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과제지향훈련이 노년기 고관절골절 환자의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염정아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과제지향훈련이 노년기 고관절골절 환자의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K재활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년기 고관절골절 환자 10명이었으며, 과제지향훈련(Task-oriented training)을 실시하는 과제지향훈련군(Task-oriented training Group, TOT Group) 5명과 비과제훈련(Non-task training)을 실시하는 비과제훈련군(Non-task training Group, NTT Group) 5명으로 무작위 할당 되었다. 두 집단 모두 회기 당 30분, 주 5일, 3주간 총 15회기의 중재를 진행하였다. 과제지향훈련군과 비과제훈련군의 중재 전·후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도구로 한글판 수정 바델지수(Korean Modified Barthel Index, K-MBI)와 건강관련 삶의 질(Short Form Survey-36, SF-36)을 사용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지향훈련군의 중재 전·후 일상생활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0.5). 둘째, 두 집단의 중재 전·후 일상생활활동을 비교해 보았을 때 과제지향훈련군이 비과제훈련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0.5). 셋째, 과제지향훈련군의 중재 전·후 삶의 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0.5). 넷째, 두 집단의 중재 전·후 삶의 질을 비교해 보았을 때 과제지향훈련군이 비과제훈련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0.5). 본 연구를 통하여 환자 중심의 일상생활활동 과제로 구성된 작업치료 기반의 과제지향훈련이 노년기 고관절골절 환자의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에 효과적인 중재로 적용 될 수 있음을 근거 자료로 뒷받침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관절골절 환자에게 있어 일상생활 훈련치료를 통해 삶의 질 증진을 중요한 목표로 하는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함께 긍정적으로 적용되었을 것이라 사료된다.

      • 과제지향적 몸통훈련이 뇌졸중환자의 몸통근력, 근활성도,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오규빈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ask-oriented trunk training could improve the muscle power, muscle activity, balance and gait among stroke patients. A total of 27 stroke patients who ha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Task-Oriented Training Applied to Proximal Part (experimental group 1, n=14), Task-Oriented Training Applied to Distal Part (experimental group 2, n=13). Then, task-oriented trunk training was applied for 30 minutes per session, 5 times per week, and 6 weeks for the corresponding parts of each group. muscle power, muscle activity, balance and gait were assessed using a digital dynamometer, sEMG , Timed up and go test (TUG), and Gait analyzer(G-WALK), before and after training. Task-oriented trunk training in experimental group 1 and group 2 gradually increased task difficulty by creating programs for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unk muscle power measured rectus abdominis, external obilique, internal obilique, erector spinal using digital dynamometer. The Trunk muscle pow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two groups after the training(p<.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among the groups(p<.05). The change in Trunk muscle power of rectus abdominis, erector spinal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Experiment 1 than Experiment 2. Second, The muscle activity on stance phase while gait measured rectus abdominis, external obilique, internal obilique, multifidus, erector spinal using sEMG. muscle activity on stance phase while ga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two groups after the training(p<.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among the groups(p<.05). The change in muscle activity on stance phase while gait of external obilique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Experiment 2 than Experiment 1, and multifidus, erector spinal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Experiment 1 than Experiment 2(p<.05) Third, The muscle activity on swing phase while gait measured rectus abdominis, external obilique, internal obilique, multifidus, erector spinal using sEMG. muscle activity on swing phase while ga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two groups after the training(p<.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among the groups(p<.05). The change in muscle activity on swing phase while gait, only elector spinal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Experiment 2 than Experiment 1(p<.05) Forth, The balance measured using Timed up and go test(TUG). The timed up and go tes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two groups after the training(p<.