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과학3 교과서 물질 영역의 실험 활동 비교 분석

        임수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과학 교과는 구체적인 사물이나 현상뿐 아니라 추상적이고 복잡한 원리를 학습하는 것이다. 과학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새로운 지식을 얻고 그 과정을 배움으로써 과학적 사고를 갖게 되고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게 된다. 탐구 활동은 이러한 과학 교과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탐구 과정 기능을 습득할 기회를 제공하여 과학 교육의 목표를 상당히 충족시켜 줄 수 있다. 탐구 활동 중에서도 실험 활동은 다양하고 폭 넓은 과정 기능을 습득할 수 있으며, 개념을 구체화시켜 학습 내용의 이해를 돕는다. 학교 교육에서 학습 자료로 가장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교재는 교과서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 활동을 분석하여 다양한 탐구 과정 기능을 습득할 수 있는 과학 학습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된 교과서는 현재까지 출판된 중학교 3학년 과정의 6종 교과서이다. 중학교 3학년 물질 영역에 해당되는 「3 물질의 구성」, 「5 물질 변화에서의 규칙성」 단원에 제시된 탐구 요소를 살펴보았다 제 7차 교육 과정에서 필수 학습 요소라고 제시되어 있고 6종 교과서에도 공통으로 나와 있는 4개의 실험 주제를 선정하여 실험 활동을 분석했다. 실험 활동이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과정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적합성 판단 기준을 설정하여, 교과서가 제시하는 실험 과정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을 수행하면서 실험의 적합성을 판단하였다. 분석한 연구 결과, 첫째, 대부분의 교과서가 탐구 과정과 탐구 활동을 혼용하여 표기하거나, 제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과정 기능은 자료 해석을 제외하면 대부분 기초 탐구 과정 기능이었다. 둘째, 6종 교과서에 제시된 전체 탐구 활동 중에서 실험 활동이 차지하는 비율은 48.9%이어서 다른 탐구 활동에 비해 실험 활동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 활동을 6종 교과서에 공통으로 나타난 4개 주제를 선정하여, 학교 실험으로서 적합한지에 대한 판단 근거 기준을 설정했다. 기준은 실험 소재, 실험 기구, 실험 장치, 실험 과정, 실험 소요 시간의 5 가지 항목과 하위의 세부 항목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실험 활동을 주제 별로 수행했는데, 실험 방법이나 안전에 대한 주의 사항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도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하는 시료의 양, 농도, 기구의 크기 및 모둠별 필요 수량은 거의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과학 교과서를 통해 기본 과학 지식을 획득하고 과학적 태도와 사고 능력을 갖게 된다. 이러한 과학적 소양을 얻게 되는 과정은 탐구를 통해서 이루어지도록 제 7차 교육 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다. 다양한 탐구 활동과 탐구 과정 기능의 기회를 제공하고 학교 수업에 맞는 실험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quiry process and inquiry activities proposed in the unit on matter in science textbooks for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7'h National Curriculum, and examine their appropriateness by developing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experiment activities among the inquiry activities are composed of appropriate methods and procedures to get accurate experiment results The researcher first compared styles of expression of inquiry factors proposed in textbooks and classified them into types of inquiry factors propos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n analyzed the portion of experiment activities in the whole of inquiry factors Selecting four experiment subjects from experiment activities for the unit on matter, the researcher defined evaluation criteria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experiment methods and procedures Five items 'experiment materials', 'experiment instrument', 'experiment apparatus', 'experiment procedure' and 'time required' were selected as criteria for appropriateness and each item was subdivided The measure of the appropriateness of experiments was divided into three scales, appropriate, insufficient and inappropriate For the selected four experiment subjects, this study performed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methods and procedures suggested in textbooks and determin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experiments The results of analyzing inquiry factors and experiment activities proposed in the textbook are as follows First, many of textbooks describe inquiry activities and inquiry processes mixedly without distinction, and do not show inquiry processes that can