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계전도 방법을 통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신종족메시아활동 연구

        나카오 유키 선학UP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 날 종교를 믿는 인구는 감소하고 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다른 종교와 유사하게 전도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독교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전도방법을 바꿔왔다. 최근에는 관계전도를 중심으로 성공하고 있는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에서 관계전도와 유사한 전도방법인 신종족메시아 전도활동은 종족을 전도하는 활동이다. 신종족메시아 전도방법은 관계전도와 비슷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신종족메시아 430가정을 전도하면 우수한 전도자인 천보가정으로 등록된다. 신종족메시아 전도활동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활동 안에서 중요한 활동이다. 기독교에서 성공하고 있는 관계전도를 신종족메시아 전도활동에 활용함으로써 신종족메시아 전도활동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계전도를 중심으로 하여 신종족메시아 활동과 연관성을 찾고 관계전도를 통해서 신종족메시아 전도활동의 활성화 위한 제안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기독교가 관계전도로 성공하고 있는 사례를 기독교에서 오이코스 전도와 태신자전도의 사례를 살펴 보왔다. 최근에 신자수가 증가하고 있는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의 전도 사례도 참고하였다. 이후 이 세 가지의 성공사례를 관계전도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신종족메시아로서 성공한 사례와 전도 매뉴얼에서 제시된 내용을 관계전도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기독교 관계전도와 신종족메시아 전도활동 사례를 연구한 내용을 비교하고 신종족메시아 전도활동으로 교회를 성장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로 친교적 접근방식을 더 활성 해야 한다. 둘째는 간접적 접근방식이 활성 해야 한다. 셋째는 맞춤형 전도 방식이 활성 해야 한다. 넷째는 역할모델 접근방식을 더 활성 해야 한다. 다섯째는 대신자 접근방식을 보완해야 한다. 여섯째는 단계적인 교육방식을 보완해야 한다. 일곱째는 예식을 활용한 접근방식을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신종족메시아들 전도활동에 있어서 관계를 통해서 전도하면 많은 천보가정이 탄생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일곱 가지 접근방식을 활용하면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신종족메시아 전도활동은 활성화 될 수 있다. The religious population is declining now.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has difficulties in evangelical activities, as other religions. Christianity has changed evangelical methods to follow the changes. Recently, we can find successful cases in witnessing by relationship witnessing method, In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Heavenly Tribal Messiahship which is a witnessing method, is a evangelical activities. Heavenly Tribal Messiah witnessing method uses similar to relational witnessing method. If you evangelize the 430 Heavenly Tribal Messiahship families, you will be registered as a Cheonbo family, an excellent evangelist. Heavenly Tribal Messiahship is an important activity within the activities of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By utilizing the successful Relationship Witnessing Method in Christianity for the Heavenly Tribal Messiahship activity, contributes for the Heavenly Tribal Messiahship activity can be expect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 connection with Heavenly Tribal Messiah Witnessing activity, focusing on Relationship Witnessing. And to make a proposal to revitalize the Heavenly Tribal Messiahship activity through Relationship Witnessing. Literature research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In addition, I have looked at the case of Christianity's success as a Relationship Witnessing in Christian churches. the case of maternal faith, the case of Oikos witnessing and, Harvest witnessing. where the number of believers has recently increased. The successful case in The Heavenly Tribal Messiahship activities and sucess of Christian churches are analyzed in terms of Relationship Witnessing. In comparison the contents of the study of Christian relations witnessing and the case of Heavenly Tribal Messiahship activity, propose a church growth plan. First, we need to take a more fellowship approach. Secondly, an indirect approach should be active. Third, a customized witnessing approach should be active. Fourth, the role model approach should be more active. Fifth, the proxy approach should be active. Sixth, the step-by-step education method should be deploy. Seventh, we should actively practice a ceremony-based approach. Heavenly Tribal Messiahship activity hope to witnessing more people through relationships witnessing method, and create many Cheonbo families. Using the seven approaches derived from this study, the Heavenly Tribal Messiahship activity of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can be activated.