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among the groups(p<.05). The change in Timed up and go test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Experiment 2 than Experiment 1(p<.05) Fifth, The gait measured the gait velocity, gait cadence, stride length using gait analyzer. The ga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two groups after the training(p<.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among the groups(p<.05). The change in gait velocity, gait cadence, stride length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Experiment 2 than Experiment 1(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ask-oriented training can improve the Trunk muscle power, muscle activity,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Key words:Task-oriented training, Stroke, Trunk muslce powet, Trunk muscle activity, Balance, Gait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지향적 몸통훈련이 뇌졸중환자의 몸통근력, 근활성도,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에 합당한 뇌졸중 환자 27명을 선정하고, 몸쪽에 직접 적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실험군 1) 14명, 먼쪽 분절에 부하를 이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실험군 2) 13명으로 각각 무작위로 배정하여 회당 60분, 주당 5회, 6주간 시행하였다. 훈련 전·후 몸통근력, 근활성도, 균형 및 보행을 평가하기 위해 디지털 근력계, 표면근전도, 일어나서 걸어가기 검사(TUG), 보행측정분석기(G-Walker)를 이용하였다. 실험군 1과 실험군 2에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은 주차별로 프로그램을 만들어 과제 난이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몸통근력은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척추세움근의 근력을 측정하였고, 몸통에 직접 적용한 훈련군과 먼쪽 분절에 부하를 이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에서 각각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집단 내 변화량의 차이가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으며(p<.05), 집단 간 변화량의 차이에서는 배곧은근과 척추세움근에서 몸통에 직접 적용한 과제지향 훈련군에서 더 큰 변화량의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몸통 근활성도는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뭇갈래근, 척추세움근의 보행 중 디딤기 시 근활성도를 측정하였고, 몸통에 직접 적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과 먼쪽 분절에 부하를 이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에서 각각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집단 내 변화량의 차이를 보이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으며(p<.05), 집단 간 변화량의 차이에서 근활성도는 배바깥빗근은 먼쪽 분절에 부하를 이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이 뭇갈래근과 척추세움근은 몸통에 직접 적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에서 더 큰 변화량의 차이를 보였다(p<.05). 셋째, 몸통 근활성도는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뭇갈래근, 척추세움근의 보행중 흔듦기 시 근활성도를 측정하였고, 몸통에 직접 적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과 먼쪽 분절에 부하를 이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에서 각각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집단 내 변화량의 차이를 보이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으며(p<.05), 집단 간 변화량의 차이에서 근활성도는 척추세움근만 먼쪽 분절에 부하를 이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이 몸통에 직접 적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보다 더 큰 변화량의 차이를 보였다(p<.05). 넷째, 균형은 일어나서 걸어가기 검사(TUG)를 이용하였고, 몸통에 직접 적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과 먼쪽 분절에 부하를 이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에서 각각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집단 내 변화량의 차이가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으며(p<.05), 집단 간 변화량의 차이에서는 먼쪽 분절에 부하를 이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이 몸통을 직접 이용한 훈련군보다 더 큰 변화량의 차이를 보였다(p<.05). 다섯째, 보행은 보행분석측정기를 이용하여 보행속도, 보행분속수, 한걸음거리를 측정하였고, 몸통에 직접 적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과 먼쪽 분절에 부하를 이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에서 각각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집단 내 변화량의 차이가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으며(p<.05), 집단 간 변화량의 차이에서는 먼쪽 분절에 부하를 이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이 몸통에 직접 적용한 과제지향적 몸통훈련군보다 더 큰 변화량의 차이를 보였다(p<.05).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볼 때 과제지향적 몸통훈련이 뇌졸중환자의 몸통근력, 근활성도, 균형 및 보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중재로 제안한다.