be obtained from inquiry activities Second, Ratio that experiment activities is 48 9% among whole inquiry activities that is presented to 6 text book Ratio of experiment activities is high than other inquiring activity Third, experiments suggested in textbooks do not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ose of reagents, the size and number of experiment instruments, cautions in experiment, etc Some of experiments were inappropriate to complete within a session of class Thu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ose of reagents, experiment apparatus and experiment procedures

      • 공통과학과 10학년 과학 교과서의 생식 단원에 대한 개념 수준 및 탐구의 비교 분석

        이연숙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제 6차 교육과정에 따른 공통과학 교과서와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10학년 과학 교과서 생식단원에 제시된 과학 학습개념을 구체적 개념 수준과 형식적 개념 수준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두 교과서의 생식단원에 제시된 탐구 활동의 탐구 유형, 탐구 과정 및 탐구 상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교과서는 공통과학 3종, 10학년 과학 3종을 동일 출판사 것으로 채택하고 생식단원을 다시 5개의 소단원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공통과학 교과서의 생식단원에 제시된 총 학습개념은 136개 이였고, 그 중 구체적 개념이 93(68.4%)개, 형식적 개념이 43(31.6%)개 이였다. 10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개념은 총 163개 이였고, 구체적 개념이 103(63.2%)개, 형식적 개념이 60(36.8%)개 이였다. 10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개념 수가 공통과학에 제시된 개념 수보다 총 27개가 증가했는데, 구체적 개념은 10개, 형식적 개념은 17개가 증가했다. 공통과학과 10학년 과학 교과서 생식단원에 제시된 총 탐구 활동 수는 공통과학에서 보다 10학년 과학에서 2.8배 증가하였다. 탐구 유형은 공통과학과 10학년 과학 교과서 모두 생각해 보기만 제시되었다. 탐구과정은 공통과학과 10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자료의 해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그 외에 결론의 도출이 약간 제시되었으며, 탐구의 수행, 탐구의 설계 및 문제인식은 아주 낮은 비율로 제시되거나 거의 제시되지 않았다. 탐구 상황은 순수 과학적 상황이 공통과학과 10학년 과학 교과서 모두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제시되었고, 사회 기술적 상황과 일상적 상황이 공통과학보다 10학년 과학에서 2배 이상 높게 제시되었다. 탐구활동 분석 결과, 탐구 유형, 탐구 과정 및 탐구 상황이 지나치게 특정한 방향으로 편중되어 나타났다. 그러므로, 새 교과서의 탐구활동 개발 시 모든 영역의 탐구 활동을 고르게 분포시켜 학습자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창의력 신장에 도움이 되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level for the reproduction unit between common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sixth curriculum and 10th grade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seventh curriculum. Also,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processes and skills, and context of inquiry activities in the reproduction based on two kinds of textbooks. Three kinds of common science and 10th grade science textbooks were analysed and divided the reproduction unit into five subunits. The gross number of concepts was 136, the concrete of 93, the formal of 43 in common science. the gross number of concepts was 163, the concrete of 103, the formal of 60 in the 10th science. The number of concepts was increased 27, the concrete 10, the formal 17 in the 10th grade science more than in common science. The gross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was increased 2.8 times in the 10th grade science. Types of inquiry were investigated only the Thinking in both textbooks. Processes and skills of inquiry were mostly presented the Interpreting data, and were not mostly presented the Formulating a conclusion and Performing an inquiry and Perceiving a problem, Designing an inquiry in both textbooks. Context of inquiry were showed mainly Natural scientific and Daily life and Techno-social were increased 2 times in the 10th grade science. As result of analysis, types and processes and skills, and context of inquiry were attached much important to a specific direction. In that time of the develope new textbooks, all sides of inquiry activities were equally distributed and would be help students extend the interest of science and an original idea.

