female students (43.9%). In addition, the preference of students was also more important for male students (57.5%) than female students (42.5%). Therefore,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it is composed in consideration of taste and preference when composing a diet, but it can be seen that more nutritional balance education is needed.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female students will need education on food waste methods more actively than male students.

      • 初等學校 建築設計의 構成要素에 관한 硏究 : 1990年 以後 光州廣域市 懸象設計 當選案을 中心으로

        임경희 朝鮮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34287

        Although the recent design of elementary school by prize competition has received the affirmative evaluations in that it enhances the quality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ries to make the independent educational environment, it has not been recognized as the developmental evaluation because it didn't make the concrete evaluation what was changed by design by prize competition and what features it has in the side of educational environment. However, from the point of time that 10 years passed since the design of elementary schools by prize contest has begun,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architectural planning are classified with the selected works of the design of elementary schools by prize competition, the minimization of trial and error in planning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design of elementary school by prize competition is sought in the side of qualitativ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design contest, the minutes of screening works exhibited containing plan, design examination and improvement matters through the cooperation of East and West Board of Education, Gwangju and design offices selected and the checklists by new construction facility association of school building are collected in order to suggest the data as affirmative and effective design guideline, the types of designs are classified in the side of the whole architectural planning after field survey, evaluation factors of direct and indirect architectural design are summarized with reference to existing preceding research literatures and then the future considerations of design are to be extracted by analyzing the indication and improvement from design screening. In addition, the range of cases are 13 schools for the classification of architectural planning types among the prize winners' works of elementary school design from 1990 to 2000 and 17 schools in Gwangju for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concerns. This study also divides the architectural planning types of elementary schools into layout, unit plan and elevation and analyzes them and the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indication and improvements in examining the design works of elementary school by prize competition divided into five items such as spatial function, engineering, perceptual, visual and location and layout of buildings (29 items in detail) are as follows. It is confirmed through the typ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from the side of architectural planning of elementary school that lately elementary school construction resulted in much development and changes in general compared to the elementary school construction before 1990 and the distribution of much concerns on the spatial function and engineering side of building is shown in architectural planning of elementary school which is to be newly constructed or rearranged, and it is understood that screening committees are dissatisfied with it compared to other items and then much indications and improvement matters are followed. And on other three items, they consider the designers solve the current problems properly and rather it means that designers are concerned on others than the indications by screening committees and the items pointed out by the screening committee should be concentrated. This study deals with the results of prize contest, but more detailed and systematic researches on the influences, conditions of use and satisfaction of interior and exterior space of elementary schols which are changed and developed are required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역량강화 방안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김우봉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284