      • 과제지향 훈련 방법이 뇌졸중 환자의 앉은 자세 균형과 몸통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손유현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세 가지 과제지향 훈련 방법이 뇌졸중 환자의 앉은 자세 균형, 몸통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2018년 8월부터 10월까지 뇌졸중 환자 25명을 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 8명, 비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 8명, 양측 과제지향 훈련군 9명씩 세 군으로 나누어 마비측 과제지향 훈련, 비마비측 과제지향 훈련, 양측 과제지향 훈련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주 3회 30분씩 총 6주간 비동시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에서 앉은 자세 균형 중 몸통 조절 능력, 앉은 자세 균형 중 앉은 자세 압력 이동 변화 시 앞쪽, 왼쪽, 오른쪽 방향, 마비측 몸통 근활성도는 척추세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비마비측 몸통 근활성도는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비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에서 앉은 자세 균형 중 앉은 자세 압력 이동 변화에서 앞쪽, 왼쪽, 오른쪽 방향, 마비측 몸통 근활성도와 비마비측 몸통 근활성도에서 척추세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양측 과제지향 훈련군에서 앉은 자세 균형 중 몸통 조절 능력, 앉은 자세 균형 중 앉은 자세 압력 이동 변화에서 앞쪽, 왼쪽, 오른쪽 방향, 마비측 근활성도와 비마비측 몸통 근활성도에서 척추세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과제지향 훈련군 간 앉은 자세 균형 중 몸통 조절 능력 변화 비교 시 양측 과제지향 훈련군이 다른 군과 비교하여 가장 변화량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과제지향 훈련군 간 앉은 자세 균형 중 앉은 자세 압력 이동 변화 비교 시 앞쪽 방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양측 과제지향 훈련군이 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보다 변화량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과제지향 훈련군 간 마비측 몸통 근활성도 변화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비마비측 몸통 근활성도 변화 비교 시 배바깥빗근 활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양측 과제지향 훈련군이 비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보다 변화량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뇌졸중 환자에게 과제지향 훈련을 시행한 결과 모든 군에서 앉은 자세 균형과 몸통 근활성도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고 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과 비마비측 과제지향 훈련에 비하여 양측 과제지향 훈련이 가장 도움이 되는 중재 방법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ree types of task-oriented training on stroke patient’s sitting balance and trunk muscle activity. 25 strok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8 members for 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8 members for non-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and 9 members for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group from Aug. to Oct, 2018 and also, the 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non-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and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were applied for 30 minutes, 3 times a week for 6 weeks in total non-simultaneously. As the results of researc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unk muscle activity in the sitting balance in the 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and also, in the changes of movement of sitting posture pressure in the sitting balance, especially toward the forward, left and right side.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ector spinae muscle, external oblique muscle, internal oblique muscle for the 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rnal oblique muscle and internal oblique muscle for the non-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p<.05). In the non-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movement of sitting posture pressure, especially toward the forward, left and right side in the sitting balance.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ector spinae muscle, external oblique muscle and in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for both 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 and non-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p<.05). In the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unk control ability in the sitting balance and also, in the changes of movement of sitting posture pressure in the sitting balance, especially toward the forward, left and right side.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ector spinae muscle, external oblique muscle and internal oblique muscle for both 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 and non-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p<.05). When comparing the trunk control ability in the sitting balance between task-oriented training groups, the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group had great chang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other groups(p<.05). When comparing the changes of movement of posture pressure in the sitting balance between task-oriented training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rward side(p<.05), while the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group had greater chang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p<.05). When comparing the changes of 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 between task-oriented training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nd(p>.05),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when comparing the changes in non-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 Also, the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group had greater chang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non-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p<.05). After conducting the task-oriented training to the stroke patients, all groups showed positive results in the sitting balance and trunk muscle activity and furthermore, the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was the most helpful intervention method, compared to the 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and non-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 과제지향 접근법과 하지 근력강화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최영인 용인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between the task­oriented approach and strengthening exercise on walking with stroke patients. "Two-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Twen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task­oriented training group (TTG) and a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exercise group (LEG). All TTG group participated in the task­oriented training