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후 고층아파트 리모델링 방향성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90년 이전 건립 고층아파트 실태조사들 중심으로

        홍석민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공동주택의 리모델링이 근래에 들어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실제 사례의 부족과 리모델링 대상아파트의 실질적인 실태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현실성 있는 리모델링방안의 제시를 위한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부산광역시 공동주택 중 현 시점에서 리모델링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90년 이전에 지어진 고층아파트를 중심으로 노후화의 실태를 파악하여 적게는 리모델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크게는 리모델링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장연구방법(Field Study Method)을 기본으로 사용하여, 주로 노후 고층아파트에서 유지·보수·개조에 관련된 사항들을 파악하고, 리모델링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실태조사 결과, 향후 리모델링의 방향성을 다음과 제안한다. 첫째, 리모델링의 원인과 관계해서, 사용연수가 높을수록 물리적 원인에 의한 거주민의 불편이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되어지고 기능적 원인과 사회적 원인의 경우도 각 공간별로 리모델링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하나의 원인에 의해 리모델링의 요구가 발생하기 보다는 각각의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리모델링의 요구가 발생하며, 점차 증가할 것으로 판단되어지므로 경제적으로 가장 적합한 시기에 리모델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확한 진단과 함께 융통성 있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리모델링의 실태를 유형별로 분류해 보면, 현재 갱신형 리모델링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고, 모든 사람들을 배려하는 지속 가능한 주거지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향후 베리어프리형과 환경친화형 리모델링이 지속적으로 일어나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고,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부분부터 단계적으로 실시하여 거주민의 의식 전환을 유도하고 활성화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단위주호의 측면에서의 리모델링 방향은 크게 노후설비 및 마감재의 교체, 구조체의 보강을 통해 쾌적성을 증대시키고, 평면기능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거실 바닥난방, 수납공간부족 등의 해결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또 외부로 들어나는 전유부분에 대한 규제기준의 마련을 통하여 지역적 환경을 고려하면서 아파트의 입면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감재의 재료와 색상, 종류 등에 대한 기준을 설정함으로써 단지의 이미지개선과 경관개선측면의 고려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주동의 측면에서의 리모델링 방향은 크게 이미지 개선을 위한 입면의 재구성 방안의 개발과 구체의 장수명화와 노후설비시설의 교체를 도모하며, 커뮤니티를 활성화 할 수 있는 공공공간의 개발과 노약자를 배려할 수 있는 시설의 부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단지측면에서의 리모델링의 방향은 사회적 요구와 거주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주차시설의 확보와 노후화되고 경제적으로 유지관리가 힘들어지고 있는 중앙집중난방방식을 개별난방방식으로 전환해야 될 것으로 판단되고, 단지 외부환경을 보행자우선으로 계획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환경을 조성하여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주거단지의 조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 의식조사결과 정부의 재정지원 등 정책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져 거주자의 경제적 부담을 축소시키고 적극적으로 리모델링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향후리모델링 방향제시에 초점이 맞추어져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으므로 향후 리모델링의 방향과 문제점 등을 토대로 세부적인 부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기를 기대하며, 실제적인 적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여 리모델링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아진다. Recently, Apartment Remodeling was emphasized as a social issue. However, there are lack of data to exhibit remodeling in life, because of this, there is necessity for practical data of the deteriorated apartment. The propose of this study exhibits remodeling guideline of the deteriorated high-rise apartments in Busan before 1990years, and that will apply basic data of remodeling. This study take Field Study Method that have a analysis ba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and Open-Ended Interview, Physical Trace Method that find out the reason for Physical environment, and Visual Anthropology Method that observes through events. This research classifies the apartments into several characteristics; how old they are, how many floors they have, how big they are, and the suitable remodeling types to find some improvements. As the result of field study analysis for remodeling guideline it can be summarized to five issues; Firstly, various kinds of remodeling factors are occurring mixed mutual action. Therefore, there should be considered that remodeling has to be done correct diagnosis and appropriate moment. Secondly, barrier-free and green remodeling should be revitalized more, and it must be giver effect to feasible stage. Thirdly, there should be considered program for maintenance of finish materials by physical deterioration, and get rid of functional inconvenience of unit plan. Fourthly, the remodeling method must be developed as an image improvement of house and long life of structure. Fifthly, as converting heating systems, the apartments can be more comfortable and economical living space, we have to find out a solution for insufficient parking system. Because of the remodeling, Long life apartments lead to the quality life and need to build the sustainable housing environment.