        현재 한국 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합․불법 합쳐 약 120만으로 우리나라 인구의 2.2%(행안부, 2009.7)에 해당한다. 그리고 국내 전체 결혼 중 국제결혼의 비중은 2009년 현재 10.8%이다. 통계청(2006)에 의하면 2020년에는 20세 이하 인구 5명중 1명(21%)이 다문화 가정의 자녀가 되고, 신생아 3명중 1명(32%)이 다문화가정 자녀가 될 것으로 추정할 만큼 다문화가정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증가는 우리나라의 국가정체성과 새로운 사회문화를 형성하고 통합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역량강화 프로그램은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긍정적 자아 정체성을 가지고 삶에 잘 대처하며 사회적 기량을 펼쳐나가는데 있어 중요한 지지 기반이 될 수 있는 그들의 역량강화방안에 대해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청소년을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은 사회적 역량, 문화적 역량, 인지적 역량, 정서적 역량, 시민적 역량 등을 기본요소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소는 바람직한 청소년상을 정립하고 건전하고 창조적인 삶을 계획하고 사회화과정을 형성해가는 중요한 축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하지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역량강화 프로그램은 일반적이고 획일적인 것이 아닌, 그들의 정서와 가정적 환경 그리고 장차 사회 통합적 측면에서 차별화 할 필요가 있고 국가정책, 유관교육기관, 지역사회, 학교교육으로까지 연계되어 협력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의 다문화가정 정책에 있어서 그 지원계획과 내용이 국가부처별 명칭도 유사하고 중복적인 양상을 보인다. 전문성이 결여된 무체계적이고 즉흥적인 시혜성의 지원보다는 하나의 시스템 안에서 인적 지원, 물적 지원, 정서적 지원, 교육지원, 복지지원, 행정지원, 양육지원, 청소년지원 등을 일원화하여 통합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담 전문가를 양성하고 실무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며 나아가 국가적 관리 및 평가가 필요하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아동기 때부터 상호작용 및 대인관계 회피, 비규범적인 양태, 문화적 정체성의 대립, 행동․심리적 문제, 높은 불안 및 폭력성을 보인다는 연구내용이 있다는 점에서 아동기와 청소년기를 연계하는 정책을 행해야 한다. 또한 그들은 일반학생에 비해 시민의식과 국가민족 공동체의식이 많이 결여된다는(조응태, 2006) 점에서, 국가정체성을 기르는 도덕교육이 시급하다. 더욱이 결혼이주민의 대부분이 공산국가였거나 현재 공산국가(캄보디아, 몽골, 베트남, 중국, 라오스)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광주광역시에서 행하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도 앞으로 이러한 점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활성화는 다문화사회에 있어서 사회 통합적 측면, 문화적 융합을 기하기 위해서라도 중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단순한 문화체험이나 취미생활의 지원에 그치는 것이 아닌, 지역아동센터의 지원확대, 다문화가정 부모의 자녀 교육프로그램개발, 지역청소년 통합지원체계와 연계, 지역 교육기관과의 연계 및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 사범대 및 교대의 다문화 관련 교과과정 신설, 동아리활동, 봉사활동과 연계하는 멘토링 사업, 학교교육에서 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활성화 및 확대실시가 필요하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역량을 강화시킴으로서 그들의 이중 언어문화 자원과 같은 능력도 극대화되고, 사회적 책임과 의무, 자기정체성 및 인도주의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여 평화적인 국가교류를 위한 사회적 자원으로 활약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it was estimated that in the year 2020 one out of five people under the age of 20 (21%) will b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one out of three (32%) newborn babies (32%) will b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creasing numbers of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ll have a substantial influence on establishing a national identity and new societal culture; therefore, integrating those young people through programs designed to maximize their capacity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This article aims at emphasizing plans to maximize the capacity of the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helping them to cope with their lives through establishing the positive self identities and becoming significant assets in society, especially in Gwangju. Programs to maximize the capacity of the youth are based on fundamental factors such as social, cultural, cognitive, emotional and civil capacities. Such factors are imperative in that they help establish desirable images, plan healthy, creative lives and undergo socialization process. However, programs to maximize the capacity of the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not be general and uniform but diversified in terms of their emotions, surroundings and social integration in the near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supported in the field ranging from national policy, educational institutes, local society to school education. Today's multi-cultural families-related policy support plans from different government departments are quite similar in name and tend to be somewhat overlapping. They should be run in a unitary, integrated way within a single system combining such factors as manpower, mater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educational support, welfare support, administrative support, nurturing support, youth support, etc. rather than unsystematic, impromptu support lacking professionalism. Accordingly, dedicated policy managers and experts for this field should be trained. The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end to show confusion caused by their dual cultural identities, emotional instability, violent, non-normative behaviors and lack of personal relationships. Therefore programs for childhood and youth should have unified flow and connection. Ehthics education for the sense of national identity should be provided for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ecause compared with others, they need more the sense of nationalism and community spirit. Therefore, programs provided for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Gwangju Metropolitan City should be supplemented. Meanwhile, some of the 'programs for multicultural-based schools' at elementary schools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urn out to be a plain, tour-like cultural experience or exclusive program in which other parents and students feel discriminated. It is essential to create programs needed for national interest and national unity not by wasting money, but by training experts for the education of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ore local children's centers should be established to maximize the capacity of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l as bring satisfaction to mono-cultural and underprivileged familie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educational programs for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networking educational institutes in the local community, multicultural-related curriculum from education colleges, various club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youth, mentoring projects in conjunction with volunteer work, and textbooks available at schools are needed. Maximizing the capacity of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elps improve their bilingual, bicultural abilities, perform social obligations and duty, have an appropriate value of self identity and humanitarianism, and contribute to a peaceful international exchange socially.

