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교 음악감상 수업의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 광주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plans of listening to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 in centering Gwangju metropolita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188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음악 교육은 음악 감상으로 부터라는 말이 있듯이 학교 교육에 있어서의 음악 감상 교육은 학생들의 심미적 체험을 통하여 풍부한 미적 경험을 갖도록 하며 바람직한 인격형성을 위하는 현...

      음악 교육은 음악 감상으로 부터라는 말이 있듯이 학교 교육에 있어서의 음악 감상 교육은 학생들의 심미적 체험을 통하여 풍부한 미적 경험을 갖도록 하며 바람직한 인격형성을 위하는 현대 교육의 목표에도 부합되는 가장 근본적인 교육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음악 교육은 가창, 감상, 기악, 창작의 네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감상 영역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실제 학습 현장에서는 대체로 가창을 중심으로 한 표현학습 위주로 음악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의 표현능력의 개발은 되고 있으나 감상 능력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표현능력에 비해서 열등한 상태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더구나 감상 영역은 어느 영역보다 창조력, 표현력, 감수성을 개발하는 데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만 현장의 실태는 감상교육이 충실히 이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 교육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찾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 범위는 광주광역시 소재 8개 초등학교의 교사 2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음악 감상에 대한 교사의 흥미 및 관심은 어떠한가?
      둘째, 음악 시간 운영에 대한 관심과 주 활동 영역은 무엇인가?
      셋째, 음악 감상 수업의 교수 - 학습 지도 측면은 어떠한가?
      넷째, 음악 감상 후의 정리 활동 및 평가는 어떻게 하는가?
      다섯째, 학교 음악 감상 시설 및 자료 보유의 실태는 어떠한가?
      여섯째, 음악 감상 교육의 어려운 점 및 개선 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로 설정하여 29문항의 설문을 작성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의 대부분이 음악 감상의 기회를 특별한 경우 외에는 갖고 있지를 못하였고, 90%이상이 가창 영역에 관심을 갖고 활동하고 있었으며, 음악 시간에 대한 자신감을 대부분 갖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감상 영역의 지도에는 교사들의 음악에 대한 이해도 부족으로 대부분 자신감을 갖지 못하여 감상 학습의 진행에 어려움을 갖고 있었으며 이미 프로그램화되어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음악 수업 자료를 단순히 컴퓨터 마우스의 클릭만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따라 오도록 하면서 진행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때문에 감상 학습에 맞는 수업 진행은 찾아보기 쉽지가 않았고 교재에 있는 감상곡을 제대로 다루지 않고 지나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상 수업 후에 평가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나 대부분 감상문을 쓰게 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사들이 감상 교육이 목표는 알고 있었고 감상 교육이 학생들의 바람직한 인격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을 하였다.
      감상 학습을 위한 학교의 시설이나 학습 자료도 제대로 갖추고 있지 못해 심각한 상태로 나타났다. 또한 감상 교육의 정상화를 묻는 물음에는 시설 및 자료의 보완과 교사들의 지도력 신장을 위한 계속적인 연수 활동을 강화시켜야한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태의 조사를 통한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을 하였다.
      첫째, 음악 교육의 정상화와 음악 감상 학습의 효율을 꾀하기 위해서는 시청각 자료, 멀티미디어 도구, 음향 시설 등의 음악 교육적 환경의 개선 및 시설, 자료의 확충과 재정적인 투자가 요구된다.
      둘째, 학교 측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아래 교사들의 음악적 자기 계발을 위한 음악적 활동과 다양한 감상 지도 방안에 대한 연수의 기회가 확대되어야한다.
      셋째, 학교에서의 감상 학습은 대부분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교사용 지도서의 감상곡 지도내용에 대한 분석이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넷째, 학교에서의 집단적인 감상 수업이 개인적인 음악 감상 능력을 무시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개별적 감상 학습을 위한 지도 방안이 연구 되어야한다.