      • 관계전도를 통한 전도특공대의 활성화 방안 : 약수교회를 중심으로 연구

        이재형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감사의 기적은 0.3초안에 그 사람을 기적의 현장으로 인도한다. 감사라는 그 말 한마디가 주위를 바꾸고 자신을 바꾸며 세상을 다르게 볼 수 있는 신선한 공기 산소와도 같은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격려라는 것은 그동안 막혀있고 닫혀있고 앞이 보이지 않는 안개와 같은 부분을 시원하게 걷어내는 역할을 한다. 보편적으로 자존감이 약하고 의지를 잃어버린 사람은 의기소침하며 활동성이 저하되며 소극적 행동을 하고 무엇을 해도 자신감이 결려되어 있는 상태 이러한 사람들과 함께 주의 일을 하는 것은 지도자들에게 엄청난 돌봄과 시간과 에너지를 많이 사용해야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가지고 있지만 격려라는 말, 행동. 몸짓은 상대편에게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키리라 생각한다. 할 수 없다고 생각한 것도 어느 샌가 할 수 있다는 용기를 가지고 참여하게 된다. 무기력하게 생각한 사람도 어느 사이 자신이 그 구성원의 핵심이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전도는 누구나 힘들어한다. 그러나 무거운 마음이 가볍게 되고 소극적 참여자가 적극적 참여자로 바꾸는 것은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깊은 내면의 에너지를 밖으로 끄집어내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기도와 함께 격려를 통하여 전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지역전도 활동을 위하여 행동도 필요하지만 그것보다 앞서 그 지역을 품을만한 기상과 마음이 있어야한다. 그런데 기가 죽어서 나가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그래서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처럼 다른 군인들은 덜덜 떨고 있지만 다윗은 용기 백백하여 골리앗 앞으로 나아갔다. 그것은 용기와 기상도 있었지만 다윗 속에 하나님이 함께하신다는 깊은 내면의 신뢰와 격려가 그 속에 있다. 관계를 잘 가지기 위해서는 서로에게 신뢰성이 수반되어야하는데 이 다리를 놓아주는 것은 곡 격려이다. 격려는 신뢰이다 자신과 상대편을 신뢰하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격려가 약한 사회이다 오히려 불신이 너무 난무하여 집집마다 열쇠들로 넘쳐나고 있고 오히려 동물보다 사람이 더 무섭다고 공공연히 말을 한다. 이러한 때에 우리는 예수그리스도의 지상명령인 말씀을 잘 사용하여 불신 속에 있는 사회와 사람들에게 격려를 통하여 그들의 얼어붙은 마음을 녹이고 따뜻한 봄이 와서 단추를 풀게 하고 그들의 심장까지 파고들어가 영혼 생명의 소리가 들려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동안도 많은 전도 기법과 방법을 사용하였지만 기술적인 방법보다는 심리적인 부분이 먼저 정리되어 활성화 된다면 전도를 함에 있어서 더 활발하게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많은 시간동안 전도학교를 통하여 학생을 배출하고 그 후 전도특공대를 조직하여 전도를 많이 해본 결과 전도는 계속적으로 이루어지지만 무엇인가 그들에게서 맥이 빠지고 탈진하고 누군가에게 무슨 말을 들으면 금세 그동안 훈련 받은 것들이 아무것도 아닌 양 쓰러지는 것을 보고 이것을 효과적으로 이겨낼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 중, 그분들이 복음을 몰라서 그런 것도 아니고 방법을 모르는 것도 아니고 왜 일까 생각하다가 어느 날 관계성속에 격려라는 단어가 떠올라서 그것을 의도적으로 전도특공대에 사용하니까 훨씬 분위기가 좋아지고 얼굴에 윤기가 살아나며 전도할 의욕이 생기는 것을 보고 ‘관계는 곧 격려이고 전도의 열매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관계를 통한 격려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본 논문은 신앙적으로 관계와 전도라는 용어를 통하여 하나의 대안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교회 내에 구체적으로 팀을 운용하여 변화된 모습을 보기를 비교분석하였고 그리고 개인과 전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전도에 대하여 두려워 하지만 이 논문을 통하여 논리적, 성경적, 신학적, 목회상담적, 기독교영성적 관점에서 격려의 개념과 격려가 심리적으로 전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것을 통하여 전도의 내용을 다루게 될 것이다. 변화이론에서는 “관계를 통한 전도특공대 세미나 ”의 내용을 소개하여 세미나에 참석한 사람들이 어떻게 전도를 이해하고 전도를 효과적으로 하며 자신이 속한 전도팀과 교회를 어떻게 섬기는 일에 유익하게 할 것인가를 다룰 것이다. 본 연구는 “관계를 통한 전도특공대 세미나”를 통해 성도들의 전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려고 한다. 관계와 격려를 하지 않을 때 전도에 영향을 주는가? 관계가 참가자들의 전도의 태도와 변화에 영향을 주는가? 이것이 신앙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등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 관계전도를 통한 캠퍼스 선교전략 연구 : 한국대학생선교회 서울지구를 중심으로