      • 지하주차장의 視環境 改善을 위한 照明性能評價에 관한 硏究

        玉致熱 慶熙大學敎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Recently, the underground parking spaces have been constructed owing to lack of parking spaces in spite of their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derived from the fact they are under 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lighting design guideline of skylight built in underground parking space for the Improvement of Visual Environment. A set of field survey established a prototype configuration of underground parking structure. The visual system changes its sensitivity to light, a process, so that it may detect the faintest at a dark palce and yet not be overloaded by the high brightness. Transient adaptation is a phenomenon associated with reduced visibility after viewing a higher or lower luminance than that of the task.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potential performance of a natural lighting system for visual adaptation within underground parking facilities built in apartment houses. A set of computer model of entrance area which consists of ramp, general parking, and driving range has been constructed and the computer program, Lumen-Micro 7.5 performed the evaluation. Therefore, The result revealed that toplight of 0.3% open ratio provides the minimum light level and 3% open ratio should be recommended for the driving area in underground parking. In addition, open ratio of 20% should be recommended to satisfy the standard uniformity ratio of 1:4. Artificial Lighting contributes to the desirable ratio of uniformity with a higher minimum light level in underground. And, computer simulation shows that daylight through dry area provide the higher vertical luminance on inner wall surface for visual adaptation. In addition, canopy systems for the entrance ramp make a role in decreasing the difference of the brightness within the entrance area.

      • 共同住宅 再建築制度의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 서울특별시 施行 現況을 中心으로

        차광재 建國大學校 行政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8703

        Because apartment houses and tenement houses built during the 1960s and the 1970s were constructed with the use of low-grade materials and the low-level of construction technology at the their execution, dilapidated buildings should be abolished and reconstructed though fewer than 20 years which is less than 50 years, the tech-nological life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have passed since they was built. The Law of Ownership and Management of Multifandly Housing was enacted in 1984 and the Housing Construction Promotion Law was revised in 1984, which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reconstruction work. As regulations on building was mitigated in 1990, high-density housing development was made Possible to super-high-rise(30-storied) building in terms of the number of floors of the apartment house with the floor area ratio of 400%. Accordingly, because the inhabitants owning existing tenement houses and apartment houses, the object of reconstruction, built with low density have lots of development benefits, the actual condition is that reconstruction works are actively executed. The reconstruction work has great economic benefits that good quality and larger-scale housing can be parcelled out on the side of occupants, and enables the dismantling of dilapidated and poorly-built housing with private-sector capital without government's financial burden from the perspective of Seoul city and has an advantage of the expansion of housing supply in the city. It is possibile to construct apartment houses without burden on housing land on the side of the executer, who is not restricted in relation to construction expenses. Since the reconstructed housing has the capacity of lotting out and the its occupants think of their housing as a means for the increase of wealth, they come to neglect relatively Duality reconstructed housing in terms of management, it accelerates the early deterioration of their reconstructed housing. Accordingly such a phenomenon comes to bring about the waste of national resources and as existing tenement and apartment houses are development on a high-density basis in consideration of economic benefit alone, negative adverse effects such as the problem of the lack of public facilities occur considerab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make an inquiry into the problems of the house reconstruction system occurring over the years by dividing them into those in respects of its institution, implementation and society. As for the problems of the house reconstruction system in respects of its institution and society, most of them are concerning the regulation and promotion of the house reconstruction work. They are the sensitive matter of inhabitants interest relations, and poor administration is cooried relative to them. If an attempt is made to coordinate and control the requirements of regional inhabitants involved properly, it is judged that the house reconstruction work will have to be transformed into the urban planning work.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its implementation, it is necessary to raise mutual confidence in it by carrying out the house reconstruction work fairly and publicly an a democratic basis. And the district office, the licensing outhority, make an endeacor to strengthen public intervention through active administration, arbitration and persuasion and to make the house reconstruction work come to settle as the good system as housing policy and as urban renewal policy.

