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청사건축에서 나타나는 탈권위주의에 관한 연구 : 1995년 이후 건립된 한국 광역 시청사의 광장과 입면을 중심으로

        이호승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방자치단체가 한국 사회의 변화에 따라 공공건축에 대한 탈권위주의적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무엇이 권위주의적 디자인을 구성하는지에 대한 일반적인 공감대가 형성된 것과 달리 탈권위주의적 디자인에 대한 의견은 다양하다. 따라서 한국의 탈권위주의적 건축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1995년 이후 광역시청 건축에서 새롭게 부각 된 전면광장을 중심으로 6개 광역시의 시청사를 분석하였다. 지방자치제 재시행 이후 광역시청의 광장은 점차 시청에 종속된 디자인 요소가 아닌 독자적인 디자인 요소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전면의 빈 공간에서 바라보면 대구광역시청을 제외한 모든 광역시의 입면은 공통적으로 지붕을 강조한 디자인을 활용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995년 이후에 지어진 광역시청에서는 입면을 세 부분으로 나누었고 그중 비중이 가장 큰 중간 부분은 투명함과 단순함을 강조했다. 2000년 이후 광역시들은 비대칭을 추구했지만, 동시에 곡선을 활용하여 균형을 맞추려 했다. 광장과 시청 입면의 정량적 비례관계를 나타내는 공식 H/θ를 적용하면 지방자치가 등장한 후 광역시청만 평균 2.57로 수렴하고 분산은 0.007에 불과하므로 시청 간에 H/θ값은 거의 동일하다. 광역시의 설계는 1995년 지방자치 시행 전후로 구분할 수 있으며, 광장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요동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2000년대 초반 이후 한국 사회가 추구하는 탈권위주의적 사회의 특성과 일치한다. 이번 발견이 탈권위주의적 공공청사건축 설계를 이해하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In line with the changes in Korean society, it is clear that munipal governments advocate a post-authoritarian direction for public architecture. However, unlike the general consensus on what constitutes authoritarian design, opinions vary widely on what post-authoritarian design is. Therefore,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Korea's post-authoritarian process in architecture, the designs of six metropolitan citie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front plaza that has prominently emerged in metropolitan city hall architecture since 1991. Starting in the 2000s, the front plaza of the metropolitan city hall began to be used as an independent design element, not as a design element subordinate to the city hall. When viewed from an empty space in front, all metropolitan cities except Daegu City Hall commonly advocated a design that emphasized the roof. However, in metropolitan city halls built after 1991, their facades were divided into three parts, with the largest middle part emphasizing transparency and simplicity. After 2000, metropolitan cities pursued left and right side asymmetry, but tried to balance the sides by using curves. When applying the formula, H/θ, which represents a quantitative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laza and the facade of city hall, only the metropolitan city hall converges to a factor of 2.57 after the emergence of local autonomy and the variance is only 0.007, so it is virtually the same between the city halls. Therefore the design of metropolitan cities can be classified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in 1991, and a clear trend was found when analyzed focusing on the plaza. It is hoped that this discovery will serve as a cornerstone for understanding the post-authoritarian design of public architecture.

      • 지방자치단체장의 평판과 정치적 신념일치가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광역시장에 대한 재투표를 중심으로

        엄혜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Impact of reputation and political belief of local government head on voter’s voting intention -Mostly about re-voting for mayors of metropolitan cities - Uhm, hye jin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Sung Kyun Kwan University The local government system in Korea has reached maturity since the system started in1995 and the fifth head s of local government elected by popular vote took office in 2010. Now the roles of the head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ever because how they play their roles determines the future of their government an d affects the quality of living of the local residents. So, if we can develop a reputation scale for the heads, it could be a useful tool to objectively evaluate them.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reputation scale specifically targeting the mayors of four metropolitan cities and examined how their reputation and conformity degree of political beliefs affect voting intention of local residents. To do so, we developed a reputation scale by identifying factors comprising the reputation of the mayors and measured the reputation indexes for them. Also, we monitored the impact of the conformity degree of political belief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considered by voters when voting for a candidate, on voting intention and verified whether there is any interaction between reputation and conformity of political beliefs. Then,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utation and conformity of political beliefs, and the impact of their reputation and conformity on voting intention of local residents. In summary, we identified factors comprising the reputation of the mayors of metropolitan cities. Then, we refined reputation factors and items by studying reference material and conducting prior research and verified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factors and items based o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s a result, we came up with five factors and 19 items as a reputation scale for the mayors. Based on the details of questions to measure each factor, the five factors are named as morality, political ability, leadership, communication skill and administrative ability factors. We calculated the reputation index for four mayors of metropolitan cities in this research and as a result, Kim Beom Il, mayor of Daegu City is ranked first ; followed by Song Young Gil of Incheon. Park Won Sun of Seoul and Kang Un Tae of Gwangju are ranked third and fourth, respectively. In terms of how much each factor affects voting intention, morality matters most, followed by administrative ability, political ability,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skill. The research indicates that the conformity of political beliefs between a mayor and a voter makes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voter’s voting intention. Also, there is a significant interplay between the reputation of a mayor and the conformity of political beliefs between the mayor and a voter. We examined the impact of the reputation and the conformity of political beliefs on voting intention based on the assimilation and contrast effects of the social judgment theory and found out that the voters who think highly of their mayor show assimilation effect by accepting his message while those who think badly of him display contrast effect by rejecting his message. In conclusion, the reputation factor has more impact than the conformity of political beliefs when voters decide whether to vote for or against the mayor of their city. 지방자치단체장의 평판과 정치적 신념일치가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역시장에 대한 재투표를 중심으로 1995년 본격적인 지방자치 시대가 열린 이래 2010년에는 민선 5기 지방정부가 출범하며 우리나라는 지방자치제가 성숙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평가되고 있다. 단체장이 어떻게 역할을 수행하느냐는 해당 자치단체의 미래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주민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단체장의 역할은 점차 더 커진다고 보아야 한다. 이처럼 점점 중요해지는 지방치자단체장의 평판 척도를 개발한다면 지방자치단체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장 중 광역시장을 분석 대상으로 광역시장의 평판 척도를 개발하고, 광역시장의 평판과 정치적 신념 일치도가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광역시장의 평판을 구성하는 요인을 도출해 광역시장의 평판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했으며, 개발된 평판 척도로 분석대상인 광역시장들의 평판지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유권자들이 후보자에게 투표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고 있는 정치적 신념 일치도가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시 한 번 확인했으며, 평판과 정치적 신념 일치 사이에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 지를 검증하였다. 이후 두 독립변인인 광역자치단체장의 평판과 정치적 신념 일치도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평판의 높고 낮음과 정치적 신념의 일치여부에 따라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우선 광역시장의 평판을 구성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도출하였다. 기존에 광역시장의 평판에 대한 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문헌고찰 및 사전조사를 거쳐 광역시장의 평판을 구성하는 항목을 정제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요인과 항목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최종 5개의 요인, 19개 항목을 광역자치단체장의 평판 척도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인은 각 요인별 측정문항의 내용을 고려하여 도덕성 요인, 정치적 능력 요인, 리더십 요인, 소통력 요인, 행정력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분석대상인 4명의 광역시장에 대한 평판지수를 산출한 결과 종합 평판지수는 김범일 대구시장이 1위, 송영길 인천시장이 2위, 박원순 서울시장이 3위, 강운태 광주시장이 4위로 나타났다. 광역시장의 평판 요인별로 투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본 결과, 다섯 개의 요인 가운데 투표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도덕성이며, 다음으로 행정력>정치적 능력>리더십>소통력 순으로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역시장과 유권자의 정치적 신념 일치 여부에 따라 투표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역시장의 평판과 광역시장과 유권자와의 정치적 신념 일치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평판과 정치적 신념일치도가 독립적으로 투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각 변인에 따라 서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광역시장의 평판과 정치적 신념 일치도에 따라 투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사회적 판단이론의 대조 동화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광역자치단체장에 대한 유권자의 평판이 높은 유권자들은 후보자의 메시지에 대한 수용층으로 동화 경향이 나타나고, 평판이 낮은 유권자들은 거부층으로 후보자의 메시지에 대해 대조 경향이 나타났다. 결국 유권자들이 광역시장 후보자에 대한 투표의도를 결정하는데 있어 평판요인이 정치적 신념의 일치 여부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 인천광역시 중소기업을 위한 산업디자인지원정책의 효율화 방향