      •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과 행정직원 사기와의 관계 연구 : 광주광역시 공립 초.중학교를 중심으로

        김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42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the principals’leadership styles of the public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ffect the administrative faculties’ morale. This study also aims to provide informative data for the principals when they use their power in order to they can improve school management and achieve the goals of school education efficiently. To accomplish the aims mentioned above, the study analyzes the principals’ leadership styles perceived by administrative faculties; they are classifi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faculties’ gender, experience, responsibilities, rank and title and the level of school. It also examines differences among the faculties and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als and the administrative faculties’ morale.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administrative faculties who work at public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re as follows. First, all administrative faculties perceived their principal the efficiency-oriented leadership style 34.5%, the human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style 14.9%, the task-oriented leadership style 23.4% and the inefficiency-oriented leadership style 27.2%. According to faculties’ background factors, faculty members who have worked over 11 year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ir principal as possessing an efficiency-oriented or human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style, and faculty members who have worked less 10 year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 leadership style of their principal task-oriented and inefficient. Clerical workers tended to perceive the principal the efficiency-oriented style more than technical officers. High-ranking faculty members (higher than 7th) tended to see their principal as an efficiency-oriented leader whereas those ranking lower (lower than 8th) tended to feel leadership style of the principal task-oriented and inefficient. Second, the administrative faculties’ overall morale rate was 3.036 higher than an average 3.0, job satisfac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morale and others such as a sense of belonging, the pride of the job and spiritual bonds were following. The morale of faculty members with more than 11 years’ experience was higher than that of faculty members with less than 10 years’ experience, and the morale of higher-ranking faculty members (7th) was better than that of lower-ranking faculty members (8th). Third, the administrative faculties’ morale, according to the principal’s leadership style, differed significantly (p<0.001). Taking all factors into consideration, the administrative faculties’ morale rate showed higher with the efficiency and human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style whereas the morale rate with the task and inefficiency-oriented leadership styl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1. On the leadership style of principal perceived by administrative faculties, the choosing ‘efficiency style’ shows the highest rate, the rate of choosing ‘human relationship style’ is the lowest and the rate of the task-oriented style was as high as that of the inefficiency style. On the one hand, it is good that the principals are likely to be perceived as efficiency-oriented leaders, while on the other hand it is problematic that 27.2% of faculties perceive principals as inefficient. In reality, the democracy and autonomy of school management has been emphasized and, as a result, principals need to change their leadership style from the inefficiency-oriented to efficiency-oriented and human relationship-oriented. 2. The morale of administrative faculties with more experience and in higher ranks tends to be higher whereas the morale of the staff with less experience and in lower ranks is likely to be lower. With more experience and a higher ranking, the staff pays attention to school administration and social suppor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orale, whereas with less experience and a lower ranking, the faculties feel relative deficient regarding various working conditions such as social status and treatment, which thus has a negative effect on morale. Principals need to exercise leadership while considering the staff’s experience and rank. 3. The leadership style of a principal is closely related with the faculties’ morale. The morale of the administrative faculties is higher when they are exposed to an efficiency-oriented or human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style of the principals; therefore principals need to focus their leadership style on human relationships as well as daily tasks. In other words, Principals must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completion of tasks and the maintaining of human relationships. The morale of the faculties can be promoted through principals’ efforts; the efficient achievement of tasks will be gained by interaction between the principal and faculties. With this study,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and the morale of the administrative faculties can be found. Therefore, principals are expected to demonstrate their leadership in an effective way and raise faculties’morale in order to encourage them to support teachers well. Principals need to pay attention and make constant efforts to reach educational goals of their schools efficiently. Thus, when managing the school system, principals should try not to be bureaucratic and hierarchical. Instead they are expected to re-train themselves to be leaders who can enhance not only the task-oriented leadership but also the human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style.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이 행정직원의 사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 학교행정가인 학교장의 리더십 행사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여 학교 경영능력을 향상시키고 학교 교육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행정직원의 배경변인(성별, 경력, 직종, 직급, 근무 학교급)에 따라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을 분석하고, 행정직원의 사기 정도의 차이를 분석하며,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과 행정직원 사기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광주광역시 관내 공립 초·중학교에 근무하는 행정직원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전체 행정직원이 인식하는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은 효율형 리더십 34.5%, 인화형 리더십 14.9%, 과업형 리더십 23.4%, 비효율형 리더십 27.2%로 나타났다. 행정직원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경력 11년 이상인 경우에는 효율형, 인화형 리더십 유형으로 10년 이하에서는 과업형과 비효율형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일반직의 경우는 기능직에 비해 효율형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7급 이상은 효율형으로 8급 이하는 과업형, 비효율형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둘째, 행정직원의 전체 사기는 3.036으로 평균치 3보다 약간 높았으며 사기요인별로는 직무만족이 가장 높았고 직장에 대한 귀속감, 행정직에 대한 긍지, 정신적 유대감 순으로 나타났으며, 경력 11년 이상인 경우는 10년 이하 보다 높았으며, 직급 7급 이상인 경우는 8급 이하에 비해 높았다. 셋째,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행정직원의 사기의 정도는 p<0.001의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바, 행정직원 사기는 모든 요인에서 효율형과 인화형 리더십의 경우에 만족도가 높는데 반해 과업형과 비효율형 리더십은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행정직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은 효율형이 가장 높았고 인화형이 가장 낮았으며, 과업형과 비효율형은 비슷하게 나타나 효율형의 비율이 높은 것은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나, 비효율형의 비율이 27.2%나 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 학교경영의 민주화, 자율화가 강조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학교장의 리더십은 비효율형 리더십에서 효율형·인화형 리더십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둘째, 행정직원의 경력이 많거나 직급이 높은 경우 사기가 높게 나타나고 경력이 적거나 직급이 낮은 경우에 사기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경력이 많거나 직급이 높을수록 사기가 높은 것은 이들은 학교행정에 대한 관심도와 이해가 높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원도가 높아 사기에 호의적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으며, 반면에 경력이 적거나 직급이 낮을수록 그들에게 제공되는 사회적 지위나 물질적 대우 및 그 밖의 여러 가지 근무조건에 대하여 상대적 빈곤감을 느껴 사기요인에 비호의적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학교장은 행정직원들의 경력과 직급을 감안하여 리더십을 행사함이 필요하겠다. 셋째,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은 행정직원의 사기와 밀접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직원의 사기는 학교장의 효율형과 인화형 리더십에서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학교장은 과업차원만이 아니라 인화차원도 비중을 두어 리더십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즉 학교장은 과업차원과 인화차원을 조화 내지는 제고시키는 방향에서 리더십을 발휘하여 행정직원의 사기를 앙양시켜야 할 것이며 이 같은 학교조직 풍토에서는 학교장과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과업수행의 효율이 극대화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장의 리더십은 행정직원의 사기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교장은 효과적인 리더십 발휘로 행정직원의 사기를 높여 교단지원 업무를 활성화시키고 이를 통해 학교의 교육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꾸준한 노력과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즉 학교장은 학교경영을 하는데 있어서 앞으로는 관료적이고 지시 일변도 리더십을 지양하고 과업차원 뿐만 아니라 인화차원 리더십도 증대시키는 지도자가 되기 위해 꾸준한 자기연수와 재교육의 기회를 갖도록 노력해야 한다.