      •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중 물질 영역의 내용 변천 분석

        김숙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교수 요목기에서부터 제 7차 교육과정까지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물질 영역의 내용 변천을 분석하여, 다음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과학 교육 발전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교수 요목기에서부터 제 7차 교육과정까지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중 물질 영역의 단원을 대상으로 하여, 교과서에 나타난 단원, 학습주제, 탐구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단원의 변화는 교육과정별로 물질 영역 단원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비교․분석하였고, 학습주제의 변화는 교육과정에 따라 제시된 물질 단원의 학습주제들을 추출하여 분석표를 만들어 지속․추가․삭제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탐구과정의 분석은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탐구과정 요소를 기준으로 교육과정별 탐구과정의 종류와 그 빈도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이 변하면서 물질 영역을 다루는 학년이 전 학년으로 확대되었고, 다루는 개념 또한 전 학년에 골고루 분포하였다. 또한, 학년에 따른 단원의 구성도 교육과정에 따라 크고 작은 변화를 거쳐 저학년에서는 관찰 가능한 현상을 탐구하도록 하고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미시적인 개념을 다루도록 하였다. 그리고 전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물질 단원으로부터 물질 관련 9가지 소주제 고체, 액체, 기체, 상태변화, 혼합물의 분리, 용해와 용액, 분자, 산․염기 반응, 산화․환원 반응을 추출할 수 있었는데, 제 7차 교육과정에서 ‘분자’단원마저 중학교로 이동함으로써 초등학교에서 다루는 개념들이 물질의 거시적 특징 영역에 치우쳐져 있다. 둘째, 물질 영역 단원을 구성하고 있는 학습주제를 소주제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의 여러 차례 개정이 있었지만 제 3차 교육과정 이후 많은 학습주제들이 큰 변화 없이 지속적으로 다루어졌다. 실생활 관련 소재는 제 5차 교육과정부터 도입되었으며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새로운 소재의 학습주제가 많이 추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교과서 물질 단원의 탐구과정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이 여러 차례 개정되었음에도 교과서에는 여전히 여러 탐구과정 중 관찰을 강조하고 있었다. 반면, 통합탐구과정의 가설설정이나 변인통제, 자료해석과 같은 탐구기능은 낮은 빈도수를 보였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라 교과서에서 안내하는 탐구과정 기능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음을 볼 때 교과서의 내용 전개 방식이 문제 해결 중심의 탐구 형태로 나아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질 영역에 좀 더 다양한 영역의 개념이 도입될 수 있도록 보다 의미 있고 흥미로운 소재의 개발과 함께 미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창의적 사고력을 많이 길러줄 수 있는 방향으로 교과서의 전개 방식이 바뀌어야 할 것이다.

      • 2009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창의성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조사 및 문항 분석

        차상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과 같이 급진적으로 변화가 일어나는 사회에서는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고 응용하는 능력보다는 알고 있는 지식을 토대로 새로운 지식과 문화를 창출해 내는 능력이 더 중요시 되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창의성을 키워줘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실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바로 교사이고, 교사가 창의성 교육을 원활히 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방법 중 하나가 교과서를 통한 창의성 교육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과학 교과서를 통한 창의성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과학 교과서 물리영역의 창의성 문항을 분석하였다. 인식 조사와 창의성 문항 분석을 통해 과학 교과서가 창의성에 도움을 주는 정도, 창의성 구성 요소(독창성, 유창성, 융통성, 정교성)의 포함 정도, 창의성 좋은 과학 교과서 구성 요소에 대해 알아보았고, 학생들의 창의성을 위한 과학 교과서의 구성에 대해 과학 교사의 의견을 들어보았다. 연구 결과 과학 교사는 과학 교과서가 과학 수업 시간에 주로 사용하는 자료이나 창의성에 보통 정도의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과학 교과서 분석 결과 전체 문항 중 창의성 문항이 적게 포함되어 있었다. 창의성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창의성 문항이 포함될 필요가 있었다. 창의성 구성 요소의 포함 정도에서는 각 구성 요소들이 보통 정도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과학 교과서 분석 결과에서는 융통성 문항이 가장 많았고, 독창성 문항이 가장 적었다. 창의성 구성 요소가 균형 있게 구성될 필요가 있었다. 창의성에 가장 좋은 과학 교과서의 구성 요소는 탐구활동과 자유탐구이었으나, 과학 교과서의 분석 결과 탐구 영역에 매우 적은 수의 창의성 문항이 제시되어 있었다. 탐구에 창의성 문항이 더 많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연구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학생들의 창의성을 위한 과학 교과서의 구성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의견에서 실생활과 관련된 내용이나 실험, 첨단 과학과 관련된 읽을거리, 창의성이 필요한 퀴즈, 과학 교과서 내용의 축소 등이 있었다. 실험과 탐구 활동이 창의성에 도움을 많이 줄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보이며, 실생활과 관련되어 실재로 경험할 수 있는 내용으로 과학 교과서를 구성하기 바라는 것으로 생각된다.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읽기 자료의 특성 비교 분석