        최양현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As the globalization is accelerated due to expansion of free trade, corporations are changing their basis for competition from the cost to the quality, technology, design and the like in order to survive fierce international competition. As the paradigm of corporate decision-making is shifting from the producer-centered to the user-centered, intangible assets such as design and intellectual property are on the rise as major decision factor of corporate competitiveness. In 2011,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current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reported the importance of design value as follows: “In 2005, the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was 13.9 persons in design, 9.9 persons in automobile, and 4.5 persons in semiconductor and it means that design sector has far superior employment inducement rate to the other industries, and design investment has sales increase effect about three times more than general R&D and makes added value about twice more than automobile, semiconductor and other manufacturing industries.” We can see from this that design is a new momentum in the economic growth which is one of the most efficient strategies for the creation of employment. It is investigated that design has great influence in national competitiveness measuring element such as stock price as well as sales increase and creation of employment by developing new market and securing loyal customer. In 2007, UK Fast Company compared UK stock price rising rates of top 100 companies of stock price and leading design companies from 1994 to 2007, and it was analyzed that leading design companies have about twice as fast stock price rising rate. Meanwhile, Helsinki University (2008) presented in ‘Global Design Watch’ that national design capability measured through indexes like ‘corporate design R&D investment rate and capability for innovation’ was proportional to national competitiveness suggesting that the design capability can be evaluated as a national developmental asset over corporate domain. In addition, a New Zealand government-affiliated design promotion agency, BBD(Better by Design) published an article titled “Design or Die” in a periodic publication, and British Prime Minister Margaret Thatcher expressed the importance of design for national economy revival with the words “Design or Die” in the first cabinet meeting after her inauguration in 1979. In this way, the importance of design carries political value to secure national competence as well as management strategy that decides a company's survival and growth and so advanced countries like UK, Germany and Japan drive various kinds of design supporting policy. Korea's design supporting policy began with industrial support to secure competitiveness of export goods in 1960s and was strongly driven by the government; it is evaluated to have contributed so greatly on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national image improvement that developing countries consider introducing the policy model. However, it is actually a quantitative result-centered short-term policy mainly pivoted on a few special agencies entrus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rather than a coexistence model in which private organizations and various classes participate. Beside its eye-opening quantitative growth, qualitative competitiveness is quite behind that of advanced countries, and so it is urgent to prepare policy advancement plans to cope with pressing changes in global market environment such as FTA market-opening and rapid growth of BRICs. The first thing that should be improved is to guarantee the independency of policy enforcement themes and to struggle for creative policy enforcement. Korea seems to have built decentralized policy model of advanced country by establishing Regional Design Center and operating Design Innovation Center in each university but actually the central government assists a budget and manages the results thereby operating it in typically centralized model. Such a situation is not different with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other similar-sized metropolitan cities of the same administration unit. Incheon is a city located in the middle of Korean peninsula and has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field of cargo logistics with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Incheon Port; it has geographical advantage of being adjacent to China with 1.3 billion population and Japan with 130 million population. Appointed as ‘Free Economic Zone’ in August 2003, Incheon Metropolitan City attracted ‘Green Climate Fund secretariat’ in October 2012 and ‘the World Bank Korea Office’ in October 2013 as well as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f UN; it holds 2014 Asian Games with economic ripple effect and improves international status with high development possibility. The Bank of Korea, however, announced in its competitiveness research on 6 metropolitan cities of Korea (2011) that Incheon more depends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an knowledge service industry compared to the other metropolitan cities; as its per capita added value is low and due to its heavy dependence on the automobile, machinery and steel industries, it is urgent to accelerate its existing manufacturing industry structure. There are about 150,000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are stationed in 10 industrial complexes including Namdong Techno Valley and Songdo Knowledge and Information Industrial Complex; however, about 140,000 small enterprises have 10 or less employees taking up 93% of entire enterprises and they show parts industry-oriented structure. Especially, about 680,000 people which take up 24.6% of entire citizens are working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showing high dependence on th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for living. In this way, Incheon overcomes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problem of scale and industry's structural problem with locational advantage and makes every effort to reform itself into an international city by fostering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such as industrial design. Incheon formed ‘Design Industry Development Council’ in 2003, designated ‘PM Project of Industrial Design’ in 2004, enacted ‘Industrial Design Promotion and Support’ ordinance in 2005, and established a design support center with its own budget in 2010 without any support from central government showing more vigorous movement than other metropolitan cities; also, Incheon has supported 502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or design development, 1,247 persons for design education, and 75 persons for international exchange of technology from 2004 to 2013 with KRW 18.15 billion of budget. Thanks to this record, the policy proceeding budget (annual average is more than KRW 300 million) and number of applying enterprises (46 enterprises in 2004 → 199 enterprises in 2013) are sharply increasing every year. However, Incheon highly depends on the central government's budget support to operate the industrial design support policy due to its difficult financial situation. Incheon has to take evaluation for quantitative performance record such as the number of supporting compared to annual budget and also has to evaluate special policy agencies such as Incheon Design Support Center, Incheon Techno Park, and Regional Intellectual Property Center with the same method. The agencies perform policies by force to preoccupy limited budget of Incheon making problems such as waste of budget due to overlapped budget projects, administrative practice for performance management disabling quality control of design results. Moreover, the policy operation is unstable in the aspect of policy