      • 공동주택의 관리권에 관한 공법적 연구 : 공동주택관리법과 집합건물법의 관계를 중심으로

        정복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Laws applicable to the management of apartment complex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private law regulations and public law regulation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private law regulations is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and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public law regulations is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The former understands the right to manage an apartment complex as one of the rights of ownership. The latter understands that the management rights vested in the state are authorized by the council of occupants’ representatives. As such, the two laws have different grounds for and have different ideas about the right to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This study conducted a public law study on the management entity and repair of apartment defects, focusing on the two laws.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stipulates the “Managing Body(관리단)” as the management body of condominium buildings, and th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stipulates the “Council of Occupants’ representatives(입주자대표회 의)” as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body(decisional body). The two laws differ in their scope of application to each complex building and apartment complex. However, as both laws apply to most apartment complexes today, especially apartments, the Managing Body and the Council of Occupants’ Representative exist simultaneously.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Managing Body and the Council of Occupants’ Representatives in terms of composition and organization, but their authority as management entities overlaps significantly.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issue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anagement entities. As residential life has a great impact on human life, the supply and management of housing has been considered a national task, and apartment complexes have more meaning than simply being shared by unit owners. In other words, the right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is not simply a collection of pieces of management rights based on the ownership of unit owners, but it is authorized by law to the the Council of Occupants’ Representatives, which is essentially vested in the state. Therefor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should be applied with priority in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nd Managing body should be applied in exceptional issues which require consensus of opinion, or which th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does not apply. Meanwhile, among issues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apartment complexes, repair of defects in apartment complexes is an important issue related to ensuring a safe life for residents and reducing social and economic costs by preventing major accidents. Liability for repairing defects in apartment complexes has been mainly handled in the private law as warranty liability for defects in sales contract or contract for any construction work. However, considering the history of the emergence of the housing law and the need for public law management, repairing defects issue in apartment complexes should be understood as part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not as warranty liability for defects. Regulation As the warranty liability for defects under the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and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are dealt with on the same line, claims for defect repairs result in financial compensation, rather than defect repairs. Related regulations should be legislatively supplemented in a way that reveals more clearly the nature of defect repair responsibility as management of apartment complexes.Through this, defect repair claims for apartment complexes can lead to actual defect repairs for apartment complexes. 공동주택의 관리와 관련하여 적용되는 법령은 크게 사법상 규율과 공법상 규율로 나눌 수 있다. 사법상 규율에는 대표적으로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공법상 규율에는 대표적으로 「공동주택관리법」이 있다. 전자는 공동주택의 관리권을 소유권의 권능 중 하나로서 이해하며, 후자는 국가에 귀속된 관리권이 법령에 의해 입주자대표회의에 수권된 것이라고 이해한다. 이처럼 두 법률은 공동주택의 관리권에 대하여 각기 다른 근거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두 법률이 공동주택의 관리에 대하여 취하는 입장에도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두 법률을 중심으로 공동주택의 관리주체와 하자보수에 대한 공법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은 집합건물의 관리주체로 관리단을, 「공동주택관리법」은 그에 대응하는 관리주체(의결기구)로 입주자대표회의를 규정하고 있다. 두 법률은 적용범위에 있어 각 집합건물과 공동주택으로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공동주택, 특히 아파트에는 양 법률이 모두 적용됨에 따라 관리단과 입주자대표회의가 동시에 존재하는 형태를 띠고 있다. 관리단과 입주자대표회의는 구성, 조직 등에서 차이가 있으나 관리주체로서의 권한이 상당 부분 중첩되기 때문에 두 관리주체간의 관계 혹은 우열을 정립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주거생활이 인간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만큼 주택의 공급과 관리는 국가의 과제로 여겨져왔고, 공동주택은 단순히 구분소유자들의 공유물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즉 공동주택의 관리권은 단순히 구분소유자들의 소유권에 근거하는 관리권의 조각들의 집합체가 아니라, 본질적으로는 국가에게 귀속된 공동주택의 관리권이 법률에 의해 입주자대표회의에 수권된 것이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공동주택의 관리에 있어 원칙적으로는 「공동주택관리법」상의 입주자대표회의 관련 규정이 우선하여 적용되어야 하며, 관리단은 「공동주택관리법」이 적용되지 않는 공동주택에서, 혹은 재건축 등 구분소유자 전체의 의견이 수합되어야 하는 예외적인 안건이 다루어질 때에 예외적으로 기능하여야 한다. 한편, 공동주택의 관리와 관련된 문제 중에서도 공동주택의 하자보수는 공동주택 거주민들의 안전한 생활 보장, 대형 사고 예방을 통한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 등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다. 공동주택의 하자보수에 대한 책임은 주로 사법상 매매계약 혹은 도급게약의 목적물의 하자담보책임의 연장선상에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공동주택의 하자보수 문제는 주택법제에 등장한 연혁, 공법적 관리의 필요성 등을 고려할 때 하자담보책임이 아닌 공동주택의 관리의 일환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공동주택관리법상의 하자담보책임과 집합건물법상 하자담보책임이 동일선상에 다루어짐에 따라, 입주자대표회의 등의 하자보수청구는 공동주택의 하자보수로 이어지기보다 손해배상채권의 발생에 그치는 결과를 낳았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관리로서의 하자보수책임의 성격이 보다 분명하게 드러날 수 있도록 입법적으로 보완될 것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공동주택의 하자보수청구가 실질적인 공동주택의 하자보수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 고층공동주택의 부하발생에 따른 층부 별 세대 온열환경평가