        전용덕 總神大學校 宣敎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주제는 “관계전도를 통한 캠퍼스 전도전략 연구”이다. 본 연구의 배경은 캠퍼스 선교의 중요성과 함께 캠퍼스의 시대적 상황적 변화로 인하여 전통적으로 캠퍼스 내에 사역하고 있는 복음주의 선교단체들이 복음전도를 위해 지속적으로 지난 50여년간 사용해온 개인전도전략이 가지는 탁월성이 있지만 이와같은 개인전도만을 가지고 캠퍼스에서 복음을 전하는데는 한계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한 보완적 대안으로 관계전도 전략의 필요성을 연구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 다룬 연구내용을 요약한다면 I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연구의 목적, 문제설정, 연구질문, 연구제한 범위, 연구의 중요성, 용어의 정의를 다루었다. 서론 부분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질문은 첫째, 캠퍼스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전도방법은 무엇인가? 둘째, 캠퍼스에서 복음을 전하는데 가장 어려운점과 효과적 전략은 무엇인가? 셋째, 캠퍼스에서 관계전도를 어떻게 성공적으로 시행할수 있는가? 이다. II장 선행연구 고찰에서는 복음전도에 대한 성경적인 기초로 성경에서 제시하는 복음전도는 무엇인가를 말씀을 중심으로 고찰 하였다. 복음전도의 정의와 복음전도에 대한 대상별, 규모별, 방법별에서 다양한 유형의 복음전도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복음전도의 정의는 ‘한 영혼에게 성경에서 제시하는 사람을 향한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을 전하고 그 말씀앞에 개인적으로 반응할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것’이다. 또한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바울, 그리고 제자들의 삶속에서 나타난 관계전도의 사례를 설명하였다. 또한 현대교회의 입장에서 오늘날에 새로운 교회성장운동의 일환인 ‘셀사역’에서 관계전도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연구해 보았다. 선행 연구의 범위를 좁혀 본 연구의 대상과 범위가 되는 캠퍼스 환경이 과거에 비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를 언급하였다. 오늘날의 캠퍼스 환경은 개인주의, 세속주의, 이기주의 상대주의의 시대적 조류와 맞물려 캠퍼스의 대학생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이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복음자체의 문제라기 보다 복음을 전하기 까지의 접촉점의 개발의 필요성이 부각되는 시대이다. 따라서 지난 50여년간의 캠퍼스의 일반적, 선교적 상황변화를 살피고 이와같은 상황에서 세롭게 시도되고 있는 관계전도의 실례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설계의 일차 대상인 한국대학생선교회 서울지구(서울CCC)가 현재 성공적으로 계획히고 시행하고 확산하고 있는 개인전도전략과 관계전도전략을 통한 캠퍼스 선교전략을 집중하여 살펴보았다. 서울CCC는 관계전도를 위하여 봄에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여우사이’ 관계전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가을에는 예비대학생을 위한 ‘하이파이브’관계전도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다. 또한 관계전도의 실제전략으로 캠퍼스내의 순모임을 통한 대순모임 관계전도를 살펴보았다. III장 연구설계에서는 연구조사대상과 견본추출을 다루었고 연구조사를 위한 도구로는 설문조사방법과 엑셀 프로그램을 사용한 통계그래프를 활용하였다, 또한 연구자료를 수집하는 절차를 다루면서 자료를 수집하는데 따른 제한점을 언급하였다. 