for 4 weeks and LEG group were exercised using the N-K table and elastic band. Step test (ST), Timed Up and Go test (TUG), and Six-Minute Walk Test (6MW) were initially contrasted within both groups after 4 weeks follow-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fter four weeks follow-up test, the TTG has shown some increasement of the step test, but there wasn't an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baseline. There was no change in LEG group. Second, in TUG test, test timing was reduc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each groups, but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both groups. Third, after the rehabilitation program, 6MW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distance with both groups. In comparison with each group, TTG has shown more remarkable differences than 6MW in inter-group. Lastly, ST showe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UG and 6MW. However, there were minimal correlation between TUG and 6MW. In summary, the TTG has not shown remarkable difference but showed more positive effect than the LEG on ST, and TUG. Especially, it was very effective way to improve walking endurance for stroke patients. Although Walking ability of the TTG is better than LEG,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o it is not reasonable to claim that it is more effective intervention than other method. Therefore, This study needs more time and more stroke patient's participation to carry out it's object. Also, It seems to be better to study more ``-program than just experiment two intervention methods for the improvement of walking endurance with stroke patients.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지향 접근법과 하지 근력강화 운동이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두 집단 검사 전-검사 후 설계(two-group pretest-posttest design)방법을 선택하였고, 연구조건에 합당한 20명의 대상자를 과제지향 훈련군 10명, 하지 근력강화 운동군 10명으로 무작위 분류하여 시행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4주 동안 과제지향 훈련 및 하지 근력강화 운동을 하였고, 중재 전·후 각각 스텝 검사, Timed Up & Go(TUG) 검사, 6분 걷기 검사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텝 검사에서 과제지향 훈련군은 스텝 횟수가 증가하였지만 유의성은 없었고, 하지 근력강화 운동군은 중재 전·후 변동이 없었다. 둘째, TUG 검사에서 과제지향 훈련군과 하지 근력강화 운동군 모두 중재 전·후 완료시간이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셋째, 6분 걷기 검사는 과제지향 훈련군(p<.01)과 하지 근력강화 운동군(p<.05) 모두 중재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집단 간 비교에서는 11미터 증가한 과제지향 훈련군이 하지 근력강화 운동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넷째, 스텝 검사와 TUG 검사 및 6분 걷기 검사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마비측 하지의 안정성을 의미하는 스텝 검사는 TUG 검사 및 6분 걷기 검사와 중정도의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p<.05), TUG 검사는 6분 걷기 검사와 낮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과제지향 접근법은 하지 근력강화 운동 보다 스텝 검사와 TUG 검사에서 긍정적 효과를 보였고, 6분 걷기 검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보행지구력 향상에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과제지향 훈련군의 보행능력은 하지 근력강화 운동군에 비해 수치상 증가하였지만,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아 보다 효율적인 중재방법임을 주장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추후에는 보다 많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오랜 기간 동안의 연구가 시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뇌졸중 환자의 보행지구력 향상에 효과적인 두 중재방법을 임상에서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표준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과제지향 훈련을 병행한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소프트볼 선수의 손목 악력, 근활성도, 통증에 미치는 영향

        김현희 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과제지향 훈련을 병행한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소프트볼 선수의 손목 악력, 근활성도,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정 기준에 적합한 소프트볼 선수 3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무작위 배정을 사용하여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과제지향 훈련을 병행한 바이오피드백 훈련군 16명, 과제지향 훈련군 16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과제지향 훈련은 1일 30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으며, 바이오피드백은 대상 훈련군에 따라 적용하였다. 손목 악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우 전자 악력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근활성도와 통증을 평가하기 위하여 Noraxon 근활성도 측정 장비와 환자 기입 손목 평가 임상적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상자는 실험 시작 전 사전검사·사후검사에서 손목 악력, 근활성도, 통증에 대한 측정을 하였다. 그 결과 손목 악력, 근활성도, 통증에서 과제지향 훈련을 병행한 바이오피드백 훈련군이 과제지향 훈련군보다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과적으로 손목 통증이 있는 소프트볼 선수를 대상으로 한 훈련에서 과제지향 훈련을 병 행한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과제지향 훈련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제지향 훈련을 병행한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적용한 훈련 프로그램은 선수들에게 기능증진을 위한 훈련 방법으로 사용될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iofeedback training combined with task-oriented training on wrist grip strength, muscle activity, and pain in softball players. This study targeted 32 softball players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using random assignment. 16 people in the biofeedback training group and 16 people in th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ask-oriented training was conducted for 30 minutes a day, 5 times a week, for 4 weeks, and biofeedback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target training group. To evaluate the wrist grip strength, it was measured using a Daewoo electronic dynamometer. In order to evaluate muscle activity and pain, it was measured using the Noraxon muscle activity measurement equipment and the wrist evaluation clinical evaluation tool written by the patient. The subjects were measured for wrist grip strength, muscle activity, and pain in the pre-test and post-test before the start of the experiment. As a result, the biofeedback training group combined with task-oriented train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in grip strength, muscle activity, and pain (p<.05).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iofeedback training combined with task-oriented trai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ask-oriented training in training for softball players with wrist pain. It is considered that the training program applying biofeedback training combined with task-oriented training can be used as a training method for functional enhancement for athletes.