      • 敎育施設의 남정배치방안에 관한 考察 : 光州市 高等學校를 中心으로

        윤선호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33245

        The aim of research consists in making a study of proper placement of liberal high schools on the basis of analyses of using actual condition and location. The result is like these. First of all, the analysis of using accrual condition has it that it takes 60% high school students much time to go to school This is why the distance from home to school is very far apart Also the rest of students are not assigned for near schools but far-off schools. Therefore, most of the students must make use of various of traffic facilities owing to the long distance. There must be improvement that schools will be arranged properly and students assigned by schools. Secondly, In question about reasonable distance of school, high school students think that kindergartens must be within 400m, elementary schools 600m, middle schools 100m and high schools 1500m. Their thoughts are in accord with the reasonable distance of documentary records The problem is that the actual distance of attending school is much longer than reasonable distanc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and reasonable distance is very excessive in high schools For that reason, the facilities of middle and high schools must be located appropriately as soon as possible Thirdly, the facilities now are centered on the urban center.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development of suburbs, there is a serious gap between the area of facilities and residential area, so that there must be plans of moving school. The plan of moving school must be dealt with matters of policy Fourthly, Zoning Kwangju into 17 and analyzing placement distribution of high school, only 5 zones are proper, six zones must be established and the rest of zones must be moved Zones which school moving has to be required centralize upon most facilities and are located in the heart of a city. The proper zones have many places of the sub-center. Zones which must be established includes the areas of residential development inn the suburbs. Fifthly, As a result of analysis of appropriateness of placement distribution, locations which will be established are selected by programming of John R. Ottensmann. As two, nine and eleven zones don't have any facilities, places of one or two facilities are calculated. 14 zone has some facilities, so the places of two, there, and facilities are calculated. In the case of 14 zone, calculated location is like facility location of present. To be acted to the best of educational facilities, reasonable standard and placement model, performing major function of zone of life in connection with the plan of zone of life will be required. And location model program which is composed of quantitative·qualitative variable must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