        박찬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0년대 이후로 저층아파트들의 재건축이 급속 진행되면서 초고층 공동주택은 국내 중규모 이상의 도시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보편적인 주거형식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전까지 30층 이상의 초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주로 오피스빌딩의 용도로 건설되었지만 2000년대 이후에 지어지기 시작한 주상복합 건축물의 활성화와 함께 현재 30층 이상의 초고층 공동주택을 보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또한 공동주택들이 초고층화되면서 소비자들의 요구 충족을 위해 랜드마크적인 디자인요소 및 조형미가 요구되었다. 이를 위해 각 공동주택의 입면에 창호면적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기 시작했으며 요즘 거의 대다수의 세대가 발코니 확장을 하는 것을 감안하였을 때 이는 공동주택 각 세대의 온열환경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고층 공동주택의 층부 별 온열환경분석을 통해 그 층부 별 문제점 파악 및 개선요소를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수직 높이 상승에 따라 높이에 따른 일사 유입의 차이 및 고층건물에서 발생하는 스택효과 등이 실내 냉난방부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감안하고 저층부, 중층부, 고층부 등 공동주택의 각 층부가 각기 다른 실내온열환경을 보일 것으로 예측하였다. 층부의 개념으로는 규정에 아직 뚜렷이 명시된 바가 없으며 본 연구에서는 저층부(1-10층), 중층부(10-20층), 고층부(20-30층)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대상 건축물로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1동 반포자이 초고층 공동주택 단지를 선정하였으며 첫 번째, 거주 후 평가(Post Occupancy Evaluation)를 통해 실 거주자들의 세대 내 온열환경 만족도를 평가하고 두 번째, 남향에 바라보고 있는 한 개 동을 선정하여 가장 일사 유입면적 이 넣은 거실 측 창호표면 온도 및 실내호보 측정을 통해 일사에 따른 부하발생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는 IES VE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상 공동주택을 모델링하고 냉난방 부하 및 온도를 분석하여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 가변형 공동주택 개발사례 분석에 관한 연구