      다섯째, 학생들의 정서 순화와 심미적 체험을 위해서 음악 감상 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학교와 사회의 인식의 전환과 교사 자신의 연주활동 참여 및 연주회 참여와 학생들의 연주회 참여 권고 등 음악을 평소에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갖도록 하는 것과 음악 감상 기회를 계속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해야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ke the saying that a music education begins with a music appreciation, the education on music appreciation in terms of a school education can be the most fundamental educational activity to provide students with abundant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Like the saying that a music education begins with a music appreciation, the education on music appreciation in terms of a school education can be the most fundamental educational activity to provide students with abundant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their aesthetic experience and to be in line with the goal of a contemporary education to form a desirable personality.
      The music education is conducted in four areas of singing, appreciation, instrumental music and creation. And the appreciation area is on a gradual increase. However, in a practical learning field, the music education is generally conducted on the basis of an expression learning focused on singing. As a result, while the students' expression ability is developed, it is true that the appreciation ability is in an inferior state to an expression ability due to several causes. Moreover, although the appreciation area has a greater effect on developing a creative power, expression ability and sensibility than any other areas, it is not true in an actual condition in the fiel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music education conducted in the field, find out the problem and prepare the means to improve.
      The coverage for this study was 281 teachers at the 8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issues were as follows:
      First, What do you think of a teacher's interest and concern for music appreciation?
      Second, What is the interest on operation of music class and the main area of activity?
      Third, What do you think of the aspect of teaching- learning guidance in a music appreciation class?
      Fourth, How is the wrap-up activity and evaluation conducted after the music appreciation?
      Fifth, What do you think of the actual condition on a school's music appreciation facility and material maintenance?
      Sixth, What do you think of the difficulties in the education of music appreciation and the means to improv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29 questions prepared.
      As a result almost of teachers seldom have music appreciation chance and 90% of teachers are concerned singing field, they don't have self-confidence in music lesson. In music appreciation field, teachers feel difficulty when they progress the music appreciation lesson because they don't make sense of music well. Almost teachers use music educational material by click the mouse which are programed on the internet. So it was very hard to find the proper lesson progress in music appreciation and teachers skip the appreciation melody in classes. After music appreciation lesson, evaluation methods are variety but teachers use writing a description of student's impressions. However most of teachers know aims of music appreciation lessons, and they answered music appreciation lessons have a good effect to students desirable personalities.
      Lack of School facilities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music appreciation lessons are serious. How to normalize the music appreciation lessons-teachers answered that supply for school facilities and educational materials and study and training the teachers continually for upgrade the teaching skills.
      I suggested these methods for improvement by thi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First to normalize music education and efficiency of music appreciation, we need to improve music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sight and hearing materials, multimedia tools, auditory equipments, to make good facility and material and to get financial investment.
      Second, under positive support and cooperation by school, all the teachers have many chances to get training consists of musical activities and various appreciation teaching methods for their musical self-development
      Third, we have to analyze teaching contents of appreciation songs in teaching manual book deeply because appreciation learning in school is centering on teaching manual book.
      Forth, we have to study teaching methods for individual appreciation learning because a collective appreciation lesson in school ignores student's individual music appreciation ability.
      Fifth, to make students purify their emotions and get aesthetic experiences, we need conversion of school and society about importance of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We have to give students have many chance to contact music on ordinary times(such as teacher's direct participation of performing musical instrument and concert, and suggestion for student to take part in concert) and to appreciate music continual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표목차 = ⅴ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표목차 = ⅴ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방법 및 제한점 = 2
      • Ⅱ. 이론적 배경 = 3
      • 1. 음악 감상의 의의 = 3
      • 2. 음악 감상 교육의 목표 = 6
      • 3. 음악 감상 교육의 내용 = 7
      • 4. 음악 감상 교육의 단계 = 12
      • 5. 관련 선행 연구 분석 = 14
      • Ⅲ. 연구의 절차 및 방법 = 16
      • 1. 연구 문제의 설정 = 16
      • 2. 조사 도구의 선정 = 17
      • 3. 조사 대상 = 17
      • 4. 자료 수집 및 처리 = 17
      • Ⅳ. 결과 및 분석 = 18
      • Ⅴ. 결론 및 개선 방안 = 36
      • 1. 결론 = 36
      • 2. 개선방안 = 39
      • 참고문헌 = 40
      • ABSTRACT = 42
      • 설문지 = 4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