을 실제적으로 캠퍼스내에 복음전도가 가지는 어려움과 한계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보다 효율적인 복음전도를 위한 전략으로서 개인전도와 관계전도의 균형과 보완등을 다루었다. 연구설계의 연구대상은 서울CCC 학생들 1,500여명중 견본추출을 위하여 300명에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거된 총164명의 설문내용을 가지고 연구조사를 실시하였다. IV장 연구분석에서는 수거된 설문을 토대로 연구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크게 일반적인 정보분석과 신앙 정보분석, 그리고 전도에 대한 정보분석으로 각각 나누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설문에 응한 서울CCC 대학생들의 학년별 비율은 1학년(27%), 2학년(28%), 3학년(30%), 그리고 4학년(15%)로 나타나 1학년부터 4학년까지 전학년에 걸쳐 골고루 참여 하였다. 대상학생들의 성별 비율은 남학생 37%, 여학생 63%이다. 응답자들이 신앙생활을 시작한 시기는 모태신앙(60%), 유, 초, 중, 고등학교 시절(33 %), 대학시절(7%)로 나타났고 CCC 사역에 활동하고 있는 햇수로는 1년이하(34%), 2년(20%), 3년(24%), 4년이상(22%)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관심사인 관계전도부분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지표가 될 수 있는 질문인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되었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들의 53%가 가족과 친척으로 답했고 19%가 친구나 선후배라고 답하여 결과적으로 응답자의 71%가 자신의 주변에 일차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관계망을 통하여 복음을 듣거나 교회로 인도 되어 졌다고 보여진다. 응답자의 83%가 캠퍼스에서 학기중에 복음전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교회의 청년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전도활동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구성원들이 선교단체 회원들이라는 목적중심의 공동체인것과 훈련과정중에 개인전도 훈련(LTC)이 필수적인 과정등의 요소들이 반영된 결과이다. 캠퍼스에서 복음을 전할 때 주로 사용하는 전도방법은 4영리를 이용한 개인전도가 67%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정프로그램을 이용한 관계전도는 15%로 나타났다. 4영리의 기본 원리가 철저하게 일대일의 방법으로 복음을 전하는 개인전도를 돕기 위하여 만들어 졌기에 본 설문의 대상그룹인 서울CCC학생들이 전도시 4영리 전도를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계전도가 15%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관계전도의 필요성과 동시에 관계전도를 점차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도의 효과성면에서는 응답자들은 반응은 4영리 전도방법보다 관계전도 방법이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은 캠퍼스 선교에서 개인전도가 필요함(필요이상 97%)을 응답하였다. 응답자들이 캠퍼스내에서 복음을 전하는데 가장 어려운 점이라고 여기는 영역은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인식(24%), 일반학생들의 전도에 대한 선입관(23%), 일반학생들의 무관심(23%), 적절한 접촉점 부족(14%), 전도자의 복음전도 태도(8%), 일반 학생들의 시간부족(7%)등으로 나타났다. 이를 요약해보면 복음전도의 장애물은 첫째, 복음전도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며 둘째, 개인과 주변사회의 변화가 한 요인이다. 셋째는 적합한 접촉점의 부족 이다. 본 설문을 통하여 발견되는 복음전도의 어려운 문제들을 관계전도는 해결해주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대안이 된다. 왜냐하면 첫째, 관계전도는 복음전도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준다. 둘째, 관계전도는 급변하는 시대의 환경에서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할수 있다. 셋째, 관계전도는 개인전도가 가지는 접촉점의 한계를 극복할수 있다. 캠퍼스에서 관계전도를 효과적으로 계획하기 위하여 필요한 5단계가 있다. 이들 5단계의 원리는 관계전도의 규모와 대상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적용가능한 원리들이다. 이를 요약하면 1단계 대상선정, 2단계 필요분석, 3단계 프로그램 기획, 4단계 홍보초청, 5단계 육성관리이다.