        김동수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se days, the multi-unit housing market has been moved from the "supply-side" to the "consumer-side" and the consumer demand for housing diversity has been increased. Accordingly, various ways of multi-unit housing development should be considered to meet the homebuyer demand effectively and successfully. The homebuyer demand can be classified into two parts. One is the external conditions comprising location, surroundings, community and neighborhood facilities, schools, feasibility of habitation, etc. and the other is the internal conditions including unit floor plans, quality of specifications, interior finishes, amenities, landscaping, etc. In relates with the internal conditions, the homebuyer's discontent with the conventional unit floor plans, which are not easy to customize or modify beyond surface finishes and usually cause a lot of budget, time, efforts, and industrial waste to reconfigure spaces, can be withdrawn by the flexible unit floor plan designed with consideration of the human life cycle that includes the addition, growth, and departure of children, elderly relatives, or domestic caregivers, not to mention changes in occupants’ interests and needs. Eventually, homebuyers will take the flexible unit floor plan that more readily adapt to their changing needs. In conclusion, the discriminative and flexible unit floor plan can promote housing sales and generate the successful outcomes of the housing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howcase the effective and flexible unit floor plan concept by analysing the process of unit floor plan development, surveying the development cases adopting flexible unit floor plans, finding problems, and improving them.

      • 대구시 공동주택의 형성과 가격특성에 관한 연구

        최덕근 대구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of influence to the apartment-price and its formation in Daegu. The price-factors of the apartment are divided into the internal factors, the external factors in the residential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 fist, some results in the analysis of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 of apartment are as follows. 1) The apartment is the typical type of the residence as its portion of the total residential housing is 66.1% in Daegu. 2) The part of the private construction is more than 90% in the supply of the apartment. 3) The distribution of the apartment in Daegu concentrates on Dalseo-gu, Suseong-gu, Buk-gu where recent developments have been executed for large residential areas. 4) The apartment complex with the small scale(101-300 households) occupied the portion of 25% on the whole. 5) The major part of the apartment has been supplied since the later half of the 1980's. Second,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apartment price are divided into the internal factors and the external factors, then the factor influence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price-formation are analyz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analysis of the sale price of the apartment, the price is higher in the apartment with larger scales above area (l32㎡) as the internal variable and the price is higher relatively as the large scale above the 1000 household, the high apartment of 16-20 floor. Whereas, the price is higher in Suseong-gu, and there is no difference of the price in relation with the convenient facilities and not in contrast to other factors. 2) the lease price is about 70 percent of the sale price, and the apartment of high lease price is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high sale price apartment. The lease price is higher in Dalseo-gu also and so is higher in the scale of 500-1000 household and the district nearby the department store