        전영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읽기 자료의 유형에 대한 분류 기준을 개발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읽기 자료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교과서 읽기 자료의 개발과 선정 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읽기 자료의 유형을 ‘지식의 심화․보충’, ‘과학사’, ‘STS’, ‘생활 과학’, ‘탐방 소개’의 5개로 나누고 ‘지식의 심화․보충’은 심화 유형과 보충 유형으로, 과학사는 과학자와 과학의 진보로 세분하는 분류 기준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분류 기준을 이용하여 현행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7종 중 읽기 자료의 지면 비율이 비슷하나 읽기 자료 수에서 차이가 큰 3종을 선정하여 읽기 자료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읽기 자료의 분량을 분석한 결과, 읽기 자료의 수와 읽기 자료가 차지하는 지면은 교과서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읽기 자료의 수는 35 - 66개로 30개 이상 차이가 났다. 읽기 자료가 차지하는 지면은 37.9 - 40.7면으로 차이가 적어 보이지만, A 교과서의 경우 읽기 자료 수가 66개이고 할당된 지면이 37.9면인데 반해, C 교과서의 경우 읽기 자료 수는 35개이나 할당된 지면이 40.7면으로, 읽기 자료 1개가 차지하는 지면 분량은 0.2 - 2.0으로 교과서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고, 읽기 자료에 따라서도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유형별 읽기 자료를 분석한 결과, 5개의 유형 중 지식의 심화․보충 유형이 36 - 59%, 과학사 유형이 32 - 43%로 2개의 유형이 전체 읽기 자료의 77 - 87%를 차지하였고, STS․생활 과학․탐방 소개의 3개 유형은 전체 읽기 자료의 10 - 23%로 읽기 자료가 특정 유형이나 단원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다양한 읽기 자료의 유형이 고르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융합과학’은 여러 분야의 과학 지식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일부 전문적인 용어나 개념이 필요하고 그런 이유에서 분석 교과서 모두 지식의 심화․보충 유형의 읽기 자료가 다른 유형에 비해 높은 비율로 제시되었다. 한 가지 고려할 점은 제시된 읽기 자료의 내용 수준이 일반 선택 과목인 물리, 화학, 생명 과학, 지구 과학 I, II 의 교과 내용을 거의 그대로 옮겨 놓아 학생들의 지적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보여 진다. 학생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고, 이해하기 쉽도록 지식의 심화 유형이라 할지라도 이야기 형식 등의 자료 제시 방법에서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 교과서의 읽기 자료가 내용, 분량 및 유형에서 독창적이고 다양한 시도가 있어 긍정적인 면도 엿볼 수 있었지만, 진로 탐색에 관한 구체적인 읽기 자료가 없었던 것도 문제점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정으로 전환된 2009 개정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 읽기 자료의 분석을 통해 새로운 유형이나 방식의 긍정적인 측면도 있었지만 아직 많이 남아있는 과거의 읽기 자료 유형에서 벗어나 내용 구성에서 새롭고 더 다양한 읽기 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과학교과서의 남성중심성에 관한 교육과정사회학적 분석

        유영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육사회학은 교육과 관련한 사회 불평등 문제를 핵심적 주제로 삼고 있다. 교육사회학의 핵심적 주제인 교육과 사회 불평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교육 불평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원인 규명이 필요하다. 교육사회학에서 교육 불평등을 초래하게 하는 원인은 여러 곳에서 찾을 수 있지만, 일차적으로 학업성취의 격차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학업성취는 미래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왜냐하면 업적주의 사회에서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개인의 성취수준에 의해 결정되고, 개인의 성취수준은 일반적으로 학교에서의 학업성취에 근거하여 개인에게 사회경제적 지위가 분배되기 때문이다. 이렇듯 학업성취는 한편으로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위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교육 불평등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학업성취의 격차는 계층별 격차, 지역별 격차, 성별 격차로 대별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학업성취의 성별 격차에 관심을 갖는다. 여학생이 학업성취에서 격차를 가져오게 하는 요인은 학생의 속성, 가정의 문화적 환경, 학교의 질적 수준, 교육내용,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등 여러 곳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논문은 여학생의 학업성취 격차의 원인을 교육과정(敎育課程)의 내용에 있다는 교육과정사회학적인 시각에서 출발한다. 학업성취의 성별 격차에 관한 많은 연구 결과는 여학생들이 과학을 기피하고 성취가 저조하다는 사실을 문제로 인식한다. 과학에서 여학생들의 성취가 저조한 것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과학적 지식이 중시되고 과학과 관련된 직업이 시장성이 높은 현대의 산업기술사회에서 과학은 직업과 관련된 다양한 계열과 코스를 선택하는 기본적 요건이 되며, 궁극적으로 직업선택의 관건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과학에서 학업성취의 성별 격차는 사회적 성취의 성별 불평등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은 여학생의 학업성취와 관련하여 여학생이 과학에서 저조한 학업성취의 원인이 과학교과서에 있음을 가정한다. 즉 과학교과서가 남성중심적으로 편성·조직되었기 때문에 여학생은 과학교과에서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이는 결국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과학교과에서 학업성취의 격차가 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과학교과서의 남성중심성에 초점을 맞추어 성별 불평등의 원인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가정을 기초로 하여 과학교과서의 남성중심성에 관한 연구문제를 다음의 여섯 가지로 구체화하였다. 