      • 관계중심전도를 통한 개인전도 훈련방안 연구 : - 153어부전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송민용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오늘날 한국교회는 세속화, 교회세습, 각종 불명예스런 사건 사고 등으로 교회 이미지가 크게 실추되고, 인구절벽과 팬데믹이라는 시대 상황과 맞물려 전도의 문은 더욱 좁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날로 악화되고 있는 한국교회의 전도 상황을 진단하고 바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전도의 의미와 목적이 무엇인지를 어원과 성경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예수님의 성육신적 전도모델과 사도들의 전도모범을 살피므로 전도의 시금석을 규정했다. 그리고 이 시금석을 통해 한국교회 전도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규명해 보았다. 또한 논자는 이러한 전도의 시금석을 오늘날의 교회에 적용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해 보고 그 실제적인 대안으로 관계중심전도를 제안했다. 나아가 관계전도를 위한 기초준비로써 세상과의 관계회복방안을 다루었다. 복음은 관계를 통해 흐른다. 복음보다 관계가 먼저다. 교인들 중의 약 90%에 달하는 사람들이 관계를 통해 교회에 첫발을 내딛는다. 그러므로 밑바닥까지 추락한 한국교회의 신뢰도, 곧 관계성을 회복하는데서 전도의 실마리를 풀어나가야 한다. 세상은 사랑과 섬김의 대상이다(요 3:16). ‘죄’와는 분리되어야 하지만 ‘죄인’과 분리되어서는 안된다. 그것은 ‘분리’가 아닌 ‘격리’다. 우리는 세상의 소금과 빛으로 부름받았다. 소금은 세상 속에 녹아 들어갈 때만 맛을 내고 방부제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빛은 우리가 세상 앞에 내어놓아야 할 착한 행실이다(마 5:16). 죄인들의 친구로 오셨던 예수님처럼 우리는 세상 속에 들어가 착한 행실로써 그들을 섬겨야 한다. 논자는 본 논문에서 오늘날의 교회나 성도가 세상과 어떤 관계를 어떻게 맺어야 하는지를 그리스도의 성육신적 전도모델과 교회론적 접근을 통해 모색해 보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관계중심 전도전략을 연구자가 개발하고 그동안 한국교회 내에서 실행해 온 ‘153어부전도법’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153어부전도는 관계전도를 위해 단계별 전략을 구사한다. 우선 생활 속에서 전도대상자를 찾아내고(고기 찾기), 그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어가며(그물 던지기), 결국 그 영혼을 그리스도 안으로 어떻게 인도할 수 있는지를 다루었다(그물 당기기). 관계전도는 관계맺는 기술을 전제로 한다. 관계맺기에 서투르면 전도하기 어렵다. 논자는 이 지점에 착안하여 불신자를 친구로 삼는 전략을 고기잡는 어부의 그물에 빗대어 설명했다. 칭찬 그물, 선물 그물, 기도 그물, 경청 그물, 자랑 그물이 그것이다. 나아가 관계중심전도의 훈련방안을 다루었다. 그동안 153어부전도훈련원에서 실시해 온 훈련프로그램 및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성과들을 모아 관계전도훈련프로그램을 만들고, 목회의 현장에서 전도자들을 훈련시키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했다. 먼저 훈련의 프로세스를 제시한 후 동기부여 훈련, 영성 훈련, 관계 훈련, 메시지 훈련 등에 대하여 다루었다. 본 연구가 한국교회의 전도문제점을 파악하고, 예수님의 성육신적 전도의 원리가 가장 잘 구현될 수 있는 관계중심전도의 원리가 분명히 드러나며, 관계훈련을 통해 성도들의 삶에서 세상과의 관계성이 회복되고, 회복된 관계를 통해 복음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전도, 관계, 관계전도, 관계중심전도, 전도전략, 153어부전도, 전도훈 련, 성육신적 전도, 목회. Abstract A Study On Personal Evangelism Training Plans Through Relationship-Centered Evangelism - Focusing On The 153 Fisherman Outreach Program - Song Min-Yong Doctor of Philosophy The Graduate Schools of Christian Studies Baekseok University Advisor: Kim Sang-Koo(Dr. Theol.) Today, the image of the Korean church has been greatly damaged due to secularization, church hereditary succession, and various disgraceful incidents. The door of evangelism is getting narrower in line with the era of demographic cliff and pandemic.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evangelism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and to seek the right alternative. The church situation is getting worse day by day. To this end, the researcher first looked at the meaning and purpose of evangelism, focusing on the etymology and teachings of the Bible. Furthermore, the researcher examined Jesus' incarnated evangelism model and the apostles' evangelism model. After that, the researcher defined the touchstone of evangelism. And through this touchstone, the researcher tried to find out the problems of Korean church evangelism. In addition, the writer sought an alternative to apply this test of evangelism to today's church. Along with that, the writer suggested relationship-centered evangelism as a practical alternative. Furthermore, as a basic preparation for relationship evangelism, the researcher dealt with ways to restore relationships with the world. The gospel flows through relationships. Relationships come before the gospel. About 90% of churchgoers enter the church through a relationship. Therefore, the researcher must unravel the clue of evangelism. It can be tangible through restoring the credibility of the Korean church. In an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es and society has currently fallen to the bottom. The world is the object of love and service (John 3:16). It must be separated from 'sin', but not from 