operation as in-depth approach toward support policy performance analysis and enterprise request investigation has been insignificant. Despite difficult financial situation, Incheon exposes will such as preparing basis for the industrial design supporting policy and has made various performance results though it is focused on quantitative performances. Therefore, it is time to think about a direction for policy operation to develop policies considering local industr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to operate them efficiently, and the following measures shall be implemented for that purpose. Firstly, verify the result of supporting policies that Incheon has implemented so far, and if the result's efficiency is proved, investigate demands and requests from beneficiaries of the policy to plan future policy and prepare 'frames' to analyze them. Secondly, organize relevant legal system so that supporting policies can be operated for a long time in future-oriented point of view and necessary budget shall be secured. For this, it is necessary for the policy-related subjects to be aware of design value and so various measures such as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 ‘holding seminar’, ‘discovering successful cases’ should be developed. Thirdly, create win-win energy through collaboration of design related persons in Incheon region so as to link it to development in industrial design sector by building ‘a participation system of design governance concept’. The core contents of system building shall be the role allocation with public institution so that Incheon city's supporting policy can be improved into satisfaction-oriented 'customized supporting policy' by composing horizontal network model. Fourthly, Incheon city's design capability reinforcement. Incheon city shall prepare a basis to grow into a design-leading city by driving ‘securing design autonomy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tensifying capability of design provision basis (design firm, freelance designer)’, ‘intensifying design participation in Incheon city's driving plan 자유무역의 확대로 글로벌화가 가속화되면서 기업은 치열한 국제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안으로 경쟁의 기반을 원가에서 품질, 기술, 디자인 등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기업의 의사결정은 생산자중심에서 사용자중심의 패러다임으로 전환되면서 디자인, 지식재산 등 무형자산이 기업경쟁력의 중요 결정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2011년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는 디자인가치의 중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보도한 바 있다. “2005년 고용유발계수는 디자인 13.9명, 자동차 9.9명, 반도체 4.5명으로 디자인의 고용유발율이 타 산업에 비해 월등히 높고, 디자인투자는 일반 R&D에 비해 3배 수준의 매출증대효과가 있으며 자동차, 반도체 등 제조업 분야보다 약 2배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디자인은 경제성장의 새로운 모멘텀으로 수익과 고용창출에 가장 효율적인 전략 중 하나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디자인은 신 시장 개척과 충성고객 확보를 통해 매출증가와 고용창출 효과 외에도 주가(株價)와 같은 국가경제력 측정요소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2007년 Fast Company는 영국의 주가 상위 100대 기업과 디자인선도기업의 주가상승률을 1994년부터 2007년까지 비교한 결과, 디자인선도기업이 약 2배 더 빠른 것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헬싱키대학(2008)은 ‘Global Design Watch’에서 ‘기업의 디자인 R&D 투자비율, 혁신을 위한 역량’ 등의 지표를 통해 국가의 디자인역량을 측정한 결과, 국가 경쟁력과 비례하는 것으로 발표하여 디자인역량이 기업영역을 넘어 한 국가의 발전적 자본으로 평가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뉴질랜드 정부산하의 디자인 진흥기관인 BBD(Better by Design)의 정기 간행물에서 “Design or Die”란 제목의 글을 게재한 바 있으며, 영국의 마가렛 대처 수상은 1979년 취임 후 첫 각료회의에서 “Design or Die”라는 말을 통해 국가경제 부흥을 위한 디자인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 이처럼 디자인의 중요성은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결정하는 경영전략은 물론,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적 가치를 지니게 되어 영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디자인지원정책은 1960년대 수출상품의 경쟁력확보를 위한 산업지원으로 시작되어 국가 주도로 강력하게 추진되어 온 결과, 산업발전과 국가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어 경제신흥국들이 정책모델도입을 검토하는 등 모범사례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민간단체를 비롯한 다양한 계층의 참여를 통한 상생모델이라기 보다는 산업통상자원부의 권위를 위임받은 몇몇의 전담기관을 주축으로 정량적 성과 중심의 단기적 정책으로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양적으로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질적 경쟁력에 있어서는 선진국에 비해 뒤쳐지고 있어 FTA 시장개방, BRICs의 급속한 성장 등 글로벌 시장 환경의 급박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책선진화를 위한 방안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가장 먼저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정책추진 주제들의 독립성 보장과 창의적 정책실행을 위한 노력일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역디자인센터를 설립하고 각 대학별로 디자인혁신센터를 운영하는 등 선진국의 분권형 정책모델을 구축한 듯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중앙정부가 예산을 보조하고 그에 대한 성과를 관리하는 등 대표적인 중앙집중형 모델를 운영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인천광역시를 비롯하여 규모가 비슷하고 행정단위가 같은 타 광역시들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인천은 한반도의 중심에 위치한 도시로써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 등 화물물류분야에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13억 인구의 중국, 1억3천만 인구를 가진 일본과 접근성이 가장 용이한 지리적 강점이 있다. 2003년 8월 ‘경제자유구역’지정, 2012년 10월 ‘녹색기후기금 사무국’과 2013년 10월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등 UN의 대형 국제기구를 유치하였으며 2014아시안게임을 개최하는 등 경제적 파급효과와 더불어, 국제적 위상도 향상되어 발전가능성이 매우 높은 도시이다. 그러나 한국은행(2011)은 6개 광역시의 경쟁력 조사에서, 인천은 타 광역시에 비해 지식서비스산업보다는 제조업의 비중이 높아 1인당 부가가치가 낮고 자동차, 기계, 철강산업 등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기존 제조업의 구조고도화가 시급하다고 밝히고 있다. 남동국가산업단지와 송도지식정보산업단지를 비롯한 10개의 산업단지에 15만 여개의 중소기업이 입주해 있으나 10인 이하의 소규모 기업이 14만여 개로 93%에 달하고 있으며, 부품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보이고 있다. 특히, 시민의 24.6%인 68만 명이 중소기업에 종사하고 있어 중소기업에 대한 생계의존도가 높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인천은 중소기업의 규모적 문제와 산업의 구조적 문제들을 입지적 장점으로 극복하여 국제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산업디자인과 같은 지식기반서비스산업 육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인천은 2003년 ‘디자인산업발전협의회’ 구성, 2004년 ‘산업디자인의 PM사업 지정’, 2005년 ‘산업디자인육성 및 지원’ 조례 제정, 2010년 디자인지원센터를 중앙정부 지원없이 자체예산으로 설립하는 등 타 광역시에 비해 활발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81.5억 원의 예산으로 중소기업 디자인개발지원 502개 기업, 디자인교육지원 1,247명, 국제기술교류지원 75명하는 등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추진실적에 힘입어 정책추진예산(매년 평균 3억 원 이상)과 신청기업 수의 증가추이(2004년 46개사 → 2013년 199개 사)도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은 재정상황이 어려워 산업디자인지원정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예산지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매년 예산 대비 지원 건 수 등 정량적 실적에 대한 평가를 받아야 하며 인천디자인지원센터, 인천테크노파크, 인천지식재산센터 등 정책 전담기관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해야 하는 상황이다. 전담기관들은 인천의 한정된 예산을 선점하기 위해 무리하게 정책을 실행하여 지원사업 중복으로 인한 예산낭비, 실적관리를 위한 행정적 실행으로 디자인결과물의 품질관리가 이뤄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그간의 지원정책 성과분석과 기업요구 조사에 대해 심도있는 접근이 미미하여 정책운영의 효율성측면에서도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인천은 어려운 재정상황에도 불구하고 산업디자인지원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등 의지를 보이고 있으며, 정량적 실적중심이긴 하지만 다양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지역의 산업구조와 중소기업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을 개발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정책운영방향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며, 이를 위해서 추진되어야 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이 그간 추진했던 지원정책을 성과를 검증하고, 성과의 효율성이 입증되었다면 향후 추진할 정책기획을 위해 정책수혜대상의 수요와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지원정책이 미래지향적인 관점으로 장기간 운영될 수 있도록 관련법 체계를 정비하고 예산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책관련 주체들의 디자인가치에 대한 인식제고가 필요함으로 ‘교육프로그램 개발’, ‘세미나 개최’, ‘성공사례 발굴’ 등 다양한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인천지역 디자인 관련자들의 협업을 통해 상생에너지를 창출하여 산업디자인분야의 발전과 연결될 수 있도록 ‘디자인 거버넌스 개념의 참여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체계구축의 핵심내용은 수평적 네트워크 모델을 구성하여 인천시의 지원정책이 만족도 지향의 ‘맞춤형 지원정책’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공공기관과 역할을 나눌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인천의 디자인역량 강화이다. ‘중소기업의 디자인자생력 확보’, ‘디자인공급기반(디자인전문회사, 프리랜서 등)의 역량강화’, ‘인천시 추진시책에 디자인참여 강화’ 등을 추진하여 디자인을 선도할 수 있는 도시로의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 대구광역시내 근린상업용 토지 가격에 미치는 결정요인 연구