      • 공동주택 하자기획소송에 대한 건설사 사전 대응모델 개발 연구 : 하자보수비, 손해배상청구 판례를 중심으로

        조영선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는 도시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경제 성장으로 주택보급 문제를 원활히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주택보급정책으로 공동주택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보급률 제고와 함께 공동주택의 품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설업체들은 소비자의 삶의 질 향상이나 타 업체의 치열한 경쟁에 맞추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요자의 기대수준과 공급된 공동주택의 품질의 차이로 인한 갈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건설사들의 하자소송에 대한 소극적인 대처와 사전대응 전략의 미흡으로 하자관련 분쟁과 소송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사를 대상으로 제기된 소송 사례를 수집, 분석하여 하자소송에서 주로 제기되는 하자의 유형을 분류하고, 금액규모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전략적인 대응을 제안하였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설사의 일반적 대처방식인 고객만족팀과 법무팀의 사후대처적 소극적 대응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하자소송이 발생 한 이후의 대응이 아닌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부터 하자소송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관리적략을 수립할 수 있는 사전 대응모델을 개발하였다. 2) 사전연구의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던 활용가능성이 떨어지는 서술적, 일반적 대응과 실제 하자소송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는 한계는 본 연구의 연구방법론인 하자보수비, 손해배상 청구 판례를 분석함으로써 극복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응 모델은 실제 하자소송 목록의 정량적인 접근(비중, 규모)으로 그 위험 수준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하자목록의 유형분석구조와 금액분석구조를 개발함으로써 앞으로 발생할 하자소송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정리 축적하여 개선된 대응모델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3) 그 동안의 하자소송에 대한 건설사의 대처는 일회성에 그쳤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가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응모델은 일회성 대응인 아닌 공동주택 공사의 착공 전부터 유지관리 단계에 이르는 전반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힘으로써 이후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으로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하자소송의 유형을 제계적으로 정리하고 이에 따른 하자소송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건설사 스스로 하자소송 등에 사전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하자소송의 분석 사례가 15개로 제한적이라는 점과 공동주택 품질 전반의 향상의 목적이 아닌 하자소송의 위험성 인지와 사전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그 효과가 그치고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사후대처적, 소극적이었던 건설사의 대응에 대한 적극적, 전략적 대응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건설사 입장에서의 하자소송에 대한 인식 전환에 큰 의미를 가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roportion of apartment housing has been increased to solve the housing problems resulted from rapid growth in urban population and urban economy. With the increase in apartment's proportions and the concern about quality of housing, the contractors have made efforts to satisfy the customer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housing. Despite these efforts, the conflicts between the contractor and the customers are getting serious. Also the disputes and the litigation of defect are increasing because of the contractor's negative treatment and inadequate countermeasure. In this study the defect lawsuits which bring actions against the contractors a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then the strategic countermeasures are proposed according to the classifying the type of defect and size. The suggested countermeasure model before the defects are resulted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developing the contractors strategies to reduce the conflicts against customers.