첫째, 교과서의 편찬과정에 있어서 성별편중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교육내용의 선정에 있어서 성별편향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교육내용의 조직에 있어서 성별편향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넷째, 역할 모델의 제시에 있어서 성별편중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다섯째, 성역할의 전달에 있어서 성역할 사회화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여섯째, 과학의 이미지 전달에 있어서 성별편향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8권, 중학교 과학교과서 6권, 고등학교 과학교과서 18권을 연구자료로 하여 과학교과서의 남성중심성에 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의 여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과서의 편찬과정은 성별로 편중되어 있음이 나타났다. 교과서 편찬자의 성별 분포는 남성편중적이었고 교과서 편찬자의 편찬당시 소속은 주로 대학교와 초중등학교로서 모든 기관에서 남성이 편중적으로 교과서 편찬에 참여하였다. 둘째, 교육내용의 선정은 성별선호성에 비추어 남성중심적으로 선정되었다. 교육내용은 과학의 영역과 주제로서 남성의 관심과 흥미에 적합하였다. 셋째, 교육내용의 조직은 실험관찰의 사례와 성 관련 용어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사례는 남성의 경험에 기초하고 성 관련 용어는 문장에 따라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되었다. 넷째, 역할모델의 제시는 과학교과서에 소개된 과학자와 사진에 제시된 성인 남녀의 모습에서 성별편중성을 나타냈다. 다섯째, 성역할 사회화는 사진·삽화에 제시된 과학적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과학적 활동의 특성은 남녀 학생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역할 분담에 있어서도 과학적 활동은 남성중심적으로 주도되었다. 여섯째, 과학의 이미지는 과학지식의 기술적용면에서 살펴보면 과학지식은 대부분 산업과 군사 등에 적용되었고, 과학 관련 직업면에서는 남성은 생산과 관련된 활동 장면을 묘사하고 여성은 가정과 관련된 활동을 보여줌으로써 과학과 관련된 직업이 남성의 영역임을 내포하였다. 이상의 교과서 분석 결과는 과학교과서가 남성중심적으로 편성·조직된 것이 여학생의 과학과목의 학업성취 격차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이러한 학업성취의 격차는 사회적 성취의 격차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과서는 학생들의 태도 형성과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고 나아가 성인이 되어서도 그 태도와 영향이 지속한다. 이와 같은 차원에서 본다면 교과서는 어떤 형태의 편견이나 고정적인 성역할 사회화, 성에 따른 직업에 있어서의 한계 등과 같은 표현을 피해야 한다. 업적주의 사회가 실현되기 위한 전제조건은 모든 사람들이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일이다. 교육의 평등은 교육기회의 평등에서부터 교육과정(敎育過程)의 평등과 교육결과의 평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남녀간의 교육의 평등은 양적인 측면에서 어느 정도 실현되었으며, 외형적으로 볼 때도 여학생은 남학생과 동일한 교육을 받고 있다. 그러나 남학생과 동일한 교육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학생이 상대적으로 학업성취에서 불리한 입장에 놓인다면 진정한 교육의 평등을 실현하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의 연구 결과는 교육의 평등은 교육기회의 평등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교육에서의 성별 불평등에 대한 요인은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어 질 수 있지만, 교육기회의 평등은 학교교육의 기본이 되는 교과서에서부터 양성평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Sociology of education focuses in social unequality in relation to education. Accurate understanding about educational unequality is needed in order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s main topic of sociology of education and social unequality. The origin of educational unequality, likewise, is found in everywhere, first of all it is found in the difference of study achievement. Study achievement effects as important element to determine socioeconomic status of future and quality of life. Because in achievement society, one's socioeconomic status is determined by his achievement level and his achievement level is generally distributed in foundation on study achievement in school. Like this, on the one hand study achievement affects on socioeconomic status of an individual, on the other hand it causes educational unequality. The level of study achievement roughly classifies the difference of social stratum, region and gender. This thesis concentrates in the difference of gender in study achievement. We can notice the difference of women's study achievement in the field of students' self-tendency, home cultural background, the level of schools quality,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The main issue of curriculum, however, begins with the viewpoint of sociological curriculum. Lots of research about the difference of gender in study achievement bring that women evade science and unactively achieve it. That women's inactive achievement in science