'sinner'. It is 'isolation', not 'separation'. We are called to be the salt and light of the earth. Salt can taste and function as a preservative only when it melts into the world. Light is the good deed we must present before the world (Matthew 5:16). Like Jesus, who came as a friend to sinners, we must enter the world and serve them with good works. In this dissertation, the author sought to find out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 church or Christians of today should have with the world. For that purpose, the writer employed two methodologies: the incarnated evangelism model of Christ and an ecclesiological approach. Based on the above research experiences, the researcher developed a relationship-centered evangelism strategy and specifically presented the ‘153 Fisherman Evangelism Method’. It has been practiced within the Korean church. 153 Fisherman Evangelism employs a step-by-step strategy for relationship evangelism. First of all, the researcher dealt with how to find evangelism targets in life (finding fish), how to form a relationship with them (throwing a net), and eventually how to lead that soul into Christ (pulling a net). Relational evangelism presupposes the skill of establishing relationships. If you are not good at establishing relationships, it is difficult to evangelize. Focusing on this point, the writer compared the strategy of making non-believers as friends to a fisherman's net. These are the praise net, the gift net, the prayer net, the listening net, and the bragging net. Furthermore, training methods for relationship-centered evangelism were discussed. In the meantime, the training program has been conducted at the 153 Fisherman Evangelism Training Center.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gathered to create a related evangelism training program. The researcher specifically proposed a plan to train evangelists in the field of ministry. First, the process of training was presented, and then motivation training, spiritual training, relationship training, and message training were dealt with. This study identifies the evangelism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It clearly reveals the principle of relationship-centered evangelism. Through that, the principle of Jesus' incarnate evangelism can be best realized. It also restores the relationship with the world in the lives of believers through relationship training. This study hopes that the restored relationship will serve as the foundation for the smooth flow of the gospel. Key words: evangelism, relationship, relationship evangelism, relationship-centered evangelism, evangelism strategy, 153 fisherman evangelism, evangelism training, incarnate evangelism, Pastoral ministry.

      • FLAC3D와 MODFLOW 결합모델을 통해 응력-수리전도도 관계를 고려한 수리-역학적 연계해석

        김하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299

        지하 공간 설계 시 지하수 유입 유량과 역학적 안정성의 정확한 평가는 중요하다. 암반의 수리적, 역학적 거동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됨에 따라 수리-역학 연계해석이 요구된다. 터널 굴착 이후 암반 내 수리전도도는 응력조건에 따라 변화하며, 굴착 이후 수리전도도가 변화함에 따라 터널 내 지하수 유입유량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절리암반 내 응력-수리전도도 관계를 고려하여 FLAC3D와 MODFLOW를 결합한 수리-역학 연계 해석 기법이 개발되었다. 원형 터널과 마제형 터널을 대상으로 하여 응력-수리전도도 관계를 고려한 경우와 수리전도도를 상수로 고정한 경우의 지하수 유입 유량이 비교되었다. 응력-수리전도도 관계가 고려되었을 경우, 수리전도도는 초기값보다 최대 약 1차수 정도 증가하였다. 지면과 수평 방향이며 터널의 진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수리전도도는 터널의 측벽부에서 증가하였으며 터널의 천단부와 바닥부에서 감소하였고, 터널의 진행 방향과 수직하며 지면과 수직 방향인 수리전도도는 터널의 천단부와 바닥부에서 증가하였으며 측벽부에서 감소하였다. 터널의 진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수리전도도는 터널 전반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모델 검증을 위해 초기 수리전도도를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한 결과와 해석식의 지하수 유입유량을 비교하였으며, 오차는 약 10%정도의 차이를 가졌다. 응력-수리전도도 관계를 고려하였을 때의 지하수 유입유량은 수리전도도를 상수로 고정했을 때보다 약 11% 큰 결과를 보였다. 원형 터널과 마제형 터널을 비교하였을 때 지하수 유입유량의 증가율은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변화된 수리전도도의 경향은 차이를 보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발파 시 터널 주변에 발생하는 굴착손상영역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으며, 추후 민감도 분석을 통해 각 인자가 지하수 유입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