      • 공동주택의 배치유형에 따른 적정 일조환경에 관한 연구

        丁潤聲 수원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8703

        공동주택의 단지에 있어서 비치계획은 단독주택과 같은 저층·저밀도의 주거단지와는 상이한 계획조건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공동주택 단지에 대해서는 그 나름대로의 계획조건과 법적인 규제가 마련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일조환경에 대한 기준은 인동거리에 대한 규제로 대표될 수 있다. 건축법에 명시된 규제의 기본적인 일조조건을 보면, 동지 때 4시간의 일조를 확보하기 위한 거리로서, 정북방향으로부터 건물의 높이(D≥1.0H)만큼 인동거리를 확보하도록 규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인동거리 기준은 일조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즉, 대지의 위도상 위치, 건물의 방위각, 건물의 크기, 건물의 배치 등의 고려없이 적용되었기 때문에 일조환경의 효율면에서 매우 부족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인동거리, 건물의 방위각, 건물의 측면거리는 이러한 최소한의 일조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태양의 고도가 가장 낮은 동지 날, 주거건물에서 최소한의 일조시간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건축법에서는 공동주택의 일조건 기준에 대해서 별개의 조항을 두어 기본적인 주거환경이 침해받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공동주택에 있어서 일조권 확보가 중요한 건축환경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을 볼 때, 공동주택의 상호간에 미치는 일조환경을 보다 과학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쾌적한 일조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공동주택의 일조환경을 인동거리 기준만으로 되어있는 현행 법규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현행 인동거리 기준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와 문헌 등을 통해 건물의 일조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개개의 요소들을 평가하였으며, 그 일조환경요소별로 일조시간과의 상관관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적정 일조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일조환경 요소들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일조환경 분석에 관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는 기존의 일조환경 분석 방법 가운데 월드램(Waldram)을 이용한 각 세대별 일조시간 분석방법을 선정하여 일자·ㄱ·ㄴ·ㄷ·ㅁ자형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일조시간을 분석하였으며, 일조환경을 결정짓는 일조환경요소(건물의 방위각, 인동거리, 건물의 측면거리)와 일조시간과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 평가하였다. 2. 일조환경 요소별로 분석한 일조시간의 변화를 종합하여 첫째, 동지때 08시에서 16시 사이에 모든 세대에서 4시간의 일조를 확보할 수 있는 일조환경 기준과 둘째, 일조권 확보을 위한 완화기준으로 동지때 09시에서 15시 사이에 모든 세대에서 연속 2시간 이상의 일조를 확보하는 일조환경 기준을 제시하였다. 3. 적정 일조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인동거리 기준의 적용으로 공동주택 각 세대의 일조환경을 이전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건물배치의 다양화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의 일조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andard of the factor of the environment between Apartment houses for assurance the optimum sunshine hours. This standard of the factor of the environment between buildings is importment that elements to evaluate the block planning for apartment house, and the regulation to sunshine is defined to the law in its own way. Observing the regulation to sunshine which is elucidated to the architect act, it needs the factors environment between buildings to obtain 4-hours sushine from the due north in winter solstice. But because the standard of the distance between buildings in the law was applicated without the consideration such as, the latitude, azimuth, and other sunshine design criteria, it is not enough to assure the better sunshine environment. Nowadays, considering the right to sunshine is raised as the important environmental issue, sunshine condition between buildings should be evaluated more scientifically and quantitatively for assurance of the comfortable residence. In this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distance regulation based on the building height, each sunshine environmental factors that effect on the buildings were simulated from the estimating four models for sunshine analysis, and the standard of the distance between buildings to secure the optimum sunshine hours, was propos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is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is standard, the analysis method of the rights to sunshine utilizing Waldram diagram was used. The parallel type of apartment houses was choosed as an analysis object of this study, and the variation of sunshine hour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nshine hours and the sunshine environment factor(the distance between building, azimuth, building height, lenght, width,side width) was computerized. 2. The result of the sunshine hours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the sunshine environmental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the standard of the sunshine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ll the household can gain sunshine for 4-hours from 08:00 to 16:00 at winter solstice in seoul, was proposed. Second, as for the property standard of the right to sunshine, the standard of the sunshine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ll the household can gain continuous sunshine for 2-hours from 09:00 to 15:00 at winter solstice in seoul, was proposed. 3. Therefore, applying the standard of the sunshine environmental factors for assurance of the optimum sunshine hours to the apartment houses, it is indispensable to improve the current sunshine regulation for better environment of sunshine.