is going to be important issues. The reason is that scientific knowledge is important and jobs related to science are reasonable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originally, it is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of work choice. This thesis assumes that science textbooks are the cause of women's inactive achievement in science textbooks which give the first consideration to men. That is why women have inactive achievement in science compared with men. Therefore, this thesis focuses in masculinity in science textbooks and then searches gender unequality. On the basis of these assumptions, the research about masculinity in science textbooks make concrete as follows ; First, how does gender inclination appear in compiling science textbooks? Second, how does gender preference appear in selecting textbook contents? Third, how does gender inclination appear in presenting role models? Forth, how does gender inclination appear in curriculum system? Fifth, how does socialization of gender role appear in transmitting gender role? Sixth, how does gender inclination appear in transmitting science image? To analyze these issues, with 8 volumes of elementary school's science textbooks, 6 volumes of middle school's science textbooks and 18 volumes of high school's science textbooks, I analyzed contents about masculinity in science textbooks. The finding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 First, the process of textbook compilation appeared in gender inclination. Textbook compilers' gender distribution was masculinity and at the compilation moment, men who are from all facilities such as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compiled textbook with inclination. Second, textbook contents were selected out masculinity by gender preference. Textbook contents are field and subject of science, those are adequate to men's concern and interest. Third, role models showed masculinity with male scientists introduced in textbooks and the different role of man and woman in the picture. Forth, in curriculum system, according to the example of experiment observation, an phraseology of gender meant different meaning by every sentence. Fifth, in transmitting gender role, according to scientific activities in the picture and illustration, scientific activities were differently shown between man and woman and focused in masculinity in role allotment. Sixth, scientific knowledge applied industry and military affairs, in relation to job men were described as producers and women acted as housewives. That means job relation to science involves men's area. These findings of textbooks analysis show that science textbooks can be the cause of women's inactive achievement in science and women's inactive achievement in science subsequently affects the level of social achievement. Textbooks affects student's attitude and study achievement and then they continue into adulthood. From this viewpoint, textbooks must avoid a prejudice or socialization of fixed gender role, and job limit relation to gender. The precondition to realize achievement society is to make competitive atmosphere under the same condition for all of the people. Educational equality can be argued with a variety of opinions from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equality of process and results. In modern society, the quantity of educational equality realized in somewhat, man and woman have same education externally. In spite of same education, if women are relatively at a disadvantage, it is difficult to realize sincere educational equality. In a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thesis show that sincere educational equality starts from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Therefore the cause of gender unequality in education can be argued with a variety of ways but perfect gender fairness is accomplished from textbooks as basic material in schoo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