      • 점진적 과제지향훈련과 점진적 과제지향훈련 및 기능적전기자극 동시 훈련이 편마비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고준혁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mpact on balance and gait through the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and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hemiplegic patient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subjects was selected 21 hemiplegic patients and the period of study in each subject was 6 weeks, 5 times per weeks, 30 minutes a day. TUG and 10MWT were measured to examine gait, BBS was measured to examine balance, FIM was measured to examine quality of life. Outcome measures included the following: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a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respect to the change amount of the TUG, 10MWT elapsed time than the other two groups(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BS score in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group and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but a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0.05).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above, the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raining is more effective to balance and gait of hemiplegic stroke patients than the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if apply the same training time. 본 연구는 점진적 과제지향훈련과 점진적 과제지향훈련 및 기능적전기자극 동시 훈련이 편마비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뇌졸중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별 연구기간은 총 6주로, 주 5회 1회당 30분 실시하였다.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는 10MWT를 그리고 균형은 TUG와 BBS를 사용하였으며, 일상생활적응능력은 FIM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점진적 과제지향훈련 및 기능적전기자극 동시 훈련군은 다른 두 군에 비해 TUG경과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시간 단축을 보였고(p<0.05), 10MWT의 경과시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시간 단축을 보였다(p<0.05). 한편 점진적 과제지향훈련군과 점진적 과제지향훈련 및 기능적전기자극 동시 훈련군은 대조군에 비해 BBS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p<0.05)이 있었으나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위의 결과로 보아, 같은 훈련시간을 적용한 경우 점진적 과제지향훈련 및 기능적전기자극 동시 훈련을 적용한 군이 점진적 과제지향훈련만을 적용한 군보다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목과 복부 심부근수축을 동반한 과제지향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기능, 상지기능, 균형에 미치는 영향

        김소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0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과제지향훈련과 목과 복부 심부근수축을 동반한 과제지향훈련을 실시한 후 대동작기능, 상지기능, 앉은 자세에서의 체간의 균형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효율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대동작기능분류체계(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Ⅰ-Ⅳ단계에 해당되는 6-12세와 12-18세의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 총 12명이고 이들을 무작위로 실험군 6명과 대조군 6명으로 나누었다. 실험군은 기존의 신경발달 물리치료 30분에 압력생체피드백 기구(Pressure Biofeedback Unit: PBU)를 이용한 목과 복부 심부근수축 10분과 목과 복부 심부근수축을 동반한 과제지향훈련 10분을 추가하여 총 50분 동안 중재를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기존의 신경발달 물리치료 30분에 과제지향훈련 20분을 추가하여 총 50분 동안 중재를 실시하였다. 두 군 모두 주 2회 6주 동안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후의 평가는 대동작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대동작기능평가(Gross Motor Function Measurement: GMFM), 상지기능의 평가를 위한 손 기능 작업능력 평가도구(Jebson Taylor hand function test), 앉아 있는 자세에서 체간의 정적 및 동적 균형능력 측정을 위한 균형능력 측정도구와 체간조절 평가척도(Trunk Control Measurement Scale: TCMS)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과 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한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 두 군 간의 중재 전과 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한 만휘트니-U 검정(Mann–Whitney U test), 두 군의 중재 전과 후의 평균값과 두 군 간의 평균값 차이를 표준화한 효과 크기(Effect size)를 이용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α)은 0.05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과제지향훈련군과 목과 복부 심부근수축을 동반한 과제지향훈련군 모두 대동작기능평가의 걷기·달리기·뛰기 영역과 전체 대동작기능평가, 상지기능 평가의 7가지 영역인 글씨 쓰기∙카드 뒤집기∙작은 물건 집기∙먹기 흉내 내기∙장기 말 쌓기∙크고 가벼운 물건 옮기기∙크고 무거운 물건 옮기기, 앉은 자세에서의 체간의 정적 및 동적 균형 조절능력에서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목과 복부 심부근수축을 동반한 과제지향훈련군은 과제지향훈련군보다 대동작기능평가의 서기 영역과 전체 대동작기능평가, 상지기능 평가의 우세 손에서의 카드 뒤집기와 장기 말 쌓기 영역, 앉은 자세에서의 체간의 동적 균형 조절능력에서 더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기능, 상지기능, 앉은 자세에서의 체간의 균형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목과 복부의 심부근수축을 동반한 과제지향훈련을 신경발달 치료와 함께 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효율적인 중재로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efficient exercise progra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and task-oriented