        양인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공간 분석을 사용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공간 분석을 사용하여 이웃 상업 거래의 목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주변의 상업용 토지 가격의 목표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되는 정보를 찾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R 프로그램을 통해 대구 광역시의 상업용 토지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공간 통계 분석을 통해 토지 가격과 주변 상업용 영향 요인을 주는것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주거 지역, 학교, 지하철, 지하철역 및 병원 부근의 토지 가격은 상대적으로 일정한 지형 및 지방 가격 패턴으로 비교적 일관성이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변 지역의 상업용 토지 가격에 대한 특별한 자기 상관 관계가 관찰되었으며, 공간적 자기 상관 관계에 주거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차이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find information to help identify the objective of a secure neighborhood commercial land price by find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urpose of neighborhood commercial transactions using spatial analyses due to the difficulty of using spatial analysis. Using the R program, the company mapp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neighborhood commercial land prices in Daegu City, and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prices and influencing factors for neighborhood commercial use through spatial statistics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ice of land in the vicinity of residential areas, schools, subways, subway stations, and hospital were relatively consistent, with a relatively constant pattern of land prices and districts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neighborhood commercial land prices has been observed, and there is a gap in the spatial autocorrelation correlation that affect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본 연구는 데이터 분석과 구축에는 공간데이터를, 가공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통계, 지도 및 공간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쓰이고 있는 R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어진 지표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첫 번째, 근린상업용 토지의 분석함에 있어 보다 객관적인 지표로 이용될 수 있는 공시가격과 철도선, 도로접면, 전철역 등으로 부터 거리의 중요성은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주거민의 이동량 등이 근린상업용 토지 가격에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보여주는 증거이다. 두 번째, 대구광역시의 주거용지 주변 일반적 근린상업용 토지의 위치가 도로접면, 전철역 등으로 부터 거리가 가까울수록 부동산의 가치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반대로 철도선은 소음으로 인하여 심리적으로 주거환경에 (-)영향을 주게 되어 근린상업용 토지의 선택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요인은 근린상업용 부동산은 중심상업용 부동산(마트, 백화점 등)과 다르게 주거용 부동산과 토지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임대료를 받고자 하는 근린상업용 토지 구매예정자는 철도선, 도로접면, 전철역 등으로 부터 거리를 우선적으로 검토하여 부정적인 것과 긍정적인 것을 분리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앞으로도 임대료 수입을 위한 근린상업용 토지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가격상승 및 하락 요인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하며 주변 주민들의 주거의 편의성 및 주변환경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요소에 근거하여 근린상업용 토지구매를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개별 구별로 회귀분석을 하여 각 구별의 근린상업용 토지가격에 유요한 영향을 주는 것이 각각의 지역적 입지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성구, 중구는 철도선과, 도로접면, 전철역, 공원과의 거리가 부동산 가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달서구, 달성군, 동구는 도로접면, 전철역, 학교, 공원과의 거리가 부동산 가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구는 철도선, 전철역, 공원과의 거리가 부동산 가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구, 남구는 철도선, 도로접면, 전철역, 학교, 병원과의 거리가 부동산 가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광역시 내 근린상업용 부동산가격에 일반적 영향을 주는 것과 각 구별로 지역적 영향을 주는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여 대구광역시 근린상업용 부동산 투자시 수익 증가를 위하여 투자 예상지역의 지역요인 특성을 먼저 파악하고 투자하는 것이 앞으로의 수익증대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향후 연구과제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 대구광역시내의 근린상업용 토지시장을 설명한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인구체계, 도시구조 등에 대한 직접적인 비교를 하지 않았는데 향후 다양한 변수에 대한 직접적인 비교를 통해 사례연구 또는 중심상업용 부동산시장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수 외에 근린상업용 토지가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임대료와 같은 다양한 변수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추가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廣域市稅와 自治區稅의 稅源 配分 調整方案에 關한 硏究