      • 공동주택의 공종별 하자 발생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김구 경기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경제발전으로 인한 도시문화 중심의 생활패턴은 우리의 전통적인 주거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고층화되고 밀집되어진 형태의 공동주택특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고층의 공동주택 모습은 도시로의 인구집중과 전통적인 대가족제도에서 핵가족화로 인한 세대수의 증가로 주택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대량 건설을 목표로 하는 공동주택의 공급확대로 인해 생겨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공동주택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이후부터이다. 이는 정부가 대도시에서 주택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으로 추진되고, 이후 공동주택이 국내 주거의 한 모습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새로운 주거공간인 공동주택의 시공단계에 있어서 각 공종에서 발생하는 하자의 공종별 유형을 기존의 연구자료와 최근의 실제 현장에서 나타난 하자의 유형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각 공종별 하자의 그 원인과 대책을 규명하고, 반복적으로 하자가 발생하는 공종별 종합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종은 크게 나누어 건축공종과 설비공종, 토목, 전기공종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은 하자가 발생하는 공종은 건축공종이고, 그 다음으로 설비, 토목, 전기의 순이다. 건축공종을 다시 세분화된 공종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자발생건수와 하자보수비용 측면에서 공종별 하자발생분포를 살펴보면, 도배, 방수, 창호, 미장, 도장, 크랙, 타일, 가구, 결로공종 등에서 많은 하자를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 중에서 하자발생률로는 창호, 도배, 가구, 타일, 크랙, 방수, 도장, 누수, 결로, 미장공종 등의 순으로 하자를 발생시켰고, 하자투입비율로는 도배, 누수, 크랙, 미장, 방수, 타일, 바닥재, 잡공사, 창호, 도장, 조적공종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양쪽에서 순위의 차이가 많이 발생하는 공종은 창호공종인데, 발생건수로는 가장 많은데 비해 하자투입비로 보았을 때는 전체 하자투입비에서 적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결국 많은 하자건수를 보이면서도 하자투입비가 적은 것을 뜻하며, 단가면에서 다른 공종보다 적은 것이 그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일부 현장의 하자에서 소음에 관한 하자와 기타로 묶어놓은 부분은 적은 빈도에도 불구하고 많은 하자투입비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민원성의 하자로 볼 수 있는 것으로서 해결이 어렵고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과 같이 조사를 통해서 분석한 결과, 많은 현장에서 거의 같은 공종에서 유사한 하자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지금도 계속해서 같은 곳에서 동일한 실수를 되풀이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여러 가지 제도상의 문제에도 기인하지만, 건축현장에서 시공상에 부주의나 관리 감독의 소홀함이 가장 큰 문제라 생각된다. 시공상 하자원인에서도 대부분이 이런 관리감독의 소홀함이나 부주의함으로 인해 하자가 발생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하자의 원인과 대책은 각 기업별로 모두 해결책을 제시한 많은 보고서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잘 보안, 수정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실 시공과 하자는 자원의 낭비, 또는 경제적 손실로 로 나타나고 있을 뿐아니라 소비자인 입주자에게도 물리적, 정신적 피해를 준다. 결국 반복적인 하자의 발생은 입주자에게만 피해를 주는 것만이 아니고, 기업에도 금전적인 피해와 이미지 면에서 많은 타격을 줌으로서 잠재적인 피해액은 더 클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신기술의 적용이나 큰 개념의 관리차원이 아닌 현장의 작은 부분에서부터 하자에 관한 관리가 지금으로서는 더 필요할 일이라고 판단한다. A life-pattern of concentrate in city because of economical growth changes our traditional housing life, it is found feature of Apartment house that houses are raised, stand roof by roof. Such character of many-storied building is caused by population concentration and expansion of spread of house because that our traditional housing life is changed. A apartment house have been supplied since 1970 seriously in Korea. This is carried forward by a policy for solving house poverty, after this, a apartment house was become a part of our country's house. Therefore, a Frame work of flaw that happen at each frame work, compared a data of existing study with a data of real field. And then, this result examines the causes and implementation for a flaw of frame work closely, shows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for frame work that a flaw was produced repeatedly. A frame work is divided construction work, mechanical work, civil work, electric work. The construction work has flaw extremely much of this, the next mechanical work, civil work, electric work etc. The construction work is divided into several work. The flaw was produced in paper hanging work, water proof work, joiner's work, plaster work, coating work, crack work, tile work, cabinet work, condensation work etc. In rate of producing flaw, the order of frequency in producing flaw is joiner's work, paper hanging work, cabinet work, tile work, crack work, water proof work, coating work, leakage work, condensation work, plaster work etc. and in rate of inputting flaw, the order is paper hanging work, leakage work, crack work, plaster work, water proof work, tile work. flooring work, miscellaneous work, joiner's work, coating work, masonry work etc. At this results, we know that the similar flaw was produced in the most of field. This reason causes by problem of several system, but I think it is more important of carelessness, neglecting management. and the most of flaw's the causes and implementation don't retouch well, in spite of having measure for solving problem. The repeating flaw brings not only a damage of consumer, but also a economic damage Accordingly, I think it is more necessary to manage flaw from a small part on the spot, rather than to apply new technology, or management of extensive concept, to construction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