training with neck and abdominal deep muscle contraction on gross motor functi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trunk balance control ability in a sitting position for school-ag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school-ag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ges 6–12 and 12–18, who belong to stages to I–Ⅳ of the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 = 6) and a control group (n = 6). In the experimental group, intervention was performed for a total of 50 minutes by adding 10 minutes of neck and abdominal deep muscle contraction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PBU) to 30 minutes of neurodevelopmental physical therapy and 10 minutes of task-oriented training with neck and abdominal deep muscle contraction. In the control group, 20 minutes of task-oriented training was added to 30 minutes of neurodevelopmental physical therapy, and intervention was performed for a total of 50 minutes. In both groups, intervention was performed twice a week for six weeks. The evaluation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cluded Gross Motor Function Measurement (GMFM) to evaluate gross motor function, Jebson Taylor hand function test to evaluat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 balance ability measurement tool and the Trunk Control Measurement Scale (TCMS) to measure the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y of the trunk in a sitting position. For data analysis,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the Effect size standardiz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 valu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of the two groups and between the two groups was us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α) was selected as 0.05. Both th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and th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with neck and abdominal deep muscle contraction demonstrated good results in the Walking, Running, & Jumping areas of GMFM and total GMFM. In addition, both groups showed good results in seven areas of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evaluation: Writing, Card turning, Picking up small object, Simulating feeding, Stacking checkers, Lifting large light weight object, and Lifting large heavy weight object. Further, both groups could effectively control the static and dynamic balance of the trunk in a sitting position. In particular, th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with neck and abdominal deep muscle contraction showed better results than th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in the GMFM's Standing area, total GMFM, Card turning and Stacking checkers in the dominant hand i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evaluation, and controlling the dynamic balance of the trunk in a sitting position. Through this study, an exercise program in task-oriented training with neck and abdominal deep muscle contraction was enacted alongside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to improve gross motor functi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trunk balance ability in a sitting position in school-ag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 expect that this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 저빈도 rTMS 후 과제지향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근 긴장도 및 대뇌 겉질 활성에 미치는 영향

        마성룡 강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저빈도 경두개 자기자극 후 잔존효과 내 과제지향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근 긴장도 및 대뇌 겉질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경기도에 위치한 B병원에 내원한 만성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저빈도 경두개 자기자극 후 잔존효과 내 과제지향활동그룹, 저빈도 경두개 자기자극 후 잔존효과 외 과제지향활동그룹, 일반재활치료그룹 등 각각 10명씩 세 그룹으로 구성하여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주 3회, 6주간 실시하였고, 실험 전, 실험 후, 2주후 유지효과 검사 등 총 3회에 걸쳐 마비측의 상지기능, 근 긴장도, 운동유발전위 진폭 및 운동유발전위 잠복기 등을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상지기능의 그룹 내 검사에서 모든 그룹은 실험 전 평가와 실험 후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저빈도 경두개 자기자극 후 잔존효과 내 과제지향활동그룹에서만 실험 전 평가와 유지효과 검사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일반재활치료그룹은 실험 후 평가와 유지효과 검사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2) 상지기능의 그룹 간 검사에서 유지효과 검사 시 저빈도 경두개 자기자극 후 잔존효과 내 과제지향활동그룹과 일반재활치료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근 긴장도의 그룹 내 검사에서 저빈도 경두개 자기자극 그룹들만 실험 전 평가와 실험 후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일반재활치료그룹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저빈도 