        성문옥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 논문은 지방자치시대에 있어서 기초자치단체인 광역시 소재 자치구가 자율적인 의사결정과 자기책임의 원칙에 입각하여 자치구 재정의 취약성과 자치구 상호간의 재정불균등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광역시와 자치구간의 세원배분 조정방안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였다. 또한,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1994년부터 1998년을 대상으로 하였고, 공간적 범위는 울산광역시를 제외한 5대 광역시와 5대 광역시내 40개 자치구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적 범위는 지방세법상 21개 세목*) 및 세원으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 및 통계자료를 이용한 비교정태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자료는 행정자치부에서 발간한 지방자치단체 예산개요 및 지방세정연감을 참고하였고, 수집이 곤란한 자료는 5대 광역시 및 40개 자치구에 별도로 요청하였다. 이 논문은 모두 6 개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를 각 장별로 요약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지방세법상 15개 세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주민세는 균등할과 소득할(소득세할, 법인세할, 농지세할), 종합토지세는 종합합산과 별도합산 및 분리과세로 구분하였고 사업소세는 재산할과 종업원할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제2장에서는 지방세와 세원배분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기 위하여 지방세의 개념 및 체계와 자치단체계층간 세원배분의 방식과 방법 및 기준을 모색하고 선행연구사례를 살펴본 다음 이를 종합하였다. 제3장에서는 분석계획을 제시하고 분석절차 및 방법으로 세원배분방식, 지방세 총액 배분, 지방세 세원배분구조, 지방세 원칙, 그리고 자치구세의 적합성 평가에 의하도록 설계하였다. 제4장에서는 광역시세와 자치구세의 실태분석을 제3장의 분석절차 및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는데, 첫째 광역시와 자치구간의 세원배분방식은 분리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둘째 광역시와 자치구간 지방세 총액 배분 실태의 경우 ① 사무배분현황은 건수를 기준으로 56.2 대 43.8의 수준이며, ② 세출기능분담체계는 일반회계예산 기준으로 66.3대 33.7의 비율을 보이고 있고 인건비 비율이 5.8 대 22.3의 수준을 보이고 있다. ③ 지방세 배분 추세는 85.5 대 14.5로 배분되고 있고, 조정교부금이 포함된 지방세 수입 배분실태는 63.6 대 36.4로 실질적인 지방세 수입배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셋째 광역시세와 자치구세의 세원별 배분구조는 ① 재산과세의 경우 거래이전과세로 취득세 및 등록세가 광역시세로 배분되고 있고, 보유과세는 자치구세로 재산세, 종합토지세, 사업소세 재산할이 배분되고, 광역시세는 자동차세, 도시계획세, 공동시설세가 배분되고 있었다. ② 소비과세는 지역개발세, 담배소비세, 도축세가 모두 광역시세로 배분되고 있었다. ③ 소득과세는 광역시세로 주민세 소득할과 농지세가 배분되고, 자치구세로는 사업소세 종업원할이 배분되고 있었다. ④ 그리고 재산·소비·소득과세에 속하지 않는 주민세 균등할은 광역시세로 배분되고, 면허세는 자치구세로 배분되고 있었다. 넷째 지방세 세목을 지방세원칙에 의하여 적합성을 평가한 결과 ① 광역시세로 바람직한 세원은 등록세, 주민세 법인세할, 주민세 농지세할, 농지세, 도축세, 도시계획세, 공동시설세, 지역개발세, 경주마권세, 종합토지세 종합합산 및 별도합산이 있었으며, ② 자치구세로 바람직한 세원은 주민세 균등할 자동차세, 재산세, 종합토지세 분리과세, 사업소세 재산할이 있고, ③ 광역시세와 자치구세로 동시에 바람직한 세원은 취득세, 주민세 소득세할, 담배소비세, 면허세, 사업소세 종업원할이 있었다. 제5장에서는 현행세원배분의 문제점과 조정방안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첫째 현행 세원배분의 문제점으로는 ① 사무배분기준 및 세출기능분담과 지방세 배분 추이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② 세원별 배분구조 및 지방세 원칙의 측면에서는 자치구세로 바람직한 주민세 균등할과 자동차세가 광역시세에 배분되어 있었고, 광역시세로 바람직한 종합토지세 합산과세 및 별도합산이 자치구세로 배분되어 있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둘째, 광역시세와 자치구세 조정방안의 기본구상은 ① 현재 세원분리방식을 택하고 있는 현행 지방세체계와 조정교부금제도를 유지하는 조정방안과 ② 2000년부터 인상되는 지방교부세 1.73% 포인트와 신설되는 주행세의 재원을 조정교부금 재원으로 이양 받고 현재 조정교부금 재원으로 되어있는 취득세 및 등록세를 일반 재원 화하는 방향에서 연구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광역시세와 자치구세 조정방안은 기본구상의 관점을 참작하여 ① 현행 조정교부금제도를 유지하면서 지방세 세원별 배분구조 및 지방세원칙에 의하여 자치구세로 바람직한 재산세, 종합토지세분리과세, 사업소세 재산할, 자동차세, 주민세 균등할 합계 5개 세목 및 세원을 제1안으로 설정한 다음, ② 현행 조정교부금 재원인 취득세 및 등록세 등을 일반 재원으로 전환하고 2000년부터 인상되는 지방교부세 1.73% 포인트와 신설되는 주행세의 재원을 실질적 지방세 배분비율 (36.4%) 만큼 조정교부금 재원으로 확보한다는 가정 하에, 제1안에 광역시세와 자치구세로 동시에 바람직한 취득세, 주민세 소득세할, 담배소비세, 면허세, 사업소세 종업원할을 조합하여 제2안에 면허세·담배소비세·사업소세 종업원할, 제3안에 면허세·취득세, 제4안에 사업소세 종업원할·주민세 소득세할·담배소비세·면허세, 제5안에 취득세·주민세 소득세할를 순차적으로 배분하였다. 넷째,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완성된 조정방안을 평가한 결과, 제1안 내지 제5안은 지방세 세원별 배분구조 및 지방세원칙의 측면에서 모두 적합한 안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① 제1안은 현행 지방세 체계 내에서 형식적 지방세 배분비율에 가장 근접하게 접근하고 있는 조정방안으로서 현실적으로 가장 우수한 조정방안으로 평가된다. ② 제2안 내지 제5안은 조정교부금제도를 폐지하거나, 2000년부터 인상되는 지방교부세 1.73% 포인트와 주행세를 조정교부금재원으로 활용할 경우 지방세법 개정 및 각 광역시 조례를 개정하여 실현이 가능한 안으로 평가되었다. 여기에서 제2안과 제3안은 실질적 지방세 배분 비율 측면과 세출기능분담 측면에서 우수한 조정방안으로 평가되었으며, 제4안과 제5안은 사무배분기준 측면에서 우수한 조정방안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제6장에서는 본 연구 논문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정책제언을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present restructuring proposals to cope with unbalanced finance among autonomous ku-districts in terms of tax sources allocation between metropolitan city and ku-district The time period of this research is from 1994 to 1998. And its object is 21 tax items and tax sources according to the local tax law. For this purpose, we have studied Big 5 metropolitan cities except Ulsan. This research makes use of both comparative-static method and econometric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metropolitan city tax and ku-district tax.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We find some problems of tax sources allocation. First, this study shows different rates of distrubuted workload, functional distri bution of expenditure and local tax allocation respectively. Second, we find that metropolitan city tax includes a resident tax portioned per capita and an automobile tax suitable to autonomous ku-district tax. On the other hand, we find that ku-district tax includes an general aggregate land tax and special aggregate land tax suitable to metropolitan city tax. 2. The basic idea of restructuring proposals is as follows. First, it is not to change the present local tax system and general grant system. Second, it is important for us to make general grant resource of raised increment in local grant and traveling tax, and equally important to make general resource of acquisition tax and registration tax pertaining to general grant resource. 3. We made 5 restructuring proposals. 'First alternative' is what we make ku-district tax resource of property tax, separate aggregate land tax, business place tax portioned pro rata, automobile tax, resident tax portioned per capita. We think that first alternative is the most feasible and relevant proposal under the present system.

      • 지피식물 식재 실태분석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홍민영 嶺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5

        지피식물은 지표면을 치밀하게 피복하는 식물로, 경관에 아름다움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환경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친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기점으로 지피식물의 이용이 시작되었으며 이 후 지피식물이 가지는 다양한 장점들이 알려지면서 조경공사에서 그 이용이 증대되었으며, 생산과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많은 지피식물들이 식재되고 있으나, 아직 어떤 종류의 지피식물이 식재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구시 지역에 식재된 지피식물을 조사하여 대도시 지역에 식재되고 있는 지피식물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식물의 생태적 특성과 생육환경, 관리현황을 조사하여, 대구시 지피식물 식재 실태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며, 도시 경관미의 증진과 특색 있는 지피식물 식재를 위해서 식재 가능한 지피식물 자료를 제공하여 앞으로 대구시 지피식물 식재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고 한다. 지피식물 식재현황을 조사한 결과 식재지는 42곳으로 전체의 43%며, 각 대상지별 식재지 비율은 가로녹지가 83%며, 병원이 75%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지에 식재된 지피식물은 22과 44속 46종 1아종 11변종 1교잡종 총 59종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지 분류 기준 7곳에 모두 식재된 종은 맥문동 1종 밖에 없으며, 옥잠화 22곳 잔디가 19곳에 식재되어 있었다. 대구시에 식재된 지피식물 59종 가운데 10곳 이상에 식재된 종은 맥문동 외 4종 밖에 없으며, 1곳에만 식재되어 있는 종이 24종 41%로, 장소별로 다양한 지피식물이 식재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자생종은 26종 45%이며, 도입종은 33종 56%로 나타났다. 지피식물 생태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상록성 수종은 10종 17%이며 낙엽성 수종은 49종 83%로 나타났다. 대구시 지피식물 관리현황을 분석해 본 결과, 관(官)에서 관리하는 곳은 39곳이며, 병원 3곳의 경우 자체관리 2곳, 민간업체 위탁관리 1곳으로 나타났다. 대구광역시와 대구시 시설관리공단에서 직접 관리하는 곳은 관리상태가 매우 양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구시의 식재 경향을 분석한 결과 옥잠화, 비비추, 맥문동과 같은 단일 수종의 식재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광주광역시 구, 군의 녹지담당자를 통해 각 도시에 식재된 지피식물 자료를 수집 분석한 결과 옥잠화, 비비추, 맥문동, 벌개미취 4종이 각 광역시에 식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의 경우 가로녹지와 병원을 제외한 지피식물 도입이 매우 부족하며, 앞으로 관(官)과 담당 공무원이 지피식물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을 인식해야 하며, 지피식물 식재를 통한 도시 환경을 완화 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 앞으로 녹지공간 지피식물 도입을 활성화 하도록 해야한다. 또한, 몇 수종을 제외하고는 다양하게 식재되는 지피식물이 없었다. 앞으로 체계적인 지피식물 식재 계획 수립이 필요하며, 대구시에 식재 가능한 자생 피지피식물 자원으로 앞으로 자생종 식재를 통한 특색 있는 도시경관을 조성해야 한다. The ground cover plants(GCPs) are low-growing and living landscaping materials with spread horizontally and form a dense cover quickly. This kind of landscaping materials add the beauty to the urban landscaping and have many environmental benefits for the controls of temperature, moisture, noise and dusts as well as habitats for microorganisms. The GCPs in Korea were booming to use in landscaping since the Seoul Olympic Games in 1988, and its mass production and uses increased rapidly since after. There are very limited studies for what GCPs are being planted in Korea.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planting status of GCPs in Daegu Metropolitan City with planted environment and management to suggest the planting tips in the region. The results obtained are in the follows: The GCPs was planted in 42 localities out of 96 studied localities, where the street side planting sites covered 83%, while the hospital complex covered 75%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planting ratio of the GCPs are 83% for the street-side, 75% for the hospital building sites, 38% for the public building sites, 33% for the amusement parks, 33% for the broadcasting stations, 32% for the open spaces and 13% for the traffic facilities respectively. Among the open space, the planting sites are only 13 sites. The landscaping in urban areas needs to introduce more varieties of GCPs.

      • 지방의회 사무기구 활성화 방안 : 부산광역시의회를 중심으로

        박상흠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5

        지방자치가 30여년 만에 부활되고 16년의 연륜을 쌓기까지 지방자치는 매우 제한적인 성과만을 거두고 있는데, 이는 집행부 우월적 전통이 뿌리 깊은 우리나라의 경우 집행부가 의회를 압도하여 의회가 소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지방의회는 지방 주민들의 영향력을 확대시키고 지역발전과 주민들의 복리증진을 추구하는 민주적 정치·행정 과정이라는 지방자치의 보편적 정의 아래 지방자치의 핵심적 구성요소인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방의회 사무기구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의회의 의정활동 보좌기능을 강화시키고 지방자치 본질의 범위 내에서 자율성과 운영의 효율성 및 전문성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의회 사무기구의 효율적 운영을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의회의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있어서 이를 보좌하는 의회 내 조직 및 사무기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의회를 중심으로 지방의회사무기구의 의정보좌 기능에 관한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하여 지방의회 사무기구가 보다 효과적인 의정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 하였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 내용을 요약하면 제2장에서는 지방의회 사무기구의 의의와 구성, 사무기구의 직원 등에 관한 이론적 기초를 고찰하였으며 일본 후쿠오카시의회 사무기구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부산광역시의회 사무처의 현황 및 운영 실태와 문제점 파악을 위해 의회의원, 사무처 직원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무처 보좌기능의 효율성, 연구기능 및 입법 활동보좌, 직원의 전문성, 의회의 자율 조직권 등에 대해 분석하면서 아울러 6개 광역시의회와 비교해 보았다. 끝으로 제4장에서는 제3장의 실태분석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광역의회 조직 및 사무기구의 효율적 개선을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도출 하였다. 결론적으로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의회의 위상제고를 위한 홍보기능 강화, 정보화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정보통신 조직의 보강, 자치단체 규모를 고려한 정원 책정 등 인력 보강, 지방의회 사무기구의 독자적 운영과 전문성 강화를 위해 의회직렬의 신설, 상임위원회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전문위원 직위제도 도입의 다각화 등을 통해 의정보좌 기능을 향상 시켜 의정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As many as 16 years have passed since local autonomy system was revived 30 years after its abolition. But the system has made limited progress mainly because of the deep-rooted dominance of Korea's executive organizations: the executives have long enjoyed a predominant position, making it difficult for local council to play its role. In fact, local council is a key element of local autonomy, whose universal definition is that it is a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process of enhancing the rights and welfare of local residents and promoting regional development. From this perspective, local council is supposed to bolster the assistant function of council activities and achieve autonomy, operational efficiency, and professionalism. This paper focuses on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secretariat office of local council because assistant function of secretariat office is crucial in intensifying the role of local council.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realities and problems of local council's secretariat offices by studying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ouncil and then presents several methods for the secretariat to support the council activities in a more efficient way. In this regard, Chapter two looks at previous theories regarding definition, formation, and personnels of local council's secretariat office, and also studies how the Fukuoka Council's secretariat office is operated. Chapter three shows surveys of councilors and secretariat officials aiming at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the operation, and problems of the secretariat office of Busan Metropolitan Council to analyse efficiency, research and assistant function, and professionalism of the secretariat office, and the council's right to organize, and then compares with six other metropolitan councils. Lastly,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in Chapter three, Chapter four comes up with policies to improve the organization and the secretariat office of local council. The policies include strengthened public relations function of local council to enhance its position, reinfor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rganization capable of meeting the demands of the information society, personnel realignment based on the size of local autonomy, designation of posts to achieve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in operating the secretariat office of local council, diversified expert posts of councilors to boost the professionalism of the standing committee, etc. All these policies aim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council activities by bolstering the assistant role of local council.