경두개 자기자극 후 잔존효과 내 과제지향활동그룹에서만 실험 전 평가와 유지효과 검사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4) 근 긴장도의 그룹 간 검사에서 각 그룹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운동유발전위 진폭의 그룹 내 검사에서 모든 그룹은 실험 전 평가와 실험 후 평가 사이, 실험 후 평가와 유지효과 검사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6) 운동유발전위 진폭의 그룹 간 검사에서 유지효과 검사 시 실험 후 평가와 유지효과 검사에서 저빈도 경두개 자기자극 후 잔존효과 내 과제지향활동그룹과 저빈도 경두개 자기자극 후 잔존효과 외 과제지향활동그룹 사이, 저빈도 경두개 자기자극 후 잔존효과 내 과제지향활동그룹과 일반재활치료그룹 사이, 저빈도 경두개 자기자극 후 잔존효과 외 과제지향활동그룹과 일반재활치료그룹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7) 운동유발전위 잠복기의 그룹 내 검사에서 모든 그룹은 실험 전 평가와 실험 후 평가 사이, 실험 후 평가와 유지효과 검사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8) 운동유발전위 잠복기의 그룹 간 검사에서 유지효과 검사 시 실험 후 평가에서 저빈도 경두개 자기자극 후 잔존효과 내 과제지향활동그룹과 저빈도 경두개 자기자극 후 잔존효과 외 과제지향활동그룹 사이, 저빈도 경두개 자기자극 후 잔존효과 내 과제지향활동그룹과 일반재활치료그룹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주 3회, 6주 동안 저빈도 경두개 자기자극 후 잔존효과 내 과제지향활동그룹은 다른 중재그룹과 비교하여 모든 평가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특히 상지기능 평가에서 실험 전 평가와 2주후에도 유지효과를 입증하였고, 운동유발전위 진폭 평가 시 세 그룹 간의 시점 별 평균 비교에서 실험 후, 유지효과 검사에서 다른 그룹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좀 더 많은 대상자를 대상으로 과제지향활동을 세분화하여 환자 기능 상태에 맞고, 원하는 과제를 적용하며,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평가를 진행하여 실생활에 직접적인 변화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과제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운동형상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기문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87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upper extremity function by applying a task-oriented training to stroke hemiplegic patients. twenty-four chronic stroke hemiplegic patients who receive the physical therapy as inpatients or outpatients in the rehabilitation hospital located in M cit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uch as one control and the other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12 patients, respectively. Riding bicycle generally used for upper & lower extremity training was assigned to a control group. Task-oriented training was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for 30 minutes per each time and 5 times per a week for total 4 weeks. Grip strength test, Box and Block Test, Manual Function Test (MFT) and analysis of kinematic patterns were conducted and measured before and after training and results were as follows. 1. After 4 weeks of training, task-oriented group was improved significantly to grip strength compared to control group(p<.05). 2. After 4 weeks of training, task-oriented group was improved significantly to Box and Block Test compared to control group(p<.05). 3. After 4 weeks of training, task-oriented group was improved significantly to Manual Function Test compared to control group(p<.05). 4. After 4 weeks of training, task-oriented group was improved significantly to analysis of kinematic change compared to control group(p<.05). Through the above results, task-oriented training has an effect on upper extremity func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and the changes in kinematic pattern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ask-oriented upper extremity training can be an effective rehabilitation method to improve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to chronic stroke patients who still have hand function.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지향적 훈련을 적용하여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M시에 소재한 재활병원에서 입원 혹은 외래로 물리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 뇌졸중 편마비 환자 24명을 대조군과 실험군에 각각 12명씩 배정하였다. 대조군은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하지 운동기인 자전거 타기를, 실험군은 과제지향적 상지 훈련을 4주 동안 주 5회 1회당 30분씩 적용하여 장악력 검사,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상지 기능 검사(Manual Function Test), 운동형상학적 분석을 운동 전, 운동종료 후에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운동 4주후, 과제지향적 운동군이 대조군에 비해 장악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2. 운동 4주후, 과제지향적 운동군이 대조군에 비해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3. 운동 4주후, 과제지향적 운동군이 대조군에 비해 상지 기능 검사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4. 운동 4주후, 과제지향적 운동군이 대조군에 비해 운동형상학적 변화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과제지향적 상지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운동형상학적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손 기능이 남아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재활치료 방법으로 과제지향적 상지 운동을 적용하는 것은 상지 기능의 회복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주제어: 과제지향적 훈련, 상지 동작분석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