      • 유치원 교육과정 지역화에 관한 연구 : 6개 광역시를 중심으로

        이진희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he details to examine the feasibility and practicality of the localization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drafted and operated in the Office of Education of six metropolitan cit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better localization of the kindergarten localization. The research questions raised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emphasized points in the curriculums of the six metropolitan cities? 2. In the six metropolitan cities, has the curriculum been localized in a proper and feasible manner? 3. Are the regional curriculums of the six metropolitan cities localized in a practical manner? 3-1. Were the development procedures of localized curriculum in the six metropolitan cities rational? 3-2. Was the implementation monitored? The study is basically a theological analysis on the six metropolitan cities.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of the academic thesis, research papers, books, journals from both home and abroad on localization of kindergarten curriculum and other educational curriculum the definition and the significance of kindergarten curriculum localization have been examined, which serve as the basis for setting standards of assessing the level of curriculum localization. After such standards have been presented, education localization guideline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curriculum, minutes and survey of conferences on education curriculum planning and operation etc.―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of the six metropolitan cities were collected sith the help of the government school inspector in char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each of the six region. When considered necessary, further information was collected to assess the localization level through telephone calls to the government school inspector in charge.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e study: First, the localized level of the six metropolitan citie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purpose and the content showed even distribution. In terms of the purpose, each region. As regards to the contents, each region showed considerable commitment toward localization taking into account unique regional features in drawing up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in many cases, localized purpose of curriculum sere not in line with the 6th curriculum. Second, during the development phase of the localized curriculum, committees and reviewing bodies were set up in an appropriate manner in the six metropolitan cities. Although types of committees vary across regions, their functions can be classified into two - research & development and deliberation which are viewed appropriate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Nevertheless, most of the participants in the decision-making procedures of committees in all six metropolitan cities were teaching staff while there were insufficient participation from the parents groups and other regional figures raising questions on the reliability of the committees. Third, the six metropolitan cities, overall, localized their educational curriculums through rational procedures. Moreover, the six cities exerted every effort in collecting opinions from the private sector as regards to the regional characters through survey 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examined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set up through on-site inspections. However, notwithstanding the rational procedures in papers, there remain problem in regards to the practicality of the curriculum with the short development period of localized curriculum and the failure of some areas to conduct survey and on-site monitoring activities. 본 연구는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이 우리나라 6개 광역시에서 어떻게 지역화 되고 있는지를 분석해봄으로써, 유치원 교육과정 지역화의 바람직한 정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6개 광역시의 지역화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의사결정과정과 세부 절차 및 세부 내용을 분석해 보고, 각 광역시의 교육과정의 타당성과 실용성 있게 지역화 되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6개 광역시의 유치원 교육과정의 강조점은 무엇인가? 2. 6개 광역시의 유치원 교육과정이 타당성 있게 지역화 되었는가? 3. 6개 광역시의 유치원 교육과정이 실용성 있게 지역화 되었는가? 3-1. 6개 광역시의 지역화 개발 과정의 절차는 합리적이었는가? 3-2. 추진 내용이 실제적으로 조사되었는가?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부산·대구·광주·대전·인천·울산의 6개 광역시를 대상으로 유치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분석하고,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개발 절차를 분석한 연구이다. 개발 절차의 분석을 위해 유치원 교육과정 편성·운영 시의 회의자료 및 세부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해당 교육청의 유아교육 담당 장학관과 전화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위해 교육과정 및 유치원 교육과정에 관한 내용을 다룬 국내·외의 학위논문과 연구논문, 단행본, 교육관계 잡지 등의 문헌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지역화 및 유치원 교육과정 지역화의 개념과 의미를 고찰해 보았으며, 이를 기초로 유치원 교육과정 지역화의 충실도를 분석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대구·광주·대전·인천·울산의 6개 광역시는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의 지역화에 있어서 고른 지역화 양상을 보여주었다. 목표부분에서는 각 지역 나름대로 강조점을 선정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내용부분에서도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작성함으로써 지역화를 시도하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목표부분의 지역화 내용은 6차 교육과정 목표를 근거로 하기보다는, 5차 교육과정 목표를 근거로 하여 지역화 한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충분한 논의 및 분석이 부족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부산·대구·광주·대전·인천·울산의 6개 광역시는 지역화의 개발과정 중 위원회 및 심의회를 적절하게 구성했다. 구성된 위원회의 종류는 다양했지만 그 기능은 크게 연구·개발 위원회와 심의위원회로 구분되었고, 이는 교육부 지침에 근거했을 때 적절한 구성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6개 지역 모두에서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한 교원, 교육행정가, 교육과정 전문가, 학부모, 지역사회인사, 관련기관인사 등이 골고루 참여한 것이 아니라 교원의 참여가 대부분이었으며 학부모 및 지역사회인사의 참여는 저조했다는 점에서 타당성이 결여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부산의 경우 구성된 위원회 중 ‘전문위원’에서만 학부모와 지역사회인사가 포함이 되어 있었고, 대구의 경우에는 학부모는 구성된 세 개의 위원회에 모두 포함되어 있었으나, 지역사회인사는 ‘심의위원회’에만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광주, 대전, 울산 지역에서는 여러 종류의 위원회 중 각각 한 곳씩에서만 학부모와 지역사회인사의 참여를 도모하고 있었으며, 인천의 경우에는 학부모만 한 곳의 위원회에 포함되었을 뿐, 지역사회인사의 참여는 전혀 없었다. 시·도 단위에서의 지역화는 사회적 특성에 적합을 기함으로써 유치원 교육을 보다 충실치, 효율적으로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인사와 학부모의 참여가 저조하다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으며, 이는 6개 광역시의 교육과정 지역화 과정이 충실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셋째, 부산·대구·광주·대전·인천·울산의 6개 광역시는 문서상 합리적인 절차를 거쳐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이루었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조사를 실시하여 지역의 특성 및 요구를 수렴하였고, 현장검토를 통해 작성된 교육과정과 실체 현장과의 연계를 고려하였다. 그러나 현장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은 과정 주와, 기초조사와 현장검토가 모두 실시되지 않은 울산지역의 경우는 교육과정의 실용성 측면에 있어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인천지역의 경우에는 현장검토 여부에 대해 2000년도 말경 교사들의 의견 수렴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는 했으나 이는 편성·운영 지침이 확정된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현장검토의 의미가 없으며 설문조사 역시 지역화 과정의 개발후반부에 이루어졌으므로 합리적인 절차라고는 보기 어렵다. 한편 개발과정의 전체 소요기간은 광주가 12개월, 대구가 11개월, 부산이 9개월을 소요했으며, 대전과 인천지역이 각각 4개월, 울산은 3개월을 소비했는데, 물론 개발을 위한 소요기간이 길다고 해서 더 수준 높은 교육과정이 개발된다는 보장은 없지만, 앞으로 몇 년간 유치원 교육의 바탕이 되는 교육과정의 개발이 너무 단기간 내에 이루어진다면 이 또한 바람직한 현상은 아닐 것이다. 이와 같이 6개 광역시의 교육과정 지역화 과정의 실용성 여부를 고려해 보았을 때, 6개 광역시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지역적 특성 및 요구를 수렴하여 교육과정을 지역화 시킨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문서상 합리적인 절차를 거쳤다 하도라도 짧은 기간 내에 형식적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실제 지역의 요구와 특성을 충실히 반영하지 못했다면 지역화가 잘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 민주시민교육 거버넌스 모델 개발 연구 :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임세영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4

        본 연구는 시민교육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광역시·도 단위에서 새로운 민주시민교육 거버넌스를 제안하는 연구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12개 광역시·도별 민주시민교육 조례, 운영 체계, 민주시민교육위원회를 중심으로 현황을 분석하고 외국의 민주시민교육의 체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광역시·도별 거버넌스 분석을 통해 조례가 제정된 12개 광역시·도의 거버넌스 역량을 경험적으로 측정하였다. 광역시·도의 비교·대조를 통해서 광역시·도의 민주시민교육 추진을 위한 새로운 거버넌스의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조금 더 부연 설명을 하면, 협력적 거버넌스를 분석하는 데 있어 제도와 비제도적 역량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제도적인 요소로는 네트워크(운영 형태, 예산액, 운영 인원, 위원회 민간 비율), 정보 공유 및 의사소통(회의 개최, 위원회 민간 위촉 여부, 구성 위원 수, 민간 위탁 내용 포함 여부), 정책 결정과 책임(위원회의 기능, 종합 계획)을 들고, 비제도적 요소로는 신뢰[위원회의 신뢰 정도, 위원회 간여 수준(영향력 정도), 지자체장의 의지, 지속 정도], 협동(협력)(회의 자료 공개 여부, 회의 자료 공개 건수)을 들었다. 협력지표별로 12개 시·도를 분류하고 이를 점수 조작화하여 4분면 포지셔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먼저, 상위 그룹(A그룹), 중간 그룹(B그룹), 하위 그룹(C그룹) 등 3그룹으로 구분하였으며, 제도의 비제도적 요소 사이에 불균형 그룹이 존재함을 인식하였다. 특히 충청남도는 B그룹으로 분류는 되지만 통계학적으로 예외적 (Outlier)인 경우에 해당된다. A와 B그룹 사이에 위치하며, 네트워크 지표가 매우 낮았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경우 상위 그룹에 비해 네트워크 관련 지표가 매우 낮게 나왔다. 이는 광역시·도 평생교육진흥원을 통한 중간지원조직을 통해 민주시민교육을 운영하고 있지만, 예산이나 운영 인원 면에서 낮은 점수를 받고 있어 민주시민교육이 평생교육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광역시·도에서 점차 확대 운영되고 있는 현재의 민주시민교육 거버넌스를 과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에 기초하여 협력적 거버넌스의 성공 요인과 과정 구축의 이론적 모형을 변용 적용하여 민주시민교육의 거버넌스 모델 구축을 위한 모델과 민주시민교육의 구성 요소별·단계별 구축을 위한 제언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이를 통해 민주시민교육의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6대 요소를 제안한다. ① 민주시민교육 조례 제‧개정 방안, ② 민주시민교육 중장기 계획 수립 방안, ③ 민주시민교육 거버넌스 위원회(시민교육위원회) 구성 방안, ④ 민주시민교육 민간네트워크 구성 방안, ⑤ 민주시민교육 민·관·학 기관협의회 운영 방안, ⑥ 민주시민교육 담당 중간지원조직 운영 방안인 6대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3단계(초기 운영 단계, 조직 확장 단계, 조직 독립화 단계)로 구성된 민주시민교육 거버넌스 성장 단계 모델을 제안하였다.

      • 지방자치단체의 위원회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6대광역시 및 울산광역시 위원회를 중심으로

        김창선 울산대학교 정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4

        30년 만에 부활한 우리나라 지방자치는 지방정부의 절차적 민주성 확보나 행정의 책임성과 효율성, 서비스 개념의 도입 등 긍정적인 요인도 있었지만 여전히 중앙정부에 권한이 집중되어 있고, 국가재정과 지방재정의 불균형으로 인해 지방정부가 다양한 특성에 맞는 정책수립 권한을 제약받는다는 점에서 ‘반쪽자리 지방자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리하여 참여정부는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을 핵심적 과제로 선정하고, 지방분권 추진 로드맵을 발표하였으나 급박한 추진일정으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했고, 중앙정부의 과감한 권한 이전을 지방정부가 수용하지 못해 정책적 혼란을 가져올 수도 있는 불안정한 정책이라는 비판적 시각도 있다. 이러한 시각은 우리나라의 지방자치가 ‘강집행부 약의회’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권한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시민 참여가 부족한 상태에서 지방정부의 권한을 강화할 경우 권력분립체계의 원칙이 흔들릴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주민참여는 지방분권으로 비대해진 지방정부의 권한에 대한 견제 기능, 지방분권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와 시행착오를 해소하는 방안과 지방자치의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가 있다. 더욱 참여정부는 지방분권을 체계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중앙정부에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를 두고, 광역단위로 지역혁신협의회와 연구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역 혁신과 발전과제를 심의하고 있다. 이처럼 참여정부는 주요한 정책을 위원회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위원회의 중요성과 효과적 운영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위원회제도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정부위원회의 현황 및 정비 방안에 대한 검토하고, 6대 광역시 위원회제도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울산광역시 위원회 운영의 실태와 문제점을 타 광역시와 비교하여 분석한 후 울산광역시를 비롯한 광역시 위원회제가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위원회가 활성화되기 위한 현실적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첫째, 지방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위원회운영에 대한 전면적 평가를 토대로 실적위주의 회의 개최가 아닌 위원회제에 대한 종합적인 정비기준과 활성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기능과 업무가 유사한 위원회는 과감한 통·폐합을 추진해야 한다. 셋째, 위원회의 구성을 개선해야 한다. 신규설치 및 폐지에 대한 절차개선, 독립적 예산확보 방안 및 위원들의 중복금지, 연임제한, 위원장 선출 개선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위원회를 활성화 전략으로 첫째, 단체장 및 공무원의 의식변화, 둘째, 위원위촉의 방식 변화, 셋째, 위원회의 명확한 관련 규정 및 권한 강화, 넷째, 행정정보의 여과 없는 제공, 다섯째, ‘위원회 운영 기본 조례’제정, 여섯째, 광역 및 기초단체의 위원회 담당자간 정보 네트워크 구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울산광역시의 미개최 위원회 비율이 무려 35%나 되고, 타 광역시의 경우도 회의 개최 횟수가 유난히 낮은 현실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 꼭 필요한 목적으로 유능한 위원을 중심으로 구성했더라도 회의를 개최하지 않으면 위원회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따라서 울산광역시를 포함한 6대 광역시는 위원회의 정기적 개최 시기나 최소개최수를 명기하는 조례개정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지방정부에 있어 위원회의 역할은 꾸준히 증가 할 것이다. 이러한 주민참여 활성화와 위원회제의 개선을 위해서 행정책임자와 실무담당자의 적극적인 노력과 의식전환이 요구되며 더불어 각 분야의 전문가 및 시민사회 역시 이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으로 지방정부의 위원회제 정착에 있어 합리적인 방안을 도입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